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156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156B1
KR100826156B1 KR1020060032598A KR20060032598A KR100826156B1 KR 100826156 B1 KR100826156 B1 KR 100826156B1 KR 1020060032598 A KR1020060032598 A KR 1020060032598A KR 20060032598 A KR20060032598 A KR 20060032598A KR 100826156 B1 KR100826156 B1 KR 10082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ata
video
broadcas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505A (ko
Inventor
정대석
장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156B1/ko
Priority to EP07004567A priority patent/EP1868359A3/en
Priority to US11/715,674 priority patent/US20070288954A1/en
Priority to CNA2007100884642A priority patent/CN101056413A/zh
Publication of KR200701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04H20/106Receiver-sid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 청취/전환 시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수신되는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가 제거된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에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이동 단말기, 채널, 비디오, 오디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 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ALLPAPER SETTING OF AUDIO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DMB 수신 장치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 전환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및 보다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청취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DMB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DMB 서비스라 함은, 통상적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고, 고정 또는 휴대용/차량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 DMB 서비스는,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 뉴스, 위치 등의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DMB 서비스는 이동 중에도 이동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콤팩트디스크(CD, Compact Disk) 또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Digital Video Disk) 급의 고음질 및 고화질 방송을 제공할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즉, 상기 DMB 서비스는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 또는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수의 채널로 시청/청취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 DMB 서비스는 상기와 같이 기존 방송 대비 이동성 기반의 방송 서비스라는 점이 큰 차이점이며, 제공 방식에 따라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되며, 상기 기존 방송 서비스와 DMB 서비스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2498682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B 서비스는 기존 방송 서비스에 비해 이동성을 가지며, 수신 장치가 소형화되어 있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DMB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되며, 이는 크게 지상의 송신소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상기 위성 DMB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DMB용 방송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 상기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 지역의 DMB 단말기에 전송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통해 방송전파를 송출하고, 이동 단말기로 방송전파를 수신하는 뉴미디어 방송 서비스이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전국 어디서나 수신이 가능하지만, 지하, 실내 및 전파음영 지역에서는 갭필러(Gap Filler)라는 중계기가 신호를 수신하여 전파를 재전송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기 지상파 DMB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며, 상기 위성 DMB와는 달리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방송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파를 이용하여 이동 중 TV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 등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상기 지상파 DMB는 상기 위성 DMB와는 달리 이동 단말기의 기지국과 같은 방송 송출 시스템을 이용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DMB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센터(110)와, 위성(120)과, 기지국(130)과, 수신 장치들 예컨대, 차량용 수신기(140), 이동 단말기(150) 및 가정용 수신기(16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센터(110)는 DMB 데이터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신호 등을 압축한 후 변조하여 상기 위성(120) 또는 기지국(130)으로 송출한다.
상기 위성(120) 또는 기지국(130)은 상기 데이터 방송센터(1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상기 수신 장치들(140 내지 160)로 방송한다.
상기 수신 장치들(140 내지 160)은 상기 위성(120) 또는 기지국(130)으로부터 방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 압축을 풀고, 본래의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는 고속으로 이동 중에도 잡음(Noise) 없는 깨끗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전하는 DMB 서비스에 상응하여 사용자게 보다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 방송 시, 다양한 배경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 방송 시, 배경화면으로 특정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만을 제공할 수 있는 장 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전환에 상응하여 오디오 채널 출력 시, 기존/현재 방송되고 있는 특정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설정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수신되는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가 제거된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에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DMB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요청되는 DMB 서비스의 유형을 판단하는 과정과,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요청되면, 설정에 따른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과,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요청되면, 요청에 따른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중 채널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특정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요청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되는 전환 또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는 화면 구성 방식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DMB 서비스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송 서비스에 관련/매핑된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소정 출력부를 통해 개별 또는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되는 다중화된 방송신호를 소정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RF)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RF 처리부를 통해 변환된 신호로부터 요청되는 방송 채널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DMB 수신모듈과, 상기 DMB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 하고, 채널전환을 위한 소정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하여 처리하는 채널전환 제어수단과, 상기 역다중화한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센터의 부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하는 복호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 방송 시, 또는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채널 전환 시,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MB 서비스에서 DMB 오디오 채널의 방송 청취/전환 시, 설정된 배경화면 예컨대, 검은 바탕의 블랭크(blank) 처리와 같은 표시 대신, 이전/현재에 시청하던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없이 배경화면으로 설정하여, 오디오 채널의 방송과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경화면으로 지정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한개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 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여러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 간격의 분할 화면을 통해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는 DMB 서비스에 대해 1개 채널에 대한 비디오 채널의 방송 또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만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화면에 의미 없는 이미지 예컨대, 블랭크 처리된 검은 바탕의 화면만을 표시하고 있다.
즉, 기존 이동 단말기에서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시 정지 영상 또는 블랭크 화면만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실상 디스플레이부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 화면의 활용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DMB 서비스의 오디오 채 널 방송 시, 또는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 이동시, 기존/현재에 방송되고 있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유지하면서 오디오 채널의 방송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유지하면서 오디오 채널 방송을 제공중임을 미리 지정한 특정 이벤트(event) 예컨대, 소정의 음원,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알려준다.
예를 들면, 기존 방송되는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화면 모드 또는 분할 화면 모드로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 예컨대, 채널 정보, 곡 정보, 가수 정보 및 다음 오디오 방송 정보 등을 표시함으로써, 현재 주가 되는 채널이 오디오 채널임을 안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 표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거나, 알파블랜딩(α-blending) 처리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 일측 예컨대, 상단/하단에 별도의 창을 통해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MB 오디오 채널의 방송 시, 배경화면으로 기존/현재 방송되고 있는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DMB 수신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는 크게, 입력 수단, 처리 수단, 저장 수단, 출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 구분된다.
상기 입력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207), 사용자로부터 숫자/문자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209) 및 외부 소정 물체의 촬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9)의 LCD가 터치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19)는 상기 입력 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장치들을 통해, 음성 데이터, 숫자/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카메라(2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 상기 신호 처리부(215)에서 디지 털 처리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하고,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221)을 통해 전달되는 DMB 서비스 관련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17),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2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부(205),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 블록들의 일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01) 및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문자 및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 입력 수단을 통한 부가기능 요청 시 그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221)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상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부가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을 통해 전달되는 DMB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부가기능 예컨대, DMB 서비스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메모리(211)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또는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에 대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9)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207)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 및 각 부가기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사용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부(203) 및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RF 처리부(203)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 처리부(2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5)는 상기 RF 처리부(20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 처리부(20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05)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22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2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2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DMB 서비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데이터 및 메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데이터, DMB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및 DMB 서비스 데이터 등이 서로 간에 매핑(mapping)되어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수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입력 예컨대,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오디오/비디오 정보, 채널 정보 및 방송 데이터 정보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인식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판단 정보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DMB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설정 정보의 변환 및 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키입력부(209)로부터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한다. 예컨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폰 모드에서 DMB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모드로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입력되는 전환 또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213)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더(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215)는 상기 카메라(2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217)는 상기 신호 처리부(215)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217)는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수신되는 영상 신호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에서 제공되는 DMB 서비스에 따른 영상/데이터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9)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217)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9)는 상기 영상 처리부(217)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는 화면 구성 방식으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DMB 서비스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여 비디오, 오디오, 문자 등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상기 방송 서비스에 관련/매핑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영상 처리부(219) 또는 오디오 처 리부(207) 등을 통해 개별 또는 동시에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이동 단말기 구성의 일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에 대하여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DMB 수신 장치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는 별도로 독립 개체로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 등과 연동하기 위한 소정 인터페이스부를 비롯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수단, 처리 수단 및 출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바람직하게는 RF 처리부(301), DMB 수신모듈(303), 채널전환 판단부(305), 채널전환 처리부(307), 역다중화기(309) 및 복호부(3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 처리부(301)는 위성 DMB 방송센터 또는 지상파 DMB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된 방송신호 즉, 다중화된 방송신호를 소정 안테나(Antenna)를 통해 수신하여 RF 처리 예컨대,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라 함은 상기한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문자,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DMB 수신모듈(303)은 상기 RF 처리부(301)를 통해 변환된 신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방송 채널의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역다중화기(309)는 상기 DMB 수신모듈(303)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채널에 상응하는 비디오, 문자, 오디오 데이터로 역다중화 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309)는 오디오 채널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타스크(Task)로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비디오 채널에 해당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타스크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복호부(311)는 상기 역다중화한 방송신호 예컨대, 상기 비디오, 문자,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한 해당 방송센터의 부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복호부(3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채널 출력 시, 배경화면으로 특정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일반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지만, 이때 오디오/비디오 동기는 무시하여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305)는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거나, 또는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중 오디오 채널로의 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 정보를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로 전달한다. 즉,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305)는 채널전환을 위한 입력신호가 발생함을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로 통지한다.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는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305)로부터 상기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예컨대,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이동 시, 또는 오디오 채널 방송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이전/현재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assign)하고,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서 오디오 신호를 제거한 비디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상기 역다중화기(309)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역다중화기(309)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의 두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한 후 상기 오디오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타스크로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타스크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다중화기(309)에서 역다중화된 방송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퍼 또는 타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305)와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에서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305)의 기능을 포함하여 단일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305)와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의 기능을 상기 역다중화기(309)에 포함하여 장치 구성을 간략화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장치의 구성을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307)는 상기와 같이 기존/현재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컨텐츠 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파일 등을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바람직하게는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TV 등의 외부 기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2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복호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오디오 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음향 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상기 영상과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동작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 전환에 따 라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디오의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또는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이동을 요청하면, 기존/현재 방송되고 있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유지하면서 오디오 채널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도 4a 및 도 4b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전체화면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부분화면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공 방식은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동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중에,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특정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4a는 한개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배경화면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화면으로 제공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제공 시, 현재 메인이 되는 방송 채널이 오디오 채널임을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오디오 채널의 채널정보 또는 곡/가수 정보 및 다음 방송의 오디오 정보 등과 같은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합성 처리하여 상기 도 4a와 같은 화면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거나, 알파블랜딩 처리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 일측 예컨대, 상단/하단에 별도의 창을 통해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중에,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부분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도 4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분리된 형태의 여러 개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4b에서는 상기 분할된 형태의 각 화면을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분리된 다수개의 화면을 통해 다중 비디오 채널에서 방송되는 각각의 비디오 데이터들을 분리된 각 화면에서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분리된 화면에서 소정의 어느 한 화면만을 통해 어느 하나의 비디오 채널에서 방송되는 비디오 데이터만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분리된 화면에서 소정의 어느 한 화면만을 통해 다중 비디오 채널에서 방송되는 각각의 비디오 데이터들을 랜덤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 이상의 비디오 채널에서 방송되는 소정 또는 다수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분할된 각각의 화면을 통해 랜덤(random)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어느 하나의 화면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랜덤/순차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영상이 제공되는 소정 화면은 활성화하고, 나머지 채널/화면은 정지영상 또는 빈 화면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 화면 제공 시, 현재 메인이 되는 방송 채널이 오디오 채널임을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오디오 채널의 채널정보 또는 곡/가수 정보 및 다음 방송의 오디오 정보 등과 같은 해당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합성 처리하여 상기 도 4b와 같은 화면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하거나, 알파블랜딩 처리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화면 일측 예컨대, 상단/하단에 별도의 창을 통해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상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설정 화면의 예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도 4c는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화면을 설정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예컨대, <오디오 방송 배경화면>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4c에서 <Video 방송 채널> 항목을 체크하여 설정하면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도 4c에서 <Video 방송 다채널> 항목을 체크하여 설정하면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형태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B 서비스에 따른 특정 비디오 채널 의 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미연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방송 데이터 등을 사용자 설정에 의해 배경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전환 시, 또는 오디오 채널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일반적인 채널전환 화면 예컨대, 블랭크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이전/현재 방송하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사용자 컨텐츠를 계속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존 방식에서는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 전환 시, 또는 오디오 채널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정지 영상 또는 블랭크 화면만을 오디오 채널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에 기존/현재 방송되고 있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오디오 방송을 청취하면서 동시에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제공 시,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제거하고 비디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함께 배경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 이동시, 또는 오디오 채널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오디오 채널의 방송과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을 동시에 할당(assign)한다. 또한 역다중화기에서는 상기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의 두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한 후 오디오 채널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 디오 타스크에 전송하도록 처리하고, 비디오 채널에 해당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타스크에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c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에 한개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들을 배경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데이터들을 전체화면 또는 다수개의 분할된 부분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에 의한 키 이벤트 등에 비디오 채널 간의 전환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의 전환 장치 및 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예들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 전환 및 그에 상응하여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동작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DMB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면 503단계 내지 5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3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DMB 서비스가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505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DMB 서비스가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인 지를 판단한다.
상기 50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요청되면, 5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3단계에서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여, 소정의 DMB 방송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서비스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해당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51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형식이라 함은, 예컨대, 위성 DMB 서비스 또는 지상파 DMB 서비스에 따른 구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요청되면, 509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여, 소정의 DMB 방송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서비스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해당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형식이라 함은, 예컨대, 위성 DMB 서비스 또는 지상파 DMB 서비스에 따른 구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523단계에서와 같이 오디오 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상기 509단계에서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중 511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이전/현재 제공중인 특정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한 후 5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5단계에서는 상기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의 두 채널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 하고 5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7단계에서는 상기 역다중화된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원을 제거한 비디오 데이터만을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배경화면으로 표시한 후 5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9단계에서는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52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제공되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에, 현재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 또는 분할된 형태의 화면을 통해 상기 오디오 채널의 채널정보, 곡 정보, 가수 정보 및 다음 오디오 방송 정보 등과 같은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는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에 오버레이 방식, 알파블랜딩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 팝업 방식 등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503단계 및 505단계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요청이 아니면, 5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 요청이 DMB 서비스가 아닌 경우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와 같이 요청되는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 DMB 서비스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절차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5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 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5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509단계에서 제공중인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DMB 서비스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절차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 방송 청취 또는 비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전환 시,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와 함께 이전/현재 방송하는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특정/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지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LCD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LCD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2)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수신되는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가 제거된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에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은 비디오 채널의 방송 중 어느 한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화면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은 비디오 채널의 방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들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할화면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DMB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요청되는 DMB 서비스의 유형을 판단하는 과정과,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요청되면, 설정에 따른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과,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가 요청되면, 요청에 따른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중 채널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특정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요청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 제공은,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의 두 채널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 하는 과정과,
    상기 역다중화된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원을 제거한 비디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요청되는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에 현재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의 오디오 방송 정보를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정보는,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에 오버레이 방식, 알파블랜딩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소정 방송센터에서 이전 또는 현재 방송되는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가 제거된 비디오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미리 설정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중 어느 한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화면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들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할화면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1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변경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는 화면 구성 방식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DMB 서비스 형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송 서비스에 관련/매핑된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소정 출력부를 통해 개별 또는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DMB 서비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은,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오디오/비디오 정보, 채널 정보 및 방송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인식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 상기 판단 정보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채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상기 DMB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설정 정보의 변환 및 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소정의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되는 다중화된 방송신호를 소정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RF)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RF 처리부를 통해 변환된 신호로부터 요청되는 방송 채널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DMB 수신모듈과,
    상기 DMB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 하고, 채널전환을 위한 소정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하여 처리하는 채널전환 제어수단과,
    상기 역다중화한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센터의 부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영상, 문자,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 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제어수단은,
    상기 DMB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 하는 역다중화기와,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요청 또는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른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채널전환 판단부와,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하고,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서 비디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채널전환 처리부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제어수단은 상기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의 두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한 후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버퍼로 전 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제어수단은 이전/현재 방송되는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컨텐츠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동시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외부 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와,
    복호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음향 처리부와,
    상기 처리되는 영상/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에 현재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의 오디오 방송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비디오 채널의 방송 중 어느 한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들을 전체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화면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되는 다중화된 방송신호를 소정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RF) 처리하는 RF 처리부와,
    상기 RF 처리부를 통해 변환된 신호로부터 요청되는 방송 채널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DMB 수신모듈과,
    상기 DMB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 하고, 채널전환을 위한 소정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하여 처리하는 채널전환 제어수단과,
    상기 역다중화한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센터의 부호화 방식에 상응하는 복호화 방식으로 복호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제어수단은,
    상기 DMB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 하는 역다중화기와,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요청 또는 비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로의 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른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채널전환 판단부와,
    상기 채널전환 판단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할당하고, 상기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서 비디오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채널전환 처리부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기는 상기 오디오 채널과 비디오 채널의 두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한 후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버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처리부는 이전/현재 방송되는 특정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컨텐츠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와 동시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제어수단은,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채널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상기 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상에 현재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의 오디오 방송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전환 제어수단은, 비디오 채널의 방송 중 어느 한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또는 다중 비디오 채널의 방송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들을 전체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화면을 통해 배경화면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KR1020060032598A 2006-04-11 2006-04-1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82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598A KR100826156B1 (ko) 2006-04-11 2006-04-1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EP07004567A EP1868359A3 (en) 2006-04-11 2007-03-06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US11/715,674 US20070288954A1 (en) 2006-04-11 2007-03-08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CNA2007100884642A CN101056413A (zh) 2006-04-11 2007-03-27 数字多媒体广播服务中的音频通道的壁纸设置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598A KR100826156B1 (ko) 2006-04-11 2006-04-1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505A KR20070101505A (ko) 2007-10-17
KR100826156B1 true KR100826156B1 (ko) 2008-04-30

Family

ID=3865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598A KR100826156B1 (ko) 2006-04-11 2006-04-1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88954A1 (ko)
EP (1) EP1868359A3 (ko)
KR (1) KR100826156B1 (ko)
CN (1) CN1010564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1497A (ja) * 2007-06-04 2008-12-11 Mun-Hak An 携帯電話及びその機能実行方法
US8789089B2 (en) * 2007-12-03 2014-07-22 Lawrence J. Koncelik, Jr. Setting television or radio default channel
US9020167B2 (en) 2007-12-03 2015-04-28 Lawrence J. Koncelik, Jr. Setting television or radio default channel
WO2009076556A1 (en) * 2007-12-11 2009-06-18 Mywaves, Inc. Method for slideshows, thumbpapers, and cliptones on a mobile phone
US8150956B2 (en) * 2009-02-09 2012-04-03 Cfph, Llc Mobile gaming alert
US10080061B1 (en) 2009-12-18 2018-09-18 Joseph F. Kirley Distributing audio signals for an audio/video presentation
CN103167347B (zh) 2011-12-12 2018-0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电视节目音视频重新搭配的方法和系统
CN103513926A (zh) * 2012-06-25 2014-01-15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动态桌布显示方法及新视频信息显示方法与手持移动系统
KR101603254B1 (ko) * 2014-09-01 2016-03-14 주식회사 솔브원 다중 영상 재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34897B1 (ko) * 2015-01-23 2016-07-08 주식회사 아이리버 음원 관련 영상제공 시스템과 방법
CN106162333A (zh) * 2016-07-29 2016-11-23 王晓光 视频广告的音频控制方法及系统
CN108347642B (zh) * 2018-01-22 2019-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移动终端
CN110557230B (zh) * 2018-06-01 2022-09-23 国广融合(北京)传媒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单向广播和双向网络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N110248237B (zh) * 2019-07-04 2021-09-28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451855B1 (en) 2020-09-10 2022-09-20 Joseph F. Kirley Voice interaction with digital signage using mobi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3906A1 (en) 2000-07-10 2002-08-22 Yukiko Katoh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20060099966A (ko) * 2005-03-15 2006-09-20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수신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128260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전문 채널 수신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5813A (en) * 1987-12-11 1989-08-08 Russell David P Television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capture, merge and display capability
US5583560A (en) * 1993-06-22 1996-12-10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visual interface for the selective display of listing information on a display
US5903816A (en) * 1996-07-01 1999-05-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like stills with hyperlinks
US6097383A (en) * 1997-01-23 2000-08-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Video and audio functions in a web television
US6578203B1 (en) * 1999-03-08 2003-06-10 Tazwell L. Anderson, Jr. Audio/video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head mounted displays
US20030038893A1 (en) * 2001-08-24 2003-02-27 Nokia Corporation Digital video receiver that generates background pictures and sounds for games
US6924845B1 (en) * 2001-08-24 2005-08-02 Nokia Corporation Value added digital video receiver
WO2003081878A1 (fr) * 2002-03-27 2003-10-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US20030232593A1 (en) * 2002-06-13 2003-12-18 Nokia Corporation Digital data transfer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paths
KR100526554B1 (ko) * 2003-07-21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시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4171987B2 (ja) * 2004-05-1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記録プログラム
KR100631610B1 (ko) * 2004-11-26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합성장치 및 방법
KR20060115465A (ko) * 2005-05-06 2006-11-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US20070161366A1 (en) * 2006-01-06 2007-07-12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laying active media sound during a c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3906A1 (en) 2000-07-10 2002-08-22 Yukiko Katoh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20060099966A (ko) * 2005-03-15 2006-09-20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수신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128260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전문 채널 수신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8359A3 (en) 2010-08-25
EP1868359A2 (en) 2007-12-19
US20070288954A1 (en) 2007-12-13
KR20070101505A (ko) 2007-10-17
CN101056413A (zh)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1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81834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디지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2911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80773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US774721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data
US9538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KR100783103B1 (ko)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CN1964440A (zh) 在数字广播接收终端上显示壁纸的方法
KR100799671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채널 리스트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693653B1 (ko) 지상파 dmb수신기에 채널 튜닝 시 서비스 맵 구현방법
KR100600790B1 (ko)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KR20100083271A (ko) 휴대 방송 서비스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US2015019561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9294579A (ja) 音声出力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03507B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20100106168A (ko) 비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40107813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035533A (ko) 방송 수신 장치
KR2004010017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0797120B1 (ko)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4009833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신호처리장치
KR20070119952A (ko)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JP2005311759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