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722B1 -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722B1
KR100806722B1 KR1020060066159A KR20060066159A KR100806722B1 KR 100806722 B1 KR100806722 B1 KR 100806722B1 KR 1020060066159 A KR1020060066159 A KR 1020060066159A KR 20060066159 A KR20060066159 A KR 20060066159A KR 100806722 B1 KR100806722 B1 KR 10080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device
tcp
virtual
reception
a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870A (ko
Inventor
박부식
신대교
임기택
곽재민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6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7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거나 제거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동기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의 소켓 통신을 관리하는 소켓 관리부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MOST 디바이스의 동기 채널 또는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지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QoS 지원이 가능하다.
Figure R1020060066159
MOST, 가상 디바이스, QoS,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 소켓, 동기 채널, 비동기 채널, 슬롯 할당, 슬롯 해제

Description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MOST VIRTU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TCP/IP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비동기 채널의 비중이 작아질수록 TCP/IP 전송 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의 응용 서비스별 MOST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에 사용되는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MOST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고정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의 캡슐화된 프레임 구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110: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
120: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
125: 소켓 관리부
130: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
135: 소켓 관리부
본 발명은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MOST 디바이스의 동기 채널 또는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지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QoS 지원이 가능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의 전장 시스템이 증가하고 자동차 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내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는 전기적 성질이 열악한 환경이라는 점과 또한 제한된 공간에 장착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멀티미디어 단말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는 고성능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목표로 하는 광 기반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특히 자동차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매틱스 장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등의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기술로서 자동차 제조업체 및 부품 제조업체 사이에서 개발되었다.
MOST 네트워크는 POF(Plastic Optical Fiber) 이용하므로 전자기적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순한 네트워크 구조로서 네트워크 설계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POF와 파워 라인의 두 개의 선만 필요하므로 전선 중량(Wiring Harness)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현재 24.8 Mbps (15개의 CD 음질 오디오 데이터 또는 15개 MPEG-1 채널 데이터에 해당하는 24.8 Mbps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가능하며 이후 50 Mbps 전송의 구현이 예정되어 있는 등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향후 특히 자동차 내부의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그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MOST 네트워크에 있어서 현재 TCP/I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규격이 존재한다. MOST 장치 내부에는 TCP/IP를 처리하도록 MAMAC(MOST asynchronous media access control) 계층이 존재하며, MAMAC 프로토콜을 통해서 TCP/IP 통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이더넷 프레임을 처리하는 기능은 MAMAC 프로토콜에 포함되어 있다. 즉 TCP/IP가 이더넷 프레임에 실려서 처리된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종래의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제어(Control) 채널, 동기(Synchronous) 채널, 비동기(Asynchronous) 채널로 구분하여 전송한다.
이 경우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며, 인터넷 패킷 데이터는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이 수행된다. 현재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TCP/IP 데이터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로 구분되며 따라서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그러나 비동기 채널은 경합(contention) 방식으로 사용되는 채널로서 네트워크의 QoS(Quality-of-service)를 보장해 주기 어렵다. 따라서 MOST 상에서 구현된 TCP/IP 네트워크 또한 QoS 보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TCP/IP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OST 비동기(Async.) 채널을 통한 TCP/IP 전송에 있어서 프레임의 소스 특정 자(source specifier)는 MAC 헤더(header)의 소스(source)를 참조하여 MOST 네트워크에서 자동적으로 처리된다. 또한 MAC 헤더의 LSW(Least Significant Word)를 참조하여 MOST 네트워크의 어드레싱(addressing)에 사용된다. 즉 MAC 헤더의 이더넷 목적지 주소(Dest.)를 참조하여 프레임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MOST TCP/IP 패킷 전송은 SBC 영역이 커질수록 TCP/IP를 위한 대역폭은 줄어들어 제공되는 데이터 속도가 줄어든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비동기 채널의 비중이 작아질수록 TCP/IP 전송 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서는 SBC가 Ox08인 경우로서 프레임 당 28 바이트인 경우 1014 바이트 모드에서 핑(ping)을 수행한 결과이며, 도 3의 (b)에서는 SBC가 Ox0C인 경우로서 프레임 당 12 바이트인 경우 1014 바이트 모드에서 핑을 수행한 결과이다. 각 경우에서 패킷 크기에 따른 핑 수행 결과가 핑 수행 시간과 전송 속도에 대해서 도표로 정리되어 표시된다.
도시되듯이 SBC의 영역이 커질수록(즉, 동기 채널의 비중이 커질수록) TCP/IP를 위한 대역폭은 줄어들어 제공되는 데이터 속도가 줄어든다. 또한 경합 방식을 통해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QoS 제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MOST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의 응용 서비스별 MOST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동기 채널에는 예컨대 PCM 오디오를 이용하는 오디오 응용, MPEG-2 비디오를 이용하는 비디오 응용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비동기 채널에는 MAMAC, 이더넷, TCP/IP, 패킷 데이터 응용, QoS 응용, RSVP 등의 추가의 QoS 지원 프로토콜이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QoS 지원 프로토콜은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은 TCP/IP 패킷을 비동기 채널이 아닌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QoS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즉 MOST 동기 채널에 고정된 대역을 할당하고, TCP/IP 패킷을 응용 목적에 따라서 동기 채널과 비동기 채널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면 TCP/IP 기반의 QoS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MOST 디바이스의 동기 채널 또는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지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QoS 지원이 가능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거나 제거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동기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의 소켓 통신을 관리하는 소켓 관리부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과,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과,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현시 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에 사용되는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는 동기 채널 상에 채널을 다수개(채널 1 내지 채널 3으로 표시됨) 설정하고, 해당 채널 각각에서 이더넷 및 TCP/IP 지원을 수행하여 패킷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 또는 QoS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MOST 프로토콜에서와 같이 QoS 지원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은 동기 채널을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MOST 프로토콜에서와 같이 스트리밍 데이터를 직접 동기 채널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 즉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응용프로그램들이 TCP/IP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동기 채널을 사용하더라도 종래의 MOST 프로토콜에서 TCP/IP 상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했던 RSVP와 같은 지원 프로토콜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간단한 UDP 응용 프로그램만으로도 스트리밍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MOST 시스템에서 TCP/IP 통신을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 우선 동기 채널의 채널을 할당 받은 후 채널 1, 채널 2, 채널 3이라는 가상 이더넷 디바이스, 즉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가 생성되면 MOST 시스템에는 마치 이더넷 디바이스가 3개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 경우 생성되는 MOST 동기 채널 가상 디바이스의 개수는 비록 3개의 채널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QoS 응용 프로그램은 QoS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마련된 가상 디바이스에 연결된 TCP/IP 소켓을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QoS 데이터를 UDP 또는 TCP 규격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채널 3과 같이 일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도 가상 디바이스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인 인터넷 패킷 데이터를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MOST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100)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와,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와, 소켓 관리부(125a, 125b)를 포함한다. 또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와 이에 대응하는 소켓 관리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MOST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100)는 MOST 시스템 상에서 칩 형태로 구현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는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거나 제거한 다. MOST 가상 디바이스는 MOST 디바이스(210)와 동기 채널을 통하여 TCP/IP 통신을 수행하도록 가상으로 생성되는 디바이스이다.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동기 채널(220c)에 연관된 동기 전송 서비스 모듈(250c)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한다. 예컨대 MOST 장치의 동기 채널을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소켓 관리부(125a, 125b)는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와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의 소켓 통신을 관리한다. 소켓 관리부(125a, 125b)는 예컨대 소켓 API 형태로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의 통신에 필요한 기능을 지원한다.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 및 소켓 관리부(125a, 125b)는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는 소켓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Tx)용으로 할당된 동기 슬롯으로 전송하여 MOST 디바이스(210)로 전송한다. 또한 수신(Rx)용으로 할당된 동기 슬롯에서 MOST 디바이스(2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소켓 관리부(125a, 125b)를 통하여 소켓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송하여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한 TCP/IP 통신이 수행된다.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와 소켓 관리부(125a, 125b)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이나 제거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의 구현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시에만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와 소켓 관리부(125a, 125b)를 생성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제거하는 것이다.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는 예컨대 소프트웨어적으로 fork, thread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MOST 가상 디바이스는 MOST 시스템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로 간주되어 동작한다.
또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는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사용할 송신용 슬롯 및 수신용 슬롯의 개수를 입력받아 해당 슬롯 개수만큼 송신용 슬롯 및 수신용 슬롯을 할당(allocation)할 수 있다. 또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는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제거되는 경우 MOST 가상 디바이스에 할당되었던 송신용 슬롯 및 수신용 슬롯을 해제(deallocation)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 할당이나 해제는 예컨대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가 동기 전송 서비스 모듈(250c)을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의 할당 또는 해제는 한정된 동기 채널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수행된다.
또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를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가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제거된다. 즉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제거를 위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는 별도의 기능을 더 포함하지 않더라도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20a, 120b)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제거가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변적으로 할당되거나 제거되는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고정으로 할당된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OST 가상 디바이스는 고정으로 할당된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프레임 형태로 캡슐화(encapsulation)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고정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의 캡슐화된 프레임 구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캡슐화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다양한 캡슐화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는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와, 비동기 소켓 관리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MOST 가상 디바이스는 동기 채널 상에서 TCP/IP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나, 동기 채널이 아닌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와, 비동기 소켓 관리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는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비동기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며, 비동기 소켓 관리부(135)는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와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소켓 응용과의 소켓 통신을 관리한다.
이러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와, 비동기 소켓 관리부(135) 역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이나 제거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제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의 구현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시에만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와, 비동기 소켓 관리부(135)를 생성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를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가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제거된다. 즉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제거를 위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110)는 별도의 기능을 더 포함하지 않더라도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130)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제거가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MOST 네트워크 내에서 또는 MOST 시스템에서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또는 QoS 지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제거하는 등의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받는다(S110). 이러한 요청은 예컨대 MOST 디바이스와 연결된 응용 프로그램 등에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응용 프로그램에서 TCP/IP 송수신에서 QoS 지원이 필요한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110에서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여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한다(S120).
이 경우 단계 S120에서의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응용 프로그램과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130).
이 경우 MOST 디바이스에는 동기 채널이 존재하며, 동기 채널에는 송신용 슬롯과 수신용 슬롯이 존재한다. 이러한 송신용 슬롯과 수신용 슬롯을 생성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할당하는 것에 의해서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디바이스 사이의 정합이 수행된다.
이후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한다(S140).
이러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어서 종래와 같이 RSVP와 같은 지원 프로토콜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후 더 이상 동기 채널을 이용한 TCP/IP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단계 S120에서 생성되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던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50).
이러한 요청은 예컨대 응용 프로그램 등에서 생성된다.
이러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단계 S120에서 생성 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한다(S160).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간단하게는 단계 S130에서 생성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된다.
또한 도 8은 동기 채널을 이용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동기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MOST 가상 디바이스를 통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로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MOST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우선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받는다(S210).
이후 단계 S210에서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여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한다(S220).
이 경우 단계 S220에서의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응용 프로그램과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230).
이후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한다(S240).
또한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후 더 이상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TCP/IP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단계 S220에서 생성되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 용되던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50).
이러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단계 S220에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한다(S260).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간단하게는 단계 S230에서 생성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동기 채널에서의 경우와 달리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기타 과정은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은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와,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 매체에 대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MOST 디바이스의 동기 채널 또는 비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TCP/IP 지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QoS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MOST 시스템의 비동기 채 널을 기존의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TCP/IP 기반의 스트리밍 소프트웨어를 MOST 용으로 간단하게 포팅할 수 있어서 MOST 디바이스에서의 QoS 지원이 가능하다.

Claims (25)

  1.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거나 제거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동기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의 소켓 통신을 관리하는 소켓 관리부
    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MOST 비동기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소켓 응용 프로그램과의 소켓 통신을 관리하는 비동기 소켓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소켓 관리부는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에 의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되면 생성되고,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제거 필요가 있으면 제거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는 사용될 송신용 슬롯 및 수신용 슬롯의 개수를 입력받아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에 상기 송신용 슬롯 및 수신용 슬롯을 할당(allocation)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에 할당된 상기 송신용 슬롯 및 수신용 슬롯을 해제(deallocation)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를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가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제거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와 상기 비동기 소켓 관리부는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에 의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이나 제 거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제거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부를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부가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가 제거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는 고정으로 할당된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프레임 형태로 캡슐화(encapsulation)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
  10.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QoS 지원이 필요한 경우 생성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MOS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동기 채널의 송신용 슬롯과 수신용 슬롯을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e)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f)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b)에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f-1)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5.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e)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f)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b)에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f-1)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방법.
  18.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과,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QoS 지 원이 필요한 경우 생성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c)는,
    (c-1) 상기 MOS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동기 채널의 송신용 슬롯과 수신용 슬롯을 상기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할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1. 제18항에 있어서,
    (e)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과,
    (f)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 (b)에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f)는,
    (f-1) MOST 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MOST 디바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비동기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a)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과,
    (b)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c)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와 상기 MOS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와의 소켓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능과,
    (d)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MOST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e)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과,
    (f) 상기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 (b)에서 생성된 MOST 가상 디바이스를 제거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f)는,
    (f-1) MOST 비동기 TCP/IP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66159A 2006-07-14 2006-07-14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10080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59A KR100806722B1 (ko) 2006-07-14 2006-07-14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59A KR100806722B1 (ko) 2006-07-14 2006-07-14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70A KR20080006870A (ko) 2008-01-17
KR100806722B1 true KR100806722B1 (ko) 2008-03-06

Family

ID=3922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159A KR100806722B1 (ko) 2006-07-14 2006-07-14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175B1 (ko) * 2007-08-30 2009-11-05 전자부품연구원 Most 네트워크의 채널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126A (ko) * 2003-08-04 2005-02-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동기식 전송망 관리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제어기
US20060083265A1 (en) 2004-10-14 2006-04-20 Jordan Patrick D System and method for time synchronizing nodes in an automotive network using input capture
KR20060055030A (ko) * 2004-11-17 200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스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차량내 멀티미디어 제어장치
US20060123474A1 (en) 2004-11-12 2006-06-08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ata transfer in a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126A (ko) * 2003-08-04 2005-02-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동기식 전송망 관리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제어기
US20060083265A1 (en) 2004-10-14 2006-04-20 Jordan Patrick D System and method for time synchronizing nodes in an automotive network using input capture
US20060123474A1 (en) 2004-11-12 2006-06-08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ata transfer in a network
KR20060055030A (ko) * 2004-11-17 200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스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차량내 멀티미디어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70A (ko)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0865B1 (en) Transmission system, bandwidth management apparatus, and bandwidth management method
US7894339B2 (en) High speed PLC network-ethernet bridge system supporting QoS
US83455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transmission delay in a communication network
TWI322595B (en) Methods and media access controller for mesh networks with adaptive quality-of-service management
CA2697584C (en) Subscriber access network architecture
KR101673304B1 (ko) 차량용 이더넷을 위한 avb 스트림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67186B2 (en) Selective deep packet inspection
US20050190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upstream request processing latency in a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KR20120099412A (ko) 서비스 품질을 이용해 관리되는 네트워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594802B (zh) 低延迟联网的方法及系统
CN113366805A (zh) 报文调度方法、调度器、网络设备和网络系统
US11368404B2 (en) Method of releasing resource reservation in network
KR20100111225A (ko) 지능형 통합 게이트웨이를 갖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30025813A (ko) 케이블 모뎀 내의 혼잡 완화
WO2018181378A1 (ja) スイッチ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4564491B2 (ja) 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06722B1 (ko) Most 가상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관리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EP1210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upstream request processing latency in a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US8107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oS of AV streams
JP2012142657A (ja) 通信装置、中継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08122177A1 (fr) Procédé, système et terminal pour la détermination d&#39;un degré de qos
JPH1120535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Stöhrmann et al. Towards OFDMA-based Ethernet for future in-vehicle communication
KR100925175B1 (ko) Most 네트워크의 채널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Alderisi et al. Prioritization-based Bandwidth Allocation for MOST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