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814B1 - 협력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협력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814B1
KR100807814B1 KR1020060118751A KR20060118751A KR100807814B1 KR 100807814 B1 KR100807814 B1 KR 100807814B1 KR 1020060118751 A KR1020060118751 A KR 1020060118751A KR 20060118751 A KR20060118751 A KR 20060118751A KR 100807814 B1 KR100807814 B1 KR 10080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rusion
terminal
transmiss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Priority to KR102006011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3Signalling to neighbouring hou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온한 목적에 의한 침입이 발생할 경우 침입발생 초기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실내외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고 소정 영역 내의 타 단말기로 침입신호를 송신하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 및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송수신 단말기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전파 도달거리 내의 타 단말기들에 자신이 수신한 신호에 대한 전달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소정 영역 내의 타 단말기가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달하여 소정 영역 밖에 위치한 타 단말기에도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여 침입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범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침입감지센서, 실내 송수신 단말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

Description

협력 방범 시스템{Cooperation crime prevention burglar alarm system}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실내 송수신 단말기 110: 침입감지센서
120: 입력부 130: 신호출력부
131: 디스플레이 패널 132: 스피커
133: LED 200: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
300: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
본 발명은 협력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주택, 상가, 사무실 등에 침입이 발생하였을 경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이웃 또는 경비원에게 맡기는 등 이웃 간의 협력을 통하여 외부 침입 발생 초기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외부 침입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불온한 목적을 가진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보장치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경보장치들은, 많은 언론에서도 사례가 지적되어 왔듯이, 경보발생 및 침입사실 통지로부터 실제 경찰 또는 보안회사 직원의 현장도착이 늦어 침입자의 목적 달성을 제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침입 전 전원 및 전화선 차단이 이루어진 경우 외부 통보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써 일부 경보장치들은 전원 차단 시 실내 단말기에서 100데시벨(dB) 이상의 경보음을 울리도록 설계되고 있으나, 침입자가 침입 후 침입 경로의 문이나 창문을 닫 을 경우 밖에서는 거의 이러한 경보음을 들을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332829호의 무선관제시스템이나 등록실용신안 제20-0254696호의 공동 주택용 방범시스템을 들 수 있다.
먼저, 등록특허 제10-0332829호의 무선관제시스템은 각 가정의 출입문과 개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주인이 아닌 사람이 출입문을 열려고 시도하거나 파괴를 시도할 때, 경비실 내에 있는 경비원에게 비상상황을 통보함과 동시에 경비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경찰 등에 비상상황을 통보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방범 시스템은 출입문에 부착되는 방범 전용 디지털 출입문 잠금장치와 이에 연결된 무선단말기와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총괄관리하는 중앙관제 시스템 및 경비원용 휴대단말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경우 그 시스템의 복잡성과 고비용이 예상되며 비상상황 발생시 출동할 수 있는 경비원이 필수사항이므로, 아파트나 집단 상가 등의 공동체 구성원간 집단적인 동의 및 비용부담을 통해서만 시스템의 설치 및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경비원이 중앙관제 시스템이 설치된 경비실에 있지 않거나, 경비원용 단말기가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등의 경우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등록실용신안 제 20-0254696호의 공동주택 방범 시스템의 경우에도, 경비원 및 경비원용 단말기가 없다면 댁내 송수신 단말기와 댁내 송수신 단말 기의 동작 설정 여부를 제어하는 리모컨 형태의 휴대용 무선 제어장치만으로는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 또한, 공동주택으로 한정하였다는 점과 반드시 이웃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댁내 송수신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거나 또는 경비원이 경비원용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어야만 활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 송수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침입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이웃이나 경비원에게 맡기거나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웃 간의 협력을 통하여 초기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도난 등의 외부 침입에 의한 범죄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내 송수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침입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에도 침입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실내외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고 소정 영역 내의 타 단말기로 침입신호를 송신하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 및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송수신 단말기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전파 도달거리 내의 타 단말기들에 자신이 수신한 신호에 대한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 신호를 주기적으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소정의 주기간격 동안 정상작동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하여 침입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작동이 불가능하기 전에 작동불능신호를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송수신하며,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침입감지센서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설정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응되도록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관리 단말기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설정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 버튼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의 실내외에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고 소정 영역 내의 타 단말기로 침입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 침입감지센서와 동일한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침입감지센서 및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와 동일한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 또는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전파 도달거리 내의 타 단말기들에 자신이 수신한 신호에 대한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 중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침입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에 대한 각각의 인증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침입정보 또는 사용자 이웃의 침입정보를 알려주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 신호를 주기적으로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는 소정의 주기 간격동안 정상작동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하여 침입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는,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작동이 불가능하기 전에 작동불능신호를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은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 중 사용자 실내 소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을 선택하여 선택된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의 인증번호 또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버튼을 입력하는 입력부,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상기 작동불능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번호 및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설정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관리 단말기의 내부구성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에 대한 인증번호 또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을 입력하는 입력부,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번호 및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 해제 및 경계버튼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경보 단말기의 내부구성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에 대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 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번호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실내외에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와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110)와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110)로부터 침입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정보를 알리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 및 소정 영역 내의 이웃들 또는 경비원에게 맡겨져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침입신호를 수신하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110)로부터 제공되는 침입신호를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가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1), 스피커(132) 또는 LED(133) 등과 같은 신호출력부(130)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림과 동시에 침입신호를 다시 이웃들 또는 경비원에게 맡겨져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에 송신하여 이웃 또는 경비원에게 침입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에서 송신하는 침입신호를 수신하고,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의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동작 등의 동작설정하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가족이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는 전원 꺼짐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정상적 작동이 불가능 하기 전에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 작동불능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는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신호를 주기적으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로 송신하는데, 만약 정상작동신호가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로 수신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단말기(30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불능신호를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로부터 소정 영역 내에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로 침입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 또는 사용자 가족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 또는 이웃들 또는 경비원에게 맡겨져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가 소정 영역 밖에 위치한 경우에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소정영역이란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에서 송신하는 침입신호의 전파도달거리를 말한다.
그 방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집에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가 설치되어 있고 A집의 침입신호를 감지한 경우, 소정 영역 밖의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에 송신하려면 B집에 맡겨져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거쳐, C집, D집, E집에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거쳐 소정 영역 밖에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에 침입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도 1b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만 도시하였지만,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가 중개역할을 하여 소정 영역 밖의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로 침입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예로 침입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는 침입감지센서(110)에서의 침입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침입신호를 또다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에 송신하는 송수신부(101)와 송수신부(101)로부터 입력된 침입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102)와 변·복조부(102)를 통해 입력된 침입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정보에 맞게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03)와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침입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31), 스피커(132), LED(153) 등을 통해 침입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가 바람직하지만 버저일 수도 있고,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4)와 전원이 차단된 경우 단말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비상전원을 제공하는 보조전원부(10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101)는 침입신호뿐만 아니라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에서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신호도 송신하고, 정상작동신호를 수신 하지 못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가 제공하는 확인신호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가 전원 꺼짐 등으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작동이 불가능하기 전에 송신하는 작동불능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동작 설정의 비밀번호, 경보음 설정, 현재시간 등을 저장하고, 송수신부(101), 변·복조부(102), 입력부(120) 및 신호출력부(130)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패널(131), 스피커(152), LED 등을 제어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와 칩입신호를 서로 송수신하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의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는 이웃들 또는 경비원에게 맡겨져,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정상작동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침입신호로 감지하고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 단말기가 전원꺼짐 등으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작동불능신호를 수 신하는 송수신(201)부와 송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202)와 변·복조부(202)를 통해 입력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에 따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03) 및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11), 버저(buzzer, 212), LED(213), 진동 등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저(212)는 스피커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살펴보면,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정상작동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침입신호로 감지하고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 단말기가 전원꺼짐 등으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작동불능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301)와 송수신부(301)로부터 입력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302)와 변·복조부(302)를 통해 입력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에 따른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입력부(310)를 통해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의 비상, 해제 및 경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3) 및 제어부(303)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321), 버저(322), LED(323), 진동 등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저(322) 는 스피커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침입감지센서(110)로부터 침입신호를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가 수신하고, 이웃들 또는 경비원에게 맡겨져 있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에도 침입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빠른 조치를 취하여 도난 등의 범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송수신 단말기(100)에서 송신하는 침입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영역에 위치한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300)에도 다른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 등이 중개 역할을 하여 침입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넓은 지역까지 침입신호를 송신하여 외부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협력 방범 시스템을 사용자 외 다수의 이웃들이 설치한 경우로써, 사용자 실내외에 설치된 침입감지센서(415)와 침입감지센서(415)로부터 침입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정보를 알리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가 설치된 방범 시스템이 사용자 이웃에도 설치된 경우로써, 사용자 실내외에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415)와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415)로부터 침입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정보를 알리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사용자 실내 외에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415)와 동일한 사용자 이웃의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425, 435) 및 침입감지센서(425, 435)로부터 침입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정보를 알리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 중 사용자의 실내외에 설치된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협력하여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침입신호를 수신하여 침입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다수 개의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20)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다수 개의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을 하나씩 구분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부여한다. 즉, 인증번호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협력하였다는 인증을 나타내는 번호를 하나씩 부여한 번호이다. 일종의 식별번호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 실내외에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415)로부터 제공되는 침입신호를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가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12), 스피커(413) 또는 LED(414) 등과 같은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림과 동시에 사용자와 협력한 이웃들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에 침입신호를 송신하여 이웃들에게 침입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피커(413)는 버저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또는 사용자의 침입정보 또는 사용자 이웃의 침입정보를 알려주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가족이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이웃들이나 경비원이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는 전원 꺼짐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작동이 불가능하기 바로 직전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로 작동불능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협력한 다수 개의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도 역시 전원 꺼짐 등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디스플레이 패널(412) 등의 신호출력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즉,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를 켜놓은 이웃집들의 번지나 공동주택인 경우에는 호수가 표시되어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디스플레이 패널(412)에 표시될 것이고,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꺼놓은 이웃집들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 또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협력한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가 소정 영역 밖에 위치한 경우에는 소정 영역 내의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 또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가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달하여 침입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영역이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에서 송신하는 침입신호의 전파도달거리를 말한다. 또한, 소정 영역 내에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와 협력하지 않은 사용자 이웃의 실내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는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신호를 주기적으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협력한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로 송신하는데, 만약 정상작동신호가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로 수신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 불가능하기 바로 직전에 작동불능신호를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420, 430) 중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420, 430)을 선택하여 협력할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420, 430)의 인증번호 또는 사용자 실내 송수 신 단말기 동작설정을 입력하는 입력부(411)와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에 따른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침입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관리 단말기(500)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420, 430)의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10),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 420, 430)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 및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비상, 해제 및 경계 동작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21), 버저(522), LED(523), 진동 등의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510)는 인증번호를 입력하기도 하지만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동작설정도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버저(522)는 스피커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이웃들이나 경비원에게 맡겨져,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의 침입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600)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410)와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420, 430)의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610),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621), 버저(622), LED(623), 진동 등의 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저(622)는 스피커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와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간에 협력하여 서로의 침입신호를 송수신하고,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이웃 또는 경비원에게 맡겨져 있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 또는 소정 영역 밖의 타 단말기에도 침입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빠른 조치를 취하여 도난 등의 범죄로 인한 피해를 최 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이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협력 방범 시스템은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소정 영역 내의 다른 실내 송수신 단말기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가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달하여 소정 영역 밖에 위치한 타 단말기에도 신호의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에 의해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전원차단 등의 상황에서도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맡긴 이웃들 또는 경비원에게 침입사실을 알려 침입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범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실내외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 상기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고 소정 영역 내의 타 단말기로 상기 침입신호를 송신하는 실내 송수신 단말기 및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전파 도달거리 내의 타 단말기들에 자신이 수신한 신호에 대한 전달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작동이 불가능하기 전에 작동불능신호를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 신호를 주기적으로 상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소정의 주기 간격동안 상기 정상작동신호가 수 신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하여 침입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관리 송수신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침입감지센서 또는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설정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응되도록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설정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 버튼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9. 사용자의 실내외에 설치된 다수 개의 침입감지센서, 상기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출력부를 통해 침입정보를 알리고 소정 영역 내의 타 단말기로 침입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 상기 침입감지센서와 동일한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침입감지센서 및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와 동일한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전파 도달거리 내의 타 단말기들에 자신이 수신한 신호에 대한 전달을 수행하되,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 중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침입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에 대한 각각의 인증번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비상, 비상해제 및 경계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침입정보 또는 사용자 이웃의 침입정보를 알려주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는 정상작동 신호를 주기적으로 상기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 상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는 소정의 주기 간격동안 상기 정상작동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송신하여 침입발생 여 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경보 단말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작동이 불가능하기 전에 작동불능신호를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는
    상기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 중 상기 사용자 실내 소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의 인증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버튼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침입신호, 상기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상기 작동불능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번호 및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설정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관리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에 대한 인증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 동불능신호,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번호 및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 해제 및 경계버튼 명령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는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경보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실내 송수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 개의 사용자 이웃의 실내 송수신 단말기들에 대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실내 송수신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또는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변·복조부;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변경된 침입신호, 정상작동신호, 확인신호 또는 작동불능신호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번호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방범 시스템.
KR1020060118751A 2006-11-29 2006-11-29 협력 방범 시스템 KR10080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751A KR100807814B1 (ko) 2006-11-29 2006-11-29 협력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751A KR100807814B1 (ko) 2006-11-29 2006-11-29 협력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814B1 true KR100807814B1 (ko) 2008-02-27

Family

ID=3938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751A KR100807814B1 (ko) 2006-11-29 2006-11-29 협력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81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880A (ko) * 1986-11-14 1988-07-25 나이또오 스스무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30003591A (ko) * 1991-07-10 1993-02-24 죤 더블유, 브룸필드 이동 감시장치
KR19990086372A (ko) * 1998-05-27 1999-12-15 김재규 일반 공중선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자동경보방법
KR200171071Y1 (ko) 1999-08-04 2000-03-15 비경시스템주식회사 홈 가드 시스템
KR20000059530A (ko) * 1999-03-04 2000-10-05 문제화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KR200201139Y1 (ko) 1997-04-08 2000-11-01 Yong Suk Kim
KR200205015Y1 (ko) 2000-06-27 2000-12-01 주식회사예향텔레콤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KR200254696Y1 (ko) 2001-08-16 2001-11-24 박현철 공동주택용 방범시스템
KR20060089404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한터기술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880A (ko) * 1986-11-14 1988-07-25 나이또오 스스무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30003591A (ko) * 1991-07-10 1993-02-24 죤 더블유, 브룸필드 이동 감시장치
KR200201139Y1 (ko) 1997-04-08 2000-11-01 Yong Suk Kim
KR19990086372A (ko) * 1998-05-27 1999-12-15 김재규 일반 공중선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자동경보방법
KR20000059530A (ko) * 1999-03-04 2000-10-05 문제화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KR200171071Y1 (ko) 1999-08-04 2000-03-15 비경시스템주식회사 홈 가드 시스템
KR200205015Y1 (ko) 2000-06-27 2000-12-01 주식회사예향텔레콤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KR200254696Y1 (ko) 2001-08-16 2001-11-24 박현철 공동주택용 방범시스템
KR20060089404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한터기술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1804A (en) Computer controlled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
US7486187B2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and method
JP4635731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202167123U (zh) 一种安防系统
CN102637331B (zh) 小区防盗报警系统和方法
AU2024202157A1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CN103839389A (zh) 无线防盗报警系统
JP4514404B2 (ja) セキュリティ自動切替システム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100807814B1 (ko) 협력 방범 시스템
JP4095408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10088971A (ko) 최첨단 방범 시스템
KR101138399B1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200374832Y1 (ko) 홈 보안 시스템
CN102629408A (zh) 笔记本电脑防盗报警系统和方法
KR100495706B1 (ko)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20030077824A (ko) 도어락 시스템
JP2005012510A (ja) 非常通報システム
EP4092643B1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JP2000182169A (ja) 監視・警備用送信端末装置
KR200254696Y1 (ko) 공동주택용 방범시스템
JP3483247B2 (ja) 無線監視システム
RU99639U1 (ru) Автономная система gsm-сигнализации
KR200346258Y1 (ko) 무선방범경비장치
KR100316203B1 (ko) 도난 경보장치를 가진 매입형 전화콘센트 및 도난경보장치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