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861B1 - Device for ice discharging - Google Patents

Device for ice dis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861B1
KR100833861B1 KR1020060139246A KR20060139246A KR100833861B1 KR 100833861 B1 KR100833861 B1 KR 100833861B1 KR 1020060139246 A KR1020060139246 A KR 1020060139246A KR 20060139246 A KR20060139246 A KR 20060139246A KR 100833861 B1 KR100833861 B1 KR 10083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ce
rotating shaft
shaft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훈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61B1/en
Priority to US11/967,448 priority patent/US795473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17Ice cr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An ice discharging device is provided to generate ice in a lump, piece or powder shape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a user even in an outdoor place by rotating a driving element for rollers manually without using any motor. An ice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n ice bank for storing ice inside and formed with an outlet at a side, a driving element for rotating forward or backward, and an ice crusher having first and second rollers(130,140) respectively having rotational shafts(132,142)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rotating oppositely from each other, wherein the rotational shafts of the rollers are coupled with driven and driving gears(134,144) respectively. A driving gear(152) of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and driving gea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sequence. The rollers are formed with ice crushing parts(138) protruded in the spiral shape from outer surfaces thereof, which are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얼음배출장치 {Device for ice discharging}Ice Discharge Device {Device for ice discharging}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frigerator;

도 2는 종래의 아이스뱅크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ce bank;

도 3은 종래의 크러셔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usher;

도 4는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4;

도 6은 도 4의 얼음배출장치의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of the ice discharge device of FIG.

도 7은 도 4의 얼음배출장치의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of the ice discharge device of FIG. 4 is narrowed;

도 8은 도 4의 제2종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riven gear of FIG. 4; FIG.

도 9는 도 4의 얼음배출장치가 통얼음을 배출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ce discharge apparatus of FIG. 4 discharging ice cubes; FIG.

도 10은 도 4의 얼음배출장치가 조각얼음을 배출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10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ce discharge device of FIG. 4 discharges crushed ice; And,

도 11은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rive device of the i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20 : 아이스뱅크 122 : 개구부120: ice bank 122: opening

130 : 제1롤러 132 : 제1회전축130: first roller 132: first rotating shaft

134 : 제1종동기어 138 : 쇄빙부134: first driven gear 138: icebreaker

140 : 제2롤러 142 : 제2회전축140: second roller 142: second rotating shaft

144 : 제2종동기어 150 : 구동장치144: second driven gear 150: drive device

162 : 캠기구 164 : 캠기구162: cam mechanism 164: cam mechanism

본 발명은 얼음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통얼음과 조각얼음과 갈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dischar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discharge device that can provide ice, crushed ice and ground ice.

냉장고는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가정이나 업소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Refrigerators are devices that allow the internal temperature to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by using a cooling cycle, and are widely used in homes and businesse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general refrigerator.

상기와 같은 냉장고(1)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되어 있으며, 냉매의 응축과 증발을 통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The refrigerator 1 is generally divided into a freezer compartment 2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3, which are spaces for storing food, and a cooling cycle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rough condensation and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냉동실(2)은 내부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각되고, 냉장실(3)은 3~4도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reezing chamber (2) is cooled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freezing temperature, the refrigerating chamber (3) is made to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3 to 4 degrees.

그리고, 상기 냉장고(1) 내에는 얼음을 얼리는 제빙기(10)가 구비된다.In the refrigerator 1, an ice maker 10 for freezing ice is provided.

상기 제빙기(10)는 얼음을 얼리는 기기이며, 상기 제빙기(10)에서 얼려진 얼음은 하부에 구비된 아이스뱅크(20)에 옮겨져 저장된다.The ice maker 10 is a device for freezing ice, and the ice frozen in the ice maker 10 is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an ice bank 20 provided below.

그리고, 냉장고(1)의 외부에는 상기 아이스뱅크(20)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가 손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40)가 구비된다.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1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40 so that a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20.

상기 디스펜서(40)는 컵등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냉장고(1)의 벽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이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뱅크(20)와 통로(52)로 연통되어 있다.The dispenser 40 is recessed inwardly of the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or 1 so as to accommodate a container such as a cup and supplies water or ic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52).

도 2는 상기 아이스뱅크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the ice bank.

상기 아이스뱅크(20)는 얼음을 담는 기구인데, 상기 제빙기(10)에서 옮겨지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는 대략 개방되어 이루어지고, 일측에 담겨진 얼음이 배출되도록 개구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50)로 이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얼음을 배출시키는 얼음배출장치가 구비된다.The ice bank 20 is a device for holding ice,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bank 20 is opened so as to receive the ice transferred from the ice maker 10, the opening 22 is formed to discharge the ice contained in one side. And, there is provided with an ic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ice to the inside to transfer the ice to the dispenser 5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얼음배출장치는 구동장치(32)와 얼음이송기(34)등으로 이루어진다.The ice discharge device is composed of a drive device 32 and an ice feeder (34).

상기 얼음이송기(34)는 아이스뱅크(20)의 저부에 나선의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얼음이송기(34)를 구동하는 구동장치(32)가 결합되어 있다.The ice transporter 34 is disposed in the shape of a spiral at the bottom of the ice bank 20, and a driving device 32 for driving the ice transporter 34 is coupled to an end thereof.

상기 구동장치(32)는 모터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얼음이송기(34)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송기(34)는 회전되면서 아이스뱅크(20)의 얼음을 개구부(22)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The drive device 32 is made of a motor or the like to rotate the ice transporter 34. Therefore, the ice transfer machine 34 rotates to transfer the ice of the ice bank 20 to the opening 22 side.

상기 개구부(22)에는 크러셔(40)가 구비된다. 상기 크러셔(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구부(22)에서 토출되는 얼음을 통얼음 상태로 배출하거나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The opening 22 is provided with a crusher 40. The crusher 40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the ice discharged from the opening 22 in the ice state or the crushed ice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도3은 상기 크러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usher.

상기 크러셔(40)는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블레이드(42)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블레이드(43)로 이루어진다.The crusher 4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the housing 41 forming a space therein and forming a space therein, the fixed blade 42 provided in the housing 41 and a rotation rotatably provided. It consists of a blade 43.

상기 회전블레이드(43)는 모터등의 구동력으로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41)은 하측에 얼음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출구(44)의 일부를 개폐하는 셔터(45) 및, 상기 셔터(45)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46)가 구비된다.The rotary blade 43 is provided to rotate as a driving force such as a motor, the housing 41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44 for discharging the ice on the lower side. In addition, a shutter 45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discharge port 44 and a solenoid 46 for operating the shutter 45 ar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따라서, 사용자가 통얼음(8)을 취출하고자 조작했을 때는 상기 셔터(45)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44)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크러셔(40)의 하우징(41) 내부로 인입된 얼음(8)은 상기 회전블레이드(43)와 고정블레이드(42) 사이에 끼이기 전에 상기 개방된 배출구(44)를 통하여 디스펜서(50)로 배출된다.Thus,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ice cube 8, the shutter 45 is opened to open the discharge port 44. In addition, the ice 8 introduced into the housing 41 of the crusher 40 through the opening 22 is inserted into the open outlet 44 before being caught between the rotating blade 43 and the fixed blade 42. Through the dispenser 50.

또한,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취출하고자 조작했을 때는 상기 셔터(45)가 폐쇄되어 상기 배출구(44)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4)가 닫혀있으므로,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크러셔(40)의 하우징(41) 내부로 인입된 얼음(7)은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회전블레이드(4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다가 고정블레이드(42)와 회전블레이드(43) 사이에 끼여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되며, 이러한 조각얼음은 상기 배출구(44)의 폐쇄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디스펜서(50)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crushed ice, the shutter 45 is closed to close the outlet 44. In addition, since the outlet 44 is closed, the ice 7 introduced into the housing 41 of the crusher 40 through the opening 22 does not escape through the outlet and rotates the rotating blade 43. As it moves along the crushed blade between the fixed blade 42 and the rotating blade 43 is broken into pieces of ice, this piece of ice is discharged to the dispenser 50 through the non-closed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44).

그러나, 가정에서 팥빙수등을 만들고자 할 때는 조각얼음이 아닌 갈은얼음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배출장치는 통얼음과 조각얼음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에게 갈은얼음을 제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making an adzuki bean ice at home,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make crushed ice instead of crushed ice. Such a conventional ice discharge device does not provide crushed ice to the user because it only provides whole ice and crushed ic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얼음과 조각얼음 및 갈은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discharge device that can provide ice and crushed ice and ground 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음을 저장하며, 일측에 얼음배출구가 형성된 아이스뱅크; 정방향회전 및 역방향회전이 가능한 구동장치;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통얼음 상태로 배출하거나, 부수어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하는 얼음분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얼음배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bank for storing the ice, the ice outlet is formed on one side; A drive device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t comprises 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having a rotation axis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rotating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 device, to discharg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outlet in the ice state, or to break the crushed ice state It provides an ice discharge device comprising: an ice grinding unit for discharging.

그리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각각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외주면에 얼음을 갈거나 부수는 쇄빙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may each have a conical shape, and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in a shape opposite to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cebreaker to grind or break ic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과 제2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is preferably further included.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면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gap adjusting device,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movable shaft and the rotary shaft of the second roller to be movable And a cam mechanism, which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stalled rotary shaft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by moving the rotary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또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mechanism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또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m mechanism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캠기구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mechanism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are installed to have opposite phase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preferab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가 정회전 할 때에는 얼음이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장치가 역회전 할 때에는 통얼음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rive unit rotates forward, ice is discharged in a crushed ice state, and when the drive unit rotates in reverse, it is preferably discharged in a state of ice.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device, a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A first driven gear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to rotate the first roller; And a second driven gear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to rotate the second roller.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가능한 축; 일단이 상기 축에 결합되며, 사용자 가 상기 축에 회전력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에 결합된 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rive device also includes a rotatable shaft; A cra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haft, the crank being provided to allow a user to apply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A first driven gear rotated by a shaft coupled to the crank and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roller to rotate the first roller; It may be made by including a second driven gear: rotated by the mot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to rotate the second roller.

그리고, 상기 제1종동기어 또는 제2종동기어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en gear or the second driven gear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ller or the second roll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얼음을 갈거나 부수는 제1롤러와 제2롤러의 회전방향이 조절되므로 배출되는 얼음을 통얼음 또는 조각얼음의 형태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얼음조각의 크기도 조절가능하여 갈은얼음상태의 얼음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o grind or break the ice is controlled, the discharged ice can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ice or flake ice, and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s adjusted, the size of the ice cubes is also adjustable to provide the ice in the ground 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서, 본 실시예는 얼음배출장치가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가 아니더라도 얼음을 배출하는 기기라면 어느것이던지 적용이 가능하다.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that the ice discharge device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ny device that discharges ice even if the refrigerator is not a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중 전술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y have been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먼저, 냉장고(1 : 도1참조)의 내부에 제빙기(10 : 도1참조)가 구비된다. 상 기 제빙기는 얼음을 얼리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얼음을 얼리는 공간이 형성되며, 얼려진 얼음을 제빙기 외부로 이동시키는 기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n ice maker 10 (see FIG. 1)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1 (see FIG. 1). The ice maker is a component that freezes ice, and a space for freezing ice is formed therein, and may include a mechanism for moving the frozen ice to the outside of the ice maker.

상기 제빙기(10 : 도1참조)는 냉장고(1 : 도1참조)내에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는 냉동실(2 : 도1참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냉동실(2 : 도1참조) 또는 냉장실(3 : 도1참조)의 용적을 넓히고자 도어(4 : 도1참조)의 내측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장실(3 : 도1참조)내에 따로 영하의 냉기가 형성되는 공간을 마련하여 그 부분에 위치시킬수도 있다.The ice maker 10 (refer to FIG. 1) is generally arranged inside a freezer compartment 2 (see FIG. 1) where sub-zero temperatures are maintained in the refrigerator 1 (refer to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See Fig. 1) or on the inner wall of the door (4: Fig. 1) to expand the volum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 Fig. 1), and the sub-zero cold air in the fridge (3: Fig. 1)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pace to be formed and to position it.

그리고, 상기 제빙기(10 : 도1참조)의 하부에는 아이스뱅크(120)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뱅크(120)는 상기 제빙기에서 제빙된 얼음이 옮겨져 보관되는 곳으로서, 일측에 보관된 얼음이 아이스뱅크(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뱅크(120)의 내부에는 얼음을 상기 개구부(122)측으로 이송시키는 얼음이송기(34 : 도2참조) 및 상기 얼음이송기(34 : 도2참조)를 구동시키는 장치(32 : 도2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ce bank 120 is installed below the ice maker 10 (see FIG. 1). The ice bank 120 is a place where the ice deiced in the ice maker is transferred and stored, an opening 122 through which ice stored on one 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ce bank 120 is formed, and the ice bank ( The inside of the 120 is provided with an ice conveyer (see FIG. 2) (34) (see FIG. 2)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opening 122 side (32: FIG. 2) is provided with a device (32: FIG. 2) for driving the ice conveyer (see FIG. Can be.

그리고, 냉장고(1 : 도1참조)의 외측벽면에는 상기 아이스뱅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디스펜서(50 : 도1참조)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dispenser 50 (refer to FIG. 1)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refrigerator 1 (refer to FIG. 1) for supplying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bank to the user.

한편,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디스펜서(50 : 도1참조)로 배출되기 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얼음이나 조각얼음 또는 갈은얼음 상태로 배출되는 얼음분쇄장치가 구비된다.Meanwhile, befor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bank 120 is discharged to the dispenser 50 (see FIG. 1), an ice crushing device is discharged in a state of ice or crushed ice or crushed ic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여기서, 통얼음이란 상기 제빙기에서 제빙된 상태 그대로 배출되는 얼음이고, 조각얼음은 상기 통얼음이 잘게 쪼개진 상태의 얼음이며, 갈은얼음은 팥빙수의 얼음과 같이 곱게 갈린 상태의 얼음을 뜻한다.Here, the whole ice is the ice discharged as it is iced in the ice maker, the crushed ice is the ice in the state where the whole ice is finely divided, and the ground ice refers to the ice that is finely ground like the ice of the red ice.

또한, 상기와 같은 얼음분쇄부는 상기 아이스뱅크(120)의 개구부(122)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22)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분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ce grinding unit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provided below the opening 122 of the ice bank 120 to crush the ice discharged from the opening 12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얼음분쇄장치는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및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ce grind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roller 130 and a second roller 140, and a driving device 150 for driving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는 각각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을 가지며, 상기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은 서로 평행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has a first rotating shaft 132 and a second rotating shaft 142 penetrating a central portion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132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142. Are preferab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ranged side by side.

또한,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과 제2롤러(140)의 외주면에는 얼음을 갈아내기 위한 쇄빙부(138)가 형성된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icebreaking unit 138 for grinding ice.

상기 쇄빙부(13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 또는 제2롤러(140)의 외주면에 나선상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the icebreaking unit 138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0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또한, 상기 쇄빙부(138)는 맞은편의 제1롤러(130) 또는 제2롤러(140)를 향하여 편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ce-breaking unit 138 is preferably formed to be deflected toward the first roller 130 or the second roller 140 of the opposite side.

그리고,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장치(150)는 정방향회전과 역방향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50)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가 구비될 수도 있고, 모터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나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에 전해지는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기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양방향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 driving device 150 for driving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provided. The driving device 150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150 may include a motor, and may include a motor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nd the motor rotates in one direction, but is not transmitted to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provided with a turning mechanism (not shown) tha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may be made to be bidirectional rotation.

또한, 상기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장치(150)의 구동력을 제1롤러(130)에 전달하는 제1종동기어(134)와, 구동장치(150)의 구동력을 제2롤러(140)에 전달하는 제2종동기어(14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driven gear 134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50 including the motor to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50 to the second roller 140. Preferably, the second driven gear 144 is provided.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는 각각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에 결합된다.The first driven gear 134 and the second driven gear 144 ar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132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142,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의 회전방향또한 서로 반대이다.Here,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preferably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Sinc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driven gear 134 and the second driven gear 144 are also opposite to each other.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는 서로 치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134)의 일측에 상기 구동장치(15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152)가 치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종동기어(134)는 구동기어(152)에 의해 회전되며, 제2종동기어(144)는 제1종동기어(134)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To this end, the first driven gear 134 and the second driven gear 144 is provided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and to provide a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device 150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en gear 134. It is preferable that the gear 152 is provided to be engaged. That is, the first driven gear 134 is rotated by the drive gear 152, and the second driven gear 144 is mesh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134, so that the first driven gear 134 is opposite to the first driven gear 134. To rotate in the direction.

물론, 상기와 같은 구성과는 다르게,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 어(144)가 서로 치합되어 있지 않고, 각각 구동장치(150)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으며 서로 회전방향만 반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등, 여러가지 구조가 도출될 수 있다.Of course, unlike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driven gear 134 and the second driven gear 144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50 to be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Various structures can be derived, such that only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reverse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하, 이러한 회전을 역회전이라 한다)하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통얼음 상태로 제1롤러(130) 또는 제2롤러(140)의 외측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통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rot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open (hereinafter, such rotation is referred to as reverse rotation), the first roller (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ice 107 transferred from the ice bank 120 is iced in the first roller 130 or the second roller 140. ) And the ice is supplied to the user.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이하, 이러한 회전을 정회전이라 한다)하면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회전을 따라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 끼여지면서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된다. 이 때, 상기 쇄빙부(138)가 얼음이 파쇄되는것을 더욱 원할하게 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0, wh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rotate inward to each other (hereinafter, such rotation is referred to as forward rotation), the ice bank 120 Ice 107 transported from the) is crushed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Becomes At this time, the ice-breaking unit 138 makes the ice more crushed.

한편,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 끼여 생성되는 조각얼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사이 간격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crushed ice produced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the interval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adjusted Need to be.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회전축(132)과 제2회전축(142)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tary shaft 132 and the second rotary shaft 142.

또한, 상기와는 다르게,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원추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중 어느하나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 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Also, unlike the above,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are formed to have a conical shape, and any on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may be adjusted.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를 원추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중 어느 하나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are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on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It will be describe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는 각각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대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은 서로 소정간격을 이루며 배치된다.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each made of a conical shape, and are arranged in a form opposite to each other,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And, 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installed to b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롤러(140)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that the second roller 140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롤러(14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종동기어(144)는 상기 제2롤러(140)를 지지하는 제2회전축(142)과는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driven gear 144 apply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roller 140 is axially opposite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42 supporting the second roller 14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ative movement is provided.

이는, 상기 제2종동기어(14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종동기어(134)와의 치합을 유지한체로 상기 제2롤러(140)에 전해주는 회전력은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aintai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roller 140 while maintaining the engagement with the first driven gear 134 provid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driven gear 144.

또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gap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provided.

도 6 내지 도 7은 상부에서 본 얼음배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6 to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ce discharge device seen from the top.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2롤러(14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회전축(142)의 양단에 구비되는 캠기구(162,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p adjusting device is used to move the second roller 140 in the axial direction, and preferably includes cam mechanisms 162 and 16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142.

또한, 상기 양 캠기구(162,164)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회전축(142)의 일측단에 구비된 캠기구(162)가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고 있다면, 상기 제2회전축(142)의 타측단에 구비된 캠기구(164)는 이와는 반대의 위상을 가져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wo cam mechanisms (162, 164) is preferably made to have a phas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if the cam mechanism 16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142 pushes the second rotation shaft 142, the cam mechanism 164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142. Has a phase opposite to that provided so as not to push the second rotation shaft 142.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캠기구가 반드시 제2회전축(142)의 양단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캠기구는 제2회전축(142)의 어느 일측단에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캠기구에 의해 이동된 제2회전축(142)을 고정시키는 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mechanism is not necessari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otary shaft 142, the cam mechanism is provided at any one end of the second rotary shaft 142, the other end of the cam mechanism A mechanism (not shown) for fixing the second rotating shaft 142 moved by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배출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ic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통얼음을 얻고자 조작할 때는,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가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한다.First, when a user manipulates to obtain ice cubes,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device to rotate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n the reverse direction.

그러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통얼음 상태로 제1롤 러(130) 또는 제2롤러(140)의 외측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통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The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ice 107 transferred from the ice bank 120 is in the ice state of the first roller ( 130 or fal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the ice is supplied to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얻고자 조작할 때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가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150)를 구동한다.In addition, when a user manipulates ice cubes, 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device 150 to rotate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n the forward direction. .

그러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상측부가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아이스뱅크(120)에서 이송된 얼음(107)이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회전을 따라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 끼여지면서 파쇄되어 조각얼음이 되어 떨어지고, 이러한 조각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Then, since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rotate inward to each other, the ice 107 transferred from the ice bank 120 is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140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while being crushed and broken into pieces of ice, this piece of ice is supplied to the user.

또한, 이하에서는 조각얼음을 취출할 때 조각얼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for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flake ice when taking out the flake ice.

도 6은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클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작을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when the size of the crushed ice taken out is relatively large, and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when the size of the crushed ice taken out is relatively small.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클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롤러(140)가 후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캠기구(162,164)중 제2회전축(142)의 전측에 있는 캠기구(164)는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고, 상기 제2회전축(142)의 후측에 있는 캠기구(162)은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상기 제2회전축(142)을 후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롤러(140)도 후측으로 이동되고, 그에따라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과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t1)이 넓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사이에서 파쇄되는 얼음조각의 크기도 커진다.When the size of the crushed ice taken out is relatively large,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roller 140 moves to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cam mechanism 164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142 of the cam mechanism 162, 164 pushes the second rotary shaft 142, and the cam mechanism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142 ( The second roller 140 is also moved to the rear side by moving the second rotary shaft 142 to the rear sid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rotary shaft 142 is not pushed, so that the first roller 130 is moved. The distance t 1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is widened,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ice pieces crushed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또한, 취출되는 조각얼음의 크기가 비교적 작을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롤러(140)가 전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캠기구(162,164)중 제2회전축(142)의 전측에 있는 캠기구(164)는 상기 제2회전축(142)을 밀지 않고, 상기 제2회전축(142)의 후측에 있는 캠기구(162)는 상기 제2회전축(142)을 미는 상태가 되어 상기 제2회전축(142)을 전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롤러(140)도 전측으로 이동되고, 그에따라 상기 제1롤러(130)의 외주면과 제2롤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t2)이 넓어져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의 사이에서 파쇄되는 얼음조각의 크기가 작아진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piece ice taken out is relatively small, as shown in Figure 7, the second roller 140 is moved to the front side. At this time, the cam mechanism 164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142 among the cam mechanisms 162 and 164 does not push the second rotary shaft 142, but the cam mechanism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142. 162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ry shaft 142 is pushed to move the second rotary shaft 142 to the front side, the second roller 140 is also moved to the front side,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130 The distance t 2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40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ice fragments crushed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또한,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좁아진다면, 갈은얼음 상태의 얼음조각의 크기까지 얼음을 파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f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second roller 140 is sufficiently narrowed, it is possible to crush the ice to the size of the ice cubes in the ground ice state.

따라서, 사용자가 통얼음과 조각얼음은 물론, 얼음조각의 크기까지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얼음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ice cubes, as well as ice cubes and pieces of ice, so that the user can obtain the ice of the desired size.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상기 구동장치(150)가 전기적인 힘을 사용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장치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rive device 150 includes a motor using an electric force, the drive device may be made of a different configuration.

도 11은 상기 구동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 device.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은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임을 밝힌다.Prior to the description, it is reveal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are not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회전가능한 축(254)과, 일단이 상기 축(254)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축(254)에 회전력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크랭크(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nk rotatable shaft 254, one end is coupled to the shaft 254, the user is provided to give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254 252.

상기 축(254)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동기어(152)의 회전축에 결합되거나, 상기 구동기어(152)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또다른 기어(미도시)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종동기어(134)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The shaft 254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gear 15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another gear (not shown) that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52 to provide rotational force.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en gear 134.

또한, 상기 크랭크(252)는 상기 축과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254)이 결합된 쪽의 반대쪽 끝단에는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도록 손잡이(25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ank 252 has an angle of 90 ° with the shaft, the handle 256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to which the rotary shaft 254 is coupled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크랭크(252)에 구비된 손잡이(256)를 잡고 돌리면, 회전력이 상기 제1종동기어(134)와 제2종동기어(144)에 전해짐으로써 상기 제1롤러(130)와 제2롤러(14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돌리는만큼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grasps and turns the handle 256 provided on the crank 252,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en gear 134 and the second driven gear 144, so that the first roller 130 and the first roller 130 are made. The two rollers 140 can be rotated. In addition,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 by turning by hand.

상기와 같이 구동장치가 크랭크(252)로써 이루어진다면, 상기 얼음배출장치에 전기가 공급될 필요가 없어 냉장고가 아닌 다른 독립적인 얼음배출기기에 적용할 경우 제작 및 작동이 더 간편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f the drive device is made of a crank 252 as described above, the ice discharge device does not need to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so when applied to an independent ice discharge device other than a refrigerator,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can be expected to be simpler. have.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and scope.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얼음배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얼음과 조각얼음 뿐만 아니라, 갈은얼음까지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not only frozen and sculpted ice, but also ground ice.

둘째,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힘으로써 돌릴수 있으므로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야외에서도 갈은얼음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can be turned by a user's power without using a motor,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ground ice even when no electricity is provided.

Claims (12)

얼음배출구가 형성된 아이스뱅크;An ice bank formed with an ice outlet; 정방향회전 및 역방향회전이 가능한 구동장치;A drive device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대향된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얼음을 갈거나 부수는 쇄빙부가 형성된 제1롤러 및 제2롤러;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having parallel rotation axes, arranged side by side in opposite shapes to form a conical shape, and having icebreak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과 상기 제2롤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 및A gap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gap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And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방향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통얼음이나 조각얼음 또는 갈은얼음 상태로 배출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얼음배출장치.It comprises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he ice crush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discharge port in the ice, ice or crushed ice while rotating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 device Ice discharge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격조절장치는,The gap adjusting device,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면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by moving the rotating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as it is installed in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otary shaft of the second roller to be movable Cam mechanism: ice discharge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And the cam mechanism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movab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제2롤러의 회전축중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And the cam mechanism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movab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제6항에 잇어서,In accordance with claim 6,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캠기구는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Cam mechanism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are installed so as to have a phase opposite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ce discharg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구동장치가 정회전 할 때에는 얼음이 조각얼음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장치가 역회전 할 때에는 통얼음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Ice is discharged in the state of crushed ice when the drive unit is rotated forward, and discharged in the ice state when the drive unit is reverse rota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구동장치는,The drive device,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A mot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A first driven gear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ller to rotate the first roller;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And a second driven gear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to rotate the second roll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구동장치는,The drive device, 회전가능한 축;A rotatable shaft; 일단이 상기 축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축에 회전력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크랭크;A cra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haft, the crank being provided to allow a user to apply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상기 크랭크에 결합된 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A first driven gear rotated by a shaft coupled to the crank and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roller to rotate the first roller;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And a second driven gear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to rotate the second roller.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제1종동기어 또는 제2종동기어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배출장치.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en gear or the second driven gear is an ice dischar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ller or the second roller.
KR1020060139246A 2006-12-31 2006-12-31 Device for ice discharging KR100833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246A KR100833861B1 (en) 2006-12-31 2006-12-31 Device for ice discharging
US11/967,448 US7954738B2 (en) 2006-12-31 2007-12-31 Ice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246A KR100833861B1 (en) 2006-12-31 2006-12-31 Device for ice dischar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861B1 true KR100833861B1 (en) 2008-06-02

Family

ID=3958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246A KR100833861B1 (en) 2006-12-31 2006-12-31 Device for ice discharg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4738B2 (en)
KR (1) KR10083386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84A (en) 2014-10-22 2016-05-03 코웨이 주식회사 Ice crushing apparatus
KR102315446B1 (en)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crushing and conveying device for 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672A (en) * 2010-02-2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bank for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8800694B (en) * 2018-05-21 2021-03-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Ice crushing device and refrigerator
CN109307392B (en) * 2018-09-10 2020-04-2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Ice discharging device and refrigerator
US11125486B2 (en) * 2019-05-29 2021-09-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justable ice crusher
CN111889173B (en) * 2020-07-13 2021-12-31 山东益远药业有限公司 Poultry is with fodder reducing mechanism
CN111974501B (en) * 2020-08-26 2021-11-30 山东天成农业科技有限公司 Flour production equipment and process special for flour mill
US20230009119A1 (en) * 2021-07-09 2023-01-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bin including an ice conveyance and crushe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en)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Ic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958A (en) * 1909-08-12 1911-07-04 John G Wallick Garbage-pulverizer for sewers.
US2235968A (en) * 1938-06-17 1941-03-25 Joseph C Thurman Ore pulverizer
US2416422A (en) * 1944-07-28 1947-02-25 Svante M Udden Rotary ice chipper
GB1253517A (en) * 1968-02-28 1971-11-17 Acheson Ind Inc Roll mill
US4608007A (en) * 1983-05-13 1986-08-26 Wood Errol A Oat crimper
JPS62123248U (en) * 1986-01-30 1987-08-05
US4721257A (en) * 1986-12-04 1988-01-26 Williams Patent Crusher And Pulverizer Company Rotary shredding apparatus
DE69105370T2 (en) * 1990-06-27 1995-07-20 Kao Corp Powdering and kn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oap using this apparatus.
JPH06169740A (en) * 1991-02-13 1994-06-21 Moon H Lee Juicer
US5285973A (en) * 1992-07-15 1994-02-15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Close tolerance shredder
JP3437858B2 (en) * 1993-08-27 2003-08-18 トリー食品工業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and ice dessert
US5395057A (en) * 1994-01-03 1995-03-07 Williams Patent Crusher & Pulverizer Company Interchangeable and reversible material reducing apparatus
JPH0919641A (en) * 1995-07-04 1997-01-21 Satake Eng Co Ltd Flour mill
TW486384B (en) * 1999-05-17 2002-05-11 Kotobuki Sangy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waste
CN1151917C (en) * 2000-09-28 2004-06-02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Rubber wast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6634577B2 (en) * 2000-12-20 2003-10-21 Tsukuba Food Science, Inc. Crusher, process for preparing and testing materials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en)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Ice mak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84A (en) 2014-10-22 2016-05-03 코웨이 주식회사 Ice crushing apparatus
KR102301483B1 (en) * 2014-10-22 2021-09-15 코웨이 주식회사 Ice crushing apparatus
KR102315446B1 (en)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crushing and conveying device for 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4738B2 (en) 2011-06-07
US20080156018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61B1 (en) Device for ice discharging
EP1482263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KR101212087B1 (en) Refrigerator
US8746002B2 (en)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KR100845859B1 (en) Device for discharging ice
KR20070076751A (en) Refrigerator
KR102189239B1 (en) Refrigerator
CN1752676A (en) Refrigerator with shaved ice supplying device
KR10087126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080022466A (en) Refrigerator
KR20080014403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2442067B1 (en) Refrigerator
KR20080020126A (en) Refrigerator
KR20060053212A (en) Refrigerator
KR100844331B1 (en) Driving apparatus of ice bank for refrigerator
KR20080036696A (en) Refrigerator and ice discharging apparatus therei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9990066209A (en) Refrigerator
KR20000032977A (en) Ice dispenser of refrigerator
KR100781269B1 (en) Device for ice discharging
KR20080000128A (en) A refrigerator
KR20080000127A (en) A refrigerator
KR20050076926A (en) Ice pulverization and grind apparatus for refrigeration
KR20050034337A (en) Ice-making apparatus in the refrigerator
KR20040102562A (en) Ice-maker in refrigerator
KR20050000955A (en) Icebank with rotary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