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472B1 -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472B1
KR100804472B1 KR1020060083818A KR20060083818A KR100804472B1 KR 100804472 B1 KR100804472 B1 KR 100804472B1 KR 1020060083818 A KR1020060083818 A KR 1020060083818A KR 20060083818 A KR20060083818 A KR 20060083818A KR 100804472 B1 KR100804472 B1 KR 10080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user
selling
image
edi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란향
Original Assignee
씨제이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인터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4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a user are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create the items conveniently by providing an item editing tool, offer item information to others from item sales by creating a display image about the item, and offer a part of sale profit of the items to the user as rewards. A web server(110) provides the user with a list of layers capable of selling the items among a plurality of layers forming an avatar and receives at least one lay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rovided layers. An item editing module(120) is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item editing too capable of enabling the user to create the items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s a function for editing at least one of moving picture, still image, and audio item type. The web server sells the item created by the item editing tool to others. The item editing tool or the web server creates the display image representing property of the item by linking with the item, and the web server provides the created display image to other users when the received items are sold.

Description

사용자 생성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user-generated items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의 UI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I screen of an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아이템 판매 시에 제공하는 디피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p image provided when an item is sold in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item se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아이템 판매 시스템201: Item Sales System

210: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 item editing tool provider

220: 아이템 수신부220: item receiving unit

230: 아이템 판매부230: item sales department

본 발명은 사용자 생성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생성한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판매하고 그 수익의 일부를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user-generated i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an item applicable to an avatar created by a user and rewarding the user with a portion of the profit.

최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각종 웹 사이트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인터넷 상에서 자신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아바타를 사용하고 있으며, 웹 사이트들에서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꾸밀 수 있는 아바타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the Internet has increased, various web sites have provided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ly, many users use avatars as a means of informing themselves on the Internet, and web sites provide avatars that users can customize according to their tastes.

일반적으로 아바타는 사람의 형태를 하는 이미지에 의상, 머리스타일 또는 액세서리 등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덧붙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얼마나 다양한 의상, 머리스타일 또는 액세서리 등의 이미지(이하, "아이템"이라 한다.)를 보유하느냐에 따라서 얼마나 자유롭게 자신의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In general, an avatar can freely add an image such as a costume, a hair style, or an accessory to an image in the form of a human,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s a means of representing the user. Therefore, how freely you can decorate your avatar is determined by how many different images of clothes, hair styles, or accesso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ems") are held.

따라서, 사용자들끼리 아바타에 적용되는 아이템을 선물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인터넷 웹 사이트들은 다양한 아이템을 디자인하여 판매하는 것을 하나의 커다란 수익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얼마나 다양한 디자인의 아이템을 제공하는지에 따라서 웹 사이트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it has become common to present items that are applied to avatars among users, and internet web sites use designing and selling various items as one big revenue source. In addition, there is a case that the preference for the web site varies depending on how various items of the design are provided.

그러나, 이와 같은 아이템은 각각의 아이템 별로 독특한 디자인을 필요로 하고,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인력 및 디자인을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이미지로 생산할 수 있는 그래픽 인력이 요구되며, 많은 인력을 투입한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모두 충족시켜 줄 수는 없다.However, such items require a unique design for each item, which requires a design manpower and a graphic manpower capable of producing a design as an image applicable to the avatar so that various designs can be made. However, it cannot satisfy all the needs of various users.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아바타 아이템을 생성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면, 다양한 디자인의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많은 사용자들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아이템을 보다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는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하고, 생성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f there is a way for the user to create and sell avatar items directly, it is possible to create items of various designs to satisfy the taste of many users. In particular, 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an item editing tool that allows users to more easily create item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tem editing tool for generating an item to a user and proposes an item sell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the generated i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sell a user-gener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n item.

또한, 본 발명은 아이템과 관련된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아이템 판매 시에 다른 사용자에게 아이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an item, thereby providing item information to other users at the time of selling the it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은 금액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금액을 아이템 판매에 따른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r with a portion of the amount obtained by selling the item generated by the user,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can be generated as the revenue of the item sale.

또한, 본 발명은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일부의 레이어에 대한 아이템만을 판매할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일부 레이어에서는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strict the sale of only items for some of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so that only some of the items provided by the website can be used in some layers.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 입력 받는 웹 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ith a list of layers that can sell the item of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the provided layer And an item editing module for providing an item editing tool for allowing the user to generate an item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and the web server receiving the at least one layer selected from the web server. Receiving an item generated by using and selling to other user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은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수신하는 아이템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아이템 판매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for creating an item applicable to at least one selected layer of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And an item receiver for receiving an item generated by the item editing tool from a user, and an item seller for selling the received ite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방법은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tem se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for creating an item applicable to at least one selected layer of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an avatar, the item editing tool from the user Receiving an item generated by using and selling the received item.

본 발명에서 아바타라 함은,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사람 형태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의상, 머리모양, 액세서리 등의 이미지를 추가로 제공하여 이를 결합하여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와 같이 결합된 형태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최초의 사람 형태의 이미지를 아바타라 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복수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아바타라 할 수 있으며,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영상,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refers to an image provided to members on an Internet web site. In general, an avatar provides an image of a human form, and additionally provides an image such as a costume, a head shape, and an accessory, and combines it. To generate an image representing a user. In addition to the combined image, the first human image is also referred to as an avatar.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s for synthesizing a plurality of images to represent user characteristics may be referred to as avatars, and may include not only an image but also a moving image and audio data.

또한, 아바타에 사용되는 의상, 머리모양, 액세서리 등의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는 아이템이라 하는데, 본 발명에서의 아이템은 상기한 의상, 머리모양, 액세서리 등 뿐만 아니라, 아바타의 표정, 얼굴 모양, 체형 등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아바타를 꾸미기 위한 어떤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아바타의 배경 음악,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f the costume, hair, accessories, etc. used in the avatar is referred to as an it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above-described costume, hair, accessories, etc., but also the facial expression, facial shape, body shape, etc. of the avatar All of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nd anything to decorate the avatar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avatar may include various forms such as background music and animation of the avatar.

그리고, 아바타에 아이템을 적용하기 위해서 아바타가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레이어는 아바타 및 아이템의 배치 순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두 레이어의 이미지가 겹치는 경우에 높은 레이어의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아바타 레이어의 예로는 뒷 배경, 발밑 배경, 머리 모양, 신발, 하의, 상의, 테마, 오른손 액세서리, 왼손 액세서리, 모자, 헤어 액세서리, 안경, 앞 배경 등이 있다. 또한, 각 레이어 별로 아이템이 존재할 수 있는 위치가 각각 정해져 있는데, 예를 들어 머리 모양의 경우에는 아바타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며, 오른손 액세서리의 경우에는 아바타의 오른 손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an item to the avatar, the avat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yer may mean an arrangement order of an avatar and an item. When the images of two layers overlap, an image of a high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Examples of avatar layers include back backgrounds, foot backgrounds, hair shapes, shoes, bottoms, tops, themes, right hand accessories, left hand accessories, hats, hair accessories, glasses, and front backgrounds. In addition, for each layer, positions where items may exist are determi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ead shape, it is set to be located at the head of an avatar, and in the case of a right-hand accessory, it is set to be located at a position of an avatar's right hand. .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은 웹 서버(110) 및 아이템 편집 모듈(120)을 포함한다. 웹 서버(110)는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서버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접속 가능한 서버이다. 또한, 아이템 편집 모듈(120)는 프로그램 형태로 된 모듈로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되어 바로 실행되거나 설치 과정을 거친 후에 실행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server 110 and an item editing module 120. The web server 110 is a server used to provide a service on the Internet. The web serv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item editing module 120 is a module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downloaded to a user terminal and executed immediately or after an installation process.

웹 서버(110)는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 입력 받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바타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어는 아바타를 구성하는 배경, 형태 및 액세서리 등을 각각 표시하기 위한 계층을 의미하며, 각각의 레이어는 순서가 정해져 있고, 동일한 위치에 겹치게 되는 경우에는 레이어의 순서에 따라서 높은 레이어가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바타의 모든 레이어에 대하여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지 않고 레이어 중 일부에 대해서만 아이템 판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의 형태, 얼굴 표정 등과 같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해야만 하는 레이어의 경우에는 판매를 제한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아바타 레이어 중 판매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의 일례이다.The web server 110 provides a user with a list of layers for selling items among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and selects and inputs at least one layer from the provided layers. As described above, the avata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 layer refers to a layer for displaying a background, a form, and an accessory, etc., which constitute an avatar. Each layer has a predetermined order, and when the layers overlap in the same position, a higher lay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layers. do.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 may be sold only to a part of the layers without allowing the item to be sold to all layers of the avatar. Therefore, in the case of a layer that must be provided by an internet site such as a body shape and a facial expression, the sale can be restricted. Table 1 below is an example of a list of sellable layers among avatar layers.

[표 1]TABLE 1

구성레이어Composition layer 이름name 1 7 8 9 12 13 17 18 19 20 21 231 7 8 9 12 13 17 18 19 20 21 23 아바타 뒷배경 헤어 신발 하의 상의 셋트복 (상+하의) 목걸이 오른손 액세서리 왼손, 양손 액세서리 모자 및 머리장식 안경, 귀걸이 아바타 앞배경Avatar Backdrop Hair Shoes Bottoms Tops (Top & Bottom) Necklaces Right Hand Accessories Left Hand, Two Hand Accessories Hats & Headdress Glasses, Earrings Avatar Front Background

또한, 웹 서버(110)는 사용자가 아이템 편집 모듈(120)의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일반적으로는 정지영상인 이미지 데이터 형태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애니메이션 등의 동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아바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서 아이템을 판매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판매될 수 있으며, 아이템의 종류, 카테고리 등으로 분류되어 판매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eb server 110 may receive an item generated by the user using the item editing tool of the item editing module 120 from the user and sell it to another user. The items are generally in the form of image data, which are still images. However, in some cases, the items may include video data such as animation, audio data, and the like. In general, the item may be sold in the same manner as the item is sold in the web server that provides the avatar service, and may be classified into an item type, a category, and the like.

그리고 웹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아이템과 함께 상기 아이템과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디피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다. 웹 서버(110)에서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아이템의 실제 이미지뿐만 아니라, 아이템을 대표할 수 있는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면, 사용자들이 아이템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디피 이미지만으로 아이템의 모양, 특성 등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는 사용자가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특성에 따라서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의상인 경우에는 웹 서버(110)에서 자동으로 마네킹 이미지에 상기 아이템을 결합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피 이미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신발 등과 같이 실제 아바타에 적용되었을 때에는 그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아이템을 확대한 이미지를 디피 이미지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이템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직접 제작한 것일 수 있다. 특히, 동영상, 오디오 등의 형태를 가지는 아이템의 경우에는, 한 눈에 아이템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디피 이미지가 제공되면,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The web server 110 may receive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from the user and provide the received dip image to other users to sell the item. When the web server 110 sells the item, if not only the actual image of the item but also generates a diff image representing the item and provides the user to the user, the user purchases the item, the shape of the item using only the diff image, The characteristics can be identified. The dip image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using an item editing tool, or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stume of the item, the web server 110 may automatically generate an image combining the item with a mannequin image to use as a dip image, and when the size is applied to an actual avatar such as shoes, If it is small, you may want to use an enlarged image of the item as a dip image. In addition, it may be produced directly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tem having a form of a video, audio, etc., if a diff image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is provided at a glance, it may help the user to select the item.

또한, 웹 서버(11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판매하게 되면, 상기 아이템의 판매 수익은, 상기 웹 서버(110)의 운영사 및 상기 사용자가 분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템 판매 수익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하게 되어, 상기 사용자는 아이템 생성으로 인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웹 서버(110)의 운영사는 아이템을 생성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아이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켜 웹 서버(110)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b server 110 sells the item generated by the user, the sales revenue of the item is distributed by the operator of the web server 110 and the user. Accordingly, a part of the item sales revenue is compensat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rn income due to item creation, and the operator of the web server 110 minimizes the cost for creating the item, while various items are available. By providing 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connection to the web server 110 by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아이템 편집 모듈(120)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는 아이템 편집 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상기 웹 서버(110)에서 제공한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 목록 중 선택한 하나 이상의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한다. 아이템 편집 툴은 아이템의 형태에 따라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이템이 이미지 형태의 정지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 툴의 형태를 가지며, 아이템이 애니메이션과 같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애니메이션 편집 툴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아이템이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연결된 음성 녹음 장치 등과 연동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녹음하도록 할 수도 있고, 원하는 멜로디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음악 편집 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item editing module 120 provides an item editing tool installed in a user's terminal and allowing the user to create an item. The user generates an item applicable to one or more layers selected from a list of layers for selling items provided by the web server 110 using an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module 120. The item editing tool may provid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tem. If the item is still image data in the form of an image, the item editing tool may be in the form of an image editing tool. Has a form. In addition, when the item is audio data, it may be linked with a voice recording device connected to the user's terminal to record necessary data or may have a form of a simple music editing tool for inputting a desired melody.

아이템 편집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는데,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을 설치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단말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 만으로 한정하여야 할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미지, 애니메이션, 음악 등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Active X 형태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거나, Install Shield 등을 활용하여 단말기에 설치해야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플래시 등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플래시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플래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것만으로 편집 기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또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Visual Basic Script) 등을 활용하면 간단한 편집 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 우에도, 플래시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자바 스크립트 또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를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는 과정이 필요하며, 상기한 설치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item editing module 120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item editing module 120 is not limited to being installed in the terminal by operating an installation program. Conventionally, in order to edit images, animations, music, etc. in a user terminal, an ActiveX program should be installed or installed in the terminal using an Install Shield. However,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flash, a terminal equipped with a module for operating the flash has been able to provide a sufficient editing function by simply downloading a flash file. You can also provide simple editing tools by using JAVA Script or Visual Basic Script. Even in such a case, a process of downloading a flash file or downloading a Javascript or a VB script to a terminal is required, and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as including all of such a program download.

또한, 아이템 편집 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크기로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위치를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위치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바타의 각 레이어에 따라서 아이템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며, 그 위치도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을 나타내는 레이어의 경우에는 아바타의 발 부분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그 크기도 아바타의 발 주변을 벗어날 수 없게 되어있다. 따라서, 아이템 편집 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에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신발을 나타내는 레이어를 선택하고, 신발 이미지를 생성하면, 상기 이미지를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위치 및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module 12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tem created by the user to a size applicable to the avatar,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creating the item. It may provid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tem to a position applicable to the avatar. Each layer of the avatar has a limited space where an item can be located, and its location is also determi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yer representing shoes, the size of the avatar is limited to the feet of the avatar, and the size of the shoes is not limited to the area around the feet of the avatar. Therefore, in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module 120, even if the user does not separately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when the user selects a layer representing shoes and generates a shoe image, the image can be applied to the avatar. And by adjusting the size, the user may conveniently create the item.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201)은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 아이템 수신부(220) 및 아이템 판매부(33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구성 요소 별로 상술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tem selling system 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an item receiving unit 220, and an item selling unit 330.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는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바타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며, 각 레이어에는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바타의 상의를 나타내는 레이어의 경우에는 상의 의상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레이어는 순서를 가지며, 아바타 이미지 내에서 겹치는 경 우가 발생하면, 높은 순서의 레이어가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provides a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for generating an item applicable to at least one selected layer among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As described above, the avata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each layer has an item applicable to the lay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ayer representing the avatar's top,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top costume may be applied. The layers have an order, and if an overlap occurs in the avatar image, the high order layer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는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된 레이어로 선택 입력 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바타를 구성하는 레이어 중, 형태, 얼굴 표정 등과 같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아이템만을 사용해야 하는 레이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아이템을 생성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may provide a user with a layer capable of selling an item among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and receive a selection input of at least one layer from the user as the selected layer. Therefore, in the case of a layer constituting the avatar, which needs to use only items provided by the Internet site, such as a shape and a facial expression, the user may not be able to create an item.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는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템 편집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서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플래시(Flash) 등의 기술을 이용하면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없이 사용자의 웹 브라우져 상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는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받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이 아니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provides a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for creating an item. The item editing tool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user's terminal, and may have a program form that can be operated in the terminal. Can be. In order to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y using a separate installation program, or by using a technology such as flash, or the like, and may be executed in a user's web browser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gram. The installation encompasses all downloads for use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way, and a separate installation program does not operate.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크기로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위치를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위치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바타의 각 레이어에 따라서 아이템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며, 그 위치도 정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이템을 생성한다고 하여도 아바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이템의 크기를 적용 가능한 공간 이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조절하고, 그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이템 편집 툴에서 아이템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바타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누구나 아이템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아이템을 제작하기 위한 디자이너 등의 전문 인력을 늘리지 않고도 다양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a user-created item to a size applicable to an avatar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in creating an item. It may provid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tem to a position applicable to the avatar. Each layer of the avatar has a limited space where an item can be located, and its location is also determined. Therefore, in order to be applicable to the avatar even when the user creates an item, the size of the item must be adjusted to fit within the applicable space and the position thereof is adjust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tem in the item editing tool,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n item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avatar. Therefore, anyone can easily produce the item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items to the user without increasing the professional personnel, such as designers for producing the item.

그리고,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은, 아이템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편집 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적용 가능한 레이어에 따라서, 정지 영상, 동영상, 오디오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아바타의 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라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편집 툴은 아이템의 형태에 따라서 다른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정지 영상인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 툴의 형태로 편 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이템이 오디오인 경우에는 녹음 장치 또는 멜로디 편집 툴의 형태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may have various types of editing tool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tem. The item may have a form of a still image, a video, an audio, etc. according to the applicable layer, and may have any form if it is applicable to the layer of the avatar. Thus, the item editing tool may provide different editing func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tem. For example, when the item is a still image, the edi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mage editing tool. When the item is audio, the edi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device or a melody editing tool.

또한,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면 아이템뿐만 아니라, 상기 아이템과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는 상기 아이템과 함께 수신되어 상기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상기 아이템을 구매하려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들이 아이템을 구매할 때에 아이템을 보는 것만으로 아이템의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아이템의 특징을 한 눈에 드러낼 수 있는 이미지가 있다면, 아이템 구매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는 디피 이미지라 하며, 상기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상기 디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not only an item but also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may be generated. The dip image is received with the item so that it is provided to other users who want to purchase the item when selling the item. When a user purchases an item,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simply by looking at the item. At this time, if there is an image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at a glance, it can be used to purchase the item. Such an image is referred to as a dip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p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an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아이템 수신부(2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한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수신한다. 상기 아이템은 정지 영상, 동영상 또는 오디오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로 구성되어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아이템 수신부(220)로 수신될 수 있다. 아이템 수신부(220)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통신 모듈로부터 아이템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item receiving unit 220 receives an item generat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from the user. The item may have a form of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or an audio, and may be composed of digital data 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item receiving unit 2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item receiving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item from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아이템 수신부(220)에서는 아이템을 수신하여 소정의 기록장치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장치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등 의 기록 장치뿐만 아니라,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receiver 220 may receive the item and store the item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device. The recording device may include a memory device as well as a recording device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or the like.

또한, 아이템 수신부(220)에서는 아이템뿐만 아니라, 아이템과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는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별도의 디피 이미지 생성 모듈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는 상기 아이템과 대응되어 상기 기록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추후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상기 아이템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 receiver 220 may receive not only an item but also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The dip image may be an image generated by a user using an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or may be an image automatically generated by a separate dip image generation module. The dip image may be stor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item, and may be used as a means for expressing a feature of the item when selling the item to another user.

아이템 판매부(230)는 아이템 수신부(220)에서 수신한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한다. 상기 아이템은 사용자가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한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으로, 이에 따라 아이템 판매부(230)에서는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템 판매부(230)에서는 판매 가능한 아이템의 목록을 레이어 또는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 때, 아이템을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아이템에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면 아이템을 직접 제공하지 않고도 아이템의 특징을 상기 아이템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tem selling unit 230 sells the item received by the item receiving unit 220 to other users. The item is an item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Accordingly, the item selling unit 230 may sell the item generated by the user to another user. The item selling unit 230 may provide a list of sellable items by layer or category to other users. In this case, the item selling unit 230 may provide an item directly or provide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Providing the Diff imag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user with the features of the item to purchase the item without providing the item directly.

아이템 판매부(230)에서는 사용자가 생성하여 아이템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아이템 중에서 판매 가능한 아이템을 선별하여 판매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선별하는 과정은 인터넷 사이트의 관리자가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아 이템이 다른 아이템과 유사하거나, 공서양속을 해하는 등 판매에 적절하지 않은 아이템인 경우에는 판매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수신부(220)에서 수신한 아이템이 아이템 판매부(230)에서 판매되기까지 아이템 판매 가능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The item selling unit 230 may select and sell a sellable item among items generated by the user and received by the item receiving unit 220.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tem may be performed by an administrator of the Internet site, and may not be sold if the received item is similar to another item or if the item is not suitable for sale, such as harming public morals. Therefore, it may take time to check whether the item can be sold until the item received by the item receiving unit 220 is sold by the item selling unit 230.

또한, 아이템 판매부(230)에서 상기 아이템을 판매하게 되면 상기 아이템의 가격에 대응되는 금액을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금액은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사 및 상기 아이템을 제작한 사용자가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템을 생성하여 판매한 수익의 일부를 보상 받을 수 있다. 상기 보상은 현금 또는 사이버 머니 중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며, 사이버 머니 형태로 보상되는 경우에는, 보상된 사이버 머니를 이용하여 다시 아이템을 구입하도록 함으로써,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밖에도 사용자에게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아이템의 가격은 아이템 수신부(220)에서 상기 아이템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아이템을 생성한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아이템 판매 가능 여부 검토시에 가격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아이템이 적용 가능한 레이어에 따라서 일괄적으로 가격을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tem selling unit 230 sells the item,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the item is received, which may be distributed by the operator of the Internet site and the user who produced the item. Therefore, the user may be compensated for a part of the profit generated by selling the item. The reward may be in any form of cash or cyber money, and when compensated in the form of cyber money, the item can be purchased again using the compensated cyber money, thereby maximizing sales. In addition,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reward the user. In addition, the price of the item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who created the item when the item receiving unit 220 receives the item, may be determined to determine the price when the item is available for sale, item The price may be determined collectively according to this applicable lay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의 UI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I screen of an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은 아이템 편집 툴 중 정지 영상 형태를 가지는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아이템 편집 툴에서 제공하는 각종 이미지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The figure shows a screen provid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for editing an item having a still image form among the item editing tools.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can create an item by edit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various image editing tools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사용자는 도면 부호 310에서와 같이 아바타의 성별을 선택할 수 있다. 아바타의 성별에 따라서 아바타의 신체 윤곽, 얼굴 모양, 머리 모양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아이템을 적용할 아바타의 성별을 미리 입력 받음으로써, 아이템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조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고, 아이템 생성 시에 배경으로 신체 윤곽을 제공함으로써, 아바타에 어울리는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gender of the avatar as shown at 310. Since the avatar's body contour, face shape, and head shape may vary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avatar, the avatar's gender can be used to adjust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tem by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In addition, by providing a body outline as a background at the time of item creation, it may help to create an item that matches the avatar.

또한, 사용자는 도면 부호 320에서와 같이 아이템을 적용할 레이어를 선택한다. 도면에서는 뒷배경, 발밑배경, 헤어, 신발, 상의, 하의를 선택 가능한 레이어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 밖에도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는 모든 아바타 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 별로 아이템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택된 레이어를 기준으로 아이템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elects a layer to which the item is applied, as shown at 320. In the drawing, the back background, the foot background, hair, shoes, top, and bottom are provided as selectable layers. In addition, all avatar layers for selling items may be provided. Since areas in which items may exist are divided for each layer,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tem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selected layer.

또한, 사용자는 도면 부호 330에서와 같이 아바타에 실제로 적용된 아이템의 이미지를 화면을 통하여 확인하면서 아이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면의 확대 축소를 통하여 실제 크기가 아닌 비트(bit) 단위로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을 확대하여 편집하는 경우에는, 도면 부호 340에서와 같이 아이템의 실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330, the user may perform item editing while checking an image of an item actually applied to the avatar through the screen, and may enlarge and reduce the image in bits rather than the actual size. You can also edit it. When the screen is enlarged and edi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continuously checking the actual image of the item as shown at 340.

그리고 도면 부호 350의 버튼을 클릭하면 아이템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애니메이션 편집 툴에서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의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편집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아이템 편집이 완료 되어 도면 부호 360의 버튼을 클릭하면, 생성된 아이템이 아이템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소정의 판매 여부 결정 절차를 거쳐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판매되게 된다.When the button 350 is clicked, an item can be produced as an animation. This can be implemented us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animation by editing an image constituting each frame of the animation as in a general animation editing tool. When the item editing is completed and the button 360 is clicked, the generated item is transmitted to the item selling system to be sold in the item selling system through a predetermined selling decision proces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아이템 판매 시에 제공하는 디피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p image provided when an item is sold in an item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이템은 각 아이템에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가진다. 도면 부호 401의 아이템은 아바타의 배경으로, 좌측의 적용 이미지는 실제 아바타의 배경으로 적용되는 이미지이고, 우측 디피 이미지는 적용 이미지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추출하여 아이템 판매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생성한 이미지이다.As shown in the figure, each item has a diffy image associated with each item. The item 401 is the background of the avatar, the applied image on the left is the image applied to the background of the actual avatar, and the right diffy image is an image generated by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 part from the applied image and used for selling the item. .

도면 부호 402의 아이템은 신발 아이템으로, 좌측의 적용 이미지는 실제 아바타에 적용되는 이미지이며, 우측 디피 이미지는 판매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생성한 이미지이다. 신발의 경우에는 아이템의 크기가 작아서 실제 적용 이미지만으로는 아이템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큰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피 이미지로 활용할 수 있다.An item 402 is a shoe item, an applied image on the left is an image applied to an actual avatar, and a right dippy image is an image generated for use at the time of sale. In the case of shoes, since the size of the item is small, it may be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using only the actual applied image, so that a large image may be generated and used as a dip image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more accurately.

도면 부호 403의 아이템은 의상 아이템으로 디피 이미지는 마네킹 이미지 위에 적용 이미지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의상 아이템을 착용한 경우의 모습을 사용자가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404에서는 헤어 아 이템을 도시하고 있는데, 헤어 아이템의 경우에는 적용 이미지 및 디피 이미지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작은 머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은 머리 이미지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아이템 판매 시스템에서 직접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The item 403 is a costume item, and the dippy image is configured to add an application image on the mannequin imag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ssociate a state of wearing the costume item. In addition, a hair item is shown at 404. In the case of a hair item, an applied image and a dippy image may be configured identically, and a separate small hair image may be generated. The small head image may be generated by a user using an item editing tool or may be directly generated by an item selling system.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피 이미지는 아이템의 종류, 레이어와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아이템의 종류와 무관하게 일관성있는 아이템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템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iffi- ry image may have the same size regardless of the type of item or layer, and thus, the user may purchase an item by providing a consistent list of items regardless of the type of it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판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item se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501에서는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바타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레이어에는 각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이 있으며, 레이어는 순서를 가지고 있어서, 아바타 상의 동일한 위치에 아이템이 겹치는 경우에 순서가 높은 레이어의 아이템이 화면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판매 방법에서는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operation S501, a list of layers on which items can be sold is provided to the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The avata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each of which has an item applicable to each layer, and the layers have a sequence, so that the items of the higher order layer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items overlap at the same position on the avatar. . In the item se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ayer on which an item can be sold to a user, the user can identify a layer on which an item can be sold.

단계 S502에서는 단계 S501에서 제공한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 받는다. 사용자는 단계 S501에서 제공된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 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502, at least one or more layers from the list of layers for selling items provided in step S501 are received by the user. The user may generate an item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by selecting at least one layer from among the layers on which the item can be sold in step S501.

단계 S503에서는 단계 S502에서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서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플래시(Flash) 등의 기술을 이용하면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없이 사용자의 웹 브라우져 상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는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받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이 아니다.In step S503, an item editing tool for generating an item applicable to the layer selected in step S502 is provided to the user. The item editing tool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terminal of a user, and may have a program form that may be operated in the terminal. In order to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y using a separate installation program, or by using a technology such as flash, or the like, and may be executed in a user's web browser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gram. The installation encompasses all downloads for use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way, and a separate installation program does not operate.

단계 S503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크기로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위치를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위치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바타의 각 레이어에 따라서 아이템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며, 그 위치도 정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이템을 생성한다고 하여도 아바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이템의 크기를 적용 가능한 공간 이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조절하고, 그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이템 편집 툴에서 아이템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바타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누구나 아이템을 쉽 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아이템을 제작하기 위한 디자이너 등의 전문 인력을 늘리지 않고도 다양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in step S503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an item created by the user to a size applicable to the avatar,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creating the item,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tem. It can provide a function to adjust the position applicable to the avatar. Each layer of the avatar has a limited space where an item can be located, and its location is also determined. Therefore, in order to be applicable to the avatar even when the user creates an item, the size of the item must be adjusted to fit within the applicable space and the position thereof is adjust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tem in the item editing tool,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n item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avatar. Therefore, anyone can easily produce the it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items to the user without increasing the professional personnel, such as designers for producing the item.

그리고, 단계 S503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은, 아이템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편집 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적용 가능한 레이어에 따라서, 정지 영상, 동영상, 오디오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아바타의 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라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편집 툴은 아이템의 형태에 따라서 다른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정지 영상인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 툴의 형태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이템이 오디오인 경우에는 녹음 장치 또는 멜로디 편집 툴의 형태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in step S503 may have various types of editing tools according to the item type. The item may have a form of a still image, a video, an audio, etc. according to the applicable layer, and may have any form if it is applicable to the layer of the avatar. Thus, the item editing tool may provide different editing func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tem. For example, when the item is a still image, the edi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mage editing tool, and when the item is audio, the edi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device or a melody editing tool.

또한, 단계 S503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면 아이템뿐만 아니라, 상기 아이템과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는 상기 아이템과 함께 수신되어 상기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상기 아이템을 구매하려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들이 아이템을 구매할 때에 아이템을 보는 것만으로 아이템의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아이템의 특징을 한 눈에 드러낼 수 있는 이미지가 있다면, 아이템 구매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는 디피 이미지라 하며, 상기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210)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상기 디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using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in step S503, it is possible to generate not only the item but also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The dip image is received with the item so that it is provided to other users who want to purchase the item when selling the item. When a user purchases an item,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simply by looking at the item. At this time, if there is an image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at a glance, it can be used to purchase the item. Such an image is referred to as a dip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p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an item editing tool provid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ing unit 210.

단계 S504에서는 단계 S503에서 제공한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 및 상기 아이템에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아이템 및 디피 이미지는 단계 S503에서 제공한 아이템 편집 툴에서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04, an item created using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in step S503 and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are received from the user. The item and the diff image may be received by being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item editing tool provided in step S503, and may be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단계 S505에서는 단계 S504에서 수신한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한다. 상기 아이템을 판매하기 위하여 단계 S505에서는 단계 S504에서 아이템과 함께 수신한 상기 아이템과 연관된 디피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피 이미지는 상기 아이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므로, 다른 사용자는 상기 디피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아이템의 특징을 파악하여 아이템을 선택하고 구매할 수 있다.In step S505, the item received in step S504 is sold to other users. In order to sell the item, in step S505,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received with the item in step S504 may be provided to another user. Since the dip image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feature of the item, another user can grasp the feature of the item based on the dip image and select and purchase the item.

단계 S506에서는 단계 S505에서 상기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한다. 단계 S505에서 아이템을 판매하면, 상기 아이템의 가격에 대응되는 금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금액은 아이템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 운영사 및 상기 아이템을 생성한 사용자가 분배하게 된다. 상기 분배의 기준은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서 미리 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와의 협의를 통하여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템을 생성하여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인터넷 사이트 운영사는 아이템 판매를 대행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step S506, the user is compensated for a part of the profit obtained by selling the item in step S505. If the item is sold in step S505,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the item can be obtained. The amount is distributed by the Internet site operator providing the item selling method and the user who created the item. The distribution criteria may be predetermined in the Internet site, and may be determi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generate a profit by generating and selling an item, and the Internet site operator can obtain a profit by acting on the sale of the item, thereby providing various items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판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item sel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ystem that can sell a user-generated i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tem editing tool to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create the i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템과 관련된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아이템 판매 시에 다른 사용자에게 아이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item,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tem information to other users when selling the i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은 금액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나머지 금액을 아이템 판매에 따른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ortion of the amount obtained by selling the item generated by the user to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maining amount can be generated as a profit for selling the i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일부의 레이어에 대한 아이템만을 판매할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일부 레이어에서는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stricting to sell only the items for some of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some of the items provided by the website can be used in some layers.

Claims (23)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 입력 받는 웹 서버; 및A web server providing a user with a list of layers on which items can be sold among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an avatar, and receiving at least one layer selected from the provided layers; And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모듈An item editing module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providing an item editing tool to the user to generate an item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을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 동영상, 정지영상,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형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편집기능을 제공하며,The item editing tool provides a predetermined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tem type among a video, a still image, and audio.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하고,The web server receives the item created using the item editing tool and sells it to another user, 상기 아이템 편집 모듈 또는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아이템과 연관되어 아이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수신된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상기 생성된 디피 이미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The item editing module or the web server generating a dip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item and indicating a feature of the item and the web server providing the generated dip image to the other user when selling the received item.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이템 편집 모듈은,The item editing module,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Stored in the web server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us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이템 편집 모듈은,The item editing module,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인 것In the form of a program executable on a computer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웹 서버는,The web server, 상기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것Rewarding the user for some of the revenue from selling the item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아이템 편집 툴 제공부;Providing the user with a list of layers that can sell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and providing the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that selects at least one layer from the user and generates an item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An item editing tool provider;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을 수신하는 아이템 수신부; 및An item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n item generated using the item editing tool from the user; And 상기 수신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아이템 판매부를 포함하고,An item selling unit selling the received item,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 동영상, 정지영상,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형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생성된 아이템과 연관되어 상기 아이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고,The item editing tool provides a predetermined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tem type of a moving image, still image, and audio, and generates a dip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generated item to represent a feature of the item, 상기 아이템 수신부는 상기 생성한 아이템과 함께 상기 생성된 디피 이미지를 수신하며,The item receiving unit receives the generated dip image with the generated item, 상기 아이템 판매부는 상기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상기 수신된 디피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Wherein the item selling unit provides the received dipy image to another user when selling the ite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The item editing tool,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크기로 조절하는 것Adjusting the item created by the user to a size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아이템 판매부는,The item sales unit, 상기 수신한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것Rewarding the user with a portion of the revenue from selling the received item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시스템.Item sel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아바타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 중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user with a list of layers on which items can be sold among a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avatar;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상기 선택된 레이어로 선택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at least one layer from the user as the selected layer;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이템에 연관되어 상기 아이템의 특징을 나타내는 디피 이미지를 생성하는 아이템 편집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user with an item editing tool for creating an item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and generating a diff image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item to represent a feature of the item;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한 아이템과 함께 상기 디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the deep image from the user along with the item created using the item editing tool; And 상기 수신한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하고 상기 아이템을 판매할 때에 상기 수신된 디피 이미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Selling the received item to another user and providing the received diff image to the other user when selling the item,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 동영상, 정지영상,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형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것The item editing tool may provide a predetermined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tem type among a video, a still image, and audio.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방법.Item se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The item editing tool,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크기로 조절하는 것Adjusting the item created by the user to a size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방법.Item se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아이템 편집 툴은,The item editing tool,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아이템을 상기 선택된 레이어에 적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Moving the item created by the user to a position applicable to the selected layer 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방법.Item se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수신한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 중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하는 단계Rewarding the user with a portion of the revenue from selling the received item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판매 방법.Item se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4항, 제19항, 제20항,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4, 19, 20, and 22.
KR1020060083818A 2006-08-31 2006-08-31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KR100804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18A KR100804472B1 (en) 2006-08-31 2006-08-31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18A KR100804472B1 (en) 2006-08-31 2006-08-31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472B1 true KR100804472B1 (en) 2008-02-20

Family

ID=3938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818A KR100804472B1 (en) 2006-08-31 2006-08-31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4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311A (en) * 2012-01-27 2013-08-06 엔에이치엔아츠(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vatar in service provided in mobile environment
KR101403579B1 (en) 2012-03-19 2014-06-11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supporting item customaizing by user and the system there 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619A (en) * 2002-02-26 2002-05-23 김상헌 Internet Item Make Tool System & BM
KR20050061682A (en) * 2003-12-18 2005-06-23 송성근 System and method for sale avata and item through the inter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619A (en) * 2002-02-26 2002-05-23 김상헌 Internet Item Make Tool System & BM
KR20050061682A (en) * 2003-12-18 2005-06-23 송성근 System and method for sale avata and item through the intern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311A (en) * 2012-01-27 2013-08-06 엔에이치엔아츠(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vatar in service provided in mobile environment
KR101951761B1 (en) * 2012-01-27 2019-02-2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vatar in service provided in mobile environment
KR101403579B1 (en) 2012-03-19 2014-06-11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supporting item customaizing by user and the system there 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548B2 (en) Related product system and method
US9110673B2 (en)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d remotely editing interactive generic configurator programs
US8117089B2 (en) System for segmentation by product category of product images within a shopping cart
US10304106B2 (en) Consumer products
TWI405139B (en) Methods of ranking content for brand centric websites
US20100211899A1 (en) Virtual Marketplace Accessible To Widgetized Avatars
US200500712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manufacturing footwear
US20110025707A1 (en) Virtual Marketplace Accessible To Widgetized Avatars
US20100211900A1 (en) Virtual Marketplace Accessible To Widgetized Avatars
US20080052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graphics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9208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jewelry design
US200601485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taloging advertising spots of an advertising enabled game
EP22785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of map using virtual poi (point of interest)
JP2009266228A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JP2009266227A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CN107015659A (en) A kind of virtual try-in method of wrist-watch and system
US20070156433A1 (en) Electronic commerce method and system with customizable product displays
KR1008044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tems created by user
KR102476736B1 (en)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video that provides analysis information for creators and brands
US11954776B2 (en) Display of related objects in compartmentalized virtual display units
KR100911239B1 (en) Fashion item coordi-system and online service method
JP2009266226A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Ross A study of how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tailors utilize e-commerce, social media, and new 3D technological practices
KR20020009236A (en) System of designing clothing by user
KR102620837B1 (en) Customizing Purchase Platform Providing Method for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