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828B1 -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828B1
KR100827828B1 KR1020070086929A KR20070086929A KR100827828B1 KR 100827828 B1 KR100827828 B1 KR 100827828B1 KR 1020070086929 A KR1020070086929 A KR 1020070086929A KR 20070086929 A KR20070086929 A KR 20070086929A KR 100827828 B1 KR100827828 B1 KR 10082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de
event
key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봉진
배유석
문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8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multi 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an implemen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trol an application simultaneously through plural input devices, thereby supporting the application in which multi users participate. A multi 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comprises plural input devices, an input device deriver by interface(405), a device manager(404), an event manager(403), an event listener and a broadcasting application(401). The plural input devices are connected to a data broadcasting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The device manager assigns a device ID(Identification) code to each of the plural input devices,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and device ID code of the input device. The event manager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and converts the device ID code into a device code. The event listener receives a key code and a device code for a registered event. The broadcasting application receives an event registered in the event listener, and analyzes a device code to find an input device which has generated the event. After that, the broadcasting application processes a key code by input device.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및 구현방법 {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Multi Key Input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및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연결된 입력장치별 키 이벤트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및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key input system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key input system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capable of classifying and processing key events for each input device connected to a data broadcast terminal. It is about.

최근 들어, 방송 환경이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급격하게 변하게 되면서,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셋탑박스(Set-Top Box, STB)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기하급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이 각광받는 이유는 디지털 TV 방송이 기본적으로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화질이나 음질 등이 매우 뛰어나고 홈쇼핑이나 홈뱅킹, 인터넷 검색, 재택근무, VOD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매력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Recently, as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changes rapidly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 set-top box (STB) or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at supports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on an existing analog television is exponentially spread. It is becoming. As such, the reason why digital broadcasting is in the spotlight is that digital TV broadcasting is basically superior in quality and sound quality to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and can provide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home shopping, home banking, internet search, telecommuting, and VOD. Because it has a lot of elements.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정보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 하는 디지털 형태로 텔레비전 신호를 압축하여 내보내기 때문에 쌍방향 운용, 재생, 축적이 가능한 차세대 방송기술을 말한다.Unlike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a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technology capable of two-way operation, reproduction, and accumulation because the television signal is compressed and exported in a digital form that encodes and records information signals.

디지털 방송의 일종인 데이터 방송은 음성과 영상의 방송이 아닌 부호나 데이터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을 말한다. 데이터 방송은 수신기가 부호나 데이터를 자동으로 해독, 처리하여 그 결과를 수신자가 직접 받아보거나 그 정보에 의해 다른 기계를 제어하는 특징을 가진 뉴미디어이다. Data broadcasting, a kind of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that transmits information in the form of code or data, not broadcasting of audio and video. Data broadcasting is a new media that has a feature in which a receiver automatically decodes and processes a code or data so that the receiver receives the result directly or controls another machine based on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방송전파에 디지털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면 수신기가 부호나 데이터를 자동으로 해독, 처리해 그 결과를 수신자가 직접 받아보거나 또는 그 정보에 의해 다른 기계장치 등을 제어하는 특성을 가진 뉴미디어로서 새로운 분야의 방송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은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에 다중화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이들 방송에 관련되는 내용을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과 독립된 내용(정보)을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텔레비전 전파를 활용한 무선 전달 시스템이라는 장점과 인터넷의 양방향적 기능이 결합된 본격 멀티미디어형 정보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방송은 텔레비전 전파 중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활용하여 정보를 서비스한다. 따라서 텔레비전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무료로 다양한 정보를 즐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쌍방향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어 인터넷으로도 쉽게 접속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ata broadcasting servic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receiver automatically decodes and processes the code or data when the digit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adio wave, and the receiver receives the result directly or controls other mechanisms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a new media with new broadcasting. In general, data broadcasting is mostly multiplexed to radio and television broadcasting to transmit signals, but there are data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contents (information) independent of data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contents related to these broadcasting as digital signals. Therefore, such data broadcasting can be said to be a full-fledged multimedia information service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ing television radio waves and the bidirectional function of the Internet. Data broadcasting services information by utilizing an unused area of television propagation. Therefore,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enjoyed free of charge in a system capable of receiving television radio waves. In addition, it has been developed with two-way in mind and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Internet.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SD(Standard Definition)/HD(High Definition)급 고품질 영상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자바 기반의 부가서비스로 이루어진 디지털 스트림을 방송 사업자의 정합 가이드라인에 맞게 송출하고, 전용 셋탑박스로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형태로 제공된다. The data broadcasting service sends a digital stream consisting of SD (Standard Definition) / HD (High Definition) level high quality image,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and Java-based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company's matching guideline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receiving and showing to the viewer.

도 1에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스트림을 송출하는 데이터 방송 송출기(100), 데이터 방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망인 데이터 방송망(150),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로 구성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a dat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includes a data broadcasting transmitter 100 for transmitting a digital stream, a data broadcasting network 150 that is an interface network for data broadcasting, and a data broadcasting receiver 200 for receiving and showing data broadcasting to a viewer. It consists of

데이터 방송 송출기(100)는 AV(Audio Visual) 콘텐츠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SI(Service Information) 서버 등이다. 데이터 방송 송출기(100)는 AV, 부가 서비스,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등의 서비스 정보를 MPEG-2 TS(Motion Picture Experts Groups-2 Transport Stream) 형태로 구성하여 인코딩한 후 전송 매체에 맞는 변조 방식으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The data broadcast transmitter 100 is an audio visual (AV) content server, an application server, and a service information (SI) server. The data broadcast transmitter 100 configures and encodes service information such as AV, supplementary service, PSI / PSI (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 the form of MPEG-2 Motion Picture Experts Groups-2 Transport Stream (TS). Then, it is converted into a modulation method suitable for a transmission medium and transmitted.

데이터 방송망(150)은 데이터 방송의 전송 매체이며, 현재 위성, 지상파, 케이블 및 광대역망(IP 기반의 인터넷) 등의 매체가 이용된다. The data broadcasting network 150 is a transmission medium for data broadcasting, and media such as satellites, terrestrial waves, cables, and broadband networks (IP-based Internet) are currently used.

여기서, 전술한 전송 매체에 따른 변조 방식은 위성은 QPSK(Quar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지상파는 VSB(Vestigial Side Band) 변조방식을, 광대역망은 IP(Internet Protocol) Multicast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Here, the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edium is a satellite using the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modulation method, the terrestrial wave uses a VSB (Vestigial Side Band) modulation method, and the broadband network uses an IP (Internet Protocol) Multicast modulation method. .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는 데이터 방송 송출기(100)로부터 송출된 데이터 방송 중에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 PC 모니터 및 스피커 시스템 또는 디지털 TV이다.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는 튜너(광대역 망인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복조기, 디먹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The data broadcast receiver 200 is a set top box, a PC monitor and speaker system, or a digital TV that receives a broadcast on a channel selected by a viewer during data broadcast transmitted from the data broadcast transmitter 100. The data broadcast receiver 200 includes a tuner (network interface in case of a broadband network), a demodulator, a demux, a video / audio decoder, and the like.

튜너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매핑된 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는 복조되어 MPEG-2 TS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트림은 PSI/PSIP 정보를 이용하여 AV와 부가 서비스로 분리되어, AV 정보는 소프트웨어 또는 DTV(Digital Television)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를 통하여 디코딩되고, 부가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를 통해 분석되어 HTML이나 자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HTML 브라우저 또는 자바 버추얼 머신에 의해 수행된다. A broadcast signal of a frequency band mapped to a channel selected by a tuner or a network interface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signal is demodulated to generate an MPEG-2 TS. The generated stream is separated into AV and supplementary services using PSI / PSIP information, and the AV information is decoded through software or a digital television (DTV) video decoder and audio decoder, and the supplementary service is analyzed through data broadcasting middleware and HTML Or it is composed of Java applications and is performed by HTML browser or Java virtual machine at user's option.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는 사용자에 의한 지령을 입력받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데, 대표적인 입력장치로 리모콘이 있으며 사용자와의 거리가 수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사용자의 지령을 입력받는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의 리모콘은 다양한 숫자키, 방향키, 컬러키 및 특수키를 가진다. 방향키는 채널 업다운과 같은 특정 기능을 위해 정의된 키이며, 4개의 컬러키(노랑, 빨강, 초록, 파랑)는 UI(User Interface)가 바뀔 때마다 특정한 기능을 맵핑시켜 사용할 수 있는 키로 컬러키를 이용하면 몇 번의 키 조작으로 이용 가능한 기능을 한 번의 키 조작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data broadcast receiver 200 includes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command by a user. A representative input device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s a user's command at a distance of several meters from the user. The remote control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0 has various numeric keys, direction keys, color keys, and special keys. Direction keys are defined for specific functions such as channel up and down.The four color keys (yellow, red, green, blue) are keys that can be used to map specific functions whenever the UI changes. This allows you to implement the functions available in a few keystrokes with a single keystroke.

종래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은 한번에 하나의 입력키가 동일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가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al data broadcast receiver 200 has developed a program assuming that one input key is input through the same remote control at a time.

그러나 데이터 방송이 대중화되면서, 시청자가 방송에 참여하는 퀴즈 프로그 램 및 둘 이상의 시청자가 경쟁하는 게임 서비스 등과 같이 동시에 둘 이상의 시청자의 참여가 필요한 서비스가 개발될 시점에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시청자별 입력장치를 구분하여 키 입력을 받는 멀티키 입력기능이 필요한데,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은 멀티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향후 서비스 이용에 제약이 예상된다.However, as data broadcasting becomes popular, it is time to develop services that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two or more viewers at the same time, such as a quiz program in which viewers participate in broadcasting and a game service in which two or more viewers compete.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service, a multi-key input function that receives a key input by dividing an input device for each viewer is required. However, a conventional application does not provide a multi-key input function, and thus it is expected to be restricted in future service use.

종래기술의 문헌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문헌1]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628165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28165

본 발명은 동시에 둘 이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벤트를 입력받아 멀티 사용자가 방송에 참여 또는 게임 등의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 시스템 및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which multiple users can simultaneously receive events through two or more input interfaces and participate in broadcasting or use additional services such as games.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입력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별 입력장치 드라이버와, 상기 복수 개의 입력장치 각각에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여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및 장치식별코드를 입력받는 장치 관리자와, 상기 입력신호를 키코드로, 상기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하는 이벤트 관리자와, 등록된 이벤트에 대한 키코드 및 장치코드를 입력받는 이벤트 리스너와, 상기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된 이벤트를 입력받아 장치코드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킨 입력장치를 알아내고 입력장치별 키코드를 처리하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connected to a data broadcasting terminal via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an input device driver for each interfa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devices. A device manager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and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put device by assign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to the event manager, an event manager fo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and conver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and a registered event. An event listener for receiving a key code and a device code, and a broadcast application that receives an event registered in the event listener, analyzes a device code, finds an input device that generates an event, and processes a key code for each input device. It has that feature.

여기서, 입력장치는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을 포함하며, 입력장치 드라이버는 USB , IrDa , 블루투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용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a keyboard, a mouse, and a joystick, and the input device driver may include a driver for USB, IrDa, Bluetooth, and a wireless interface.

이벤트 리스너는 입력 포커스를 갖고 있지 않을 때 신호를 입력받는 유저이 벤트리스너와, 입력 포커스를 갖고 있을 때 자바의 그래픽 패키지인 AWT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처리 함수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는 키리스너로 구성된다. An event listener consists of a user who receives a signal when it does not have input focus, and a key listener that receives a signal by an event handling function provided by AWT, a Java graphics package.

그리고, 상기 장치 코드와 상기 키코드는 하나의 16 비트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상위 4비트에 장치코드를 하위 12비트에 키코드를 할당되거나, 키코드와 장치코드를 각각 16비트 파라미터, 8비트 파라미터로 할당될 수 있다. The device code and the key code are composed of one 16-bit parameter so that the device code is assigned to the upper 4 bits and the key code is assigned to the lower 12 bits, or the key code and the device code are assigned to the 16 and 8 bit parameters, respectively. Can be.

이때, 장치식별코드는 상기 입력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관리자가 할당하는 4비트 코드이다. 상기 등록된 이벤트는 등록된 키코드이며, 상기 이벤트 리스너는 등록되지 않는 이벤트를 무시한다. In this case,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a 4-bit code assigned by the device manag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device. The registered event is a registered keycode, and the event listener ignores an event that is not register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a) 데이터 방송 단말기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b) 상기 단말기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의 인터페이스가 유선 인터페이스인지 무선 인터페이스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단결과 유선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에 대응하여 장치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 상기 판단결과 무선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에 대한 입력신호를 최초로 수신시 상기 입력장치에 대하여 자체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와, (e) 상기 자체 아이디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initializing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b)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face of the at least on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a wired interface or a wireless interface, and (c) th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 wired interface, sequentially assigning device identification codes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input devices to be connected; and (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 wireless interface, input signals to the one or more input devices to be connected. Multi-key input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granting its own ID to the input device upon receiving the first, and (e) assign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own ID; A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is provided.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자체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구동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In the step (c), the step of assigning the self ID is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by the drive driver of the air inte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f) 입력장치 드라이버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g) 장치 관리자가 상기 입력장치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대한 입력신호 및 장치식별코드를 전달받는 단계와, (h) 상기 입력신호를 키코드로, 상기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i) 등록된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j) 상기 판단결과 등록된 이벤트이면,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판단결과 등록되지 않은 이벤트이면,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벤트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f) the input device driver receives the input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and (g) the device manager receives the input signal and device identification code for the input device from the input device driver (H) generating an event by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and conver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and (i) determining whether the event is a registered event; If the event is a registered event, the broadcast application processes the event, and if the event is not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roadcast application ignores the event. An implementation method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입력장치가 장치식별코드가 할당되지 않은 새로운 입력장치이면, (f)단계 이후에 상기 입력장치에 고유한 자체 아이디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i)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이벤트는 상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한 모니터링할 이벤트이다. Here, if the input device is a new input device to which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not assigned in step (f), after step (f), the step of assign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a unique ID unique to the input device is further included. In the step (i), the registered event is an event to be monitored that the broadcast application registers with an event listener.

또한, 상기 (h)단계에서 상기 장치코드 및 상기 키코드는 16비트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상위 4비트에 상기 장치코드를 하위 12비트에 상기 키코드를 할당하며, 상기 (h)단계에서 상기 장치코드와 상기 키코드는 각각 8비트와 16비트인 파라미터이다. Further, in the step (h), the device code and the key code are composed of 16-bit parameters so that the device code is assigned to the upper 4 bits and the key code is assigned to the lower 12 bits. The keycode is a parameter that is 8 bits and 16 bits, respectively.

한편, 상기 (b)단계, (c)단계, (f)단계 및 (g)단계에서 상기 입력장치는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USB 장치, 블루투스 장치, 지그비 장치 및 무선 USB 장치일 수 있다. The input device may be a remote controller, a keyboard, a mouse, a USB device, a Bluetooth device, a Zigbee device, and a wireless USB device in steps (b), (c), (f), and (g).

본 발명에 따른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 시스템 및 구현방법은 동시에 여러 개의 입력장치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어 멀티 사용자가 참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Multi-key input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pplication through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at the same time can support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multi-user participation.

특히 기존의 표준을 손상시키지 않아 새롭게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러한 기술을 반영하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드폰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지원이 가능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new technologies are developed that do not compromise existing standards so that they can be used as soon as they are reflec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can be useful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no.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송출기(100)를 통해서 송출된 데이터 방송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200)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TV 또는 PC 모니터 및 스피커 시스템과 같은 출력장치에 전자프로그램 가이드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2 illustrates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of the data broadcast recei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ata broadcast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broadcast transmitter 100 passes through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of the data broadcast receiver 200 and finally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TV or a PC monitor and a speaker system. It is shown to the user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or application.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튜너, 디먹스 등의 하드웨어 모듈을 거쳐 방송 미들웨어에 의해 다운로드 및 분석되어 데이터 방송 송출기(100)에서 송출한 형태 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관리된다.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is managed by being configured as an application of a type downloaded from the broadcast middleware through a hardware module such as tuner, demux, and transmitted by the data broadcast transmitter 100.

여기서, 다운로드란 MPEG2-TS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블록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Here, downloading means extracting a block constituting an application from MPEG2-TS.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스택을 도시하였다. 굵은 글자로 표시된 것이 애플리케이션 동작, UI 및 이벤트 처리와 관련된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방송 미들웨어 스택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3 illustrates a data broadcasting middleware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tters in bold are related to application behavior, UI, and event handling.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broadcast middleware stack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방송 미들웨어는 AM(Application Manager)(301), 이벤트 관리자(302), HAVi UI(303), JAVA AWT(304), 리모콘(305), 애플리케이션(306) 등으로 구성된다. The broadcast middleware is composed of an application manager (AM) 301, an event manager 302, a HAVi UI 303, a JAVA AWT 304, a remote controller 305, an application 306, and the like.

AM(301)은 데이터 방송을 위한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의 관리자로 현재 수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JVM(JAVA Virtual Machine)(307)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The AM 301 is a manager of a life cycle of a Java appl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and maintains a lis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currently executed to execute an application using a JVM (JAVA Virtual Machine) 307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애플리케이션(306)은 사용자에게 자신의 Look and Feel을 표현하기 위한 UI를 자바의 기본 그래픽 라이브러리인 JAVA AWT(Abstract Windows Toolkit)(304)와 DTV 지향의 애플리케이션 UI를 구성하기 위해 표준화된 라이브러리인 HAVI UI(30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보고 현재 상황을 이해하며, 리모콘(305)으로 특정 콤포넌트를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306)의 또 다른 절차를 실행시킨다. The application 306 uses the JAVA Abstract Windows Toolkit (AWT) 304, which is Java's basic graphics library, and the HAVI UI, which is a standardized library for constructing DTV-oriented application UIs. 30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user sees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selects a specific component with the remote controller 305 to execute another procedure of the application 306.

PORTING GLUE LAYER의 리모콘(305)은 리모콘 드라이버(디바이스 드라이버, Device Driver)(308)와 연동하여 입력된 리모콘(305)의 키 입력을 미들웨어 단으로 올려준다.The remote controller 305 of the porting GLUE LAYER raises the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305 input in conjunction with a remote controller driver (device driver) 308 to the middleware stage.

리모콘(305)의 키 입력은 방송 미들웨어의 이벤트 관리자(302)에 의해 애플리케이션(306)의 특정 콤포넌트로 전달된다. 콤포넌트는 자바의 Component나 HAVi의 Hcomponent를 상속받아 구현된 것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화면과 키 입력에 의해 발생한 키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이벤트 리스너를 가진 객체이다. The keystrokes of the remote control 305 are communicated by the event manager 302 of the broadcast middleware to a particular component of the application 306. A component is implemented by inheriting Java Component or HVi Hcomponent. It is an object that has a screen that can express itself and an event listener that can handle key events generated by key input.

콤포넌트는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인터페이스하도록 해주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인 위짓(Widget), 운영체제인 윈도우, 프레임, 컨테이너 등이 포함된다. 자바에서는 키 입력을 받도록 지정된(일반적으로 Focussed 되었다고 함) 콤포넌트만이 키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반면,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레벨에서는 키 이벤트를 유저이벤트라는 형태로 확장하여 키 입력을 받도록 지정되어 있지 않은(일반적으로 UnFocussed 되었다고 함) 콤포넌트도 키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Components include widgets, which are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and windows, frames, and containers that are operating systems. In Java, only components that are designated to receive keystrokes (generally known as Focuss) can handle key events, while at the data broadcast middleware level, key events are not extended to receive keystrokes in the form of user events ( Components, commonly referred to as UnFocussed, can also handle key event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입력장치(406)와, 인터페이스별 입력장치 드라이버(405)와, 개개의 입력장치(406)에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여 상기 입력장치(406)의 입력신호 및 장치식별코드를 입력받는 장치 관리자(404)와, 상기 입력신호를 키보드의 키코드(Key Code)로, 상기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하는 이벤트 관리자(403)와, 등록된 이벤트에 대한 키코드 및 장치코드를 입력받는 이벤트 리스너(402)와, 상기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된 이벤트를 입력받아 장치코드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킨 입력장치를 알아내고 입력장치별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으로 구성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includes an input device 406 connected to a data broadcasting terminal via a wired / wireless interface, an input device driver 405 for each interface, and an individual input device 406. A device manager 404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and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put device 406 by assign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to the device manager code;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of a keyboard; The event manager 403 converts the code, the event listener 402 that receives the key code and the device code for the registered event, and receives the event registered in the event listener to analyze the device code to generate the event. It is composed of a broadcast application 401 for identifying the input device and processing the input device-specific events.

입력장치(406)는 데이터 방송 단말기와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에 대한 사용자의 지령을 입력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입력장치(406)로 리모콘이 있으며, 그외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 다양한 입력장치(406)가 있다.The input device 406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interface to input a user's command to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401. A representative input device 406 is a remote control, and there are various input devices 406 such as a keyboard, a mouse, and a joystick.

입력장치 드라이버(405)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전달되는 입력장치(406)의 입력신호를 장치 관리자(404)가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드라이버이다. The input device driver 405 is a driver that converts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device 406 transmitted through various interfaces into a form that the device manager 404 can interpret.

장치 관리자(404)는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설치된 입력장치(406)를 검사하여 개개의 입력장치(406)에 대하여 4비트(0000~1111까지 16개가 있음) 장치식별코드(Dev ID)를 부여한다. The device manager 404 inspects the input device 406 installed in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and assigns a 4-bit (16 to 0000 to 1111) device identification code (Dev ID) to each input device 406.

구체적으로,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입력장치(406)의 장치식별코드는 데이터 방송 단말기의 부팅시 순차적으로 부여되며,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입력장치(406)의 장치식별코드는 무선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가 발생할 때 부여된다. Specifically,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put device 406 using the wired interface is sequentially assigned when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is booted, 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put device 406 using the wireless interface is an input signal from the wireless input device. Is given when it occurs.

또한, 장치 관리자(404)는 입력장치(406)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오기 위하여 사전에 각 입력장치 드라이버(405)에 등록된다. 이후 장치 관리자(404)는 입력장치 드라이버(405)를 통해 입력장치(406)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장치식별코드와 함께 이벤트 관리자(403)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device manager 404 is registered with each input device driver 405 in advance in order to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406. Thereafter, the device manager 404 receives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device 406 through the input device driver 405 and delivers it to the event manager 403 together with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이벤트 관리자(403)는 장치 관리자(404)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키코드로,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Dev Code)로 변환하여 이벤트 리스너(402)로 전달한다. 현재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은 키보드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만 인식가능하므로 입력신호를 맵핑된 키보드의 키코드로 변환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물론, 향후 방송 표준의 갱신으로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이 다양한 입력장치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게되면, 상기 변환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The event manager 403 converts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vice manager 404 into a key code, converts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and delivers the same to the event listener 402. Since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can recognize only an event generated by a keyboard, a procedure for converting an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of a mapped keyboard is required. Of course, if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can receive an event generated by various input devices due to the update of the broadcast standard in the future, the conversion procedure may be omitted.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16비트로 구성된 키코드의 상위 4비트에 장치코드를 할당하는 방법이며, 또 다른 하나는 8비트로 구성된 장치코드를 위한 파라미터를 별도로 정의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는 12비트만으로도 충분히 키코드를 커버 가능하므로 키코드의 상위 4비트에 장치코드를 할당하는 방법도 큰 문제는 없다.There are two ways to convert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One method is to assign a device code to the upper 4 bits of a 16-bit key code, and the other is to separately define a parameter for an 8-bit device code. Until now, only 12 bits can cover a key code, so there is no problem in assigning a device code to the upper 4 bits of the key code.

이벤트 리스너(402)는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이벤트를 등록하여 등록된 이벤트만 처리하고 등록되지 않은 이벤트는 무시한다. 즉, 이벤트 리스너(402)는 등록된 키코드에 대한 이벤트만을 처리한다.The event listener 402 registers an event that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wants to monitor to process only a registered event and ignores an unregistered event. In other words, the event listener 402 processes only events for registered keycodes.

이벤트 리스너(402)에는 유저이벤트리스너(UserEventListener)(402a) 및 키리스너(KeyListener)(402b) 등의 자바의 이벤트 핸들링 방법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이벤트 처리 함수이다. 유저이벤트리스너(402a)는 입력 포커스를 갖고 있지 않을 때도 키 입력을 받을 수 있고, 키리스너(402b)는 입력 포커스를 갖고 있을 때 자바의 그래픽 패키지인 AWT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처리 함수에 의해 키를 전달받는다. The event listener 402 is an event handling function provided based on Java event handling methods such as a user event listener 402a and a key listener 402b. The user event listener 402a can receive key input even when it has no input focus, and the key listener 402b delivers the key by an event handling function provided by AWT, a Java graphics package. Receive.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자바 기반으로 구현되며 JavaTV의 Xlet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개발된다. 방 송 애플리케이션(401)은 자신이 받아야할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하여 이벤트 리스너(402)에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이벤트를 등록한 후 그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처리한다. 이벤트 리스너(402)에는 키 이벤트를 입력받기 위한 키코드가 포함되며, 키코드의 상위 4비트에 할당된 장치코드 또는 키코드와 별도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8비트 장치코드(Dev Code)가 있어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은 키 이벤트의 내용뿐만 아니라 키 이벤트를 발생시킨 장치도 분석할 수 있다.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providing a data broadcast service and is implemented based on Java and is developed based on the Xlet interface of JavaTV.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registers an event to be monitored in the event listener 402 in order to process an event to be received by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and processes the event when the event occurs. The event listener 402 includes a key code for receiving a key event, and has a device code assigned to the upper 4 bits of the key code or an 8-bit device code composed of a key code and a parameter separate from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may analyze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key event but also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key ev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멀티키 입력시스템의 입력장치에 대한 장치코드할당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vice code assignment procedure for an input device of a data broadcasting multi-key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is as follows.

먼저, 데이터 방송 단말기가 초기화되고,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연결된 입력장치(406)가 검색된다(S501). First,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is initialized and the input device 406 connected to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is searched for (S501).

입력장치(406)가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으면(S502), 초기화이전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연결된 장치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한다(S503).If the input device 406 is connected by a wired interface (S502), since it is physically connected before initialization, device identification codes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connected device (S503).

반면, 입력장치(406)가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으면(S502), 그 입력장치에 입력신호가 발생하기 전까지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device 406 is connected via a wireless interface (S502),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not assigned until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to the input device.

무선 입력장치(406)에서 입력신호가 발생될 때(S504) 입력장치에 대하여 자체 아이디(Dev No)를 부여한다(S506). 무선 인터페이스의 경우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여러 개의 입력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자체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이다.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input device 406 (S504), a self ID (Dev No) is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S506). In the case of a wireless interface, since multiple input devices can be connected to one interface, each ID is assigned whenever an input signal is input from a new input device.

이어서, 장치 관리자(404)는 입력장치별 자체 아이디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한다.Subsequently, the device manager 404 assigns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ts own ID for each input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멀티키 입력시스템의 멀티키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key input method of a data broadcast multi-key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s as follows.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입력장치(406)를 통해 입력신호가 발생하고(S601), 입력신호를 발생시킨 입력장치(406)에 이미 장치식별코드가 할당되어 있다면(S602), 장치 관리자(404)는 입력신호 및 장치식별코드를 이벤트 관리자(403)에게 전달한다(S603).If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input device 406 by the user's key operation (S601), 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alread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406 that generated the input signal (S602), the device manager 404 The system transmits the input signal 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to the event manager 403 (S603).

입력신호가 발생된 입력장치(406)에 장치식별코드가 할당되어 있지않으면(S602), 장치식별코드를 부여한다(S607).If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not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406 where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S602),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S607).

이어서, 이벤트 관리자(403)는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이 키코드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입력신호를 키코드로,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한다(S604).Subsequently, the event manager 403 converts an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and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so that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can process an event generated by the key code (S604).

한편,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은 이벤트 리스너(402)에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이벤트를 등록하여 처리 또는 무시할 이벤트를 결정한다.Meanwhile,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registers an event to be monitored with the event listener 402 to determine an event to be processed or ignored.

따라서, 입력받은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 이벤트이면(S606),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은 이벤트를 처리하고(S606), 입력받은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않은 이벤트이면(S606), 방송 애플리케이션(401)은 이벤트를 처리하지 않고 무시한다(S607). Therefore, if the received event is a registered event (S606),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processes the event (S606), if the received event is not registered (S606), the broadcast application 401 the event Ignore without processing (S607).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nd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of a data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스택을 도시한 도면.3 illustrates a data broadcast middleware stac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멀티키 입력시스템의 입력장치에 대한 장치코드할당 순서도.5 is a device code assignment flowchart for an input device of a data broadcasting multi-key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멀티키 입력시스템의 멀티키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key input method of a data broadcast multi-key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406: 입력장치 405: 입력장치 드라이버406: input device 405: input device driver

404: 장치 관리자 403: 이벤트 관리자404: Device Manager 403: Event Manager

402: 이벤트 리스너 401: 방송 애플리케이션402: event listener 401: broadcast application

402a: 유저이벤트리스너 402b: 키리스너402a: user event listener 402b: key listener

Claims (18)

데이터 방송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입력장치와,A plurality of input devices connected to a data broadcasting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상기 인터페이스별 입력장치 드라이버와,The input device driver for each interface; 상기 복수 개의 입력장치 각각에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여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및 장치식별코드를 입력받는 장치 관리자와,A device manager for allocat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devices to receive an input signal and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put device; 상기 입력신호를 키코드로, 상기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하는 이벤트 관리자와,An event manager fo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and conver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등록된 이벤트에 대한 키코드 및 장치코드를 입력받는 이벤트 리스너와,An event listener that receives the keycode and device code for the registered event, 상기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된 이벤트를 입력받아 장치코드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킨 입력장치를 알아내고 입력장치별 키코드를 처리하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comprising: a broadcast application for receiving an event registered in the event listener, analyzing a device code to find an input device generating an event, and processing a key code for each input device;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장치 드라이버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최초 신호를 입력받으면 해당 입력장치에 고유한 자체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The input device driver is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face to give a unique ID to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관리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manager, 유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대해서는 인터페이스 배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고, For input devices connected to a wired interface, device identification codes are assign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interface placement. 무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대해서는 각 입력장치별로 부여된 자체 아이디별로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comprising: assigning device identification codes to IDs assigned to respective input devices for input devices connected to a wireless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장치는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The input device includes a remote control, a keyboard, a mouse, a joystick,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장치 드라이버는 USB , IrDa , 블루투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용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The input device driver includes a driver for a USB, IrDa, Bluetooth, and wireless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리스너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vent listener, 입력 포커스를 갖고 있지 않을 때 신호를 입력받는 유저이벤트리스너와,A user event listener that receives a signal when it has no input focus, 입력 포커스를 갖고 있을 때 자바의 그래픽 패키지인 AWT(Abstract Windows Toolkit)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처리 함수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는 키리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comprising a key listener that receives a signal by an event processing function provided by the AWT (Abstract Windows Toolkit) which is a graphic package of Java when it has an input foc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치 코드와 상기 키코드는 하나의 16 비트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상위 4비트에 장치코드를 하위 12비트에 키코드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nd the device code and the key code are composed of one 16-bit parameter to allocate the device code to the upper 4 bits and the key code to the lower 12 bit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치코드와 상기 키코드는 각각 소정비트로 구성되는 별개의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nd the device code and the key code are separate parameters each consisting of predetermined bi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치식별코드는 상기 입력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관리자가 할당하는 4비트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a 4-bit code assigned by the device manager in response to the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록된 이벤트는 등록된 키코드이며, The registered event is a registered key code, 상기 이벤트 리스너는 등록되지 않는 이벤트는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And the event listener ignores an unregistered event. (a) 데이터 방송 단말기를 초기화하는 단계와,(a) initializing the data broadcasting terminal; (b) 상기 단말기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의 인터페이스가 유선 인터페이스인지 무선 인터페이스인지 판단하는 단계와,(b) determining whether an interface of at least on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a wired interface or a wireless interface; (c) 상기 판단결과 유선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에 대응하여 장치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 wired interface, sequentially assigning device identification code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nput devices to be connected; (d) 상기 판단결과 무선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최초로 수신할 때 상기 입력장치에 대하여 자체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와,(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n air interface, assigning an ID to the input device when first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t least one input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air interface; (e) 상기 자체 아이디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코드를 부여하는 단계(e) assign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own I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A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key input system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자체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구동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And granting the self ID by a driving driver of the air interface. (f) 입력장치 드라이버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f) the input device driver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device; (g) 장치 관리자가 상기 입력장치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대한 입력신호 및 장치식별코드를 전달받는 단계와,(g) a device manager receiving an input signal and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for the input device from the input device driver; (h) 상기 입력신호를 키코드로, 상기 장치식별코드를 장치코드로 변환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h) generating an event by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 key code and conver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to a device code; (i) 등록된 이벤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i) determining whether the event is registered; (j) 상기 판단결과 등록된 이벤트이면,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판단결과 등록되지 않은 이벤트이면,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벤트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j) if the event is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broadcast application processes the event; and if the event is not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roadcast application ignores the event. How to implement a keystroke system.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입력장치가 장치식별코드가 할당되지 않은 새로운 입력장치이면, (f)단계 이후에, In step (f), if the input device is a new input device to which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is not assigned, after step (f), (f-1) 상기 입력장치에 고유한 자체 아이디에 대응하는 장치식별코드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and (f-1) allocating a devic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a unique ID of the input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in step (i), 상기 등록된 이벤트는 상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한 모니터링할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 스템 구현방법. The registered event is a multi-key input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for a data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oadcast application registered event to the event listener to be monitored.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h)단계에서 상기 장치코드 및 상기 키코드는 16비트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상위 4비트에 상기 장치코드를 하위 12비트에 상기 키코드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 In the step (h), the device code and the key code are composed of 16-bit parameters so that the device code is assigned to the upper 4 bits and the key code is assigned to the lower 12 bits. Implementation method.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h)단계에서 상기 장치코드와 상기 키코드는 각각 소정비트로 구성되는 별개의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And in the step (h), the device code and the key code are separate parameters each consisting of predetermined bits.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3, 상기 입력장치는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입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구현방법.And the input device is a wired or wireless input device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 keyboard, a mouse and a joystick.
KR1020070086929A 2007-08-29 2007-08-29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KR100827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29A KR100827828B1 (en) 2007-08-29 2007-08-29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29A KR100827828B1 (en) 2007-08-29 2007-08-29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828B1 true KR100827828B1 (en) 2008-05-07

Family

ID=3964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929A KR100827828B1 (en) 2007-08-29 2007-08-29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8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2483A4 (en) * 2011-05-26 2015-08-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556A (en) * 2003-08-19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nd device thereof
KR20060023184A (en) * 2006-02-16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nd device thereof
JP2006304078A (en) 2005-04-22 2006-11-02 Orion Denki Kk Separate setting remote control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KR20070076033A (en) * 2006-01-17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ultiple user interface pi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556A (en) * 2003-08-19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nd device thereof
JP2006304078A (en) 2005-04-22 2006-11-02 Orion Denki Kk Separate setting remote control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KR20070076033A (en) * 2006-01-17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ultiple user interface picture
KR20060023184A (en) * 2006-02-16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nd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2483A4 (en) * 2011-05-26 2015-08-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9487A1 (en) Control method for audio data stream output and display device
CN1287597C (en) MPEG-4 remote communication device
JP4638188B2 (en) Interface system and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and digital television, an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ler therefor
US9032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CN110996136B (en) Video resource display method and device
US20120147270A1 (en) Network television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52572A (en) Method for adjusting booting sequence i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of
EP2630790B1 (en)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2006518A (e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CN111629259A (en) Image quality adjus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1726674B (en) HbbTV application starting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KR100827828B1 (en) Multi-key input system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method of embodiment thereof
KR100826885B1 (en) Set-top-box for providing multi-user game function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user game in set-top-box
CN112004125A (en) Media resource playing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KR20120074451A (en) Method for application management i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of
KR201100095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CN112040317B (en) Event response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20089972A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contents in network tv and the network tv
KR101735830B1 (en)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838198B1 (en) Method for managing an application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0630000B1 (en) Method for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KR100569450B1 (en) Method for displaying shortening key of the data broadcasting
KR1006281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 remote controller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760943B1 (en)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18138814A (en)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electronic program guid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