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982B1 -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982B1
KR100823982B1 KR1020060105431A KR20060105431A KR100823982B1 KR 100823982 B1 KR100823982 B1 KR 100823982B1 KR 1020060105431 A KR1020060105431 A KR 1020060105431A KR 20060105431 A KR20060105431 A KR 20060105431A KR 100823982 B1 KR100823982 B1 KR 10082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selection
block
data i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9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user data processing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more simply designating user data for processing the same user data into blocks, thereby increasing processing efficiency for the same user data. A requested user data list is displayed(S201). A user data item is selected from the user data list(S203). If a selection mode of the selected user data item is a block selecting mode, the user data item is set to a starting spot for block setup with a block selection symbol(S205,S209). Another user data item is selected from the list. Another user data item is set to an ending spot for block setup with a block selection symbol. Consecutive user data within the user data item of the starting spot and the user data item of the ending spot are set to blocks.

Description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How to process user data in a mobile terminal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user dat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블록 지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designation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블록 지정된 사용자 데이터 처리 과정의 화면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reen example of a block-designated user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 단말에서 연속적인 사용자 데이터들을 보다 편리하게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rocessing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which enables a user to select and process continuous user data more conveniently.

최근 들어, 휴대 단말의 휴대의 편리함 및 배터리의 소형화 등에 힘입어 상기 휴대 단말에는 많은 부가기능들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은 미리 저장해 놓은 음악이나 학습영어 등의 오디오 파일 및 비디오 파일을 시청/청취할 수 있는 파일 재생 기능,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 방송센터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 및 그에 따른 옵션장치들을 장착하고 있다.Recently, many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increased in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battery.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and play audio files and video files, such as music or learning English, which are stored in advance, a camera function that can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and broadcast data broadcast from a broadcasting center. It is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igital broadcast playback function to receive and play back and optional devices accordingly.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의 부가기능들이 증가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들(예컨대,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사진 데이터, 방송 데이터, 문자 메시지 등) 또한 늘어나고 있다.As 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increase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ing user data (eg, audio file, video file, photo data, broadcast data, text message, etc.) also increases.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들의 관리(예컨대, 이동, 삭제, 복사 등)를 위해, 화면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의 리스트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하여 이동, 삭제 및 복사 등 사용자가 희망하는 이벤트 입력을 통해 처리하고 있다.The user selects any user data to be managed from a list of user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for managing (eg, moving, deleting, copying, etc.) such user data, and moves and deletes the selected user data. And through the user's desired event input such as cop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은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매우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면, 화면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에서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들을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삭제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하나씩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삭제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들을 선택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user data manage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very inconvenient when the number of user data to be managed is large. For example, when the user data is to be deleted from the user data lis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may have to select a plurality of user data to be deleted one by one. In addition,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time is spent in selecting user data to be deleted.

따라서 다수의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들을 관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 시간을 줄이고,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데이터 선택 방식이 요구된다.Therefore, in manag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a user data selection method for reducing user's user data selection time and making it more convenient to manage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data processing method that can more conveniently manage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에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보다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블록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setting method for user data that enables a user to select a plurality of user data more simp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에서 다수의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들을 블록으로 지정하여 보다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can be more conveniently processed as a block in a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에서 연속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블록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블록 내의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user data managemen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the requested user data list, and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in the user data list And a process of performing an event for user data in the block.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appropriate as concepts of terms for explaining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휴대 단말에서 연속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이벤트(예컨대, 이동, 삭제 및 복사 등)를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정하는 영역을 '블록'이라 명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이라는 용어는 연속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가 선택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록으로 지정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은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입력 시 동시 처리가 가능하다. For example,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th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n event (eg, moving, deleting, copying, etc.) according to a user request for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The area to be set up to process all the files is called 'block'. That is, the term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are selected, and user data designated by the block may be processed simultaneously when an event is input by a user.

또한 상기 블록 지정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의 각각의 항목을 하나씩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블록 지정 모드에서 첫 번째로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의 시작으로 지정하고, 두 번째로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의 종료로 지정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에 보다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블록으로 지정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은 하나 의 블록으로 지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둘 이상의 블록으로 지정가능 함은 물론이다.Also, the block designation designates the first user data item selected in the block designation mode as the start of the block, and secondly, instead of selecting each item of the plurality of user data one by one as in the prior art. By specifying the user data item to be the end of the block, more convenience is provided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user data. In this case, the user data designated by the block may be designated by one block or by two or more blocks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block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Radio Frequency)부(101)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과 관련한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RF부(10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RF unit 101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a function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The RF unit 101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데이터 처리부(103)는 오디오 처리부(113)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및 상기 RF부(10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예컨대,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는 상기 RF부(101)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RF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The data processor 103 may include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audio processor 113 or the like, numeric / character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RF unit 101 (eg, voice data or user data). And the like). The data processor 103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unit 101,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unit 101, and the like. Therefore, the data processor 103 may include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상기 오디오 처리부(113)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에 전송하는 이벤트를 수행한다.The audio processor 113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103 through a speaker SPK or transmits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MIC to the data processor 103. Perform the event.

키입력부(111)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실행하 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볼륨 키, 단축키, 핫키 및 소프트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11)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05)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11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07)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 중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 항목 선택 또는 블록 지정을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선택 또는 블록 지정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이벤트(예컨대, 이동, 삭제 및 복사 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한다.The key input unit 111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 execu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direction keys, volume keys, hot keys, hot keys, soft keys, and the like, which are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11 transmits a key signal input in relation to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ontroller 105.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111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each user data item or block designation requested by a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user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 to control unit 105. In additio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event (eg, move, delete, copy, etc.) signal requested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or block designated user data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05.

메모리부(10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09)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09 stores application data necessary for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r data generated by a user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memory unit 109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user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상기 표시부(107)는 휴대 단말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각각의 메뉴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예컨대, 송수신 문자 메시지, 사진 데이터, 통화 기록 데이터, 음악 데이터 등)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입력에 따른 숫자 정보, 문자 메시지 전송에 따른 문자 정보 등)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07)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07)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선택, 블록 지 정 및 그에 따른 이벤트 처리 등을 상기 표시부(107)를 통해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isplay unit 107 includes various menus of the mobile terminal, user data (eg, transmission / reception text messages, picture data, call log data, music data, etc.) included in each menu, an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eg, a telephone number). Nume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nput, 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 text message transmission, etc.) are displayed. The display unit 107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when the LC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07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In this case, of course, user data selection, block designation, and event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휴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 단말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5)는 데이터 처리부(103), 표시부(107), 메모리부(109), 오디오 처리부(113) 및 키입력부(111)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 또는 블록 지정을 위한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의 선택 또는 연속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의 블록을 지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 또는 블록 지정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효 요청되는 이벤트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신호는 상기 키입력부(111)의 선택키에 의한 선택, 상기 키입력부(111)의 키패드에 형성된 숫자 키에 의한 선택, 상기 표시부(107)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의한 선택 등 다양한 입력 방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ignal flow between internal blocks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ontroller 105 controls the flow of signals between components such as the data processor 103, the display unit 107, the memory unit 109, the audio processor 113, the key input unit 111,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05 may designate each user data selection or a block of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based on a user data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or a selection signal for designating a block. Control and process the events that are effectively requested for the selected or block specified user data. The selection signal may be selected by a selection key of the key input unit 111, selection by a numeric key formed on a keypad of the key input unit 111, and when the display unit 107 is formed as a touch screen. It may occur by various input methods such as selection by touch.

특히, 상기 숫자 키에 의한 선택 방식은,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 항목이 아이콘 형태가 아닌 숫자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의 숫자 키 입력 시 입력되는 숫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이다.In particular, the selection method using the numeric keys is a method of selecting a user data item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information input when the numeric key is input on the keypad when each user data item is displayed as a number instead of an icon. .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cessing user data in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user dat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한다(S201).1 and 2, first,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list of user data requested from a user on the display unit 107 (S201).

상기 S2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되는 메뉴 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되는 메뉴가 <최근 기록>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송수신 데이터(송수신 문자 메시지, 착발신 전화번호, 부재중 전화 등) 내역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되는 메뉴가 <앨범>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되는 메뉴가 <문자 메시지> 메뉴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송수신 문자 메시지들의 내역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한다.In step S201, when a sel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menu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list of one or more user data included in the selected menu. For example, if the selected menu is a <Recently Recorded> menu,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list of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xt message, incoming / outgoing phone number, missed call, etc.) stored in the memory unit 109. If the selected menu is an <Album> menu,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list of photo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09 on the display unit 107, and the selected menu is selected. If the menu is a <text message> menu,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history list of transmitted and received text mess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09 on the display unit 107.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07)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전달되는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한다(S203).The user can then select one or more user data to be managed from the user data lis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Therefore, the controller 105 selects one or more user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S203).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 일반 선택인지 블록 지정인지를 판단한다(S205). Next,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ther the user data selection is a general selection or a block designation (S205).

상기 S2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 일반 선택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개별 선택으로 표시한 다(S207). 상기 S2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선택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선택 표시는 상기 블록 지정과 구별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표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5 that the user data selection is a general selection, the controller 105 displays the selected user data as an individual selection (S207). In step S207, the controller 105 selectively displays one or more user data based on a selec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In this case, the selection mark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a general indication to distinguish it from the block designation.

상기 S2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 블록 지정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블록 선택으로 표시한다(S209). 상기 S2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연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블록 선택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블록 선택 표시는 상기 일반 선택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일반 선택 표시와 차별화하여 표시함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5 that the user data selection is block designation, the controller 105 displays the selected user data as block selection (S209). In step S209, the controller 105 displays one or more consecutive user data as block selection based on a selec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In this case, the block selection display is preferably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selection display to distinguish it from the general selection.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207단계 또는 상기 S209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선택 표시 후,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한 이벤트 입력을 판단한다(S211). Next, the control unit 105 determines the even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fter the selection display for the user data as in step S207 or step S209 (S211).

상기 S2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한 이벤트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13). 상기 S213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선택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하여 이동, 삭제 및 복사 등의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이벤트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라 상기 선택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1, when an even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occurs, the controller 105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event (S213). In operation S213, the user may perform an event such as moving, deleting, or copying the one or more pieces of user data displayed and display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an even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nd processes an event for the selected and displayed user data according to the input event.

상기 S2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한 이벤트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S215). 예를 들면,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한 이벤트 입력이 없으면 상기 선택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07)를 통해 계속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의 선택이 취소 요청되는 경우 상기 선택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의 표시를 해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1, if an even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does not occur, the controller 105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requested by the user (S215). For example, if there is no even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the user data list including the user data that is selectively displayed is continuous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or the user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When the selection of data is requested to be cancelled, the user ma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releasing the display of the selected and displayed user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블록 지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도 2에 나타낸 사용자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선택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designation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3 shows a detailed flow of a selection method for processing user data shown in FIG.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한다. 상기 S3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되는 메뉴 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러한 예시에 대해서는 상기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1 and 3, first,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list of user data requested from a user on the display unit 107. In step S301, when a sel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menu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 list of one or more user data included in the selected menu. This example i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07)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전달되는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부(107) 상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한다(S301).The user can then select one or more user data to be managed from the user data lis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5 selects one or more user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S301).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 모드를 판단한다(S303). 상기 S3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 일 반 선택 방식에 의한 선택인지 블록 지정 선택 방식에 의한 선택인지를 판단한다.Next,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the user data selection mode (S303). In step S303,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ther the user data selection is a selection by a general selection method or a block designation selection method.

상기 S30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 모드가 블록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5)는 후술하는 S317단계로 진행하여 블록 모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 루틴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동작 설명은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3, when the user data selection mode is the block mode, the controller 105 proceeds to step S317 described later to perform a user data selection routine in the block mode. Since the opera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omitted here.

상기 S30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반 선택으로 표시한다(S305). 이때, 상기 선택 표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지정을 위한 선택 표시와 차별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표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3, when the user data selection mode is the normal mode, the controller 105 displays the selected user data as a general selection (S305). In this case, the selection display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a general display in order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selection display for designating a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05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선택 표시 후,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한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307). 상기 S30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선택신호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S30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선택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가 상기 S301단계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선택이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309). 즉, 상기 S3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01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가 재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Next, the control unit 105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input a new user data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fter the selection display for the user data as in step S305 (S307). If there is no selection signal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7, the control unit 105 preferably proceeds to step S305 and displays a user data list including the user data to be displayed. If there is a selection signal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7,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ion has occurr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user data selected in the step S301 (S309). . That is, in step S309,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ther the user data selected in step S301 is reselected.

상기 S30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한 위치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07단계에서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반 선택으로 표시한다(S311). 이때, 상기 표시부(107) 상에는 상기 S301단계에서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S307단계에서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가 선택됨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0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S31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9, if the user data is not selected at the same position, the controller 105 displays the user data selected in step S307 as a general selection (S311).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07 may indicate that the user data selected in step S301 and the user data selected in step S307 are selected.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07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S313).

예를 들면, 상기 S3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7)는 다른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여 또 다른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이벤트(예컨대, 이동, 삭제 및 복사 등)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한다.For example, when another user data selection signal is input in step S313, the controller 107 selects and displays another user data corresponding thereto or an event (eg, moves or deletes) the selected user data. And a copy, et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vent processing for the selected user data.

상기 S30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한 위치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면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 데이터 선택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에서 블록 모드로 변경한다(S315). 이때, 상기 블록 모드로 변경 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택 표시를 상기 일반 선택 표시와 차별화하여 표시함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9, if the user data is selected at the same position, the controller 105 changes the user data selection mode from the normal mode to the block mode (S315). In this case, when changing to the block mod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selection display of the user data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selection display.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1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선택 모드가 블록 모드로 변경 후, 상기 S301단계에서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블록 지정을 위한 시작 부분으로 설정한다(S317). 이어서, 상기 제어부(105)는 또 다른 사용자 데이터 선택을 위한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체크한다(S319).Next, the control unit 105 sets the user data selected in the step S301 as a start part for block designation after the user data selection mode is changed to the block mode in step S315 (S317).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05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nother user data (S319).

상기 S319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또 다른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선택 취소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321). 상기 S321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선택 취소신호가 입력되 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택을 취소하고(S325), 선택 취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S317단계로 진행하여 블록 지정 선택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If another user data selection signal is not input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319, the controller 105 checks whether a selection cancella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S321).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S321, when the selection cancel signal is input, the user data is canceled (S325). When the selection cancel signal is not input, the user proceeds to step S317 and includes block designation selected user data.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data list.

상기 S319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또 다른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07단계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선택이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323). 상기 S32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한 위치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S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택을 취소한다. 상기 S32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동일한 위치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선택되는 또 다른 사용자 데이터를 블록 지정을 위한 종료 부분으로 설정한다(S327).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설정된 블록 내에 존재하는 연속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구체적으로, 블록 시작 부분과 블록 종료 부분 내에 존재하는 연속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선택되지 않은 사용자 데이터들과 차별화하여 표시(예컨대, 블록으로 표시)한다(S329).If another user data selection signal is input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319,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occurs at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user data selected in step S307 (S323). If the user data of the same location is select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323, the controller 105 proceeds to step S325 to cancel the selection of the user data.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323 that the user data is not selected at the same position, the controller 105 sets the selected user data as an end portion for block designation (S327). Then, the control unit 105 does not select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present in the set block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present in a block start part and a block end part). Differentiated from these, the display (eg, a block) is performed (S32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블록 지정된 사용자 데이터 처리 과정의 화면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reen example of a block-designated user data processing proces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10 내지 참조부호 450의 화면 예시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소정 메뉴 내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참조부호 410 내지 참조부호 450의 화면 예시는 사용자의 착발신의 통화 기록,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록 등의 정보를 보여주 는 <최근 기록> 메뉴가 선택된 경우 그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 and 4, examples of screens 410 to 450 illustrate examples of a user data list screen included in a predetermined menu requested by a user. In particular, the screen examples 410 to 450 illustrate screen examples of the user data list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Recently Recorded> menu showing information such as call log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user's call is selected. will be.

참조부호 401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메뉴의 제목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03은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대한 정보(예컨대, 통화 발신, 통화 수신, 문자 메시지 송신, 문자 메시지 수신, 보호 설정 등)를 아이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정보 표시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이콘 대신 사용자 데이터들의 각 항목의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401 denotes a title of a menu requested from the user. Reference numeral 403 denotes information (eg, call origination, call reception, text message transmission, text message reception, protection setting, etc.) for each user data item in the form of an icon. Such a form may be represented in another form according to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user data. For example, instead of the icon, a number indicating the order of each item of user data may be displayed.

먼저 참조부호 4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최근 기록> 메뉴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판단하고, 상기 <최근 기록> 메뉴 내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상기 메모리부(109)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107)를 통해 상기 추출하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First, referring to 410,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n a selection signal of the <Recent Record> menu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nd determines the user data in the <Recent Record> menu by the memory unit. A list screen for the extracted user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by extracting from 109.

다음으로, 참조부호 42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참조부호 410과 같이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 표시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 내의 사용자 데이터들 중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선택기호(405)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선택기호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사용자 데이터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기호로서, 상술한 아이콘 상에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콘 대신 숫자 형태로 정렬된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인 경우 상기 숫자상에 상기 선택기호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Next, referring to reference numeral 420, the controller 105 determines when a user data sel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in a user data list display stat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410, and determines the user data. A selection symbol 405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user data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mong the user data in the list. In this case, the selection symbol is a symbol indicating that the user data requested from the user is selected and is preferably displayed on the above-described icon. In addition, when the user data list is arranged in the form of numbers instead of the icon,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selection symbol on the numbers.

이때, 상기 선택기호는 일반적인 사용자 데이터 선택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지정 사용자 데이터 선택을 차별화하는 선택기호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일반적인 사용자 데이터 선택기호는 'V'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지정 사용자 데이터 선택기호는 참조부호 405 내지 참조부호 4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

Figure 112006078622252-pat00001
'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선택기호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일반 선택과 블록 지정 선택을 구분할 수 있는 선택기호이면 무방하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symbol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a selection symbol that differentiates general user data selection from block designation user data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general user data selection symbol may be displayed as 'V', and the block designation user data selection symbol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405 to 407.
Figure 112006078622252-pat00001
'Can be display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election symbol, and may be a selection symbol that can distinguish the general selection from the block designation selection.

다시 상기 참조부호 420을 참조하면, 상기 참조부호 420에서는 블록 지정에 의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참조부호 402). 이때, 상기 참조부호 402와 같은 블록 지정에 의한 선택기호 표시는,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 선택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입력 가능하다. Referring again to reference numeral 420, reference numeral 42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user data is selected by block designation (reference numeral 402). In this case, the selection symbol display according to the block designation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02 may be variously input according to the set user data selection method.

예를 들면, 일반적인 사용자 데이터 선택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 요청되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일반적인 선택기호로 표시(예컨대, 'V'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재 선택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지정 선택기호로 변환하여 표시(예컨대, '

Figure 112006078622252-pat00002
' 표시(402))한다. 이때, 상기 블록 지정 선택기호로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또 다시 선택이 요청되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의 선택을 취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블록 지정 사용자 데이터 선택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로부터 선택 요청되는 해당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바로 블록 지정 선택기호로 표시(예컨대, '
Figure 112006078622252-pat00003
' 표시(402))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ata selection method is set, the corresponding user data item that is requested to be selected from the user is displayed with a general selection symbol (for example, 'V'). Convert and display user data items into block-specific selection symbols (e.g. "
Figure 112006078622252-pat00002
'Mark 402). In this case, when the selection is requested again for the user data item indicated by the block designation selection symbol, the selection of the user data item may be canceled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In addition, when the block designation user data selection method is set, the corresponding user data item that is requested to be selected by the user is immediately displayed as a block designation selector (eg, “
Figure 112006078622252-pat00003
'Mark 402).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참조부호 420의 화면 예시에서와 같이,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지정 선택기호로 표시하면, 이후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지정을 위한 시작 부분으로 설정한다.Next,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of reference numeral 420, the controller 105 displays any user data item as a block designation selection symbol, and then sets the user data item as a start portion for block designation.

다음으로, 참조부호 43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5)는 상기 참조부호 420과 같이 블록 지정을 위한 시작 부분 설정 후 상기 참조부호 4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사용자 데이터 항목이 선택되면(407), 상기 다음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지정을 위한 종료 부분으로 설정하고, 상기 시작 부분으로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 항목과 종료 부분으로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 항목 사이의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하여 블록을 지정(409)한다. 이때, 상기 블록 지정의 종료 부분 사용자 데이터 항목 선택은 상기 참조부호 420의 화면 예시를 참조하면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Next, referring to the reference numeral 430, the control unit 405 sets a start portion for designating a block a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420 and then selects the next user data item a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430 (407). A next user data item is set as an end portion for block designation, and a block is designated 409 for consecutive user data between the user data item set as the start portion and the user data item set as the end portion. 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the end user data item of the block designation i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screen example of reference numeral 42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참조부호 43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된 둘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하여 블록 지정을 완료하면, 상기 키입력부(111)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절차에서와 같이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한 절차에 의거하여 새로운 블록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새로운 블록 지정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초기 설정한 블록 지정을 취소하고 상기 새로운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또는 초기 설정한 블록 지정을 유지하고 상기 새로운 블록을 지정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of reference numeral 430, the controller 105 processes an event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11 when block designation for two or more consecutive user data is completed. For example, when a new user data selection signal is input as in the above procedure, a new block can be designated based on the above procedure. In this case, the new block designation may be canceled and may be designated as the new one block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or the new block designation may be maintained while designating the new block.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와 같이 블록 지정을 완료 후 사용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이벤트(예컨대, 이동, 삭제 및 복사 등)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벤트 처리 예시는 참조부호 440 내지 참조부호 450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5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event when an event (for example, moving, deleting, copying, etc.) for user data management is input after completing block designation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such an event processing is as shown in a screen example of reference numeral 440 to 45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 다수의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cessing user data in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can be selected more simply and conveniently in the mobi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user data management.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다수의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들을 블록 정으로 간단하게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 선택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select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 user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in block defin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liminated the inconvenience of selecting a plurality of user data.

Claims (8)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user data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list of requested user data, 상기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에서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과,Selecting a user data item from the user data list;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 항목의 선택모드가 블록 선택방식이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선택기호로 블록 설정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는 과정과,If the selection mode of the selected user data item is a block selection method, setting the user data item as a start point of block setting using a block selection symbol; 상기 사용자 데이터 리스트에서 다른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과,Selecting another user data item from the user data list; 상기 선택하는 다른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선택기호로 블록 설정의 종료 지점으로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the other user data item to be selected as an end point of block setting using a block selection symbol; 상기 시작 지점의 사용자 데이터 항목과 상기 종료 지점의 사용자 데이터 항목 내의 연속된 사용자 데이터들을 상기 블록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And setting the consecutive user data in the user data item at the start point and the user data item at the end point as the b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되는 사용자 데이터 항목의 선택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selection mode of the selected user data item; 상기 선택모드가 일반 선택 방식이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일반 선택기호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And if the selection mode is a general selection method, displaying the user data item with a general selection symbo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일반 선택기호로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재 선택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선택기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And re-selecting the user data item indicated by the general selection symbol, converting the user data item into a block selection symbol, and displaying the same.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블록 선택기호로 변환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재 선택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 선택을 취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 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And canceling the selection of the user data item when a reselection occurs in the user data item converted into the block selection symbo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데이터 항목을 블록 설정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 시, 사용자 데이터 항목 선택 모드를 블록 선택 방식으로 자동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And automatically converting a user data item selection mode to a block selection method when the user data item is set as a start point of block sett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 설정은 블록 모드 메뉴 설정을 통해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The block setting further comprises setting through block mode menu sett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 설정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항목 선택은 해당 사용자 데이터 항목에 매핑된 해당 숫자정보 입력을 통해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The user data item selection according to the block setting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through input of corresponding numeric information mapped to the corresponding user data item.
KR1020060105431A 2006-10-30 2006-10-30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KR100823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31A KR100823982B1 (en) 2006-10-30 2006-10-30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31A KR100823982B1 (en) 2006-10-30 2006-10-30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982B1 true KR100823982B1 (en) 2008-04-22

Family

ID=3957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431A KR100823982B1 (en) 2006-10-30 2006-10-30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9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01A (en) * 1993-06-26 1995-01-03 김종규 Tractor Plows
KR20030031232A (en)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s in personal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01A (en) * 1993-06-26 1995-01-03 김종규 Tractor Plows
KR20030031232A (en)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s in personal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특허공개 2003-0031232호(2003.4.21)
한글 윈도우95 바이블(홍익미디어,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367B1 (en) Scenario synchronism between a primary display and a secondary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US20170034335A1 (en) Method of displaying and transmitting thumbnail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EP1954015A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andidate phone number lis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723141B2 (en) Mobile terminal and incoming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AU200820028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763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ouch event in a portable terminal
KR1007901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KR20090064735A (en) Deleting method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KR20060031768A (en)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01589B2 (en) Mobile phone having a television receiving function
KR20040081512A (en) Control Method of Hidden Menu or Hidden Recent Call List in Wireless Terminal
KR100823982B1 (en) Method for processing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US200700601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l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8028B1 (en) Method for serving e-book in the mobile terminal
KR101715064B1 (en) Mobile terminal for mangeing multimedia fi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message server for helping multimedia file mengement of mobile terminal
KR20070050197A (en) Method for drawing up multimedia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3201717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ntrol program of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0800598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earch information dur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06781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phone
KR100630201B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forwarding the data in wireless terminal
KR1007390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missed call in portable terminal
KR101134829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message search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600259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bodying magnifying glass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KR20040067080A (en) Method for deleting message in mo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