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896B1 -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896B1
KR100842896B1 KR1020060104646A KR20060104646A KR100842896B1 KR 100842896 B1 KR100842896 B1 KR 100842896B1 KR 1020060104646 A KR1020060104646 A KR 1020060104646A KR 20060104646 A KR20060104646 A KR 20060104646A KR 100842896 B1 KR100842896 B1 KR 10084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wireless remote
remote contro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7454A (en
Inventor
백상기
윤충은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896B1/en
Publication of KR2008003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18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the general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송신부 및 차량용 수신부로부터 도어 열림 또는 잠금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제어부를 구비하는 양방향 무선리모컨 및 상기 차량용 수신부에서 수신된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 신호가 차량제어부에서 인증되었을 때, 차량의 도어의 상태를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하는 신호를 BCM으로 전달하는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BCM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음을 수신하였을 때,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에 대한 변화를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송신하고,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은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의 도어 잠금 상태의 변화 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수신완료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제어부는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상태의 변화가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될 때에 변화된 상태를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하며,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수신부와 송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리모컨 제어부에 의해 제한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을 마련한다.A vehicle door lock display system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of changing a door of a vehicle to a locked or open state by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opening or locking a door from a vehicle transmitter and a vehicle receiver; 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hav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receiver unit, the transmitter unit and the receiver unit, a remote controll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unit and the receiver unit and the power unit, and an opening or locking signal of a door received from the vehicle receiver unit have been authenticated by the vehicle controller unit.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to open or locked to the BCM, wherein the vehicle control unit receives a change to the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when receiving the normal operation from the BCM. The two way wireless After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receives and stores the change of the door lock state from the vehicl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vehicle, the vehicle control unit changes the state of the locking or opening of the door Is stored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nd stores the changed state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changed to open or locked,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o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is Provide a configuration limitedly supplied by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차량용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차량 및 무선리모컨의 장시간 송신 및 수신 모드에 의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By using the vehicle door lock display system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by the long ti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of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양방향 무선리모컨, RF 수신부, 도어열림버튼, 도어잠금버튼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RF receiver, door open button, door lock button

Description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도 1은 통상의 차량용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door,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도 3은 통상적인 차량용 단방향 무선리모컨의 도어 잠금 작동 예시도,3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operation of a typical vehicle un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display system of a vehicle using 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for explaining the door lock or open state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과 차량의 도어 열림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과 차량의 도어 잠금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oor lock of a wireless remote control and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의 도어의 확인 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rmation state of a door of a vehicle in a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에서 차량확인 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identification state in a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에서 표시램프 신호에 따른 차량의 보안상태표시 예시도,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urity st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display lamp signal in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of the two-way radio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과 차량의 송수신거리를 예시한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between a wireless remote control and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Major Drawings

100... 양방향 무선리모컨 100 ... two-way wireless remote

200... 차량제어장치200 ... Vehicle Control

300... BCM(Body Control Module)300 ... Body Control Module

400... 도어 잠금 액츄에이터400 ... Door Lock Actuator

101... RF 송신부101 ... RF Transmitter

102... RF 수신부102 ... RF receiver

103... 리모컨 제어부 103.Remote control

104... 도어열림버튼104 ... Door open button

105... 도어잠금버튼105 ... Door lock button

106... 도어열림LED106 ... Door open LED

107... 도어잠금LED107 ... Door lock LED

108... 도어확인버튼108 ... Door Confirmation Button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isplay system of a vehicle using 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change the door of the vehicle to a locked or open state by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

무선리모컨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할 수 있는 차량에서, 일반적인 경우 운전자는 차량을 이용할 경우 무선리모컨에 있는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의 무선수신부로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이때 차량에서는 무선리모컨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한 후에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에서는 무선리모컨으로 차량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신호로 전송하고, 무선 리모컨에서는 차량에서 전송되는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In a vehicle that can lock or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by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in general, the driver uses the button o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o change the door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of the vehicle to lock or open the vehicle. The vehicle transmits a signal. At this time, the vehicle changes the door of the vehicle to the locked or open state after check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 the case of using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he vehicle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vehicle has been change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receives the stat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and displays it for the driver to confirm.

또, 휴대 유닛의 응답 신호에 ID코드(등록 코드)를 부가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는 차량 측에 탑재된 장치가 차 밖으로 향해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와 차 밖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이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 요청 신호가 송신되고 이것이 휴대 유닛에 의해 수신되면 휴대 유닛으로부터 ID 코드가 삽입된 응답신호가 송신되며, 차량측의 장치가 이 응답 신호를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해 ID코드의 일치를 확인하면, 차량용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dding an ID code (registration code) to the response signal of the portable unit includes a transmission antenna for transmitting a radio wave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a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and is received by the portable unit, and a response signal with an ID code inserted therefrom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unit. When the match is confirmed, a structure for executing a process such as unlocking a vehicle door is disclosed.

이러한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관한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2004-0076829호(2004년09월03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of such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76829 (September 03, 2004) and the like.

즉, 상기 문헌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That is, in the above document, a system as shown in FIGS. 1 and 2 is disclosed.

도 1은 차량용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doo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10)에는 외부 손잡이(11)가 장착되어 있고, 이 외부 손잡이(11)는 도어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부(12)와 키 실린더를 덮어 의장면을 형성하는 손잡이 캡(13)을 외측에 돌출시켜 차량용 도어(10)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외부 패널(도어 외부부 판)(10a)의 차량 후부 측에 부착 되어 있다. 손잡이부(12)는 기계적인 도어 개폐 조작을 행할 때 잡는 부재이며, 이들 손잡이부(l2) 및 손잡이 캡(l3)은 도어 외부 패널(10a)을 사이에 끼어 손잡이 프레임에 지지 되어있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door 10 is equipped with an outer handle 11, which covers the handle 12 and the key cylinder for perform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t is attached to the vehicle rear side of the door outer panel (door outer plate) 10a which protrudes outside the handle cap 13 which forms the outer side to form the exterior of the vehicle door 10. The handle portion 12 is a member that is held when performing a mechanical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the handle portion l2 and the handle cap l3 are supported by the handle frame with the door outer panel 10a sandwiched therebetween.

이러한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로서의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1)은 차량의 실내에 있는 시스템 ECU(Electronic Control Unit)(20)과 차량의 실내 및 실외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동조기(21)과 제1 구동기(22)와 차량의 실내에 전파를 송신하는 제1 송신 안테나(23)를 구비하고, 수신 동조기(21)는 시스템 ECU(20)와 접속되어 있고, 제1 송신 안테나(23)는 제1 구동기(22)를 통하여 시스템 ECU(20)와 접속되어 있다. The smart entry system 1 of the vehicle as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system ECU (Electronic Control Unit) 20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reception synchronizer 21 and a first tuner 21 for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vehicle. A driver 22 and a first transmission antenna 23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reception tuner 21 is connected to the system ECU 20, and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23 is a first transmission antenna. It is connected to the system ECU 20 via the driver 22.

또,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1)은 차량용 도어(10) 내에 도어 ECU(24) 및 이에 접속된 도어 작동기(25)를 구비하고, 도어 ECU(24)는 시스템 ECU(20)와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mart entry system 1 includes a door ECU 24 and a door actuator 25 connected thereto in the vehicle door 10, and the door ECU 24 is connected to the system ECU 20.

이러한 차량용 도어(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손잡이(11)가 설치되고,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1)은 외부 손잡이(11)의 손잡이부(12)에 차량의 실외에 전파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안테나(26), 도어 잠금 휴먼 검출 센서(27) 및 도어 잠금 해제 휴먼 고용인 검출 센서(28)를 내장하며, 광 확산 수지로 성형된 광 장식부(29)를 손잡이 캡(13)에 가지고 있다. The vehicle door 10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handle 11 as shown in FIG. 1, and the smart entry system 1 transmits radio waves to the handle 12 of the external handle 11 outside of the vehicle. The second decorative antenna 26, the door locking human detection sensor 27 and the door unlocking human employee detection sensor 28 are incorporated, and the light decoration part 29 made of the light diffusing resin is attached to the handle cap 13. Have.

또,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1)은 시스템 ECU(20)와 접속된 제2 구동기(30)를 손잡이 프레임(l4)에 내장하고 있고, 제2 송신 안테나(26), 도어 잠금 휴먼 검출 센서(27) 및 도어 잠금 해제 휴먼 검출 센서(28)는 제2 구동기(30)를 통하여 시스템 ECU(20)와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제2 구동기(30)에는 후술하는 발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발광 부재에 대응하여 제2 구동기(30)와 손잡이 캡(13)의 광 장식 부(29) 사이에는, 광 섬유의 도광 부재로서의 도광로(31)로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entry system 1 incorporates a second driver 30 connected to the system ECU 20 in the handle frame l4, and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antenna 26 and a door lock human detection sensor 27. And the door unlocking human detection sensor 28 are connected to the system ECU 20 via the second driver 30. In addition, the second driver 30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member described later, and between the second driver 30 and the optical decorative portion 29 of the handle cap 13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It is connected to the light guide path 31 as a light guide member.

그리고, 제2 구동기(30)의 발광 부재에서 발생한 광량은 이 도광로(31)를 거쳐 광 장식 부재(29)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며, 시스템 ECU(20)는 디지털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CPU(중앙연산 처리장치), 각종 프로그램 및 맵 등을 기억한 ROM(리드 온리 메모리), 각종 데이터 등의 읽고 쓰기 가능한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ECU(20)는 각종 신호의 발신 및 수신에 따라 도어 ECU(24)를 통하여 도어 작동기(25)를 구동하고 차량용 도어(10)의 잠금 해제·잠금을 제어한다.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member of the second driver 30 is guided to the light decoration member 29 via the light guide path 31. The system ECU 20 is made of a digital computer, and the CPU (center) A read processing device), a ROM (lead only memory)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maps, and a read / write RAM (random access memory) such as various data. The system ECU 20 drives the door actuator 25 through the door ECU 24 and controls the unlocking and locking of the vehicle door 10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signals.

이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유닛(40)은 송신 시스템(41), 수신 시스템(42) 이들 송신 시스템(41) 및 수신 시스템(42)의 제어 및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CPU(Central Processing Unit)(43)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 CPU(43)는 송신 시스템(41)에 의해 수신 동조기(21)에 대해서 전파를 송신하는 동시에 수신 시스템(42)에 의해 그 수신 범위 내에서 제1 송신 안테나(23) 또는 제2 송신 안테나(26)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다.The portable unit 40 carried by the user is a signal processing CPU (Central Processing Unit) 43 which performs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transmission system 41, the reception system 42, and the transmission system 41 and the reception system 42. ). The signal processing CPU 43 transmits radio waves to the reception tuner 21 by the transmission system 41, and at the same time within the reception range by the reception system 42,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23 or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Receive a radio wave from (26).

또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이용자가 차량의 도어를 장금 또는 열림상태로 변경할 경우, 도어 핸들에 부착된 장금 또는 열림 스위치를 작동시켜 스마트키 제어기로 도어의 열림 또는 장금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하며,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기에서는 스마트키와의 양방향 무선인증을 통하여 스마트키가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인증되었을 때에 차량의 도어를 장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하면서 경적 또는 방향지시등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smart key system, when a user changes the door of the vehicle to a lock or open state, a lock or open switch attached to the door handle is operat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smart key controller to request the door to be opened or unlocked. The smart key system controller uses two-way wireless authentication with the smart key to notify the driver using a horn or direction indicator while changing the door of the vehicle to a locked or open state when the smart key is authenticated by the smart key system controller. Is disclosed.

이러한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통상적인 차량용 단방향 무선리모컨(50)의 도어 잠금 또는 열림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무선리모컨(50)을 소지한 이용자가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할 목적으로 차량에 근접하여(통상 10m내외) 무선리모컨(50)에 부착된 도어 열림 스위치(51) 또는 잠금 스위치(52)를 작동시킬 경우, 무선리모컨(50)은 제어기(530 및 RF송신부(54)를 거쳐 인증신호가 포함된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Another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ing or opening of a typical vehicle un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 50, the user hav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 50 close to the vehicle for the purpo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from the outside (typically around 10m) When operating the door open switch 51 or the lock switch 52 attache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50, the wireless remote control 50 through the controller 530 and the RF transmitter 54 to lock the door or the authentication signal included Send the open signal to the vehicle.

무선리모컨으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차량의 제어기(61)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확인하여 인증되었을 경우 이를 BCM(Body Control Module)(300)으로 전송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BCM(300)은 차량의 도어 잠금 액츄에이터(40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차량경보 시스템(301) 및 턴시스널 램프 릴레이(303)을 통해 차량의 방향지시등 또는 혼릴레이(302)를 통해 경적을 작동시켜 이용자에게 도어잠금 표시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e controller 61 of the vehicle checks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BCM (Body Control Module) 300 to change the locking or opening of the vehicle door when it is authenticated. Done. At this time, the BCM 300 operates the door lock actuator 400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alarm system 301 and the turn signal lamp relay 303 generate a horn through the vehicle's turn indicator or the horn relay 302. By operating, the door lock display state is changed to the user.

또한 통상적인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의 무선수신부로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인증되었을 때에 BCM으로 차량의 도어 상태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출력을 전송한다. 이때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는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차량에서는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 상태를 파악하여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하며 무선리모컨은 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or opening system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 signal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confirms this and locks the door state of the vehicle with the BCM when it is authenticated. Or send output to convert to open state. At this time, when a request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e vehicle grasps an open or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transmits the state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receives and displays it to the driver.

또 다른 기술의 일 예로서, 자물쇠 잠금에 이용되는 표시 기능을 갖는 키,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7964호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키를 필요로 하는 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갖고, 상기 대상물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 기능을 갖는 키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대상물이 잠금 해제 상태 또는 잠금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하거나 잠금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표시하는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technique, as a technique related to a key having a display function used for a lock lock, a display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isplay program is recorded,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3-0087964 discloses a display means and a key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n object in need thereof, the key having a display function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from the object, wherein the display means has an unlocked state or lock of the object.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for displaying the elapsed time since displaying or locking the state in the state.

그러나, 상술한 문헌 등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단방향 무선리모컨의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 후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에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상태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하였는지를 확신할 수 없으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경우 최종수신상태를 저장하지만, 이를 확신할 수 없으며, 송신 및 수신상태 지속에 따른 차량 및 무선리모컨에서의 전류소모로 무선리모컨의 배터리 교환주기 단축 및 차량의 전원의 지속적인 방전에 따른 성능저하 등의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in the case of the one-way wireless remote control, if the driver wants to check the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driver cannot be sure whether the state of the vehicle is locked or opened. In the case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he final reception status is stored, but it is unsure, and due to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us,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s shortened and the power of the vehicle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ere was a problem of inconvenience such as poor perform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주차 후 이용자가 차량의 보안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소지하고 있는 무선리모컨을 이용하여 차량을 잠금 또는 열림상태로 하였는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보안상태의 착각에 의한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차량 및 무선리모컨의 장시간 송신 및 수신 모드에 의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security state of the vehicle 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vehicle is locked by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Or the vehicle using 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o more effectively determine whether the state is opened, to solve the driver's inconvenience caused by the illusion of the security state of the vehicle, and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by the long ti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of the vehicle and wireless remote control To provide a door lock display system.

즉 무선리모컨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잠금에 대한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 무선리모컨에서 제한적으로 수신부를 작동시켜 차량에서 전달되는 도어잠금의 상태변화를 수신한 후 저장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보안상태를 확인하고자할 경우 리모컨의 확인버튼을 이용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That is, when the state of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is changed by us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operates the receiver in a limited manner to receive and store the state change of the door lock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If you want to check the security status of the remote control using the check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fir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은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으로서, 차량용 송신부 및 차량용 수신부로부터 도어 열림 또는 잠금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제어부를 구비하는 양방향 무선리모컨 및 상기 차량용 수신부에서 수신된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 신호가 차량제어부에서 인증되었을 때, 차량의 도어의 상태를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하는 신호를 BCM으로 전달하는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BCM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음을 수신하였을 때,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에 대한 변화를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송신하고,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은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의 도어 잠금 상태의 변화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수신완료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제어부는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상태의 변화가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될 때에 변화된 상태를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하며,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수신부와 송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양방향 무선 리모컨이 작동될 때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display system of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oor of the vehicle by locking or opening by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the vehicle transmission unit and the vehicle receiving unit from Two-way radio remote control and a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the door opening or lock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the power unit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to open or locked to the BCM when the door open or lock signal is authenticated by the vehicle control unit, wherein the vehicle control unit receives that the vehicle is normally operated from the BCM. Lock the door of the vehicle The change of state is transmitted to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receives and stores the change of the door lock state from the vehicle control unit, and then transmits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ontrol unit of the door Confirming that the change of the state for locking or opening is stored in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storing the changed state in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changed to the opening or locking, and in the power unit of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only whe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operated.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장치에서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한 후에 잠금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한 후,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의 수신확인신호가 회신되지 않을시,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수신신호가 확인될 때까지 추가로 복수 개의 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oor is changed to a locked or open state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the lock state is transmitted to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then received at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When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returne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transmit a plurality of acknowledgment request signals until the reception signal is confirmed.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잠금 상태의 확인이 필요할 경우,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도어 잠금 확인버튼을 작동시켜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에 대한 정보를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통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oor lock state, by operating the door lock confirmation button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for the door lock or open state stored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nd mean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using light or sound.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부는 평상시 대기상태(sleep mode)로 있다가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전송신호가 차량으로 전송될 때만 한시적으로 작동하고,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변화를 수신하고 이를 리모컨 제어부에 저장하여, 수신완료신호가 차량으로 전송되면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기능을 중지하고, 대기상태로 변환하여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 상태에 따른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normally in a sleep mode (sleep mode) and operates temporarily only when a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Receives the change of the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and stores it in the remote control unit. When the reception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stopped, and the state is converted into the standby state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ate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t is characterized by minimizing.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제어기로 차량상태확인을 위한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제어기는 차량 도어의 잠금상태와 차량경보기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고 이를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하여,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현재 차량의 도어잠금 상태와 차량경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무선리모컨의 수신기능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ehicl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troller checks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larm when a signal for checking the vehicle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to the vehicle controller. By transmitting this to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o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larm and stop the receiving func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은 도어 열림 LED와 도어 잠금 LED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LED와 도어 잠금 LED는 도어 잠금 또는 열림과 경보기의 작동에 대한 양방향 무선리모컨 작동을 표시하는 LED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a door open LED and a door lock LED, the door open LED and the door lock LED is for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or open and alar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as an LED indicating the operation of the two-way radio remote control.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할 경우, 작동되는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송수신거리는 차량용RF송신부의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으로 전송되는 송수신거리보다 차량에서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전송되는 송수신거리가 길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changed to the locked or open stat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of the two-way radio remote controller operated increases the output of the vehicle RF transmitter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vehicle RF transmit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o the two-way radio remote control is longer tha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이용자가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을 목적으로 무선리모컨의 차량도어 열림 또는 잠금 버튼을 눌렀을 때에,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으로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해당하는 무선신호가 전송되고, 차량에서 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가 제어기에서 인증되었을 때에 차량의 도어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신호를 BCM(Body Control Module)으로 전송하고, BCM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음을 제어기가 수신하였을 때에 도어 잠금의 상태변화를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하고, 무선리모컨에서는 상태변화를 저장한 후 무선리모컨에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변화가 저장되었음을 차량으로 회신하여, 이후 운전자가 차량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자할 경우, 무선리모컨의 확인버튼을 이용하여 무선리모컨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도어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보안상태를 운전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resses the vehicle door open or lock butt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for the purpose of locking or opening the vehicle door, a wirel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or opening of the door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o the vehicle, and received by the vehicle. Then,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uthenticated by the controller, a signal for door lock or opening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BCM (Body Control Module), and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normal operation from the BCM, the door change state of the door lock is transferre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e wireless remote control stores the state change, and then returns to the vehicle that the door lock state change of the vehicle is stored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en, when the driver wants to check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s used. To lock or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It will display the security status for the operator.

즉 기존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도어 잠금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차량과 일정거리를 떨어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잠금 또는 열림상태로하였는지 확신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리모컨에 저장시켜둔 차량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함으로 해서, 차량의 잠금 상태를 확신하지 못함으로 해서 오는 불안감을 해소하여, 기존의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잠금 시스템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existing door lock system for a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driver is not sure whether the driver locks or opens the vehicle state aft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the vehicle state stored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By checking the information, the anxiety caused by not being sure of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is solved, and the vehicle door locking system using the existing wireless remote control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drawing.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display system of a vehicle using 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for explaining the door lock or the open state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은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무선리모컨(100), 무선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제어장치(200), 차량의 제어장치(200)에서 수신된 신호를 확인하여 인증되었을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을 변경하는 BCM(Body Control Module)(300), BCM(300)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 잠금 액츄에이터(400), 차량의 방향지시등을 자공시키는 차량경보 시스템(301) 및 턴시스널 램프 릴레이(303)과 경적을 작동시켜 이용자에 게 도어잠금 표시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전달하는 혼릴레이(302)를 구비한다.4, the door lock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using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oor lock or open stat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200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e door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BCM (Body Control Module) 300, BCM (300) to change the lock or opening of the vehicle door if the authentication is confirmed by check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of the vehicle The door lock actuator 400 for operating the vehicle, the vehicle alarm system 301 for turning the direction light of the vehicle, and the turn signal lamp relay 303 and a horn for operating the horn for transmitting the changed state of the door lock display to the user. A relay 302 is provided.

또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은 안테나를 통해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송신하는 RF 송신부(101), 안테나를 통해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수신하는 RF 수신부(102),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그 제어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리모컨 제어부(103), 도어열림버튼(104), 도어잠금버튼(105), 열림표시LED(106), 잠금표시 LED(107),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표시하는 도어확인버튼(108),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각각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9) 및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상태 확인버튼(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is an RF transmitter 101 for transmitting a door lock or open state through an antenna, an RF receiver 102 for receiving a door lock or open state through an antenna, respectively,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e remote control unit 103, a door open button 104, a door lock button 105, an open display LED 106, a lock display LED 107 having a memory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and storing the control state thereof. The door confirmation button 108 for displaying the locked or open state of the door, the power supply unit 109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each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and the vehicle status confirmation button 110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vehi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차량제어장치(200)는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RF 송신부(101)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용 RF 수신부(201),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RF 수신부(102)로 차량의 상태를 송신하는 차량용 RF 송신부(202),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RF 송신부(101)와 RF 수신부(102)로 부터의 송수신에 따라 BCM(30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제어부(203)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200 is a vehicle RF receiver 201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RF transmitter 101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e state of the vehicle to the RF receiver 102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e vehicle RF transmitter 202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unit 203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BCM 300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om the RF transmitter 101 and the RF receiver 102 of the two-way radio remote control 100 Equipp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은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에서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경우, 차량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BCM(300)으로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 후, BCM(300)으로부터의 작동확인 신호를 잠금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하고, 무선리모컨(100)에서는 이를 저장하여 이후 운전자가 확인을 원할 시, 그 상태를 열림표시LED(106) 및 잠금표시 LED(107)에 표시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에서 RF 수신부(102)와 차량용 RF 송신부(202)는 각각 리모컨 제어부(103)와 차량제어부(203)에 의해 제한적으로 작동되므로, 소비전류를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oor lock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using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for locking or opening the vehicle door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e vehicle receives this to the BCM (300) of the vehicle door After transmitting the signal for locking or opening, and transmits the operat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BCM (300)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at the lock state has been change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stores it when the driver later wants to confirm, The state is displayed on the open display LED 106 and the lock display LED 107. That is, in the door lock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using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receiver 102 and the vehicle RF transmitter 202 are limited by the remote controller 103 and the vehicle controller 203, respectively. The current can be minimized.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도어잠금 또는 열림 및 차량상태를 도 5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Next, the door locking or opening and the vehicle state of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과 차량의 도어 열림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어의 열림 작동에 대해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Firs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이용자가 차량에 10미터 내외로 근접하여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도어 열림 버튼(104)을 작동하게 되면(S10),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에서 리모컨 제어부(103)와 RF송신부(101)를 거쳐 도어 열림 신호 전송을 출력하여 전송한다(S20). 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door open button 104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in proximity to the vehicle within 10 meters (S10),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103 and the RF transmitter 101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e door open signal transmission is output through the transmission (S20).

차량의 차량용 RF 수신부(201)에서 이 신호를 수신하고(S30), 차량 제어부(203)에서 신호를 인증하게 된다(S40). 단계S40에서 인증이 안되면 도어의 열림 작동은 종료된다.The vehicle RF receiver 201 of the vehicle receives the signal (S30), and the vehicle controller 203 authenticates the signal (S40). If authentication is not made in step S40,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terminated.

차량 제어부(203)에서 인증되었을 경우 BCM(300)으로 도어 열림 신호를 전송하고(S50), 이용자에게 차량의 방향지시등 또는 경적으로 작동을 통보한다(S60). When the vehicle controller 203 is authenticated, the door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CM 300 (S50), and the user is notified of the operation by the direction indicator or the horn of the vehicle (S60).

그 후. BCM(300)으로부터 차량 제어기(203)로 액츄에어터(400)의 작동이 출력되고(S70), 액츄에이터(400)의 열림을 차량에서 무선리모컨(100)으로 송신한 다(S80). After that.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400 is output from the BCM 300 to the vehicle controller 203 (S70), and the opening of the actuator 400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S80).

단계S80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해 무선리모컨(100)에서 차량의 상태 변화로 수신하고(S90), 무선리모컨에서 도어의 열림 상태변화를 리모컨 제어부(103)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한다(S100).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in step S80 as a state change of the vehicle (S90), and stores the change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unit in the memor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 unit 103 (S100).

RF 송신부(101)는 상태의 변화가 메모리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차량으로 송신하고(S110), 차량에서는 이 신호를 수신하고(S120), 무선리모컨(100)에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S130). 단계S130에서 저장 완료로 확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열림 작동은 종료되고, 확인이 안되면 단계S80으로 되돌아가 단계S90 내지 단계 S130을 반복하게 된다.The RF transmitter 101 transmits a signal confirming that the change of state i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vehicle (S11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vehicle (S120), and checks whether the signal is stored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S130). . When it is confirmed in step S130 that the storage is complete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ded, and when it is not confirm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80 and the steps S90 to S130 are repeated.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종료 차량은 무선리모컨 수신부에만 작동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hutdown The vehicle only works with the receiver.

다음에 도어의 잠금 작동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한다.Next,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과 차량의 도어 잠금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용자가 차량에 10미터 내외로 근접하여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도어 잠금 버튼(105)을 작동하게 되면(S210),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에서 리모컨 제어부(103)와 RF송신부(101)를 거쳐 도어 잠금 신호 전송을 출력하여 전송한다(S220). 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door lock button 105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in proximity to the vehicle within 10 meters (S210),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103 and the RF transmitter 101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rough the door lock signal transmission outputs and transmits (S220).

차량의 차량용 RF 수신부(201)에서 이 잠금 신호를 수신하고(S230), 차량 제어부(203)에서 신호를 인증하게 된다(S240). 단계S240에서 허가된 신호로 인증이 안되면 도어의 잠금 작동은 종료된다.The vehicle RF receiver 201 of the vehicle receives the lock signal (S230), and the vehicle controller 203 authenticates the signal (S240). If the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by the authorized signal in step S240, the lock operation of the door is terminated.

차량 제어부(203)에서 인증되었을 경우 BCM(300)으로 도어 잠금 신호를 전송하고(S250), 이용자에게 차량의 방향지시등 또는 경적으로 작동을 통보한다(S260). When the vehicle controller 203 is authenticated, the door loc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CM 300 (S250), and the user is notified of the operation by the direction indicator or the horn of the vehicle (S260).

그 후. BCM(300)으로부터 차량 제어기(203)로 액츄에어터(400)의 작동이 출력되고(S270), 액츄에이터(400)의 잠금을 차량에서 무선리모컨(100)으로 송신한다(S280). After that.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400 is output from the BCM 300 to the vehicle controller 203 (S270), and the lock of the actuator 400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S280).

단계S280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해 무선리모컨(100)에서 차량의 상태 변화인 잠금 신호를 수신하고(S290), 무선리모컨에서 도어의 잠금 상태변화를 리모컨 제어부(103)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한다(S300).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receives a lock signal, which is a state chang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ignal transmitted in step S280 (S290), and stores the lock state change of the door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 a memor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103 (S300). ).

RF 송신부(101)는 상태의 변화가 메모리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차량으로 송신하고(S310), 차량에서는 이 신호를 수신하고(S320), 무선리모컨(100)에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S330). 단계S330에서 저장 완료로 확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 작동은 종료되고, 확인이 안되면 단계S280으로 되돌아가 단계S290 내지 단계 S330을 반복하게 된다.The RF transmitter 101 transmits a signal confirming that the change of state i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vehicle (S31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vehicle (S320), and checks whether the signal is stored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S330). . If it is confirmed in step S330 that the storage is completed, the lock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and if not confirmed, returns to step S280 to repeat steps S290 to S330.

다음에 도어의 잠금 상태 확인에 대해 도 7 및 도 9에 따라 설명한다.Next, the confirmation of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9.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의 도어의 확인 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에서 표시램프 신호에 따른 차량의 보안상태표시 예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rmation state of a door of a vehicle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ecurity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isplay lamp signal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용자가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도어 확인 버튼(108)을 작동하게 되면(S40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저장상태가 열림표시LED(106) 및 잠금표시 LED(107)에 표시된다(S410).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door confirmation button 108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S400), as shown in Figure 9 the storage state of the door to the open display LED 106 and the lock display LED 107 It is displayed (S410).

도 9(a)는 스마트키RF 작동시의 상태이고, 도 9(b)는 열림표시LED(106) 및 잠금표시 LED(107)에 나타나는 상태표시 작동시를 나타낸다. FIG. 9 (a) shows the state of smart key RF operation, and FIG. 9 (b) shows the state display operation time shown in the open display LED 106 and the lock display LED 107. FIG.

이용자가 도어 확인버튼(108)을 눌렀을 경우, 무선리모컨(100)에서는 마직막으로 저장되어 있는 도어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소리 또는 광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door confirmation button 108,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confirms the last door lock state is stored, and transmits it as a sound or an optical signal.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열림 LED(106)가 점등될 경우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도어 잠금 LED(107)가 점등될 경우의 잠금 상태를 표시하며, 도어 열림 LED(106)와 도어 잠금 LED(107) 두개의 LED가 동시에 점등될 경우, 시스템 또는 인증 상에 문제가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9 (a), it shows an open state when the door open LED 106 is lit, indicates a locked state when the door lock LED 107 is lit, and the door open LED 106 is shown. And door lock LED 107 If two LEDs are lit at the same time, it illustrates a problem with the system or authentication.

또 도 9(b)에서 상태 표시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tate display in Fig. 9B is as follows.

1... 잠금 상태: 도어 잠금 LED 점등  1 ... Lock Status: Door Lock LED On

2...열림 상태: 도어 열림 LED 점등  2.Open status: Door open LED lights up

3...시스템장애: 도어 열림 및 잠금 LED 동시 점등  3.System failure: Door open and lock LEDs on at the same time

단계 S420에서 정상 저장이 아닌 경우, 도 9(b)의 3과 같은 시스템장애 발생이 출력되고(S430), 차량의 도어의 확인 상태종료된다.If it is not the normal storage in step S420, the system failure occurrence as shown in 3 of Fig. 9 (b) is output (S430), and the confirmation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is terminated.

단계 S420에서 정상 저장인 경우, 리모컨 제어부(103)은 열림 상태인가 판정한다(S440). 단계 S440에서 열림 상태가 아닌 경우로 판정되면, 도 9(b)의 2과 같은 잠금 발생이 출력되고(S450), 차량의 도어의 확인 상태종료된다.In the case of normal storage in step S420,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 unit 103 determines whether it is in an open state (S440). If it is determined in the case of not being in the open state in step S440, a lock occurrence as shown in 2 of FIG. 9B is output (S450), and the confirmation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is terminated.

단계 S440에서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도 9(b)의 1과 같은 열림 발생이 출력되고(S460), 차량의 도어의 확인 상태종료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40 that the door is in the open state, an opening occurrence such as 1 in FIG. 9B is output (S460), and the confirmation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is terminat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100)은 마지막으로 인증 후 수신된 상태를 저장하며, 운전자가 확인버튼을 조작할 경우 마지막으로 저장되어 있는 잠금 또는 열림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tate received after the last authentication,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last stored lock or open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confirmation button.

다음에 차량의 상태확인에 대해 도 8 및 도 9에 따라 설명한다.Next, the state confirmation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에서 차량확인 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identification state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용자가 양방향 무선리모컨(100)의 차량상태 확인버튼(110)을 작동하게 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상태가 열림표시LED(106) 및 잠금표시 LED(107)에 표시된다(S510).When the user operates the vehicle state confirmation button 110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he state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open display LED 106 and the lock display LED 107 as shown in Figure 9 (c) It becomes (S510).

이용자가 차량상태 확인버튼(110)을 눌렀을 경우, 무선리모컨(100)에서는 마직막으로 저장되어 있는 차량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소리 또는 광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vehicle state confirmation button 110,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checks the state of the vehicle finally stored, and transmits it as a sound or an optical signal.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열림 LED(106)가 점등될 경우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도어 잠금 LED(107)가 점등될 경우의 잠금 상태를 표시하며, 도어 열림 LED(106)와 도어 잠금 LED(107) 두개의 LED가 동시에 점등되고 경보기가 작동될 경우, 차량 상에 문제가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9 (c), it shows the open state when the door open LED 106 is lit, the locked state when the door lock LED 107 is lit, and the door open LED 106 is shown. And door lock LEDs 107 illustrate that there is a problem on the vehicle when two LEDs are lit at the same time and the alarm is activated.

단계 S510에서 차량의 확인상태를 알기 위한 차량상태 확인버튼(110)이 눌려지면, RF 확인신호가 출력되고(S520), 차량이 이 RF 확인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하고(S530), 단계 S530에서 허가된 신호가 아닌 경우 차량의 확인 상태의 작동은 중지된다.When the vehicle status confirmation button 110 for confirming the confirmation status of the vehicle is pressed in step S510, an RF confirmation signal is output (S520), the vehicle receives and inputs this RF confirmation signal (S530), and permission is granted in step S530. If it is not a signal, the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state of the vehicle is stopped.

단계 S540에서 허가된 신호인 경우, BCM(300)의 도어상태를 확인하고(S550), 차량의 경보기 작동을 확인한다(560). 이후 차량 상태가 무선 리모컨(100)으로 송신되고(S570), RF 수신부(102)는 이 차량의 상태를 수신하여 리모컨 제어부(103)으로 전송한다(S580).If the signal is permitted in step S540, the door state of the BCM 300 is checked (S550), and the operation of the alarm of the vehicle is checked (560). After that, the vehicle state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S570), and the RF receiver 102 receives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103 (S580).

리모컨 제어부(103)는 전송된 차량의 상태에 따라 LED에 표시하고(S590), 표시완료를 RF 송신부(101)를 통해 차량으로 송신한다(S600).The remote control unit 103 displays the 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ransmitted vehicle (S590), and transmits the display completion to the vehicle through the RF transmitter 101 (S600).

차량에서는 RF수신부(201)를 통해 표시완료신호를 수신하고(S610), 차량 제어부(203)는 상태 전달을 확인한다(S620).The vehicle receives the display completion signal through the RF receiver 201 (S610), and the vehicle controller 203 confirms the state transfer (S620).

차량 제어부(203)가 상태전달인 것으로 판정하면 동작이 종료되고, 단계 S620에서 차량의 상태 전달이 아닌 경우로 판정되면,단계 S570으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If the vehicle control unit 203 determines that the state is transmitted, the operation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vehicle is not transmitted in step S62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70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즉, 무선리모컨(100)에서 차량제어부(203)로 차량상태확인을 위한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에 차량제어부(203)는 차량 도어의 잠금상태와 차량경보기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고, 이를 무선리모컨(100)으로 전송하여, 무선리모컨(100)에서 현재 차량의 도어잠금 상태와 차량경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무선리모컨의 수신기능을 중지하게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a signal for checking the vehicle status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to the vehicle controller 203, the vehicle controller 203 checks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door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larm,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displays the current lock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larm and stops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리모컨(100)에서 차량의 도어를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차량에서는 전송되는 잠금 상태의 변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일시적인 작동 상태가 되며, 차량으로부터 도어의 잠금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수신하면, 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면서 리모컨 제어부(103)에 의해 수신상태를 종료하고 대기상태(sleep 상태)로 변경된다. When a signal for changing the door of the vehicle to open or locke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the vehicle is temporarily operated to receive a signal of a change in the locked state, and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from the vehicle. When the change has been received, the remote control unit 103 terminates the reception state and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has been received, and changes to the standby state (sleep stat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리모컨과 차량의 송수신거리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무선리모컨(100)에서 신호를 차량으로 전달하는 경우보다, 차량에서 무선리모컨(100)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의 신호전달거리가 크게 하여,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으로 신호가 전달되었을 경우 이를 회신하는데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고성을 나타내며, 이는 차량용 RF 송신부의 출력을 증가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between a wireless remote control and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gnal of a part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vehicle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rather tha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to the vehicle.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large, indicating high performance so that an obstacle is not generated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to the vehicle, and this is easily achieved by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vehicle RF transmitter.

즉 위와 같이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으로 전송된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서 인증 후에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신호를 BCM으로 발생시키고, 이때 변경된 차량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보안상태의 변화를 무선리모컨으로 전달함으로 해서, 도어 잠금 또는 열림 후 이용자는 무선리모컨만을 가지고 주차된 차량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보안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의 상태를 확신할 수 없음으로 인한 불안을 해소하면서 무선리모컨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in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fter authentication of the signal for locking or opening of the vehicle doo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o the vehicle by the control unit By using the BCM, and by transmitting the change of the security status of the changed or locked vehicle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fter the door lock or opening, the user can easily secure the security status of the locked or opened vehicle with only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his can be used to more effectively use the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while relieving the anxiety caused by the uncertainty of the vehicle's conditio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즉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도어의 잠금 열림 상태를 확인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언장치가 마련되는 주택, 사무실 등의 구조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mbodiment of check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structure of a house, an office, or the like where an eating device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에 의하면, 무선리모컨을 작동하였을 때에 무선리모컨에서는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에서 도어 잠금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 이를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하여, 주차 후 차량의 도어 열림 또는 도어 잠금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될 경우 소지하고 있는 무선리모컨을 확인함으로 해서, 차량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상태를 확인하여 이용자가 차량을 도어 열림 상태로 방치 또는 잠금 상태에서 불필요한 추가 확인을 해야하는 번거로음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or lock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using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s operate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transmits a signal for changing the door of the vehicle to the locked or opened state, When the state of the door lock is changed, the controller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if the door opening of the vehicle or the state of the door locking is unsure after the parking occurs, the vehicle remote door is opened or checked. By checking the locked state, the user can eliminate the trouble of having to make unnecessary additional checks while the vehicle is left in the door open state or locked state.

또, 기존의 리모컨이 항상 수신 모드 상태를 유지, 즉 주기적인 수신 모드(보통 2~10초) 작동으로 유지하여 배터리 교환주기가 6개월~1년으로 한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리모컨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에 의하면, 무선리모컨의 송수신부를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므로 동일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2년 이상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the existing remote control is always maintained in the reception mode, that is, the periodic reception mode (usually 2 to 10 seconds) to operate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is limited to 6 months to 1 year, but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oor lock display system of the used vehicle, since the transmitter / receiver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s kept in the standby state,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more than 2 years even when using the same battery is obtained.

Claims (7)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잠금 표시시스템으로서, A door lock display system of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a door of a vehicle by locking or opening by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차량용 송신부 및 차량용 수신부로부터 도어 열림 또는 잠금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제어부를 구비하는 양방향 무선리모컨 및A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opening or locking a door from a vehicle transmitter and a vehicle receiver,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 remot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the power unit; 상기 차량용 수신부에서 수신된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 신호가 차량제어부에서 인증되었을 때, 차량의 도어의 상태를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하는 신호를 BCM으로 전달하는 차량제어장치를 포함하고,When the door open or lock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receiving unit is authenticated by the vehicle control unit, the vehicl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door of the vehicle to open or lock to the BCM,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BCM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음을 수신하였을 때,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에 대한 변화를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송신하고,When the vehicle controller receives the normal operation from the BCM, and transmits a change to the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to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은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의 도어 잠금 상태의 변화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수신완료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고,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receives and stores the change of the door lock state from the vehicl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 recep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vehicle, 상기 차량제어부는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대한 상태의 변화가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림 또는 잠금으로 변경될 때에 변화된 상태를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하며,The vehicle control unit confirms that the change in the state of the locking or opening of the door is stored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nd stores the changed state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changed to the opening or locking,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수신부와 송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양방향 무선 리모컨이 작동될 때만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from the power unit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supplies power to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only whe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제어장치에서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한 후에 잠금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한 후,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의 수신확인신호가 회신되지 않을시,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수신신호가 확인될 때까지 추가로 복수개의 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After the door is changed to a locked or open state by the vehicle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ler transmits a received signal to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When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returned from the bidirectio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ler receives a received signal.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confirmation request signal until it is confi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도어 잠금 상태의 확인이 필요할 경우,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도어 잠금 확인버튼을 작동시켜 양방향 무선리모컨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 잠금 또는 열림 상태에 대한 정보를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통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If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oor lock state, the door lock confirmation button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activated to provide a means for the user to notify the information on the door lock or the open state stored in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by using light or sound.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부는 평상시 대기상태(sleep mode)로 있다가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전송신호가 차량으로 전송될 때만 한시적으로 작동하고,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변화를 수신하고 이를 리모컨 제어부에 저장하여, 수신완료신호가 차량으로 전송되면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기능을 중지하고, 대기상태로 변환하여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 상태에 따른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The receiving unit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normally in a sleep mode (sleep mode) and operates temporarily only when a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and receives a change of the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and stores it in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reception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the receiving function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o convert to the standby state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ate of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차량제어기로 차량상태확인을 위한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제어기는 차량 도어의 잠금상태와 차량경보기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고 이를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전송하여, 양방향 무선리모컨에서 현재 차량의 도어잠금 상태와 차량경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양방향 무선리모컨의 수신기능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잠금상태 표시시스템. When a signal for checking the vehicle status is transmitted from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ler to the vehicle controller, the vehicle controller checks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doo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larm and transmits it to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ler. A vehicle door lock status display system which displays the door lock statu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vehicle alarm and stops the reception of the two-way radio remote control.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은 도어 열림 LED와 도어 잠금 LED를 구비하고,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a door open LED and a door lock LED, 상기 도어 열림 LED와 도어 잠금 LED는 도어 잠금 또는 열림과 경보기의 작동에 대한 양방향 무선리모컨 작동을 표시하는 LED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And the door open LED and the door lock LED are used as LEDs for indicating a door lock or an operation of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opening and alarm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변경할 경우, 작동되는 상기 양방향 무선 리모컨의 송수신 거리는 차량용RF송신부의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양방향 무선 리모컨에서 차량으로 전송되는 송수신거리보다 차량에서 상기 양방향 무선리모컨으로 전송되는 송수신거리가 길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 표시시스템.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changed to a locked or open stat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of the operated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increases the output of the vehicle RF transmitter and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o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ha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transmitted from the two-way wireless remote control to the vehicle. Door lock state display system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is long.
KR1020060104646A 2006-10-26 2006-10-26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100842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46A KR100842896B1 (en) 2006-10-26 2006-10-26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646A KR100842896B1 (en) 2006-10-26 2006-10-26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54A KR20080037454A (en) 2008-04-30
KR100842896B1 true KR100842896B1 (en) 2008-07-02

Family

ID=3957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646A KR100842896B1 (en) 2006-10-26 2006-10-26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8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6376B2 (en) 2010-03-11 2013-07-02 Evonik Degussa Gmbh Heat-curing powder-lacquer compositions yielding a matte surface after curing of the coating, as well as a simple method for production of same
CN115134009B (en) * 2022-06-28 2024-04-16 上海沪工汽车电器有限公司 Automobile BCM remote control signal det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624A (en) * 1997-04-11 1998-11-16 김영귀 Remote start door lock device of vehicle with operation confirmation function
KR20000038354A (en) * 1998-12-05 2000-07-05 홍종만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peration result of car at car remot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624A (en) * 1997-04-11 1998-11-16 김영귀 Remote start door lock device of vehicle with operation confirmation function
KR20000038354A (en) * 1998-12-05 2000-07-05 홍종만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peration result of car at car remot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54A (en)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5328B1 (en) Electronic key system
US7629876B2 (en) Wireless key and door remote control system
US6724322B2 (en) Remote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to a user
US20070085658A1 (en) Multi-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function
US20030006879A1 (en) Security access system with wireless identification
US20120007712A1 (en) Non-contact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060038657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JPH10181533A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security device
JP2007060348A (en) Operation control system of movable electronic device
KR20080008171A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of wake-up and trigger thereof
US20140091906A1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304564B2 (en) Automotive detec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0842896B1 (en) A door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of dual-way RF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10438463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H1059131A (en) Keyless system
KR100649571B1 (en) Registration and Deletion Method of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Digital Door Lock, and Digital Door Lock and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using the same
JP2004308165A (en) Electronic key system
KR1022862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arming pase error
JP2007168744A (en) Vehicle security device
TWI592907B (en) Control system for immediate remote alerts
JP2008172440A (en) Signal conversion system
JP3233697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locking and unlocking cars
JPH07324532A (en) Remoto control device
JPH11278331A (en) Bicycle locking system
JP2018062764A (en) Electronic ke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