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55B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355B1
KR100825355B1 KR1020067023508A KR20067023508A KR100825355B1 KR 100825355 B1 KR100825355 B1 KR 100825355B1 KR 1020067023508 A KR1020067023508 A KR 1020067023508A KR 20067023508 A KR20067023508 A KR 20067023508A KR 100825355 B1 KR100825355 B1 KR 10082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mount
diffusion
path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3162A (en
Inventor
유타카 지아키
šœ지 오타
유이치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5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09G3/204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addition of random noise to an image signal or to a gradation thresho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화상 표시 장치는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서, 움직임량 검출 회로(50), 확산량 연산 회로(52), 및 확산 회로(53)를 갖는다. 움직임량 검출 회로(50)는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以前)의 필드로부터 움직임량을 검출한다. 또한, 확산량 연산 회로(52)는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와 검출된 움직임량에 의거하여,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량을 연산한다. 그리고, 확산 회로(53)는 연산된 확산량에 의해 확산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노이즈 발생이나 회로 규모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의사 윤곽을 저감시켜 동영상 표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67023508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 패스, 표시 패널, 움직임량 검출 회로, 디더 회로

The image display device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and the diffusion calculation circuit 52 ) And a diffusion circuit 53.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detects the motion amount from the current field and the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Further,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circuit 52 calculates a diffusion amount for spreading the pseudo contour noise around based on the gray level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detected motion amount. The diffusion circuit 53 then performs diffusion processing based on the calculated diffusion amount. As a result, the pseudo contour can be reduced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moving picture display can be improved without the occurrence of new noise or the increase of the circuit scale.

Figure R1020067023508

Multi-t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path, display panel, motion detection circuit, dither circuit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1필드(field)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多)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one field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the plurality of subfields are di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performs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in combin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최근 표시 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박형(薄型)의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각종 박형의 표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그대로 표시하는 매트릭스 패널, 즉 PDP 등의 가스 방전 패널이나,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EL(Electro-Luminescence) 표시 소자, 형광 표시관,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매트릭스 패널 등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박형의 표시 장치 중, 가스 방전 패널은 간편한 프로세스 때문에 대화면화가 용이한 것, 자발광 타입으로 표시 품질이 양호한 것, 및, 응답 속도가 빠른 것 등의 이유로 대화면으로 직시형의 HDTV(고품위 텔레비전)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실용화에 이르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a thin display device is required, and various thin display devices are provided. For example, a matrix panel that displays a digital signal as it is, that is, a gas discharge panel such as a PDP, a matrix panel such as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an E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ement, a fluorescent display tube,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r the like is provided. It is. Among such thin display devices, the gas discharge panel is easy to display on a large screen because of a simple process, a good display quality with a self-luminous type, and a fast response speed. It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as a display device for use.

예를 들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필드(프레임) 내에 복수의 유지 방전 펄스(서스테인 펄스)에 의해 구성되는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SF: 발광 블록)를 설치하고, 각 서브 필드를 점등 또는 비(非)점등으로 함으로써, 다계조 제어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을 제어하여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동화상의 윤곽부에 가짜(僞) 윤곽(의사(擬似) 윤곽) 노이즈가 발생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의사 윤곽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For example, a plasma display device installs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SF: light emitting block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ustain discharge pulses (sustain pulses) in each field (frame), and turns each subfield on or off. By turning it on (non-lighting), image display is performed by multi-gradation control. In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controls the lighting / non-lighting of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performs multi-gradation display, false contour (pseudo contour) noise is generated in the contour portion of a moving image, and therefore, pseudo-configuration is simple. It is desired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reducing the outline.

종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EL 표시 장치 등에서, 1필드를 소정의 휘도비(가중)인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소정 가중의 서브 필드 단위로 화상 표시 셀마다 점등 상태 또는 비점등 상태로 부호화하며, 다계조화 제어하여 화상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화면 크기나 화소 수 또는 실제로 표시되는 영상(화상)에도 기인하지만, 화상 표시 장치를 보고 있는 사람(시청자)은 표시 패널 중을 임의의 속도를 초과하여 움직이고 있는 목표물을 시선으로 쫓아갔을 경우, 의사 윤곽을 인식하게 된다.In a conventional plasma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E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one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having a predetermined luminance ratio (weighting), and a lighted state or a non-lighted state for each image display cell in units of a predetermined weighted subfield.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device (multi-gradation image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encoding by multi-gradation control and performing image display. In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such one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the plurality of subfields are combined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panel, the number of pixels, or the image actually displayed ( Image), the person (viewer) who sees the image display device recognizes the pseudo contour when the user moves the target object moving over an arbitrary speed in the display panel.

이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수법으로서는, 디더법(dither method)이나 중첩법 또는 패스 전환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고, 반대로 디더법이나 중첩법에서는 해치(hatch) 형상의 노이즈가 나타나거나, 또한 패스 전환법에서는 서브 패스의 오차 확산에 의한 입상(粒狀) 노이즈가 나타나는 부작용이 생기기도 했었다.A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pseudo contour, a dither method, a superposition method, or a path switching method has been proposed, but it cannot be satisfactorily satisfied. On the contrary, the dither method or the superposition method has a hatch shape. In some cases, the side effects of noise appearing and granular noise due to the error diffusion of the sub-paths have occurred.

종래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플리커(flicker)의 발생을 수반하지 않고 의사 윤곽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1필드 기간 내에서 각 서브 필드 기간의 서스테인 기간을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하고, 표시 패널 상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0∼N까지의 휘도 레벨로 N+1 계조의 표현을 행하도록 한 화상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wherein pseudo contour noise is generated without generation of flicker. To prevent the problem, the sustain period of each subfield period is set to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within one field period, and on the display panel, an image in which the image data is expressed with N + 1 gradations at luminance levels of 0 to N. A display apparatus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또한, 종래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의사 윤곽 노이즈 발생 가능성을 노이즈량으로서 구하고, 그 노이즈량의 값에 의거하여 화상에서 의사 윤곽의 발생이 예측되는 영역에 대하여 의사 윤곽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확산 처리를 행하도록 한 화상 표시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Further,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conventional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wherein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pseudo contour noise is obtained as the amount of noise, and There has also been proposed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a diffusion process for reducing pseudo contour noise is performed on a region where occurrence of pseudo contours is predicted in an image based on the value of the noise amount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또한, 종래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패턴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여 동영상 표시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 표시 화상 중 중첩법에 따른 휘도 가중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1개만이 점등하는 계조의 화소로, 또한 인접 화소 사이의 휘도 구배(勾配)가 설정 범위 내의 값인 영역에 한정되어 중첩법을 적용하도록 한 화상 표시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Further,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conventional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which reduces pseudo contours and suppresses occurrence of pattern noise.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the moving picture display, an area of gray level in which only one of a plurality of subframes having the same luminance weighting according to the superimposition method is lit, and an area in which the luminance gradient between adjacent pixels is a value within a setting range.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uperimposi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3, for example).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10-03145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031455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평11-23182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1-231827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2002-372948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372948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의사 윤곽의 문제가 있었다.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수법으로서는, 디더법이나 중첩법 또는 패스 전환법이 알려져 있지만, 예를 들어 중첩법에서는 그 중첩의 부작용으로서 움직이고 있는 영상에서 해치 형상의 노이즈가 인식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해치 형상의 노이즈는 영상이 천천히 움직이고 있는 경우는 인식되지만, 비교적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경우는 인식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이것은 영상이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화소에 걸쳐 시선이 이동하기 때문에, 해치 형상의 노이즈가 제거되게 되기 때문이라고 고려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of pseudo contour in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one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the plurality of subfields are combined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A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pseudo contour, a dither method, a superposition method, or a path switching method is known. For example, in the superposition method, a hatch-shaped noise is recognized in a moving image as a side effect of the superposition. This hatch-shaped noise is recognized when the video is moving slowly, bu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when the video is moving relatively fast.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 line of sight moves across a plurality of pixels when the video is moving fast, so that hatch-shaped noise is removed.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메인 패스와 서브 패스를 전환함으로써 의사 윤곽을 방지할 수 있지만, 동화상에서 동영상 영역이 크게 움직임의 속도에 상관없이 서브 패스의 오차 확산에 의한 노이즈가 두드러지고, 또한 서브 패스와 메인 패스의 전환 쇼크(메인 패스의 부드러운 계조 표현에 대한 서브 패스의 오차 확산의 입상 노이즈)가 크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화상으로서의 위화감을 주기도 했었다.In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1, the pseudo contour can be prevented by switching the main path and the sub path, but the noise due to the error diffusion of the sub path is prominent regardless of the speed of motion of the moving image area in the moving image, and the sub path Since the switching shock between the main path and the main path (the granular noise of the error diffusion of the sub-path with respect to the smooth gradation representation of the main path) was large, the viewers were also uncomfortable as an image.

또한, 특허문헌 2는 의사 윤곽 노이즈 검출 장치에 의한 예측 결과에 의거하여, 의사 윤곽 노이즈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의사 윤곽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것이지만, 움직임 검출기의 출력을 기초로 한 의사 윤곽의 판정기에 의해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된 입력 화상의 각 화소에 대한 주변 화소와의 사이의 화소값의 논리 연산을 서브 필드마다 행하고, 공간적인 의사 윤곽의 발생 장소를 검출하여 의사 윤곽 저감의 변조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 윤곽은 동화상에서, 또한 소정 계조를 표시 구동할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의사 윤곽 노이즈 검출 장치는 필요하지 않고, 움직임량을 검출할 수 있으면 좋으며, 구성이 장황하게 되어 있다.Moreover, although patent document 2 reduces pseudo contour noise in the area | region where pseudo contour noise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based on the prediction result by a pseudo contour noise detection apparatus, determination of the pseudo contour based on the output of a motion detector The logical operation of pixel values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pixels of each pixel of the input imag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is performed for each subfield, and the spatial pseudo-occurrence occurrence location is detected to perform pseudo contour reduction modulation. To do. However, since it is known that th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in the moving picture and when the predetermined gray scale is driven for display, the pseudo contour noise detection device is not necessary, and it is only necessary to be able to detect the motion amount, and the configuration is redundant.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동영상부 특정 계조 중첩법에 의한 해치 형상의 노이즈는 저감될 수 있지만,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영상일지라도 의사 윤곽이 두드러지기 쉬운 것은 상이하기 때문에, 의사 윤곽이 두드러지기 쉬운 영상으로서 중첩시키는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중첩이 행해지지 않고 의사 윤곽이 인식되게 된다. 또한, 의사 윤곽이 두드러지기 어려운 영상일지라도 중첩시키는 판정 임계값을 초과해 버린 경우에는, 중첩이 행해져 해치 형상의 노이즈가 인식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해치 형상의 노이즈의 강도(强度)는 제어할 수 없고, 점등 패턴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것이다.Moreover, in patent document 3, although the hatch-shaped noise by the moving part specific gradation superimposition method can be reduced, even if it is an image moving at the same speed, a pseudo outline is easy to stand out. If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o be superimposed is not exceeded, superimposi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pseudo outline is recognized. In addition, even if the pseudo contour is difficult to stand out, whe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o be superimposed is exceeded, superimposition may be performed and a hatch-shaped noise may be recognized. The intensity of this hatch-shaped noise cannot be controlled and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ighting pattern.

이와 같이,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의 수법은 모두 의사 윤곽이 발생되는 장소를 검출하여, 거기에 변조를 부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커져 비용도 높아지게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법에서는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부작용으로서 새로운 노이즈가 발생된다는 문제도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reducing pseudo contours detect a place where pseudo contours are generated and add modulation thereto. Therefore, the circuit size is increased and costs are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new noise is generated as a side effect of reducing the pseudo contour.

본 발명은 상술한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새로운 노이즈 발생이나 회로 규모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의사 윤곽을 저감시켜 동영상 표시의 화질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for reducing the pseudo contour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image quality and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moving image display without involving new noise generation or increasing circuit scal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以前)의 필드로부터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량에 의거하여,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회로와, 그 확산량 연산 회로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and performs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comprising: a current field from an input image signal. And a motion amount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a motion amount from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and a diffusion amount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surroundings based on the gray level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detected motion amount.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for calculating a and a diffusion circuit for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with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와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치 회로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을 출력하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와,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회로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량과 상기 검출된 레벨량에 의거하여 소정의 설정값과 비교하며, 동영상 영역에서, 또한 의사 윤곽 발생 강도가 강한 계조를 판정하는 서브 패스 판정 회로와, 그 서브 패스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에 의해, 상기 패스 스위치 회로를 상기 메인 패스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서브 패스의 출력으로 전환하는 서브 패스 스위치와,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회로와, 상기 움직임량과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회로와, 그 확산량 연산 회로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패스 스위치와 상기 확산량을 제어하여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predetermined gray level is obtained from an input image signal. A path switch circuit which switches and outputs one of a main path for generating a number of signals, 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lower gradation number than the main path, and one of a signal for generating the main path and a signal for generating the sub path; And a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n area moving between the current field and the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 motion amount which is a moving amount, and a video pseudo contour is generated by the main path. A level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the level amount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in the case of being made; and the detected motion amount and the The pass switch circuit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based on the level level, and the sub-pass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es a gray scale having a strong pseudo contour generating intensity in the moving picture area, and the pass switch circu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ub-pass determination circuit. A sub-pass switch for switching the output from the output of the main path to the output of the sub-path, and a diffusion coefficient for generating a diffusion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diffusion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around A generation circuit, a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circuit that calculates a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movement amount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a diffusion circuit which performs a diffusion process with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circuit,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a pseudo contour by controlling a switch and the diffusion amount. Ball.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확산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처리 패스와,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치 회로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을 출력하는 움직임 검출 회로와,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회로와, 검출된 상기 움직임량과 검출된 상기 레벨량을 소정의 설정값들과 비교하며, 동영상 영역에서 의사 윤곽 발생 강도가 강한 계조를 판정하는 패스 전환 판정 회로와, 상기 패스 전환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에 의해, 상기 패스 스위치 회로를 상기 메인 패스의 출력, 상기 서브 패스의 출력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출력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패스 전환 회로와,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회로와, 상기 움직임량과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회로와, 그 확산량 연산 회로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패스 전환 회로와 상기 확산량을 제어하여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and performs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predetermined gray level is obtained from an input image signal. A main path for generating a number of signals, 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lower gradation number than the main path, a diffusion processing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subjected to diffusion processing on the input image signal, and generation of the main path A path switch circuit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 signal, a generation signal of the subpath, and a generation signal of the diffusion process path, and an area moving between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 motion detection circuit which detects and outputs a motion amount which is a moving amount and the main path A level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the level amount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when an imag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and comparing the detected motion amount and the detected level amount with predetermined set values, and generating a pseudo contour in the video region. A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a strong gradation and a result of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determine the path switch circuit as one of the output of the main path, the output of the sub path, or the output of the diffusion process path. A path switching circuit for switching, a diffusion coefficient generating circuit for generating a diffusion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surroundings, and based on the motion amount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for calculating the diffusion amount and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Comprising a spreading circuit fo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ep of controlling the switching circuit and the path of the diffusion amount of reducing false contour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하면,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 필드로부터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움직임량 검출 단계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량에 의거하여,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단계와, 상기 연산된 확산량에 의해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image signal is a driv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one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the plurality of subfields are combined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A motion amount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motion amount from the current field and a field previous to the current field, and a diffusion amount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periphery based on the gray level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detected motion amount. A diffusion method calculating step and a diffusion step of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by the calculated diffusion amount are provided.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의하면,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와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칭 단계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을 출력하는 움직임량 검출 단계와,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량과 상기 검출된 레벨량에 의거하여 소정의 설정값과 비교하며, 동영상 영역에서, 또한 의사 윤곽 발생 강도가 강한 계조를 판정하는 서브 패스 판정 단계와, 그 서브 패스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의해 상기 패스 스위칭 단계를 상기 메인 패스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서브 패스의 출력으로 전환하는 서브 패스 스위칭 단계와,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단계와, 상기 움직임량과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단계와, 상기 확산량에 의해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패스 스위치와 상기 확산량을 제어하여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the plurality of subfields are combined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and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ones is input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n image having a main path to be generated, 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lower gradation number than the main path, and a path switching step of switch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generated signal; A dri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otion amount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region moving between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 movement amount that is a moving amount; A level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level amount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when a moving imag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The sub-pass determination step of comparing the output amount with the predetermined set value based on the detected motion amount and the detected level amount, and determining the gradation having a strong pseudo contour generating intensity,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ub-pass determination step. A sub-pass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path switching step from the output of the main path to the output of the sub path, and the diffusion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diffusion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periphery. A diffusion coeffici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efficient, a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motion amount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a diffusion step of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based on the diffusion amount; And the pseudo contour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diffusion amount. The same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의하면, 1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확산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처리 패스와,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칭 단계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을 출력하는 움직임 검출 단계와,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단계와, 검출된 상기 움직임량과 검출된 상기 레벨량을 소정의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동영상 영역에서 의사 윤곽 발생 강도가 강한 계조를 판정하는 패스 전환 판정 단계와, 상기 패스 전환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의해 상기 패스 스위칭 단계를 상기 메인 패스의 출력, 상기 서브 패스의 출력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출력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패스 전환 단계와,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단계와, 상기 움직임량과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단계와, 그 확산량 연산 단계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패스 전환 단계와 상기 확산량을 제어하여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fiel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the plurality of subfields are combined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the display panel, and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gradations is input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 main path to be generated, 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lower gradation number than the main path, a diffusion processing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subjected to diffusion processing on the input image signal, a generated signal of the main path, and the sub A driv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ath switching step of switching and outputting either a path generation signal or a generation signal of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the method comprising: between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 mo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area of motion in the motion path and outputting a motion amount which is a moving amount, A level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level amount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when the moving imag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by the main path; and comparing the detected motion amount and the detected level amount with predetermined setting values, A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gradation having a strong pseudo contour generating intensity in an area, and the path switching step is performed by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step, the output of the main path, the output of the sub path, or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A path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any one of the outputs, a diffusion coefficient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diffusion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surroundings, the motion amount and the A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step Comprising a spreading step of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to the acid amount, and the driv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ep to control the amount of diffusion and the path switch step reducing the false contour is provided.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노이즈 발생이나 회로 규모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의사 윤곽을 저감시켜 동영상 표시의 화질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moving image display by reducing pseudo contours without involving new noise generation or increasing circuit sca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의 다(多)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main path)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 FIG.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움직임량 검출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tion amount detecting circuit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SF 부호화 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SF 변환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F converted data stored in an SF encoding circuit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구동 제어 회로의 구동 시퀀스(sequence)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equence of a drive control circuit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ath (main path) in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second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의 패스에서의 움직임 적응 디더(dither)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in the path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7. FIG.

도 9a는 도 8에 나타낸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에서의 디더량 연산 회로에서 행해지는 1필드 내에서의 디더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9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ther operation in one field performed by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in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shown in FIG. 8; FIG.

도 9b는 도 8에 나타낸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에서의 디더량 연산 회로에서 행해지는 1필드 내에서의 디더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9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ther operation in one field performed by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in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shown in FIG. 8; FIG.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계조와 디더 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0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ation and dither coefficients in the method for driv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계조와 디더 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0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ation and dither coefficients in the method for driv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계조와 디더 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0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ation and dither coefficients in the method for driv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의 패스에서의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in the path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7; FIG.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입력 화상 신호의 움직임량과 연산 움직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12A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amount of calculation mo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입력 화상 신호의 움직임량과 연산 움직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12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amount of calculation mo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입력 화상 신호의 움직임량과 연산 움직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12C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amount of calculation mo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입력 화상 신호의 움직임량과 연산 움직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12D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amount of calculation mo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third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서브 패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ubpaths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 스위치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switch circuit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13; FIG.

도 1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main path) process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7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main path) process in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IG. 18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in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path (main path) in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fourth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5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fifth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메인 패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in path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 스위치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switch circuit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FIG.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확산 패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reading path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도 24는 도 20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5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2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in a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a fifth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도 25는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확산 패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a spread path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FIG.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 영상 신호 입력 단자 2 : 동기(同期) 신호 입력 단자1: Video signal input terminal 2: Synchronous signal input terminal

3 : 다(多)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 4 : 필드(field) 메모리3: multi 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4: field memory

5 : 구동 제어 회로 6 : 타이밍 생성 회로5: drive control circuit 6: timing generation circuit

7 : 표시 패널 10 : 서브 패스(메인 패스)7: Display panel 10: Sub path (main path)

20, 21 : 패스(메인 패스) 22 : 확산 패스20, 21: Pass (main pass) 22: Diffusion pass

30, 31 : 패스 스위치 회로 40 : SF 부호화 회로30, 31: pass switch circuit 40: SF coding circuit

50 : 움직임량 검출 회로 50: motion detection circuit

51 : 디더(dither) 계수 생성 회로 52, 58 : 디더량 연산 회로51: dither coefficient generation circuit 52, 58: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3, 202 : 디더 회로 53, 202: Dither Circuit

54-1∼54-n :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 to 54-n: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

55-1∼55-n :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 to 55-n: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

56-1∼56-n : 디더 계조 비교 회로 57 : 디더 계수 선택 회로56-1 to 56-n: dither gradation comparison circuit 57: dither coefficient selection circuit

100 : 왜곡 보정 회로 101, 200 : 게인 제어 회로100: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101, 200: gain control circuit

102, 201 : 오차 확산 회로 103 : 데이터 정합 회로102, 201: error diffusion circuit 103: data matching circuit

203 : 디더 전환 회로 204 :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3: dither switching circuit 204: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5 :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 300 : 레벨 검출 회로205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300 level detection circuit

301 : 서브 패스 판정 회로 302 : 서브 패스 스위치301: sub-pass determination circuit 302: sub-pass switch

500 : RGB 매트릭스 회로 501 : 에지 검출 회로500: RGB matrix circuit 501: edge detection circuit

502 : 움직임 영역 검출 회로 503 : 움직임량 판정 회로502: motion area detection circuit 503: motion amount determination circuit

531 : 디더량 가산 회로 532 : 디더량 감산 회로531: dither amount addition circuit 532: dither amount subtraction circuit

533 : 수평 카운터 534 : 수직 카운터533: horizontal counter 534: vertical counter

535 : 가감산 선택 회로535: additive subtraction circu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은 디지털 영상(화상) 신호 입력 단자, 2는 수평 동기(同期) 신호, 수직 동기 신호, 표시 기간을 나타내는 표시 기간 신호 및 클록 신호 등의 동기 신호 입력 단자, 3은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 4는 필드 메모리, 5는 구동 제어 회로, 6은 타이밍 생성 회로, 그리고 7은 표시 패널을 나타내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digital video signal input terminal, 2 denotes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a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terminal such as a display period signal indicating a display period and a clock signal, and 3 denotes a multi-system. A harmonic signal processing circuit, 4 is a field memory, 5 is a drive control circuit, 6 is a timing generating circuit, and 7 is a display panel.

필드 메모리(4)는 2필드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고, 1필드분의 데이 터를 기억한 후, 다음 필드 기간에서 그 기억한 1필드분의 동일한 서브 필드(SF)마다 차례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밍 생성 회로(6)는 동기 신호 등의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며,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에 대하여 단자(6T)를 통하여 클록 신호(CLK),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 등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7)은 예를 들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표시 패널이며, 예를 들어 각종 드라이버(예를 들어 3전극 교류 구동형 PDP에서의 X드라이버, Y드라이버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고 있다.The field memory 4 can store image data for two fields, store data for one field, and then sequentially read data for each of the same subfields SF for the stored field in the next field period. It is supposed to be. The timing generating circuit 6 is a circuit for generating various timing signals such as a synchronization signal. The clock generation signal CLK,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the vertical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multi-tone signal processing circuit 3 through the terminal 6T. The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supplied.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7 is a display panel,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for example, and various drivers (for example, X driver, Y driver, and address driver in a 3-electrode AC drive type PDP), etc. It includes.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는 영상 신호 입력 단자(1)로부터 공급된 3원색의 영상 신호(적색:Ri, 녹색:Gi, 청색:Bi) 및 타이밍 생성 회로(6)로부터 단자(6T)를 통하여 공급되는 클록 신호(CLK),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 등을 수취하고, 원색마다 다계조화 처리하여 각각 서브 필드의 점등/비점등의 데이터로 변환된 신호(적색:Ro, 녹색:Go, 청색:Bo)를 필드 메모리(4)로 출력한다.The multi 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receives the terminal 6T from the three primary color image signals (red: Ri, green: Gi, blue: Bi) and the timing generation circuit 6 supplied from the video signal input terminal 1. Receives the clock signal CLK, the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the vertical sync signal Vsync, and the like, which are supplied through the multi-gradation process for each primary color, and is converted into data such as lighting and non-lighting of each subfield (red: Ro, green: Go, blue: Bo) are output to the field memory 4.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는 원색마다(예를 들어 적색:R) 설치된 패스(메인 패스)(20) 및 SF 부호화 회로(40), 움직임량 검출 회로(50)를 구비한다. 움직임량 검출 회로(50)는 3원색의 입 력 영상 신호(입력 화상 신호)(Ri, Gi, Bi) 및 타이밍 신호(동기 신호)(CLK, Hsync, Vsync)를 수취하여,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화소 단위로 현재 필드와 상기 현재 필드보다 이전 필드로부터 움직임량 MV를 검출한다. 패스(20)는 대응하는 원색의 입력 영상 신호(예를 들어 Ri), 타이밍 신호 및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에서 검출된 움직임량 MV를 수취하여 신호 MP를 SF 부호화 회로(40)로 출력한다. SF 부호화 수단(40)은 패스(20)로부터의 신호 MP를 수취하여, 대응하는 원색의 서브 필드마다의 점등/비점등의 데이터로 변환된 신호(예를 들어 Ro)를 출력한다. 이러한 패스(20) 및 SF 부호화 회로(40)는 각 원색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고, 각 원색에 대하여 SF 부호화된 신호 Ro, Go, Bo가 얻어진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path (main path) 20 and the SF encoding circuit 40, which are provided for each primary color (for example, red: R),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is provided.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receives input video signals (input image signals) (Ri, Gi, Bi) and timing signals (sync signals) (CLK, Hsync, Vsync) of three primary colors, and receives pixels from the input video signals. A motion amount MV is detected from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in units. The path 20 receives the input vide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primary color (for example, Ri), the timing signal, and the motion amount MV detected by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and outputs the signal MP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 The SF encoding means 40 receives the signal MP from the path 20, and outputs the signal (for example, Ro) converted into data of lighting / non-lighting for each subfield of the corresponding primary color. These paths 20 and the SF encoding circuit 40 are provided for each primary color, respectively, and SF-coded signals Ro, Go, and Bo are obtained for each primary color.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이하의 기재는 확산 회로가 디더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패스(20)의 구성은 3원색의 각 신호에 관하여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하에서는 주로 적색(R)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main path) 2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 He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case where the diffusion circuit is a dither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ath | route 20 is the same structure regarding each signal of three primary colors, and it demonstrates mainly using red (R) as an example below.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20)는 게인 제어 회로(200), 오차 확산 회로(201), 디더 회로(202), 디더 전환 회로(203) 및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를 구비하고 있다. 게인 제어 회로(200)는 각 원색의 입력 영상 신호(Ri)를 수취하여 게인 제어를 행하고, 그 게인 제어된 영상 신호를 오차 확산 회로(201)로 공급한다. 오차 확산 회로(201)는 게인 제어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오차 확산 처리를 행하며, 오차 확산 처리가 행해진 신호 MPL을 디더 회로(202) 및 디더 전환 회로(203)로 공급한다.As shown in FIG. 3, the path 20 includes a gain control circuit 200, an error diffusion circuit 201, a dither circuit 202, a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and a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 The gain control circuit 200 receives the input video signal Ri of each primary color and performs gain control, and supplies the gain-controlled video signal to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performs an error diffusion process on the gain controlled video signal, and supplies the signal MPL subjected to the error diffusion process to the dither circuit 202 and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디더 회로(202)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디더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이 디더 회로(202)에 의해 디더량 DL의 디더 처리가 행해진 신호 MPD도 디더 전환 회로(203)로 공급된다.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에서 검출된 움직임량 MV에 의거하여, 그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 이상일 경우에는 『1』을 출력하고, 또한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디더 전환 회로(203)는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의 출력에 따라,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의 출력이 『0』일 시는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을 선택하고, 또한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의 출력이 『1』일 시는 디더 회로(202)의 출력 MPD를 선택하여 패스(20)의 출력 신호 MP로서 SF 부호화 회로(40)로 공급한다.The dither circuit 202 performs conventionally known dither processing. The dither circuit 202 also supplies the signal MPD subjected to the dither processing of the dither amount DL to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outputs &quot; 1 &quot; when the motion amount M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D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detected by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and the motion amount MV is predetermined. If i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D, "0" is output.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selects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when the output of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is "0"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and When the output of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is "1", the output MPD of the dither circuit 202 is selected and supplied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as the output signal MP of the path 20.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량 검출 회로(50)는 RGB 매트릭스 회로(500), 에지 검출 회로(501), 움직임 영역 검출 회로(502) 및 움직임량 판정 회로(503)를 구비하고 있다. RGB 매트릭스 회로(500)는 영상 신호 입력 단자(1)로부터 공급된 3원색의 영상 신호(Ri, Gi, Bi)로부터 휘도 신호(Y)을 생성하여 에지 검출 회로(501) 및 움직임 영역 검출 회로(502)로 공급한다. 움직임량 판정 회로(503)는 에지 검출 회로(501)의 출력 및 움직임 영역 검출 회로(502)의 출력에 의거하여 움직임량 MV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4,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includes an RGB matrix circuit 500, an edge detection circuit 501, a motion area detection circuit 502, and a motion amount determination circuit 503. The RGB matrix circuit 500 generates the luminance signal Y from the image signals Ri, Gi, Bi of the three primary colors supplied from the image signal input terminal 1, thereby generating the edge detection circuit 501 and the motion area detection circuit ( 502). The motion amount determination circuit 503 outputs the motion amount MV based on the output of the edge detection circuit 501 and the output of the motion area detection circuit 502.

여기서, 도 4에서는 움직임량 MV를 휘도 신호(Y)로부터 판정 출력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RGB 매트릭스 회로(500)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각 원색 R, G, B의 신호마다 움직임량을 판정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에지 검출 회로(501), 움직임 영역 검출 회로(502) 및 움직임량 판정 회로(503)가 원색 신호마다 각각 필요해진다.4 shows the case where the motion amount MV is determined and output from the luminance signal Y. Although the RGB matrix circuit 500 is used, the motion amount is determined for each primary color color R, G, and B signal.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In this case, the edge detection circuit 501, the movement area detection circuit 502, and the movement amount determination circuit 503 are required for each primary color signal, respectively.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SF 부호화 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SF 변환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SF 부호화 회로(40)에 기억되어 있는 부호화 변환 데이터 테이블의 내용, 레벨량, 및 확산 계수인 디더 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의 부호 ○는 점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예를 들어 계조 17은 서브 필드 SF1, SF3 및 SF5가 점등되고, 또한 계조 87은 서브 필드 SF1∼SF8이 점등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계조 17에서는 레벨량(LV)이 3으로 설정되고, 또한 계조 87에서는 디더 계수 DK가 2로 설정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디더량 DL은 디더 계수 DK와 소정값 A의 연산(DL=DK×A)에 의해 디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부호화 변환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패스(20)로부터의 신호 MP는 147의 계조로 변환되게 된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F converted data stored in the SF encoding circuit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 and contents and levels of the encoded conversion data table stored in the SF encoding circuit 40. FIG. And an example of the dither coefficient which is a diffusion coefficient. In addition, the symbol (circle) in FIG. 5 represents lighting. Specifically, in Fig. 5, for example, the gradation 17 represents the form in which the subfields SF1, SF3 and SF5 light up, and the gradation 87 represents the subfields SF1 through SF8 illuminate. 5, the level amount LV is set to 3 in gradation 17, and the dither coefficient DK is set to 2 in gradation 87, and the dither amount DL is an operation of dither coefficient DK and a predetermined value A. In FIG. Dither processing is performed by (DL = DK × A). Then, the encoded MP data table shown in FIG. 5 converts the signal MP from the path 20 to 147 gray levels.

여기서, 도 5에서, SF는 구동 제어 회로(5)에 의해 구동되는 순서를 나타내고, SF1은 최초로 구동되는 서브 필드이며, SF2는 2번째로 구동되는 서브 필드이고, SF9는 9번째로 구동되는 서브 필드이며, 그리고 SF10은 마지막으로 구동되는 서브 필드이다. 또한, 각 서브 필드 SF1∼SF10에는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으며, SF1:SF2:SF3:SF4:SF5:SF6:SF7:SF8:SF9:SF10=1:2:4:8:12:16:20:24:28:32로 되는 가 중치 부여가 되어 있다. 이 각 서브 필드 SF1∼SF10의 가중치 부여는 서브 필드 사이의 발광량의 비(比)에 대응하고, 예를 들어 패스(20)의 게인 제어 회로(200)로 공급되는 입력 영상 신호(Ri)의 계조 수가 9비트에서 최대 계조 511이었을 경우에는, 게인 제어 회로(200)에서 147/511배로 하는 게인 제어가 행해진다.Here, in FIG. 5, SF indicates an order of driving by the drive control circuit 5, SF1 is a first subfield driven, SF2 is a second subfield driven, and SF9 is a ninth driven subfield. Field, and SF10 is the last driven subfield. In addition, each subfield SF1 to SF10 is given a weight, and SF1: SF2: SF3: SF4: SF5: SF6: SF7: SF8: SF9: SF10 = 1: 2: 4: 8: 12: 16: 20: 24 There is a weighting factor of 28:32. The weighting of each of the subfields SF1 to SF10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between the subfields, and for example, the gray level of the input video signal Ri supplied to the gain control circuit 200 of the path 20. When the number is 9 bits and the maximum gradation 511, the gain control is performed by the gain control circuit 200 to 147/511 time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구동 제어 회로(5)의 구동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equence of the drive control circuit 5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시퀀스는 예를 들어 1필드를 10개의 서브 필드 SF1∼SF10으로 분할하고, 표시 셀마다 발광하는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각 서브 필드 SF1∼SF10은 각각 전체 표시 셀을 초기화하는 리셋 기간(TS)과, 전체 표시 셀을 표시하는 화상에 대응한 상태로 설정하는 어드레스 기간(TA)과, 설정된 상태에 따라 각 표시 셀을 발광시키는 서스테인 기간(유지 방전 기간)(TS)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서브 필드 SF1∼SF10의 서스테인 기간(서스테인 펄스 수)은 서브 필드 사이의 발광량(가중치 부여)의 비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SF1:SF2:SF3:SF4:SF5:SF6:SF7:SF8:SF9:SF10=1:2:4:8:12:16:20:24:28:32로 되는 가중치 부여의 비에 따라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서브 필드 SF1∼SF10에서의 리셋 기간(TR), 어드레스 기간(TA) 및 서스테인 기간(TS)은 타이밍 생성 회로(6)에 의해 생성된다.As shown in Fig. 6, in the driving sequence, for example, one field is divided into ten subfields SF1 to SF10, and display is performed by combining subfields that emit light for each display cell. Each subfield SF1 to SF10 has a reset period TS for initializing all display cells, an address period TA for setting to a state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ing all display cells, and each display cell in accordance with the set state. And a sustain period (sustain discharge period) TS for emitting light. Here, the sustain period (number of sustain pulses) of each subfield SF1 to SF10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weighting) between the subfield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F1: SF2: SF3: SF4: SF5: SF6: SF7: SF8: SF9: SF10 = 1: 2: 4: 8: 12: 16: 20: 24: 28: 32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ighting ratio. In addition, the reset period TR, the address period TA, and the sustain period TS in each of the subfields SF1 to SF10 are generated by the timing generating circuit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2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ath (main path) 2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3의 비교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제 2 실시예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에서의 패스(2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의 디더 회로(202), 디더 전환 회로(203) 및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 대신에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게인 제어 회로(200) 및 오차 확산 회로(201)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comparison of Figs. 7 and 3, the path 2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dither circuit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Instead of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and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a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s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gain control circuit 200 and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are the same as above-mentione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의 출력인 움직임량 MV에 따라 디더량을 가변시켜 신호 MP를 필드 메모리(40)로 출력한다.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varies the dither amount according to the motion amount MV, which is the output of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and outputs the signal MP to the field memory 40.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의 패스(20)에서의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n the path 20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는 디더 계수 생성 회로(51), 디더량 연산 회로(52) 및 디더 회로(53)를 구비하고 있다. 디더 회로(53)는 디더량 가산 회로(531), 디더량 감산 회로(532), 수평 카운터(533), 수직 카운터(534) 및 가감산 선택 회로(535)로 구성되어 있다.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영상 신호) MPL은 디더 계수 생성 회로(51), 디더량 가산 회로(531), 디더량 감산 회로(532) 및 가감산 선택 회로(535)로 공급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ncludes a dither coefficient generating circuit 51, a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2, and a dither circuit 53. The dither circuit 53 is composed of a dither amount adding circuit 531, a dither amount subtracting circuit 532, a horizontal counter 533, a vertical counter 534, and an addition subtraction selecting circuit 535. The output signal (video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is supplied to the dither coefficient generating circuit 51, the dither amount adding circuit 531, the dither amount subtracting circuit 532, and the addition subtraction selecting circuit 535. .

디더 계수 생성 회로(51)는 확산시키기 위한 디더를 적응하고자 하는 강도의 비율로, 소위 변조량으로 임의의 디더 계수 DK를 디더량 연산 회로(52)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에 대하여 소정 변조량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더량 연산 회로(52)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의 출력인 움직임량 MV와 디더 계수 DK에 의거하여 확산량인 디더량 DL을 연산하고, 디더량 가 산 회로(531) 및 디더량 감산 회로(532)로 출력한다. 또한, 디더량 연산 회로(52)에서의 디더량 DL 연산은 DL=MV×DK에 의해 행하며, 그 연산된 디더량 DL을 디더 회로(53)로 출력한다.The dither coefficient generating circuit 51 outputs an arbitrary dither coefficient DK to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2 in a so-called modulation amount as a ratio of the intensity to which the dither to diffuse is adapted. Here, as shown in Fig. 5, the predetermined modulation amount may be output for the gray scale. The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2 calculates the dither amount DL, which is the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dither coefficient DK output from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and subtracts the dither amount adding circuit 531 and the dither amount. Output to circuit 532. The dither amount DL calculation in the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2 is performed by DL = MV × DK, and outputs the calculated dither amount DL to the dither circuit 53.

디더량 가산 회로(531)는 신호 MPL에 대하여 디더량 연산 회로(52)에서 연산된 디더량 DL을 가산하고, 또한 디더량 감산 회로(532)는 신호 MPL에 대하여 디더량 연산 회로(52)에서 연산된 디더량 DL을 감산한다. 가감산 선택 회로(535)는 수평 카운터(533) 및 수직 카운터(534)의 출력에 따라, 디더량 가산 회로(531)의 출력 신호, 디더량 감산 회로의 출력 신호, 또는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신호 MP를 출력한다.The dither amount adding circuit 531 adds the dither amount DL calculated by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2 to the signal MPL, and the dither amount subtracting circuit 532 adds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2 to the signal MPL. The calculated dither amount DL is subtracted. The addition / subtraction selection circuit 535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dither amount addition circuit 531, the output signal of the dither amount subtraction circuit, or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s of the horizontal counter 533 and the vertical counter 534. Any one of the output signals MPL is selected and the signal MP is output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나타낸 디더 회로(202)나 도 8에 나타낸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에서의 디더량 연산 회로(52)에서 행해지는 1필드 내에서의 디더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디더 연산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도 9a는 수평 방향으로 +DL과 -DL을 반복하고, 또한 수직 방향에서도 +DL과 -DL을 반복하고 있다. 또한, 도 9b는 2×2의 4화소를 1블록으로 하고, 1블록 내에 +DL과 -DL이 1개씩 포함되는 소정 규칙에 의해, +DL과 -DL을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1블록의 크기는 2×2의 4화소 한정되지 않아, 더 커도 되고, 디더를 가감산하는 +DL과 -DL의 총합이 0(zero)로 되면 된다.9A and 9B are for explaining the dither operation in one field performed by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2 in the dither circuit 202 shown in FIG. 3 or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shown in FIG. It is a figure and shows the result of a dither calculation. Here, Fig. 9A repeats + DL and -D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 DL and -DL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9B, four pixels of 2x2 are used as one block, and + DL and -DL are switch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in which one + DL and one -DL are included in one block. The size of one block is not limited to 4 pixels of 2x2, and may be larger, and the sum of + DL and -DL for adding and subtracting dither may be zero.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계조와 디더 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a는 계조에 대하여 디더 계수 DK가 고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b는 계조에 대하여 디더 계수 DK 가 비례 관계일 경우를 나타내며, 그리고 도 10c는 계조에 대하여 디더 계수 DK가 대수(對數) 관계일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10A to 10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ation and dither coefficients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10A shows the case where the dither coefficient DK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gray scale, FIG. 10B shows the case where the dither coefficient DK is proportional to the gray scale, and FIG. 10C shows the logarithmic dither coefficient DK with respect to the gray scale. The relationship is shown.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에 대하여 디더 계수 DK를 고정으로 한 경우에는, 회로 규모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0A, when the dither coefficient DK is fixed with respect to gradation, the circuit scale can be kept small.

그런데, 사람의 눈은 휘도가 클수록 휘도 차를 인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계조 3과 계조 14의 휘도 차는 인식할 수 있어도, 계조 140과 계조 141의 휘도 차는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에 대하여 디더 계수 DK를 대수 관계로 하는 것은, 웨이퍼ㆍ페히너의 법칙으로부터 사람 눈의 휘도에 대한 감각은 휘도의 대수에 비례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며, 사람 눈의 휘도에 대한 감각으로는 최적인 것이다. 또한, 이 경우, 디더 계수 자세 회로(51)는 예를 들어 ROM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에 대하여 디더 계수 DK를 비례 관계로 하는 것은, 상술한 도 10a와 도 10c의 중간의 경우에 상당한다.However, since the human eye become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the luminance difference as the luminance increases, for example, even if the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the gray scales 3 and 14 is recognizable, the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the gray scales 140 and the gray scale 141 cannot be recognized. As shown in Fig. 10C, the dither coefficient DK is a logarithmic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gray scale, considering that the sense of the brightness of the human eye is proportional to the logarithm of the brightness from the Wafer-Fahner's law. It is most suitable for a sense. In this case, the dither coefficient attitude circuit 51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 ROM.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B, making the dither coefficient DK proportional to the gray scale corresponds to the case in the middle of FIG. 10A and FIG. 10C described above.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의 패스(20)에서의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는 계조 적응 디더 회로이기도 하다.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n the path 20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shown in FIG. 7.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shown in FIG. 11 is also a gray scale adaptive dither circuit.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는 디더 회로(53), n개의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54-n), n개의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55-n), n개의 디더 계조 비교 회로(56-1∼56-n), 디더 계수 선택 회로(57) 및 디더량 연산 회로(5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디더 회로(53)의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설 명한 것과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1,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ncludes a dither circuit 53, n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s 54-1 to 54-n, and n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s 55-1 to 55-. n), n dither gradation comparison circuits 56-1 to 56-n, a dither coefficient selection circuit 57, and a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8 are provided.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dither circuit 53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는 디더를 적응하고자 하는 1번째 계조를 설정하는 것이고,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2)는 디더를 적응하고자 하는 2번째 계조를 설정하는 것이며, 그리고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n)는 디더를 적응하고자 하는 n번째 계조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는 1번째 계조에서의 디더 계수를 설정하는 것이고,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2)는 2번째 계조에서의 디더 계수를 설정하는 것이며, 그리고 디더 계수 설정 회로(54-n)는 n번째 계조에서의 디더 계수를 설정하는 것이다.The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 54-1 sets the first gradation to which dither is to be adapted, and the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 54-2 sets the second gradation to which the dither is to be adapted, and sets the dither gradation. The circuit 54-n sets the nth gradation to which dither is to be adapted. The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 55-1 sets the dither coefficients in the first gradation, the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 55-2 sets the dither coefficients in the second gradation, and sets the dither coefficients. The circuit 54-n sets dither coefficients in the nth gradation.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5에 나타내는 SF 변환 데이터의 경우,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는 계조 3을 설정하는 동시에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는 디더 계수 『1』을 설정하고,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6)는 계조 43을 설정하는 동시에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6)는 디더 계수 『2』를 설정하며, 그리고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5)는 계조 111을 설정하는 동시에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5)는 디더 계수 『3』을 설정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SF 변환 데이터의 경우, 디더를 적응하는 계조(디더 계수로서, 『1』, 『2』 또는 『3』이 기재된 계조)의 수는 19개(n이 19)이기 때문에, 19개의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54-19),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5∼55-19) 및 디더 계조 비교 회로(56-1∼56-19)가 필요해진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SF conversion data shown in Fig. 5 described above, the dither gray scale setting circuit 54-1 sets gray level 3, and the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 55-1 sets the dither coefficient "1". The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 54-6 sets the gradation 43, while the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 55-6 sets the dither coefficient "2", and the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 54-15 sets the gradation 111. At the same time, the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 55-15 sets the dither coefficient "3". In the case of the SF converted data shown in Fig. 5, since the number of gray scales (the gray scales in which "1", "2" or "3" is written) as the dither coefficient is 19 pieces (n is 19), Nineteen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s 54-1 to 54-19,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s 55-15 to 55-19, and dither gradation comparison circuits 56-1 to 56-19 are required.

여기서, 디더를 적응하는 계조는 의사 윤곽이 인식되기 쉬운 계조이다. 또한, 디더 계수는 디더를 적응하고자 하는 계조에 대하여 디더를 적응하는 강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디더 계수는 『1』, 『2』 또는 『3』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또한, 디더를 적응하는 계조는 적용하는 SF 변환 데이터(구동 시퀀스)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gray scale for adapting dither is a gray scale in which pseudo contours are easi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dither coefficient represents the ratio of the intensity of adapting the dither to the gray scale to which the dither is to be adapted, and the dither coefficient is not limited to "1", "2" or "3". In addition, the gradation to adapt the dither can be variously changed by the SF conversion data (driving sequence) to be applied.

디더 계조 비교 회로(56-1∼56-n)는 대응하는 디더 계조 설정 회로(54-1∼54-n)와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의 입력 신호) MPL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 『1』을 출력하고, 불일치한 경우에는 『O』을 출력한다. 디더 계수 선택 회로(57)는 『1』을 출력하는 디더 계조 비교 회로(56-1∼56-n)에 대응한 신호를 디더량 연산 회로(58)로 출력하고, 디더량 연산 회로(58)는 그 『1』을 출력하는 디더 계조 비교 회로(56-1∼56-n)에 대응하는 디더 계수 설정 회로(55-1∼55-n)에 설정된 디더 계수를 사용하여 디더량 DL 연산을 행한다. 여기서, 디더량 연산 회로(58)에서의 디더량 DL 연산은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d에 나타내는 어느 방법을 적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디더량 연산 회로(58)에서의 디더량 DL 연산은 DL=MVC×DK에 의해 행하며, 그 연산된 디더량 DL을 디더 회로(53)로 출력한다. 즉, 디더량 DL을 연산할 경우, 움직임량 MV를 실용에 입각한 연산 움직임량 MVC로 일단 변환하고, 이 연산 움직임량 MVC를 사용하여 디더량 DL을 구한다.The dither gradation comparison circuits 56-1 to 56-n are output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dither gradation setting circuits 54-1 to 54-n and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input signals of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 The MPLs are compared, and if "1" is matched, "1" is outputted, and if not, "O" is outputted. The dither coefficient selecting circuit 57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ther gray scale comparison circuits 56-1 to 56-n outputting "1" to the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8, and dither amount calculating circuit 58 Performs the dither amount DL operation using the dither coefficients set in the dither coefficient setting circuits 55-1 to 55-n corresponding to the dither gray scale comparison circuits 56-1 to 56-n that output the "1". . Here, the dither amount DL calculation in the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8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any of the methods shown in Figs. 12A to 12D, for example. The dither amount DL calculation in the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8 is performed by DL = MVC x DK, and the calculated dither amount DL is output to the dither circuit 53. In other words, when the dither amount DL is calculated, the motion amount MV is first converted into a practical motion amount MVC based on practical use, and the dither amount DL is obtained using the calculated amount of motion MVC.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입력 화상 신호의 움직임량 MV와 연산 움직임량 MVC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A to 12D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of the input image signal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는 움직임량 MV에 대한 연산 움직임량 MVC의 제 1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연산 움직임량 MVC를 0으로 하고,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 이상일 경우에는 연산 움직임량 MVC를 소정값 DFL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2b는 움직임량 MV에 대한 연산 움직임량 MVC의 제 2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움직임량 MV 및 연산 움직임량 MVC를 비례 관계로 하도록 되어 있다.12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calculation method of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with respect to the motion amount MV. When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D,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is set to 0, and the motion amount MV i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the case of TD or more, the arithmetic motion MVC is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DFL. Fig. 12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calculation method of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with respect to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are in proportional relationship.

도 12c는 움직임량 MV에 대한 연산 움직임량 MVC의 제 3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연산 움직임량 MVC를 0으로 하고,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 이상일 경우에는 움직임량 MV 및 연산 움직임량 MVC를 비례 관계로 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d는 움직임량 MV에 대한 연산 움직임량 MVC의 제 4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연산 움직임량 MVC를 0으로 하고, 움직임량 MV가 소정 임계값 TD 이상일 경우에는 연산 움직임량 MVC를 MV-TD와 비례 관계로 하도록 되어 있다.12C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calculation method of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with respect to the motion amount MV. When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D,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is set to 0 and the motion amount MV i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the case of TD or more,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12D is a diagram showing a fourth calculation method of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with respect to the motion amount MV. When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D,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is set to 0, and the motion amount MV i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the case of TD or more,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is made to be proportional to the MV-TD.

도 13은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참조 부호 10은 서브 패스, 20은 메인 패스, 30은 패스 스위치 회로, 40은 SF 부호화 회로, 그리고 50은 움직임량 검출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을 패스 전환법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a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Fig. 13,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ub path, 20 a main path, 30 a path switch circuit, 40 an SF coding circuit, and 50 a motion detection circuit. That i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3 shows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ath switching method.

도 13과 상술한 도 2의 비교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제 3 실시예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는 원색마다 서브 패스(10) 및 메인 패스(20)를 구비하고, 서브 패스(10) 및 메인 패스(20) 중 어느 한쪽의 출력을 패스 스위치 회로(30)에서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 패스(10)는 입력 화상 신호를 소정의 계조 레벨(예를 들어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 레벨보다도 적은 계조 레벨)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메인 패스(20)는 입력 화상 신호를 실제 표시 계조 레벨로 표시 가능하다. 그리고, 패스 스위치 회로(30)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에서 검출된 움직임량 MV에 따라 서브 패스(10) 또는 메인 패스(20) 중 한쪽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출력한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FIG. 13 and FIG. 2 described above,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subpath 10 and a main path 20 for each primary color, and the subpath 10 And the output of either the main path 20 or the main path 20 are selected by the path switch circuit 30 and supplied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Here, the sub path 10 is for displaying the input image signal at a predetermined gradation level (for example, a gradation level less than the gradation level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main path 20 actually displays the input image signal. Can be displayed in gradation level. The path switch circuit 30 selects an output signal of either the sub path 10 or the main path 20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amount MV detected by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and the SF encoding circuit 40. Will output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서브 패스(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서브 패스 회로(10)는 의사 윤곽이 발생되지 않는 점등 패턴을 사용하여 영상 표현을 하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술한 도 5의 SF 변환 데이터의 경우, 계조 0, 1, 3, 7, 15, 27, 43, 63, 87, 111, 147의 11 계조를 사용하며, 이들 계조 사이는 오차 확산으로 표현한다.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ub path 1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Here, the sub-pass circuit 10 is configured to express the image using a lighting pattern in which pseudo contours are not genera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F conversion data of FIG. 5 described above, gray scales 0, 1, 3, 7, 11 gray scales of 15, 27, 43, 63, 87, 111, and 147 are used, and an error spread between these gray scales is expressed.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패스(10)는 왜곡 보정 회로(100), 게인 제어 회로(101), 오차 확산 회로(102) 및 데이터 정합 회로(103)를 구비하고 있다. 왜곡 보정 회로(100)는 서브 패스(10)의 표현 가능한 계조 수가 휘도량과는 균등하게는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오차 확산 후의 표시 특성과 역함수의 보정을 행하여 전체로서 선형(線形)의 표시 특성을 얻기 위해 보정을 행하는 회로이다. 게인 제어 회로(101)는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게인 계수를 승산하여 후단(後段)의 오차 확산 회로(102)에서 입력 화상 신호의 전역(全域)에 걸쳐 오차 확산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게인 제어 회로(101)는 일반적인 승산기, 또는 ROM 이나 RAM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subpath 10 includes a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100, a gain control circuit 101, an error diffusion circuit 102, and a data matching circuit 103. The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100 does not increase the number of gradations that can be expressed in the subpath 10 evenly with the amount of luminance, so that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fter error diffusion and the inverse function are corrected so that the linear display characteristics as a whole are corrected. It is a circuit which corrects in order to obtain. The gain control circuit 101 multiplies a predetermined gain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input image signal so that the error diffusion circuit 102 at the rear stage can perform error diffusion processing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put image signal. . In addition, the gain control circuit 101 can be comprised with a general multiplier, ROM, or RAM.

오차 확산 회로(102)는 게인 제어 회로(101)를 통하여 얻어지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오차 확산을 행함으로써, 의사적(疑似的)으로 중간조(中間調)를 생성하여 계조 수를 증가시킨다. 데이터 정합 회로(103)는 서브 패스(10)에서의 휘도 레벨을 메인 패스(20)에서의 휘도 레벨로 정합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The error diffusion circuit 102 performs an error diffus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gain control circuit 101, thereby artificially generating halftones to increase the number of grayscales. The data matching circuit 103 is provided for matching the brightness level in the sub path 10 to the brightness level in the main path 20.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 스위치 회로(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h switch circuit 3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 스위치 회로(30)는 레벨 검출 회로(300),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 및 서브 패스 스위치(302)를 구비하고 있다. 레벨 검출 회로(300)는 의사 윤곽이 나오기 쉬운 계조를 화소마다 검출하고, 의사 윤곽이 발생됐을 때의 발생 강도(레벨량) LV를 출력한다.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는 레벨 검출 회로(300)의 출력 LV와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의 출력(움직임량) MV에 의거하여 패스 판정 신호 PSW를 출력한다. 서브 패스 스위치(302)는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로부터 입력된 서브 패스 판정 신호 PSW에 따라, 예를 들어 서브 패스 판정 신호 PSW가 『1』일 경우에는 서브 패스(10)의 출력 SP를 선택하고, 또한 서브 패스 판정 신호 PSW가 『0』일 경우에는 메인 패스(20)의 출력 MP를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15, the pass switch circuit 30 includes a level detection circuit 300, a sub 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and a sub path switch 302. The level detection circuit 300 detects a gray level in which pseudo contours tend to come out for each pixel, and outputs the generated intensity (level amount) LV when a pseudo contour is generated. The sub 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outputs the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based on the output LV of the level detection circuit 300 and the output (movement amount) MV of the movement amount detection circuit 50. The subpath switch 302 selects the output SP of the subpath 10 according to the sub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input from the sub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for example, when the sub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is "1". When the sub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is &quot; 0 &quot;, the output MP of the main path 20 is selected and output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여기서, 패스 판정 신호 PSW는 움직임량 MV가 소정의 값 TMP 이상이고, 또한 레벨량 LV가 소정의 값 TLP 이상일 경우에 『1』을 출력하고, 그리고 움직임량 MV가 값 TMP보다도 작든지, 또는 레벨량 LV가 값 TLP보다도 작을 경우에 『0』을 출력한다. 또한, 값 TMP나 값 TLP는 표시 패널(7)의 화면 사이즈나 화소 수 등에 의해 상이하며, 경험칙에 의해 정한 값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술한 도 5의 SF 변환 데이터에서 레벨량 LV는 계조마다 『0』 내지 『5』의 값이 정해져 있다. 레벨량 LV의 『0』 내지 『5』의 값은 의사 윤곽이 인식될 때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5』는 인식되는 의사 윤곽이 가장 강할 경우의 계조로 설정된다.Here, the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outputs &quot; 1 &quot; when the motion amount M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MP and the level amount L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LP, and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value TMP or level. When the amount LV is smaller than the value TLP, "0" is output. The value TMP and the value TLP differ depending on the screen size,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like of the display panel 7, and use a value determined by the rule of thumb.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SF conversion data of FIG. 5, the value of "0" to "5" is determined for each gray level. The values of "0" to "5" of the level amount LV are numerical values representing the intensity when the pseudo contour is recognized, and "5" is set to the gray level when the pseudo contour recognized is the strongest.

다음으로, 의사 윤곽의 발생 강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화상에서, 그 영상 신호의 인접 화소 사이에서 소정 계조를 걸쳤을 경우, 사람(화상 표시 장치를 보고 있는 사람)은 의사 윤곽을 인식한다. 여기서, 소정 계조란 상하의 계조 사이에서 자릿수 올림이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5의 SF 변환 데이터에서는 계조 4, 8, 16, 28, 44, 64, 88 및 112이다. 이들 계조는 제 1 자릿수 올림 계조이며, 의사 윤곽은 강하게 인식되기 쉽다. 또한, 계조 32, 48, 68, 92 및 120은 제 2 자릿수 올림 계조이며, 의사 윤곽은 인식되기 쉽지만, 의사 윤곽은 제 1 계조만큼 강하지는 않다.Next, the generation intensity of the pseudo outline will be described. In a moving image, when a predetermined gradation is applied between adjacent pixels of the video signal, a person (a person who is looking at an image display device) recognizes a pseudo outline. Here, the predetermined gradation means that there are digi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adations, and for example, the gradations 4, 8, 16, 28, 44, 64, 88, and 112 in the SF conversion data of FIG. These gradations are first-order rounded gradations, and pseudo contours are easily recognized. Incidentally, the gradations 32, 48, 68, 92 and 120 are the second digit raising gradations, and the pseudo outline is easy to be recognized, but the pseudo outline is not as strong as the first grad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서 레벨량 LV는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강도로서 5단계로 나타내고 있고, 계조 44, 64, 88 및 112의 레벨량 LV는 『5』로 되며, 또한 그 1개 위의 계조 45, 65, 89 및 113의 레벨량 LV도 『5』로 되어 있다. 이것은 실제 영상 신호에서 인접 화소 사이에서 자릿수 올림이 있는 경우, 자릿수가 올라간 계조가 상기 계조 44, 64, 88 또는 112라고는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1개 위의 계조의 레벨량 LV도 『5』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5, the level amount LV is represented in five levels as the intensity when a pseudo contour is generated, and the level amounts LV of gradation 44, 64, 88 and 112 are &quot; 5 &quot; The level LVs of the above gray scales 45, 65, 89, and 113 are also "5". This is because when the number of digits is increased between adjacent pixels in the actual video signal, the gradation in which the digits are raised is not limited to the gradation 44, 64, 88, or 112, so that the level amount LV of one gradation is also &quot; 5 &quot;. It is set to.

레벨량 LV의 『1』 이상은 상하 계조로 점등 패턴에서 서브 필드의 자릿수 올림이 있는 계조이며, 레벨량 LV의 『4』, 『3』, 『2』, 『1』도 연속 계조로 동 일한 레벨량으로 되어 있다. 레벨량 LV를 검출하지 않고, 인접 화소 사이에서 자릿수 올림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를 검출할 수도 있다.Levels LV above and above "1" are gradations with the number of digits in the subfield increasing in the lighting pattern, and `` 4 '', `` 3 '', `` 2 '', and `` 1 '' of the level amounts LV are the same as the continuous gradations. It is a level amount. Instead of detecting the level amount LV,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lace where the number of digits is raised between adjacent pixels.

도 1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20)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디더 전환 회로(203) 및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ssing of the path (main path) 2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and includes a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and a dither.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of the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우선, 스텝 110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111로 진행되어 초기화를 행하고,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는 『0』을 출력한다. 또한, 스텝 112로 진행되며, 디더 전환 회로(203)는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스텝 113으로 진행되고, 움직임량 MV를 검출하며, 또한 스텝 114에서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한다. 또한, 디더 계수 DK로서는 상술한 도 10a 내지 도 10c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고, 도 5의 디더 계수일 수도 있다.First, when the processing is started in step 1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 to perform initialization, and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outputs "0".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also selects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Subsequently,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113, where the motion amount MV is detected, and in step 114, the dither amount DL is added and subtracted. As the dither coefficient DK, any of the above-described Figs. 10A to 10C may be applied, or the dither coefficient of Fig. 5 may be used.

또한, 스텝 115로 진행되어 움직임량 MV와 소정 임계값(판정 임계값) TD의 비교를 행한다. 스텝 115에서, 움직임량 MV가 판정 임계값 TD보다도 작다고 판별되면, 스텝 116으로 진행되고,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3)는 『0』을 출력하며, 또한 스텝 117로 진행되고, 디더 전환 회로(203)는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을 선택하여 스텝 113으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115에서, 움직임량 MV가 판정 임계값 TD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스텝 118로 진행되고,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3)는 『1』을 출력하며, 또한 스텝 119로 진행되고, 디더 전환 회로(203)는 디더 회로(202)의 출력 신호 MPD를 선택하여 스텝 113으로 돌아간다. 여기서, 이상의 처 리는 1화소마다 또는 소정 영역마다, 또는 각 원색 신호마다 행해진다. 또한, 디더 전환 회로(203)에서 선택된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 또는 디더 회로(202)의 출력 신호 MPD는 패스(메인 패스)(20)의 출력 신호 MP로서 SF 부호화 회로(40)로 공급된다.In addition, the flow proceeds to step 115, where the motion amount MV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decision threshold) T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5 that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the flow proceeds to step 116,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3 outputs "0", and proceeds to step 117 further, and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 Selects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and returns to step 113.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5 that the movement amount MV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the flow proceeds to step 118, and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3 outputs "1" and proceeds to step 119, and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selects the output signal MPD of the dither circuit 202 and returns to step 113. Here, the above processing is performed every pixel, every predetermined area, or every primary color signal. 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selected by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or the output signal MPD of the dither circuit 202 is the output signal MP of the pass (main path) 20 as the SF encoding circuit 40. Is supplied.

도 17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움직임량 MV와 연산 움직임량 MVC의 관계는 도 12c를 적용한다. 또한, 디더 계수 DK로서는 상술한 도 10a 내지 도 10c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고, 도 5의 디더 계수일 수도 있다.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path (main path) processing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and describes the processing of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t is to. Here, FIG. 12C appli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As the dither coefficient DK, any of the above-described Figs. 10A to 10C may be applied, or the dither coefficient of Fig. 5 may be used.

우선 스텝 120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121로 진행되어 초기화를 행하고, 디더량 DL=0으로 하여 디더량 0의 가감산을 행한다. 즉, 스텝 121에서는 디더량의 가감산은 행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122로 진행되어 움직임량 MV를 검출하고, 또한 스텝 123으로 진행되어 움직임량 MV와 판정 임계값 TD의 비교를 행한다.First, when a process is started in step 120, it progresses to step 121 and initializes, and dither amount 0 is added and subtracted with dither amount DL = 0. That is, in step 121, the dither amount is not added or subtracted. Next, the flow advances to step 122 to detect the motion amount MV, and then proceeds to step 123 to compare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스텝 123에서, 움직임량 MV가 판정 임계값 TD보다도 작다고 판별되면, 스텝 124로 진행되어 연산 움직임량 MVC=0으로 하고, 스텝 126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123에서, 움직임량 MV가 판정 임계값 TD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스텝 125로 진행되어 연산 움직임량 MVC=m×MV를 연산하고, 스텝 126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m은 움직임량 MV와 연산 움직임량 MVC의 비례 계수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23 that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4 where the calculated motion amount MVC = 0,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6.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23 that the movement amount MV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the flow advances to step 125 to calculate the calculation movement amount MVC = m x MV, and proceeds to step 126. Here, m is a proportional coefficient of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그리고, 스텝 126에서는 디더량 DL=DK×MVC를 연산하고, 또한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한다. 또한,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의 출력 신호 MP는 패스(메인 패스)(20)의 출력 신호 MP로서 SF 부호화 회로(40)로 공급된다.In step 126, dither amount DL = DK × MVC is calculated, and dither amount DL is further added and subtracted. The output signal MP of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is supplied to the SF coding circuit 40 as the output signal MP of the path (main path) 20.

또한, 도 17의 플로차트에서, 움직임량 MV와 연산 움직임량 MVC의 관계가 도 12d의 경우, 스텝 125에서의 연산 움직임량 MVC의 연산은 MVC=m×(MV-TD)에 의해 구하게 된다.In the flowchart of Fig. 17,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is in Fig. 12D, the calculation of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in step 125 is obtained by MVC = m × (MV-TD).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메인 패스(2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디더 계수 DK로서는 상술한 도 10a 내지 도 10c 또는 도 5의 디더 계수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고, 또한 움직임량 MV와 연산 움직임량 MVC의 관계는 도 12a 내지 도 12d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다.FIG. 18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3,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of the main path 20. Here, as the dither coefficient DK, any one of the dither coefficients of FIGS. 10A to 10C or 5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is any one of FIGS. 12A to 12D. You may.

우선 스텝 130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131로 진행되어 초기화를 행하고, 디더량 연산 회로(58)(도 11 참조)에 의해 디더량 DL=0으로 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의 출력 신호(패스 판정 신호) PSW를 『0』으로 한다. 다음으로, 스텝 132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고, 서브 패스 스위치(302)는 메인 패스(20)의 출력 신호 MP를 선택한다.First, when the process is started in step 13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31 for initialization, and the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8 (see FIG. 11) sets the dither amount DL = 0 and outputs the sub 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Set the signal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to "0". Next, the flow advances to step 132 to add or subtract the dither amount DL, and the sub path switch 302 selects the output signal MP of the main path 20.

스텝 133에서, 움직임량 검출 회로(50)가 움직임량 MV를 검출하고, 또한 스텝 134에서, 레벨 검출 회로(300)가 레벨량 LV를 검출하며, 스텝 135로 진행되어 레벨량 LV는 0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In step 133, the motion amount detecting circuit 50 detects the motion amount MV, and in step 134, the level detecting circuit 300 detects the level amount LV, and proceeds to step 135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 amount LV is zero. Determine whether or not.

스텝 135에서, 레벨량 LV가 0이라고 판별되든지, 또는 스텝 135에서 레벨량 LV가 0이 아니라고 판별되며, 또한 스텝 136에서 pMV+qLV가 SPsel보다도 작다고 판별되면, 각각 스텝 139로 진행되어 움직임량 MV와 소정 임계값(판정 임계값) TD의 비교를 행한다. 한편, 스텝 135에서 레벨량 LV가 0이 아니라고 판별되고, 또한 스텝 136에서 pMV+qLV가 SPsel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스텝 137로 진행된다. 여기서, 스텝 136의 연산은 pMV+LV일 수도 있다.In step 135, if the level amount LV is determined to be zero or in step 135 it is determined that the level amount LV is not zero, and in step 136 it is determined that pMV + qLV is smaller than SPse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39, respectively, and the motion amount MV is determined.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decision threshold) TD are compar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35 that the level amount LV is not 0, and it is determined in step 136 that pMV + qL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SPsel, the flow proceeds to step 137. Here, the operation of step 136 may be pMV + LV.

스텝 135에서의 레벨량 LV가 0인지의 여부 판정은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에서 행해진다. 또한, 스텝 136에서의 p 및 q는 움직임량 MV 및 레벨량 LV를 연산할 때의 각각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계수이며, 또한 SPsel은 판정 임계값이다. 여기서, pMV+qLV가 크다는 것은, 움직임량 MV가 커서 의사 윤곽이 나오기 쉬운 계조를 나타내고, 이 경우, 서브 패스 스위치(302)는 서브 패스(10)의 출력 SP를 선택한다.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level amount LV in step 135 is zero is performed in the sub path determining circuit 301. In addition, p and q in step 136 are coefficients for taking the respective balances when calculating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level amount LV, and SPsel is a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Here, a large pMV + qLV indicates a gradation in which the pseudo-contour tends to be large due to the large amount of motion MV. In this case, the sub path switch 302 selects the output SP of the sub path 10.

스텝 137에서는, 디더량 DL의 연산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는 『1』의 패스 판정 신호 PSW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 138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스위치(302)는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를 선택하여 스텝 133으로 돌아간다. 즉, 스텝 138에서는, 서브 패스 스위치(302)에서 서브 패스를 선택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디더 전환 회로(203)는 어느 것을 선택해도 영향은 없게 된다. 또한, 스텝 135의 레벨량 LV가 0인지의 여부 판정은 움직임량 MV가 아무리 커도 의사 윤곽이 나오지 않는 계조의 경우, 서브 패스(10)로 전환해도 의미가 없기 때문에(일반적으로, 계조 수가 적은 서브 패스(10)로 전환하면 입상 노이즈가 많아져 화질을 열화(劣化)하기 때문에), 레벨량 LV가 0일 경우에는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를 선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step 137, the dither amount DL is calculated, and the sub 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outputs the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of &quot; 1 &quot;, and then proceeds to step 138 to add and subtract the dither amount DL. The path switch 302 selects the output signal SP of the sub path 10 and returns to step 133. That is, in step 138, the sub path is selected by the sub path switch 302, so that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does not have any influence in the end. In addition, sinc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level amount LV in step 135 is 0 is not meaningful even when switching to the subpath 10 in the case of the gradation in which the pseudo contour does not come out no matter how large the movement amount MV is (the sub-number of gradations is generally low). This is to prevent the output signal SP of the sub path 10 from being selected when the level LV is 0, since switching to the path 10 causes a large amount of granular noise and degrades image quality.

스텝 139에서, 움직임량 MV가 판정 임계값 TD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스텝 13A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연산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는 『0』의 패스 판정 신호 PSW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 13B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스위치(302)는 메인 패스(20)의 출력 신호 MP를 선택하여 스텝 133으로 돌아간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39 that the movement amount MV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the flow advances to step 13A to perform the calculation of the dither amount DL, and the sub 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outputs the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of "0". Furth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3B, where the dither amount DL is added and subtracted, and the sub path switch 302 selects the output signal MP of the main path 20 and returns to step 133.

한편, 스텝 139에서, 움직임량 MV가 판정 임계값 TD보다도 작다고 판별되면, 스텝 13C로 진행되어 디더량 DL=0으로 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판정 회로(301)는 『0』의 패스 판정 신호 PSW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 13D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패스 스위치(302)는 메인 패스(20)의 출력 신호 MP를 선택하여 스텝 133으로 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39 that the movement amount MV is smaller than th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T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3C, where the dither amount DL = 0, and the sub path determination circuit 301 sends the path determination signal PSW of "0". The output proceeds to step 13D, where the dither amount DL is added and subtracted, and the sub path switch 302 selects the output signal MP of the main path 20 and returns to step 133.

이와 같이, 화소 단위에서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 메인 패스(20)에서 디더의 가감산을 행한 출력 신호 MPD 및 메인 패스(20)에서 디더의 가감산을 행하지 않는 출력 신호 MPL 3개 중의 1개를 움직임량 MV, 레벨량 LV 및 디더 계수 DK에 의거하여 선택하여 전환함으로써, 의사 윤곽이 발생되는 장소에 대하여 확산 및 변조시켜 주변에 분산시킴으로써,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움직임량 MV에 의거하여 확산 및 변조시켰기 때문에, 사람이 인식하는 의사 윤곽의 발생 강도를, 사람이 움직이고 있는 목표물을 쫓아가는 속도, 즉 움직이고 있는 사물의 속도가 빠를수록 강하게 인식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움직이고 있는 속도 또는 움직임량에 따라 디더량을 강약(强弱) 조절함으로써, 과(過)변조 또는 변조 부족으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Thus, the output signal SP of the sub path 10 in pixel units, the output signal MPD in which dither is added and subtracted in the main path 20, and the three output signals MPL in which the dither is not added and subtracted in the main path 20. By selecting and switching one of them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the level amount LV, and the dither coefficient DK, the pseudo contour can be reduced by spreading and modulating and dispersing it around the place where th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Since it spreads and modulates based on the amount of motion MV,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of generation of pseudo contours recognized by a person so that the speed at which the person is following the moving object, that is, the faster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is recognized as stronger. By adjusting the dither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peed or the amount of motion, overmodulation or lack of modulation can be avoided.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메인 패스)(2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ath (main path) 20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와 상술한 도 3의 비교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오차 확산 회로(201)와 디더 회로(202), 디더 전환 회로(203) 및 디더 전환 판정 회로(204)의 배치는 교체할 수 있다. 즉, 본 제 4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게인 제어 회로(200) 바로 뒤에 설치한 오차 확산 회로(201)를 디더 전환 회로(203) 뒤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FIG. 19 and FIG. 3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the dither circuit 202,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and the dither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204 can be replaced. 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provided immediately after the gain control circuit 200 in FIG. 3 is provided behind the dither switching circuit 203.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5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서, 참조 부호 10은 서브 패스, 21은 메인 패스, 22는 확산 패스, 31은 패스 스위치 회로, 40은 SF 부호화 회로, 그리고 50은 움직임량 검출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as the fifth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0,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ub path, 21 a main path, 22 a diffusion path, 31 a path switch circuit, 40 an SF coding circuit, and 50 a motion detection circuit.

도 20과 상술한 도 13의 비교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제 5 실시예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3)는 원색마다 서브 패스(10), 메인 패스(21) 및 확산 패스(22)를 구비하고, 서브 패스(10), 메인 패스(21) 또는 확산 패스(22) 중 어느 1개의 출력을 패스 스위치 회로(31)에서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 패스(10)는 입력 화상 신호를 소정의 계조 레벨(예를 들어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 레벨보다도 적은 계조 레벨)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메인 패스(21)는 입력 화상 신호를 실제 표시 계조 레벨로 표시 가능하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FIG. 20 and FIG. 13 described above,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3 of the fifth embodiment has a subpath 10, a main path 21, and a diffusion path 22 for each primary color. The output of any one of the sub path 10, the main path 21, and the diffusion path 22 is selected by the path switch circuit 31 and supplied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Here, the sub path 10 is for displaying the input image signal at a predetermined gradation level (for example, a gradation level less than the gradation level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main path 21 actually displays the input image signal. Can be displayed in gradation level.

서브 패스(10)는 도 13에 나타낸 서브 패스(1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신 호 SP를 출력한다. 메인 패스(21)는 입력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MPG를 확산 패스(22)로 출력하는 동시에, 신호 MPL을 패스 스위치 회로(31)로 출력한다. 움직임 검출 회로(50)도 도 13에 나타낸 움직임 검출 회로(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움직임량 MV를 출력한다.The sub path 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b path 10 shown in FIG. 13 and outputs a signal SP. The main path 21 receives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MPG to the diffusion path 22,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signal MPL to the path switch circuit 31.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shown in Fig. 13 and outputs a motion amount MV.

확산 패스(22)는 메인 패스(21)의 출력 신호 MPG 및 움직임 검출 회로(50)의 출력 신호(움직임량) MV를 수취하여 움직임량 MV에 따른 확산 처리를 실시한 신호 MPD를 출력한다. 패스 스위치 회로(31)는 움직임량 검출 회로(50)에서 검출된 움직임량 MV에 따라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 메인 패스(21)의 출력 신호 MPL 또는 확산 패스(22)의 출력 신호 MP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신호 PSO로서 출력한다. 또한, SF 부호화 회로(40)도 도 13에 나타낸 SF 부호화 회로(4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diffusion path 22 receives the output signal MPG of the main path 21 and the output signal (movement amount) MV of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and outputs a signal MPD subjected to the diffu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tion amount MV. The path switch circuit 31 outputs the output signal SP of the sub path 10,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main path 21, or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usion path 22 according to the motion amount MV detected by the motion amount detection circuit 50. Any one of the MPDs is selected and output as the signal PSO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The SF encoding circuit 40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F encoding circuit 40 shown in FIG.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메인 패스(21)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main path 21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도 21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메인 패스(21)는 게인 제어 회로(200) 및 오차 확산 회로(201)를 구비하고, 게인 제어 회로(200)의 출력 신호 MPG가 확산 패스(22)로 공급되며,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이 패스 스위치 회로(31)로공급되어 있다.As can be clearly seen in FIG. 21, the main path 21 includes a gain control circuit 200 and an error diffusion circuit 201, and the output signal MPG of the gain control circuit 200 is supplied to the diffusion path 22.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is supplied to the pass switch circuit 31.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패스 스위치 회로(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th switch circuit 31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 스위치 회로(31)는 레벨 검출 회로(300),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 및 패스 전환 회로(304)를 구비하고 있다. 레벨 검출 회로(300)는 도 13에 나타낸 레벨 검출 회로(30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오차 확산 회로(201)의 출력 신호 MPL에 의거하여, 레벨량 LV를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로 출력한다.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는 레벨 검출 회로(300)로부터의 레벨량 LV 및 움직임량 검출 회로(50)로부터의 움직임량 MV에 의거하여, 패스 전환 회로(304)에서 패스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 PSW를 출력한다. 그리고, 패스 전환 회로(304)는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의 출력 신호 PSW에 따라, 입력된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 메인 패스(21)의 출력 신호 MPL 또는 확산 패스(22)의 출력 신호 MP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SF 부호화 회로(40)로 신호 PSO로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22, the path switch circuit 31 is provided with the level detection circuit 300, the path switch determination circuit 303, and the path switch circuit 304. As shown in FIG. The level detection circuit 30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level detection circuit 300 shown in FIG. 13, and outputs the level amount LV to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based on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do.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i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paths in the path switching circuit 304 based on the level LV and the motion amount MV from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from the level detection circuit 300. Output the PSW. Then, the path switching circuit 304 outputs the output signal SP of the input sub path 10,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main path 21, or the diffusion path 22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PSW of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Any one of the output signals MPD is selected and output to the SF encoding circuit 40 as a signal PSO.

즉,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의 출력 신호 PSW의 값은 『0』, 『1』 및 『2』이며, 패스 전환 회로(304)는 PSW의 값이 『0』일 때는 메인 패스(21)의 출력 신호 MPL을 선택하고, PSW의 값이 『1』일 때는 확산 패스(22)의 출력 신호 MPD를 선택하며, 그리고 PSW의 값이 『2』일 때는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를 선택한다.That is, the values of the output signal PSW of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are "0", "1" and "2", and the path switching circuit 304 is the main path 21 when the value of PSW is "0". Select the output signal MPL of &quot; 1 &quot;, and select the output signal MPD of the diffusion path 22 when the value of PSW is &quot; 1 &quot;, and output the signal SP of the subpath 10 when the value of PSW is &quot; 2 &quot; Choose.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확산 패스(22)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ffusion path 22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패스(22)는 오차 확산 회로(201) 및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오차 확산 회로(201)는 상술한 메인 패스(21)에서의 오차 확산 회로(20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움직임 적 응 디더 회로(205)는 움직임 검출 회로(50)의 출력인 움직임량 MV에 의거하여 디더량 DL을 산출하고, 이 디더량 DL을 오차 확산 회로(201) 출력에 가감산 처리하여 신호 MPD를 출력한다. 또한,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는 상술한 디더 회로(202)(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19 참조)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3, the diffusion path 22 includes an error diffusion circuit 201 and a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Here,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in the main path 21 described above. The motion adaptation dither circuit 205 calculates the dither amount DL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which is the output of the motion detection circuit 50, and adds and subtracts this dither amount DL to the error diffusion circuit 201 signal to signal MPD. Outputs In addition, the motion adaptation dither circuit 205 can also be configured as the dither circuit 202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ee FIG. 3 or FIG. 19).

도 24는 도 20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 5 실시예로서의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 디더 계수 DK로서는 상술한 도 10a 내지 도 10c 또는 도 5의 디더 계수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고, 또한 움직임량 MV와 연산 움직임량 MVC의 관계는 도 12a 내지 도 12d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다.FIG. 2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as the fifth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Here, as the dither coefficient DK, any one of the dither coefficients of FIGS. 10A to 10C or 5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calculation motion amount MVC is any one of FIGS. 12A to 12D. You may.

우선 스텝 240에서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241로 진행되어 초기화를 행하고, 디더량 연산 회로(58)에 의해 디더량 DL=0으로 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는 『0』의 판정 신호 PSW를 『0』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242로 진행되어 디더 회로(53)에 의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고, 패스 전환 회로(304)는 메인 패스(21)의 출력 신호 MPL을 선택한다.First, when the process is started in step 24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1 to perform initialization, and the dither amount calculation circuit 58 sets dither amount DL = 0, and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determines the determination signal of "0". The PSW outputs "0". Nex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2 where the dither circuit 53 adds and subtracts the dither amount DL, and the path switching circuit 304 selects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main path 21.

스텝 243에서 움직임량 검출 회로(50)가 움직임량 MV를 검출하고, 또한 스텝 244에서 레벨 검출 회로(300)가 레벨량 LV를 검출하며, 스텝 245로 진행되어 레벨량 LV는 0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In step 243, the motion amount detecting circuit 50 detects the motion amount MV, and in step 244, the level detecting circuit 300 detects the level amount LV,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245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evel amount LV is zero. Determine.

스텝 245에서 레벨량 LV가 0이라고 판별되면, 스텝 24C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245에서 레벨량 LV가 0이 아니라고 판별되고, 스텝 246에서 pMV +qLV가 SPsel 이상이 아니라고 판별되며, 또한 스텝 249에서 pMV+qLV가 SPsel2 이상이 아니라고 판별되면(pMV+qLV<SPsel2<SPsel), 스텝 24C로 진행된다. 여기서, 스텝 246에서의 p 및 q는 움직임량 MV 및 레벨량 LV를 연산할 때의 각각의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계수이며, 또한 SPsel 및 SPsel2는 판정 임계값이다. 또한, 판정 임계값 SPsel 및 SPsel2 사이에는 SPsel>SPsel2의 관계가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45 that the level amount LV is zero, the flow proceeds to step 24C.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45 that the level amount LV is not zero, in step 246 it is determined that pMV + qLV is not SPsel or greater, and in step 249 it is determined that pMV + qLV is not SPsel2 or greater (pMV + qLV <SPsel2 <). SPse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C. Here, p and q in step 246 are coefficients for achieving respective balances when calculating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level amount LV, and SPsel and SPsel2 ar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s. Further, there is a relationship of SPsel > SPsel2 between the decision thresholds SPsel and SPsel2.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움직임량 MV가 0∼15의 값이라고 하고, 도 5에 나타낸 변환 데이터와 같이 레벨량이 0∼5의 값이라고 한 경우, p=1, q=3으로 하면, pMV와 qLV가 취득하는 최대값은 동일해지고,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에서 움직임량과 레벨량의 연산 밸런스는 동일해진다. 또한, p=1, q=2로 하면, pMV가 취득하는 값은 qLV가 취득하는 값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는 움직임량을 우선으로 한 판정을 행하게 된다.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amount MV is a value of 0 to 15 and the level amount is a value of 0 to 5 as in the conversion data shown in FIG. 5, p = 1 and q = 3, pMV and qLV The maximum value acquired by D is the same, and the operation balance of the movement amount and the level amount is the same in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When p = 1 and q = 2, the value acquired by pMV becomes larg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qLV, so that the path switching decision circuit 303 makes the determination of the motion amount.

그리고, 스텝 24C에서는 디더량 DL=0으로 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는 『0』의 판정 신호 PSW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 24D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회로(304)는 메인 패스(21)의 출력 신호 MPL을 선택하여 스텝 243으로 돌아간다.Then, at step 24C, the dither amount DL = 0,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outputs the determination signal PSW of "0", proceeds to step 24D, and adds and subtracts the dither amount DL, and passes. The switching circuit 304 selects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main path 21 and returns to step 243.

또한, 스텝 245에서 레벨량 LV가 0이 아니라고 판별되고, 또한 스텝 246에서 pMV+qLV가 SPsel 이상이라고 판별되면(SPsel≤pMV+qLV), 스텝 247로 진행된다. 여기서, pMV+qLV가 SPsel 이상(SPsel≤pMV+qLV:pMV+qLV가 큼)이라는 것은, 움직임량 MV가 커서 의사 윤곽이 나오기 쉬운 계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움직임량 MV가 커서 의사 윤곽이 나오기 쉬운 계조의 경우에는, 스텝 247로 진행되어 디더량 DL 연산을 행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는 『2』의 판정 신호 PSW를 출력 하고, 또한 스텝 248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회로(304)는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를 선택하여 스텝 243으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 248과 같이 서브 패스(10)의 출력 신호 SP를 선택할 경우에는, 결국 디더량 DL을 가감산해도 영향은 없게 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45 that the level amount LV is not zero, and in step 246 it is determined that pMV + qL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SPsel (SPsel ≦ pMV + qLV),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7. Here, the fact that pMV + qL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SPsel (SPsel ≦ pMV + qLV: pMV + qLV is large) indicates a gradation in which pseudo contours tend to be large due to the large amount of motion MV. In the case of gray scales where the movement amount MV is large and pseudo contours are likely to come o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7 to perform a dither amount DL operation, and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outputs the determination signal PSW of "2". In addi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8 to add or subtract the dither amount DL, and at the same time, the path switching circuit 304 selects the output signal SP of the sub path 10 and returns to step 243. In addition, when the output signal SP of the subpath 10 is selected like step 248, even if the dither amount DL is added or subtracted, there is no influence.

또한, 스텝 245에서 레벨량 LV가 0이 아니라고 판별되고, 또한 스텝 246에서 pMV+qLV가 SPsel 이상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스텝 249로 진행되지만, 이 스텝 249에서 pMV+qLV가 SPsel2 이상이라고 판별되면(SPsel2≤pMV+qLV<SPsel), 스텝 24A로 진행된다. 스텝 24A에서는, 디더량 DL 연산을 행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판정 회로(303)는 『1』의 판정 신호 PSW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 24B로 진행되어 디더량 DL의 가감산을 행하는 동시에, 패스 전환 회로(304)는 확산 패스(디더 처리 패스)(22)의 출력 신호 MPD를 선택하여 스텝 243으로 돌아간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45 that the level amount LV is not 0,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46 that pMV + qLV is not SPsel or high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9.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49 that pMV + qLV is SPsel2 or higher ( SPsel2 ≦ pMV + qLV <SPse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A. In step 24A, while performing the dither amount DL calculation,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303 outputs the determination signal PSW of "1", and proceeds to step 24B to perform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the dither amount DL, and the path switching circuit. 304 selects the output signal MPD of the diffusion path (dither processing path) 22 and returns to step 243.

이상에서, 스텝 245에서의 레벨량 0의 판정은 움직임량이 아무리 커도 의사 윤곽이 나오지 않는 계조의 경우, 서브 패스나 디더 처리 패스로 전환해도 의미가 없기 때문에(움직임이 적을 경우에는, 계조 수가 적은 서브 패스로 전환하면 입상 노이즈가 많아지거나, 또는 디더 처리 패스로 전환하면 디더 모양이 두드러져 화질을 열화시키기 때문), 레벨량 0일 경우에는, 서브 패스나 디더 처리 패스를 선택하지 않도록 했다. 이와 같이, 본 제 5 실시예는 움직임량 MV에 의거하여 디더량 DL을 결정하고, 또한 움직임량 MV와 레벨량 LV에 의거하여 메인 패스, 서브 패스 또는 디더 처리 패스(확산 패스)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above,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amount 0 in step 245 is meaningless even when switching to the sub path or the dither processing path in the case of the gray level in which the pseudo contour does not come out no matter how much the motion amount (when the movement is small, the sub number is small. When switching to a path, there is more granular noise, or when switching to a dither processing path, the shape of the dither becomes noticeable and degrades image quality). When the level is 0, the sub path and the dither processing path are not selected. Thus, in the fifth embodiment, the dither amount DL is determined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main path, subpath or dither processing path (spreading path) is switched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level amount LV. have.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는 오차 확산 회로의 출력 신호 MPL에 의거하여, 레벨 검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8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는 오차 확산 처리하고 디더 처리를 더 행한 출력 신호 MP에 의거하여 레벨 검출을 행하고 있으며, 가감산하는 디더량 DL에 의해 레벨 검출이 상이하지만, 양쪽 모두 의사 윤곽을 주변 화소에 분산시켜 동영상 표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4,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fif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perform level detection based on the output signal MPL of the error diffusion circuit.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18 performs level detection on the basis of the output signal MP which has undergone error diffusion processing and dither processing, and level dete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dither amount DL to be added and subtracted, but both are pseudo contours. The image quality of the video display can be improved by dispersing the image into surrounding pixels.

도 25는 도 20에 나타낸 다계조화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확산 패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spread path in the multi-grad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shown in FIG. 20.

도 25와 도 21의 비교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변형예의 확산 패스(22)는 디더 회로(202) 및 오차 확산 회로(201)를 구비하고, 디더 처리 후에 오차 확산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디더 회로(202)는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낸 움직임 적응 디더 회로(205)로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FIG. 25 and FIG. 21, the diffusion path 22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a dither circuit 202 and an error diffusion circuit 201,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error diffusion after dither processing. 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ither circuit 202 can also be configured as the motion adaptive dither circuit 205 shown in FIG. 23, for example.

그런데, 의사 윤곽은 1개소에 집중하여 의사 윤곽을 발생시키는 것보다, 그 주변에 약하게 의사 윤곽을 발생시키는 것이 두드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메인 패스(20(21))에 서브 패스(10)를 1화소 간격으로 삽입함으로써, 의사 윤곽은 넓게 발생하지만, 약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의사 윤곽으로서 인식되지 않게 된다.By the way, since it is hard to notice that a pseudo contour is weakly generated in the periphery rather than focusing on one place and generating a pseudo contour, the sub path 10 is set to 1 in the main path 20 (21). By inserting at pixel intervals, the pseudo contour is widely generated, but weakly generated, so that it is not recognized as a pseudo contour.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평 화소 수가 1024 도트 42인치 화면 사이즈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 경험상, 수평 방향으로 1필드마다 4도트 정도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의사 윤곽이 인식되기 시작하고, 이동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의사 윤곽도 강 하게 인식된다. 즉, 천천히 움직이고 있는 영상의 경우, 의사 윤곽이 인식되는 것은 적고, 인식되었을지라도 약하다. 이 경우, 패스 전환법의 서브 패스의 삽입은 계조 수가 적기 때문에 서브 패스의 입상 노이즈가 두드러지고, 또한 디더법에 의한 디더 계수를 크게 한 경우도 디더에 의한 해치 형상의 노이즈가 두드러지게 된다. 그 때문에, 천천히 움직이고 있는 영상의 경우는, 디더법에 의한 디더 계수를 작게 하여 서브 패스를 선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for example, in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1024-dot 42-inch screen size, a pseudo contour starts to be recognized when the number of horizontal pixels moves about 4 dots per fie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speed is increased. Therefore, pseudo contours are also strongly recognized. That is, in the case of an image moving slowly, the pseudo contour is less recognized and weak even if it is recognized.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ion of the subpath in the path switching method has a small number of gradations, the granular noise of the subpath becomes prominent, and the hatch-shaped noise due to the dither becomes prominent even when the dither coefficient is increased by the dither method. Therefore, in the case of a video moving slowly,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ither coefficient by the dither method so that the subpath is not selected.

반대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영상의 경우, 패스 전환법에 의해 서브 패스를 선택하는 비율(빈도)을 많게 해도 입상 노이즈는 두드러지지 않게 되지만, 패스 전환법에 의한 의사 윤곽 저감 능력 이상으로 의사 윤곽이 인식되는 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의사 윤곽 저감 효과는 약해진다. 마찬가지로, 디더법에 의한 의사 윤곽 저감 효과에 관하여도, 디더 계수를 크게 해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영상의 경우, 디더법과 패스 전환법을 복합시키면 의사 윤곽 저감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움직이고 있는 속도에 따라 디더법의 디더 계수나 패스 전환법의 서브 패스를 삽입하는 비율을 서서히 바꾸어 가는 것이 좋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fast moving images, even if the ratio (frequency) of selecting the sub-path is increased by the path switching method, the granular noise is not noticeable, but pseudo contours are recognized beyond the pseudo contour reduction ability by the path switching method. Since the strength becomes stronger, the pseudo contour reduction effect is weakened as a result. Similarly, the pseudo contour reduction effect by the dither method is limited even if the dither coefficient is increased. Therefore, in the case of a fast moving image, the combination of the dither method and the path switching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the pseudo contour reduction capability is improved. Therefore, it is better to gradually change the dither coefficient of the dither method or the ratio of inserting the subpath of the path swit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peed.

이상에서, RGB 3원색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원색 신호마다 회로가 있으면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서브 필드의 가중은 데이터의 가중일 수도 있지만, 휘도의 가중일 수도 있다.As mentioned above, of course, this invention can also be realized if there is a circuit for every primary color signal also about RGB primary color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lasma display device. In addition, although the weight of the subfield in this invention may be a weight of data, it may be a weight of brightness.

본 발명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작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평면형 벽걸이 텔레비전, 또는 광고나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s used as a display apparatu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workstation, a flat wall TV, or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or information. It can b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Claims (6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A main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gradations from an input image signal,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gradations than the main path,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확산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처리 패스와,A diffusion processing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subjected to diffusion processing on the input image signal;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치 회로와,A path switch circuit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 generation signal of the main path, a generation signal of the subpath, and a generation signal of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을 출력하는 움직임 검출 회로와,A mo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n area moving between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 motion amount which is a moving amount;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회로와,A level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the level amount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when a moving imag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by the main path; 검출된 상기 움직임량과 검출된 상기 레벨량을 소정의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동영상 영역에서 의사 윤곽 발생 강도가 강한 계조를 판정하는 패스 전환 판정 회로와,A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for comparing the detected motion amount and the detected level amount with predetermined setting values, and determining a gradation having a strong pseudo outline generating intensity in a moving image area; 상기 패스 전환 판정 회로의 판정 결과에 의해, 상기 패스 스위치 회로를 상기 메인 패스의 출력, 상기 서브 패스의 출력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출력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패스 전환 회로와,A path switching circuit for switching the path switch circuit to any one of an output of the main path, an output of the sub path, or an output of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회로와,A diffusion coefficient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diffusion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diffusion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surroundings; 상기 움직임량과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회로와,A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circuit for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motion amount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그 확산량 연산 회로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회로를 구비하고,A diffusion circuit for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with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상기 패스 전환 회로와 상기 확산량을 제어하여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pseudo contour by controlling the path switching circuit and the diffusion amount.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패스 전환 판정 회로는 제 1 설정값 및 그 제 1 설정값보다도 작은 제 2 설정값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량 연산 회로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이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서브 패스를 선택하며, 그 제 1 설정값보다도 작고, 또한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를 선택하고, 그리고 그 제 2 설정값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패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set value and a second se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selects the sub path when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circuit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diffusion process path is selected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main path is selected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확산 회로는 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And said diffusion circuit is a di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확산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처리 패스와,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칭 단계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A main path for dividing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combining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ones from an input image signal; 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smaller gradation number, a diffusion processing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subjected to diffusion processing on the input image signal, a generation signal for the main path, a generation signal for the sub path, or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A driv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path switching step of switch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generated signals,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을 출력하는 움직임 검출 단계와,A mo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area moving between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 motion amount which is a moving amount;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단계와,A level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level amount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when a moving imag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by the main path; 검출된 상기 움직임량과 검출된 상기 레벨량을 소정의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동영상 영역에서 의사 윤곽 발생 강도가 강한 계조를 판정하는 패스 전환 판정 단계와,A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step of comparing the detected motion amount and the detected level amount with predetermined setting values to determine a gradation having a strong pseudo outline generating intensity in a moving image area; 상기 패스 전환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의해 상기 패스 스위칭 단계를 상기 메인 패스의 출력, 상기 서브 패스의 출력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출력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패스 전환 단계와,A path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path switching step to any one of an output of the main path, an output of the sub path, or an output of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step;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단계와,A diffusion coefficient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diffusion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for diffusing pseudo contour noise into the surroundings; 상기 움직임량과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단계와,A diffusion amount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motion amount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그 확산량 연산 단계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단계를 구비하고, A diffusion step of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with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step, 상기 패스 전환 단계와 상기 확산량을 제어하여 의사 윤곽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And controlling the path switching step and the diffusion amount to reduce pseudo contours. 제 5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8, 상기 패스 전환 판정 단계는 제 1 설정값 및 그 제 1 설정값보다도 작은 제 2 설정값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량 연산 단계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이 상기 제 1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서브 패스를 선택하며, 그 제 1 설정값보다도 작고, 또한 상기 제 2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를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설정값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패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The path switching determination step includes a first set value and a second set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when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ste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the sub path is selected. And the diffusion process path is selected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main path is selected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second set value. Method of driving. 제 5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8, 상기 확산 단계는 디더 확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And the diffusion step performs dither diffusion. 1 필드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그 복수의 서브 필드를 조합하여 표시 패널에 다계조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weighted subfields, and combines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perform multi-gradation display on a display panel.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소정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패스와,A main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gradations from an input image signal, 그 메인 패스보다 적은 계조 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패스와,A sub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gradations than the main path,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확산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생성하는 확산 처리 패스와,A diffusion processing path for generating a signal subjected to diffusion processing on the input image signal; 상기 메인 패스의 생성 신호, 상기 서브 패스의 생성 신호 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의 생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패스 스위치 회로와,A path switch circuit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 generation signal of the main path, a generation signal of the subpath, and a generation signal of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상기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현재 필드와 그 현재 필드보다 이전의 필드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움직이고 있는 양인 움직임량 MV를 출력하는 움직임 검출 회로와,A mo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n area moving between a current field and a field before the current field from the in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 motion amount MV which is a moving amount; 상기 메인 패스에 의해 동영상 의사 윤곽이 발생될 경우의 의사 윤곽의 강도의 레벨량 LV를 검출하는 레벨 검출 회로를 구비하며,And a level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the level amount LV of the intensity of the pseudo contour when a moving image pseudo contour is generated by the main path, 상기 확산 처리 패스는,The diffusion treatment pass, 의사 윤곽 노이즈를 주변에 확산시키는 확산량을 연산하기 위한 상기 입력 화상 신호의 계조에 의존한 확산 계수를 생성하는 확산 계수 생성 회로와,A diffusion coefficient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diffusion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diffusion for spreading pseudo contour noise to the surroundings; 상기 움직임량 MV와 상기 확산 계수에 의거하여 확산량을 연산하는 확산량 연산 회로와,A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for calculating a diffusion amount based on the motion amount MV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그 확산량 연산 회로에 의해 연산된 확산량으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확산 회로를 구비하고,A diffusion circuit for performing a diffusion process with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ed by the diffusion amount calculation circuit; 상기 패스 스위치 회로는, The pass switch circuit, 상기 레벨량 LV가 0인 경우에는 상기 메인 패스를 선택하고,When the level amount LV is 0, the main path is selected. 상기 레벨량 LV가 0이 아니며 상기 레벨량 LV와 상기 움직임량 MV에 의존하는 값 N = pMV + qLV(여기서, 상기 p,q는 계수임)가 제 1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메인 패스를 선택하며, If the level amount LV is not 0 and the value N = pMV + qLV (where p and q are coefficients) that depends on the level amount LV and the motion amount MV is smaller than a first predetermined value, the main path is determined. Select 상기 레벨량 LV가 0이 아니며 상기 값 N이 상기 제 1 소정값 이상이고 제 2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확산 처리 패스를 선택하고, If the level amount LV is not 0 and the value 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and small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the diffusion processing path is selected; 상기 레벨량 LV가 0이 아니며 상기 값 N이 상기 제 2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서브 패스를 선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And the sub path is selected when the level amount LV is not 0 and the value 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KR1020067023508A 2004-08-24 2005-08-23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8253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3694 2004-08-24
JP2004243694A JP4069103B2 (en) 2004-08-24 2004-08-24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162A KR20070053162A (en) 2007-05-23
KR100825355B1 true KR100825355B1 (en) 2008-04-29

Family

ID=3596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508A KR100825355B1 (en) 2004-08-24 2005-08-23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69103B2 (en)
KR (1) KR100825355B1 (en)
CN (1) CN1950868A (en)
WO (1) WO20060222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934A (en) * 2007-05-28 2008-12-04 Funai Electric Co Ltd Video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lasma television
KR20090010398A (en) * 2007-07-23 2009-01-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1441849B (en) 2007-11-23 2012-02-29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image dynamic pseudo-contour of AC-PDP
CN103871366B (en) * 2014-04-02 2016-09-14 杭州士兰控股有限公司 Gray scale display drive method and device for light-emitting diode display
CN109567848B (en) * 2018-12-05 2022-08-30 上海联影智慧医疗投资管理有限公司 Rack radius correction mechanis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561A (en) * 1998-11-19 2000-06-06 Nec Corp Gradation conversion circuit and picture display device
KR20000070776A (en) * 1997-12-10 2000-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Detector For Detecting Pseudo-Contour Nois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Detector
KR20040029687A (en) * 2002-10-02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Decreasing False Contour Noise In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78427A (en) * 2003-03-04 2004-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contour noise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78429A (en) * 2003-03-04 2004-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pseudo contour noise of plasma display panel using selective dither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4634B2 (en) * 1997-12-10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isplay device
JP2000020023A (en) * 1998-07-03 2000-01-21 Samusun Yokohama Kenkyusho:Kk Gradation display method for plasma display device
JP3473454B2 (en) * 1998-11-06 2003-12-0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matrix type display device
JP3250995B2 (en) * 1999-01-22 2002-0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method
EP1406236A3 (en) * 2002-10-02 2006-06-07 Lg Electronics Inc.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JP4100122B2 (en) * 2002-10-07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JP4325171B2 (en) * 2002-10-17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JP4606735B2 (en) * 2003-01-06 2011-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776A (en) * 1997-12-10 2000-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Detector For Detecting Pseudo-Contour Nois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Detector
JP2000155561A (en) * 1998-11-19 2000-06-06 Nec Corp Gradation conversion circuit and picture display device
KR20040029687A (en) * 2002-10-02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Decreasing False Contour Noise In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78427A (en) * 2003-03-04 2004-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contour noise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78429A (en) * 2003-03-04 2004-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pseudo contour noise of plasma display panel using selective dith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2264A1 (en) 2006-03-02
CN1950868A (en) 2007-04-18
KR20070053162A (en) 2007-05-23
JP4069103B2 (en) 2008-04-02
JP2006064743A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951B1 (en) Display driving method and device
JP4016493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gradation circuit thereof
KR100702240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024690A (en) Display unit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JP3758294B2 (en) Moving picture correction method and moving picture correction circuit for display device
JP2005321775A (en) Display device
KR20080092284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KR20050099303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227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502471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KR2005009275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082535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0352954A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image in order to display on display device and device therefor
JP200534606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024708A (en) Gradation-multiplied signal processor
KR100687558B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0134304A (en) Display device
EP158306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82535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60214887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90037675A (en) Image signal processor and method thereof
JPH117266A (en) System and device for displaying video on display panel
JP2006098618A (en) Display apparatus
JP2001042819A (en) Method and device for gradation display
JP2005148297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