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086B1 -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 Google Patents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086B1
KR100842086B1 KR1020060029478A KR20060029478A KR100842086B1 KR 100842086 B1 KR100842086 B1 KR 100842086B1 KR 1020060029478 A KR1020060029478 A KR 1020060029478A KR 20060029478 A KR20060029478 A KR 20060029478A KR 100842086 B1 KR100842086 B1 KR 10084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id
uid
us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8167A (en
Inventor
안드레이 스테파노프
정희준
박희섭
정기준
김진희
김성수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086B1/en
Publication of KR2007009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 수신장치 및 그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수신장치 및 그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 중 하나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 수신부, 및 리모콘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Contents)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 및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분석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사용지수를 산출함으로써, 해당 컨텐츠 자체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thereof are disclosed. 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 stop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signal.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which receives one of the remote control signals, and a content usage index (CUS) for analyzing a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to calculate a contents usage index (CU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the corresponding contents. A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or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or. Accordingly, by calculating the content use index of the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contro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tent use index for the internal section of the content together with the content use index for the content itself.

리모콘, 셋탑박스, 컨텐츠 사용지수, 서비스제공장치, 컨텐츠제공장치 Remote control, set-top box, content use index, service providing device, content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컨텐츠 수신장치 및 그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 {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한 신호에 따라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컨텐츠 수신장치 110: 리모콘100: content receiving device 110: remote control

111: 조작부 111-1: 재생버튼111: control panel 111-1: play button

111-2: 종료버튼 111-3: 되감기버튼111-2: End Button 111-3: Rewind Button

111-4: 빨리감기버튼 111-5: 일시정지버튼111-4: Fast Forward Button 111-5: Pause Button

112: 리모콘신호 송신부 120: 셋탑박스112: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20: set-top box

121: 리모콘신호 수신부 122: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121: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2: content use index calculator

123: 컨텐츠 수신부 124: 제어부123: content receiving unit 124: control unit

125: 저장부 126: 인터페이스부125: storage unit 126: interface unit

130: 랜더링 디바이스 140: 서비스 제공장치130: rendering device 140: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컨텐츠 제공장치150: content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텐츠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수신장치 및 그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thereof.

"컨텐츠 수신장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형태로 가공처리한 후, 디지털 텔레비젼과 같은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A "content receiver" refers to a device that receives content from a device that provides the content, processes the content into a form usable by the user, and then provides the content to the user through a rendering device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컨텐츠 수신장치의 예로는 리모콘, 셋탑박스(Set Top Box), 및 랜더링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셋탑박스 시스템을 들 수 있다.An example of 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is a set top box system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 set top box, and a rendering device.

일반적으로 컨텐츠 수신장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도나 선호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설문을 조사하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수동적인 방법에 의해 해당 컨텐츠들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등급을 정하여, 사용자들에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평가 등을 제공한다.In general,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performs a passive method provided by the device, such as surveying a user, in order to measure the user's interest or preference of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users. Investigate and grade preferences to provide users with rating preferences for their content.

이는 절차가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당 컨텐츠 내부의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컨텐츠 선호도 조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is is not only a cumbersome procedure,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investigate the content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the content preference of the details inside the content.

이에, 해당 컨텐츠 자체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기술이 요청이 된다. 여기서, 컨텐츠 사용지수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말한다.Accordingly, a request is made for a technology capable of calculating a content usage index for each internal section of a corresponding content together with a contents usage score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tself. Here, the content use index refers to an index indicating a degree of user's preference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컨텐츠 자체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을 위해,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분석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사용지수를 산출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content based on an analysis of a signal generated from a remote controller for calculating a content usage index for each section of the content together with a content usage score for the content itself. The purpose is to calculate the inde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수신장치 및 그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Contents)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 및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ent receiving device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nalyzed by using a user's command for analyzing a content command (CUS: Content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 A content usage index (CUS)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usage score (CUS),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i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의 분석은, 리모콘에 의해 발생 되는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바탕으로,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 횟수인자(Frequency factor), 및 최신인자(Recency fa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command by the user is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 stop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signal, the method may include analyzing through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n inclination factor, a percentage factor, a frequency factor, and a recency factor.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ents usage score (CUS) includes a valu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1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1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D[eid] 컨텐츠 eid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 V[eid]는 컨텐츠 eid의 유효기간, T0[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이다.Where uid is the user ID, eid is the episode ID, CUS [uid,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D [eid] the total time of the content eid, and i [uid, eid] is The order in which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ei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when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time, V [eid] is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eid, and T 0 [uid, eid] is The time at which the user uid first used the content eid, T i [uid, eid] is the time at which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at the i th time, and λ is a coefficient representing a viewing frequency and a recency factor.

그리고,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는,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의 일정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s usage score (CUS) calculation unit may analyze a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to determine a contents usage index (CU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a certain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calculating.

또한,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는, 특정 컨텐츠를 시청한 모든 사용자들의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사용지수의 평균을 나타내는 에피소드 컨텐츠 사용지수(ECUS: Episode Contents Usage Score), 연관된 컨텐츠들로 구성된 스테이션의 사용지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컨텐츠 사용지수(SCUS: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특정 사용자가 시청한 모든 컨텐츠에 대한 사용지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UCUS: User Contents Usage Score), 및 특정 기준에 따라 그룹(group)화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나타내는 그룹 컨텐츠 사용지수(GCUS: Group Contents Usage Score)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usage index (CUS) calculation unit, the episode content usage index (ECUS) representing the average of the usage index for the specific content of all users who watched a specific content, the associated content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SCUS), which indicates the usage index of a station consisting of two stations, User Contents Usage Score (UCUS), which indicates the usage index for all content watched by a specific user,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Group Contents Usage Score (GCUS) indicating the content usage index of users grouped according to the criteria.

여기서, 상기 에피소드 컨텐츠 사용지수(ECUS: Episode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pisode content usage index (ECUS) preferably includes the on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2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2

여기서, ECUS[eid]는 컨텐츠 eid의 컨텐츠 사용지수, U[eid]는 컨텐츠 eid를 시청한 사용자의 총 횟수, CUS[j,eid]는 컨텐츠 eid에 대한 사용자 j의 컨텐츠 사용지수이다.Here, ECUS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content eid, U [eid] is the total number of users who watched the content eid, and CUS [j,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user j with respect to the content eid.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텐츠 사용지수(SCUS: Station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SCUS) preferably includes on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3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3

여기서, SCUS[sid]는 스테이션 sid의 컨텐츠 사용지수, E[sid]는 스테이션 sid에 속하는 컨텐츠의 총 갯수, ECUS[e]는 컨텐츠 e의 컨텐츠 사용지수이다.Here, SCUS [s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station sid, E [sid] is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belonging to the station sid, and ECUS [e]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content e.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UCUS: User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ser content usage index (UCUS) preferably includes the on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4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4

여기서, UCUS[uid]는 사용자 uid에 대한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 E[uid]는 사용자 uid가 시청한 컨텐츠의 개수, CUS[uid,j]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j를 시청한 경우 컨텐츠 사용지수이다.Where UCUS [uid] is the user content usage index for the user uid, E [uid] is the number of contents watched by the user uid, and CUS [uid, j] is the content usage index when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j. .

또한, 상기 그룹 컨텐츠 사용지수(GCUS: Group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oup Contents Usage Score (GCUS) preferably includes on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5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5

여기서, GCUS[gid]는 그룹 gid의 컨텐츠 사용지수, U[gid]는 그룹 gid의 인원수, UCUS[u]는 사용자 u의 컨텐츠 사용지수이다.Here, GCUS [g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group gid, U [gid] is the number of people of the group gid, and UCUS [u]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user u.

바람직하게는, 연결된 외부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Contents) 수신부, 및 상기 컨텐츠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사 용지수 산출부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를 연결된 외부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an external rendering device connected to a conten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ontent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content us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eiving unit and a content usage number calculating unit calculated by the content receiving uni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rface unit provided to).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연결된 외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동적으로 컨텐츠를 제공받으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체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may include dynamically receiving content from a connected external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by itself through a monitoring system.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방식을 통해 동적으로 컨텐츠를 배급하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체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distribute the content through the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method, and to calculate the content use index itself through the monitoring system.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Contents)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analyzing the operation command by the user to calculate a Contents Usage Score (CUS) indicating the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 and 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It includes.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의 분석은,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바탕으로,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 횟수인자(Frequency factor), 및 최신인자(Recency fa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command by the user is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 stop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Based on the rewind signal, the method may include analyzing through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n inclination factor, a percentage factor, a frequency factor, and a recency factor.

또한,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s usage score (CUS) preferably includes on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6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6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D[eid] 컨텐츠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 V[eid]는 컨텐츠의 유효기간, T0[uid,eid]는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컨텐츠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이다.Where uid is the user ID, eid is the episode ID, CUS [uid,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D [eid] the total time of the content, and i [uid, eid] is the user The order in which uid watched the content ei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for which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V [eid] is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and T 0 [uid, eid] is the content The first use time, T i [uid, eid] is the i-th time content is used, and λ is a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viewing frequency and the latest factor.

그리고,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의 일정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lculating of the content usage index (CUS) may include: analyzing a user's command by using the content,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a certain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calculating.

여기서, 해당 컨텐츠(Contents)의 재생(Play)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재생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시작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을 저장하고, 상기 재생신호가 입력된 위치부터 상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중 종료(Stop)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종료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 및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a pla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is received, detecting a play start point using the received play signal, storing the detected play start point, and inputting the play signal.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a position; detecting a playback end point using the received end signal when receiving a stop signal during playback of the content; detecting the playback start point and playback end poi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and 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CUS).

또한, 상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한 신호가 되감기(Rewind)신호일 경우, 상기 수신한 되감기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 및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고 되감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되감기 명령을 수행 후 상기 되감기 명령이 종료하는 지점부터 다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of the stop signal may include detecting a playback end point using the received rewind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rewind signal, and detecting the playback start point and playback end. Calculating a contents usage score (CUS) using a point, 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s usage index and executing a rewind command, and starting from the point where the rewind command ends after performing the rewind command 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generating.

그리고, 상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한 신호가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일 경우, 상기 수신한 빨리감기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 및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고 빨리감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빨리감기 명령을 수행 후 상기 빨리감기 명령이 종료하는 지점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of the stop signal may include detecting a playback end point by using the received fast forward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fast forward signal. And calculating a contents usage score (CUS) using a playback end point, 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s usage index and executing a fast forward command, and performing the fast forward command after the fast forward comm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laying from the point where the command ends.

여기서,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ents usage score (CUS) preferably includes on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7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7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 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D[eid] 컨텐츠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 V[eid]는 컨텐츠의 유효기간, T0[uid,eid]는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컨텐츠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이다.Where uid is the user ID, eid is the episode ID, CUS [uid,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D [eid] is the total time of the content, and i [uid, eid] is The order in which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ei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for which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time, V [eid] is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and T 0 [uid, eid] is the content Is the first time used, T i [uid, eid] is the i th time the content is used, and λ is a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viewing frequency and the recency facto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수신장치(100)는 리모콘(110), 셋탑박스(Set Top Box)(120),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130),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 및 컨텐츠 제공장치(Contents Provider)(1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110, a set top box 120, a rendering device 130, a service provider 140, And a contents provider 150.

그리고, 리모콘(110)은 조작부(111), 및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를 구비하고, 조작부(111)는 재생(Play)버튼(111-1), 종료(Stop)버튼(111-2), 되감기(Rewind)버튼(111-3), 빨리감기(Fast Forward)버튼(111-4), 및 일시정지(Pause)버튼(111-5)를 구비한다. The remote controller 110 includes an operation unit 111 and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12, and the operation unit 111 includes a play button 111-1, a stop button 111-2, A rewind button 111-3, a fast forward button 111-4, and a pause button 111-5 are provided.

그리고, 셋탑박스(120)는 리모콘신호 수신부(121),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 컨텐츠 수신부(123), 제어부(124), 저장부(125), 및 인터페이스부(126)를 구비한다.The set top box 12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a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a contents receiver 123, a controller 124, a storage 125, and an interface unit ( 126).

다만, 컨텐츠 수신장치(10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배제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However, other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100 are excluded from the drawings and only those components necessar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llustrated.

리모콘(110)은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 중 하나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조작부(111)에 마련된 재생버튼(111-1), 종료버튼(111-2), 되감기버튼(111-3), 빨리감기버튼(111-4), 및 일시정지버튼(111-5)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버튼의 신호가 발생된다. The remote controller 110 generates one of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 stop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signal. In other words, the user plays the play button 111-1, the end button 111-2, the rewind button 111-3, the fast forward button 111-4, and the pause button 111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When one of the buttons is pressed by the operation of -5),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generated.

여기서, 재생신호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처음부터 보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재생버튼(111-1)을 누르는 경우나 이전에 일시정지시켰던 지점부터 다시 보기 위해 재생버튼(111-1)을 누른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이다.Here, the playback signal is a case where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111-1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view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beginning, or presses the play button 111-1 to view again from the point where it was previously paused. It is a signal generated in the case.

일시정지신호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중에 시작위치에서부터 다른위치에 시청중인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잠시 멈추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일시정지버튼(111-5)을 누른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이다.The pause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ause button 111-5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temporarily stop playback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being view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start position while watch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종료신호는 사용자가 재생중인 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완전히 종료하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종료버튼(111-2)을 누른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이다.The end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end button 111-2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completely end the viewing of the content being played.

빨리감기신호는 사용자가 재생중인 해당 컨텐츠의 일부를 빠른감기로 건너뛰면서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빨리감기버튼(111-4)을 누른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이다The fast-forward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fast-forward button 111-4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move forward while skipping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being played.

되감기신호는 사용자가 재생중인 해당 컨텐츠를 뒤로감기하여 지나간 일부를 다시 시청하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되감기버튼(111-3)을 누른 경우에 발생 되는 신호이다The rewind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rewind button 111-3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rewind the corresponding content being played back and watch the part that has passed.

발생된 신호는 리모콘신호 송신부(112)가 전달받아 셋탑박스(120)로 송신한다. 즉,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는 조작부(111)로부터 전달받은 재생신호, 일시정지신호, 종료신호, 빨리감기신호, 및 되감기신호 중 하나를 셋탑박스(120)의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 송신한다.The generated signal is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12 and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120. That is,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12 transmits one of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n end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111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of the set-top box 120. do.

셋탑박스(120)는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수신한 재생신호, 일시정지신호, 종료신호, 빨리감기신호, 및 되감기신호를 이용하여 IPFR(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인자를 산출하고, 산출된 IPFR인자의 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et-top box 120 calculates an IPFR (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 factor by using the playback signal, the pause signal, the end signal, the fast forward signal, and the rewin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12, Finally, the content usage score is calcul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alculated IPFR factor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컨텐츠 사용지수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및 관심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말한다.Here, the content use index refers to a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nterest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는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재생신호, 일시정지신호, 종료신호, 빨리감기신호, 및 되감기신호 중 하나를 수신한다.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one of a playback signal, a pause signal, an end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12.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재생신호, 일시정지신호, 종료신호, 빨리감기신호, 및 되감기신호를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한다.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uses the playback signal, the pause signal, the end signal, the fast forward signal, and the rewin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4. Calculate the content use index.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이용하여 IPFR(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인자를 산출한다.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the play signal, the pause signal, the stop signal, the fast forward signal, and the like, which are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And an IPFR (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 factor is calculated using the rewind signal.

여기서,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는 노출(Exposure)과 선택률(Selection Rate)의 함수이다. Herein, the Inclusion factor is a function of the exposure and the selection rate.

노출(Exposure)은 해당 컨텐츠의 타이틀이나 줄거리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사용자가 보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해당 컨텐츠가 노출이 되면 해당 컨텐츠를 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관심을 가지게 된다. 즉, 해당 컨텐츠가 노출이 되면 될수록 사용자의 관심도가 증가하게 된다.Exposure refers to the user's viewing of general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or story of the content. Most users are interested when the content is exposed even though they have not seen the content. In other words, as the content is exposed, the interest of the user increases.

선택(Selection)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선택하고 보는 것을 말하고, 선택률(Selection Rate)은 사용자가 선택(Selection)한 횟수를 노출(Exposure)의 값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이는 노출된 컨텐츠들 중에 얼마나 많은 수의 이벤트들이 선택으로 이어졌는지를 의미하며, 선택을 한 사용자는 그렇지 않은 사용자보다 추후에 해당 컨텐츠를 시청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Selection refers to the user selecting and view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Selection Rate refers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selections made by the user by the value of the exposure. This means how many events among the exposed contents lead to selection, which means that the user who selects is more likely to watch the content later than the user who does not.

이와 같이,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경향성 내지 관심을 나타내는 인자를 말한다.As such, the inclusion factor refers to a factor that indicates the tendency or interest of the user's content.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를 말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던 중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는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의 정도 낮게 나타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하는 경우나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시청하는 경우는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의 정도 높게 나타난다.Percentage factor refers to a factor indicating the degree of viewing of the content. For example, when a user stops playing the content and watches another content while watching the content, the content does not satisfy the user's preference, and thus the viewing of the content is low. In the case of watching the entire conten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r repeatedly watching a specific section, the content satisfies the user's preference and thus the degree of viewing of the contents is high.

횟수인자(Frequency factor)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 후에 해당 컨텐츠를 다시 시청하기 위해 선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이는 일정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음을 나타낸다.The frequency factor is a factor indicating a case where the user selects to view the content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viewing the content. This means that the user remembers the content even though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indicating that the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 is high.

최신인자(Recency factor)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시기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시기가 최근일수록 해당 컨텐츠를 자주 시청하는 것을 말하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음을 나타낸다.Recency factor is a factor that indicates when the content is viewed. In other words, the more recently the user has viewed the content, the more frequently the user views the content,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re interested in the content.

여기서,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Here, a method of using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 stop signal, a fast forward signal, and a rewin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is as follows. same.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및 종료(Stop)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시간 및 구간을 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재생(Play)신호를 전달받으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을 검출하고,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일시정지(Pause)신호 또는 종료(Stop)신호를 전달받으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한다. The play time, the pause signal, and the stop signal are used to calculate the time and section of the user's viewing of the content. Specifically, when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a play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th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playback start point is detected and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the pause signal or the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s usage score is displayed. The calculation unit 122 detects a playback end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위와 같이 검출된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과 해당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시간과 구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시간 및 구간이 클수록 사용자의 해당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결과적으로 높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얻게 된다.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calculates the time and the period in which the user viewed the content by using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playback end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detect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larger the calculated time and interval, the higher the user's interest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as a result, a high Contents Usage Score is obtained.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는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낮추게 된다. 다시 말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빨리감기신호를 전달받았다는 것은 해당 컨텐츠의 일정부분을 건너뛰고 시청하려는 것이므로,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전체 구간에서 빨리감기를 실행한 구간을 차감하여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를 낮추게 된다. 즉, 해당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에서 빨리감기를 실행한 구간은 재생횟수가 0이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fast forward signal lowers the contents usage score. In other words, since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the fast-forwar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skips a certain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views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 Calculates the content usage index by subtracting the fast forward section from the entire section where the content is viewed, and consequently lowers the content usage index. In other words, the playback count is zero in the fast forward section among the entire sections of the cont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되감기(Rewind)신호는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높이게 된다. 다시 말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되감기신호를 전달받았다는 것은 시청 중인 해당 컨텐츠의 일정부분을 되감아 다시 시청하려는 것이므로,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전체 구간에서 되감기를 실행한 구간을 더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를 높이게 된다. 즉, 해당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에서 되감기를 실행한 구간은 재생횟수가 2가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rewind signal raises the Contents Usage Score. In other words,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the rewin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o rewind and re-view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being viewed, so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or 122 In step 122, the content usage index is calculated by adding the rewind section in the entire section where the content is viewed, thereby increasing the content usage index.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playbacks is 2 for the section which has been rewound among all sections of the cont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에서 설명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산출 방법을 수학식을 사용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ntents usage sco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a mathematical equation as follows.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8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8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이다. D[eid] 컨텐츠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이다. V[eid]는 컨텐츠의 유효기간, 즉, 컨텐츠 eid를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T0[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를 eid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로써 실험데이터를 통해 결정된다.Here, uid is a user ID, eid is an episode (content) ID, and CUS [uid, eid] is a content use index of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The total time of D [eid] content, i [uid, eid] is the order in which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eid, an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in which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time. V [eid] refers to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that is, the time at which the content eid can be viewed. T 0 [uid, eid] is the time when the user uid first used the content eid, T i [uid, eid] is the time when the user uid used the eid the content for the i th time, λ is the viewing frequency and the latest factor ( A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recency factor, which is determined through experimental data.

위의 수학식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인 Di[uid,eid]와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시간인 Ti[uid,eid]는 연속하여 저장되어야 한다. 이에 저장해야할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 해, 각각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값을 이전의 값으로 표현하여 위의 수학식을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quation, D i [uid, eid], which is the total viewing time when the user uid uses the i-th content eid, and T i [uid, eid], when the user uid uses the i-th content eid for the i Must be store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stored, the above equation is simplified by expressing each Contents Usage Score as a previous value as follows.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9
Figure 112006022830702-pat00009

여기서, CUSN - 1[uid,eid]는 해당 컨텐츠의 N-1번째 시청을 기반으로 표현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이다.Here, CUS N - 1 [uid, eid] is a Contents Usage Score expressed based on the N-1th viewing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Equation 1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0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0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1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1

여기서, V[eid]는 사용자의 컨텐츠 eid 시청이 가능한 총 시간을 나타내며, 여기에는 사용자가 잠재적으로 해당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Here, V [eid] represents the total time that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eid, which includes a case where the user can potentially use the content.

Ti[uid,eid]-T0[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기억하여 재시청하기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이 시간이 길수록 사용자의 해당 컨텐츠의 시청이 빈번하였음을 나타내므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가 높아지게 된다.T i [uid, eid] -T 0 [uid, eid] refers to the time until the user uid remembers the content eid and replays the content. The longer the time, the more frequently the user views the content. The content usage score will increase.

{Ti[uid,eid]-T0[uid,eid]}/V[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기억하여 재시청하기까지의 시간을 컨텐츠 eid 시청이 가능한 총 시간에 비례하여 표현한 것이다.{T i [uid, eid] -T 0 [uid, eid]} / V [eid] represents the time until the user uid remembers the content eid and re-views in proportion to the total time that the content eid can be viewed. .

즉,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자주 시청할 수록 수학식3에 표현된 인자들의 값이 높아지게 되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가 큰 값을 가지게 된다.That is, the more frequently the user watch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higher the value of the factors expressed in Equation 3, so that the content usage score is larger.

이상에서 설명한 수학식1 및 수학식3과 IPFR(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인자를 연관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quation 1 and Equation 3 described above and IPFR (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 factors are described as follows.

수학식1 및 수학식3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는 Di[uid,eid]로 표현되었다. Di[uid,eid]기간이 길수록 해당 컨텐츠의 많은 부분을 보게 될 것이고, 이에 의해 CUSP[uid,eid]의 값이 클수록 결과적으로 CUS[uid,eid]의 값도 커지게 된다.In Equation 1 and Equation 3, a percentage factor representing a degree of viewing of a corresponding content is expressed as D i [uid, eid]. The longer the D i [uid, eid] period is, the larger the content of the content will be. As a result, the larger the value of CUS P [uid, eid], the greater the value of CUS [uid, eid].

그리고, 수학식1 및 수학식3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 후에 해당 컨텐츠를 다시 시청하기 위해 선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횟수인자(Frequency factor)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시기를 나타내는 최신인자(Recency factor)는 CUSFR[uid,eid]로 표현되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자주 시청할수록 CUSFR[uid,eid]의 값이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CUS[uid,eid]의 값도 커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시기가 최근일수록 Ti[uid,eid]의 값이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CUS[uid,eid]의 값도 커지게 된다.In Equation 1 and Equation 3, a frequency factor representing a case of selecting a content to be viewe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viewing the content and a latest factor indicating a time of viewing the content Recency factor was expressed as CUS FR [uid, eid]. In other words, as the user uid frequently watches the content eid, the value of CUS FR [uid, eid]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value of CUS [uid, eid] is also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user uid watches the content eid more recently, the value of T i [uid, eid]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value of CUS [uid, eid] is also increased.

수학식1,2 및 3의 λ는 횟수인자(Frequency factor)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로써 실험데이터를 통해 결정된다. 즉, CUSP[uid,eid]와 CUSFR[uid,eid]간의 비율을 정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산출된 λ가 사용된다.Λ of Equations 1, 2, and 3 are coefficients representing frequency factor and latest factor and are determined through experimental data. That is, the experimentally calculated lambda is used to determine the ratio between CUS P [uid, eid] and CUS FR [uid, ei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이용하여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 횟수인자(Frequency factor), 및 최신인자(Recency factor)를 산출하고, 산출된 IPFR(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인자와 위의 수학식 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게 된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is a play signal, a pause signal, a stop signal, and a fast forwar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he fast forward signal and the rewind signal are used to calculate the inclination factor, the percentage factor, the frequency factor, and the latest factor, and the calculated IPFR. Contents Usage Score is calculated using the (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 factor and the above equations.

이상에서는 비디오형식의 컨텐츠나 오디오형식의 컨텐츠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 방법은 텍스트형식의 컨텐츠의 사용지수 산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contents usage score of the content in the video format or the content in the audio format has been described, but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ntents usage s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age index of the content in the text format.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calculation.

예를 들면, 텍스트형식의 컨텐츠 사용에 있어 스크롤(Scroll)신호는 비디오/오디오 형식 컨텐츠의 재생(Play)신호에 해당하고, 텍스트형식 컨텐츠의 사용에 있어 스크롤을 멈추게 되어 발생되는 신호는 비디오/오디오 형식 컨텐츠의 일시정지(Pause)신호에 해당하며, 텍스트형식 컨텐츠의 빠른 스크롤이나 다른부분으로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비디오/오디오 형식 컨텐츠의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나 되감기(Rewind)신호에 해당하고, 텍스트형식 컨텐츠의 처음으로 가거나 텍스트 자체를 닫는 것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비디오/오디오 형식 컨텐츠의 종료(Stop)신호에 해당한다.For example, the scroll signal in the use of textual content corresponds to the play signal of video / audio format content, and the signal generated by stopping scrolling in the use of textual content is a video / audio signal. It corresponds to the pause signal of the format content,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ast scrolling or moving to other parts of the text content is the fast forward or rewind signal of the video / audio format content. The signal generated by going to the beginning of the textual content or closing the text itself corresponds to the stop signal of the video / audio format content.

이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을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전달받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디오/오디오 형식 컨텐츠의 IPFR(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인자 산출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텍스트 형식의 컨텐츠의 IPFR인자를 산출하고, 산출된 IPFR인자들의 조합으로 텍스트 형식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게 된다.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receives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and receives the IPFR (Inclination, Percentage, Frequency, Recency) of the video / audio format content as described above. The IPFR factor of the content in the text format is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actor calculation method, and the content usage score in the text format is calcula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calculated IPFR factors.

지금까지 설명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에 대한 실례를 3가지 정도 들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실례들은 λ가 1/4이고, 컨텐츠 eid의 사용기간이 30일인 경우들이다.Three examples of the calculation of the Contents Usage Score described so far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examples are cases in which λ is 1/4 and the usage period of the content eid is 30 days.

예1)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모두 시청한 다음 다시 시청하지 않는 경우.Example 1) When a user has watched all the content and then does not watch it again.

이 경우는 D1[uid,eid]=D[eid], T1[uid,eid]=T0[uid,eid]이므로, 수학식1 또는 수학식3의 계산에 의해 CUS[uid,eid]=1이 된다. 이 값은 평균값으로서, 1을 넘지 않는 것은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자주 보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 시청시간은 전체 컨텐츠의 상영시간과 동일하다.In this case, since D 1 [uid, eid] = D [eid], T 1 [uid, eid] = T 0 [uid, eid], CUS [uid, eid] = 1. This value is an average value, and it does not exceed 1 because the user uid does not see the content eid frequently. In this case, the viewing time is the same as the showing time of the entire contents.

예2)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 전체를 한 번 시청하고, 동일한 컨텐츠를 15일 이후에 다시 시청하는 경우.Example 2) When a user watches the entire contents once and then watches the same contents again after 15 days.

이 경우는 다음과 같다. D1[uid,eid]=D2[uid,eid]=D[eid], T1[uid,eid]-T0[uid,eid]=0, {T2[uid,eid]-T0[uid,eid]}/V[eid]=1/2이 된다. 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2개의 피가수가 존재한다. 2개의 피가수는 사용자 uid의 시청행위가 2번임을 나타낸다. 즉, 첫번째 값은 1이다. 이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처음부터 끝까지 중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시청한 것을 의미한다. 두번째값은 계산결과 1.125가 나온다. 이에 의해, 최종적으로 CUS[uid,eid]=2.215가 된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가 1보다 큰 값이 산출되며, 이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관심이 높음을 나타낸다.This case is as follows. D 1 [uid, eid] = D 2 [uid, eid] = D [eid], T 1 [uid, eid] -T 0 [uid, eid] = 0, {T 2 [uid, eid] -T 0 [uid, eid]} / V [eid] = 1/2. As can be seen from this equation, there are two singers. Two singers indicate that the viewing behavior of the user uid is twice. That is, the first value is 1. This means that the user uid continuously watches the content eid without stopping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e second value is 1.125. This finally results in CUS [uid, eid] = 2.215.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 a value of Contents Usage Score is greater than 1, which indicates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content.

예3) 사용자가 pm6:00에 120분짜리 컨텐츠를 재생(Play)하여 처음부터 60분간 시청한 후, 해당 컨텐츠를 일시정지(Pause)하고 다른 일을 하다가 40분 후에 돌아와서 일시정지된 부분 이후의 30분 분량의 구간을 빨리감기(Fast Forward)한 후 나머지 30분 분량의 구간을 끝까지 시청한 경우.Example 3) When a user plays a 120-minute content at 6:00 pm and watches it for 60 minutes from the beginning, the user pauses the content and returns to work after 40 minutes while doing other work. When you have fast forwarded a 30-minute segment and watched the remaining 30-minute segment to the end.

이 경우는 사용자가 시청한 구간이 두 구간이며, 전체적으로 120분 중 90분에 해당한다. 이 경우의 산출결과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section viewed by the user is two sections, which corresponds to 90 minutes out of 120 minutes in total. The calculation results in this case are summarized as follows.

시청 시작 시각Watch start time 시청 종료 시각City hall end time 시청 시간(분)Minutes watched CUS에 대한 영향지수Impact Index on CUS 18:0018:00 19:0019:00 6060 0.500000.50000 19:4019:40 20:1020:10 3030 0.250150.25015

이에 의해, 최종적으로 CUS[uid,eid]=0.75015가 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가 입력되면 전체적인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가 감소하게 된다.This finally results in CUS [uid, eid] = 0.75015. As can be seen, when a fast forward signal is input, the overall contents usage score decreas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는 특정 컨텐츠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군집화(Aggregation)과정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다양한 사용자가 시청하였을 경우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도 산출이 가능하다. 4가지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usage score of specific content has been described so far,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usage score when various users watch various contents through an aggregation process. ) Can also be calculated. For example, four cases are as follows.

예1) 특정 컨텐츠를 한 사용자가 아닌 여러 사용자가 시청하였을 경우의 컨텐츠 사용지수(이하, 에피소드 컨텐츠 사용지수(ECUS: Episode Contents Usage Score)라 함).Example 1) Content usage index when a specific content is viewed by multiple users instead of one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Episode Contents Usage Score (ECUS)).

이 경우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모든 사용자들이나 특정 사용자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며,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content use index is calculate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ll users or specific users who have viewed the content, and the following equation is used.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2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2

여기서, ECUS[eid]는 컨텐츠 eid의 컨텐츠 사용지수, U[eid]는 컨텐츠 eid를 시청한 사용자의 총 횟수, CUS[j,eid]는 컨텐츠 eid에 대한 사용자 j의 컨텐츠 사용지수이다. 위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모든 사용자들로부터 구한 컨텐츠 사용지수 값들의 평균값에 해당한다.Here, ECUS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content eid, U [eid] is the total number of users who watched the content eid, and CUS [j,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user j with respect to the content eid.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4 above, this corresponds to an average value of the content use index values obtained from all users.

예2) 연관된 컨텐츠들을 모아 하나의 스테이션(Station)으로 군집하였을 경 우 전체 스테이션의 컨텐츠 사용지수(이하, (스테이션 컨텐츠 사용지수(SCUS: Station Contents Usage Score)라 함).Example 2) Content usage index of all stations when the related contents are collected and grouped into on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SCUS)).

이 경우는 연관된 컨텐츠를 각각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에 근거하여 스테이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며,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station content usage index is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each of the related contents, and the following equation is used.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3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3

여기서, SCUS[sid]는 스테이션 sid의 컨텐츠 사용지수, E[sid]는 스테이션 sid에 속하는 컨텐츠의 총 갯수, ECUS[e]는 컨텐츠 e의 컨텐츠 사용지수이다. 위 수학식 5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연관된 컨텐츠들로부터 구한 컨텐츠 사용지수 값들의 평균값에 해당한다.Here, SCUS [s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station sid, E [sid] is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belonging to the station sid, and ECUS [e]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content e.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5 above, this corresponds to an average value of the content use index values obtained from the related contents.

예3) 특정 사용자가 여러 컨텐츠들을 시청하였을 경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이하,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UCUS: User Contents Usage Score)라 함).Example 3) Content usage index for a specific user when a specific user watches a plurality of cont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Contents Usage Score (UCUS)).

이 경우는 특정 사용자가 시청한 각각의 컨텐츠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군집화하여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며,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user content use index is calculated by clustering data obtained from the respective contents viewed by a specific user, and the following equation is used.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4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4

여기서, UCUS[uid]는 사용자 uid에 대한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 E[uid]는 사용자 uid가 시청한 컨텐츠의 개수, CUS[uid,j]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j를 시청한 경우 컨텐츠 사용지수이다. 위 수학식 6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특정 사용자가 시청한 각각의 컨텐츠들로부터 구한 컨텐츠 사용지수 값들의 평균값에 해당한다.Where UCUS [uid] is the user content usage index for the user uid, E [uid] is the number of contents watched by the user uid, and CUS [uid, j] is the content usage index when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j. . As can be seen in Equation 6 above, this corresponds to an average value of content use index values obtained from respective contents viewed by a specific user.

예4) 사용자들로 구성된 그룹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이하, 그룹 컨텐츠 사용지수(GCUS: Group Contents Usage Score)라 함). 이에는 인구통계학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즉, 나이, 성별, 교육수준, 직업, 지역, 결혼여부, 자녀수 등의 통계적인 기준들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고, 이 그룹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사용된다.Example 4) Content usage index for a group of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oup Contents Usage Score (GCUS)). Demographic methods are used for this. That is, users are grouped by statistical criteria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level, occupation, region,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nd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is group is calculated. The following equation is used for this.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5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5

여기서, GCUS[gid]는 그룹 gid의 컨텐츠 사용지수, U[gid]는 그룹 gid의 인원수, UCUS[u]는 사용자 u의 컨텐츠 사용지수이다. 위 수학식 7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값들의 평균값에 해당한다.Here, GCUS [g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group gid, U [gid] is the number of people of the group gid, and UCUS [u]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user u. As shown in Equation 7 above, this corresponds to an average value of the content use index values for each of a specific group of users.

이상에서 설명한 군집화된 컨텐츠 사용지수들은 주로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나 컨텐츠 제공장치(Contents Provider)(150)에서 사용된다.The clustered content use indexes described above are mainly used in the service provider 140 or the content provider 150.

여기서, 컨텐츠 제공장치(Contents Provider)(150)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방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에 동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Here, the content provider 150 refers to a device for dynamically providing content to the service provider 140 through a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method.

여기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방식이란, 웹사이트에 새롭게 생성되는 정보들을 쉽게 배포하고 구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규칙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요약하고, 상호 공유하며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든 표준을 말한다.Here, the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method is a kind of rule made to easily distribute and subscribe to newly generated information on a website, and refers to a standard made to summarize, share, and exchange various contents.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방식의 장점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채널선택의 가능, 다양한 채널소스에 동시 접속가능, 다양한 채널들의 과거기록가능, 자동화된 컨텐츠 연동의 용이성, 구조화된 XML데이터로 변환 및 처리가 용이함 등을 들 수 있다.The advantages of the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method include the ability to select a channel that exactly matches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o simultaneously access various channel sources, to record the history of various channels, to facilitate automated content linkage, and to structured XML data. Furnace conversion and processing is easy.

또한, 컨텐츠 제공장치(Contents Provider)(150)는 모니터링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자체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통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50 may calculate its own content use index through a monitoring system (not shown). Through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 suitable for a user's preference.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는 컨텐츠 제공장치(Contents Provider)(15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들을 주기적으로 셋탑박스(120)에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The service provider 140 refers to a device that periodically provides the set-top box 120 with contents provided from the contents provider 150.

또한,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는 내부에 구비된 모니터링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자체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통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컨텐츠의 동적인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140 may calculate its own content use index through a monitoring system (not shown) provided therein. Through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provide content suitable for a user's preference.

컨텐츠 수신부(123)는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The content receiver 123 receives content from a service provider 140.

인터페이스부(126)는 컨텐츠 수신부(123)가 수신한 컨텐츠 및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122)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를 연결된 외부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130)에 제공한다.The interface unit 126 provides the content receiving index 123 and the content using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ing index calculator 122 to the connected external rendering device 130.

저장부(125)에는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122)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가 저장된다.The storage 125 stores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or 122.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130)는 인터페이스부(126)를 통해 전송받은 컨텐츠 및 컨텐츠 사용지수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130)의 예로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들 수 있다.The rendering device 130 displays the content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6 and the content use index so that the user can view it. An example of a rendering device 130 is a digital television.

제어부(124)는 컨텐츠 수신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The controller 124 generally controls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100. Specifically,

제어부(124)는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수신한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가공처리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로 전달하고,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산출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부(125)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4)는 컨텐츠 수신부(123)가 서비스 제공장치(Service Provider)(14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가공처리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형태로 인터페이스부(126)를 통해 랜더링 디바이스(130)로 전달한다.The controller 124 processes the play signal, the pause signal, the stop signal, the fast forward signal, and the rewind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 usage index is transferred to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or 122, and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125.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receiving unit 123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ervice provider 140, the control unit 124 processes the content and renders the conten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6 in a form that the user can view. Forward to 13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설 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재생(Play)신호를 수신한다(S210). 1 and 2,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receives a play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er 112 (S210).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처음부터 보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재생(Play)버튼(111-1)을 누르는 경우나 이전에 일시정지(Pause) 시켰던 지점부터 다시 보기 위해 재생(Play)버튼(111-1)을 누른 경우에 발생되는 재생(Play)신호를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수신한다. S210단계에서, 재생(Paly)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는 재생(Paly)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111-1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view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beginning, or the Play button to replay from the point where it was previously paused.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a play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111-1. In operation S210, if the play signal is not received,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maintains the standby state until the play signal is received.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재생(Paly)신호를 전달받으면, 관계지수 λ, 컨텐츠 eid의 총 길이(시간), 컨텐츠 eid의 유효기간을 검출한다(S220).When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receives a play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the relation index λ, the total length of the content eid (time), and the valid period of the content eid are detected. (S220).

여기서, 수학식 1에서 전술한 바 있듯이, 컨텐츠 eid의 총 길이(시간)는 D[eid], 컨텐츠 eid의 유효기간은 V[eid]로 표현된다.As described above in Equation 1, the total length (time) of the content eid is represented by D [eid], and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eid is represented by V [eid].

해당 컨텐츠의 접속이 처음일 경우(S230),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현재 시점을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점으로 설정하고, 컨텐츠 사용지수의 값을 0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25)에 저장한다(S240).When the first access of the content (S230),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sets the current time to the first time to use the content, and set the value of the content usage index to 0 storage unit In operation S240, it is stored in 125.

이후에,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한다.Subsequently,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112,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detects the playback end point.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재생중인 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완전히 종료하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종료(Stop)버튼(111-2)을 누른 경우에 발생되는 종료신호를 전달받으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종료(Stop)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해당 컨텐츠 내 재생종료지점를 검출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receives the e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stop button 111-2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completely end the viewing of the content being played, the contents usage index Score) The calculation unit 122 detects a playback end point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stop signal is received.

이와 같이 S240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점과 S260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S270).As such,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the contents usage score by using the first time of using the detected content in step S240 and the playback end point detected in the step S260. (S270).

이상의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재생(Play)신호를 전달받으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을 검출하고,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일시정지(Pause)신호 또는 종료(Stop)신호를 전달받으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한다.When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a play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determines a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the pause signal or the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detects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detects the playback end point of the content.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위와 같이 검출된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과 해당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시간과 구간을 산출하고, 최종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에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1 또는 수학식3이 사용된다고 전술한 바 있다.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calculates the time and the period in which the user viewed the content by using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playback end point of the content detected as described above, and finally, Calculate the contents usage scor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Equation 1 or Equation 3 below is used to calculate the content use index.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6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6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7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7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8
Figure 112006022830702-pat00018

여기서, S230단계에서, 해당 컨텐츠의 접속이 처음이 아닐 경우,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기저장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와 기저장된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점을 검출하고(S245), 이후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종료(Stop)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Here, in step S230, when the acces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the first time,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detects the pre-stored contents usage score and the time when the pre-stored contents are used for the first time. In operation S245,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121 detects a playback end point at the time when the stop signal is received, and calculates a contents usage score.

그리고, 기저장된 이전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에 위의 과정에서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과 해당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합산하여 최종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final content is used by adding the previously used contents usage score to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ed using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ntent and the playback end point of the content in the above process. Calculate the Contents Usage Score

이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접속이 처음이 아니어서 기저장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가 있을 경우에는, 수학식 1보다는 기저장된 이전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가 표현되어 있는 수학식 3을 사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최종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As such, when there is a pre-stored Contents Usage Score because the acces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the first time, Equation 3 in which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s Usage Score is expressed rather than Equation 1 is used. It will be efficient to calculate the final Contents Usage Score for the content.

제어부(124)는 이상에서 설명한 두 과정에서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저장부(125)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가공처리하여 인터페이스부(126)를 통해 랜더링 디바이스(130)로 전송한다(S280).The control unit 124 stores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ed in the two processes described above in the storage unit 125, and processes it in a form that can be viewed by the user, thereby rendering the rendering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6. Transmit to 130 (S28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던 중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는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의 정도 낮게 나타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하는 경우나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시청하는 경우는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므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시청의 정도 높게 나타난다.1 to 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tops playing the content and watches another content while watching the content, the content does not satisfy the user's preference. When the viewing degree of the content is low, and the user watches the entire conten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r when the user watches the specific section repeatedly, the content satisfies the user's preference and thus the viewing degree of the contents is high.

위의 과정을 구간별로 나누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process is divided into sections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1시점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을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재생(Play)버튼(111-1)을 누르는 시점이다. 이와 같이, t1시점에 재생(Play)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랜더링 디바이스(130)를 통해 해당 컨텐츠가 상영이 되고,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기 위해 t1시점을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으로 설정한다.The time t 1 is a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111-1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watch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such, when a play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121 at time t 1 ,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creened through the rendering device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4, and the contents usage index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sets a time point t 1 as a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order to calculate a contents usage score.

t3시점은 사용자가 t1시점부터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던 중 t2시점에서부터 다 시 시청하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되감기(Rewind)버튼(111-3)을 누르는 시점이다. 즉, T23구간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반복 시청한 구간이 된다.The time t 3 is a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rewind button 111-3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watch the content from the time t 1 and watch again from the time t 2 . That is, the T 23 section is a section where the user repeatedly watch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4시점은 T23구간이 반복 상영되고 사용자가 계속하여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던 중 해당 컨텐츠 상영의 일정 구간을 건너뛰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빨리감기(Fast Forward)버튼(111-4)을 누르는 시점이다. 즉, T45구간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은 구간이 된다.At the time t 4, the T 23 section is repeatedly displayed and the user continues watching the content, and the fast forward button 111-4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is skipped to skip a certain section of the content screening. It is time to press. That is, the section T 45 is a sec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tch the corresponding content.

t5시점은 제어부(124)가 해당 컨텐츠의 빨리감기(Fast Forward) 명령을 실행하던 중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다시 시청하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재생(Play)버튼(111-1)을 누른 시점이다.t 5 is a time control section 124 presses the fast-forward (Fast Forward), the user of the reproduction running and the command is provided to the operation unit 111 to re-view the content (Play) button 111-1 of the content It's time.

그리고, t6시점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종료하기 위해 조작부(111)에 마련된 종료(Stop)버튼(111-2)을 누른 시점이다. 이와 같이, t6시점에 종료(Stop)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랜더링 디바이스(130)를 통해 상영이 되었던 해당 컨텐츠가 종료되고,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t6시점을 해당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으로 설정한다.In addition, time t 6 is a time point when the user presses the stop button 111-2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11 to end viewing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such, when a stop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121 at time t 6 , the corresponding content, which has been screened through the rendering device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4, is terminated, and the content usage index ( contents Usage Score) the calculation unit 122 sets the time t 6 to the end point of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위의 과정에서 나타나듯이 T12구간은 재생구간에 해당하고 이 구간의 해당 컨텐츠의 재생횟수는 1이 되어 T12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는 1이 되며, T23구간은 되감기구간에 해당하고 이 구간의 해당 컨텐츠의 재생횟수는 2가 되어 T23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는 2가 된다. 그리고, T34구간은 재생구간에 해당하고 이 구간의 해당 컨텐츠의 재생횟수는 1이 되어 T34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는 1이 되며, T45구간은 빨리감기구간에 해당하고 이 구간의 해당 컨텐츠의 재생횟수는 0이 되어 T45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는 0이 된다. 또한, T56구간은 재생구간에 해당하고 이 구간의 해당 컨텐츠의 재생횟수는 1이 되어 T56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는 1이 된다.As shown in the above process, the T 12 section corresponds to the playback sectio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content plays on this section becomes 1, and the Contents Usage Score of the T 12 section becomes 1, and the T 23 section rewinds.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of this section is played is 2, and the contents usage score of the T 23 section is 2. And, the T 34 section corresponds to the playback section, the number of playback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is section is 1, the Contents Usage Score of the T 34 section is 1, and the T 45 section corresponds to the fast forward section.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is played in this section is 0, and the contents usage score in the T 45 section is 0. In addition, the T 56 section corresponds to a playback section, and the number of times of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section is 1, and the contents usage score of the T 56 section is 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의 산출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a contents usage score for each internal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위의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는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낮추게 된다. 다시 말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를 전달받았다는 것은 해당 컨텐츠의 일정부분을 건너뛰고 시청하려는 것이므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전체 구간에서 빨리감기를 실행한 구간을 차감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낮추게 된다. In addition, as seen in the above process, the fast forward signal lowers the contents usage score. In other words,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receives the fast forwar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because the content usage score is to skip a certain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watch the content usage index.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a contents usage score by subtracting a fast forward section from all sections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viewed. As a result, the contents usage score is calculated. Will be lowered.

그리고, 되감기(Rewind)신호는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높이게 된다. 다시 말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로부터 되감기(Rewind)신호를 전달받았다는 것은 해당 컨텐츠의 일정부분을 되감아 다시 시청하려는 것이므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한 전체 구간에서 되감기를 실행한 구간을 더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높이게 된다. In addition, the rewind signal increases the contents usage score. In other words, since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ceives the rewin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the content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winds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re-views the contents usage scor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calculates a Contents Usage Score by adding the rewind section in the entire section where the content is viewed, and consequently increases the Contents Usage Score. do.

즉, 본 발명은 해당 컨텐츠 자체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와 함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도 산출이 가능하므로, 서비스 제공장치(140)나 컨텐츠 제공장치(150)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컨텐츠 제공의 방향을 잡을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internal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also b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ogether with the contents usage index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tself, so that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40 ) O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50 may determine which par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user has focused on, and may direct future content provision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한 신호에 따라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e index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재생(Play)신호를 수신하면(S410),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해당 컨텐츠 내의 재생시작지점을 검출한다(S420).1 to 4, when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21 receives a play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er 112 (S410),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playback start point in the content is detected (S420).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1시점에 재생(Play)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 부(121)에 입력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기 위해 t1시점을 해당 컨텐츠의 재생시작지점으로 설정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a Play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121 at time t 1 ,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the Contents Usage Score. In order to calculate, t 1 is set as a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검출된 재생시작지점을 저장부(125)에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 내 재생(Play)신호가 입력된 위치부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430). 즉, 제어부(124)의 제어하에 랜더링 디바이스(130)가 재생(Play)신호가 입력된 위치부터 해당 컨텐츠가 상영한다.The detected playback start poi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5,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played back from a position where a play signal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input (S430). That is, the content is display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rendering device 130 receives the Play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4.

해당 컨텐츠를 재생 중,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면(S440),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해당 컨텐츠 내의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한다(S450).If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112 whil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being reproduced (S440),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reproduces the content. The end point is detected (S450).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6시점에 종료(Stop)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기 위해 t6시점을 컨텐츠의 재생종료지점으로 설정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stop signal is inputted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at time t 6 ,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the contents usage score. To calculate, the time t 6 is set as the playback end point of the content.

S420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시작시점과 S450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S460).Using the playback start point detected in step S420 and the playback end point detected in step S450,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a contents usage score (S460).

여기서, 산출되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해당 컨텐츠 전체의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이다.Here,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is the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of the entire contents.

제어부(124)가 산출된 전체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부(125)에 저장한다(S470).The control unit 124 stores the calculated total content use index in the storage unit 125 (S470).

여기서, S440단계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 중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는 대신 되감기(Rewind)신호를 수신하면(S443),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되감기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재생종료지점으로 검출한다(S453).Here, in step S440, if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rewind signal instead of receiving the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112 while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S443), the content usage index ( Contents Usage Score) The calculating unit 122 detects a time point at which the rewind signal is received as the playback end point (S453).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3시점에 되감기(Rewind)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기 위해 t3시점을 해당 구간의 컨텐츠 재생종료지점으로 설정한다. 즉, t1시점에서 t3시점까지가 하나의 재생구간이 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a rewind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at time t 3 ,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the contents usage score. In order to calculate, the time t 3 is set as the content playback end point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In other words, one playback section is provided from the time point t 1 to the time point t 3 .

S420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시작시점과 S453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S463).Using the playback start point detected in step S420 and the playback end point detected in step S453,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a contents usage score (S463).

여기서, 산출되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t1시점에서 t3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이다.Here,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is a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from time t 1 to time t 3 .

제어부(124)가 t1시점에서 t3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부(125)에 저장한다(S473).The controller 124 stores the content usage index from the time t 1 to the time t 3 in the storage 125 (S473).

제어부(124)가 입력받은 되감기 신호에 따라 t3시점부터 되감기 명령을 수행한다(S483).The control unit 124 performs a rewind command from time t 3 according to the received rewind signal (S483).

되감기 명령을 수행 중 ,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재생신호를 수신하면, 재생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재생시작지점으로 검출한다(S493).If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playback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112 during the rewinding command,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detects the reception time as the playback starting point (S493).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3시점부터 되감기 명령을 수행하던 중 t2시점에 재생(Play)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t2시점을 해당 구간의 재생시작지점으로 설정한다.In other words, when a play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at the time t 2 while the rewinding command is performed from the time t 3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is performed. Sets the time point t 2 as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그리고, 이후에 종료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을 재생종료지점으로 검출하여 해당 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t2시점부터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던 중 t6시점에 종료신호가 입력이 되면, t2시점부터 t6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한다. 또한, t4시점에 종료신호가 입력이 되면, t2시점부터 t4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한다.Thereafter, a time point at which the end signal is input is detected as a play end point, and a content use index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calculated. For example, t 2 when the end signal is input to the time point t 6 while trying to play back the content from the time, t 2 calculates the usage index of the contents from time to time t 6. Further, when the end signal is input to the time point t 4, and t 2 calculates the usage index of the content from the time t 4 to tim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되감기를 실행하여 재생한 T23구간의 총 재생횟수는 2번이 되고, T23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는 2가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otal number of times of playback of the T 23 section reproduced by rewinding is two, and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T 23 section is two.

여기서, S440단계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 중,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거나 S443단계에서 되감 기(Rewind)신호를 수신하는 대신,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를 수신하면(S445),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빨리감기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재생종료지점으로 검출한다(S455).Here, while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step S440,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a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112, or instead of receiving a rewind signal in step S443, the fast forward ( When the fast forward signal is received (S445),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detects the time when the fast forward signal is received as the playback end point (S455).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4시점에 빨리감기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기 위해 t4시점을 해당 구간의 컨텐츠 재생종료지점으로 설정한다. 즉, t1시점에서 t4시점까지가 하나의 재생구간이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fast-forward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121 at time t 4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the contents usage score. T 4 is set as the content playback end point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That is, one playback section is provided from the time point t 1 to the time point t 4 .

S420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시작시점과 S455 단계에서 검출된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한다(S465).Using the playback start point detected in step S420 and the playback end point detected in step S455,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or 122 calculates a contents usage score (S465).

여기서, 산출되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t1시점에서 t4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이다.Here,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is a content usage index (CUS: Contents Usage Score) from time t 1 to time t 4 .

제어부(124)가 t1시점에서 t4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부(125)에 저장한다(S475).The controller 124 stores the content use index from the time t 1 to the time t 4 in the storage 125 (S475).

제어부(124)가 입력받은 빨리감기 신호에 따라 t4시점부터 빨리감기 명령을 수행한다(S485).The control unit 124 performs a fast forward command from time t 4 according to the received fast forward signal (S485).

빨리감기 명령을 수행 중 , 리모콘신호 수신부(121)가 리모콘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재생신호를 수신하면, 재생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재생시작지점으로 검출한다(S495).If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playback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12 while performing the fast forward command, it detects the time when the playback signal is received as the playback start point (S495).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4시점부터 빨리감기 명령을 수행하던 중 t5시점에 재생(Play)신호가 리모콘신호 수신부(121)에 입력되면,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122)가 t5시점을 해당 구간의 재생시작지점으로 설정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a play signal is input to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ing unit 121 at a time t 5 while performing a fast forward command from time t 4 , the contents usage score calculation unit 122 is performed. ) Sets time t 5 as the playback sta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그리고, 이후에 종료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을 재생종료지점으로 검출하여 해당 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t5시점부터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던 중 t6시점에 종료신호가 입력이 되면, t5시점부터 t6시점까지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한다. Thereafter, a time point at which the end signal is input is detected as a play end point, and a content use index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calculated. For example, the t 5 when the end signal is in the time t 6 while trying to play back the content from the time input, t 5 calculates the usage index of the content from the time t 6 to tim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빨리감기를 실행한 T45구간의 총 재생횟수는 0이 되고, T45구간의 컨텐츠 사용지수는 0이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otal number of replays of the fast forward section T 45 is zero, and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section T 45 is zero.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해당 컨텐츠 자체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의 산출이 가능하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usage index (Contents Usage Score) for the content itself can be calculated with the content usage index (Contents Usage Score) for each internal section of the cont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분석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사용지수(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함으로써, 해당 컨텐츠 자체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와 함께 해당 컨텐츠의 내부 구간별 컨텐츠 사 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alculating the content usage score of the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control, by the internal section of the content along with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itself;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number of contents page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조작명령을 수신하는 리모콘신호 수신부;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command by a user; 상기 수신된  리모콘 조작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Contents)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 및A contents usage index (CUS)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received remote control operation commands to calculate a contents usage score (CU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s; And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age index calcula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의 분석은,Analysis of the operation command by the user,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바탕으로,Based on the Play signal, Pause signal, Stop signal, Fast forward signal, and Rewind signal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 횟수인자(Frequency factor), 및 최신인자(Recency fa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Content analy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by the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Inclination factor), the percentage factor (Percentage factor), the frequency factor (Frequency factor), and the Recency facto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contents usage score (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19
Figure 112007058873518-pat00019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D[eid] 컨텐츠 eid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 V[eid]는 컨텐츠 eid의 유효기간, T0[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Where uid is the user ID, eid is the episode ID, CUS [uid,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D [eid] the total time of the content eid, and i [uid, eid] is The order in which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ei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when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time, V [eid] is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eid, and T 0 [uid, eid] is The time when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first time, T i [uid, eid] is the time when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time, and λ is a coefficient indicating a viewing frequency and a recency factor. Content receiv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는,The content usage score (CUS) calculation unit,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의 일정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And analyzing a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to calculate a contents usage index (CU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a certain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 산출부는,The content usage score (CUS) calculation unit, 특정 컨텐츠를 시청한 모든 사용자들의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사용지수의 평균을 나타내는 에피소드 컨텐츠 사용지수(ECUS: Episode Contents Usage Score),Episode Contents Usage Score (ECUS), which represents the average of the usage indexes for the specific content of all users who watched the specific content, 연관된 컨텐츠들로 구성된 스테이션의 사용지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컨텐츠 사용지수(SCUS: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SCUS), which indicates the usage index of a station composed of related contents, 특정 사용자가 시청한 모든 컨텐츠에 대한 사용지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UCUS: User Contents Usage Score), 및 A User Contents Usage Score (UCUS) that represents a usage index for all content viewed by a particular user, and 특정 기준에 따라 그룹(group)화된 사용자들의 컨텐츠 사용지수를 나타내는 그룹 컨텐츠 사용지수(GCUS: Group Contents Usage Score)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And a group content usage index (GCUS) indicating a content usage index of users group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에피소드 컨텐츠 사용지수(ECUS: Episode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episode contents usage score (E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0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0
여기서, ECUS[eid]는 컨텐츠 eid의 컨텐츠 사용지수, U[eid]는 컨텐츠 eid를 시청한 사용자의 총 횟수, CUS[j,eid]는 컨텐츠 eid에 대한 사용자 j의 컨텐츠 사용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Here, ECUS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content eid, U [eid] is the total number of users who watched the content eid, and CUS [j,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user j for the content eid. Content receiving devic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테이션 컨텐츠 사용지수(SCUS: Station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Station Contents Usage Score (S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1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1
여기서, SCUS[sid]는 스테이션 sid의 컨텐츠 사용지수, E[sid]는 스테이션 sid에 속하는 컨텐츠의 총 갯수, ECUS[e]는 컨텐츠 e의 컨텐츠 사용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Wherein SCUS [s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station sid, E [sid] is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belonging to the station sid, and ECUS [e]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content 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UCUS: User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User Contents Usage Score (U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2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2
여기서, UCUS[uid]는 사용자 uid에 대한 사용자 컨텐츠 사용지수, E[uid]는 사용자 uid가 시청한 컨텐츠의 개수, CUS[uid,j]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j를 시청한 경우 컨텐츠 사용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Where UCUS [uid] is the user content usage index for the user uid, E [uid] is the number of contents watched by the user uid, and CUS [uid, j] is the content usage index when the user uid watched the content j. Content rece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그룹 컨텐츠 사용지수(GCUS: Group 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Group Contents Usage Score (G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3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3
여기서, GCUS[gid]는 그룹 gid의 컨텐츠 사용지수, U[gid]는 그룹 gid의 인원수, UCUS[u]는 사용자 u의 컨텐츠 사용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Wherein GCUS [g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group gid, U [gid] i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group gid, and UCUS [u] is the content usage index of the user u.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연결된 외부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Contents) 수신부; 및Content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ontent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상기 컨텐츠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 산출부가 산출한 컨텐츠 사용지수를 연결된 외부 랜더링 디바이스(Rendering Device)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And an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content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er and the content use index calculated by the content use index calculator to a connected external rendering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The service providing device, 연결된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동적으로 컨텐츠를 제공받으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체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Conten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dynamically from the connected content providing device, the content usage index can be calculated by the monitoring system itself.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는,The content providing device,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방식을 통해 동적으로 컨텐츠를 배급하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체적으로 컨텐츠 사용지수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장치.A content receiving apparatus, wherein content is distributed dynamically through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method, and a content usage index can be calculated by a monitoring system.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조작명령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command by a user; 상기 수신된 리모콘 조작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Contents)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 및Analyzing a received remote control operation command to calculate a contents usage index (CU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the contents; And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And 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의 분석은,Analysis of the operation command by the user, 리모콘에 의해 발생되는 재생(Play)신호, 일시정지(Pause)신호, 종료(Stop)신호,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 및 되감기(Rewind)신호를 바탕으로,Based on the Play signal, Pause signal, Stop signal, Fast forward signal, and Rewind signal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기호인자(Inclination factor), 비율인자(Percentage factor), 횟수인자(Frequency factor), 및 최신인자(Recency fa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A method of calculating a content usage index,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is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combination of an inclusion factor, a percentage factor, a frequency factor, and a recency factor.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contents usage score (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4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4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D[eid] 컨텐츠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 V[eid]는 컨텐츠의 유효기간, T0[uid,eid]는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컨텐츠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Where uid is the user ID, eid is the episode ID, CUS [uid,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D [eid] the total time of the content, and i [uid, eid] is the user The order in which uid watched the content ei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for which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V [eid] is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and T 0 [uid, eid] is the content A first usage time, T i [uid, eid] is an i th time of using the content, and λ is a coefficient representing a viewing frequency and a recency factor.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는,The calculating of the content usage score (CUS) includes: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의 일정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And a content usage index (CUS) indicating a user's interest in a certain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analyzing the manipulation command by the user. 해당 컨텐츠(Contents)의 재생(Play)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재생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시작지점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playback start point using the received playback signal when receiving a playback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을 저장하고, 상기 재생신호가 입력된 위치부터 상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toring the detected reproduction start point and reproduc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a position at which the reproduction signal is input; 상기 컨텐츠 재생 중 종료(Stop)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종료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stop point of playback using the received stop signal when a stop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content is being played;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 및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 및Calculating a contents usage index (CUS) using the detected playback start point and playback end point; And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And 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제 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Receiving the stop signal, 수신한 신호가 되감기(Rewind)신호일 경우, 상기 수신한 되감기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playback end point by using the received rewind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rewind signal;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 및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 contents usage index (CUS) using the detected playback start point and playback end point;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고 되감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및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 usage index and executing a rewind command; And 상기 되감기 명령을 수행 후 상기 되감기 명령이 종료하는 지점부터 다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And replaying from the point where the rewind command ends after the rewind command is executed. 제 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종료(Stop)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Receiving the stop signal, 수신한 신호가 빨리감기(Fast Forward)신호일 경우, 상기 수신한 빨리감기신호를 이용하여 재생종료지점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playback end point by using the received fast forward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fast forward signal; 상기 검출된 재생시작지점 및 재생종료지점을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 contents usage index (CUS) using the detected playback start point and playback end point; 상기 산출된 컨텐츠 사용지수를 저장하고 빨리감기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및Storing the calculated content use index and executing a fast forward command; And 상기 빨리감기 명령을 수행 후 상기 빨리감기 명령이 종료하는 지점부터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And playing back from the point where the fast forward command ends after the fast forward command is executed.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컨텐츠 사용지수(CUS:Contents Usage Scor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며,The contents usage score (CU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5
Figure 112007058873518-pat00025
여기서, uid는 사용자 ID, eid는 episode(컨텐츠) ID, CUS[uid,eid]는 사용자 uid의 컨텐츠 eid에 대한 컨텐츠 사용지수, D[eid] 컨텐츠의 총 시간, 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시청한 순서, Di[uid,eid]는 사용자 uid가 컨텐츠 eid를 i번째 사용한 총 시청 시간, V[eid]는 컨텐츠의 유효기간, T0[uid,eid]는 컨텐츠를 처음 사용한 시간, Ti[uid,eid]는 컨텐츠를 i번째 사용한 시간, λ는 시청빈도(viewing frequency)와 최신인자(Recency factor)을 나타내는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사용지수를 산출하는 방법.Where uid is the user ID, eid is the episode ID, CUS [uid, eid] is the content usage index for the content eid of the user uid, D [eid] the total time of the content, and i [uid, eid] is the user The order in which uid watched the content eid, D i [uid, eid] is the total viewing time for which the user uid used the content eid for the i th, V [eid] is the validity period of the content, and T 0 [uid, eid] is the content A first usage time, T i [uid, eid] is an i th time of using the content, and λ is a coefficient representing a viewing frequency and a recency factor.
KR1020060029478A 2006-03-31 2006-03-31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KR100842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478A KR100842086B1 (en) 2006-03-31 2006-03-31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478A KR100842086B1 (en) 2006-03-31 2006-03-31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167A KR20070098167A (en) 2007-10-05
KR100842086B1 true KR100842086B1 (en) 2008-06-30

Family

ID=3880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478A KR100842086B1 (en) 2006-03-31 2006-03-31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0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942B1 (en) * 2008-05-28 2011-04-12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Trick Play and Seek Functions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Contents Including Undownloaded Parts in Download-and-Play Service
KR102334596B1 (en) * 2020-03-17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ontent to u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798A (en) * 2000-06-24 2000-09-05 유인오 Service Method for Comparing and Evaluating Web-Based Contents over the Internet Using the Intent and Satisfaction indices of Users
JP2002203028A (en) * 2000-12-28 2002-07-19 Rich Pictures Inc Suppor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self-discovery or self-development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40000370A (en) * 2003-12-02 2004-01-03 (주)퍼즐랜드 Membership online shopping linked with points occuring from the online contents services
KR20060108894A (en) * 2005-04-14 2006-10-18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tents on the internet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798A (en) * 2000-06-24 2000-09-05 유인오 Service Method for Comparing and Evaluating Web-Based Contents over the Internet Using the Intent and Satisfaction indices of Users
JP2002203028A (en) * 2000-12-28 2002-07-19 Rich Pictures Inc Suppor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self-discovery or self-development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40000370A (en) * 2003-12-02 2004-01-03 (주)퍼즐랜드 Membership online shopping linked with points occuring from the online contents services
KR20060108894A (en) * 2005-04-14 2006-10-18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tents on the internet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167A (en)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7376B (en) Program recommendation apparatus
US9872071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inhibiting the presentation of spoiler content based on requested content
KR100672296B1 (en) Method for calculating program rating using both direction TV
US200600647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8607287B2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CA3042900C (e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9681105B2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7840977B2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103827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commendation for at least one further content item
JP5146315B2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method, and video playback program
US81311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during writing and production of a media asset
US87937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enabling computer to execute same method
US20070157240A1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20070157260A1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20060188221A1 (en) Video device having priority-based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10081262A (en) Delete viewed portions of recorded programs
US201101384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with a media asset on a media equipment device
US20050251437A1 (en) Adapting an interest profile on a media system
WO2006035850A1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server
EP1827018A1 (en) Video content reproduction supporting method, video content reproduction supporting system, and information delivery program
US10659842B2 (en) Integral program content distribution
US201202945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Content
JP45863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3801101B2 (en) Preference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KR100842086B1 (en) Con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tents usage scor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