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634B1 -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634B1
KR100834634B1 KR1020010051905A KR20010051905A KR100834634B1 KR 100834634 B1 KR100834634 B1 KR 100834634B1 KR 1020010051905 A KR1020010051905 A KR 1020010051905A KR 20010051905 A KR20010051905 A KR 20010051905A KR 100834634 B1 KR100834634 B1 KR 10083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ilot channel
serving base
channel signal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8280A (en
Inventor
황승오
이현우
이주호
이혜영
박수원
정재훈
권재균
윤지영
문성호
박수미
성단근
김정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634B1/en
Publication of KR200300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법을 사용하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에서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방법( narrow band Time Division Duplex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 이하 NB-TDD라 칭함)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추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in a narrow band time division duplex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method (NB-TDD) in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osition information capable of estimating a position of a?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 중 전력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력보다 큰 전력을 가지는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를 계산한 후,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가 포함된 위치 추정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측정 정보를 전달받은 기지국에서 상기 위치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may include receiving pilot channel signals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of the terminal during a specific downlink signal period, and receiving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When the power of the received pilot channel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removed by removing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Outputting a channel signal and outputting a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when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and outputting the output pilot channel Signals After decoding, after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pilot channel signals having a powe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power among the decoded pilot channel signals,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location esti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ilot channel signals are calculated. And transmitting to at least one base station among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at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NB TDD , Location Service , UE 위치 추정 , DwPCH , 신호 제거기 NB TDD, Location Service, UE Location Estimation, DwPCH, Signal Eliminator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NB-TDD) 시스템의 무선 접속망 (Radio Access Network)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of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NB-TDD) system.

도 2는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NB-TDD) 시스템에서의 부프레임 ( sub- frame )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FIG. 2 illustrates a sub-frame structure in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NB-TDD) system. FIG.

도 3은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NB-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UE들에게 상, 하향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to UEs in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NB-TDD) system.

도 4는 상기 도 3의 부프레임 내의 타임 슬롯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time slot in a subframe of FIG.

도 5는 DwPTS 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5 shows the structure of a DwPTS;

도 6은 UpPTS 의 구조를 도신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UpPT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UE)의 송, 수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obile station (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 위치 추정을 위한 DwPTS 도착 시간차 추정기 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wPTS arrival time difference estimator for UE location esti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ase station in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NB TDD) 시스템의 단말기에서의 UE 위치 추정 과정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UE location estimation process in a terminal of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NB TD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의 UE 위치 추정 과정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UE location estimation process in a base station in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의 도달 시간차 관측(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easuring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position in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법을 사용하는 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중 에서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방법에서 단말기의 위치 추정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파수로 상하향 전송을 구별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방식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system : 이하 FDD 라 칭함), 시간으로 상, 하향 전송을 구별하는 광대역 시분할 다중 통신 방식 ( Wide Band 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system : 이하 WB-TDD라 칭함) 및 NB-TDD로 이루어 지며, 상기 광대역 시분할 다중 통신 방식과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방식은 칩 레이트로 3.84 MHz를 사용하며, 상기 협대역 시분할 다중 통신 방식은 칩 레이트 1.28MHz를 사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in a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method in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system (FDD) for distinguishing up and down transmissions by frequency, and a wideband time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for distinguishing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by time. 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WB-TDD) and NB-TDD, and the broadband time division multiple communication scheme and th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communication scheme use 3.84 MHz at a chip rate. Uses a chip rate of 1.28 MHz.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해 NB-TDD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Brief description of the NB-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 은 NB-TDD에서의 무선 접속망 (Radio Access Network : 이하 RAN이라 칭함) 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상기 RAN 및 핵심망(Core network : 이하 CN이라 칭함)을 등의 망의 상위 개념들을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rok)이라 칭한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AN) in an NB-TDD. The upper concepts of a network such as the RAN and a cor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N) are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rok).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RAN이다. 상기 RAN 100은 여러 개의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 이하 RNC 라 칭함) 와 상기 RNC 들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개의 Node - B 들과 단말기들 ( User Equipment : 이하 UE 라 칭함 ) 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 도 1 의 RNC 110과 120은 각각 여러 개의 node B( 기지국을 칭함) 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 1 의 node B 111, 112, 121, 122 는 각각 여러 개의 UE 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node B 들은 UE 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를 주고 받는다. 상기 도 1 의 UE 113과 UE 123 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이며 사용자의 정보 및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정보를 node B를 거쳐 UTRAN으로 전송하고, UTRNA에서 node B를 거쳐 전송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정보들을 수신한다.1,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RAN. The RAN 100 includes a plurality of RN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s), a plurality of Node-Bs connected to the RNCs by wire, and terminals (user equip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Es)). The RNC 110 and 120 of FIG. 1 respectively control a plurality of node Bs (called base stations). The nodes B 111, 112, 121, and 122 of FIG. 1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Es, respectively, and the node B exchanges an uplink signal and a downlink signal using a radio frequency with the UE. The UE 113 and the UE 123 of FIG. 1 are terminals used by a user, and transmit user information and higher layer signaling information to the UTRAN through node B, and user information and higher layer signal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node B in UTRNA. Receive.

도 2 는 NB TDD 의 부프레임 ( sub- frame )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 기 부프레임은 2개가 모여 10ms길이가 되어 3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전송의 기본 단위인 레디오 프레임이 된다. 상기 10ms길이의 레디오 프레임은 FDD, WB-TDD, NB-TDD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무선 전송의 기본 단위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frame structure of NB TDD. The two subframes are 10ms long and become a radio frame, which is a basic unit of wireless transmission, in the 3rd generatio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10ms long radio frame is a basic unit of wireless transmission commonly used in FDD, WB-TDD, and NB-TDD.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NB-TDD에서 사용하는 부프레임은 7개의 타임 슬랏과 순방향 파일럿 타임 슬랏 (Downlink Pilot Time Slot: 이하 DwPTS라 칭함) 그리고 역방향 파일럿 타임 슬롯 (Uplink Pilot Time Slot : 이하 UpPTS라 칭함)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2에서 아래로 화살표가 있는 타임슬롯은 기지국에서 단말(UE)로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이고, 위로 화살표가 있는 타임슬롯은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이다. NB-TDD에서는 타임 슬랏 단위로 상 ,하향 전송이 변경되기 때문에 몇 가지 규칙을 적용하여 부프레임의 타임 슬랏들을 상 ,하향 전송에 할당한다. 상기 도 2의 201은 타임 슬랏 0번으로 반드시 하향 전송에만 사용되어야 하며, 202 DwPTS는 UE가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기지국에서 사전에 약속된 부호 시퀀스를 전송하는 구간이며, 204 UpPTS는 역방향 동기를 위해 단말이 기지국으로 사전에 약속된 특정 부호 시퀀스를 전송하는 구간이다. 상기 도 2의 210은 스위칭 포인트로 상 ,하향 전송이 바뀌는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203 보호구간 (Guard Period:이하 GP라 칭함)은 DwPTS와 UpPTS가 겹쳐져 서로 상대방에게 간섭을 주지 않기 하기 위해서 설정하는 구간이다. 상기 211 스위칭 포인트는 상기 도 2의 NB-TDD 부프레임의 TS0을 제외한 다른 타임 슬랏들의 상하향 전송을 구별하는 시점이다. 상기 211 스위칭 포인트는 상향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상향 슬랏의 수가 많게 설정되며, 하향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하향 슬랏의 수 가 많게 설정된다 The subframes used in the NB-TDD shown in FIG. 2 include seven time slots, a forward pilot time slot (DwPTS), and an uplink pilot time slot (UpPTS). It is composed of In FIG. 2, a time slot with a down arrow is a sec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o a UE, and a time slot with a up arrow is a sec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NB-TDD, since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is changed in units of time slots, several rules are applied to allocate time slots of subframes to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201 of FIG. 2 should be used only for downlink transmission with time slot 0. 202 DwPTS is a period in which a base station transmits a pre-promised code sequence to synchronize the UE, and 204 UpPTS is used for backward synchronization. A terminal transmits a predetermined code sequence previously promised to a base station. 210 in FIG. 2 indicates a time point at which up and down transmissions are switched to the switching point. The guard period 203 of FIG.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GP) is a period set so that DwPTS and UpPTS overlap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211 switching point is a time point for distinguishing up and down transmission of time slots other than TS0 of the NB-TDD subframe of FIG. 2. The 211 switching point is set to have a large number of uplink slots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upwards, and to set a large number of downlink slots when there is a lot of data to be transmitted downwards.

도 3은 NB-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UE들에게 상하향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과 하나의 UE사이의 상하향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도 3의 301, 302, 303, 304는 라디오 프레임이고, 311,312는 라디오 프레임 301의 두 개의 부프레임이며, 321,322는 라디오 프레임 302의 두 개의 부프레임이며, 331,332는 라디오 프레임 303의 두 개의 부프레임이며, 341,342는 라디오 프레임 304의 두 개의 부프레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to UEs in an NB-TDD system.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uplink channe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one UE is allocated. 3, 301, 302, 303, and 304 are radio frames, 311 and 312 are two subframes of a radio frame 301, 321 and 322 are two subframes of a radio frame 302, and 331 and 332 are two subframes of a radio frame 303. 341,342 are two subframes of the radio frame 304.

상기 도 3에서 UE가 기지국에게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거나 혹은 기지국이 UE에게 채널을 할당해 주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지국은 상향 전송에 사용할 라디오 프레임, 부 프레임, 타임 슬랏, 채널 부호등의 자원 및 하향 전송에 사용할 라디오 프레임, 부 프레임, 타임 슬랏, 채널 부호 등의 자원을 UE에게 알려 주게 된다. 상기 채널 할당에 사용되는 자원들 중에 채널 부호는 직교 부호로서 하향 전송일 경우 동일한 타임 슬랏을 사용하는 하향 전송 채널들을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하며, 상향 전송일 경우 동일한 타임 슬랏을 사용하는 서로 다른 UE들을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교부호를 통한 상하향 전송에서 동일한 UE에게 한 개 이상의 채널 부호가 할당되어 상기 UE로의 하향 전송 및 상기 UE에서의 상향 전송의 전송률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NB-TDD에서 사용하는 채널 부호는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직교 변환 확산 부호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이하 OVSF부호라 칭함)를 사용한다. 상기 OVSF부호의 특성은 데이터를 대역확산 시키는 확산율에 따라 길이와 수가 변하는 것이다. 일 예로 확산 율이 4이면, 데이터는 대역이 4배로 확장되며, 이 경우 사용되는 채널 부호의 길이는 4가 되며, 사용할 수 있는 확산율 4인 채널 부호는 4개가 발생하게 된다. NB-TDD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확산율은 1,2,4,8,16이며, 확산율이 증가함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낮아지게 된다. In FIG. 3, when the UE requests the base station to allocate a channel or when the base station allocates a channel to the UE, the base station uses resources such as radio frames, subframes, timeslots, channel codes, and the like for uplink transmission. The UE informs the UE of resources such as radio frame, subframe, time slot, channel code, and the like for downlink transmission. Among the resources used for the channel allocation, the channel code is an orthogonal code and distinguishes downlink transmission channels using the same timeslot in the case of downlink transmission, and different UEs using the same timeslot in the uplink transmission. It serves to distinguish. In the up-and-down transmission through the orthogonal code, one or more channel codes may be allocated to the same UE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and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UE. The channel code used in NB-TDD uses an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VSF code) used in a 3rd generatio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haracteristic of the OVSF code is that the length and number change according to the spreading rate for spreading the data. For example, if the spreading rate is 4, the data is expanded by four times the bandwidth.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channel code used is 4, and four channel codes having a spreading rate of 4 are generated. The spreading rate of data used in NB-TDD is 1,2,4,8,16, and as the spreading rate increase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transmitted data is lowered.

상기 도 3에서 기지국과 UE간의 상하향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은 311 부프레임의 타임 슬랏들 중에서 하향 전송에 쓰이는 타임 슬랏내의 특정 채널 부호로 하향 채널을 설정하며, 311 부프레임의 타임 슬랏 들중에서 상향 전송에 쓰이는 타임 슬랏 내의 특정 채널 부호로 상향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UE와 기지국간에 설정된 상하향 채널들은 매 라디오 프레임 단위로 반복될 수도 있고, 임의의 라디오 프레임 후에 상기 UE와 기지국 간의 상하향 채널이 다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UE와 기지국간의 상하향 채널이 얼마만한 주기로 반복될 것인지, 몇 개의 라디오 프레임뒤에 재설정될 것인지는 상기 UE와 기지국간의 전송되는 데이터의 성질, 양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상향 전송할 데이터가 많고, 하향 전송할 데이터가 적은 경우에는 상향 전송 채널을 하향 전송 채널에 비해 자주 반복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에서 204 프레임은 UE와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In FIG. 3, a method of determining an uplink channe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E sets a downlink channel to a specific channel code in a time slot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among time slots of 311 subframes and transmits uplink among time slots of 311 subframes. This is to set up channel to specific channel code in time slot used for. The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established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may be repeated every radio frame unit, and the uplink and downlink channel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may be reset after a certain radio frame. How many times the uplink channel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is repeated or how many radio frames are reset may depend on the nature and amount of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when there is a lot of uplink data and little data to be transmitted downlink, the uplink transmission channel may be repeated more frequently than the downlink transmission channel. In FIG. 2, the 204 frame refers to a frame in which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is terminated.

도 4는 상기 도 3의 부프레임 내의 타임 슬랏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향 전송과 하향 전송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구조이다. 상기 도 4의 411과 417 데이터부는 상향 혹은 하향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며, 412와 416은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이하 TFCI라 칭함)를 전송하는 TFCI부로서, 상기 TFCI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 전송되는 하향 채널의 데이터 전송율 혹은 여러 개의 채널 부호로 전송되는 하향 채널이 있을 경우 각 채널 부호들의 전송율 및 데이터의 성질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상향 채널의 경우도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도 4의 413 미드엠블은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 중 WB-TDD와 NB-TDD에서 상향 전송에 있어서는 동일한 타임 슬랏을 사용하는 UE의 구별 혹은 동일한 타임 슬랏을 사용하는 기지국 채널들의 구별에 사용되며, 상하향전송에 있어서 채널 추정에 사용되고, 하향 전송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UE로의 채널 경로에 따른 손실이 얼마인지 측정 및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미드엠블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기지국의 구별에도 사용되게 된다. 상기 413 미드엠블부에는 특정 시퀀스가 사용되며, 특정 시퀀스의 종류는 128개가 있다. 상기 도 3의 설명에서 설명한 채널 부호와 미드엠블 시퀀스는 그 특성 및 종류가 다른데 상향 전송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채널 부호는 상기 도 4의 411과 417 데이터부에 사용되는 직교 부호로서 상기 데이터부들로 전송되는 UE들의 데이터를 구별하는 역할을 하며, 미드엠블은 어떤 UE가 전송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별을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미드엠블은 채널부호를 사용하여 대역 확산되지 않는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ime slot in a subframe of FIG. 3 and is used in the same way for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The data parts 411 and 417 of FIG. 4 are used for transmiss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upward or downward, and 412 and 416 are TFCI parts for transmitting a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TFCI), wherein the TFCI is a base station to a UE. If there is a data rate of the downlink channel transmitted to or a downlink channel transmitted by several channel codes, it serves to inform the data rate and the nature of the data of each channel code, and also the case of the uplink channel. The 413 midamble of FIG. 4 is used to distinguish UEs using the same timeslot or uplink base station channels using the same timeslot for uplink transmission in WB-TDD and NB-TDD among 3G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In this case, it is used for channel estimation in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The downlink transmission is used to measure the loss due to the channel path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UE and to distinguish the base stations due to the use of different midambles. A specific sequence is used for the 413 midamble unit, and there are 128 kinds of specific sequences. The channel code and the midamble sequenc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types. When the uplink transmission is taken as an example, the channel code is an orthogonal code used for the data parts 411 and 417 of FIG. 4 and transmitted to the data parts. The midamble plays a role of distinguishing which UE is transmitting, and the midamble is not spread using a channel code.

상기 도 4의 414 SS(Synchronization Shift:이하 SS라 칭함)는 전송 도중에 UE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의 변화 혹은 기타의 이유로 동기가 어긋났을 경우 동기를 조절하는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SS로 전송되는 명령어에 의해 UE는 1/8chip 단위로 동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The 414 SS (Synchronization Shif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S) of FIG. 4 is used to transmit a command for adjusting synchronization when synchronization is out of synchronization due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or other reasons during transmission. By the command transmitted to the SS, the UE can adjust synchronization in units of 1/8 chip.

상기 도 4의 418 GP는 현재 전송되고 있는 슬랏과 그 다음에 전송되는 슬랏 사이를 구별해 주기 위한 구간이며, 상기 GP는 상향 전송 슬랏 뒤에 하향 전송 슬랏이 오거나, 하향 전송 슬랏 뒤에 상향 전송 슬랏이 오는 경우 서로간에 간섭신호가 되기 않도록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한다.The 418 GP of FIG. 4 is a sec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currently transmitted slot and the next transmitted slot, and the GP has an uplink transmission slot followed by a downlink transmission slot or a downlink transmission slot after a downlink transmission slot. In this case, it serves to distinguish each other from becoming an interference signal.

상기 도 4의 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er :이하 TPC라 칭함) 는 상기 TPC가 상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의 하향 전송 전력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하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UE의 상향 전송 전력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The 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PC) of FIG. 4 is used to control downlink transmission power of a base station when the TPC is transmitted upward, and is used to control downlink transmission power of a UE when transmitted downward. Used for control

도 5 는 DwPTS 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DwPTS 는 GP 와 SYNC DL (Synchronization Down link code : 이하 SYNC DL 로 칭함 ) 로 구성되어 있으며, DwPCH( Downlink Pilot Channel : 이하 DwPCH라 칭함)를 전송하여 UE 가 초기 cell 탐색 및 하향 동기를 맞추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5 의 501 GP 의 길이는 32 칩이며 SYNC DL 앞에 존재하고 SYNC DL 코드와 time slot 0 의 신호가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502 SYNC DL 코드는 길이 64 칩인 부호로서 32개가 존재하며 , 주변 기지국끼리는 서로 다른 SYNC DL 부호를 사용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wPTS. The DwPTS includes a GP and a SYNC DL (SYNC DL), and transmits a DwPCH (DwP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DwPCH). It can be used for initial cell search and down synchronization. The length of the 501 GP of FIG. 5 is 32 chips, which exists in front of the SYNC DL, and serves to prevent the signal of the SYNC DL code and the time slot 0 from overlapping. Base stations use different SYNC DL codes.

도 6 은 UpPTS 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 UpPTS 역시 GP 와 SYNC UL (synchronization Up link code : 이하 SYNC UL 로 칭함) 로 구성되어 있고, UpPCH(Uplink Pilot Channel : 이하 UpPCH라 칭함)을 전송한다. 도 6 의 602 GP 의 길이는 상기 도 5 의 501 GP 와 마찬가지로 32칩 이며 그 위치는 DwPTS 와 달리 SYNC UL 뒤에 존재하며 Ts 1으로 전송되는 상향 신호와 SYNC UL 부호가 겹쳐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 6 의 601 SYNC UL 코드는 그 길이가 128 칩 이며 총 256개의 코드가 있고 그 용도는 기지국이 UpPCH를 측정하여, UE의 상향 동기를 맞추는데 사용된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UpPTS. UpPTS is also composed of a GP and a SYNC U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NC UL), and transmits an UpPCH (Uplink Pilot Cha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PCH). The length of the 602 GP of FIG. 6 is 32 chips, similar to the 501 GP of FIG. 5, and its position is located behind the SYNC UL, unlike DwPTS. The 601 SYNC UL code of FIG. 6 has a length of 128 chips and has a total of 256 codes. The purpose of the 601 SYNC UL code is to use the base station to measure UpPCH to synchronize uplink of the U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한 NB TDD 시스템에서의 UE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UE 의 위치 추적은 UE 가 각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신호 혹은 GPS ( Global Positioning Syetem : 이하 GPS 라 칭함 ) 위성 신호를 측정하여 자신의 위치를 직접 계산하거나 또는 상기의 측정치를 기지국으로 보고하여 기지국에서 UE 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UE in the NB TDD system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tracking of a UE is performed by the UE measuring a signal from each base station or a GPS (Global Positioning Syetem (GPS) satellite signal) to directly calculate its own location or reporting the measurement to the base station so that the base station can locate the UE.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여 긴급 연락하는 서비스 혹은 차량 위치 추적 등을 제공하기 위한 UE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UE for providing emergency contact service or vehicle location tracking in the narrowband 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NB-TDD의 DwPCH를 사용하여 UE의 위치를 파악하고, 신호 제거 (Signal Canceling) 방법을 사용하여 DwPCH의 신호를 보다 잘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 중 전력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력보다 큰 전력을 가지는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를 계산한 후,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가 포함된 위치 추정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측정 정보를 전달받은 기지국에서 상기 위치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단말 장치는,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제거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기와, 상기 판단기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큼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제거부와, 상기 제거부에서 출력된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와,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 중 전력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력보다 큰 전력을 가지는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를 계산한 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가 포함된 위치 추정 정보를 출력하는 시간차 계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기지국은, 파일럿 채널 신호 전송 슬럿동안 파일럿 채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가 포함된 위치 측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기를 포함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bette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UE using DwPCH of NB-TDD, and measuring a signal of DwPCH better using a signal cancel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may include receiving pilot channel signals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of the terminal during a specific downlink signal period, and receiving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When the power of the received pilot channel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removed by removing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Outputting a channel signal and outputting a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when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and outputting the output pilot channel Signals After decoding, after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pilot channel signals having a powe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power among the decoded pilot channel signals,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location esti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ilot channel signals are calculated. And transmitting to at least one base station among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at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pilot channel signals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of the terminal during a specific downlink signal interval, and a pilot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 determiner that compares a power of a channel signal with a preset threshold and determines whether to remove a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The serving base station is determined to remove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nd A cancel unit which removes pilot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pilot channels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nd outputs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s output from the remove unit Receives at least one of a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nd a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decodes the transmitted pilot channel signals, and power of the decoded pilot channel signals is reduced. After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pilot channel signals having a powe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power, the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ilot channel signals for transmission to at least on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is obtained. Output time difference calculator It includes.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pilot channel signal during a pilot channel signal transmission slot, and receiving 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ilot channel signals from the terminal; And a position estimator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ceived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ai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NB TDD 에서의 UE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 한 것으로서, 현재 제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방식의 표준기구인 3GPP ( 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 이하 3GPP 라 칭함.)에서 UE의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해 놓은 것은 크게 3 가지 기술로 나뉘어 진다. 상기 3 가지 기술이라 함은 셀 기본 방법 ( Cell Based method), 도달 시간차 관측 방법 (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 이하 OTDOA method라 칭함.) 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이하 GPS)를 사용하는 방법을 칭한다. 상기 셀 기본 방법은 UE와 통신을 하고 있는 기지국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UE가 어느 기지국에 속해있는 지를 판별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며, OTDOA method는 UE가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며, GPS를 이용하는 방법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GPS 위성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사용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3 가지 방법 중에서 OTDOA method와 GPS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UE가 신호를 측정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UE location estimation in NB TD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3GPP (3GPP), which is a standard organization of the third generatio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method. What is set as a method to enable position estim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echniques. The three technologies are referred to as a cell based method, an observing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TDOA method), and a method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t is called. The cell-based method i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UE by assigning an identifier to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UE, determining which base station the UE belongs to, and the OTDOA method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base station by the UE. It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UE by measuring the arrival time of them, and the method using GPS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UE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in the earth orbi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applied to the technique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UE by measuring the signal, such as the method using the OTDOA method and GPS among the three methods.

UE의 위치 추정을 위해서는 UE 가 자신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측정해내야 하며, 상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UE 의 위치 계산을 할 수 있다. 상기 UE 의 위치 계산은 UE 에서 직접 할 수도 있고, 상기 측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기지국측에서 할 수도 있다. 상기 UE가 UE의 위치를 직접 계산하는 방법은 UE based method라고 하며, 상기 UE based method를 사용할 경우, UE는 UE 자신이 측정한 신호를 보내는 신호 측정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UE가 측정한 정보를 기지국측으로 송신에서 기지국측에서 UE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UE based method라 한다. 상기 UE의 위치 계산은 기지국측의 UE 위치 측정을 할 수 있는 장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UE의 위치 추정을 할 수 있는 장치의 위치는 UE가 연결되어 있는 SRNC(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 이하 S-RNC 라 칭함.)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위 네트워크안의 임이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UE, the UE needs to measure information indicating its location, and can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U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The location calculation of the UE may be performed directly at the UE, or may be performed at the base station side by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method of directl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UE by the UE is called a UE based method, and when using the UE based method, the UE should know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a signal measurement source that sends a signal measured by the UE itself.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UE at the base station i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UE to the base station is called a UE based method. The location calculation of the UE is performed in a device capable of UE location measurement at the base s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evice capable of location estimation of the UE is a SRNC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S-RNC) to which the UE is connected. It may be located at any location in the upper network.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UE의 위치 추정 방법 중에서 OTDOA method를 도 12를 참조 하여 설명한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DOA method of the location estimation method of the U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상기 도 12 에 대한 설명을 하기 전에 UE의 주변에 3개의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상기 도 12에서는 기지국의 수를 3으로 제한하였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OTDOA 를 사용함에 있어 참조하는 기지국 신호는 최소한 3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2에서 UE 1201은 node B ( a ) 1211, node B ( b) 1212 및 node B ( c) 1213 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 상기 node B들 로부터의 신호들은 UE와의 node B 사이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 상대적인 시간차를 가지고 UE 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상대적인 시간차는 UE와 node B 사이의 거리에 의존하는 값이지만, UE와 node B 사이의 채널 환경에 의해서도 의존될 수 있는 값이나. 상기 채널 환경에 의한 시간차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UE의 위치 추정에 오차를 가져 올 수는 있으나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상기 UE 1201d은 각 node B 들로부터의 신호들의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값들을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직접 위치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UE 가 측정한 신호들의 시간차를 가지고,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도 12 상에서 보이는 쌍곡선(Hyperboloid)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각각의 node B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 중에, 제일 먼저 UE로 도착한 신호로부터, 그 시점 이후에 수신되는 기지국의 신호들의 수신 시간을 측정하여, 각각의 시간차들을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시간차를 사용하여, 상기 시간차가 발생하는 두 개의 node B를 정점으로 하는 쌍곡선을 그리는 방법을 반복하여, 상기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쌍곡선의 교차점을 UE가 존재하는 지역으로 추정하게 된다. 상기 UE의 위치 추정의 정확도는 측정되는 신호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UE의 위치 추정을 위해 사용하는 신호는 3GPP의 각각의 기술들 즉, FDD와 WB-TDD, NB-TDD가 각각 다르나, 공통점은 신호를 수신하는 UE가 다른 node B들로부터의 신호와 구별을 할 수 있는 신호여야 한다는 것이며, 상기 node B에서 지속적으로 전송 되야 하는 신호여야 한다는 것이다. Before describing FIG. 12, it is assumed that three base stations exist around the U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2, the number of base stations is limited to three. In a real environment, when using OTDOA, there may be at least three base station signals. In FIG. 12, the UE 1201 receives downlink signals from node B (a) 1211, node B (b) 1212, and node B (c) 1213. Since the distance is different, the UE arrives with a relative time difference. The relative time difference is a value that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E and node B, but may also be dependent on the channel environment between the UE and node B. Since the time difference due to the channel environment is relatively small, it may bring an error in the position estimation of the UE, but does not have an absolute effect. The UE 1201d measures a time difference of signals from each node B, reports the measured values to a base station, or directly calculates a location. With the time difference of the signals measured by the UE,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UE is to use a hyperboloid shown in FIG. 12. That is, from among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respective Node Bs, the time difference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signals of the base station received after that point, from the first signal arriving at the UE. By using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a method of drawing a hyperbolic curve with two node Bs where the time difference occurs as a vertex is repeated, and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hyperbolic curve is estimated as the region where the UE exists as shown in FIG. .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estimation of the UE is determined by the precision of the signal to be measured. The signals used for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UE are different in each of 3GPP technologies, that is, FDD, WB-TDD, and NB-TDD, but the common point is that a UE receiving a signal distinguishes it from signals from other node Bs. It should be a signal that can be, and should be a signal that must be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node B.

본 발명이 적용될 NB TDD 시스템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수한 부프레임 구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NB-TDD 시스템내의 모든 node B의 동기가 맞추어져 있으므로, DwPTS에서 전송되는 DwPCH를 UE가 측정하는 신호로 사용하나, 전술한 위치 추정을 위해 UE가 사용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춘 다른 신호라고 해도 본 발명의 적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Since the NB TDD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uses a special subframe structure as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since all node Bs in the NB-TDD system are synchronized, the DwPCH transmitted in the DwPTS is transmitted to the UE. Is used as a signal to be measured, but other signals with requirements that the UE can use for the above-described position estimation do not limit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DwPCH는 5ms 부 프레임마다 반복되는 신호이며, UE 주변의 기지국 마다 서로 다른 Sync-DL 부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UE가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DwPCH를 측정하는 신호로 사용하는 다른 이유는 , 전술한 바와 같이 NB-TDD내의 모든 node B내의 프레임 동기까지 일치해 있기 때문에 , 하나의 node B가 DwPTS에서 DwPCH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다른 모든 기지국들이 DwPCH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즉 위치 추정을 위해 신호를 측정을 해야 하는 UE의 입장에서는 상기 DwPTS 구간동안에는 UE가 필요로 하는 DwPCH 신호 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하향 채널들에 의한 측정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The DwPCH is a signal that is repeated every 5 ms subframe, and is a signal that can be sufficiently identified by the UE because different Sync-DL codes are used for each base station around the UE. Another reason for using the DwPCH as a signal for measuring is that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synchronization of all node Bs in the NB-TDD coincides with each other, so that at the time when one node B transmits the DwPCH in the DwPTS, all other base stations are used. This is because they transmit DwPCH. That is, from the standpoint of a UE that needs to measure a signal for position estimation, since only the DwPCH signal required by the UE exists during the DwPTS period, measurement interference by other downlink channels is not receiv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UE 가 측정해야 하는 각 node B들의 DwPCH들 혹은 다른 신호들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ignal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in order to facilitate the measurement in measuring DwPCHs or other signals of respective Node Bs to be measured by the UE.

OTDOA 방법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일 문제점은 node B 가까이에 UE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node B의 신호의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상기 UE 는 상기 node B의 신호외에는 다른 신호들을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에 있다. 즉, OTDOA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3 개 이상의 node B의 신호들을 측정해야 하는데 node B 근처에 있는 UE들은 상기 node B의 신호로 인해서 다른 node B들의 신호를 수신하기가 어렵거나, 상기 node B에 아주 근접해 있을 경우 다른 node B들의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다.The first problem in using the OTDOA method is that when the UE is located near node B, it is difficult for the UE to measure signals other than the signal of node B because the signal strength of the node B is strong. That is, in order to use the OTDOA method, signals of three or more node Bs must be measured, but UEs near node B are difficult to receive signals of other node Bs due to the signal of the node B, or to the node B. If you are very close, you cannot receive signals from other node Bs.

일반적으로 UE가 수신하는 신호들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In general, the signals received by the UE are mathematically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Io = Ior + Ioc Io = Ior + Ioc

상기의 <수학식 1>에서 Io는 UE가 수신하는 모든 신호들을 의미하며, Ior은 UE가 수신해야할 자기 신호, 즉 현재 UE에게 전용 채널 혹은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가 들어 있는 공통 채널들을 송신하는 node B의 하향 신호이며, Ioc는 상기 node B 혹은 node B들의 신호를 제외한 다른 모든 신호들을 의미하며, 잡음도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UE가 임의의 node B 근처에 위치하고 있거나, 혹은 node B 근처로 이동할 경우, 상기 <수학식 1>에서 그 크기가 커지는 Ior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상기 <수학식 1>의 Ioc 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기지국들의 신호 측정을 원활하게 되는데 있다. 상기 다른 기지국들의 신호라 함은 NB-TDD 통신 시스템에서는 DwPCH가 될 수 있다.In Equation 1, Io means all signals received by the UE, and Ior node B, which transmits a self-signal to be received by the UE, that is, a common channel including system information of a dedicated channel or a base station to the current UE. Is a downlink signal, and Ioc means all other signals except for the signal of node B or node B, and also includes noise.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moving the Ior, the size of which is increased in Equation 1, when the UE is located near a certain node B or moves near the node B. The signal measurement of other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Ioc of 1> is facilitated. The signal of the other base stations may be DwPCH in the NB-TDD communication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자세한 동작 및 원리를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operations and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8, and 9.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UE 의 송, 수신기 구조도의 일 예로서, UE 로부터 node B 로 전송되는 상향 전송 채널인 상향 물리 채널을 전송하는 송신기와 node B 로부터 UE 로 전송되는 하향 물리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NB-TDD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하향 전송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송수신기가 교환기(Switch)로 구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I번째 사용자의 상하향 송수신 과정을 가정하여 UE 송수신기를 설명한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f a 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transmits an uplink physical channel, which is an uplink transmission channel transmitted from a UE to a node B, and receives a downlink physical channel transmitted from a node B to a UE.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er. In the NB-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nce the same frequency band is used for the up-and-down transmission, the transceiver may be distinguished and used as a switch. In FIG. 7, a UE transceiver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an I / O user up / down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상기 도 7의 701 i 번째 사용자 데이타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 정보와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701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는 702 부호기를 통해 부호화 된다. 상기 부호화란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 데이터의 전송 중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 에러를 발견하거나 고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부호화 방식에는 길쌈부호화 ( convolutional coding )과 터보 부호화( turbo coding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그 외의 채널 부호화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호기 702를 통해 부호화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는 인터리버 703에서 인터리빙이 된다. 상기 인터리빙은 물리 채널로 전송되는 i 번째 사용자 데이터에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시간적으로 집중적인 에러에 대하여, 상기 에러가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주기 위해서 하는 과정이다. 상기 인터리빙은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바꾸는 것으로, 전송 과정에서 협대역 잡음에 의한 집중 에러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수신단 측에서 역인터리빙을 하였을 때는 각 에러들의 위치를 퍼트림으로 인해, 상기 협대역 잡음에 의한 집중 에러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The 701 i-th user data of FIG. 7 includes signaling information of the upper layer and data information of the user. The 701 i-th user data is encoded through a 702 encoder. The encoding i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When an error occurs during data transmission, the encoding is used to detect or correct the error. Convolutional coding and turbo coding are the most commonly used coding methods, and other channel coding methods may be used. The i-th user data encoded through the encoder 702 is interleaved in the interleaver 703. The interleaving is a process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error on the data for the time-intensive error when the error occurs continuously in the i-th user data transmitted on the physical channel. The interleaving is to change 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use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when transmitting the i-th user data. Even when a concentrated error due to narrowband noise occurs in the transmission process, each error is deinterleaved at the receiving end. Due to the spreading of these positions, the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error caused by the narrowband noise is minimized.

상기 인터리빙 703을 거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는 707 다중화기로 입력되어, 704 전송 형식 조합 지시자 (Transmi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 이하 TFCI 라 칭함 ) , 705 SS( synchronization Shift : 이하 SS라 칭함) , 706 TPC (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 이하 TPC라 칭함.) 와 다중화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부가 된다. 상기 704 TFCI 는 여러 종류의 사용자 테이타, 예를 들어 음성 정보와 페킷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각 데이터들의 데이터 전송율과 전송 조합을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node B 가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705 SS 는 각 부프레임마다 전송되는 명령어로서 상기 도 4 에서의 설명된 바와 같이 하향 동기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706 TPC 는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어로서 node B 로부터 UE까지의 하향 전송 전력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707 다중화기에서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부는 708 확산기로 입력이 되어, 채널 부호( Channelization code) 가 곱해진다. 상기 채널 부호로 NB-TDD 통신 시스템에서는 OVSF 부호(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Code : 이하 OVSF 부호라 칭함.)을 사용하며, 상기 OVSF 부호는 데이터의 전송율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 직교 부호의 일종이다. 상기 채널 부호는 NB-TDD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슬랏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각 사용자의 상향 채널을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채널부호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대역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송 대역이 확산되는 비율을 확산율이라고 하며, 상기 확산율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율의 곱은 NB-TDD 통신 시스템의 칩레이트인 1.28 mcps 로 된다. 상기 708 확산기에서 확산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부는 승산기 709에서 채널 이득과 곱해진다. 상기 채널 이득은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 채널의 전송 전력의 결정에 사용되는 값이다. 상시 승산기 709에서 출력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부는 승산기 710 에서 혼화부호 ( Scrambling Code : 이하 스크램블링 부호라 칭함. ) 와 곱해진다. 상기 스크렘불링 부호는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에서 사용하는 부호로서 node B 혹은 기지국의 구별과 사용자의 구별 및 동일 신호의 다중 경로에 대한 상호 상관도(Cross Correlation)을 낮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이며, Nb-TDD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구별과 상호 상관도를 낮추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상기 NB-TDD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기지국마다 하나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며,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는 상하향 전송에 다 사용된다. 상기 승산기 710에서 스크램블링 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부는 다중화기 711로 입력되어, 미드엠블(midamble) 714와 다중화 되어 i 번째 사용자 상향 채널을 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다중화기 711에서 다중화되는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부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지는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부의 사이에 미드엠블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상향 타임 슬랏은 사용자 데이터 부, 미드엠블, 보호구간(Guard Period)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 부에 대한 설명은 상기 다중화기 707에서 전술 되었으며, 미드엠블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4 에서 전술되었다. 상기 보호구간은 NB-TDD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전송 슬랏과 하향 전송슬랏이 겹쳐서 상하향전송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그 다음 타임 슬랏이 동일한 상향 전송 타임 슬랏이라고 해도, node B 안의 UE들의 위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향 타임 슬랏끼리도 간섭이 발생하기 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놓은 구간이며, 실질적으로 상기 보호구간에서는 아무 것도 전송되지 않는다. The i-th user dat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erleaving 703 is input to the 707 multiplexer, whereby the 704 transmission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FCI), 705 SS (synchronization shift: referred to as SS), and 706 TPC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PC) and multiplexed to become the user's data part. The 704 TFCI is an indicator indicating a data rate and a combination of transmissions of various types of user data, for example, voice information and packet information, so that node B can correctly interpret the data. . 705 SS is a command transmitted for each subframe and used to adjust downlink synchronization as described in FIG. 706 TPC is used for control of downlink transmission power from node B to UE as a command for power control. The user data unit generated by the 707 multiplexer is input to the 708 spreader and multiplied by a channelization code. In the NB-TDD communication system, an OVSF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VSF code) is used as the channel code. The OVSF code is a kind of orthogonal code whose leng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data rate. The channel code distinguishes an uplink channel of each user when several users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in one time slot in an NB-TDD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data of the user depends on the length of the channel code. Spreads the band to be transmitted. The spreading rate of the transmission band is called spreading rate, and the product of the spreading rate and the transmission rate of user data is 1.28 mcps, which is the chip rate of the NB-TDD communication system. The i th user data portion spread in the 708 spreader is multiplied by the channel gain in the multiplier 709. The channel gain is a value used to determine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channel from the UE to the base station. The i-th user data portion output from the multiplier 709 is multiplied by a scrambling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crambling code) in the multiplier 710. The scrambling code is a code used in the 3rd generatio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and is used to reduce cross-correlation of node B or base station and user, and multipath of the same signal. In the Nb-TDD communication system, it is used only to reduce the discrimination and cross-correlation of base stations. In the NB-TDD communication system, one scrambling code is used for each base station, and the scrambling code is used for up and down transmission. The i-th user data portion scrambled by the multiplier 710 is input to the multiplexer 711 to be multiplexed with the midamble 714 to form an i-th user upstream channel. The i-th user data part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711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midamble is inserted between the i-th user data part divided into the two parts. The uplink time slot includes a user data unit, a midamble, and a guard period. A description of the user data unit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he multiplexer 707, and the description of the midambl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 The guard interval is intended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by overlapping uplink transmission slots and downlink transmission slots in an NB-TDD communication system, and even if the next time slot is the same uplink transmission time slot, Since the posi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uptime slots are crea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nterference, and virtually nothing is transmitted in the guard interval.

상기 711 다중화기에서 출력된 i 번째 사용자 상향 채널은 712 변조기에서 변조가 된다. NB-TDD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변조방식에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 이하 QPSK라 칭함.) 혹은 8PSK( 8 Phase Shift Keying)방식 등이 사용되며, 그 외의 QAM(Quardrature Amplifire Modulation)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712 변조기에서 출력된 i 번째 사용자 상향 채널은 스위치 720으로 입력되어 사용자 상향 채널이 전송될 타임 슬랏에서 node B로 전송된다.  The i-th user upstream channel output from the 711 multiplexer is modulated by the 712 modulator. In the NB-TDD communication system,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or 8 Phase Shift Keying (8PSK) is used as the modulation scheme, and other QAM (Quardrature Amplifire Modulation) may be used. The i-th user upstream channel output from the 712 modulator is input to the switch 720 and transmitted to node B in a time slot in which the user uplink channel is transmitted.

상기 스위치 420은 제어기 421에 의해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기 421은 상향 채널이 전송될 시점을 조절하고, NB-TDD 시스템의 부프레임 구조에 따라 UpPTS의 전송 시점, DwPTS의 수신 시점, node B 로 부터의 하향 채널 수신 시점에 따라 스위치 420을 제어한다. 상기 UpPTS는 UpPTS 생성기 413을 통해서 생성되며, 상기 UpPTS는 UE가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 혹은 핸드오버 상황에서 전송되며, node B가 UE의 상향 송신 전력 판단의 근거 혹은 상향 전송 동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된다.The switch 4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21, and the controller 421 adjusts a time point at which an uplink channel is transmitted, and transmits an UpPTS, a DwPTS, and a node B according to a subframe structure of the NB-TDD system. The switch 42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ownlink channel reception time of the switch 420. The UpPTS is generated through the UpPTS generator 413. The UpPTS is transmitted when the UE needs to allocate a channel from a base station or in a handover situation. Used to adjust.

상기 스위치 720으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상향 채널은 상기 RF기 422를 통해서 반송파 대역(Carrier Frequency Band)로 올려져 안테나 723을 통해 node B로 전송되고, node B로 전송된 신호는 UTRAN으로 전송된다.The user upstream channel output from the switch 720 is raised to a carrier frequency band through the RF unit 422 and transmitted to the node B through the antenna 723,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node B is transmitted to the UTRAN.

상기 도 7의 UE 송수신기 구조도에서 i 번째 사용자의 하향 채널을 수신 받는 과정은 하기의 설명과 같다.The process of receiving the down channel of the i-th user in the UE transceiver structure diagram of FIG. 7 is as follows.

상기 도 7의 안테나 723을 통해 수신된 하향 채널들은 RF기 722를 통해 반송파 대역에서 기저대역(Baseband Frequency)로 낮추어져 스위치 720으로 입력된다. 상기 스위치 720은 상기 제어기 721에 의해 하향 채널을 전송 받을 시점이 되면 복조기 432로 연결된다. 상기 node B로부터 사용자의 UE가 수신하는 신호에는 상기 node B에서 전송한 DwPTS와 다른 node B들에서 전송하는 DwPTS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치 720은 DwPTS의 수신 시점에는 DwPTS 해석기 731과 수신신호도착 시간 측정기 744로 연결되어, 수신된 DwPTS들을 DwPTS 해석기 731과 수신신호 도착시간 측정기 744로 입력시킨다. 상기 DwPTS는 UE가 기지국을 찾는 초기 셀 탐색 과정에 수신하여 시스템 정보가 담긴 브로드케스팅 채널이 전송되는 물리 채널인 일차 공통 물리 채널 (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 이하 P-CCPCH라 칭함.)의 위치가 상기 UE가 다중 프레임 구조에서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 하향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하향 채널의 동기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NB-TDD 에서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일정수의 레디오 프레임 ( 10ms 단위)들을 같이 스케줄링하여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 64개의 레디오 프레임 혹은 72개의 레디오 프레임이 하나의 멀티 프레임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ode B에서 전송된 DwPTS외에 다른 DwPTS도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측정기 744로 입력되어 DwPTS들의 수신 시점들이 계산되게 된다. 상기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측정기 744의 상세한 구조는 도 8에 도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8의 DwPTS 해석기 731은 상관기 ( Correlator ) 혹은 정합 필터 ( Matched Filter ) 가 될 수 있다.The downlink channe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23 of FIG. 7 are lowered from the carrier band to baseband frequency through the RF device 722 and input to the switch 720. The switch 720 is connected to the demodulator 432 when it is time to receive the downlink channel by the controller 721. Signals received by the UE of the user from the node B may include DwPTSs transmitted by the node B and DwPTSs transmitted by other node Bs. The switch 720 is connected to the DwPTS analyzer 731 and the reception signal arrival time measuring instrument 744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wPTS, and inputs the received DwPTSs to the DwPTS analyzer 731 and the reception signal arrival time measuring instrument 744. The DwPTS has a location of a primary common control cha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CPCH), which is a physical channel through which a UE receives a base station discovery process and transmits a broadcasting channel containing system information. The UE informs which position the UE is currently receiving a downlink frame in a multi-frame structure, and simultaneously measures downlink channel synchronization. In the NB-TDD, when a base station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 predetermined number of radio frames (10 ms units) are scheduled and used together. Typically, 64 radio frames or 72 radio frames form one multi-frame structur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DwPTS transmitted from the node B, another DwPTS is also input to the reception signal arrival time measuring instrument 744, and the reception times of the DwPTSs are calculate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ceived signal arrival time measuring instrument 744 i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he DwPTS analyzer 731 of FIG. 8 may be a correlator or a matched filter.

상기 도 7의 복조기 432에서는 node B가 사용한 변조방식에 따라 하향 채널을 다시 복조하여 역다중화기 733으로 입력시킨다. 상기 역다중화기 733은 하향 채널을 미드엠블과 사용자 데이터부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미드엠블 734는 기지국에서 전송된 하향 채널의 수신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주며, 기지국에서 전송한 하향 채널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고, 상기 미드엠블 734의 해석으로도 상기 UE에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판단 여부를 가능하게 해준다.In the demodulator 432 of FIG. 7, the downlink channel is demodulated again according to the modulation scheme used by node B and inputted to the demultiplexer 733. The demultiplexer 733 divides the downlink channel into a midamble and a user data unit, and the separated midamble 734 enables the measurement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downlink channe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know what is there,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idamble 734 also enables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re is data transmitted to the UE.

상기 역다중화기 433에서 출력된 하향 데이터부는 승산기 735로 입력되어 상기 승산기 735는 복조된 하향 데이터부에 상기 node B에서 사용된 스크램블일 부호를 다시 곱해 주는 역혼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역혼화가 된 데이터는 역확산기 736으로 입력된다. 상기 역확산기 736은 하향 데이터부에 i 번째 사용자 데이터와 기지국 시스템 정보 혹은 UE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하향 공통 채널 737을 구별해 내고, 확산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와 하향 공통 채널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기 736에서는 기지국에서 i 번째 사용자 데이터 부와 하향 공통 채널에 사용한 OVSF 부호를 다시 곱해주어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The downlink data portion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433 is input to a multiplier 735, and the multiplier 735 performs a demixing process of multiplying a demodulated downlink data portion with a scrambled code used in the node B. The demixed data Is input to despreader 736. The despreader 736 distinguishes the downlink common channel 737 through which the i-th user data and the base station system information or the UE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downlink data unit, and despreads the spread i-th user data and the downlink common channel. . In the despreader 736, the base station multiplies the i th user data part by the OVSF code used for the downlink common channel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역확산기에서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는 역다중화기 738로 입력되어, TPC 739, TFCI 740, SS 770, 순수 사용자 데이터로 분리된다. 상기 TPC 739는 사용자의 UE가 전송할 상향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에 사용되며, TFCI 740은 기지국으로부터 i 번째 사용자에게 전송된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해서 해석하는데 사용되게 됨, 상기 SS 770은 node B가 UE가 전송하는 상향 채널의 동기의 조정을 요구하는 명령어로 사용된다. 상기 역다중화기 738에서 출력된 순수 i 번째 사용자 데이터는 역인터리버 741에서 역인터리빙되어, 하향 채널 전송 중에 발생된 집중 에러들이 분산된 후, 복호기 742로 입력되어 복호된 후, i 번째 사용자 데이터 743이 되어 사용된다.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despreader is input to the demultiplexer 738 and separated into TPC 739, TFCI 740, SS 770, and pure user data. The TPC 739 is used to control transmission power of an uplink channel to be transmitted by the user's UE, and the TFCI 740 is used to distinguish and interpret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i th user. It is used as a command to request synchronization adjustment of uplink channel. The pure i-th user data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738 is deinterleaved by the deinterleaver 741, after the concentrated errors generated during downlink transmission are distributed, inputted to the decoder 742, decoded, and then the i-th user data 743 is obtained. Used.

도 8은 상기 도 7의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측정기 744의 한 예이다.8 is an example of the received signal arrival time measuring instrument 744 of FIG. 7.

상기 도 8의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추정기에서는 상기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추정기를 구비하고 있는 UE의 주변 node B들의 DwPCH를 사용하나,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UE의 위치 추정에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신호들의 도착 시간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기타 다른 신호들의 도착 시간 추정의 조건은 다른 신호들의 송신 조건 , 즉 스크램블링 부호 및 채널 부호와 상기 다른 신호들이 전송되는 타임 슬랏의 위치를 상기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추정기를 구비한 UE가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The received signal arrival time estimator of FIG. 8 uses DwPCH of neighboring Node Bs of the UE equipped with the received signal arrival time estimator, but as described above, the arrival of other signals that can be used for position estimation of the UE. The time can also be estimated. The condition for estimating the arrival time of the other signals is that the UE having the received signal arrival time estimator knows the transmission conditions of the other signals, i.e., the position of the scrambling code and the channel code and the time slot in which the other signals are transmitted. .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DwPCH의 신호 도착 시점을 추정하는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arrival time of the DwPCH is estimated.

상기 도 8의 수신 신호 도착 시간 추정기는 상기 도 7의 DwPTS 해석기 731의 출력 803과 상기 도 7의 스위치 720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 즉 자기가 속한 node B의 DwPCH를 포함한 다른 node B들의 DwPCH들을 입력으로 하여 , 각각의 DwPCH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The received signal arrival time estimator of FIG. 8 inputs DwPCHs of other node Bs including the output signal 803 of the DwPTS analyzer 731 of FIG. 7 and the received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720 of FIG. 7, that is, the DwPCH of node B to which it belongs. As a result, the arrival time of each DwPCH is measured.

상기 도 8의 판단기 804는 상기 도 7의 DwPTS 해석기 731로부터 현재 UE가 속해 있는 node B의 DwPTS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node B의 DwPTS 신호를 수신신호 801에서 뺄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UE가 속해 있는 node B의 DwPTS 정보라 함은 상기 DwPTS의 수신 전력의 크기 및 상기 DwPTS의 도착 시간 측정치를 의미한다. 상기 DwPTS의 수신 전력의 크기는 현재 UE의 수신신호에서 상기 node B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DwPTS의 도착 시간 측정치는 시간 차이 계산기 810에서 수신 DwPTS의 도착 시간 차이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determiner 804 of FIG. 8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wPTS of the node B to which the current UE belongs from the DwPTS interpreter 731 of FIG. 7 to determine whether to subtract the DwPTS signal of the node B from the received signal 801. The DwPTS information of the node B to which the UE belongs refers to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DwPTS and the arrival time measurement of the DwPTS.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DwPTS is used to remove the node B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of the current UE, and the arrival time measurement of the DwPTS is used to obtain the arrival time difference of the received DwPTS in the time difference calculator 810.

상기 도 8의 804 판단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본 방법에서는 UE가 DwPTS들을 원활히 수신하게 하기 위해서 신호 제거 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신호 제거 방법의 원리는 수신 신호중에서 그 크기가 제일 큰 성분들을 하나씩 제거해 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 제거 방법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려면 수신신호의 성분들의 크기의 차이가 클수록 좋다. 상기 수신신호의 성분들이 크기가 비슷하다면 수신 신호의 성분들을 하나씩 제거해 가는 과정에서, 임의의 신호 성분을 제거해 가는 과정에서 제 거되지 않는 다른 수신신호 성분들이 일부분 또한 제거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신호 성분들의 크기의 차가 큰 경우보다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재 UE가 속한 node B의 DwPCH의 수신 신호 크기를 고려해서, 상기 DwPCH의 수신 신호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신호 제거 방법을 사용해서 다른 DwPCH들의 수신 신호 도착 시점을 측정하고, 상기 DwPCH의 수신 신호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다면, 상기 node B의 DwPCH가 포함된 수신신호 전체에 대해서 각각의 DwPCH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신호 제거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판단 기준은 UE가 측정한 상기 UE가 속해있는 node B의 DwPCH의 크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DwPCH의 송신 전력은 사전에 UE에게 알려져야 한다. 또 다른 판단 기준으로는 UE가 수신한 모든 DwPCH들의 수신 전력들을 비교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DwPCH의 수신 전력들을 비교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도 8에서 DwPCH의 해석기가 하나 더 필요하게 된다. 상기 추가되는 DwPCH 해석기는 UE가 수신한 모든 DwPCH를 해석하는 해석기이고, 도 8의 DwPCH 해석기 808에서는 UE가 속한 node B의 DwPCH 신호를 제거한 다른 DwPCH를 해석하는 해석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UE가 측정한 DwPCH의 크기를 가지고 판단기가 신호 제거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한다고 가정한다. The reason for using the 804 determiner of FIG. 8 is that in this method, the UE uses a signal cancellation method to smoothly receive DwPTSs. The principle of the signal removal method is to remove components having the largest magnitude among received signals one by one. It is.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the signal removal method, the lar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received signal is, the better. If the components of the received signal are similar in siz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omponents of the received signal one by one, other received signal components that are not remov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any signal components may also be partially removed. Performance may be degraded than if the size difference is larg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signal size of the DwPCH of the Node B to which the UE currently belongs, if the reception signal size of the DwPCH is large enough, the reception time of the reception signals of other DwPCHs is measured using a signal removal method, and the DwPCH If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signal is not large enough, the arrival time of each DwPCH is measured for the entire received signal including the DwPCH of the node B.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signal removal method may be the size of the DwPCH of the Node B to which the UE belongs, measured in the UE, in which cas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DwPCH should be known to the UE in advance. Another criterion may be a method of comparing the received powers of all DwPCHs received by the UE. In the method of comparing the received powers of the DwPCH, one more interpreter of the DwPCH is needed in FIG. 8. The added DwPCH interpreter is an interpreter for analyzing all DwPCHs received by the UE, and the DwPCH interpreter 808 of FIG. 8 serves as an interpreter for interpreting another DwPCH from which the DwPCH signal of node B to which the UE belongs is removed. In FIG. 8, it is assumed that the determiner determines whether to use a signal removal method or not based on the size of the DwPCH measured by the UE.

상기 도 8의 판단기 804에서 신호 제거 방법을 사용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판단기 804는 스위치 802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신호 801을 합산기 807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판단기 804는 DwPTS 해석기의 출력 803에서 DwPCH의 수신 전력 크기를 승산기 805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 805로 출력된 DwPCH의 크기는 상기 808의 DwPCH 부호와 곱해진다. 상기 곱해진 DwPCH는 현재 UE가 속한 기지국의 DwPCH의 UE 수신 신호가 되며, 합산기 807 로 입력되나, 음의 값으로 바뀌어져 입력된다. 상기 합산기 807은 수신 신호 801에서 상기 승산기 805에서 출력된 현재 UE가 속해 있는 node B의 수신 DwPCH 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unit 804 of FIG. 8 that the signal removal method is used, the determination unit 804 controls the switch 802 to connect the received signal 801 to the summer 807. The determiner 804 also outputs the received power of the DwPCH to the multiplier 805 at the output 803 of the DwPTS analyzer. The magnitude of the DwPCH output to the multiplier 805 is multiplied by the DwPCH code of 808. The multiplied DwPCH becomes a UE received signal of the DwPCH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urrent UE belongs, and is input to the summer 807, but is changed to a negative value. The summer 807 removes the reception DwPCH of the node B to which the current UE output from the multiplier 805 belongs in the reception signal 801.

상기 합산기 807에서 출력된 신호는 DwPCH 해석기 808로 입력되어 상기 신호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DwPCH의 도착 시간을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DwPCH 해석기 808은 상관기 혹은 정합 필터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DwPCH의 해석에 사용될 Sync_DL부호들은 node B( 기지국측)에서 알려 줄 수도 있고, UE 안에 있는 32개의 Sync_DL부호들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측에서 알려주는 부호들은 기지국이 파악하고 있는 주변 기지국들의 Sync_DL부호이며, 상기 SYNC_DL 부호들이 UE에게 사전에 알려지는 경우에는, DwPCH의 해석기 808에서의 수행시간이 줄어 들 수 있다. 또한 UE가 알고 있는 32개의 Sync_DL 부호 모두에 대해서 DwPCH의 해석을 수행한다고 해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DwPCH 해석기 808의 출력은 UE가 수신한 일정 길이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DwPCH가 언제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상기 시간 구간에 대한 시간 표시 값과 각각의 DwPCH의 크기가 된다. 상기 DwPCH 해석기 808의 출력은 전력비교기 809로 입력되어, 전력 비교기안의 임계값과 비교되어, 임계값을 넘지 못하는 DwPCH 측정치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력 비교기 809를 사용하는 이유는 DwPCH 해석기 808에서 해석된 DwPCH 측정치 중에 그 크기가 너무 작은 것이 있다면 , 상기 DwPCH 측정치가 DwPCH를 해석한 것일 수도 있지만, 잡음이 해석되어 DwPCH 측정치로 변한 오류일 수도 있고, 상기 오류가 UE의 위치 추정에 사용된다면 UE의 위치 추정에도 오류를 발생시킬 수 도 있기 때문에 , UE의 위치 추정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이 되지 않는 DwPCH 추정치는 제거 하기 위해서 이다. 상기 전력 비교기의 임계값은 UE가 자제척으로 측정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UE가 수신한 DwPCH들의 수신 전력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값이 될 수도 있다. 즉, 일 예로 UE가 현재 UE가 속해 있는 node B의 수신 신호 전력을 크기를 1로 하고, 상기 1에 대하여 다른 DwPCH의 수신 전력의 크기가 0.1 이하이면 상기 DwPCH의 추정치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summer 807 is input to the DwPCH analyzer 808 and used to estimate the arrival time of each DwPCH constituting the signal. The DwPCH interpreter 808 may use a correlator or a matched filter. The Sync_DL codes to b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wPCH may be informed by node B (base station side), or all 32 Sync_DL codes in the UE may be used. The codes reported by the base station are Sync_DL codes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known by the base station, and when the SYNC_DL codes are known to the UE in advance, the execution time in the interpreter 808 of the DwPCH may be reduced. In addition, even if the DwPCH analysis is performed on all 32 Sync_DL codes known to the UE, no particular problem occurs. The output of the DwPCH interpreter 808 is a time indication value for the time interval for when the DwPCH was 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ime interval received by the UE and the size of each DwPCH. The output of the DwPCH analyzer 808 is input to a power comparator 809, which is compared with a threshold in the power comparator, so that DwPCH measurements that do not exceed the threshold are not used. The reason for using the power comparator 809 is that if the size of the DwPCH measurement interpreted by the DwPCH analyzer 808 is too small, the DwPCH measurement may be interpreted as DwPCH, but the error may be interpreted and changed to a DwPCH measurement. If the error is used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UE, the error may also occur in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UE, so that the DwPCH estimate that is not larger than a certain size may be remov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UE. The threshold value of the power comparator may be a value determined by the UE at its own control, and may also be a value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DwPCHs received by the UE. That is, as an example, if the UE has a received signal power of node B to which the current UE belongs to 1, and the received power of another DwPCH is less than 0.1 with respect to 1, the estimate of the DwPCH may not be used. have.

상기 전력 비교기 809를 통과한 DwPCH 도착 시간 추정치는 시간 차이 계산기 ( Time Difference Calculator ) 810으로 입력되어, UE가 DwPCH들을 수신한 일정 시간 구간 동안 도착한 신호들중에서 2개씩 골라 모든 시간차를 계산하고, 상기 DwPCH들의 수신 시간차를 UE의 상위 레이어로 보고한다. 상기 시간차는 동일한 2 개의 DwPCH를 선택하여 비교 한다고 할지라도, 상기 두 2의 DwPCH가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되기 때문에 특정 값이 아닌 일정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기 시간 차이 계산기 810에서 출력된 보고된 DwPCH의 수신 시간차들은 UE 자체내에서 상기 UE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UE 측정 보고 메시지 (UE measurement Report Message) 형태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기지국측으로 전송되어, 기지국측에서 상기 UE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DwPCH arrival time estimate passing through the power comparator 809 is input to a Time Difference Calculator 810 to calculate all time differences by selecting two of the signals arriving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UE receives the DwPCHs, and calculating the DwPCH. Report the reception time difference of the UE to the upper layer. Although the time difference may be selected by comparing the same two DwPCH, since the two two DwPCH is received through the multi-path may have a certain range rather than a specific value. The received time differences of the reported DwPCH output from the time difference calculator 810 may be use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UE within the UE itself, and ar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side by higher layer signaling in the form of a UE measurement report message. I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UE at the base station side.

도 9 는 도 8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송수신기 도면의 일 예이다.9 is an example of a transceiver diagram of a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FIG. 8.

상기 도 9에서 Node B가 node b내의 UE들에게 하향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부분을 상세히 다루었으나, node B내의 타 사용자에게 하향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도 9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9, the Node B transmits a downlink channel to UEs in the Node b.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ransmitting to one user is described in detail, but the method of transmitting a downlink channel to another user in node B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도 9의 901은 i번째 사용자에게 전송될 하향 데이터이다. 상기 하향 데이터 (901)은 부호기 (902)를 거쳐 채널 부호화 된 후, 인터리버(903)로 입력된다. 다중화기 (906)에서는 상기 i번째 사용자 UE의 상향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TPC(905)와 i번째 사용자 데이터에 사용된 전송 형식(Transport Format)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는 TFCI(904)와 UE로 부터의 상향 전송 채널의 동기의 조정을 요구하는 SS(960)와 i 번째 사용자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i번째 사용자 데이터부가 된다.9, 901 of FIG. 9 is downlink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i-th user. The downlink data 901 is channel-coded via the encoder 902 and then input to the interleaver 903. In the multiplexer 906, the TPC 905 for controlling the uplink transmit power of the i-th user UE and the TFCI 904 indicating the transport format used for the i-th user data are transmitted from the UE. The SS 960 and the i-th user data which require synchronization adjustment of the uplink transmission channel of the multiplexed multiplexer are multiplexed to become the i-th user data unit.

상기 데이터부는 확산기(907)에서 i번째 사용자의 하향 채널에 사용되는 OVSF부호로 채널확산된 후, 승산기(908)에서 i번째 사용자에게 전송할 하향 채널 송신 전력에 대한 채널 이득이 곱해진 후 합산기(911)로 입력된다. The data unit is spread by the OVSF code used for the downlink channel of the i-th user in the spreader 907, and then multiplied by the channel gain for the downlink channel transmission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i-th user in the multiplier 908. 911).

상기 합산기(911)은 하향 공통 채널(910)과 타사용자채널(909)와 i번째 사용자 채널을 입력으로 받아 합산하는데 상기 채널들은 각각 서로 다른 OVSF부호로 채널확산되어 있어, 합산해도 같이 합산되는 타채널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합산기(911)에서 출력된 하향 채널 신호들은 승산기(912)에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부호로 혼화된 후 다중화기(914)로 입력된다. 상기 다중화기 (914)는 하향 채널 신호들과, 입력된 미드엠블(913)을 다중화시켜 하향 채널 슬랏을 생성한다. 상기 미드엠블(913)은 상기 미드앰블(913)을 수신한 UE가 기지국 송신 전력의 크기를 추정할 경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다중화기(914)에서 다중화된 하향 채널 슬랏으로 어떤 채널들이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데 사용된다.The adder 911 receives the downlink common channel 910, the other user channel 909, and the i-th user channel as inputs, and the channels are each channel spread with different OVSF codes, which are added together. It does not affect other channels. The downlink channel signals output from the summer 911 are mixed with the scrambling code used by the base station in the multiplier 912 and then input to the multiplexer 914. The multiplexer 914 multiplexes the downlink channel signals and the input midamble 913 to generate a downlink channel slot. The midamble 913 may be used when the UE receiving the midamble 913 estimates the size of the base station transmit power, and determines which channels are transmitted to the multiplexed downlink slots in the multiplexer 914. It is used to find out.

상기 다중화기(914)의 출력은 변조기 (915)로 입력된다. 상기 변조기(915)는 입력된 하향 채널 신호들을 변조하며, 변조 방식으로는 QPSK, 8PSK, QAM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조된 하향 채널 신호들은 스위치(920)으로 입력되는데, 상기 스위치(920)은 제어기(921)의 제어에 따라 하향 채널 슬랏의 전송 시점에 복조기(915)로 연결되어, 상기 하향 채널 슬랏은 RF기(922)로 전송한다. 상기 스위치(920)은 제어기(921)의 제어에 따라 DwPTS생성기(916)로 연결되어, DwPTS가 전송될 시점에 DwPTS를 전송하는데, 상기 DwPTS는 상기 DwPTS를 수신한 UE가 초기 기지국 검색과정에서 기지국의 정보를 담고 있는 브로드케스팅 채널의 위치와, 기지국 신호의 크기, 그리고 멀티프레임내에서 현재 수신하고 있는 프레임의 위치등을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DwPTS는 본 발명에서는 UE의 위치 추정의 자료로도 사용된다. 상기 도 9의 RF기(922)는 상기 하향 채널 슬랏을 반송파대역으로 변환 시킨 후, 상기 안테나(923)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안테나(923)은 상기 하향 채널 슬랏을 기지국내의 UE들에게 전송한다. The output of the multiplexer 914 is input to a modulator 915. The modulator 915 modulates the input down channel signals, and QPSK, 8PSK, QAM, etc. may be used as a modulation scheme. The modulated downlink channel signals are input to a switch 920. The switch 920 is connected to the demodulator 915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channel slo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21, and the downlink channel slot is RF. Send to machine 922. The switch 920 is connected to the DwPTS generator 91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21, and transmits the DwPTS at the time when the DwPTS is transmitted. The DwPTS is a base station during the initial base station discovery process by the UE receiving the DwPTS. It is used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broadcasting channel containing the information, the size of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of the frame currently being received in the multifram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wPTS is also used as data of the position estimation of the UE. The RF device 922 of FIG. 9 converts the downlink channel slot into a carrier band and then outputs it to the antenna 923, and the antenna 923 transmits the downlink channel slot to UEs in a base station. .

상기 도 9에서 기지국내의 UE들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9의 안테나(923)을 통해서 수신된 상향 신호들은 RF기(922)를 통해서 반송파대역에서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후 스위치(920)으로 입력된다. 상기 스위치(920)은 제어기(921)에 따라 상기 UE로부터 수신된 상향 신호들을 일정 시점에서 복조기(931)로 입력시킨다. 상기 제어기 (921)은 기지국 내의 UE들이 상향 채널 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파악하여, 스위치(920)을 제어하며, 또한 UwPTS의 수신 시점에 따라 스위치 (920)을 UwPTS 해석기(930)으로 연결하여, 각 UE로부터 전송된 UwPTS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9, a process of receiving an uplink signal from UEs in a base station is as follows. The uplink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923 of FIG. 9 are converted from the carrier band to the baseband through the RF device 922 and then input to the switch 920. The switch 920 inputs uplink signals received from the UE to the demodulator 931 at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ler 921. The controller 921 grasps a time point at which UEs in the base station transmit an uplink channel signal, controls the switch 920, and connects the switch 920 to the UwPTS interpreter 930 according to the reception time point of the UwPTS. It also has a function that enables the interpretation of UwPTS transmitted from each UE.

상기 도 9의 복조기(931)은 입력된 상향 신호를 복조한 후, 다중화기 (932)로 입력시킨다. 상기 도 9의 다중화기(932)는 수신된 상향 신호 중에서 미드엠블(933)과 상향 신호 데이터부를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미드엠블(933)은 사용자 합동 검출, UE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 환경 추정 및 UE의 송신 신호의 크기등을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다중화기 (932)에서 출력된 상향 신호 데이터 부는 승산기(934)로 입력되어 도 4의 UE 송수신기에서 사용한 스크램블링부호와 곱해져 역혼화된다. 상기 역혼화된 상향 신호 데이터부는 역확산기(935)로 입력되어 각각의 사용자별로 상향 신호 데이터부가 분리되며 i번째 사용자의 상향 신호 데이터부는 다중화기(936)으로 입력된다. 상기 역다중화기(936)은 i번째 사용자의 상향 신호 데이터부를 TPC(937), TFCI(938), SS(970) 과 i번째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리하며, 상기 TPC(937)은 하향 송신 전력 제어기(980)으로 입력되어, i번째 사용자의 하향 송신 신호 전력 제어에 사용되고, TFCI(938)은 i번째 사용자의 데이터부에 사용된 전송 형식의 해석에 사용되며, 상기 SS(970)은 상기 UE로의 하향 채널의 전송 시점 조절에 사용된다. 상기 역다중화기(936)에서 출력된 i번째 사용자의 데이터는 역인터리버(939)로 입력되어 역인터리빙된 후, 복호기(940)으로 입력되어 복호되어, i번째 사용자의 데이터(941)로 된다. 상기 역확산기 (935)에서 출력된 타사용자 상향 채널(950)도 상기 i번째 사용자 데이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기지국으로 수신되게 된다. 상기 I번째 사용자 데이터에는 UE로부터 수신된 UE의 위치 혹은 UE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측정값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UE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측정값들은 UE 위치 계산기 942로 입력된다. 상기 UE 위치 계산기 942는 기지국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현재 UE가 연결되어 있는 SRNC에 있을 수도 있으며, UTRAN내의 임의 의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demodulator 931 of FIG. 9 demodulates the input upstream signal and inputs the same to the multiplexer 932. The multiplexer 932 of FIG. 9 serves to separate the midamble 933 and the uplink signal data unit from the received uplink signals, and the midamble 933 is a user joint detection and a channel environment between the UE and the base station. It is used for estimating and estimating the magnitud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UE. The uplink signal data portion output from the multiplexer 932 is input to the multiplier 934 and multiplied by the scrambling code used in the UE transceiver of FIG. 4 to be demixed. The demixed uplink signal data unit is input to the despreader 935 so that the uplink signal data unit is separated for each user, and the uplink signal data unit of the i-th user is input to the multiplexer 936. The demultiplexer 936 separates the TPC 937, the TFCI 938, the SS 970, and the i-th user's data from the i-th user's uplink data portion, and the TPC 937 is a downlink transmit power controller ( 980 is used to control the downlink transmission signal power of the i-th user, the TFCI 938 is used to interpret the transmission format used in the data portion of the i-th user, and the SS 970 is directed down to the UE. Used to adjust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channel. The i-th user's data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936 is inputted to the deinterleaver 939 and deinterleaved, and then input to the decoder 940 to be decoded to become the i-th user's data 941. The other user uplink channel 950 output from the despreader 935 is also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i-th user data. The I-th user data includes measurements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E or the location of the UE received from the UE, and the measurements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E are input to the UE location calculator 942. The UE location calculator 942 may be located in the base station, may be in the SRNC to which the UE is currently connected, or may be located at any point in the UTRAN.

상기 도 9 의 942 사용자 위치 계산기에서 수행하는 방법은 가장 대표적으로 도달 관측 시간차 ( Observed Time Dirrerence Of Arrival : 이하 OTDOA 라 칭함 )를 사용한다. OTDOA를 사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측정치는 UE의 일정 수신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DwPCH의 수신 시간 차이이며, 이에 더불어 OTDOA 방법을 이용한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각 기지국들간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주어져야 한다. UE 가 계산해낸 것은 현재 속해 있는 기지국( 혹은 셀) 과 다른 기지국들 ( 혹은 셀들) 로부터 오는 신호들의 차이를 계산한 것이므로 그 측정치가 주는 정보는 UE 가 각 기지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 뿐이다. OTDOA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UE가 수신한 DwPCH 를 전송하고 있는 기지국들을 하나의 정점으로 고정시키고, 그 정점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를 나타내는 쌍곡선들을 표시하고, UE 가 계산한 값만큼 떨어진 곳의 쌍곡선을 선택하게 되며 각 기지국의 쌍곡선들이 교차하는 부분이 UE 의 위치로 추정되게 된다. The method performed by the 942 user location calculator of FIG. 9 most typically uses an Observed Time Dirrerence Of Arri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OTDOA). In using the OTDOA, the measure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fference in the reception time of the DwPCH received during a certain reception time interval of the UE.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between each base station should be given in order to calculate using the OTDOA method. The UE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 (or cell) to which it belongs and other base stations (or cells), so the information given by the measurement only shows how far the UE is from each base station. In order to use the OTDOA method, the base stations transmitting the DwPCH received by the UE are fixed to one vertex, hyperbolic curves representing the same distance around the vertex are selected, and the hyperbola is selected by a distance that is calculated by the UE. The intersection of the hyperbolas of each base station is estimated as the location of the UE.

도 10 은 단말기의 UE 위치 추정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E location estimation process of a terminal.

UE 에게 위치 측정하라는 상위 레이어의 제어 정보가 오면 1001 시작 단계가 된다. 1002 단계에서 UE는 자신이 속한 cell 의 DwPCH 를 해석한다. 해석된 DwPCH 전력을 판단하는 1003 단계에서는 DwPCH의 전력과 임계값 1 을 비교한다. 임계값 1은 현재 속한 기지국 DwPCH 전력에 대한 임계값으로 검출된 DwPCH 전력이 임계값 1보다 크면 1004 단계로 이동하고 임계값 1 보다 작으면 1005 단계로 이동한다. 1004 단계에서는 현재 속한 기지국의 DwPCH 전력이 충분히 커서 UE 기지국 가까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므로 현재 속한 기지국의 DwPCH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한 신호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현재 속한 기지국의 DwPCH 신호를 제거한 후 1005 단계로 이동한다. 1005 단계는 DwPCH 신호를 복호하는 과정으로 상기 1003 단계에서 바로 올 수도 있고 1004 단계를 거쳐서 올 수도 있다. 상기 1004 단계를 거친 신호는 현재 속한 기지국의 DwPCH는 제거된 신호이다. 따라서 1005 단계의 결과값은 현재 기지국의 DwPCH 를 제외한 나머지 이웃한 기지국의 DwPCH 신호만을 검출해 내게 된다. 반면 1003 단계에서 1005 단계로 바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게 되면 1005 단계에서 DwPCH 복호 후 나오는 결과값은 현재 속한 기지국의 DwPCH 도 포함되고 나머지 이웃한 기지국들의 DwPCH 신호도 검출되게 된다. 1006 단계에서는 상기 1005 단계에서 찾아낸 DwPCH 신호들에 대한 판단 단계이다. 1006 단계에서는 상기 1005 단계에서 찾아낸 각각의 DwPCH 신호들의 전력을 임계값 2와 비교한다. 임계값 2는 기본적으로 모든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최소한 요구되는 전력이다. 즉, 임계값 2를 넘지 못하는 신호들은 그 왜곡 정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신호들은 잘못된 데이터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 측정값으로 취급하지 않고 신호를 버린다. 상기 1006 단계에서 임계값 2를 넘는 신호만이 통과되고 그 신호들은 1007 단계로 입력되고 1007단계에서 기준 DwPCH 신호와의 시간차를 계산해 내고 수행과정은 1008 끝 상태가 된다. If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upper layer to the position measurement to the UE comes to 1001 start step. In step 1002, the UE interprets the DwPCH of the cell to which it belongs. In step 1003 of determining the analyzed DwPCH power, the power of the DwPCH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1. The threshold 1 moves to step 1004 if the detected DwPCH powe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1 as the threshold value for the base station DwPCH power to which the current base station belongs. In step 1004, since the DwPCH power of the current base station is sufficiently large and determined to be close to the UE base station, a process of generating a DwPCH signal of the current base station and removing it from the received signal is performed. After removing the DwPCH signal of the current base station, it moves to step 1005. Step 1005 is a process of decoding the DwPCH signal and may immediately come from step 1003 or may go through step 1004. The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step 1004 is a signal from which the DwPCH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it currently belongs is removed. Therefore, the result value of step 1005 detects only the DwPCH signal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except the DwPCH of the current base st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command to move directly from step 1003 to step 1005, the result value after the DwPCH decoding in step 1005 includes the DwPCH of the current base station and the DwPCH signal of the remaining neighboring base stations are also detected. In step 1006, the determination of the DwPCH signals found in step 1005 is performed. In step 1006, the power of each of the DwPCH signals found in step 1005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2. Threshold 2 is basically the minimum power required to perform all procedures. In other words, the signals that do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2 can be said to have a very high degree of distortion. Therefore, these signals are considered to be wrong data. Therefore, the signals are discarded without being treated as a measurement value. In step 1006, only signals exceeding the threshold 2 are passed, and the signals are input in step 1007, and in step 1007,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DwPCH signal is calculated, and the process is completed.

도 11 은 기지국에서 단말기의 신호를 받았을 때의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when a base station receives a signal from a terminal.

상기 도 11 의 1101 시작 단계가 되면 기지국은 UE 위치 추정 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기지국은 1102 단계에서 현재 기지국에 전송되고 있는 UE 들의 신호 중에서 UE 가 각 기지국의 DwPCH 신호들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1102 단계에서 UE 로부터 UE 위치 추정에 대한 측정 데이터가 전송되었음을 알게 되면 1103 단계로 이동하고 1102 단계의 결과 UE 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없다면 1105 단계로 가서 과정을 끝낸다. 상기 과정에서 1103 단계로 이동하게 되면 기지국은 UE 가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정보를 가지고 1104 단계에서 기지국은 UE 의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 결과값은 기지국이 저장하고 있고 1105 단계로 끝 상태가 된다.
In step 1101 of FIG. 11, the base station enters a UE location estimation process.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UE measures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of the DwPCH signals of each base station among the signals of the UEs currently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in step 110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02 that measurement data for UE location estimation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UE, the process moves to step 1103. If there is n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E as a result of step 1102, the process ends with step 1105. In step 1103, the base station detects data measured by the UE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UE with the information. The result is stored by the base station and ends at step 110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UE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UE.

Claims (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단말기에서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Receiving a pilot channel signal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of the terminal during a specific downlink signal period at the terminal,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고,When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removed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to remove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Outputs a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여,If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outputs a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상기 출력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 중 전력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력보다 큰 전력을 가지는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를 계산한 후,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가 포함된 위치 추정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After decoding the output pilot channel signals,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pilot channel signals having a powe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power among the decoded pilot channel signals, and estimating a position includ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ilot channel signals. Transferring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상기 위치 측정 정보를 전달받은 기지국에서 상기 위치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위치 추정 방법.And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at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은, 파일럿 채널 신호 전송 슬럿인 단말기의 위치 추정 방법.And the specific downlink signal interval is a pilot channel signal transmission slot.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In the terminal device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동안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A receiver for receiving pilot channel signals from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of the terminal during a specific downlink signal period;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제거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기와,A determiner that compares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reset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o remove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 상기 판단기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의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큼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도록 판단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제거부와,Wherein the determiner removes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as the power of the pilot channe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 determination unit for removing pilot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nd outputting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상기 제거부에서 출력된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와,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파일럿 채널 신호들 중 전력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력보다 큰 전력을 가지는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를 계산한 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복수의 인접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들간 시간차가 포함된 위치 추정 정보를 출력하는 시간차 계산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nd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nd decoding the transmitted pilot channel signals; After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pilot channel signals having a powe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power among the decoded pilot channel signals, the pilot channel for trans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nd a time difference calculator for outputting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특정 다운링크 신호구간은, 파일럿 채널 신호 전송 슬럿인 단말 장치.The specific downlink signal interval is a pilot channel signal transmission slo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상기 제거부에 전달하고, When the pilo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is removed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removing unit removes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Pass it on,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상기 시간차 계산기에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A switch for transmitting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to the time difference calculator when the pilot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re not removed from the pilot channel signals receiv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neighbor base stations.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010051905A 2001-08-27 2001-08-27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34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905A KR100834634B1 (en) 2001-08-27 2001-08-27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905A KR100834634B1 (en) 2001-08-27 2001-08-27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280A KR20030018280A (en) 2003-03-06
KR100834634B1 true KR100834634B1 (en) 2008-06-02

Family

ID=2772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905A KR100834634B1 (en) 2001-08-27 2001-08-27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6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851A (en)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otdoa esti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543136B2 (en) 2009-07-13 2013-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using sequences transmitted from base st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60B1 (en) * 2009-05-05 201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eod for positioing a user equipment
US10524258B2 (en) 2017-02-15 2019-12-31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WO2019095188A1 (en) 2017-11-16 2019-05-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arrier managem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372A (en) * 1994-11-14 1996-10-01 At & 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itself
KR19990038886A (en) * 1997-11-07 1999-06-05 서정욱 Location Estimation Using Pseudo Distance and Pilot Strength
KR19990075135A (en) * 1998-03-18 1999-10-15 이현진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Mobile terminal's location search method
KR20000007805A (en) * 1998-07-07 2000-02-07 정용문 Terminal position tracking method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ype mobile communication
KR20000038962A (en)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64729A (en)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10110066A (en) * 1999-06-04 2001-12-12 가나이 쓰토무 Positioning apparatus using cellular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372A (en) * 1994-11-14 1996-10-01 At & 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itself
KR19990038886A (en) * 1997-11-07 1999-06-05 서정욱 Location Estimation Using Pseudo Distance and Pilot Strength
KR19990075135A (en) * 1998-03-18 1999-10-15 이현진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Mobile terminal's location search method
KR20000007805A (en) * 1998-07-07 2000-02-07 정용문 Terminal position tracking method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ype mobile communication
KR20000038962A (en)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110066A (en) * 1999-06-04 2001-12-12 가나이 쓰토무 Positioning apparatus using cellular communication
KR20010064729A (en)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136B2 (en) 2009-07-13 2013-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using sequences transmitted from base stations
KR20120015851A (en)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otdoa esti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683295B1 (en) 2010-08-13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otdoa esti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280A (en)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893B1 (en) A power control method in narrow band time division duplex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7200124B2 (en)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291357B2 (en) Acquisition circuit applicable to low chip rate op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012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nonuse an nb-tdd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114526B1 (en) Method of identifying information addressed to a user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system
AU729076B2 (en) Initial acquisi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AU2002358322A1 (en)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22140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KR2002003464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e slot of sub frame randomly and method thereof in narrow band time division duplex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R100733637B1 (en) Transmission gap interference measurement
US20030026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sharing channelization cod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6307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 control of the processing of a radio signal in a mobile station
EP0913971A2 (en) Channel Estimation in a CDM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EP1501327B1 (en) Method to estimate the interference signal code power (ISCP) in a TD-CDMA system
KR100834634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77888A (en) Apparatus for receiving channel encoded using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scheme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7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Signals Using a Midamble by a Base Station Receiver in a 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002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 cancellation of adjacent cell ue interference on base station receiver in td-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63441B1 (en) PHASING MODULATION SCHEME OF DwPTS FOR TRANSMIT DIVERSITY IN NARROW BAND TIME DIVISION DUPLEXING
US20050018758A1 (en) Receiving spread spectrum signal in radio system
KR20040063059A (en) Method and appatarus for measurement of inter frequency measurement and inter radio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271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between base station in 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002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idle skir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625425C (en) Support of multiuser detection in the down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