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277B1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277B1
KR100819277B1 KR1020020011287A KR20020011287A KR100819277B1 KR 100819277 B1 KR100819277 B1 KR 100819277B1 KR 1020020011287 A KR1020020011287 A KR 1020020011287A KR 20020011287 A KR20020011287 A KR 20020011287A KR 100819277 B1 KR100819277 B1 KR 10081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lcd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72442A (en
Inventor
임중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277B1/en
Publication of KR2003007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일측으로 송화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제공된 하부 몸체와; 상면에 엘씨디와 상기 엘씨디의 일측으로 수화부가 구비되어,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과 그의 하면이 대면하고, 통화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몸체 상면의 키패드를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송화부에서 상기 수화부가 멀어지게 하는 상부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상부 몸체 상면의 엘씨디는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되어, 종래의 폴더형 단말기처럼 엘씨디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상부 몸체를 열거나 닫는 동작이 불필요하며, 또한 별도의 슬레이브 엘씨디와 같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불필요하고,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 확보가 용이하여 단말기의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and a talker on one side of the keypad, the lower body being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n LCD and a receiving unit on one side of the LC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the call standby mode,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the call mode, the lower body Disclosed i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n upper body exposing an upper keypad and allowing the receiver to move away from the talker. The LC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lways faces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user separately opens or closes the upp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CD as in the conventional folding terminal. There is no need, and there is no need for an auxiliary display device such as a separate slave LCD, and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are rotated to open and clos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can be easily secured,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휴대용 무선 단말기Portable wireless terminal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PORTABLE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상부 몸체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FIG. 2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unfold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상부 몸체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하면도,3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1 is unfold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상부 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4 is a top view showing an upp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하부 몸체를 나타내는 하면도.5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휴대용 무선 단말기 110 : 하부 몸체100: portable wireless terminal 110: lower body

119a : 안착면 119b : 접속 단자119a: Seating surface 119b: Connection terminal

120 : 상부 몸체 130 : 카메라 어셈블리
120: upper body 130: camera assembly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 및 상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osed of two lower and upper bodies and rotatably coupled 360 degrees.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a flip type, and a fold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its appearance.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형태이다.The bar terminal is a type in which data input / output means and a handset module are mounted in a main body housing, and a keypad serving as a data input means is always exposed, which may cause a malfunction, and it is limited to miniaturization due to the problem of sec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here is a form rarely used in recent years.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수단으로 구성되는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 flip terminal comprises a main body, a flip, and a hinge means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lip, wherein the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data input / output means and a handset module, and the flip covers the keypad which is the data input means. However, the flip type terminal also has a limitation in miniaturization due to the problem of sec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하므로써 개폐되는 형태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와 송화부가 설치되고, 상기 폴더에 데이터 출력 수단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수화부가 설치된다.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모드로서 키패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 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폴더형 단말기는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폴더형 단말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The folder-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a folder, and hinge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so that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folder, and the keypad and the transmitter are provided on the main body as data input means. The display device and the receiver which serve as data output means are provided in the folder. In the state in which the fold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a malfunction of the keypad can be prevented as a call waiting mode. In the call mode, the folder is opened to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talker and the receiver. There is an advantageous advantage. 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a portable terminal has a dominant fold type terminal.

그러나, 플립형 단말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소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본체와 폴더가 마주하는 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폴더의 외측면에 슬레이브 엘씨디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가하기도 하지만 이는 폴더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lip-type terminal, there is a limitation in miniaturization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case of the folding-type terminal, the display device is not seen in the call waiting mode because the display device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slave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older to add a display device, but the thickness of the folder is increased, which causes a problem in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소형화에 유리하며, 별도의 슬레이브 엘씨디를 설치하지 않아도 통화대기 모드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provide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at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even in the call standby mod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lave LCD Is 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일측으로 송화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제공된 하부 몸체와; 상면에 엘씨디와 상기 엘씨디의 일측으로 수화부가 구비되어,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과 그의 하면이 대면하고, 통화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 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몸체 상면의 키패드를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송화부에서 상기 수화부가 멀어지게 하는 상부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lower body provided with a keypa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ransmiss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keypad, the rotating body being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n LCD and a receiving unit on one side of the LC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the call standby mode, and in the communication mode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the lower body Disclosed i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n upper body exposing an upper keypad and allowing the receiver to move away from the talk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상부 몸체(120)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상부 몸체(120)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상부 몸체(120)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하부 몸체(110)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the unfolded upper body 12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of the upper body 12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4 is an upper body 12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5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body 11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는 하부 몸체(110) 및 상부 몸체(120)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1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제공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써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111)에 구비된 키 패드(113)를 노출시키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ure 1 to 5,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20, the upper body 120 is the lower The key pad 1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lower body 110 is exposed by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ody 110.

상기 하부 몸체(110)는 상면(111)에 데이터 입출력 장치인 키패드(113)가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113)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몸체 상면(111)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송화부(115)가 구비되고, 상기 송화부(115)에는 마이크로 폰(미도시)이 내장된다. 상기 하부 몸체(110)의 하면(117)에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와 각 종 부가 장치들(130, 140)과의 접속을 위해 소정 형상으로 함몰된 안착면(119a)이 형성된다. The low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 keypad 113, which is a data input / output device, on the upper surface 111, and is provided with a talker unit adjacent to one side of the keypad 113, preferably to a lower end of the lower body upper surface 111. 115 is provided, the transmitter 115 is a microphone (not shown) is built. The lower surface 117 of the lower body 110 is formed with a mounting surface 119a recessed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various additional devices (130, 140).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안착면(110a)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안착면(119a)의 형상은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9a)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와 부가 장치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119b)가 설치된다. Although the seating surface 110a illustrated in FIGS. 3 and 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119a may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nnection terminal 119b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nd additional devices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ting surface 119a.

도 1에는 상기 부가 장치의 예로서, 카메라 어셈블리(130)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130)는 상기 하부 몸체 안착면(119a)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결합부(133a)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133a)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안착면(119a)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몸체(1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하우징(131)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131)의 타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장치(135)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130)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장치(135)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를 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131)의 소정 부분에서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135)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 촬영 각도를 조절하 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1, an example camera assembly 130 is shown. As shown in FIG. 1, the camera assembly 130 has a coupling portion 133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body seating surface 119a at one end thereof, and the coupling portion 133a is disposed at the lower body. And a camera housing 131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110 when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119a of the 110, and a camera device 135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amera housing 131. . When the camera assembly 130 is mounted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the camera device 135 may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It may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portion to facilitate adjusting the photographing angle when the camera device 135 photographs the subject.

상기 카메라 하우징(131)의 결합부(133a)에는 상기 안착면(119a)에 형성된 접속 단자(119b)에 대응하는 단자(133b)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110)의 안착면(119a)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131)의 결합부(133a)는 자성에 의한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The coupler 133a of the camera housing 131 is provided with a terminal 133b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9b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119a. At this time, the seating surface 119a of the lower body 110 and the coupling portion 133a of the camera housing 131 may be coupled using a magnetic attraction.

도 3에는 상기 부가 장치의 예로서, 메모리 카드 장치(140)가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카드 장치(14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하면(117)에 형성된 안착면(119a)에 상응하는 형상의 어댑터(143)에 메모리 카드(141)가 장착되어 상기 안착면(119a)에 결합되는 형태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141)의 형상 자체를 상기 안착면(119a)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 메모리 카드(141)의 호환성 측면에서 상기 하부 몸체(110) 안착면(119a)의 형상을 고려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이 어댑터(14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110)의 안착면(119a)과 상기 메모리 카드 장치(140)는 자성에 의한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3 illustrates a memory card device 140 as an example of the additional device. As shown in FIG. 3, the memory card device 140 may include a memory card 141 in an adapter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seating surface 119a formed on a lower surface 117 of the lower body 110. It is mounted is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119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hape itself of the memory card 141 may be matched to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119a. However, the lower body (in terms of compatibility of the memory card 141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used. 110)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119a, or to use the adapter 143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eating surface 119a of the lower body 110 and the memory card device 140 may be coupled using a magnetic attraction.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면(121)에 디스플레이 장치인 엘씨디(123)가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123)의 일측으로 스피커 장치(미도시)가 내장된 송화부(125)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 몸체(120)의 회전축(A)은 상기 하부 몸체(110) 상면(1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 상면(111)의 측방으 로 슬라이딩 되어 회전한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그 하면이 통화대기 모드에서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과 일치되게 위치하여, 상기 하부 몸체 상면(111)의 키패드(113) 및 송화부(115)는 상기 상부 몸체(120)에 의해 가려지게 되며, 통화 모드에서 상기 상부 몸체(120)는 측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180도 회전하므로써 상기 키패드(113) 및 송화부(115)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몸체(120)의 회전축(A)은 상기 하부 몸체 상면(111)의 중앙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여야만 상기 상부 몸체(120)가 180도 회전하였을 때 상기 하부 몸체 상면(111)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엘씨디(123)는 상기 상부 몸체(120)의 상면(121)에 위치하기 때문에 통화대기 모드나 통화 모드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수시로 상기 엘씨디(123)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몸체(120)가 회전하여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111)으로부터 이탈하였을 때에는 상기 송화부(115)와 수화부(125)가 사용하기 용이한 정도로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한편, 상기 상부 몸체(120)가 모드 전환을 위해 18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엘씨디(123) 역시 180도 회전되어 화면 구성이 역전되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엘씨디(123)의 화면 구성을 다시 180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로(미도시)를 구비한다.The upper body 120 has an LCD (123) as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1, a talker (125) with a speaker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CD (123). The upper body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he axis of rotation (A) of the upper body 120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lower body 110 The upper body 120 is rotated by sliding to the side of the lower body upper surface 111. The upper body 120 is positioned so that its lower surface is coinciden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in the call standby mode, the keypad 113 and the transmitter 115 of the lower body upper surface 111 is the upper body It is covered by the 120, in the call mode, the upper body 120 is slid laterally to rotate the 180 degrees to expose the keypad 113 and the talker 115. Therefore, the axis of rotation A of the upper body 120 should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body upper surface 111 so that the lower body upper surface 111 when the upper body 120 is rotated 180 degrees. A part of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is time, the LCD 123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upper body 120, regardless of the call standby mode or call mode,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CD 123 from time to time, When the upper body 120 is rotated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lower body, the transmitter 115 and the receiver 125 are spaced apart by a sufficient distance to facilitate the use. On the other hand, if the upper body 120 is rotated 180 degrees to switch the mode, the LCD 123 is also rotated 180 degrees because the screen configuration is reversed,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s the screen of the LCD 123 A circuit (not shown) for rotating the configuration again 180 degre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엘씨디(125)가 통화대기 모드나 통화 모드에 상관없이 상기 상부 몸체(12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상부 몸체(120)의 회전축(A)을 상기 하부 몸체(110)의 일측에 위치시켜, 180도 회전하여 통화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송화 부(115)와 수화부(125)의 거리는 충분히 확보된다.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use because the LCD 125 can be confirmed without rotating the upper body 120 regardless of the call standby mode or the call mode. When the rotation axis (A) of the)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lower body 110 and rotated 180 degrees to set the call mode, the distance between the talker 115 and the talker 125 is sufficiently secur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상부 몸체가 하부 몸체의 상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써, 상부 몸체의 상면은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통화대기 모드 또는 통화 모드와 무관하게 동일한 방향을 향하므로, 종래의 폴더형 단말기처럼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상부 몸체를 열거나 닫는 동작이 불필요하며, 또한 별도의 슬레이브 엘씨디와 같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불필요하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 확보가 용이하여 단말기의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a rotation axis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lways faces the same direc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top face the same direction irrespective of the call standby mode or the call mode,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n or close the upper body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separately as in the conventional folding type terminal, and a separate slave An auxiliary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is unnecessary, and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ar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reby making it easy to secure a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Claims (5)

삭제delete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면에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일측으로 송화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제공된 하부 몸체와;A lower body having a keypa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alk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keypad and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상면에 엘씨디와 상기 엘씨디의 일측으로 수화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부 몸체와;An upper body having an LED and an hydration part on one side of the LCD, the upper body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상기 하부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부가 장치들의 결합 수단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부가 장치들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접속 단자가 구비된 안착면을 구비하고,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and has a seating surface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connection with the additional devices while providing a coupling means of the additional devices, 상기 상부 몸체는, 통화대기 모드에서 그의 하면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과 대면하고, 통화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몸체 상면의 키패드를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송화부에서 상기 수화부가 멀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The upper body has a lower surface thereof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a call waiting mode,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a call mode, exposing a keypad of the lower body upper surfac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ar away from the receiver. 제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안착면과 부가 장치들은 상기 안착면의 자성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And the seating surface and the additional devices are coupled by the magnetism of the seating surface.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부가 장치는 메모리 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And the additional device is a memory card.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장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additional device, 상기 안착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하우징과;A camera housing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단부에 상기 하부 몸체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And a camera assembly provided at an end of the camera housing to face the front of the lower body.
KR1020020011287A 2002-03-04 2002-03-04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19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7A KR100819277B1 (en) 2002-03-04 2002-03-04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7A KR100819277B1 (en) 2002-03-04 2002-03-04 Portable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42A KR20030072442A (en) 2003-09-15
KR100819277B1 true KR100819277B1 (en) 2008-04-02

Family

ID=3222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87A KR100819277B1 (en) 2002-03-04 2002-03-04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2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41B1 (en) * 2002-09-09 2005-01-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upper-folder rotating horizontally
KR100650542B1 (en) * 2004-09-13 2006-11-27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Radio telephone with rotating display panel and hinge device for use in radio teleph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517A (en) * 1993-12-07 1996-01-16 Gray; Robert R. Portable wireless telephone having swivel chassis
KR19990037432U (en) * 1998-03-05 1999-10-05 김대환 Horizontal rotating retractable cell phone
KR20000036958A (en) * 2000-04-03 2000-07-05 이경우 Rotary folder type cellular phone
KR200188130Y1 (en) * 2000-02-12 2000-07-15 이상혁 Handphone with rotating cover
JP2004158930A (en) * 2002-11-01 2004-06-03 Nec Saitama Lt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camer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517A (en) * 1993-12-07 1996-01-16 Gray; Robert R. Portable wireless telephone having swivel chassis
KR19990037432U (en) * 1998-03-05 1999-10-05 김대환 Horizontal rotating retractable cell phone
KR200188130Y1 (en) * 2000-02-12 2000-07-15 이상혁 Handphone with rotating cover
KR20000036958A (en) * 2000-04-03 2000-07-05 이경우 Rotary folder type cellular phone
JP2004158930A (en) * 2002-11-01 2004-06-03 Nec Saitama Lt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42A (en)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KR100604323B1 (en) Embedded camera apparatus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KR100575998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199554B2 (en) Desktop charger for bar-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30057661A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lenz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KR20060114905A (en) Portable terminal of mixed type
EP156942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KR10064045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63486B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50117087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100819277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63553B1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KR20050073163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rotary type display device
KR100630090B1 (en) Display unit position to convert device of mobile phone
KR10065820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678211B1 (en) Flip-type portable radiotelephone
KR100640838B1 (en) A non-fixed connecting structure for a camera module and a cellular phone with it
KR10115351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placeable separation style camera and chipset accordingly
KR100557166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172531Y1 (en) Double flip type radiotelephone for image communication
KR100703395B1 (en) Camera rotational angle controll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64949Y1 (e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200241098Y1 (en) A mobile phone
KR200172578Y1 (en) Radiotelephone with digital camera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