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017B1 -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17B1
KR100838017B1 KR1020070021581A KR20070021581A KR100838017B1 KR 100838017 B1 KR100838017 B1 KR 100838017B1 KR 1020070021581 A KR1020070021581 A KR 1020070021581A KR 20070021581 A KR20070021581 A KR 20070021581A KR 100838017 B1 KR100838017 B1 KR 10083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contents
lay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2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0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ulti-contents service method on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are provided to offer plural contents at a time to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 standby state, thereby meeting a user's demand for DIY services. A contents receiving module(110) receives contents by distinguishing the contents by layers, and enables the contents to occupy the corresponding layers. A handset operating system module(120) drives a terminal(100), has a user interface, and executes an application. A contents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130) synthesizes the distinguished contents into one idle screen layer, allows contents within the distinguished layers to be objects to occupy at least a partial area of an idle screen, and provides the contents to the idle screen of the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on idle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구조도이다.3 is a program structure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multiple contents are provided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합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ynthesizing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컨텐츠 수신 모듈 120 : 핸드셋 OS 모듈110: content receiving module 120: handset OS module

130 :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cont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such as a considerable amount of communication occurring in human relationship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더욱 증가하고 다양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의 이용, 금융거래 서비스 등 의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중의 하나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이며,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pplications proces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further increased and diversified.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the use of cont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are provided. One of them is a wireless Internet ac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user can download desired contents by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time and anywhere.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식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을 개시하고, 통신 연결 사업자의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접속을 연결하며,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통신 연결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고,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연결할 때에도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tent download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initiate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rver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provider connec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of downloading content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time is consum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costs even when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상태일 때에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기화면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하나의 컨텐츠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Recently, in view of such a problem, a service has been developed by provid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contents on a standby screen of a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standby state. However,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of the idle screen can only provide one cont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needs to be changed in order to change the desired cont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기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on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hav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변경없이 사용자 임의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arbitrarily change contents provided on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changing an applic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모듈; 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핸드셋 운영체제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레이어로 구분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contents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A conten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system in layers; A handset operating system module for driving a terminal, having a user interface,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for synthesizing the content divided by the layers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into one standby screen layer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단계; (b)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합성한 대기화면 레이어를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the content classified into layers; (b) synthesizing the received contents into layers in one standby screen layer; And (c) providing the synthesized idle screen layer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절차와,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는 절차 및 상기 합성한 대기화면 레이어를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a content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rded. A process of dividing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layers and receiving the contents divided into layers, synthesizing the received contents into one standby screen layer, and synthesizing the synthesized standby screen layer into a standb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dure provided on an idle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20)을 통해 이 동통신 시스템(10)에 무선 접속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은 인터넷(30)에 연결되고, 인터넷(30)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41, 42, 43)들이 접속되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에 직접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버(44)도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through a base station 20.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30, and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servers 41, 42, and 43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30 to provide content.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44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may be configured.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은 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 게이트웨이 등의 코어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모두 수행한다. 상기 인터넷(30)은 일반 공중망을 포함하며,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41, 42, 43)들이 상기 인터넷(30)을 매개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에 연결된다. 상기 인터넷(3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에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버(41, 42, 43)들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에 직접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버(44)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지국(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렇게 컨텐츠 제공 서버들은 이동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is composed of a core network such as an exchange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gateway, and performs both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The Internet 30 includes a general public network, and content providing servers 41, 42, and 43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ar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through a gateway through the Internet 3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s 41, 42, and 43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through the Internet 3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44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ar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the base station 20 through the network of 10). As su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s provide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이때,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에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41, 42, 43, 44)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서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en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at manages contents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servers 41, 42, 43, and 44.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10)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통화 호의 착/발신을 처리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사용자에게 다양한 단말기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들을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듈(110)과 단말기를 구동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핸드셋 운영체제 모듈(120) 및 수신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ed with the multi-content on the id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wireless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and a controller for handling incoming / outgoing call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a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an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various terminal functions to the user, and a memory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ncludes a content receiving module 110 for receiving the contents, the handset operating system module 120 for driving th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running and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for managing the received content.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 시스템(10)의 기지국(20)과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는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and communicating wireless data.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a pilot channel, a paging channel, a traffic channel,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를 구동하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처리 작업을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화 호의 착/발신 작업을 처리하고 연결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와 연동하여 단말기 내부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The controller drives the terminal, controls the overall processing of the terminal, and processes and conn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 from the call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face unit executes various programs in the terminal and inputs / outputs data in the memory.

상기 입력부는 마이크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키패드와 같은 입력 신호를 제공받는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말기를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The input unit receives a voice of a micro user and receives a signal for operating a terminal from the user by means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such as a keypad.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에서 처리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 는 단말기의 처리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램프, 진동 모터의 진동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장치, 벨소리나 사운드를 통하여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provides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terminal.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a processing state of a terminal on a screen, a light emitting lamp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light emission of a light emitting element, a vibrating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vibration of a vibration motor, and sound information through a ring tone or sound. It includes a speaker to deliver.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The interface unit functions to help the user to easily use the basic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the terminal.

상기 핸드셋 운영체제 모듈(20)은 단말기를 구동하고 운영하여 사용자에게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 및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The handset operating system module 20 is a program for driving and operating a terminal to support a user to communicate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through the terminal.

상기 컨텐츠 수신 모듈(110)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10)과 무선 접속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컨텐츠는 각각 레이어로 구분을 한다. 다시 말해서 제 1 컨텐츠 제공 서버(41)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레이어 1로 구분을 하여 수신하고, 제 2 컨텐츠 제공 서버(42)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레이어 2로 구분을 하여 수신한다.The content receiving module 110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in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t this time, the received content is divided into layers. In other words, content provided from the first content providing server 41 is divided into layers 1 and received, and content provided from the second content providing server 42 is divided into layers 2 and received.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은 상기 컨텐츠 수신모듈(110)에서 수신한 레이어로 구분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은 이벤트 제어부(132), 컨텐츠 설정부(134) 및 위치 관리부(136)를 포함한다.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synthesizing content divided into layers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110 into one standby screen layer and providing the standby screen to the terminal display unit.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includes an event controller 132, a content setting unit 134, and a location manager 136.

이때, 하나의 컨텐츠는 하나의 레이어를 점유하여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레이어 내에 포함된 컨텐츠는 객체화되어 처리되며,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에 의해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될 시에 객체화된 컨텐츠 객체는 크기 및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객체화된 컨텐츠 객체의 크기 및 위치 변경은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에서 관리하고, 각 컨텐츠 객체의 컨텐츠 제공이나 컨텐츠 수행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즉, 컨텐츠 객체의 레이어 내의 크기 및 위치는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이 처리하고, 컨텐츠 객체 컨텐츠 제공이나 컨텐츠 수행은 컨텐츠 자체로 독립적인 처리를 진행하고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영향을 받는다.At this time, one content occupies one layer to perform an independent function. In addition, the content included in the layer is objectized and processed, and when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is synthesized on the standby screen layer, the object and the content object can be changed in size and position. The size and location change of the objectized content object is managed by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and the content provision or content performance of each content object is independently performed. That is,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layer of the content object is processed by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and the content object content provision or content execution is independently processed by the content itself and affect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d the content. Receive.

이렇게, 각각의 레이어 내의 컨텐츠는 개별적으로 단말기의 플랫폼 및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와 프로세싱을 진행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130)은 레이어로 구분된 다수의 컨텐츠를 관리하고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된 다수의 컨텐츠들은 모두 상기 메모리의 힙(Heap)에 상주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처리가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the content in each layer is processed separately with the platform of th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130 manages a plurality of content divided into layers and synthesized in one idle screen layer do. Here, the plurality of contents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all reside in the heap of the memory, so that each individual process can be independently processed.

상기 이벤트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대기화면에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할 때의 그 조작 신호나 키 입력 정보를 해당 컨텐츠의 레이어로 분배하여 처리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벤트 제어부(1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조작입력을 제공받아 해당하는 컨텐츠의 레이어로 분배한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대기화면에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들 중 선택된 컨텐츠의 조작입력이나 키 이벤트 요청을 해당하는 컨텐츠의 레이어로 분배하면 이를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독립 적인 처리 프로세스에 이용하게 된다.The event controller 132 serves to distribute and process the operation signal or key input information when the user uses any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on the idle screen to the lay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That is, the event controller 132 receives a content manipulation input from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distributes it to a lay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is way,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on input or a key event request of a selected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on a standby screen to a lay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or used for an independent processing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do.

상기 컨텐츠 설정부(134)는 제공되는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선택된 컨텐츠들을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여 제공한다. 즉, 상기 컨텐츠 수신모듈(110)에서 수신한 레이어로 구분된 컨텐츠들 중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할 레이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레이어들을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대기화면에 제공된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 설정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setting unit 134 plays a role of allowing a user to select desired contents among the provided contents, and synthesizes the selected contents into a standby screen layer. That is, the user may select a layer to be synthesized to the standby screen layer among the contents classified into the layers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110, and synthesize the selected layers into the standby screen layer.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content setting menu interface for selecting contents provided on the idle screen.

상기 위치 관리부(136)는 대기화면에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배치하거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텐츠 수신모듈(110)에서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설정부(134)에서 선택된 컨텐츠 레이어들을 대기화면에 합성할 때에 각 레이어의 컨텐츠들을 객체화하고 그 객체들의 대기화면상의 배치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대기화면에 제공될 컨텐츠들의 위치 및 배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관리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r 136 plays a role of allowing a user to arrange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on an idle screen in a desired area or to set a location. That is, when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110 receives and synthesizes the content layers selected by the content setting unit 134 on the standby screen, the contents of each layer can be objectized and the positions of the objects to be placed on the standby screen can be set. do. In this case, the user may provide a location management menu interface for adjusting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contents to be provided on the idle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구조도이다.3 is a program structure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multiple contents are provided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각 컨텐츠 제공 서버(41, 42, 43)에서는 각기 다른 컨텐츠를 제공한다.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버(41, 42, 43)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단말기 내에서는 각 컨텐츠 당 하나의 레이어를 할당하여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 츠 제공 서버(41)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제 1 레이어(51)로 할당하여 처리하고, 제 2 컨텐츠 서버(42)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제 2 레이어(52)로 할당하여 처리한다. 여기서, 단말기 내의 각 레이어에 할당된 컨텐츠들을 객체화되어 처리된다.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s 41, 42, and 43 provides different contents. Content provided by each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s 41, 42, and 43 is one for each content in the terminal. Assign and process layers.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first content providing server 41 is allocated to the first layer 51 and processed, and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second content server 42 is assigned to the second layer 52. Process. Here, the contents allocated to each layer in the terminal are processed as an object.

이렇게 레이어에 할당된 컨텐츠 객체들은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60)에서 관리되는데,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60)은 각 컨텐츠의 내용이나 제공 서비스에는 관여하지 않고 각 레이어들을 선택, 합성하고 객체들의 위치관리 및 이벤트 발생시에 해당 레이어로 분배하는 처리를 담당한다. 각 레이어별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객체로 관리하여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할 레이어를 선택하고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될 객체의 배치와 위치를 설정한다. 컨텐츠가 선택되고 객체들의 배치가 설정되면, 대기화면 레이어에 하나로 합성을 하여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 LCD에 제공한다. 이때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된 컨텐츠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힙에 상주하게 된다.The content objects assigned to the layers are managed in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60.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60 selects and synthesizes each layer without being involved in the contents or the service of each content and manages the location and event of the objects. It is in charge of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o the corresponding layer when it occurs. The content provided for each layer is managed as an object to select a layer to be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and to set the position and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When the content is select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s is set, it is synthesized into one of the standby screen layers and provided to the standby mobile LCD. Contents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at this time reside in the memory hea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60)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들 중 키 이벤트나 조작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컨텐츠별 레이어(51, 52, 53)로 분배하는 처리를 진행한다. 이렇게 분배된 이벤트나 조작입력은 해당 레이어에서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즉, 해당 레이어의 컨텐츠 내에서 처리되거나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와 연동을 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60)과는 독립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랫폼(70) 및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예로 41)와 개별적으로 프로세싱이 진행된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60 performs a process of distributing to a content-specific layer (51, 52, 53)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a key event or operation input among the contents provided from the user occurs. These distributed events or manipulation inputs are processed independently in the layer. That is,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content of the layer or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this case, processing is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platform 7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example, 41) independently of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60.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랫폼/운영체제(70)는 컨텐츠 객체들의 독립적인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고,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60)의 처리 결과가 반영되며, 단말기 LCD 대기화면에 합성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및 조작입력을 제공받는 인터페이싱 역할을 담당한다.The platform / operating system 7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s independent processing of content objects, reflect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60, provides synthesized content on the terminal LCD standby screen, and provides events and It serves as an interfacing receiving manipulation inpu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다수의 컨텐츠 제공서버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해당 서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컨텐츠 제공한다. 이때에는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로 컨텐츠가 수신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컨텐츠 관리서버로 컨텐츠가 수신되어 전처리가 진행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전처리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포맷 변환 등이 될 수 있다.(1)Referring to FIG. 4, first, content is requested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serv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and the server provides conten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ay be received by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n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preprocessing. The preprocessing may be format conversion for providing conten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수의 컨텐츠가 수신되면, 이를 각각의 컨텐츠별로 레이어를 할당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각 컨텐츠를 레이어로 할당하고 구분하여 각 컨텐츠들은 독립적으로 취급된다. 여기서, 각각의 컨텐츠별로 할당되어 구분된 레이어는 레이어 식별정보가 설정된다.(2)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sk of allocating layers for each contents is performed. Each content is assigned to a layer and divided so that each content is treated independently. Here, the lay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t in the layer allocated and classified for each content. (2)

이렇게, 레이어가 구분되면, 수신된 다수의 컨텐츠는 각각의 레이어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레이어로 제공되고 해당 레이어에서는 제공된 컨텐츠를 반영하는 업데이트가 처리된다.(3)In this way, when the layers are divided, the plurality of received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layer based on the respective lay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update reflecting the provided contents is processed in the layer.

다음으로, 레이어로 구분된 컨텐츠들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될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선택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요청시에 진행하며, 요청이 없을 시에는 생략이 가능하다.(4)Next, the content to be provided on the idl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divided into layers. In this case, the user may provide a selection menu interface. In addition, this step is performed when a content selection request is made from a user, and it can be omitted if there is no request.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은 각각의 레이어별로 객체화되고, 대기화면에 배치될 위치가 설정된다. 이때 역시, 사용자에게 위치관리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 역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위치관리 요청시에 진행하며, 요청이 없을 시에는 생략이 가능하다.(5)The selected contents are objectized for each layer and a position to be placed on the idle screen is set. At this time, too, the user may provide a location management menu interface. In addition, this step also proceeds when requesting the location management of the content from the user, it can be omitted if there is no request.

대기화면에 배치될 컨텐츠 객체들의 위치가 설정되면 각 객체들이 포함된 다수의 레이어들은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로 합성한다. 이렇게 합성된 대기화면 레이어는 하나의 레이어에 다수의 컨텐츠 객체들이 존재하지만, 각 컨텐츠 객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6)When the position of the content objects to be placed on the idle screen is set,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each object are combined into one idle screen layer. In the composite screen image layer, a plurality of content objects exist in one layer, but each content object operat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이렇게 합성된 대기화면 레이어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상태일 때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어 해당 컨텐츠들이 제공된다. 이 대기화면 레이어에는 다수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고 각 컨텐츠들은 각기 독립적인 처리 프로세스로 동작한다.(7)The synthesized standby screen layer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tandby state and corresponding contents are provided. In this standby screen layer,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and each contents operate in independent processing processes.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수의 컨텐츠 객체들이 합성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 objects are synthesized on the idl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합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ynthesizing a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an idl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은 각각 구분된 레이어로 할당되고 해당 레이어 내에는 컨텐츠가 객체화된다. 즉, 도면에서 와 같이 예로 5개의 레이어(L1, L2, L3, L4, L5)에 각각 수신된 컨텐츠가 할당된다. 첫번째 레이어(L1)에는 달력 컨텐츠가 객체화되어 객체(ob1)로 위치된다. 두번째 레이어(L2)에는 주식정보 컨텐츠가 객체화되어 객체(ob2)로 위치된다. 세번째 레이어(L3)에는 날씨정보 컨텐츠가 객체화되어 객체(ob3)로 위치한다. 네번째 레이어(L4)에는 검색창 컨텐츠가 객체화되어 객체(ob4)로 위치한다. 다섯번째 레이어(L5)에는 시간정보 컨텐츠가 객체화되어 객체(ob5)로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assigned to separate layers, and the contents are objectized within the corresponding layers.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ed content is allocated to each of the five layers L1, L2, L3, L4, and L5. In the first layer L1, calendar content is objectized and positioned as an object ob1. In the second layer L2, the stock information content is objectized and positioned as the object ob2. In the third layer L3, the weather information content is objectized and positioned as the object ob3. In the fourth layer L4, the content of the search box is objectized and positioned as the object ob4. In the fifth layer L5, the time information content is objectized and positioned as an object ob5.

상기 다섯 개의 레이어는 하나의 레이어로 합성(S)하게 되고, 이렇게 합성된 결과로 대기화면 레이어(LI)가 생성된다. 이 대기화면 레이어(LI)에는 상기 다섯 개의 컨텐츠가 모두 제공된다. 또한, 각 컨텐츠는 하나의 대기화면에 제공되지만 각기 구분된 레이어가 존재하고 해당 레이어별로 독립적으로 처리된다.The five layers are synthesized into one layer (S), and as a result of this synthesis, the standby screen layer LI is generated. All five contents are provided in the idle screen layer LI. In addition, each content is provided on one idle screen, but there are separate layers, and each layer is processed independent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를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 대기화면상에 한번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DIY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컨텐츠 참여 비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time, the user can satisfy the desire for DIY service and increase the content participation rate. to provid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처리되어 제공되는 컨텐츠의 변경이 용이하고 대기화면상에 컨텐츠의 배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on the idl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cessed independentl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asily changing the contents provided and allowing a user to freely arrange the contents on the idle screen.

Claims (11)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content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가 해당 레이어를 점유하도록 하는 컨텐츠 수신모듈;A conten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content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to layers and allowing the content to occupy the layer; 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핸드셋 운영체제 모듈; 및A handset operating system module for driving a terminal, having a user interface,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상기 컨텐츠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레이어로 구분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며, 구분된 레이어 내의 컨텐츠는 객체화되어 대기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차지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Combining the content divided by the layer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into one standby screen layer, the content in the divided layer is objectized to occup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andby screen to provide to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a standby screen including a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조작입력을 제공받아 해당하는 컨텐츠의 레이어로 분배하는 이벤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event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content manipulation input from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distribute the same to a lay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상기 컨텐츠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레이어로 구분된 컨텐츠들 중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할 레이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provided with multiple contents on the idle screen further comprises a; content setting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layer to be synthesized to the idle screen layer among the content divided by the layer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듈은,The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module,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한 컨텐츠들의 대기화면상의 배치 및 위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location manage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a layout and a location on a standby screen of contents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가 해당 레이어를 점유하도록 하는 단계;(a) receiving content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layers and allowing the content to occupy the corresponding layer; (b)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며, 구분된 레이어 내의 컨텐츠는 객체화되어 대기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차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b) synthesizing the received contents into layers on one standby screen layer, and contents in the divided layers are objectized to occupy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tandby screen; And (c) 상기 합성한 대기화면 레이어를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c) providing the synthesized idle screen layer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각 레이어 내의 컨텐츠는 개별적으로 단말기의 플랫폼 및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와 프로세싱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Content in each layer is a multi-content providing metho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with the platform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f the terminal individuall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단계 (b)에서,In step (b),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된 각 레이어에 따른 컨텐츠는 모두 힙(Heap)에 상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And all contents according to each layer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reside in a heap.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단계 (b)는,Step (b) is,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한 컨텐츠들 중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할 레이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컨텐츠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And a content setting step of selecting a layer to be synthesized into a standby screen layer among the contents received by dividing the layer by a user. 2.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단계 (b)는,Step (b) is,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한 컨텐츠들의 대기화면상의 배치 및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위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And a position setting step of selecting a layout and a position of the contents synthesized in the idle screen layer from the user from a user.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a content provided from at least on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is recorded.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가 해당 레이어를 점유하도록 하는 절차와,A process of dividing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layer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ing the corresponding layers; 레이어로 구분하여 수신한 컨텐츠들을 하나의 대기화면 레이어에 합성하며, 구분된 레이어 내의 컨텐츠는 객체화되어 대기화면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차지하도록 하는 절차 및A process of synthesizing the received contents into layers on one standby screen layer, and the contents in the separated layers are objectized to occupy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idle screen; and 상기 합성한 대기화면 레이어를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제공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nd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recording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dure of providing the synthesized standby screen layer to a standb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KR1020070021581A 2007-03-05 2007-03-05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838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81A KR100838017B1 (en) 2007-03-05 2007-03-05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81A KR100838017B1 (en) 2007-03-05 2007-03-05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017B1 true KR100838017B1 (en) 2008-06-12

Family

ID=3977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581A KR100838017B1 (en) 2007-03-05 2007-03-05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01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64B1 (en) * 2008-06-18 2010-11-2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reated contents of idle mode scree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9128555B2 (en) 2010-01-29 2015-09-08 Pantech Co., Ltd.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47050B1 (en) * 2010-07-27 2018-04-09 신철호 Mobile Terminal with Application Installation/Management Function
KR101897729B1 (en) * 2012-09-05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713A (en) * 2002-04-01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08836A (en)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on displa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50091246A (en)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lural screens at the same time in the mobile phone
KR20060109381A (en) * 2005-04-15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formation in parallel which are related but composing distinct categor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713A (en) * 2002-04-01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08836A (en)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on display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50091246A (en)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lural screens at the same time in the mobile phone
KR20060109381A (en) * 2005-04-15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formation in parallel which are related but composing distinct categori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64B1 (en) * 2008-06-18 2010-11-2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reated contents of idle mode scree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9128555B2 (en) 2010-01-29 2015-09-08 Pantech Co., Ltd.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47050B1 (en) * 2010-07-27 2018-04-09 신철호 Mobile Terminal with Application Installation/Management Function
KR101897729B1 (en) * 2012-09-05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56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le screen service
JP4598741B2 (en) Function update system and function update method
GB2443950A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 in a mobile terminal
US6791904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selected audio content
KR20040049725A (en) Caller int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699630B2 (en)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JP4551546B2 (en) Server device of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38017B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s in idle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20074096A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displays a received data in standby mode and,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10661926B (en) Prefabricated data propag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611716A (en) Prefabricated data propag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8187338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A2495218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in mobile terminal
KR1009965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reated contents of idle mode scree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110769122A (en) Prefabricated data propag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333802B2 (en) Internet access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web browser
KR100678081B1 (en) Mass storage data file manag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99130A (en) Portable terminal, position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positional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and its program
JP4632185B2 (en) Time service system using Internet-compati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N102158611A (en) Method for implementing polychrome service and device
KR200294780Y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displays a received data in standby mode and,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07000138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ata sharing and method of data sharing
JP2001053881A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for moving object
KR20030028933A (en) Periodical data service method with short message
KR20050010418A (en) Avata Providing Method and System in talking over th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