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60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609B1
KR100803609B1 KR1020060111884A KR20060111884A KR100803609B1 KR 100803609 B1 KR100803609 B1 KR 100803609B1 KR 1020060111884 A KR1020060111884 A KR 1020060111884A KR 20060111884 A KR20060111884 A KR 20060111884A KR 100803609 B1 KR100803609 B1 KR 10080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ranscoding
home network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6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haring contents and a device are provided to enable a device for offering contents to transcode/transmit the content in real time according to specification of a device for reproducing the content, thus there is no need to retain the same content in various types of formats,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of content utility. The first device(20) transmits information on transcoding methods conducted for a content to the second device(21) by using device description(200-204). The first device(20) receives a request for transcoding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by one of the transcoding methods from the second device(21) which receives the information(206). The first device(20) transcodes the content by the one of the transcoding methods to send the transcoded content to the second device(21)(208).

Description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도 1은 종래의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ontent in a conventional home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f a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기술(device description)을 도시한다.4 illustrates a device descrip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receiving content of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를 도시한다.6 illustrates a content provis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시한다.7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8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히는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트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제공하고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providing and receiving content in a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란 가정 내의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디바이스의 종류,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초고속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해 원격교육,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헬스 케어(health care), 가전 제어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컨버전스(convergence)의 대표적 예이다.A home network refers to a network for connecting devices in a home to a network so as to share a service regardless of device type, time, and location.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digital convergence that uses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ased on the high-spe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o perform distance education, entertainment, health care, and home appliance control.

이중에서 엔터테인먼트와 관련하여,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각자 보유하고 있는 서로의 콘텐트들을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공유한다. 홈 네트워크 표준의 하나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가이드라인(guide line)에 따르면, CDS(content directory service) 규격에 따라 콘텐트 주소(content URL)과 같은 메타 데이터를 XML 형태로 표현하여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 CP)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콘텐트 정보를 공유한다. Among them, in relation to entertainment, various devices existing in the home network share each other's contents with other devices on the home network using a predetermined method. According to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guideline, one of the home network standards, metadata such as a content URL is expressed in XML form according to the CDS standard. control point (CP) to share content information with other devices.

콘텐트 정보의 공유가 수행된 이후에 공유된 콘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재생하려는 디바이스가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트를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콘텐트를 제공하여 콘텐트를 공유하게 된다.After the sharing of the content information is performed, the device which wants to play the content based on the shared content information requests to provide the content, and in response, the device holding the content provides the content to share the content.

도 1은 종래의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 록 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ontent in a conventional home network.

도 1은 DLNA 가이드라인에 따라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트의 공유는 제어 포인트(11), 미디어 서버(12), 미디어 플레이어(13) 사이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다.1 illustrates a method of sharing content according to DLNA guidelines. Referring to FIG. 1, the sharing of content is achieved through message exchange between the control point 11, the media server 12, and the media player 13.

단계 101에서 제어 포인트(11)는 미디어 서버(12)에 CDS::Browse() 또는 CDS::Search() 메시지를 전송한다. CDS::Browse() 또는 CDS::Search()는 미디어 서버(12)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들이 무엇인지를 제어 포인트(11)가 파악하기 위한 메시지이다.In step 101 the control point 11 sends a CDS :: Browse () or CDS :: Search () message to the media server 12. CDS :: Browse () or CDS :: Search () is a message for the control point 11 to know what contents the media server 12 holds.

단계 102에서 미디어 서버(12)는 단계 101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트 정보(102)를 제어 포인트(11)에 제공한다. 콘텐트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해 작성된 문서에 포함되어 전송되는데, 콘텐트의 URL, 콘텐트의 크기 등이 포함되며, AV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상도, 콘텐트의 재생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In step 102, the media server 12 provides the content information 102 to the control point 11 in response to the message received in step 101. The conte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ocument created by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nd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 URL of the content, a size of the content, and the like, and in the case of AV data, information about a resolution, a reproduction time of the content, and the like is included.

단계 103에서 제어 포인트(11)는 미디어 플레이어(13)에 GetProtocolinfo()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 포인트(11)는 미디어 플레이어(13)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format)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GetProtocolinfo()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step 103 the control point 11 sends a GetProtocolinfo () message to the media player 13. The control point 11 sends a GetProtocolinfo () messag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data transfer protocol and data format of the media player 13.

단계 104에서 미디어 플레이어(13)는 단계 103의 GetProtocolinfo()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에 대한 정보를 제어 포인트(11)에 전송한다.In step 104 the media player 13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and data format to the control point 11 in response to GetProtocolinfo () in step 103.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어 포인트(11)는 단계 102에서 수신한 콘텐트 정보와 대조하여 적절한 전송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고, 미디어 서버(12) 및 미디어 플레이어(13)에게 상대방 디바이스의 URI 정보를 전송한다.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rotocol and data format, the control point 11 selects an appropriate transmission protocol and data format against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102, and informs the media server 12 and the media player 13 of the counterpart device. Send URI information of.

단계 105에서 미디어 플레이어(13)는 HTTP의 GET 메소드를 이용해 직접 미디어 서버(12)에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하고, 단계 106에서 미디어 서버(12)는 콘텐트를 제공한다. 콘텐트는 스트리밍(streaming)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step 105 the media player 13 requests the media server 12 to provide the content directly using the GET method of HTTP, and in step 106 the media server 12 provides the content. The content may be provided by a method of streaming.

제어 포인트(11)는 독립된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나, 제어 포인트(11)가 미디어 서버(12)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13)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은 2 박스(box) 모델이 된다.The control point 11 may be an independent device, but the control point 11 may be embedded in the media server 12 or the media player 13. In this case, the method of sharing content in the home network shown in FIG. 1 is a two box model.

종래의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에 의하면, 미디어 서버(12)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가 미디어 플레이어(13)가 재생할 수 없는 포맷의 콘텐트인 경우에는 콘텐트를 재생할 수 없다. 여기서, 콘텐트 포맷은 AV 데이터의 코덱 또는 해상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sharing content, the content cannot be played when the content held by the media server 12 is content in a format that cannot be played by the media player 13. Here, the content format may be a codec or resolution of AV data.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13)는 MPEG2 동영상 데이터를 640×480의 해상도로 재생할 수 있는데, 미디어 서버(12)는 MPEG4, 1920ㅧ1080 해상도를 가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면, 미디어 플레이어(13)는 미디어 서버(12)의 콘텐트를 재생할 수 없다. For example, the media player 13 may play back MPEG2 video data at a resolution of 640 × 480. If the media server 12 holds video data having MPEG4 and 1920 × 1080 resolutions, the media player 13 Cannot play the content of the media server 12.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서버(12)가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 데이터로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보유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2)가 동일한 동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놓고 이를 공유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video data held by the media server 12 may be transcoded into video data of various formats so as to be retained. The media server 12 encodes the same video data in various formats and shares the same video data so that the video data can be played on various devices.

그러나, 이 경우 콘텐트에 대해 복수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미디어 서버(12)의 메모리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동영상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큰 데이터들이기 때문에 더욱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a plurality of data files must be stored for the content, the memory of the media server 12 is inefficiently used. Since video data and music data are generally large data, they are more inefficient.

또한,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디바이스들 사이의 콘텐트 공유를 전제로 하고 있고,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숫자 및 종류는 계속해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시각각 변하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한 모든 디바이스들이 재생할 수 있도록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보유하고 있는 것은 불가능하다.In addition, home networks are premised on sharing content among various devices, and the number and type of devices that can connect to the home network may continue to chang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transcode and retain content so that all devices connected to the ever-changing home network can play bac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트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sharing content in a home network, and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n a comput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전송한 상기 콘텐트 의 제공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소정의 트랜스코딩 방법에 의해 트랜스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second device by a first device in a home networ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ontent. Sending to a 2 device; Transcoding the content by a predetermined transcoding method in response to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ranscoded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트랜스코딩 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해 줄 것을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device by a second device in a home network is provided for a transcoding method that the first device can perform with respect to the content.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device; Requesting the first device to transcode and transmit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transcoding method; And receiving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based on the request.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네트워크는 DLNA 가이드 라인(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uide line)에 따르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ome net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uidelin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디바이스에 콘텐트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받는 정보송수신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트를 상기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딩부; 및 상기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콘텐트전송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o a second device of a first device in a home network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may be performed on the content. An information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hich transmits to the second device and is requested to provide the content from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 transcoding unit transcoding the content by one of the transcod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a conten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transcoded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장치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정보송수신부; 및 상기 전송한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콘텐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ceiving a content from a first device by a second device in a home network is provided for a transcoding method that the first device may perform on the content. A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device and requesting the first device to provide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reques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데이터 저장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data storage method on a compu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트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이며, 제2 디바이스(21)는 제1 디바이스(20)가 제공하는 콘텐트를 수신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가이드라인(guideline)에 따른 홈 네트워크이다.In FIG. 2, the first device 20 is a media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through a home network, and the second device 21 is a media player that receives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evice 20. The home network here is preferably a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guidelines.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제1 디바이스(20)와 제2 디바이스(21)의 주소가 제어 포인트에 의해 할당된다.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는 제1 디바이스(20) 및/또는 제2 디바이스(21)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제3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step 200, addresses of the first device 20 and the second device 21 are allocated by the control point. The control point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device 20 and / or the second device 21, or may be a third device that is externally present.

단계 202에서 제어 포인트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한 제1 디바이스(20)와 제2 디바이스(21)를 검출한다.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따라 광고(advertise) 및/또는 검색(searching)을 통해 디바이스를 검출한다. 단계 200 및 202는 종래 홈 네트워크 기술에 의한 단계들로써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콘텐트의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과정이다.In step 202, the control point detects the first device 20 and the second device 21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s the device connects to the home network, the device is detected through advertisement and / or searching. Steps 200 and 202 are step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technology, which is a process of setting up a network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ent which is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a user's operation as the device accesses the home network.

단계 20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바이스(21)는 제2 디바이스(21)에 제1 디바이스(20)가 콘텐트에 대해 수행 가능한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In operation 204, the first device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the first device 20 can perform on the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21.

제1 디바이스(20)가 직접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DLNA 가이드라인에 따르는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기술(device description)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제어 포인트를 통해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디바이스 기술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에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디바이스 기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Although the first device 20 may transmit directly to the second device 21,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device description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Send information abou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Details of the device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단계 206에서 제2 디바이스(21)는 단계 204에서 제1 디바이스(20)가 전송한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트랜스코딩 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해 줄 것을 제1 디바이스(20)에 요청한다.In operation 206, the second device 21 may transmit the content by transcoding the content by a predetermined transcoding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coding methods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20 in operation 204. 1 Device 20 requests.

CDS::Browse() 또는 CDS::Search()와 같은 홈 네트워크 메시지를 통해 제1 디바이스(2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에 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한다.Afte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held by the first device 20 through a home network message such as CDS :: Browse () or CDS :: Search (), the user requests to provide the selected content among them. .

제1 디바이스(20)가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에 제2 디바이스(21)가 재생할 수 콘텐트 포맷으로 트랜스코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그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20)에게 알려주어 해당 콘텐트 포맷으로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If one of the transcoding methods that the first device 20 can perform with respect to content is a method that can be transcoded into a content format that can be played by the second device 21,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rmat is provided to the first device. Informs 20 to request transcoding and transmission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mat.

여기서 콘텐트가 영상 콘텐트인 경우에는 비디오 코덱(codec), 오디오 코덱, 해상도,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 : fps)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21)가 다양한 포맷의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우선순위를 정하여 트랜스코딩 방법에 대한 정보에 포함시킨다.If the content is an image content, information about a video codec, an audio codec, a resolution, and a frame per second (fps) is also included. When the second device 21 can play content in various formats, th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content formats is prioritized and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coding method.

DLNA 가이드라인에 따르는 홈 네트워크에서는 단계 206에서 콘텐트의 제공 요청은 HTTP GET 메소드(method)에 의해 수행되며, HTTP GET 메시지에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the request for providing content is performed by the HTTP GET method in step 206, and a method of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format in the HTTP GET message will be described later.

단계 208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단계 204에서의 콘텐트 제공 요청에 따라 소정의 콘텐트를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한다. 단계 204의 콘텐트 제공 요청에 포함된 소정의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한다.In operation 208, the first device 20 transmits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21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in operation 204. The transcod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1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content format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of step 20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디바이스(20)의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제2 디바이스(21)에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of a fir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coding content of the first device 20 and providing it to the second device 21.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300, the first device 2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may be performed on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21.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1 디바이스(20)가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하는 디바이스 기술에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한다. DLNA 가이드 라인에 따르는 홈 네트워크에서는 디바이스 기술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되므로, XML 문서에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coding methods is included in the device technology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20 to the second device 21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1.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since the device description is written i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is included in the XML document and trans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기술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동영상 데이터를 트랜스코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디바이스 기술의 예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evice 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on on transcoding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device description in the case of including information on a method of transcoding video data.

도 4를 참조하면, <Transcoding> 태그에는 복수의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1 디바이스(20)가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트랜스코딩 방법은 <Module> 태그에 의해 구별된다.Referring to FIG. 4, the <Transcoding> tag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transcoding methods.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ranscoding methods that the first device 20 can perform on the content, each transcoding method being distinguished by a <Module> tag.

<Vcodec> 태그에는 비디오 코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Acodec> 태그에는 오디오 코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Mux> 태그에는 다중화 방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Size> 태그에는 동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Frame Rate> 태그에는 초당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The <Vcodec> tag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video codec, and the <Acodec> tag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audio codec. The <Mux> tag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multiplexing scheme, and the <Size> tag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resolution of the video data. The <Frame Rate> tag contains information about frames per second.

도 4에 도시된 정보들은 콘텐트 포맷에 대한 예시일 뿐이며, 도 4에 도시된 정보들 이외에 트랜스코딩과 관련된 모든 정보들이 디바이스 기술에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 다.The information shown in FIG. 4 is merely an example of a content format, and all information related to transcoding may be included in the device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4. It is easy to understan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2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단계 300에서 트랜스 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2 디바이스(21)로부터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받는다. Referring back to FIG. 3, in step 302, the first device 20 is requested to provide content from the second device 21 that has received information on transcoding methods in step 300.

제2 디바이스(21)는 단계 300에서 전송한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제1 디바이스(20)에 전송하고, 제1 디바이스는 이를 수신한다.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에는 비디오 코덱, 오디오 코덱, 다중화 방법, 해상도, 초당 프레임 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1 inclu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content format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device 20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transcoding methods transmitted in step 300. Receives it.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forma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video codec, an audio codec, a multiplexing method, a resolution, and frames per second.

제1 디바이스(2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를 트랜스코딩없이 바로 재생할 수 있다면, 제2 디바이스(21)가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If the content held by the first device 20 can be directly reproduced without transcoding, the second device 21 transmits a general message that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format and requests the provision of the content. It can also be configure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단계 304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제2 디바이스(21)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트랜스코딩 방법에 의해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한다.In operation 304, the first device 20 transcodes the content by a predetermined trans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21.

단계 302에서 제2 디바이스(21)가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할 때, 단계 300에서 전송한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제1 디바이스(20)에 전송하고, 제2 디바이스(21)는 이를 기초로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한다.When the second device 21 requests to provide the content in step 302, the first device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by includ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content format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on the transcoding methods transmitted in step 300. And the second device 21 transcodes the content based thereon.

단계 306에서 제1 디바이스(20)는 콘텐트를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한다. 트랜스코딩이 수행된 경우에는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304에서 실시간으로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고,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제2 디바이스(21)에 콘텐트를 전송한다. In operation 306, the first device 20 transmits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21. When transcoding is performed, the transcoded content is transmitted. Preferably, in step 304, the content is transcoded in real time, and the transcod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content of a seco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제2 디바이스(21)는 제1 디바이스(20)가 전송하는 콘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디바이스이다.In FIG. 5, the second device 21 is a device that receives and plays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20.

단계 500에서 제2 디바이스(21)는 제1 디바이스(20)가 전송한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 기술을 제어 포인트를 통해 수신한다. In operation 500, the second device 21 receives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20. Preferably a device technology is received via the control point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ranscoding methods.

단계 502에서 제2 디바이스(21)는 단계 500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트랜스코딩 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해 줄 것을 제1 디바이스(20)에 요청한다. In operation 502, the second device 21 requests the first device 20 to transcode and transmit the content by a predetermined transcoding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operation 500.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2 디바이스(21)는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할 때, 제2 디바이스(21)에서 재생할 수 있는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전송한다.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transcoding methods, when the second device 21 requests the provision of the content, the second device 21 also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second device 2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를 도시한다. DLNA 가이드라인에 의해 홈 네트워크에서는 콘텐트의 제공 요청 메시지는 HTTP GET 메소드를 통해 수행되므로 HTTP GET 메시지에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다.6 illustrates a content provis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DLNA guidelines, since a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is performed through an HTTP GET method in a home network, a method of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ntent format in an HTTP GET message is illustrated.

본 발명에 따른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는 제2 디바이스(21)가 재생할 수 있는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1 디바이스(20)가 디바이스 기술을 통해 제2 디바이스(21)에 제공한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21)에 최적화된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제1 디바이스(20)가 콘텐트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에서 제2 디바이스(21)에 최적화된 콘텐트 포맷으로 트랜스코딩을 수행하도록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content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second device 21. The first device 2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format optimized for the second device 21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coding methods provided to the second device 21 through the device technology. Among the transcoding methods that the first device 20 can perform for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to perform transcoding in a content format optimized for the second device 21.

도 6에 도시된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는 동영상 콘텐트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 코덱에 대한 정보인 'Vcodec', 오디오 코덱에 대한 정보인 'Acodec', 다중화 방식에 대한 정보인 'Mux', 해상도에 대한 정보인 'Size', 초당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인 'frame rate'가 포함되어 있다.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shown in FIG. 6 relates to video content, 'Vcodec',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video codec, 'Acodec', which is information on an audio codec, 'Mux', which is information on a multiplexing scheme, 'Size', 'frame rate' which is information about frames per second is included.

제2 디바이스(21)가 재생할 수 있는 콘텐트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콘텐트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차례로 콘텐트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TX1', 'TX2', 'TX3'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각각의 콘텐트 포맷을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켰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that can be played by the second device 21, the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may be prioritized to sequentially generate content requests. In FIG. 6, each content format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by setting priorities in the order of 'TX1', 'TX2', and 'TX3'.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은 디바이스마다 상이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1)가 'avi'의 다중화 방식의 동영상만을 재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중화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이에 따라 재생을 요청한다.The criteria for prioritizing may differ from device to device. When the second device 21 can play only the multiplexing video of 'avi', the prior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multiplexing method, and thus the reproduction is requested.

제1 디바이스(2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를 트랜스코딩없이 바로 재생할 수 있다면, 제2 디바이스(21)가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If the content held by the first device 20 can be directly played without transcoding, th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device 21 transmits a general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that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format. have.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2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의 포맷이 비디오 코덱으로 div3, 오디오 코덱으로 mp3, 다중화 방식으로 avi를 사용하고, 해상도가 640ㅧ480 이며, 초당 프레임 수가 30이라면, 이는 제2 디바이스(21)가 재생할 수 있는 'TX1'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제2 디바이스(21)가 전송하는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다. For example, if the format of the content possessed by the first device 20 is div3 as the video codec, mp3 as the audio codec, and avi as the multiplexing method, and the resolution is 640 x 480, and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s 30, Since the second device 21 is identical to the contents of 'TX1' that can be reproduced,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format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21.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4에서 제2 디바이스(21)는 단계 502에서의 콘텐트의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디바이스(20)가 전송하는 콘텐트를 수신한다. 단계 502에서의 콘텐트 제공 요청에 포함된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에 따라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제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다.Referring back to FIG. 5, in operation 504, the second device 21 receives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2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providing content in operation 502. In operation 502, the transcoded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2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rmat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시한다.7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트 전송 장치는 정보송수신부(201), 트랜스코딩부(202), 데이터베이스(203) 및 콘텐트전송부(2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01, a transcoding unit 202, a database 203, and a content transmitting unit 204.

정보송수신부(201)는 제2 디바이스(21)와 소정의 정보를 교환한다. 제1 디바이스(21)가 콘텐트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디바이스(21)로부터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는 디바이스 기술에 포함되어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되고, 이에 대해 제2 디바이스(21)가 전송하는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 소정의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은 전술하였다. DLNA 가이드라인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는 콘텐트 제공 요청이 HTTP GET 메시지에 의해 수행된다.The information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01 exchanges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the second device 21.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the first device 21 may perform on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1, and in response thereto, the second device 21 is requested to provide the content. Preferably,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coding methods is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1,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content format is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21. Inclus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content provision request is performed by HTTP GET message.

트랜스코딩부(202)는 정보송수신부(201)에서 콘텐트의 제공을 요청받음에 따라 소정의 콘텐트 포맷으로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한다.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는 제2 디바이스(21)가 재생할 수 있는 콘텐트 포맷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트 포맷으로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한다. The transcoding unit 202 transcodes the content in a predetermined content format when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01 is requested to provide the content. Since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on content formats that can be played by the second device 21, th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203 is transcoded into the content format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콘텐트전송부(204)는 트랜스코딩부(202)에서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제2 디바이스(21)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랜스코딩부(202)에서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되는 콘텐트를 제2 디바이스(21)에 바로 스트리밍한다. The content transmitter 204 transmits the transcoded content from the transcoder 202 to the second device 21. Preferably, the content that is transcoded in real time by the transcoding unit 202 is streamed directly to the second device 2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8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트 수신 장치는 정보송수신부(211) 및 콘텐트수신부(2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1 and a content receiving unit 212.

정보송수신부(211)는 제1 디바이스(20)와 소정의 정보를 교환한다. 제1 디바이스(20)가 콘텐트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트의 제공을 제1 디바이스(20)에 요청한다. 콘텐트 전송 장치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트랜스코딩 방법들에 대한 정보는 디바이스 기술에 포함되고, 콘텐트 제공 요청 메시지에는 소정의 콘텐트 포맷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The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1 exchanges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the first device 20. The first device 2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ranscoding methods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ontent from the first device 20 and requests the first device 20 to provide the content in response thereto. As with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preferably,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is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and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content format.

콘텐트수신부(212)는 제1 디바이스(20)가 전송하는 트랜스코딩된 콘텐트를 수신한다. 정보송수신(211)에서 제1 디바이스(20)에 전송한 콘텐트 제공 요청 메 시지에 포함된 콘텐트 포맷에 따라 제1 디바이스(20)가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하는 콘텐트를 수신한다. The content receiver 212 receives the transcoded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20. According to the content format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20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211, the first device 20 receives the content that is transcoded and trans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콘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콘텐트를 재생하는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콘텐트를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전송할 수 있어, 동일한 콘텐트를 다양한 종류의 포맷으로 보유할 필요가 없어져 콘텐트 활용의 효율이 향상된다.The device providing the content can transcode and transmit the content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device playing the content,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hold the same content in various types of formats,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of content utilization.

또한, 콘텐트를 재생하는 디바이스가 재생할 수 없는 포맷의 콘텐트도 트랜 스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디바이스에서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that reproduces the content can transmit content in a format that cannot be reproduced, more devices can play the content.

Claims (5)

홈 네트워크에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second device by a first device in a home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 기술(device description)을 이용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using a device description; 상기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받는 단계; 및Receiving a request from the second device receiving the information to transcode and transmit content by one of the transcoding methods; And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Transcoding the content by one of the transcod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me network is DLNA 가이드 라인(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uide line)에 따르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uideline). 홈 네트워크에서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in which a second device receives content from a first device in a home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콘텐트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 기술(device description)을 이용해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information about transcoding methods that the first device can perform on the content from the first device using a device description;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 소정의 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트를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해 줄 것을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단계; 및Requesting the first device to transcode and transmit the content by any of the transcoding method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트랜스코딩 방법들 중 소정의 방법에 의해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하는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수신 방법.And receiving, by the first device, content to be transcoded and transmitted by a predetermined method among the transcod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ques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me network is DLNA 가이드 라인(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uide line)에 따르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수신 방법.Method of receiving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DLNA guidelines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uidelin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060111884A 2006-11-13 2006-11-1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KR100803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884A KR100803609B1 (en) 2006-11-13 2006-11-1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884A KR100803609B1 (en) 2006-11-13 2006-11-1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609B1 true KR100803609B1 (en) 2008-02-15

Family

ID=3934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884A KR100803609B1 (en) 2006-11-13 2006-11-1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60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397A (en) * 2011-10-18 201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441867B1 (en) 2013-04-23 2014-09-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Gateway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to Media Device
WO2015093637A1 (en) * 2013-12-16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Server apparatus and client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KR102060815B1 (en) * 2019-01-29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200000409A (en) * 2019-12-23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639A (en) * 2002-06-26 2005-02-21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Module for integration in a home network
KR20060066385A (en) * 2004-12-13 2006-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oding of media format and translating of the transport protocol in home network
KR20060082846A (en) * 1998-01-28 2006-07-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KR20070048449A (en) * 2005-11-04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846A (en) * 1998-01-28 2006-07-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KR20050016639A (en) * 2002-06-26 2005-02-21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Module for integration in a home network
KR20060066385A (en) * 2004-12-13 2006-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oding of media format and translating of the transport protocol in home network
KR20070048449A (en) * 2005-11-04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397A (en) * 2011-10-18 201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945481B1 (en) * 2011-10-18 2019-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441867B1 (en) 2013-04-23 2014-09-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Gateway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to Media Device
WO2015093637A1 (en) * 2013-12-16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Server apparatus and client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10028002B2 (en) 2013-12-16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device for sharing contents, client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KR102060815B1 (en) * 2019-01-29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200000409A (en) * 2019-12-23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113124B1 (en) * 2019-12-23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7549B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ream media and stream media management server
JP5090046B2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77522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with conver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7890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evice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with device not providing content directory
CN102045312B (en) Self-adaptative transcoding method and system
US8886835B2 (en) Transcoding method and apparatus of media server and transcoding request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 point
US2006024549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ent managing method
EP2549680B1 (en) Content output system and codec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same system
US200601955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532540B2 (en) Content distribution device
MX2012001709A (en) Home media aggregator system and method.
AU2008359277A1 (en) Proxy functionality
JP5367845B2 (en) DLNA data delivery from remote sources
WO2007111312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server device, content delivery method, and program
KR1008036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KR1014858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DLNA network
JP2009021933A (en) Apparatus for streaming distribution of audio-visual data,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method
JP5588008B2 (en) Content conversion apparatus, content conversion method, content conversion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8356113B2 (en) UPnP AV demux
KR20120072100A (en) Web medi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eb content service and home networking
KR20140103377A (en) Content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JPWO2014171385A1 (en) Server apparatus,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276205B1 (en)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llaborative service using mobile device in smart TV of the system
JP4900169B2 (en) Network system, relay device, and relay program
KR1009546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service in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