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901B1 -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901B1
KR100822901B1 KR1020077000077A KR20077000077A KR100822901B1 KR 100822901 B1 KR100822901 B1 KR 100822901B1 KR 1020077000077 A KR1020077000077 A KR 1020077000077A KR 20077000077 A KR20077000077 A KR 20077000077A KR 100822901 B1 KR100822901 B1 KR 10082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ssivity
roof
film
wall
ventil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0320A (en
Inventor
요시미츠 무라하시
히로아키 가와카미
히로시 아카사카
치하루 구라야마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가고시마 티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가고시마 티엘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901B1/en
Publication of KR2007002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5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with ventilation means for the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붕 구조에 있어서, 종래 공기 환류에 의한 제습 작용이 기대되어 있던 통기층에 단열·차열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단열재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외벽 또는 지붕의 높은 단열·차열 성능을 확보하고, 단열·차열 성능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좋은 경우에는 종래에 비하여 단열재를 얇게 할 수 있는 외벽 또는 지붕의 구조 및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외벽 또는 지붕 구조의 외측에 설치한 통기층(9)을 사이에 두고 외장재(11)를 설치한 건축물에 있어서, 외장재(11)와 단열재(7)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통기층(9)측의 표면에 장파장 성분의 열방사에 대하여 저방사 성능을 가지는 저방사성 시트(8, 8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7000077

외벽용 외장재, 지붕 이음재, 열방사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igh heat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of an outer wall or roof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y imparting heat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to a ventilation layer that is expected to have a dehumidification effect by air reflux in the exterior wall or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When the performance is secur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heat insulation / heat shielding performance, the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and outer wall exterior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which can mak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inn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re provided and installed outside the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In a building in which the exterior member 11 is provided with one ventilation layer 9 interposed therebetween, the thermal radiation of a long wavelength compone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xterior layer 11 and one or both of the thermal insulation member 7 on the surface of the ventilation layer 9 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mission sheets 8, 8a having low radiation performance are provided.

Figure R1020077000077

Exterior wall covering, roof joints, heat radiation

Description

방사열 전달 및 일사열 취득을 저감시킨 통기층을 가지는 외벽 또는 지붕의 구조 및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본 발명은 외기열의 실내로의 방사 또는 실내 열의 외기로의 방사 등의 열 이동을 외벽 또는 지붕의 외면 측에서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에 있어서, 특히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가지는 외벽 또는 지붕의 구조 및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외벽 또는 지붕의 구조 또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란 본 발명의 단열 구조가 외벽 및 지붕 및 외벽용 외장재 및 지붕 이음재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의미로 사용한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provides an outer wall or roof having a high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n a building having a function of blocking heat transfer such as radiation of outdoor heat into an interior or radiation of indoor heat to an exterior to an exterior wall or roof. It relates to the structure and exterior wall coverings or roof joints of the. In addition, the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or the outer wall facer or roof joint material is used in the sense that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outer wall and roof and the outer wall facer and roof joint material.

주택 등의 건축물에 있어서는 충분한 차단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냉난방비의 절감은 물론 거주 공간의 쾌적화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 단열 구조는 여름, 겨울 등의 냉난방을 필요로 하는 시기에 거주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 있어서도 유효하다.Adopting a sufficient blocking structure in buildings such as houses leads to the reduction of heating and cooling costs as well as to the comfort of living spaces.This insulation structure makes living spaces comfortable during times when air-conditioning such as summer and winter is required. It is also effective in maintaining.

건축물의 단열 구조를 대별하면, 내단열 방식과 외단열 방식으로 나눌 수 있 다. 내단열 방식은 충전 단열 방식이라고도 하고, 벽체 내부로부터 실내측 또는 구조체의 공극에 단열재를 충전하는 방식이고, 외단열 방식은 구조 구체의 외측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어느 단열 공법에 있어서도 통기 브래킷(胴緣)을 사이에 두고 외장재를 설치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것이 많다. 또한, 통기 브래킷에 의하여 외장재와의 사이에 통기층이 형성되지만, 이 통기층은 종래 단열층으로서는 취급되어 있지 않고, 오로지 습기 제거용의 층으로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통기층을 가지는 외단열 방식과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0-212813호가 있다.If the insul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classified roughly, it can be divided into heat insulation and external insulation. The heat insulation method is also called a filling heat insulation method, and is a method of fill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interior side or the space | gap of a structure from the inside of a wall, and the external heat insulation method is a method of install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outer side of a structural sphere. In any heat insulation method, the method of installing an exterior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bracket interposed in many cases is employ | adopted. In addition, although the ventilation layer is formed between the exterior materials by the ventilation bracket, this ventilation layer is the system used conventionally as a layer for moisture removal, not being handled as a heat insulation layer.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10-212813 is a related art related to an external insulation system having a ventilation layer.

지붕 구조에 있어서는 지붕 하지재(下地材) 단열재 또는 구조재의 사이에 또는 지붕 이음재와 지붕 하지재 사이에 통기층이 형성되지만, 이 통기층에 직면하는 표면의 방사율, 이 통기층의 통기량, 단열재의 단열력, 외장재 외표면의 일사 반사율 및 방사율과 열 이동의 관계에 기초하여, 통기층에 직면하는 표면의 방사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적극적으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기술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In the roof structure, a ventilation layer is formed between the roof underfloor insulation or the structural member, or between the roof joint material and the roof foundation, but the emissivity of the surface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the ventilation amount of the ventilation layer, and the insul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 insulating power,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issivity and the heat transfer, a technique for actively improving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by lowering the emissivity of the surface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has not been developed.

종래, 외벽 및 지붕의 통기층의 단열 기능 등은 무시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단열 성능, 에너지 절약 성능을 향상시키려면 단열재의 사양·두께를 변화시켜야 한다.Conventionally, the heat insulation function of the ventilation layer of an exterior wall and a roof was ignored. For this reason, in order to improv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nd energy saving performance, the specification and thickness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must be changed.

그러나, 단열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단판의 단열재로는 할 수 없는 것이고, 복수매의 단열판을 거듭하여 배치하게 되어, 이 때문에 시공 수고가 올라, 재료비와 함께 시공비도 증대하는 등 큰 비용 상승에 연결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성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두께 140mm의 단열재를 배치하는 경우는 50mm 두께의 단판 + 50mm 두께의 단판 + 40mm 두께의 단열 단판을 접합하는 3회의 시공 수고를 필요로 하고, 사용하는 단열 재료도 많이 필요하다.Howev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not possible with the singl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plates are repeatedly arranged, which leads to a large cost increase,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labor and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along with the material cost. There is a problem. 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40 mm is disposed, it requires three construction labors for joining a 50 mm thick single plate + a 50 mm thick single plate + a 40 mm thick insulating single plate, and us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o be used. It also needs a lot.

예를 들면, 외단열 구조의 스틸 하우스 등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층은 상기 통기층의 공기 환류에 의한 제습 작용을 기대하는 정도로, 통상은 통기층을 포함한 단열재로부터 외측은, 외기로서 다루어지고 있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 통기층을 여름에는 외기열의 실내로의 침입에 대한 고단열·고차열층으로서 기능시키고, 겨울에는 이 통기층을 실내열의 외부로의 유출 억제층으로서 기능시키도록 설계 모델로서 채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외단열 구조를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단열재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높은 단열·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차열 성능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좋은 경우에는 종래에 비하여 단열재를 얇게 할 수 있고, 비용 감소가 가능한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가지는 지붕·벽 구조를 실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n a steel house having an outer insulation structure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layer is expected to have a dehumidification effect by air reflux of the ventilation layer, and the outside is usually treated as outside air from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the ventilation layer. Compared to the los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entilation layer to function as a high thermal insulation layer and a high thermal insulation layer against invasion of the outdoor air in the summer, and to function the ventilation layer as an outflow restraining layer to the outside of the interior heat in the winter. It employ | adopted and comprised as a design model. By designing the outer insulation structur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ive a high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o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ake the heat insulation thinn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heat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roof and a wall structure having high insulation and high heat shielding performance that can be redu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제1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를 설치한 외벽에 있어서,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을 가지는 피막을 외장재의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동시에, 외장재의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의 낮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n outer wall in which an outer wall casing is provided with a ventilating layer on the outer side of a structural sphere, wherein the outer wall of the casing has a high reflectance, high emissivity and an inner surface having a small emissivity. An outer wall structure, wherein a small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is provided with a low emissivity film.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외장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제3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를 설치한 외벽에 있어서,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하고, 또한 외장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uter wall provided with an outer wall cladding material between the outer layers of the structural sphere,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add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adding material. In additio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4의 발명은 제1 내지 제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first to third aspects of the invention, a film having a small emissivity and a moisture permeable film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packaging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therebetween.

제5의 발명은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와 마주하는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5th invention is a 4th invention WHEREIN: The emissivity of the film of the surface which faces an outer wall exterior material with the said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is 0.3 or les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6의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외측 표면의 피막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 내면 방사율이 0.5 이하이고, 또한 외장재의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6th invention is 1st or 2nd invention WHEREIN: The solar radiation reflectance of the fil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exterior material is 0.5 or more, outer surface emissivity is 0.7 or more, inner surface emissivity is 0.5 or less, and the film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Emissivity is characterized by being 0.3 or less.

제7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를 설치한 지붕 또는 지붕 하지재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와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통기층이 있는 지붕에 있어서,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을 가지는 피막을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동시에,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의 낮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f having a ventilation layer between a roofing member provided with a roof joint material with a roof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waterproofing member installed on a roof substrate and a roof joint member,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ember is provided. In addition,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and an inner surface having low emissivity is provided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and a low emissivity film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one.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8의 발명은 제7의 발명에 있어서,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venth invention, in the seventh inventio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제9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위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를 설치한 지붕, 또는 지붕 하지재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와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통기층이 있는 지붕에 있어서,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하고, 또한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 The ninth invention is a roof in which a roof joint is installed with a ventilation layer on the upper side of a structural sphere, or a roof having a ventilation layer between a waterproof member and a roof joint installed above a roof substrate, the outer side of the roof joint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a high emissivity on the surfac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and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with low emissivit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is minutely spac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with one space.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10의 발명은 제7 내지 제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은 피막 또는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nth invention, in the seventh to ninth inventions, a film having a small emissivity or a film having a small emissivity and a moisture permeable film ar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therebetween.

제11의 발명은 제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와 마주하는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11th invention is a 10th invention WHEREIN: The emissivity of the film of the surface which faces a roof joint material through the said ventilation layer is characterized by 0.3 or less.

제12의 발명은 제7 또는 제8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 내면 방사율이 0.5 이하이고, 또한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welfth invention, in the seventh or eighth invention,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is 0.5 or more, the outer surface emissivity is 0.7 or more, the inner surface emissivity is 0.5 or less, and the coating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Emissivity is characterized by being 0.3 or less.

제13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를 설치한 외벽, 또는 구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를 설치한 지붕에 있어서, 외벽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각의 통기층에 직면하는 2개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teenth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wall provided with an outer wall covering member with a ventilation layer on the outer 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or a roof provided with a roof fitting material with an upper ventilation lay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al sphere, wherein the outer wall covering member or roof fitting member is A paint layer having a high solar reflectanc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low-radioactive shee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wo surfaces facing each of the air-permeable layers.

제14의 발명은 지붕 이음재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지붕 하지재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와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생기는 통기층에 직면하는 방수재 또는 지붕 이음재의 2 표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surfaces of a waterproofing material or a roofing fitting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ing fitting and face a ventilation layer formed between the waterproofing member and the roofing fitting provided above the roofing substrate. A low-radioactive sheet is provided on either side.

제15의 발명은 제13 또는 제1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하고, 또는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은 피막 또는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eenth invention, in the thirteenth or fourteenth invention, a film having a small emissivity and a moisture permeable film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facing member with the ventilation layer therebetween, or the roof having the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or 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and a moisture permeable film ar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joint material.

제16의 발명은 제13 내지 제1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벽 외장재 또는 지붕의 외면에 형성하는 도료층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 0.7 이상이며, 또한 통기층에 직면하는 상기 표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하는 저방사성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teen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thirteenth to fifteenth aspects, the solar radiation reflectivity of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ackaging material or the roof is 0.5 or more, and the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µm or more in wavelength is 0.7 or more, and aeration is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emissivity is 0.3 or less among the low-emissivity sheets provi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said surface which faces a layer.

제17의 발명은 제1 내지 제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은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와 도입한 외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통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venteenth invention, in the first to sixteenth inventions, the ventilation layer is a ventilation layer having an opening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opening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outside air.

제18의 발명은 제1 내지 제1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방사 피막이 금속박 시트, 금속 증착 시트, 금속판 또는 표면 처리된 금속판을 포함하는 시트, 저방사 도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18th invention is 1st-17th invention, The said low-emission film is a sheet containing a metal foil sheet, a metal vapor deposition sheet, a metal plate, or the surface-treated metal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the low-emission paint.

제19의 발명은 제1 내지 제18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피막이 외장재의 표면 자체 또는 도장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19th invention is a 1st-18th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high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film | membrane of the surface itself or a coating film.

제20의 발명은 제1 내지 제1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 내력상 주요한 구조 구체가 박판 경량형 강 또는 목재, 철골, 철근 콘크리트 또는 이들의 혼합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wentieth invention, in the first to nineteenth inventions, the main structural sphere in the structural strength is composed of sheet steel of light weight steel or wood, steel, reinforced concrete, or a mixture thereof.

제21의 발명은 제1 내지 제2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통기층의 두께가 50mm 이하, 상기 지붕의 통기층의 두께가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21st invention is 1st-20th invention,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layer of the said outer wall is 50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layer of the said roof is 100 mm or less.

제22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외벽용의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의 낮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 A twen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io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provided with an air-permeable layer on the outside of a structural sphere, wherein the outer surface has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and an inner surface having low emissivity. A small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3의 발명은 제22의 발명에 있어서,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wenty-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wenty-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제24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외벽용의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설치하고, 또한 내측 표면에 방사 비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A twenty-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io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provided with an air-permeable layer on the outside of a structural sphere, wherein an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on ratio is provided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5의 발명은 제22 내지 제24의 발명에 있어서, 외측 표면의 피막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 내면 방사율이 0.5 이하이고, 또한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wenty-fifth invention, in the twenty-second to twenty-fourth invention,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film on the outer surface is 0.5 or more, the outer surface emissivity is 0.7 or more, the inner surface emissivity is 0.5 or less, and the emissivity of the film on the inner surface is 0,3. It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제26의 발명은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외벽용의 외장재, 또는 구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지붕 이음재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피막을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의 작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The twenty-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ior wall covering member provided with an outer ventilation layer on the outer 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or a roof joint member provided with an upper ventilation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wherein the solar reflectance is high on the outer surface. A film having a high emissivity is provided, and a small film of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7의 발명은 제26의 발명에 있어서, 외측 표면의 피막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이고, 또한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twenty-seventh invention, in the twenty-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film on the outer surface is 0.5 or more, the outer surface emissivity is 0.7 or more, and the emissivity of the film on the inner surface is 0.3 or less.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파장 3μm 이하의 단파장 성분의 열방사에 대하여 고반사 성능을 가지는 피막과 파장 3μm 이상의 단파장 성분의 열방사에 대하여 저방사를 가지는 피막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또는 건축물의 단열재와 외벽 외장재 중 적어도 한쪽의 통기층 측의 표면에 파장 3μm 이상의 단파장 성분의 열방사에 대하여 저방사를 가지는 저방사 성능을 가지는 저방사성 시트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종래는 습기 빼기로서의 기능만이 기대되고 있던 통기층을 단열·차열층으로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보다 염가로 또한 높은 단열·차열 성능의 외벽 또는 지붕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차열 성능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좋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하여 단열재를 얇게 할 수 있고 시공면과 재료비의 면에서 경제적이다. 또한, 외벽의 외면에 태양광의 단파장 성분에 대하여 높은 일사 반사 성능을 가지는 도장 등을 실시한 것에 의하여, 상기 저방사성 시트와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여름철에 있어서 더욱 높은 단열·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having a high reflection performance against heat radiation of short wavelength components having a wavelength of 3 μm or less and a film having low radiation with respect to heat radiation of a short wavelength component having a wavelength of 3 μm or more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in double. Or a low radiation sheet having a low radiation performance having low radiation to heat radiation of a short wavelength component having a wavelength of 3 μm or more on a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exterior wall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conventionally dehumidifying Since the ventilation layer which was only expected as a function can be comprised as a heat insulation and a heat shielding layer, the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of a high heat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realized more inexpensively and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refore,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heat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heat insulation can be made thin by application of this invention, and it is economical in terms of construction surface and material cost. Further, by applying a coating having high solar reflection performance to the short wavelength component of solar li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a higher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given in summer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low-radiative sheet. .

이러한 저방사성 시트, 반사 도료 등의 재료를 현장 접합, 현장 도장하지 않고, 외벽 또는 지붕 패널의 공장에서의 건재 제조 시에 미리 표면 처리 등의 조치를 실시함으로써, 양산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염가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단열·차열 성능을 가지는 건물의 외벽 또는 지붕 구조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단열재의 두께에만 성능 의존하고 있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건축물의 염가 그리고 단공기화(單工期化)가 실현 가능하다.By carrying out measures such as surface treatment in advance in manufacturing building materials in the exterior wall or roof panel without the field bonding and field coating of such low-emission sheets and reflective paints, mass production and new low cost are possible. .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performance was only dependent on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s a means of realizing the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high heat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the cost of the building and the short airing Industrialization is feasible.

도 1은 외단열 방식의 스틸 하우스에 있어서의 구조물 구체와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장재를 설치하는 벽 구조를 나타내는 파단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structure in which an exterior member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sphere and a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in a steel house of an outer insulation type.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4는 도 1의 옥외측 정면도이다.4 is an outdoor front view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도 1과 같은 구조를 모델로서 나타내는 종단면 모식도이다.FIG.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s a model for simulating the high thermal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모델에 의하여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때의 여름철 외계 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summer external conditions when simulating high thermal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model of FIG. 5.

도 7은 도 6의 외계 조건에 있어서 제1 설정 조건하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 (여름철 1)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a simulation result (summer season 1) under the first set condition in the external condition of FIG. 6.

도 8은 도 6의 외계 조건에 있어서 제2 설정 조건하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 (여름철 2)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showing a simulation result (summer season 2) under the second set condition in the external condition of FIG. 6.

도 9는 도 6의 외계 조건에 있어서 제3 설정 조건하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 (여름철 3)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9 is a graph showing a simulation result (summer season 3) under the third set condition in the external condition of FIG. 6.

도 10은 지붕의 단열재 두께, 일사 반사율, 개구율, 방사율이 차열에 주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여름철 4)이다.FIG. 10 is a graph (Summer 4) showing the effect of insulation thickness, solar reflectance, aperture ratio, and emissivity of a roof on heat shielding.

도 11은 도 5의 모델에 의하여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시뮬레이션 때의 동계 외계 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winter external conditions when simulating high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model of FIG. 5.

도 12는 도 11의 설정 조건하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12 is a graph showing simulation results under the setting conditions of FIG. 11.

도 13(a)는 지붕 모델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Fig. 13A is a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of model.

도 13(b)는 지붕 모델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1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of model.

도 14는 내단열 구조의 벽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of embodiment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to the wall of the heat insulation structure.

도 15는 외측 표면에 포러스층이 형성된 외장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porous layer wa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도 16은 내측 표면에 포러스층이 형성된 외장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porous layer wa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도 17은 양측으로 포러스층이 형성된 외장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porous layer was formed in both sides.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 하우스에 대표되는 박판 경량형 강조(鋼造) 또는 목조, 철골조, 철근 콘크리트조, 또는 이들의 혼합구조 건축물 모두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아래에서는 스틸 하우스의 예로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thin-walled light weight embossed or wooden,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a mixed structure of the buildings represented by the steel house, but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of the steel house.

스틸 하우스는 판 두께 1mm 전후의 박판 경량형 강에 의한 프레임재과 구조용 면재에 의한 박판 경량형 강조에 의한 건축물으로서, 목조에 비하여 내진성, 내구성, 단열성 등이 우수하므로, 최근에 급속히 보급하고 있지만, 상기 단열 성능의 보다 한층의 고성능을 추구하여 현재 표준 사양이 되고 있으며, 외단열 구조를 더 개량하는 시도가 실시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외단열 구조에 있어서 종래 시도된 적이 없는 신규 기술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The steel house is a structure made of a frame member made of sheet steel with a thickness of about 1 mm and a plate made of a sheet made of light weight by a structural face member, and has been rapidly spreading in recent years because it has superior shock resistance, durability, and heat insulation compared to wood. In pursuit of further high performance of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t is now a standard specification, and an attempt to further improve the outer insulation structure has been carried out. In this embodiment, the novel technique improvement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conventionally in this outer insulation structure is performed.

도 1 내지 도 4를 설명하면, 도 1은 외단열 방식의 스틸 하우스에 있어서의 구조 구체와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장재를 설치하는 벽 구조를 나타내는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옥외측 정면도이다.1 to 4, Fig. 1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structure in which an exterior member is provided with a structural sphere and a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steel house of an external insulation typ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4 is an outdoor front view.

각 도면에 있어서, 박판 경량형 강이 세로 프레임(1)과 하프레임(2)과 상프레임(도시 생략)을 조립함으로써 구조 구체의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고, 세로 프레임(1)의 타측 플랜지(1a)에 석고 보드 등의 내장재(피복재)(3)가 고착되어 있다. 이 구조 구체는 박판 경량형 강 또는 목재, 철골, 철근 콘크리트 또는 이들의 혼합구조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내장재(3)는 강화 석고 보드로 이루어지는 옥내측 방화 피복 구조용 면재(3a)가 하장(下張)으로서 못·드릴 나사 등의 패스너(5)로 세로 프레임(1)의 타측 플랜지(1a)에 접합되고 한번 더 옥내측 방화 피복 구조용면재(3a)의 옥내측 표면에는 강화 석고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옥내측 방화 피복재 (3b)가 스테이플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In each figure, the frame of a structural sphere is comprised by the thin lightweight steel assembling the vertical frame 1, the lower frame 2, and the upper fram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flange 1a of the vertical frame 1 is constructed. Inside) (coating material) 3 such as gypsum board is fixed. This structural sphere may be composed of thin lightweight steel or wood,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or a mixed structure thereof. The interior material 3 is formed of a reinforcing sheet of fire-resistant cladding structure 3a made of a reinforced gypsum board, which is fastened to the other flange 1a of the vertical frame 1 by fasteners 5 such as nails and drill screws. The indoor side fireproof coating material 3b made of reinforcement gypsum board etc. is stapled and fixed to the indoor surface of the indoor side fireproof coating structural face material 3a once again joined.

세로 프레임(1)의 한쪽 플랜지(1b)에는 구조용 합판과 섬유 보강 시멘트판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내력용 면재(4)가 못·드릴 나사 등의 패스너(5)로 접합되어 있다. 이 구조 내력용 면재(4)와 옥내측 방화 피복 구조용 면재(3a)와 박판 경량형 강이 세로 프레임(1)(및 상하의 프레임)으로 구조 내력 상 주요한 부분(이하, 구조 구체라고 한다)(6)을 구성하고 있다. 또는, 옥내측 방화 피복 구조용 면재(3a)를 포함하지 않고, 구조 구체(6)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On one flange 1b of the vertical frame 1, a structural strength face member 4 made of a structural plywood and a fiber-reinforced cement board or the like is joined by fasteners 5 such as nails and drill screws. The structural member 4 for structural strength, the structural member 3a for indoor fire protection coating, and thin plate lightweight steel are the vertical frames 1 (and upper and lower frames), which are the main par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uctural spheres) in structural strength (6). ). Or you may comprise the structural sphere 6, without including the indoor fire prevention coating structural face material 3a.

구조 내력용 면재(4)의 외측(옥외측)에는 폴리에틸렌폼 등의 발포 플라스틱계의 단열재(7)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단열재(7)의 외측에 통기 브래킷(10)을 사 이에 두고 요업계열 사이딩 외장재(11)가 설치되어 있다. 통기 브래킷(10)은 소정의 간격을 두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통기 브래킷(10)을 사이에 두고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사이에 통기층(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층(9)은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와 도입한 외기를 밖에 배출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통기층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외벽 구조로서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통기층(9)의 두께가 50mm 이하가 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지붕 구조로서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통기층(9)의 두께가 100mm 이하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On the outer side (outdoor side) of the structural strength-bearing face member 4, a heat insulating material 7 made of foamed plastic, such as polyethylene foam, is provided, and a heat exchanger is arranged between the ventilation brackets 10 on the out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The siding exterior material 11 is provided. The ventilation bracket 10 is vertically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ventilation layer 9 is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with the ventilation bracket 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ventilation layer 9 may be configured as a ventilation layer having an opening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opening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outside air outside. In the case of application as an outer wall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layer 9 may be 50 mm or less, and in the case of application as a roof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layer 9 is 100 mm or less. Also good.

그 이유로서는 외벽 외장재와의 사이에 생기는 통기층,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생기는 통기층(9)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 현실적으로 더 이상의 두께의 통기층(9)은 별로 없다고 예상되는 것, 시뮬레이션에 이용한 계산법의 적용 한계인 것(비교적 얇은 통기층(9)이고, 통기량도 그렇게 많지 않은 조건을 설정으로 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ventilation layer 9 between the exterior wall covering material and the roof joint material between the roof joint material is targeted, it is expected that the ventilation layer 9 of no more thickness is practically used. The application limit of the calculation method used (the comparative thin ventilation layer 9, and the conditions which set the conditions which are not too much ventilation) is mentioned.

또한, 이 통기층(9)의 실시작업자의 레벨에서의 치수는 벽 20mm, 지붕 50mm 정도이며, 확대한다고 하여도 벽 50mm 이하, 지붕 100mm 이하가 현실적인 수치이다. 그러나, 이 수치 이하가 아니면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Moreover, the dimension at the level of the operator of the ventilation layer 9 is about 20 mm of wall and 50 mm of roof, and even if it enlarges, 50 mm or less of wall and 100 mm or less of roof are realistic figures. However, this value does not mean that the effect is not exhibited.

통기 브래킷(10)을 관사이에 두고 못·드릴 나사 등의 패스너(5)를 세로 프레임(1)의 한쪽 플랜지(1b)에 타설(打設)함으로써, 단열재(7)와 통기 브래킷(10)을 세로 프레임(1)에 고착하고 있다. 또한, 통기 브래킷(10)의 더욱 외측으로부터 못·드릴 나사 등의 패스너(5)를 통기 브래킷(10)에 타설함으로써, 외장재(11)는 통 기 브래킷(10)에 고착된다. 통기 브래킷(10)의 간격은 임의이고, 또한,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수평으로 배치하여도 좋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ventilation bracket 10 by placing the fastener 5, such as a nail and a drill screw, on the one flange 1b of the vertical frame 1 with the ventilation bracket 10 interposed between the pipes.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1). Further, by placing fasteners 5 such as nails and drill screws on the air vent bracket 10 from the outside of the air vent bracket 10, the exterior member 11 is fixed to the air vent bracket 10. The space | interval of the ventilation bracket 10 is arbitrary, You may arrange | position horizontally not only to arrange | positioning vertically.

또한,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각각의 통기층(9)에 직면하는 표면에는 저방사성 시트(8, 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저방사성 시트란, 장파장(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한 방사율이 0.3 이하의 것을 말한다. 이 저방사성 시트(8, 8a)는 도면과 같이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각각의 양면에 설치하는 것이 고단열·고차열성의 측면으로 가장 바람직하지만,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어느 한쪽의 표면에만 배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외장재(11)의 외면에 도포하는 반사 도료(후술)와의 상승 효과로, 필요한 고단열·고차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방사성 시트(8, 8a)는 소정의 방사율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지만, 그 상세는 도 5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이 저방사성 시트(8a)에 관하여는 투습성을 갖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 말하는 투습성이란 수증기(기체)를 통과시키는 성질의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수증기는 통과시키지만, 물(액체)은 통과시키지 않는 막으로서 구체화되는 것이 많다. 투습성을 가지는 막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예를 들면 타이백(등록 상표) 등에 구현되어 있다. Moreover, the low radioactive sheets 8 and 8a are provided in the surface which faces each ventilation layer 9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respectively. At this time, a low-emissivity sheet means that the emissivity with respect to the thermal radiation of long wavelength (3 micrometers or more) is 0.3 or less. The low-emissivity sheets 8 and 8a are most prefer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as shown in the figure, bu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It may be arranged only on one surface of),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nsure necessary high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by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reflective paint (to be described later)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In addition, although the low emissivity sheets 8 and 8a use what has a predetermined emissivity, the detail is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in FIG. In particular, the low-emissivity sheet 8a may be made to have moisture permeability. The moisture permeability referred to here refers to the degree of the property of passing water vapor (gas). Generally, it is embodied as a membrane which allows water vapor to pass but does not allow water (liquid) to pass through. Typical examples of the membrane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re implemented in, for example, Tieback (registered trademark).

또한, 이 저방사성 시트(8, 8a)는 상기 저방사 피막이 금속박 시트, 금속 증착 시트, 금속판 또는 표면 처리된 금속판을 포함하는 시트, 저방사 도료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low-emissivity sheets 8 and 8a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the low-emission coating metal foil sheet, the metal vapor deposition sheet, the metal plate or the sheet containing the surface-treated metal plate, and the low-emission paint.

저방사성 시트(8, 8a)가 배치된 통기층(9)을 공기가 흐른다. 즉, 통기층(9)은 도시하지 않는 일단측이 공기 유입측, 타단이 공기 유출측이 되고, 상기 통기 층(9)을 유통함으로써 습기 제거 기능이 나타난다.Air flows through the ventilation layer 9 in which the low emissivity sheets 8 and 8a are arrange | positioned. That is, in the ventilation layer 9, the one end sid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an air inflow side, and the other end is an air outflow side, and the moisture removal function appears by flowing the said ventilation layer 9.

본 발명에서 저방사성 시트의 명칭은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통기층(9)의 옆의 표면에 저방사성층을 형성하는 대표예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넓은 의미로 이용하고 있고, 시트계와 도료계의 저방사성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시트계의 경우, 저방사성 시트(8, 8a)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알루미늄 박 반사 시트나, 스테인레스 시트나, 수지계 시트 본체의 한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저방사층을 라미네이트(laminate)한 알루미늄 증착 시트 등이 있다. 수지계 시트 본체의 한쪽 편의 표면에 저방사층을 라미네이트한 저방사성 시트의 경우에는 외장재(11)측의 저방사성 시트(8)에 있어서는 저방사층이 통기층(9)의 측에 면하도록 설치하고, 단열재(7)측의 저방사성 시트(8)에 있어도 저방사층은 통기층(9)에 직면하는 측에 되도록 설치한다. 저방사성 시트가 도료계의 경우는 저방사성의 도료를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통기층 측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방사성 시트(8, 8a)나 저방사성 도료의, 단열재(7)와 외장재(11)에 대한 배치은 현장 작업에서도 가능하지만, 미리 공장에서 벽 패넬 제작의 공정에 있어서 기계적 작업으로 실시함으로써 시공성이 더욱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 of the low-radioactive sheet is used in a broad sense as a term representing a representative example of forming the low-radioa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ventilation layer 9 of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sheet type And a low-emissivity sheet of a paint system. In the case of the sheet type, specific examples of the low emissive sheets 8 and 8a include an aluminum foil reflecting sheet, a stainless sheet, an aluminum vapor deposition sheet laminated with a low emissive layer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resin sheet main body, and the like. have. In the case of the low-emissivity sheet which laminated the low-emission layer on one surface of the resin sheet main body, in the low-emissivity sheet 8 on the exterior material 11 side, it is provided so that the low-emission layer may face the ventilation layer 9 side. Even in the low radiation sheet 8 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side, the low radiation layer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ventilation layer 9. In the case where the low-emissivity sheet is a paint system, the low-emissivity paint is applied to the surface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on the ventilation layer side. Although the arrangement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of such a low radioactive sheet 8 and 8a or a low radioactive paint is possible in the field work, the workability is performed by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wall panel in the factory in advance. It is further improved.

통기층(9)에 면하여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표면에 저방사성 시트(8, 8a)를 설치하는 것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장재(11)의 외면에도 높은 일사 반사성을 가지는 도장 등의 일사 반사층(15)을 형성하고 있고, 저방사성 시트(8, 8a)와의 상승 효과로, 더욱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사 반사층(15)을 형성하는 반사 도료란 태양광의 단파장(3μm 미 만) 성분에 대한 높은 반사 성능을 가지는 반사 도료라고 정의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0.5 이상의 반사율의 것을 말한다.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on the surface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11 is also provided. The solar reflecting layer 15, such as coating which has high solar reflectivity, is formed, and can exhibit more high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low radioactive sheets 8 and 8a. In addition, the reflective coating which forms the said solar reflection layer 15 is defined as the reflective coating which has a high reflection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short wavelength (less than 3 micrometers) component of sunlight, More specifically, it is the thing of the reflectance 0.5 or more.

다음으로, 스틸하우스의 벽을 구성하는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Next, the assembling process for constructing the walls of the steel house will be described.

(1) 단열재(7)와 외장재(11)의 표면에 저방사성 시트(8, 8a)를 반사면이 통기층(9)에 접하도록 하여 기계적 수단으로 배치하여 둔다.(1) The low-emissivity sheets 8 and 8a are placed on the surface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exterior material 11 by mechanical means so that the reflecting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the ventilation layer 9.

(2) 미리 배치한 상프레임(도시하지 않음), 하프레임(2)에 세로 프레임(1)을 배치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테이프, 태핑 나사, 코킹 등으로 세로 프레임(1)과 상하 프레임을 임시고정 한다.(2) The vertical frame 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frame (not shown) and lower frame 2 which were arrange | positioned previously. In this case, if necessary, the vertical frame 1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temporarily fixed by tape, tapping screws, caulking, or the like.

(3) 구조 내력용 면재(4)를 설치한다. 이때, 세로 프레임(1)이 구조 내력용 면재(4)의 세로 방향의 이음이 되도록 한다. 또한, 구조 내력용 면재(4), 세로 프레임(1), 상하 프레임을 스크류 못, 또는 태핑 나사 등의 패스너(5)로 접합하여 일체화한다.(3) A structural load bearing face member 4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vertical frame (1) is to be a longitudinal joint of the structural strength face plate (4). Further, the structural strength face member 4, the vertical frame 1,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joined together by fasteners 5 such as screw nails or tapping screws to be integrated.

(4) 구조 내력용 면재(4)의 옥외측에 저방사성 시트(8, 8a)가 통기층(9)에 면하도록 단열재(7)를 배치한다. 이 경우, 단열재(7)를 구조 내력용 면재(4)의 옥외 측에 빈 공간이 없게 배치하고, 테이프 등으로 임시고정 한다.(4)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 radioactive sheet | seat 8 and 8a may face the ventilation layer 9 on the outdoor side of the structural strength face material 4. In this cas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re may be no empty space in the outdoor side of the structural strength face material 4, and it temporarily fixes with a tape etc.

(5) 통기층(9)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 브래킷(10)을 설치한다. 외장재(11)가 가로로 접합되는 경우에는 통기 브래킷(10)을 소정의 간격으로 연직 방향으로 배치하고, 세로 프레임(1)과 통기 브래킷(10)을 태핑 나사 등의 패스너(5)로 접합한다. 외장재(11)가 세로 접합의 경우에는 통기 브래킷(10)을 소정의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고, 세로 프레임(1)과 통기 브래킷(10)을 태핑 나사 등의 패스너(5)로 접합한다.(5) The ventilation bracket 10 for forming the ventilation layer 9 is provided. When the packaging material 11 is joined horizontally, the ventilation brackets 1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vertical frame 1 and the ventilation brackets 10 are joined by fasteners 5 such as tapping screws. . When the exterior material 11 is longitudinally joined, the ventilation bracket 10 is arrange |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vertical frame 1 and the ventilation bracket 10 are joined by the fastener 5, such as a tapping screw.

(6) 강제 목지(目地) 결합물(joiner)(도금 강판 등)(12)을 설치한다. 외벽 밀봉(sealing) 목지(13)가 있는 경우에는 미리 강제 목지 결합물(12)을 배치한다.(6) A steel joiner (plated steel plate, etc.) 12 is provided. If there is an outer wall sealing wood 13, the forced wood joint 12 is arranged in advance.

(7) 저방사성 시트(8, 8a)가 통기층(9)에 면하도록 외장재(11)를 배치한다. 외장재(11)의 상호의 이중 재료는 9mm 정도로 한다. 실링 목지(13)의 폭은 10mm 정도로 한다.(7) The exterior material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 radioactive sheets 8 and 8a may face the ventilation layer 9. The mutual material of the exterior materials 11 is set to about 9 mm. The width of the sealing wood 13 is about 10 mm.

(8) 외장재(11)와 통기 브래킷(10)이 교차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11)와 통기 브래킷(10)을 태핑 나사로 접합한다. 또한, 실링 목지(13)는 우레탄계·아크릴 우레탄계·폴리 설파이드계·실리콘계 등으로 이루어지는 목지재로 간격 없이 채워 외단열 방식의 벽이 완성된다. (8) At the position where the packaging material 11 and the ventilation bracket 10 intersect, the packaging material 11 and the ventilation bracket 10 are joined by tapping screws. Moreover, the sealing wood paper 13 is filled with the wood material which consists of urethane type, acryl urethane type, poly sulfide type, a silicone type etc. without gap, and the wall of an external insulation system is completed.

본 출원인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벽 구조에 대하여, 특히 통기층(9)의 저방사성 시트(8, 8a)와 외장재(11)의 일사 반사층(15)와의 조합에 의하여, 고단열·고차열 성능의 확인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므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고단열·고차열 성능의 확인의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도 1과 동일한 벽 구조의 모델을 나타내는 종단면 모식도이다. 도 6, 도 11은 시뮬레이션용의 외계 조건, 도 7 내지 도 10, 도 12는 각각 다른 조건하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확인된 지붕·벽 구조에 있어서의 고단열·고차열 성능을 수치화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he applicant has a high insulation and a high degree of difference in the wall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4 by, in particular, a combination of the low-emissivity sheets 8 and 8a of the ventilation layer 9 and the solar reflection layer 15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Since the simulation for checking the thermal performance was performe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el of the same wall structure as that of FIG. 1 for conducting a test for confirming high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FIG. 6 and 11 are graphs showing numerical values of high insulation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roof and wall structures identified by the simulation under different conditions for simulation, and FIGS. 7 to 10 and 12 respectively. .

도 5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내장재(3)와 구조 내력용 면재(4)로 구조 구체(6)가 구성되어 있고, 구조 구체(6)의 외측에 단열재(7)가 배치되어 그 외측에 통기층(9)을 사이에 두고 외장재(11)가 설치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벽 구조에 있어서의 단열·차열 성능을 제어하는 대상 파라미터로서 단열재(7)의 두께: TH로 나타내고, 이하 마찬가지로, 외장재(11)의 통기층(9)에 직면하는 측의 저방사성 시트(8)(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표면 방사율:E1, 단열재(7)의 통기층(9)측에 면하여 배치되는 저방사성 시트(8a)(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표면 방사율:E2, 외장재(11)에 일사 반사층(15)을 형성한 것에 의한 외면의 방사율:Eso, 외장재(11)의 외면의 일사 반사율:ρs, 통기층(9)의 상하의 개구율:OA로 각각 나타낸다.5, the structure sphere 6 is comprised from the interior material 3 and the structural strength face member 4 like FIG. 1,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ructure sphere 6, and it ventilated outside it. The packaging material 11 is provided with the layer 9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same figure,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represented by TH as a target parameter for controlling the heat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in the wall structure, and the lower side on the side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9 of the exterior material 11 is likewise described below. Surface emissivity by the radioactive sheet 8 (not shown in FIG. 5): E 1 , low-radioactive sheet 8a (not shown in FIG. 5) disposed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9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Surface emissivity by): E 2 , the emissivity of the outer surface by forming the solar reflective layer 15 on the packaging material 11: E so ,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ρ s , of the ventilation layer 9 Upper and lower aperture ratios: OA.

또한, 도 5의 상태의 벽 구조에 있어서, 외벽 표면의 대류 열전달 계수를αco, 마찬가지로 외벽 표면의 방사율을 Eso, 실온을 TER(℃), 벽 구조 전체로서의 종합 열전달율을 αr로 하였다.In the wall structure shown in Fig. 5,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outer wall surface was α co , the emissivity of the outer wall surface was set to E so , the room temperature was TE R (° C.), and the overall heat transfer rate of the entire wall structure was α r . .

또한, 이하에서는, 단열재(7)의 두께(TH)를 40mm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을 본 발명 모델로 하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저방사성 시트(8, 8a)와 일사 반사층(15)을 가지지 않는 것을 종래 모델(기준)로 하고, 저방사성 시트의 반사율 및 벽을 통과하는 열 관류 저감율(후술한다)은 모두 종래 모델(기준)과 비교로 하여 표시하는 것이다.In addition, below,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in the case where thickness TH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40 mm is made into this invention model, In the said structure, the low radiation sheet 8, 8a and the solar reflection layer ( 15) is used as a conventional model (reference), and the reflectance of the low-radioactive sheet and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described later) passing through the wall are all display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odel (reference).

도 6은 도 5의 본 발명 모델에서 일사 반사와 표면 반사의 최적화가 도모할 수 있는 수치 예측 시뮬레이션할 때의 외계 조건으로서 도쿄의 여름철의 시각별 바 깥기온, 일사량, 야간 방사량(냉방 설계용의 1일분의 기상 데이터)에서의 기온, 야간 방사량, 일사량의 1일 24시간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outside temperature, insolation, and night radiation in summer in Tokyo as an external condition when performing numerical prediction simulation of optimization of solar reflection and surface refl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odel of FIG. 5 (for cooling design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temperature, night radiation amount, and insolation amount in 24 hours a day in the weather data for one day) is shown.

또한, 도 6 및 후술하는 도 11에 있어서, H는 지붕(수평면), N, NE, E, SE, S, SW, W, NW는 각각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의 외벽을 나타낸다.6 and 11 to be described later, H is a roof (horizontal plane), N, NE, E, SE, S, SW, W, and NW are north, northeast, east, southeast, south, southwest, west, It represents the outer wall of the northwest.

도 6의 외계 조건하에서, 도 5의 본 발명 모델을 종래 모델에 포함시키고, 수평면(지붕) 및 동서남북면(벽)으로 한 경우의 열관류 저감율을 시뮬레이션하고, 일사 반사와 통기층부의 표면 방사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치 예측 시뮬레이션 (차열 효과의 수치화)을 실시하였다.Under the external conditions of Fig. 6, the present invention model of Fig. 5 is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model, and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in the case of making the horizontal plane (roof) and the north, south, east and west (walls) is simulated. Numerical prediction simulations (quantification of the thermal effect) were performed to optimize the system.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모델의 복합체의 종합 성능으로서 열관류량 저감율 20% 내지 60% 삭감을 목표로 하고, 이것을 수치화하여 확인하였다. 즉, 종래 모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의 열관류량을 기준으로 하여, 열관류량 저감의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외장재(11)의 외면의 일사 반사율을 크게 하고, 통기층(9)에 직면하는 외장재(11)와 단열재(7)의 표면에 저방사성 시트를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상기 일사 반사율, 저방사성 시트의 방사율의 수치를 상기 종래 모델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값으로 하면, 상기 열관류량 20% 내지 60% 삭감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외장재(11)의 외면의 일사 반사율을 0.8, 저방사성 시트의 방사율을 0.2 이하 또는 0.3 이하(이 경우는, 외벽의 외면의 반사층과의 상승 효과)의 수치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열관류량을 20% 내지 60% 삭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of the model shown in Fig. 5, a 20% to 60% reduction in heat permeation reduction was aimed, and this was quantified and confirmed. That is,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11 is increased to face the ventilation layer 9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the thermal perfusion amount based on the thermal perfusion amount of the composite hav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model. Assuming that the low-radiation sheet is provided on the surfaces of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the numerical values of the solar reflectance and the emissivity of the low-radiation sheet are set to a certain value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model. It was simulated whether a 20% to 60% reduction could be achieved. As a result, the heat permeation is achieved by combining the values of 0.8 reflec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0.8 or less on the emissivity of the low-emissivity sheet (in this case, a synergistic effect with the reflective lay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could be reduced by 20% to 60%.

도 7은 여름철 1로서 도쿄 지방을 시험지로 하고, 외장재(11)와 단열재(7)에 상기 저방사성 시트(8, 8a)를 이용하고, 단열재 두께 40mm로 하고, 또한 일사 반사율을 0.8까지 높인 경우에 있어서의 유입 열량의 저감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통기층 두께는 벽에서 20mm, 지붕에서 50mm로 하고, 지붕 구배는 30˚이고 남향으로 하고 있고, 이들의 점에 관하여는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2에서 공통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 및 도 12에 있어서, □로 둘러싼 파라미터만을 상기 표의 기준 케이스의 값으로부터 변경 케이스의 값으로 변화시키고 있다.FIG. 7 is a summer paper 1 as a test paper, when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are used for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40 mm, and the solar reflectance is increased to 0.8.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reduction rate of the amount of inflow heat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ventilation layer thickness is set to 20 mm on the wall and 50 mm on the roof, and the roof gradient is 30 degrees and faces south, and these points are common in FIGS. 8 to 10 and 12. 7 to 9 and 12, only the parameter enclosed by □ is changed from the value of the reference case in the above table to the value of the change case.

또한, H는 지붕(수평면), N, NE, E, SE, S, SW, W, NW는 각각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의 외벽을 나타낸다. 동 도면의 그래프에 있어서, ρs, E1, E2의 점선 곡선에서는 외장재(11)의 외면의 반사율과 통기층의 방사율의 상승 효과로, 열관류 저감율이 최대로 약 65% 삭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E1, E2의 곡선에서는 통기층의 방사율을 0.2 정도로 저감시키면 열관류 저감율이 약 20% 안정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대로, 외장재(11)의 외면의 방사율 Eso를 작게 하면, 열관류량은 20 내지 30% 정도 증가되는 것도 확인되었다. In addition, H represents roof (horizontal surface), N, NE, E, SE, S, SW, W, and NW represent the outer wall of north, northeast, east, southeast, south, southwest, west, and northwest, respectively. In the graph of the figure, in the dashed line curves of ρ s , E 1 , E 2 ,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can be reduced by up to about 65%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reflecta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emissivity of the ventilation layer. It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curves of E 1 and E 2 show that when the emissivity of the ventilation layer is reduced to about 0.2,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can be stably reduced by about 20%. On the contrary, when the emissivity E so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is made small,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heat perfusion increased by about 20 to 30%.

도 8은 여름철 2로서 도쿄 지방을 시험지로 하고, 외장재(11)와 단열재(7)에 상기의 저방사성 시트(8, 8a)를 사용하고, 단열재 두께 60mm로 하고, 또한 일사 반사율을 0.8까지 높인 경우에 있어서의 유입 열량의 저감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동 도면의 그래프에 있어서, ρs, E1, E2의 점선 곡선에서는 외표면의 반사율과 통 기층의 방사율의 상승 효과로, 열관류 저감율이 최대로 약 63% 삭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E1, E2의 곡선에서는 통기층의 방사율을 0.2 정도로 저감시키면 열관류 저감율이 약 20% 안정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대로, 외장재(11)의 외면의 방사율 Eso를 작게 하면, 열관류량은 20 내지 30% 정도 증가하는 것은, 도 7과 마찬가지였다.FIG. 8 is a test paper for the Tokyo area in summer 2,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are used for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60 mm, and the solar reflectance is increased to 0.8. In the graph of the drawing, in the dotted curves of ρ s , E 1 , and E 2 ,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is a synergistic effect of the reflectance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emissivity of the ventilation layer.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cut approximately 63% at the maximum. In addition, the curves of E 1 and E 2 show that when the emissivity of the ventilation layer is reduced to about 0.2,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can be stably reduced by about 20%. On the contrary, when the emissivity E so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is made small, the amount of heat perfusion increases by about 20 to 30%, as in FIG. 7.

도 9는 여름철 3으로서 도쿄 지방을 시험지로 하고, 외장재(11)와 단열재(7)에 상기의 저방사성 시트(8, 8a)를 사용하고, 단열재 두께 TH를 파라미터에 추가하고, 또한 일사 반사율을 O.5까지 높인 경우에 있어서의 유입 열량의 저감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도 8에서는 일사 반사율을 0.8까지 높였지만, 도 9에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0.5까지 높였을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외벽에서는 일사 반사율 ρs, 표면 방사율 E1, E2를 각각 단독으로 변경하여도, 단열재 두께 TH를 40mm로부터 60mm로 변화시켰을 경우의 열관류량의 저감 효과에 이르지 않는다. 그러나 지붕에서는 통기층 양면의 방사율 E1, E2를 바꿈으로써, 단열재 두께 TH를 40mm로부터 60mm로 바꾸는 것과 거의 같은 25% 정도의 유입 열량의 저감 효과를얻을 수 있다. 가장 효과가 큰 것은 일사 반사율 ρs와 표면 방사율 E1, E2의 양쪽 모두를 변경하는 경우이며, 단열재 두께 TH를 40mm로부터 60mm로 변화시키는 것보다 큰 약 40%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외벽에서는 약 25% 내지 30%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g. 9 shows the Tokyo area as the test paper in summer 3,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described above are used for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dded to the parameter, and the solar reflectance is further reduced.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reduction rate of the amount of inflow heat at the time of raising to O5. Although the solar reflectance was increased to 0.8 in FIG. 7, FIG. 8, the effect at the time of raising to 0.5 which can be achieved comparatively easily was shown in FIG. In the outer wall, even if the solar reflectivity ρ s and the surface emissivity E 1 and E 2 are changed individual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heat permeation amount 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ickness TH is changed from 40 mm to 60 mm is not achieved. However, by changing the emissivity E 1 , E 2 on both sides of the ventilation layer on the roof, a reduction effect of about 25% of inflow heat can be obtained, which is almost the same as changing the insulation thickness TH from 40 mm to 60 mm. The most effective is the case of changing both the solar reflectance ρ s and the surface emissivity E 1 , E 2 , and an effect of about 40% is obtained, which is greater than changing the insulation thickness TH from 40 mm to 60 mm, In about 25% to 30% of the effect can be obtained.

도 1O에 여름철 4로 하고, 지붕을 대상으로 하여, 전술한 조건에 통기층의 개구율(OA)을 파라미터에 추가하고, 기준 케이스를 100으로 하여 각 파라미터를 변화시켰을 때의 유입 열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케이스 1은 기준 케이스, 즉 TH(단열재 두께):40mm, ρs(일사 반사율):0.3, E1, E2(방사율):0.9, OA(통기층 상하의 개구율):협(狹)으로 하였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케이스 2는 기준 케이스의 TH만을 60mm로 변경하였을 경우, 케이스 3은 기준 케이스의 ρs를 0.5에, OA를 기준 케이스의 2.5배로 변경한 경우, 케이스 4는 기준 케이스의 E1를 0.2로, 그리고 OA를 기준 케이스의 2.5배로 변경한 경우, 케이스 5는 기준 케이스의 ρs를 0.5, E1을 0.2로, 그리고 OA를 기준 케이스의 2.5배로 변경한 경우, 케이스 6은 기준 케이스의ρs를 0.5, E1 및 E2를 0.2로, 그리고 OA를 기준 케이스의 2.5배로 변경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통기층의 개구율을 기준의 협으로부터 그 2.5배까지 크게 하고, 일사 반사율 ρs와 표면 방사율 E1, E2의 변화도 고려한 케이스 6에 있어서 최대로 50%나 유입 열량을 줄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inflow heat at the time of making a summer 4 in FIG. 10, and making a roof object, adds the opening ratio OA of a ventilation layer to a parameter to a parameter mentioned above, and changes each parameter with a reference case 100 is shown. . 10, Case 1 is a reference case, that is, TH (heat insulation thickness): 40 mm, ρ s (solar reflectance): 0.3, E 1 , E 2 (emissivity): 0.9, OA (opening ratio above and below the ventilation layer): When the case 2 changes the TH of the reference case to 60 mm, Case 3 changes the ρs of the reference case to 0.5 and the OA to 2.5 times the reference case. If you change E 1 of the reference case to 0.2 and OA to 2.5 times the reference case, Case 5 changes the ρ s of the reference case to 0.5, E 1 to 0.2, and OA to 2.5 times the reference case, Case 6 shows a case where the ps of the reference case is changed to 0.5, the E 1 and the E 2 are 0.2, and the OA is 2.5 times the reference case, respectively. The opening ratio of the ventilation layer can be increased by 2.5 times from the narrow limit of the standard, and the amount of heat input can be reduced by as much as 50% in the case 6 considering changes in the solar reflectance ρ s and the surface emissivity E 1 and E 2 .

도 7, 도 8에 되돌아가서, 개구율을 기준의 협으로부터 그 2.5배까지 크게 한 경우만의 효과는 통기층의 개구율 OA 곡선에 있는 바와 같이, 지붕에서는 18% 정도, 벽에서는 방위에 따라서 다르지만, 최대 10%이다. 이 때문에, 특히 지붕에서는 통기층의 환기 효과를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그러기 위하여는 통기층의 급배기구는 가능한 한 환기 저항을 작게 하여 통기성을 잘 하는 것이 좋다.Returning to FIG. 7, FIG. 8, the effect only when the opening ratio is increased from the reference narrow to 2.5 times is as high as 18% in the roof and the orientation in the wall, as shown in the opening ratio OA curve of the ventilation layer. 10%. For this reason, especially in a roof, it is effective to use the ventilation effect of a ventilation layer together, and in order to do so, it is good for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ventilation layer to make ventilation resistance small as much as possible, and to provide good ventilation.

이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여름날, 일사로 들어오는 열을 외장재(11)의 일사 반사층(15)에서 반사하고 또는 흡수한다. 그럼에도 열선(적외선)에 의한 열은 외장재(11)를 통과하여 통기층(9) 측의 표면으로부터 방사되므로, 이 열은 외장재(11)의 통기층(9) 측의 표면에 설치한 저방사성 시트(8)로 차단한다. 또한, 저방사성 시트(8)를 통과하여 통기층(9)에서 방사되는 열은 단열재(7) 측의 저방사성 시트(8a)로 차단한다. 이와 같이, 3단의 열차단 구조에 의하여, 예를 들면 구조 구체의 외측에 설치한 단열재로부터 외장재까지로 구성되는 벽 구조 체열 관류량을 종래에 비하여, 약 70% 내지 약 20% 삭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또한 단열·차열 성능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좋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하여 단열재(7)를 얇게 할 수 있고 시공 측면과 재료비의 측면으로 경제적이기도 하다.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as follows. On a summer day, heat entering the solar radiation is reflected or absorbed by the solar reflection layer 15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Nevertheless,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rays (infrared rays) passes through the packaging material 11 and radiates from the surface of the ventilation layer 9 side, so that the hea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ntilation layer 9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Block with (8). In addition, the heat radiated from the ventilation layer 9 through the low radioactive sheet 8 is blocked by the low radioactive sheet 8a 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side. In this way, the three-stage thermal barrier structure can reduce, for example, about 70% to about 20% of the wall structure heat flow through the wall structure consisting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to the exterior material. It was confirmed. This also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thinner by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heat insulating / heat insulating performance, and it is also economical in terms of construction side and material cost.

도 11은 도 5의 본 발명 모델에서 일사 반사와 표면 반사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치 예측 시뮬레이션할 때의 외계 조건으로서 도쿄의 겨울철의 시각별 바깥기온, 일사량, 야간 방사량(난방 설계용의 1일분의 기상 데이터)에서의 기온, 야간 방사량, 일사량의 하루 24시간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outside temperature, insolation, and night radiation in winter in Tokyo as an external condition when a numerical prediction simulation is performed in order to optimize solar reflection and surface refl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odel of FIG. 5 (for heating design 1). Temperature change in one minute weather data), nighttime radiation, and solar radiation 24 hours a day.

도 11이 맑고 추운 겨울의 외계 조건하에서, 도 5의 본 발명 모델을 종래 모델에 포함시키고, 수평면(지붕) 및 동서남북면(벽)으로 하였을 때의 열관류 저감율을 시뮬레이션하고, 일사 반사와 통기층부의 표면 방사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치 예측 시뮬레이션(차열 효과의 수치화)을 실시하였다.Fig. 11 includes the present invention model of Fig. 5 in a conventional model under the cold and cold winter external conditions, and simulates the reduction of heat permeation when the horizontal plane (roof) and the north-west, south-western (wall) surface are used. Numerical prediction simulation (quantification of heat shielding effect) was performed to optimize negative surface radiation.

도 12는 겨울철에 도쿄 지방을 시험지로 하고, 외장재(11)와 단열재(7)에 상 기의 저방사성 시트(8, 8a)를 사용하고, 또한 단열재 두께 TH를 파라미터로 하여 열관류량 저감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동 도면의 그래프에 있어서, 일사에 의한 관류 열량을 줄이는 대책으로서 일사 반사율 ρs를 크게 한 것에 의하여, 겨울철의 일사열 취득이 감소되기 때문에 열손실은 약간 증대한다. 그러나, 일사 반사율 ρs에 추가하여, 편면의 표면 방사율 E1도 변경하면 이 열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사 반사율 ρs와 양면의 표면 방사율 E1, E2도 변경한 경우에는 일사 반사율 ρs를 크게 한 손실을 보충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 두께 TH를 40mm로부터 50mm에 증가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약 10% 전후의 열손실의 감소가 가능해진다. FIG. 12 is a test paper for the Tokyo region in winter,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described above are used for the exterior material 11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and the heat permeation reduction rate is determined by us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ickness TH as a parameter. The graph shown. In the graph of the figure, the heat loss slightly increases because the solar radiation reflectance in winter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solar reflectance ρ s as a countermeasure for reducing the amount of heat flowing through solar radiation. However, if the surface emissivity E 1 of one side is also changed in addition to the solar reflectance ρ s , this increase in heat los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solar reflectance ρ s and the surface emissivity E 1 and E 2 on both sides are also changed, not only the loss which increased the solar reflectivity ρ s is compensated for, but also about 10 as in the case where the insulation thickness TH is increased from 40 mm to 50 m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 loss around%.

이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일사에 의한 입열을 외장재(11)의 일사 반사층(15)에서 반사함으로써 열손실이 커지지만, 통기층(9)측의 표면에 설치한 저방사성 시트(8)에 의하여, 실내측으로부터 옥외로 이동하는 열을 차단하므로, 상기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열손실을 같은 정도로 하는 경우에는 단열재를 얇게 함으로써 시공 측면과 재료비의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즉, 저방사성 시트(8)는 여름철, 겨울철에 관계없이 옥외로부터 실내로, 또는 실내로부터 옥외로의 열관류량을 줄일 수 있다.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as follows. In winter, heat loss is increased by reflecting heat input by solar radiation in the solar reflection layer 15 of the exterior material 11, but it is outdoors from the indoor side by the low-emission sheet 8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ntilation layer 9 side. Since the heat loss is reduced, the heat loss can be reduced, and when heat loss is about the sam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made thinner, which is economical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material cost. That is, the low-radiative sheet 8 can reduce the amount of heat transmission from the outdoors to the interior, or from the interior to the outdoors, regardless of summer or winter.

도 13(a), 도 13(b)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을 2개의 외단열 구조의 지붕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13(a)에 있어서, 박판 경량형 강제의 프레임체(16)에 합판 등의 면판(17)을 설치하여 구조 구체가 구성되고, 면판(17) 위에 기 초 서까래(下地垂木)(18)를 사이에 두고 지붕널(野地板)(19)이 설치된다. 면판(17)과 지붕널(19)의 간격에는 단열재(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b)에서는 지붕널을 겸하는 지붕 하지재(20)가 설치되고, 이들의 구성은 도 13(a), 도 13(b) 공통이다. 또한, 도 13(a)에서는 지붕널(19) 위에 통기 브래킷(10)을 사이에 두고 지붕 하지재(21)가 설치되고, 이 지붕 하지재(21) 위에 방수재(도시하지 않음)를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지붕널(19)과 지붕 하지재(21)간에 통기층(9)이 형성되어 있다. 13 (a) and 13 (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of of two outer insulation structures as another embodiment. In Fig. 13 (a), a structural sphere is formed by providing a face plate 17 such as plywood on the thin frame lightweight steel frame 16, and the foundation rafters 18 on the face plate 17. The shingles 19 are installed across the gap.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provided in the space | interval of the faceplate 17 and the shingles 19. As shown in FIG. In FIG.13 (b), the roof base material 20 which serves as a shingles is provided, and these structures are common to FIG.13 (a) and FIG.13 (b). In addition, in FIG. 13 (a), the roof base material 21 is installed on the shingles 19 with the ventilation brackets 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waterproofing material (not shown) is placed on the roof base material 21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roof joint 22 is provided. The ventilation layer 9 is formed between the shingles 19 and the roof base material 21.

도 13(b)에서는 지붕 하지재(20) 위에 방수재(23)가 설치되고, 이 방수재(23)를 걸림턱(流棧)(24)으로 누르고 있다. 걸림턱(23)으로 직교하여 기와살(瓦棧)(25)이 설치되고, 기와살(25)을 사이에 두고 옥상 하지재(20)의 위쪽에 지붕 이음재(22)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와살(25)과 걸림턱(23)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22)와 지붕 하지재(20)의 사이에 통기층(9)이 형성되어 있다.In FIG. 13 (b), the waterproofing material 23 is provided on the roof base material 20, and the waterproofing material 23 is pressed by the locking step 24. Roof tiles 25 are installed orthogonally to the locking jaw 23, and roof joints 22 are provided above the roof base 20 with the tiles 25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ventilation layer 9 is formed between the roof joint material 22 and the roof base material 20 with the tile meat 25 and the latching jaw 23 interposed therebetween.

도 13(a)의 외단열 방식의 지붕에 있어서, 지붕 이음재(22)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15)을 필요에 따라 형성하는 동시에, 통기층(9)에 직면하는 지붕널(19)와 지붕 하지재(21)의 2개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8, 8a)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2개의 표면에 저방사성 시트가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outer heat insulating roof of FIG. 13 (a), a shingle layer 15 having a high solar reflectan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22 as necessary, and the shingles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9 ( The low-emission sheets 8 and 8a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surfaces of the 19 and the roof base material 21.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a low-radioactive sheet is mounted on two surfaces.

도 13(b)의 외단열 방식의 지붕에 있어서는 지붕 이음재(22)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15)을 필요에 따라 형성하는 동시에, 지붕 하지재(20)의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23)와 지붕 이음재(22)의 사이에 생기는 통기층(9)에 직면하는 방수재(23) 또는 지붕 이음재(20)의 두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8, 8a)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2개의 표면에 저방사성 시트가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In the outer heat insulating roof of FIG. 13 (b), a waterproofing layer 15 having a high solar reflectan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22 as needed, and a waterproof material provided above the roof base material 20. The low-emission sheets 8 and 8a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wo surfaces of the waterproof member 23 or the roof joint member 20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9 formed between the 23 and the roof joint member 22. In addition, the figure has shown the example in which the low radioactive sheet was attached to two surfaces.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방사성 시트(8, 8a)나 일사 반사층(15)을 외단열 방식의 지붕에 형성되는 통기층(9)이나 지붕 이음재(22)의 외면에 설치함으로써, 지붕의 일사에 의한 건물 내에 대한 방사열 전달 및 일사열취득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a) and Fig. 13 (b), the ventilation layer 9 and the roof joint material in which the low-emissivity sheets 8 and 8a and the solar reflection layer 1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the roof of the external insulation system are shown. By installing on the outer surface of (22),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radiant heat transfer and solar heat gain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due to solar radiation of the roof.

도 14는 또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을 충전 단열 구조의 벽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기둥의 간격에 단열재를 충전하는 경우를 충전 단열이라고 한다. 도 14에 의하여 설명하면, 포기초(布基礎)(26) 상에 모르타르(27), 고무 시트(28)를 사이에 두고 토대(29)가 설치되고, 토대(29)로부터 기둥(30)이 입설되고, 건축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 벽(31)이 구성된다. 벽(31)의 좌측이 실외측, 우측이 실내측이며, 벽(31)의 우측으로 단열재(도시 생략한다)가 접합되어, 충전 단열 구조의 구체가 구성되어 있다. 벽(31)의 좌측(즉, 실외측)에는 횡 브래킷(32)을 사이에 두고 외장재(11)가 장착되고, 못(33)으로 고착되어 있고, 외장재(11)와 벽(31)의 사이에 통기층(9)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의 횡 브래킷(32)에는 환기 탈수(34)가 설치되어 있다.Fig. 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all of a filling heat insulation structure as another embodiment. The case of filling insulation in the space | interval of a pillar is called filling insulation. Referring to FIG. 14, the foundation 29 is provided on the abandoned grass 26 with the mortar 27 and the rubber sheet 28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illar 30 is formed from the foundation 29. The wall 31 is constructed between the pillars and the pillars of the building. The left side of the wall 31 is the outdoor side, and the right side is the indoor sid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is joined to the right side of the wall 31 to form a sphere of a filling heat insulating structure. On the left side of the wall 31 (that is, the outdoor side), the exterior member 11 is mounted with the transverse bracket 3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xterior member 11 is fixed to the nail 33 and between the exterior member 11 and the wall 31. The ventilation layer 9 is formed in the. Ventilation dehydration 34 is provided in the lower horizontal bracket 32.

도 14의 충전 단열 방식의 외벽에 있어서, 외장재(11)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15)을 필요에 따라 형성하는 동시에, 통기층(9)에 직면하는 외벽재 (11)의 표면과 벽(31)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8, 8a)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2개의 표면에 저방사성 시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outer wall of the filling heat insulation system of FIG. 14, a coating layer 15 having a high solar reflectan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as needed,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wall material 11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9. Low-radioactive sheets 8 and 8a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walls 31. The figure has shown the example in which the low radioactive sheet was provided in two surfaces.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방사성 시트(8, 8a)를 통기층에, 일사 반사층(15)을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함으로써, 충전 단열 구조의 건물 내에 대한 일사열 취득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by providing the low radiation sheet 8 and 8a to the ventilation layer and the solar reflection layer 15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the acquisition of the solar heat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of the charge insulation structur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hav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장재(11)를 아래에 설명하는 외장재(41)로 대체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member 11 may be replaced with the exterior member 41 described below.

도 15는 이러한 외장재(41)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외장재(41)의 외측 표면(51)에는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도 높은 외면(52)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53)을 가지는 피막(54)이 피복되어 있다. 이 피막(54)은 외장재(41)의 외측 표면(51)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56)이 있도록 피복되어 있다. 이 미소한 공간(56)에 의하여 구성되는 층을 이하, 포러스층(57)이라고 한다.15 shows a cross section of such a packaging material 41. The outer surface 51 of the outer cover material 41 has a film 54 having an outer surface 52 having a high solar reflectance and a high emissivity (emissivity corresponding to a thermal radiation of 3 μm or more in wavelength) and an inner surface 53 having a small emissivity. It is covered. This film 54 is covered so that there is a minute space 56 between the outer surface 51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The layer constituted by the minute space 56 is referred to as a porous layer 57 below.

피막(54)은 외면(52)을 사이에 두고, 일사에 의한 단파장 성분의 열을 반사하는 동시에 바깥기온에 의한 장파장 성분의 열을 방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 피막(54)에 있어서의 방사율이 작은 내면(53)에서는 이것에 접하는 포러스층(57)과 함께, 높은 차열 성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film 54 reflects the heat of the short wavelength component due to solar radiation with the outer surface 5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radiates the heat of the long wavelength component due to the outside temperature. 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53 having a small emissivity in the coating film 54, it is possible to exhibit high heat shielding performance together with the porous layer 57 in contact with the film.

또한, 외장재(41)의 통기층에 직면하는 측의 표면(59)에는 방사율이 작은 피막을 형성하면, 성능은 각별히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a film having a small emissivity is formed on the surface 59 on the side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the performance is particularly improved.

도 16은 포러스층(57)을 통기층에 직면하는 내측 표면(59)에 형성시킨 외장재(4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외장재(41)의 구성에 있어 서, 상술한 도 15와 동일한 구성 요소, 부재에 관하여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FIG. 1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in which the porous layer 5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59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In the structure of the exterior packaging material 41 shown in this FIG. 1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component and member as FIG. 15 mentioned above,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here.

이 외장재(41)의 외측 표면(51)에는 피막(64)이 피복되어 있다. 이 피막(64)은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도 높은 외면(5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외장재(41)의 내측 표면(59)에는 피막(69)이 형성되고 있다. 이 피막(69)은 외장재(41)의 외측 표면(59) 근방에 형성된 공간(56)을 가지는 포러스층(57)을 사이에 두고 피복되어 있다. 이 피막(69)은 함께 방사율이 작은 내면(62) 및 외면(63)을 가지고 있다.The outer surface 51 of the exterior packaging material 41 is covered with a coating 64. This film 64 has an outer surface 52 having a high solar reflectance and a high emissivity (emissivity corresponding to a thermal radiation of a wavelength of 3 µm or more). In addition, a coating 6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59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This film 69 is covered with a porous layer 57 having a space 56 formed near the outer surface 59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This film 69 has an inner surface 62 and an outer surface 63 with a small emissivity.

도 17은 포러스층(57)을 양면에 형성시킨 외장재(4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7에 나타내는 외장재(41)의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도 15, 도 16과의 동일한 구성 요소, 부재에 관하여는 동일한 번호를 첨부함으로써,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외장재(41)의 외측 표면(51)에는 피막(54)이 피복되어 이루어지고, 내측 표면(59)에는 피막(69)이 피복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15의 외장재(41) 표면에 피복된 피막(54)의 외면(52)의 일사 반사율(단파장 3μm 이하)은 0.5 이상, 표면 방사율(장파장 3μm 이상)은 0.7 이상, 내면(53)의 표면 방사율(장파장 3μm 이상)은 0.3 이하라고 가정한다.1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in which the porous layer 57 is formed on both surfaces. In the structure of the exterior packaging material 41 shown in this FIG. 17, the same components and members as those in FIGS. 15 and 16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The outer surface 51 of the exterior packaging material 41 is covered with a coating 54, and the inner surface 59 is covered with a coating 69. Here, for example, the solar reflectance (short wavelength 3 μm or less) of the outer surface 52 of the coating 54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of FIG. 15 is 0.5 or more, the surface emissivity (long wavelength 3 μm or more) is 0.7 or more, and the inner surface ( 53), the surface emissivity (long wavelength 3 µm or more) is assumed to be 0.3 or less.

도 15에 나타내는 피막(54)과 포러스층(57)의 차열 효과를, 도 5에 있어서 설명한 모델로 시험삼아 계산하여 보았다. 각 파라미터와 기준 열 저항치를 표 1에 나타낸다. The heat shielding effect of the film | membrane 54 and the porous layer 57 shown in FIG. 15 was tested and tested by the model demonstrated in FIG. Table 1 shows each parameter and reference thermal resistance.

두께(mm) Thickness (mm) 열 전도율(W/mK)Thermal Conductivity (W / mK) 열 저항율(W/m2K)Thermal resistivity (W / m 2 K) 외장재(사이딩)Exterior material (siding) 1515 0.170.17 0.0880.088 통기층Aeration layer 2020 -- 0.2730.273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4040 0.0340.034 1.1771.177 합판Plywood 99 0.160.16 0.0560.056 공기층Air layer 9090 0.20.2 0.1680.168 내장재(석고 보드)Interior material (gypsum board) 1010 0.220.22 0.0460.046 양측 표면 경계층Bilateral surface boundary layer -- 0.170.17

합계(기준 열 저항값) 1.978(W/m2K)Total (reference thermal resistance) 1.978 (W / m 2 K)

다음으로, 포러스층(57)을 구성하는 요철부의 깊이와 면적에 따른 단열 효과의 비율을 계산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열 효과의 비율은 내외 표면에서의 포러스층(57)의 깊이에 따라, 아래와 같은 계산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result of having calculated the ratio of the heat insul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depth and area of the uneven part which comprises the porous layer 57 is demonstrated. The ratio of the heat insulation effec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porous layer 57 i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1) 요철부의 평균 깊이가 3mm이고, 외장재 표면적에 대한 접착부 면적의 비율이 30%인 경우(1) The average depth of the uneven portion is 3 mm, and the ratio of the adhesive portion area to the exterior surface area is 30%.

3mm의 공기층의 열 저항=0.1083(공기층은 밀폐. 피막 방사율 0.2, 외장재 방사율 0.9로서 계산한 값. 이하 같다), 추가 열 저항=0.1083×0.7=0.0758(30%는 밀착을 위한 단열 효과 없음. 이하 같다) 단열 효과의 증가 비율=0.0758×100/1.978=4 (%)Thermal resistance of air layer of 3mm = 0.11083 (air layer is sealed, calculated as film emissivity of 0.2, exterior material emissivity of 0.9. The same as below), additional thermal resistance = 0.11083 × 0.7 = 0.0758 (30% has no insulation effect for adhesion. Increase) = 0.0758 × 100 / 1.978 = 4 (%)

(2) 요철부의 평균 깊이가 5mm이고, 외장재 표면적에 대한 접착부 면적의 비율이 30%의 경우(2) If the uneven part has an average depth of 5 mm and the ratio of the adhesive part area to the exterior surface area is 30%

5mm의 공기층의 열 저항=0.169, 추가 열 저항=0.169×0.7=0.118 Thermal resistance of air layer 5 mm = 0.169, additional thermal resistance = 0.169 × 0.7 = 0.118

단열 효과의 증가 비율=0.118×100/1.978=6(%)Increasing rate of insulation effect = 0.118 × 100 / 1.978 = 6 (%)

(3) 요철부의 평균 깊이가 7mm이고, 외장재 표면적에 대한 접착부 면적의 비율이 30%의 경우(3) The average depth of the uneven portion is 7mm, and the ratio of the adhesive portion area to the surface area of the exterior material is 30%.

5mm의 공기층의 열 저항=0.222, 추가 열 저항=0.222×0.7=0.155 Thermal resistance of air layer 5 mm = 0.22, additional thermal resistance = 0.22 × 0.7 = 0.155

단열 효과의 증가 비율=0.155×100/1.978=8(%)Increasing rate of insulation effect = 0.155 × 100 / 1.978 = 8 (%)

(4) 요철부의 평균 깊이가 9mm이고, 외장재 표면적에 대한 접착부 면적의 비율이 30%의 경우(4) When the average depth of the uneven part is 9 mm and the ratio of the adhesive part area to the exterior surface area is 30%

5mm의 공기층의 열 저항=0.269, 추가 열 저항=0.269×0.7=0.1883 Thermal resistance of air layer 5 mm = 0.269, additional thermal resistance = 0.269 × 0.7 = 0.11883

단열 효과의 증가 비율=0.1883×100/1.978=10(%)Increase rate of insulation effect = 0.11883 × 100 / 1.978 = 10 (%)

이와 같이, 외장재(41)의 표면에 복수의 성능을 가지는 피막을 피복함으로써, 통기층에 직면하는 어느 한쪽에 대한 저방사 시트 설치 효과를 10% 전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by coating a film having a plurality of performances on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1,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low-emission sheet attaching effect on either side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by 10%.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에 피막(54, 69)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열 저항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표면(51)에 있어서의 포러스층(57)의 요철부의 깊이를 5mm로 하고, 내측 표면(59)에 있어서의 요철부의 깊이를 9mm로 한 경우에 있어서, 피막(54, 69)을 각각 피복한 경우에는 단열성을 16% 전후까지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의 쌍방에 있어서 포러스층(57)을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그 단열 효과는 상기 계산치로서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외장재(41)의 구성을 그대로 지붕 구조로서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외장재(41)는 본 발명을 적용한 외벽에 적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떠한 외벽에 대하여 적용되도록 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17, when the films 54 and 69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thermal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For example, when the depth of the uneven portion of the porous layer 57 on the outer surface 51 is 5 mm, and the depth of the uneven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59 is 9 mm, the coatings 54, 69 ), The insulation can be improved to around 16%.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porous layer 57 is formed on bo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the heat insulating effect can be expressed by the sum as the calculated value. In addition, you may apply the structure of the exterior packaging material 41 mentioned above as a roof structure. In addition, the exterior material 41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outer wal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ut also to any exterior wall.

본 발명의 외벽 또는 지붕 구조에 의하면, 종래 열 모델로서는 무시되어 있고, 오로지 습기 빼기로서의 기능이 기대되는 존재였던 통기층(9)에 저방사성 시트(8, 8a)를 설치함으로써, 단열재(7)를 두껍게 하는 것보다 염가로 단열·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외장재(11)나 지붕 이음재(22)의 외면에 높은 일사 반사 성능을 가지는 도장 등의 일사 반사층(15)을 실시하면, 상기의 저방사성 시트(8, 8a)와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여름철에서 더욱 높은 단열·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outer wall or the roof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7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in the ventilation layer 9, which is conventionally ignored as a thermal model and is expected to function only as moisture wicking. Insulation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could be improved at low cost rather than thickening. In addition, when the solar reflection layer 15 such as a coating having a high solar reflection performanc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11 or the roof joint 22, the summer effect is enhanced by the synergistic effect with the low-radiative sheets 8 and 8a. It was possible to give higher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저방사성의 시트 등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면, 단열재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높은 단열·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단열·차열 성능을 바꾸지 않아도 좋은 경우는 이번 기술의 적용에 의하여 단열재를 얇게 할 수 있어 단열재의 두께에만 성능 의존하고 있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서, 염가이고 단기 시공화가 실현 가능하다. 이들의 시트, 도료 등의 재료를 현장 접합, 현장 도장하지 않고, 건재 제조 시에 미리 표면 처리 등의 조치를 실시함으로써, 양산화하면 추가적인 염가화가 가능해진다. Apply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sheet of low radioactivity, it is possible to give high heat insulating and heat shielding performance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case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heat insulation / heat shielding performanc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heat insulation thinner,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performance was only dependent on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w cost and short-term construction. By carrying out measures such as surface treatment in advance during the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s, these materials, such as sheets and paints, are not bonded in situ or painted in the field.

또한, 본 실시 형태로 나타낸 구성을 적당 설계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it is contain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e structure shown by this embodiment by carrying out a suitable design change.

Claims (27)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를 설치한 외벽에 있어서,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을 가지는 피막을 외장재의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동시에, 외장재의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이 낮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In an outer wall provided with an outer wall covering material between the outer layers of the structural sphere,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and an inn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An outer wall structure, wherein 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while providing a small space therebetween.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외장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An outer wall structure, wherei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를 설치한 외벽에 있어서,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외장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하고, 또한 외장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In the outer wall provided with the outer wall exterior material between the outer ventilation layers of the structural sphe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a film having an external surface with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exterio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An outer wall structure, wherei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1항 내지 제3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The outer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film having a small emissivity and a moisture permeable film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packaging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therebetween.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와 마주하는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The outer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issivity of the film on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packaging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therebetween is 0.3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외장재의 외측 표면의 피막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 내면 방사율이 0.5 이하이고, 또한 외장재의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An outer wall structure having a solar reflectance of 0.5 or more, an outer surface emissivity of 0.7 or more, an inner surface emissivity of 0.5 or less, and an emissivity of a film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0.3 or less. 구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를 설치한 지붕 또는 지붕 하지재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와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통기층이 있는 지붕에 있어서,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을 가지는 피막을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동시에,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이 낮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 In a roof having a ventilation layer between a roof fitting material or a roof fitting material having a roof fitting material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a ventilation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al sphere, the solar reflectance is hig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fitting material, In addition,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a high emissivity and an inn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and a roof having a low emissivity film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rescue.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And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low emissivit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roof structure. 구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를 설치한 지붕, 또는 지붕 하지재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와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통기층이 있는 지붕에 있어서,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하고, 또한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 In a roof provided with a roof joint with a ventilation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or a roof having a ventilation layer between a waterproof member and a roof joint installed above the roof base member, solar reflec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is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a high and high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and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with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Roo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7항 내지 제9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은 피막 또는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A roof structure comprising 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or 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and a moisture permeable film on a surface facing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와 마주하는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The emissivity of the film on the surface facing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therebetween is 0.3 or les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지붕 이음재의 외측 표면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 내면 방사율이 0.5 이하이고, 또한 지붕 이음재의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The solar radiation reflecta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is 0.5 or more, the outer surface emissivity is 0.7 or more, the inner surface emissivity is 0.5 or less, and the emissivity of the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is 0.3 or less.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를 설치한 외벽, 또는 구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를 설치한 지붕에 있어서, 외벽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각의 통기층에 직면하는 2개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또는 지붕 구조.In an outer wall provided with an outer wall covering material between the outer vent layer of the structural sphere or a roof provided with a roof joint material between the upper ventilating layer of the structural sphere, the solar reflectance is refl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covering material or the roof fitting material. An outer wall or a roof structure, wherein a low-radioactive shee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wo surfaces facing each ventilation layer while providing a high paint layer. 지붕 이음재의 외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은 도료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지붕 하지재 위쪽에 설치한 방수재와 지붕 이음재의 사이에 생기는 통기층에 직면하는 방수재 또는 지붕 이음재의 2 표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저방사성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At the same time, a paint layer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of joint material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terproof member or the roof joint member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formed between the waterproof member installed on the roof base member and the roof joint member. The roof structure which installed the sheet.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외벽 외장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하고, 또는 상기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지붕 이음재와 마주하는 표면에 방사율이 작은 피막 또는 방사율이 작고 또한 투습성이 있는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또는 지붕 구조.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and a moisture-permeable coating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wall facing member with the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film having a low emissivity or a small emissivity on the surface facing the roof joint material with the ventilation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Exterior wall or roof structur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moisture-permeable coating.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상기 외벽 외장재 또는 지붕의 외면에 형성하는 도료층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 0.7 이상이고, 또한 통기층에 직면하는 상기 표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하는 저방사성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또는 지붕 구조.A solar reflectance of the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exterior material or the roof is 0.5 or more, and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rmal radiation of 3 μm or more in wavelength is 0.7 or more, and is provided on either or both of the surfaces facing the ventilation layer. An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wherein the emissivity of at least one of the low-radioactive sheets is 0.3 or less. 제1항, 제7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3, 상기 통기층은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와 도입한 외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통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또는 지붕 구조.The ventilation layer is an exterior wall structure or a roo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layer has an opening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opening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outside air. 제1항, 제7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3, 상기 저방사 피막이 금속박 시트, 금속 증착 시트, 금속판 또는 표면 처리된 금속판을 포함하는 시트, 저방사 도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또는 지붕 구조.An outer wall structure or a roof structure, wherein the low-emission coating is any one of a metal foil sheet, a metal deposition sheet, a metal plate or a sheet including a surface-treated metal plate, and a low-emission paint. 제1항, 제7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3, 상기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피막이, 외장재의 표면 자체 또는 도장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또는 지붕 구조.The outer wall structure or the roof structure, wherein the coating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is the surface itself or a coating film of the exterior material. 제1항, 제7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3, 상기 구조 내력상 주요한 구조 구체가 박판 경량형 강 또는 목재, 철골, 철근 콘크리트 또는 이들의 혼합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구조 또는 지붕 구조.The outer wall structure or the roo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tructural sphere in the structural strength is composed of sheet steel or wood, steel, reinforced concrete, or a mixture thereof. 제1항, 제7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or 13, 상기 외벽의 통기층의 두께가 50mm 이하, 상기 지붕의 통기층의 두께가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또는 지붕 구조.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layer of the outer wall is 50m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ventilation layer of the roof is 100mm or 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all or roof structure.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에 있어서, In the exterio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ventilation layer on the out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과 방사율이 작은 내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외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이 낮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and an inner surface having small emissivity is provided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a film having low emissivity on the inner surface. Exterior wall coverings or roof joints.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An oute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wherein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에 있어서,In the exterio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ventilation layer on the outside of the structural sphere,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설치하고, 또한 내측 표면에 방사율이 낮은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피막을 상기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 A film having an outer surface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a high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film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low emissivity on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small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Exterior wall coverings or roof joints.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2항 내지 제24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4, wherein 외측 표면의 피막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 내면 방사율이 0.5 이하이고, 또한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An oute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wherein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coating on the outer surface is 0.5 or more, the outer surface emissivity is 0.7 or more, the inner surface emissivity is 0.5 or less, and the emissivity of the coating on the inner surface is 0.3 or less. 구조 구체의 외측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구 조 구체의 위쪽의 통기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지붕 이음재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일사 반사율이 높고 또한 방사율도 높은 피막을 설치하는 동시에, 내측 표면에는 방사율의 작은 피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 In an outer wall covering member provided with the outer ventilation layer of the structural sphere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roof joint member provided with the upper ventilation layer of the structural sphere interposed therebetween, a film having high solar reflectance and high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outer surface fac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small film of emissivity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단, 방사율은 파장 3μm 이상의 열방사에 대응하는 방사율이다.However, emissivity is an emissivity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radiation of 3 micrometers or more of wavelength. 제2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6, 외측 표면의 피막의 일사 반사율이 0.5 이상, 외면 방사율이 0.7 이상이고, 또한 내측 표면의 피막의 방사율이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외장재 또는 지붕 이음재. An outer wall covering material or roof joint material, wherein the solar reflectance of the film on the outer surface is 0.5 or more, the emissivity of the outer surface is 0.7 or more, and the emissivity of the film on the inner surface is 0.3 or less.
KR1020077000077A 2004-07-02 2005-07-01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KR100822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077A KR100822901B1 (en) 2004-07-02 2005-07-01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7187 2004-07-02
JPJP-P-2004-00342622 2004-11-26
JPJP-P-2005-00131800 2005-04-28
KR1020077000077A KR100822901B1 (en) 2004-07-02 2005-07-01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320A KR20070020320A (en) 2007-02-20
KR100822901B1 true KR100822901B1 (en) 2008-04-17

Family

ID=4134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77A KR100822901B1 (en) 2004-07-02 2005-07-01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90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39B1 (en) 2010-01-08 2010-07-16 최대호 Panel for the external wall of building
KR101056538B1 (en) * 2008-06-27 2011-08-11 삼성물산 주식회사 Heat storage sheet, heat storage roof structure, heat storage outer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427510B1 (en) * 2013-01-14 2014-08-07 소재욱 Building roof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60B1 (en) * 2011-07-27 201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an-o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KR102052890B1 (en) * 2018-08-27 2019-12-11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Roof System with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12A (en) * 1906-11-02 1907-06-11 Gen Electric Electric me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12A (en) * 1906-11-02 1907-06-11 Gen Electric Electric me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38B1 (en) * 2008-06-27 2011-08-11 삼성물산 주식회사 Heat storage sheet, heat storage roof structure, heat storage outer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970239B1 (en) 2010-01-08 2010-07-16 최대호 Panel for the external wall of building
KR101427510B1 (en) * 2013-01-14 2014-08-07 소재욱 Building roof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320A (en) 200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179B2 (en) Exterior wall structure, roof structure
Al-Homou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common building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US9297164B2 (en) VIP roofing insulation
US11851877B2 (en) Structural insulated finished cladding assemblies
KR100822901B1 (en) Structure of external wall or roof having permeable layer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radiation heat and acquisition of solar radiation heat and external material for external wall or roofing material
CN211923231U (en) Steel beam cladding structure for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house
CN101191351B (en) System used for building outside wall and roof and mounting method thereof
Miller et al. Advanced residential envelopes for two pair of energy-saver homes
US10590653B1 (en) Roof assemblies with inset solar panel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the use of such assemblies in a building
US10570622B1 (en) Roof assemblie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the use of such assemblies in a building
JP4596486B2 (en) Outer insulation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GB2467923A (en) Timber-based insulating building section
Straube et al. High Perform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Enclosures: Rain Control
JP2010071041A (en) Venting heat insulating roof composite panel and wooden external heat insulating roof structure using the panel
JP2006169885A (en) Roof structure using external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throating and external heat insulation restoring method of roof
EP4372173A2 (en) An optimal construction system for buildings and a method of using three elements and their components
US10640973B1 (en) Buildings with continuous insulation bridging a roof assembly and a floor assembly
Hachem-Vermette et al. Selected High-Performance Building Envelopes
Divsalar Building problems in hot climates
JP2024042584A (en) External insulation, moisture permeability and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that prevents heat bridges in wooden buildings
ES1285584U (en) COMPOSITE PANEL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NO20210407A1 (en) Modular cottage
JPH0644812U (en) Structural multifunction panel
Davis et al. Manufactured Homes Acquisition Program: Heat Loss Assumptions and Calculations, Heat Loss Coefficient Tables.
Lstiburek et al. Measure Guideline. Incorporating Thick Layers of Exterior Rigid Insulation on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