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670B1 - A variable resistor - Google Patents

A variable resis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670B1
KR100798670B1 KR1020060073632A KR20060073632A KR100798670B1 KR 100798670 B1 KR100798670 B1 KR 100798670B1 KR 1020060073632 A KR1020060073632 A KR 1020060073632A KR 20060073632 A KR20060073632 A KR 20060073632A KR 100798670 B1 KR100798670 B1 KR 10079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voltage
substrate
conductor
voltag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8684A (en
Inventor
유키오 가소자키
슈소 야시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670B1/en
Publication of KR2007001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06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short-circuiting different amounts of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6Adjustable resistors including plural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8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 (Problem) Suppressing the power consumption at the resistance element of the variable resistor at the time of non-operation.

(해결 수단)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기판면에 원환 형상을 이루는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를 절연한 상태에서 병설하고, 제 2 절연성 기판 (31) 에 대하여 이간하여 대향 배치하는 제 1 절연성 기판 (32) 에는 제 2 절연성 기판 (31) 과의 대향면에 도전체 (13) 를 형성한다. 제 2 절연성 기판 (31) 또는 제 1 절연성 기판 (32) 은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와 도전체 (13) 를 가압 접촉 가능한 가교성 부재로 구성한다. 제 1 저항체 (11) 를 2 분하는 가상선 (L1) 과 제 1 저항체 (11) 의 교차부에 전압 인가부 (14) 를 형성하고, 그 전압 인가부 (14) 와 제 1 저항체 (11) 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 2 저항체 (12) 와의 교차부에 전압 인가부 (16) 를 형성한다. 전압 인가부 (14, 16) 사이에 전압 출력부 (21) 로부터 전압을 인가하고, 대기 상태가 되는 비가압 상태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를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생성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Measures) The 1st resistor 11 and the 2nd resistor 12 which have an annular shape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board | substrate surface of the 2nd insulating board 31, and spaced apart with respect to the 2nd insulating board 31. FIG. In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which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conductor 13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or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is composed of a crosslinkable member capable of pressure contacting the first resistor 11, the second resistor 12, and the conductor 13. A voltage applying unit 14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line L1 dividing the first resistor 11 into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voltage applying unit 14 and the first resistor 11. The voltage application portion 16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with the second resistor 12 facing each other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posed portion therebetween. The voltage is applied from the voltage output section 21 between the voltage applying sections 14 and 16, and in the non-pressurized state in the standby state,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are turned off so that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It was set as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produce | generate.

Description

가변 저항기{A VARIABLE RESISTOR}Variable Resistors {A VARIABLE RESISTOR}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변 저항기에 전자 제어부를 접속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n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variable resis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a) 는 도 1 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1 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도전체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다. Fig. 2A is a plan view of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resistance element formation side of the variable resistor shown in Fig. 1, and Fig. 2B is a plan view of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conductor formation side of the variable resistor shown in Fig. 1.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or shown in FIG. 1.

도 4(a)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의 조작면에 터치 전의 불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의 조작면에 터치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의 조작면의 터치 위치를 슬라이드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a) is a diagram showing an unused state before touch on the operation surface of the variable resistor in the above embodiment, and Fig. 4 (b) shows a use state where the operation surfac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touched in the embodiment. It is a figure, and FIG.4 (c)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se state which slid the touch position of the operation surface of a variable resistor in the said embodiment.

도 5(a) 는 도 4(a) 에 대응한 불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회로 모식도이고, 도 5(b) 는 도 4(b) 에 대응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회로 모식도이다. Fig. 5A is a circuit schematic diagram of a variable resistor in an unused state corresponding to Fig. 4A, and Fig. 5B is a circuit of a variable resistor in a use state corresponding to Fig. 4B. It is a schematic diagram.

도 6 은 도 5(b) 에 나타내는 회로 모식도의 등가 회로도이다. FIG. 6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circuit schematic diagram shown in FIG. 5 (b). FIG.

도 7(a) 는 저항체와 도전체의 배치 관계를 변경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7(b) 는 동일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전체의 평면도이다. Fig. 7A is a plan view of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resistance element formation side in a modifica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resistor and the conductor is changed, and Fig. 7B is a plan view of the conductor in the same modification.

도 8(a) 는 도전체 형상을 변형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8(b) 는 동일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전체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다. Fig. 8A is a plan view of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resistance element formation side of a variable resistor in a modification in which the conductor shape is modified, and Fig. 8B is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conductor formation side in the same modification. Top view of the.

도 9(a) 는 저항체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9(b) 는 동일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전체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이다. Fig. 9A is a plan view of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resistance element formation side in a modification in which the resistor is made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Fig. 9B is a plan view of an insulating substrate on the conductor formation side in the same modification. .

도 10 은, 종래의 가압 접촉형의 가변 저항기의 구성도이다.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pressure contact type variable resistor.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sign)

1 : 가변 저항기 1: variable resistor

2 : 전자 제어부 2: electronic control unit

11, 41, 62 : 제 1 저항체 11, 41, 62: first resistor

12, 42, 63 : 제 2 저항체 12, 42, 63: second resistor

13, 43, 51, 65 : 도전체 13, 43, 51, 65: conductor

14, 15, 16, 17 : 전압 인가부 14, 15, 16, 17: voltage applying unit

18 : 전압 취출부 18: voltage extraction section

31, 61 : 제 2 절연성 기판 (제 2 기판) 31, 61: second insulating substrate (second substrate)

32, 64 : 제 1 절연성 기판 (제 1 기판) 32, 64: first insulating substrate (first substrate)

33 : 스페이서 33: spacer

21 : 전압 출력부 21: voltage output unit

22 : A/D 변환부 22: A / D converter

23 : CPU 부 23: CPU unit

L1, L2 : 가상선 L1, L2: virtual line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53015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6-53015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하여 아날로그 정보를 터치식으로 입력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esistor that can be used in an informatio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nalog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by touch.

각종 기기의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하여 희망하는 아날로그 정보를 터치식으로 입력하기 위해 가변 저항기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정보 입력 장치에는 가압 접촉형의 가변 저항기가 이용되고 있다. There i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using a variable resistor for inputting desired analog information to electronic control devices of various devices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In such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 pressure-contact type variable resistor is used.

도 10 은 상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가압 접촉형의 가변 저항기의 구성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 저항기 (100) 는 소정 길이의 저항 소자 (101) 와, 그 저항 소자 (101) 에서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가요성의 단락 소자 (102) 를 구비하고, 저항 소자 (101) 의 일단측의 단자 (103) 에 대하여 전지 (104) 양극을 접속하고, 저항 소자 (101) 의 타단측의 단자 (105) 를 접지한 구성 으로 되어 있다.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essure contact type variable resis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same figure, the variable resistor 100 is provided with the resistance element 101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lexible short circuit element 102 mutually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the resistance element 101, and the resistance element 101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104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3 on one end side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105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resistance element 101 is grounded.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 소자 (102) 를 임의의 위치에서 저항 소자 (101) 를 향하여 가압한 경우, 가압 위치에 대응한 접촉점 (P) 에서 단락 소자 (102) 와 저항 소자 (101) 가 도통한다. 저항 소자 (101) 의 전체 저항치를 R 로 하고, 접촉점 (P) 의 양측의 저항치를 R1, R2 (R=R1+R2), 전지 (104) 의 직류 전압을 Vs 로 하면, 단락 소자 (102) 의 출력 전압 (Vout) 은, Vout=(Vs/R)×R2 가 되어, 출력 단자 (106) 에 나타난다. 도 10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을 A/D 변환기 (107)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 (108) 을 개재하여 CPU (109) 에 보내어 각종 제어에 이용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hort-circuit element 102 is pressurized toward the resistance element 101 at an arbitrary position, the short-circuit element 102 and the resistance element 101 are formed at the contact point P corresponding to the press position. It is conducting. When the total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element 101 is R, the resistance values of both sides of the contact point P are R1, R2 (R = R1 + R2), and the DC voltage of the battery 104 is Vs, the short-circuit element 102 Output voltage Vout becomes Vout = (Vs / R) × R2, and appears in the output terminal 106.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output voltage Vou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07 and sent to the CPU 109 via the input / output interface 108 for use in various controls.

그러나, 상기 기술한 가변 저항기 (100) 는 저항 소자 (101) 의 양단간에 항상 전압 (Vs) 을 인가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비조작시에 있어서도 저항 소자 (101) 에서 전력이 소비되고 마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기기와 같이,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이용하는 기기에서는, 가변 저항기 (100) 의 대기 전력이 기기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휴대 단말 기기의 사용 가능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도 가변 저항기 (100) 의 대기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variable resistor 100 is configured to always apply the voltage V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resistance element 101,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is consumed in the resistance element 101 even during non-operation. . For example, in a device using a battery as a power sour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since the standby power of the variable resistor 100 shortens the use time of the device, the variable resistor ( It is desirable to suppress the standby power of 10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variable resistor which can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resistance element at the time of non-operation.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는, 일면이 가압 조작되는 측의 조작 측면이 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기판과, 이 제 1 기판의 타면에 대하여 일면이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환상을 이루는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1 저항체와 동일 기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항체의 환내에 그 제 1 저항체로부터 절연된 상태에서 배치된 환상을 이루는 제 2 저항체와,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으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서, 가압 위치에 따른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2 저항체의 대응 위치를 도통시키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체의 일부는 제 1 전압 인가부에, 상기 제 2 저항체의 일부는 제 2 전압 인가부에 각각 도통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와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ariable resistor of this invention is the 1st board | substrate which has the flexibility which became an operation side of the side by which one side was pressurized operation, the 2nd board | substrate with which one side mutually opposed with respect to the other surface of this 1st board | substrate, and the said 1s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sistor forms an annular shape formed on on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is formed on the same substrate surface as the first resistor and insulated from the first resistor in the ring of the first resistor. The second resistor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 other of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ressing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operation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conductor for conducting a corresponding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wherein a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is in a first voltage apply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second resistor is in a second voltage applying portion, respectively. Cylinder is connected and, to the first voltage between the first voltage applying unit and the second voltage apply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s possible to configure.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저항체는 서로 절연되어 있으므로,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이 가압되어 있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는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제 1 및 제 2 저항체에서의 소비 전력은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이 가압 된 사용 상태에서는 도전체에 의해 제 1 및 제 2 저항체가 가압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서 도통하고, 가압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1st and 2nd resistors which comprise the resistance element of a variable resistor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ide of a 1st board | substrate is not pressurized, a 1st, 2nd resistor is in a non-conductive state. It is maintained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does not occur. On the other hand, in the us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sid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is pressed,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re conducted by the conduct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and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can be obtained.

또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체는 당해 제 1 저항체를 2 분하는 제 1 가상선과 교차하는 교차부에서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되 고, 상기 제 2 저항체는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에 대해 상기 제 1 저항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제 1 가상선과의 교차부 또는 그 근방에서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variable resistor, the first re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voltage applying section at an intersection crossing the first virtual line that divides the first resistor into two, and the second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conductiv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voltage applying portion at or near the intersection with the first virtual line opposed 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voltage applying portion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interposed therebetween.

이에 따라, 제 1 가상선을 따른 방향의 위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가상선을 따른 방향의 위치 검출에 있어서, 제 1 저항체와 제 1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로부터, 당해 접속부로부터 제 1 저항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 2 저항체와 제 2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에 이르는 범위가 터치 위치 검출 가능한 범위가 되므로, 긴 조작 범위를 확보할 수 있어 가압 위치에 따라서 출력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Thereby,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direction along a 1st virtual line is attained. Moreover, in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direction along a 1st virtual line, the 2nd resistor and 2nd voltage application part which oppose from the connection part of a 1st resistor and a 1st voltage application part across the center part of a 1st resistor from this connection part. Since the range reaching the connecting portion becomes a range where the touch position can be detected, a long operating range can be ensured and the output voltage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 position.

또한,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체는, 당해 제 1 저항체를 2 분하고, 상기 제 1 가상선과 교차하는 제 2 가상선의 교차부에서 제 3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2 저항체는,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3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에 대해 상기 제 1 저항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제 2 가상선과의 교차부 또는 그 근방에서 제 4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3 전압 인가부와 상기 제 4 전압 인가부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variable resistor, the first resistor divides the first resistor into two,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hird voltage applying unit at an intersection of a second virtual line crossing the first virtual line. The re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voltage applying unit at or near the intersection with the second virtual line facing the center of the first resistor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third voltage applying unit. And a voltage can be applied between the third voltage applying unit and the fourth voltage applying unit.

이에 따라, 제 1 가상선을 따른 방향의 위치 검출이 가능해짐과 함께, 제 2 가상선을 따른 방향의 위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가상선을 따른 방향의 위치 검출에 있어서도, 제 1 저항체와 제 3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로부터, 당해 접속부로부터 제 1 저항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 2 저항체와 제 4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에 이르는 범위가 터치 위치 검출 가능한 범위가 되므로, 긴 조작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As a result, position detec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first virtual line becomes possible, and position detec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second virtual line becomes possible. Moreover, also in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direction along a 2nd virtual line, the 2nd resistance body and the 4th voltage application part which oppose from the connection part of a 1st resistor and a 3rd voltage application part across the center part of a 1st resistor from this connection part. Since the range which reaches a connection part becomes a range which can detect a touch position, a long operation range can be ensured.

또 상기 제 1 가상선과 상기 제 2 가상선이 직교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압 위치에 따라서 나타나는 출력 전압을, 제 1 가상선을 따른 방향 (Y 축) 과 제 2 가상선을 따른 방향 (X 축) 으로 규정되는 평면 상의 좌표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 said 1st virtual line and a said 2nd virtual line are orthogonal. Thereby, the output voltage shown according to a press position can be used as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plane defined by the direction (Y axis) along a 1st virtual line, and the direction (X axis) along a 2nd virtual line.

또한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체와, 상기 도전체가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제 2 저항체와 도전체가 직접 상대하여 대향 배치되므로, 가변 저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variable resis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nd the conductor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As a result, since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nd the conductors are directly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variable resistor can be miniaturized.

또,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환상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저항체 중 어느 폭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압 상태에서는 폭이 넓은 도전체를 제 1 및 제 2 저항체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제 1 및 제 2 저항체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다. In the variable resis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or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any of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forming the annular shape. Accordingly, in the pressurized state, the wide conductor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can be reliably conduc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저항체는 동일한 인쇄 공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variable resistor,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re formed by the same printing process.

이 구성에 의해, 제 1, 제 2 저항체의 저항율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출력 전압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By this structure, the resistivity of a 1st, 2nd resistor can be made uniform, and the variation of an output voltage can be suppressed.

발명을 실시하기Implement the invention 위한 최선의 형태 Best form fo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변 저항기에 대하여 전자 제어부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이다. FIG. 1: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connected the electronic control part to the variable resis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가변 저항기 (1) 는, 터치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한 저항 소자가,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로 분할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모두 환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저항체 (11) 의 환 내측에 제 2 저항체 (12) 가 제 1 저항체 (1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이간하여 절연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에 대하여 환상의 도전체 (13) 가 대향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는 거의 90도 어긋난 2 개소에, 제 1, 제 3 전압 인가부가 되는 전압 인가부 (14, 1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저항체 (12) 는 거의 90도 어긋난 2 개소로서, 제 1 저항체 (11) 의 전압 인가부 (14, 15) 와는 어긋난 위치에 제 2, 제 4 전압 인가부가 되는 전압 인가부 (16, 17)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전압 인가부 (14∼17) 를 저항체 (11, 12) 의 일부에 직접 형성하고 있지만, 전압 인가부 (14∼17) 를 저항체 (11, 12)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고, 양호한 도전성의 도전 패턴이나 도선을 개재하여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variable resistor 1, a resistance element for obtaining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 touch position is divided into a first resistor 11 and a second resistor 12. Both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are annular. The second resistor 12 is disposed inside the ring of the first resistor 11 in a state of being insul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irst resistor 11. The annular conductor 13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The voltage application parts 14 and 15 which become a 1st, 3rd voltage application part are formed in the two places where the 1st resistor 11 shifted by almost 90 degree | times. The second resistors 12 are two positions that are shifted by almost 90 degrees, and are the voltage applying units 16 and 17 that become second and fourth voltage applying units at positions displaced from the voltage applying units 14 and 15 of the first resistor 11. ) Is formed. In the present example, the voltage applying parts 14 to 17 are directly formed in a part of the resistors 11 and 12, but the voltage applying parts 14 to 17 are formed at positions away from the resistors 11 and 12, and the voltage is better.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it may connect through electroconductive conductive pattern or conducting wire.

도 2(a), (b) 및 도 3 을 참조하여 가변 저항기 (1) 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의 평면도이며, 도 2(b) 는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체 (13) 의 평면도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resistor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3B and 3. FIG. 2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formed on the substrate, and FIG. 2B is a plan view of the conductor 13 formed on the substrate.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이 되는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기판면 상에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는 모두 내경이 다른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고, 쌍방을 쇼트하지 않을 정도까지 근접시켜 절연한 상태에서 동심원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As shown to Fig.2 (a), the 1st resistor 11 and the 2nd resistor 12 are formed on the board surface of the 2nd insulating board 31 used as a 2nd board | substrate. Both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have an annular shape having different inner diameters, and are arranged concentrically in an insulated state in which both are insulated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short.

제 1 저항체 (11) 는, 당해 제 1 저항체 (11) 를 2 분하는 직선 형상의 가상선 (L1) 과의 일방의 교차부에 전압 인가부 (14)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는, 또한 당해 제 1 저항체 (11) 를 2 분하여 상기 가상선 (L1) 과 직교하는 직선 형상의 가상선 (L2) 의 일방의 교차부에 전압 인가부 (15)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전압 인가부 (14) 에는 소정 전압 (Y-Vin) 이 인가 가능하게 되고, 전압 인가부 (15) 에는 소정 전압 (X-Vin) 이 인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As for the 1st resistor 11,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intersection with the linear virtual line L1 which divides the said 1st resistor 11 into 2 parts. The first resistor 11 further divides the first resistor 11 into two and the voltage applying portion 15 is provided at one intersection of the linear virtual line L2 orthogonal to the virtual line L1. It is connected electrically. The predetermined voltage Y-Vin can be applied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14, and the predetermined voltage X-Vin can be applied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15.

제 2 저항체 (12) 는, 상기 가상선 (L1) 과 교차하는 교차부로서, 상기 전압 인가부 (14) 에 대하여 제 1 저항체 (11) 의 중앙부 (가상선 L1 와 L2 의 교차부)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의 교차부에 전압 인가부 (16)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제 2 저항체 (12) 는, 또한 상기 가상선 (L2) 과 교차하는 교차부로서, 상기 전압 인가부 (15) 에 대하여 제 1 저항체 (11) 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의 교차부에 전압 인가부 (17)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전압 인가부 (16) 및 전압 인가부 (17) 는 접지 전압 (GROUND) 이 인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전극부가 되는 각 전압 인가부 (14∼17) 에는, 각각 스루홀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타면 (저항체 (11, 12)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에 형성된 복수의 도전 패턴에 각 전압 인가부 (14∼17) 가 각각 도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상선 (L1, L2) 은 모두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2 등분하는 직경 상에 위치하고 있고, 가상선 (L1) 과 가상선 (L2) 의 교점이 원환 형상을 이루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The second resistor 12 is an intersection intersecting the virtual line L1 and interse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11 (an intersection of the virtual lines L1 and L2) with respect to the voltage applying section 14.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part of the side which opposes to. The second resistor 12 is also an intersecting portion that intersects the imaginary line L2, and is provided at an intersection port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resistor 11 opposite to the voltage applying section 15.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17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ground voltage GROUND can be applied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16 and the voltage applying unit 17.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rough-hole electrodes are formed in the voltage applying units 14 to 17 serving as the electrode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respectively,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 Each voltage application unit 14 to 1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formed on the surfaces on which the resistors 11 and 12 are not form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aid virtual line L1 and L2 are all located on the diameter which divides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into 2 equal parts, and the virtual line L1 and the virtual line L2. The intersection of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which form an annular shape.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이 되는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기판면 상에 양호한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은 패턴) 로 이루어지는 원환 형상의 도전체 (1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일방의 면으로서, 도전체 (13) 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조작 측면이 된다. 제 1 절연성 기판 (32) 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에 가압력을 가한 가압 상태에서는,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충분히 접하는 정도까지 변형된다. 또,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한 비가압 상태에서는, 도전체 (13) 를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부터 이간시켜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제 1 절연성 기판 (32) 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도전체 (13) 의 단부에는 출력 전압 (Vout) 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도전성 패턴의 전압 취출부 (18)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As shown in FIG.2 (b), the toroidal conductor 13 which consists of favorable electro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silver pattern) is formed on the board surface of the 1st insulating board 32 used as a 1st board | substrate. It is. As one surface of the 1st insulating substrate 32,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in which the conductor 13 was formed becomes an operation side surface.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has flexibility. In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sid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the conductor 13 is de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conductor 13 is in sufficient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12. In the non-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pressing force on the operation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is released, the conductor 1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 flexible substrate can be used as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At the end of the conductor 13, a voltage extracting portion 18 of a conductive pattern for extracting the output voltage Vout to the out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도 2(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 형상을 이루는 도전체 (13) 의 외경을 제 1 저항체 (11) 의 외경과 거의 동일 직경으로 하고, 도전체 (13) 의 내경을 제 2 저항체 (12) 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으로 하여,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형성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에 도전체 (13) 가 배치 되도록 하였다. 조작 측면으로부터 원환 형상을 이루는 도전체 (13) 의 형성 영역 중 어느 곳을 가압하더라도, 가압 위치에 따른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대응 위치에 도전체 (13) 가 거의 동시에 접하여 도통할 수 있도록 도전체 (13) 의 폭이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이간 폭을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폭보다 도전체 (13) 를 넓은 폭으로 함으로써, 가압 상태에서는 폭이 넓은 도전체 (13) 를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대하여 확실히 접촉시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a) and (b),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ductor 13 having an annular shape is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ductor 13 is removed. The conductor 13 was arranged so as to have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two resistors 12, and to confront the formation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rranged concentrically. The conductor 1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almost simultaneously, even when pressing any of the forming regions of the conductor 13 having an annular shape from the operation side. The width of the conductor 13 and the width of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re set so that they can conduct. In this embodiment, by making the conductor 13 wider than the width of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the conductor 13 which is wide in a pressurized state is made into the 1st, 2nd resistor 11 , 12) to ensur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can be reliably conducted.

또한, 도 3 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가압 영역을 비롯한 각종 표시를 인쇄한 가요성을 갖는 인쇄 시트를,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 상에 탑재 또는 부착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printing sheet which has the flexibility which printed various displays including a press area is mounted or affixed on the operation side surface of the 1st insulating board 32. As shown in FIG.

도 3 은 가변 저항기 (1) 의 측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형성면과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도전체 (13) 형성면이 마주보도록, 제 2 절연성 기판 (31) 에 대하여 제 1 절연성 기판 (32) 이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 2 절연성 기판 (31) 과 제 1 절연성 기판 (32) 사이에 개재한 스페이서 (33) 가,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가압 변형에 의해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 접리하는 데 적절한 스페이스 (이간 폭) 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절연성 기판 (31) 및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외주부는 유지 부재 (34) 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d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or 1.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forming surfaces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and the conductor 13 forming surfaces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face each other.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spacer 33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and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is pressed and deformed by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the conductor 13 becomes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 11, 12) to form a space (space width) suitable for fold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and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are held by the holding member 34.

여기에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기판면 상에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형상 및 이간 폭에 대응한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인쇄 마스크) 을 배치하고, 그 스크린 위로부터 저항체 재료 (예를 들어, 카본 잉크) 를 스크린 인쇄하고, 저항체 재료를 가열한다. 이에 따라,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동일 성분의 저항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게 되므로,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저항률 등의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출력 전압 (Vout) 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He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is demonstrated. On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a screen (print mask) on which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is formed is disposed, and the resistor material (from the screen) is placed. For example, carbon ink) is screen printed and the resistor material is heated. As a result, since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are formed of the same resistive material, the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the resistivity of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are uniform. This can suppress variations in the output voltage Vout.

다음으로, 상기 가변 저항기 (1) 에 대하여 접속되는 정보 입력 장치측의 전자 제어부 (2) 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제어부 (2) 는, 가변 저항기 (1) 의 제 1 저항체 (11) 의 일부에 접속한 전압 인가부 (14) 와 제 2 저항체 (12) 의 일부에 접속한 전압 인가부 (16) 사이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그것과는 다른 타이밍으로 제 1 저항체 (11) 의 일부에 접속한 전압 인가부 (15) 와 제 2 저항체 (12) 의 일부에 접속한 전압 인가부 (17) 사이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출력부 (21) 를 구비한다. 도전체 (13) 에 접속한 전압 취출부 (18) 에 나타나는 출력 전압 (Vout) 은 A/D 변환부 (22) 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에 입력되어 있다. A/D 변환부 (22) 는 출력 전압 (Vout) 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CPU 부 (23) 에 입력한다. CPU 부 (23) 는 출력 전압 (Vout) 의 값으로부터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 상에서의 터치 위치를 산출하는 연산 기능을 구비한다. CPU 부 (23) 는, 또한 가상선 (L1) 을 따른 방향이 되는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과 가상선 (L2) 을 따른 방향이 되는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을 실시하기 위해, 전압 출력부 (21) 를 제어하여 다음과 같은 전압 인가 변환 제어를 실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Nex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 on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side connected to the variable resistor 1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 is provided between the voltage applying unit 14 connected to a part of the first resistor 11 of the variable resistor 1 and the voltage applying unit 16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cond resistor 12. While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voltage applying unit 15 connected to a part of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voltage applying unit 17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cond resistor 12 at a different timing than that. A voltage output unit 21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is provided. The output voltage Vout which appears in the voltage extractor 18 connected to the conductor 13 is input to the analog input terminal of the A / D converter 22. The A / D conversion section 22 converts the output voltage Vout into a digital value and inputs it to the CPU section 23. The CPU unit 23 has a calculation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touch position on the operation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from the value of the output voltage Vout. The CPU unit 23 further includes a voltage output unit (2) for detecting the position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virtual line L1 and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virtual line L2. 21) to control voltage application conversion control as follows.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서는,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 이용하는 전압 인가부 (15, 17) 가 절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과 함께,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 이용하는 전압 인가부 (14, 16)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상선 (L1) 상에서 제 1 저항체 (11) 와 접속된 전압 인가부 (14) 에 소정 전압 (Y-Vin) 을 인가함과 함께 가상선 (L1) 상에서 제 2 저항체 (12) 와 접속된 전압 인가부 (16) 를 접지하여 접지 전압 (GROUND) 이 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the voltage application units 15 and 17 used for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are controlled to be in an insulated state, and the voltage application units 14 and 16 used for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Control the voltage to be applied in between. Specifically, while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Y-Vin)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14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11 on the virtual line (L1), the second resistor 12 on the virtual line (L1). The voltage applying unit 16 connected to the ground is grounded to control the ground voltage GROUND.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서는,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 이용하는 전압 인가부 (14, 16) 가 절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과 함께,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 이용하는 전압 인가부 (15, 17)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상선 (L2) 상에서 제 1 저항체 (11) 와 접속된 전압 인가부 (15) 에 소정 전압 (X-Vin) 을 인가함과 함께 가상선 (L2) 상에서 제 2 저항체 (12) 와 접속된 전압 인가부 (17) 를 접지하여 접지 전압 (GROUND) 이 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X axis direction, the voltage applying units 14 and 16 used for position detection in the Y axis direction are controlled to be in an insulated state, and the voltage application units 15 and 17 used for position detection in the X axis direction. Control the voltage to be applied in between. Specifically, while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X-Vin)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15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11 on the virtual line (L2), the second resistor 12 on the virtual line (L2). The voltage applying unit 17 connected to the ground is grounded to control the ground voltage GROUND.

다음으로, 도 4∼도 6 을 참조하여 가변 저항기 (1) 를 조작한 양합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4-6,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matching which operated the variable resistor 1 is demonstrated.

도 4(a) 는, 불사용 상태 (대기 상태를 포함) 를 나타내고 있고,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이 가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FIG. 4A shows the unused state (including the standby state), and shows the state before pressing the operating sid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Since the operation side surface of the 1st insulating board 32 is not pressurized,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13 separated from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is maintained.

도 5(a) 는 가변 저항기 (1) 의 불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회로 모식도이다. 이 회로 모식도는, 도 2(a) 에 나타내는 가상선 (L1) 을 따른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에 대응한 전압 인가 상태에서의 모식도이다. 제 1 저항체 (11) 의 저항 성분을 나타낸 외측 링 저항과, 제 2 저항체 (12) 의 저항 성분을 나타낸 내측 링 저항과, 쌍방의 링 저항을 가압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서 도통시키는 도전체 (13) 를 나타낸 가동 접점부를 구비한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1 저항체 (11) 에 전압 인가부 (14) 가 도통 접속하는 도통 접속부와 제 2 저항체 (12) 에 전압 인가부 (16) 가 도통 접속하는 도통 접속부 사이에 소정 전압 (Y-Vin-GROUND) 이 인가되어 있다. 이 때,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용 전압 인가부 (15, 17) 는 전압 인가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5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ircuit in the unused state of the variable resistor 1. This circuit schematic diagram is a schematic diagram in the voltage appl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Y-axis direction along the imaginary line L1 shown to Fig.2 (a). The conductor 13 which conducts the outer ring resistance which shows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1st resistor 11, the inner ring resistance which shows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2nd resistor 12, and both ring resistances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ssurized position. Is a circuit structure provided with a movable contact portion, and the voltage applying portion 16 is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12 and the conductive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voltage applying portion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11. A predetermined voltage (Y-Vin-GROUND) is applied between the conducting connection portions. 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ction voltage application parts 15 and 17 in the X-axis direction are 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without applying a voltage.

이 불사용 상태에서는, 도전체 (13) 가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쌍방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이간하여 절연되어 있으므로, 비도통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저항체 (11) 의 Y 축 방향의 일단부가 되는 전압 인가부 (14) 와의 도통 접속부와 제 2 저항체 (12) 의 Y 축 방향의 타단부가 되는 전압 인가부 (16) 의 도통 접속부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불사용 상태에서는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의 쌍방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는 생기지 않는다. In this unused state, the conductor 13 is not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Since the 1st resistance body 11 and the 2nd resistance body 12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it is in a non-conductive state. Therefore, the conduction connection part of the conduction connection part with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4 which becomes the one end part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1st resistance body 11, and the conduction connection part of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6 which becomes the other end part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2nd resistance body 12 is carried out. Even if a voltage is applied therebetween, in the unused state, no current flows to both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so that in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Power consumption does not occur.

도 4(b) 는, 가변 저항기 (1) 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 1 절연성 기판 (32) 의 조작 측면이 가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32) 이 조작 측면의 가압 위치에서 제 2 절연성 기판 (31) 측으로 변형되고, 그 제 1 절연성 기판 (32) 에 형성된 도전체 (13) 가 가압 위치에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접촉한다. FIG.4 (b) has shown the use state of the variable resistor 1, and has shown the state which the operation side surface of the 1st insulating board 32 is pressurized.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is deformed to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side at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side, and the conductor 13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is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t the pressing position. Contact (11, 12).

도 5(b) 는, 가변 저항기 (1) 의 사용 상태로서, 가압 영역이 가압된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회로 모식도이다. 제 1 저항체 (11) 인 외측 링 저항과, 제 2 저항체 (12) 인 내측 링 저항이 가압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서 도전체 (13) 인 가동 접점부를 개재하여 도통하고 있다. 제 1 저항체 (11) 의 전압 인가부 (14)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가압 위치까지의 저항치를 R1, 제 1 저항체 (11) 의 당해 가압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전압 인가부 (14) 까지의 저항치를 R2 로 한다. 또한, 제 2 저항체 (12) 의 가압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전압 인가부 (16) 까지의 저항치를 R3, 제 2 저항체 (12) 의 전압 인가부 (16)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가압 위치까지의 저항치를 R4 로 한다. 도 6 은 도 5(b) 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에 있는 가변 저항기 (1) 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저항체 (11; 외측 링 저항) 가 저항 R1 과 저항 R2 로 이루어지는 제 1 병렬 회로를 형성하고, 제 2 저항체 (12; 내측 링 저항) 가 저항 R3 과 저항 R4 로 이루어지는 제 2 병렬 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제 1 병렬 회로와 제 2 병렬 회로를 직렬 접속한 직렬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전체 (13) 의 전압 취출부 (18) 가 되는 제 1 병렬 회로와 제 2 병렬 회로의 접속점에 출력 전압 (Vout) 이 나타난다. 도 6 에 나타내는 등가 회로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의 값은 인가 전압인 소정 전압 (Y-Vin-GR0UND) 및 저항치 R1, R2, R3, R4 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며, 저항치 R1, R2, R3, R4 는 가압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즉, 원환 형상을 이루는 가압 영역 중 어느 한 장소가 가압되면, 당해 가압 위치에 따른 전압치를 나타내는 출력 전압 (Vout) 이 검출된다. 출력 전압 (Vout) 은 A/D 변환부 (22)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CPU23 로 보내진다. FIG. 5B is a schematic view of the circuit in the pressurized state where the pressurized region is pressurized as the use state of the variable resistor 1. The outer ring resistance, which is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inner ring resistance, which is the second resistor 12, are conducting throug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which is the conductor 1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4 of the first resistor 11 to the pressing posi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R1, and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pressure application position of the first resistor 11 to the voltage application section 14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R2. Shall be. Further,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second resistor 12 to the voltage applying section 16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R3, and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voltage applying section 16 of the second resistor 12 to the pressing posi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Let R4 be. FIG. 6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variable resistor 1 in the pressed state shown in FIG. 5 (b). As shown in Fig. 6, the first resistor 11 (outer ring resistor) forms a first parallel circuit composed of a resistor R1 and a resistor R2, and the second resistor 12 (inner ring resistor) is a resistor R3 and a resistor R4. The 2nd parallel circuit which consists of these is formed, and the series circuit which connected the 1st parallel circuit and the 2nd parallel circuit in series is formed. The output voltage Vout appears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1st parallel circuit and the 2nd parallel circuit which become the voltage extracting part 18 of the conductor 13. In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6, the value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a value determined by the predetermined voltage Y-Vin-GR0UND which is an applied voltage, and resistance values R1, R2, R3, R4, and resistance values R1, R2, R3. , R4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s position. That is, when any place of the pressurization area | region which consists of an annular shape is pressurized, the output voltage Vout which shows th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said pressurization position is detected. The output voltage Vou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22 and sent to the CPU23.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대로 손가락을 조작 영역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시켜 가압 위치를 변화시킴에 수반하여,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도전체 (13) 와의 도통 위치가 변화된다. 즉, 손가락의 슬라이드에 의한 가압 위치의 변화에 따라서, 도 5(b)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부 (13) 가 이동한다. 가동 접점부 (13) 에 의한 도통 위치의 이동에 수반되어 저항치 R1, R2, R3, R4 가 변화하고, 저항치 R1, R2, R3, R4 에 의해 결정되는 출력 전압 (Vout) 이 변화한다. 가압 위치를, 제 1 저항체 (11) 의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4) 로부터 180도 떨어진 제 2 저항체 (12) 의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6) 에 걸쳐 슬라이드시키면, 출력 전압 (Vout) 은 소정 전압 (Y-Vin) 으로부터 접지 전압 (O 볼트) 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As shown in Fig. 4 (c), the conductor 13 of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is accompanied by the slide of the finger in an arc shape along the operation region as it is to change the pressing position. The conduction position with the is changed. That is, the movable contact part 13 shown in FIG. 5 (b) moves with the change of the pressing position by the slide of a finger. With the movement of the conduction position by the movable contact part 13, resistance values R1, R2, R3, R4 change, and the output voltage Vout determined by resistance values R1, R2, R3, R4 changes. The voltage application end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resistor 12 (voltage applying section) 16 which is 180 degrees away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end (voltage application section) 14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resistor 11 in the pressing position. Slide over, the output voltage Vout continuously changes from the predetermined voltage Y-Vin to the ground voltage O volts.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부 (14) 와의 접속점과 제 2 저항체 (12) 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부 (16) 의 접속점을 제 1 저항체 (11) 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하였기 때문에,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을 위한 조작 범위를 가장 길게 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4 in the 1st resistor 11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6 in the 2nd resistor 12 is made into the center part of the 1st resistor 11. As shown in FIG. Since it arrange | positioned in between, the operation range for position detection of a Y-axis direction can be taken longest.

이상의 설명은, 전압 인가부 (14, 16) 를 개재하여 제 1 저항체 (11) 의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4) 와 제 2 저항체 (12) 의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6) 사이에 소정 전압 (Y-Vin-GROUND) 을 인가한 경 우의 작용이다. 이와 같이, 가변 저항기 (1) 의 저항 소자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의 Y 축 방향의 양단부에 도통 접속된 전압 인가부 (14, 16) 사이에 소정 전압 (Y-Vin-GROUND) 을 인가함으로써, 출력 전압 (Vout) 으로부터 가상선 (L1) 을 따른 Y 축 방향의 가압 위치 (Y 좌표) 를 검출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applies the voltage application end (voltage application unit) 14 in the Y axis direction of the first resistor 11 via the voltage application units 14 and 16 to the Y axis direction of the second resistor 12. This is the case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Y-Vin-GROUND) is applied between the ends (voltage application section) 16. In this manner, a predetermined voltage (Y-Vin) is provided between the voltage application portions 14 and 16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esistance element (first resistor; 11, second resistor; 12) of the variable resistor 1 in the Y-axis direction. By applying -GROUND, the pressing position (Y coordinate) in the Y-axis direction along the imaginary line L1 can be detected from the output voltage Vout.

전압 출력부 (21) 는,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을 실시한 후, 위치 검출 방향을 Y 축 방향으로부터 X 축 방향으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제 1 저항체 (11) 의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4) 와 제 2 저항체 (12) 의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6) 사이로의 전압 인가를 정지하고,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용 전압 인가부 (14, 16) 를 전원측 및 접지측으로부터 떼어내고, 전기적으로 절연한 상태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용 전압 인가부 (15, 17) 사이에 소정 전압 (X-Vin-GROUND) 을 인가한다. 전압 인가부 (15, 17) 를 개재하여 제 1 저항체 (11) 의 X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5) 와 제 2 저항체 (12) 의 X 축 방향의 전압 인가 단부 (전압 인가부; 17) 사이에 소정 전압 (X-Vin-GROUND) 이 인가된다. After performing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the voltage output unit 21 switches the position detection direction from the Y-axis direction to the X-axis direction. Therefore,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voltage applying end (voltage applying unit) 14 in the Y axis direction of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voltage applying end (voltage applying unit) 16 in the Y axis direction of the second resistor 12. Is stopped, and the voltage detecting units 14 and 16 for position det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are separated from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side, and controlled 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Next, a predetermined voltage (X-Vin-GROUND) is applied between the position detecting voltage applying units 15 and 17 in the X axis direction. Voltage application end (voltage application unit)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resistor 11 via the voltage application units 15 and 17 (voltage application en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resistor 12 (voltage application A predetermined voltage (X-Vin-GROUND) is applied between the units 17).

이러한 전압 인가 상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 (1) 의 가압 영역 중 어느 한 위치가 가압된 경우, 제 1 절연성 기판 (32) 은 가압 위치에 있어서 제 2 절연성 기판 (31) 측으로 변형하여,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접촉하고,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가 가압 위치에 따른 위치에서 도통한다. 이 결과, X 축 방향의 전압 인가 상태에 있어서도 도 5(b), 도 6 에 나타내는 회로 모식도 및 등가 회로와 동일하게, 제 1 저항체 (11) 의 전압 인가부 (15)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가압 위치까지의 저항치 R1, 제 1 저항체 (11) 의 당해 가압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전압 인가부 (15) 까지의 저항치 R2, 제 2 저항체 (12) 의 가압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전압 인가부 (17) 까지의 저항치 R3, 제 2 저항체 (12) 의 전압 인가부 (17) 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가압 위치까지의 저항치 R4 에 의해 결정되는 출력 전압 (Vout) 이 도전체 (13) 의 전압 취출부 (18) 에 나타난다. CPU 부 (23) 는, A/D 변환부 (22) 를 개재하여 출력 전압 (Vout) 을 받음으로써, 가상선 (L2) 을 따른 X 축 방향의 가압 위치 (X 좌표) 를 검출할 수 있다. In such a voltage application state, when any position of the pressing region of the variable resistor 1 is pressed,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32 deforms to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side at the pressing position, and the conductor ( 13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nd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conduc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As a result, also in the voltage application state of an X-axis direction, it presses clockwise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15 of the 1st resistor 11 similarly to the circuit schematic diagram shown in FIG. 5 (b), FIG. 6 and an equivalent circuit. From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resistance value R1, the first resistor 11 to the voltage applying section 15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resistance value R2, the second resistor 12 to the voltage applying portion 17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output voltage Vout determined by the resistance value R3 of the second resistor 12 and the resistance value R4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portion 17 of the second resistor 12 to the pressed posi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voltage extraction portion 18 of the conductor 13. appear. The CPU unit 23 can detect the pressurized position (X coordinate) in the X axis direction along the imaginary line L2 by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Vout via the A / D conversion unit 22.

본 실시 형태에서는, CPU 부 (23) 로부터 전압 출력부 (21) 에 타이밍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주기로 상기한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상태와 X 축 방향의 전압 인가 상태를 교대로 전환한다. CPU 부 (23) 는 Y 축 방향의 전압 인가 타이밍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을 Y 좌표로서 취득하고, X 축 방향의 전압 인가 타이밍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을 X 좌표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X, Y) 좌표로부터 XY 평면에서의 가압 위치를 특정한다. 원환 형상의 가압 영역을 따라 원호 형상의 궤적이 되는 조작 입력이 행해진 경우, (X, Y) 좌표로부터 원호 형상의 아날로그 조작량 및 조작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timing signal is input from the CPU unit 23 to the voltage output unit 21 to alternately switch the above-described voltage application state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voltage application state in the X-axis direction at predetermined cycles. The CPU unit 23 acquires the output voltage Vout as the Y coordinate at the voltage application timing in the Y axis direction, and obtains the output voltage Vout as the X coordinate at the voltage application timing in the X axis direction. And the press position in XY plane is specified from (X, Y) coordinate. When the operation input which becomes an arc-shaped locus along the annular press area | region is performed, the analog operation amount and operation direction of an arc shape can be detected from (X, Y) coordinate.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변 저항기 (1) 에 있어서 터치 위치를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 소자를, 복수의 저항체로 분할하여 소정폭의 간격을 두어 병설하고, 그 분할된 저항체를 조작시에만 도통시켜 출력 전압이 나타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에서의 소비 전력을 없앨 수 있 다. 따라서, 이러한 가변 저항기 (1) 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를 휴대 단말 기기에 이용하면, 휴대 단말 기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stance element for converting the touch position into the output voltage in the variable resistor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sistor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divided resistors are operated. Since the output voltage is shown so as to be conducted only in this manner, power consumption in the resistance element in the standby state can be eliminated. Therefore, when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using the variable resistor 1 is used f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use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be extended.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저항체 (11) 의 내부 둘레 가장자리에 대하여 제 2 저항체 (12) 를 단락하지 않을 정도까지 근접시킴과 함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대하여 직접 대면하도록 도전체 (13) 를 대향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와 도전체 (13) 가 대향하지 않는 배치에 비교하여 가변 저항기 (1) 를 소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eripheral body 12 is brought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irst resistor 11 to the extent that the second resistor 12 is not shorted, and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re provided. Since the conductors 13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directly, the variable resistor 1 can be miniaturized as compared with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nd the conductors 13 do not face each other.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로 직교한 가상선 (L1), 가상선 (L2) 상에 전압 인가부 (14∼17) 와의 접속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전압 (Vout) 이 그대로 XY 평면 상에서의 (X, Y) 좌표를 나타내게 되고, CPU부 (23) 에서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voltage application parts 14-17 is formed on the virtual line L1 and the virtual line L2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output voltage Vout remains on the XY plane as it is. The (X, Y) coordinates are shown, and the processing in the CPU unit 23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은, 상기 일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제 1 기판이 되는 제 1 절연성 기판 (32) 에 도전체 (13) 를 형성하고 있지만, 제 1 절연성 기판 (32) 에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형성하고, 제 2 절연성 기판 (31) 에 도전체 (13)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가압 상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도전체 (13) 측으로 변위하여 도전체 (13) 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지만, 그 이외의 작용 효과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onductor 13 is formed in the 1st insulating substrate 32 used as a flexible 1st board | substrate, the 1st, 2nd resistor (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forms 11, 12, and forms the conductor 13 in the 2nd insulating substrate 31. FIG. In the case of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essurized state,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re displaced toward the conductor 13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or 13, but the other effects are the above embodiments. Is the same as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직교한 가상선 (L1), 가상선 (L2) 상에 전압 인가부 (14∼17) 와 도통 접속하는 접속점을 형성하고 있지만, 일방의 전압 인가부와의 접속점을 가상선 이외의 장소에 형성한다고 해도 Y 축 방향 및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은 가능하다. 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onnection point which electrically connects with the voltage application parts 14-17 is formed on the virtual line L1 and the virtual line L2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oint with one voltage application part is hypothetical. Even if formed in a place other than a line, position detection in a Y-axis direction and an X-axis direction is possible.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만이라면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용의 전압 인가부 (15, 17) 는 불필요하고, X 축 방향의 위치 검출만이라면 Y 축 방향의 위치 검출용 전압 인가부 (14, 16) 는 불필요하다. If only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is necessary, the voltage applying units 15 and 17 for position det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are unnecessary, and if only the position det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is used, the voltage application units 14 and 16 for position det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 Is unnecessary.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와 도전체 (13) 를 직접 대면시키고 있었지만, 반드시 쌍방을 대면시키지 않아도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가압 위치에서 도통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and the conductor 13 were directly facing,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are not in a pressurized position, even if they are both facing each other. It can be turned on.

도 7 은, 제 1, 제 2 저항체와 도전체가 대면하지 않도록 구성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기판면 상에 원환 형상의 제 1 저항체 (41) 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소정폭 만큼 이간시켜 원환 형상의 제 2 저항체 (42) 를 형성한다. 도 7(b) 에 나타내는 원환 형상의 도전체 (43) 를 제 2 절연성 기판 (31) 의 기판면에 대향 배치하지만, 제 1 저항체 (41) 의 내경과 제 2 저항체 (42) 의 외경의 차이보다, 원환 형상의 도전체 (43) 의 폭이 작아지도록 설정한다. 즉, 도전체 (43) 가 제 1 저항체 (41) 와 제 2 저항체 (4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저항체 (41) 의 내부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제 2 저항체 (42) 를 향하여 연장되는 도전성의 빗형 톱니 (44) 를 형성하고, 제 2 저항체 (42) 의 외부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제 1 저항체 (41) 를 향하여 연장되는 도전성의 빗형 톱니 (45) 를 형성한다. 쌍방의 빗형 톱니 (44, 45) 를 맞물리게 하도록 제 1 저항체 (41), 제 2 저항체 (42) 를 배치한다. 도전체 (43) 는, 서로 맞물린 빗형 톱니 (44, 45) 의 형성 영역과 접리(接離) 가능에 대향 배치되고, 도전체 (43) 의 형성 영역에 대응한 영역이 가압 영역이 된다. 이에 따라, 제 1 저항체 (41) 의 빗형 톱니 (44) 와 제 2 저항체 (42) 의 빗형 톱니 (45) 가 도전체 (43) 를 개재하여 가압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서 도통하고, 당해 도통 상태의 빗형 톱니 (44, 45) 를 개재하여 제 1 저항체 (41) 와 제 2 저항체 (42) 가 도통한다. 제 1 저항체 (41) 는 도통 상태의 빗형 톱니 (44) 와의 접속부가, 도 5(b)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부(13) 와의 도통 위치가 되고, 제 2 저항체 (42) 는 도통 상태의 빗형 톱니 (45) 와의 접속부가, 도 5(b)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부 (13) 와의 도통 위치가 된다. 제 1, 제 2 저항체 (41, 42) 의 도통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 (Vout) 은 도전체 (43) 의 전압 취출부 (18) 로부터 취출된다.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ed example comprised so that a 1st, 2nd resistor and a conductor may not face. As shown in Fig. 7A, the annular first resistor 41 is formed on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inside the annular second resistor ( 42). Although the annular conductor 43 shown in FIG. 7B is disposed opposite to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31,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esistor 4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resistor 42 is shown. Furthermore, the width | variety of the toroidal conductor 43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small. That is, the conductor 43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resistor 41 and the second resistor 42. As shown in FIG. 7 (a), the conductive comb teeth 44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41 toward the second resistor 42 are formed to form the second resistor 42. A conductive comb tooth 45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toward the first resistor 41. The 1st resistor 41 and the 2nd resistor 42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both comb teeth 44 and 45 may be engaged. The conductor 43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ormation region of the comb teeth 44 and 45 meshed with each other,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egion of the conductor 43 becomes a pressing region. As a result, the comb teeth 44 of the first resistor 41 and the comb teeth 45 of the second resistor 42 conduct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via the conductor 43, and thus the conduction state. The first resistor 41 and the second resistor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via the comb teeth 44 and 45. The first resistor 41 has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mb tooth 44 in a conductive state, and is in a conductive position with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3 shown in FIG. 5B, and the second resistor 42 has a comb tooth in a conductive state. The connection part with 45 becomes a conduction position with the movable contact part 13 shown to FIG. 5 (b). The output voltage Vout according to the conduc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41 and 42 is taken out from the voltage extraction section 18 of the conductor 43.

이와 같이, 제 1, 제 2 저항체 (41, 42) 와 도전체 (43) 와 직접 대향하지 않는 배치로서, 가압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 (Vout) 을 얻을 수 있고, 쌍방을 대향 배치할 수 없거나 또는 대향 배치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제약이 있는 경우 라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way, as the arrangement which does not directly face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41 and 42 and the conductor 43, the output voltage Vout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can be obtained, and both cannot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r Even if there is a constraint that it is preferable not to oppose, it is possible to cope.

또, 도전체 (13) 의 형상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원환 형상이더라도 환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가압 영역이 가압된 경우,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가압 위치에 따른 위치를 도통시킬 수 있으면, 도전체 (13) 의 형상은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도 8(a), (b)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도 2(a) 와 동일 형상인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에 대하여, 환상이 아니라 원형의 도전체 (51) 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의 형성 영역에 대응한 영역이 가압 영역이 된다. 도전체 (51) 를 원형 모양으로 한 경우, 도전체 (51) 의 형성 영역 중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와 대향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지만, 조작 측면 상에 탑재하는 상기 인쇄 시트 (표시 시트) 에 가압 영역을 인쇄함으로써, 조작자에게 가압 영역을 인식시킬 수 있다. Moreover, the shape of the conductor 13 does not need to be annular even if the 1st, 2nd resistors 11 and 12 are annular shapes. In the case where the pressing region is pressed, the shape of the conductor 13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can be conducted. In the modified example shown to FIG.8 (a), (b), the circular conductor 51 which is not annular but circular to the 1st resistor 11 and the 2nd resistor 12 which are the same shape as FIG.2 (a). Is placed. In this case, the area |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area | region of the 1st resistor 11 and the 2nd resistor 12 turns into a press area.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or 5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region including the first resistor 11 and the second resistor 12 that do not face each other among the formation regions of the conductor 51 is mounted on the operation side. By printing the pressing area on the printing sheet (display shee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pressing area.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무단(無端) 형상의 저항체의 일례로서 원환 형상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원환 형상 이외에도 무단 형상의 환상체이면 그 외의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annular first and second resistors 11 and 12 are used as an example of an endless resistor, the present invention has other shapes as long as it is an endless annular body in addition to the annular shape. It shall also include.

도 9(a), (b) 는 제 1 저항체, 제 2 저항체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변형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a), (b) 에 있어서는, 전압 인가부나 전압 취출부를 생략하고 있다. 제 2 기판이 되는 제 2 절연성 기판 (61) 의 기판면 상에 무단 띠 형상으로 전체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 1 저항체 (62) 가 형성되고, 그 제 1 저항체 (62) 의 내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폭만큼 이간하여 무단 띠 형상으로 전체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 2 저항체 (6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요성을 가지는 제 1 기판이 되는 제 1 절연성 기판 (64) 의 기판면 상에 제 1 저항체 (62) 및 제 2 저항체 (63) 의 형성 영역에 대응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도전체 (65)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저항체 (62, 63) 와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도전체 (65) 의 형성 영역 이 가압 영역이 된다. 9 (a) and 9 (b) are diagrams showing modifications in which the shapes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are modified into a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in FIG.9 (a), (b), the voltage application part and the voltage extraction part are abbreviate | omitted. On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substrate 61 serving as the second substrate, a first resistor 62 is formed in an endless band shape and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predetermined resistance is defin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irst resistor 62. A second resistor 63 is formed, which is spaced apart by the width and has a rectangular shape in the form of an endless band. Moreover, the conductor 65 which forms the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area of the 1st resistor 62 and the 2nd resistor 63 on the board | substrate surface of the 1st insulating substrate 64 used as a flexible 1st board | substrate. ). Also in this case, the formation area | region of the conductor 65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foldably so that the 1st and 2nd resistors 62 and 63 become a pressurization area | region is used.

또, 제 2 절연성 기판 (31) 과 제 1 절연성 기판 (32) 은 반드시 분리된 개별적인 기판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1 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기판을 2 개 접은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가압되는 측의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하측의 기판을 강판 등의 단단한 지지판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2nd insulating board 31 and the 1st insulating board 32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separate board | substrate separate, For example, you may make it folded two flexible boards which consist of one polyester film etc., for examp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supports the lower board | substrate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board | substrate of the side to be pressed by hard support plates, such as a steel plate.

본 발명은, 아날로그 정보를 터치식으로 입력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formatio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nalog information by touch.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의 낭비를 없앨 수 있고, 휴대 단말 기기 등에 이용함으로써 그 사용 가능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of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can be eliminated, and the usable time can be extended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r the like.

Claims (7)

일면이 가압 조작되는 측의 조작 측면이 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에 대하여 일면이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환상을 이루는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1 저항체와 동일 기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항체의 환내에 그 제 1 저항체로부터 절연된 상태에서 배치된 환상을 이루는 제 2 저항체와,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으로의 가압 조작에 의해, 가압 위치에 따른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2 저항체의 대응 위치를 도통시키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체의 일부는 제 1 전압 인가부에, 상기 제 2 저항체의 일부는 제 2 전압 인가부에 각각 도통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와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도전체는 출력 전압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해 도전성 패턴의 전압취출부를 도통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A first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wherein one surface becomes an operation side of a side to be pressed and operated, a second substrate with one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annular first annular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annular second state formed on the same substrate surface as the first resistor and disposed in a ring of the first resistor insulated from the first resistor. The resistor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one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which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by pressing to the operation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 conductor for conducting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resistor; a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voltage applying portion; a portion of the second re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voltage applying portion, respectively. First voltage applying unit and the second at the same time that the voltage application configured to be able to apply a voltage between parts of the conductor is a variable resis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connection voltage take-out portion of the conductive pattern in order to take out the output voltage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저항체는 당해 제 1 저항체를 2 분하는 제 1 가상선과 교차하는 교차부에서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2 저항체는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에 대해 상기 제 1 저항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제 1 가상선과의 교차부 또는 그 근방에서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The first resistor is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voltage applying section at an intersection crossing the first imaginary line that divides the first resistor into two, and the second resistor is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first voltage applying section. And a second conductiv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voltage applying portion at or near an intersection with the first virtual line facing each other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therebetwee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저항체는, 당해 제 1 저항체를 2 분하고, 상기 제 1 가상선과 교차하는 제 2 가상선의 교차부에서 제 3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2 저항체는,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3 전압 인가부의 접속부에 대해 상기 제 1 저항체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제 2 가상선과의 교차부 또는 그 근방에서 제 4 전압 인가부에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3 전압 인가부와 상기 제 4 전압 인가부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The first resistor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resis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hird voltage applying unit at an intersection of a second virtual line intersecting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second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 conductive portion connected to the fourth voltage applying portion at or near the intersection with the second virtual line fac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resistor, wit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voltage apply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variable resistor configured to be capable of applying a voltage between the fourth voltage apply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가상선과 상기 제 2 가상선이 직교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And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second virtual line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체와, 상기 도전체가 접리(接離)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A variable resistor,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resistors and said conductor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so as to be foldabl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도전체는 상기 환상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저항체 중 어느 폭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And the conductor is wider than any one of the annular first and second resistor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제 1, 제 2 저항체는 동일한 인쇄 공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are formed by the same printing process.
KR1020060073632A 2005-08-09 2006-08-04 A variable resistor KR1007986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632A KR100798670B1 (en) 2005-08-09 2006-08-04 A variable re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0388 2005-08-09
KR1020060073632A KR100798670B1 (en) 2005-08-09 2006-08-04 A variable resis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684A KR20070018684A (en) 2007-02-14
KR100798670B1 true KR100798670B1 (en) 2008-01-28

Family

ID=4140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632A KR100798670B1 (en) 2005-08-09 2006-08-04 A variable resis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67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881A (en) * 1976-02-06 1977-06-28 Bourns, Inc. Resistance element with improved linearit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03002A (en) * 1987-03-28 1990-02-20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Displacement or position transducer
JPH0653015A (en) * 1992-07-28 1994-02-25 Toto Ltd One-touch type analog information input equipment and variable resistor used in the equipment
KR19980077994A (en) * 1997-04-24 1998-11-16 노관호 Pressure sensitive resistive element and composition thereof
KR20070054126A (en) * 2005-11-22 2007-05-28 코비디엔 아게 Electronic thermometer with progress indic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881A (en) * 1976-02-06 1977-06-28 Bourns, Inc. Resistance element with improved linearit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03002A (en) * 1987-03-28 1990-02-20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Displacement or position transducer
JPH0653015A (en) * 1992-07-28 1994-02-25 Toto Ltd One-touch type analog information input equipment and variable resistor used in the equipment
KR19980077994A (en) * 1997-04-24 1998-11-16 노관호 Pressure sensitive resistive element and composition thereof
KR20070054126A (en) * 2005-11-22 2007-05-28 코비디엔 아게 Electronic thermometer with progress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684A (en)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561B2 (en) Resistance type sensor
JP4503424B2 (en) Multistage switch device
DE60314840T2 (en) DOUBLE-SIDED KEYBOAR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US8184106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US7295189B2 (en) Printable electromechanical input means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ch input means
US6894507B2 (en) Capacitance type sensor
US20140015633A1 (en) Pressure-sensitive switch
CN104350566A (en) Input device
KR102297892B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detecting pressed position on touch panel
JPH07160401A (en) Coordinate input device
KR20090120635A (en) Switch sheet of membrane
KR100798670B1 (en) A variable resistor
JP4334816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4392641B2 (en) Force detection device
JP4594229B2 (en) Switch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JP2007048865A (en) Variable resistor
JP2015232490A (en) Pressure sensitive sensor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KR100653864B1 (en) Keyboard formed thin fil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80021815A (en) Variable resistor
JP2011119043A (en) Contact rubber
JP2007059469A (en) Variable resistor
JP2023098377A (en) Pressure sensitive sensor
JPH10149737A (en) Membrane switch
JP2007173167A (en) Switching device with electrostatic detecting function
US8339238B2 (en) Resistive sheet, pressure-sensitive switch, and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