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043B1 -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043B1
KR100818043B1 KR1020060068010A KR20060068010A KR100818043B1 KR 100818043 B1 KR100818043 B1 KR 100818043B1 KR 1020060068010 A KR1020060068010 A KR 1020060068010A KR 20060068010 A KR20060068010 A KR 20060068010A KR 100818043 B1 KR100818043 B1 KR 10081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erminal
keypad configuration
display unit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548A (ko
Inventor
남기선
임종태
양중근
김문기
전용하
김중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04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495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10272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5215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90209B1/ko
Priority to CNA2007800276768A priority patent/CN101491127A/zh
Priority to PCT/KR2007/002625 priority patent/WO2007139349A1/en
Priority to US12/302,671 priority patent/US20090270078A1/en
Publication of KR2007011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키패드를 자동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 단말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키 버튼의 배열이 재구성되는 것이 가능한 키패드를 개시한다. 즉,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패드 구성 파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제공하는 키패드 서버; 및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이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이나 단말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 상의 문자 종류, 위치, 및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키패드 형태와 연동된 특정 컨텐츠 제공과 같은 부가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
키패드

Description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METHOD AND SYSTEM FOR KEY CONFIGURATION OF TERMINAL, AND KEYPAD TO ALLOW RECONFIGURATION}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개략적인 측 단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개략적인 측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개략적인 측 단면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f는 폴더형 이동단말기의 숫자 및 문자 입력 키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
7a 및 도 7b는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의 기능키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음악 및 동영상 재생 전용 단말기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키패드 서버 200: 유선망
300: 무선망 400: 단말기
410: 파일 수신부 420: 파일 선택부
430: 파일 실행부 440: 키패드
441: 표시부 442: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
443: 충격 흡수 부재 444: 탄성 부재
445: 터치 센서 어레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키패드를 자동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 단말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키의 배열이 재구성되는 것이 가능한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인터넷 폰, PDA 폰 등과 같은 전화 기능과 화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각종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단순한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넘어 온/오프 라인 게임, 이 메일, 문자 서비스, 주식 관리, 일정 관리, 금융 결제와 같은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가 부가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들 각종 단말기에 부여된 각종 기능과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는 많은 편리함과 더불어 시간적인 관리 및 삶의 질적인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보다 증진되고 다양한 서비스들이 적용되고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발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단말기는 부여되는 각종 기능과 서비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키패드가 반드시 존재하며, 이 키패드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환경 설정 정보의 배열 및 위치는 통신 단말기의 제작 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단말기의 키패드는 숫자나 영문자 또는 한글 자소가 좁은 키패드 상에 각인되어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어서, 사용자가 문자의 입력이나, 게임 진행시 사용해야 할 키 버튼을 인지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키 버튼 배열을 바꾸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키 버튼 위치와 크기 정보 및 그 각각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의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문자 입력 환경 설정 정보의 배열 및 크기에 적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의 키패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즉, LCD 상에서 구현되는 감지 센서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착 단말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터치 스 크린 장착 단말의 경우 탄력이 없는 평면 구조 때문에 감각에 대한 인식도가 떨어지며, 지문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부가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키패드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조작이나 단말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 상의 문자 종류, 위치, 및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소자를 키패드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조작이나 단말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 상의 문자 종류, 위치 및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패드 구성 파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제공하는 키패드 서버; 및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이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 서버는, 상기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 각각에 따른 키패드 구성에 적응되는 각각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키패드 구성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파일 수신부;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키패드 구성 파일들 중에서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 및 상기 단말기의 파일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이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의 실행에 따른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키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키패드 구성의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로직에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에 따른 압력 전달 및 상기 압력으로 인한 상기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패드 구성의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로직에 전달하는 투명 재질의 터치 센서 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키패드 서버가 제공되며: 이 서버는,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상기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에 적응되는 각각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각각의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적응되는 상기 컨텐츠 각각을 상기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시,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동시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및 키패드 구성 파일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인터넷 폰, 및 PDA, 개인용 컴퓨터, 타자기, 리모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한 모든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키 버튼 입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 버튼 레 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의 소정의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전달되는 압력을 인지하는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및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소정의 키 버튼 영역 선택시 발생되는 압력의 전달 및 상기 압력에 따른 상기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키패드 구성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키패드 구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전자 종이 및 액정표시소자(LC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는, 상기 표시부 상에서 상기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전달되는 압력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단말기 내부 로직으로 전달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이 가시화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표시소자에 디스플레이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키 버튼 입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제공되며: 이 키패드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의 소정의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사용자의 접촉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로직에 전달하는 투명 재질의 터치 센서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키패드 구성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키패드 구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표시부는, 전자 종이 및 액정표시소자(LC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상기 단말기가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들 중 하나 이상을 키패드 서버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 가운데 소정의 키패드 구성을 갖는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 기가 상기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상기 키패드 구성을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상기 b) 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만 사용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을 갖는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상기 단말기가 기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 가운데 소정의 키패드 구성을 갖는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상기 키패드 구성을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은, 상기 단말기가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들 중 하나 이상을 키패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만 사용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을 갖는 키패드 구성 파일을 자동으로 선택한다.
삭제
삭제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다양한 국가의 문자, 특수 문자, 및 특정 게임 등에 적용 가능한 소정의 키 버튼 배열을 갖는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을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제공하는 키패드 서버(100); 및 유선망(200) 또는 무선망(300)을 통해 상기 키패드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키패드 구성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의 실행에 따른 재구성된 키패드 구성을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키패드 서버(100)는, 상기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 이외에,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의 키 버튼 배열을 전용으로 하는 컨텐츠를 별도로 저장하고, 해당 키패드 구성 파일을 적용한 상기 단말기(400)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키패드 서버(100)는, 상기 단말기(400)의 요청에 따라,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컨텐츠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시, 상기 제공되는 컨츠와 관련된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상기 단말기(400)에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기(400) 상에서 제공받은 컨텐츠가 실행될 때, 그에 따른 키패드 구성이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400)는, 휴대폰, 인터넷 폰, 및 PDA 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타자기, 리모콘, PM3P, 및 PMP 등과 같이, 키패드와 같은 소정의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한 모든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기(400)는, 키패드 서버(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키패드 구성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파일 수신부(410); 키패드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키패드 구성 파일 가운데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420); 단말기(4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실행하는 파일 실행부(430); 및 단말기(400)의 일반적인 키패드 영역에 위치하며, 키패드 구성 파일의 실행에 의하여 재구성된 키패드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키패드(4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키패드(440)는, 상기 파일 실행부(430)를 키패드 구성 파일의 실행에 따른 재구성된 다양한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에 설정된 버튼 입력 영역의 선택에 따른 전기 신호를 단말기(400) 내부 로직으로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패드(440)의 구조를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개략적인 측 단면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440)는, 단말기(400)의 파일 실행부(430)로부터 소정의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441); 상기 표시부(441)의 배면에 위치하며, 표시부(441)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의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전달되는 압력을 인지하는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442); 및 상기 표시부(441) 전면에 위치하며, 버튼 영역 선택시 발생되는 압력의 전달 및 압력에 따른 상기 표시부(44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재질의 충격 흡수 부재(4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표시부(441)는, 전자 종이 및 액정표시소자(LCD)와 같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적용된다. 참고로, 상기 전자 종이의 적용시, 정보 기록 후 전원인가가 불필요함에 따라 키패드의 응용시 추가 전력 소모의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442)는, 표시부(441) 상에서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전달되는 압력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400) 내부 로직으로 전달한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443)는, 상기 표시부(441)에 디스플레이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예컨대, 키 버튼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각에 대한 인지도 저하 및 표시부(441)의 손상을 유발하는 기존의 터치 스크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 부재(443)는 상기 표시부(44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키 버튼 레이-아웃이 가시화될 수 있는 한도내에서 반투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440)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440)는 표시부(441)를 키 버튼 모양으로 구현하여,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442)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키패드를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444'는 상기 표시부(441)를 지지하고, 동시에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442)와의 회로 접점을 위한 '탄성 부재'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440)는 종래의 키 버튼 입력 회로(442) 상부에 평평한 형상의 표시부(441)를 위치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440)는 표시부(441) 상부에 키 버튼 입력 회로(442)와 키 버튼 모양(┌┐)의 돌기가 형성된 충격 흡수 부재(443)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다음,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개략적인 측 단면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키패드(440)는, 단말기(400)의 파일 실행부(430)로부터 소정의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441); 및 상기 표시부(441)의 전면에 위치하며, 표시부(441)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의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사용자의 접 촉을 인지하는 투명 재질의 터치 센서 어레이(44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표시부(441)는, 전자 종이 및 액정표시소자(LCD)와 같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적용된다.
상기 터치 센서 어레이(445)는, 표시부(441) 상에서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사용자의 접촉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400) 내부 로직으로 전달한다. 이때, 터치 센서 어레이(445) 상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접촉 위치와 표시부(441) 상의 특정 키 버튼 영역의 위치는 소프트웨어의 조작을 통해 상호 맵핑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적용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폴더형 이동단말기의 숫자 및 문자 입력 키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440)는, 파일 실행부(430)에서 실행되는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라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키 버튼 형태를 유지하며 특정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하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도 6b 및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서 게임, 음악, 및 동영상 등의 이 실행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구현에 적합하도록 키 버튼 배열을 변경한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 문자 등을 활용한 단축키 형태의 키 버튼 배열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아울러, 도 6e 및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규 폰트, 타문자 및 한 글 자모 등의 키 버튼 배열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여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의 기능키(메뉴 키 및 선택 키 포함)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440)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가 닫혔을 경우, 이동단말기의 동작 가능 기능, 예컨대, 음악 및 동영상 재생 또는 사진 및 동영상 촬영에 적합한 재생버튼 관련 키 버튼 배열을 상기 기능키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가 열렸을 경우, 기존의 기능, 즉, 메뉴키 또는 선택키 및 최소키 등의 기능키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음악 및 동영상 재생 전용 단말기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재생할 파일 선택시 키패드(440)는 선택 키 및 방향키를 디스플레이하며, 이후, 파일 선택이 완료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는 재생 관련 키를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440)는, 특정 키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특정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하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기(400)가 유선(200) 또는 무선망(3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대응되는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을 키패드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S110). 즉, 단말기(400)는 파일 수신부(410)를 통해 키패드 서버(100)로부터 다양한 국가의 문자, 특수 문자, 및 특정 게임 등에 적용 가능한 소정의 키 버튼 배열 즉, 키패드 구성을 갖는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 중 하나 이상의 키패드 구성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저장한다. 한편, 다운로드된 키패드 구성 파일은 메뉴로 구성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선택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음, 단말기(400)가 상기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 가운데 상기 단말기(400)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한다(S120). 즉, 단말기(400)는, 파일 선택부(420)를 통해, 상기 파일 수신부(410)에 저장된 해당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400)가 상기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한다(S130). 즉, 단말기(400)는 파일 실행부(430)를 통해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실행한다. 참고로, 상기 파일 실행부(43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시나리오에 따라 키패드의 키버튼 레이-아웃이 자동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단문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한글을 선택하면 키패드(430) 상에 영문이나 숫자 대신 한글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동영상 재생시, 재생버튼만을 키패드 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400)가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의 실행에 따른 재구성된 키패드 형상을 키패드(4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40).
이 후, 단말기(40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에 설정된 버튼 입력 영역의 선택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S150). 한편, 상기 단말기가 파일 수신 부(410)에 기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재설정할 경우, 상기 키패드 서버(100)와의 재접속 없이 다운로드된 키패드 구성 파일 메뉴의 선택만으로 키패드 구성 파일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키패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이나 단말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 상의 문자 종류, 위치, 및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소정의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키패드 형태와 연동된 게임 등의 컨텐츠제공과 같은 부가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문자의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문자 입력 환경 설정 정보의 배열 및 크기에 적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함에 따라 단말기 교체시 키패드의 상이함에서 오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단말기 제조사의 경우에도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키에 대한 명칭을 각인하기가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32)

  1.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패드 구성 파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제공하는 키패드 서버; 및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이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서버는,
    상기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 각각에 따른 키패드 구성에 적응되는 각각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키패드 구성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파일 수신부;
    상기 키패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키패드 구성 파일들 중에서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 및
    상기 단말기의 파일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이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파일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의 실행에 따른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키패드 구성의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로직에 전달하는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에 따른 압력 전달 및 상기 압력으로 인한 상기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패드 구성의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로직에 전달하는 투명 재질의 터치 센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시스템.
  8.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상기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키패드 구성에 적응되는 각각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각각의 키패드 구성 파일 및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에 적응되는 상기 컨텐츠 각각을 상기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키패드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시,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키패드 구성 파일을 동시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및 키패드 구성 파일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서버.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인터넷 폰, 및 PDA, 개인용 컴퓨터, 타자기, 리모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구비한 모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서버.
  12. 키 버튼 입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수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의 소정의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전달되는 압력을 인지하는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및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소정의 키 버튼 영역 선택시 발생되는 압력의 전달 및 상기 압력에 따른 상기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키패드 구성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키패드 구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자 종이 및 액정표시소자(LC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8.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입력 인식회로는,
    상기 표시부 상에서 상기 특정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전달되는 압력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단말기 내부 로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이 가시화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표시소자에 디스플레이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1. 키 버튼 입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수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 구성의 소정의 키 버튼 영역 선택시, 사용자의 접촉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로직에 전달하는 터치 센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키패드 구성을 변경시켜 디스플레 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키패드 구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자 종이 및 액정표시소자(LC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어레이는,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키 버튼 레이-아웃이 가시화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이 가능한 키패드.
  26.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가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양한 키패드 구성 파일들 중 하나 이상을 키패드 서버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 가운데 소정의 키패드 구성을 갖는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상기 키패드 구성을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만 사용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재구성 방법.
  28. 삭제
  29.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가 기 저장된 키패드 구성 파일 가운데 소정의 키패드 구성을 갖는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키패드 구성 파일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 해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키패드 구성 파일에 따른 상기 키패드 구성을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30. 삭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만 사용되는 키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키패드 구성 파일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재구성 방법.
  32. 삭제
KR1020060068010A 2006-05-30 2006-07-20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KR10081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10A KR100818043B1 (ko) 2006-05-30 2006-07-20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CNA2007800276768A CN101491127A (zh) 2006-05-30 2007-05-30 终端键盘的配置方法、终端以及包括终端和能够重新配置的键盘的系统
PCT/KR2007/002625 WO2007139349A1 (en) 2006-05-30 2007-05-30 Method for configurating keypad of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the keypad capable of reconfiguration
US12/302,671 US20090270078A1 (en) 2006-05-30 2007-05-30 Method for configurating keypad of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the keypad capable of reconfigu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9071 2006-05-30
KR1020060049071 2006-05-30
KR1020060068010A KR100818043B1 (ko) 2006-05-30 2006-07-20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KR1020070049535A KR20080102727A (ko) 2007-05-22 2007-05-22 다양한 문자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단말기에서 문자 입력하는 방법
KR1020070052150A KR101290209B1 (ko) 2007-05-29 2007-05-29 이동 단말기에서 다양한 형태의 터치 패널을 구현하는 방법및 그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48A KR20070115548A (ko) 2007-12-06
KR100818043B1 true KR100818043B1 (ko) 2008-03-31

Family

ID=3877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10A KR100818043B1 (ko) 2006-05-30 2006-07-20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18043B1 (ko)
CN (1) CN101491127A (ko)
WO (1) WO20071393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320B1 (ko) 2010-10-14 2011-06-29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03659B1 (ko) * 2009-05-22 2012-01-11 (주) 케이알에스전자 터치스크린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2584B2 (en) * 2007-07-3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with reconfigurable keypad
US8281046B2 (en) 2008-07-03 2012-10-02 Steelseries Aps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user interface device configurations
US7925797B2 (en) * 2008-07-03 2011-04-12 Steelseries Hq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user interface device configurations
US7953462B2 (en)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GB2465745B (en) * 2008-11-17 2011-04-27 Hi Tech System Ltd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system
US8822851B2 (en) 2010-10-29 2014-09-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ode keyboard
KR101431581B1 (ko) * 2012-06-22 2014-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가상 게임 컨트롤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컨트롤 시스템
CN103760977B (zh) * 2014-01-13 2018-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5681292B (zh) * 2016-01-08 2018-11-1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研究所 一种利用安全键盘进行网络交易的办法
CN105892812A (zh) * 2016-03-30 2016-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按键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05641931A (zh) * 2016-03-31 2016-06-08 深圳市创想天空科技股份有限公司 游戏操作配置方法与系统
CN106095132B (zh) * 2016-06-24 2019-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播放设备按键功能设置方法及装置
US9905115B2 (en) * 2016-07-01 2018-0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commissioning, testing, and maintaining a fire alarm control panel via a mobile device
CN107817987B (zh) * 2016-09-13 2021-05-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硬件配置方法、系统、终端及服务器
CN106653446B (zh) * 2017-01-09 2019-07-09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微动按键以及支持键盘动态布局的控制装置和方法
CN107665045B (zh) * 2017-07-26 2019-08-16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键盘配置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9032496A (zh) * 2018-06-20 2018-12-18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改变智能键盘按键显示及按键音的方法及系统
CN109634711A (zh) * 2019-01-11 2019-04-16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的动态配置方法
CN110648514A (zh) * 2019-08-12 2020-0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遥控器及其配置方法、控制方法
CN113198172A (zh) * 2020-02-03 2021-08-03 宏碁股份有限公司 游戏按键模式调整方法及电子装置
CN112348499A (zh) * 2020-11-09 2021-02-09 百富计算机技术(深圳)有限公司 支付终端的通信服务方法及装置
CN117435061A (zh) * 2022-07-14 2024-01-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键盘输入方法、系统及存储介质和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731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KR20060030334A (ko) * 2004-10-05 2006-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8640A (ko) * 2005-05-16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입력 방법
KR20070052583A (ko)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2869B (fi) * 1996-02-26 1999-02-26 Nokia Mobile Phones Ltd Laite,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ri sovelluksiin liittyvien tietojen l 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KR20030020101A (ko) * 2001-09-01 2003-03-08 인포뱅크 주식회사 단축 기호를 이용한 단말 응용프로그램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8584B1 (ko) * 2004-06-08 2006-07-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WO2005120092A1 (en) * 2004-06-02 2005-12-15 Ktfreetel Co., Lt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and modif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KR100612143B1 (ko) * 2004-06-02 2006-08-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731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KR20060030334A (ko) * 2004-10-05 2006-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8640A (ko) * 2005-05-16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키패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입력 방법
KR20070052583A (ko)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59B1 (ko) * 2009-05-22 2012-01-11 (주) 케이알에스전자 터치스크린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1044320B1 (ko) 2010-10-14 2011-06-29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2050314A2 (ko) * 2010-10-14 2012-04-19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2050314A3 (ko) * 2010-10-14 2012-07-26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329777B2 (en) 2010-10-14 2016-05-03 Neopad,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ackground contents of virtual key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349A1 (en) 2007-12-06
CN101491127A (zh) 2009-07-22
KR20070115548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043B1 (ko)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재구성이가능한 키패드
US20090270078A1 (en) Method for configurating keypad of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the keypad capable of reconfiguration
US8576180B2 (en) Method for switching touch keyboar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ing the same
RU2375763C2 (ru) Электрон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лавишной панелью на задней стороне и относящийся к нему способ
EP2423780B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080303795A1 (en) Haptic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0273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ing and branding mobile device keypads
EP1198110B1 (en) Communication device
EP2000885A1 (en) Haptic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8517363A5 (ko)
US8866743B2 (en) Navigational tool with drag-based tactile feedback o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1233004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補助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入力補助装置を有する入力装置
CN101512915A (zh) 小键盘模拟
US20120019471A1 (en) Entering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s device
US2009010492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data on such a device
JP2011107804A (ja) 情報処理装置
JP4917114B2 (ja) ハンドヘルド無線通信デバイス用トラックボールソケット
US20120044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input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907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EP1524587A1 (en) Device having a joystick keypad
KR100821092B1 (ko) 키 패드 전용 커버와 결합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단말기에서 커버의 적용 방법
CN105159584B (zh) 一种业务密钥的输入方法及智能手表
KR1014734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스케줄링 방법
CA2637554C (en) Navigational tool with drag-based tactile feedback o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388921A (zh) 手持电子设备上邻近于导航工具的结合的输入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