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384B1 -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 Google Patents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384B1
KR100822384B1 KR1020070050467A KR20070050467A KR100822384B1 KR 100822384 B1 KR100822384 B1 KR 100822384B1 KR 1020070050467 A KR1020070050467 A KR 1020070050467A KR 20070050467 A KR20070050467 A KR 20070050467A KR 100822384 B1 KR100822384 B1 KR 10082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ontroller
indoor
controller
control system
indoor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
조휘만
Original Assignee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대한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대한주택공사 filed Critical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7005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An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an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is provided to integrate various indoor environment sensing elements and to control input elements for various individual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s into a single controller to control the individual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s integrally according to sensing results of the sensor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managing the individual systems effectively based on precise air conditions. An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an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sensor part having sensors(44a-44e) for sensing indoor air conditions under the control of a sensor controller(42), an atmospheric air controlling contact point signal output part(47) for outputting contact point signals for atmospheric air control at conditions for dry-in/out modes. In the dry-in mode, a main ventilation system is driven for atmospheric air control when a peripheral ventilation fan such as a ventilation fan of a kitchen or a bathroom is operating. In the dry-out mode, the peripheral ventilation fan is driven automatically when the main ventilation system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part(43). The indoor air control is carried out and the contact point signals are output for the atmospheric air control according to sensing results of the sensors. The integration type controller is connected to first to third indoor environment controllers(50a-50c) such as a ventilation system, a humidifier, a dehumidifier, a heater or an air conditioner, and first to third lamps(51a-51c) for controlling the same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s.

Description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Integrated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도 1은 취침중의 이산화탄소-산소 변화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1 is a graph showing the carbon dioxide-oxygen change characteristics during bedtime

도 2는 인체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 특성을 나타낸 테이블2 is a table showing the carbon dioxid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the human body

도 3은 온도, 습도별 불쾌지수 환산 테이블3 is a table of conversion of discomfort index by temperature and humidit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신호 처리 회로도7A and 7B are signal processing circuit diagrams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사진8 is a photograph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사진9 is a photograph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메모리 41. 헬스 케어 센서40. Memory 41. Healthcare Sensor

42. 센서 컨트롤러 43. 실내 환경 제어부42. Sensor Controller 43. Indoor Environment Control

44a.44b.44c.44d.44e. 센서 45. 디스플레이부44a.44b.44c.44d.44e. Sensor 45. Display

46. 제어 신호 입력부 47. 외기 제어 접점 신호 출력부46. Control signal input 47. External control contact signal output

48. 유무선 통신 모듈 49.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48.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9.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50a.50b.50c. 실내 환경 조절 장치 51a.52b.52c. 전등50a.50b.50c. Indoor Environmental Controls 51a.52b.52c. ligh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통합형 컨트롤러에 의해 실내의 공기 조건에 따라 전열교환 환기 장치, 냉난방기, 가습 제습기, 전등을 제어하여 실내 공기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trol of indoor ai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door environment that allows an integrated controller to efficiently manage an indoor air environment by controlling an electrothermal exchange ventilator, an air conditioner, a humidifier dehumidifier, and a lamp according to indoor air conditions.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 control system.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내실자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CO2)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내실자의 호흡에 지장을 준다.In general, the air in an enclosed space increases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CO 2 ) over time due to the breathing of the inner chamber, which interferes with the breathing of the inner chamber.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입주 공간,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환기 시스템이다.Therefore, when a lot of people stay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occupancy space such as an apartment, an office or a vehicle, the indoor polluted air should be replaced with fresh air of the outside at any time.

현재 대기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서 인간의 호흡 환경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져 실내에서도 단순한 환기가 아니라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여 러 가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As air pollutio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the human breathing environmen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nstead of simply ventilating indoor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내 공기 환경의 변화 특성 및 그에 따른 문제 그리고 종래 기술의 환기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air environment and the problems and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ior art.

도 1은 취침중의 이산화탄소-산소 변화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인체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 특성을 나타낸 테이블이다.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carbon dioxide-oxygen change characteristics during bedtime, Figure 2 is a table showing the carbon dioxid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the human body.

그리고 도 3은 온도, 습도별 불쾌지수 환산 테이블이다.3 is a table of conversion of annoyance index for each temperature and humidity.

실내의 공기질은 보통 사람의 호흡, 난방 기구, 주방 기구의 연소, 회초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결정된다.Indoor air quality is determined by carbon dioxide, which is caused by many factors, such as human breathing, heating appliances, burning of kitchen appliances, and burning.

물론, 이산화탄소량 이외에도 습도, 온도에 의해 실내의 공기질이 결정되는데, 먼저,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그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e air quality of the room is determined by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First, the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and its effects on the human body will be described.

이산화탄소는 사람의 취침중에도 호흡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침중에 이산화탄소가 높아지면서 산소량이 감소 되는 경우에는 취침중인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Carbon dioxide may be generated by breathing even during sleep of a person, as shown in FIG. 1, when the amount of oxygen decreases while the carbon dioxide increases during sleep, adversely affects the health of the sleeping person.

도 2는 인체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나타낸 것으로, 5평의 침실 또는 방에서 환기없이 2명이 취침하는 경우에 6시간 후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발생량은 4,000ppm이 된다.Figure 2 show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by the human bod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after 6 hours when two people go to bed in the bedroom or room of 5 pyeong without ventilation is 4,000ppm.

그리고 10평 사무실에서의 환기 없이 3명이 재실하는 경우에는 2시간 후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1,500ppm이 된다.And if three people are occupied without ventilation in a 10-pyeong offi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after 2 hours is 1,500 ppm.

이와 같은 실내가 아닌 차량내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증가는 더욱 심하다.In such a vehicle,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s more severe.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에 의해 사람에게 나타낸 이상 증상은 표 1에서와 같다.Abnormal symptoms shown to human by such carbon dioxide are shown in Table 1.

이산화탄소 농도(ppm)CO2 concentration (ppm) 증상Symptom 비고Remarks 350~450350-450 일반적인 대기중의 농도Normal atmospheric concentration 외부 공기Outside air 10001000 환기 기준Ventilation standards 공기질 관리 기준Air quality management standard 15001500 가벼운 정도의 대사 장애, 학습 능력,집중력 저하, 가벼운 두통Mild metabolic disorders, learning ability, low concentration, mild headache 산소 부족 및 혈액내 산소 밸런스 이상 발생  Lack of oxygen and abnormal oxygen balance in the blood 40004000 가슴 답답함,호흡곤란,두통Chest tightness, shortness of breath, headache 7000이상More than 7000 정상적 활동 어려움Normal activity difficulties

이와 같은 실내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기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room, a ventilation system is used.

통상적으로 환기 시스템은 급기팬을 구동하여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냉/난방시킨 후, 급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In general, the ventilation system drives an air supply fan to introduce outdoor air, and cools and heats the incoming air to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room temperature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n enters the air through the air supply.

그리고 배기팬을 구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배기부를 통해 유입하고, 유입되는 공기를 실외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열 교환기는 갑작스러운 냉기 및 열기의 유입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haust fan is driven to allow the indoor air to flow through the exhaust unit, and the incoming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total heat exchanger serves to suppress the sudden inflow of cold air and heat.

실내의 공기질은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량뿐만 아니라, 습도, 온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환경부의 공동 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자료에 따르면 바람직한 온도, 습도 유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The indoor air quality can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but also by humidity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data, preferred temperature and humidity maintenance standards are as follows.

여름에는 24℃ ~ 28℃의 온도 및 60%의 습도 그리고 봄, 가을에는 19℃ ~ 23℃의 온도 및 50%의 습도 그리고 겨울에는 18℃ ~ 20℃의 온도 및 40%의 습도가 유지 기준이다.Maintaining temperatures are 24 ° C to 28 ° C and 60% humidity in summer, 19 ° C to 23 ° C and 50% humidity in spring and autumn, and 18 ° C to 20 ° C and 40% humidity in winter. .

만약, 이와 같은 온도, 습도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내실자가 느끼는 불쾌지수가 높아진다.If such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not maintained, the discomfort index felt by the insider becomes high.

도 3의 한국 건강 관리 협회의 온도, 습도별 불쾌지수 환산표에 따르면 75 미만을 유지하는 것이 쾌적한 환경 조건임을 나타내고 있다.According to the conversion tabl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Korea Health Care Association of FIG. 3, it is indicated that maintaining less than 75 is a pleasant environmental condition.

지수가 86일 경우에 느끼는 불쾌 정도는 매우 불쾌하고, 지수 83의 경우에는 전원이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이고, 지수 80인 경우에는 50% 정도가 불쾌감을 느끼고, 지수 75인 경우에는 10% 정도가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이다.If the index is 86, the degree of discomfort is very unpleasant, and in the case of index 83, the power is unpleasant, and if the index is 80, about 50% is unpleasant, and if the index is 75, about 10% is unpleasant. It is a feeling.

이와 같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의 배기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의 적절한 유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such a comfortable environment, it can be seen that proper maintena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s well as exhaust of carbon dioxide is required.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의 배기, 온도, 습도의 적절한 유지를 위한 종래 기술의 환기 시스템 및 습도, 온도 유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and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for the proper maintenance of such exhaust, temperature, humidity of carbon dioxid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실내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하는 환기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고, 온도, 습도 유지를 위한 시스템들이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운용되고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킨다.Ventilation systems that automatically ventilate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 are introduced, and system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and humidity have been constructed and used, but these systems are individually operated to increase user inconvenience.

즉, 각각의 시스템을 별도로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단순 설정에 의한 운용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실내 공기질의 유지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re is a hassle to control each system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intain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degree desired by the user by a simple setting operation.

특히, 실내 공기 제어를 위한 각각의 기기들의 제어 장치(본체 구성 제어 수단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등)들이 기기별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 devices (main body control means or remote controller, etc.) of the respectiv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indoor air are separated for each device so that the user inputs control signals individually as needed.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아닌 설정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운용 역시 기기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의 향상에 필요한 적절한 기기 운용이 어렵다.In addition, automatic operation by a setting program instead of a user's input is also performed for each device, so proper device operation required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s difficul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환기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합형 컨트롤러에 의해 실내의 공기 조건에 따라 전열교환 환기 장치, 냉난방기, 가습 제습기, 전등을 제어하여 실내 공기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ventilation system, by using an integrated controller to control the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air-conditioner, humidifier dehumidifier, lights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s to efficiently manage the indoor air environ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또한, 기기별로 분리되어 있는 제어 입력 수단을 하나의 컨트롤러로 통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실내 공기질의 관리를 위한 기기들의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that integrates the control input means separated by devices into a single controller to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and to enable integrated control of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상태의 정확한 판정이 가능하도록 실내 공기질의 관리에 관계되는 개별 기기들 내에 센서를 구성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온도 센서들을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성하여 정확한 판정 및 운용이 가능하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temperature sensors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to enable accurate determination and operation without configuring the sensor in the individual device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to enable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indoor air con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컨트롤러에 실내등의 on/off 제어를 위한 입력 스위치를 구비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가능하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in which an integrated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n input switch for on / off control of an indoor light to enabl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 및 습도, 온도 유지 장치들의 단순한 통합 관리가 아니고, 통합 컨트롤러 내부에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 또는 PLC 통신 모듈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여 외부의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환경에 관한 정보들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impl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nd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s, and the external home network main by embed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PLC communication module inside the integrated control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controll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nformation about an indoor environment.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 및 습도, 온도 유지 장치들의 단순한 통합 관리가 아니고, 통합 컨트롤러 내부에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맥박, 체온 등등의 인체 상태를알 수 있는 헬스 케어 센서들을 내장시키고, 그 결과에 따라 환기 및 실내의 온도, 습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impl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nd the humidity,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s, but the built-in health care sensors that can know the human state of the pulse, body temperature, etc. by the user's contact inside the integrate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And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to enable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humidity of the room.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 및 습도, 온도 유지 장치들의 단순한 통합 관리가 아니고, 통합형 컨트롤러의 내부에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별 화재 감지 및 경보가 가능하도록 하고, 세대별/층별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mply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nd humidity and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s, and enables fire detection and alarm for each room by using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installs by generation / flo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는 실내 공기 환경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들;외기 제어를 위하여,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과 같은 주변 환기 팬이 작동하는 경우에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Dry-in 모드/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면 자동으로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과 같은 주변 환기 팬이 작동되도록 하는 Dry-out 모드가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해당 모드의 실행 조건이 되면 외기 제어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외기 제어 접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구성되어, 상기 센서들의 센싱 결과에 따라 실내 환경 조절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외기 제어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nsor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indoor air environment; for controlling the outside air, a peripheral ventilation fan such as a ventilation fan in the kitchen or a ventilation fan in the bathroom In this case, the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s, is driven by a dry-in mode /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s. And an external air control contact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ntact signal for external air control when the dry-out mode for operating the ambient ventilation fan is set to be executed when the dry-out mode is set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control is performed to control the indoor environment, and outputs a contact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side ai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belo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 예를 들면, 환기 장치, 가습기, 공기청청기, 냉난방기들의 각각의 기기별로 분리되어 있는 제어 입력 수단을 하나의 컨트롤러로 통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실내 공기질의 관리를 위한 기기들의 통합적인 제어 운용이 가능하도록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과 그의 통합형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integrating control input means separated for each device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for example, a ventilation device, a humidifier, an air cleaner, and an air conditioner into one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thereof, which enable an integrated control operation of devices for management.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도 4에서와 같이, 크게 통합형 컨트롤러와, 통합형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환기,제가습,냉난방,공기 청정을 위한 필터링 등을 수행하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 그리고 보다 쾌적한 환경 제어를 위 해 통합형 컨트롤러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전등들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controller,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ventilation,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ing, and filtering for air cleaning by controlling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more comfortable. Includes lights that are on / off controlled by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environmental control.

통합형 컨트롤러는 센서 컨트롤러(42)의 제어에 의해 실내 공기 환경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센서(44a),CO2센서(44b),습도 센서(44c),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한 공기 오염을 센싱하기 위한 VOC 센서(44d),공기중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먼지 센서(44e) 그리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인체의 체온, 맥박등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헬스 케어 센서(41)들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이들 센서부의 여러 센서들의 센싱 결과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제어에 의해 실내 공기 환경 변화를 제어하는 실내 환경 제어부(43)와, 상기 센서부의 여러 센서들의 센싱 결과를 표시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현재의 실내 쾌적 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5)와, Dry-in 모드/Dry-out 모드가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해당 모드의 실행 조건이 되면 외기 제어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외기 제어 접점 신호 출력부(47)와, 기본적인 실내 환경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49)와, 통합형 컨트롤러에 의해 센싱되는 결과 또는 현재 구동중인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의 구동 상태 및 사용자 설정 상태 등의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48)과, 사용자에 의한 설정값들의 저장, 시스템 운용 프로그램, 농도 테이블 및 운용중에 획득된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저장 수단(40)과,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46)를 포함하고 구성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senses air pollution by the temperature sensor 44a, the CO 2 sensor 44b, the humidity sensor 44c, an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indoor air environ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sensor controller 42. Sensor unit consisting of the VOC sensor 44d for detecting, the dust sensor 44e for sensing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and the health care sensor 41 for sensing the state of body temperature, pulse, etc. by the user's contact And,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unit 43 for controlling the change in the indoor air environment by the sensing results of the various sensors of the sensor unit or the user's input control, and the curr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to display the sensing results of the various sensors of the sensor unit If the display unit 45 for displaying the indoor comfort level of the interior and the dry-in mode / dry-out mode is set to be executed, if the execution condition of the mode is met contact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side air An external air control contact signal output unit 47 for outpu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49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by a remote controller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for basic indoor environment control, and sensing by an integrated controlle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8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driving status and user setting status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currently being operated, wired / wireless, storage of setting values by the user, system operation program, concentration table and operation And storage means 40 for storing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operation, and a control signal input unit 46 for inputting a user selection signal for driving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상기 센서부의 센서들은 상기한 온도 센서(44a),CO2센서(44b),습도 센서(44c),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한 공기 오염을 센싱하기 위한 VOC 센서(44d),공기중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먼지 센서(44e) 그리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인체의 체온, 맥박 등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헬스 케어 센서(41)들이 모두 구성될수도 있으나, 구성되는 센서들의 종류,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sensors of the sensor unit include the temperature sensor 44a, the CO 2 sensor 44b, the humidity sensor 44c, the VOC sensor 44d for sensing air pollution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The dust sensor 44e and the health care sensor 41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body temperature, pulse, etc. by the user's contact may be all configured, but the type and number of the sensor may be different Of course.

센서의 개수, 종류를 줄이는 경우에도 원활한 실내 공기 환경의 제어를 위하여 온도 센서(44a),CO2센서(44b),습도 센서(44c)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Even if the number and type of sensors are reduc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44a, a CO 2 sensor 44b, and a humidity sensor 44c to smoothly control the indoor air environment.

여기서, Dry-in 모드는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이 작동하는 경우에 실내 환경 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Here, in the dry-in mode, when the ventilation fan of the kitchen or the ventilation fan of the bathroom is operated, the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unit 43.

그리고 Dry-out 모드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면 자동으로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Dry-out mode automatically activates the kitchen's ventilation fan or the bathroom's ventilation fan when the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s, is driven.

이와 같은 Dry-in 모드/Dry-out 모드는 부분적인 환기에 의해서는 실내 전체의 공기질의 향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실행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설정된다.The dry-in / dry-out mode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air quality of the entire room is not easily improved by partial ventilation, and is automatically executed or stopped by user input. It is set to be.

그리고 저장 수단(40)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하나인 EEPRO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means 40 is preferably EEPROM, which is one of nonvolatile memories.

이와 같은 통합형 컨트롤러는 환기 시스템, 가습기 및 제습기, 난방기, 공기 청정기 등의 제 1,2,3 실내 환경 조절 장치(50a)(50b)(50c)들 및 제 1,2,3 전등(51a)(51b)(51c)들에 연결되어 실내 공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 및 전등들을 제어하여 실내 공기 환경을 개선시킨다.Such integrated controllers include first, second, third and third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devices 50a, 50b, 50c, and first, second, and third lamps 51a, such as ventilation systems, humidifiers and dehumidifiers, heaters, and air cleaners. 51b) 51c are connected to the indoor air condition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and lights to improve the indoor air environment.

또한, 이와 같은 통합형 컨트롤러는 층별/세대별로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52)에 연결되어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통합형 컨트롤러의 내부에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별 화재 감지 및 경보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such an integrated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fire detector 52 installed in each floor / generation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by using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etc. configured inside the integrated controller Enable fire detection and alarming.

여기서, 실별 화재 감지 및 경보를 위한 센서들은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the sensors for fire detection and alarm for each room is not limited t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it is obvious that other types of sensors may be provided and used.

먼저,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 방지는 화재 감지기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홈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통한 통신에 의해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화재 발생시에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및 온도 상승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하기 위하여)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이 확실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화재 경보를 하여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에 의한 문제를 해결한다.First of all,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even if the fire detector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by communication through a home network controller (increas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rise when a fire occurs) In the event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is certain by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 fire alarm is taken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또한, 세대별/층별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한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경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alarm a fire on its own by using a sensing result using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without depending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generation / floor installed fire detector.

이는 화재 감지기를 각 실별로 설치하지 않아도 실별 화재 감지를 가능하게 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ct fire by room without having to install a fire detector in each room,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그리고 유무선 통신 모듈(48)은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 또는 PLC 통신 모듈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환경에 관한 정보들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시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8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PLC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8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home network main controlle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indoor environment.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use, it should be possible to respond to the following emergencies.

예를 들어,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46)의 하나로 비상 호출 버튼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를 통하여 자동으로 응급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provided as one of the control signal input units 46 for inputting a user selection signal, an emergency rescue request can be automatically made through the home network main controller.

또한, 화재 감지시에 소리 또는 알람 경보 이외에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를 통하여 자동으로 경비실, 아파트 관리실, 소방서 등에 자동으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 fire is detecte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notify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guard room, the apartment management room, and the fire station through the home network main controller in addition to the sound or alarm alarm.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과 그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이용한 동작 모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the operation mode using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its integrate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기 동작 모드는 크게 '일반 환기 모드', '전열 교환 모드', '자동 환기 모드', '취침 모드'로 이루어진다.Ventilation operation mode for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rge 'normal ventilation mode', 'electric heat exchange mode', 'automatic ventilation mode', 'sleep mode'.

먼저, '일반 환기 모드'는 사용자의 동작 설정 조건에 따라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을 이용한 수동 환기 제어 모드로써 '운전 버튼' 입력에 의해 풍량 조절(약→중→강)과 '타이머 버튼' 입력에 의한 '꺼짐 예약'을 시간 단위로 할 수 있다.First, 'Normal ventilation mode' is a manual ventilation control mode usi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etting conditions. By controlling the air volume (weak → medium → strong) and the 'timer button' input 'Off reservation' can be made in hours.

그리고 '전열 교환 모드'는 RS-485 통신에 의해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 중에서 메인 전열 교환 시스템과 연동 제어되는 것으로 온도 센싱값을 체크하여 실내 온도가 일정 시간 동안 기준 설정치 이하로 유지되면 '경고'를 발생하고 난방을 하거나, 실내 온도가 일정 시간 동안 기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경고'를 발생하고 냉방 운전을 한다.In addition, 'electric heat exchange mode' is controlled by interlocking with main electric heat exchange system amo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by RS-485 communication.If the temperature is kept below the standard setting value for a certain time, 'warning' is checked. In case of heating and heating, or if the room temperature is above the standard setting value for a certain time, 'warning' is generated and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마찬가지로 '전열 교환 모드'는 '운전 버튼' 입력에 의해 풍량 조절(약→중→강)이 가능하고, 실내 온도가 기준 시간 동안 일정 온도 이상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보호를 위하여 '전열 교환 모드'의 구동을 정지하고 환기 시스템을 구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wise, the 'heat exchange mode' can be controlled by the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weak → medium → strong), and if the room temperature does not change over a certain time during the reference tim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 mode and not to drive the ventilation system.

그리고 '자동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질의 척도인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기준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특정의 기준 농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mode' operates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which is a measure of indoor air quality,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maintains a specific reference concentration.

기준 농도는 1000ppm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erence concentration is preferably set to 1000 ppm.

이와 같은 '자동 환기 모드'의 동작시에는 표 2에서와 같은 3 단계 테이블에 의해 풍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volume is set to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a three-step table as shown in Table 2.

1단계Stage 1 2단계Tier 2 3단계Tier 3 River 1200 이상More than 1200 River 1100이상1100 or more River 1000이상More than 1000 medium 1100~11991100 ~ 1199 medium 1000~10991000-1099 medium 900~999900-999 about 1000~10991000-1099 about 900~999900-999 about 800~899800 ~ 899

마찬가지로 풍량이 '강'인 상태로 기준 시간 이장 동작하는 경우에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보호를 위하여 '자동 환기 모드'의 구동을 정지하고 환기 시스템을 구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in the case where the air flow is 'strong' and the reference time is extended for a long tim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mode' and not to operate the ventilation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

그리고 '취침 모드'는 환기 시스템의 풍량 세기를 '약'으로 하여 시간 설정되오 구동되는 것으로 '취침 모드'가 종료되면 '자동 환기 모드'로 전환된다.In addition, the 'sleep mode' is set to time by setting the airflow intensity of the ventilation system to 'weak'. When the 'sleep mode' ends, the 'sleep mode' is switched to the 'automatic ventilation mode'.

그리고 '일반 환기 모드,와 '전열 교환 모드'에서는 '꺼짐 예약 운전'이 가능한데, 현재 진행중인 모드의 운전 및 정지에 상관없이 타이머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 현재의 모드에서 정지 모드로 전환되고 운전 버튼에 의한 키 입력후에 일정 시간 이내에 운전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운전 모드를 설정 시간 동안 운전하고 정지한다.In 'Normal Ventilation Mode' and 'Heat Exchange Mode', 'Off Scheduled Operation' is possible.If there is a timer key input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r stop of the current mode, it switches from the current mode to the stop mode and If there is an operation input within a certain time after the key is pressed, operate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for the set time and stop.

이상에서 설명한 '일반 환기 모드', '전열 교환 모드', '자동 환기 모드', '취침 모드'들 사이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면 각 모드의 설정값은 모드 전환시에 초기화되어야 하고,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자동 환기 농도 테이블은 최종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mode switching between the 'normal ventilation mode', 'heat exchange mode', 'automatic ventilation mode' and 'sleep mode'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e setting value of each mode should be initialized at the time of mode switching, The stored automatic ventilation concentration table maintains its final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통합형 컨트롤러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fo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컨트롤러는 적용되는 실내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형태의 통합형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안방형과 거실형으로 구분된다.The integrate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indoor situation to be applied, which is divided into a home and a living room to use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most suitable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먼저, 취침 위주로 생활이 이루어지는 안방에 적합한 형태의 통합형 컨트롤러(500)는 도 5에서와 같이,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에 현재 실내의 온도,습도,이산화탄소 농도, 유해 가스 발생 정도(낮음,주의,높음)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55)와, 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56)와, 환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환기 조절부(57)와, 일측에 구성되어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등 스위치들(60a)(60b)(60c)과, 현재 실내의 쾌적 정도(쾌적,건조,다습,CO2)를 서로 다른 색상 및 다른 면적으로 표시하는 제 2 표시부(64)와, 하단에 구성되어 응급 상황시에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비상 호출 버튼(62)이 구성된다.First,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of the type suitable for the living room mainly to sleep, as shown in Fig. 5, the temperature of the current room,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degree of harmful gas generation (low, attention, high as shown in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The first display unit 55 for displaying a,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56 for setting the room temperature,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57 for setting the ventilation mode, and one side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light Light switches 60a, 60b, 60c for controlling the second display unit 64 for displaying the comfort level (comfortable, dry, humid, CO 2 ) of the current room in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areas; It is configured at the bottom is configured emergency call button 62 to notify the outside in an emergency.

여기서, 전등 스위치들(60a)(60b)(60c)의 어느 하나에는 전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도 조절 스위치(61)가 구비된다.Here, one of the light switches 60a, 60b, 60c is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control switch 61 that can adjust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또한, 전등 스위치들(60a)(60b)(60c)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위치의 크기를 다른 스위치들보다 크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switch most used among the light switches 60a, 60b, 60c may be larger than other switches to increase convenience in use.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하단 일 영역에는 Dry-in 모드/Dry-out 모드의 설정을 위한 Dry-in on/off 선택 스위치(53b), Dry-out on/off 선택 스위치(53a)가 구성된다.In the lower area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a dry-in on / off selection switch 53b and a dry-out on / off selection switch for setting a dry-in mode / dry-out mode ( 53a) is configured.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상단 일 영역에는 간편 조작을 위하여 온도 조절,환기 조절,전등 선택 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700)에 의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신호 수신부(58)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remote signal receiver 58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by a remote controller 700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control, and a light selection switch is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It is composed.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양측에는 스위치들의 조작시에 벽면에 가해지는 더러움을 막고, 센서용 환기구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부착 영역 그리고 헬스 케어 센서들의 접촉 영역을 갖는 제 1 서브 커버 영역(63a),제 2 서브 커버 영역(63b)이 구성된다.And both sides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to prevent the dirt applied to the wall surface when operating the switches, the first sub-cover area having a sensor vent, the attachment area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contact area of the health care sensors 63a, the second sub-cover area 63b is formed.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메인 스위칭부와 제 1 서브 커버 영역(63a)의 경계 영역, 메인 스위칭부와 제 2 서브 커버 영역(63b)의 경계 영역에는 내부에 구성되는 온도 센서(44a),CO2센서(44b),습도 센서(44c),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한 공기 오염을 센싱하기 위한 VOC 센서(44d),공기중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먼지 센서(44e)에 의한 센싱을 위한 센서용 환기구(59)가 구성된다.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switching par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and is internal to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main switching part and the first sub cover area 63a,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main switching part and the second sub cover area 63b. Temperature sensor 44a, CO 2 sensor 44b, humidity sensor 44c, VOC sensor 44d for sensing air pollution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dust sensor for sensing dust concentration in air The sensor ventilation opening 59 for sensing by 44e is comprised.

그리고 제 1 서브 커버 영역(63a)의 상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체온, 맥박 등의 센싱을 위한 인체 의료 관련 센싱 영역이고, 나머지 영역은 스위치들의 조작시에 벽면에 가해지는 더러움을 막기 위한 보호 카버 영역이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 cover area 63a is a human medical sensing area for sensing body temperature, pulse, etc. by a user's contact, and the remaining area is a protective cover for preventing dirt from being applied to the wall when the switches are operated. Area.

그리고 제 2 서브 커버 영역(63b)에는 내부에 자석이 위치하여, 간편 조작을 위하여 온도 조절,환기 조절,전등 선택 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700)가 탈부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54)이 포함된다.The second sub-cover area 63b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area 54 in which a magnet is located, and the remote controller 700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control, and light selection switch is detachable for easy operation. .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54)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리모트 컨트롤러(700)에는 얇은 철판을 바닥면에 내장시킬 수 있다.Here, a magnet may be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area 54, and a thin iron plate may b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이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제 1 표시부(55)는 스위치들이 구성되는 메인 스위칭부의 표면에서 더 안쪽으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설치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first display unit 55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further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switching unit where the switches are configured to check the display contents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Make it possible.

그리고 제 1 서브 커버 영역(63a),제 2 서브 커버 영역(63b)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지그비 통신 모듈이 내장되는 것에 의해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등 스위치들(60a)(60b)(60c)의 조작이 무선으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Light switches 60a and 60b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 by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any one of the first sub-cover area 63a and the second sub-cover area 63b. The operation of 60c can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possib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컨트롤러(500)의 제 1 서브 커버 영역(63a),제 2 서브 커버 영역(63b)은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메인 스위칭부와의 경계면에서부터 부착시의 벽면까지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The first sub-cover area 63a and the second sub-cover area 63b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switch in the center and are attached from the interface with the main switch. It has various shapes up to the wall.

예를 들어, 메인 스위칭부와의 경계면에서부터 부착시의 벽면까지 음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양각 라운드 형상 또는 직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n intaglio round shape from an interface with the main switching part to a wall surface at the time of attachment, o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n embossed round shape or a straight line.

물론, 라운드 형상의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54)만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case of a round shape, only the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region 54 may be formed in a plane.

그리고 거실에 적합한 형태의 통합형 컨트롤러(600)는 도 6에서와 같이,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에 현재 실내의 온도,습도,이산화탄소 농도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65)와, 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66)와, 환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환기 조절부(67)와, 양측에 구성되어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등 스위치들(70a)(70b)(70c)(70d)(72a)(72b)(72c)(72d)과, 현재 실내의 쾌적 정도(쾌적,건조,다습,CO2)를 서로 다른 색상 및 다른 면적으로 표시하는 제 2 표시부(74)를 포함하고 구성된다.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of the form suitable for the living room is,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main display unit 65 for displaying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entral main switching unit, and for setting the room temperature A temperature controller 66, a ventilation controller 67 for setting the ventilation mode, and light switches 70a, 70b, 70c, 70d configured on both sides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lamp; 72a, 72b, 72c, 72d, and a second display unit 74 for displaying the comfort level (comfortable, dry, high humidity, CO 2 ) of the current room in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areas. .

여기서, 전등 스위치들(70a)(70b)(70c)(70d)(72a)(72b)(72c)(72d)의 어느 하나에는 전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도 조절 스위치(71)가 구비된다.Here, one of the light switches 70a, 70b, 70c, 70d, 72a, 72b, 72c, 72d is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control switch 71 that can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또한, 전등 스위치들(70a)(70b)(70c)(70d)(72a)(72b)(72c)(72d)들 중에서 가장많이 사용하는 스위치의 크기를 다른 스위치들보다 크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light switches 70a, 70b, 70c, 70d, 72a, 72b, 72c, 72d, the size of the switch which is used the most is larger than other switches for convenience of use. You can increase it.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하단 일 영역에는 Dry-in 모드/Dry-out 모드의 설정을 위한 Dry-in on/off 선택 스위치(76b), Dry-out on/off 선택 스위치(76a)가 구성된다.In the lower area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a dry-in on / off selection switch 76b and a dry-out on / off selection switch for setting a dry-in mode / dry-out mode ( 76a) is configured.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상단 일 영역에는 간편 조작을 위하여 온도 조절,환기 조절,전등 선택 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700)에 의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신호 수신부(68)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remote signal receiver 68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by a remote controller 700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control, and a light selection switch is provided in one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It is composed.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양측에는 스위치들의 조작시에 벽면에 가해지는 더러움을 막고, 센서용 환기구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부착 영역 그리고 헬스 케어 센서들의 접촉 영역을 갖는 제 1 서브 커버 영역(73a),제 2 서브 커버 영역(73b)이 구성된다.And both sides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to prevent the dirt applied to the wall when operating the switches, the first sub-cover area having a sensor vent, the attachment area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contact area of the health care sensors 73a, the second sub-cover area 73b is formed.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메인 스위칭부와 제 1 서브 커버 영역(73a)의 경계 영역, 메인 스위칭부와 제 2 서브 커버 영역(73b)의 경계 영역에는 내부에 구성되는 온도 센서(44a),CO2센서(44b),습도 센서(44c),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한 공기 오염을 센싱하기 위한 VOC 센서(44d),공기중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먼지 센서(44e)에 의한 센싱을 위한 센서용 환기구(69)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switching unit,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main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sub cover area 73a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main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ub cover area 73b are included in the integrated area. Temperature sensor 44a, CO 2 sensor 44b, humidity sensor 44c, VOC sensor 44d for sensing air pollution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dust for sensing dust concentration in air A sensor vent 69 for sensing by the sensor 44e is configured.

그리고 제 1 서브 커버 영역(73a)의 상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체온, 맥박 등의 센싱을 위한 인체 의료 관련 센싱 영역이고, 나머지 영역은 스위치들의 조작시에 벽면에 가해지는 더러움을 막기 위한 보호 카버 영역이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 cover area 73a is a human medical sensing area for sensing body temperature, pulse, etc. by a user's contact, and the remaining area is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dirt applied to a wall when the switches are operated. Area.

그리고 제 2 서브 커버 영역(73b)에는 내부에 자석이 위치하여, 간편 조작을 위하여 온도 조절,환기 조절,전등 선택 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700)가 탈부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75)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ub-cover area 73b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area 75 in which a magnet is located, and a remote controller 700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control, and light selection switch is detachable for easy operation. .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75)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리모트 컨트롤러(700)에는 얇은 철판을 바닥면에 내장시킬 수 있다.Here, a magnet may be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area 75, and a thin iron plate may b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이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제 1 표시부(65)는 스위치들이 구성되는 메인 스위칭부의 표면에서 더 안쪽으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설치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first display unit 65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have an inward inclination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which the switches are configured to check the display contents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Make it possible.

그리고 제 1 서브 커버 영역(73a),제 2 서브 커버 영역(73b)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지그비 통신 모듈이 내장되는 것에 의해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등 스위치들(70a)(70b)(70c)(70d)(72a)(72b)(72c)(72d)의 조작이 무선으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Light switches 70a and 70b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 by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any one of the first sub-cover area 73a and the second sub-cover area 73b. 70c, 70d, 72a, 72b, 72c, and 72d can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enabl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컨트롤러(600)의 제 1 서브 커버 영역(73a),제 2 서브 커버 영역(73b)은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메인 스위칭부와의 경계면에서부터 부착시의 벽면까지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The first sub-cover area 73a and the second sub-cover area 73b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switch in the center and are attached from the interface with the main switch. It has various shapes up to the wall.

예를 들어, 메인 스위칭부와의 경계면에서부터 부착시의 벽면까지 음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양각 라운드 형상 또는 직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n intaglio round shape from an interface with the main switching part to a wall surface at the time of attachment, o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n embossed round shape or a straight line.

물론, 라운드 형상의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75)만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case of a round shape, only the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region 75 may be formed in a plan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컨트롤러(500)(600)의 메인 스위칭부의 구성 및 입력키의 종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switching unit and the type of the input key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500 and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 스위칭부에 '정지 버튼' '운전 버튼' '농도 선택 버튼' '리셋 버튼'이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stop button' 'operation button' 'density selection button' 'reset button' may be configured in the main switching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과 그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각 모드별 운전에 따른 동작 그리고 키입력에 따른 통합형 컨트롤러의 표시 내용 변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hange of the display contents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the key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mode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its integrate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신호 처리 회로도이다.7A and 7B are signal processing circuit diagrams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의 사진이다.8 is a photograph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hotograph of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운전중에 '정지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각 모드별 운전 상태를 멈추고 표시부에 정지 상태임을 표시한다.First, when there is a 'stop button' input during operation, the operation state of each mode is stopped and the display indicates that the state is stopped.

그리고 '일반 환기 모드'와 '전열 교환 모드'의 실행은 모드선택 및 '운전 버튼' 입력에 의해 풍량의 세기가 중→강→약으로 동작되며, 통합형 컨트롤러의 표시부에는 연속 동작임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General Ventilation Mode' and 'Electric Heat Exchange Mode' is performed by the mode selection and 'operation button' input.

만약, 운전 상태에서 '정지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모드의 동작을정지하고 표시부에는 해당 모드의 정지 상태임을 표시하고, 풍량 표시 LED 역시 off된다.If there is a 'stop button' input in the operating state,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mode is stopped, and the display unit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mode is stopped, and the air volume display LED is also turned off.

그리고 '자동 환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농도 선택 버튼' 입력에 의해 선택 농도가 달라지며, 선택 농도를 기준으로 한 풍량 조절 테이블에 따라 자동으로 풍량의 강/중/약/꺼짐의 기능을 수행한다.In case of entering the 'auto ventilation mode', the selected concentration is changed by inputting the 'density selection button', and the function of the strong / medium / weak / off of the air volume is automatically activated according to the air volume control table based on the selected concentration. To perform.

그리고 '취침 모드'의 경우에는 초기의 정지 상태에서의 '운전 버튼' 입력에 의해 풍량은 '약'으로 동작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운전 모드를 실행하고 '자동 환기 모드'로 진입한다.In case of 'sleep mode', the air volume is 'weak' by the 'operation button' input in the initial stop state,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is executed for a set time and the 'auto ventilation mode' is entered.

그리고 도 7a는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이 작동하는 경우에 실내 환경 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Dry-in 모드의 실행 회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 7A illustrates an execution circuit configuration of a dry-in mode in which a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ler 43 when the ventilation fan of the kitchen or the ventilation fan of the bathroom is operated. It is shown.

회로 입력이 'Low'인 경우에는 환기 풍량을 '강'으로 하고, 회로 입력이 'High'인 경우에는 환기 풍량을 이전 상태로 환원시킨다.If the circuit input is 'Low', the ventilation flow rate is set to 'strong'. If the circuit input is 'High', the ventilation flow rate is reduced to the previous state.

그리고 도 7b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면 자동으로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이 작동되도록 하는 Dry-out 모드의 실행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7B illustrates an execution circuit of a dry-out mode in which a ventilation fan of a kitchen or a ventilation fan of a bathroom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is driven.

그리고 도 8은 안방형 컨트롤러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거실형 컨트롤러의 사진이다.8 shows an actual picture of the cubic controller, and FIG. 9 is a picture of the living room controller.

물론, 이와 같은 형태가 아니고 다른 형태로 통합형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integrated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과 그의 통합형 컨트롤러는 쾌적한 실내 환경 관리에 의한 최적의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한다.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ovide the following functions by providing an optimal living environment by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먼저,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등에 의한 환기 장치의 자동 제어에 의해 실내 공기질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First, indoor air quality can be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by automatic control of a ventilation device by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or the like.

그리고 냉 난방기 자동 제어에 의한 최적 온도 조절이 가능하고, 가습기/제습기의 자동 제어에 의한 최적 습도 조절이 가능하다.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ptimum temperature by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cold heat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ptimum humidity by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humidifier / dehumidifier.

또한, 조명장치의 제어에 의해 적정 조도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by the control of the lighting device.

그리고 공기질 상태의 표시에 의해 사용자에게 쾌적 상태의 알림이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동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정보/환경 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a comfortable state by displaying the air quality state, and provid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enable more efficient information / environment management by interworking with a home network system.

그리고 리모콘 부착 기능에 의해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통합형 컨트롤러의 조작부에 연결 구성되는 서브 커버에 의해 이전의 스위치 등에 의한 벽지 손상을 방지한다.The remote control attaching function provides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the sub cov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prevents the wallpaper from being damaged by the previous switch or the like.

또한, 비상호출 기능에 의한 보안 및 응급 상황시의 대처 능력을 높이고,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to enhance the security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emergencies, and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그리고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람의 실내 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홈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통하여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여 별도의 세대내 재실 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indoors and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ler. .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Such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통합형 컨트롤러에 의해 실내의 공기 조건에 따라 전열교환 환기 장치를 제어하여 실내 공기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First, the integrated controller can control the total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s to efficiently manage the indoor air environment.

둘째, 기기별로 분리되어 있는 제어 입력 수단을 하나의 컨트롤러로 통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실내 공기질의 관리를 위한 기기들의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integrating the control input means separated by devices into a single controller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integrated control of the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셋째,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동작에 따른 영향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과 충분히 이격 구성되는 통합형 컨트롤러 내에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온도 센서들을 구성하여 정확한 판정 및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 다.Thir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sensors are configur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that is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 to enable accurate determination and operation. .

넷째, 통합 컨트롤러에 실내등의 on/off 제어를 위한 입력 스위치를 구비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integrated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n input switch for the on / off control of the indoor light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다섯째, 통합 컨트롤러 내부에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및 PLC 통신 모듈과 같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여 외부의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환경에 관한 정보들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Fift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PLC communication module may be embed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home network main controll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nformation about an indoor environment.

여섯째, 통합 컨트롤러 내부에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맥박, 체온 등등의 인체 상태를 알 수 있는 헬스 케어 센서들을 내장시키고, 그 결과에 따라 환기 및 실내의 온도, 습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계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Sixth, built-in health care sensor that knows the human body condition such as pulse, body temperature, etc. by user's contact inside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the user's systematic health by enabling ventilation and control of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result Management is possible.

일곱째, 화재 감지기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이 확실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화재 경보를 하여 화재 감지기의 오동작에 의한 문제를 해결한다.Seventh, even when the fire detector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a fire alarm is issu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by using the sensing values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Solve the problem.

또한, 세대별/층별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한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경보하는 것에 의해 실별 화재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it does not rely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e detector installed by generation / floor, and detects the fire by itself and detects the fire by using the sensing result us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To make it possible.

이와 같은 화재 감지 기능에 의해 화재 감지시에 소리 또는 알람 경보 이외에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를 통하여 자동으로 경비실, 아파트 관리실, 소방서 등에 자동으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sound or alarm alarm when the fire is detected by such a fire detection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notify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guard room, apartment management room, or fire station through the home network main controller.

여덟째, 통합 컨트롤러의 사용에 의해 현재 스위치, 난방,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등의 배선/배관, 기기 취부용 박스가 각각 콘크리트에 설치되어야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 절감 효과가 있고, 콘크리트 건물에 매입되는 시설물의 축소에 의해 건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Eighth, the use of integrated controllers improves the structure in which wiring / piping such as switches, heat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s, and equipment mounting boxes must be installed in concrete, respectively, resulting in cost-saving effects. By reducing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Claims (27)

실내 공기 환경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들;Sensors for sensing a state of an indoor air environment; 외기 제어를 위하여,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과 같은 주변 환기 팬이 작동하는 경우에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Dry-in 모드/ 실내 환경 조절 장치의 하나인 메인 환기 시스템이 구동되면 자동으로 주방의 환기 팬 또는 화장실의 환기 팬과 같은 주변 환기 팬이 작동되도록 하는 Dry-out 모드가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해당 모드의 실행 조건이 되면 외기 제어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외기 제어 접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구성되어,To control the outside air, one of the dry-in / indoor climate control units, which allows the main ventila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s, to be operated when an ambient ventilation fan such as a kitchen ventilation fan or a bathroom ventilation fan is operated. When the main ventilation system is activated, the dry-out mode, which automatically activates the surrounding ventilation fans, such as the ventilation fan in the kitchen or the ventilation fan in the bathroom, is set to be execu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external air control contact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상기 센서들의 센싱 결과에 따라 실내 환경 조절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외기 제어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sensors, and outputs a contact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side air.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의 내부에 구성되는 센서들은,According to claim 1, Sensors configur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온도 센서,CO2센서,습도 센서,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의한 공기 오염을 센싱하기 위한 VOC 센서,공기중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먼지 센서들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Temperature sensor, CO 2 sensor, humidity sensor, VOC sensor for sensing the air pollution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dust sensor for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ntegrated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의 내부에 구성되는 센서들은,According to claim 1, Sensors configur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인체의 체온, 맥박을 포함하는 신체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헬스 케어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lth care sensor for sensing the body state, including body temperature, pulse of the human body by the user's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통합형 컨트롤러의 내부에 구성되는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컨트롤러와,A sen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sensors configur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상기 센서들의 센싱 결과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제어에 의해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내 환경 제어부와,An indoor environmen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by sensing results of the sensors or user input control; 상기 센서들의 센싱 결과, 현재의 실내 쾌적 정도를 포함하는 현재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driving state including a current indoor comfort level as a result of sensing the sensors;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어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nd a control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selection signal for driving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s.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integrated controller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실내 환경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와,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by a remote controller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for indoor environment control; 통합형 컨트롤러에 의해 센싱되는 결과 또는 현재 구동중인 실내 환경 조절 장치들의 구동 상태 및 사용자 설정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ults of the sensing by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the driving state and user setting state of the currently operating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devices over the wire .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integrated controller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사용자에 의한 설정값들의 저장, 시스템 운용 프로그램, 농도 테이블 및 운용중에 획득된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omprising and configured for storage of set values by a user, a system operating program, a concentration table and storage of data obtained during operation.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integrated controller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일반 환기 모드', '전열 교환 모드', '자동 환기 모드', '취침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고, Select 'Normal Ventilation Mode', 'Heat Exchange Mode', 'Auto Ventilation Mode', 'Sleep Mode'. '자동 환기 모드'는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기준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utomatic ventilation mode' is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operate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integrated controller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일반 환기 모드', '전열 교환 모드', '자동 환기 모드', '취침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고,Select 'Normal Ventilation Mode', 'Heat Exchange Mode', 'Auto Ventilation Mode', 'Sleep Mode'. 이들 모드들 사이의 전환이 이루어지면 각 모드의 설정값을 모드 전환시에 초기화기키고,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자동 환기 농도 테이블은 최종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When switching between these modes is made, the setting value of each mode is initialized at the time of mode switching, and the automatic ventilation concentration tabl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controls to maintain the final state. controller.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가 홈네트워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것에 의해,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a home network controller. 화재 감지기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들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이 확실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화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Even when the fire detector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indoor fire control is controlled so that a fire alarm is generat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is sure by using sensing values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s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system.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integrated controller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온도 센서를 이용한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of the fire itself and alarm by us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제 11 항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합형 컨트롤러의 자체 경보에 더하여 통합형 컨트롤러에 구비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홈 네트워크 메인 컨트롤러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경비실, 아파트 관리실, 소방서에 자동으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fire is determined to be in addition to the self-alarm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communication to the home network main controller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to the guard room, apartment management room, fire station automatically Integrated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fire occurs.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형 컨트롤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에, 현재 실내의 공기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와, 환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환기 조절부와, 실내 전등들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등 스위치들과, 현재 실내의 쾌적 정도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가 구성되고, The central main switching unit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indoor air condition,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setting the indoor temperature, a ventilation controller for setting the ventilation mode, and on / off of indoor lamps.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mfort level of the current room, 상기 메인 스위칭부의 양측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서브 커버 영역과,제 2 서브 커버 영역을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nd a first sub cover area and a second sub cover area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switching unit,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공기 상태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ir stat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현재 실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유해 가스 발생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gree of harmful gas gener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내의 쾌적 정도는,The comfort level of the room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claim 14, '쾌적' '건조' '다습' 'CO2'의 항목을 포함하고 구분되고, 각각의 항목들은 서로 다른 색상 및 다른 면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omprising items of 'comfortable', 'dry', 'humidity' and 'CO 2 ', each of which is represented in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areas. 제 14 항에 있어서,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하단에,15. The method of claim 14, At the bottom of the main switching unit, 응급 상황시에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비상 호출 버튼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configured to notify the outside in an emergency. 제 14 항에 있어서, 전등 스위치들의 어느 하나에는 전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도 조절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15.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claim 14, wherein any one of the light switches is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control switch for adjusting illuminance of the light. 제 14 항에 있어서, 전등 스위치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위치의 크기를 다른 스위치들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15.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ize of the switch which is used most among the light switches is larger than other switches.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or 16, 통합형 컨트롤러의 중앙의 메인 스위칭부의 하단 일 영역에,In the lower area of the main sw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외기 제어를 위한 Dry-in 모드/Dry-out 모드의 설정을 위한 Dry-in on/off 선택 스위치, Dry-out on/off 선택 스위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 on / off selection switch for setting the dry-in mode / dry-out mode for the outside air control, dry-out on / off selection switch is configured.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or 16, 메인 스위칭부와 제 1 서브 커버 영역의 경계 영역, 메인 스위칭부와 제 2 서브 커버 영역의 경계 영역에는 내부에 구성되는 센서들의 실내 공기 상태의 센싱을 위하여 센서용 환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main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sub-cover area, the sensor vent is configured for sensing the indoor air state of the sensors configured therein Integrated controller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전등 스위치들은, The light switch of claim 14 or 15 or 16, wherein the light switches, 메인 스위칭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ain switching unit.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서브 커버 영역의 상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체온, 맥박의 센싱을 위한 인체 의료 관련 센싱 영역이고,17. The method of claim 14, 15 or 16,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cover area is a human medical related sensing area for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pulse by the user's contact, 나머지 영역은 스위치들의 조작시에 벽면에 가해지는 더러움을 막기 위한 보호 카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The remaining area is 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cover area for preventing dirt from being applied to a wall when the switches are operated.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제 2 서브 커버 영역에는,The method of claim 14, 15 or 16, wherein in the second sub-cover area, 내부에 자석이 위치되고, 간편 조작을 위하여 온도 조절,환기 조절,전등 선택 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탈부착 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부착 영역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is located inside, the remote controller attachment area is configured to detach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control, light selection switch for easy oper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스위치들이 구성되는 메인 스위칭부의 표면에서 더 안쪽으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통합형 컨트롤러의 설치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further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eck the display content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2 서브 커버 영역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or 16, wherein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ver areas, 지그비 통신 모듈이 내장되는 것에 의해 전등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등 스위치들의 조작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light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 by the built-in Zigbee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2 서브 커버 영역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or 1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cover areas, 메인 스위칭부와의 경계면에서부터 부착시의 벽면까지 음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양각 라운드 형상 또는 직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An integrated controller of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n intaglio round shape from an interface with a main switching part to a wall surface at the time of attachment, or is inclined in an embossed round shape or a straight line.
KR1020070050467A 2007-05-23 2007-05-23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KR100822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467A KR100822384B1 (en) 2007-05-23 2007-05-23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467A KR100822384B1 (en) 2007-05-23 2007-05-23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384B1 true KR100822384B1 (en) 2008-04-17

Family

ID=3957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467A KR100822384B1 (en) 2007-05-23 2007-05-23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384B1 (en)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74B1 (en) 2008-10-15 2011-01-07 (주)드라이어코리아 dehumidification system for brid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34957B1 (en) * 2010-06-22 2011-05-17 주식회사 세코 Intelligence form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9061B1 (en) * 2010-05-13 2011-06-07 주식회사 시오스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individual room at a clean condition through the device containing air quality gas sensors installed in the individual rooms and for cleaning the dusts in the floor
WO2011149293A2 (en) * 2010-05-26 2011-12-01 센텍(주) Intelligent air purifying system
KR101114859B1 (en) 2009-12-02 2012-02-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Hybrid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2297B1 (en) * 2012-03-26 2014-03-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edroo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und sleep
KR20150024194A (en) * 2013-08-26 2015-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4193A (en) * 2013-08-26 2015-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3820A (en) 2015-01-30 2016-08-09 정용주 Control System For Heat Exchanger Type Air Ventilators
CN106016604A (en) * 2016-05-25 2016-10-12 上海电机学院 Building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based on ZigBe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4304B1 (en) * 2017-12-01 2018-06-04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rning a fire based on a various sensing data
KR101864612B1 (en) * 2017-12-01 2018-06-05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fire cooperating with automatic vantilation system
KR20180123290A (en)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타온 The apparatus of home network for using ai module
KR20180133991A (en) * 2017-06-07 201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and mehtod for control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environment
CN109032013A (en) * 2018-07-30 2018-12-18 广西真龙实业有限责任公司 The cloud monitoring device of power distribution room and air compressor machine
KR20190028251A (en) * 2017-09-08 2019-03-18 노병희 The module device and Environment Control method for Indoor storage
KR20190118441A (en)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경동전자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67071A (en) * 2018-06-05 2019-12-13 华东交通大学 Intelligent indoor air conditioning integrated system based on automatic window
CN111076320A (en) * 2019-11-26 2020-04-28 三个爸爸家庭智能环境科技(北京)有限公司 Distributed purification system, equipment and method
KR20200068470A (en) 2018-12-05 2020-06-1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indoor environment control based on user's request
JPWO2019058569A1 (en) * 2017-09-20 2020-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network system
KR20210122966A (en) 2020-04-02 2021-10-13 엠넥스텍 주식회사 Integrated interior environment managing system and method
KR102426492B1 (en) 2021-12-17 2022-07-29 주식회사 소어텍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erforming universal control of linked ventilation facilit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14A (en) * 1993-12-14 1995-07-24 이헌조 Pleasant air conditioner and comfortable operation method of air conditioner
KR970025432A (en) * 1995-11-01 1997-06-24 손경식 Manufacturing Method of Kimchi with Extended Period
KR20050056568A (en)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ir conditioner by using body temperature sensing sensor
KR20050116680A (en) * 2004-06-08 2005-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60126013A (en) * 2005-06-03 2006-12-07 한솔건설(주) Home automation having combining function of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70020863A (en) * 2005-08-17 2007-02-22 강소기 An appatatus for freshening air of room and method for freshening air of room using the same
KR20070040074A (en) * 2005-10-11 2007-04-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Hermetic compress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14A (en) * 1993-12-14 1995-07-24 이헌조 Pleasant air conditioner and comfortable operation method of air conditioner
KR970025432A (en) * 1995-11-01 1997-06-24 손경식 Manufacturing Method of Kimchi with Extended Period
KR20050056568A (en)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ir conditioner by using body temperature sensing sensor
KR20050116680A (en) * 2004-06-08 2005-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60126013A (en) * 2005-06-03 2006-12-07 한솔건설(주) Home automation having combining function of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70020863A (en) * 2005-08-17 2007-02-22 강소기 An appatatus for freshening air of room and method for freshening air of room using the same
KR20070040074A (en) * 2005-10-11 2007-04-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Hermetic compressor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74B1 (en) 2008-10-15 2011-01-07 (주)드라이어코리아 dehumidification system for brid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14859B1 (en) 2009-12-02 2012-02-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Hybrid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9061B1 (en) * 2010-05-13 2011-06-07 주식회사 시오스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individual room at a clean condition through the device containing air quality gas sensors installed in the individual rooms and for cleaning the dusts in the floor
WO2011149293A2 (en) * 2010-05-26 2011-12-01 센텍(주) Intelligent air purifying system
WO2011149293A3 (en) * 2010-05-26 2012-04-19 센텍(주) Intelligent air purifying system
KR101034957B1 (en) * 2010-06-22 2011-05-17 주식회사 세코 Intelligence form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2297B1 (en) * 2012-03-26 2014-03-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edroo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und sleep
KR20150024193A (en) * 2013-08-26 2015-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37249B1 (en) * 2013-08-26 202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36159B1 (en) * 2013-08-26 2020-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4194A (en) * 2013-08-26 2015-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3820A (en) 2015-01-30 2016-08-09 정용주 Control System For Heat Exchanger Type Air Ventilators
CN106016604A (en) * 2016-05-25 2016-10-12 上海电机学院 Building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based on ZigBe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73402B1 (en) * 2017-05-08 2019-04-29 주식회사 아시아정보통신 The apparatus of home network for using ai module
KR20180123290A (en)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타온 The apparatus of home network for using ai module
KR102367201B1 (en) * 2017-06-07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and mehtod for control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environment
KR20180133991A (en) * 2017-06-07 201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and mehtod for control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itions of environment environment
KR20190028251A (en) * 2017-09-08 2019-03-18 노병희 The module device and Environment Control method for Indoor storage
KR102049151B1 (en) * 2017-09-08 2019-11-26 노병희 The module device and Environment Control method for Indoor storage
JP7002554B2 (en) 2017-09-20 2022-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network system
JPWO2019058569A1 (en) * 2017-09-20 2020-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network system
KR101864612B1 (en) * 2017-12-01 2018-06-05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fire cooperating with automatic vantilation system
KR101864304B1 (en) * 2017-12-01 2018-06-04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rning a fire based on a various sensing data
KR102440553B1 (en) * 2018-04-10 2022-09-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18441A (en)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경동전자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67071A (en) * 2018-06-05 2019-12-13 华东交通大学 Intelligent indoor air conditioning integrated system based on automatic window
CN110567071B (en) * 2018-06-05 2024-02-06 华东交通大学 Intelligent indoor air conditioning integrated system based on automatic window
CN109032013A (en) * 2018-07-30 2018-12-18 广西真龙实业有限责任公司 The cloud monitoring device of power distribution room and air compressor machine
KR20200068470A (en) 2018-12-05 2020-06-1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indoor environment control based on user's request
CN111076320A (en) * 2019-11-26 2020-04-28 三个爸爸家庭智能环境科技(北京)有限公司 Distributed purification system, equipment and method
KR20210122966A (en) 2020-04-02 2021-10-13 엠넥스텍 주식회사 Integrated interior environment manag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93161A (en) 2021-12-17 2023-06-27 주식회사 소어텍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erforming universal control of linked ventilation facility
KR102426492B1 (en) 2021-12-17 2022-07-29 주식회사 소어텍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erforming universal control of linked ventilation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384B1 (en) Integration type controller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ES2891363T3 (en) Ventilation system
US9103555B2 (en) Multiple zone climate control system
KR102056470B1 (e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20190056126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05003321A (en) Ventilation system
JP2021517233A (en) Smart ventilation system
CN1847739B (en) Air exchanger with function of purifying indoor air
US2006000449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 controller
KR102147675B1 (en)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KR20120082827A (en) A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EP1114970B1 (en) Ventilating system
KR101238958B1 (en) Air cleaning and energy saving system
KR10200862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outside air type fresh air unit for an affix ceiling
JP2016044944A (en)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human detection means
KR20190106608A (en) Integrate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KR2011013638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 using environment-sensor
KR20190012295A (en) Residence space's ventilation controlling system
KR100684294B1 (en) A measuring device of co2 gas for remote communication control in order to room air quality management and contron method thereof
KR102497520B1 (en) Air Conditioner Having Ventilation Function
JP4742694B2 (en) Ventilation equipment
JPH11125450A (en) Heat-exchange type ventilating fan and method for ventilation
JP7434874B2 (en) ventilation system
KR101276864B1 (en) The ventilator with function of dew condensation prevention using standby power
KR100728339B1 (en) Energy recovery venti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