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202B1 -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202B1
KR100810202B1 KR1020010063023A KR20010063023A KR100810202B1 KR 100810202 B1 KR100810202 B1 KR 100810202B1 KR 1020010063023 A KR1020010063023 A KR 1020010063023A KR 20010063023 A KR20010063023 A KR 20010063023A KR 100810202 B1 KR100810202 B1 KR 10081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number
telephone number
page
key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232A (ko
Inventor
김영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2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검색이 요구되면 적어도 휴대 단말기는 2개의 전화번호 항목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첫 번째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첫 번째 전화번호 항목에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위치시킨다.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하는 항목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며,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해당 숫자의 번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또한 전화번호 검색목록을 표시함에 있어서 한 줄에 하나씩의 전화번호 항목을 표시하거나 또는 한 줄에 적어도 2개의 전화번호 항목을 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화번호의 검색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의 수정/삭제 및 자동 다이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phone book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S IN PERSONAL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폰,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기본적인 음성 통화 이외에 데이터 통신,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일정 관리, 개인 메모, 인터넷 검색, 방송 수신, 동영상/음악 재생 등의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들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은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특히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거나 누르지 않고도 간편하고 빠른 다이얼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제조업체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정해진 검색키를 누르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상에 검색 메뉴가 표시되고 전화번호 검색을 선택한 후 직접 차례대로 검색하는 방법 또는 단축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대부분 트리 구조의 메뉴에서 "빠른찾기 모드로 검색" -> "전화번호부" -> "빠른찾기"로 찾아 들어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단축 키워드를 사용하는 검색 방법은 원하는 전화 번호를 찾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하고 직접적인 키워드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복잡하다는 단점 때문에 사용자들이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 반면에 차례대로 검색하는 방법은 표시된 전화번호들을 하나씩, 즉 한 줄씩 찾아 검색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보다 개선된 전화번호 검색방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서 전화번호를 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소의 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보다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검색이 요구되면 적어도 2개의 전화번호 항목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첫 번째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첫 번째 전화번호 항목에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하는 항목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해당 숫자의 번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가 위치한 번지의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확인키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가 위치한 번지의 전화번호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검색함에 있어서 전화번호 검색목록을 표시하고 페이지 이동키와 항목 이동키 및 숫자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을 표시함에 있어서 한 줄에 하나씩의 전화번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한 줄에 2개 이상씩의 전화번호 표시이름을 표시하고, 전화번호 항목들 간을 이동함에 있어서 볼륨키 또는 방향키 또는 숫자키를 함께 이용한다. 이를 위해 하기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시켜야 할 구성요소들과 이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 1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들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 11은 휴대 단말기 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 검색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 11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한다. 무선 처리부 12는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며, 기지국 및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신호를 교환한다. 음성 처리부 13은 제어부 11의 제어 하에, 무선 처리부 1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 처리부 13으로 출력한다.
표시부 14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 11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 1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와 문자/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키입력부 15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며 번호를 선택하게 하는 복수개의 숫자/문자키와 기능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한다.
메모리 16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디지털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동작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알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하며, 예를 들어 EEPROM(Electric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고유번지는 표시이름, 집 전화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직장/학교 전화번호, 이-메일, 기타 메모 등의 다양한 항목들이 상호연관되어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 10의 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들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키입력부 15는 상향/하향/좌향/우향의 4가지 방향키들 153과 메뉴/인터넷/확인/통화/취소/종료의 기능키들 155와 문자/숫자키들 157과 볼륨조절/방향 이동에 이용되는 볼륨키들 151을 구비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동작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동작은 이미 도 1과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10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절차를 도면으로 도시하면 첨부된 도 4와 같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대기상태 또는 통화상태에서 제어부 11은 키입력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하여 과정(S105)에서 사용자가 빠른찾기를 요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빠른찾기란 사용자가 메뉴를 검색하여 빠른찾기를 요구하거나 또는 지정된 단축키를 누름으로써 요구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가 도 3에서 전화 모양의 기호(☎)가 표시된 키(즉 단축키)를 길게 누르게 되면 이는 빠른찾기가 요구된 것으로 인식된다. 과정(S105)에서 빠른찾기가 요구되면 제어부 11은 메모리 16에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표시부 14의 화면상에 전화번호 검색목록을 표시한다.
최초에 표시부 14상에는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첫 번째 페이지가 표시되며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첫 번째 페이지의 1번지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문자를 반전시키는 것으로 표시되었다. 이때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각 페이지는 한 줄에 적어도 하나씩의 전화번호 항목들을 가진다. 이는 하나의 화면에 보다 많은 전화번호 항목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전화번호 항목은 표시되는 내용의 길이 및 표시부 14의 화면 크기에 따라 한 줄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정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검색목록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한 줄에 한 명의 단축번호와 표시이름 그리고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한 줄에 3명 이상의 표시이름을 표시한다.
전화번호 검색목록이 표시되면, 과정(S115)에서 제어부 11은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지 이동키는 휴대 전화기 옆면에 위치하는 볼륨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페이지 이동키는 방항키들 153 중 상향키(▲)와 하향키(▼)를 길게 누르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상향키와 하향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눌리면 이는 페이지 이동키로 인식된다.
만일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었으면 과정(S120)에서 제어부 11은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즉 상향 볼륨키가 입력되었으면 앞 페이지로 이동하고 하향 볼륨키가 입력되었으면 뒤 페이지로 이동한다. 반면에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과정(S125)으로 진행한다.
과정(S125)에서 제어부 11은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항목 이동키는 휴대 전화기의 방향키들 153이다. 이때 전화번호 검색목록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한 줄에 한 명의 단축번호와 이름 그리고 간단한 정보만을 표시하는 경우 항목 이동키는 방향키들 153 중 상향키(▲)와 하향키(▼)가 되지만,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한 줄에 2명 이상의 표시이름을 표시하는 경우 항목 이동키는 방향키들 153 모두가 된다. 만일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었으면 과정(S130)에서 제어부 11은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해당 항목으로 이동한다. 즉 상향 키가 입력되었으면 커서는 윗 항목으로 이동하고 하향 키가 입력되었으면 커서는 아래 항목으로 이동한다. 반면에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과정(S135)으로 진행한다.
과정(S135)에서 제어부 11은 숫자키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숫자키는 도 3에 나타낸 문자/숫자키 157이다. 만일 숫자키가 입력되었으면 과정(S140)에서 제어부 11은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해당 숫자의 번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때 전화번호 검색목록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한 줄에 한 명의 단축번호와 이름 그리고 간단한 정보만을 표시하는 경우 이동된 페이지에서는 과정(S135)에서 입력된 숫자의 번지가 가장 위에 있고 다음 번지들이 순서대로 나열되지만,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한 줄에 2명 이상의 표시이름을 표시하는 경우 과정(S135)에서 입력된 숫자의 번지가 화면상의 가장 가운데 위치한다. 이는 사용자가 나머지 목록들을 더욱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에 숫자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과정(S145)으로 진행한다.
과정(S145)에서 제어부 11은 통화키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통화키는 도 3에 나타낸 기능키들 155 중 "통화"키이다. 만일 통화키가 입력되었으면 과정(S150)에서 제어부 11은 전화번호 검색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번지의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한다. 이때 전화번호 검색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번지에 2개 이상의 전화번호들(예를 들어 집, 휴대폰, 직장/학교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 11은 전화번호를 선택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방향키 153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통화키를 누르면 제어부 11은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한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 11은 해당 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지정된 대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한다. 반면에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과정(S155)으로 진행한다.
과정(S155)에서 제어부 11은 확인키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확인키는 도 3에 나타낸 기능키들 155 중 "확인"키이다. 만일 확인키가 입력되었으면 과정(S160)에서 제어부 11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전화번호 수정 또는 삭제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에 확인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과정(S165)으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동작, 예를 들어 전화번호 검색 종료 등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 예를 도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5는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한 줄에 하나의 전화번호 항목만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한 줄에 2개 이상의 전화번호 항목들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전화번호 빠른찾기가 요구되었을 때 전화번호 검색목록은 화면 110과 같이 한 줄에 첫 번째 번지의 전화번호 항목과 그 이하 약 5줄의 전화번호 항목들을 나열한다. 여기서 화면 110은 한 줄에 하나의 전화번호 항목만을 표시하며 각 전화번호 항목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번지와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표시부 14의 크기가 허용하는 경우에, 상기 전화번호 항목은 번지와 해당 표시이름 이외에 추가적으로 전화번호와 전화 종류 등의 간단한 개인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첫 번째 번지에 위치한다. 여기서 페이지 이동키, 즉 볼륨키가 입력되면 검색창은 페이지 단위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항목 이동키, 즉 방향키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항목 단위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에서 화면 110은 첫 번째 페이지의 번지 1 ~ 5를 표시하며, 하항 볼륨키(↓)가 입력된 후 화면 120은 두 번째 페이지의 번지 6 ~ 10을 표시하고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번지 6에 위치한다. 화면 120에서 하향키(▼)가 2회 입력되면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번지 8로 이동하며, 여기서 통화키를 누르면 자동 다이얼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전화번호 수정모드로 진입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전화번호 빠른찾기가 요구되었을 때 전화번호 검색목록은 화면 210과 같이 한 줄에 3개의 전화번호 항목들을 나열한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 항목은 번지와 표시이름(사용자 이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화면 210을 화면 110과 비교하면 한 화면에서 10개 이상의 전화번호 항목들을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첫 번째 번지에 위치한다. 여기서 페이지 이동키, 즉 볼륨키가 입력되면 검색창이 페이지 단위로 이동하고, 항목 이동키, 즉 방향키가 입력되면 전화번호 선택 커서가 항목 단위로 이동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에서 화면 210은 첫 번째 페이지의 번지 1 ~ 15를 표시하며, 하항 볼륨키(↓)가 입력된 후 화면 220은 두 번째 페이지의 번지 16 ~ 30을 표시하고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번지 16에 위치한다. 원하는 전화번호가 번지 24라고 할 때, 화면 220에서 하향키(▼)를 2회 우향키(▶)를 2회 누르면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번지 24로 이동하며, 여기서 통화키를 누르면 자동 다이얼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수정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의 번지를 근접하게 기억하고 있을 때 본 발명은 해당하는 번지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 210에서 숫자 "59"를 누르면 화면 240은 번지 59를 포함하는 페이지, 즉 번지 52 ~ 66을 한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먼저 숫자키 "5"를 누르면 "5"를 포함하는 페이지가 표시되고 다시 "9"를 누르면 "59"를 포함하는 페이지가 표시된다. 원하는 전화번호가 번지 53이라고 할 때, 화면 240에서 상항키(▲)를 2회 누르면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번지 53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통화키를 누르면 자동 다이얼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수정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 면, 전화번호 빠른찾기가 요구되었을 때 화면 310은 전화번호 검색목록 위에 팝업(pop-up) 형태의 검색창을 띄운다. 상기 검색창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단축번호 또는 이름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7에서는 단축번호를 입력받는 검색창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의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상단에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 항목의 상세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단축번호, 전화종류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화면 310의 검색창에서 원하는 검색어, 예를 들어 "55"을 누르고 "확인"키를 누르면 화면 320으로 전환되어 "55"의 전화번호 항목을 표시한다. 화면 320에서 하항키(▼)를 2회, 우향키(▶)를 2회 누르면 화면 3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번호 선택 커서는 해당하는 전화번호 항목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통화키를 누르면 자동 다이얼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수정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3글자 이상인 표시이름의 경우, 선택되지 않았을 때는 화면 320처럼 처음 3글자만을 나타내고 선택되었을 때는 화면 330처럼 전체 표시이름을 나타내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선택된 전화번호 항목에서 통화키를 누르면 자동 다이얼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수정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가장 중요한 부가 기능인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서 전화번호의 검색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의 수정/삭제 및 자동 다이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검색이 요구되면 적어도 2개의 전화번호 항목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첫 번째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첫 번째 전화번호 항목에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해당하는 항목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해당 숫자의 번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동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볼륨 조절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동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 이동키들 중 상향키와 하향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은 한 줄에 하나씩의 전화번호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 항목은 해당 표시이름과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은 한 줄에 적어도 2개씩의 전화번호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전화번호 항목은 해당 표시이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상부에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에 의하여 선택된 전화번호 항목에 해당하는 상세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가 위치한 번지의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확인키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가 위치한 번지의 전화번호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8.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검색이 요구되면, 한 줄에 적어도 2개씩의 전화번호 항목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첫 번째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검색 창을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의 첫 번째 페이지가 표시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창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검색목록에서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항목들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항목들을 포함하는 페이지에서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선택 커서를 상기 표시된 페이지의 해당하는 항목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항목들을 포함하는 페이지에서 페이지 이동키가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 이동키에 따른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20010063023A 2001-10-12 2001-10-12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81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23A KR100810202B1 (ko) 2001-10-12 2001-10-12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23A KR100810202B1 (ko) 2001-10-12 2001-10-12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32A KR20030031232A (ko) 2003-04-21
KR100810202B1 true KR100810202B1 (ko) 2008-03-06

Family

ID=2956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023A KR100810202B1 (ko) 2001-10-12 2001-10-12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742B1 (ko) * 2004-11-2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표시방법
KR100783114B1 (ko) * 2006-10-09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KR100823982B1 (ko) * 2006-10-30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169A (ko) * 1996-05-23 1997-12-12 구자홍 셀룰라폰에서 저장된 전화번호 자동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169A (ko) * 1996-05-23 1997-12-12 구자홍 셀룰라폰에서 저장된 전화번호 자동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32A (ko)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8523B2 (ja) ブックマークリスト表示方法、及び携帯電話機
JP4494533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ダイヤルシャトルを用いたオプション選択方法
US6442263B1 (en) Electronic business cards
US6226367B1 (en) Calling line identification with location icon
US6381474B1 (en) Method of handling phone operations and a phone using the method
US5923327A (en) Scrolling with automatic compression and expansion
US20030011564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030022700A1 (en) Method for simplifying cellular phone menu selection
KR20030012444A (ko) 인공지능 셀룰러폰에 있어서의 국제전화를 하는 다이어링방법
KR100383610B1 (ko)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US7110529B2 (en) Bookmar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phone book
KR100810202B1 (ko)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05951B1 (ko) 국가번호 검색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1268206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3123988B2 (ja) 携帯電話機
KR1006895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적용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5294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0304925B1 (ko) 단말기의간편다이얼링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JP2000276473A (ja) 携帯電話機の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1257766A (ja) 携帯端末
KR20000026870A (ko) 멀티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 방법
KR100630151B1 (ko) 디렉토리 구조를 이용한 휴대폰의 폰북 등록 및 검색방법
KR20040037388A (ko) 휴대폰에서 착신/발신 빈도수에 따른 전화부의 그룹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