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922B1 -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 Google Patents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922B1
KR100809922B1 KR1020080006639A KR20080006639A KR100809922B1 KR 100809922 B1 KR100809922 B1 KR 100809922B1 KR 1020080006639 A KR1020080006639 A KR 1020080006639A KR 20080006639 A KR20080006639 A KR 20080006639A KR 100809922 B1 KR100809922 B1 KR 100809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b
road
opening body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9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9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A road median strip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is provided to control the proceeding direction of vehicles or whether vehicles proceed or not easily and to prevent human and physical damage by secondary vehicle collisions by drawing out luminous indicating bodies from a median strip easily. A road median strip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includes a median strip body(100) placed along the center of a road having the appointed length, a rectangular box shaped main open body(200) placed in each main mounting portion(110) formed on two sides of the median strip body to be rotated and opened from the main mount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sub mounting portion(250) exposed through an opening, a first mounting space(201) formed on the rotated and opened top and a sliding hole(202) formed on the bottom to the appointed length, support project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open body and contacted with a road to support the main open body and made of elastic materials, a main control module(210) installed to the top of the main open body and hinged to the first mounting space to stand erect at right angles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open body to be rotated and opened and provided with a first luminous indicating body(220) indicating the proceeding direction of vehicles, a support member rotated/supported to the top of the median strip body and adhering/supporting one end of the main open body placed in the main mounting portion, a rectangular box shaped sub open body(300) formed on the projected and opened top of the main open body and provided with a second mounting space(301), and a sub control module(310) rotated/supported to the second mounting space and provided with a second luminous indicating body(320) indicating whether vehicles proceed or not.

Description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유사시에 중앙 분리대 몸체로부터 인출시키어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진행 유무를 가시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and to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capable of visually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and presence of a vehicle by drawing it out of the center separator body in need.

전형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도로에는 그 중앙선을 따라 중앙 분리대가 설치된다.Typically, roads of constant length are provided with a central separator along its center line.

상기 중앙 분리대는 주행 차량이 중앙선을 넘지 못하도록 하도록 규제하는 장치이다.The center separator is a device for restricting the running vehicle from crossing the center line.

또한, 상기 중앙 분리대는 교통 사고시 맞은편 차량과의 정면 충돌을 방지하여 대형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separator can reduce a large casualty damage by preventing a frontal collision with the vehicle opposite to the traffic accident.

이와 같은 종래 도로용 중앙분리대 구조는 도로의 중앙에 콘크리트구조물 이루어진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구조로 된다.Such a conventional road divider structure has a structure of installing a center divider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in the center of the road.

따라서, 종래의 중앙 분리대는 도로 상에서 기후의 변화 또는 교통 사고와 같이 유사 상황이 일어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중앙선의 규제와 차량의 정면 충돌 의 기능외에 다른 역할을 할 수 없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central separator cannot play a rol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regulation of the center line and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similar situation such as climate change or traffic accident on the road.

또한, 종래에는 도로 상에서 차량이 고장난다거나 교통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운전자는 미리 준비된 삼각대와 같은 간이 표시 수단을 도로 상에 설치하여 사고 상황을 다른 주행 차량에게 표시하여 다른 주행 차량이 이를 인지하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a vehicle breaks down or a traffic accident occurs on the road, the driver installs a simple display means such as a tripod prepared in advance on the road to display the accident situation to other driving vehicles to guide other driving vehicles to recognize this. do.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간이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를 분실하거나 휴대를 하고 있지 아니할 경우에, 다른 주행 차량으로의 진행 지시나 진행 유무를 전혀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주행 차량과의 이차 충돌 사고가 더 발생되어 인명 및 물적 피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imple means is used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lost or not carried, the secondary collision accident with the traveling vehicle cannot be controlled because no instruction or progress to other driving vehicles can be controlled. There is a problem that more occurs to increase the lives and physical damage.

이에 더하여, 종래에는 교통 사고 당사자가 운전자인 경우에 다른 주행 차량 운전자가 간이 표시 수단을 도로 상에 대신 표시하여 주거나 또는 경찰에 신고하여 경찰에 의한 사고 상황이 정리되기 전까지는 상기 교통 사고가 발생된 차량은 다른 주행 차량과의 추가 사고 발생 상황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ffic accident party is a driver, the traffic accident occurs until another driver of the driving vehicle displays a simple display means on the road instead, or reports to the police to clear the accident situation by the police. The vehicle has a problem of being exposed to an additional accident occurrence situation with another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도로 상에서 차량의 충돌 사고와 같은 유사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키어 다른 차량의 진행 방향 또는 진행의 유무를 용이하게 통제할 수 있는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withdraw it from the central separato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oad when a similar situation such as a collis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occurs In other words, to provide a road central divide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that can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or progress of other vehicles.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다른 주행 차량으로의 진행 지시나 진행 유무를 중앙 분리대로부터 지시 발광체를 인출하여 주행 차량을 통제하고, 이로 인하여 사고 차량이 다른 차량과의 추가 충돌로 이한 인명 및 물적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driving vehicle by drawing the instruction light emitting body from the central separator to indicate the progress or the presence of progression to another driving vehicle, and thereby prevents the accident and the damage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another vehicle. It is to provide a road divider with a vehicle control function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로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고, 그 양측면에 메인 안착부가 마련되는 중앙 분리대 몸체와, 그 일단 양측부가 상기 메인 안착부의 일단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안착부로부터 회전 개방되고, 그 내부에 그 타단측으로 개구되는 서브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되는 상면부에 일정의 제 1안착 공간이 마련되는 메인 개방 몸체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안착 공간에서 힌지 연결되어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회전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세워져 회전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 시하는 제 1지시 발광체가 마련되는 메인 통제 모듈과, 그 일단이 상기 중앙 분리대 몸체의 상단에 회전 지지되고, 그 타단이 상기 메인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일단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roa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main separator body is provided with the main seating on both sides thereof, one end both ends of the main seating A sub seating part disposed in the main seating part so as to be hinged to both sides and rotatably opened from the main seating part, and having a sub seating part open to the other end side thereof, and a predetermined first seating space is provided in the open upper surface part The main opening body and one end thereof is hing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and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to be rotated and opened, and instruct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s a main control module provided with a first indicator light, one end of which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enter separator body. And a support member that is fully supported and whos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ain opening body seated on the main seat.

여기서, 상기 메인 개방 몸체는 상기 서브 안착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측으로 슬라이딩 돌출되며, 상기 돌출되어 개방되는 상면부에 일정의 제 2안착 공간이 마련되는 서브 개방 몸체를 구비한다.Here, the main opening body is provided with a sub-opening body disposed on the sub seating part and slidingly protruded toward one end thereof, and a predetermined second seating space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open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서브 개방 몸체는 그 일단이 상기 제 2안착 공간에서 힌지 연결되어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회전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세워져 회전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의 진행 유무를 지시하는 제 2지시 발광체가 마련되는 서브 통제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opening body has one end hinged at the second seating space,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and is rotated and opened to indicate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ub control module in which the second indicating light emitter is provided.

또한,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저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liding hole of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서브 개방 몸체의 저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홀에 끼워지어 그 끝단이 상기 슬라이딩 홀의 외부에 걸치어지는 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opening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liding projection having a projection that is fitted to the sliding hole and the end thereof over the outside of the sliding hole.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는 상기 도로에 접촉되어 구르는 롤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roller which rolls in contact with the road.

또한, 상기 서브 개방 몸체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b-opening body.

본 발명은 도로 상에서 차량의 충돌 사고와 같은 유사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에, 이를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키어 다른 차량의 진행 방향 또는 진행의 유무를 용이하게 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milar situation such as a collision accident of a vehicle occurs on a road, it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a central separato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oad to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or progress of another vehicle. Have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주행 차량으로의 진행 지시나 진행 유무를 중앙 분리대로부터 지시 발광체를 인출하여 주행 차량을 통제하고, 이로 인하여 사고 차량이 다른 차량과의 추가 충돌로 이한 인명 및 물적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iving vehicle by drawing the indication light emitting body from the central separator to indicate the progress or the progress to another driving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accident and life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additional collision with other vehicles.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와 서브 개방 몸체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브 개방 몸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와 서브 개방 몸체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open body and the sub ope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center separator with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opening body and the sub 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로(10)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 분리대 몸 체(100)를 갖는다.1 to 4, the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er separator body 100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road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중앙 분리대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메인 안착부(110)가 마련된다.The main seating part 110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separator body 100.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메인 안착부(110)의 일단, 즉 하단에는 회전 지지체(12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 지지체(120)의 양단에는 홀(120a)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5, one en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main seating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rotary support 120. Holes 120a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able support 120.

상기 메인 안착부(110)에는 사각 박스 형상의 메인 개방 몸체(200)가 배치된다.The main seating part 110 is disposed in the main opening body 200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일단, 즉 하단 양측부는 상기 메인 안착부(110)의 일단 양측부에 힌지 연결된다.One end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that is, both lower ends, is hinged to both ends of one end of the main seating part 110.

즉,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지지체(120)의 양단에 형성되는 홀(120a)에 끼워지는 회전 지지 로드(120b)가 관통되는 홀(200a)이 형성된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is formed with a hole 200a through which the rotation support rod 120b fitted into the hole 120a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al support 120.

따라서,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하단 양측부는 상기 메인 안착부(110)의 하단 양측부에서 회전 지지되고, 상기 메인 안착부(110)로부터 회전 개방될 수 있다.Therefore, both bottom ends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may be rotatably supported at both bottom ends of the main seating part 110, and may be rotatably open from the main seating part 110.

그리고,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는 그 내부에 그 타단측으로 개구(a)를 통하여 노출되는 서브 안착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되어 개방되는 상면부에 일정의 제 1안착 공간(201)이 마련되고, 그 저면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홀(20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opening body 200 has a sub seating portion 250 that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 to the other end side thereof, and a predetermined first seating space 20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which is rotated and opened. ) Is provided, and a sliding hole 20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저면부에는 도로(10)에 접촉되어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들(230)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 돌기 들(230)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support protrusions 230 in contact with the road 10 to support the main opening body 200. The support protrusions 230 may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상면부에는 메인 통제 모듈(210)이 설치된다.The main control module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상기 메인 통제 모듈(210)은 일단이 상기 제 1안착 공간(201)에서 힌지 연결되어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회전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세워져 회전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는 제 1지시 발광체(220)가 마련된다.The main control module 210 is one end is hing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01 is open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is rotated open,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 first indicator light 220 is provided which indicat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즉, 상기 메인 통제 모듈(2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홀(211a)이 형성되는 돌기(211)가 마련된다.That is, the main control module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projection 211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hole 211a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 1안착 공간(201)에는 상기 돌기(211)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211a)과 그 위치가 일치되는 홀들(200c)이 형성되는 돌기들(20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들(200b)의 홀(200c)에 끼워지는 회전 지지 로드(200d)가 설치된다.In the first seating space 201, protrusions 200b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211, and the holes 200c ar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holes 211a. In addition, a rotary support rod 200d fitted into the hole 200c of the protrusions 200b is installed.

따라서, 상기 메인 통제 모듈(210)은 상기 제 1안착 공간(201)에서 회전 지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 control module 210 may be rotatably suppor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01.

또한, 상기 제 1지시 발광체(22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화살표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시 발광체(220)는 자체가 빛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체일 수도 있고, 건전지 또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되는 전기 장치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dicator light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e first indicator light 220 may be a light emitter that emits light by itself, or may be an electric device that emits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그리고, 상기 메인 통제 모듈(210)에는 상기 제 1지시 발광체(220)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22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module 21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221 for controlling on / off a power supply state to the first indicator light 220.

따라서, 상기 제 1지시 발광체(220)는 상기 스위치(221)의 전원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발광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ther the first indicator light emitter 220 emits light may be determined by an operation of a power switch of the switch 221.

이에 따라,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는 메인 안착부(110)에 안착된 상태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opening body 200 may be rotated downwardly as shown in FIG. 2 in a state seated on the main seating part 110.

이때,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는 그 저면부에 마련되는 지지 돌기들(230)에 의하여 회전 개방시 발생되는 도로(10)와의 충격이 용이하게 흡수됨과 아울러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opening body 200 may be easily absorbed and supported by the impact with the road 10 generated during rotational opening by the support protrusions 230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thereof.

그리고, 제 1안착 공간(201)에 위치되는 메인 통제 모듈(210)은 상방으로 회전 개방되어 세워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module 210 loc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01 may be positioned to be erected upwardly open.

따라서, 메인 통제 모듈(210)에 마련되는 제 1지시 발광체(220)는 도로(10)의 일측에서 가시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indicator light 220 provided in the main control module 210 may be visually derived from one side of the road 10.

이때, 상기 제 1지시 발광체(22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스위치(221)에 의하여 발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dicator light 220 may be emitted by the switch 221 as described above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는 하기에 기술되는 지지 부재(130)에 의하여 그 상단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하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Here, the main opening body 200 may be rotated downward to open when the contact state of the upper end is released by the support member 130 described below.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는 상기 서브 안착부(250)에 배치되어 그 일단측으로 슬라이딩 돌출되며, 상기 돌출되어 개방되는 상면부에 일정의 제 2안착 공간(301)이 마련되는 서브 개방 몸체(300)를 갖는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main opening body 200 is disposed in the sub seating part 250, and slides toward one end thereof, and a predetermined second seating space 3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seating part 250. ) Is provided with a sub-opening body 300.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부에는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슬라이딩 홀(202)에 끼워지고 그 끝단이 상기 슬라이딩 홀(202)에 걸치어지는 슬라이딩 돌기들(340)이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ub-opening body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its bottom portion is fitted into the sliding hole 202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and an end thereof is the sliding hole 202. Sliding protrusions 340 are provided.

상기 슬라이딩 돌기들(340)에는 홀(340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들(340) 사이에는 롤러(341)가 배치된다.A hole 340a is formed in the sliding protrusions 340. The roller 341 is disposed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s 340.

상기 슬라이딩 돌기(340)의 홀(340a)과 롤러(341)에 형성되는 홀(341a)에 끼워지는 회전 지지 로드(342)가 설치된다.A rotation support rod 342 fitted to the hole 340a of the sliding protrusion 340 and the hole 341a formed in the roller 341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롤러(341)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들(340) 사이에서 구름 지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roller 341 may be cloud-supported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s 340.

이에 더하여,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의 진행 유무를 지시하는 제 2지시 발광체(320)가 마련되는 서브 통제 모듈(310)을 갖는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the sub opening body 300 has a sub control module 310 provided with a second indicator light emitter 320 that indicates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즉, 상기 서브 통제 모듈(3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홀(311a)이 형성되는 돌기(311)가 마련된다. That is, the sub control module 310 has a plate shape, and a protrusion 311 having a hole 311 a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그리고, 상기 제 2안착 공간(301)에는 상기 돌기(311)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311a)과 그 위치가 일치되는 홀들(300b)이 형성되는 돌기들(3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들(300a)의 홀(300a)에 끼워지는 회전 지지 로드(300c)가 설치된다.In the second seating space 301, protrusions 300a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311 and the holes 300b having the same position as the hole 311a are formed. In addition, a rotation support rod 300c fitted into the hole 300a of the protrusions 300a is installed.

따라서, 상기 서브 통제 모듈(310)은 상기 제 2안착 공간(301)에서 회전 지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sub control module 310 may be rotatably suppor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01.

또한, 상기 제 2지시 발광체(320)는 차량의 진행 유무를 지시할 수 있도록 일자 형상의 표시를 갖는 교통 표지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지시 발 광체(320)는 자체가 빛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체일 수도 있고, 건전지 또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되는 전기 장치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dicator light 320 is made of a traffic sign having a date-shaped display so as to indicate whether the vehicle proceeds. Here, the second indicator light emitter 320 may be a light emitter that emits light by itself, or may be an electric device that emits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그리고, 상기 서브 통제 모듈(310)에는 상기 제 2지시 발광체(320)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스위치(32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b control module 310 may further include another switch 321 for controlling the on / off state of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indicator light emitter 320.

따라서, 상기 제 2지시 발광체(320)는 상기 다른 스위치(321)의 전원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발광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Therefore, whether the second indicator light emitter 320 emits light may be determined by an operation of a power switch of the other switch 321.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의 일단에는 손잡이(330)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30)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의 일단에 볼트(B)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A handle 33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b-opening body 300. The handle 330 may be made of a bracket, and the bracket may be fixed by being bolted to one end of the sub-opening body 300.

이에 따라,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는 서브 안착부(250)에 위치된 상태로 도 3 및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b-opening body 300 may protrude outward as shown in FIGS. 3, 7 and 8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sub seating part 250.

이때,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는 그 일단에 마련된 손잡이(330)를 사용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opening body 300 may be drawn out using the handle 330 provided at one end thereof.

여기서,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는 그 저면부에 형성되는 롤러(341)에 의하여 도로(10)에서 구름 지지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Here, the sub-opening body 300 may slide and protrude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rolling support on the road 10 by the roller 34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이후에, 제 2안착 공간(301)에 위치되는 서브 통제 모듈(310)은 상방으로 회전 개방되어 세워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protruding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sub control module 310 position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01 may be positioned in an upright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upward.

따라서, 서브 통제 모듈(310)에 마련되는 제 2지시 발광체(320)는 도로(10)의 일측에서 가시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indicator light emitter 320 provided in the sub control module 310 may be visually derived from one side of the road 10.

이때, 상기 제 2지시 발광체(320)는 차량의 진행 유무를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다른 스위치(321)에 의하여 발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indicator light emitter 320 may emit light by another switch 321 as described above to indicate whether the vehicle proceeds.

한편, 상기 중앙 분리대 몸체(100)의 상단에는 일단이 회전 지지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 부재(13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center separato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130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supported one end rotation.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130)의 타단은 상기 메인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상기 메인 개방 몸체(200)의 일단을 밀착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의 일단을 지지하여 상기 서브 개방 몸체(300)가 메인 개방 몸체(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30 closely supports one end of the main opening body 200 seated on the main seating part 110, and supports one end of the sub opening body 300 to support the one end of the sub opening body 300. The sub opening body 3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opening body 200.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와 서브 개방 몸체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open body and the sub ope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center separator with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브 개방 몸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opening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개방 몸체와 서브 개방 몸체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open body and the sub ope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중앙 분리대 몸체100: center separator body

110 : 메인 안착부110: main seating part

200 : 메인 개방 몸체200: main opening body

210 : 메인 통제 모듈210: main control module

220 : 제 1지시 발광체220: first indicator light

300 : 서브 개방 몸체300: sub opening body

310 : 서브 통제 모듈310: Sub control module

320 : 제 2지시 발광체320: second indicator light

330 : 손잡이330 handle

Claims (3)

일정 길이를 갖는 도로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고, 그 양측면에 메인 안착부가 마련되는 중앙 분리대 몸체;A center separator body disposed along a center of the roa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with main seats on both sides thereof; 그 일단 양측부가 상기 메인 안착부의 일단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안착부로부터 회전 개방되고, 그 내부에 그 타단측으로 개구되는 서브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되는 상면부에 일정의 제 1안착 공간이 마련되는 메인 개방 몸체;One end of the main seating part is disposed on the main seating part so as to be hinged to one end of the main seating part, and is rotatably opened from the main seating part, and a sub seating part is formed therein and opened to the other end side thereof. A main opening body in which a predetermined first seating space is provided; 그 일단이 상기 제 1안착 공간에서 힌지 연결되어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회전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세워져 회전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는 제 1지시 발광체가 마련되는 메인 통제 모듈; 및One end of which is hing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is erected and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indicator light emitting body that indicat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Main control module; And 그 일단이 상기 중앙 분리대 몸체의 상단에 회전 지지되고, 그 타단이 상기 메인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일단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the center separator body, the other end of which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 tightly supporting one end of the main opening body seated on the main seat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개방 몸체는 상기 서브 안착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측으로 슬라이딩 돌출되며, 상기 돌출되어 개방되는 상면부에 일정의 제 2안착 공간이 마련되는 서브 개방 몸체를 구비하되,The main opening body is disposed on the sub seating portion and slidingly protruded to one end side thereof, and includes a sub opening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econd seating space provid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open portion. 상기 서브 개방 몸체는 그 일단이 상기 제 2안착 공간에서 힌지 연결되어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회전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세워져 회전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의 진행 유무를 지시하는 제 2지시 발광체가 마련되는 서브 통제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The sub-opening body is hinged at one end of the second seating space and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The sub-opening body is rotated and opened, and is configured to indicate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2. A road center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sub-control module provided with two indicator light emitter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 개방 몸체의 저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홀과 상기 도로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들이 마련되고,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opening body is provided with a sliding hole of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ing protrusions for supporting the road, 상기 서브 개방 몸체의 저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홀에 끼워지어 그 끝단이 상기 슬라이딩 홀의 외부에 걸치어지는 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마련되고,The bottom surface of the sub-opening body is provided with a sliding protrusion having a protrusion that is fitted into the sliding hole and its end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liding hole,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는 상기 도로에 접촉되어 구르는 롤러가 마련되고,The slid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roller which rolls in contact with the road, 상기 서브 개방 몸체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제 기능을 갖는 도로 중앙 분리대.One end of the sub-opening body is a road central separator hav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installed.
KR1020080006639A 2008-01-22 2008-01-22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KR1008099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39A KR100809922B1 (en) 2008-01-22 2008-01-22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39A KR100809922B1 (en) 2008-01-22 2008-01-22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922B1 true KR100809922B1 (en) 2008-03-06

Family

ID=3939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39A KR100809922B1 (en) 2008-01-22 2008-01-22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9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83B1 (en) * 2022-03-18 2022-09-14 (주)에스알디코리아 Roa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19A (en) * 1993-07-08 1995-01-31 Nikon Corp Camera shake preventive device
JP2007099003A (en) * 2005-09-30 2007-04-19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radial tire
JP2008005007A (en) * 2006-06-20 2008-01-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03004A (en) * 2006-06-23 2008-01-10 Ricoh Co Ltd Reaction method of reactive substance, reaction device thereof and substr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19A (en) * 1993-07-08 1995-01-31 Nikon Corp Camera shake preventive device
JP2007099003A (en) * 2005-09-30 2007-04-19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radial tire
JP2008005007A (en) * 2006-06-20 2008-01-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03004A (en) * 2006-06-23 2008-01-10 Ricoh Co Ltd Reaction method of reactive substance, reaction device thereof and substrat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225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3-0042173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5-0071446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0728119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83B1 (en) * 2022-03-18 2022-09-14 (주)에스알디코리아 Roa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en) Vehicl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prevention of secondary accident and its method
KR101314937B1 (en) Triangle Band equipped in a Vehicle with Surface Radiation LED
JP2006241723A (en) Vehicle entrance inhibiting device
KR10100785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scape of vechicles
KR100809922B1 (en) Road median strip having an ability for controlling vehicles
KR101219104B1 (en) Street light apparatus for pedestrian crossing
KR100712136B1 (en) Road sign petal
KR101842607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KR20120036112A (en) Emergency lamp for car
JP2005299121A (en) Intrusion regulating device
KR20120031663A (en) Emergency lamp for car
KR101337335B1 (en) Bollard
US11865972B2 (en)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1224474B1 (en) Barricade for passing control
KR20170117253A (en) Underground type barricade with tire killer
KR101654228B1 (en) Self propelled type electronic sign board
KR100599243B1 (en) Car stop display device for guard-rail
KR101688572B1 (en) portable emergency information sign device for a car
KR200379180Y1 (en) A signpost
KR100907565B1 (en) Apparatus for cutting optical fiber
KR100650780B1 (en) Road structure for low gear
KR200481833Y1 (en) The safty tripod
KR100725872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indicating material
KR101814643B1 (en) The port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JP2005121917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