KR100850573B1 -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573B1
KR100850573B1 KR1020070033094A KR20070033094A KR100850573B1 KR 100850573 B1 KR100850573 B1 KR 100850573B1 KR 1020070033094 A KR1020070033094 A KR 1020070033094A KR 20070033094 A KR20070033094 A KR 20070033094A KR 100850573 B1 KR100850573 B1 KR 10085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missed reception
voice
missed
recep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욱
박우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573B1/ko
Priority to US11/947,476 priority patent/US88555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573B1/ko
Priority to US14/507,495 priority patent/US9026066B2/en
Priority to US14/701,095 priority patent/US92824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6Unsuccessful ev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T(Push To Talk;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을 때, 발신자가 어떤 이유로 PTT 통화를 요청했는 지를 수신자가 부재중 수신정보를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TT콜을 요청한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고,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 요구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푸시 투 콜(Push To Talk; PTT), 부재중 수신, 버퍼링, 음성

Description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Mobile terminal for PTT and Method for executing missed PTT call inform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PTT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수신모드의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수신정보의 저장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수신정보의 표시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PTT) 통신을 수행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PTT 통신 모듈을 장착한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도 소개되고 있다.
여기서 PTT 통신은 무전기의 통신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말을 전할 때는 무전기에 마련된 PTT키를 누르고 들을 때는 PTT키를 떼어(PTT키 누름 해제) 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통신 방식의 일종이다. 이러한 PTT 통신은 일대일 뿐만 아니라 다자간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고유 IP 어드레스(Internet Protocol Address)를 부여받은 후 VoIP(Voice over IP)를 이용해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는, 발신자가 PTT키를 눌러 PTT 콜을 요청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수신된 PTT콜에 대해 수신자가 PTT키를 눌러 응답함으로써 PTT 통화를 수행한다.
한편 수신자가 PTT콜을 받지 않게 되면,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한다. 수신자가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성화할 경우,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부재중 수신정보는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포함한다.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나 발신자의 이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재중 수신정보는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신자는 PTT콜의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사실만을 알 수 있을 뿐 발신자가 어떤 이유로 PTT 통화를 요청했는 지를 부재중 수신정보만으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을 때, 발신자가 어떤 이유로 PTT 통화를 요청했는 지를 수신자가 부재중 수신정보를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TT콜을 요청한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고,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 요구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TT콜을 수신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 하는 과정과,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 요청시, 상기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PTT 통신 모듈, 음성처리부, 버퍼링부, 부재중 수신 판단부, 저장부 및 PTT 통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PTT 통신 모듈은 PTT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처리부는 상기 PTT 통신 모듈이 수신한 PTT콜의 발신자 음성을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버퍼링부는 상기 발신자 음성을 버퍼링한다. 상기 부재중 수신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상기 음성처리부로 출력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대기상태에서 PTT콜을 요청한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 중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음성처리부, 저장부, 표시부 및 PTT 통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처리부는 대기상태에서 PTT콜을 수신하여 상기 PTT콜의 발신자 음성을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면,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기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 중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상기 음성처리부로 출력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PTT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디지털 방송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PTT 통신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 10b)를 이용한 PTT 통신 시스템(100)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TT 통신 시스템(100)은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 기(10a),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 및 PTT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발신측 및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 10b)는 무선통신망(30)을 통하여 PTT 서버(40)에 연결되어 PTT 통화를 수행한다.
무선통신망(30)은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과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 10b)와 통신을 수행하며,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통해 교환국에 접속된다. 교환국은 데이터망을 통해 PTT 서버(40)에 접속한다.
그리고 PTT 서버(40)는 PTT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PTT 통신 요청 중재, 유지 및 각 가입자별 등록 리스트의 배포, 필요한 시스템과 망 자원의 호 설정과 분리를 포함하는 PTT 사용자 그룹의 실시간 관리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PTT 서버(40)는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에서 출력된 음성을 무선통신망(30)을 통해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로 전달한다. 그리고 PTT 서버(40)는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의 PTT키(13a)의 선택에 따라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와 PTT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PTT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에 있어서, 발신측 및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 10b)로 도 2에 도시된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는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만 도 2에 도시된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도 2는 도 1의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어부(12), 키입력부(13), 저장부(14), 무선통신부(15), 음성처리부(16) 및 표시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발신측 및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 10b)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설명에서는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는 수신측으로 사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2)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2)는 수신된 PTT콜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를 제어한다.
키입력부(13)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에 전달한다. 키입력부(13)는 PTT 통신을 수행하는 PTT키(13a)를 포함하며, 그 외에 취소키, 확인키, 숫자키, 4방향키, 종료키와 같은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키입력부(13)로는 키 패드(key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터치 패드(touch pa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4)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는 PTT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과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를 위한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 한다. 저장부(14)는 부재중 수신정보의 설정 정보(14a)와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재중 수신정보(14b)는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포함하며, 발신자의 음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5)는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아울러 무선통신부(15)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제어부(12)로 출력한다. 특히 무선통신부(15)는 PTT 통화를 위한 음성을 송수신한다.
음성처리부(16)는 제어부(12)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화하고, 무선통신부(15)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6)는 PTT 통화시, 무선통신부(15)를 통하여 수신한 발신자의 음성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수신자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무선통신부(15)를 통하여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로 출력한다. 특히 음성처리부(16)는 부재중 수신정보(14b) 확인시, 부재중 수신정보(14b)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부(17)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7)는 부재중 설정정보의 설정 메뉴와, 설정 정보(14a) 및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7)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7)는 PTT 통화와,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 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PTT 통신 모듈(12a),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 버퍼링부(12c),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 및 PTT 통화 제어부(12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TT 통신 모듈(12a)은 PTT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처리부(16)는 PTT 통신 모듈(12a)이 수신한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할 시간과, 부재중 수신정보의 저장 개수를 설정한다. 이때 설정할 수 있는 버퍼링 시간은 수초 내지 수십초이다. 설정할 수 있는 부재중 수신정보의 저장 개수는 저장부(14)의 전체 용량 중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용량의 범위내이다.
버퍼링부(12c)는 수신한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을 설정된 버퍼링 시간 안에서 버퍼링한다. 설정된 버퍼링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버퍼링부(12c)는 버퍼링을 중단한다.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수신된 PTT콜에 대한 응답 여부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수신된 PTT콜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응답 여부를 PTT키(13a)의 선택 여부로 판단한다.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부재중 수신의 발생여부를 발신측 PTT콜의 수신 중단 여부로 판단한다.
그리고 PTT 통화 제어부(12e)는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수신된 PTT콜에 대해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저장부(14)에 저장한다. PTT 통화 제어부(12e)는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확인을 요청받으면,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보(14b)에 포함된 음성을 음성처리부(16)로 출력시킨다. PTT 통화 제어부(12e)는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보(14b) 중 발신자의 주소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 PTT 통화 제어부(12e)는 키입력부(13)를 통한 키입력에 따라 확인된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삭제할 수 있다.
PTT 통화 제어부(12e)는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개수가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한 경우, 이후에 수신되는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을 PTT 통화 제어부(12e)는 버퍼링부(12c)를 통하여 버퍼링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개수가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하면, 이후에 부재중 수신이 발생될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만을 부재중 수신정보(14b)로 저장한다.
한편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의 판단 결과 응답이 있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현재까지 버퍼링된 음성을 삭제하고 PTT 모듈(12a)을 통하여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와 PTT 통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수신된 PTT콜에 대해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면, 수신된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을 부재중 수신정보(14b)로 저장한다. 그리고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확인 요구시,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 보(14b)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기 때문에, 수신자는 발신자의 음성 청취를 통하여 발신자가 어떤 이유로 PTT 통화를 요청했는 지를 알 수 있다.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의 설정 과정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수신모드의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부재중 수신모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입력부(13)의 키선택에 따른 부재중 수신모드의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표시부(17)에 설정 메뉴(21)를 표시한다. 이때 설정 메뉴(21)는 하위 메뉴로 기능 설정 메뉴, 버퍼링 시간 설정 메뉴 및 저장 개수 설정 메뉴를 포함하며, 하위 메뉴는 텍스트 형태의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하위 메뉴는 키입력부(13)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키입력부(13)의 4방향키를 조작하여 선택할 하위 메뉴에 포커스(25)를 위치시키고, 확인키를 눌러 포커싱된 하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하위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키입력부(13)의 취소키를 누르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설정 메뉴(17)를 표시한다.
키입력부(13)의 키선택을 통하여 기능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표시부(17)에 기능 설정 메 뉴(22)를 표시한다. 기능 설정 메뉴(22)의 항목은 "ON", "OFF"이다. 여기서 "OFF"를 선택하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기능을 비활성화한다. 하지만 "ON"을 선택하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기능을 활성화한다. 이때 PTT 통화 제어부(12e)는 설정된 버퍼링 시간과 설정된 저장 개수에 따라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3)의 키선택을 통하여 버퍼링 시간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표시부(17)에 버퍼링 시간 설정 메뉴(23)를 표시한다. 버퍼링 시간 설정 메뉴(23)에서 키입력부(13)의 숫자키를 눌러 버퍼링 시간을 입력하여 버퍼링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3)의 키선택을 통하여 저장 개수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12b)는 표시부(17)에 저장 개수 설정 메뉴(24)를 표시한다. 저장 개수 설정 메뉴(24)에서 키입력부(13)의 숫자키를 눌러 저장 개수를 입력하여 저장 개수를 설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 메뉴(21)에 하위 메뉴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의 저장 과정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수신정보의 저장 과정을 보여주는 흐 름도이다. 도 1,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저장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는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다.
먼저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는 S51과정의 대기상태에서, S52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PTT콜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S52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PTT콜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S52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PTT콜이 수신된 경우, S53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개수가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했는 지를 판단한다. S5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 개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S54과정에서 버퍼링부(12c)는 PTT 통화 제어부(12e)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에 대한 버퍼링을 시작한다. 한편 S5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 개수에 도달한 경우의 처리 과정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S55과정에서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수신된 PTT콜에 대한 수신측의 응답 여부를 판단한다. S55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이 있는 경우, S56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현재까지 버퍼링된 음성을 삭제하고 PTT 통신 모듈(12a)을 통하여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와 PTT 통화를 수행한다.
S55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이 없는 경우, S57과정에서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PTT콜이 수신된 이후 응답이 없는 시간이 설정된 버퍼링 시간을 초과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설정된 버퍼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S58과정에서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는 S54과정 내지 S57과정을 수행한다.
S5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설정된 버퍼링 시간을 초과한 경우, S59과정에서 버퍼링부(12c)는 PTT 통화 제어부(12e)의 제어 하에 수신된 PTT콜의 발신자의 음성에 대한 버퍼링을 중단한다. S61과정에서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1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는 S55과정부터 다시 수행한다.
S58과정과 S61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S62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한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저장부(14)에 저장한다.
S63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저장부(14)에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저장 개수를 카운트한다. 이때 PTT 통화 제어부(12e)는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14b)에 대해서만 카운트한다.
이어서 S64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종료키 입력에 따른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S64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종료키의 입력이 없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S51과정의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S64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종료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기능 수행을 종료시킨다.
한편 S5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 개수에 도달한 경우, PTT 통화 제어 부(12e)는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S65과정에서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수신된 PTT콜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한다.
S65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이 있는 경우, S66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PTT 통신 모듈(12a)을 통하여 발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a)와 PTT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PTT 통화 제어부(12e)는 버퍼링된 음성이 없기 때문에, 버퍼링된 음성을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어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S64과정을 수행한다.
S65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이 없는 경우, S67과정에서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부재중 수신 판단부(12d)는 S65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S6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S68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저장부(14)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는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포함하며,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어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S64과정을 수행한다.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의 음성 출력 및 표시 과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음성 출력 및 표시 과정을 보 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수신측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10b)는 S71과정의 대기상태에서, S72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활성상태로 전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2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활성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활성상태로의 전환 여부는 키입력부(13)의 키선택 여부로 판단한다. 즉 대기상태에서 키입력부(13)의 특정 키 또는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PTT 통화 제어부(12e)는 대기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한다.
S72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활성상태로 전환된 경우, S73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저장부(14)에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 중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S7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가 없는 경우, S74과정에서 제어부(12)는 표시부(17)에 바탕 화면을 표시한다.
S7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미확인한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있는 경우, S75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리스트를 표시부(17)에 표시한다. 이때 PTT 통화 제어부(12e)는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리스트를 텍스트나 아이콘 형태로 표시부(17)에 표시할 수도 있다.
S76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표시된 부재중 수신정보의 리스트 중에서 특정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선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6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S75과정에서의 부재중 수신정보 리스트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S76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특정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선택되는 경우, S77 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선택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에 저장된 음성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S7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된 음성이 없는 경우, S78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표시부(17)에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7)에 표시되는 부재중 수신정보(14b)는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이다.
S77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된 음성이 있는 경우, S79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부재중 수신정보(14b) 중 저장된 음성을 음성처리부(16)를 통하여 스피커(SPK)로 출력된다. 그리고 PTT 통화 제어부(12e)는 부재중 수신정보(14b) 중 발신자 정보와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
S81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확인된 부재중 수신정보(14b)에 대한 삭제 요청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1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S82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확인된 부재중 수신정보(14b)를 삭제한다. 그리고 삭제할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4b)는 저장 개수를 삭감한다.
다음으로 S83과정에서 PTT 통화 제어부(12e)는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S81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삭제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S83과정을 수행한다.
S8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있는 경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S75과정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리고 S8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14b)가 없는 경 우, PTT 통화 제어부(12e)는 부재중 수신정보(14b)의 음성 출력 및 표시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를 확인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미 확인하였지만 저장부에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에 대한 재확인을 요구할 때도, PTT 통화 제어부는 재확인을 요청한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음성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TT콜을 수신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고, 수신된 PTT콜에 대해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면,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여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 요청시,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시킨다. 따라서 수신자는 부재중 수신정보 확인시 발신자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자가 어떤 이유로 PTT 통화를 요청했는 지를 수신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자는 수신자가 일정 시간 PTT콜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짧은 음 성 메시지를 남겨두고 PTT콜의 발신을 중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자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통하여 발신자의 짧은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6)

  1. PTT(Push To Talk)콜을 수신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 요청시, 상기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는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과정은 일정 시간 안에 수신된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삭제하고 PTT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여부의 판단 과정은 PTT키의 선택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음성의 삭제 요구시, 상기 출력된 음성을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과정 전에 진행되는,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할 시간과, 부재중 수신정보의 저장 개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과 상기 버퍼링 과정 사이에 진행되는,
    상기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의 개수가 상기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한 경우, 이후에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면, 상기 발신자의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11. PTT(Push To Talk) 통신을 수행하는 PTT 통신 모듈과;
    상기 PTT 통신 모듈이 수신한 PTT콜의 발신자 음성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발신자 음성을 버퍼링하는 버퍼링부와;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재중 수신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요청받은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상기 음성처리부로 출력시키는 PTT 통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는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부는 일정 시간 안에 수신된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수신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삭제하고 상기 PTT 모듈을 통하여 PTT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PT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TT키를 갖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재중 수신 판단부는 상기 PTT키의 선택 여부로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PTT 통화 제어부가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의 확인을 요청받으면, 상기 PTT 통화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확인된 부재중 수신정보의 음성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1항에 있어서,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할 시간과, 부재중 수신정보의 저장 개수를 설정하는 부재중 수신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의 개수가 상기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설정된 저장 개수에 도달한 경우, 이후에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면, 상기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21. 대기상태에서 PTT(Push To Talk)콜을 요청한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 중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과정은,
    상기 PTT콜을 수신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경우, 상기 버퍼링된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는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에서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수신정보 처리 방법.
  24. 대기상태에서 PTT콜을 수신하여 상기 PTT콜의 발신자 음성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PTT콜을 수신하여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버퍼링하는 버퍼링부와;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부재중 수신 판단부와;
    상기 수신된 PTT콜에 대한 부재중 수신이 발생되면,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부재중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대기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저장된 부재중 수신정보 중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미확인한 부재중 수신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부재중 수신정보에 포함된 발신자의 음성을 상기 음성처리부로 출력하는 PTT 통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수신정보는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PTT 통화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주소와 상기 부재중 수신이 발생된 시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33094A 2007-04-04 2007-04-04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KR10085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094A KR100850573B1 (ko) 2007-04-04 2007-04-04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US11/947,476 US8855582B2 (en) 2007-04-04 2007-11-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TT and method for processing missed call information thereof
US14/507,495 US9026066B2 (en) 2007-04-04 2014-10-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TT and method for processing missed call information thereof
US14/701,095 US9282441B2 (en) 2007-04-04 2015-04-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TT and method for processing missed call inform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094A KR100850573B1 (ko) 2007-04-04 2007-04-04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573B1 true KR100850573B1 (ko) 2008-08-06

Family

ID=3982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094A KR100850573B1 (ko) 2007-04-04 2007-04-04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855582B2 (ko)
KR (1) KR100850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3116B2 (en) * 2009-09-22 2014-09-23 Microsoft Corporation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2017845B1 (ko) 2012-09-20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부재중 통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73A (ko) * 2004-02-20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푸시투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017B2 (en) * 2003-05-07 2006-09-1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services in push to talk communication platforms
ATE394881T1 (de) * 2003-10-08 2008-05-15 Research In Motion Ltd Gerät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der bildung einer scheinbaren push- to-talk kommunikationsverbindung
US20050164681A1 (en) * 2004-01-22 2005-07-28 Jenkins William W. Voice message storage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50476A1 (en) * 2004-05-07 2005-11-10 Worger William R Method for dispatch voice messaging
US7398079B2 (en) * 2004-06-30 2008-07-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KR100724872B1 (ko) * 2004-12-0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US20060258336A1 (en) * 2004-12-14 2006-11-16 Michael Sajor Apparatus an method to store and forward voicemail and messages in a two way radio
US20060270429A1 (en) * 2005-05-25 2006-11-3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Three turn interactive voice messaging method
US7801494B2 (en) * 2005-05-27 2010-09-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PoC server to handle PoC caller preferences
CA2609246A1 (en) * 2005-06-01 2006-12-07 Sanyo Electric Co., Ltd.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US7627349B2 (en) * 2005-07-11 2009-12-01 Nokia Corporation Alternative notifier for multimedia use
US7813747B2 (en) * 2005-07-15 2010-10-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TT data buffering support indications from mobile devices and PTT data buffering control by wireless networks
CN101390371B (zh) * 2005-12-27 2011-12-14 京瓷株式会社 通信设备、服务器设备以及通信控制方法
US8543161B2 (en) * 2006-03-30 2013-09-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e terminal events
US7912498B2 (en) * 2006-03-31 2011-03-22 Motorola Solutions, Inc. Adaptive buffering to reduce audio truncation
US20080198422A1 (en) * 2007-02-19 2008-08-21 Tamara Lynne Casey Contextual Management of Multiple Device Capabilities in a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81665A (ko) * 2007-03-06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Ptt 이동 단말기와 ptt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발신자 위치 표시 방법
US8768320B2 (en) * 2007-03-21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Pre-programmed subscriber respon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73A (ko) * 2004-02-20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푸시투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7484A1 (en) 2015-08-20
US20080248761A1 (en) 2008-10-09
US8855582B2 (en) 2014-10-07
US9026066B2 (en) 2015-05-05
US20150050919A1 (en) 2015-02-19
US9282441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5580B2 (ja) 電話機
KR101373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방법
CN101860626A (zh) 应用提供方法及移动终端
KR100811027B1 (ko) 이동국으로부터의 전화 호출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696142B1 (ko) 에스엠에스 메시지 발신 취소 및 수신 메시지 보관 장치및 방법
CN109120507B (zh) 移动终端和实现与固定终端即时通讯的方法、装置
KR100850573B1 (ko)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US731789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JP5664458B2 (ja) 無線端末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9756164B2 (en) Method for handling an outgoing call connection in a telecommunication device
US7292566B2 (en) Telephon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storing terminal control program thereof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20078156A1 (en) Display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407390B1 (ko)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수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전화기
KR20070047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설정에 의한 자동응답 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JP3805960B2 (ja) 移動端末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2005007172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JP5176361B2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による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13979B1 (ko)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9134B1 (ko) 기기 사용중 외부 데이터의 수신 보류 기능을 갖는무선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59649A (ja) メール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