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991B1 -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991B1
KR100818991B1 KR1020070001599A KR20070001599A KR100818991B1 KR 100818991 B1 KR100818991 B1 KR 100818991B1 KR 1020070001599 A KR1020070001599 A KR 1020070001599A KR 20070001599 A KR20070001599 A KR 20070001599A KR 100818991 B1 KR100818991 B1 KR 10081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item
tilt
probability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정
최은석
방원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991B1/ko
Priority to US11/976,622 priority patent/US20080168400A1/en
Priority to JP2007330346A priority patent/JP2008171416A/ja
Priority to CNA2008100015020A priority patent/CN101216728A/zh
Priority to EP08100097A priority patent/EP1942404A3/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41Tilt-and-turn w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는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하는 커서 위치 제어 모듈, 상기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 계산 모듈 및 상기 계산된 확률 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틸트(Tilt), 피드백(FeedBack), 오버슛(Overshoot), 진동(Fluctuation) 현상, 부분 제시(Partial Presentation), 확률(Probability)

Description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item transition probability in tilt-based list navigation}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울임에 의한 리스트의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기울임의 정도에 따른 커서의 이동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률 계산 모듈의 선형적 확률 변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아이템 별 커서 위치 확률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1 : 기울임 각 계산 모듈
302 : 커서 위치 제어 모듈
303 : 확률 계산 모듈
304 : 디스플레이 모듈
본 발명은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울임 기반의 휴대 기기에서 기울임에 의하여 메뉴, 사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검색 시,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는 커서의 움직임에 대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여 커서가 위치하려 하는 아이템을 지나쳐버리는 오버슛을 방지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의 영향으로 PDA, 휴대폰, MP3,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기능이 증대되었고, 소형화로 인한 버튼 장착의 제약 증대에 따라 버튼을 넘어선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 공개 특허, '2004-0922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버튼이 필요 없는 틸트(Tilt) 기반의 입력 방법을 통해 단말기의 상태 또는 자세에 따라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를 검출하여 조건부 동적 이미지를 움직이게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시하였다.
틸트(이하, 기울임이라 칭함)란, 어떤 물체를 수평 상태와 같은 기준 자세에서 기울이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울임 동작을 통해 다수의 이미지를 이동시켜 감상하거나, 메뉴처럼 하나 이상의 아이템으로 구성된 리스트에서 기울임 동작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리스트의 각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기울임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감상하거나 리스트의 아이템을 선택 시, 사용자가 기울임 정도를 미리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면에 보여지는 이미지가 원치 않는 이미지로 이동되거나, 아이템이 선택됨을 나타내는 커서가 목적하는 아이템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하고 지나쳐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섬세한 기울임 동작을 요구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기울임 기반의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서 조작의 어려움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커서가 사용자의 기울임에 의해 리스트의 각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을 계산하여 그 확률에 따라 커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아이템에 커서를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는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하는 커서 위치 제어 모듈, 상기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 계산 모듈 및 상기 계산된 확률 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은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하는 커서 위치 제어 단계, 상기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 계산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확률 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리스트'는 휴대 기기를 통해서 감상할 수 있는 하나 이상 다수의 이미지, 사진 및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메뉴와 같은 하나 이상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울임에 의한 리스트의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울임 기반의 휴대 기기 화면(110)에 하나 이상 다수의 아이템(111a~111g) 으로 구성된 리스트(111)가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사용자는 기울임 동작을 통해서 아이템 4(111d)에 위치한 커서를 아이템 3(111c)에 위치하려 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사용자는 아이템 4(111d)에서 아이템 3(111c)으로 이동하고자 하였으나, 커서가 아이템 3(111c)을 지나쳐서 아이템 2(111b)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커서를 이동하여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휴대 기기를 기울일 때, 목표로 하는 아이템까지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기울임 정도보다 더 크게 휴대 기기를 기울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이며, 이를 오버슛(Overshoot)이라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기울임의 정도에 따른 커서의 이동 위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기울임 정도와 시간의 관계 및 시간에 따른 피드백 이벤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 2a 내지 도 2d의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기울임 기반의 휴대 기기 화면(110)에 하나 이상 다수의 아이템(111a~111g)으로 구성된 리스트(111)가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사용자는 휴대 기기의 기울임 동작을 통해서 아이템 4(111d)에 위치한 커서를 아이템 3(111c)에 위치하려 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도 2a는 소정의 적절한 크기의 기울임(201a)을 소정의 적절한 시간(202a) 동안 주었기 때문에 목표로 한 아이템 3(111c)에 정확하게 커서가 위치해 있으며, 목표로 한 아이템 3(111c)에 대한 피드백 이벤트(203a)가 발생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소정의 적절한 크기의 기울임(201b)을 주었으나 기울임 시간(202b)이 너무 짧기 때문에 커서가 원래 위치인 아이템 4(111d)에서 움직이지 않는 경우이며, 피드백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c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기울임 동작(201c)은 적절하나 기울임 시간(202c)이 너무 길기 때문에 커서가 목표로 한 아이템 3(111c)을 통과하여 아이템 2(111b)에 위치해 있으며, 아이템 3(111c)과 아이템 2(111b)에서 피드백 이벤트(203c, 204c)가 발생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해 설명한 세 가지 경우에서 보듯이, 목표로 하는 아이템에 커서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소정의 적절한 기울임을 소정의 적절한 시간 동안 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d와 같이 피드백 이벤트(203d)를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적절한 시간(202d) 동안 소정의 적절한 기울임(201d) 동작을 휴대 기기에 입력함으로써, 커서의 위치를 원하는 리스트의 아이템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300)는 기울임 각을 계산하는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하는 커서 위치 제어 모듈(302),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 계산 모듈(303) 및 계산된 확률 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 듈(3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장치(300) 중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은 휴대 기기의 현재 기울임 각을 계산한다.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은 3축 가속도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3축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중력 성분간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하방향의 피치 각(Pitch Angle)과 좌우방향의 롤 각(Roll Angle)을 계산하여 휴대 기기의 현재 기울임 각을 계산할 수 있다.
X, Y, Z축에서 감지되는 가속도 값을 각기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1
라 할 때, 계산되는 피치 각과 롤 각은 식 (1)과 같다.
식 (1)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2
커서 위치 제어 모듈(302)은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에서 계산된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한다.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3
즉, 커서 위치 제어 모듈(302)은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에서 계산된 기울임 각 및 기울임 각에 의해 변화하는 기울임 방향에 따라 내부 커서 위치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시간 t에서 사용자에 의한 휴대 기기의 기울임 각을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4
, 시간 t에서 커서의 위치를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5
, 시간 t에서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의 시간을 t+1, t+1에서 커서의 위치를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6
라고 하면,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7
에 비례하여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8
은 이전 위치, 즉 시간 t에서 커서의 위치
Figure 112007001385749-pat00009
와 기울임 각에 의한 위치 변화의 선형적 합으로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2)
Figure 112007001385749-pat00010
여기에서
Figure 112007001385749-pat00011
는 기울임 각의 변화에 따른 커서 위치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수이며, 실험적으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 시, 무난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률 계산 모듈(303)은 커서 위치 제어 모듈(302)에서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한다.
즉,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의 시간 t+1에서 커서의 위치 파라미터
Figure 112007001385749-pat00012
에 따라서 각 아이템 별로 위치할 커서의 확률을 계산한다.
이때, 리스트의 각 아이템들은 위치한 순서에 따라서 1, 2, 3,...등의 정수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시간 t에서 커서의 위치가
Figure 112007001385749-pat00013
이라면 이는 세번째 아이템과 네번째 아이템 사이에 커서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커서가 세번째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도 존재하고 네번째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커서의 위치는 상술한 것처럼 정수로 나타낸 아이템에 정확히 일치할 수도, 아이템들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므로 소정의 연속적인 값을 갖게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속된 실수값으로 표현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것처럼, 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커서가 각 아이템에 속할 확률을 계산하는 부분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률 계산 모듈(303)은 선형적 확률 변환 방법을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률 계산 모듈의 선형적 확률 변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X축은 리스트의 각 아이템에 따른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며 Y축은 커서가 각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커서가 리스트의 각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 값을 '커서 위치 확률값'으로 정의하도록 하며, 커서가 특정 아이템에 정확히 위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에서의 커서 위치 확률값은 1.0이 되고, 다른 아이템에서의 커서 위치 확률값은 0이 된다.
즉, 커서 위치 확률 값은 커서와 커서가 위치한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거리가 서로 가까울수록 1.0에 근접한 값을 갖게 되며, 커서와 커서가 위치한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거리가 서로 멀어질수록 0에 근접한 값을 갖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커서가 아이템 3(401)과 아이템 4(402)사이에 위치한 경우, 아이템 3(401)에 속할 확률(P(cursor=3|x))과 아이템 4(402)에 속할 확률값(P(cursor=4|x))을 계산하는 방식을 두 점(403a, 403b)으로 표시하였다.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상술한 확률 계산 모듈(303)에서 계산된 리스트의 각 아이템 별 커서 위치 확률 값을 기초로 각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각 아이템의 속성은 색깔, 면적, 모양,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는 다른 속성들도 물론 포함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아이템 별 커서 위치 확률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0~1까지의 확률 값을 색상에 대응시켜, 0에 가까운 경우 하늘색(501)을, 1에 가까운 경우 빨간색(502)을 부여할 수 있으며 확률 값에 대응되는 색깔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만일, 커서의 위치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아이템 4(505)와 아이템 3(50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템 3(504)에 더 근접해 있다고 가정하면,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각 아이템 별로 커서가 위치할 확률은 달라지게 된다.
즉, 커서의 위치가 아이템 4(505)와 아이템 3(504)의 사이에서 아이템 3(504)에 더 근접해 있기 때문에 그래프에 도시된 커서 위치 확률 값은 아이템 3(50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아이템 4(505), 아이템 2(503) 순으로 나타나 있다.
상술한 커서 위치 확률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각 아이템 별(503~505)로 커서 위치 확률 값에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며 이를 도 5a에 도시하였다.
참고로, 아이템 5(506)는 아이템 2(503)와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며 그 밖의 다른 아이템에도 커서 위치 확률 값이 존재 하겠지만 극히 작은 값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이밖에 커서 위치 확률 값을 색상뿐만 아니라 아이템의 면적 및 모양과도 대응시킬 수 있으며, 이를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클수록 리스트의 아이템 면적이 확대되고, 확률 값이 작을수록 리스트의 아이템 면적이 축소된다.
도 5b에서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큰 순서, 즉 아이템 3(504), 아이템 4(505), 아이템 2(503) 순으로 아이템의 면적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커서의 위치가 특정 아이템에 정확하게 위치한다면, 해당 아이템의 커서 위치 확률 값이 1.0이 되므로 해당 아이템의 면적만이 확대되고 다른 아이템들은 커서 위치 확률 값이 0이 되므로 아이템의 면적에는 변화가 없다.
또한, 커서 위치 확률 값이 작을수록 아이템의 면적이 축소될 수 있다.
휴대 기기의 화면에 처음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의 면적을 커서 위치 확률 값 1.0이라고 하면, 커서 위치 확률 값이 작을수록 아이템의 면적이 점점 축소되는 것이다.
이때, 커서 위치 확률 값과 대응되는 아이템의 면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면적뿐만 아니라 커서 위치 확률 값에 대응하여 아이템의 모양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서 위치 확률 값 1.0을 기준으로 아이템의 모양이 원형이라고 가정하면 도 5c와 같이 커서 위치 확률 값이 높을수록 아이템의 모양이 사각형에서 원형에 근접하게 변하는 것이다.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큰 순서, 즉 아이템 3(504)이 상대적으로 원형에 근접하고, 그 다음으로 아이템 4(505)는 타원형이며, 아이템 2(503)는 사각형에서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Rounding)된 모양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변경되는 아이템의 모양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커서 위치 확률의 표시 방법은 시각적인 대응에 국한되지 않고, 사운드나 촉각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클수록 큰 음량의 소리가 발생하고, 확률 값이 작으면 작은 음량의 소리가 발생하며, 촉각의 경우에는 확률 값이 클수록 큰 진동이 발생하고, 확률 값이 작으면 작은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커서가 위치한 아이템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하여, 소리나 촉각 진동 발생 시, 커서가 위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고주파를,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저주파를 출력하도록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기울임 정도에 따른 메뉴 리스트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메뉴 이동 시 오버슛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 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에서 사용자의 기울임 동작에 의한 휴대 기기의 현재 기울임 각을 계산한다(S601).
S601 후, 커서 위치 제어 모듈(302)은 기울임 각 계산 모듈(301)에서 계산된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한다(S602).
참고로, 리스트의 각 아이템들은 위치한 순서에 따라서 1, 2, 3,...등의 정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이템의 위치를 정수로 나타낼 경우 커서의 위치는 정수로 나타낸 아이템에 정확히 일치할 수도, 아이템들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므로 소정의 연속적인 값을 갖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속된 실수값으로 표현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602 후, 확률 계산 모듈(303)은 커서 위치 제어 모듈(302)에서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한다(S603).
이때, 커서가 특정 아이템에 정확히 위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에서의 커서 위치 확률값은 1.0이 되고, 다른 아이템에서의 커서 위치 확률값은 0이 된다.
즉, 커서 위치 확률 값은 커서와 커서가 위치한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거리가 서로 가까울수록 1.0에 근접한 값을 갖게 되며, 커서와 커서가 위치한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거리가 서로 멀어질수록 0에 근접한 값을 갖게 된다.
S603 후,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상술한 확률 계산 모듈(303)에서 계산된 리스트의 각 아이템 별 커서 위치 확률 값을 기초로 각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604).
이때, 각 아이템의 속성은 색깔, 면적, 모양,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는 다른 속성들도 물론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0-1까지의 확률 값을 색상에 대응시켜, 0에 가까운 경우 하늘색(501)을, 1에 가까운 경우 빨간색(502)을 부여할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클수록 리스트의 아이템 면적이 확대되고, 확률 값이 작을수록 리스트의 아이템 면적이 축소되도록 커서 위치 확률 값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c와 같이 면적뿐만 아니라 커서 위치 확률 값에 대응하여 아이템의 모양도 변경이 가능하며, 커서 위치 확률의 표시 방법을 상술한 색상, 면적 및 모양과 같은 시각적인 대응에 국한되지 않고, 사운드나 촉각에 대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서 위치 확률 값이 클수록 큰 음량의 소리가 발생하고, 확률 값이 작으면 작은 음량의 소리가 발생하며, 촉각의 경우에는 확률 값이 클수록 큰 진동이 발생하고, 확률 값이 작으면 작은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커서가 사용자의 기울임에 의해 리스트의 각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을 계산하여 그 확률에 따라 커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오버슛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버슛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아이템에 커서를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커서가 사용자의 기울임에 의해 리스트의 각 아이템에 위치할 확률을 계산하여 그 확률에 따라 커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기울임에 의한 리스트 이동 방식을 학습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2)

  1.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하는 커서 위치 제어 모듈;
    상기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 계산 모듈; 및
    상기 계산된 확률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 각을 계산하는 기울임 각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위치 제어 모듈은 휴대 기기의 기울임 정도 및 기울임 방향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위치는 소정의 연속적인 값을 갖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 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값은 상기 커서와 상기 각 아이템의 거리가 서로 가까울수록 높은 값을 갖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의 속성은 색깔, 면적, 모양,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7. 기울임 각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변경하는 커서 위치 제어 단계;
    상기 계산된 커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서가 각 리스트의 아이템에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는 확률 계산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확률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 각을 계산하는 기울임 각 계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위치 제어 단계는 휴대 기기의 기울임 정도 및 기울임 방향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는 소정의 연속적인 값을 갖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값은 상기 커서와 상기 각 아이템의 거리가 서로 가까울수록 높은 값을 갖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의 속성은 색깔, 면적, 모양,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01599A 2007-01-05 2007-01-05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KR10081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599A KR100818991B1 (ko) 2007-01-05 2007-01-05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US11/976,622 US20080168400A1 (en) 2007-01-05 2007-10-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item transition probability in tilt-based list search
JP2007330346A JP2008171416A (ja) 2007-01-05 2007-12-21 傾き基盤リスト探索においてカーソル位置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A2008100015020A CN101216728A (zh) 2007-01-05 2008-01-04 基于倾斜的列表搜索中提供项转换概率反馈的设备和方法
EP08100097A EP1942404A3 (en) 2007-01-05 2008-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item transition probability in tilt-based list sear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599A KR100818991B1 (ko) 2007-01-05 2007-01-05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991B1 true KR100818991B1 (ko) 2008-04-07

Family

ID=3935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599A KR100818991B1 (ko) 2007-01-05 2007-01-05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68400A1 (ko)
EP (1) EP1942404A3 (ko)
JP (1) JP2008171416A (ko)
KR (1) KR100818991B1 (ko)
CN (1) CN1012167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715B1 (ko) * 2022-11-21 2023-09-19 오창록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 감성 자극 및 사용성을 높이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4150B2 (ja) * 2011-12-05 2016-07-05 株式会社ビジネス・ブレークスルー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教育方法
KR20130120599A (ko) 2012-04-26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531957B (zh) * 2014-01-29 2016-05-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動作導向之使用者介面操控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TWI584154B (zh) * 2014-07-08 2017-05-2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以角度為基礎之項目決定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CN104777959B (zh) * 2015-03-23 2016-05-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光标定位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991A (ja) 2001-05-17 2002-11-29 Sony Corp 情報表示装置
KR20030068581A (ko) * 2001-01-10 2003-08-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단말
JP2006127338A (ja) 2004-11-01 2006-05-18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KR20060066786A (ko) * 2004-12-14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60093990A (ko) * 2005-02-2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말기에서 메뉴 네비게이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290A (ja) * 1996-08-05 1998-02-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6573883B1 (en) * 1998-06-24 2003-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s
IL133382A0 (en) * 1999-12-08 2001-04-30 Lass Yoram A mobile telephone tilt mouse
US7434177B1 (en) * 1999-12-20 2008-10-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onsolidation and access
WO2002037808A1 (fr) * 2000-10-31 2002-05-10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rocede d"affichage d"un article, support d"enregistrement de programme
DE102004001116A1 (de) * 2004-01-07 2005-07-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Animation der Cursor-beziehungsweise Listenbewegung von insbesondere den Komfortfunktionen eines Kraftfahrzeuges zugeordneten Menüs
FI20045078A (fi) * 2004-03-16 2005-09-17 Myorigo Oy Laajakulmaoptiikalla ja säteilysensorilla varustettu mobiililaite
US20060061545A1 (en) * 2004-04-02 2006-03-23 Media Lab Europe Limited ( In Voluntary Liquidation). Motion-activated control with haptic feedback
US8677274B2 (en) * 2004-11-10 2014-03-18 Apple Inc. Highlighting items for search results
KR100594456B1 (ko) * 2004-11-1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메뉴 리스트 검색 방법
US7865215B2 (en) * 2005-01-07 2011-01-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DE102006055252B4 (de) * 2006-11-23 2019-03-28 Deutsche Telekom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r multimodalen Auswahl von Objekten in Telekommunikationsanwendung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581A (ko) * 2001-01-10 2003-08-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단말
JP2002341991A (ja) 2001-05-17 2002-11-29 Sony Corp 情報表示装置
JP2006127338A (ja) 2004-11-01 2006-05-18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KR20060066786A (ko) * 2004-12-14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60093990A (ko) * 2005-02-2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말기에서 메뉴 네비게이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715B1 (ko) * 2022-11-21 2023-09-19 오창록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 감성 자극 및 사용성을 높이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6728A (zh) 2008-07-09
US20080168400A1 (en) 2008-07-10
EP1942404A3 (en) 2010-07-07
EP1942404A9 (en) 2010-06-23
JP2008171416A (ja) 2008-07-24
EP1942404A2 (en)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622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icons
KR101515089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18991B1 (ko) 기울임 기반 리스트 탐색에서 커서 위치 피드백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US11645809B2 (en) Intelligent stylus beam and assisted probabilistic input to element mapping in 2D and 3D graphical user interfaces
US8024004B2 (en)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US200700060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969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JP7033218B2 (ja) 仮想オブジェクトとしての物理入力デバイスの表示
CN108024073B (zh) 视频编辑方法、装置及智能移动终端
KR100791390B1 (ko) 화면상의 리스트 이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9289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virtual objects operability
EP3770859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3708590A (zh) 线性振动马达、触觉反馈振动模组、控制方法及装置
KR20140142520A (ko)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08878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02943B1 (ko) 컨텐츠 탐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16288B2 (en) Cursor position controlling apparatus, cursor position controll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746009B1 (ko)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KR10232439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US20070035515A1 (en) Slidable input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6293037B (zh) 一种交互方法及电子设备
KR20080064056A (ko) 3차원의 입력장치를 이용한 3차원 메뉴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110556A (ko) 객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412909A1 (en) Lens system and program
US8251822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