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616B1 -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616B1
KR100833616B1 KR1020060086685A KR20060086685A KR100833616B1 KR 100833616 B1 KR100833616 B1 KR 100833616B1 KR 1020060086685 A KR1020060086685 A KR 1020060086685A KR 20060086685 A KR20060086685 A KR 20060086685A KR 100833616 B1 KR100833616 B1 KR 10083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rame
digital picture
data
external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2886A (en
Inventor
장세원
추경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616B1/en
Publication of KR2008002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icture fram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 data processor which decod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predetermined data;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as an image; And an effect generator that generates a constant effec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asily exchanging or shar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hare the data when sharing the data.

디지털 액자 Digital photo frame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icture frame.

일반적으로 디지털 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개인 컴퓨터 등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저장하거나 액정표시소자(LCD) 등에 디스플레이하여 이미지의 해상도 차이 없이 사진 액자 또는 앨범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In general, a digital picture frame reads and stores image data processed by a digital camera or a personal computer, or displays a display 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to function as a picture frame or album without a difference in image resolution. Say the device.

종래의 상기 디지털 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되거나 기존의 인화지 사진을 스캐너를 이용해 스캐닝하고 코덱(Codec) 등으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메모리에 파일 형태로 저장한 후 상기 파일을 상기 전자 액자 혹은 디지털 액자로 로딩(Loading)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Conventionally, the digital picture frame is photographed with a digital camera or the like and scanned with a scanner using a scanner, and image data compressed with a codec or the like is stored in a memory of a digital camera or a personal computer as a file and then the file is stored. A method of loading and displaying the electronic picture frame or the digital picture frame was used.

그러나, 상기한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또는 공유를 위해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야 했다. However, the digital picture frame had to use USB memory or flash memory for data exchange or sharing with an external device.

즉, 디지털 액자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를 통해 일단 저장한 후, 외부 기기에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를 연결함으로써,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졌다. That is, data is stored in the digital picture frame once through the USB memory or flash memory, and then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o the USB memory or flash memory to transfer data.

역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액자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중개 수단이 필요했다. Conversely, in order to transfer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to a digital picture frame, mediation means such as USB memory or flash memory were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의 절차는 번거로웠다. The procedure of exchanging or sharing data as described above was cumbersome.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더라도, 디지털 액자를 통해 사진을 감상하는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동시간에 동일한 사진을 감상하고 있다는 교감을 느낄 수 없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data is shared in the above manner, users who view the picture through the digital frame could not feel that they are viewing the same pictur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picture frame which facilitates the exchange or sharing of dat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공유시,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한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icture frame that can communicate with users when sharing data.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 발생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 data processor which decod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predetermined data;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as an image; And an effect generator that generates a constant effec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asily exchanging or shar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hare the data when sharing the data.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데이터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부(160), 효과 발생부(170) 및 조작부(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data processing unit 130, a memory unit 140, an interface 150, a display unit 160, and an effect generator 170. And the operation unit 180.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데이터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인터페이 스(150), 디스플레이부(160), 효과 발생부(170) 및 조작부(18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the memory unit 140, the interface 150, the display unit 160, the effect generator 170, and the operation unit 180. .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122) 및 외부 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24)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122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a signal receiver 124 for receiv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 receive a signal with other extern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모뎀으로 구성되어,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해 다른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modem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other external devices through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랜카드로 구성되어, 랜을 통해 다른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composed of a LAN car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other external devices through the LAN.

통신부(120)가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통신부(12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정보가 필요하다. In order for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required.

상기한 고유의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부(120)마다 구별되는 유일한 고유 코드를 부여하거나, 고유 코드보다 사용자가 더 식별하기 쉬운 형태의 정보를 일대일로 고유 코드에 매핑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a method of assigning a unique code unique to each communication unit 120 or mapping information in a form that is more easily identified by a user than the unique code to a unique code is one-to-one. Can be used.

데이터 처리부(130)는 통신부(120)에서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The data processor 130 decod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or 120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predetermined data.

즉, 데이터 처리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액자(100)의 디스플레이부(160)에서 영상으로 표시하는데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That is, the data processor 130 converts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data of a form suitable for displaying as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160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디 스플레이부(160)에서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30 extract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40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160.

메모리부(140)는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처리한 데이터 또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140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30 or data input from an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메모리부(140)는 디지털 액자(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디지털 액자(100) 내 소정 위치에 구비되도록 다양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4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circuits to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부(140)는 시큐어 디지털(SD), 멀티미디어카드(MMC) 또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flash memory such as a secure digital (SD), a multimedia card (MMC) or a compact flash (CF) card.

인터페이스(150)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미도시)가 디지털 액자(100)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The interface 150 is a means for allowing an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not shown) to be coupled to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인터페이스(150)의 형태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의 단말 부분의 형태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face 15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form of the terminal portion of the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상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는 USB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시큐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 카드가 될 수 있다. The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y be a USB memory or a flash memory. The flash memory may be a secure digital, multimedia card or compact flash card.

상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를 통해 디지털 액자(100)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data is input to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through the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the data processor 130 processes the data and checks the data on the display 160.

디스플레이부(160)는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The display 160 displays th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30 as an image.

상기 데이터는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표시소자(LCD)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ata may be a still picture or a moving pictur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효과 발생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The effect generator 170 generates a constant effec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60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신호를 송신하면, 디지털 액자(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부(11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60)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When the external device transmits a signal,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receives the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n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160 via the control unit 110.

통신부(120)는 상기 외부 기기가 전원이 켜져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기기가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external device is powered on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20 receives a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and check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한편,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아닌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60 may be data stored in the memory 140, not data received through a network.

사용자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지털 액자(100)로 감상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his / her desired data from among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data input from an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or data stored in a memory unit to enjoy the digital frame 100.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60)에 영상으로 표시될 때, 상기 영상이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효과 발생부(17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When the data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as an image, when the image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effect generator 170. Generate a signal to actuate.

이어서, 효과 발생부(170)에서 일정한 효과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와 같은 영상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certain effect occurs in the effect generator 170,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 is watching the same image as the specific user.

효과 발생부(170)는 발광부(172), 음향 발생부(174) 및 향 발생부(176)를 포함한다. The effect generator 170 includes a light emitter 172, a sound generator 174, and a fragrance generator 176.

발광부(172)는 디지털 액자(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The light emitter 172 is a means for generating a visual effect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gital frame 100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172)는 소형 램프 또는 발광소자(LED)로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172 may be configured as a small lamp or a light emitting device (LED).

발광부(172)는 디지털 액자(100)의 케이스 면을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 주기로 점멸을 반복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72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along the case surface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improve visual effects by setting the light emitting unit to repeat blinking at a predetermined cycle.

음향 발생부(174)는 디지털 액자(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sound generator 174 generates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경우, 소정의 음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the user may set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o be generated at the same time.

향 발생부(176)는 디지털 액자(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소정의 향기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각적 효과에 의해 특정 사용자와 동일한 영상을 감상하고 있다는 교감을 느낄 수 있다. The fragrance generating unit 176 generates a predetermined scen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gital frame 100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ly, the user may feel that the user is watching the same image as the specific user by the olfactory effect.

조작부(180)는 통신부(120)와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외부 기기를 설정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네트워크가 가능한 외부 기기에는 각각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The operation unit 180 is a means for setting an external device to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0. Network-enabled external devices are assigned unique codes that can identify each device.

사용자는 조작부(180)를 통해 상기 고유 코드를 디지털 액자(100)에 입력함으로써, 신호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A user may set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 / receive a signal by inputting the unique code into the digital frame 1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80.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8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data desired by the user from among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80, data input from an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or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는 서버(200)로 접속하여,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 간에 데이터 교환 또는 공유를 할 수 있다. Each digital picture frame 100a, 100b, 100c, and 100d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o exchange or share data between the digital picture frames 100a, 100b, 100c, and 100d.

여기서,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 외에 네트워크가 가능한 컴퓨터, PDA,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이 서버(200)로 접속되어,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Here, in addition to the digital photo frames 100a, 100b, 100c and 100d, a network-capable computer, PDA, mobile phone terminal, etc. are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o transmit data to the digital photo frames 100a, 100b, 100c and 100d. Can be sent.

또한, 각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의 통신부(120)는 모뎀 또는 랜카드로 구성되어, 공중 전화망 또는 랜을 통한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 간의 교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of each digital frame (100a, 100b, 100c and 100d) is composed of a modem or LAN card,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frame (100a, 100b, 100c and 100d)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or LAN can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100)는 디스플레이부(160), 발광부(172), 조작부(180) 및 연결단자(1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picture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60, a light emitting unit 172, an operation unit 180, and a connection terminal 190.

조작부(180)에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100)와 교신 가능한 외부 기기를 설정한 이후, 상기 외부 기기가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으면,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관한 신호를 통신부(120)에서 수신한다. After setting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digital photo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ration unit 180, if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enable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displays a signal related to an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120).

연결단자(190)는 통신부(120)를 모뎀 또는 랜카드 등으로 구성한 경우,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통신연결선(미도시)이 결합하는 단자이다. The connection terminal 190 is a terminal to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line (not shown) for forming a network is configure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figured with a modem or a LAN card.

계속하여, 통신부(120)에서 수신한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디코딩하여 데이터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영상이 표시된다. Subsequently,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deco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30 and converted into data, and then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과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일한 경우, 발광부(172)가 발광하여,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와 동일한 영상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are the same, the light emitter 172 may emit light, and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same image as the specific user is viewed.

여기서, 발광부(172) 외에 음향 발생부(174) 및 향 발생부(176)가 더 구비되어, 효과를 더 극대화 할 수 있다. Here, the sound generating unit 174 and the fragrance generating unit 176 in addition to the light emitting unit 172 is further provided, it can further maximize the effect.

만약, 사용자가 조작부(180)를 통해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경우, 효과 발생부(170)에서 발생하는 효과가 차단될 수 있다. If the user display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40 or data input from an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80 on the display unit 160, the effect generated by the effect generator 170 may be Can be blocked.

또한,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의 차단 등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효과 발생부(170)에서 발생하는 효과가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signal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due to the power supply of the external device, the effect generated by the effect generator 170 may be block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 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asily exchanging or shar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pic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hare the data when sharing the data.

Claims (7)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A data processor which decod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image data;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변환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image data converted by the data processor;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An effec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effec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the same as the image displayed by the external device; Digital picture fram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 기기는 디지털 액자, 컴퓨터, PDA 및 휴대 전화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gital picture frame, a computer, a PDA, and a mobile phon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외부 기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 및A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And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xternal device; Digital picture fram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ffect generating unit,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Light emitting unit for generating light;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및A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And 소정의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Fragran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aroma; Digital picture fram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액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picture frame,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가 결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The digital picture frame further comprises an interface to which an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can be combined. 제 1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액자는, Th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변환한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A memory unit for storing image data converted by the data processor or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Digital picture frame comprising a fur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액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picture frame, 상기 통신부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를 설정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KR1020060086685A 2006-09-08 2006-09-08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100833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85A KR100833616B1 (en) 2006-09-08 2006-09-08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85A KR100833616B1 (en) 2006-09-08 2006-09-08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886A KR20080022886A (en) 2008-03-12
KR100833616B1 true KR100833616B1 (en) 2008-05-30

Family

ID=3939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85A KR100833616B1 (en) 2006-09-08 2006-09-08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6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5138A2 (en) * 2009-05-18 2010-11-25 Sony Corporation Bezel illumination for digital devices
US8770815B2 (en) 2009-05-18 2014-07-08 Sony Corporation Active bezel edge lighting with diffuser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6104B2 (en) 2008-08-28 2013-06-04 Sony Corporation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464A (en)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엠텔로 Digital electronic picture frame with dynamic images and its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464A (en)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엠텔로 Digital electronic picture frame with dynamic images and its processing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5138A2 (en) * 2009-05-18 2010-11-25 Sony Corporation Bezel illumination for digital devices
WO2010135138A3 (en) * 2009-05-18 2011-02-17 Sony Corporation Bezel illumination for digital devices
US8068178B2 (en) 2009-05-18 2011-11-29 Sony Corporation Bezel color coordination
US8770815B2 (en) 2009-05-18 2014-07-08 Sony Corporation Active bezel edge lighting with diffuser layer
US8823541B2 (en) 2009-05-18 2014-09-02 Sony Corporation Bezel illumination for digit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886A (en)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783B2 (en) Machine-to-machine visual code generation and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communications
JP4407841B2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US9135490B1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ickup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JPWO2009113416A1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KR20080107211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object using augmented reality
CN102957887A (en) Network system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KR20110047398A (en) Image providing system and image providing mehtod of the same
TWI576721B (en) Digital signage apparatus, portable device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33616B1 (en)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TW201537470A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generating information by image recognition and related method
US20130278781A1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communication serve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mage communication
JP2009130725A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receiving device therefor
TW201638761A (en) File transmission method, file transmission apparatus and file transmission system
KR20110136026A (en) System for optimizing a augmented reality data
CN105656761A (en) Digital fitting mirror system and photo sharing method based on digital fitting mirror system
TWI465912B (en) Method for building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9983737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070063981A (en) Network display apparatus,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19095B2 (en) CONTENT OUTPUT SYSTEM, CONTENT OUTPUT DEVICE, CONTENT OUTPUT METHOD, AND PROGRAM
JP2001218176A (en) Video and audio communication processing mechanism
JP2020091690A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JP2015179935A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WO201611729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together with a superimposed light component representing a code
KR20060031569A (en) Installation for generating electric name card using camera phone
CN107105065A (en) VR long-range control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