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779B1 -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779B1
KR100811779B1 KR1020060063759A KR20060063759A KR100811779B1 KR 100811779 B1 KR100811779 B1 KR 100811779B1 KR 1020060063759 A KR1020060063759 A KR 1020060063759A KR 20060063759 A KR20060063759 A KR 20060063759A KR 100811779 B1 KR100811779 B1 KR 10081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tilting
swivel
swiveling
posi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4885A (en
Inventor
박명진
강형구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102006006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779B1/en
Publication of KR2008000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의 지향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위블링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모니터가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틸팅시키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의 모니터에 대한 현재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 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기억하는 제4단계; 오프시 모니터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한 다음,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기 위한 제6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rectivity angle of a computer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raising the monito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during initial operation; A second step of swiveling leftward or rightward to change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elevated to a second position; A third step of til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to change the vertical tilt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swiveled; A fourth step of storing in real time a current second position value, a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a tilting position value for the monitor in the first to third steps; A fifth step of maintaining the tilting state of the monitor in an upright state when off, putting the swiveling state of the monitor in a front gaze state, and then automatically lowering the monitor from a second position to a first position; And when the monitor is operated again in the fifth step, the monitor is sequentially raised, swiveled and tilted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value, the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the tilting position value of the monitor already stored in the fourth step. A sixth step to be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previous state.

컴퓨터, 책상, 승강, 스위블링, 틸팅, 모니터 Computer, Desk, Elevation, Swiveling, Tilting, Monitor

Description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책상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to which the monitor lifting and screen angle automatic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모니터가 책상의 상부로 상승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책상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moved to the top of the des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의 메카니즘에 대한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echanism of the monitor lifting and screen automatic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조립단면도: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chanism shown in FIG. 3:

도 5는 모니터가 책상 위로 상승되거나 초기위치로 하강될 수 있으며, 책상 위로 상승된 후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상하(tilt), 좌우(swivel)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컴퓨터의 오프시 현재의 모니터 위치를 자동적으로 기억한 후 모니터의 상하(tilt), 좌우(swivel)상하키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이다.5 shows that the monitor can be raised above the desk or lower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fter being lifted above the desk, the monitor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swivel according to the user's eyes, and the current monitor positio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for automatically tilting, swiping up and down the monitor after automatically remember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책상 3: 모니터1: desk 3: monitor

4: 제어판 11: 승강용 모터4: control panel 11: lifting motor

14: 승강부재 21: 스위블링용 모터14: lifting member 21: swivel motor

26: 스위블부재 31: 틸팅용 모터26: swivel member 31: tilting motor

36: 틸팅부재 100: 모니터구동장치36: tilting member 100: monitor drive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를 소정의 높이(height)로 승강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시야에 맞도록 모니터를 좌우방향(swivel)과 상하방향(tilting)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모니터조절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오프시 모니터의 현재 위치인 하이트,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기억한 후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나서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로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고, 컴퓨터의 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상기의 기억된 하이트로 상승시킨 후, 최종 기억된 틸팅 및 스위블 위치로 모니터를 자동적으로 지향되게 조절하도록 한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monitor adjustment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monitor to the left and right (swivel) and up and down (tilting) to raise and lower the computer monitor to a predetermined height (height) to fit the field of view. Specifically, the height, tilt and swivel state, which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nitor, is memorized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and then the tilt and swivel state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n the monitor is lowered to the bottom of the desk to return the monitor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monitor and an apparatus and a desk having such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monitor to the last stored tilting and swivel position after raising to the stored height.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정 및 사무실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컴퓨터 이용자는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the use of computers in homes and offices is essential, and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computer users are increasing.

이와 같이 현대인에게는 필수적인 컴퓨터는 그 성능면에서 끊임없이 개발되고 발전되는 추세이지만, 이를 사용하는 환경은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컴퓨터 사용환경을 보면,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를 일반적인 책상위에 나란히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모니터만 책상 위에 올려놓은 상 태에서 본체는 책상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다.As such, computers that are essential to modern people are constantly being developed and developed in terms of their performance, bu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used has not changed much. In the computer environment that is common in homes and workplaces, it is common to use the monitor and the computer body side by side on a common desk, or use the body under a desk with only the monitor on the desk.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도 모니터가 책상의 상부공간을 점유하여 모니터의 크기 만큼 책상의 활용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여러가지 업무나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Therefore, even when the computer is not used, the monitor occupies the upper space of the desk, thereby reducing the utilization space of the desk as much as the size of the desk.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책상의 상판 중앙부에 사각구멍을 뚫어 유리로 덮고, 이 사각구멍의 직하방에 형성된 수납함에 데스크탑형 모니터를 경사지게 수납하여 유리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여서 책상의 상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발명이 안출된바 있으나, 이와 같이 모니터가 책상의 내부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모니터가 책상의 내부 공간부를 점유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다리의 움직임이 불편하였고,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 모니터의 화면을 주시해야 했으므로 인체에 쉽게 피로감이 느껴졌으며, 모니터를 수리시 수납함으로 부터 꺼내기가 힘들었고, 책상의 제조 단가가 전체적으로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to compensate for this, a square hole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covered with glass, and the desktop monitor is inclinedly placed in a storage box formed directly below the square hole so that the screen of the monitor can be viewed through the glass.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ecure a space, when the monitor is stored inside the desk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 occupies the internal space of the desk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egs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it on the chair. It wa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so that the human body felt tired easily, and it was difficult to remove the monitor from the storage box when the monitor was repai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sk was increased overall.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80392호에는 책상의 상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에는 데스크탑형 모니터가 소정각도(예컨대 60°정도) 경사진 상태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 컴퓨터 책상이 개시되어 있고,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280392 has an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and the desktop monitor is installed so that the desktop monitor can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bout 60 °). Computer desk is disclosed,

실용신안등록 제347297호에는 책상 상판의 상면부에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 출입공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 출입공의 직하방으로 책상의 내부에 배치된 격판의 배면부에 랙과 피니언 및 모터를 이용한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간편하게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책상의 상판위 로 노출시키거나 책상의 내부로 수납시켜 책상의 활용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으며,Utility Model Registration No.347297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access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and using a rack, pinion and motor on the back portion of the diaphragm disposed inside the desk directly below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entrance hole. By installing a lifting device, a desk is disclos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can be easily exposed on the top plate of the desk or stored inside the desk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실용신안등록 제391341호에는 X-자형 링크바의 끝단부에 활형상의 기어를 형성하여 모터를 정역회전시켜 X-자형 링크바로 하여금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승강시키도록 한 컴퓨터 책상이 개시되어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91341 discloses a computer desk in which an arc-shaped gear is formed at an end of a V-shaped link bar to rotate the motor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V-shaped link bar lifts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 고안들은 모니터를 단순히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한 것에 불과할뿐 책상의 하부로부터 상부위치(height level; 이하 '하이트'라 약칭함)로 돌출된후 사용자가 주시하기 편한 각도, 즉 swivel angle(사용자가 모니터를 주시할 경우 모니터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각도; 이하 '스위블'이라 약칭함)과 tilting angle(사용자가 모니터를 주시할 경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각도; 이하 '틸팅'이라 약칭함)로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전혀 없었다.However, the utility model designs merely allow the monitor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the angle which is easy for the user to observe aft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desk to the height level (abbreviated as 'height'), that is, swivel. angle (the angle to move the monitor left and right when the user watches the moni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wivel); and tilting angle (the angle to move the monitor up and down when the user watches the moni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ilting') There was no automatic adjustment.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347297호와 제391341호의 경우, 사용자가 주시하기 편리하도록 모니터의 스위블과 틸팅을 조절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스위블과 틸팅을 최초위치(정위치 또는 수직위치)로 다시 조절해야만 모니터가 책상의 모니터 출입공을 관통하여 책상의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343297 and 391341, while operating the computer while the monitor is swiveled and til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serve, the swivel and The tilting must be adjust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either home position or vertical position) to allow the monitor to penetrate the desk through the monitor opening and lower down the desk.

따라서, 실용신안등록 제347297호와 제391341호에 개시된 고안은 모니터의 상승후 사용자가 모니터의 스위블 및 틸팅작업을 수동으로 조절해야하고, 컴퓨터의 사용후 모니터를 책상 하측으로 수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스위블 및 틸팅을 원위치(정위치 또는 수직위치)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다시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Therefore, the invention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343297 and 391341 requires the user to manually adjust the swivel and tilting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raised, and to store the monitor to the lower side of the desk after using the computer. And the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re-adjust the tilting to its original position (either home position or vertical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의 오프시 모니터의 현재위치인 하이트,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기억한 후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로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고, 컴퓨터의 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상기의 기억된 하이트로 상승시킨 후, 최종 기억된 틸팅 및 스위블 위치로 모니터를 자동적으로 지향되게 조절하도록 한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emb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nitor height, tilting and swivel state when the computer off, and then return the tilting and swivel state to the initial position The monitor is lowered to the bottom of the desk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using a computer, the monitor is raised to the above remembered height, and then the monitor lifts and screens are automatically adjusted so that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last stored tilt and swivel posi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ngle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having the above-described monitor lifting and screen automatic adjustment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은,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위블링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모니터가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틸팅시키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의 모니터에 대한 현재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 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기억하는 제4단계; 오프시 모니터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한 다음,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기 위한 제6단계를 포함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elevating and adjusting an angle of a monitor, the method including: a first step of raising a monito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during initial operation; A second step of swiveling leftward or rightward to change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elevated to a second position; A third step of til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to change the vertical tilt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swiveled; A fourth step of storing in real time a current second position value, a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a tilting position value for the monitor in the first to third steps; A fifth step of maintaining the tilting state of the monitor in an upright state when off, putting the swiveling state of the monitor in a front gaze state, and then automatically lowering the monitor from a second position to a first position; And when the monitor is operated again in the fifth step, the monitor is sequentially raised, swiveled and tilted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value, the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the tilting position value of the monitor already stored in the fourth step. Technical configuration features include a sixth step to be automatically directed to a previous state.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를 구동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바, 이는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및 상기 제2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위치까지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스위블수단;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해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팅수단; 작동시 상기 모니터에 대한 승강수단의 현재의 제2위치값, 상기 틸팅수단에 의한 틸팅위치값 및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한 스위블위치값을 기억하기 위한 모니터 상태 기억수단; 및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 스위블수단 및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시 상기 틸팅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스위블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riving a monitor connected to a computer body, which, during initial operation, moves the monitor up / down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an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Lifting means for; Swivel means for rotat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chang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lift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lifting means; Til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to vary the vertical tilt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being swiveled by the swivel means; Monitor state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urrent second position value of the lifting means relative to the monitor, a tilting position value by the tilting means and a swivel position value by the swivel means;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means, the swivel means and the tilting means by an external input signal, and operates the tilting means during off to maintain the monitor in an upright state, and then operates the swivel means so that the monitor faces the front. And a controller for operating a lift means to generate a signal that causes the monitor to descend sequentially and automatically from a second position to a first position.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오프시에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troll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gain, the monitor is moved, swiveled and til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value, the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the tilting position value of the monitor already stored when the monitor is turned off. It is desirable to be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state of.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시 피니언과 랙방식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승강높이값을 감지하기 위한 승강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means comprises a housing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motor fixed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 elevating member capable of elevating the pinion and the rack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moto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member includes a lifting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lifting height valu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블수단은 승강수단의 승강부재에 고정된 브라켓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의 회전시 베벨기어방식으로 스위블 가능한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가 상기 좌측방향에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블링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블링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vel means includes a second motor mounted on a bracket fixed to the elevating member of the elevating means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wivelable swivel member capable of bevel gearing when the second motor is rotated; Preferably, the swivel member includes a swiveling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swiveling position value which is moved from the left direction to the right direction.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스위블수단의 스위블부재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3모터; 상기 제3모터의 회전시 원호형 기어방식으로 틸팅 가능한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가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지게 이동되는 틸팅 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틸팅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ilting means includes a third motor mounted on the swivel member of the swivel means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tilting member capable of tilting by an arc-type gear method when the third motor is rotated; Preferably, the tilting member includes a tilting position detector for sensing a tilting position value which is tilted from the vertical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이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sk having a monitor lift and screen automatic adjus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책상(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책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기타의 다양한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nd the des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have various other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의 상부면에는 힌지와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개폐되는 통상의 커버(2)가 장착되어 있는바,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모니터(3)가 상승할 경우 커버(2)가 모니터(3)의 상승력에 의해 힌지방식으로 열리게되고, 모니터(3)가 하강할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커버(2)의 작동구조는 통상의 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님을 밝혀둔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1 is equipped with a normal cover 2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and a spring (not shown), which is a monitor 3 as shown in FIG. 2. When the cover rises, the cover 2 is opened in a hinged manner by the lifting force of the monitor 3, and when the monitor 3 descends, the cover 2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spring for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ration structure of 2) is no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ventional manner.

그리고, 도 1과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책상(1)의 상판 일측에는 모니터를 상승, 스위블 및 틸팅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제어판(4)을 구비한바,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1 and 2, the upper side of the desk 1 includes a control panel 4 for inputting a signal for raising, swiveling and tilting the monitor,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I will explain.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3)를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기 위한 구동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는바, 우선 본 발명은 초기 작동시 모니터(3)를 제1위치(최초위치인 책상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제2위치(모니터3이 책상과 수평이거나 그 이상 상승한 상태)까지 및 상기 제2위치에서부터 제1위치까지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한다.3 shows a drive device 100 for elevating, swiveling and tilting the monitor 3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onitor 3 with a first position (first position) during initial operation. And lifting means for up / dow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tate where the monitor 3 is horizontal or higher than the desk)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이 승강수단은 책상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101)내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승강용 모터(11)가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모터(11)의 축(11a)에는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되고, 이 피니언기어(12)는 승강부 재(14)의 내측에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된 랙기어(13)와 치합되어 승강부재(14)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14)의 일측에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승강높이값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들(14a,14b)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감지기들(14a,14b)은 센서들(S2,S3)과 협동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상승부재(14)의 위치값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도 5에 도시된 콘트롤러(202)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elevating means includes a housing 101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sk, in which the elevating motor 11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fixed in a suitable manner, and the shaft 11a of the motor 11 is fixed. A pinion gear 12 is arranged in the shaft, and the pinion gear 12 meshes with the rack gear 13 fixed in a proper manner to the inside of the lifting member 14 to lift the elevating member 14. .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14, detectors 14a and 14b are formed to detect a lift height valu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rein the detectors 14a and 14b are sensors ( In order to accurately sense the position value of the rising member 14 which is raised and lowered in cooperation with S2 and S3, a signal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2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감지기들(14a,14b)및 센서(S2,S3)는 상하측에 각각 2개씩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은 다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ly two detectors 14a and 14b and two sensors S2 and S3 shown in FIG. 1 are show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but this is merely to simplify the illu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se are installed in plurality.

따라서, 이들 감지기들(14a,14b)과 센서(S2,S3)는 승강부재의 상승 및 하강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무리한 상승 또는 하강을 검지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se detectors 14a and 14b and the sensors S2 and S3 are preferably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to accurately sense the rising and falling positions of the elevating member and to detect excessive rising or falling.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하우징(101)에는 감지기들(14a,14b)들이 원활하게 수직 이동되도록 한 안내용 장공(101a)이 형성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 the one side housing 101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01a for smoothly vertical movement of the detectors (14a, 14b).

한편, 구동장치(100)는 승강수단에 의해 모니터(3)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모니터(3)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스위블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 스위블수단은 승강부재(14)의 상단부에 고정된 브라켓(25)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스위블용 모터(21)와, 이 모터(21)의 회전시 회전되는 베벨기어(22,23)에 의해 스위블 가능한 스위블부재(26)를 포함하 는바, 이 스위블부재(26)는 베벨기어(23)의 회전축(23a)에 결합되며 다수의 감지기(도 3에는 2개의 감지기 24a,24b만이 도시되었음)를 구비한 회전판(24)과, 이 회전판(24)과 함께 회전(스위블)가능하며 다수의 센서(도 3에는 2개의 센서 S4,S5 만이 도시되었음)를 구비한 ∪-자형의 스위블용 고정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swivel means for rotat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chang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nitor 3 after the monitor 3 is elevat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lifting means Wherein, the swivel means is mounted on the bracket 2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14, the swivel motor (21)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bevel gear (22, rotated when the motor 21 is rotated), A swivel member 26 which is swivelable by means of 23),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3a of the bevel gear 23 and has a large number of sensors (only two sensors 24a, 24b in FIG. 3). ∪-shaped swivel with a rotating plate 24 with a rotating plate 24, which is rotatable (swivel) with the rotating plate 24 and a plurality of sensors (only two sensors S4 and S5 are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fixing body.

한편 구동장치(100)는 스위블수단에 의해 스위블링된 후 모니터(3)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3)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팅수단을 구비한바, 이 틸팅수단은 스위블용 고정체(26)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틸팅용 모터(31)와, 이 모터(31)의 회전시 원호형 기어방식으로 틸팅 가능한 틸팅부재(3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틸팅부재(36)는 모터(31)의 회전축(31a)에 고정된 스퍼기어(32)와, 이 기어(32)와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기어(36a)가 형성된 원호형의 가동부재(36)를 포함하고, 이 가동부재(2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지기들(36a,36b)이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축(34)이 키이홈(34a)에 결합되는 키이(35)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틸팅부재(36)의 상부는 평탄면을 형성하여 모니터(3)의 하부에 고정 지지된 지지체(40)에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til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3 to change the vertical tilt position of the monitor 3 after being swiveled by the swivel means. And a tilting motor 31 mounted on the swivel fixed body 26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a tilting member 36 capable of tilting in an arc-shaped gear manner when the motor 31 is rotated. Here, the tilting member 36 is a spur gear 32 fixed to the rotation shaft 31a of the motor 31, and an arc-shaped movable member in which the gear 36a is formed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gear 32. 36, wherein the movable member 26 has a plurality of sensors 36a and 36b formed on one si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otary shaft 34 is connected to the key 35 coupled to the key groove 34a. It is fixed to each other,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36 forms a flat surface and is fixed in a suitable manner to the support 40 fixedly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nitor (3).

그리고, 다수의 센서(도 3에는 2개의 센서 S6,S7 만이 도시되었음)와 감지기들(36a,3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값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only two sensors S6 and S7 are shown in FIG. 3) and the detectors 36a and 36b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accurately sense the tilting value as described above.

도 5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동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메모리(201)는 모니터(3)를 책상 하부의 제1위치로부터 책상위의 제2위치까지 상승시켰을 경우 모니터(3)에 대한 승강수단의 현재의 제2위치값, 상기 틸팅수단에 의한 틸팅위치값 및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한 스위블위치값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FIG. 5 show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the drive device 100 shown in FIGS. 3 and 4, in which the memory 201 moves the monitor 3 from the first position below the desk to the desk. The second position value of the lifting means relative to the monitor 3, the tilting position value by the tilting means, and the swivel position value by the swivel means are stored.

그리고, 콘트롤러(202)는 제어판(4)에 의한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승강수단, 스위블수단 및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시에는 틸팅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3)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다음, 스위블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3)가 도 2와 같이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고 나서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3)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한다.Then, the controller 202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fting means, the swivel means and the tilting means by an external input signal by the control panel 4, and when it is off, operates the tilting means to bring the monitor 3 into an upright state. After holding, operate the swivel means so that the monitor 3 looks at the front as shown in Fig. 2, and then operate the lift means so that the monitor 3 descends sequentially and automatically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Generates a signal to maintain a state equal to one.

그리고, 콘트롤러(202)는 구동장치(100)가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오프시에 이미 기억되었던 모니터(3)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모니터(3)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3)가 이전의 상태대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Then, when the drive device 100 is operated again, the controller 202 sequentially monitors the monitor 3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value, the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the tilting position value of the monitor 3 that were already stored at the time of turning off. Allowing lifting, swiveling and tilting so that the monitor 3 is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previous state.

따라서, 콘트롤러(202)는 모터구동기(203a,203b,203c)로 하여금 각각의 모터(11,21,31)를 구동토록 하며, 도면중 S1은 책상(1)의 개구부근에 설치되어 모니터가 최초로 승강되거나 제어판(4)의 업/다운키를 눌렀을 경우 모니터(3)의 하단부가 책상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올라왔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센서(S1)이 있은 이유는 만약에 모니터(3)가 책상(1)의 개구로부터 완전히 올라오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블모터(21)를 작동시켰을 경우 모니터(3)가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202 causes the motor drivers 203a, 203b, and 203c to drive the respective motors 11, 21, and 31. In the drawing, S1 is installed near the opening of the desk 1 so that the monitor is first installed. It shows a sensor that detects that the lower end of the monitor 3 is completely raised from the surface of the desk when being lifted or when the up / down key of the control panel 4 is pressed. The reason for such a sensor S1 is that if the monitor 3 When operating the swivel motor 21 in a state that is not fully raised from the opening of the desk (1) is to prevent the monitor 3 may be damaged.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100)를 최초로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르고 나서 승강용 상승버튼(△)을 누르면(스텝S11), 콘트롤러(202)는 모터구동기(203a)로 하여금 모터(11)를 작동시켜 승강부재(14)가 상승되도록 한다(스텝S12).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driv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first time, pressing the power-on switch (ON / OFF) and then pressing the lift button △ for lifting (step S11), the controller 202 is the motor driver 203a. ) Causes the elevating member 14 to rise by operating the motor 11 (step S12).

이때 센서(S1)는 모니터(3)가 책상의 개구를 완전히 빠져나와 돌출되었는지를 감지하게 되는데, 완전하게 모니터(3)가 개구로부터 돌출되었을 경우에는 일단 모니터(3)의 승강 작동은 멈추게 되는바,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3)의 수직 상승 높이는 그의 눈높이에 맞도록 승강버튼(△ 또는 ▽)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스텝12). At this time, the sensor S1 detects whether the monitor 3 completely protrudes from the opening of the desk. When the monitor 3 completely protrudes from the open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nitor 3 is stopped. 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vertical rising height of the monitor 3 by using the lifting buttons △ or ▽ to match the eye height (step 12).

이렇게 승강높이가 조정되면 콘트롤러(202)는 현재의 수직위치값을 메모리(201)에 저장하게 되고, 그후 사용자가 모터(203b)를 구동하여 모니터(3)를 스위블링시킬 수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제어판(4)에 있는 스위블버튼(▷ 또는 ◁)을 이용할 수 있다(스텝S13).When the lifting height is adjusted in this way, the controller 202 stores the current vertical position value in the memory 201, and then the user can drive the motor 203b to swivel the monitor 3. A swivel button (▷ or ◁) in the control panel 4 can be used (step S13).

만약에 스위블버튼(◁)을 눌러 모니터(3)가 좌측으로 이동(스위블)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기에 적당한 위치에서 멈추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스위블링값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반면에(스텝S14,S15), 스위블버튼(▷)을 눌러 모니터를 다시 스위블링시키면 현재의 스위블링값이 메모리(201)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이전에 기억된 좌측이동에 대한 스위블링값은 삭제되고 현재(최종)의 스위블링값(우측으로의 이동에 대한 스위블링값)이 새롭게 메모리(201)에 저장되는 것이다(스텝S16,S17).If the monitor 3 is moved to the left side (swivel) by pressing the swivel button (◁) and the user stops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 corresponding swivel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steps S14 and S15), When the monitor is swiveled again by pressing the swiveling button?, The current swiveling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201. Here, the previously memorized swiveling value for the left movement is deleted and the current (final) swiveling value (swiveling value for the movement to the right) is newly stored in the memory 201 (steps S16 and S17).

이렇게 스위블링값이 저장완료된 후에는 모니터(3)를 수직위치로부터 소정의 틸팅각도로 조정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바, 전술한 스위블링동작과 유사하게 틸팅버튼(△ 또는 ▽)을 눌러 모니터(3)의 경사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스텝S18~S22).After the swiveling value is stored, the mode for adjusting the monitor 3 from the vertical position to a predetermined tilting angle is set. Similarly to the swivel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by pressing the tilting button △ or ▽, the monitor ( The inclination angle of 3) can be set (steps S18 to S22).

이렇게 모니터(3)의 높이, 스위블링, 및 틸팅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모니터(3)의 높이, 스위블링각도 및 틸팅각도를 조정하고자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그에 해당하는 버튼등을 누르면 조정가능하고, 그에 따른 수직높이, 스위블링각도, 및 틸팅각도는 메모리(202)에 자동적으로 메모리되는바, 이러한 높이, 각도등은 도3 및 도 5에 도시된 각종센서(S~S7)에 의해 감지되어 콘트롤러(202)가 연산하여 메모리(201)에 저장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adjusts the height, swiveling angle and tilting angle of the monitor 3 while using the computer while the height, swiveling and tilting angle of the monitor 3 ar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Press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the swiveling angle, and the tilting angle a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memory 202. Such heights, angles, etc. are various sensors S to S7 shown in FIGS. Is detected by the controller 202 is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201.

한편,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하다가 그만두려고, 제어판(4)의 전원오프스위치를 누르면, 우선적으로 모니터(3)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모터(31)를 작동시키고 나서, 모니터(3)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하도록 모터(21)를 작동시킨후 마지막으로 모니터(3)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모터(11)를 구동시킨다(스텝 S3~S26).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off switch of the control panel 4 to stop working while working on the computer, the motor 31 is first operated to maintain the tilting state of the monitor 3 in the upright state, and then the monitor 3 After operating the motor 21 to make the swiveling state of the front side in the front gaze state, the motor 11 which drives the monitor 3 to automatically descen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is finally driven (steps S3 to S3). S26).

이때 센서(S2)는 승강부재(14)가 완전히 최초위치로 복귀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콘트롤러(202)에 제공하면 구동장치(100)의 작동은 정지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sensor S2 provides the controller 202 with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vating member 14 is complete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apparatus 100 is stopped.

이렇게 최초로 승강높이와, 스위블링 위치 및 틸팅각도가 설정된후 다시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구동장치(100)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전원 오프시 이미 기억된 모니터(3)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모니터(3)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3)가 이전의 상태 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한다.When operating the driving device 100 to use the computer again after setting the lifting height, the swiveling position and the tilting angle for the first time, the second position value and the swivel of the monitor 3 already stored when the driving device is turned off. The monitor 3 is automatically raised, swiveled and tilted according to the ring position value and the tilting position value so that the monitor 3 is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previous state.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온/오프스위치만 누르면 모니터(3)가 이전에 거치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only the power on / off switch, the monitor 3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previously mounted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의 오프시 모니터의 현재위치인 하이트,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기억한 후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로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고, 컴퓨터의 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상기의 기억된 하이트로 상승시킨 후, 최종 기억된 틸팅 및 스위블 위치로 모니터를 자동적으로 지향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height, tilting and swivel state, which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nitor when the computer is off, returns the tilting and swivel state to the initial position, then lowers the monitor to the bottom of the desk,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use of a computer, the monitor is raised to the above-mentioned stored height, and then the convenience is provided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monitor to the last stored tilting and swivel position.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re may be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예컨대, 상승위치값과, 스위블링값 및 틸팅각도에 대한 최종 값을 저장하는 방식은 리얼타임방식 또는 카운터에 의한 연산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thod of storing the rising position value, the final value for the swiveling value and the tilting angle may be calcula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real-time method or a calculation method by a counter.

Claims (7)

컴퓨터 모니터의 지향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angle of the computer monitor: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aising the monito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during initial operation;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위블링시키기 위한 제2단계;A second step of swiveling leftward or rightward to change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elevated to a second position; 상기 모니터가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틸팅시키기 위한 제3단계;A third step of til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to change the vertical tilt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swiveled;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의 모니터에 대한 현재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 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기억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storing in real time a current second position value, a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a tilting position value for the monitor in the first to third steps; 오프시 모니터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한 다음,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A fifth step of maintaining the tilting state of the monitor in an upright state when off, putting the swiveling state of the monitor in a front gaze state, and then automatically lowering the monitor from a second position to a first position; And 상기 제5단계에서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기 위한 제6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When operated again in the fifth step, the monitor is moved, swiveled and til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value, the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the tilting position value of the monitor already stored in the fourth step so that the monitor is mov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xth step to be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state of.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를 구동하는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for driving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및 상기 제2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위치까지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수단과;Lifting means for up / down the monito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an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during initial operation;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스위블수단;Swivel means for rotat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chang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the monitor is lift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lifting means;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해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팅수단;Til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to vary the vertical tilt position of the monitor after being swiveled by the swivel means; 작동시 상기 모니터에 대한 승강수단의 현재의 제2위치값, 상기 틸팅수단에 의한 틸팅위치값 및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한 스위블위치값을 기억하기 위한 모니터 상태 기억수단; 및Monitor state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urrent second position value of the lifting means relative to the monitor, a tilting position value by the tilting means and a swivel position value by the swivel means; And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 스위블수단 및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시 상기 틸팅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스위블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means, the swivel means and the tilting means by an external input signal, and operates the tilting means during off to maintain the monitor in an upright state, and then operates the swivel means to look at the front of the monitor.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elevating means to cause the monitor to descend sequentially and automatically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오프시에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 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When reactivated,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lifted, swiveled and tilted according to the second position value, swiveling position value and tilting position value already stored at the time of off so that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directed to the previous state. Monitor lifting and screen angle automatic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means,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하우징;A housing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1모터;A first motor fixed in the housing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 제1모터의 회전시 피니언과 랙방식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 및An elevating member capable of elevating the pinion and the rack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motor; And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승강높이값을 감지하기 위한 승강위치 감지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And an elevating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elevating height value of the elevating memb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제 2 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수단은,The swivel means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부재에 고정된 브라켓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2모터;A second motor mounted on a bracket fixed to the elevating member of the elevating means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 제2모터의 회전시 베벨기어방식으로 스위블 가능한 스위블부재;A swivelable swivel member capable of bevel gearing when the second motor is rotated; 상기 스위블부재가 상기 좌측방향에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블링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블링위치 감지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And a swiveling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swiveling position value at which the swivel member is moved from the left direction to the right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ilting means, 상기 스위블수단의 스위블부재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3모터;A third motor mounted to the swivel member of the swivel means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 제3모터의 회전시 원호형 기어방식으로 틸팅 가능한 틸팅부재; 및A tilting member capable of tilting by an arc-type gear method when the third motor is rotated; And 상기 틸팅부재가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지게 이동되는 틸팅 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틸팅위치 감지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And a tilting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tilting position value at which the tilting member is inclinedly moved from a vertical position. 제 2항에 기재된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A desk comprising a monitor lift and screen angle automatic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2.
KR1020060063759A 2006-07-07 2006-07-07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KR100811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759A KR100811779B1 (en) 2006-07-07 2006-07-07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759A KR100811779B1 (en) 2006-07-07 2006-07-07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85A KR20080004885A (en) 2008-01-10
KR100811779B1 true KR100811779B1 (en) 2008-03-07

Family

ID=3921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759A KR100811779B1 (en) 2006-07-07 2006-07-07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7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448A2 (en) * 2008-06-12 2009-12-17 Elexa Consumer Products, Inc. Motorizied mount
KR20100138009A (en) * 2009-06-24 201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74B1 (en) * 2008-12-12 2010-09-06 (주)우성파워텍 Electric type monitor up down device for computer
KR100927900B1 (en)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vating monitor
KR101672820B1 (en) * 2016-02-12 2016-11-04 (주)자비오씨엔씨 Height auto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CN108317375A (en) * 2018-04-16 2018-07-2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A kind of Repair of Transformer control cabinet
JP2021144188A (en) * 2020-03-13 2021-09-24 茂樹 泉 Information display system with movable stand and movable stan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039U (en) 1982-03-25 1983-10-03 千代 明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goods
JP2001029141A (en) 1999-07-21 2001-02-06 Kyoei Ind Co Ltd Desk with elevator device
KR20020036227A (en) * 2000-11-09 2002-05-16 최기영 receipt and withdrawal system of monitor for multipurpose desk
US6655645B1 (en) 2002-12-31 2003-12-02 Shin Zu Shing Co., Ltd. Automatically adjusting support for an LCD monitor
JP2004149024A (en) 2002-10-31 2004-05-27 Sony Corp On-vehicle picture display device
KR20050032724A (en) * 2003-10-02 2005-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creen position of a display set
KR20050088725A (en) * 2004-03-02 2005-09-07 한기봉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039U (en) 1982-03-25 1983-10-03 千代 明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goods
JP2001029141A (en) 1999-07-21 2001-02-06 Kyoei Ind Co Ltd Desk with elevator device
KR20020036227A (en) * 2000-11-09 2002-05-16 최기영 receipt and withdrawal system of monitor for multipurpose desk
JP2004149024A (en) 2002-10-31 2004-05-27 Sony Corp On-vehicle picture display device
US6655645B1 (en) 2002-12-31 2003-12-02 Shin Zu Shing Co., Ltd. Automatically adjusting support for an LCD monitor
KR20050032724A (en) * 2003-10-02 2005-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creen position of a display set
KR20050088725A (en) * 2004-03-02 2005-09-07 한기봉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448A2 (en) * 2008-06-12 2009-12-17 Elexa Consumer Products, Inc. Motorizied mount
WO2009152448A3 (en) * 2008-06-12 2010-03-11 Elexa Consumer Products, Inc. Motorizied mount
KR20100138009A (en) * 2009-06-24 201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1581953B1 (en) 2009-06-24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85A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779B1 (en) 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JP3121914U (en) LCD TV storage case
KR101590604B1 (en) The dispaly mounted smart table
JP2570955B2 (en) Display lifting device
JP2001042779A (en) Personal computer
JP4581687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KR100671198B1 (en) Display apparatus
JP2011017738A (en) Display support device
KR101917946B1 (en) Standing desk
KR101667758B1 (en) Angle adjustment device of monitor of education desk
KR20110137641A (en) Structure of the monitor position variable type digital lecture desk
JP2003005279A (en) Tilt device for projector
KR20160050309A (en) Auto position adjust monitor
JP3768343B2 (en) Stand for thin display device
KR20050093382A (en) Elevation devic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US111789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ulated storage
KR101265039B1 (en) display elevation system
CN108294470B (en) Curved surface display screen elevating gear and panel turnover mechanism thereof
KR100805368B1 (en) monitor mediation device
KR20070079123A (en) Desk with monitor lifting device
CN214963389U (en) Control cabinet for LNG production
KR200435731Y1 (en) Tv up-down mechanism for bed
CN211632209U (en) Operation panel for LNG production control room
KR200421824Y1 (en) monitor mediation device
KR20090097066A (en) Table apparatus for controling degree of displa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