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333B1 -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 Google Patents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333B1
KR100844333B1 KR1020020007776A KR20020007776A KR100844333B1 KR 100844333 B1 KR100844333 B1 KR 100844333B1 KR 1020020007776 A KR1020020007776 A KR 1020020007776A KR 20020007776 A KR20020007776 A KR 20020007776A KR 100844333 B1 KR100844333 B1 KR 10084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cell
dsch
base station
channel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7999A (en
Inventor
김봉회
황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2000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33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B038035707A priority patent/CN100438375C/en
Priority to MXPA04007658A priority patent/MXPA04007658A/en
Priority to EP03703487.3A priority patent/EP1483849B1/en
Priority to JP2003567011A priority patent/JP4053004B2/en
Priority to AU2003206226A priority patent/AU2003206226B2/en
Priority to PCT/KR2003/000235 priority patent/WO2003067789A1/en
Priority to RU2004127125/09A priority patent/RU2280328C2/en
Priority to US10/359,099 priority patent/US7266384B2/en
Priority to GB0302869A priority patent/GB2386514B/en
Publication of KR2003006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999A/en
Priority to HK04101803A priority patent/HK1059155A1/en
Priority to US11/546,971 priority patent/US2007003225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그룹의 비동기 방식 표준 시스템의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 파워 제어를 위해 DSCH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프라이머리 셀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criterion for the primary cell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DSCH for the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power control of the asynchronous standard system of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group.

본 발명 실시 예로서,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의 파워 제어시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함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값 이상을 갖는 제 1조건과, 기지국 자신의 셀 식별자 코드가 이동국에서 전송된 프라이머리 셀 식별자 코드와 동일한 제 2조건과, 업 링크 압축 모드의 경우 펑처링이 셀 식별자의 길이를 3으로 나누는 값 이하로 일어나는 제 3조건을 확인하여, 제 1 내지 제 3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기지국이 자신을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ermining a primary cell using only SSDT uplink signaling in power control of an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a first condition having a magnitude of a signal received from a mobile station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base station itself Identify a second condition in which the cell identifier code of is equal to the primary cell identifie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and a third condition in which in the uplink compression mode the puncturing occurs less than or equal to three divided by the length of the cell identifier; In the 3GPP system, the base station determines itself as a primary cell when all of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are satisfied.

Description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도 1은 3GPP UTRAN의 구조.1 is a structure of a 3GPP UTRAN.

도 2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구조.2 is a protocol structure of a radio access interface.

도 3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도 4는 전용 채널(DCH)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dicated channel (DCH).

도 5는 종래 SSDT 시그널링시의 업링크에서의 넌 프라이머리 셀 및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non-primary cells and primary cells in the uplink in conventional SSDT signaling.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고도 DSCH 전력 제어에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timizing a criterion of primary cell in advanced DSCH powe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을 위한 DSCH TFCI 파워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 프로시저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of a signaling procedure for DSCH TFCI power control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제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그룹(3GPP)의 비동기 방식 IMT-2000 표 준(UMTS) 시스템의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Enh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E-DSCH)의 파워 제어를 위해 DSCH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프라이머리 셀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최적화하여 DSCH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 전력 제어에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SCH for power control of an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E-DSCH) of an asynchronous IMT-2000 standard (UMTS) system of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group (3GP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timizing primary cell criterion for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optimize the primary cell's primary cell criterion.

UMTS(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는 유럽식 2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시스템으로부터 진화한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 GSM 핵심망(Core Network)과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접속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향상된 이동통신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UMTS (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volved from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system, the European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The GSM Core Network and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It aims to provide bette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access technology.

여기서, 1세대 이동통신 이라 함은 아날로그 방식을 말하며, 2세대 이동통신은 디지털 방식으로의 진화를 의미하고, 3세대 방식은 통상 IMT-2000이라고 불리며 통신 능력의 획기적인 발전을 의미한다.Here, the firs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refers to the analog method, the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e evolution to the digital method, and the third generation method is commonly called IMT-2000, which means a breakthrough in communication capability.

그리고, UMTS의 국제적인 표준화 작업을 위해, 1998년 12월에 유럽의 ETSI, 일본의 ARIB/TTC, 미국의 T1 및 한국의 TTA 등의 국가연합 또는 국가 표준 제정 기구들이 제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그룹(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이하, 3GPP라 약칭함)이라는 조합을 구성하였고, 이 3GPP를 통하여 유럽방식 IMT-2000 시스템인 UMTS의 세부적인 표준명세서(Specification)를 규정해 나가고 있다. And in December 1998,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ork of UMTS, national or national standards-setting bodies such as ETSI in Europe, ARIB / TTC in Japan, T1 in the US and TTA in Korea were established by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hereinafter abbreviated as 3GPP) is formed, and through this 3GPP, the detailed specification of UMTS, the European IMT-2000 system, is defined.

이러한 3GPP에서는 UMTS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망 구성 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에 대한 독립성을 고려하여 UMTS의 표준화 작업을 5개의 기술규 격그룹(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 이하, TSG라 약칭함)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각 TSG는 관련된 영역 내에서 표준규격의 개발, 승인, 그리고 그 관리를 담당하는데, 이들 중에서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 이하 RAN이라 약칭함)그룹(TSG-RAN)은 UMTS에서 WCDMA 접속기술(비동기 CDMA라고 불리기도 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접속망인 UMTS 지상무선접속망(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약칭함)의 기능, 요구사항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을 개발한다. In 3GPP, UMTS standardization work is referred to as 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SG) in consideration of independence of network components and their operation for rapid and efficient technology development of UMTS. Divided into proceeds. Each TSG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pproval, and management of standards within the relevant areas, among which the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N) group (TSG-RAN) is a WCDMA access technology (asynchronous) in UMTS. Develop specifications for the functions, requirements, and interfaces of the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UTRAN), a new radio access network to support CDMA).

TSG-RAN그룹은 다시 전체회의(Plenary)그룹과 4개의 운영그룹(Working Group)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운영그룹(WG1:Working Group 1)에서는 물리계층(제1계층)에 대한 규격을 개발하고, 제 2운영그룹(WG2 :Working Group 2)은 데이터링크계층(제2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제3계층)의 역할을 규정한다. 또한, 제 3운영그룹에서는 UTRAN내의 기지국,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약칭함) 및 핵심망(Core Network)간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을 정하며, 제 4운영그룹에서는 무선링크성능에 관한 요구조건 및 무선자원관리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논의한다.The TSG-RAN Group is again composed of a Plenary Group and four Working Groups. Working Group 1 (WG1) develops standards for the Physical Layer (WG1), while the second Working Group (WG2) works with the Data Link Layer (2nd Layer) and Network Layer (WG2). Role of the third tier). In addition, the third operation group defines standards for interfaces between base stations, radio network controll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s) and core networks in the UTRAN, and the fourth operation group relates to radio link performance. Discuss requirements and requirement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3GPP UTRAN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3GPP UTRAN to which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UTRAN(110)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부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s; 이하 RNS로 약칭함)(120,130)으로 구성되며, 각 RNS(120,130)는 하나의 RNC(121,131)와 그 RNC(121,131)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Node B)(122,123)(132,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RNC(121,131)는 GSM망과의 회선 교환 통신을 위해 단말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41)와 연결되어 있으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과의 패킷교환 통신을 위해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2)과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the UTRAN 110 includes one or more Radio Network Sub-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S) 120 and 130, and each RNS 120 and 130 is connected to one RNC 121 and 131. It consists of one or more base stations (Node Bs) 122, 123, 132, 133 managed by the RNCs 121, 131. The RNC 121 and 131 are connected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41 for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with a GSM network, and SGSN (for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with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Serving GPRS Support Node) 142.

그리고, 기지국(Node B)(122,123)(132,133)은 RNC(121,131)에 의해서 관리되며 상향링크로는 이동국(150)의 물리계층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다운링크로는 데이터를 이동국(150)으로 송신하는 이동국에 대한 UTRAN의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담당한다. RNC(121,131)는 무선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는데,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RNC를 제어 RNC(CRNC: Control RNC)라고 하며, 공용무선자원의 관리를 담당한다. 각 이동국에 할당된 전용무선자원(Dedicated Radio Resources)을 관리하는 곳은 담당 RNC(SRNC: Serving RNC)라 불린다. 제어 RNC와 담당 RNC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동국이 담당 RNC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RNC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 RNC와 담당 RNC는 다를 수 있다. UMTS망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그 위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기지국(Node B)과 RNC사이는 Iub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RNC사이에서는 Iur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RNC와 핵심망과의 인터페이스를 Iu라고 칭한다.The base station (Node B) 122, 123, 132, 133 is managed by the RNC (121, 131)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physical layer of the mobile station 150 in the uplink, and transmits data to the mobile station 150 in the downlink It is responsible for the access point of the UTRAN to the mobile station transmitting to the mobile station. The RNCs 121 and 131 are in charge of allocating and managing radio resources. The RNC,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direct management of the base station Node B, is called a control RNC (CRNC), and is responsible for managing a common radio resource. The place that manages dedicated radio resources assigned to each mobile station is called a serving RNC (SRNC). The control RNC and the responsible RNC may be the same, but when the mobile station moves out of the area of the responsible RNC to the area of another RNC, the control RNC and the responsible RNC may be different.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UMTS network can be in different locations, so an interface is needed to connect them. The base station Node B and the RNC are connected by an Iub interface, and the RNC is connected through an Iur interface. The interface between the RNC and the core network is called Iu.

도 2는 이동국과 네트워크가 공중을 통하여 무선으로 접속 하기 위한 3GPP 무선접속망 표준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interface protocol of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for the mobile station and the network to wirelessly connect over the air.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 데이터링크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제 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사용자 평면은 음성이나 IP 패킷의 전송등과 같이 사용자의 트래픽 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이고, 제어평면은 망의 인터페이스나 호의 유지 및 관리 등의 제어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 the radio access interface protocol consists of a physical layer (PHY), a data link layer, and a network layer horizontally, and a control plane and data for vertically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It is divided into a user plan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Here, the user plane is an area in which traffic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such as voice or IP packet transmission, and the control plane is an area in which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such as interface or network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 network.

도 2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7계층의 개방형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face;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 1계층(L1), 제 2계층(L2), 제 3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tocol layers of FIG. 2 ar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seven-layer Open System Interface (OSI) reference model, which are well known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first layer (L1), the second layer (L2), It may be divided into a third layer (L3).

제 1계층(L1)은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계층(PHY: Physical Lay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약칭함)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물리계층으로 전달된 데이터를 무선환경에 맞는 다양한 코딩과 변조방식 등을 이용하여 수신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first layer L1 serves as a physical layer (PHY) for the air interface, and a transport channel with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C) layer on the upper layer. It is connected through the channels and transmits the data delivered to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to the receiver using various coding and modul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wireless environment.

물리계층(PHY)과 MAC계층사이에 존재하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은 이동국이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 또는 여러 개의 이동국이 공유해서 사용하는지에 따라 각각 전용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과 공용전송채널(Common Transport Channel)로 구분된다.The transport channel existing between the physical layer (PHY) and the MAC layer is a dedicated transport channel and a common transport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exclusively available or shared by multiple mobile stations. It is divided into channels (Common Transport Channel).

그리고, 제 2계층(L2)은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여러 이동국들이 WCDMA망의 무선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계층(L2)은 MAC 계층,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약칭함)계층, 패킷데이터수렴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라 약칭함)계층, 그리고 방송/멀티캐스트제어(Broadcast/Multicast Control; 이하 BMC라 약칭함)계층으로 나뉘어진다.The second layer L2 serves as a data link layer, and allows various mobile stations to share radio resources of the WCDMA network. The second layer (L2) is the MAC layer, Radio Link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LC) layer,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CP) layer, and broadcast / multicast control (Broadcast / Multicast Control; hereinafter abbreviated as BMC) is divided into layers.

상기 MAC계층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적절한 대응(Mapping)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논리채널들은 상위계층과 MAC계층을 연결시켜주는 채널들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논리채널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제어평면의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을, 사용자 평면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사용한다.The MAC layer transfers data through an appropriat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Logical channels are provided with various logical channels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hannels connecting the upper layer and the MAC layer. In general, a control channel is used for transmitting control plane information and a traffic channel is used for transmitting user plane information.

RLC계층은 상위로부터 전송된 RLC SDU의 분할 및 연결(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기능에 의해 전송에 맞는 적절한 RLC PDU를 구성하고, 전송 중 소실된 RLC PDU의 재전송을 담당하는 자동반복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ARQ)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위로부터 내려온 RLC SDU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무응답모드(Unacknowledged Mode), 응답모드(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 방식으로 동작하고, RLC계층에는 상위계층에서 내려온 RLC SDU 또는 RLC PDU들을 저장하기 위한 RLC버퍼가 존재한다.The RLC layer configures an appropriate RLC PDU suitable for transmission by a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function of an RLC SDU transmitted from an upper layer, and performs an automatic repeat request for retransmitting the lost RLC PDU during transmission; ARQ) function can be performed. The RLC SDU or RLC descended from the upper layer operates in three ways: transparent mode, unacknowledged mode, and acknowledgment mode, depending o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RLC SDU from the upper layer. There is an RLC buffer for storing PDUs.

PDCP계층은 RLC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IPv4나 IPv6와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RLC계층에서 전송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준다. 특히, IP패킷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패킷의 헤더정보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DCP layer is located on top of the RLC layer and makes data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protocol such as IPv4 or IPv6 suitable for transmission in the RLC layer. In particular, a header compression technique that compresses and transmits header information of a packet may be use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an IP packet.

BMC계층은 CBS(Cell Broadcast Center)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BMC의 주된 기능은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를 스케줄링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무응답모드로 동작하는 RLC계층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BMC layer enabl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cell broadcast center (CBS) to be transmitted through an air interface. The main function of the BMC is to schedule and transmit a cell broadcast message to a mobile station. In general, BMC transmits data through an RLC layer operating in an unresponsive mode.

참고로, PDCP계층과 BMC계층은 사용자 데이터만을 전송하므로 사용자평면에만 위치한다. 이들과는 달리, RLC계층은 상위에 연결된 계층에 따라 사용자평면에 속할 수도 있고 제어평면에 속할 수도 있다. 제어평면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는 경우에 해당되고, 그 외의 경우는 사용자 평면에 해당한다. For reference, since the PDCP layer and the BMC layer transmit only user data, they are located only in the user plane. Unlike these, the RLC layer may belong to the user plane or to the control plane depending on the layer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In the case of belonging to the control plane corresponds to the case of receiving data from the radio resource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RC) layer, otherwise it corresponds to the user plane.

일반적으로, 사용자 평면에서 제 2계층(L2)에 의해 상위계층으로 제공되는 사용자데이터의 전송서비스를 무선운반자(Radio Bearer; RB)라고 정의하며, 제어평면에서 제 2계층(L2)에 의해 상위계층으로 제공되는 제어정보의 전송서비스는 시그널링 무선 운반자(Signaling Radio Bearer; SRB)라고 정의한다.In general, a service of transmitting user data provided to the upper layer by the second layer L2 in the user plane is defined as a radio bearer (RB), and the upper layer by the second layer L2 in the control plane. The transmission service of th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by is defined as a signaling radio bearer (SRB).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RLC계층과 PDCP계층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층 내에 여러 개의 엔터티(Ent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이동국이 여러 개의 무선운반자를 갖고, 하나의 무선운반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오직 하나의 RLC 엔터티 및 PDCP 엔터티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RLC계층 및 PDCP계층의 엔터티들은 각 계층 내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RLC layer and the PDCP layer, several entities may exist in one layer. This is because one mobile station has several radio carriers, and generally only one RLC entity and PDCP entity are used for one radio carrier. Entities of the RLC layer and the PDCP layer may perform independent functions in each layer.

제 3계층(L3)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RRC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운반자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무선운반자가 설정된다(RB setup)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RC메시지를 통해 상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들의 전송도 가능하다.The RRC lay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layer L3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and is responsible for control of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setting, resetting, and releasing radio carriers. In this case, the radio carrier setup (RB setup) refers to a process of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protocol layer and a channel necessary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nd setting each specific parameter and oper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control messages transmitted from a higher layer through an RRC message.

한편, 전용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은 오직 하나 전용채널(DCH) 밖에 없지만, 상기 공용전송채널(Common Transport Channel)은 여러 종류로 구분되는데, 이 가운데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서 다운링크공유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DSCH라 한다)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only one dedicated transport channel (DCH), but the common transport channel (Common Transport Channel) is divided into several types, of which the channel for transmitting unpredictable data There is a downlink shared cha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SCH).

도 3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은 10ms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매 프레임 마다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여러 사용자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을 위한 채널 코드(channelization code)로부터 프레임마다 하나의 노드(node)를 할당받음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includes a 10 ms radio frame, which can be shared and used by different users in each frame. . This may be possible by several users being assigned one node per frame from a channelization code for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한편,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이 여러 사용자에 의해서 공유되고는 있지만, 특정 순간에 있어서 일정한 데이터 전송율(rate)을 가진 코드는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해서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이동국(MS)이 점유하는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은 그 채널을 점유한 이동국에 의해 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is shared by multiple users, a code with a constant data rate at a particular moment can be used by only one user. Therefore,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occupied by a specific mobile station MS is controlled by the mobile station occupying the channel.

여러 사용자가 DSCH를 위한 루트 채널화 코드(root channelization code)에서 프레임(frame) 마다 하나의 노드(node)를 할당받음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즉, DSCH는 여러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코드 멀티플렉싱(code multiplexing), 시간 멀티플렉싱(time multiplexing) 채널이다. 그래서 특정 이동국(MS, User Equipment)이 점유하는 DSCH는 점유한 사용자에 의해 전력제어가 이루 어진다.Multiple users can be shared by multiple users by assigning one node per frame in the root channelization code for the DSCH. That is, the DSCH is a code multiplexing and time multiplexing channel shared by multiple users. Therefore, power control is performed by a user who occupies a DSCH occupied by a specific mobile station (MS).

여기서, W-CDMA에서는 루트 채널화 코드로 사용자를 구분하게 되는데, 예컨대 확산요소(SF)=4/8/15/32/64일 때 각각 채널화 코드는 4/8/16/32/64개가 존재한다. 높은 확산 요소의 채널화 코드는 낮은 확산요소의 채널화 코드로부터 만들어지며, 이때 낮은 확산요소의 채널화 코드를 모 코드(Mother code)라 하고, 모 코드 중 가장 확산요소가 작은 것을 루트 채널화 코드라 한다. 즉, DSCH를 위해 루트 채널화 코드를 설정하면 그로부터 높은 확산요소를 가진 채널화 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Here, in W-CDMA, users are identified by a root channelization code. For example, when spreading factor (SF) = 4/8/15/32/64, each channelization code is 4/8/16/32/64. exist. The channelization code of the high spreading element is made from the channelization code of the low spreading element, wherein the channelization code of the low spreading element is called mother code and the root channelization code of the smallest spreading element among the mother codes It is called. That is, setting a root channelization code for the DSCH can allocate a channelization code having a high spreading factor therefrom.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은 반드시 전용 채널(DCH)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을 점유한 이동국은 반드시 전용 채널(DCH)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전력 제어를 살펴보면, 이동국(MS)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전용 채널(DCH)의 전력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전송 전력 제어(TPC : 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전용 채널(DCH)의 전력을 갱신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갱신된 전용 채널(DCH) 전력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의 전력을 갱신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dedicated channel (DCH). That is, the mobile station occupying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necessarily has a dedicated channel (DCH). Referring to general power control, the mobile station (MS) measures the power of the dedicated channel (DCH)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generates a transmit power control (TPC) command therefrom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Then, the base station updates the power of the dedicated channel (DCH)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update the power of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by using the updated dedicated channel (DCH) power.

이와 같이, 전용 채널(DCH)의 전력과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의 전력은 연계되어 동작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GPP 다운링크 채널인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은 여러 사용자가 시간 및 코드를 분할하여 사용하는 공동채널이다. 상기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은 하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존재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빠른 전력 제어(Fast Power Control)에 필요한 파일럿 필드(Pilot Field)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의 제어 정보를 보내기 위하여,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을 사용하는 사용자 하나 당 하나씩 전용 채널(DCH)을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를 연관된 전용 채널(Associated DCH)이라 한다. 따라서, 상기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은 사용자별로 할당된 상기 연관된 전용 채널(Associated DCH)과 연계되어 각각의 사용자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power of the dedicated channel (DCH) and the power of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operate in conjunction.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which is a 3GPP downlink channel, is a joint channel used by several users by dividing time and codes.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may or may not exist in time for one user. On the other hand, per user using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in order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pilot field (Filot Field) required for fast power control and to se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One dedicated channel (DCH) is used in combination, which is referred to as an associated dedicated channel (DCH). Accordingly,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can communicate with each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associated dedicated channel allocated to each user.

도 4는 전용 채널(DCH)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용 채널(DCH)은 프레임 주기(Tf)가 10ms인 무선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마다 15개의 슬롯(Slot#0∼Slot#14)이 포함된다. 여기서, 하나의 슬롯 길이(Tslot)는 2560 칩(chips)이다. 또한, 상기 전용 채널(DCH)은 물리적 데이터 채널(DPDCH :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과 물리적 제어 채널(DPCCH :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들이 교대로 개입되어 있다. 상기 전용 채널(DCH)은 왼쪽부터 차례로 제1 물리적 데이터 채널에 Ndata1 비트의 데이터(Data1)가 실리고, 제1 물리적 제어 채널에는 TPC(NTPC 비트)와 TFCI(NTFCI 비트)가 실릴 수 있다. 또한, 그 다음에 오는 제2 물리적 데이터 채널에는 Ndata2 비트의 데이터(Data2)가 실리고, 제2 물리적 제어 채널에는 Npilot 비트의 파일럿(Pilot) 신호가 실릴 수 있다. 여기서, TFCI 필드는 현재 전송 중인 채널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예를 들어, TFCI 필드에는 현재 무선 프레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과 코딩 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dicated channel (DCH). Referring to FIG. 4, the dedicated channel DCH includes a radio frame having a frame period T f of 10 ms, and includes 15 slots Slot # 0 to Slot # 14 for each radio frame. Here, one slot length (T slot) is 2560 chips. In addition, the Dedicated Channel (DCH) is alternately interposed between a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and a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The dedicated channel DCH may carry N data1 bits of data Data1 on the first physical data channel in order from the left, and TPC (N TPC bits) and TFCI (N TFCI bits) on the first physical control channel. . In addition, the next physical data channel may carry N data2 bits of data Data2, and the second physical control channel may carry N pilot bits of pilot signals. Here, the TFCI field contains information on a channel currently being transmitted. For example, the TFCI fiel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in the current radio frame, a coding method, and the like.

전용채널(DCH)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하는데 반해, DSCH 채널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DCH는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에 있고, DSCH는 한 기지국에서만 전송되어지는 경우에는 다른 전력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즉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전력을 합하여 TPC를 생성하지만, DSCH 채널은 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지기 때문에 TPC에 의한 전력 제어를 통하여 DSCH의 전력 제어를 정확하게 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해 DSCH 채널에는 다른 전력제어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The dedicated channel (DCH) performs soft handover, while the DSCH channel does not perform soft handover. Thus, when the DCH is in soft handover state and the DSCH is transmitted from only one base station, different power control is required. That is, the TPC is generated by summing the powers from the various base stations, but since the DSCH channel is transmitted from one base station, power control of the DSCH cannot be accurately performed through the power control by the TPC. For this reason, another power control method should be applied to the DSCH channel.

전용 채널(DCH)과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을 통하여 하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자의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TFCI 필드에 의해 전용 채널(DCH)에 대한 정보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TFCI 필드는 한 슬롯 당 전송되는 TFCI 필드에 포함되는 비트를 둘로 나누어, 한쪽 반은 전용 채널(DCH)용으로 나머지 반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When data of a user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one user through a dedicated channel (DCH)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the information on the dedicated channel (DCH) and the downlink shared channel ( DSCH)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TFCI field divides the bits included in the TFCI field transmitted per slot into two, one half may be used for a dedicated channel (DCH) and the other half for a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전용 채널(DCH)과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첫번째 방법은 전용 채널(DCH)에 대한 TFCI 정보(TFCI1)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TFCI 정보(TFCI2)가 하나의 코딩(second order Reed Muller coding)을 바탕으로 하나의 코드워드(code word)가 형성되어 전송되는 경우이다. 이를 Logical Split Mode라 한다. 두번째 방법은 전용 채널(DCH)에 대한 TFCI 정보(TFCI1)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TFCI 정보(TFCI2)가 각각의 코딩(first order Reed Muller coding)을 통해 각각 다른 코드워드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두개의 코드워드의 비트들이 섞여서 전송되는 경우이다. 이를 Hard Split Mode라 한다. 여기서, 상기 두번째 방법은 전용 채널(DCH)이 서로 상이한 무선망 제어기(RNC)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경우에도, TFCI 필드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체 무선 링크(Radio Link)에서 일부분의 기지국에서만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TFCI 정보(TFCI2)가 전송되는 것을 지원한다.Two methods may exist as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dedicated channel (DCH)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That is, in the first method, TFCI information (TFCI1) for the dedicated channel (DCH) and TFCI information (TFCI2) for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are one codeword based on one order (second order reed muller coding). (code word) is formed and transmitted. This is called Logical Split Mode. In the second method, TFCI information (TFCI1) for the dedicated channel (DCH) and TFCI information (TFCI2) for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order reed muller coding. In this case, the bits of two codewords thus formed are mixed and transmitted. This is called Hard Split Mode. Here, the second method may transmit the TFCI field even when a dedicated channel (DCH) is transmitted by a different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That is, TFCI information (TFCI2) for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is transmitted only in a part of base stations in the entire radio link.

전송 전력 제어(TPC) 명령은 업링크(uplink) 채널의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으로서, 이것을 이용해서 업링크(또는 역방향)의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일럿(Pilot)을 이용해서는 채널의 전력이 측정될 수 있다.The transmit power control (TPC) command is a command for power control of an uplink channel, which can be used to change the power of the uplink (or reverse). The power of the channel may be measured using a pilot.

한편, 현재 3GPP 시스템에서 채용하고 있는 방식은 SSDT 시그널링을 업링크에서만 동작시키고, 이때 이동국이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셀 식별자 코드(cell id code)를 전송한다. 그러면 DSCH를 전송하는 기지국은 셀 식별자 코드를 복호하여 자신이 프라이머리 셀인지, 넌 프라이머리 셀인지를 결정한다. 이때 넌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되는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scheme currently employed in the 3GPP system operates the SSDT signaling only on the uplink, and the mobile station determines the primary cell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cell ID code.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DSCH then decodes the cell identifier cod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primary cell or a non-primary cell. In this case, the non-primary cell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5.

1)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값(Qth) 이상이어야 한다. 2)자신의 셀 식별자 코드가 이동국에서 전송된 프라이머리 셀 코드와 달라야 한다. 3) 업링크 압축된 모드(Uplink compressed mode)의 경우 적절한 수준의 펑처링(puncturing)이 일어나야 한다. 적절한 펑처링(puncturing) 수준은 (int)Nid/3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 때 Nid는 셀 지시자 코드의 길이이다. 상기 int는 정수이다.1)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from the mobile station must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Qth. 2) Its cell identifier code must be different from the primary cell code sent from the mobile station. 3) In the case of uplink compressed mode, an appropriate level of puncturing should occur. The appropriate puncturing level should be below (int) Nid / 3. Nid is the length of the cell indicator code. Int is an integer.

위의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기지국이 넌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며 나머지는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게 된다. 이는 SSDT의 기술적인 특성에서 기인한다. 즉, SSDT에서는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기지국에서만 전용 물리적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을 전송하게 되는데, 채널 상황이 열악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되어야 할 기지국이 복호 에러가 발생하면 액티브 셋(active set)내에 있는 모든 기지국이 넌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 위의 세가지 조건을 만족할 경우만 넌 프라이머리 셀(non-primary cell)로 판단하게 되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상황을 피하게 된다. Only when all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non-primary cell and the rest is determined to be the primary cell. This is due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SDT. That is, in SSDT, a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DCH) is transmitted only to a base station determined as a primary cell. When the base station to be determined as a primary cell occurs due to a poor channel condition, an active set (active set) is transmitted. In this case, all the base stations within the packet are determined to be non-primary cells, and thus, data transmission may not occur. In order to avoid this situation, if the above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non-primary cell is judged as a non-primary cell, and the data is not transmitted.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E-DSCH) 파워 제어의 경우는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을 사용하는 데, 이는 액티브 셋(active set)내에서 DSCH를 전송하는 기지국만 SSDT 식별자 코드 복호를 해서, 프라이머리/넌 프라이머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액티브 셋내의 다른 기지국은 SSDT를 활성화(activation) 하지 않는다.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로 판단된 기지국은 DSCH의 전송 전력을 프라이머리 셀에 해당하는 파워 오프셋 만큼을 뺀 전송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이는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한 것과 채널 상태의 양호함을 동일시한 결과로 얻어진 파워 제어이다.In the case of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E-DSCH) power control, only SSDT uplink signaling is used. Only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DSCH in the active set decodes the SSDT identifier code so that the primary / non The primary will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other base station in the active set does not activate the SSDT. The base station determined as primary using only SSDT uplink signaling transmits the transmit power by subtracting the transmit power of the DSCH by the power offset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cell. This is the power control obtaine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goodness of the channel state with that determined by the primary cell.

그러나, 종래에는 고도 DSCH 파워 제어의 경우는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넌 프라이머리 셀 여부를 판단하지만, SSDT의 프라이머리 셀 의 판단 기준을 그대로 채용하기 때문에 DSCH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high DSCH power control in the related art, only the SSDT uplink signaling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imary / non-primary cell is used. However, sinc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of the SSDT are used as it is, the DSCH performance may be degraded. .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자신을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실제 채널 상황이 양호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실제 채널 상황이 열악하여 SSDT 식별자 코드 복호의 신뢰도가 떨어져 SSDT 자체적인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의 경우는 DSCH의 성능을 보장하면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두 번째의 경우는 DSCH의 성능에 열화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That is,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two main cases in which the base station determines itself as the primary cell. The first is a case where the primary channel is judged to be a primary cell because the actual channel condition is good, and the second is a case where the primary channel is determined to eliminate the SSDT itself problem due to the poor reliability of the SSDT identifier code decoding due to the poor real channel situation. In the first case, the power can be efficiently used while guaranteeing the performance of the DSCH. In the second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SCH may be degrad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도 다운링크 고유채널 파워 제어에서 기지국이 자신을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경우의 조건 중 채널 상황이 열악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리 셀 판단 기준을 제시하여, 다운링크 공유채널의 성능을 보장하면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events the case where the base station is inferior in the condition that the base station judges itself as the primary cell in the advanced downlink unique channel power control, and thus determines the primary cell as the primary cell. A method for optimizing primary cell decision criteria for advanced downlink control channel power control in a 3GPP system is proposed to provide a primary cell decision criterion so that the power can be efficiently used while guaranteeing the performance of the downlink shared channel.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3GP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ptimizing the criterion of the primary cell for the advanced downlink control channel power control,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의 파워 제어시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함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값 이상을 갖는 제 1조건과, 기지국 자신의 셀 식별자 코드가 이동국에서 전송된 프라이머리 셀 식별자 코드와 동일한 제 2조건과, 업링크 압축 모드의 경우 펑처링이 셀 식별자의 길이를 3으로 나누는 값 이하로 일어나는 제 3조건을 확인하여, 제 1 내지 제 3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기지국이 자신을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ermining a primary cell using only SSDT uplink signaling in power control of an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the first condition that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ha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the cell identifier code of the base station itself are determined by the mobile station. In the uplink compression mode, a second condition equal to the primary cell identifier code transmitt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a third condition in which puncturing occurs below a value of dividing the length of the cell identifier by three are identified. When all are satisfied, the base station determines itself as the primary cell.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할 때 상기 제 1내지 제 3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이 자신을 넌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satisf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it is a non-primary cell.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하는 기준이 DSCH 하드 스플릿 모드의 TFCI 파워 제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may be applied to the TFCI power control in the DSCH hard split mode.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경우 그에 해당하는 파워 오프셋 값이 무선망 제어기에서 해당 기지국으로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primary cell, a power offset value corresponding thereto is signaled from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o the base sta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 전력 제어에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for optimizing the determination criterion of the primary cell in the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power control in the 3GPP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6을 참조하면,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의 파워 제어에 있어서,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 사용하여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을 판단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in power control of an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a primary cell is determined using only SSDT uplink signaling.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하기 위한 제 1조건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의 크기가 일정 값(Qth) 이상이여야 한다. 이는 SSDT의 경우 이동국 수신신호 크기가 적정한 수준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SSDT 식별자 디코딩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게 되고, 이럴 경우 액티브 셋 내의 모든 기지국이 넌 프라이머리로 선언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신신호가 적정한 수순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항상 프라이머리로 간주하게 된다.The first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is that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Qth. In case of SSDT, if the received signal size of mobile station is not more than appropriate level, an error occurs during decoding of SSDT identifier. In this case, since all base stations in the active set may be declared as non-primary, the received signal is in proper procedure. If not abnormal, it is always considered primary.

그리고, 제 2조건은 자신의 셀 식별자 코드가 이동국에서 전송된 프라이머리 셀 식별자 코드와 같아야 한다. And, the second condition is that its cell identifier code must be the same as the primary cell identifie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제 3조건은 업링크 압축된 모드의 경우 적절한 수준의 펑처링이 일어나야 하고 이를 위해 적절한 펑처링 수준은 Nid/3 이하의 정수값이여야 한다. 이때 Nid는 셀 식별자 코드 길이이다. 이는 업링크 압축된 모드의 경우에는 dpch에서 펑처링이 일어나는데 SSDT 식별자 코드에도 펑처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펑처링이 Nid/3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식별자 코드 디코딩이 매우 열악해지기 때문에 그 이하여야 한다. 상기 업링크 압축모드의 경우는 DPCH에서 펑처링이 일어나는데 그때 SSDT 식별자 코드에도 펑처링이 일어나게 되며, 그 펑처링이 Nid/3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id 코드 디코딩이 매우 열악해지기 때문에 그 이하의 정수값을 가져야 한다. The third condition is that in the case of uplink compressed mode, an appropriate level of puncturing should occur and for this purpose, the appropriate puncturing level should be an integer value of less than or equal to Nid / 3. Where Nid is the cell identifier code length. In the case of uplink compressed mode, puncturing occurs in dpch and puncturing occurs in SSDT identifier code. If the puncturing is not less than or equal to Nid / 3, the identifier code decoding becomes very poor and should be less than or equal to that. In the uplink compression mode, puncturing occurs in the DPCH, and then puncturing occurs in the SSDT identifier code, and if the puncturing is not less than Nid / 3, the id code decoding becomes very poor. It must have a value.

이러한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기지국이 자신을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며, 나머지 즉, 한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넌 프라이머리 셀(non-primary cell)로 판단하게 된다.Only when all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base station determines itself as a primary cell, and if the rest, that is, even one condition is not satisfied, it is determined as a non-primary cell.

그러므로, 액티브 셋 내에서 DSCH를 전송하는 기지국만 SSDT 식별자 코드를 복호를 해서, 프라이머리 셀로 결정되면, 액티브 셋 내의 다른 기지국은 SSDT를 활성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SSDT 업 링크 시그널링만 사용하여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기지국은 DSCH의 전송 전력을 프라이머리 셀에 해당하는 파워 오프셋 만큼 빼서 전송하게 된다. 이는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한 것과 채널 상태의 양호함을 동일시한 결과이다.Therefore, if only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DSCH in the active set decodes the SSDT identifier code to determine the primary cell, the other base station in the active set does not activate the SSDT. Therefore, the base station determined as the primary cell using only SSDT uplink signaling subtracts the transmit power of the DSCH by a power offset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cell. This is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primary cell and the goodness of the channel state.

전용 채널(DCH)에 대한 TFCI 정보(TFCI1)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TFCI 정보(TFCI2)가 각각의 코딩(first order Reed Muller coding)을 통해 각각 다른 코드워드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두개의 코드워드의 비트들이 섞여서 전송되는 경우이다. 이를 Hard Split Mode라 한다. 여기서, 상기 두번째 방법은 전용 채널(DCH)이 서로 상이한 무선망 제어기(RNC)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경우에도, TFCI 필드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체 무선 링크(Radio Link)에서 일부분의 기지국에서만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TFCI 정보(TFCI2)가 전송되는 것을 지원한다. The TFCI information (TFCI1) for the dedicated channel (DCH) and the TFCI information (TFCI2) for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are formed through different codings, respectively. This is the case where bits of two codewords are mixed. This is called Hard Split Mode. Here, the second method may transmit the TFCI field even when a dedicated channel (DCH) is transmitted by a different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That is, TFCI information (TFCI2) for the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is transmitted only in a part of base stations in the entire radio link.

여기서, 전용 채널(DCH)과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하드 스플릿 모드는 전용 채널(DCH)에 대한 TFCI 정보(TFCI1)와 다운링크 공유채널(DSCH)에 대한 TFCI 정보(TFCI2)가 각각의 코딩(first order Reed Muller coding)을 통해 각각 다른 코드워드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두개의 코드워드의 비트들이 섞여서 전송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DSCH 하드 스플릿 모드의 파워 제어에 대해 상기에서 제안한 프라이머리 셀을 위한 상기의 제 1 내지 제 3조건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Here, as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dedicated channel (DCH)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the hard split mode may include TFCI information (TFCI1) and downlink shared channel (DSCH) for the dedicated channel (DCH). TFCI information (TFCI2) for is a case where different codewords are formed through respective codings (first order Reed Muller coding), and bits of the two codewords thus formed are mixed and transmitted. The power control of the DSCH hard split mode may be appli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by using the above first to third conditions for the primary cell.                     

전송 전력 제어(TPC) 명령은 업링크(uplink) 채널의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으로서, 이것을 이용해서 업링크(또는 역방향)의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일럿(Pilot)을 이용해서는 채널의 전력이 측정될 수 있다.The transmit power control (TPC) command is a command for power control of an uplink channel, which can be used to change the power of the uplink (or reverse). The power of the channel may be measured using a pilot.

또한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파워 오프셋 값을 무선 망 제어기에서 해당 기지국으로 시그널링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primary cell, a corresponding power offset value is signaled from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o the base station.

즉,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경우 그에 해다하는 파워 오프셋 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국과 기지국(Node B) 간의 무선 셋업시 무선 링크 파라미터의 업 데이트 메지시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에 포함시켜 시그널링된다. 이는 이동국의 이동이나 TFCI2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들의 수의 변동에 상관 없이 항상 무선 링크를 처음 셋업 할 때 제어 평면의 NBAP과 RNSAP 메시지로 알려준 TFCI power offset(PO)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경우 그에 해당하는 TFCI Power Offset 값이 제어국과 기지국 간 또는 제어국 간에 전달하기 위해 제어 평면의 NBAP(Node B Application Part)과 RNSAP(Radio Network Subsystem Application Part)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셋업시 전송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as a primary cell, the power offset value corresponding thereto is included in a control frame including an update message of radio link parameters during radio setup between the control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Node B as shown in FIG. 7. Signaled. It is always intended to use the TFCI power offset (PO) indicated in the NBAP and RNSAP messages of the control plane when initially setting up the radio link,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mobile station or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radio links transmitting TFCI2. If it is determined as a primary cell, the corresponding TFCI Power Offset value is transmitted using a Node B Application Part (NBAP) and a Radio Network Subsystem Application Part (RNSAP) signaling message in the control plane to transfer the corresponding TFCI Power Offset value between the control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or between the control stations. Sent during radio link setu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 전력 제어에서 프라이머리 셀 판단 기준 최적화 방법에 의하면,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하는 기준을 수신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값 이상이고 셀 식별자와 프라이머리 셀 식별자가 동일하며 셀 식별자 코드의 길이를 3으로 나눈 값 이하의 펑처 링이 일어나야 하는 모든 조건을 만족할 때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함으로써, 다운링크 공유채널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3GP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imary cell determination criterion optimization method in the high-level downlink shared channel power control,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is a criterion of receiving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 cell identifier. When the primary cell identifier and the primary cell identifier are the same and puncturing that the length of the cell identifier code divided by 3 is satisfied, the primary cell is judged to be the primary cell, thereby enabling efficient power usage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downlink shared channel. It's effective.

Claims (4)

고도 다운링크 공유채널(E-DSCH)의 파워 제어시 SSDT 업링크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을 판단함에 있어서, In determining a primary cell using only SSDT uplink signaling in controlling power of an advanced downlink shared channel (E-DSCH),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일정한 값 이상을 갖는 제 1조건과, 기지국 자신의 셀 식별자 코드가 이동국에서 전송된 프라이머리 셀 식별자 코드와 동일한 제 2조건과, 업링크 압축 모드의 경우 펑처링이 셀 식별자의 길이를 3으로 나누는 값 이하로 일어나는 제 3조건을 확인하여, 제 1 내지 제 3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기지국이 자신을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A first condition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a second condition in which the base station's own cell identifier code is the same as the primary cell identifier cod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and puncturing in the uplink compression mode High leve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3GPP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station determines itself as the primary cell when all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are satisfied by checking the third condition occurring below the value of the cell identifier divided by three. A method of optimizing the criterion of the primary cell for power contr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할 때 상기 제 1내지 제 3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이 자신을 넌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The 3GPP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itself as a non-primary cel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is not satisfied when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A method of optimizing judgment criteria of primary cells for link control channel power contro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라이머리 셀을 판단하는 기준이 DSCH 하드 스플릿 모드의 TFCI 파워 제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And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rimary cell may be applied to TFCI power control in a DSCH hard split mode. 3.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 판단된 경우 그에 해당하는 파워 오프셋 값이 무선망 제어기에서 해당 기지국으로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 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And a power off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primary cell is signaled from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o the base station. 3.
KR1020020007776A 2002-02-09 2002-02-09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KR100844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776A KR100844333B1 (en) 2002-02-09 2002-02-09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RU2004127125/09A RU2280328C2 (en) 2002-02-09 2003-02-03 Method for controlling shared downlink for broadband cdma communication system
EP03703487.3A EP1483849B1 (en) 2002-02-09 2003-02-03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JP2003567011A JP4053004B2 (en) 2002-02-09 2003-02-03 DSCH power control method
AU2003206226A AU2003206226B2 (en) 2002-02-09 2003-02-03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PCT/KR2003/000235 WO2003067789A1 (en) 2002-02-09 2003-02-03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CNB038035707A CN100438375C (en) 2002-02-09 2003-02-03 DSCH power control for WCDMA
MXPA04007658A MXPA04007658A (en) 2002-02-09 2003-02-03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US10/359,099 US7266384B2 (en) 2002-02-09 2003-02-06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GB0302869A GB2386514B (en) 2002-02-09 2003-02-07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HK04101803A HK1059155A1 (en) 2002-02-09 2004-03-11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US11/546,971 US20070032257A1 (en) 2002-02-09 2006-10-13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776A KR100844333B1 (en) 2002-02-09 2002-02-09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999A KR20030067999A (en) 2003-08-19
KR100844333B1 true KR100844333B1 (en) 2008-07-08

Family

ID=3222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776A KR100844333B1 (en) 2002-02-09 2002-02-09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3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71B1 (en) * 2002-09-07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fixed poing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06370B1 (en) * 2004-11-30 2006-07-31 엘지노텔 주식회사 Method for error detection of scheduling information in 3GPP system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 TR 25.841 V1.0.1 (2000-08)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DSCH power control improvement in soft handover (Release 2000) *
3GPP TR 25.849 V4.0.0 (2001-03)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DSCH power control improvement in soft handover (Release 4) *
Alcatel, Proposed Work Item Description "Signalling of Iub bearer requirements over Iur", 3GPP TSG-RAN, Meeting #11 Tdoc TSGRP#11(01)0188 *
DSCH Power Control Improvement in soft handover, GPP TSG RAN WG1#19 Tdoc R1-01-0216 February 27th – March 2nd , 20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999A (en)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471B2 (en)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for HS-SCCH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744457B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HS-SCCH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761091B1 (en) Method for performing admission control in a cellular network
US20070032257A1 (en)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AU200235831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for HS-SCCH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68743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76282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KR100811364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trol information to dsch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6018719A2 (en)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0370420B1 (en) Method for dynamic transport channel switching and control signal transporting by controlling MAC in HSDPA system
KR100844333B1 (en) Optimization method on criterion to identify a primary cell for the enhanced DSCH power control in 3GPP system
KR10045943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sch transmitting power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45943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sch transmitting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280328C2 (en) Method for controlling shared downlink for broadband 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0782211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trol information to high speed dsch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11044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trol information to high speed dsch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89341A1 (en) Method of improving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KR100630046B1 (en) Method for radio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30088614A (en)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 system
KR20030068014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