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329B1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329B1
KR100812329B1 KR1020060104348A KR20060104348A KR100812329B1 KR 100812329 B1 KR100812329 B1 KR 100812329B1 KR 1020060104348 A KR1020060104348 A KR 1020060104348A KR 20060104348 A KR20060104348 A KR 20060104348A KR 100812329 B1 KR100812329 B1 KR 10081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xternal device
personal information
receive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창택
박재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3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3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digital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form a user of event occurrence by displaying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personal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A controller sets a personal information interruption mode according to manipulation data(S400).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data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is generated(S402). If data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is generated,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generated data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S404). If the generated data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generates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data(S406).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S410).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Digital broadcas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수신 데이터를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서 외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device in FIG.

도 4는 도 2의 휴대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도 5는 도 3의 외부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external device of FIG. 3.

도 6은 도 2의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도 7은 도 3의 외부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external device of FIG. 3.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데이터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와 외부장치를 연결시켜 외부장치에서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in particular, to a device and a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on an external device by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equipped with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를 탑재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들 중에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탑재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구성 및 처리 절차가 복잡해지고 있다.  Today's mobile handsets are equipped with multimedia dedicated processors or enhanced multimedia capabilities, and among the multimedia features, digital broadcast receiver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oday's mobile terminals must be equipp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service a variety of multimedia features, which is complicating the process of configuring and handling mobile terminals.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특성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표시부의 크기 및 스피커 재생 능력의 한계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휴대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소형의 제품이므로, 수신되는 방송데이터의 화면 크기 및 재생되는 음질의 성능이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출력을 외부 장치에 재생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방송데이터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비디오 및 오디오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며, 상기 복호된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터를 외부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above portable terminal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bility to play the speaker for playing multimedia data. In other words, since mobile terminals such as the above-mentioned mobile phones are small products, the screen size of received broadcast data and the performance of sound quality to be reproduced are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can be added.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demodulate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decomposes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into video and audio data, and then decodes each of the decoded broadcast data and plays back the decoded audio and video data on an external device. Convert to and print out.

이와 같이 종래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방송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전송받은 방송데이터를 재생한다. 물론 휴대단말기는 방송데이터 이외에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reproduce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Of course,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ll data received in addition to the broadcast data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들 중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 는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blocking transmission of specific data among external data received by a mobi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장치가 휴대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들 중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출력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blocking an external device from outputting specific data among data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외부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장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ensuring the privacy of the user by blocking the output of the specific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o an external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to block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devic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is included,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is propos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출력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outputting data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the output cutoff; and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n the received data.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s included,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blocking the output of the data.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 말기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to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which transmission is blocked to the external device is set, and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is determined.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출력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외부 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received data, compri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for which the output is requested to be blocked; Is determined,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which blocks the output of the dat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and represent the same symbols anywhere as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블루투스 통신, DMB, PC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below, specific details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s, DMB, PC, etc.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is technical fiel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easily by their own mod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100 및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를 표시하는 외부장치20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hanging a servic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ternal device 200 displaying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14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140을 통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은 디지털 방송 및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키 데이터들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은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수신데이터를 복호하는 코덱(CODEC: coder & decoder)과, 상기 부호화된 송신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수신데이터를 복조하는 모뎀(MODEM: modulator & demodulator)으로 구성되는 데이터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제어부110에 분리되어 통신부120과 제어부110 사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외부장치200에서 디지털 방송재생 요구시 선택된 방송채널의 방송데이터를 복조하여 전송하며, 외부장치의 제어하에 방송채널을 설정하거나 전환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key input unit 140 generates key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110. Here, the user's command genera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40 may generate key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110 uses a codec (coder & decoder) to encode and transmit the encoded data, and a modulator (MODEM) to demodulate and demodulate the encoded transmission data. The data processing unit can be configured.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configur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demodulates and transmits broadcast data of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requests digital broadcast playback, and controls a function of setting or switching a broadcast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3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외부장치200과 방송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consist of a program memo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communicating broadcast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200 and a data memory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통신부120은 휴대단말기의 발신 및 착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데이터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고, 수신데이터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분리하는 듀플렉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의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outgoing and incoming communicatio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equipped with a frequency converter for increasing and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ransmission data, and for de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reception data and a duplexer for separat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unit 110 may be included.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수신되는 방송데이터를 선택하여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튜너, 복조 및 복호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DMB 수신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또는 DVB수신기(Digital Video Broadcasting receiver)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MB수신기는 지상파 또는 위성 DMB 수신기가 될 수 있으며, DVB수신기는 DVB-T  또는 DVB-H 수신기가 될 수 있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selects, receives, and demodulates, decodes, and outputs the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10.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can be equipped with a tuner, a demodulator and a decoder.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170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or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receiver. The DMB receiver can be a terrestrial or satellite DMB receiver, and the DVB receiver can be a DVB-T or DVB-H receiver.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방송데이터를 선택하여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튜너, 복조 및 복호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DMB 수신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또는 DVB수신기(Digital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selects, demodulates, decodes, and outputs the broadcast data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can be equipped with a tuner, a demodulator and a decoder.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170 may be a digital multimedia receiver (Broadcasting receiver) or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DVB receiver).

스피커160 및 표시부150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에서 출력되는 방송데이터 및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peaker 160 and the display unit 150 perform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and the data of the mobile termi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근거리통신부18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외부장치200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에서 발생되는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해당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11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2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은 블루투스통신, 와이브로, 와이맥스, 무선랜, USB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은 블루투스 통신부로 가정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 및 외부장치200은 각각 블루투스 통신부를구비하여야 하며, 이들 각각은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로 등록(pairing)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모드시 방송데이터 및 제어정보들을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설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페어링 및 통신 링크의 설정 방법은 통상의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80 performs a close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ar-field communication unit 180 converts and demodulates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o the corresponding near-field communication meth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transmits the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10. do. In addition, the mobile station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100. Her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80 may use Bluetooth communication, WiBro, WiMAX, wireless LAN, and USB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80 is assumed to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In the case of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must each hav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nd each of them must be paired in a stat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you must set up a communication link that can communicate broadcast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e. Here, the method of setting the pairing and communication link can be performed by the normal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도 2는 상기 도 1에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FIG. 1 above, and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As shown in FIG.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선택 채널의 주파수를 동조하여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171과, 상기 선택 채널주파수의 방송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기173과, 상기 복조 방송데이터에서 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각 대응되는 복호기를 통해 복호 출력하는 복호기175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unes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to tune the tuner 171 to receive broadcast data, and the demodulator 173 to demodulate the broadcast data of the selected channel frequency. It consists of a decoder 175 which extracts audio, video and broadcast data from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and outputs it through the corresponding decoder.

그리고 상기 복조기173의 출력은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복조기173의 출력을 외부장치180에 전송한다.  The output of the demodulator 173 is transmitt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and transmits the output of the demodulator 173 to the external device 18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먼저 상기 제어부110은 디지털 방송 재생시 상기 튜너171에 사용자 의 선택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를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튜너171은 상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에 동조되어 설정된 방송채널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조부173은 상기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복호기175는 상기 복조된 방송데이터에서 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정보들을 분류한 후, 이들을 각각 대응되는 복호기를 통해 복호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된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160을 통해 재생되고 비디오 데이터는 표시부150을 통해 재생된다.  First, the controller 110 sets a frequency for receiving data of a user's selected broadcast channel in the tuner 171 during digital broadcast playback. The tuner 171 then tunes to the set frequency channel and receives the set broadcast channel data. The demodulation unit 173 demodulates the data of the broadcast channel into original data and outputs the demodulated data. The decoder 175 classifies audio, video, and broadcast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and then decodes them through corresponding decoders. The decoded audio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160 and the video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의 외부장치2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장치200의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외부장치200에서 디지털 방송의 재생 요구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이를 수신하며, 외부장치200에서 선택된 방송채널을 확인하여 해당 방송채널의 식별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튜너171을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주파수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제어하여 상기 복조기173에서 출력되는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외부장치200에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복조기173에서 출력되는 복조데이터를 상기 복호기175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200을 통해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복호기175는 동작될 수도 있고 동작되지 않을 수도 있도록 선택적 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data to the external device 20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and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2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hat is,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requests for playback of a digital broadcast,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data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checks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i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It transmits via the communication unit 180, and controls the tuner 171 to set the frequency channel so that the data of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can be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to transmit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3 to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transmit demodulated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3 to the decoder 175, and may not be transmitted. In other words, when the digital broadcast data is played back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0, the decoder 175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so that it may or may not be operated.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은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DMB 및 DVB 방식이 있으며, 상기 DMB 방식은 지상파 DMB 및 위성 DMB 방식이 있으며, 또한 상기 DVB 방식은 DVB_T  및 DVB_H 방식이 있다. 상기 DMB 및 DVB 방식의 방송데이터는 MPEG2-TS 구조를 가지며, 상기 MPEG2-TS 구조의 방송데이터는 패킷 스트림으로써, 각 패킷들은 패킷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킷 헤더는 방송채널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P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은 상기 PID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MB 및 DVB_T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MPEG2_TS 구조를 가지는 각 패킷의 페이로드는 방송 데이터(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데이터)로 채워지며, 상기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MPEG2-TS 구조를 가지는 각 패킷들의 페이로드는 IP 정보 및 상기 방송데이터로 채워진다. 따라서 복조기173은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복조하여 MPEG-2 TS로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복조기173에서 출력되는 복조된 TS데이터는 근거리통신부180 및(또는) 복호기175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TS데이터는 압축 부호화된 형태의 데이터이며, 따라서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데이터는 압축부호화된 방송데이터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외부장치200에 압축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복호된 방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매우 양호한 전송 율을 가지므로 방송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broadcast metho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s a DVB method and a DVB method. The DVB method includes a terrestrial DMB and a satellite DMB method, and the DVB method includes DVB_T and DVB_H methods. The broadcast data of the "DMB" and "DVB" methods have a MPEG2-TS structure, and the broadcast data of the MPEG2-TS structure is a packet stream, and each packet is composed of a packet header and a payload. In addition, the packet header contains PID information, which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broadcast channel. Therefor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can select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using the PI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ayload of each packet having the MPEG2_TS structure in the DMB and DVB_T digital broadcast receivers is filled with broadcast data (audio, video, and broadcast data), and the MPEG2-TS structure in each digital broadcast receiver of the DVB_H method is used. The payload of the packets is filled with IP information and broadcast data. Therefore, the demodulator 173 demodulates the service channel data and generates the MPEG-2 TS. Therefore, the demodulated TS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3 is transmitted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80 and / or the decoder 175. At this time, the "TS data" is "compressed" coded "data", and thus "broadcas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is compressed coded broadcast data. Therefore, since the compressed broadcast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80,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broadcast data can be improved becaus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ecoded broadcast data is very goo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의 외부장치2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장치200의 제어하에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외부장치200에서 디지털 방송의재생 요구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이를 수신하며, 외부장치200에서 선택된 방송채널을 확인하여 해당 방송채널의 식별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튜너171을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주파수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제어하여 상기 복조기173에서출력되는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외부장치200에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제어부110은 상기 복조기173에서 출력되는 복조데이터를 상기 복호기175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200을 통해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복호기175는 동작될 수도 있고 동작되지 않을 수도 있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digital broadcast data to the external device 20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200. That is,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requests for playback of digital broadcasting,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data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checks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i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It transmits via the communication unit 180, and controls the tuner 171 to set the frequency channel so that the data of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can be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to transmit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3 to the external device 2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the demodulated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3 to the decoder 175, and may not be transmitted. That is, when the digital broadcast data is played back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0, the decoder 175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so that it may or may not be operated.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은 상기 키입력부140을 통해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의 동작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200에서 전송되는 동작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200에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의 출력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200에 선택된 방송채널의 식별자(PID 등)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외 부장치200은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수신되는 복조데이터로부터 선택 방송채널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고, 또한 상기 방송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오디오 및 방송정보들을 각각 해당하는 복호기를 통해 복호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can receive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hrough the key input unit 140, and can also receive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via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80. When reproducing the outpu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n identifier (PID, etc.) of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80. The external device 200 can then demultiplex the video and audio data of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from the demodulated data received by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broadcast channel, and also extract the broadcast information, the video, audio and broadcas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an be decoded and played back through the corresponding decoder.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외부장치200을 통해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는 상태에서 착신 또는 발신 통신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의 출력을 상기 외부장치200에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발신 또는 착신 통신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incoming or outgoing communication function is set in the state of play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0, the outpu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at the same time the outgoing or incoming communication function. You can service it.

상기 제어부110은 수신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사용자는 수신된 데이터들 중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해서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콜 수신시  이름,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 수신시 메시지 발신자의 이름 또는 전화번호,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된다. 휴대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북, 일정, 메모, 알람 관련 정보들도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포함된다. The controller 110 blocks transmission of the data set by the user from the receiv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user blocks transmis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receiv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at the time of receiving a call, a phone number or a name or a phone number of a message sender at the time of receiving a message, and contents of a message. Phonebook, schedule, memo and alarm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re also included i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즉, 제어부110는 콜이 수신된 경우, 발신자의 이름이나 전화번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대신 콜이 수신되었다는 정보만을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일정 관련 정보에 대해서도 상기 외부장치로 일정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 일정이 있다는 보조한 정보만을 전송한다. That is,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10 only transmits the information that the call was received instead of transmitting the caller's name or telephone number to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only supplementary information that there is a schedule, instead of transmitting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to the extern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는 외부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200은 컴퓨터(personal computer), TV 등이 될 수 있다.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device 200 for playing back digital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a TV, or the like.

즉, 제어부110는 콜이 수신된 경우, 발신자의 이름이나 전화번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대신 콜이 수신되었다는 정보만을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일정 관련 정보에 대해서도 상기 외부장치로 일정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 일정이 있다는 보조 데이터만을 전송한다. That is,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10 only transmits the information that the call was received instead of transmitting the caller's name or telephone number to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only auxiliary data indicating that there is a schedule, instead of transmitting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근거리통신부220은 복조된 방송채널데이터를 수신하며, 복호기230은 상기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오디오, 비디오 및 방송정보로 분류하고, 이들을 각각 대응되는 복호기를 통해 복호하며, 상기 복호된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250을 통해 재생되고 복호된 비디오데이터는 표시부240을 통해 재생된다. 또한 상기 복호된 방송정보는 메모리270에 저장되며, 필요시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부240 및 스피커250을 통해 재생된다. In addition, when the digital broadcast playback mode is set,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20 receives the demodulated broadcast channel data, and the decoder 230 classifies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into audio, video and broadcast information, and sends them through corresponding decoders. The decoded audio data is decod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250, and the decoded video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In addition, the decoded broadcas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70, and, if necessary,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speaker 2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의 동작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방송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외부장치200을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은 근거리통신부180을 통해 상기 디지털방송수신기170의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외부장치200은 역시 내부의 근거리통신부220을 통해 복조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내부의 복호기230을 통해  복호한 후 재생한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200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휴대단말기100은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o reproduce the received broadcast data. When the digital broadcast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0,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Then, the external device 200 also receives the demodulated broadcast data through the internal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20, and decode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through the internal decoder 230 and plays it back.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20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accordingly. do.

상기 외부장치200을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은 착신 및 발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은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터의 경로만 설정하고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휴대단말기100은 디지털방송수신기170과 독립적으로 통신부120을 통해 상기 착신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외부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휴대단말기100을 이용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음성 통화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경로는 상기 디지털 방송과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digital broadcast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0, the mobile terminal 100 can perform incoming and outgoing communication functions. This is the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only sets the path of the digital broadcast data, and thus the mobile terminal 100 can set the communication path to perform the incoming call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ndependently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1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Because.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perform the communication function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while watching the digital broadcast being 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200. At this time, the voice call function and data communication path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digital broadcast.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10는 수신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부240로 출력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at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ontroller 210 blocks output of the data set by the user from the received data to the display unit 24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S4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 입력부140의 조작데이터에 따라 개인 정보 차단 모드를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인 정보는 콜 수신시  이름,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 수신시 메시지 발신자의 이름 또는 전화번호,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된다. 휴대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폰북, 일정, 메모, 알람 관련 정보들도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다. In step S400, the control unit 110 sets a personal information block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data of the key input unit 140. As described above,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 name at the time of receiving a call, a telephone number or a name or a telephone number of a message sender at the time of receiving a message, and the content of the message. Phonebook, schedule, memo and alarm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re also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4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는 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외부장치로 전달한 데이터가 발생하면 S404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외부장치로 전달할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으면 S402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할 데이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만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거나, 발생한 모든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발생한 모든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tep S402,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generated. If the data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ccurs, go to step S404, and 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not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ove to step S402. Data to be deliver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That is,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only specific data to the external device or to transmit all generat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sets to transmit all generat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S4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발생한 데이터에 사용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콜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수신된 콜과 관련하여 발신자 정보나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발생된 데이터가 일정 데이터라면, 상기 일정 데이터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일정 데이터와 관련된 개인 정보는 일정의 상세 정보(일정과 관련된 시간 정보, 인물정보, 장소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발생한 데이터에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S406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S408단계로 이동한다. In step S404,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generated data. That is, when a cal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caller information or a caller's phone number is included in relation to the received call. Alternatively, if the generated data is schedule data,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chedule data. The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data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chedule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person information, place information, etc.).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110 moves to step S406,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not included, moves to step S408.

S4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콜 수신 데이터이면, 상기 보조 데이터는 "전화가 왔습니다."가 되며,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일정 데이터라면, 상기 보조 데이터는 "일정이 있습니다."가 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발생 가능한 데이터별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S406,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data. If the generated data is call reception data, the auxiliary data is " Call has arrived. &Quot; If the generated data is constant data, the auxiliary data can be " scheduled. &Quot; The auxiliary data may be preset for each data tha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4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발생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즉,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방송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는 발생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S4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즉,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콜 수신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는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보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In step S408,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if the generated data is broadcast data,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to an external device. In step S410, the controller transmits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data to an external device. In other words, if the generated data is call reception data,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cillary data "Call came" to the external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의 제어부2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의 제어부210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외부장치의 제어부210에서 개인정보를 차단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의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들 중 사용자 개인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ler 210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ler 210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5 illustrates a process of blocking personal information by the controller 210 of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ntroller 210 of the external device controls the display unit 240 to display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r displays the remaining data except for user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You can control it to display.

S5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키입력부의 조작데이터 또는 상기 휴대 단말 기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차단 모드를 설정한다. In step S500, the control unit 210 sets the personal information block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data of the key input unit or the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S5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방송 데이터, 콜 데이터, 일정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S504단계로 이동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S502단계로 이동한다. In step S502, the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data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broadcast data, call data, schedule data, and the lik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210 moves to step S504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f no data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oves to step S502.

S5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수신한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개인 정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210는 수신한 데이터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S506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S508단계로 이동한다. In step S504, the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f the received data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210 moves to step S506. If the received data does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210 moves to step S508.

S5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콜 수신 데이터이면, 상기 보조 데이터는 "전화가 왔습니다."가 되며,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일정 데이터라면, 상기 보조 데이터는 "일정이 있습니다."가 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발생 가능한 데이터별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S506, the controller 210 generates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data. If the generated data is call reception data, the auxiliary data is " Call has arrived. &Quot; If the generated data is constant data, the auxiliary data can be " scheduled. &Quot; The auxiliary data may be preset for each data tha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5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발생한 데이터를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방송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210는 발생한 데이터가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S5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를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발생한 데이터가 콜 수신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는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보조 데 이터를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operation S508,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generate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hat is, if the generated data is broadcast data,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generate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step S510,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display unit 240 to display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data. That is, if the generated data is call reception data,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240 to display auxiliary data "Call came."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인정보 차단 모드를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정하거나, 모두에 설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t the personal information blocking mode to either the mobile terminal or the external device, or both.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상기 도 6과 도 7은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 중 콜 수신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방송데이터와 콜을 발신한 발신자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상기 도 7은 방송데이터와 콜 수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인 "전화가 왔습니다."만을 표시하고 있다. 6 and 7 illustrate a case where call reception data is received while display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on the display unit. 6 shows broadcast data and a telephone number of a caller and a caller who sent a call. On the other hand, FIG. 7 shows only "call came" which is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broadcast data and call reception data.

상술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들 중 문자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외부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들 중 상기 개인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ext data amo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same may be performed for all data including voice data. That is, the user may set to block the output of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data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external device.

상술한 바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 수신된 데이터들 중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외부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by not display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data received by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발생한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보조데이터를 외부 장치의 표 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of the external device to notif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the event has occurred.

Claims (11)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 전송 시,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blocking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process comprises: 상기 전송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And setting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the transmission blocking.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 And transmitting the auxiliary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And outputting data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to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외부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utputting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external device, 상기 수신한 데이터 출력 시,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blocking upon outputting the received data;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출력 방법.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blocking the output of the dat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외부 장치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출력 방법.The data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o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external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tting process, 상기 출력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조 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출력 방법.And setting auxiliary data corresponding to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for which the output is blocked.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출력 방법.And outputting the auxiliary data.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 전송 시,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blocking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determine whether the data include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block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장치에 있어서,In the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data,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 mobile terminal, 상기 수신한 데이터 출력 시,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외부 장치.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personal information required to be blocked when outputting the received data, determine whether the data include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block the output of the data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device.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 전송 시, 차단이 요구되는 개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personal information requiring blocking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and displaying the data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KR1020060104348A 2006-10-26 2006-10-26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812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48A KR100812329B1 (en) 2006-10-26 2006-10-26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48A KR100812329B1 (en) 2006-10-26 2006-10-26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329B1 true KR100812329B1 (en) 2008-03-10

Family

ID=3939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348A KR100812329B1 (en) 2006-10-26 2006-10-26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32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179A (en)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팬택 Outgoing data protecting method for mobile hands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179A (en)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팬택 Outgoing data protecting method for mobile hand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554B1 (en) 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In A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US7634794B1 (en) Broadcasting servi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66852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WO200308187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7658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77091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apture imag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KR100640374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861323B1 (en) Method for relay broadcast in image communication of portable terminal
KR100677186B1 (en)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call while operating multimedia job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123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JP4435206B2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KR100713355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vision in mobile telephone
JP2006211431A (en) Telephone set with stream receiving function and stream reproducing method in telephone set with stream receiving function
JP435601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ing program
JP4774115B2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JP2009100378A (en) Mobile terminal with video telephone function,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JP2005348016A (en) Broadcast receiving mobile terminal
JP4707385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0233492Y1 (en)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Receiver Having a Function of Telephone
KR100823209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lternate image transmitting func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lternate image for portable terminal
JP2004336481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JP4812640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9272901A (en) Television system
JP2005252330A (en) Mail receiver
JP2006333351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