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595B1 -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595B1
KR100848595B1 KR1020070061856A KR20070061856A KR100848595B1 KR 100848595 B1 KR100848595 B1 KR 100848595B1 KR 1020070061856 A KR1020070061856 A KR 1020070061856A KR 20070061856 A KR20070061856 A KR 20070061856A KR 100848595 B1 KR100848595 B1 KR 10084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frame
grip
sensing
waf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철
고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07006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5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5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An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is provided to reduce a loss caused by an abnormal operation by detecting various normal and abnormal operation states capable of occurring in a wafer frame gripping apparatus. A pair of grip plates(111,112)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relatively moving in a direction that approaches each other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pable of coming in contact with a wafer frame. A detection unit detects a first state that the grip pl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wafer frame is not interposed between the grip plates, a second state that the wafer frame is clamped by the grip plates, and a third state that the grip plates are stuck to each other while the wafer frame is not interposed between the grip plates. The grip plates can move relatively by an air chuck cylinder(150) driven by an air pressure.

Description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Wafer Frame Grip Device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를 채용한 웨이퍼 프레임 이송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fer frame transfer device employing a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웨이퍼 프레임 이송장치에서 있어서,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와 카세트를 확대한 사시도.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wafer frame grip device and a cassette in the wafer frame transfer device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도 4b, 도 4c는 도 3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가 제1상태, 제2상태, 제3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4A, 4B, and 4C show the wafer frame grip device of FIG. 3 in a first state,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도 5는 도 3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스토퍼부를 나타내는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a stopper portion of the wafer frame grip device of FIG. 3. FIG.

도 6은 도 3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푸쉬부를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 push portion of the wafer frame grip device of FIG. 3.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웨이퍼 프레임 100 :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 Wafer frame 100: Wafer frame grip device

110 : 그립판 120 : 센서110: grip plate 120: sensor

130 : 센싱도그 140 : 높이조정유닛130: sensing dog 140: height adjustment unit

150 : 에어척 실린더 160 : 측면판150: air chuck cylinder 160: side plate

161 : 스토퍼부 162 : 푸쉬부161: stopper portion 162: push portion

w : 웨이퍼w: wafer

본 발명은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를 이용하여 웨이퍼 프레임의 클램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fer frame grip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fer frame grip device that can detect whether the wafer frame is clamped using a sensor.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은, 웨이퍼에 원하는 반도체 소자, 즉 칩들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칩들을 각각 패키지화하는 조립공정과, 완성된 패키지들의 특성 및 수명을 검사하는 검사공정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In general,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process of forming a desired semiconductor device, that is, chips on a wafer, an assembly process of packaging the chips, and an inspection process of inspecting characteristics and lifespans of the completed packages.

웨이퍼상에 칩을 형성하고 나면 웨이퍼에 형성된 칩들의 전기적인 성능 검사를 실시하여, 양품인 칩과 불량품인 칩을 선별하는 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웨이퍼로부터 소정 크기의 칩을 절단하는 다이싱(dicing) 공정을 실시한다.After the chip is formed on the wafer, an electrical performance test is performed on the chips formed on the wafer, and the inspection process is performed to select a good chip and a bad chip. Thereafter, a dicing process of cutting chips of a predetermined size from a wafer is performed.

웨이퍼 프레임이란, 다이싱 공정을 실시하면 분리되는 칩들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름을 이용하여 웨이퍼를 접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이퍼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의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접착성을 가진 필름이 웨이퍼 프레임의 전체에 걸쳐 팽팽하게 부착되고 웨이퍼의 후면이 상기 필름상에 부착된다.The wafer frame is used to bond and support the wafer by using a film to prevent the chips to be separated when the dicing process is performed. The wafer frame is generally made of a ring-shaped metal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fer. . An adhesive film is tautly attached throughout the wafer frame and the backside of the wafer is attached on the film.

웨이퍼 제조공정에서는 대개 복수 개의 웨이퍼 프레임들을 수용할 수 있는 카세트를 마련하고, 다이싱 장치 및 칩 픽업(pick-up) 장치의 대기 모듈에는 카세트가 로딩 또는 언로딩된다. 다이싱 공정 및 칩 픽업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카세 트로부터 웨이퍼 프레임을 추출하고, 공정이 완료된 웨이퍼 프레임을 다시 카세트로 인입하는 작업을 반복하는데, 이때 웨이퍼 프레임을 파지하기 위해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가 이용된다.In a wafer manufacturing process, a cassette is usually provid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wafer frames, and a cassette is loaded or unloaded in a standby module of a dicing apparatus and a chip pick-up apparatus. To carry out the dicing process and the chip pick-up process, the wafer frame is extracted from the cassette and the wafer frame is pulled back into the cassette. The wafer frame grip device is used to hold the wafer frame. .

종래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는,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할 수 있는 핑거부와, 그 핑거부를 구동시키는 공압 실린더 등을 구비하고, 핑거부가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하였는지 여부는 공압 실린더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었다. 즉, 핑거부가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공압 실린더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가, 핑거부가 웨이퍼 프레임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공압 실린더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이용하였다.The conventional wafer frame grip device includes a finger portion capable of clamping a wafer frame, a pneumatic cylinder for driving the finger portion, etc., and whether the finger portion clamped the wafer frame was detected by the sensor of the pneumatic cylinder. That is,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of the pneumatic cylinder when the fi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clamping the wafer frame is different from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of the pneumatic cylinder when the fi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clamping of the wafer frame. Was used.

그러나, 종래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공압 실린더 센서는, 핑거부 사이에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핑거부가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하는 경우나, 핑거부 사이에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핑거부가 서로 맞붙는 경우 모두를, 핑거부가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로 인식하므로, 웨이퍼 프레임이 클램핑되어 있는 정상적인 작동상태와 웨이퍼 프레임이 클램핑되어 있지 않은 비정상적인 작동상태를 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neumatic cylinder sensor of the conventional wafer frame grip device, the finger clamps the wafer frame in a state where the wafer fram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ngers, or the finger is not interposed between the fingers. All the cases where the parts join each other are regarded as the case where the fi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clamping the wafer frame, so the sensor can detect the normal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wafer frame is clamped and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wafer frame is not clamped. There was no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상적 및 비정상적 작동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고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etecting a variety of normal and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at can occur 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the structure is improved to reduce the loss due to abnormal operation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fer frame grip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는, 웨이퍼를 지지하는 웨이퍼 프레임을 파지(把持)할 수 있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상기 웨이퍼 프레임과 접촉 가능한 한 쌍의 그립판; 및 상기 그립판들 사이에 상기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지 않은 채 상기 그립판들이 이격되어 있는 제1상태와, 상기 웨이퍼 프레임이 상기 그립판들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제2상태와, 상기 그립판들 사이에 상기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지 않은 채 상기 그립판들이 맞붙어 있는 제3상태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fer frame gri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fer frame grip device capable of gripping a wafer frame for supporting a wafer,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re mutually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grip plates which are relatively movable in contact with the wafer frame; And a first state in which the grip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the wafer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grip plates, a second state in which the wafer frame is clamped by the grip plates, and between the grip plates. And sensing means for respectively sensing a third state in which the grip pl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the wafer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수단은, 한 쌍의 센서와, 그 일단이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각각 감지되는 한 쌍의 센싱도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따라, 상기 센싱도그들 모두가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센싱도그들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센싱도그들 모두가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도록, 상기 센서들과 상기 센싱도그들이 배치된다.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ensors and a pair of sensing dogs whose one end is sensed by the sensors, respectively, in the first state. According to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all of the sensing dogs are not sensed by the sensors, only one of the sensing dogs is sensed by any one of the sensors, or all of the sensing dogs The sensors and the sensing dogs are arranged to be sensed by the sensors.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그립판은, 상부 그립판과, 상기 상부 그립판의 하측에 그 상부 그립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그립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상부 그립판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도그들은 서로 일정 높이차를 가지며 상기 하부 그립판에 설치된다.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pair of grip plates include an upper grip plate and a lower grip plate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upper grip plate under the upper grip plate. The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upper grip plate, and the sensing dogs are installed on the lower grip plat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도그들의 타단에서 상기 센싱도그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센싱도그들 각각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정유닛을 더 포함한다.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nsing dogs at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dog, and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of the sensing dogs.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판들은, 공기압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척 실린더에 의해 상대이동 가능하다.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grip plates are relatively movable by an air chuck cylinder driven by air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판들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때, 상기 그립판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한다.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grip plate further includes a stopper portion for limiting the maximum range in which the grip plate can move when the grip plates are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퍼 프레임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웨이퍼 프레임을 수용하는 카세트 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카세트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돌출되게 위치한 웨이퍼 프레임을, 상기 카세트측으로 밀어 넣기 위한 푸쉬부를 더 포함한다.In the wafer frame gri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when moving to the cassette side for accommodating the wafer frame to hold the wafer frame, the wafer frame is protruded from the cassette for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to the cassette side. It further includes a push portion for putt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를 채용한 웨이퍼 프레임 이송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웨이퍼 프레임 이송장치에서 있어서,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와 카세트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도 4b, 도 4c는 도 3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가 제1상태, 제2상태, 제3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스토퍼부를 나타 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푸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fer frame transfer device employing a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wafer frame grip device and a cassette in the wafer frame transfer device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4B, and 4C illustrate a wafer frame grip device of FIG. 3 in a first state, a second state, and a first state. It is a figure which shows in 3 states, FIG. 5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opper part of the wafer frame grip apparatus of FIG. 3, and FIG. 6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ush part of the wafer frame grip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를 채용한 웨이퍼 프레임 이송장치는, 웨이퍼 프레임(1)을 카세트(240)로부터 추출하여 다음 공정을 위한 대기위치까지 그 웨이퍼 프레임(1)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카세트(240)와,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와, 웨이퍼 프레임 이송부(210)와, 가이드 레일(230)과, 가이드 레일 이송부(220)를 포함한다.1 to 6, the wafer frame transfer device employing 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extracts the wafer frame 1 from the cassette 240 and moves the wafer to the standby position for the next process. An apparatus for conveying the frame 1 includes a cassette 240, a wafer frame grip device 100, a wafer frame conveying unit 210, a guide rail 230, and a guide rail conveying unit 220.

상기 카세트(240)는 복수의 웨이퍼 프레임(1)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웨이퍼 프레임(1)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예컨대 20개 또는 25개의 슬롯이 그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240) 내부의 하나의 슬롯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 그 슬롯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있는 슬롯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세트(24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카세트 승강유닛(250)이 마련되어 있다.The cassette 240 is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wafer frames 1, and generally a plurality of, for example, 20 or 25 slots in which each wafer frame 1 is accommodated are provided therein.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in one slot of the cassette 240, a cassette lifting unit 250 capable of elevating the cassette 240 is provided to perform the operation in a slot above or below the slot. have.

상기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는, 웨이퍼 프레임(1)을 카세트(240)로부터 추출 또는 카세트(240)로 인입하기 위하여 웨이퍼 프레임(1)을 파지할 수 있는 장치다. 상기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is a device capable of holding the wafer frame 1 in order to extract the wafer frame 1 from the cassette 240 or to draw the cassette 240 into the cassette 240. 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웨이퍼 프레임 이송부(210)는, 카세트(240)로부터 추출한 웨이퍼 프레임(1)을 가공을 위한 대기위치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가공이 완료된 웨이퍼 프레임(1)을 대기위치에서 카세트(240) 측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웨이퍼 프레임 이송부(210)는, 구동원이 되는 모터(211)와, 모터(211)에 의해 회전 되는 스크류부재(미도시)와, 스크류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를 지지하며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재(214)의 일단은, 상기 너트부재 및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직선운동 가이드부재(212)에 결합되고, 이송부재(214)의 타단은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13)에 결합된다.The wafer frame transfer unit 210 linearly moves the wafer frame 1 extracted from the cassette 240 to the standby position for processing, or linearly moves the completed wafer frame 1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cassette 240 side. Means to move. The wafer frame transfer part 210 includes a motor 211 serving as a driving source, a screw member (not shown) rotated by the motor 211, and a nut member (not shown) screwed to the screw member. One end of the transfer member 214 supporting 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and reciprocating is coupled to the nut member and the linear motion guide member 212 for guiding the linear mo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member 214. Is coupled to the guide rod 213 for guiding the linear mo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는, 상기 웨이퍼 프레임 이송부(210)에 의해, 카세트(240)로부터 웨이퍼 프레임(1)을 추출하기 위해 카세트(2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B"방향)으로 이동되기도 하고, 카세트(240)로 웨이퍼 프레임(1)을 인입하기 위해 카세트(240)측으로 접근하는 방향("A"방향)으로 이동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is spaced from the cassette 240 by the wafer frame transfer part 210 to extract the wafer frame 1 from the cassette 240. It may be moved in the "B" direction, or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cassette 240 side ("A" direction) for drawing the wafer frame 1 into the cassette 240.

상기 가이드 레일(230)은, 웨이퍼 프레임(1)의 양끝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웨이퍼 프레임(1)의 크기(6,8,12인치 웨이퍼의 크기에 따라 웨이퍼 프레임의 크기도 다르다)에 따라 그 폭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guide rail 230 i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wafer frame 1, and depends on the size of the wafer frame 1 (the size of the wafer fram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6, 8, 12 inch wafer). It is installed so that the width can be changed.

상기 가이드 레일 이송부(22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30)의 폭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221), 스크류부재 및 너트부재 등과 같이 일반적인 직선이송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The guide rail feeder 220 is for changing the width of the pair of guide rails 230 and includes components constituting a general straight line feeder such as a motor 221, a screw member and a nut member.

상기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는, 한 쌍의 그립판(110)과, 구동수단과, 감지수단과, 높이조정유닛(140)과, 측면판(160)을 구비한다.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includes a pair of grip plates 110, a driving means, a sensing means, a height adjusting unit 140, and a side plate 160.

상기 그립판(110)들은,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면서 웨이퍼 프레임(1)과 접촉 가능한 것으로서, 상측에 위치한 상부 그립판(111)과, 상부 그립판(111)의 하측에서 상부 그립판(111)과 마주보며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 그립판(1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은,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 사이에 웨이퍼 프레임(1)이 개재되고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그립판(110)들에 의해 웨이퍼 프레임(1)이 클램핑된다.The grip plates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wafer frame 1 while relatively mov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rip plates 110 ar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grip plate 111 located above and the upper grip plate below the upper grip plate 111. It includes a lower grip plate 112 disposed side by side facing the plate 111.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ar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by driving means described later, or in a direction spaced from each other. The wafer plate 1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and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rip plate 110 approaches each other. ) The wafer frame 1 is clamped.

상기 구동수단은, 상부 그립판(111) 및 하부 그립판(112)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척 실린더(150)가 사용된다. 상기 에어척 실린더(150)는 한 쌍의 척(chuck)을 구비하는데,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은 척들에 각각 고정된다.The driving means is a means for moving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In this embodiment, an air chuck cylinder 150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is used. The air chuck cylinder 150 has a pair of chucks, and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are fixed to the chucks, respectively.

상기 감지수단은, 웨이퍼 프레임(1)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의 간격(ℓ)에 따라 서로 다른 3가지 이상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한 쌍의 센서(120)와, 한 쌍의 센싱도그(130)를 포함한다.The sensing means may detect three or more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the distance (l)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in order to detect various operating stat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olding the wafer frame 1. As a means for generating a, includes a pair of sensors 120, a pair of sensing dog 130.

상기 센서(120)들은, 상기 상부 그립판(111)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센서(121)와 제2센서(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121) 및 제2센서(122)로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수광부에 의해 감지되는지 여부에 의해 작동되는 포토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포토 센서에서는, 발광부에서 출사된 광이 후술할 센싱도그(130)에 의해 차폐되어 수광부에 의해 감지되지 못하면 온(on)신호가 발생하고, 발광부에서 출사된 광이 수광부 에 의해 감지되면 오프(off)신호가 발생한다.The sensors 120 include a first sensor 121 and a second sensor 122 that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grip plate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2, a photo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and a light receiving part and operated by whethe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part is used. . In the photo sensor,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shielded by the sensing dog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not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 on signal is generated, and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 off signal is generated.

상기 센싱도그(130)들은, 상기 센서(120)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광경로 사이에 진입하여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그립판(112)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싱도그(130)들은, 제1센서(121)에 의해 감지되는 제1센싱도그(131)와 제2센서(122)에 의해 감지되는 제2센싱도그(132)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도그(130)들은 하부 그립판(112)과 함께 이동하며,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의 간격(ℓ)에 따라 센서에 의한 감지 여부가 결정된다.The sensing dogs 130 may enter between the light paths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of the sensor 120 to shiel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and may be adjacent to the lower grip plate 112. Is installed. The sensing dogs 130 include a first sensing dog 131 sensed by the first sensor 121 and a second sensing dog 132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22. The sensing dogs 130 move together with the lower grip plate 112, and whether the sensing dog 130 is detected by the sens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ℓ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21)와 제2센서(122)는 상부 그립판(111)에 동일한 높이에서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제1센싱도그(131)와 제2센싱도그(132)는 소정의 높이차가 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센싱도그(131)의 일단의 높이가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이 특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경우, 제1센싱도그(131)는 제1센서(121)의 광을 차단하여 제1센서(121)는 온신호를 발생하지만, 제2센싱도그(132)는 제2센서(122)의 광을 차단하지 못하여 제2센서(122)는 오프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2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on the upper grip plate 111, whereas the first sensing dog 131 and the second sensor 122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The sensing dog 132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That is,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first sensing dog 131 is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second sensing dog 132. Therefore, wh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are spaced at a specific interval, the first sensing dog 131 blocks the light of the first sensor 121 so that the first sensor 121 is turned on. Although the signal is generated, the second sensing dog 132 may not block the light of the second sensor 122 and thus the second sensor 122 may generate an off signal.

상기 높이조정유닛(140)은, 제1센싱도그(131)의 일단의 높이 및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센싱도그(131)의 타단측에 결합되는 제1높이조정유닛(141)과, 상기 제2센싱도그(132)의 타단측에 결합되는 제2높이조정유닛(14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정유닛(140)으로서 마이크로 미터가 사용된다.The height adjusting unit 140 i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first sensing dog 131 and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second sensing dog 132, an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first sensing dog 131.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141 is coupled to, and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142 is coupl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sensing dog 132. In this embodiment, a micrometer is used as the height adjustment unit 140.

웨이퍼 프레임(1)의 크기(예컨대, 6인치 웨이퍼용, 8인치 웨이퍼용, 12인치 웨이퍼용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웨이퍼 프레임(1)의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웨이퍼 프레임(1)의 두께가 변경되면 그립판(110)들에 의해 웨이퍼 프레임(1)이 클램핑될 때 그립판(110)들 사이의 간격(ℓ)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웨이퍼 프레임(1)이 클램핑될 때 제1센서(121)는 온신호를 발생하고 제2센서(122)는 오프신호를 발생하도록 제1센싱도그(131)와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의 높이가 맞추어져 있는데, 위와 같은 웨이퍼 프레임(1)의 두께 변경으로 인해 제1센서(121)와 제2센서(122)가 모두 동일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퍼 프레임(1)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제1센서(121)와 제2센서(122)로부터 다른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설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정유닛(140)을 이용하여 제1센싱도그(131)의 일단 및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의 높이를 재조정한다.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afer frame 1 (for example, the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6-inch wafer, the 8-inch wafer, and the 12-inch wafer), the thickness of the wafer frame 1 may be changed. When the thickness of the wafer frame 1 is changed, the distance l between the grip plates 110 is changed when the wafer frame 1 is clamped by the grip plates 110. For example, when the wafer frame 1 is clamped, the first sensor 121 generates an on signal and the second sensor 122 generates an off signal so that the first sensing dog 131 and the second sensing dog ( Although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132 is aligned,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2 may both generate the same signal due to the thickness change of the wafer frame 1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wafer frame 1 is changed, the height adjusting unit 140 may be used to maintain the setting for generating different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2. The heights of one end of one sensing dog 131 and one end of second sensing dog 132 are readjusted.

상기 상부 그립판(111) 및 하부 그립판(112)의 양측에는 측면판(160)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판(160)은, 상부 그립판(111)에 고정되며, 스토퍼부(161)와 푸쉬부(162)를 포함한다.Side plates 160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The side plate 160 is fixed to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includes a stopper part 161 and a push part 162.

상기 스토퍼부(1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그립판(112)과 상부 그립판(111)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 그립판(112)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측면판(160)의 하부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어느 한 슬롯에 수용되어 있는 웨이퍼 프레임(1)을 클램핑하기 위해 그립판(110)들이 상호 이격될 때, 바로 아래측 슬롯에 수용되어 있는 웨이퍼 프레 임(1)과 하부 그립판(11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부 그립판(11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stopper part 161 may have a maximum range in which the lower grip plate 112 may move when the lower grip plate 112 and the upper grip plate 111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s a limit, it is formed in a shape b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late (160). When the grip plate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lamp the wafer frame 1 accommodated in one slo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wafer frame 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accommodated in the immediately lower slot is In order to avoid the limit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lower grip plate (112).

상기 푸쉬부(1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240)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돌출되게 위치한 웨이퍼 프레임(1')을 카세트(240) 측으로 밀어 넣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판(160)의 전면에 즉, 웨이퍼 프레임(1)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push unit 162 is for pushing the wafer frame 1 ′ protruding from the cassette 240 to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toward the cassette 240. It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front surface, that is, in a direction facing the wafer frame 1.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프레임 이송장치에 있어서, 카세트(240)로부터 돌출되게 위치한 웨이퍼 프레임(1')을 정렬하지 않고 카세트(240)로부터 추출하여 처리공정을 위한 대기위치로 이송하면, 웨이퍼 프레임(1')은 목표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하지 않고, 목표하는 위치로부터 상당히 벗어난 위치에 안착하게 된다. 대기위치로 이송된 웨이퍼 프레임(1)을 가지고 처리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웨이퍼 프레임(1)을 목표하는 위치로부터 허용된 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푸쉬부(162)를 이용하여 웨이퍼 프레임(1)을 카세트(240)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로 돌출되게끔 정렬함으로써, 웨이퍼 프레임(1)을 대기위치로 이송할 때 오차 범위 내에서 목표하는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In the wafer frame transfer apparatus shown in FIG. 1, when the wafer frame 1 ′ protruding from the cassette 240 is extracted from the cassette 240 without being aligned and transferred to the standby position for processing, the wafer frame ( 1 ') is not settled exactly at the target position, but is settl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target posi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rocessing with the wafer frame 1 transferred to the standby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transfer the wafer frame 1 to be within an allowable error range from the target position. Accordingly, by using the push unit 162 to align the wafer frame 1 to protrude from the cassette 24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target position within the error range when the wafer frame 1 is transferred to the standby position. Can be transferr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의 작동원리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wafer frame grip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판(110)들이 웨이퍼 프레임(1)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웨이퍼 프레임(1) 측으로 접근하거나, 웨이퍼 프레임(1)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경우, 상부 그립판(111) 및 하부 그립판(112)이 스토퍼부(161)에 의 해 제한되는 최대 간격만큼 이격되는 제1상태가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는,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 사이에 웨이퍼 프레임(1)이 개재되지 않는다.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grip plates 110 approach the wafer frame 1 side to clamp the wafer frame 1 or release the clamping of the wafer frame 1,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is in a first state spaced apart by a maximum interval limited by the stopper portion 161. In the first state, the wafer frame 1 is no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이때, 제1센싱도그(131)의 일단은 제1센서(121)의 광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제1센서(121)로부터 오프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 역시 제2센서(122)의 광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제2센서(122)로부터도 역시 오프신호가 발생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sensing dog 131 is not located at a height capable of shielding the light of the first sensor 121, so an off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or 121. 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second sensing dog 132 is also not positioned at a height capable of shielding the light of the second sensor 122, an off signal is also generated from the second sensor 122.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판(110)들이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웨이퍼 프레임(1)을 클램핑하는 경우, 웨이퍼 프레임(1)이 상부 그립판(111) 및 하부 그립판(112)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2상태가 된다.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 사이에 웨이퍼 프레임(1)이 개재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grip plate 110 moves in a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 to clamp the wafer frame 1, the wafer frame 1 may have an upper grip plate 111 and a lower grip plate 112. ) Into a second state that is clamped. In the second state, the wafer frame 1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이때, 제1센싱도그(131)의 일단은 제1센서(121)의 광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므로, 제1센서(121)로부터 온신호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은 제2센서(122)의 광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제2센서(122)로부터는 오프신호가 발생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sensing dog 131 is located at a height capable of shielding the light of the first sensor 121, the on-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or 121. However, since one end of the second sensing dog 132 is not positioned at a height capable of shielding the light of the second sensor 122, an off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sensor 122.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그립판(110)들이 웨이퍼 프레임(1)을 클램핑하는 도중 웨이퍼 프레임(1)이 빠져나가거나, 웨이퍼 프레임(1)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빈 슬롯에 가서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이 맞붙게 되는 제3상태가 된다.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부 그립판(111)과 하부 그립판(112) 사이에 웨이퍼 프레임(1)이 개재되어 있지 않다.As shown in FIG. 4C, if the grip plates 110 are clamping the wafer frame 1, the wafer frame 1 is pulled out, or the upper grip goes to an empty slot in which the wafer frame 1 is not received. When the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are brought into a third state to be bonded to each other. In the third state, the wafer frame 1 is no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grip plate 111 and the lower grip plate 112.

이때, 제1센싱도그(131)의 일단은 제1센서(121)의 광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므로, 제1센서(121)로부터 온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제2센싱도그(132)의 일단도 제2센서(122)의 광을 차폐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므로, 제2센서(122)로부터도 온신호가 발생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sensing dog 131 is located at a height capable of shielding the light of the first sensor 121, the on-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or 121. 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second sensing dog 132 is located at a height capable of shielding the light of the second sensor 122, the on signal is also generated from the second sensor 122.

상기와 같이 각기 다른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대하여 제1센서(121)와 제2센서(122)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의 조합이 다르게 되므로, 상기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100)는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bination of signals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2 is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first, second and third states, the wafer frame grip device 100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and the third state may be sensed,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는, 한 쌍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한 쌍의 센싱도그를 높이차를 두고 설치하여, 그립판들 간의 간격에 따라 한 쌍의 센서들로부터 동일한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발생하게끔 함으로써,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한 상태 및 웨이퍼 프레임의 클램핑을 해제한 정상적인 동작상태뿐만 아니라,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지 않은 채 그립판들만 맞붙어 있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까지 감지할 수 있고, 그러한 다양한 동작상태의 감지로 인해 장치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sensing dogs sensed by a pair of sensors are installed with a height difference, and the pair of sensors may be separated from the pair of sensor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lates. By generating the same or different signals,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the normal state of the clamping of the wafer frame and the unclamping of the wafer frame, but also the abnormal operating state of only the grip plates attached without the wafer frame interposed. In addition, the detection of such various operating states can achie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devic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변형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가 구체화될 수 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wafer frame gr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difica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Various types of wafer frame grip devices can be embodied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는, 웨이퍼 프레임을 클램핑한 상태 및 웨이퍼 프레임의 클램핑을 해제한 정상적인 동작상태뿐만 아니라,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지 않은 채 그립판들만 맞붙어 있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까지 감지할 수 있고,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상태의 감지로 인해 장치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fer frame gri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not only the normal state of operation in which the wafer frame is clamped and the clamping state of the wafer frame, but also the abnormal state of operation in which only the grip plates are attached without the wafer frame being interposed. Due to the detection of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hat may occur in the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device.

Claims (7)

웨이퍼를 지지하는 웨이퍼 프레임을 파지(把持)할 수 있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에 있어서,In the wafer frame grip device which can hold a wafer frame for supporting a wafer,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상기 웨이퍼 프레임과 접촉 가능한 한 쌍의 그립판; 및A pair of grip plates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wafer frame by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of mutual access and separation; And 상기 그립판들 사이에 상기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지 않은 채 상기 그립판들이 이격되어 있는 제1상태와, 상기 웨이퍼 프레임이 상기 그립판들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제2상태와, 상기 그립판들 사이에 상기 웨이퍼 프레임이 개재되지 않은 채 상기 그립판들이 맞붙어 있는 제3상태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A first state in which the grip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the wafer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grip plates, a second state in which the wafer frame is clamped by the grip plates, and between the grip plates. And sensing means for respectively sensing a third state in which the grip pl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the wafer frame being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수단은, 한 쌍의 센서와, 그 일단이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각각 감지되는 한 쌍의 센싱도그를 포함하며,The sens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ensors and a pair of sensing dogs whose one end is respectively sensed by the sensors, 상기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에 따라, 상기 센싱도그들 모두가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센싱도그들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센싱도그들 모두가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도록, 상기 센서들과 상기 센싱도그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According to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and the third state, all of the sensing dogs are not detected by the sensors, only one of the sensing dogs is detected by any one of the sensors, or the sensing And the sensors and the sensing dogs are arranged such that all of the dogs are sensed by the sensor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한 쌍의 그립판은, 상부 그립판과, 상기 상부 그립판의 하측에 그 상부 그립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그립판을 포함하고,The pair of grip plates includes an upper grip plate and a lower grip pl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grip plate under the upper grip plate, 상기 센서들은 상기 상부 그립판에 설치되며,The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upper grip plate, 상기 센싱도그들은 서로 일정 높이차를 가지며 상기 하부 그립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The sensing dogs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lower grip plate, the wafer frame grip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싱도그들의 타단에서 상기 센싱도그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센싱도그들 각각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And a height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sensing dogs at the other ends of the sensing dogs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each of the sensing dog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립판들은, 공기압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척 실린더에 의해 상대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And the grip plates ar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by an air chuck cylinder driven by air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립판들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때, 상기 그립판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And a stopper portion for limiting the maximum range in which the grip plate can move when the grip plates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웨이퍼 프레임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웨이퍼 프레임을 수용하는 카세트 측으로 이동할 때,When moving to the cassette side that receives the wafer frame to grasp the wafer frame, 상기 카세트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돌출되게 위치한 웨이퍼 프레임을, 상기 카세트측으로 밀어 넣기 위한 푸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프레임 그립장치.Wafer frame gri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ush portion for pushing the wafer frame protruding from the cassette over a certain range, the cassette side.
KR1020070061856A 2007-06-22 2007-06-22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KR100848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856A KR100848595B1 (en) 2007-06-22 2007-06-22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856A KR100848595B1 (en) 2007-06-22 2007-06-22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595B1 true KR100848595B1 (en) 2008-07-28

Family

ID=3982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856A KR100848595B1 (en) 2007-06-22 2007-06-22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5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36B1 (en) * 2012-04-10 2014-07-07 주식회사피에스디이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KR101674539B1 (en) * 2015-10-15 2016-11-0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Laser processing system, pick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workpieces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805A (en) 1986-02-18 1987-07-28 The Perkin-Elmer Corporation Grasping finger position sensor for a robot system
JPH0474606A (en) * 1990-07-18 1992-03-10 Mitsubishi Kasei Polytec Co Cleavage machining method
JPH08330382A (en) * 1995-05-29 1996-12-13 Kiyoshi Takahashi Clipping tweezers
JPH10225889A (en) 1997-02-10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Grasping device for industrial robot
JPH11300678A (en) 1998-04-20 1999-11-02 Mitsubishi Materials Corp Chu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805A (en) 1986-02-18 1987-07-28 The Perkin-Elmer Corporation Grasping finger position sensor for a robot system
JPH0474606A (en) * 1990-07-18 1992-03-10 Mitsubishi Kasei Polytec Co Cleavage machining method
JPH08330382A (en) * 1995-05-29 1996-12-13 Kiyoshi Takahashi Clipping tweezers
JPH10225889A (en) 1997-02-10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Grasping device for industrial robot
JPH11300678A (en) 1998-04-20 1999-11-02 Mitsubishi Materials Corp Chuck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36B1 (en) * 2012-04-10 2014-07-07 주식회사피에스디이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KR101674539B1 (en) * 2015-10-15 2016-11-0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Laser processing system, pick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workpiece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9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substrate
JP3062517B2 (en) Article alignment device
KR101422356B1 (en) Die pickup unit and die bonder including the same
KR101422355B1 (en) Buffer stage and die bonder including the same
KR100848595B1 (en) Apparatus for gripping a wafer frame
TWI516778B (en) Push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KR20120014557A (en) Device for aligning and pre-attaching a wafer
CN111843251A (en) Precision laser processing wafer moving system
KR101871627B1 (en) Tool transfer apparatus for machine tool
CN212946277U (en) Flexible clamping structure for laser processing wafer
TW202011036A (en) Electronic component correction unit and operation classif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apable of accurately correcting electronic components
CN215238668U (en) Laser processing wafer continuous feeding system
TWI710047B (en) Electronic component bearing correction unit and job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CN212848319U (en) Wafer clamping in-place detection mechanism
CN212848341U (en) Laser processing wafer transfer structure
CN212946117U (en) Laser processing wafer transfer precision positioning mechanism
KR20120077477A (en) Wafer sorting equipment
KR1006535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exing and severing film
KR100218254B1 (en) Wafer cassette stage
KR101489372B1 (en) An apparatus for sensing mis install device in pocket of c-tray
WO2022193336A1 (en) Wafer carrier identification card replacement device
CN115303712B (en) Wafer transmission device
KR101540512B1 (en) Wafer transporting apparatus
CN112713112B (en) Wafer pusher jig and pushing method thereof
CN212355455U (en) Clamp device and convey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