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139B1 -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139B1
KR100798139B1 KR1020010025147A KR20010025147A KR100798139B1 KR 100798139 B1 KR100798139 B1 KR 100798139B1 KR 1020010025147 A KR1020010025147 A KR 1020010025147A KR 20010025147 A KR20010025147 A KR 20010025147A KR 100798139 B1 KR100798139 B1 KR 10079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wireless terminal
display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573A (ko
Inventor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2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1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호통화가 걸려올 시에 발신번호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 여부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주변사람들에게 개인의 정보의 누출을 방지하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호통화가 걸려올 시에 전화번호, 아이콘, 캐릭터, 벨소리 등으로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무선단말기의 화면과 벨소리로 구별하여 알려주므로 발신번호의 노출을 원하지 않는 경우는 개인 정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신되는 통화를 여러 이유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발신자의 발신번호정보가 통화목록에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수신하지 못한 통화를 다시 연결할 수 있어서 중요한 통화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장난전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발신번호 표시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Method of telegram phone number display control}
도 1은 무선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개략도.
도 2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신번호 표시 설정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신번호 표시 설정후 호통화시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무선단말기 11 : WAP 서버
12 : 콘텐츠 제공자 20 : 키패드
21 : 송수신부 22 : 제어부
23 : 메모리 24 : 화면
25 : 전원부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호통화가 걸려올 시에 발신번호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 여부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벨소리, 아이콘이나 캐릭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발신번호 표시로 인하여 노출되는 개인 정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신하지 못한 통화를 통화목록에서 발신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서 중요한 통화를 놓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음성이나 문자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다수가 무선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는 다수의 무선단말기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음성이나 문자의 송수신 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무선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여러 가지 서비스 중에서 도 1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무선단말기(10),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11),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12)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무선단말기(10)를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무선네트웍을 거쳐서 WAP 서버(11)로 접속하게 되며 무선인터넷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여 원하는 콘텐츠 제공자(12)에게 접속을 하여 무선인터넷을 실시하는 것이다.
WAP은 이동전화나,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등 소형 무선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일반 PC용 HTML을 호출기,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 휴대전화 등 이동단말기용 무선마크업 언어(wireless mark up language)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무선단말기(10)를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에 접속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면 WAP 서버(11)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고 인증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인증신호를 전송하면 무선인터넷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다음 단계로 원하는 사이트를 입력하여 콘텐츠 제공자(12)에게 접속하며 사용자는 제공되는 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수신을 원하는 정보를 무선단말기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요청하면 콘텐츠 제공자(12)는 수신된 신호를 확인하여 요청된 정보를 실행시켜 WAP 서버(11)로 송신하며 HTML 등의 포맷으로 만들어진 요청 정보를 수신한 WAP 서버(11)는 요청 정보를 무선단말기(10)에서 사용하는 무선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기(10)로 송신하며, 사용자는 무선단말기(10)의 화면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여러 가지 서비스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그룹 통화 서비스는 서비스 사용자가 미리 다수의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등록한 후, 한번의 통화로 동시에 그룹으로 등록된 다수에게 호신호를 발신하여 응답하는 사람들과 동시에 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로 설정된 그룹단위로 동시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동시전송이 가능하다. 다른 서비스로 두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처음에 주어지는 전화번호 이외에 또하나의 전화번호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사정에 따라 다른 전화번호로 바꿔서 무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다.
무선정보제공서비스로 무선단말기로 음성통화는 물론 휴대용 PC를 간단히 연결하여 데이터나 팩스를 무선영역에서도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문자정보 수신서비스는 뉴스속보, 빅 이벤트 등 여러 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플립(Flip) 부분을 카드 판독기에 대는 방법으로 버스 및 지하철을 사용 후 요금을 통화료와 함께 지불하는 서비스도 있으며, 버스, 지하철 노선 검색,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및 소요시간 등 첨단 맞춤형 지하철, 버스 대중교통 정보 서비스 등도 제공한다.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다가 분실하거나 휴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다른 휴대폰 등으로 자신의 무선단말기에 발신금지, 착신전환, 음성사서함전환 등의 부가서비스 등록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있으며,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하여 무선단말기를 보유한 직원이나 차량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호출하거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직원이나 차량의 이동을 관리 통제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한편,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수신되는 통화에 대하여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에 개인을 위한 무선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되는 통화에 대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모두 표시되므로 실수나 여러 이유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발신자의 정보나 사생활이 누출될 우려가 있으며, 누출된 정보로 인하여 무선단말기 사용자나 발신자에게 불이익을 가져올 수도 있어서 개선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무선단말기를 사용하여 호통화를 할 때 발신번호표시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모든 통화에 대하여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설정을 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단말기의 메뉴에서 발신번호 표시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 또는 미표시 여부를 등록하거나, 전화번호부에 발신번호 표시 또는 미표시 여부를 설정하고, 설정에 따라 벨소리, 아이콘 등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호통화의 수신시에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발신번호 표시 설정 메뉴에서 발신번호 표시 및 발신번호 미표시를 입력하는 단계와, 발신번호 표시로 설정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는 벨소리와 아이콘, 캐릭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발신번호 미표시로 설정 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는 벨소리와 아이콘, 캐릭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발신번호 표시 및 발신번호 미표시를 입력하는 것은, 성명과,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신상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발신번호 표시 설정은 무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발신번호 표시 및 발신번호 미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발신번호 표시를 설정후에 호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무선단말기로 호통화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송수신부는 호통화 신호로부터 발신자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발신자의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메모리에 발신자의 정보가 저장되었을 경우 발신번호 표시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메모리에 발신번호 표시로 설정되었을 경우 제어부는 발신자의 정보를 무선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제어부는 동시에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호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에 발신자의 정보가 발신번호 미표시로 설정되었을 경우,제어부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에 발신자의 정보를 미표시하는 단계와, 제어부는 동시에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호통화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메모리에 발신자의 정보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는 발신자의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제어부는 동시에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호통화를 이루는 것을 더 포함하며, 발신자의 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 이름과 발신자가 등록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발신번호표시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경우 동작하는 무선단말기의 부분을 나타내는 블럭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키패드(20), 송수신부(21), 제어부(22), 메모리(23), 화면(24), 전원부(25)로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호통화 신호가 수신되면 송수신부(21)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2)로 송신하며, 제어부(22)는 수신된 호신호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23)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등록된 전화번호 중에서 전화번호 표시여부에 따라서 미표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으며, 표시선택을 하였거나 설정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신자의 무선단말기 화면에 발신자의 성명과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며, 동시에 무선단말기의 벨신호와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실행시키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단말기 메뉴 중에서 발신자 번호표시여부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호를 수신시에 발신자의 전화번호 표시를 원하는 경우 발신번호표시를 선택하고, 벨소리와 아이콘이나 캐릭터를 발신번호표시에만 해당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발신번호 표시를 원하지 않는 경우 발신번호 미표시를 선택하며, 벨소리와 아이콘이나 캐릭터를 발신번호 미표시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이나 캐릭터 등도 발신번호 표시 때와 미표시 때에 아이콘이나 캐릭터 등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벨소리를 진동으로 설정하였을 경우에 호신호 수신시에 발신자를 식별하기 쉽도록 사용자가 무선단말기로 통화 전에 알려주는 것이다.
제어부(22)에서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메모리(23)에 저장된 발신자의 전화번 호가 없을 경우 수신된 호신호로부터 추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만을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설정된 벨신호와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로 발신자의 번호표시 여부 설정 서비스의 동작 순서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표시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무선단말기에 제공되는 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발신번호표시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발신번호 표시를 설정을 할 수 있고, 발신번호 미표시를 원하는 경우 키패드(20)를 사용하여 발신번호 미표시 설정을 발신자의 성명, 전화번호와 간단한 신상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전화번호로 인하여 설정이 번거로울 때에는, 서브 메뉴에서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발신번호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를 선택할 수 있다(스텝 S20, S30, S40, S50).
또한 메뉴에서 발신자의 발신번호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에 따라 벨소리를 각각 설정하여 수신시에 사용자가 발신번호 표시 설정과 미표시의 설정이 벨소리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며, 발신자의 발신번호 미표시와 발신번호 표시의 설정에 따라 아이콘이나 캐릭터를 원하는 모양으로 설정하여 호통화를 수신시에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벨소리 그리고 아이콘과 캐릭터를 각각 설정하여 사용자가 수신시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스텝 S60, S70).
발신번호 미표시 설정 후에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걸려오는 호통화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통화목록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으로, 통화목록에는 잠금장치를 만들어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개인이 사용하는 무선단말기를 사용자가 모르게 발신자의 정보를 인출하려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여러 이유로 인하여 중요한 호통화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사용자가 나중에라도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여 호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신번호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에서 사용되는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는 무선데이터 통신으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접속하여 원하는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에 발신번호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를 설정 후 호통화가 걸려올 시에 발신번호 표시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자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호통화 신호를 전송하면 송수신부(21)는 수신된 호통화 신호로부터 발신자의 발신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22)로 송신하며, 제어부(22)에서는 수신된 발신자의 발신정보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을 실시한다(스텝 S80, S81, S82).
메모리(23)를 검색하여 수신된 발신자의 정보가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는 발신정보를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동시에 설정된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켜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는 무선단말기로 호통화를 하는 것이다(스텝 S83, S84, S85, S86).
한편, 메모리(23)에 발신자의 정보가 저장되어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발신자의 정보가 발신번호 표시로 설정되었는지 발신번호 미표시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다(스텝 S83, S87, S88).
메모리(23)에 발신자의 정보가 발신번호 표시로 설정되었으면, 제어부(22)는 발신자의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화면(24)에 표시하며, 동시에 설정된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는 무선단말기로 발신자와 호통화를 이루는 것이다(스텝 S89, S90, S91).
한편, 메모리(23)에 발신자의 정보가 발신번호 미표시로 설정되었으면, 제어부(22)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화면(24)에 수신된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으며, 동시에 설정된 벨소리와 아이콘, 캐릭터를 실행시키며, 사용자는 무선단말기로 호통화를 실행한다(스텝 S91, S92, S93)
발신자의 정보는 발신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성명,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신상정보를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를 사용시 수신되는 호통화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에 발신번호의 표시와 발신번호 미표시를 설정 메뉴에서 등록할 수 있으며, 벨소리와 아이콘, 캐릭터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신자를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발신번호 표시의 설정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으므로 수신되는 모든 호통화의 발신번호를 표시하여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무선단말기 통화자의 개인 정보 누출을 막을 수 있어서 정보의 누출로 인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이유로 수신하지 못한 호통화의 경우는 통화목록에 발신 번호를 확인 할 수 있어서 중요한 전화를 놓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장난전화로 인한 무선단말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요청하였을 경우에 사용자가 발신번호의 표시를 원하는 것과 발신번호의 미표시를 원하는 것을 설정하고,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 등도 설정할 수 있어서 호통화가 걸려올 시에 전화번호, 아이콘, 캐릭터, 벨소리 등으로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어서 개인 정보의 누출을 방지하며, 수신하지 못한 호통화의 경우 통화목록에 기록이 저장되므로 중요 전화를 놓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장난전화로 인하여 피해를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용자가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번호 표시 설정 메뉴에서 발신번호 표시 및 발신번호 미표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번호 표시로 설정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는 벨소리와 아이콘,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번호 미표시로 설정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는 벨소리와 아이콘,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번호 표시 설정은 상기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발신번호 표시 및 발신번호 미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 표시 및 발신번호 미표시를 입력하는 것은,
    성명과,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신상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3. 삭제
  4. 발신번호 표시를 설정후에 호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호통화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송수신부는 상기 호통화 신호로부터 발신자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상기 메모리에 상기 발신자의 정보가 없을 경우, 제어부는 발신자의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메모리에 발신자의 정보가 저장되었을 경우, 발신번호 표시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발신번호 표시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발신자의 정보를 무선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발신자의 정보가 발신번호 미표시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에 상기 발신자의 정보를 미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발신번호 표시 및 미표시와 동시에 벨소리, 아이콘,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호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정보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이름과 상기 발신자가 등록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KR1020010025147A 2001-05-09 2001-05-09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KR10079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47A KR100798139B1 (ko) 2001-05-09 2001-05-09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47A KR100798139B1 (ko) 2001-05-09 2001-05-09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573A KR20020085573A (ko) 2002-11-16
KR100798139B1 true KR100798139B1 (ko) 2008-01-28

Family

ID=2770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147A KR100798139B1 (ko) 2001-05-09 2001-05-09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143B2 (en) 2010-12-06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252B1 (ko) * 2003-11-28 2006-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상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20050055521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발신자정보와 일정정보 표시방법
KR100688116B1 (ko) * 2004-10-06 2007-02-28 엔에이치엔(주)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142A (ja) * 1998-02-24 1999-11-09 Sharp Corp 通信装置
JPH11355425A (ja) * 1998-06-12 1999-12-24 Sony Corp 電話機
KR20000037072A (ko) * 2000-04-03 2000-07-05 구성진 전화기의 착신제어방법
KR20020017205A (ko) * 2000-08-29 2002-03-07 최충열 착신화면을 이용한 발신자 식별 서비스 방법
KR20020043661A (ko) * 2000-12-02 2002-06-12 조정남 발신자 정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142A (ja) * 1998-02-24 1999-11-09 Sharp Corp 通信装置
JPH11355425A (ja) * 1998-06-12 1999-12-24 Sony Corp 電話機
KR20000037072A (ko) * 2000-04-03 2000-07-05 구성진 전화기의 착신제어방법
KR20020017205A (ko) * 2000-08-29 2002-03-07 최충열 착신화면을 이용한 발신자 식별 서비스 방법
KR20020043661A (ko) * 2000-12-02 2002-06-12 조정남 발신자 정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143B2 (en) 2010-12-06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9986429B2 (en) 2010-12-06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11558738B2 (en) 2010-12-06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573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8656B2 (en) Multi-mode terminal device
US7436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lephone number, and computer product
US20010055038A1 (en) Method for changing menu icon and editing menu configuration in a mobile telephone
CN101730999B (zh) 用于在通信设备之间共享公共位置相关信息的系统、方法及设备
JP2004112126A (ja) 携帯電話装置
JP200801708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2007251332A (ja) 移動体通信端末、着信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98139B1 (ko) 무선단말기의 발신번호 표시 제어 방법
KR100829156B1 (ko) 무선단말기로 수신되는 호통화를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200700562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정보 자동변경 방법
KR100402414B1 (ko) 캐릭터정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0570A (ko) 발신자 정보 입력 및 표시 단말기와, 그 단말기에서발신자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웹기반 발신자 정보등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899361B1 (ja) 携帯通信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る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03829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상태 표시방법
KR100851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처리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16640B1 (ko)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320541B2 (en) Transfer of call information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687024B1 (ko) 수신자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5812A (ko) 멀티 cnip
KR101063530B1 (ko) 폰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6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대 가입자 상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