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837B1 -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837B1
KR100799837B1 KR1020060113328A KR20060113328A KR100799837B1 KR 100799837 B1 KR100799837 B1 KR 100799837B1 KR 1020060113328 A KR1020060113328 A KR 1020060113328A KR 20060113328 A KR20060113328 A KR 20060113328A KR 100799837 B1 KR100799837 B1 KR 10079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igital door
lock device
bluetooth modul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8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safety for a password of a digital door lock device by conveniently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through a mobile phone when a user operates the door lock device with accompanying visitors.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100) comprises a scanning step for recognizing a digital door lock device(200) by transmitting a scan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by a first Bluetooth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eiving a scan respons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S110,S120); a connection step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by us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if a user selects connec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S130); a control step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by transmitting a pin code signal including a pin code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by the user,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f a pin code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S140); and a display step for display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a door on a screen by receiv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S150).

Description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록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control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통신 기기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휴대 통신 기기 110 : 입력부100: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10: input unit

120 : 제어부 130 : 제1 블루투스 모듈120: control unit 130: first Bluetooth module

140 : 표시부 200 : 디지털 도어록 장치140: display unit 200: digital door lock device

210 : 제2 블루투스 모듈 220 : 제어부210: second Bluetooth module 220: control unit

230 : 도어 개폐부230: doo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편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in particular, to implement a digital door lock device to control the digital door lock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digital door loc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실린더 자물쇠의 개폐 원리를 사용하는 물리적 키와, 실시간 변동 암호기술의 전자식 키를 사용하거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 개개인의 고유한 지문을 등록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출입을 허락하는 지문인식 도어록 장치, 그리고 사용자의 홍체를 등록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출입을 허락하는 홍체인식 도어록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door lock device includes a physical key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principle of a cylinder lock, a digital door lock device using an electronic key of a real-time variable encryption technology or setting a password, and a unique fingerprint of each individual to be authenticated. A fingerprint recognition door lock device that allows access and a iris recognition door lock device that registers a user's iris and allows access only to an authenticated user are used.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다음의 2가지 방식이 이용된다. 첫번째는 일종의 반도체 칩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식 열쇠에는 실시간으로 변동 암호기술이 사용된다. 두번째는 미리 설정되어있는 비밀번호와 문을 열기 위해 입력되는 키패트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이 사용되며, 이는 기본적으로 논리적 비교기(Comparator)를 이용한다. The digital door lock apparatus uses the following two methods. First, electronic cryptographic keys consisting of semiconductor chips are used in real time with variable cryptography. The second method is to perform the operation by comparing the preset password with the keypad entered to open the door, which basically uses a logical comparator.

이때, 비교기로 사용되는 것은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이며, 이는 입력이 같을 경우에 출력이 로우(L)가 되고, 입력이 다를 경우에는 하이(H)가 출력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비교회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At this time, the exclusive OR gate EXOR is used as a comparator. When the inputs are the same, the output is low (L), and when the inputs are different, the high (H) is output. You can write.

이와같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설계하려면, 이러한 비교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미리 설정되는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거나 BCD 디지털 스위치나 DIP 스위치로 구현하여야 한다.In order to design such a digital door lock device, the principle of the comparator must be applied to store a preset password in a memory or implemented as a BCD digital switch or a DIP switch.

그러나,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이용하는 동안에, 예를 들어 방문자와 함께 집에 들어가기 위해 도어록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설치된 키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비밀번호의 노출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us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for example, when operating the door lock device to enter a house with a visitor, in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 device, the key button installed i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must be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is like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편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implement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To provid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제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휴대 통신 기기와 제2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 서,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 스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인식하는 스캔 단계;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의 접속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 핀코드 요청이 있으면,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핀코드를 포함하는 핀코드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irst Bluetooth module and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a second Bluetooth module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device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scan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sing a first Bluetooth module, and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 scan step of receiving a scan response signal to recogniz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 connection step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s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s select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device by transmitting a pin code signal including a pin code input by a user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when a pin cod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

상기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의 도어 개폐 상태 신호를 수신받아 도어 개폐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step of receiving a door open / close stat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to display the door open / close state.

상기 스캔신호는, 발생지의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및 스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an signal may include an address and scan information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which is an address of a source.

상기 스캔 응답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및 발생지의 장치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an response signal may include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a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first Bluetooth module as a destination address, and device name information of a source.

상기 접속 요청신호는, 발생지의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그리고 접속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which is an address of a source,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which is a destination address, and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상기 핀코드 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핀코드 및 개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code signal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a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as a destination address, a pin code, and opening / closing control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록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control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록 제어 시스템은, IEEE 802.15.1 프로토콜에 따르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ANT1)에 연결된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기기(100)와,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와 IEEE 802.15.1 프로토콜에 따르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ANT2)에 연결된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door lock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Bluetooth module 130 connected to an antenna ANT1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IEEE 802.15.1 protocol. 100 and a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including a second Bluetooth module 210 connected to the antenna ANT2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EEE 802.15.1 protocol.

도 2는 도 1의 휴대 통신 기기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하기 위한 입력부(110)와, 상기 입력부(110)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스캔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통보하고,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과,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동작 및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controls the scan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n operation, and input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 scan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 recogni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nd notification to the control unit 120;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and status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Include.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부터의 접속요청에 응답하여 핀코드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부터의 핀코드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부터의 핀코드 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핀코드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의 핀코드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도어 개폐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door lock apparatus transmits a scan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a scan signal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requests a pin code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ransmits a signal, transmits a scan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a pin cod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receives a pin cod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matches the internal pin code. The control unit 22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in code of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and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to determine,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 2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갖는 휴대 통신 기기(100)와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부터 스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인식하는 스캔 단계(S100)와,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와의 접속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이용하여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에 전송하는 접속단계(S200)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부터 핀코드 요청이 있으면,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핀코드를 포함하는 핀코드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having a first Bluetooth module 130 and a second Bluetooth module 210.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by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 scan step (S100) of transmitting a scan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receiving a scan respons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o recogniz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is selected in the device 100, a connection step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us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S200). And, if there is a pin code request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transmits a pin code signal including a pin code input by the user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o the Control step (S300)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상기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부터의 도어 개폐 상태 신호를 수신받아 도어 개폐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display step of receiving a door open / close stat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and displaying a door open / close state.

상기 스캔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및 스캔 정보를 포함한다.The scan signal includes an address and scan information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which is a source address.

상기 스캔 응답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및 발생지의 장치명 정보를 포함한다.The scan response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which i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which is a destination address, and device name information of the source.

상기 접속 요청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그리고 접속요청 정보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which i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which is a destination address, and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상기 핀코드 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핀코드 및 개폐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The pin code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a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as a destination address, a pin code, and opening / closing control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록 제어 시스템은,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갖는 휴대 통신 기기(100)와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with reference to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lock control system for performing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hav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and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having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 200).

도 4에서, 먼저 스캔 단계에서는,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및 스캔 정보를 포함한다.In FIG. 4, in the first scanning step,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ransmits a scan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us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Here, the scan signal includes the address and scan information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which is a source address.

이때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의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로부터의 스캔신호에 포함된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를 이용하여 스캔을 요청한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스캔신호의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인식한다. In this case,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checks the device requesting the scan using the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included in the scan signal from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and The scan signal is recognized using the scan information of the scan signal.

이에 따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응답신호를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 응답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및 발생지의 장치명 정보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transmits a scan response signal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scan signal. Here, the scan response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which i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which is a destination address, and device name information of the source.

이후,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부터 스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인식한다(S100). 즉,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는, 상기 스캔 응답신호의 발생지 주소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확인하고, 상기 스캔 응답신호의 목적지 주소로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가 수신하여야 하는 신호로 인식하며, 상기 스캔 응답신호의 장치명 정보에 기초해서 제1 블루투스 모듈이 적용된 장치의 장치명을 인식한다.Thereafter,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receives the scan respons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o recogniz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S100). That is,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checks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as a source address of the scan response signal, and a signal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should receive as a destination address of the scan response signal. The device name of the device to which the first Bluetooth module is applied is recognized based on the device name information of the scan response signal.

다음, 접속단계에서는,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의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와의 접속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이용하여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에 전송한다(S200). 여기서, 상기 접속 요청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그리고 접속요청 정보를 포함한다.Next, in the connecting step,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control unit 12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2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 operation S200, the access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door lock apparatus 200 us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Here,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a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as a destination address, and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의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로부터의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발생지 주소로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를 인식하고,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목적지 주소로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이 목적지임을 확인하며,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접속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요청을 인식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210)에 핀코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and sends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o the source address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ognizes that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is the destination as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recognizes the access request by using the access request informa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and then recognizes the access request. Sends a pincode request signal to.

여기서, 상기 핀코드 요청신호는 제1 및 제2 블루투스 모듈(130,210)의 주소 및 핀코드 요청정보를 포함한다. Here, the pin code request signal includes addresses and pin code request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uetooth modules 130 and 210.

그 다음,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부터 핀코드 요청이 있으면,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핀코드를 포함하는 핀코드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제어한다(S300). 여기서 상기 핀코드 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핀코드 및 개폐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Next, in the control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f there is a pin code request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he pin code signal including a pin code input by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t transmits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o control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S300). Here, the pin code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which i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which is a destination address, a pin code, and opening / closing control information.

즉,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부터 핀코드 요청신호를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전송받아, 상기 핀코드 요청신호의 발생지 주소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를 인식하고, 상기 핀코드 요청신호의 목적지 주소를 통해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의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이 목적지임을 확인하고, 상기 핀코드 요청신호의 핀코드 요청정보를 통해 핀코드 요청을 인식하여 표시부(140)에 핀코드 입력 요청 정보를 출력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2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receives the pin code request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and receives the source address of the pin code request signal. Recogniz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hrough, confirm that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the destination through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pin code request signal, the pin of the pin code request signal The pincode request is recognized through the code request information, and the pincode input request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40.

이때, 상기 표시부(140)의 핀코드 요청 정보를 보고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제어부(120)에 핀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의 제2 블루투스 모듈(210)에 내장된 핀코드를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를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who reports the pin code request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40 inputs the pin code to th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input unit 110. At this time, the user should know the pin code embedded in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100.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후,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핀코드를 포함하는 핀코드 신호를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핀코드 신호는,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핀코드 및 개폐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2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ransmits a pin code signal including a pin code input by a user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 Here, the pin code signal includes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which i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which is a destination address, a pin code, and opening / closing control information.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의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부터의 핀코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핀코드신호의 발생지 주소를 이용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핀코드 신호의 목적지 주소 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이 목적지임을 확인하고, 상기 핀코드신호의 핀코드와 내부의 핀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receives the pin code signal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uses the source address of the pin code signal to select the first Bluetooth module. Recognize and confirm that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is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pincode signal, and compares the pincode of the pincode signal with the internal pincode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이때,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핀코드와 내부 핀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승인정보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20)는 도어 개폐부(230)를 통해 도어를 개폐한다. In this case, when the pin cod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internal pin code matc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transmits th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20 opens and closes the door throug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230.

그리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이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현재 도어 개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includes a display step, in the display step, the controller 220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200 includes current door open / close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210. The operation stat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100.

이때, 상기 휴대 통신 기기(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150).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output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st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Bluetooth module 130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S150).

전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과 같은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방문자나 손님과 동반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휴대폰 등의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비밀번호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can be controlle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be used even when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s operated with a visitor or a gues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ontrol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This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password of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편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mplementing to control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stituted,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Claims (6)

제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휴대 통신 기기와 제2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irst Bluetooth module and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a second Bluetooth module,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스캔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 스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인식하는 스캔 단계;A scanning step of transmitting, b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scan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sing a first Bluetooth module, and receiving a scan respons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to recogniz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와의 접속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접속단계; A connection step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us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s select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 핀코드 요청이 있으면, 상기 휴대 통신 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핀코드를 포함하는 핀코드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및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by transmitting a pin code signal including a pin code input by a user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when a pin cod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And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의 도어 개폐 상태 신호를 수신받아 도어 개폐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단계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door opening / closing state by receiving a door open / closed state signal from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an signal, 발생지의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및 스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address and scan information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that is the address of the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응답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an response signal, 발생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및 발생지의 장치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n address of a second Bluetooth module a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a first Bluetooth module as a destination address, and device name information of a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발생지의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그리고 접속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And a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the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as the source address, the address of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s the destination address, and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코드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n code signal, 발생지 주소인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목적지 주소인 제2 블루투스 모듈의 주소, 핀코드 및 개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dress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as a source address, an address of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s a destination address, a pin code, and opening / closing control information.
KR1020060113328A 2006-11-16 2006-11-16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998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328A KR100799837B1 (en) 2006-11-16 2006-11-16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328A KR100799837B1 (en) 2006-11-16 2006-11-16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837B1 true KR100799837B1 (en) 2008-01-31

Family

ID=3921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328A KR100799837B1 (en) 2006-11-16 2006-11-16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8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2058A (en) * 2014-08-08 2015-01-14 厦门华数电力科技有限公司 Unlocking method of Bluetooth-based safety intelligent lock system with video monitoring function
KR20170019243A (en) 2015-08-11 2017-02-21 (주)혜강씨큐리티 Digital Door-Lock having Automatic Unlock Funciton Using Smart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33Y1 (en) 2001-03-23 200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oor unlocking apparatus
KR100620917B1 (en) 2005-08-04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lock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33Y1 (en) 2001-03-23 200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oor unlocking apparatus
KR100620917B1 (en) 2005-08-04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lock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2058A (en) * 2014-08-08 2015-01-14 厦门华数电力科技有限公司 Unlocking method of Bluetooth-based safety intelligent lock system with video monitoring function
CN104282058B (en) * 2014-08-08 2016-08-24 厦门华数电力科技有限公司 The method for unlocking of the safety intelligent lock system of band video monitoring based on bluetooth
KR20170019243A (en) 2015-08-11 2017-02-21 (주)혜강씨큐리티 Digital Door-Lock having Automatic Unlock Funciton Using Smart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79B1 (en) Method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lock function
CN101784049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being controlled automobile by mobile terminal
KR1018147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smartphone
US104793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t least one function of a motor vehicle
JP2017190668A (en) Digital doorlock system
KR101814555B1 (en) Digital door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31867B1 (en)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20180070047A (en) door-lock system used beacon
KR101861057B1 (en) Digital door lock based on composite signal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9983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80062692A (en) Method, user terminal, door lock device and entry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20060121439A (en) Method for opening door-lock device using mobile station
KR101208744B1 (en) Intelligent security doorloc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88633B1 (en) Door lock using certification number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36902A (en) Controlling method for doorlock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CN108944798A (en) A kind of vehicle key-free based on hand vein recognition unblocks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80020382A (en) Smart door lock system
KR2017009481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lock
KR100638025B1 (en) Locking release system
KR2011000257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KR20130126357A (en) Door lock system
KR1004594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authenticating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N109327597A (en) The method, apparatus of the entrance of mobile terminal and secret system
CN114312665B (en) Key control method, device,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07804B1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using CDMA Network and IrDA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