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575B1 -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 Google Patents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575B1
KR100801575B1 KR1020050057082A KR20050057082A KR100801575B1 KR 100801575 B1 KR100801575 B1 KR 100801575B1 KR 1020050057082 A KR1020050057082 A KR 1020050057082A KR 20050057082 A KR20050057082 A KR 20050057082A KR 100801575 B1 KR100801575 B1 KR 10080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failure
option
nodes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1527A (en
Inventor
김영탁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7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575B1/en
Publication of KR2007000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 제공수준의 중요성과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고려하여 트래픽에 따라 장애 발생시 복구능력에 차별화를 주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s resilience in the event of a failure according to traffic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provision level and the user's cost burden.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차등서비스를 지원하는 멀티프로토콜라벨스위칭(DiffServ-over-MPLS) 글로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품질보장형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수준계약(SLA)에 의한 장애 복구 옵션을 설정하고, 상기 글로발 네트워크를 노드수와 링크수를 고려하여 소정 수의 서브네트워크로 세그먼테이션화하여, 트래픽 특성에 따라 장애복구를 차등화하고, 장애검출시 전달지연을 최소화한 것이다. 그리고 서브네트워크는 소수의 노드를 중첩하여 노드장애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상기 장애복구옵션은 동일한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송하는 1+1 경로보호 기법과, 1:1 경로보호 방법과, 1:N, M:N 경로보호 방법이며, 상기 1:1 경로보호 방법은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와 경로옵션모드(path-option mode)와 패스트 리라우트(Fast rerouote)로 이루어진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iffServ-over-MPLS) global network supporting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ial services,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des, in a service level agreement (SLA). By setting the error recovery option by the network, and segmenting the global network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network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links, the failure recovery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and the propagation delay is minimized when detecting a failure. Subnetworks can cope with node failures by overlapping a few nodes. The failover options include a 1 + 1 path protection scheme for transmitting the same data through different paths, a 1: 1 path protection method, It is a 1: N, M: N path protection method, the 1: 1 path protection method is composed of a standby mode (stand-by mode), a path option mode (path-option mode) and fast rerouote (Fast rerouote).

트래픽(Traffic), 장애복구, 전달지연, 세그먼테이션, 노드중첩Traffic, failover, propagation delay, segmentation, node nesting

Description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도 1은 일반적인 캡슐화된 음성 트래픽의 예,1 is an example of typical encapsulated voice traffic;

도 2는 일반적인 글로발 네트워크에서의 장애표시신호의 전달지연(FIS Propagation delay)의 예,2 is an example of FIS propagation delay in a general global networ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장애표시신호의 전달지연의 예, 3 is an example of a propagation delay of a failure indication signal in a segment-bas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1 경로보호 구성의 예,4 is an example of a 1 + 1 path prot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 기반의 네트워크의 예,5 is an example of a segment bas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모듈 관리객체의 클래스 다이어그램,6 is a class diagram of a failure module management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복구 절차를 도시한 시퀀스도.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failover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망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품질 제공수준의 중요성과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고려하여 트래픽에 따라 장애 발생시 복구능력에 차별화를 주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관리 기능에서의 차별화/차등화란 서비스 품질 제공수준의 중요성과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고려하여 장애 발생시 복구능력에 차별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s the recovery ability when a failure occurs according to traffic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provision level and the user's cost burden.
In general, differentiation / differentiation in failure management function provides differentiation in resilience in the event of a failure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provision level and user's cost burden.

장애 관리 기능에서의 차별화와 차등화가 필요한 이유는, 장애 복구 기법에 따라서 소모되는 자원의 양과 복구시간이 다르므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트래픽은 자원 소모량이 많더라도, 장애 복구시간이 빠른 서비스를 제공을 하고, 이와 반대로 낮은 중요도를 가진 트래픽에 대해서는 자원소모량이 적은 장애복구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 서비스 이용자와 협의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차등 서비스를 지원하는 MPLS(DiffServ-over-MPLS) 환경에서의 품질보장형 망관리와 관련되 기술가운데, 장애 복구에 관련한 기준들은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다.
The reason for the differentiation and differentiation in the fault management function is that the amount of resources consumed and the recovery tim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ilure recovery scheme. Therefore, traffic having a high priority provides a fast failure recovery time even if the resource consumption is high. On the contrary, for the traffic with low importance, providing a resource recovery method with low resource consump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quality service negotiated with the service user.
However, the technology related to quality assurance network management in the DiffServ-over-MPLS (MPLS) environment supporting the differential service has not been proposed y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 트래픽 특성에 따라서 차등화된 장애 복구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관리(Fault Management)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fault management by providing a failure recovery scheme tha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each traffic characteristic. The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차등서비스를 지원하는 멀티프로토콜라벨스위칭(DiffServ-over-MPLS) 글로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품질보장형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수준계약(SLA)에 의한 장애 복구 옵션을 설정하고, 상기 글로발 네트워크를 노드수와 링크수를 고려하여 소정 수의 서브네트워크로 세그먼테이션화하여, 트래픽 특성에 따라 장애복구를 차등화하고, 장애검출시 전달지연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네트워크는 소수의 노드를 중첩하여 노드장애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상기 장애복구옵션은 동일한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송하는 1+1 경로보호 기법과, 1:1 경로보호 방법과, 1:N, M:N 경로보호 방법이며, 상기 1:1 경로보호 방법은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와 경로옵션모드(path-option mode)와 패스트 리라우트(Fast rerouote)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트래픽(Traffic)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lity level network management method i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iffServ-over-MPLS) global network environment supporting a differential service. Set the failure recovery option by contract (SLA), segment the global network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network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links, differentiate the failure recovery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and propagate the delay upon failure det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o minimize.
The subnetwork is configured to cope with node failure by overlapping a few nodes, and the failure recovery option includes a 1 + 1 path protection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ame data through different paths, a 1: 1 path protection method, It is a 1: N, M: N path protection method, the 1: 1 path protection method is composed of a standby mode (stand-by mode), path option mode (path-option mode) and fast rerouote (Fast rerouote).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the failover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특성에 맞는 망 관리 기법과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장애 복구 성능이 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라 얼마만큼의 성능을 보장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In order to provide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to users, a network management schem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services and a technique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services according to user requirements ar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it is analyzed how much performance should be guaranteed for each multimedia service.

통상 음성데이터(VoIP)는 도 1과 같이 RTP에 의하여 캡슐화되는데, RTP는 모든 메시지들에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 그것은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레임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 메시지 형태는 다양한 해석기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대로 메시지가 구성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RTP패킷은 12-바이트 헤더와 다음에 오는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원래 RTP의 사용을 설명한 RFC 1889의 오디오 컨퍼런스 시나리오에 따르면, 전송하는 데이터를 20ms 동안의 시맨틱(semantic)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보낸다고 가정하고, RTP 헤더 앞에 오디오 데이터의 세그먼트가 위치하고 RTP 메시지는 UDP 패킷에 의하여 캡슐화된다. RTP헤더는 사용한 오디오 컨퍼런스 인코딩(PCM:Pulse Code Modulation)을 나타낸다. 즉, 오디오 세그먼트는 장애 시간만큼 손실되게 된다.
In general, voice data (VoIP) is encapsulated by RTP as shown in FIG. 1, which uses the same form for all messages. Because it supports application layer frames, this message type requires that messages be organized as required by various interpreters and specific applications.
Referring to FIG. 1, an RTP packet consists of a 12-byte header followed by a payload. According to the audio conference scenario of RFC 1889, which originally described the use of RTP, suppose that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sent audio data in semantic for 20 ms, a segment of the audio data is placed in front of the RTP header and the RTP message is transmitted by UDP packet. Is encapsulated. The RTP header indicates the audio conference encoding (PCM: Pulse Code Modulation) used. That is, the audio segment is lost by the failure time.

음성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해서는 음성코덱이 필요한데, 코덱에 따라서 음성 패킷에 에러 발생시 코덱에서 처리할 수 있는 비트 에러(bit error)의 수준이 각각 다르다. VoIP에 사용되는 음성 부호화 기법들은 패킷손실율(packet loss ratio)이 1%(BER), 3%(air condition), 5%(VoIP Pattern)정도의 패킷 손실률에 대해서는 알고리즘 자체적으로 성능을 보장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망 관리자는 장애 복구성능에 대하여 음성 코덱이 가지는 자체 에러 복구의 경계 안에 장애복구가 완료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사용자는 장애에 대한 영향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실제로 음성 데이터가 8000Hz로 샘플링 되었을 때, 1초에 64kbps의 전송률을 가짐으로 장애 발생 1초 구간의 데이터에 대하여 고려하면 1초에 64000bit의 음성데이터 중에서 1%의 패킷 손실에 대하여서 장애 발생시간은 10ms이며, 3%는 30ms, 5%는 50ms로, 1초간의 음성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에 10ms의 장애 발생 시간이 도출된다. 그러므로 장애 발생 시간이 50ms 이내로 발생하였을 때,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장애에 대하여 느끼지 못한다.
In order to transmit voice data through the Internet, a voice codec is required, and the level of bit errors that can be handled by the codec when an error occurs in a voice packet varies depending on the codec. Voice coding techniques used for VoIP should guarantee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itself for packet loss ratios of 1% (BER), 3% (air condition), and 5% (VoIP Pattern). Therefore, the network manager can use the service without affecting the failure when the failover is complet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error codec's own error recovery for the failover performance.
In fact, when voice data is sampled at 8000Hz, the fault rate is 64kbps per second, and the failure time is 10ms for 1% packet loss among 64000bit voice data per second. 3ms is 30ms and 5% is 50ms. When one second of voice data is used, a failure occurrence time of 10ms is obtained at 1%. Therefore, when a failure occurs within 50 ms, the user does not feel a failure in providing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삭제delete

장애가 발생하면 패킷손실이 발생하는데 패킷의 헤더가 손실될 경우에는 음성데이터 전체를 폐기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각 패킷이 손실되었을 때 음성데이터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서는 음성부호화기법의 품질과 관련된 연구에서 해결할 것으로 보고, 전송망에서는 단위시간당 5% 이상의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시간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장애 복구 기준을 제시한다.
세그먼트(Segment) 기반의 장애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동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은 다음 수학식1과 같이 장애 검출시간과 경보 전송에 소요되는 메시지 지연시간과 장애를 처리하는 시간이 소요가 된다.
Trestoration = Tdetection + Tnotification + Toperation + Trecovery
If a failure occurs, packet loss occurs. If a packet header is lost, the entire voice data must be discarded. However, the impact on the quality of voice data when each packet is lost will be solved by a study related to the quality of voice encoding technique.In the real-time multimedia environment, the transmission network does not generate more than 5% packet loss per unit time. Provides criteria for disaster recovery.
Segment-based failover method is as follows. The time required for the automatic recovery takes the time to process the fault and the message delay time for the fault detection time and the alarm transmission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 restoration = T detection + T notification + T operation + T recove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Trestoration 은 복구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 Tdetection 은 장애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 Tnotification 은 장애정보를 전송하고 분석하는데 소요되는 전송 지연시간이며, Toperation 은 장애발생 경로나 링크를 스위칭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며, Trecovery는 백업경로(backup path)가 정상적으로 설정된 후, 트래픽을 새로운 경로로 흘리도록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Here, T restoration is the total time required for recovery, T detection is the time required for fault detection, T notification is the transmission delay time required to transmit and analyze fault information, and T operation is used to switch the path or link of the fault. The time taken for T recovery is the time taken for the traffic to flow to the new path after the backup path is set up normally.

일반적으로 통신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장애는 물리 계층에서 발생하므로 장애 검출 시간이 매우 짧다. 뿐만 아니라 장애의 검출 시간은 복구 방법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므로 자동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송 지연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전송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은 전파의 속도와 각 노드의 벤더의 성능에 의존적인 것이므로, 지연 시간자체를 줄이기 위하여 망을 분할하여 관리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Fault detection Time to detect a fault Fault Notification 시스코 라우터 Control SONET Alarms Various physical alarms 50ms 이내 (Physical)Interface down notification RSVP Hellos (MPLS Signaling) RSVP Hello Extension : node failure detectoin 20ms 이하 (RSVP Hello interval time=10ms) RSVP-TE notify message
상기 표 1은 시스코 라우터에서 장애검출시간을 나타낸 예이다.
In general, failures that greatly affect the communication network occur at the physical layer, so the failure detection time is very short.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time is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the recovery method, so the time required for automatic recovery is greatly affected by the transmission delay time. However, reducing the transmission delay time depends on the speed of propag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ndor of each node. Therefore, a technique for segmenting and managing networks is needed to reduce the delay time itself.
Fault detection Time to detect a fault Fault Notification Cisco Router Control SONET Alarms Various physical alarms Within 50ms (Physical) Interface down notification RSVP Hellos (MPLS Signaling) RSVP Hello Extension: node failure detectoin 20ms or less (RSVP Hello interval time = 10ms) RSVP-TE notify message
Table 1 shows an example of failure detection time in a Cisco rou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실제 망에서 장애의 위치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필요한 시간(time duration)에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전달지연(propagation delay)이다. The propagation delay is a part of the time duration needed to locate and analyze faults in a real network.

일반적인 전파속도를 2* 108m/sec 라고 하고 각 노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간이 2ms라고 가정하면 전달 지연시간은 다음 표2와 같다. 종단간의 거리가 1500km를 넘어가면 최악의 경우 장애검출(fault detection)의 전달에만 110ms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 전달 지연시간에, 장애를 분석하여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까지 고려하게 되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real-time multimedia service)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Assuming that the general propagation speed is 2 * 10 8 m / sec and the time to process data at each node is 2ms, the propagation delay time is shown in Table 2 below. If the end-to-end distance exceeds 1500 km, in the worst case, it takes 110 ms to send fault detection only. If this time is taken into account, the time taken to analyze and recover from the fault is considered a high priority. The branch cannot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of a user who is provided with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이 25ms정도가 되도록 네트워크를 세그먼트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상에서 품질보장형 장애복구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제로 미국의 메이저 ISP업체인 MCI는 5분 간격으로 패킷 전달 시간을 계속 측정하여 공개하고 있는데, 미국 내에서의 라운드 트립 시간(round-trip time)은 45ms 이내, 유럽 내에서는 30ms, 미국과 런던 사이에서는 90ms이내로 전달될 확률이 연평균 99%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quality-safety failure recovery criterion in a system for segmenting and managing a network so that a propagation delay time is about 25 ms. In fact, the US major ISP, MCI, continues to measure and publish packet delivery time every five minutes, with round-trip times in the US within 45ms, 30ms in Europe and between the US and London. The probability of delivery within 90ms is 99% per year.

상기 표 1은 시스코 라우터에서 장애 검출시간에 대하여 추론한 것이다. SONET에서는 장애 복구 시간을 50ms이내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SONET에서 장애발생시에 장애를 발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50ms이내이며, 시스코 라우터의 트랩 메시지(Trap Message)로부터 "Physical Interface down"이라는 메시지를 얻을 수 있다. Table 1 is inferred about the failure detection time in the Cisco router. In SONET, the failure recovery time is set to 50ms or less, so it takes less than 50ms to detect a failure in SONET. You can get the message "Physical Interface down" from the trap message of the Cisco router.

또한 노드 장애에 대해서는 RSVP 헬로우 메시지(RSVP Hello message)의 시간간격(interval time)을 조정함으로써 20ms 이내에 장애를 판별할 수 있다. 시스코 라우터에서 RSVP 헬로우 메시지(RSVP Hello Message)의 디폴트 시간간격(default interval time)은 50ms이지만 시간간격(interval time)을 조정하여 50ms 이내로 할 수도 있다. 더 빠른 장애 발견 시간을 가지기 위해서는 RSVP 메시지의 시간간격(interval time)을 더 줄이면 되지만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시간간격(interval time)이 필요하다. In addition, the node failure can be determined within 20 ms by adjusting the interval time of the RSVP Hello message. The default interval time of the RSVP Hello message in the Cisco router is 50 ms, but it can be set within 50 ms by adjusting the interval time. To get a faster fault detection time, you can reduce the interval time of RSVP messages further, but you need an appropriate interval time to reduce the load on the network.

Tdetection 은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엘리먼트(element)의 이웃한 노드나 링크가 발견을 하며, Tnotification 은 망에서 일어나 장애가 어디서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장애표시신호(FIS:Fault Indication Signal)를 통하여 분석하여 장애 원인을 파악하는데, 이때 전달지연(propagation delay)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T detection is detected by a neighboring node or link of a failed network element, and T notification is generated from the network and analyzed through a fault indication signal (FIS) to determine where the fault occurred. In this cas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ropagation delay.

다음 표 2는 거리와 노드 개수에 따른 예상 전달 지연시간의 예(Propagation delay example)이다. 실제로 링크의 거리가 커지면 커질수록 전달 지연 시간은 커지고, 전달 지연 시간이 늘어나면 전체 복구시간이 커지게 됨을 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거리 500Km 1000km 150km 노드 Transit node Transit node Transit node 10개이하 고려안함 15개이하 고려안함 20개이하 고려안함 Propagation delay 25ms 5ms 40ms 10ms 55ms 15ms
그러므로 장애 복구를 위한 망관리에 전달지연(propagation delay)을 고려하여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적당한 전달지연(propagation delay)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글로발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시점에서부터 자동복구가 이뤄지는 시점까지 발생할 수 있는 메시지 전송지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Table 2 below shows an example of propagation delay according to distance and number of nodes. In fact, the larger the link distance, the larger the propagation delay time, and as the propagation delay time increases, the total recovery time becomes larger.
Street 500 km 1000 km 150 km Node Transit node Transit node Transit node Less than 10 Don't consider 15 or less Don't consider 20 or less Don't consider Propagation delay 25 ms 5 ms 40 ms 10 ms 55 ms 15 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ize of the network to be applied to the appropriate propagation delay in consideration of propagation delay in network management for fault recovery. Message transmission delays that may occur from a time point of failure in a general global network to a time point of automatic recovery are shown in FIG.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2를 참조하면, 글로발 네트워크는 W1에서 W9의 워킹노드와 B1에서 B7의 백업노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글로발 네트워크에서는 장애의 발생위치가 수신단에 가까울수록 지연시간인 줄어들지만, 수신단 근처에서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지연시간은 점차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2를 일부 수정하여 도 3와 같이 분할하여 나타내면 동일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장애에서 대해서 나타나는 전송 지연을 줄일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장애표시신호(FIS)의 전달지연의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글로발 네트워크가 2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있고, 2개의 세그먼트에서 W4와 W5노드가 중첩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세그먼트는 W1, W2, W3, W4, W5 노드와 B1, B2, B3, B4노드로 이루어지고, 제2 세그먼트는 W4, W5, W6, W7, W8, W9 노드와 B5, B6, B7노드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서 두 세그먼트 사이에 두개의 노드(W4,W5)를 중첩시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링크의 장애 외에 노드의 장애를 고려하기 위함인데, 중첩시키지 않을 경우 두 세그먼트 중간에 존재하는 노드에 장애가 발생 했을 경우 장애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global network includes a working node of W1 to W9 and a backup node of B1 to B7. In such a global network, the delay time decreases as the location of the failure nears the receiving end. However, the delay time gradually increases when a failure occurs near the receiving end. Therefore, by partially modifying FIG. 2 and dividing it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ansmission delay that occurs in the case of a failure occurring at the same location.
3 is an example of a propagation delay of a failure indication signal (FIS) in a segment-bas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global network of FIG. 2 is divided into two segments, and the W4 and W5 nodes are overlapped in the two segments. That is, the first segment is composed of nodes W1, W2, W3, W4, and W5 and nodes B1, B2, B3, and B4, and the second segment is composed of nodes W4, W5, W6, W7, W8, W9, and B5, B6, It consists of B7 nodes.
In FIG. 3, the reason for overlapping two nodes (W4, W5) between two segments is to consider the failure of the node in addition to the failure of the link generally considered. If a problem occurs, it cannot be processed.

삭제delete

또한 이렇게 세그먼트 단위로 자동복구를 수행할 경우 다중 장애에 대한 분산처리가 가능해지므로 이에 따른 자동복구의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애 복구의 범위를 줄일수록 장애 복구에서 발생하는 시간은 줄일 수가 있다.In addition, if automatic recovery is performed in units of segments, distributed processing for multiple failures i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time for automatic recovery. As shown in FIG. 2 and FIG. 3, as the scope of failure recovery is reduced, the time that occurs in failure recovery can be reduced.

실제로 세그먼트(segment)의 크기를 줄일수록 메시지의 전송지연 시간이 줄어들므로 자동복구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세구먼트의 크기를 너무 작게 나누게 되면 대체 경로로 사용되는 노드의 수가 더욱 많아지게 되고, 이는 자원의 활용 면에서 큰 손실을 발생시키고, 또한 자동복구의 메커니즘을 점차적으로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전송 지연 시간과 자원의 활용률은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필요하게 된다.In fac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segment, the shorter the message transmission delay time, so it can be clearly seen that the automatic recovery time is reduced. However, dividing the size of the segment too small will result in more nodes being used as alternative paths, which leads to large losses in terms of resource utilization, and further complicates the mechanism of automatic recovery. Therefore, transmission delay time and resource utilization rate are inver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us trade-off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품질보장형 차별화 장애복구 기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장애복구 시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전달지연에 대하여 고려하여, 세그먼트 기반의 장애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였을 때, 노드의 개수는 4~5개 거리는 250km 이내의 기준을 가지고 전달 지연 시간이 25ms 이내에서, 망을 분산 관리 하도록 망을 분할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 품질 보장형 차별화 장애복구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품질 보장형 차별화 장애 복구 기법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의한 장애 복구 옵션을 결정하여야 한다.
1. 먼저 1+1 경로보호(path protection)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1+1 경로보호(path protection)기법은 MPLS Router에서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있으므로 똑 같은 데이터를 W1(ingress node)를 통하여 트래픽을 전송한다. 도 4에서 Data(1)과 Data(2)는 같은 데이터이며 Data(1)과 Data(2)는 백업경로(backup path)는 존재하지 않고 워킹경로(working path)만 존재하도록 라우터를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1 경로보호 구성(1+1 path protection configuration)의 예이다. 도 4에서는 W5가 PML의 기능을 하여야 하지만 PML기능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Data(1)의 워킹경로(working path)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Data(2)의 워킹경로(working path)를 통하여 데이터는 계속 전송되므로 단일 링크 장애가 발생해도 패킷 손실은 없다.
2. 1:1 경로보호(path protection)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1 경로보호 방법은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와 경로옵션모드(path-option mode)와 패스트 리라우트(Fast rerouote)방법이 있다. 세가지 옵션 모두 백업(backup)이 워킹(working)에 디스조인트(disjoint)하게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워킹경로(Working path)를 Tunnel 100, 백업경로(Backup path)를 Tunnel 200이라 하였을 때,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는 backup interface Tunnel 200으로 Tunnel100을 설정할 때 같이 설정하여 준다.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는 tunnel mpls traffic-eng path-option 이라는 CLI 명령(command)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tunnel mpls traffic-eng path-option 100 explicit name working 100"이라고 설정하면, 워킹경로(working path)는 100이라는 경로옵션(path-option)의 work100이라는 명시경로(explicit path)가 경로옵션(path-option) 100을 가지는 Tunnel의 패스가 된다.
3. 1:N, M:N 경로보호(path protection)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N과 M:N은 복수개의 워킹경로(working path)가 백업경로(backup path)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1:N과 M:N protection은 스캔바이모드(stand-by mode)와 경로옵션모드(path-option mode)의 CLI 명령(Command)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는 백업 인터페이스(backup interface)를 공통된 하나의 백업터널(backup tunnel)을 지정하고, 경로옵션모드(path-option mode)는 명시경로명(explicit path name)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1:N이나 M:N을 설정할 수 있다.
4. 서브넷(Subnetwork)기반의 세그먼트(Segment) 복구 기능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글로발 네트워크를 4개 혹은 2개의 서브넷으로 세그먼트화한 서브넷(Sebnetwork) 기반의 장애 복구 방식의 예이다. 도 5의 (a)는 16개의 노드로 이루어진 글로발 네트워크(global network)의 예이고, (b)는 글로발 네트워크를 노드와 링크의 수를 고려하여 4개의 서브넷으로 세그먼트화한 것이고, (c)는 글로발 네트워크를 노드와 링크의 수를 고려하여 2개의 서브넷으로 세그먼트화하여 각 복구 옵션을 적용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모듈 관리객체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복구 절차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에서 장애관리 세부 기능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우미맨서버소켓(DoumiManServerSocket)과, 도우미맨(DoumiMan), MPLS네트워크(MPLSNetwork), 폴트핸들러(Faultandler), MPLS LSP 리스트(MPLS_LIST), MPLS라우터(MPLSLER) 클래스로 구성된다.
폴트핸들러 관리객체(FaultHandler MO)는 계층별 네트워크에서 장애관련 정보 및 성능 저하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장애정보를 기록하고, 장애 복구에 대한 테스트와 장애지점의 복구 후 장애 이전의 네트워크 상태로 되돌리는 작업을 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폴트핸들러 관리객체(FaultHandler MO)는 콜백기능(callback function)을 통하여 장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장애로그(Fault Log)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한다.
MPLS네트워크 관리객체(MPLSNetwork MO)는 MPLS 영역의 노드와 링크에 대한 관리객체(MO)를 관리하며, LSP의 설정 및 백업경로(backup path)의 설정 등의 기능을 한다. 트래픽 특성에 따라서 복구 옵션을 설정하는 것은 MPLS네트워크 관리객체(MPLSNetwork MO)의 createLSP() 메소드를 통하여 설정된다.
1:N 보호 스위칭(protection switching) 방식에서는 장애처리가 되지 않은LSP에 대하여, 해당 LSP의 오브젝트 레퍼런스(Object reference)를 사용하여 LSP 설정시에 적용한 LSP그룹아이디(LSPgroupID)정보를 읽어온 후에, 백업 LSP(backup LSP)를 LSP Group에서 사용하고 있는가를 체크하고, MPLS네트워크(MPLS Network)에서는 특정 워킹 LSP 관리객체(working LSP MO)에 접근하여 해당 관리객체(MO)가 가지고 있는 장애복구 메커니즘에 따라 처리를 해주게 된다.
M:N 보호 스위칭(protection switching) 방식에서도 LSP그룹(LSP group)이 M개의 백업LSP(backup LSP)를 다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워킹LSP 관리객체(working LSP MO)에 접근하여 해당 관리객체(MO)가 가지고 있는 장애복구 메커니즘에 따라 처리를 해주게 된다.
본 발명의 차별화 장애 복구 기법은 다음 표3과 같다.
SLA의 복구시간 선택 option(예) 복구 옵션(예) Requirement option 10msec 1+1 Optical Protection Link/Path Level Protection MPLS Fast Reroute(cisco) Local Protection(if L=150, Pd<5ms) 30msec 1:1 protection Link/node protection, Segment network(Sn=3, L=150,Pd<15ms) MPLS Fast Reroute Local Protection(L=200, Pd= 10ms) 50msec 1:1 protection 1:1 SONET/SDH Local Protection(Pd=25ms) 100msec 1:1,1:N, M:N Protection LocalProtection(Pd = 50ms) 200msec 1:1,1:N,M:N Protection Path protection/Global protection Segment network(Sn=3, L=300,Pd=9ms) 500msec 1:1,1:N, M:N Protection path protection(Pd<100ms) 1sec MPLS TE LSP Rerouting(Dynamic) -
Considering the propagation delay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failure recovery time in order to present a quality-based differentiated failure recovery technique, when applying the segment-based failure management system, the number of nodes is within 4 km and 250 km. The network is divided and managed to distribute and manage the network within 25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tting quality guaranteed differentiation failover is as follows.
In order to set up the quality-differentiated failure recovery scheme, it is necessary to first determine the failure recovery option based on the service level agreement (SLA).
One. First, a method of configuring 1 + 1 path protec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1 + 1 path protection technique is not provided in the MPLS router, the sam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gress node (W1). In FIG. 4, Data (1) and Data (2) are the same data, and Data (1) and Data (2) set the router such that only a working path exists without a backup path.
4 is an example of a 1 + 1 path prot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W5 should function as a PML, but since W5 does not have a PML function, it should be processed in software.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working path of Data (1), data continue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orking path of Data (2), so there is no packet loss even if a single link failure occurs.
2. How to set 1: 1 path protection is as follows.
The 1: 1 path protection method includes a stand-by mode, a path-option mode, and a fast rerouote method. For all three options, backup should be set to disjoint for working. If the working path is Tunnel 100 and the backup path is Tunnel 200, the standby mode ( stand-by mode) is set when Tunnel100 is set as backup interface Tunnel 200 . Stand-by mode uses a CLI command called tunnel mpls traffic-eng path-option . For example, if you set "tunnel mpls traffic-eng path-option 100 explicit name working 100", the working path is a path option of 100 and the explicit path of work100 is 100. This is the path to the tunnel with (path-option) 100.
3. The method of setting 1: N and M: N path protection is as follows.
1: N and M: N are used by a plurality of working paths sharing a backup path. 1: N and M: N protection can be set using CLI commands in stand-by mode and path-option mode. Stand-by mode designates a common backup tunnel for the backup interface, and path-option mode sets the same explicit path name. You can set 1: N or M: N.
4. Subnet-based segment recovery function setting method is as follows.
FIG. 5 is an example of a subnet-based failure recovery scheme in which a global network is segmented into four or two subn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 5 is an example of a global network consisting of 16 nodes, (b) is a segmentation of the global network into four subnet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nodes and links, and (c) Each recovery option is applied by segmenting the global network into two subnets,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nodes and links.
6 is a class diagram of a failure module management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failure recovery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detailed fault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helper man server socket (DoumiMan ServerSocket), a helper man (DoumiMan), an MPLS network (MPLS Network), a fault handler (Faultandler), and an MPLS LSP list (MPLS_LIST). It consists of MPLSLER class.
The fault handler management object (FaultHandler MO) receives fault-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e hierarchical network, records fault information, and returns to the network state before the fault after the test of the fault recovery and the recovery of the fault point. It is supposed to be. In addition, the fault handler management object (FaultHandler MO) locates the fault through a callback function and stores a fault log in a database.
The MPLS Network MO manages the Management Objects (MOs) for nodes and links in the MPLS area. The MPLS Network MO manages the LSP and sets the backup path. Setting recovery options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is set through the createLSP () method of MPLSNetwork MO.
In the 1: N protection switching method, back up the LSP that has not been processed by error after reading the LSP group ID information applied at the time of LSP setup using the LSP object reference. Check if LSP (backup LSP) is being used in LSP Group, and in MPLS Network, access specific working LSP MO and process according to the failover mechanism of the management object (MO). Will be done.
Even in M: N protection switching, if the LSP group does not use all M backup LSPs, it accesses a specific working LSP MO and accesses the corresponding working LSP MO. (MO) will be handled according to the failure recovery mechanism.
Differentiation fault recovery techniqu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3 below.
Option to select recovery time of SLA (example) Recovery option (example) Requirement option 10 msec 1 + 1 Optical Protection Link / Path Level Protection MPLS Fast Reroute (cisco) Local Protection (if L = 150, Pd <5ms) 30 msec 1: 1 protection Link / node protection, segment network (Sn = 3, L = 150, Pd <15ms) MPLS Fast Reroute Local Protection (L = 200, Pd = 10ms) 50 msec 1: 1 protection 1: 1 SONET / SDH Local Protection (Pd = 25ms) 100 msec 1: 1,1: N, M: N Protection LocalProtection (Pd = 50ms) 200 msec 1: 1,1: N, M: N Protection Path protection / Global protection segment network (Sn = 3, L = 300, Pd = 9ms) 500 msec 1: 1,1: N, M: N Protection path protection (Pd <100ms) 1sec MPLS TE LSP Rerouting (Dynamic)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표3은 복구 시간에 따른 장애 복구 기법이다. 10msec 이내에 장애를 복구하는 것은 실제 망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10msec 이내의 장애를 복구하기 위하여 자원 효율이 제일 떨어지지만 1+1 옵티칼 보호(Optical Protection)를 사용함으로써 장애가 일어나도 동일한 데이터가 다른 경로(path)에 의하여 전송되어지기 때문에, 단일 링크장애에 대해서 데이터 손실이 없다.
단, 장애의 파악 및 원인 분석에는 전달지연과 장애검출(Fault detection) 시간이 감안되어 관리자에게 장애 사실을 통보한다. 시스코(Cisco)에서 제공하는 패스트 리라우트(Fast Reroute)방식의 장애 복구 기법은 실제 망에서 50ms 이내의 장애 복구 성능을 보장한다. 실제 링크를 고려하지 않은 테스트 베드(Test bed)에서 성능 측정 결과, 1000byte의 패킷을 1Mbos의 대역폭을 보장하여 전송하였을 때, 5ms 이내의 장애 복구 성능을 보인다.
그러므로 전달 지연시간이 5ms 이내만 보장되면 10ms 이내에 로컬 보호(local protection)가 가능하다. 1:1 경로 보호(path protection) 복구 옵션은 네트워크를 세그먼트화하여 전달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30ms 이내에 장애 복구가 가능하며, MPLS 패스트 리라우트(Fast Reroute)기법을 사용하되, 링크간의 거리가 긴 지역에서는 전달 지연에 대한 성능이 15ms 이내이면 30ms 이내에 장애 복구가 가능하다.
200msec~1sec의 장애 복구 성능을 가지는 장애 복구 옵션에 대해서는 로컬보호(local protection)가 아닌 경로보호(path protection)을, 네트워크를 세그먼트(segment)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모든 트래픽(traffic)이 장애에 민감한 데이터가 아니므로, 트래픽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장애 복구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을 높인다.
Class Type 복구옵션 중요도 사용목적 EF 1+1 매우높음 회사 업무용(CEO), e-commerce, 기업간회의 1:1 높음 회사 일반 업무용 M:N 중간 일반 전화 통화용 1:N 일반 일반 전화 통화용(통화료 저렴) Dynamic routing - 통화가 저렴한 일반 개인 통화
Class Type 복구옵션 중요도 사용목적 AF3 1:1 높음 전자상거래 M:N - 고속회선의 인터넷 1:N - 저속의 인터넷 Dynamic routing - 개인적인 웹서핑, P2P
상기 표 4는 제1 케이스의 장애복구 예(Case1-differentiated fault restoration for VoIP)이고, 상기 표5는 제2 케이스 장애복구(Case2- differentiated fault restoration for Web application)이다.
상기 표3을 통하여 복구시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장애 복구 옵션들에 대하여 서비스제공자는 서비스 종류별로 상기 표4 및 표5와 같이 장애 복구 기법을 용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표3은 VoIP 서비스를 사용시 차별화된 장애 복구 기법을 제시한 것이다. VoIP는 지연(Delay)이나 지터(Jitter)에 민감하여 EF나 AF4 클래스 타입(class-type)의 트래픽에 실려 전달되도록 하는데, VoIP의 사용목적과 중요도에 따라서 장애 복구 옵션을 다르게 설정한다.
Table 3 shows a failure recovery scheme according to recovery time. Recovering from a failure within 10msec is not an easy task in a real network. Therefore, the resource efficiency is the lowest to recover from a failure within 10msec, but the data can be transmitted for a single link failure because the same data is transmitted by different paths even if a failure occurs by using 1 + 1 optical protection. No loss
However, in identifying the fault and analyzing the cause, the administrator is notified of the fault in consideration of the propagation delay and the fault detection time. Cisco's fast reroute failover scheme guarantees failover performance within 50ms in a real network. As a result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test bed without considering the actual link, when the 1000byte packet is transmitted with guaranteed bandwidth of 1Mbos, the failure recovery performance is within 5ms.
Therefore, if the propagation delay is guaranteed only within 5ms, local protection is possible within 10ms. The 1: 1 path protection recovery option can recover from failures within 30ms by segmenting the network to minimize propagation delay, and use the MPLS Fast Reroute technique. If the performance of propagation delay is less than 15ms, failover is possible within 30ms.
A failure recovery option having a failure recovery capability of 200 msec to 1 sec can be applied by managing a network by segmenting path protection rather than local protection. Since all the traffic in the network is not data that is sensitive to failures, the efficiency of network resources is improved by proposing differentiation recovery methods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Class Type Recovery option importance purpose of use EF 1 + 1 Very high Company business, e-commerce, business meetings 1: 1 height Company general business M: N middle For regular phone calls 1: N Normal For regular phone calls (cheap toll) Dynamic routing - Private Private Calls with Cheap Calls
Class Type Recovery option importance purpose of use AF3 1: 1 height electronic commerce M: N - High speed internet 1: N - Slow internet Dynamic routing - Personal web surfing, P2P
Table 4 is a Case 1 -differentiated fault restoration for VoIP, and Table 5 is a Case 2 -differentiated fault restoration for Web ap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failure recovery option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recovery time through Table 3, the service provider may apply a failure recovery scheme according to the purpose as shown in Table 4 and Table 5 for each service type.
Table 3 above presents differentiated failure recovery schemes when using VoIP services. VoIP is sensitive to delay and jitter so that it can be carried in EF or AF4 class-type traffic, and the failover option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VoI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관리 기능에서의 차별화/차등화란 서비스 품질 제공수준의 중요성과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고려하여 장애 발생시 복구능력에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tiation / differentiation in the failure management function may provide differentiation in the recovery ability in the event of a failure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quality provision level and the user's cost burden.

Claims (4)

다수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차등서비스를 지원하는 멀티프로토콜라벨스위칭(DiffServ-over-MPLS) 글로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품질보장형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quality assurance network management method in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DiffServ-over-MPLS) global network environment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서비스수준계약(SLA)에 의한 장애 복구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failback option by a service level agreement (SLA); 상기 글로발 네트워크를, 노드수와 링크수를 고려하여 노드의 수는 4~5개, 거리는 250km 이내이고 전달 지연 시간이 25ms 이내가 되도록 소정 수의 서브네트워크로 세그먼테이션화하는 단계; 및Segmenting the global network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networks such that the number of nodes is 4 to 5, the distance is within 250 km, and the propagation delay time is within 25 m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links; And 상기 서비스수준계약(SLA)에 의한 장애 복구 옵션에 따라 상기 서브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송하는 1+1 경로보호 기법이나, 1:1 경로보호 방법 혹은 1:N, M:N 경로보호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장애복구를 차등화하는 단계를 구비하여1 + 1 path protection scheme for transmitting the same data through different paths using the subnetwork according to the failure recovery option by the service level agreement (SLA), 1: 1 path protection method, or 1: N, M Differentiating failover with any of the: N path protection methods 장애 검출시 전달지연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agation delay is minimized during failure de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워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network 소수의 노드를 중첩하여 노드장애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Failover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node failure by overlapping a few nod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1 경로보호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1: 1 path protection method is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와 경로옵션모드(path-option mode)와 패스트 리라우트(Fast rerouot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A failur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by mode (stand-by mode), the path-option mode (path-option mode) and fast rerouote (Fast rerouote).
KR1020050057082A 2005-06-29 2005-06-29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KR100801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082A KR100801575B1 (en) 2005-06-29 2005-06-29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082A KR100801575B1 (en) 2005-06-29 2005-06-29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527A KR20070001527A (en) 2007-01-04
KR100801575B1 true KR100801575B1 (en) 2008-02-11

Family

ID=3786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082A KR100801575B1 (en) 2005-06-29 2005-06-29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5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6139B (en) * 2021-03-12 2023-08-15 中国移动通信集团四川有限公司 Communication network alarm fault handling priority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11A (en) * 2001-08-11 2003-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daptive path recovery method through monitoring fault information in MPLS networks
KR20050023154A (en) * 2003-08-27 200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ust inhalator of body
KR20050040144A (en) * 2003-10-27 2005-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ath establishment and restoration method supporting differential service in atm based mpls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11A (en) * 2001-08-11 2003-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daptive path recovery method through monitoring fault information in MPLS networks
KR20050023154A (en) * 2003-08-27 2005-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ust inhalator of body
KR20050040144A (en) * 2003-10-27 2005-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ath establishment and restoration method supporting differential service in atm based mpl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527A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ma et al. Framework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based recovery
US8948001B2 (en) Service plane triggered fast reroute protection
US8780696B2 (en)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lightweight not-via IP fast rerout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40199662A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resiliency and performance of enterprise networks by utilizing in-built network redundancy
CN101427501A (en) Consistency between mpls traffic engineering forwarding and control planes
WO2009135411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he path
FI122373B (en) Procedure, arrangement and network elements detect a connection error
CN108924044B (en) Link maintenance method, PE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6005941A (en) Fault protection in each service of packet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US7054262B2 (en) Line-level path protection in the optical layer
Hariyawan Comparison analysis of recovery mechanism at MPLS network
EP1942609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ulticast service path
Yoon et al. An efficient recovery mechanism for MPLS-based protection LSP
KR10070556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ance managing in mpls network
CN102025437B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tection switching
KR100801575B1 (en) Fault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the traffic character
Calle et al. A Dynamic Multilevel MPLS Protection Domain.
Kim et al. Protection switching methods for point‐to‐multipoint connections in packet transport networks
Wang et al. Fault monitoring and restoration in optical WDM networks
Sharma et al. RFC3469: Framework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based Recovery
Coan et al. Reliable software and communication III: Congestion control and network reliability
Kim et al. A protection switching management of two-layer transport networks with MPLS-TP over OTN
Zhu et al. Real-time Media Transmission Based on Multipath in Network Layer
Hanshi et al. Enhancing QoS protection in MPLS networks
Tomar et al. MPLS-A Fail Safe Approach to Conges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