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825B1 -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825B1
KR100827825B1 KR1020060118249A KR20060118249A KR100827825B1 KR 100827825 B1 KR100827825 B1 KR 100827825B1 KR 1020060118249 A KR1020060118249 A KR 1020060118249A KR 20060118249 A KR20060118249 A KR 20060118249A KR 100827825 B1 KR100827825 B1 KR 10082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server
mode
transmission mode
v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훈
박호현
서동환
박재화
강선무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정보사회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정보사회진흥원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1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8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16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channel capacity, e.g. network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25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billing parameters, e.g. priority for subscribers of premium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 VOD(Video On Deman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thereof are provided to manage a bandwidth of a content server effici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erminals which request or receive a VOD service.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providing VOD streaming data responding to a VOD service request from one or more terminals(100)(S540,S550); computing an optimum transmission mode by using preset correlation; and converting a current transmission mode into the optimum transmission mode if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between a content server(130) and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optimum transmission mode(S520). The correlation uses one or more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a bandwidth assigned to the content server, and a payment policy.

Description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HD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he program.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in a case where a mode switch does not occur in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경설정요구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in the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송요구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in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트 서버(130)에서 모드 전환이 발생한 경우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when a mode switch occurs in the content server 130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VO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VOD 모드에서 NVOD 모드로 모드전환한 경우를 예시한 그래프.6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of switching from the RVOD mode to the NVO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VOD 모드에서 RVOD 모드로 모드전환한 경우를 예시한 그래프.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ode is switched from an NVOD mode to an RVO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요구 메시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witch request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의 수요에 따라 컨텐츠 서버의 대역폭을 관리할 수 있는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managed according to a client's demand. It is about.

최근 네트워크 환경은 네트워크 환경은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광동축 혼합망),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과 같이 빠른 전송속도의 환경을 구축하며 발전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 추진되고 있는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광대역 통합네트워크)이 확대 보급될 경우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과 우수한 양방향 특성으로 인해 VOD(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칭함)/EOD(Education On Demand), 다채널 방송서비스 등 다양하고 진일보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Recently, the network environment is being developed by building a high-speed transmission environment, such as hybrid fiber coaxial cable (HFC), 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fiber to the home (FTTH). In addition, if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is being promoted, the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cellent bi-directional characteristics will lead to VOD (Video On Demand) / EOD (Education On Demand). ),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dvanced services such as multi-channel broadcasting service.

일반적으로, VOD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RVOD(Real Video On Demand, 이하 'RVOD'라 칭함) 모드와 NVOD(Near Video On Demand, 이하 'NVOD'라 칭함) 모드로 분류된다. In general, VODs are classified into a Real Video On Demand (RVOD) mode and a Near Video On Demand (NVOD) mode according to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RVOD 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비디오를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1:1 서비스이다. 빨리 돌리기, 되돌리기, 일시정지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비디오를 보는 것과 똑같은 방식의 시청이 가능한 대화형 서비스이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광대역화 되어간다고 해도 수만, 수십만 명에게 동시에 RVOD 모드로 서비스하기에는 대역폭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RVOD mode is a 1: 1 service between the server and the client that allows users to select and watch video at the desired time. It's an interactive service that allows you to watch the video the same way you watch a video by providing features such as fast forward, reverse, and pause. However, even if the network becomes wid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bandwidth is limited to serve tens of thousands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users simultaneously in RVOD mode.

NVOD 모드는 하나의 채널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는 Broadcasting 또는 Multicast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1:n 서비스로써, 동일 프로그램을 복수의 채널을 통하여 각 채널마다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방송하면 클라이언트는 지정된 시간대에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서버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NVOD 모드는 대화형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비디오를 시청하기 전에 대기시간(Access latency)을 약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NVOD mode is a 1: n service that uses a broadcasting or multicasting method that can be accessed by multiple users on a single channel.The same program is repeatedly broadcasted over a plurality of channels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ach channel. Then, the client can see the desired program at the designated time, which is a way to reduce the cost of the server. However, the conventional NVOD mode does not support the interactive servi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take some access latency before watching the video.

컨텐츠 서버에서 동일한 대역폭을 사용하더라도 NVOD 모드는 RVOD 모드에 비해 더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 할 수 있다. 그러나, NVOD 모드가 RVOD 모드에 비해 적은 채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요청이 많은 비디오의 경우이다. NVOD 모드는 고정적인 채널 수만큼의 대역폭을 항상 점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수요가 적은 비디오의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Even if the content server uses the same bandwidth, NVOD mode can serve more users than RVOD mode. However, the fact that NVOD mode requires fewer channels than RVOD mode is a case of demanding video. NVOD mod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ffective for low demand video because it must always occupy the bandwidth of a fixed number of channel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수요에 따라 컨텐츠 서버의 대역폭을 관리할 수 있는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capable of managing bandwidth of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 client's deman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은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해서는 NVOD 모드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적은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해서는 RVOD 모드로 전환하는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witching to the NVOD mode for streaming data with a large number of client requests in the content server, and RVOD mode for streaming data with a small number of client requests,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will be.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서버에서 RVOD 모드 및 NVOD 모드를 모두 제어하고, 사용자의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두 모드간을 전환할 수 있는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so that the content server can control both the RVOD mode and the NVOD mode, and can switch between the two modes so as to respond to changes in user deman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서버에서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VOD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여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의 수, 상기 컨텐츠 서버에 할당된 대역폭, 상기 단말과 상기 컨텐츠 서버간의 통신환경 및 과금 정책 중 하나 이상을 인자로 하는 미리 설정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전송모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서버와 상기 단말간의 현행전송모드가 상기 최적전송모드와 상이 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in a content server, (a) VOD streaming data in response to a VOD service request from one or more terminals; Providing a; (b) an optimal transmission mode using a predetermined correlation that takes one or more of a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a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ntent server,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server, and a charging policy; Calculating; And (c) if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content server and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switch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단말로 모드전환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모드전환요구 메시지에 상응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tep (c) may include: (c1) transmitting a mode switch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And (c2) when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mode change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switch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상기 (c2) 단계는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 후에 상기 단말이 수신할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시간 오프셋(offset)값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2)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from the terminal, a time offset value of the VOD streaming data to be received by the terminal after switching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상기 (c2)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단말과 상기 컨텐츠 서버간에 접속이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monitering) 할 수 있다. In step (c2), if the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VOD streaming data is transmitted us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and monitoring whether connection is maintain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server is performed. Can be.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단말과 상기 컨텐츠 서버간에 접속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이용한 상기 VOD 서비스를 중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server is not maintained, the VOD service us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may be stopped.

상기 모드전환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전환목표모드(Target),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컨텐츠아이디(ContentID) 및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ListenerPor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de switch request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target switching mode, a filename of VOD streaming data, a ContentID, and a port for message communication.

상기 현행전송모드 또는 상기 최적전송모드는 RVOD(Real Video On Demand) 및 NVOD(Near Video On Demand)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or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may be one of Real Video On Demand (RVOD) and Near Video On Demand (NVOD).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단말로부터 환경설정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 계; (a2) 상기 환경설정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1 응답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a4) 상기 전송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2 응답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step (a1) receiving a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a2) transmitting a first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a3) receiving a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And (a4) transmitting a second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상기 환경설정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및 컨텐츠아이디(Content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및 상기 컨텐츠아이디는 상기 컨텐츠 서버와 연동되는 웹서버에서 상기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a file name of the VOD streaming data, and a content ID, wherein the file name and the content ID of the VOD streaming data are the content server. I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in a web server interlocked with.

상기 제1 응답메시지는 상기 현행전송모드가 NVOD(Near Video On Demand)인 경우,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서비스의 동작여부(state),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체길이(TotalTime), 멀티캐스트그룹아이피(MultiCasting IP), 시작포트번호(StartPort), 포트의 개수(ActivePort) 및 대기시간(Wait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is Near Video On Demand (NVOD), the first response message includes a command sequence number, a service type, a service state, and the VOD streaming data. One or more of TotalTime, MultiCasting IP, Start Port Number, StartPort, Number of Ports (ActivePort), and WaitTime (WaitTime)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응답메시지는 상기 현행전송모드가 RVOD(Real Video On Demand)인 경우,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서비스의 동작여부(state) 및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체길이(Total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is Real Video On Demand (RVOD), the first response message includes a command sequence number, a service type, a service state, and a VOD streaming data.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otalTime.

상기 전송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재생시작시점 및 재생종료시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a file name of the VOD streaming data, a playback start point, and a playback end poi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컨텐츠 서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VOD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여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의 수, 상기 컨텐츠 서버에 할당된 대역폭, 상기 단말과 상기 컨텐츠 서버간의 통신환경 및 과금 정책 중 하나 이상을 인자로 하는 미리 설정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전송모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서버와 상기 단말간의 현행전송모드가 상기 최적전송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tangibly implemented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ntent server to provide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content server. A method comprising: (a) providing VOD streaming data in response to a VOD service request from one or more terminals; (b) an optimal transmission mode using a predetermined correlation that takes one or more of a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a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ntent server,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server, and a charging policy; Calculating; And (c) when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content server and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switch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101, 102, 103), 웹서버(120)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서버(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O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terminals 101, 102, and 103, a web server 120, and one or more content servers 131, 132, and 133. Can be.

여기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101)의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네트워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1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101)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와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통하여 네트워크(110)에 연결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s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an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110 can be connected.

이동통신 단말(101)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네트워크(110)에 연결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to the network 1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well-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101, 102, 103)은 단말(100)로 칭하며, 다양한 VOD 스트리밍 데이터 중 비디오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terminals 101, 102, and 103 are referred to as the terminal 100, and a video of various VOD streaming dat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웹서버(120)는 단말(100)로부터 VOD 서비스 요청에 상응한 컨텐츠 서버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web server 120 may provide the terminal 100 with information about a content server corresponding to the VOD service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

컨텐츠 서버(130)는 단말(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VOD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말의 수를 모니터링 하고, 컨텐츠 서버에 할당된 대역폭을 고려하여 VOD 서비스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er 130 may provide a VOD service to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number of terminals receiving the VOD service may be monitored and the VOD service mode may be switched in consideration of the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ntent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경설정요구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 서 전송요구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in a case where a mode switch does not occur in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in the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ransmission request in the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설명하되, 필요한 부분에서 도 3 및 도 4를 각각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lo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bu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here necessary.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단말(100)은 웹서버(120)에 접속을 요청하고, 단계 S202에서 웹서버(120)는 세션(session)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서버(130)가 보유하고 있는 비디오 내역을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step S201, the terminal 100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web server 120, and in step S202, the web server 120 may provide sess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web server 120 may provide the terminal 100 with video details held by the one or more content servers 130.

여기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웹서버(120)에서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 과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2,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re may be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terminal and / user in the web server 120.

이어서, 단계 S211에서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비디오를 웹서버(120)에 요청하고, 웹서버(120)는 요청된 비디오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서버(130)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211, the terminal 100 requests the web server 120 for one or more video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web server 12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rver 130 including the requested video. 100).

이때, 컨텐츠 서버(130)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서버의 IP 주소, 컨텐츠 서버의 통신용 포트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 아이디(Content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rver 130 may include an IP address of the content server,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port of the content server, and a content ID.

여기서 컨텐츠 아이디(ContentID)는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한 서비스에 대하여 컨텐츠 서버(130)가 부여한 고유한 식별번호이며, 미리 웹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다. The content ID i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by the content server 130 to the service for the video file, and is stored in the web server 120 in advance.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30)에 '괴물'이라는 비디오 파일이 있는 경우에, 같은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 제1 서비스로서 NVOD 모드로 서비스하고, 제2 서비스로 RVOD 서비스를 하는 경우 양자를 구분하기 위해 컨텐츠 아이디를 다르게 부여하여, 서비스별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when there is a video file called 'monster' in the content server 130, the same video file is served in the NVOD mode as the first service, and the RVOD service is performed in the second service. The content ID is given differently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for each service.

이어서, 웹서버(120)에서 단말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과정이 있은 경우(도2에는 미도시), 단계 S213에서 단말(100) 및/또는 사용자 정보가 웹서버(120)에서 컨텐츠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re is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terminal and / or the user in the web server 120 (not shown in FIG. 2), the terminal 100 and / or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web server 120 to the content server (step S213). 130).

이어서, 단계 S221에서 컨텐츠 서버(130)는 단말(100)로부터 환경설정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222에서 컨텐츠 서버(130)는 환경설정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ntent server 130 may receive a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in step S221, and the content server 130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00 in step S222. .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설정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환경설정 메시지는 커맨드 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이하 'CSeq'라 칭함), 해당 비디오 파일명 및 컨텐츠아이디(Content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nvironment setting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the configuration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Seq'), a corresponding video file name, and a content ID.

여기서, 환경설정 메시지는 컨텐츠 서버(130)에게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해 전송을 준비하라고 알리는 역할과 응답 메시지로써 해당 서비스의 설명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configuration message serves to inform the content server 130 to prepare to transmit the video file and to request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as a response message.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서버가 NVOD 모드로 서비스할 때, 환경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NVOD 모드 중에서 straggered Broadcasting인 경우에 응답메시지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ponse message to an environment setting message when a content server services in an NVO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sponse message in the case of straggered broadcasting in the NVOD mode.

도 3의 (b)를 참조하면, 응답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서비스 타 입(Service Type), 서비스의 동작여부(state), 비디오 데이터의 전체길이(TotalTime), 멀티캐스트그룹 아이피(MultiCasting IP), 시작포트번호(StartPort), 포트의 개수(ActivePort) 및 대기시간 (Wait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3,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service type (Service Type), a service operation state, a total length of video data (TotalTime), a multicast group IP (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MultiCasting IP), a starting port number (StartPort), the number of ports (ActivePort), and a wait time (WaitTime).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서버가 RVOD 모드로 서비스할 때, 환경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3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ponse message to an environment setting message when a content server services in an RVO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c)를 참조하면, 응답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서비스의 동작여부(state) 및 비디오 데이터의 전체길이(Total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 3, the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service type, a service operation state, and a total length of video data. have.

응답메시지(도 3의 (b) 및 (c)참조)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공지된 요소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refer to (b) and (c) of FIG. 3) are well-known element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for clarity.

다시 도2을 참조하면, 단계 S231에서 컨텐츠 서버(130)는 단말(100)로부터 전송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232에서 단말(100)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in step S231, the content server 130 may receive a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and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00 in step S232.

여기서, 전송요구 메시지는 RVOD 모드의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요구 메시지는 컨텐츠 서버(130)가 RVOD 모드인 경우 재생시작시점과 재생종료시점을 컨텐츠 서버(130)에게 알릴 수 있다. Here,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plays a role similar to that of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SP) in the RVOD mode.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form the content server 130 of the start of playback and the end of playback when the content server 130 is in the RVOD mode.

여기서, 컨텐츠 서버(130)가 NVOD 모드인 경우에는 멀티캐스트아이피 (Multicast IP)를 통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단말로 일방적으로 전달하므로, 상술한 전송요구 메시지의 사용이 불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VOD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컨텐츠 서버(130)가 NVOD 모드인 경우에도 상술한 전송요구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server 130 is in the NVOD mode, since the video stream is unilater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multicast IP, it is unnecessary to use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may be used even when the content server 130 is in the NVOD mode in order to monitor the number of terminals receiving the VOD service.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비디오 데이터 이름(File), 재생시작시점(StartOffset) 및 재생종료시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a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video data name (File), a playback start point (StartOffset), and a playback end point. It may include.

도 4의 (a)는 컨텐츠 서버(130)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전송요구 메시지의 일례이며, 도 4의 (b)는 컨텐츠 서버(130)가 단말(100)로 전송하는 응답메시지의 일례이다.4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that the content server 130 receives from the terminal 100. FIG. 4B illustrates a response message that the content server 130 transmits to the terminal 100. Referring to FIG. It is an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의 전송요구 메시지에서는 커맨트시퀀스넘버(CSeq), 비디오 데이터 이름(File) 및 재생시작시점(StartOffset)이 예시되어 있으나, 재생종료시점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of FIG. 4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video data name (File), and a playback start point (StartOffset) are illustrated, but a playback end point may be includ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4의 (b)는 상술한 전송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커맨드시퀀스(CSeq)를 포함할 수 있다. 4B may include a command sequence CSeq as a response message to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40에서 컨텐츠 서버(130)에서 단말(100)로 RTCP(Realtime Transport Protocol Control Protocol)는 이용하여 단말(100)이 요청한 비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파일과 영상 파일이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in operation S240, an audio file and an image file of video data requested by the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server 130 to the terminal 100 by using a Realtime Transport Protocol Control Protocol (RTCP). have.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컨텐츠 서버(130)와 단말(100)간에 RTCP(Realtime Transport Rpotocol Control Protocol) 및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즉, 비디오의 오디 오 파일과 영상 파일)가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ideo data (that is, Realtime Transport Rpotocol Control Protocol) and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are used between the content server 130 and the terminal 100. The audio files and video files of the video are transmitted. However,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protocols may be used to transmit the multimedia stream.

이어서, 단말(100)이 요청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단계 S251에서 컨텐츠 서버는 단말(100)로부터 세션 도는 서비스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252에서 응답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ransmission of the video data requested by the terminal 100 is terminated, the content server may receive a session or service termination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in step S251, and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00 in step S252.

여기서, 상술한 세션 또는 서비스 종료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는 단말(100) 또는 컨텐츠 서버(13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전송할 수 있고, 그 내용은 예를 들어 커맨드시퀀스넘버(CSeq)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 the above-described session or service termination message and respons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one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erver 130 to another one, and the contents thereof may be, for example,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130)에서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하기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컨텐츠 서버(130)에서 모드 전환이 발생한 경우의 흐름을 설명한다. Up to now, the flow in the case where the mode switching does not occur in the content server 130 in the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flow in a case where a mode switch occurs in the content server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트 서버(130)에서 모드 전환이 발생한 경우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VOD 모드에서 NVOD 모드로 모드전환한 경우를 예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VOD 모드에서 RVOD 모드로 모드전환한 경우를 예시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요구 메시지 및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when a mode switch occurs in the content server 130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VO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RVOD mod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of mode switching to the NVOD mode,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of mode switching to the RVOD mode from the NVO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a mode change request message and a response message.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duplicated with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서버(130)에 VOD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컨텐츠 서버(130)로부터 VOD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100)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NVOD 모드로, 단말(100)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RVOD 모드로 전환하여 컨텐츠 서버(130)에서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the terminal 100 requests the VOD service to the content server 130 or receives the VOD service from the content server 130, the number of the terminal 100 is small in the NVOD mode. In this case, the bandwidth can be efficiently managed by the content server 130 by switching to the RVOD mode.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NVOD 모드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대기 시간을 늘이면 채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채널이 줄어들면 대역폭도 감소하게 된다. RVOD 모드인 경우 단말(100)과 컨텐츠 서버(130)간의 1:1 서비스 이기 때문에 컨텐츠 서버(130)에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요청마다 비디오 대역폭만큼의 대역폭을 할당하게 되지만, NVOD 모드인 경우 서비스 요청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만큼의 채널을 할당하여 그에 맞는 대역폭을 차지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for each NVOD mode, but in general, increasing the latency can reduce the channel. And as the channel shrinks, so does the bandwidth. In the RVOD mode, since it is a 1: 1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erver 130, when a service request comes in to the content server 130, the bandwidth is allocated as much as the video bandwidth for each request, but in the NVOD mode, the service request is performed. Regardless, the channel is allocated as much as the preset channel and occupies the bandwidth corresponding thereto.

따라서, 컨텐츠 서버(130)에 VOD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VOD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100)의 수에 따라 컨텐츠 서버(130)에서는 NVOD 모드 또는 RVOD 모드로 전환하여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가 필요하다(이하에서 NVOD 모드와 RVOD 모드간의 전환을 '모드전환'이라 칭함).Theref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erminal 100 requesting the VOD service or the VOD service to the content server 130, the content server 130 needs to switch to the NVOD mode or the RVOD mode for efficient bandwidth management. The transition between NVOD mode and RVOD mode is called 'mode switch'.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RVOD 모드에서 NVOD 모드로 모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을 설명한다. 도 6의 그래프는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서버(130)에 VOD 서비스 요청이 10초에 하나씩 증가하고,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이 100Mbps이고, 비디오 1개를 VOD 서비스한다고 가정한 경우를 예시한 그래 프이다. VOD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하여, 컨텐츠 서버(130)의 한계 대역폭에 다다른 경우(예를 들어 도 6의 그래프에서는 14분 40초임) 컨텐츠 서버(130)는 RVOD 모드에서 NVOD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단말(100)이 NVOD로 전환됨에 따라 컨텐츠 서버(130)의 전체적인 대역폭(즉, 도 6에 있어서 '대역Total')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Hereinafter, the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in the case of switching the mode from the RVOD mode to the NVOD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graph of FIG. 6 illustrates a case where it is assumed that a VOD service request increases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content server 130 by one every 10 seconds, the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is 100 Mbps, and one video is VOD service. It's a graph.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requesting the VOD service increases and the limit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is reached (for example, 14 minutes and 40 seconds in the graph of FIG. 6), the content server 130 switches from the RVOD mode to the NVOD mode. can do. In this case, as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re switched to NVOD, the overall bandwidth (ie, 'band total' in FIG. 6) of the content server 130 may be reduced.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NVOD 모드에서 RVOD 모드로 모드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을 설명한다. 도 7의 그래프는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이 100Mbps이고, 비디오 1개를 VOD 서비스한다고 가정한 경우, 컨텐츠 서버(130)에 접속한 단말이 10분마다 1개씩 종료되고, 30분마다 새로운 단말이 VOD 서비스 요청한 경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서버(130)에 접속한 단말의 수가 2개 일 때까지 10분마다 1개씩 단말의 수가 감소한 경우이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when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NVOD mode to the RVOD mode, the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will be described. In the graph of FIG. 7, when the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is 100 Mbps and one video is VOD service,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30 is terminated once every 10 minutes, and the new terminal every 30 minutes. This is the case with the VOD service request. More specifically, the number of terminals decreases by one every 10 minutes until the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30 is two.

예를 들어, NVOD 모드에서는 미리 지정된 대역폭 9Mbps를 할당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30)에 접속한 단말의 수가 극히 작은 경우에도 미리 지정된 대역폭 9Mbps를 할당하는 것은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 관리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서버는 NVOD 모드에서 RVOD 모드로 모드 전환하여 VO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VOD로 전환하였을 경우에 대략 4Mbps의 대역폭만을 사용하므로 미리 지정된 9Mbps를 사용하는 NVOD 모드보다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NVOD mode, a predetermined bandwidth of 9Mbps can be allocated. Even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30 is extremely small, allocating a predetermined bandwidth of 9Mbps is inefficient in bandwidth management of the content server 130.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rver may provide a VOD service by switching from the NVOD mode to the RVO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witching to RVOD, only 4 Mbps of bandwidth is used, and thus bandwidth management can be more efficient than NVOD mode using 9 Mbps.

상술한 바와 같이 VOD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100)의 수와 컨텐츠 서버(130)의 한계 대역폭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통신환경 및 다양한 과금 정책 등을 부가적으로 더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서버(130)에 접속되는 단말(100)의 수, 컨텐츠 서버(130)에 할당된 대역폭, 단말(100)과 컨텐츠 서버(130)간의 통신환경 및 과금 정책 중 하나 이상을 인자로 하는 미리 설정된 상관관계를 컨텐츠 서버(130)에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terminal 100 requesting the VOD service and the limit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have a close correlation.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various charging policies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Accordingly, one or more factors including the number of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30, the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ntent server 130,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erver 130, and a charging policy may be used as factor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t correlation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13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단말(100)과 컨텐츠 서버(130)간에서 현재 VOD 서비스 모드를 '현행전송모드'라 칭하고, 컨텐츠 서버(130)에서 단말(100)의 수, 컨텐츠 서버(130)의 한계 대역폭 및 미리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된 VOD 서비스 모드를 '최적 모드'라 칭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current VOD service mode is referred to as a 'current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erver 130, and the number of the terminal 100 and the number of the content server 130 in the content server 130 are described. The VOD service mode calculated using the limit bandwidth and the pre-stored table is called 'optimal mode'.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VOD 서비스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컨텐츠 서버(130)는 단말(100)로 모드전환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100)로부터 그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when the VOD service mode is switched with reference to a pre-stored table, the content server 130 transmits a mode switch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100 and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the terminal 100 accordingly. can do.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전환목표모드(Target),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컨텐츠아이디(ContentID) 및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ListenerPor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8, the mode switching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target switching mode, a filename of VOD streaming data, a content ID, and a ContentID.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port (ListenerPort) for message communication.

여기서 전환목표모드(Target)는 컨텐츠 서버(130)에서 VOD 서비스 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이며, 도 8의 (a)는 NVOD 모드에서 RVOD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일례이다.Herein, the conversion target mode (Target) is a mode in which the content server 130 wants to switch the VOD service mode, and FIG. 8A illustrates an example of switching from the NVOD mode to the RVOD mode.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ListenerPort)는 컨텐츠 서버(130)와 단말(100)간에 메시지(예를 들어 환경설정요구 메시지, 전송요구 메시지, 서비스 종료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로서, 도2의 단계 S202에서 웹서버(120)가 단말(100)로 전송한 컨텐츠 서버(130)의 통신용 포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30)가 현행전송모드에서 최적전송모드로 전환 후에도 단말(100)간에 메시지 통신을 할 수 있는 포트이다.A port for message communication (ListenerPort) is a port for message (for exampl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service termination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ent server 130 and the terminal 100. In step S202 of FIG. The web server 120 may be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port of the content server 130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content server 130 is a port for the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even after switching from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도 8의 (b)는 상술한 모드전환요구 메시지에 대한 단말(100)의 응답 메시지의 일례로서 커맨트시퀀스넘버(CSeq)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b) of FIG. 8 may be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s an example of a response message of the terminal 100 to the mode change request message described above.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단말(100)은 모드전환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응답메시지를 컨텐츠 서버로 전송한 후, 전환된 모드에서 수신할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 오프셋값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in operation S510, th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to the content server in response to the mode switch request message, and then calculate a time offset value of video data to be received in the switched mode.

이어서 단계 S520에서, 컨텐츠 서버(130)는 모드전환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단말(100)에 대하여 VOD 서비스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520, the content server 130 may switch the VOD service mod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response message in response to the mode switch request message.

이하, 단계 S530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step S530, the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s provided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omitted.

여기서, 단계 S540에서 전송요구 메시지는 재생시작시점 및/또는 재생종료시점을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도 2의 S231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요구 메시지는 단계 S510에서 산출한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재생시작시점 및/또는 재생종료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in step S540 may include a playback start time and / or a playback end time (see S231 of FIG. 2). In more detail,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playback start time and / or playback end time calculated using the time offset value of the video data calculated in step S510.

따라서, 컨텐츠 서버(130)는 모드변환 후에 상술한 재생시작시점 및/또는 재생종료시점을 이용하여 단계 S550에서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ent server 13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video data in step S550 using the above-described playback start time and / or playback end time after the mode conver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20에서 컨텐츠 서버(130)는 모드전환요구 메시지에 상응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단말(100)에 대하여 VOD 서비스 모드를 전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520, the content server 130 switches the VOD service mode for the terminal 100 that transmitted the respons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mode switch request message.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30)에서 NVOD 모드로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VOD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100)이 2개인 경우(즉, 제1 단말과 제2단말)를 가정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즉, 현행전송모드가 NVOD 모드이고, 최적전송모드가 RVOD 모드인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VOD service in the NVOD mode in the content server 130, it will be described below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two terminals 100 requesting the VOD service (that i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do. That is, the case where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is the NVOD mode and the optimum transmission mode is the RVOD mode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VOD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이 2개인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양의 채널을 할당하는 NVOD 모드보다는 단말 각각에 비디오 채널만큼의 대역폭을 할당하는 RVOD 방식이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관리에 더욱 효율적이다.When two terminals request the VOD service, the RVOD scheme of allocating bandwidth of each video channel to the terminals is more efficient for bandwidth management of the content server 130 than the NVOD mode of alloc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hannels.

따라서, 컨텐츠 서버(130)가 제1 및 제2 단말에 최적전송모드인 RVOD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전환요구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ent server 130 may transmit a mode change request message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switch to the RVOD mode, which is an optimal transmission mode.

이하에서, 컨텐츠 서버(130)가 제1 단말기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단말기로부터는 응답메세지를 수지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server 130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and does not receive a response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컨텐츠 서버(130)는 응답메세지를 전송한 제1 단말기에 대해서는 최적전송모드인 RVOD 모드로 전환하고,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아니한 제2 단말기에 대해서는 현행전송모드인 NVOD 모드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ent server 130 may switch to the RVOD mode, which is an optimal transmission mode, for the first terminal that transmits the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 video data in the NVOD mode, which is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for the second terminal that does not transmit the response message.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서버(130)에서 제2 단말기가 컨텐츠 서버에 연결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rver 130 may monitor whether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at a predetermined time unit.

모니터링 결과 제2 단말기가 컨텐츠 서버(130)에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컨텐츠 서버(130)는 제2 단말기로부터의 응답메시지 수신여부에 관계없이 현행전송모드인 NVOD 모드의 VOD 서비스를 중지할 수 있다. If the second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130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content server 130 may stop the VOD service in the NVOD mode, which is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regardless of whether a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VOD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또는 VOD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100)의 수를 고려하여 컨텐츠 서버(130)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width of the content server 130 may be efficiently manag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terminal 100 requesting the VOD service or receiving the VOD service.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클라이언트의 수요에 따라 컨텐츠 서버의 대역폭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of managing bandwidth of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 demand of a client.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은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해서는 NVOD 모드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적은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해서는 RVOD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tent server can switch to NVOD mode for streaming data with a large number of client requests, and to RVOD mode for streaming data with fewer client requests.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서버에서 RVOD 모드 및 NVOD 모드를 모두 제어하고, 사용자의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두 모드간을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the two modes to control both the RVOD mode and NVOD mode in the content server, and to respond to changes in user demand.

Claims (13)

컨텐츠 서버에서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in the content server, (a)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VOD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여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VOD streaming data in response to a VOD service request from one or more terminals; (b)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의 수, 상기 컨텐츠 서버에 할당된 대역폭 및 과금 정책 중 하나 이상을 인자로 하는 미리 설정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전송모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b) calculating an optimal transmission mode using a predetermined correlation which takes one or more of a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a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ntent server, and a charging policy; And (c) 상기 컨텐츠 서버와 상기 단말간의 현행전송모드가 상기 최적전송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c) if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content server and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switch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환경설정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1 응답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Step (a) includes the step (a1) of transmitting a first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상기 환경설정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전환목표모드(Target),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컨텐츠아이디(ContentID) 및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ListenerPor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Th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conversion target mode (Target), a file name of VOD streaming data, a ContentID, and a port for message communication (ListenerPort). How to provide VOD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 단계는Step (c) is (c1) 상기 단말로 모드전환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c1) transmitting a mode change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And (c2)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모드전환요구 메시지에 상응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c2) if a respons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mode switch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switch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c2) 단계는Step (c2) is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 후에 상기 단말이 수신할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시간 오프셋(offset)값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And receiving a time offset value of the VOD streaming data to be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fter switching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c2) 단계는Step (c2) is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되,If the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VOD streaming data is transmitted us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상기 단말과 상기 컨텐츠 서버간에 접속이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monite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And monitoring whether a connection is maintain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serv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단말과 상기 컨텐츠 서버간에 접속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이용한 상기 VOD 서비스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server is not maintained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stopping the VOD service us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드전환요구 메시지는The mode switch request message is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전환목표모드(Target),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컨텐츠아이디(ContentID) 및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ListenerPor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VOD ser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conversion target mode (Target), a file name of VOD streaming data, a ContentID, and a port for messag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행전송모드 또는 상기 최적전송모드는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or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RVOD(Real Video On Demand) 및 NVOD(Near Video On Deman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a VO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RVOD (Real Video On Demand) and NVOD (Near Video On Dem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응답메시지는The first response message 상기 현행전송모드가 NVOD(Near Video On Demand)인 경우,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서비스의 동작여부(state),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체길이(TotalTime), 멀티캐스트그룹아이피(MultiCasting IP), 시작포트번호(StartPort), 포트의 개수(ActivePort) 및 대기시간(Wait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When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is NVOD (Near Video On Demand), the command sequence number (Service Sequence Number), service type (Service Type), service operation state (state), the total length of the VOD streaming data (TotalTime), A method of providing a VOD ser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multicast group IP, a starting port number, a starting port number, a number of ports, an active port, and a waiting ti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응답메시지는The first response message 상기 현행전송모드가 RVOD(Real Video On Demand)인 경우,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서비스의 동작여부(state) 및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체길이(Total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If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is RVOD (Real Video On Demand), the command sequence number (Service Sequence Number), service type (Service Type), service operation state (stat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VOD streaming data (TotalTime) A VOD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 단계는 상기 (a1)단계 이후에 (a2)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2 응답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The step (a) further comprises the step (a2) after the step (a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second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상기 전송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ommand Sequence Number), 상기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재생시작시점 및 재생종료시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D 서비스 제공방법.And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includes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a file name of the VOD streaming data, a playback start point, and a playback end point.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컨텐츠 서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In order to provide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ntent server is tangibly implemented, and i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content server, (a)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VOD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여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VOD streaming data in response to a VOD service request from one or more terminals; (b)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의 수, 상기 컨텐츠 서버에 할당된 대역폭 및 과금 정책 중 하나 이상을 인자로 하는 미리 설정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전송모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b) calculating an optimal transmission mode using a predetermined correlation which takes one or more of a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a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ntent server, and a charging policy; And (c) 상기 컨텐츠 서버와 상기 단말간의 현행전송모드가 상기 최적전송모드와 상이한 경우, 상기 현행전송모드를 상기 최적전송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실행하되,(c) if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content server and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changing the current transmission mode to the optimal transmission mode;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환경설정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1 응답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Step (a) includes the step (a1) of transmitting a first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상기 환경설정요구 메시지는 커맨드시퀀스넘버(CSeq), 전환목표모드(Target), VOD 스트리밍 데이터의 파일이름, 컨텐츠아이디(ContentID) 및 메시지 통신을 위한 포트(ListenerPor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The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one or more of a command sequence number (CSeq), a conversion target mode (Target), a file name of VOD streaming data, a ContentID, and a port for message communication (ListenerPort). Record carrier recording the program.
KR1020060118249A 2006-11-28 2006-11-28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KR100827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49A KR100827825B1 (en) 2006-11-28 2006-11-28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49A KR100827825B1 (en) 2006-11-28 2006-11-28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825B1 true KR100827825B1 (en) 2008-05-07

Family

ID=3964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249A KR100827825B1 (en) 2006-11-28 2006-11-28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82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738A (en) * 2002-02-12 2002-10-18 Fujitsu Ltd Video data distribu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738A (en) * 2002-02-12 2002-10-18 Fujitsu Ltd Video data distribu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449B2 (en)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management method
US8132218B2 (en) Access/edge node supporting multiple video streaming services using a single request protocol
US8166154B2 (en) Method for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US8001575B2 (en) Method of distributing video-on-demand over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infrastructure
EP1956842B1 (en) A method, a device and a system for realizing time shift tv
JP4884460B2 (en) Instant media on demand
EP2506561B1 (en) Network-wide storing and dispatching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tv
US8176192B2 (en) Networke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 data
US20140215545A1 (en) Online video playing method and video playing server
US20090144784A1 (en) On demand system and method using dynamic broadcast scheduling
US9294731B2 (en) Dynamic VOD channel allocation based on viewer demand
JP4475521B2 (en) Channel merge for video on demand
RU2598596C2 (en) Transmitting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content distribution
CN101262413B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media buffer
US8239909B2 (en) Method of securing resources in a video and audio streaming delivery system
US84956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 push video on demand
JP3809813B2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EP2892225B1 (en) Recor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070076614A1 (en) Method for changing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ent service system
KR100759807B1 (en) Method of time-shifting service in multicast based IPTV
KR100827825B1 (en) Method of video on demand streaming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JP2009170985A (en) On-demand data distribution system
KR20100109815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servicing broadcast data
CN101552684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al time streaming media protocol conversation state
JP2012105341A (en) On-demand system and method using dynamic broadcast schedu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