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835B1 -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 Google Patents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835B1
KR100817835B1 KR1020050114340A KR20050114340A KR100817835B1 KR 100817835 B1 KR100817835 B1 KR 100817835B1 KR 1020050114340 A KR1020050114340 A KR 1020050114340A KR 20050114340 A KR20050114340 A KR 20050114340A KR 100817835 B1 KR100817835 B1 KR 10081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barcode
information
image
form ed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5869A (en
Inventor
이주석
Original Assignee
이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석 filed Critical 이주석
Priority to KR102005011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835B1/en
Publication of KR2007005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8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68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by scanning marks 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barcode)를 이용한 문서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의 형태가 바뀌어도 자동으로 바코드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인식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바코드 위치나 크기를 미리 특정할 필요가 없는 폼에디터 문서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a bar code, and more particularly, the location of the bar code can be automatically tracked even when the document type is changed, there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and automatically tracking the bar code lo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 editor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that does not need to specify a barcode position or size in advance.

바코드, 폼에디터, 앵커 Barcode, Form Editor, Anchor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등록방법.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How to register form editor document using barcode.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도 1은 종래의 문서내 특징을 이용한 폼 에디터에 따른 문서 등록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 form editor using a conventional document feature.

도 2는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한 폼 에디터 문서 등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rm editor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a conventional barcod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폼 에디터의 문서등록 업무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document registration task of a form editor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tracking a barcode pos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문서의 선분을 기준으로 바코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요해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tracking the position of a bar code based on a line segment of a doc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문서의 일부가 훼손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art of a document is damag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를 이용해서 문서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determining a document typ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 문서 2: 바코드1: Document 2: Barcode

3: 선분3: line segment

본 발명은 바코드(barcode)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의 형태가 바뀌어도 자동으로 바코드의 위치를 추적하여 인식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바코드 위치나 크기를 미리 특정할 필요가 없는 폼에디터 문서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gistering a form editor document using a barcode, and more particularly, even if the form of the document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barcode can be automatically tracke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and the barcode is automatically tracked. It relates to a form editor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that does not need to specify the barcode position or size in advance.

일반적으로 폼 에디터(form editor)는 문서의 이미지를 스캐닝 한 후, 특정한 위치에 특징이나 앵커(anchor)와 같이 인식이 가능한 표시를 가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식표시를 바탕으로 문서를 분류, 등록 및 저장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form editor scans an image of a document, converts it into data having a mark that can be recognized as a feature or anchor at a specific position, and then classifies and registers the document based on the mark. And storage device.

폼 에디터는 모든 기술을 DLL(Dynamic Link Library)로 제공 처리하기 때문에 개발 속도가 매우 빠르고, 표준화 구현이 용이하고, 최적화 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이미지 포맷을 지원하고, 다양한 폼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서 분류 및 등록 업무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Form Editor provides all technologies as DLL (Dynamic Link Library), so development speed is very fast, standardization can be implemented, optimization is possible, and various image formats are supported, and various forms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frequently used for document classification and registration.

종래의 폼 에디터 문서 등록방법은 문서내 특징이나 앵커(anchor)를 이용하는 방법과 바코드(barcode)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었다.Conventional form editor document registration methods include a method of using a feature or an anchor in a document and a method of using a barcode.

도 1은 종래의 문서내 특징을 이용한 폼 에디터에 따른 문서 자동 등록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utomatic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 form editor using a conventional document feature.

종래의 문서내 특징(A)을 이용한 문서 자동 분류방법은 주로 앵커(anchor) 및 서식 분류 코드가 없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문서의 특징 분석을 통해 양식을 등록하고, 문서의 특징 영역을 설정(최대 8개 까지 지정)하여 설정된 영역과 등록 양식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The conventional document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he feature (A) in the document is mainly used when there is no anchor and form classification code, and the form is registered through the feature analysis of the document, and the feature area of the document is set ( It is a method to automatically classify by comparing the set area with the registration form.

그러나, 종래의 문서 내 특징을 이용한 문서 등록방법은 이미지 위치 변화에 따라 인식율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해야 할 문서의 수가 증가할수록 처리 속도가 감소하고,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features in the document not only has a fatal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rate decreas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image position, but also the processing speed decreases as the number of documents to be processed decreases, and the work becomes very difficult. .

또한, 종래의 앵커(anchor) 및 서식 분류 코드를 이용한 문서 등록방법은 앵커로 이미지 맞추기 처리를 행한 후, 서식 코드를 읽어 양식을 등록하여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an anchor and a format classification code is a method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a form by reading a format code after performing image matching processing with an anchor.

그러나, 종래의 앵커 및 서식 분류 코드를 이용한 문서 등록방법 역시, 이미지 위치 변화에 따라 인식율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anchor and the form classification code also has a fatal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rat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mage position.

도 2는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판단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form editor document using a conventional barcode.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등록방법은 스캐닝을 거친 후, 반드시 바코드가 미리 정해진 형식인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야만 하고, 미리 정해진 형식이어야만 바코드를 인식하게 되고, 미리 정해진 형식이 아닌 경우 바코드 인식을 하지 못하고 종료되어 문서등록을 할 수 없게된다. As can be seen through Figure 2,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egistering a form editor document using a barcode, after scanning, must go through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barcode is a predetermined format, the barcode must be recognized only in a predetermined format, If the format is not predetermined, the barcode cannot be recognized and the document cannot be registered.

결국, 종래의 바코드 방식은 문서 내에서 바코드의 위치나 크기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종래의 특징이나 앵커를 이용한 폼 에디터 문서 등록방법과 마찬가지로, 처리해야할 모든 문서에 대하여 문서 내에서 바코드의 크기와 위치를 미리 지정하여야 하는 전처리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편집과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barcode method cannot recognize the position or size of the barcode in the document, and thu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barcode in the document for all documents to be processed, similarly to the form editor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feature or anchor. Must go through a pre-treatment process that must be specified in advance. Therefore, not only the editing process is very complicated, but also very difficult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위치 변화에 관계없이 인식률이 높고, 문서 유형의 등록이 편리한 문서 등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having a high recognition rate and convenient registration of document types regardless of image position chang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서에 특정한 기호나 위치를 미리 지정할 필요없이 바코드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문서를 인식할 수 있는 등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istration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document by automatically tracking a barcode without designating a specific symbol or position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서 등록방법은 문서를 스캔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이미지 데이타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문서의 좌측 상단 모서리와 바코드의 좌측 상단 모서리 사이의 거리값(D1)과; 문서의 우측 하단 모서리와 바코드의 우측 하단 모서리 사이의 거리값(D2) 및; 문서내의 세로 또는 가로선 선분의 임의점에서 바코드 까지의 수직 또는 수평거리값(D3)을 추출하여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바코드를 추적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문서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와;
바코드 유형을 분류하여 문서 종류를 지정하는 단계와;
분류된 이미지 및 문서정보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정보를 이미지 엔진서버에 저장하고 문서등록본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문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canning a document;
Recalling the scanned image data;
A distance value D1 between an upper left corner of the scanned document and an upper left corner of the barcode; A distance value D2 between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document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barcode; Extracti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stance value (D3) from the arbitrary point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line segment in the document to the barcode to track the barcode based on the provided information;
Determining a documen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tep;
Classifying a bar code type to specify a document type;
Classifying the classified image and document information;
Stor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in an image engine server and downloading a document registered image;
And inputting document information.

또한, 바코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단계는 바코드의 위치와 크기를 미리 지정할 필요없이 특징값 추출을 통해 자동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automaticall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bar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automatically tracked through feature value extraction without having to specify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arcode in advanc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폼 에디터의 문서등록 시스템은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로부터 스캔된 문서이미지에 대해 바코드를 크기 및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문서를 분류하는 폼에디터 및 상기 폼에디터로부터 분류된 문서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엔진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폼에디터는 스캔된 문서 이미지를 각보정 및 트림(trim) 작업을 통해서 정렬된 문서(1)의 외곽 위치를 추출하고, 바코드의 위치를 찾아서 바코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가로선 또는 세로선의 선분(3)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문서(1)의 좌측 상단 모서리(A1)와 바코드(2)의 좌측 상단 모서리(B1)와의 거리(D1)를 결정하고, 상기 문서(1)의 우측 하단 모서리(A2)와 바코드(2)의 우측 하단 모서리(A2) 사이의 거리(D2)를 결정하고, 상기 선분(3)을 통해서, 가로 선분의 Y좌표, 세로 선분의 X좌표를 기준 좌표로 삼아서, 상기 좌표의 임의의 점에서 바코드(2) 사이의 수평 또는 수직거리(D3)를 통해 결정된 D1, D2, D3 값에 따라 문서분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폼을 찾아 분류하는 바코드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in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ocument registration system of the form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form editor and a document image classified from the form editor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documents by automatically tracking the size and position of a barcode for a document image scanned from the scanner and the scann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engine server.
Here, the form editor extracts the outer position of the aligned document 1 through angle correction and trimming of the scanned document image, finds the position of the barcode, and has horizontal or vertical lines around the barcode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rcode. Examine whether there is a line segment 3, and determin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upper left corner A1 of the document 1 and the upper left corner B1 of the barcode 2, and the right side of the document 1 The distance D2 between the lower edge A2 and the lower right corner A2 of the barcode 2 is determined, and through the line segment 3, the Y coordinate of the horizontal line segment and the X coordinate of the vertical line segment as reference coordinates. For example, the barcode processing module provides information for classifying documents according to D1, D2, and D3 values determined through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stance D3 between the barcodes 2 at any point of the coordinates, and finds and classifies a for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폼 에디터의 문서등록 방법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registering a document in a form editor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단계적으로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Referring to Fig. 3,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문서를 스캔하는 단계(110)에서는 최초 분류 및 등록이 필요한 문서를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하게 된다.In step 110, the document is scanned through a scanner for documents requiring initial classification and registration.

이미지 데이타 호출 단계(120)에서는 스캐닝 된 문서 이미지 데이타를 분류 및 등록 하기 위해 호출하게 된다.In the image data call step 120, a call is made to classify and register the scanned document image data.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단계(130)에서는 폼에디터의 바코드 처리 모듈이 바코드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기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In the step 130 of automatically tracking the barcode position, the barcode editor module of the form editor automatically track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barcode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tracking a barcode pos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문서의 선분을 기준으로 바코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요해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tracking the position of a bar code based on a line segment of a doc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5를 참조하여, 폼에디터의 바코드 처리 모듈이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단계는 먼저, 전체 문서 이미지를 각보정 및 트림(trim) 작업을 통해서 정렬된 문서(1)의 외곽 위치를 불러오게 된다. (S1)4 and 5, the step of automatically tracking the barcode position by the Form Editor's barcode processing module, first, the outer position of the document (1) aligned through the angle correction and trim operation of the entire document image It is loaded. (S1)

그 후, 바코드(2)의 위치를 찾고 바코드를 인식한 후 바코드의 종류를 찾게 된다.(S2) 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barcode 2 is found, the barcode is recognized, and the type of the barcode is found. (S2)

그 후, 바코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가로선 또는 세로선의 선분(3)이 있는지를 조사하게 된다. (S3)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line segment 3 of a horizontal line or a vertical line around the barcode position. (S3)

그 후, 상기 S1단계를 통해 결정된 문서(1)의 좌측 상단 모서리(A1)와 바코드(2)의 좌측 상단 모서리(B1)와의 거리(D1)를 결정한다. (S4)Thereafter, the distance D1 between the upper left corner A1 of the document 1 determined through the step S1 and the upper left corner B1 of the barcode 2 is determined. (S4)

그 후, 상기 S1단계를 통해 결정된 문서(1)의 우측 하단 모서리(A2)와 바코드(2)의 우측 하단 모서리(A2) 사이의 거리(D2)를 결정한다. (S5)Thereafter, the distance D2 between the lower right corner A2 of the document 1 and the lower right corner A2 of the barcode 2 determined through the step S1 is determined. (S5)

그 후, 상기 S3단계에서 찾은 선분(3)을 통해서, 가로 선분의 Y좌표, 세로 선분의 X좌표를 기준 좌표로 삼아서, 상기 좌표의 임의의 점에서 바코드(2) 사이의 수평 또는 수직거리(D3)를 결정한다. (S6)Then, through the line segment 3 found in step S3, the Y coordinate of the horizontal line segment and the X coordinate of the vertical segment are used as reference coordinates, so that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barcodes 2 at any point of the coordinates ( D3). (S6)

이를 통해, 결정된 D1, D2, D3 값에 따라 문서분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폼을 찾게 된다.   Through this, information for document classific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1, D2, and D3 values, and the form is found.

상기 D1, D2, D3값과 바코드의 종류 및 크기는 제한된 폼 안에서 각각의 폼에 따라 서로 상이하므로 폼의 유형을 손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The type and size of the D1, D2, and D3 values and the barco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limited form, so that the type of the form can be easily separat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문서의 일부가 훼손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art of a document is damag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표면에 낙서가 되어 있거나 문서의 일부가 훼손되어 있더라도 선분이 남아 있으면 문서의 한 귀퉁이가 찢겨 나가도 전체 종이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문서의 유형을 안정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even if a scribble on a surface or a part of a document is damaged, if a segment remains, even if one corner of the document is torn, the size of the entire paper does not change, and thus the type of document can be stably classified.

또한, 문서의 일부가 훼손되더라도 바코드의 특징값(D1, D2, D3)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문서에 있는 선분(3)은 화이트등의 수정액으로 일부러 지우지 않는 이상 때가 묻거나 검정색의 노이즈에는 무관하므로 안정적으로 폼을 찾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 part of the document is damaged, the barcode's characteristic values (D1, D2, D3) are not affected. This allows you to reliably find the form.

결국, 종래의 폼에디터 등록장치는 미리 지정된 분류에 맞게 특정위치에 특징이나 앵커(Anchor)를 삽입하는 전처리 단계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폼에디터 등록장치는 바코드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바코드의 위치 및 크기를 추출해 내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문서 분류 및 등록이 가능하므로 전처리 과정이 필요없게 된다.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form editor registration device is required to pre-process the step of inserting the feature or anchor (Anchor) at a specific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the form editor reg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tracks the bar code of the barcode Since the location and size can be extracted and the documents can be classified and registered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there is no need for preprocessing.

다음으로, 문서 유형 판단 단계(140)에서는 상기 바코드 위치 추적 단계(130)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통해 문서 유형을 결정하게 된다Next, in the document type determination step 140, the document ty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barcode position tracking step 130.

이 경우 D1, D2, D3의 값을 폼 등록시 미리 등록을 한 후에 추출된 정보와 비교하여 분류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values of D1, D2, and D3 are classified by compar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after registering in advance when registering the form.

바코드 유형을 분류하여 문서 종류를 지정하는 단계(150)는 모든 문서는 각각의 문서에 따라 고유의 영역이 있으므로 그 문서의 유형만 결정해 주면 된다.In step 150 of classifying bar code types and specifying document types, all documents have their own area according to each document, and thus only the type of the document needs to be determined.

이하, 분류된 이미지 및 문서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160) 및 분류된 문서를 이미지 엔진서버에 저장하여 문서등록분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170)와 문서 정보를 입력단계(180)를 거쳐 문서정보와 고객 DB에 구축되게 되는데 이는 통상의 폼에디터 등록방법과 동일하다. Hereinafter, the method 160 classifies the classified image and document information, stores the classified document in the image engine server, downloads the document registered image 170, and inputs document information through the document information 180. And it will be built in the customer DB, which is the same as the normal form editor registration metho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를 이용해서 문서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determining a document typ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문서 판단방법은 최초 스캔(210)을 거쳐,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바코드를 인식 및 바코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단계(220)를 거쳐 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따라 문서유형을 분류하고, 스캐닝된 문서종류를 독출하는 단계(230)를 통해 문서종류를 판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document determination method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through an initial scan 210 and a step 220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 barcode and automatically tracking a barcod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cument type may be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 document type according to the extracted information, and reading the scanned document type 230.

따라서,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한 문서 판단방법과 같이 바코드가 미리 정해진 형식인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며, 절차가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barcode is in a predetermined format as in the document determination method using a conventional barcode, so that the processing is quick and the procedure becomes very simp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등록방법은 스캔되는 이미지의 방향에 관계없이 바코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으므로 인식율을 높일 수 있어 에러나 오류에 강한 효과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registering a form editor document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track the position of the barcod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scanned image, there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thereby causing a strong effect on errors or errors. .

또한, 바코드의 위치나 크기를 인식하기 위해 미리 바코드의 위치나 크기를 지정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a preprocessing process for specifying the position or size of the barcode is not required in advance in order to recognize the position or size of the barcode, the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an excellent effect that is easy to use occur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3)

문서를 스캔하는 단계와;Scanning the document; 상기 스캔된 이미지 데이타를 호출하는 단계와;Recalling the scanned image data; 상기 스캔된 문서의 좌측 상단 모서리와 바코드의 좌측 상단 모서리 사이의 거리값(D1)과; 문서의 우측 하단 모서리와 바코드의 우측 하단 모서리 사이의 거리값(D2) 및; 문서내의 세로 또는 가로선 선분의 임의점에서 바코드 까지의 수직 또는 수평거리값(D3)을 추출하여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바코드를 추적하는 단계와;A distance value D1 between an upper left corner of the scanned document and an upper left corner of the barcode; A distance value D2 between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document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barcode; Extracti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stance value (D3) from the arbitrary point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line segment in the document to the barcode to track the barcode based on the provided information; 상기 단계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문서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documen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tep; 바코드 유형을 분류하여 문서 종류를 지정하는 단계와;Classifying a bar code type to specify a document type; 분류된 이미지 및 문서정보를 분류하는 단계와;Classifying the classified image and document information; 상기 분류된 정보를 이미지 엔진서버에 저장하고 문서등록본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Stor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in an image engine server and downloading a document registered image; 문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등록방법.Form editor document registration method using a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the documen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단계는 바코드의 위치와 크기를 미리 지정할 필요없이 특징값 추출을 통해 자동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폼에디터 문서 등록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utomaticall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barcode is performed by extracting feature values without having to specify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arcode in advance. How to register.
KR1020050114340A 2005-11-28 2005-11-28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KR1008178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340A KR100817835B1 (en) 2005-11-28 2005-11-28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340A KR100817835B1 (en) 2005-11-28 2005-11-28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869A KR20070055869A (en) 2007-05-31
KR100817835B1 true KR100817835B1 (en) 2008-03-31

Family

ID=3827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340A KR100817835B1 (en) 2005-11-28 2005-11-28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83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339A (en) * 2000-02-18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rcode reader
KR20040010824A (en) * 2004-01-12 2004-01-31 주식회사 우리은행 Method of judging a kind of a document using a bar-code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339A (en) * 2000-02-18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rcode reader
KR20040010824A (en) * 2004-01-12 2004-01-31 주식회사 우리은행 Method of judging a kind of a document using a bar-code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869A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105B2 (en) Document field detection and parsing
US6996295B2 (en) Automatic document reading system for technical drawings
US7636483B2 (en) Code type determining method and code boundary detecting method
JP5492205B2 (en) Segment print pages into articles
US20070140564A1 (en) 2-Dimensional code region extraction method, 2-dimensional code region extra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2-dimensional code region extrac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JP2007272348A (en) Character string recognition method and character string recognition device
CN110135225B (en) Sample label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7668336B2 (en) Extracting embedded information from a document
Mitchell et al. Newspaper document analysis featuring connected line segmentation
KR100817835B1 (en) Form editor document resistrating method using barcode
Bhaskar et al. Implement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for business cards
JP2008084105A (en) Character cutout method and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JP4867894B2 (e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CN115082944A (en) Intelligent identification and segmentatio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table
JP2001109887A (en) Area extracting method,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address area, and image processor
KR1014372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igital contents
JPH07230525A (en) Method for recognizing ruled l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table
US202303946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inspection of surface-mount devices
CN112215783B (en) Image noise point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CN116311292A (en) Document image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atti et al. OCR system for recognition of used printed components for recycling
JP2001291058A (en)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3428504B2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JP2004013188A (en) Business form reading device, business form read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H08164365A (en) Address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