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853B1 -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853B1
KR100820853B1 KR1020060117784A KR20060117784A KR100820853B1 KR 100820853 B1 KR100820853 B1 KR 100820853B1 KR 1020060117784 A KR1020060117784 A KR 1020060117784A KR 20060117784 A KR20060117784 A KR 20060117784A KR 100820853 B1 KR100820853 B1 KR 10082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tification service
call notification
incoming call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8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추가한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송신하여 호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교환기(Mobile switch Center: MSC)와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파싱하여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임을 인지한 경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추가한 기 저장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단문 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할 때 착신측 단말이 통화 불능인 경우에 걸려 온 전화에 대해서 통합 메시지 시스템이 발신측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착신측 단말이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메시지의 내용을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설정한 내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Which Supplies Missing Call Alert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자와 통화 하지 못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착신 단말에 전달하는 미착신 호 알림(Missing Call Alert: MCA)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전달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설정한 내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를 통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일반화되면서,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동 통신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를 제공 할 뿐 아니라, 나아가 가입자가 부재중인 경우 걸려 온 전화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부재중 착신 전화 서비스 등 여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부재중 착신 전화 서비스는, 적어도 가입자가 통화권 이내에 위치하여 호를 착신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착신측 단말 가입자는 단말의 전원을 끈 상태이거나 통화권을 이탈하여 통화 불능인 경우에 걸려온 전화에 대해서는, 미 수신된 발신 번호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발신측 단말 로부터 호 연결 시도가 있었으나 착신측 단말이 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시도를 한 발신측 단말의 정보를 착신측 단말 가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착신측 단말 가입자와 통화하지 못한 발신측 단말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 전송하는 서비스를 미착신 호 알림(Missing Call Alert: MCA) 서비스라고 일컫는다. 상기 서비스는 현재 여러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고 있으며, SKT가 제공하는 퍼펙트 콜 서비스, KTF가 제공하는 캐치콜 서비스 등이 이에 속한다.
퍼펙트 콜 서비스는 가입자가 놓친 전화 또는 가입자가 전화하고 싶은 상대방의 통화 가능 여부를 가입자에게 알려 주어, 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며 또한 완벽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퍼펙트 콜 서비스는 크게 콜 키퍼(Call Keeper)서비스와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콜 키퍼 서비스란 단말기가 전원을 끈 상태이거나 통화 중인 경우 또는 통화 불능 시 걸려 온 전화에 대해 미수신된 발신번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이 경우 미수신된 발신번호 정보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통하거나 웹 페이지(예를 들면, e-Station)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는 호 연결을 시도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통화중이어서 통화가 연결되지 못한 경우, 이후 상대방이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이를 발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로 통보해 주는 서비스이다. 상기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는 발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통보해 주는 것과 동시에, 상대방에게는 발신자의 호출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해 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측 단말(110), 착신측 단말(130), 교환기(120), 홈 위치 등록기(140), 통합 메시지 시스템(150) 및 단문 메시지 서비 스 센터(16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합 메시지 시스템(Unified Messaging System: UMS)이란 장소나 시간 및 메시지 제공 수단에 관계없이, 음성, 팩스, 메시지는 물론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전자 우편 등 서로 다른 메시지를 일반 전화망을 이용해 단일한 메일박스에서 통 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은 기존 일반 전화망, 무선 전화, 인터넷 망 등으로 구분되던 각종 통신망을 단일망으 로 통합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통신 시스템이다.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측 단말(110)로부터 전원이 오프(Power-off)된 상태이거나 통화권을 이탈하여 통화 불능 상태에 있는 착신측 단말(130)로 호 연결 시도가 있는 경우(S101), 발신측 단말 (110)이 시도한 호(call)는 교환기(Mobile swi tch Center: MSC)(120)로 접수된다(S102).
호 연결 시도를 했던 호가 상기 교환기(MSC)(120)에 접수되면, 교환기(MSC) (120)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40)에 착신측 단말(130)에 대한 상태를 조회하여 통화 불능의 원인(Power-off, 통화권 이탈 등)을 검색한다(S103). 또한 착신측 단말(1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도 검색한다.
착신측 단말(1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교환기(MSC) (120)는 S103 단계에서 얻은 통화 불능의 원인에 대한 결과와 함께 호를 통합 메시 지 시스템(150)에 넘긴다(S104).
통합 메시지 시스템(150)은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처리 시나리오에 따라,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남기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 이를 저장한다(S105).
이후 통합 메시지 시스템(150)은 홈 위치 등록기(HLR)(140)를 통하여 착신 측 단말(130)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조회한다(S106).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150)은 착신측 단말(130)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미착신 호가 있었다는 것을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여 통 보 한다(S107).
이때 가입자는 상기 단문 메시지로부터 미착신 호가 있다는 것과 상기 미착 신에 의한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입자는 단문 메시지를 통보 받게 되면 정해진 사서함 번호로 발신을 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시킨 후 음성 사서함에 남겨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았듯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는 착신측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여 착신측 단말 가입자로 하여금 발신측 단말 가입자가 남겨놓은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성 메시지가 남겨지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발신측 단말 가입자로부터 시도되었던 미착신 호에 대한 정보를 착신측 단말 가입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미착신 호 알림(MCA) 서비스는 VMS 또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 에서 음성 메시지를 비롯한 각종 메시지의 제공시, 사용자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하 여 사용되거나, 부재중 걸려온 전화를 가입자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전달되는 메시지는 VMS 또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에서 동일하게 지정한 정형화된 내용이며, 단지 발신자의 정보만이 다를 뿐이다. 즉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있어서, 모든 착신자는 이러한 정형화된 내용의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착신간의 완벽한 통화를 위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전원이 오프 되거나 또는 통화권 이탈 상태인 착신 단말로 통화가 시도된 경우, 통화를 이루지 못하고 끊어진 발신 단말에 대한 정보를 단문 메시지를 통하여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VMS 또는 UMS 가입자인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의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추가한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송신하여 호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교환기(Mobile switch Center: MSC)와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파싱하여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임을 인지한 경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추가한 기 저장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단문 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 조회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미착신 호 처리부에 전송하는 제어부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 픽스(MCA Prefix)를 추가하고,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미착신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시스템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지정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하여 착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을 조회하여 읽어온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송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 및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시스템은, 가입자가 발신 또는 수신할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는, 가입자가 단말을 통하여 직접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단말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계된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 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착신 단말에 송신하는 단문 메시지 센터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합 메시지 시스템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지정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하여 착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을 조회하여 읽어온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송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 및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입자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지정하는 단계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추가한 후,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발신 단말의 정보와 기 저장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착신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읽어 이로부터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착신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초기 주소 메시지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착신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가입자가 모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교환기(MSC)(220)와 통합 메시 지 시스템(UMS)(25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 공 시스템은, 홈 위치 등록기 (Home Location Register: HLR)(240)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60)등과 연결되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교환기(MSC)(220)는 호를 연결, 해제하거나 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 기도 한다. 본원 발명에서 교환기(MSC)(220)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222)와 미착신 호 처리부(22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환기(MSC)(220)는 지정된 홈 위치 등록기(HLR) (240)와 연계되어 있다.
제어부(222)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를 조회하여 착신측 단말이 미 착 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 검색한다. 또한 착신측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다는 정보를 미착신 호 처리부(224)에 전송한다.
미착신 호 처리부(224)는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프리 픽스(MCA Prefix)를 추가하고, 초기 주소 메시 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으로 전송한다.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은 기본적으로 기존 일반 전화망, 이동 통신망, 인 터넷 망 등으로 구분되던 각종 통신망을 단일망으로 통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 태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 종 부가 서비스도 제공한다.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은 메인 프로세서(252), 미착 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256)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로세서(252)는 상기 미착신 호 처리부(224)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 (IAM)와 미착신 호를 수신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2)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과정이 시작된다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2)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측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 전송한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서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256)을 조회하여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읽어온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2)로부터 수신한 발신측 단말의 정보와 상기 조회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60)에 전송한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256)은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 의 메시지를 저장한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256)은 가입자가 발신 또는 수신할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직접 설정하고 편집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입자 단말(270)과 연동하여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 다. 이 경우 가입자는 가입자 단말(270)을 통하여 직접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 시지의 내용을 입력하고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자와 착신자가 모두 통합 메시지 시스템 가입자이고, 양자 모두 사용자 웹을 통하여 특정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설정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충되는 특정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상호간에 어떤 메시지를 선택할 것인지 문제되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착신자가 특정한 메시지의 내용을 우선 순위로 전송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한다.
그러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국한되지 않으며, 발신자가 특정한 내용을 우선 순위로 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HLR)(240)는 가입자 단말의 고유한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 및 단말이 제공받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홈 위치 등록 기(HLR)(240)를 조회하여 가입자 단말이 통화 불능 상태인지 등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채택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HLR) (240)의 데이터베이스의 가입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의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를 이루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60)는 가입자 단말(270)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270)에 전송한다. 또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로부터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 와 발신측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처리한 후 가 입자 단말(270)에 전송한다.
이제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준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ⅰ) 우선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에 의존적이어야 하고, ⅱ) 통합 메시지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웹 인터 페이스를 제공하여야 하며, ⅲ) 마지막으로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에서는 발신 또는 수신할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설정 및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발신자 또는 착신자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 가입자가 될 것이며, 사용자 웹 에 접속하여 전송할 발신자(또는 착신자)만의 특정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 용을 입력한다. 상기 특정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은 기존의 정형화된 발신자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개개인이 직접 지정하여 입력한 내용이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의 흐름을 도 시한 도면이다.
발신측 단말(210)이 전원이 오프(Power-off)된 상태이거나 통화권을 이탈 하여 통화 불능 상태에 있는 착신측 단말(230)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301). 이 경우 발신측 단말(210)로부터 발생된 호 발신 요청 신호는 교환기(MSC)(220)의 제어부(222)로 접수된다.
호를 접수받은 상기 제어부(222)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에 착신 측 단말(230)에 대한 상태를 조회하여, 통화 불능의 원인(Power-off, 통화권 이탈 등) 과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 검색한다(S302). 또 한 교환기(MSC)(220)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에 저장된 착신측 단말(2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측 단말(230)의 상태는 이미 해당 홈 위치 등 록기(HLR)(240)에 저장되어 있다. 홈 위치 등록기(HLR)(240)는 착신측 단말(230) 이 통화 불능 상태이거나 기타 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지정하였는지 확인한다.
제어부(222)는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에 는, 이를 미착신 호 처리부(224)에 알린다. 이 경우 교환기(MSC)(220)의 미착신 호 처리부(224)는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 (MCA Prefix)를 추가한 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 으로 호를 넘기기 위하여(triggering),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의 메인 프로세서(252)로 전송한다(S303). 이에 의하여 미착신 호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프리픽스란 식별자의 일종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미착신 호 알림 서 비스를 지정하였는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미착신 호 프리픽 스를 사용한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는 사용자가 그 형태를 임의로 지 정할 수 있으나,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지정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HLR)(240)의 가입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는 통합 메시 지 시스템(250)의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를 이루도록 구성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와 통합 메시 지 시스템(250)에서 통일된 형태로 지정되어야 한다.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의 메인 프로세서(252)에서는 교환기(MSC)(220)의 미착신 호 처리부(224)로부터 초기 주소 메시지와 미착신 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252)는 주소 완료 메시지(Address Complete Message: ACM)를 교 환기(MSC)(220)의 미착신 호 처리부(224)에 전송하여 주소 시그널이 정상적으로 수 신되어 호가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에 접수되었다는 것을 알린다. 또한 응답 메 시 지(Answer Message: ANM)를 교환기(MSC)(220)의 제어부(222)에 전송하여 호가 응답되었음을 알린다.(S304).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의 메인 프로세서(252)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읽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라는 것을 인식한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252)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과정이 시작된다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2)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 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측 단말(210)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 회 결과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 전송한다(S305).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서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 지의 내용을 생성한다(S306). 즉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256)을 조회하여 가입자가 특정한 내용의 메시지를 읽어 오고, 이에 메인 프로세서(252)로 부터 수신한 발신측 단말(210)의 정보를 추가하여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생성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SMSC)(260)에 전송한다(S307). 이 경우 단문 메시지 센터(SMSC)(260)는 상기 특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 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의 메인 프로세서(252)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교환기(MSC)(220)에 호에 대한 종료 메시지인 해제 메시지(Release Message: REL)를 전송한다(S308).
상기 해제 메시지(REL)를 수신한 교환기(MSC)(22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해제 완료 메시지(Release Complete Message: RLC)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의 메인 프로세서(252)로 전송하여 사용된 회선을 유휴 상태로 전이되도록 한다(S309).
단문 메시지 센터(SMSC)(260)는 연계된 교환기(MSC)(220)로부터 착신 단말 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의 형태로 착신측 단말(230)에 송신한다(S310).
그 이후의 과정은 기존과 동일하다.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자는 발신측 단말 정보(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이 통화 불능인 상태에서 호 연결을 시도한 발신자와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는 가입자 개개인이 특정한 내용으로서, 이에 따라 가입자간에 메시지의 교환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신측 단말(210) 또는 착신측 단말(230) 가입자는 사용자 웹을 통하여 자신이 직접 특정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S401).
발신측 단말(210)에서 착신측 단말(230)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402).
교환기(MSC)(220)는 홈 위치 등록기(HLR)(240)에 착신측 단말(230)의 현재 상태(전원이 꺼진 상태인지 또는 통화권 이탈 상태 인지 등)와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 여부를 조회한다(S403).
교환기(MSC)(220)는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 다는 것을 확인하면, 착신 단말 번호, 즉 Called Party Number 앞에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MCA 프리픽스)를 추가하고, 통합 메시지 시스템 (UMS)(250)으로 호를 넘기기 위하여(triggering)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250)으로 전송한다(S404).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MCA 프리픽스)를 파싱(parsing)하여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지정한 경우라는 것을 인지한다.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의 메인 프로세서(252)는 홈 위치 등록기(HLR) (240)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230)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측 단말(210)의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 전송한다(S405).
이 경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서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생성한다(S406).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의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254)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생성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SMSC)(260)에 전송한다(S407).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은 호를 종료하기 위하여 해제 메시지(Release Message: REL)를 교환기(MSC)(220)에 전송한다(S408).
교환기(MSC)(220)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으로부터 주소 완료 메시 지(ACM) 또는 응답 메시지(ANM)을 수신하고, 해제 메시지(REL)를 최종적으로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로 해제 완료 메시지(Release Complete Message: RLC)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250)에 전송하고 관련된 회선을 유휴 상태로 전이한다(S409).
단문 메시지 센터(SMSC)(260)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 및 저장하고, 연계된 교환기(MSC)(220)를 조회하여 착신측 단말(23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단문 메시지를 전달한다.
착신측 단말(230)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발신측 단말(210)로 통화를 시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 단말이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 걸려 온 발신 전화에 대한 정보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이 수집하여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한 시점에 전달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에 있어서, 전달되는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입력한 특정한 내용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정형화된 메시지 내용에서 벗어나 개인이 설정해 놓은 특정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3세대 이동 통신망으로 통화 연결시 단순한 텍스트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와 함께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에 확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미착신 호 알림(Missing Call Alert: MCA)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추가한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 IAM)를 송신하여 호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교환기(Mobile switch Center: MSC); 와
    상기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파싱하여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임을 인지한 경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추가한 기 저장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단문 메시지 센터를 제어하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 였는지 조회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미착신 호 처리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 리 지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MCA Prefix)를 추가하고, 초기 주소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IAM)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미착신 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시스템은,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지정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하 여 착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 단말의 정보를 조 회하고, 이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메인 프로세서;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을 조회 하여 읽어온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 송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 및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 시지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 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시스템은,
    가입자가 발신 또는 수신할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 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는,
    가입자가 단말을 통하여 직접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단말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연계된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태가 되었다는 정보를 수신 하는 경우, 저장된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착신 단말에 송신하는 단문 메시 지 센터를 더 포함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지정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하 여 착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 단말의 정보를 조 회하고, 이를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메인 프로세서;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 저장 모듈을 조회 하여 읽 어온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 송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처리 모듈; 및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 시지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
  8. 가입자가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의 내용을 지정하는 단계;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한 경우, 착신 단말 번호 앞에 미리 지정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추가한 후,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와 발신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발신 단말의 정보와 기 저장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착신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프리픽스를 읽어, 이로부터 착신 단말이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채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초기 주소 메시지를 통합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착신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가입자가 모두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117784A 2006-11-27 2006-11-27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784A KR100820853B1 (ko) 2006-11-27 2006-11-27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784A KR100820853B1 (ko) 2006-11-27 2006-11-27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853B1 true KR100820853B1 (ko) 2008-04-11

Family

ID=3953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784A KR100820853B1 (ko) 2006-11-27 2006-11-27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28B1 (ko) * 2008-06-19 2014-09-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pca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806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한싹시스템 단말기의 부재중 메시지 알림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806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한싹시스템 단말기의 부재중 메시지 알림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28B1 (ko) * 2008-06-19 2014-09-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pca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5414B1 (en) Automatic SMS handling
KR100401702B1 (ko) 발신번호 이력 제공 장치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0853B1 (ko) 미착신 호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3920167B2 (ja) 着信通知方式指定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WO2006076305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s
KR20040048751A (ko) 발신자 정보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965091B1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정보 제공 방법
KR100785381B1 (ko) 유, 무선 발신전화 최적조건 착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KR10030331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사서함서비스에서메시지수신통보및자동호출방법
KR101044505B1 (ko) 전화 회신 서비스 방법
KR2004010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부재알림 방법
JP2007019778A (ja) 無線通信端末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JP200120407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式および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KR20030072285A (ko) 유무선 통신의 발신 불완료호에 대한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
KR20040088622A (ko)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후 착신자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177B1 (ko)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3455472B2 (ja) 不完了呼通知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KR20040041213A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39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완료호 자동 연결 서비스 방법
KR101019774B1 (ko) 불완료호 알림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