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223B1 -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223B1
KR100818223B1 KR1020060051108A KR20060051108A KR100818223B1 KR 100818223 B1 KR100818223 B1 KR 100818223B1 KR 1020060051108 A KR1020060051108 A KR 1020060051108A KR 20060051108 A KR20060051108 A KR 20060051108A KR 100818223 B1 KR100818223 B1 KR 10081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teering
lock
vehicle
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7206A (en
Inventor
김응열
Original Assignee
김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열 filed Critical 김응열
Priority to KR102006005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223B1/en
Priority to PCT/KR2007/001984 priority patent/WO2007142405A1/en
Priority to US12/303,414 priority patent/US20090199604A1/en
Publication of KR2007011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05Arrangement of the steering colum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며,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생산성, 장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이 제시된다. 스티어링 로크바디에 키실린더를 제거하고 장착된 엑츄에이터는 로크핀과 연결된 캠돌기와 결합되어 로크핀을 이동시킨다. 엑츄에이터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인증 장치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엑츄에이터는 작동하여 로크핀을 이동하여 스티러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장치 및 제작 방법으로 인하여 손쉽고, 효율적이며, 보안성이 향상된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the minimum structural change in the existing vehicle structure.It is free and easy to attach and detach, so it is not only excellent in productivity and installability but also useful in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A steering lock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After removing the key cylinder from the steering lock body, the mounted actuator is combined with the cam protrusion connected to the lock pin to move the lock pin. The actuator is driven by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possessed by the driver, and upon receiving the drive signal, the actuator is operated to move the lock pin to selectively fix the steering column. Such a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can provide a steering lock device that is easy, efficient, and improved in security.

스티어링 로크장치, 도난방지장치, 전자인증 장치, 스마트키 Steering lock device, anti-theft devic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smart key

Description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Steering lock device interworking with electronic certification syste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38288호에 제시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38288.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로크핀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ering shaft is locked by a lock pin.

도 6은 로크핀이 후진하여 스티어링 샤프트가 언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in is reversed and the steering shaft is unlock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이그니션 로크바디 100: 메인 바디100: ignition lockbody 100: main body

120: 샤프트 수용부 126: 로킹홈120: shaft receiving portion 126: locking groove

130: 점화스위치 수용홈 140: 엑츄에이터 장착홈130: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40: actuator mounting groove

160: 보호커버 200: 엑츄에이터160: protective cover 200: actuator

220: 모터 250: 회동유닛220: motor 250: rotating unit

260: 슬릿 340: 로크핀260: slit 340: lock pin

본 발명은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며,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생산성, 장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lock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a minimal structural change in the existing vehicle structure, freely removable and easy to remove productivity and moun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lock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not only excellent but also useful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and improving security.

캐나다 연방정부가 2007년 9월 1일 이후 출시되는 모든 차량에 대해 도난방지장치 장착을 의무화 할 것이라고 발표, 국내생산업계는 물론 캐나다로 자동차를 수출하는 한국의 관련업계와 도난방지장치 제조업체 등의 향후 산업판도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The Federal Government of Canada announced that mandatory anti-theft devices will be required for all vehicles released after September 1, 2007. There is also a big change in the industrial market.

캐나다 연방정부는 현재 차량의 소유자가 아닌 사람(unauthorized user)이 자동차의 시동을 걸려고 할 때 자동으로 엔진이 작동되지 않도록 고안된 도난방지장치의 사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기 위해 자동차안전지침(Motor Vehicle Safety Regulations)을 수정하고 있다.The Federal Government of Canada currently requires the Motor Vehicle Safety Act to mandate the use of anti-theft devices designed to prevent the engine from running automatically when an unauthorized user attempts to start a car. Regulations are being amended.

이러한 추세는 캐나다만이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하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범위가 확산되고 있으며 법제화하여 의무적으로 장착되고 있는 추세에 있 다.This trend is not only in Canada but also globally. In line with this trend, not only are automobile anti-theft devices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but the range of their use is spreading and legally mandated. All.

이러한 도난방지장치의 일예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들 수 있는데, 스티어링 로크 장치는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형성된 로킹홈과, 상기 로킹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로크핀과,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키는 잠금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이그니션 로크장치라고도 하며, 시동키가 삽입되는 키홈을 가진 키 실린더와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캠, 그리고 상기 캠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로크핀 및 점화 스위치로 구성된다.An example of such an anti-theft device is a steering lock device, which is used to prevent theft of a vehicle, and includes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steering shaft and a locking pin that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it is composed of a locking device for moving the lock pin. The locking devic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ignition lock device, and is composed of a key cylinder having a key groove into which a ignition key is inserted, a cam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key cylinder, and a lock pin and an ignition switch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am.

종래의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제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38288호에 제시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and 2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conventional steering lock apparatus.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38288.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장치는 스티어링 컬럼(1)의 비로킹상태에서는 캠(12)이 로크 바 지지부재(5)의 캠 수납실(10)의 외측벽에 접촉되어 로크 바 지지부재(5)를 구속한 상태에 있고, 엔진도 가동상태(키의 ON위치)에 있는 바, 상기 스티어링 컬럼(1)의 비로킹상태에서 엔진을 정지하기 위하여 키(17)를 온(ON)위치에서 액세서리 모드(ACC)를 경유하여 로크(LOCK) 위치로 회전하면 로터(9)가 회전함에 따라 캠 조작부재(11)가 회전되며, 캠 조작부재(11)가 회전함에 따라 캠(12)이 캠 수납실(10) 외측벽에서 이탈되어 로크 바 지지부재(5)의 구속을 해제함과 동시에 캡(15)과 로크 바 지지부재(5)의 캠 수납실(10) 외측벽 사이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로크 바 지지부재(5)가 걸림턱(18)에 걸림될 때 까지 스티어링 컬럼(1)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로크 바(6)가 도 2 및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스티어링 컬럼(1)에 형성한 로크공(7)에 삽입됨으로써 컬럼(1)을 로킹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steering column 1, the cam 12 contacts the outer wall of the cam storage chamber 10 of the lock bar support member 5 in the non-locked state. In the locked state and the engine is also in the operating state (on position of the key), the accessory mode in the on position of the key (17) to stop the engine in the non-locked state of the steering column (1). When the motor is rotated to the LOCK position via the ACC, the cam operating member 11 rotates as the rotor 9 rotates, and the cam 12 moves in the cam storage chamber as the cam operating member 11 rotates. (10) A coil spring (16) detached from the outer wall to release the lock bar support member (5) and provided between the cap (15) and the outer wall of the cam storage chamber (10) of the lock bar support member (5). By sliding the lock bar support member 5 toward the steering column 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bar 6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7 formed in the steering column 1 as shown in the virtual lines of FIGS. 2 and 3 to lock the column 1.

즉, 시동키(17)를 키 실린더(8)에 삽입하여 회전하면, 캠(12)은 상기 로터(9)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캠(12)과 결합된 점화스위치(14)도 회전운동을 하여 엔진의 시동과 정지가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캠(12)과 연동된 로크핀스토퍼(5)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로크핀(6)을 스티어링 샤프트(1)에 형성된 로킹홈(7)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서 스티어링샤프트(1)를 로킹 혹은 언로킹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그니션 로크장치를 구성하는 키 실린더(8)와 점화 스위치(14)는 고장시 수리를 위하여 일정 조건하에서 이그니션 로크바디(4)와 분리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arter key 17 is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8 and rotated, the cam 12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otor 9, and the ignition switch 14 coupled with the cam 12 also rotates. The starting and stopping of the engine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groove 7 having the locking pin 6 formed on the steering shaft 1 while the locking pin stopper 5 interlocked with the cam 12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being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steering shaft 1 is to perform a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The key cylinder 8 and the ignition switch 14 constituting the ignition lock dev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ignition lock body 4 under certain conditions for repair in the event of a failure.

이러한 기계식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기계적으로만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서 일반적으로 전자 인증시스템이나 기계식 및 전자인증 시스템을 겸용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도난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서는 항상 시동키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언로킹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동키로 시동장치를 조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Such a mechanical steering lock device has a problem that is vulnerable to theft as compared to a system that uses both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or a mechanical and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by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nly mechanically. In addition, the driver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ignition key at all times in order to drive the vehicl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must operate the ignition device with the ignition key to unlock the steering lock device.

근래에는 시동키 없이 전자 인증방식을 통해 시동 및 운행이 가능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있는데, 기존의 기계식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상기 스마트 키 시스템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비용과 많은 시간,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인증방식을 통한 스마트키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의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라 하겠다.Recently, there is a smart key system that can be started and operated through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method without a start key. In order to change the existing mechanical steering lock device to the smart key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 cost and a lot of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Therefore, it is an urgent time to study the steering lock apparatus tha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key throug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마트키 등과 같은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하여 시동키가 필요 없이도 자동으로 조작되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lock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automatically operated without requiring a ignition key in connection with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such as a smart key of a vehicle.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므로 사후 장착이 용이한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loc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easy to be mounted after the interlock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a minimum structural change in the existing vehic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loc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be installed with a low cost and effort to free detachment and easy, and is useful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to improve securit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이그니션 로크바디와, 상기 이그니션 로크바디의 키실린더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엑츄에이터의 대향측에 결합되어 상기 대향측을 폐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 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 및 일측은 상기 기어 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캠돌기와 결합되는 슬릿이 형성된 회동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ering lock device for selectively fixing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 pin, forming an appearance And an ignition lock body, an actuator which removes a key cylinder of the ignition lock body, is coupled to the seat, an actuator for moving the lock pin, and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an opposite side of the actuator to close the opposite side. The actuator may move the lock pin to lock or unlock the steering column by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actuator includes a housing, a motor embedded in the housing and producing a driving force, a gear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gear unit,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 cam protrusion capable of moving the lock pin. And a rotating unit in which slits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은 전자인증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여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and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automatically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by communication when the driver possesses the vehicle and the driver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제작 방법은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의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키실린더가 결합되어 있던 엑츄에이터 장착홈에 상기 엑츄에이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던 점화스위치 수용홈을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eering lock device for selectively fixing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lock pin, providing an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Removing the key cylinder and the ignition switch from the ignition lock body of the vehicle, coupling the actuator to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to which the key cylinder is coupled, and closing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to which the key cylinder is mounted. And the actuator moves the lock pin to lock or unlock the steering column by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그니션 로크바디(100)는 메인 바디(110)가 구비되 어 있으며, 그 하측에 도우넛 형상으로서, 핸들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125)가 통과하는 샤프트 수용부(120)가 하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상부 일측에는 엑츄에이터(200)가 장착되는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이 제공되며, 상기 엑츄에이터 장착홈(140)과 마주보는 방향(즉, 대향측)으로는 점화스위치를 제거한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는 마개(160)를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실린더를 삽입하여, 다른 이물질이 점화스위치 수용홈(130)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gnition lock body 10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10, and has a donut shape at the lower side thereof, and the shaft accommodating part 120 through which the steering shaft 125 connected to the handle passes. It is provided in the lower side. In additi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in which the actuator 200 is mounted, and the ignition switch in the direction facing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that is, the opposite side). The removed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is formed.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may be closed using a stopper 160. By inserting a cylin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to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it is also a good way to prevent other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and to prevent external interference.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25)는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로킹홈을 구비하여 엑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하는 로크핀에 의하여 로킹(locking) 혹은 언로킹(unlocking)한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125)의 로킹홈은 샤프트 수용부(120)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어링 샤프트(125)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샤프트 수용부(120)로 돌출되는 로크핀이 로킹홈에 결합됨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킹된다.The steering shaft 12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but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and locks or unlocks the lock pin by the actuator 200. That is, the locking groove of the steering shaft 125 is formed in the region of the steering shaft 125 that is wrapped by the shaft receiving portion 120, the locking pi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110 to the shaft receiving portion 120 is The steering shaft is locked by engaging the locking groove.

상기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에는 출시되는 차량에서는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 및 키실린더에 장착된 로터가 결합되기도 하는 곳이다. 본 스티어링 로크장치(100)는 외부에서 키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지 않도록 키실린더 및 로터를 제거하고, 상기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에 외부 신호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200)를 결합한다.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is a place where a key cylinder into which a key is inserted and a rotor mounted on a key cylinder are coupled to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The steering lock device 100 removes the key cylinder and the rotor so as not to be operated by the key from the outside, and couples the actuator 200 operable by an external signal to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엑츄에이터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tuator is shown in FIG. 4.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200)는 일측에 개구(開口)된 관통구멍(270)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수납되며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의 축에 연결된 제1 기어(230)와, 상기 제1 기어(230)와 연결되어 구동력의 방향을 수직으로 바꿔주는 제2 기어(240)와, 상기 제2 기어(240)에 연결된 회동 유닛(250)을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actuator 200 includes a housing 210 having a through hole 270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motor 22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10 to produce a driving force, A first gear 230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220, a second gear 240 connected to the first gear 230 to change a direction of a driving force vertically, and the second gear 240. It includes a rotation unit 250 connected to.

상기 모터(220)는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220)는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데,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는 스마트 키 등의 차량의 전자인증 장치를 그 일예로 들 수 있다. The motor 220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using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or having a separate battery. The motor 220 is driven by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 example of a device for generating a driving electrical signal of the motor is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of a vehicle such as a smart key.

상기 제1 기어(230) 및 제2 기어(240)는 구동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전달하는 일반적인 웜기어일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250)은 일측은 상기 제2 기어(240)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우징(210)의 관통구멍(270)을 통해 노출되는 슬릿(2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60)은 그 형상이 장축과 단축이 구별되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슬릿(260)은 로크핀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하여 캠과 연결된 캠돌기와 결합한다.The first gear 230 and the second gear 240 may be a general worm gear that changes the driving force vertically. One side of the rotation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240,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slit 260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70 of the housing 210. The slit 26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elliptical shape whose major and minor axes are distinguish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lit 260 is coupled to the cam projection connected to the cam to advance or reverse the lock pin.

모터(220)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제1 기어(230) 및 제2 기어(240)가 회전하여 회동 유닛(25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 유닛(250)에 형성된 슬릿(26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2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면, 이에 따라 슬릿(260)이 정방향 또는 역방 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motor 220 rotates, the first gear 230 and the second gear 240 connected thereto rotate so that the rotation unit 250 rotates at an angle. Accordingly, the slit 260 formed in the rotation unit 25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motor 22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lit 260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ly.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을 제시한다. 도 5는 로크핀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로크핀이 후진하여 스티어링 샤프트가 언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and 6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overall working principle of the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shaft is locked by the lock pi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steering shaft is unlocked by reversing the lock pi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크장치(100)의 메인바디(110)의 내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25)에 형성된 로킹홈(126)에 결합되는 로크핀(34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로크핀(340)은 로크핀 스토퍼(330)와 연결되어 있으며, 로크핀 스토퍼(330)는 캠(320)과 접해 있다. 로크핀 스토퍼(330)의 일단에는 스프링(350)이 장착되어 탄성력을 전달한다. 스프링(350)은 초기 설정 위치가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엑츄에이터(2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크핀 스토퍼(330)을 밀어서 로크핀(340)이 로킹홈(12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주차중 등 운전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125)가 로크핀(340)에 의하여 로킹되어서 도난이 방지되도록 작동한다.As shown in FIG. 5, a lock pin 340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126 formed in the steering shaft 125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110 of the steering lock apparatus 100. The lock pin 340 is connected to the lock pin stopper 330, and the lock pin stopper 330 is in contact with the cam 320. One end of the lock pin stopper 330 is mounted with a spring 350 to transmit the elastic force. The spring 350 is preferably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and when the actuator 200 does not operate, the lock pin 34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6 by pushing the lock pin stopper 330. It's a good idea to keep them intact. When the driving is not performed during parking, etc., the steering shaft 125 is locked by the lock pin 340 as described above to operate to prevent theft.

만약 운전자가 차량에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인증 장치에서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이를 엑츄에이터(200)의 모터(220)에 송신하게 되며, 그 신호를 수신한 모터(2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220)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제1 기어(230) 및 제2 기어(240)를 통해 슬릿(260)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슬릿(260)과 결합된 캠돌기(311)가 회전하게 된다. 캠돌기(311)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캠(320)이 회전한다.If the driver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to the vehicle, as shown in FIG. 6, a driving electric signal of the motor is generated in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apparatus possessed by the driver and transmitted to the motor 220 of the actuator 200. The motor 220 receiving the signal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motor 220 rotates the slit 260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gear 230 and the second gear 240, and causes the cam protrusion 311 coupled with the slit 260 to rotate. do. When the cam protrusion 311 rotates, the cam 320 connected thereto rotates.

캠(320)이 회전함에 따라 로크핀 스토퍼(330)가 직선으로 후진하고, 이에 연결된 로크핀(340)이 후진하면서 스티어링 샤프트(125)에 형성된 로킹홈(126)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25)는 언로킹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125)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인 111은 스프링 지지벽체, 310은 점화스위치 수용홈 부위에 장착된 캠돌기이다.As the cam 320 rotates, the lock pin stopper 330 retreats in a straight line, and the lock pin 340 connected thereto is retracted to move away from the locking groove 126 formed in the steering shaft 125. Therefore, the steering shaft 125 is unlocked so that the steering shaft 125 is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handle operation. Reference numeral 111,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s, is a spring support wall, and 310 is a cam protrusion mounted at an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하우징(210)을 제작하고, 그 내부에 모터(220) 및 기어(230, 240) 등을 조립하고, 슬릿(260)이 구비된 회동 유닛(250)을 결합하여 엑츄에이터(200)를 완성한다.First, the housing 210 is manufactured, the motor 220 and the gears 230 and 240 are assembled therein, and the rotation unit 250 provided with the slit 260 is combined to complete the actuator 200. do.

다음, 차량에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엑츄에이터 장착홈(140) 및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서 분리한다. 이러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의 분리는 공지의 기술로서, 그 일예로 키홈에 키를 삽입하고 악세서리 모드(Acc Mode)로 돌려준 상태에서 키 실린더의 돌기를 눌러주면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분리할 수 있다.Next, the key cylinder and the ignition switch are separated from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and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at the ignition lock body in the vehicle. The separation of the key cylinder and the ignition switch is a known technique. For example, when the key cylinder is pressed while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and returned to the accessory mode (Acc Mode), the key cylinder and the ignition switch are mounted in the ignition lock body. Can be separated.

다음, 키실린더가 존재하던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에 엑츄에이터(200)를 삽입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200)의 슬릿(260)이 캠돌기(311)와 결합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점화스위치가 존재하던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 실린더를 삽입하고 보호커버(160)를 결합하여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을 폐쇄한다.Next, the actuator 20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actuator mounting groove 140 in which the key cylinder exists. At this time, the slit 260 of the actuator 200 is coupled to the cam protrusion 311 to be coupled. In addition, the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in which the ignition switch existed, and the protective cover 160 is coupled to close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1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차량에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가하여 용이하게 전자인증 장치와 연동되어 스티어링의 로킹 혹은 언로킹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탈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시동 키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고, 도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steering can be easily performed by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by applying a minimum structural change to the existing vehicle. In addition, it is not only easy to remove and remo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the ignition key anym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against theft.

본 명세서에서 전자인증 장치란 차량의 키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문을 개폐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일체의 장치를 말하며, 그 예로 운전자의 조작, 또는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통칭하는 말이다. 즉, 운전자가 원격시동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를 발생하거나, 또는 RFID 가 내장된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과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였을 경우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시동을 위한 푸시 버튼과 연동하여 신호를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refers to any device that can open or close the door of a vehicle without using a key of the vehicle, and for example, the driver's operation or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approach within a certain distance. It is a general term for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at is, when the driver manually operates the remote start device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to generate a driving electric signal of the motor, or when the driver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by using an RFID-embedded device, For example,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using Bluetooth or infrared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riving signal of the motor may be generated in conjunction with a push button for starting.

이러한 전자인증 장치의 작동예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의 응용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자인증장치(30)는 원격시동기(31) 또는 시동스위치(32)에 의하여 전자신호를 입력받는다. 원격시동기(31)의 예로는 전술한대로, 운전자가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통칭한다. An operation example of such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is shown in FIG. 7.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30 receives an electronic signal by the remote starter 31 or the start switch 32. As described above, examples of the remote starter 31 include not only a remote controller operated by the driver, but also an electronic controller tha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approach within a certain distance.

시동스위치(32)는 일반적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시버튼 스타일의 시동스위치일 수 있다. 시동스위치의 ACC/ON/시동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가 전자인증장치(30)에 입력되며, 이에 따라 전자인증장치(30)의 출력 제어신 호가 달라질 수 있다.The start switch 32 may be in a general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push button style start switch.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30 according to the ACC / ON / starting state of the start switch, and thus the output control signal of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30 may vary.

전자인증 장치(30)는 시동(42)과 도어의 잠김/해제(43), 또한, 본 엑츄에이터(200)를 이용한 스티어링 로킹/언로킹(44)를 제어하게 되는데, 그 순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원격시동기(31)의 신호를 받아 도어를 해제(43)한 후, 시동스위치(32)의 신호를 받아 스티어링 언로킹 및 시동을 시킬 수 있다. 또는 시동스위치의 여러 모드(예를 들어, ACC/ON/START)에 따라 스티어링 로킹 또는 언로킹이 제어될 수 있다. 시동은 엔진 ECU(41)를 통하여 점화스위치를 점화시킴으로서 시동을 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30 controls the starting 42 and locking / unlocking 43 of the door, and also the steering locking / unlocking 44 using the actuator 200, the order of which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Can be. For example, afte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remote starter 31 to release the door 43, the steering switch can be unlocked and started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tart switch 32. Alternatively, steering locking or unlocking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various modes of the start switch (for example, ACC / ON / START). The starting can be started by igniting an ignition switch through the engine ECU 41.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스마트키 등과 같은 전자인증 장치와 연동하여 시동키가 필요 없이도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without the need for a start key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key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므로 사후 장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y post-installation because it is linked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a minimum structural change in the existing vehicle structure.

또한,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생산성, 장착성이 우수하고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장착할 수 있어서 경제적 파급효과도 예상된다.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ripple effect can be easily and easily detachable and can be installed at low cost and effort.

또한, 기존의 기계적인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비교적 간편한 방법으로 전자인증 장치와 연동하도록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mechanical steering lock device can be changed to interoperate wit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it is useful for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securit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Claims (8)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에 있어서,In the steering lock device for selectively fixing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k pin, 외형을 형성하는 이그니션 로크바디;Ignition lock bodies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이그니션 로크바디의 키실린더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및An actuator which removes the key cylinder of the ignition lock body and is coupled in place and moves the lock pin; And 상기 엑츄에이터의 대향측에 결합되어 상기 대향측을 폐쇄하는 보호커버;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an opposite side of the actuator to close the opposite side; 를 포함하며,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And steering the locking column by the actuator moving the lock pin by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엑츄에이터는 The actuator is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A motor embedded in the housing and producing a driving force;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 및A gear unit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일측은 상기 기어 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캠돌기와 결합되는 슬릿이 형성된 회동 유닛;One side is coupled to the gear unit, the other side is rotated unit is formed with a slit coupled to the cam projection for moving the lock pin; 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Steering lock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전자인증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여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And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wherein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automatically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approach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시동 스위치의 ACC/ON/START 모드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스티어링 로킹 또는 언로킹을 수행하고, 엔진 ECU를 제어하여 시동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And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controls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ACC / ON / START mode of the start switch to perform steering locking or unlocking, and to control the engine ECU to start the steering lock device.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eering lock device for selectively fixing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k pin,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차량의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key cylinder and the ignition switch from the ignition lock body of the vehicle; 상기 키실린더가 결합되어 있던 엑츄에이터 장착홈에 상기 엑츄에이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actuator to an actuator mounting groove to which the key cylinder is coupled; And 상기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던 점화스위치 수용홈을 폐쇄시키는 단계;Closing the ignition switch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key cylinder is mounted; 를 포함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 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 방법.And the actuator moves the lock pin to lock or unlock the steering column by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Providing the actuator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housing; 상기 하우징 내부에 모터를 수납하는 단계;Accommodating a motor in the housing; 상기 모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a gear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motor; And 일측은 상기 기어 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캠돌기와 결합되는 슬릿이 형성된 회동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rotation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gear unit and the other side having a slit coupled to a cam protrusion capable of moving the lock pin; 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ring lock device comprising a.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전자인증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여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 방법.And providing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wherein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automatically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by communication when the driver possesses the vehicle and the driver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How to mak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시동 스위치의 ACC/ON/START 모드에 따라 상기 엑츄에 이터를 제어하여 스티어링 로킹 또는 언로킹을 수행하고, 엔진 ECU를 제어하여 시동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방법.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device may control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ACC / ON / START mode of the start switch to perform steering locking or unlocking, and to control the engine ECU to start the steering lock device. How to make.
KR1020060051108A 2006-06-07 2006-06-07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818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08A KR100818223B1 (en) 2006-06-07 2006-06-07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CT/KR2007/001984 WO2007142405A1 (en) 2006-06-07 2007-04-24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2/303,414 US20090199604A1 (en) 2006-06-07 2007-04-24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08A KR100818223B1 (en) 2006-06-07 2006-06-07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206A KR20070117206A (en) 2007-12-12
KR100818223B1 true KR100818223B1 (en) 2008-04-02

Family

ID=3914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108A KR100818223B1 (en) 2006-06-07 2006-06-07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2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5070B2 (en) 2014-08-26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vehicle security system devoid of lock cylind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292B (en) * 2017-04-05 2023-06-20 四川百佳科技有限公司 Electric vehicle with double-lock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964A (en) 2001-03-28 2002-10-03 Honda Lock Mfg Co Ltd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JP2003034231A (en) 2001-07-19 2003-02-04 Yuhshin Co Ltd Steering lock device
KR20040064512A (en) * 2003-01-13 2004-07-19 노광섭 Apparatus to control the car door-lock
JP2005343378A (en) 2004-06-04 2005-12-15 Yuhshin Co Ltd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20060029445A (en) * 2004-10-01 2006-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column lock for a personal id-car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964A (en) 2001-03-28 2002-10-03 Honda Lock Mfg Co Ltd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JP2003034231A (en) 2001-07-19 2003-02-04 Yuhshin Co Ltd Steering lock device
KR20040064512A (en) * 2003-01-13 2004-07-19 노광섭 Apparatus to control the car door-lock
JP2005343378A (en) 2004-06-04 2005-12-15 Yuhshin Co Ltd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20060029445A (en) * 2004-10-01 2006-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column lock for a personal id-car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5070B2 (en) 2014-08-26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vehicle security system devoid of lock cylin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206A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7876B2 (en) Steering lock
US20100206020A1 (en) Electric steering lock for motorcycle
CN101646585B (en) Steering lock device
US882529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system of a motorcycle
JP2008255726A (en) Cylinder lock unit
KR100780023B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3706934B2 (en) Vehicle locking device with enhanced anti-theft function
JP6002015B2 (en) Steering lock device
JP5550139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2010105495A (en) Vehicular steering locking device and steering locking mechanism
US20090199604A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4838183B2 (en) Steering lock device
JP2006507966A (en) Steering lock device
KR100818223B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4627991B2 (en) Cylinder lock protector
JP4733429B2 (en) Unlocking device
JP2009202718A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TWM555313U (en) Vehicle electric lock
KR20090080409A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90080388A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5022880B2 (en) Steering lock device
JP6533152B2 (en) Steering lock device
JP6153848B2 (en) Steering lock device
KR200446151Y1 (en) Locking device of motorcycle
KR100427412B1 (en) Apparatus for locking an ignition switch in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