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012B1 -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 Google Patents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012B1
KR100850012B1 KR1020060091436A KR20060091436A KR100850012B1 KR 100850012 B1 KR100850012 B1 KR 100850012B1 KR 1020060091436 A KR1020060091436 A KR 1020060091436A KR 20060091436 A KR20060091436 A KR 20060091436A KR 100850012 B1 KR100850012 B1 KR 100850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lipp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fline
personaliz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6428A (en
Inventor
류승원
Original Assignee
류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원 filed Critical 류승원
Priority to KR102006009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012B1/en
Publication of KR2008002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의 오프라인 구매시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식별정보를 분석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당한 소유자라 판단된 경우, 해당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와 동일한 내용의 온라인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공되는 온라인 컨텐츠 내용을 클리핑(Clipping)하여 웹상에서 편집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도,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다양한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개인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nd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at the time of offline purchase of content from a user, and analyzes the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owner is a legitimate owner of the purchased content offline, By providing online content with the same content as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and implementing the editable content on the web by clipping the provided online content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text, web, The user can select and personalize a desired part among various contents such as an image, a video, and a voice.

컨텐츠, 개인화, 저작권 Content, personalization, copyright

Description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웹페이지상에서 구현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mplemented on a web page of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의 컨텐츠 개인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ersonalization process of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 110 : 식별정보 입력부100: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0 : 인증부 130 : 컨텐츠 제공부120: authentication unit 130: content provider

140 : 컨텐츠 클리핑 수단 150 : 컨텐츠 편집 수단140: content clipping means 150: content editing means

160 : 파일생성부160: file 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컨텐츠중 원하는 부분을 클리핑하여 컨텐츠를 편집하는 컨텐츠 편집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editing technology for editing content by clipping a desired portion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voice.

정보화 시대로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방대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다양한 컨텐츠들이 웹(Web)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기존의 오프라인 출판물들이 전자문서화되어 동시에 온라인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대한 온라인 컨텐츠들이나 오프라인 출판물 등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필요로하고 원하는 정보는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이다.With the rapid progress in the information age, a wide variety of contents such as texts, images, videos, and voices are provided on the Web, and existing offline publications are electronically documented and provided onlin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information that a user actually needs and wants in such vast online contents or offline publications is not a whole but a part.

종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을 오프라인상으로 메모한다거나 온라인상으로 복사하여 저장해야만 했다. 그런데, 오프라인상으로 메모하는 방법은 매우 번거롭고, 온라인상으로 복사하여 저장하는 방법은 컨텐츠가 텍스트일 경우에는 비교적 간단하나, 컨텐츠가 이미지나 동영상, 음성 등일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기나, 동영상 편집기, 음성 편집기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만 했다. 그런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제작사마다 다 조작법이 상이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이미지나 동영상, 음성 등의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복사하여 저장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어려웠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user had to memorize necessary parts offline or to copy and store online. However, the method of taking notes offline is very cumbersome, and the method of copying and storing online is relatively simple when the content is text, but when the content is an image, video, or voice, an image editor, a video editor, a voice editor Had to use such software. However, since these softwares have different operating methods and are complicated for each manufacturer, it is difficult for an expert to copy and store only a desired portion of contents such as an image, a video, and a voice.

또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최근 사회적 이슈화되고 있으며, 저작권을 가진 여러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들을 추출하여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종래의 방법은 적합하지 않다.In addition, the copyright issue on the content has recently been a social issue, and since generating a new document by extracting desired portions from various copyrighted contents is very likely to infringe copyright, the conventional method is not suitable.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클리핑하고, 클리핑된 부분을 편집하여 특정 파일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컨텐츠를 개인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can solve the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while simultaneously clipping a desired portion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voice on the web, editing the clipped portion, and storing the content in a specific file format to personalize the content. I started to study about.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개인화할 수 있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under the above-described purpos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nd personalizing a desired portion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voice on the web without infringing copyrigh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컨텐츠의 오프라인 구매시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식별정보를 분석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당한 소유자라 판단된 경우, 해당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와 동일한 내용의 온라인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공되는 온라인 컨텐츠 내용을 클리핑(Clipping)하여 웹상에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at the time of offline purchase of the content from the user, by analyzing the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legitimate owner of the content purchased offlin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owner, providing online content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and editing the provided online content by clipping the web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t is characterized by.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클리핑하고, 클리핑된 부분을 편집함으로써 컨텐츠를 개인화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simultaneously clip a desired portion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voice on the web, and edit the clipped portion to personalize and repeat the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웹페이지상에서 구현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100)은 네트워크상의 서버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며, 식별정보 입력부(110)와, 인증부(120)와, 컨텐츠 제공부(130)와, 컨텐츠 클리핑 수단(140)과, 컨텐츠 편집 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on a web p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in the form of software running on a server computer on a network, and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an authentication unit 120,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130, the content clipping means 140, and the content editing means 150.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10)는 컨텐츠의 오프라인 구매시 제공되는 식별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때,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식별정보는 정당한 사용자 식별에 이용되는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예컨데, 오프라인 구매한 서적에 포함된 바코드 정보일 수 도 있으며, 오프라인 구매한 서적에 포함된 스크래치 부분에 은닉된 일련의 문자 정보일 수 도 있으며, 이외에도 RF 태그 등의 정보일 수 도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for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hen the content is purchased offline,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is.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is a concept encompassing information used for legitimate user identification, for example, may be bar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ffline purchased books, books purchased offline It may be a series of character information concealed in the scratch portion included in the, may also be information such as RF tag.

만약, 사용자가 오프라인상에서 스크래치 부분에 은닉된 일련의 문자정보를 식별정보로 가지는 오프라인 버전의 서적을 구입했다 가정하고, 이 오프라인 서적이 전자문서화된 온라인 버전의 서적 컨텐츠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에 등록되었다 가정하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100)을 통해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 오프라인 버전의 서적을 구입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버전의 서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스크래치 부분을 긁어 은닉된 일련의 문자 정보를 획득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Suppose a user has purchased an offline version of a book having a series of character information concealed in a scratch portion a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le offline, and this offline book is an electronic version of a book content of an electronic document. Suppose it was registered to. A user who purchases an offline version of a book to generate personalized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a series of hidden character information by scratching a scratch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ffline version of the book. , Accesses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quests a service.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100)은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컨텐츠의 오프라인 구매시 제공되는 식별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상기 획득한 일련의 문자 정보를 입력하면,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식별정보가 입력되게 된다.Then,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for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hen the content is purchased offline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When the user inputs the obtained series of character information into the user interface UI,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owner of the purchased content is input.

상기 인증부(120)는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식별정보를 분석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100)에는 오프라인 버전의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버전 컨텐츠가 저장되며, 온라인 버전에 접근하기 위한 오프라인 버전의 컨텐츠 구입시 제공되는 식별정보들에 대한 정보가 DB화되어 저장되게 된다.The authentication unit 120 analy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egitimate owner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In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version content for the offline version of the content is stor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hen purchasing the offline version of the content for accessing the online version is stored in a DB. do.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1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100)은 상기 인증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가진 오프라인 버전의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DB를 참조하여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에 따라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 또는 정당한 소유자가 아닌지를 판단한다.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0,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fflin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120. It is searched whether the version of the content exists by referring to the DB,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egitimate owner or not the legitimate owner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상기 컨텐츠 제공부(130)는 상기 인증부(120)에 의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라 판단된 경우, 해당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와 동일한 내용의 온라인 컨텐츠를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의 제 1 영역상에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130)가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 이외의 컨텐츠를 특정의 제 3 영역상에 제공할 수 도 있다. 이 때, 상기 제 3 영역상에 제공되는 컨텐츠는 저작권을 가지지 않는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영역을 통해서는 정당하게 구매된 컨텐츠가, 제 3 영역을 통해서는 저작권을 가지지 않은 컨텐츠가 표시되게 된다.When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content is purchased by the authenticator 120 as a legitimate owner of the content purchased offline,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displays the online content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as shown in FIG. 2. Provided on one area.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may provide content other than the content purchased offline on a specific third area.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ed on the third area is preferably content without copyright. Therefore, content that is legally purchased through the first area is displayed, and content that does not have a copyright through the third area.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14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컨텐츠 내용을 클리핑(Clipping)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140)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부(130)에 의해 제 1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정당하게 구매된 컨텐츠나, 제 3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저작권을 가지지 않은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클리핑(Clipping)하여 개인화하기를 원하는 컨텐츠 내용을 추출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140)이 정지영상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할 수 도 있고, 동영상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할 수 도 있며, 음성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할 수 도 있고, 텍스트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할 수 도 있다. The content clipping means 140 clipping the content of the onlin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other words, the user can select from among the rightfully purchased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through the first area through the content clipping means 140 or non-copyrighted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third area. By clipping the parts, we extract the content contents that we want to personalize. In this case, the content clipping means 140 may clip still image content, clipping video content, clipping audio content, or text content. You can also clip.

클리핑(Clipping)이란 선택된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하고, 선택된 영역내의 객체 정보들을 분석해 메모리에 복사하고, 메모리에 복사된 객체 정보들을 상기 선택된 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다른 영역에 표시하는 통상적인 화면 처리 기술로, 화면 자체를 클리핑하는 화면 기반 클리핑 기술과, 화면 자체가 아니라 화면을 이루는 코드를 클리핑하는 코드 기반 클리핑 기술 등이 있으며, 상기한 정지영상 클리핑 기술, 동영상 클리핑 기술, 음성 클리핑 기술 및 텍스트 클리핑 기술과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lipping is a conventional screen process that calculates the size and position of a selected area, analyzes object information in the selected area, copies it to memory, and displays the object information copied into the memory in another area of the same size as the selected area. Technology includes screen-based clipping technology that clips the screen itself, and code-based clipping technology that clips the code that forms the screen, not the screen itself, and the above-mentioned still image clipping technology, video clipping technology, voice clipping technology and text clipping. Regarding the technology,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lready known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efore this appl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컨텐츠 편집 수단(15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140)에 의해 클리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내용을 특정의 제 2 영역상에 편집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편집 수단(150)이 텍스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영역상의 특정 위치에 텍스트 내용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140)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 내용들이 클리핑되면, 사용자는 컨텐츠 편집 수단(150)을 통해 특정의 제 2 영역상에서 클리핑된 컨텐츠 내용들을 자유롭게 배치하거나 가감함에 의해 개인화된 컨텐츠를 편집한다. 따라서,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다양한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개인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은 동일한 화면 인터페이스상에 존재할 수 도 있으며, 동일하지 않은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존재할 수 도 있다.The content editing means 150 enables editing of at least one content content clipped by the content clipping means 140 on a specific second area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content editing means 15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for text input, and may receive text from the user and output the text content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econd area. That is, when desired content contents are clipped by the content clipping means 140, the user edits the personalized content by freely arranging or adding content contents clipped on a specific second area through the content editing means 150. do. Accordingly, by doing so,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nd personalize a desired part from various contents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voice on the web without infringing copyright.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may exist on the same screen interface or may exist on different screen interfaces.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파일생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파일생성부(160)는 상기 컨텐츠 편집 수단(150)에 의해 편집되는 컨텐츠를 특정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개인화한다. 즉 이 실시예는 컨텐츠 편집 수단(150)을 통해 웹상에서 편집되는 개인화된 컨텐츠를 html, doc, jpg, mpeg, mp3 등의 특정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개인화된 컨텐츠의 보관 및 추후 이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e generator 160. The file generation unit 160 converts the content edited by the content editing unit 150 into a specific file format and personalizes it. In other words, this embodiment converts and stores personalized content edited on the web through the content editing means 150 into a specific file format such as html, doc, jpg, mpeg, mp3, and the like, so that the personalized content can be stored and used later. It is to facilitat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의 컨텐츠 개인화 절차를 도 3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의 컨텐츠 개인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컨 텐츠 개인화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단계 S110 에서 컨텐츠의 오프라인 구매시 제공되는 식별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A content personalization procedure of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ersonalization process of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a user who accesses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he use of a service,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hen the content is purchased offline in step S110.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상기 단계 S110 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단계 S120 에서 상기 입력된 식별정보를 분석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단계 S120 에 의한 판단 결과 정당한 소유자가 아니라 판단된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며, 정당한 소유자라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30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해당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와 동일한 내용의 온라인 컨텐츠를 특정의 제 1 영역상에 제공한다.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S110,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S12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owner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0,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owner is not the right owner, the service cannot be u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owner is determined,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tent as that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Provide online content on a particular first area.

상기 S130 단계에 의해 온라인 컨텐츠가 특정의 제 1 영역상에 제공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 내용이 클리핑(Clipping)되면, 단계 S140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이 클리핑된 컨텐츠 내용을 특정의 제 2 영역상에서 편집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영역상에 제공되는 컨텐츠로부터 원하는 부분을 클리핑하여 제 2 영역상에서 자유롭게 편집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도,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다양한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개인화할 수 있게 된다.If the desired content content is clipped by the user's manipulation in the state where the online content is provided on the specific first area in step S130,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ipped in step S140. To be editable on a particular second area. 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edit the desired portion from the content provided on the first area and edit the content on the second area to generate personalized content. Thus, texts, images, videos,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personalize a desired part from various contents such as vo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도, 웹상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다양한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개인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effect of selecting and personalizing a desired part from various contents such as text, image, video, and voice on the web without infringing copyrigh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referred to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covered by the following claims from this description. .

Claims (10)

삭제delete 컨텐츠의 오프라인 구매시 제공되는 식별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와;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which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at the time of offline purchase of contents, and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식별정보를 분석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와;An authentication unit for analyz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a legitimate owner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상기 인증부에 의해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의 정당한 소유자라 판단된 경우, 해당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와 동일한 내용의 온라인 컨텐츠를 특정의 제 1 영역상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at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on a specific first area when determined by the authenticator as a legitimate owner of the offline purchased content;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컨텐츠 내용을 클리핑(Clipping)하는 컨텐츠 클리핑 수단과;Content clipping means for clipping online content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에 의해 클리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내용을 특정의 제 2 영역상에 편집 가능하도록 하는 컨텐츠 편집 수단과;Content editing means for making at least one content content clipped by said content clipping means editable on a particular second area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상기 컨텐츠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되는 컨텐츠를 특정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파일생성부를;A file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content edited by the content editing means into a specific file format;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컨텐츠 제공부가:The content provider: 오프라인 구매된 컨텐츠 이외의 컨텐츠를 특정의 제 3 영역상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Providing content other than offline purchased content on a specific third are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컨텐츠 편집 수단이:The content editing means is: 텍스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영역상의 특정 위치에 텍스트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and receiving text from the user and outputting text content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econd area.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이:The content clipping means is: 정지영상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lipping the still image content (Clipp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이:The content clipping means is: 동영상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lipping the video content (Clipp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이:The content clipping means is: 음성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lipping the voice content (Clipp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컨텐츠 클리핑 수단이:The content clipping means is: 텍스트 컨텐츠를 클리핑(Cli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lipping the text content (Clipp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식별정보가: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바코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code informat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식별정보가: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일련의 문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개인화 시스템.Content persona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ies of character information.
KR1020060091436A 2006-09-20 2006-09-20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KR100850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36A KR100850012B1 (en) 2006-09-20 2006-09-20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36A KR100850012B1 (en) 2006-09-20 2006-09-20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428A KR20080026428A (en) 2008-03-25
KR100850012B1 true KR100850012B1 (en) 2008-08-04

Family

ID=3941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36A KR100850012B1 (en) 2006-09-20 2006-09-20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0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94B1 (en) * 2008-06-17 2011-01-1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Method and Sysrem for Providing User Created Contents
KR101630535B1 (en) * 2014-12-01 2016-06-24 곽현걸 Online Media System for Suppling a Music Source based on a LP Album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727A (en) * 2001-06-15 2004-01-24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Media content creating and publishing system and process
KR20050092528A (en) * 2004-03-16 2005-09-22 현석남 Generating system of online contents for offline sale content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727A (en) * 2001-06-15 2004-01-24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Media content creating and publishing system and process
KR20050092528A (en) * 2004-03-16 2005-09-22 현석남 Generating system of online contents for offline sale content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428A (en) 200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4414B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1286171B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336104B2 (en) Generation and use of digital contents
KR10095447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JP2007164078A (en) Music playback device and music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JP2007534061A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multimedia messages
JP2007534061A6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multimedia messages
KR1018485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reproducing, and maintaining electronic books
JP51816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5043405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WO2001016672A1 (en) Copyright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50012B1 (en) Personalizing system for online contents
JP2010518450A (en) A playback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functional metadata, content having such metadata, and a computer program therefor
US20140297768A1 (e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using same
EP2417542A1 (en) Enabling digital media content to be downloaded to and used on multiple types of computing device
Egidi et al. Bringing multimedia contents into MP3 files
KR20060028240A (en) Method for editing a sound source and apparatus of enabling the method
JP5081301B2 (en) Web page container dialogue
KR2009002711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WO2012005309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device, and content operation program
WO20130118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462593B1 (en) Interactive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vailable for acquiring further contents, apparatus thereof, and acquiring method of further contents
KR20090004321A (en) Integrated storage format for efficient storage/management/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electronic comic contents service using the same
TWI221568B (en) Method for verifying authorized access to electronic-book
JP2002251338A (en) Document display device having bookmark presen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