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294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294B1
KR100849294B1 KR1020060065827A KR20060065827A KR100849294B1 KR 100849294 B1 KR100849294 B1 KR 100849294B1 KR 1020060065827 A KR1020060065827 A KR 1020060065827A KR 20060065827 A KR20060065827 A KR 20060065827A KR 100849294 B1 KR100849294 B1 KR 10084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oods
store
messag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731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2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시킨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해당 물품정보를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해당 포스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물품등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이전에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65827
구매할 물품정보,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SMS, MMS, Point Of Sales시스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PURCHASING THING DATA WITH USING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의 흐름도.
도 5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6a-b는 물품등록서버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7은 매장 POS(Point Of Sales)서버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의 흐름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정보의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통계수치의 예시도.
본 발명은 구매할 물품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점점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상태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음성통화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기본적인 통화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다양한 부가 기능 중 영상 또는 음원을 메시지로서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MMS)를 제공한다.
한편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 등에서는 판매 시점 정보 관리시스템, 즉 포 스(POS: Point Of Sales) 시스템을 이용하여 매상, 재고 및 물품의 위치등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전반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특히 상기 포스 시스템을 통하여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의 사업자는 매상정보, 재고정보 및 물품의 위치정보 등을 서버에 업데이트(update)하여 보다 편리하게 상기 매상정보, 재고정보 및 물품의 위치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에 적용되는 정보는 매장의 사업자에게만 제공될 뿐 상기 매장의 사업자 이외의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에서 구매할 물품을 찾는데 있어서 해당 물품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고 사용자가 구매하고자하는 물품의 수량이 충분히 있는지 미리 알아봐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구매할 물품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하여 구매할 물품을 적어 놓은 메모장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시킨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해당 물품정보를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해당 포스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물품등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이전에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작성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물품등록서버에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등록시킨 상기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매장물품정보가 담겨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이전에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정보 및 물품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하는 과정과,상기 등록된 물품정보를 그래픽 통계정보로 가공하여 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통계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 매장용 컴퓨터(200), 이동통신망(300), 물품등록서버(400) 및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를 수행하거나, 휴대하면서 개인 정보관리,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의 정보교류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하고, 매장물품정보 요청에 의하여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는 구매할 물품의 위치정보, 구매할 물품위치에 따른 동선정보, 물품의 개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일정기간(예를 들어 1달)동안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계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매장용 컴퓨터(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매장의 매상정보, 재고정보 및 물품의 위치정보 등을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300)은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하 BTS),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 이동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이하 HLR) 및 게이트웨이(gateway)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MMS)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이 될 수 있다.
물품등록서버(40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MMS)를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적용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구매할 물품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등록 및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100)부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된 해당 구매할 물품정보를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전송하고 상기 포스 시스템 서버로(500)부터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일정기간(예를 들어 1달)동안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상기 매장용 컴퓨터(200)로부터 매장의 매상정보, 재고정보 및 물품의 위치정보 등이 업데이트(update)되고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상기 등록된 해당 구매할 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해당 구매할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매장물품정보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는 구매할 물품 위치정보, 구매할 물품위치에 따른 동선정보, 물품의 개수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F부(2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매할 물품등록 모드키, 매장물품정보 요청 모드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매장물품정보를 요청 및 수신된 매장 물품정보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구매할 물품등록 모드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매장물품정보 요청모드에서 매장 물품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하도록 제이하고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계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영상처리부(70)는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 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 2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가 작성되면, 제어부(10)는 상기 작성된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물품등록서버에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고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등록시킨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가 작성되면, 제어부(10)는 상기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매장물품정보가 담겨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0)는 상기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물품등록 서버에 등록시키는 시스템운영동작을 설명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모드 동작에 따라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가 작성(301)되면, 상기 작성된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303)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에는 사용자정보(전화번호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SMS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물품구매서버(400)는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분석하여(305)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정보인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을 추출하고 구매할 물품정보 DB(450)에 저장하여 이를 등록(307)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물품등록서버에 등록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운영동작을 설명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동작에 따라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가 작성(401)되면,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403)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에는 사용자가 구매할 매장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SMS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분석(405)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전송(407)한다.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한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요청(409)한다.
그러면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구매할 물품정보 DB(450)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인 사용자정보(전화번호),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을 추출하여 이를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전송(411)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인 사용자정보,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을 수신한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를 생성(413)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는 매장 내에서의 구매할 물품 위치정보, 구매할 물품위치에 따른 동선정보, 구매할 물품의 개수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한 매장물품정보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415)한다.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한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417)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는 MMS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상기 생성한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419)한다.
상기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한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도 9a와 같이 표시한다.
도 5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시키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시킨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모드인 3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을 등록시키기 위해 구매할 물품등록 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5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메뉴모드를 통하여 구매할 물품을 등록시키기 위해 구매할 물품등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505단계에서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모드 동작에 따라 제어부(10)는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작성 및 생성한다.
상기 505단계를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상기 구매할 물품등록 모드키가 입력 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물품의 종류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물품의 종류리스트 중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해당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상기 선택된 물품의 종류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구매할 물품의 상세정보를 입력받기위한 입력창을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입력창에 구매할 물품의 상세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사용자정보(전화번호정보), 상기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및 상세정보(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를 포함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는 SMS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종류리스트 중 '음료'를 선택하면, 음료의 상세정보를 입력받기위한 입력창이 표시되고"오렌지 주스"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물품의 종류정보인 "음료'와 상세정보인 "오렌지 주스"를 포함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5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9단계에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상기 등록시킨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매장 물품정보 요청 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3단계에서 상기 등록시킨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동작에 따라 제어부(10)는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 및 생성한 다.
상기 513단계를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 모드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정보를 입력받기위한 입력창을 표시한다. 또한 메뉴모드를 통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입력창에 이용할 매장의 이름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의 이름정보 또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는 SMS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의 이름정보 또는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미리알고 있거나 해당 매장에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5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매장물품정보를 가지고 있는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로부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여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매장물품정보 메시지 수신하면 제어부(10)는 5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1단계에서 제어 부(10)는 상기 수신한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분석하고 메모리(29) 및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도 9a와 같이 출력한다.
도 6a-b는 물품등록서버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a-b를 참고하여, 물품등록서버에서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시킨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6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물품등록서버(400)는 6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05단계에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정보(전화번호정보),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및 상세정보(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를 추출하고 607단계에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사용자정보에 따라 구매할 물품정보 DB(450)에 저장하여 이를 등록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물품등록서버(400)는 6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1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의 이름정보 또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613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해당 매장의 이름정보 또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물 품등록서버(400)에 요청한다.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 전송을 요청받으면,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에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DB(450)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인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을 추출하여 이를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한다.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로부터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6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1단계에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는 MMS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623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도 7은 매장 POS(Point Of Sales)서버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매장에서 등록시킨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매장 POS(Point Of Sales)서버에서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701단계에서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 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7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0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등록된 구매할 물품정보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인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을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에 전송한다.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인 사용자정보,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 등을 수신하면,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7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09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구매할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는 매장 내에서의 물품 위치정보, 물품위치에 따른 동선정보, 물품의 개수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500)는 711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매장물품정보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 운영동작을 설명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일정기간(예를 들어 1달)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 동작에 따라 등록된 물품정보 확인메시지를 작성(801)하고 이를 상기 물품등록서버(400)에 전송(803)한다. 여기서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 확인메시지에는 사용자정보(전화번호정보),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고자하는 기간정보(예를 들어 2006년 3월1일~5월1일)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간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기간정보를 디폴트(default)기간(현재시간으로부터 1달 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SMS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 확인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 확인메시지를 분석(805)하여 사용자가 해당 기간동안 등록한 물품정보를 추출(807)하고 상기 추출한 해당 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그래픽 통계정보로 가공하고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등록서버(400)는 상기 생성한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811)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한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는 MMS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분석(813)하여 상기 일정기간 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등록된 물품정보들을 도 9b와 같이 표시(815)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상기 등록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의 물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메시지모드 실행으로 구매할 물품을 생각날 때 마다 수시로 물품구매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음으로 구매할 물품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하여 구매할 물품을 적어 놓은 메모장을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에서 구매할 물품을 찾는데 있어서 해당 물품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시킨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해당 물품정보를 매장 포스(POS: Point Of Sales)시스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해당 포스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물품등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이전에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등록서버는 상기 수신한 매장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메시지는 MMS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는 SMS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는 SMS 메시지이고 사용자가 구매할 매장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 보 처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는 매장 내에서의 물품 위치정보, 물품위치에 따른 동선정보, 물품의 개수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등록서버는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구매할 물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를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의 종류정보, 물품의 이름정보 및 물품의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작성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물품등록서버에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등록시킨 상기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물품등록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매장물품정보가 담겨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매장물품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이전에 일정기간동안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물품등록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정보 및 물품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를 그래픽 통계정보로 가공하여 물품정보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물품등록서버로부터 등록된 물품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통계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가 작성되는 과정은,
    상기 구매할 물품을 등록시키기 위한 구매할 물품등록 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구매할 물품의 종류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물품의 종류리스트 중 구매할 물품의 해당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의 종류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구매할 물품의 상세정보를 입력받기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입력창에 상기 구매할 물품의 상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의 종류정보와 구매할 물품의 상세정보를 포함한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 메시지가 작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등록서버에 등록시킨 상기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 른 매장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가 작성되는 과정은,
    구매할 물품정보에 따른 매장물품정보 확인 모드키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이용할 매장정보를 입력받기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입력창에 이용할 매장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매장의 식별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상기 매장 물품정보 요청메시지가 작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물품정보 요청메시지는 사용자가 구매할 매장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물품정보는 매장 내에서의 물품 위치정보, 물품위치에 따른 동선정보, 물품의 개수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방법.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등록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된 물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일정기간동안 등록한 물품정보를 추출하고, 그래픽 통계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할 물품정보 처리시스템.
  22. 삭제
KR1020060065827A 2006-07-13 2006-07-1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27A KR100849294B1 (ko) 2006-07-13 2006-07-1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27A KR100849294B1 (ko) 2006-07-13 2006-07-1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31A KR20080006731A (ko) 2008-01-17
KR100849294B1 true KR100849294B1 (ko) 2008-07-29

Family

ID=3922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827A KR100849294B1 (ko) 2006-07-13 2006-07-1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02B1 (ko) 2015-01-07 2016-09-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05A (ko) 2001-06-08 2002-12-16 김유신 전화기능과 카드결제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매장관리단말기
KR100485360B1 (ko) * 2002-11-12 2005-04-27 이은희 상품위치정보를 이용한 상품구매방법
KR20050109007A (ko) 2004-05-14 2005-11-17 최준수 휴대형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카드의관리와 제휴매장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서비스 시스템
KR20060038217A (ko) * 2004-10-29 2006-05-03 권호안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매장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05A (ko) 2001-06-08 2002-12-16 김유신 전화기능과 카드결제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매장관리단말기
KR100485360B1 (ko) * 2002-11-12 2005-04-27 이은희 상품위치정보를 이용한 상품구매방법
KR20050109007A (ko) 2004-05-14 2005-11-17 최준수 휴대형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카드의관리와 제휴매장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서비스 시스템
KR20060038217A (ko) * 2004-10-29 2006-05-03 권호안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매장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31A (ko)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7045B2 (ja) 文字メッセージの統合管理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KR101039197B1 (ko) 수신 메시지 도착 알림 시 유휴 공간 내의 광고 표현 방법 및 시스템
US8606641B2 (en) Secure instant message-based sales
US20060052095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devices and software arranged to operate in this system and devices
CN101978679A (zh) 用于移动终端的呼叫终止的交互式广告
KR100692007B1 (ko)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KR100849294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정보를 처리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522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46356B1 (ko) 실시간 정보 갱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783360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에서 제품 정보를검색하는 방법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78349B1 (ko) 특수 효과가 적용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244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문자 메시지 리스트 표시 방법
KR200101063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52587B1 (ko) 모바일 티켓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61422B1 (ko) 휴대단말의 대응 메시지 선별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KR101150367B1 (ko) 메시지 처리 시스템
KR20060033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 통지 연기 방법 및장치
KR100732989B1 (ko) 브이카드를 이용한 신용카드서비스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45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방법
KR20050103363A (ko) 무선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