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37B1 -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37B1
KR100835337B1 KR1020070075344A KR20070075344A KR100835337B1 KR 100835337 B1 KR100835337 B1 KR 100835337B1 KR 1020070075344 A KR1020070075344 A KR 1020070075344A KR 20070075344 A KR20070075344 A KR 20070075344A KR 100835337 B1 KR100835337 B1 KR 10083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delete delete
characte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0365A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4525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10266A/en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08001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는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됨- ;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The input unit is provided to independently perform second direction inputs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input uni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extracting from the memory unit a first character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And a control unit.

이에 의해,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As a result, each character can be accurately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hile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the character input.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하나의 입력부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입력공간에서 1 동작으로 입력가능한 문자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1 동작으로 1 음소 이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in one input unit,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in one operation in a minimum input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capable of maximizing and simultaneously inputting one or more phonemes in one operation.

근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비례하여 각종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문자입력 또한 그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oftware,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nformation device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and the input of characters in various information devices is also increasingly important.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However, many problems have been revealed in the input of various characters or commands in such information devices.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used in a personal computer (PC) or a notebook (NoteBook)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its siz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se information devices.

또한,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 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a touch screen method used in a PDA (Personal Data Assistant) or a keypad method used in a mobile phone is inconvenient because of a low input speed and a lot of wrong input.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 회의 입력동작에 1 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 동작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input letters, numbers or symbols at a higher speed i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evices such as PCs, laptops, PDAs or mobile phones, so-called 1 operation 1 phoneme input is performed in which one phoneme (character) is input in one input operation. There is a need.

이러한 1 동작 1 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1 phoneme input is for Korean, the buttons or input keys for inputting 24 or more characters need to be arranged in the information apparatus.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 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If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Japanese, or other foreign languages, more buttons or input keys may need to be added than in Korean.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점 데스크탑 PC의 성능을 구현해 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문자입력 외에도 각종 명령키(엔터, 스페이스, 쉬프트키 등), Fzl, 기호 등 기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performance of the desktop PC is increasingly realiz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able to perform all input functions of the keyboard, such as various command keys (enter, space, shift key, etc.), Fzl, and symbols, as well as character input. The situation is reaching.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 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used in various information devices is a method of assigning a letter to each input key and tapping or pressing with a finger.

따라서, 입력키의 배열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 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다. Therefore, in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ving a relatively small space for arranging input keys, it is difficult to arrange more than 24 input keys of a finger size. This has been the reason why keyboards have never been miniaturized so far.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보통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it is inevitable that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repeatedly arranged in one button since all Korean characters are inputted with 24 or more characters with 12 buttons.

따라서,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그 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repeated input phenomenon of repeatedly inputting twice and three times to input one character (phoneme) occurs frequently, so that the input time is long and there are a lot of typos.

또한, 입력방법 자체가 매우 복잡해져 익숙해지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input method itself is very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to get used to i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글문자 입력의 경우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a combination of predetermined characters, such as 'Cheonjiin',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전술한 방법의 경우, 기본이 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를 생성하므로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입력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원하는 문자가 조합될 때까지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므로 그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input buttons for allocating characters because the desired characters are generated by combining the basic characters, but the input buttons must be repeatedly pressed until the desired characters are combined. As a result, the input time was longer.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technologies such as a keyboard that can be rolled around or a virtual laser keyboard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a finger and inputs it when a us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projecting an image of the keyboard keyboard on the floor and inputting the keyboard with a finger thereon are also used. It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type of input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always inconvenient to carry and carry, and can be input only in a state placed on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applicable to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needs to be input by hand while mov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각각 또는 조합되어 수행되는 새로운 입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문자 등의 입력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모든 문자를 1회의 입력동작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동시에 , 다단입력기능과 양벌 구성 등을 통하여 소정의 공간에서 배열 가능한 자판의 수를 최대화하여, 데스크탑 PC에서 사용되는 키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과 마우스의 입력기능을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해 낼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input unit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re perform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the input of characters and the like, and all the desired characters in one input operation. By inputting quickly and accurately, and by maximizing the number of keyboards that can be arranged in a given space through the multi-stage input func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bees, all the input functions of the keyboard keyboard and the mouse input function used in the desktop PC can be quickly and quickly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또한,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에 더하여, 다양한 입력방식을 추가하거나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1회의 입력동작으로 1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at can input one or more phonemes in one input operation by adding or combining various input method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됨-;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An input unit provided o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t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input uni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a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It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inpu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the center input key being selected or the input unit being raised or lowered with respect to the bas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on the same path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moving distance.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제1방향입력, 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different characters on the same path or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arts are pressure sensors,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by the difference in the pressure value.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1 문자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2 문자를 함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re performed while one finger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put unit, and the other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while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One input may b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input together.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 상기 각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two input units provided on the base-each input unit, which moves to any one of the eight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each reference position A first direction input and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eight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portion;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from a memory unit, a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do.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 상기 각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됨-;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들 주변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Two input units provided on the base, each input unit comprising: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each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that are radially spaced apart Performed;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a memory unit. ;
The first sensing unit may be arranged in plural arou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됨-;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input unit is performed with one finger placed on top of the input unit;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input uni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Including;
In the state in which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data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Two data may be input together.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마련되어,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되는 중앙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first direction input provided in the base and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nd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An input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input uni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and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Including;
Selection of a central input ke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or a central input provided with the input unit being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base is provided, and the central input is performed together with either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By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new data different from the data originally assigned to each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is input.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되는 방향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됨- ;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 또는 상기 방향조합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and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successively performed; Direction combination input is performed respectively;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input uni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or third allocated to the direction combining input; And 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data from the memory unit.

본 발명의 테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누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irection input of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slid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ressing units provided in the in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irection input of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such as a support part. Sliding and performed,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while being inclined toward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입력부가 기울임 이동되며 수행되고,
상기 입력부와 베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irection input of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such as a support part. Sliding and performe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toward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base and sliding with the input unit to support the tilt movement of the input unit.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입력부 및 지지부가 기울어지는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며,
상기 베이스와 입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irection input of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and the support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while being inclined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input portion to support the tilt movement of the input portion.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의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과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se pointer is moved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of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use left / right button or the scro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t features.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의 드래그(drag)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채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ag of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whil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입력부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input unit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is performed by one input unit, and the mouse left / right button or scro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ther input unit.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according to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fferent data are input on the same path or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parts are pressure sens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ovement distance,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data is input by the difference in the pressure value.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put each charact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hile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또한, 방향이동입력과 방향누름입력을 조합하여 1회의 입력동작으로 1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어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direction movement input and the direction pressing input, one or more phonemes can be input in one input operation, thereby enabling rapid character input.

또한, 입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을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PDA, 노트북,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input space can be minimized and th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and slimme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DAs, notebooks, and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구성 및 실시예를 각 입력동작별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ach input operation.

제1방향입력(M) First direction input (M)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입력(M)이라 함은,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며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refers to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and M in which the input unit 10 i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FIG. 2 , ... are moved to any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is to enter the character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 및 베이스(110)의 결합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bas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에 마련된 입력반경(111)의 일측에는 기준위치(S, 도 2참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이 이격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reference position S (see FIG. 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put radius 111 provided in the base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are radially centered on the reference position S. M 1 , M 2 , ...) are spaced apart.

그리고, 베이스(110)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여 입력부(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61)가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ase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sensing unit 61 that senses a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따라서,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이동하면, 입력부(10)의 이동이 감지된 제1감지부(6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51)에서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5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한다. Therefore, when the input unit 10 mov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ward the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The first sensing unit (.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61, the controller 51 extracts and inputs, from the memory unit 55, the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제1감지부(61)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반경(111)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트랙포인터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61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as a pressure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 contact sensor, or may be provided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input radius 111. It may be provided in a track pointer method.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제1방향입력(M)은 다양한 방법을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위치한 상태(도 4의 (a)참조)로부터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5)를 향하여 슬라이딩(또는 수평이동, 도 4의 (b)참조)되며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direction input position (M 1 , M 2 , ...) is to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as necessar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performed a variety of methods, for example, the input unit 10 Can be performed from the state positioned at the reference position S (see (a) of FIG. 4) toward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M 5 (or horizontal movement, see (b) of FIG. 4). have.

삭제delete

여기서, 슬라이딩 또는 수평이동이라 함은 베이스(110)의 바닥면에 대한 엄밀한 수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한 가능한 모든 각도 및 방향을 포함한다. Here, the sliding or the horizontal movement is not limited to the exact horizont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0, b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It includes all possible angles and directions.

이 경우,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반경(111) 내에서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도 슬라이딩되며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input unit 10 perform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input unit 10 may move radially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as shown in FIG. 5C. It may also be performed while sli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 within the radius (111).

도 5는 한글문자입력에 있어서, '높'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ㄴ'이 할당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 된 뒤(도 5의 (b)참조),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ㅍ'을 입력(도 5의 (c)참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5 is for inputting the 'high' in the Hangul character input, the input unit 10 is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After sliding toward (see (b) of FIG. 5), it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puts 't' (see (c) of FIG. 5).

여기서, 제2방향입력(P)과 모음문자 'ㅗ'의 입력에 관하여는 뒤에서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input of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the vowel character 'ㅗ' will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예에서, 입력부(10)는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때, 복수의 제1감지부(6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51)는 입력부(10)의 이동을 마지막으로 감지한 제1감지부(61)의 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input unit 10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put unit 10 may be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units 61, in which case the control unit 51 finally detects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Onl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unit 61 may be effectively determined.

예를 들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되는 경우 리셋(Reset)신호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상기 리셋신호의 발생 바로 직전에 발생된 제1감지부(61)의 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10 returns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 reset signal is generated so that onl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ing unit 61 generated immediately before the generation of the reset signal is valid. Can be judged.

또는, 입력부(10)의 입력동작에 의한 동종의 신호가 Off되는 경우에 연이어 발생된 동종의 감지신호 중에서 최종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a signal of the same kind due to the input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0 is turned off, only the last signal among the same kind of detection signals generated successively may be determined.

즉,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방향입력(M)에 속하는 복수의 감지신호를 발생시킨 후에 연이어(즉, 기준위치(S)에 복귀하지 않고) 중앙입력(C)이나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여 다른 종류의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중앙입력(C)이나 제2방향입력(P)으로 전환되기 바로 직전의 제1방향입력(M)만이 유효하게 입력된다. That is, after the input unit 10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s belonging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center input C or the second is successively (that is, without return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S). When generating a different type of detection signal by performing the two-way input P, onl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mmediately before switching to the center input C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effectively input. .

후자의 경우에는,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하여 리셋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복수의 감지신호 중에서 유효한 신호를 판단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alid signal can be determined from a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s even when the input unit 10 does not return to the reference position S to generate a reset signal. have.

또는, 입력부(10)의 원주방향이동에 의해서 각종 기능명령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원주이동시키면 취소명령이, 시계방향으로 원주이동시키면 스페이스명령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various function commands may be input by circumferential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10 is circumferentially mov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cancel command is performed. You can also make this input.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와 베이스(110)사이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2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Here, as shown in FIG. 4, a support part 25 provided between the input part 10 and the base 110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input part 10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제1방향입력(M)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inclined toward any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as shown in (b) of FIG. It can also be done.

이 경우, 입력부(10)를 베이스(110)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지지하는 지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25 for supporting th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by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제1방향입력(M)을 위한 입력부(10)의 동작형태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부(10)를 외부 가압에 의해 부분 또는 전체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하여 입력동작시 입력부(10)의 변형방향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operation form of the input unit 10 fo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the input unit 1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during the input operation It may be to detect the deformation direction of the input unit 10.

또는, 구체화된 입력부(10)를 마련하는 대신에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예를 들어,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performed by providing a sensing unit (for example,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at detects movement of a finger instead of providing the input unit 10.

한편, 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 guide part 40 provided on the base 11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input part 10 may be further provided.

가이드부(40)는 입력부(10)가 이동할 때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The guide part 40 allows the user to move in the correct direction intended by the user when the input part 10 moves, thereby allowing accurate input to be made without interference i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FIG.

가이드부(4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110)에 기준위치(S)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소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직선가이드로 마련될 수 있다. Guide portion 40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for example, a predetermined shape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 the base 110 It may be provided with a linear guide formed of a groove.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입력반경(111)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입력부(10)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입력부(10)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a disk-shap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put radius 111 is formed in the base 110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put unit 10 and at the same time the input unit 10. Can guide the movem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는 오목한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it may be provided as a concave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이 경우, 입력부(10)는 상기 가이드부(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입력부(10)를 부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가이드부(40)를 따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unit 40, so that when the user perform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s shown in FIG. Even if 10) is moved in an incorrect direction, it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40 to a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여기서, 가이드부(4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guide portion 40 may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한편,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이동거리의 차이 또는 이동가압의 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provided to enable two or more stages multi-stage inpu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put unit 10 or the strength of the moving pressure.

즉, 제1방향입력(M)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수평이동(또는 슬라이딩)을 통해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기준위치(S)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 치(M1, M2, ...)를 향하는 입력부(10)의 이동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2 이상의 제1감지부(61)를 마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or sliding) of the input unit 10 as shown in FIG. 3, each first direction instruction position M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is obtained. Two or more first sensing units 61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on a movement path of the input unit 10 facing 1 , M 2 ,.

또는, 입력부(10) 또는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1) 중 어느 하나에 제1감지부(61)를 향하여 길이를 달리하여 돌출된 접촉부(27a, 27b)를 마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act portions 27a and 27b protruding from the input unit 10 or the elastic member 21 provided below the input unit 10 to be different in length toward the first sensing unit 61 may be provided. .

도 6 및 도 7의 (c)를 참조하면,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1)의 연부를 따라 상대적으로 긴 제1접촉부(27a)와 상대적으로 짧은 제2접촉부(27b)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각 접촉부(27a, 27b)와 접촉되는 제1감지부(61a, 61b)를 마련할 수 있다. 6 and 7 (c), the relatively long first contact portion 27a and the relatively short second contact portion 27b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member 21 provided below the input portion 10 are provided. The first sensing parts 61a and 61b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110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rts 27a and 27b.

이에 의해, 입력부(10)를 소정 방향으로 1단 이동하면 제1접촉부(27a)가 먼저 제1감지부(61a)에 접촉되며, 2단 이동을 수행하면 제2접촉부(27b)까지 제1감지부(61b)에 접촉 된다.Accordingly, when the input unit 10 is moved one step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art 27a contacts the first sensing part 61a first, and when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the first sensing part is moved up to the second contact part 27b. It contacts the part 61b.

여기서, 제1접촉부(27a), 제2접촉부(27b)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또는 탄성부재(21)의 연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되며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27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b may be provided to be sequentially crossed along the edge of the input portion 10 or the elastic member 21, as shown in (c) of FIG. .

탄성부재(21)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중앙처리장치(CPU)의 접지단자(64)와 연결되어 접촉부(27a, 27b)에 그라운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21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64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transmit a ground signal to the contact portions 27a and 27b.

또는,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서 수행될 때에는 입력부(10) 또는 지지부(25)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기울임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할 수 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10, one or more optical sensors for detecting the tilt of the input unit 10 or the support unit 25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ilt angle.

여기서, 2단입력의 구분감지를 위한 제1감지부(61)의 방식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 the method of the first sensing unit 61 for detecting the two-stage inp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다단입력시의 제어부(51)의 신호처리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a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controller 51 at the time of multi-stage input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2단의 제1방향입력(M)의 경우 2단입력을 수행할 때에는 1단입력이 먼저 수행되는 바, 제어부(51)는 1단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후에 소정의 대기시간 내에 2단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기다려 2단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econd stage input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input M of the second stage, the first stage input is performed first, and the controller 51 perform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f the first stage.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stage input is performed by waiting for whether the second stag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1)는 일단 1단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1단입력을 처리하되, 상기 대기시간 내에 2단입력이 수행되면 1단입력을 취소하고 2단입력으로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동안 입력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51 processes the first stage input without waiting for the waiting time onc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f the first stage is performed, but the first stage input when the second stage input is performed within the waiting time. Can be canceled and changed to 2-stage inpu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put from being delayed during the waiting time.

또는, 상기 소정시간의 경과여부 대신에 1단 입력의 해제여부(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후 기준위치(S)로 복귀했는 지 여부, 또는 1단 입력 감지신호가 해제(off)될 때)에 따라 1단입력의 변경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ther the first stage input is released instead of wheth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whether the first stage input M is performed and then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S, or the first stage input detection signal is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st stage inpu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ase of turning off.

즉, 1단 입력이 해제될 때 최종입력결정이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nal input decision is made when the first stage input is released.

이와 같이 하면, 1단 입력이 수행되면 바로 입력처리가 되고, 1단 입력을 해제하면 입력결정이 되지만, 대기시간에 관계없이 1단 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해제하지 않고 더 진행하여 2단 입력이 수행되면 1단 입력이 취소되고 2단 입력으로 변 경된다. In this way, input processing is performed immediately when the 1st stage input is performed, and input decision is made when releasing the 1st stage input, but it proceeds further without releasing the 1st stage input regardless of the waiting time. When executed, the 1st stage input is canceled and changed to 2nd stage input.

상기의 신호처리방법은 2단 입력 수행시 잘못된 입력으로 인하여 1단 입력이 처리되었을 때, 1단 입력을 취소한 뒤에 2단 입력을 수행할 필요없이 1단 입력처리된 상태에서 바로 2단 입력을 더 수행하여 상기 1단 입력을 2단 입력으로 변경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입력처리가 가능하다. In the above signal processing method, when the first stage input is processed due to an incorrect input when performing the second stage input, the second stage input is directly performed in the state of the first stage input processing without canceling the first stage input. Further, the first stage input may be changed to a two stage input, thereby enabling faster input processing.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바로 입력처리를 수행하되 입력이 해제되어야만 최종입력결정이 되도록 하는 경우,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잘못된 입력을 수행한 경우 입력처리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입력을 수행할 필요없이 잘못된 입력이 최종입력결정이 되기 전에 원하는 입력으로 수정할 수 있어 입력이 간편해진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is detected, the input processing is performed immediately, but when the input is released, so that the final input decision is made,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wrong, When input is performed, input can be easily corrected to the desired input before the final input decision is made without having to delete the input contents and perform the input again.

또는, 제1감지부(61) 또는 제2감지부(63)를 압력센서로 마련할 경우에는 상기 대기시간내에 발생된 최대 압력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sensing unit 61 or the second sensing unit 63 is provided as a pressure sensor, it may be determined as the maximum pressure value generated within the waiting time.

또는, 제1감지부(61)가 입력부(10)를 감지한 감지시간에 기초하여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구분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sensing unit 61 may distinguish the first stage input and the second stage input based on the sensing time when the first sensing unit 61 detects the input unit 10.

예를 들어, 상기 감지시간이 0.5초 미만이면 1단입력으로 하고, 0.5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2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tection time is less than 0.5 seconds, it can be determined as a single stage input, and if it exceeds 0.5 seconds, it can be determined as a two stage input.

압력센서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1단 입력이 수행되면 바로 입력처리를 하고, 1단 입력이 해제되면 입력결정되도록 하여 1단입력이 해제되기 전에 2단입력에 해당하는 감지값이 추가로 감지되면 1단입력을 취소하고 2단입력이 입력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sure sens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tage input is performed, the input processing is performed immediately, and when the first stage input is released, the input is determined. If detected, the first stage input can be canceled and the second stage input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전술한 다단입력에 관한 제어부(51)의 신호처리에 관하여는 제1방향입력(M) 이외에 제2방향입력(P), 중앙입력(C), 방향조합입력(MP, PM) 및 중앙조합입력(CM, CP)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Here, with respect to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controller 51 for the multi-stage inpu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the center input C,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 PM, and the center Note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combination input (CM, CP).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다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할당되는 문자의 수 (또는 제1방향입력(M)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the number of characters (or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ncreases accordingly.

따라서, 제1방향입력(M)을 통하여 많은 수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의 수를 무작정 늘리지 않고 다단입력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의 수와 다단입력여부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입력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are to be input throug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number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Can be solved through the multi-stage input without any increase. The optimal input environment can be realiz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number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 and multi-step input.

한편, 제1방향입력(M)시 2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가 중복하여 선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입력부(10)가 2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의 중간영역으로 이동하여 2개의 제1감지부(61)에서 입력부(10)의 이동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입력신호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wo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selected, for example, the input unit 10 has two first direction indications. When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is simultaneously detected by two first sensing units 61 by moving to the middle region of the positions M 1 and M 2 , interference between the input signals may occur.

이 경우, 제어부(51)는 복수의 감지신호들 중에서 최초로 발생된 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51 may effectively determine only the first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s.

즉, 최초로 입력된 신호를 유효하게 입력처리하고, 최초신호가 해제되기 전(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고 기준위치(S)로 복귀하기 전) 또는 소정시간 내에 입력된 다른 신호들은 무시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nput signal is effectively input processed, and the input signal is input before the first signal is released (for example, before perform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return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S) 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ther signals can be ignored.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간섭으로 인하여 감지될 수 있는 모든 신호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에서 1개, 2개 또는 3개 등의 제1감지부(61)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각각의 경우마다의 입력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소정의 신호들이 감지되었을 때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입력값을 출력처리하는 것이다. Alternatively, all signal values that can be detected due to interference can be processed in a database. For example, when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one, two, or three first sensing units 6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redetermined signal may be detected by making a database of input values for each case. When the database outputs the input value.

제1감지부(61)가 압력센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최대 압력값을 보이는 감지위치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detection unit 61 is provided as a pressure sensor, only the detection position showing the maximum pressure value can be effectively determined.

입력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마련될 수도 있고, 다각형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방향으로 측면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disc shape may be provided, or a polygonal plate shape may be provided, and as shown in FIG. 9, each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M 1 , M 2 ,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side protrudes in the ...) direction.

또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가질 때에는 십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c) of FIG. 9,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May be provided in a cross shape.

이 경우, 입력부(10) 상부면에는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버튼 형상의 돌기부(52a)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button-shaped protrusion 5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입력부(1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1방향입력(M)시 입력부(10)의 이동반경에는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입력부(10)에 얹혀진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oving radius of the input unit 10 dur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Preferably, as shown in FIG. 25, the movement within the moving radius of the finger placed on the input unit 10 on the input unit 10 is not limited. It can be arranged to be possible.

입력부(10)의 상부면에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시 입력부(10)에 접촉된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54)가 마련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a) of FIG. 11,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non-slip 54 to prevent a finger contacting the input unit 10 dur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from slipping. .

미끄럼방지부(54)는 다양하게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력부(10) 상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고, 입력부(10)의 중앙에 오목한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non-slip unit 54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for example, may form irregulariti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10, or may form a concave groove in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10.

또는, 상기 2가지를 모두 마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both of the above may be provided.

또는, 입력부(10)는 도 11의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입력(P)시 손가락의 파지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단 일측에 돌기부(52b, 52c)가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b) or (c) of FIG. 11, the input unit 10 has protrusions 52b and 52c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to facilitate gripping and manipulation of the finger dur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한편, 입력부(10)는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수행시 입력부(10)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d) of FIG. 11, the input unit 1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smoothly manipulate the input unit 10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53 for letting.

돌출부(53)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테이블이나 지면에 놓고 사용할 때, 엄지손가락 뿐 아니라 검지나 중지 등의 손가락을 사용할 때에도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otrusion 53 is intended to facilitate input even when us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table or the ground, when using not only a thumb but also a finger such as an index finger or a middle finger.

돌출부(53)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protrusion 53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D, the protrusion 53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or may be provided in a convex or concave shape.

한편, 돌출부(53)에 일단이 삽입되는 조작봉(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3)는 도 11의 (d)와 같이 입력부(1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의 상단에는 조작봉이 삽입되는 결합부(57)를 마련함으로써 조작봉(56)을 돌출부(53)에 삽입한 채로 입력부(10)를 조작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53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bar (56). The protrusion 53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put unit 10 as shown in FIG. 11D, and the operating rod 56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put unit by providing a coupling part 57 into which the operating rod is inserted.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input unit 10 while being inserted into 53).

제2방향입력(P) Second direction input (P)

본 명세서에서 제2방향입력(P)이라 함은, 입력부(10)에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된 제2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selected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10. The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two-way instruction position (P 1 , P 2 , ..) shall be entered.

즉,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외부에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입력부(10) 및 지지부(25) 전체가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반면,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에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부(10) 및 지지부(25) 전체의 수평이동(또는 슬라이딩)이나 기울임이동이 수행되지 않는다. That i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ov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Disposed outside the input unit 10 while the input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25 are all mov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selects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Arranged on the input unit 10, so that the entir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25 is performed. No movement (or sliding) or tilting is performed.

제2방향입력(P)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만이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짐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물론 입력부(10)만을 기울인다 하여도 지지부(25)가 조금은 이동될 수 있으나 이때 지지부의 이동은 미미한 것이다).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c) of FIG. 4, only the input unit 10 may have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and the like. It may be performed by tilting toward any one of the (..) of course, even if only the input unit 10 is tilted, the support 25 may be slightly moved, bu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is insignificant.

이 경우, 입력부(10)와 베이스(110)의 하부에는 입력부(10)를 초기의 수평상 태로부터 임의의 방사방향으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b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25 for supporting the input unit 10 to be tilted in any radial direction from an initial horizontal state.

또는, 제2방향입력(P)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include any one of the pressing parts 11 provided in the input unit 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It may also be done by selecting one.

여기서, 누름부(11)는 입력부(10)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을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입력부(10)만의 기울임을 제외함)를 포함한다. Here, the pressing unit 11 includes all forms (except tilting of the input unit 10) that can independently select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on the input unit 10. do.

예를 들어, 입력부(10)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각각 별도로 마련된 누름버튼이나 누름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입력부(10) 상단 또는 내부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제2감지부(63)만이 마련된 누름위치일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unit 10 may be a push button or a push switch separately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respectively. It may be a pressing position in which only the second sensing unit 63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two-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한편, 제2방향입력(P)도 제1방향입력(M)과 같이 원주입력이 가능하며, 원주입력과 관련된 입력기능 및 신호처리는 제1방향입력(M)과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can also be circumferential input lik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input function and signal processing associated with the circumferential input is the same a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여기서, 입력부(10)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상단에 누름부(11)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입력부(10)는 입력부(10)에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 누름부(11)를 선택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 Here,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Preferably, as shown in FIG. 25, when the pressing unit 11 is provided on the input unit 10,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n input unit ( 10 may be provided to a size to select each pressing portion 11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placed. .

마찬가지로, 입력부(10)가 기울어짐에 의해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경우 에도,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한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기울여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로 입력부(10)를 기울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milarly, even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10, as shown in FIG. 11B, a finger is touched while one finger contacts the input unit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input unit 10 be til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제2감지부(63)는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63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orm in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예를 들어, 제2방향입력(P)이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 수행될 때에는 입력부(10)의 하부 연부에 입력부(10)의 기울임에 따라 베이스(110)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단차를 마련하고, 상기 단차 또는 베이스(110)에 입력부(10)와 베이스(11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마련되거나 입력부(10)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10, a step of sequentially contacting the base 110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input unit 10 at the lower edge of the input unit 10 is performed. It may be provided as a contact sensor for detecting the contact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base 110 in the step or the base 110, or may be provided as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input unit 10.

또는, 제2방향입력(P)이 입력부(10)에 마련된 각 누름부(11)에 의해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각 누름부(11)의 하부에 마련된 접촉센서, 누름스위치 또는 압력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by each pressing unit 11 provided in the input unit 10,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provided as a contact sensor, a push switch, a pressure sensor, or the like provided below the pressing unit 11. Can be.

한편, 제2방향입력(P)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provided to enable two or more stages multi-stage input.

예를 들어, 입력부(10)의 기울임점도 또는 누름부(11)의 누름세기 또는 누름거리의 차이에 따라 다단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ulti-stage input may be separately inpu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point of the input unit 10 or the difference in the pressing intensity or the pressing distance of the pressing unit 11.

도 4의 (e)를 참조하면, 제2방향입력(P)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입력부(10)의 하부 연부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1단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하부의 제2감지부(63a)가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2단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상부의 제2감지부(63b)가 베이스(110)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E,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rovided in two stages, for example, a step is form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first stage is inclined by one stage. The lower second sensing unit 6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63b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by tilting the second stage.

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1) 또는 입력부(10) 에 제2감지부(63a, 63b)를 향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된 제3접촉부(27c) 또는 제4접촉부(27d)를 마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a) of FIG. 7, the elastic member 21 or the input unit 10 provided below the input unit 10 protrudes to different lengths toward the second sensing units 63a and 63b. The third contact portion 27c or the fourth contact portion 27d can be provided.

이 경우, 입력부(10)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제3접촉부(27c)가 먼저 제2감지부(63a)에 접촉되고, 다음으로 2단 입력시 제4접촉부(27b)가 제2감지부(63b)에 접촉된다. In this case, the relatively long third contact portion 27c first contacts the second sensing portion 63a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input portion 10, and t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b detects the second sensing portion when the second stage is input. It contacts the part 63b.

여기서, 접촉부(27a, 27b)는 탄성이 있는 전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portions 27a and 27b may be provided as conductive members having elasticity.

여기서, 다단의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경우의 제어부(51)에서의 신호처리에 관하여는 제1방향입력(M)에서 전술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in the controller 51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the multi-stage is performed.

한편,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중복할당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second direction indication location by detecting the approach or contact to the (P 1, P 2, .. )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P 2, .. ) for inputting the other characters in the duplicate assignment The touch input may be provided to be performed.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는 각 입력부(10)의 상단 또는 각 누름부(11)에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67)가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finger approaches or contacts the upper end or each pressing part 11 of each input part 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The touch sensing unit 67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8에서 소정의 제2방향지시위치(P2)로의 접촉에 의해서는 문자 'A'가 입력되고,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2)로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문자 'B'가 입력되는 것이다. For example, in FIG. 8, the letter 'A' is input by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2 , and the letter 'B' is tilted by the tilting towar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2. It is input.

따라서, 터치입력을 통하여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2방향입력(P)을 다단으로 구성한다면 더 많은 수의 문자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through the touch input can b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n multiple stages can be increased. Character can be assigned.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방향 내지 12방향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for example, 4 to 12 It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directions.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8개 이하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입력방향의 수가 8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 방향지시위치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입력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 be provided with 8 or less, which is a human finger. This is because when the number of input directions that can be operated exceeds 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becomes narrow, which may lower the input accuracy.

이 경우, 부족한 방향지시위치의 수에 대하여는, 후술한 중앙입력(C)을 조합하거나, 입력부(10)를 좌우 2벌로 마련함으로써 입력에 필요한 문자를 모두 배열하면서도, 최적의 입력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insufficien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by combining the central input (C) described later, or by providing the input unit 10 in two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optimum input conditions while arranging all the characters necessary for input. .

또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서로 동일한 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Als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or in different numbers. .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조합된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re combined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 있어서, 전술한 제1방향입 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조합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re combined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상단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11)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First, as a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rovided by the input unit 10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 Sliding toward) is performe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selects the pressing portion 11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 on the top of the input unit 10. Is performed.

이 경우, 제1방향입력(M)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측 베이스(110)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연부측 베이스(1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sensing unit 61 for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base 110 of the input unit 10. As shown in (a) and (b), it may be provided in the edge side base 110 of the input unit 10.

한편, 제2방향입력(P)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에 접촉부(27c, 27d)를 마련하고 누름부(11)를 눌러 제2감지부(63)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0A,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rovided with contact portions 27c and 27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10 and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11 to press the second sensing portion ( 63).

이 경우, 각 접촉부(27c, 27d)를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함으로써, 1단의 제2방향입력(P)에는 제3접촉부(27c)가, 2단의 제2방향입력(P)에는 제4접촉부(27d)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by providing the contact portions 27c and 27d with different lengths, the third contact portion 27c is provided at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t the first stage and the fourth direction is input at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t the second stage. The contact part 27d can be made to contact.

한편, 중앙입력키(13)의 하부에는 1단의 중앙입력(C)시 제3감지부(65a)에 접촉되는 제5접촉부(27e)와, 2단의 중앙입력(C)시 제3감지부(65b)에 접촉되는 제6접촉부(27f)가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input key 13, the fifth contact portion 27e in contact with the third sensing unit 65a at the first center input C, and the third sensing at the central input C at the second stage. The sixth contact portion 27f in contact with the portion 65b protrudes with different lengths.

또한, 입력부(10)의 외주연에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후에 입력부(10)를 기준위치(S)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재질의 리턴부재(58)가 마련된다.In addition,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put unit 10, an elastic return member 58 is provided to return the input unit 10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fte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가 수평위치로부터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된다. 6 and 7 show a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while the input unit 10 slid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And the second direction. The input P is performed while the input unit 10 is inclined toward one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제1방향입력(M)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또는 탄성부재(21)의 연부를 따라 돌출된 접촉부(27a, 27b)와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110)에 마련된 제1감지부(61a, 61b)에 의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C,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ncludes contact portions 27a and 27b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input unit 10 or the elastic member 21 and the base 110 corresponding thereto. ) By the first sensing units 61a and 61b.

이때, 접촉부(27a, 27b)의 돌출길이를 달리하여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wo or more stages of multistage input may be performed by varying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contact portions 27a and 27b.

한편, 제2방향입력(P)을 위해, 입력부(10)를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5)가 더 마련될 수있다. 지지부(2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 support portion 25 for supporting the input unit 10 to be tiltable may be further provided. Of course, the support 25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또는, 입력부(10)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25')가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sliding support 25 ′ supporting the sliding of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입력부(10)의 하부에는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 후에 입력부(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58)가 마련되어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7B, a return member 58 is provided below the input unit 10 to return the input unit 10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리턴부재(58)는 탄성부재(21)(또는 입력부(10))와 PCB기판(113)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슬라이딩 및 기울임의 2가지 입력동작 모두에 적용된다. The return member 58 is provided on the elastic member 21 (or the input unit 10) and the PCB substrate 113 to be applied to both input operations of sliding and tilting the input unit 10.

또는, 지지부(25)를 마련하지 않고 입력부(10)를 탄성재질로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 입력부(10)와 베이스(110) 사이에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를 마련함으로서 입력부(10)의 기울임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without providing the support unit 25, as well as by providing an elastic body that is deformable between the input unit 10 and the base 110. It may be possible.

이 때, 제2감지부(63a, 63b)는 입력부(10)가 소정의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여도 접촉부(27c, 27d)에 감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태와 크기(면적)을 갖는다. In this case, the second sensing units 63a and 63b may be contacted even when the input unit 10 performs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the input unit 10 perform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t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rea) so as to be sensed by 27c and 27d.

도 10의 (c)에는 본 실시예의 다른 구현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10 (c)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부(10)와 베이스(110) 사이에 누름공간을 형성하는 탄성부재(40)를 마련하고, 탄성부재(40)의 하부에 감지부(61,63, 65)를 마련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elastic member 40 for forming a press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input unit 10 and the base 110, and sensing units 61, 63, and 65 are provided below the elastic member 40. It may be.

이 때, 탄성부재(40)의 내측면에는 각 감지부(61, 63, 65)를 향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된 접촉부(27a 내지 27f)가 마련됨으로써 다단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40 is provided with contact portions (27a to 27f) protruding with different lengths toward the sensing unit (61, 63, 65) can perform a multi-stage input.

접촉부(27a, 27b)와 탄성부재(40) 사이에는 전도성부재(23)가 개재되어 있으며, 전도성부재(43)의 일단은 접지단자(64)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접촉부(27a 내지 27f)에 연결되어 있어서, 접촉부(27a 내지 27f)를 통해 감지신호가 제어부(60)로 전달된다. A conductive member 23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27a and 27b and the elastic member 40, one end of the conductive member 43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64,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contact portion 27a to 27f.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 through the contact portion (27a to 27f).

이에, 예를 들어, 1단의 제1방향입력(M1)을 수행하면, 외측의 접촉부(27a)가 메탈돔(58)에 접촉되어 1단의 방향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접촉부(27a)들은 메탈돔(24)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므로 메탈돔(24)은 원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Thus,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1 of one stage is performed, the outer contact portion 27a contacts the metal dome 58 to generate the first stage direction input signal.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portions 27a ar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etal dome 24, the metal dome 24 maintains its original shape.

다음, 2단의 제1방향입력(M2)을 수행하면 내측의 접촉부(27b)가 하강하면서 메탈돔(24)을 변형시켜 제1감지부(61b)에 접촉되면서 2단의 방향입력신호를 발생한다. Next, when the first stage input M2 is performed in two stages, the metal dome 24 is deformed while the inner contact portion 27b is lowered to contact the first sensing unit 61b to generate two stage direction input signals. do.

이 과정에서, 메탈돔(24)이 변형될 때 클릭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1단 입력과 2단입력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process, since the metal dome 24 is deformed to give a feeling of click,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stage input and the second stage input.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제1방향입력(M)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된다.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has the first direction input position M 1 , M 2 , ... Sliding toward) is performed,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by tilting towar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여기서, '기울임이동'이란 도 10의 (b)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가 소정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면서(또는, 지지부(25)와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Here, 'tilt movement' means that the entire input unit 10 is inclined toward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unit 25)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반면, '기울임'이란 도 10의 (b)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지지부(25)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ilt' means that the input unit 1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5,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여기서, 전술한 '기울임이동'은 아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은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도 있다. Here, although not the aforementioned 'tilt movement', as shown in FIG. 8,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by sliding,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also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10. May be

또는, 제1방향입력(M)이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고, 제2방향입력(P)이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더하여, 입력부(10)가 제자리에서 기울여질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M being performed by sliding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being performed by the tilt movement, the input unit 10 may be tilted in place.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0)는 베이스(110)의 내외부로 돌출 및 수용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and accommodate in and out of the base 110.

따라서, 입력부(10)를 베이스(110) 내부로 수용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입력부(10)를 돌출시킬 때에는 용이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the volume can be minimized by accommodating the input unit 10 into the base 110, and an easy operation is possible when protruding the input unit 10.

도 10의 (b)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10B shows a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며(좌측 도면 참조),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기울임에 의해 수행된다(우측 도면 참조).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by 'tilt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see left drawing),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10. (See right drawing).

입력부(10)는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지지부(25)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입력부(10)가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기울임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The input part 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5, and the support part 25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and the input part 10 is til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Makes this possible.

입력부(10)의 기울임이동은 입력부(10)의 연부가 베이스(110)에 마련된 제1감지부(61)에 접촉됨으로써 수행된다.Tilt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is performed by the edge of the input unit 1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unit 61 provided in the base 110.

한편, 입력부(10)의 하부에 대응하는 PCB 기판(113)에는 입력부(10)의 기울 임에 의한 제2방향입력(P)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63)가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ensing unit 63 for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by the inclination of the input unit 10 is disposed on the PCB substrate 113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unit 10.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은 서로 동일한 개수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개수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have the same number of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or may have different number of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또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하나 이상은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provided to enable multi-stage input.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은 1단입력으로 마련되고, 제2방향입력(P)은 2단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자음문자를 입력하고, 제1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provided as a first stage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provided as a two stage input. In this case, the consonant letters may be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the vowels may be input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P.

이는, 대부분의 각국 문자에 있어서 자음문자가 모음문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수 및 사용빈도에 있어서 많고, 다단의 입력시 제1방향입력(M) 보다는 제2방향입력(P)이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consonants is higher in number and frequency of use than most vowels in most national characters,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may be easier tha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when inputting multiple stages. Because there i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서로 구분되는 입력동작을 갖는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을 조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fast and accurate characters by combin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having different input operations. .

이는, 자음과 모음이 반복적으로 섞여 배열되는 거의 모든 각국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각 입력동작에 따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input separately according to each input operation in the input of almost all national characters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repeatedly mixed and arranged.

더우기,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은 각 입력동작 간에 구속이 없으므로(즉, 어느 하나의 입력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입력동작을 필수적으로 수행 해야하는 등) 복수의 입력동작을 연이어 수행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입력동작처럼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have no constraint between each input operation (that is, to perform one input operation necessarily another input operation, etc.), a plurality of inputs are provid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s in succession, they can be performed as if they were a single input operation.

예를 들어, 도 2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입력예를 설명하면, 알파벳문자 'CAR'를 입력하고자 할 때, 자음 'C'가 할당된 제2방향지시위치(P7)를 향하여 입력부(10)를 기울임(또는 누름부(11)를 선택)한 후, 모음 'A'가 할당된 제1방향지시위치(M1)을 향하여 입력부(10)를 이동한다. 다음, 자음 'R'이 할당된 제2방향지시위치(P2)를 향하여 입력부(10)를 다시 기울이면 된다. 여기서, 전술한 3개의 동작은 동일 또는 미소한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연속된 1동작처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5, an input example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an alphabetic character 'CAR' is to be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to which the consonant 'C' is assigned ( After tilting the input unit 10 (or selecting the pressing unit 11) toward P 7 ), the input unit 10 is mov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to which the vowel 'A' is assigned. Next, the input unit 10 may be inclined again towar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2 to which the consonant 'R' is assigned. Here, the three operation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with the same or slight difference, so that a word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tters may be input like a continuous operation.

전술한 각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 있어서,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조합된 기본적인 형태를 설명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양한 구성들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 각 구성들의 형상, 크기, 재질 등의 변형도 제한없이 가능하다.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s described a basic form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re combined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ossible, modification of the shape, size, material, etc. of each component is possible without limitation.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본적 형태에 포함될수 있는 추가구성 및 다양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dditional configura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basic for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후술할 각 구성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있음은 물론 2 이상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Each configura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applied alone as well as two or more may be appli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it is noted that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중앙입력(C) Center input (C)

본 명세서에서 중앙입력(C)이라 함은,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과 별도로 입력부(10)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13)를 선택하거나, 입력부(10) 자체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entral input C refers to a central input key 13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10 separately from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the input unit 10. ) Is to be performed while lifting itself up and down.

중앙입력(C)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중앙에 선택가능한 중앙입력키(13)와, 중앙입력키(13)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6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input C may include a central input key 13 selectable at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10 and a third sensing unit sensing selection of the central input key 13. 65 may be performed.

또는, 중앙입력(C)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가 베이스(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입력부(10) 또는 베이스(110)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부(1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d) of FIG. 4, the central input C is provided such that the entire input unit 10 is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and the input unit 10 or the base 110 is moved. Any one of the above may detec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여기서, 전술한 두 가지 형태의 중앙입력(C)은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동시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 only one of the above-described two types of central input C may be provided, but of course,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한편, 중앙입력(C)은 중앙입력키(13)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세기나, 입력부(10) 자체의 승강거리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input (C) is of course possible to input two or more stages according to the pressing distance or pressing strength of the center input key 13, or the lifting distance of the input unit 10 itself.

한편, 중앙입력키(13)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중앙입력키(13)에 중복할당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 touch input for inputting another character allocated to the central input key 13 may be performed by sensing an approach or a contact with the central input key 13.

이 경우, 중앙입력키(13)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61a)가 마련된다. In this case, the central input key 13 is provided with a central touch sensing unit 61a for sensing the approach or contact of a finger.

여기서, 중앙터치감지부(61a)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51)는 중앙입력키감지부(69)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이상 감지되는 경우, 터치감지부(67)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Here, when the central touch detection unit 61a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51 ignor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ouch detection unit 67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detected by the central input key detection unit 69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touch input may not be performed.

중앙조합입력(Center combination input CMCM , , CPCP ) )

본 명세서에서 중앙조합입력(CM, CP)이라 함은, 중앙입력(C)이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entral combined inputs CM and CP are assumed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ithe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예를 들어, 도 4의 (b)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도 3에 도시된 중앙입력키(13)를 누른채 입력부(10)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도 4의 (c)와 같이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중앙입력키(13)를 누른채 입력부(10)를 소정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향하여 기울이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perform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s shown in FIG. 4B, while the center input key 13 shown in FIG. 3 is pressed, the input unit 10 is moved to a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 While moving toward M 1 , M 2 , ..., or while perform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s shown in (c) of FIG. 4, hold down the input unit 10 while pressing the center input key 13. Tilt toward a predetermined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도 12는 중앙조합입력(CM, CP)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method of the central combined input CM and CP.

도면을 참조하여 제1방향입력(M)과 중앙입력(C)이 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부(10)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중앙입력(C)이 수행된 상태로 이동하면 방향조합입력(CM1)이 수행되는 반면, 중앙입력(C)의 수행없이 입력부(10)만 이동되면 제1방향입력(M1)이 수행된다. For example, a cas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center input C are combin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input unit 10 to a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M 1 , the center is moved. When the input C is moved,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CM 1 is performed, whereas when only the input unit 10 is moved without performing the central input C, the first direction input M 1 is performed.

여기서, 중앙조합입력(CM, CP)은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 중 하나 이상이 2단 이상의 다단입력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center combination input CM and CP may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the center input C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tage multi-stage inputs.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1단의 제1방향입력(M11)과 중앙입력(C)이 조합된 1단의 중앙조합입력(CM11)과, 2단의 제1방향입력(M21)과 중앙입력(C)이 조합된 2단의 중앙조합입력(CM22)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rovided in two stages, the first direction input M1 1 and the central input C in one stage are combined. the central input combination (CM1 1)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of the second stage (M2 1) and a central combined input of central input (C) is a combination of a two-stage (CM2 2) is possible.

반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1단으로 구성하고 중앙입력(C1, C2)을 2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1)과 1단의 중앙입력(C1)이 조합된 1단의 중앙조합입력(C1M1)과, 제2방향입력(M1)과 2단의 중앙입력(C2)이 조합된 2단의 중앙조합입력(C2M1)이 가능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configured in one stage and the center inputs C1 and C2 are configured in two stages, thereby forming the center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1 and the first stage. input (C1) by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of the combined first stage (C1M 1) and a second direction input (M 1) a central combination type of the two-stage central input (C2) the combined second stage of the (C2M 1) is It may be possible to arrange.

따라서, 중앙조합입력(CM, CP)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문자를 중복하여 할당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입력용량(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CM, CP is provided to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M 1 , M 2 ,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 Since the characters can be assigned to each other in duplicate, the input capacity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can be increased without additional configuration.

전술한 2가지 경우에 있어서, 중앙조합입력(CM, CP)은 제1방향입력(M)이 아닌 제2방향입력(P)과 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two cases,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CM and CP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nstead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즉, 중앙조합입력(CM, CP)은 전술한 모든 형태의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 입력(P)과 전술한 모든 형태의 중앙입력(C)이 제한없이 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CM and CP may be combined without limitatio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all types described above and the above-described central input C of all types.

방향조합입력(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MP , , PMPM ) )

본 명세서에서 방향조합입력(MP, PM)이라 함은,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될 때, 상기 입력동작에 할당된 제3문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 or PM refers to the input operation when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in succession while the other is performed in succession. It is assumed that the third character assigned to is input.

즉, 방향조합입력(MP, PM)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먼저 수행한 상태 즉, 입력부(10)가 제1방향지시위치(M)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수행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4,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s MP and PM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put M first, that is, the input unit 10 receives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M. FIG. In the state of moving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s shown in (c) of FIG. 4 is performed, or vice versa.

도 13은 방향조합입력(MP, PM)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inputting direction combination inputs MP and PM.

도 13의 (a)는 제1방향입력(M)을 먼저 수행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P)를 연이어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방향조합입력(M1P1)은 입력부(10)를 제1방향지시위치(M1)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방향지시위치(P1)으로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 경우를 나타낸다. FIG. 1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successively performed whil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first performed, and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 1 P 1 is the input unit 10. Indicates a case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P 1 while the is moved to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position M 1 .

반대로 도 13의 (b)는 제2방향입력(P)를 먼저 수행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M)을 연이어 수행하는 경우로서, 방향조합입력(P1M1)은 제2방향지시위치(P1)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M1)로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경우를 나타낸다. On the contrary, FIG. 13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successively performed while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first performed, and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P 1 M 1 is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to indicate a second direction input (P) of claim 1 in a state of performing a direction instruction position (M 1)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input (M) is performed.

제2방향입력(P)이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경우, 제1감지부(61)는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누름부(11)에 대응하는 제2감지부(63)의 주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while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first, the first sensing unit 61 is shown in FIG. It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cond sensing unit 63 corresponding to).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조합이 가능한다. Here,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Can be combined in all directions.

즉,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M2)로 입력부(10)를 이동한 상태에서 제2방향지시위치(P4)로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다면 방향조합입력(M2P4)이 수행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3A,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input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P 4 while the input unit 10 is mov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M 2 . If this is done,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 2 P 4 is performed.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조합입력(M1P1 , P1M1)은 조합되는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의 순서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수도 있으나, 조합 순서에 상관없이 동일한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s M 1 P 1 and P 1 M 1 may have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which are combined. However, the same characters may be input regardless of the combination order.

즉, 방향조합입력(M1P1) 및 방향조합입력(P1M1)에 의해 동일한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That is, the same character may be input by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 1 P 1 and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P 1 M 1 .

한편, 방향조합입력(MP, PM)이 가능하게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동시에 수행되더라도 각 입력이 독립적으로 수행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 PM) is not provided possible, even i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each input is of course performed independently.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ㅗ'을 입력하기 위한 제2방향입 력(P)과 'ㄴ'을 입력하기 위한 제1방향입력(M)이 동시에 수행될 때에는 조합된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아닌, 각 입력동작에 의해 한글문자 '노'가 입력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for inputting 'ㅗ'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M for inputting 'b'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entering characters, the Hangul character 'no' is entered by each input operation.

한편,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 중 하나 이상이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조합의 수만큼 방향조합입력(MP, PM)이 발생되게 되므로 입력용량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rovided to enable two or more stages multi-stage input,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 PM) by the number of combinations corresponding thereto It can be generated to maximize the input capacity.

따라서, 방향조합입력(MP, PM)을 통하여 한자나 일본어 문자와 같이 음소가 50개 이상이 되는 문자를 입력할 때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put characters having 50 or more phonemes, such as Chinese characters or Japanese characters, through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 and PM.

여기서, 전술한 중앙입력(C), 중앙조합입력(CM, CP) 및 방향조합입력(MP, PM)은 필요에 따라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에 더하여 자유롭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입력에 있어서 방향지시위치의 개수도 제한없이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Here, the above-described center input C, the center combination input CM, CP, and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P, PM may be freely combined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s necessary.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number of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in each input without limitation.

방향회전입력(R) Directional rotation input (R)

본 명세서에서 방향회전입력(R)이란, 입력부(10)가 베이스(110) 상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자체 회전되면서 할당된 문자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rotation input (R) means that the input unit 10 inputs the assigned character or data while rotating itself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on the base 110.

입력부(10)의 회전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5)를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1지지 부(25a)와 제2지지부(25b)로 분할하여 마련할 수 있다. Rotation of the input unit 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4A, the first support unit 25a and the first support unit 25a may b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It can divide and provide in 2 support part 25b.

여기서, 제1지지부(25a)가 고정되고 제2지지부(25b)가 제1지지부(25a)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support portion 25a may be fixed,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b may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5a, or vice versa.

제1지지부(25a)와 제2지지부(25b) 사이에는 각각 회전방향으로 회전감지부(68a, 68b)가 마련되어 있다. Rotation sensing parts 68a and 68b are provided between the 1st support part 25a and the 2nd support part 25b in a rotation direction, respectively.

이에, 입력부(10)를 오른쪽 방향(R1)으로 회전시키면 제1지지부(25a)가 회전하여 회전감지부(68b)에서 회전을 감지하고, 입력부(10)를 왼쪽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감지부(68a)에서 회전을 감지한다. Accordingly, when the input unit 10 is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R1, the first support unit 25a rotates to detect the rotation in the rotation detecting unit 68b, and when the input unit 10 is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R2, the first support unit 25a rotates. The sensing unit 68a detects rotation.

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일측에 회전돌기(77)를 형성하고, 회전돌기(77)의 좌우측으로는 각각 회전돌기(77)의 회전거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회전감지부(68c, 68d, 68e, 68f)를 마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14, the rotation protrusion 7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on protrusion 77 are respectively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rotation protrusion 77. The rotation sensing units 68c, 68d, 68e, and 68f sequentially arranged may be provided.

전술한 입력부(10)의 좌우 방향회전은 회전거리(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2단 회전이 가능한 바, 즉, 입력부(10)를 오른쪽으로 1단 회전하면 우측의 첫번째 회전감지부(68c)에서 1단 회전을 감지하고, 입력부(10)를 오른쪽으로 더 회전시켜 2단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두번째 회전감지부(68d)에서 2단 회전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input unit 10 can be rotated in two stag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stance (or rotation angle). That is, when the input unit 10 is rotated one stage to the right,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68c on the right side of the input unit 10 rotates. When the first rotation is sensed, and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68d on the right side detects the second rotation when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unit 68 rotates the input unit 10 further to the right.

한편,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입력부(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전각도를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14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만큼만 회동될 수도 있고, 1회전 (360도) 이상 회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each case described above, the input unit 10 may have various rotation angles as needed, for example, as shown in (a) or (b) of FIG. Of course, it may be rotated more than one rotation (360 degrees).

또한, 입력부(10)의 방향회전은 모든 누름부(11)에 있어서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나, 각 누름부(11)에 조합되어 선택된 누름부(11) 마다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irection rotation of the input unit 10, the same data may be input to all the pressing units 11, but different data may be input to each pressing unit 11 in combination with each pressing unit 11. have.

문자의 배열 Array of characters

본 명세서에서 '문자'라 함은 한글문자, 영어문자 또는 일본어 문자 등 각국 언어에 따른 좁은 의미의 문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haracter" means a character having a narrow meaning according to each language, such as Korean, English, or Japanes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문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숫자, 기호 또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각종 기능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inputtabl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haracters, and may include various function commands such as numbers, symbols or enters, spaces, and cancella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음'이란 외국어의 경우 발음이 한글모음에 해당하거나 언어학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 외국어의 알파벳을 2종류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알파벳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vowel" in the case of a foreign language corresponds to a Korean vowel, or when the alphabet of the foreign language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linguistic classification criteria, it is assumed to belong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alphabet groups.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서, 전술한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중앙입력(C), 중앙조합입력(CM, CP) 또는 방향조합입력(MP, PM)에 문자를 배치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direction input M, second direction input P, center input C, center combined input CM, CP or direction combined input MP , PM),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way of placing characters.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문자입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문자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However, for more efficient character input, it is possible to arrange characters in the following manner.

우선, 각국 문자를 배열함에 있어서, 자음문자와 모음문자의 입력이 각각 서로 다른 입력동작에 의하여 입력되게 할 수 있다. First, in arranging the characters of each country, input of consonant characters and vowel characters may be input by different input operations.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자음문자를 입력하고,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모음문자를 입력하거나, 그 반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sonant characters may be input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vowel characters may be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vice versa.

이는. 사용자가 각 입력동작별로 입력되는 문자를 바로 연상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is. Since the user can immediately associate a character input for each input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become familiar with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각국 문자의 배열예를 나타낸 표이다. 15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characters of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2단의 제1방향입력(M)에는 각국 문자의 자음문자가 배열되고, 2단의 제2방향입력(P)에는 각국 문자의 모음문자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consonants of characters of each country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f two stages, and vowel characters of characters of each country may be arranged of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two stages.

이 때, 기본적으로 자음과 모음은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나누어 배열되지만, 한글문자의 경우 모음 'ㅒ, ㅖ'가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배열되거나, 알파벳의 경우 자음 'V, Z'가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되는 등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basically divided in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but in the case of Korean characters Vowels 'ㅒ' and 'ㅖ' are arranged at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 or in the case of alphabets, consonants 'V, Z' ar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Of course, they may be assigned to differen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as necessary.

이 경우,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는 모음문자 이외에 엔터, 스페이스, 백커서, 취소(ESC) 등의 기능명령이 더 할당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vowel, the second direction command position P 1 , P 2 ,.

또한, 알파벳의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연속된 문자, 예를 들어, 'CH' 또는 'ING'등은 하나의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lphabet, a continuous character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or example, 'CH' or 'ING', may be assigned to one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여기서, 알파벳의 모음 'A,E,I,O,U' 이외에 'W, X, Y'는 모음과 같은 효과가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모음부로 정의한다. Here, in addition to the vowels 'A, E, I, O, U' of the alphabet, 'W, X, Y' has the same effect as vowels and is defined herein as a vowel.

한편, 1단의 중앙입력(C1)에는 모드변경창, 그리고 2단의 중앙입력(C2)에는 마우스모드전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Meanwhile, a mode change window may be assigned to the central input C1 at the first stage, and a mouse mode switching function may be assigned to the central input C2 at the second stage.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지시위치(P1, P2,..)가 4개로 마련되고, 제2방향입력(P)이 2단으로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알파벳을 배열할 때 'A, X', 'E, I', 'W, Y', 'O, U'를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하고, 1단 및 2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 중복할당된 상기 각 문자가 구별되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16, four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are provided, and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rovided to enable input in two stages. In this case, when arranging the alphabet, 'A, X', 'E, I', 'W, Y', 'O, U' are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 Each of the above-mentioned characters assigned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may be distinguished and input.

즉, 1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E (P12)'가 입력되고, 2단의 제2방향입력(P)의 해서는 'I(P22)'가 입력될 수 있다. That is, 'E (P1 2 )' may be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n one stage, and 'I (P2 2 )' may be input i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n the second stage. .

또는, 한글문자를 배열할 때에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입력(P)에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가 중복 할당되어, 1단 및 2단의 상기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 할당된 상기 각 문자가 구별되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rranging Hangul characters, as shown in (b) of FIG. 16, 'ㅏ, ㅑ', 'ㅓ, ㅕ', 'ㅗ, ㅛ', 'TT, ? 'Can be duplicated and assigned so that the respective characters allocated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re distinguished and input.

물론, 도 16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제1방향입력(M)이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고 2단입력을 구성되어, 제1방향입력(M)에 의해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도 있다. Of course, contrary to that shown in Fig. 16, the first direction input M has four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The vowel character can also be entered by M).

알파벳과 한글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슷한 형상의 문자끼리 배열하는 경우 에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로부터 모음문자의 형상이 연상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arranging letters of similar shape as described above in the alphabet and Korean, the shape of the vowel character is associated with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 so that the user can easily become familiar with it.

특히, 한글의 경우에는 동(ㅏ), 서(ㅓ), 남(ㅜ), 북(ㅗ)에 상기와 같이 모음문자를 배열하면 방향에 따라 모음문자의 형상이 연상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angeul, if the vowels are arranged in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vowel is reminisce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so the user can easily become familiar with it. have.

또는, 알파벳 배열에 있어서, 각 문자의 형태가 유사한 것 끼리 묶어서 배치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n the alphabetical arrangement, similar characters may be arranged in a bundle.

예를 들어, 'b, d', 'p, q', 'i, j', 'm, w', 'u, v', 'k, x', 'c, o', 'a, e', 's, z', 'l, r', 'f, t', 'n, h', 'y, g' 와 같이, 두 개의 문자를 동일한 방향지시위치에 중복할당하고, 1단 및 2단의 다단입력에 의해서 서로 구분되어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b, d', 'p, q', 'i, j', 'm, w', 'u, v', 'k, x', 'c, o', 'a, e assign two characters to the same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such as', 's, z', 'l, r', 'f, t', 'n, h', 'y, g', The input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wo multi-stage inputs.

또는 묶인 두 개의 문자중 어느 하나는 제1방향입력(M)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제2방향입력(P)에 할당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two bundled letters may be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other may be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한편,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숫자, 기호, 각종 기능명령 또는 모드변경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입력(C)에 의해서는 입력모드의 전환 또는 엔터, OK 등의 각종 기능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any one of a number, a symbol, various function commands or a mode change may be performed by eithe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by the central input C Various function commands, such as switching the input mode or pressing enter or OK, may be performed.

여기서, 전화모드 시에는 통화 / 종료 버튼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ll mode may be performed as a call / end butt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입력장치인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마우스 입력모드에서는 입력부(10)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과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마우스의 좌/우버튼 또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 mouse which is an input device by using the input unit 10,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f the input unit 10 in the mouse input mode ), The pointer can be moved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the center input C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by the left / right button or scroll function of the mouse.

이 때, 제2방향입력(P)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를 종단으로 양분하여 좌측 부위는 마우스 좌 버튼에, 우측 부위는 마우스 우 버튼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0)를 'X'자 형으로 4분하여 좌측 부위는 마우스 좌 버튼에, 우측 부위는 마우스 우 버튼에, 상하 측 부위는 마우스 휠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i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the input unit 10 may be divided into two ends so that the left portion corresponds to the left mouse button and the right portion corresponds to the right mouse button. The left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left mouse button, the right portion to the right mouse butto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orrespond to the mouse wheel by dividing into four 'X' shapes.

이 경우, 마우스 좌버튼에 해당하는 방향의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채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면 마우스에서처럼 드래그나 끌어오기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신호처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우스에서의 신호처리방법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while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mouse button is performed, dragging or dragging is possible as in the mouse. The signal processing associated with this can be used as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mouse generally used.

또는, 제1방향입력(M)이 다단으로 수행되는 경우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the movement speed of the mouse pointer may be adjusted step by step.

여기서, 전술한 마우스모드로의 변환은 별도의 모드전환키(121)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입력부(10)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거나, 1단 또는 2단의 중앙입력(C)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1방향입력(M)을 2단으로 수행하면 입력모드가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to the mouse mode may be performed using a separate mode switch key 121, but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the input unit 10. For example, the input unit 10 may be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put mode may be switched by performing the central input C of one or two stages or perform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n two stages.

중앙입력(C)을 수행하면 다른 모드들로 이동할 수 있는 입력모드변경창이 표시되고,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통하여 각종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central input C is performed, an input mode change window for moving to other modes is displayed, and the user can move to various modes throug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FIG.

또는, 중앙입력(C)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통하여 각종 모드 예를 들어, 한글입력모드, 알파벳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 기호입력모드, 마우스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중앙입력(C)을 수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문자표시부(72)나 자판표시부(74)에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문자대신에 각각의 입력모드가 표시되는 것이다. Alternatively, various modes, for example, Korean input mode, alphabet input mode, numeric input mode, and symbol input mode throug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while the central input C is performed. You can select the mouse mode. That is, while the center input C is maintained, the respective input modes are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unit 72 or the keyboard display unit 74 instead of the characters originally assigned to the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도 31 내지 도 33은 입력부(10)가 좌우 2벌로 마련되는 경우의 키보드 자판배열 예를 나타낸 것이다. 31 to 33 illustrate examples of keyboard keyboard layouts in the case where the input unit 10 is provided with two left and right sides.

먼저, 도 31은,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각각 8개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지며, 2단입력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First, FIG. 3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each have eigh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and are composed of two stage inputs.

여기서, 중앙의 'N' 또는 'M'은 중앙입력(C)에 의해, 최외부의 2줄은 1,2단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 가운데의 2줄은 1,2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Here, 'N' or 'M' in the center is the central input (C), the outermost two lines are made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inputs (M) of 1,2 stages, and the middle two lines are the 1,2 stages. Represents the data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문자는 각 입력부(10)의 제1방향입력(M) 1단과, 제2방향입력(P) 1단에 배열되어 있다. The characters are arranged in one stag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one stage of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each input unit 10.

도 31의 (a)는 기본 입력창을 나타낸 것으로, 문자 26개, 숫자 10개, F 키 12개, 기능키 10개, 방향키 4개, 전환키 2개, 총 64개의 데이터가 모두 배열되어 있다. FIG. 31A shows a basic input window in which data of 26 characters, 10 numbers, 12 F keys, 10 function keys, 4 direction keys, 2 changeover keys, and 64 data are all arranged. .

기호나 그 외 사용빈도가 낮은 키들은 좌측 자판표시부(74)의 중앙에 마련된 N 키를 선택하여 변환되는 다음(Next) 창에 배열될 수 있다(도 31의 (b) 참조). Symbols or other low frequency keys may be arranged in a Next window which is converted by selecting an N key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eft keyboard display 74 (see FIG. 31B).

또는, 방향키가 제2방향입력(P)에 배열되거나, F 키들이 다음 창에 배열되고 기호들이 기본 입력창에 배열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direction keys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the F keys may be arranged in the next window, and the symbols may be arranged in the basic input window.

반면, 우측 자판표시부(74')의 중앙에 마련된 'M'키를 선택하면, 도 31의 (c)에 도시된 마우스 입력창으로 전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 key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ight keyboard display unit 74 'is selected, the screen changes to the mouse input window shown in FIG.

여기서, 다음 창과 마우스 입력창은 중앙조합입력(CM, CP)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의 입력창에서 중앙조합입력(CM, CP)을 수행한 뒤에 손가락을 떼면 바로 전의 입력창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next window and the mouse input window may be used as the central combined input (CM, CP), for example, if the finger is released after performing the central combined input (CM, CP) in a predetermined input window immediately before the input window You can also return t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서 전술한 중앙감지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입력방법에 의해 구분되는 각 문자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described central sensing function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haracter distinguished by the input method can be displayed separately.

즉, 도 32 및 도 33의 α는 손가락이 중앙입력키(13)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2 및 도 33의 β는 제2방향입력(P)만이 수행될 때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낸 것이다. That is, α in FIGS. 32 and 33 represents a character input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while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central input key 13, and β in FIGS. It shows the character that is input when only the two-way input (P) is performed.

이 경우, 제2방향입력(P)에 할당된 입력용량이 2배로 증가하게 되므로, 입력부(10) 1개당 16개, 총 32개의 문자를 더 배열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input capacity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doubled, 16 characters per input unit 10 and a total of 32 characters can be arranged.

따라서,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자판표시부(74)에 최대로 배열할 수 있는 데이터의 수는 2단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 16개, 2단의 제2방향 입력(P)에 의해 16개, 중앙입력키(13)와 제2방향입력(P)의 조합에 의해 16개, 2단의 중앙입력(C)에 의해 2개로 1개의 입력부(10)에서 50개의 데이터 배열이 가능하며, 2벌의 경우 총 100개의 데이터배열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1, the maximum number of data that can be arranged in one keyboard display unit 74 is 16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of two stages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wo stages. 16 by input (P), 16 by combination of central input key (13) and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2 by central input (C) of two stages. Data arrays are possible, and in the case of two sets, a total of 100 data arrays are possible.

따라서, 다음 창 없이도 현재 사용되는 키보드의 모든 자판를 하나의 창에 모두 배열할 수 있다. Therefore, you can arrange all the keyboards of the currently used keyboard in one window without the next window.

도 32 및 도 33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기기에서의 자판표시예를 나타낸다. 32 and 33 show an example of keyboard display in a small device such as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도면을 참조하면, 도 32는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각각 8개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지며 1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이고, 도 33은 각각 4개의 방향지시위치를 가지며 2단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3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each have eigh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and are configured in one stage. FIG. 33 shows four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And a case consisting of two stages.

여기서, 도 32의 외부 줄과 도 33의 외부 2줄은 제2방향입력(P)에 의해, 도 32의 내부 줄과 도 33의 내부 2줄은 제1방향입력(M)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32 및 도 33의 원호(β참조) 안의 자판은 입력부(10)에 손을 얹지 않고 각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Here, the outer line of FIG. 32 and the outer two lines of FIG. 33 are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the inner line of FIG. 32 and the inner two lines of FIG. 33 are input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FIG. 32 and 33 represent data input when each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without placing a hand on the input unit 10.

특히, 도 32 및 도 33의 (a)에서 좌측은 마우스 입력창을, 우측은 기본 입력창을 나타내며, (b)는 알파벳 입력창을, (c)의 좌측은 숫자 입력창을 우측은 기본입력창을 나타낸다. In particular, in FIGS. 32 and 33 (a), the left side represents the mouse input window, the right side represents the basic input window, (b) the alphabet input window, the left side of (c) the numeric input window, and the right side the basic input window. Display the window.

이에, 양 실시예의 경우, (a)의 우측 자판표시부(74')의 '알파벳'키를 선택하면, (b)에서와 같이 양쪽 모두가 변경된다. Thus, in both embodiments, when the 'alphabet' key of the right keyboard display portion 74 'in (a) is selected, both are changed as in (b).

이 때, (b)의 좌측에서 중앙의 화살표 표시를 선택하면 (a)의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며, 오른 쪽의 'B'키를 선택하면 기본 입력창으로 전환된다. At this time, if the arrow on the center is selected on the left side of (b), it is converted to the mouse mode of (a), and when the 'B' key on the right side is selected, it is converted to the basic input window.

또는, (a)의 우측 자판표시부(74')의 '숫자'키를 선택하면, 오른 쪽 자판표시부(74)는 고정되며, 좌측의 자판표시부(74') 만이 마우스 입력창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number' key of the right keyboard display unit 74 'of (a) is selected, the right keyboard display unit 74 is fixed and only the left keyboard display unit 74' may be converted into a mouse input window. .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문자, 숫자, F키, 기호 등을 모드 변경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한 것이다. 32 and 33 are arranged so that letters, numbers, F keys, symbols, etc. can be inputted through mode change,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1.

따라서, 이 경우,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을 1단으로 구성하거나, 방향지시위치의 수를 4개로 줄여서 입력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can be configured in one stage, or the number of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can be reduced to four.

한편, 단말기(100)의 전원을 켜면 초기에 일측에는 마우스 입력창이, 타측에는 기본 입력창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00 is turned on, the mouse input window may be initially displayed on one side and the basic input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side.

이 상태에서 기본 입력창을 통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알파벳 입력창이나 숫자 입력창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state, you can switch to the alphabet input window or the number input window by selecting the desired mode through the default input window.

이 때, 좌측의 입력창은 어떤 모드에서도 마우스 입력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입력(C)을 통하여 모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측에서는 기본 입력창으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put window on the left side can be used to change the mode through the central input (C) to be used as a mouse input window in any mode, the right side can be returned to the default input window.

물론, 상기 각 입력창에 있어서도 중앙조합입력(CM, CP)을 통하여 소정 모드에서 어느 때라도 마우스기능을 수행하거나 우측 입력창에서 모드 변경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Of course, in each of the input windows,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CM, CP) to perform a mouse function at any time in a predetermined mode or to perform a mode change in the right input window.

2 벌2 suits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베이스(110)에 2 이상 마련될 수 있다.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base 110 or more.

도 19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베이스(110)에 좌우 2개의 입력부(10, 10')가 마련된 상태에서의 입력예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19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put in a state in which two left and right input units 10 and 10 'are provided on the base 110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이 경우, 2개의 입력부(10, 10')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two input units 10 and 1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or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configurations.

즉, 좌측의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및 중앙입력(C)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우측의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중앙입력(C)에 더하여 중앙조합입력(CM, CP)이나 방향조합입력(MP, PM)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input unit 10 on the left side is provided wit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the center input C, and the input unit 10 'on the right side has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n addition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nd the central input C, the central combined input CM and CP or the combined direction input MP and PM may be provided.

또한, 각 방향지시위치의 수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어느 일측은 2단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ither side may be provided to enable two-stage input.

도 21는 입력부(10, 10')가 2벌로 마련되는 경우에 각 입력부(10, 10')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2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each input unit 10, 10 'when the input units 10, 10' are provided in duplicate.

도 21의 (a)를 참조하면, 각 입력부(10, 10')는 2단의 제1방향입력(M)과 2단의 제2방향입력(P)으로 구성되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각각 8개씩 마련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1A, each of the input units 10 and 10 ′ includes a first direction input M of two stages and a second direction input P of two stages,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 M 1 , M 2 ,... And eight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따라서, 입력부(10, 1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중앙입력(C)을 제외하고, 제1방향입력(M)을 통하여 16개, 제2방향입력(P)을 통하여 16개 총 32 개이며, 입력부(10, 10')가 좌우 2개로 마련되므로 총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64개가 된다. Accordingly, the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s 10 and 10 'is 16 through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16 through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except for the central input C. A total of 32 pieces are provided, and since the input units 10 and 10 'are provided with two left and right,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is 64.

이는, 한글문자 24개, 알파벳 26자를 모두 배열하고도 남는 입력용량이므로, 1동작 1음소 입력이 가능하며, 남는 방향지시위치에는 기호, 숫자나 각종 기능명령 등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This is an input capacity remaining even after arranging 24 Korean characters and 26 alphabetic characters. Therefore, one operation and one phoneme can be input, and a symbol, a number, or various function commands may be additionally input to the remaining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따라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별도의 모드변경 없이도 바로 입력할 수 있어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letters, numbers, symbols, etc. can be directly input without changing a mode, thereby enabling rapid character input.

예를 들어, 2개의 입력부(10, 10') 각각의 2단의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명령, 모드변경, 방향지시입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지시입력을 통하여서는 커서이동이나 메뉴이동, 채널/볼륨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a character is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two stages of each of the two input units 10 and 10 ', and the mouse pointer is moved and enters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FIG. Function commands such as space, cancel, etc., mode change, direction indication input, etc.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direction indication input, cursor movement, menu movement, channel / volume adjustment,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여기서, 제1방향입력(M)은 1단입력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입력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숫자, 기호등이 더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composed of only one stage input, as shown in (a) of FIG. 21, when configured as a two-stage input, numbers, symbols, etc. may be further arranged Of course.

반대로, 2개의 입력부(10, 10') 각각의 2단의 제1방향입력(M)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제2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기능명령, 모드변경, 방향지시입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a character is input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f two stages of each of the two input units 10 and 10 ', and a function command, a mode change, and a direction command input are inpu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the like.

또는, 2개의 입력부(10, 10')가 각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 방향지시위치(P1, P2,..)를 8개씩 갖는 경우에, 제1방향입력(M) 1단 및 제2방향입력(P) 1단에만 문자를 배열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two input units 10 and 10 'have eight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And eight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The letters may be arranged in only one stag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one stage of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또는,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부(10, 10')가 각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4개씩 갖는 경우에는 다단의 제1방향입력(M) 및 다단의 제2방향입력(P)에 문자를 배열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21, the two input units 10 and 10 ′ are respectively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M 1 , M 2 ,...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In the case of having 4, P 2 , ..), characters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f the multi-stage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f the multi-stage.

또는, 어느 하나의 입력부(10)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10')에 의해서는 전술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기능명령, 모드변경, 방향지시입력 등을 수행하거나, 숫자 또는 기호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ny one input unit 10 inputs a character, and the other input unit 1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ovement of a mouse pointer, a function command, a mode change, a direction command input, or a number. Alternatively, an input such as a symbol may be performed.

이 경우, 문자입력과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키보도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각종 작업은 물론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해야하는 복잡한 조작이 요구되는 게임등을 소형 단말기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ext input and mous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nd the effect of using both the keyboard and mouse at the same time on a desktop computer can be ob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terminal.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중 하나 이상이 2단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숫자, 기호등을 더 배열하여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Even in the above-described case,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configured in two stages, the numbers, symbols, etc. may be further inputted.

도 2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 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각각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2벌의 입력부(10, 10') 중에서 하나만을 도시한 것이다. FIG. 2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s 10 and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each illustrates only one of two input units 10 and 1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먼저, 도 22의 (a)의 경우, 제1방향입력(M)은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며, 제2방향입력(P)은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갖는다. First, in FIG. 22A, the first direction input M has eight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has four It has a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P 1 , P 2 , ..).

반대로 도 22의 (b)의 경우는 제1방향입력(M)이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며, 제2방향입력(P)이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갖는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FIG. 22B, the first direction input M has four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has eight first direction input positions. It has two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

따라서, 각 실시예에 있어, 하나의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총 12개이므로, 2개의 입력부(10, 10')를 통하여 총 24개의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each embodiment, since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through one input unit 10 is 12, a total of 24 characters may be input through two input units 10 and 10 '.

여기서,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를 2단입력으로 구성한다면 할당되는 문자의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Here, if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configured as a two-stage input, the number of allocated characters can be further increased.

이 경우, 제1방향입력(M)은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가지며, 제2방향입력(P)은 6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has eight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M 1 , M 2 , ...,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has six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 1. , P 2 , ..).

즉, 도 22의 (a)에서 제1방향입력(M)을 2단으로 구성하면 하나의 입력부(10)에 총 20개의 문자가 할당가능하며, 제2방향입력(P)을 2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총 16개의 문자가 할당가능해 진다. That is,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configured in two stages in FIG. 22A, a total of 20 characters can be assigned to one input unit 10,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configured in two stages. In this case, a total of 16 characters can be allocated.

입력부(10)가 베이스(110)에 2 벌로 마련되는 경우, 각 입력부(10, 10') 및 입력동작에 할당되는 문자는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When the input unit 10 is provided in the base 110 in duplicates, the characters assigned to each of the input units 10 and 10 'and the input operation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2개의 입력부(10, 10') 중 어느 일측에만 모음문자를 할당할 수도 있고, 또는, 각 입력부(10, 10')에서 수행되는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 력(P) 중 어느 하나에 모음문자가 분할되어 할당될 수 있다. For example, a vowel character may be assigned to only one of the two input units 10 and 10 ', o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erformed by each input unit 10 or 10'. The vowel character may be divided and assigned to any one of the outputs P.

한편,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2개의 입력부(1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use mode is switched, the movement of the pointer may be performed by one of the two input units 10, and the manipulation of the pointer may be performed by the other.

기타 Etc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후에 자동으로 기준위치(S)로 복귀하는 리턴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have a return function tha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fte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상기 리턴기능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와 베이스(110) 사이에 탄성부재(21)를 마련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 후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return func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direction input M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an elastic member 21 between the input unit 10 and the base 110. After that, the input unit 10 may be retur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S. FIG.

또는, 도 6에 도시된 입력부(10)의 경우, 지지부(25)를 탄성부재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제2방향입력(P)의 경우, 입력부(10)를 탄성재질로 마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input unit 10 shown in FIG. 6, the support unit 25 may be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전술한 탄성부재(21)는 리턴기능 이외에도, 제1방향입력(M)이 다단으로 수행될 때 각 입력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return function, the above-described elastic member 21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ly input each input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 탄성부재(21)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2개(도 23의 21a, 21b참조)로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3,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rovided in two stages, the elastic members 21 are provided in two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see 21a and 21b of FIG. 23). Can be.

따라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21)는 이종의 재질 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materials or shapes.

여기서, 각 탄성부재(21)의 탄성계수는 입력부(10)로부터 멀어질 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즉, k21a < k21b)됨으로써, 1단입력과 2단입력의 경계면에서 탄성계수의 차이에 따른 저항력이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lastic modulus of each elastic member 21 is arranged in order to gradually increase as it moves away from the input unit 10 (that is, k 21a <k 21b ), so that the elastic modulu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stage input and the second stage input It is desirable to feel th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따라서, 탄성계수의 차이에 따라 2단입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단입력시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1단입력과 2단입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two-stage inpu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elastic modulus, a larger force is required than in the one-stage input,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one-stage input and the two-stage input.

한편, 전술한 방식은 제2방향입력(P)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여기서, 각 탄성부재(21a, 21b)의 사이에는 지지링(2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ring 22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members 21a and 21b.

한편,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될 때, 클릭감을 주는 클릭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the center input (C) is performed, click means for giving a feeling of click may be further provided.

클릭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의 경우 입력부(10)의 이동경로 상에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입력부(10)가 통과할 때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다. The click means may be applied to a variety of known typ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 by providing a projection on the movement path of the input unit 10 to deliver a feeling of click when the input unit 10 passes. Can be.

상기 클릭수단은 각 입력동작 전체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일부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또는 중앙입력(C)등이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2단입력시에만 클릭감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1단입력과 2단입력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lick means may be applied to each input operation as a whole, or may be applied to only some of them.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M),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or the center input (C) is provided to enable the multi-stage input, the user feels that the click feeling is generated only when the second stage input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single input and two input.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키(121) 또는 엔터,취소,커서 등의 기능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123) 중 하나 이상이 더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one side of the base 110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of a mode switch key 121 for switching an input mode or a function key 123 for inputting a function command such as enter, cancel, or cursor. Can be.

여기서, 전술한 모드전환키(121) 또는 기능키(123)는 터치감지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Here, the above-described mode switch key 121 or function key 123 may be provided in a touch sensing method.

한편, 베이스(110)의 타측에는 제어부(51)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11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130 for displaying the input command extracted by the controller 51.

이 때,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 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자판표시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19, the display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 keyboard display unit 74 on which input contents accor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or characters allocated in a selected input mode are displayed. .

한편, 자판표시부(74)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인접한 베이스(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keyboard display 74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110 adjacent to the input unit 10, as shown in FIG. 19B.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20, the display 130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base 110.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30)가 장착된 외부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접속가능하게 마련되어, 제어부(51)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of the external device on which the display unit 130 is mounted. 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 It may be further provide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51 may further include.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컴퓨터나 텔레비젼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 방향입력(P) 중 어느 하나로 채널변경이나 볼륨조절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by,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remote control for remote control of a computer or a television. In this case, either the first direction input M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can be used. You can change channel or adjust volume.

특히,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의 경우에는 전술한 일반적인 리모컨 기능 이외에도 프로그램 검색 또는 저장을 위한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igital TV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t is very efficient because a text input for searching or storing a program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general remote control function.

또는, 제1방향입력(M)으로 숫자입력 또는 각종 모드변경을 수행하고, 제2방향입력(P)으로는 채널 또는 볼륨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numerical input or various mode changes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channel or volume control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FIG.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또는 입력부(10) 중 어느 하나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여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가 표시된 제1문자표시부(72a)와,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된 제2문자가 표시된 제2문자표시부(72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6, either the base 110 or the input unit 10, each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M 1 , M 2 , ...) The first letter display unit 72a on which the first letter assigned to (M 1 , M 2 , ...) is displayed and each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A second character display unit 72b may be further provided on which the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P 1 , P 2 , ...

제1문자표시부(72a) 및 제2문자표시부(72b)는 2 이상의 문자가 중복할당된 경우, 입력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characters are duplicated, the first character display unit 72a and the second character display unit 72b may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inpu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input mode.

예를 들어, 제1문자표시부(72a)나 제2문자표시부(72b)를 LCD창 등으로 마련함으로써, 한글문자입력시에는 한글문자만이 표시되고, 영어문자 입력시에는 영어문자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first character display unit 72a or the second character display unit 72b with an LCD window, only Korean characters are displayed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d only English characters are displayed when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can do.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에 마련되어 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기준위치감지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reference position (S)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position detection unit 66 for detecting that the input unit 10 is located at the reference position (S).

기준위치감지부(66)는 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 는 것으로, 기준위치감지부(66)의 감지신호는 문자등의 입력을 위한 리셋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reference position detecting unit 66 detects that the input unit 10 is located at the reference position 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eference position detecting unit 66 may be used as a reset signal for input of a character or the like. .

도 24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입력반경(111)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입력모드에 따라 스크롤, 볼륨조절 또는 검색기능을 수행하는 회전휠(7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a rotation wheel 76 may be further provided adjacent to the input radius 111 of the base 110 to perform scroll, volume control, or search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put mode of the input unit 10. have.

또는, 회전휠(76) 대신에 스크롤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형띠 형상의 감지수단 또는 입력부(10) 주변에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nstead of the rotary wheel 76, a circular band-shaped sensing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such as scrolling or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한편, 도 26 내지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를 베이스(110)에 대하여 착탈 또는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26 to 28, by allowing the input unit 10 to be detachable or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input position.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하는 경우, 입력부(10)를 다양한 재질의 끈과 같은 연결부재(8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시에만 입력부(10)를 터치스크린(130') 등에 얹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6,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nnection member 80 such as a string of various materials is mounted on the input unit 10. By connecting using), the input unit 10 may be placed on the touch screen 130 'and the like only when data is input.

이 경우, 터치스크린(130')에는 기준위치감지부(66)가 마련되어 있어서, 입력부(10) 또는 지지부(25)의 접촉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130 ′ is provided with a reference position detecting unit 66, and when the contact of the input unit 10 or the support unit 25 is detected, the touch screen 130 ′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input mode.

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상을 갖는 본체(81)와, 본체(81)에 마련되며 입력부(10)가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82)와, 본체(81)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베이스(110)에 마련된 슬라이드홈(85)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동지지부(83)를 포함하는 연결부재(80)를 마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7, the main body 81 having a band shape and the main body 81 are provided on the main body 81 and the input unit 10 can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FIG. To provide a connecting member 80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82 which is easily received and a moving support portion 83 that is coupled to the slide groove 85 provided on the base 110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81 and slides. It may be.

이 경우, 연결부재(80)가 베이스(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입력부(10)가 입력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In this case, while the connecting member 80 moves along the base 110, the input unit 10 moves to the input position.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플립타입의 본체(81)에 수용됨으로써 덮개부(86)에 의해 회동되면서 입력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8, the input unit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lip type main body 81 so that the input unit 10 may be rotated by the cover unit 86 and moved to the input position.

여기서,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입력부(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61) 및 제2감지부(63)는 터치스크린(130')에 마련될 수 있다. Here, in each case described above, the first sensing unit 6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63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130 ′.

이 때, 제2감지부(63)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상태에서 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 복귀할 필요없이 그 자리에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0, the second sensing unit 63 changes its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so that the input unit 10 is referred to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can be performed in place without having to return to the position S. FIG.

한편, 터치스크린(130')에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제1자판표시부(74a) 및 제2자판표시부(74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자판표시부(74b)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이동시 따라 이동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29 and 30, the first keyboard display unit 74a on which characters input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M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P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30 ′ is displayed. And a second keyboard display unit 74b, in which case, as shown in FIG. 29, the second keyboard display unit 74b may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구성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단면사시도,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에서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중앙입력시의 각 입력동작을 나타낸 작동도,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each input operation at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the center input in th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부의 반경방향 이동 및 원주방향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radial movement and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of the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부분단면사시도,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의 요부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shown in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및 가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 9 is a plan view showing an input unit and a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put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는 본 발명의 중앙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combined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방향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입력부의 평면도,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irection combination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an view of the input unit;

도 14는 본 발명의 방향회전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지지부의 평면도, 14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각 입력동작에 할당된 각국 문자 배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표, 15 is a table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array of each country allocated to each input opera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요부도, 16 to 18 are main parts of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9는 본 발명의 입력부가 좌우 2벌로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two left and right input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xt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portable terminal;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입력부가 2벌로 마련될 때의 각 입력동작의 다양한 조합예를 나타낸 개념도, 21 and 22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combination examples of each input operation when two input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도 23은 본 발명의 입력부 및 탄성부재를 도시한 요부도, 23 is a main view showing the input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입력부 주위에 회전휠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24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rotary wheel is provided around the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부를 통한 문자입력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2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와 베이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작동도, 26 to 28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unit and a bas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판표시부를 나타낸 평면도, 29 to 33 are plan views illustrating keyboard display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의 흐름도이다. 34 is a flowchar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문자입력장치 10, 10' : 입력부 1: Character input device 10, 10 ': input unit

11 : 누름부 13 : 중앙입력키 11: pressing part 13: center input key

15 : 측면누름부 21 : 탄성부재 15: side pressing part 21: elastic member

22 : 지지링 23 : 전도성부재 22: support ring 23: conductive member

24 : 메탈돔 25 : 지지부 24: metal dome 25: support

27a, 27b, 27c, 27d, 27e, 27f : 접촉부 27a, 27b, 27c, 27d, 27e, 27f: contact portion

40 : 가이드부 51 : 제어부 40: guide part 51: control part

52a, 52b, 52c : 돌기부 53 : 돌출부 52a, 52b, 52c: protrusion 53: protrusion

54 : 미끄럼방지부 55 : 메모리부 54: non-slip unit 55: memory unit

56 : 조작봉 57 : 결합부 56: operating rod 57: coupling portion

58 : 리턴부재 61 : 제1감지부 58: return member 61: the first detection unit

63 : 제2감지부 64 : 접지단자 63: second sensing unit 64: ground terminal

65 : 제3감지부 66 : 기준위치감지부 65: third detection unit 66: reference position detection unit

67 : 터치감지부 68 : 회전감지부 67: touch detection unit 68: rotation detection unit

72 : 문자표시부 74 : 자판표시부 72: character display portion 74: keyboard display portion

76 : 회전휠 77 : 회전돌기 76: rotating wheel 77: rotating projection

80 : 연결부재 81 : 본체 80: connecting member 81: main body

82 : 수용부 83 : 이동지지부 82: accommodating part 83: moving support part

85 : 슬라이드홈 86 : 덮개부85: slide groove 86: cover

100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100: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베이스 111 : 입력반경 110: base 111: input radius

113 : PCB 기판 121 : 모드전환키 113: PCB board 121: mode switching key

123 : 기능키 123: function keys

Claims (14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Second direction inputs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an input unit are independently performed with one finger on the input unit;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a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Including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While either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can be use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located second data can be input together.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entral input provided to select the central input key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or the input unit is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base. 제7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8,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on the same pa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oving distance. 제7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8, 상기 제1감지부, 제2감지부 및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압력 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When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center input is a pressure sensor,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i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ted by the difference in pressure value Character input device.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여지거나 또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inputted by the input unit being inclined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or by selecting one of pressing portion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in the input unit.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 및 지지부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first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by the input unit and the support unit being sli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ward each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or tilted toward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Device. 제7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8,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nd when the center input is performed together with either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a new character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originally assigned to each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is input. 제77항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에만 모음문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And a vowel character is assigned only to any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제77에 있어서,77.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입력반경 내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도 이동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t least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while the input unit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the input radius. 제85항에 있어서,86. The method of claim 85, 상기 원주방향 이동입력 시 복수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최종 감지되는 신호만을 입력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nd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are inputted during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to recognize only the last detected signal as an input comm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9, 상기 입력부와 베이스에 사이에는, 각각 서로 다른 탄성계수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탄성계수가 점차 증가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이 탄성계수의 차이에 따라 각 단계별로 구분되어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base, different modulus of elasticity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input, respectively, and are sequentially arranged such that the modulus of elasticity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put part toward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hat are separated by each step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elastic modulus to enable input.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입력부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삭제delete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이 표시되는 문자표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put command extracted by the controller,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character assigned in the selected input mode, and further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put contents accor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92항에 있어서, 92. The method of claim 9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nd the display unit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base.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자체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The input unit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f-rotation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on the base. 제7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8, 상기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에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in the base. 제78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1.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8-80,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각 입력부의 상단 또는 상기 각 누름부나, 상기 중앙입력키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approach or contact of the finger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each input unit or the pressing portion or each of the central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제78항 내지 제80항 또는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8.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8-80 or 95,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touch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touch sensing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to sense a touch of a finger.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is not performed. 제78항 내지 제80항 또는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98.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8-80 or 95,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I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central touch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touch of the fing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로의 손가락의 터치에 의한 중앙 터치 감지신호와 상기 제2방향입력의 수행에 따른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와,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enter touch detection signal by a touch of a finger to the center touch detection unit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unit.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inputting different characters to distinguish only the case is received. 제95항에 있어서, 97. The method of claim 95, 상기 2개의 입력부 중 어느 하나는 문자, 숫자, F키, 펑션 중 하나 이상의 입력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는 마우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ny one of the two input units is one or more of the input of letters, numbers, F keys, functions are performed, the other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mouse. 삭제delete 제95항에 있어서, 97. The method of claim 95,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감지부, 제2감지부 및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은 압력 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In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ted on the same pa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oving distance, or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center input is pressured. In the case of a sensor,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by the difference of the pressure value.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기기에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extracted by the controller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or receiving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 후에 자동으로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nd the input uni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reference position after perform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될 때 상기 입력동작에 할당된 제3문자가 입력되는 방향조합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to input the third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when any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in succession after the other is performed Character input device. 제104항에 있어서, 105. The method of claim 104, 상기 방향조합입력은 조합되는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의 순서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direction combination input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be combined.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입력부의 상단에 일단이 삽입되는 조작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단에는 상기 조작봉이 삽입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A character in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ro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input unit, and a coupling unit into which the operation rod is inserted at an upper end of the input unit. 제77항에 있어서, 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상기 입력반경내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이고,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s any one of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input radius,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올려져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And the input unit is mounted on the input radius to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제107항에 있어서,107. The method of claim 107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반경 위에 상기 입력부 또는 지지부의 접촉을 인식하면 입력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put radius, and the controller inputs a character input, whe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recognizes the contact of the input unit or the support unit over the input radius. Device. 제107항에 있어서,107. The method of claim 107 wherein 상기 제2감지부는 입력부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1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상기 제 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The second sen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the second direction input successively provi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제107항에 있어서, 107. The method of claim 107 wherein 상기 입력부를 상기 베이스에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input unit to the base is further provided. 제110항에 있어서, 112. The method of claim 110, 상기 연결부재는, The connecting member, 띠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부가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 main body having a band shape; An accommodation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input part of which is configured to receive first direction input and second direction input; Characterized input device comprising a; moving support portion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main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base. 제110항에 있어서, 112. The method of claim 110, 상기 연결부재는, The connecting member,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부가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됨으로써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입력반경에 얹혀지게 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 main body; An accommodation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 cover part configured to rotate the main body relative to the base so that the input part is placed on the input radius. 제107항에 있어서, 107. The method of claim 107 wherein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입력부의 외부에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제1자판표시부 또는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제2자판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first keyboard display unit displaying characters allocated to each of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on the outside of the input unit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or a second character displaying characters allocated to each of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f the keyboard display unit is displayed. 제113항에 있어서, 113. The method of claim 113, 상기 제2자판표시부는 상기 제1방향입력시 상기 입력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And the second keyboard display unit moves along the input unit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such that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successively performed while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제77항 또는 제95항에 있어서, 97. The method of claim 77 or 95, 베이스의 일측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이 표시되는 문자표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One side of the base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 assigned in the selected input mode is displayed, the charact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is further provided. 제104항에 있어서, 105. The method of claim 104, 상기 제1방향입력, 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In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when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on the same path or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parts are pressure sensors,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s inpu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oving distance.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haracters are input by the difference in pressure value. 제77항 또는 제78항 또는 95항에 있어서, 97. The method of claim 77 or 78 or 95,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re performed with one finger on the upper part of the input unit.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1 문자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 2 문자를 함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In the state where any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an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letter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are assigne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the second character together.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2단 이상으로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Two input units provided on the base-The input unit includ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four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each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econd direction inputs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four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independent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one finger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put unit in two or more steps;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a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Including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While either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can be use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located second data can be input together.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Two input units provided on the base, the input unit including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eight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each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and radially inputting the input unit; Second direction inputs for selecting any one of eight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independently performed with one finger on the input unit;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a first character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from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Including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While either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can be use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located second data can be input together.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2개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각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Two input units provided on the base, the input unit comprising: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each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econd direction inputs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independently performed with one finger on the input unit;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a first character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a second character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Including;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하고,While either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can be used. The allocated second data can be input together,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들 주변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And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units disposed around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espectively.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Second direction inputs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an input unit are independently performed with one finger on the input unit;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or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Including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이 복수의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라도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1 데이터와 제2방향입력으로 할당된 제2데이터가 함께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While either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other input can be perform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ssign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can be used. And the allocated second data can be input together.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slid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누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ressing parts provided in the input unit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The first direction input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Sliding and performed,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inclined toward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지지부와 같이 슬라이딩되며 수행되고,The first direction input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Sliding and performed,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상기 입력부가 기울임 이동되며 수행되고,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toward any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와 베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a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input part and the base, the support part sliding with the input part and supporting the tilting movement of the input part.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입력부 및 지지부가 기울어지는 기울임이동에 의해 수행되고,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tilting the input unit and the support inclin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수행되며,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while being inclined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상기 베이스와 입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a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input part to support tilt movement of the input part.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상기 제2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과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The mouse pointer is moved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mouse left / right button or scro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center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 제126항에 있어서, 126. The method of claim 126, 드래그(drag)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채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The drag is a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whil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제126항에 있어서, 126. The method of claim 126, 입력부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If the input section is provided with two, 어느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포인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 버튼 또는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The movement of the pointer is performed by one input unit, and the mouse left / right button or scrol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ther input unit. 제126항에 있어서, 126. The method of claim 126, 입력부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If the input section is provided with two, 상기 각 입력부는 제2방향입력이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각 입력부의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문자를 입력하고, 각 입력부의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 이동, 방향지시, 기능명령 또는 모드변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Each input unit is capable of inputting two or more stages in a second direction input, so that characters are input by a second direction input of each input unit, and a mouse pointer is moved and direction is indicated by a first direction input of each input unit. And a function command or mode change.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동일 경로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압력센서일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은 압력값의 차이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when different data is input on the same path or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are pressure sens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ovement distance. Direction input is a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data is input by the difference in the pressure value. 제121항에 있어서, 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에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nd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in the base.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a guide part provided on the base to guide movement of the input part. 제129항에 있어서,129. The method of claim 129 wherein 하나의 입력부는 키보드 자판의 문자, 숫자 또는 F키에 해당하는 데이터입력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는 마우스로 동작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One input unit is a data input corresponding to the letter, number or F key of the keyboard keyboard, the other input unit is a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laying the game by operating with a mouse. 삭제delete 베이스와;A 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입력부와; A first direction input provided in the base and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nd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input unit; An input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and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Including,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의 선택 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며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마련되어,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수행되는 중앙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본래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Selection of a central input ke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put unit or a central input provided with the input unit being raised or lowered relative to the base is provided, and the central input is performed together with either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a new data different from the data originally allocated to each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is input by the central combination input.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상부에 한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다른 하나가 수행되는 방향조합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됨- ;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base-the input unit comprises: a first direction input mov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The second directio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input unit,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are performed with one finger on the input unit. A direction combination input in which on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other is sequentially performed;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입력부의 이동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 또는 상기 방향조합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is detected,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or third allocated to the direction combining input; And a controller which extracts and executes data from the memory unit.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command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제137항에 있어서, 138. The method of claim 137,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nd the display unit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base. 제121항에 있어서, 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기기에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a transmitter / re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extracted by the controller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or to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제121항에 있어서,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입력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수행시 상기 입력부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put portion to facilitate manipulation of the input por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or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제121항에 있어서, 121. The method of claim 121, wherein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상기 입력반경내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are any one of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provided within the input radius. 제141항에 있어서,143. The method of claim 141,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올려져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input unit is mounted on the input radius to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제142항에 있어서,143. The method of claim 142, wherein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반경 위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반경 위에 상기 입력부 또는 지지부의 접촉을 인식하면 입력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contacting the input radius, and the controller converts the input mode whe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recognizes the contact of the input unit or the support unit over the input radius. Device. 제142항에 있어서, 143. The method of claim 142, wherein 상기 제2감지부는 입력부 또는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second sensing unit is capable of perform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successively while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or the finger.
KR1020070075344A 2006-07-26 2007-07-26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KR1008353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73 2006-07-26
KR20060070073 2006-07-26
KR20060084586 2006-09-04
KR1020060084586 2006-09-04
KR1020060120368 2006-12-01
KR20060120368 2006-12-01
KR1020070045255A KR20080010266A (en) 2006-07-26 2007-05-09 Character input device
WOPCT/KR2007/002285 2007-05-09
KR1020070045255 2007-05-09
KR2007002285 2007-05-09
KR1020070046306 2007-05-14
KR20070046306 2007-05-14
KR1020070056993 2007-06-12
KR20070056993 200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65A KR20080010365A (en) 2008-01-30
KR100835337B1 true KR100835337B1 (en) 2008-06-04

Family

ID=3922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344A KR100835337B1 (en) 2006-07-26 2007-07-26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1770A2 (en) * 2008-03-06 2010-11-17 OH, Eui-Jin Data input device
KR101004653B1 (en) * 2008-04-28 2011-01-0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of thereof
JP2011529597A (en) * 2008-07-31 2011-12-08 オ,イジン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n array of circular keypads
KR101694281B1 (en) * 2011-09-29 2017-01-23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101694280B1 (en) * 2011-09-29 2017-01-23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84A (en) * 2001-07-23 2003-02-05 김승환 Carryalong a letter input equipment
KR20040068514A (en) * 2004-06-18 2004-07-31 박노수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70050306A (en)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Device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symbols/nu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84A (en) * 2001-07-23 2003-02-05 김승환 Carryalong a letter input equipment
KR20040068514A (en) * 2004-06-18 2004-07-31 박노수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70050306A (en)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Device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symbols/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65A (en)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777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US852577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490935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10266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73997A (en) Data input device
JP2010507861A (en) Input device
JP5124574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83533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KR20080050352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0518529A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0002662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68857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RU2450318C2 (en) Apparatus for inputting symbols and method of using said apparatus
KR200800701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99768A (en) Data input device
WO2008140228A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37651A (en) Data input apparatus
KR20080075675A (en) Charact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626

Effective date: 200911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