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396B1 -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396B1
KR100812396B1 KR1020060133185A KR20060133185A KR100812396B1 KR 100812396 B1 KR100812396 B1 KR 100812396B1 KR 1020060133185 A KR1020060133185 A KR 1020060133185A KR 20060133185 A KR20060133185 A KR 20060133185A KR 100812396 B1 KR100812396 B1 KR 10081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message
information
multimedia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술
한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3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396B1/ko
Priority to PCT/KR2007/006744 priority patent/WO2008078925A1/en
Priority to JP2009542657A priority patent/JP507901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396B1/ko
Priority to US12/488,262 priority patent/US83011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77Measures taken prior to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 단말에게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 전송 서버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게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 다음,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메세지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상의 URL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렇게 수집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셀 방송 서비스 메시지 형태로 전달한다.
위치 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셀 방송 서비스(CBS)

Description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multimedia messag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전송 서버가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이 실패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송 전송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 단말에게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와 셀 방송 서비스(CBS: Cell Broadcasting Service)가 있다. 여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메시지 센터(SMSC)의 저장 및 전달 기능과 CDMA 액세스/페이징 및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통싱 단말간에 짧은 문자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하는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의 메시지 서비스이다. 반면 셀 방송 서비스는 무선 채널의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또는 일정 그룹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에 메시지를 일시에 송출하는 점대다(point to multi) 방식의 단방향 호출 또는 메시지 일괄 전송 서비스로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 방송과, 날씨, 교통 뉴스 등의 정보 제공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동영상, 캐릭터, 이미지, 멜로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보다 양질의 화질과 음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의 크기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가 제안되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메시지 센터(MMSC)를 통하여 메가바이트 단위의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의 최소단위인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한 지역, 예컨대 시, 도, 군, 읍, 동 등과 같은 행정구역이나 인천공항 등과 같은 특정지역으로 매핑하여 상기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이라 한다. 그러나, 현재 CDMA 시스템이나 WCDMA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NOTI-message)가 전송되어야만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최종적으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위치기반으로 상기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위치기반으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셀 방송 서비스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는 CDMA 시스템에서는 512byte, WCDMA 시스템에서는 최대 1296byte에 불과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하에서 위치기반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은,
방송 전송 서버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제 1단계;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 2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게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 다음,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메세지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상의 URL 정보를 수집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를 통하여 수집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셀 방송 서비스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송 전송 시스템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적합한 규격으로 상기 메시지 정보를 변환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요청의 대상이 되는 위치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모듈,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 가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URL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정보 모듈에 의하여 수집된 기지국으로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URL 정보를 셀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송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에 의하여 관리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모듈에 의하여 관리되는 기지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부; 및,
주변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멀티미디어 전송장치, 기지국 정보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정보교환 및 통신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 기지국 정보 서버(400), 방송 전송 서버(500) 및 콘텐츠 제공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600)는 일정한 지역, 예컨대 시, 도, 군, 읍, 동 등과 같은 행정구역이나 인천공항 등과 같은 특정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게 전달하기 위한 동영상, 캐릭터, 이미지, 멜로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 제공한다.
상기 방송 전송 서버(500)는 컨텐츠 제공서버(60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에게 셀 방송 서비스(CBS) 메시지 형태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은 방송 전송 서버(500)는 기지국 정보 서버(400)로부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별도의 장치에 저장한 다음 상기 해당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게 멀티 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를 셀 방송 서비스 메시지 형태로 무선 채널의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정보 서버(400)는 일정한 지역을 관장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해당 지역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정보 요청가 있으면, 이에 대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 예컨데 셀 아이디(cellID)를 반환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담당하는 장비, 예컨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로서, 동영상, 캐릭터, 이미지, 멜로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이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한 다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위치에 관한 URL 정보를 반환한다. 또한, 상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적합한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이를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URL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에 접속하여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운로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전송 서버가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방송 전송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S201). 이때 상기 방송 전송 서버는 상기 S201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600)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메시지 아이디를 생성한 다음 이를 상기 응답 메시지와 함께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201단계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S202). 상기 S202단계는 특정 지역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 예컨대 셀 아이디(Cell ID)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장치인 기지국 정보 서버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S202단계에서 해당 지역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 정보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러한 취지의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고, 전체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S202단계를 통하여 기지국 정보를 수집한 방송 전송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게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 다음,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메세지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상의 URL 정보를 수집한다(S203). 이때, 상기 URL 정보에는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의 아이피 어드레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202단계 및 S203단계의 사이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 스를 수행하기 위한 규격에 부합되도록 변환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S203단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전달받은 방송 전송 서버는 해당 기지국 정보가 있는 교환기를 통하여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에게 셀 방송 서비스 메시지 형태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S204).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로부터 제공받은 URL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기지국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기지국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받을 수 있는 방송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송 채널 정보는 이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받고자 하는 고객이 사전에 가입하면 단문메시지(SMS) 등을 통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사전에 전송받은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전송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방송 채널값과 일치하는 방송 채널값을 저장하고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만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S204단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받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 접속한 다음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 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 제공 서버(600)가 방송 전송 서버(500)에게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S301). 이때 상기 방송 전송 서버는 상기 S301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600)에게 제공한다(S302). 이때, 상기 방송 전송 서버(500)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메시지 아이디를 생성한 다음, 이를 상기 응답 메시지와 함께 컨텐츠 제공 서버(6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301단계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 방송 전송 서버(500)는 기지국 정보 서버(400)에게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이하, '방송 지역'이라 한다)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S303),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 정보를 수신한다(S304). 이때, 상기 S304단계에서 수신하는 기지국 정보는 특정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식별 정보, 예컨대 셀 아이디(Cell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S303단계 및 S304단계를 통하여 요청의 대상이 되는 방송 지역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 정보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러한 취지의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고, 전체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S304단계를 통하여 해당 방송 지역에 관한 기지국 정보를 수집한 방송 전송 서버(5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에게 전달하고(S305),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일단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한 다음, 상기 멀티미디어 메세지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상의 URL 정보를 상기 S305단계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방송 전송 서버(500)에게 제공한다(S306). 이때, 상기 URL 정보에는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의 아이피 어드레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304단계 및 S305단계의 사이에 방송 전송 서버(500)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규격에 부합되도록 변환하는 단계, 또는 상기 S305단계 및 S306단계의 사이에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규격에 부합되도록 변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S306단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전달받은 방송 전송 서버(500)는 해당 기지국 정보가 있는 교환기를 통하여 해당 방송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에게 셀 방송 서비스 메시지 형태로 상기 멀티미 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S307).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307단계에서 방송 전송 서버(5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기지국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기지국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받을 수 있는 방송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 채널은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이 사전에 가입하면 단문메시지(SMS) 등을 통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로 사전에 전송받은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전송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방송 채널값과 일치하는 방송 채널값을 저장하고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만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S307단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제공받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 접속한 다음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공을 요청한다(S308). 이때,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은 상기 S307단계에서 URL 정보가 제공되고 즉시 상기 S308단계에 따른 메시지 제공 요청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내(이하, '최대전송 가능시간(expired time)'이라 한다)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시간에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로 URL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요청이 동시에 발생하는 부하 발생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는 상기 설정된 최대전송 가능시간까지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하고, 이 후 요청되는 메시지에 대해서는 단말로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최대전송 가능시간은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최대전송 가능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장비(300)의 최대 전송 시간에 기초한 상기 임의의 시간은 단말 번호(MDN)나 IMSI(Mobile Station Identity) 값 등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S308단계의 요청을 수신한 멀티미디어 전송 장비(3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게 방송 전송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한 다(S309).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이 실패한 경우에 재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이 실패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요청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을 완료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는, 그 전송결과를 방송 전송 서 버(500)에게 전송한다(S401). 이때, 상기 S401단계에 따라 방송 전송 서버(500)에게 전송되는 전송결과에는 상기 전송 완료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호출번호 내역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401단계에 따른 전송결과 전송은 멀티미디어 전송 장비(300)의 최대전송 가능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401단계를 통하여 전송 결과를 제공받은 방송 전송 서버(500)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들로부터 전달되는 전송결과를 통합하여 전송완료된 번호리스트 정보를 생성한 다음, 이를 컨텐츠 제공서버(600)에게 전송한다(S402).
상기 S402단계의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은 컨텐츠 제공 서버(600)는, 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3).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600)는 멀티미디어 전송 요청에 따라 전송이 완료되고 난 후 방송 전송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전송완료된 번호 리스트와, 컨텐츠 제공 서버(600)가 가지고 있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 제공서버(600)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재전송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전송해줄것을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에게 요청한다(S501). 이때, 상기 S501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600)가 재전송 대상이 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호출 번호를 이용하여 재전송할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직접 전송요청한다.
상기 S501단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는 단문메시지 전송서버(200)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전달하고(S502),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서버(200)는 이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S503).
상기 S503단계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제공받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은,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300)에게 해당 URL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공을 요청한다(S504).
상기 S504단계의 요청을 수신한 멀티미디어 전송 장비(3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에게 컨텐츠 제공 서버(600)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한 다(S505). 이때 멀티미디어 전송 장비(300)는 단말이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가져가지 않을 경우 재전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전송 가능성을 높이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송 전송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방송 전송 서버(500)는 제어부(510), 저장장치부(520) 및 인터페이스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1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511), 위치 정보 모듈(512) 및 방송 모듈(5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멀티미디어 전송장비들로부터 전달되는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결과를 통합하여 전송완료된 번호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511)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적합한 규격으로 상기 메시지 정보를 변환한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512)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요청의 대상이 되는 위치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방송 모듈(513)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가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URL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정보 모듈에 의하여 수집된 기지국으로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URL 정보를 셀 방송 서비스로 제공한다.
상기 저장장치부(520)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511)에 의하여 관리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모듈(512)에 의하여 관리되는 기지국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30)는 방송 전송 서버(500)가 주변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멀티미디어 전송장치, 기지국 정보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정보교환 및 통신을 담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 하에서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 단말에게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방송 전송 서버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제 1단계;
    상기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 2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게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한 다음,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메세지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상의 URL 정보를 수집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를 통하여 수집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셀 방송 서비스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의 메시지 전송 결과를 통합하여 전송 완료된 번호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리스트 정보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재전송 요청을 컨 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하여 줄 것을 단문 메시지 전송서버에게 요청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수신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생성된 메시지 아이디를 함께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해당 지역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관장하는 기지국에 관한 식별정보인 셀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방송 전송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URL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의 아이피 어드레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아이디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 및 제 3단계 사이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규격에 부합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방송 전송 서버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로부터 제공받은 URL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기지국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기지국 정보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받을 수 있는 방송채널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방송 전송 서버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장비로부터 제공받은 URL 정보뿐만 아니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게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제 4단계에서 제공받은 URL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전송장비에 접속한 다음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11.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적합한 규격으로 상기 메시지 정보를 변환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요청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관장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요청의 대상이 되는 위치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모듈,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전송장비가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URL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정보 모듈에 의하여 수집된 기지국으로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URL 정보를 셀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송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모듈에 의하여 관리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모듈에 의하여 관리되는 기지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부; 및,
    주변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멀티미디어 전송장치, 기지국 정보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정보교환 및 통신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 전송 시스템.
KR1020060133185A 2006-12-22 2006-12-22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081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85A KR100812396B1 (ko) 2006-12-22 2006-12-22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PCT/KR2007/006744 WO2008078925A1 (en) 2006-12-22 2007-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multimedia message service
JP2009542657A JP5079014B2 (ja) 2006-12-22 2007-12-21 位置基盤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伝送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装置
US12/488,262 US8301166B2 (en) 2006-12-22 2009-06-19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85A KR100812396B1 (ko) 2006-12-22 2006-12-22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396B1 true KR100812396B1 (ko) 2008-03-11

Family

ID=3939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185A KR100812396B1 (ko) 2006-12-22 2006-12-22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1166B2 (ko)
JP (1) JP5079014B2 (ko)
KR (1) KR100812396B1 (ko)
WO (1) WO20080789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57B1 (ko) * 2008-04-16 201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단위 광고 방송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82575A (ko) 2014-12-30 2016-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3984A1 (en) * 2007-03-23 2008-09-25 Jeffrey Michael Franklin Cross-carrier content upload, social network and promotional platform
JP6164690B2 (ja) * 2013-09-06 2017-07-19 Kddi株式会社 情報配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98442B2 (en) 2017-08-04 2019-12-03 T-Mobile Usa, Inc. Wireless delivery of broadcast data
US10694237B2 (en) * 2017-08-04 2020-06-23 T-Mobile Usa, Inc. Wireless delivery of broadcast data
CN113055852B (zh) * 2021-03-05 2023-04-07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重载列车的列首通信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09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5544A (ko) * 2003-08-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사용자단말기들에게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50098199A (ko) * 2004-04-06 2005-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방송서비스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050109309A (ko) * 2004-05-13 2005-1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통한 방송 호스팅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939B1 (ko) * 1999-06-29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방송서비스 장치및 방법
KR100308152B1 (ko) * 1999-07-31 2001-09-29 서평원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셀 브로드캐스팅 방법
KR100397475B1 (ko) * 2001-02-17 2003-09-13 (주)옴니텔 셀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을 활용한 이동전화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3926288B2 (ja) * 2002-05-03 2007-06-06 三星電子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キャストマルチメディア放送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JP4263632B2 (ja) * 2004-02-06 2009-05-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配信経路データベースサーバ、ノード装置、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配信制御システム、及び、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配信制御方法
CN1268089C (zh) * 2004-07-26 2006-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广播/组播服务业务数据传输的方法
US20060171369A1 (en) * 2005-02-03 2006-08-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source utiliza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MB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09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5544A (ko) * 2003-08-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사용자단말기들에게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50098199A (ko) * 2004-04-06 2005-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방송서비스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050109309A (ko) * 2004-05-13 2005-1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통한 방송 호스팅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57B1 (ko) * 2008-04-16 201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단위 광고 방송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82575A (ko) 2014-12-30 2016-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9014B2 (ja) 2012-11-21
WO2008078925A1 (en) 2008-07-03
US20090258659A1 (en) 2009-10-15
JP2010514327A (ja) 2010-04-30
US8301166B2 (en)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31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ata information
US7171222B2 (en) Multimedia messaging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multimedia content
KR100812396B1 (ko)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20030003953A1 (en) Multi-user chat service in a cellular network
KR10182241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방송 기술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그룹 멀티캐스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34157B1 (ko) 전자 메시징 서비스들을 위한 홈 존 결정
CN101997696A (zh) 传递及接收Push消息的方法和设备
KR2008010161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US2010004818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ervice
CN102461099A (zh) 向多个接收机发送电子短消息的方法
US2012017842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ervice
US200902586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enhanc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96566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ing service messages between two telecommunications system using different message structures
EP22836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personalisation using file repair requests
KR101171377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된 사진 및 동영상의 원본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KR100604723B1 (ko)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확인 및 읽기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1497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multimedia contents via a radiocommunication network
KR100992009B1 (ko) 대량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4284B1 (ko) 외부 연동 장비별로 독립된 재전송 규칙을 적용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1582B1 (ko) 로밍 중인 단말기로의 장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1133358A1 (en) A system used during retrieval or transmission of short message
KR100772140B1 (ko) 개인용 휴대단말기 또는 그 휴대단말기가 가입된 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정보와 연동된 pc의 구성으로 이뤄진mo 방식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단말기에서보낸 다량의 메시지를 실시간 접수하고 그 결과를확인하여 재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9859B1 (ko) 메시지 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56554B1 (ko)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6245B1 (ko) 번호이동 가입자에 대한 sms 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