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120B1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120B1
KR100797120B1 KR1020060118615A KR20060118615A KR100797120B1 KR 100797120 B1 KR100797120 B1 KR 100797120B1 KR 1020060118615 A KR1020060118615 A KR 1020060118615A KR 20060118615 A KR20060118615 A KR 20060118615A KR 100797120 B1 KR100797120 B1 KR 10079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video stream
user data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1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 data transceiv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a video call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transmitting a video stream by attaching a user's video stream data when a video call is conducted, thus limited resources of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fficiently used, consequently utility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User data is selected(S401,S403). A video stream for a video call is obtained through a camera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 surplus space of preset data size is generated in the video stream(S405). The user data is attached to the surplus space(S407). Control data including an indicator having the attached user data information is generated(S409). The video stream and the control data are multiplexed and transmitted(S411-S415).

Description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통화 중에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for a video call during a general video cal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기능 블록별로 나타낸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controller for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functional block;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5A to 5D are screen example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ttaching user data of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6A to 6B are screen examples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ta rece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8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data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통화를 위하여 송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림에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a video call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ding data to a video stream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a video call.

화상 통화 서비스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을 보면서 통화하는 서비스로서, 교환기를 이용한 회선교환 방식과 올-아이피(All-IP)망을 이용한 패킷 교환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통화 서비스는 ITU(International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정의하는 국제 표준인 H.323 또는 H.324M 프로토콜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현해야 한다. H.323은 패킷 데이터망인 IP(Internet Protocol)망에서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프로토콜이고, H.324는 공중망을 기준으로 개발된 시스템 프로토콜이며, H.324M(Mobile)은 H.324를 이동통신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The video call service is a service of looking at the other party through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circuit switching method using a switch and a packet switching method using an all-IP network. Such video call service should implement H.323 or H.324M protocol, an international standard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323 is a system protocol that provides video telephony service i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which is a packet data network, H.324 is a system protocol developed based on public network, and H.324M (Mobile) is H.324. Has been improved for mobile communication.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통화 중에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during a general video call.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통화 시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은 두개의 영상 표시 영역(110, 120)으로 구분되어 지며, 각 영상 표시 영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신 또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부가 획득한 영상을 표시 한다. 일반적으로 큰 영상 표시 영역(110)에 상대방 카메라부가 획득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화상 대화 시 테두리 부분(115)의 영상은 전달하지 않아도 화상 통화를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러한 영역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As shown,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during a video call is divided into two image display regions 110 and 120, and each image display region is a camera of a mobile terminal of one's or the other's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The additional acquired image is displayed. In general, an image acquired by the counterpart camera unit is displayed on the large image display area 110. In such a video conversation, a video call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difficulty even if the image of the edge portion 115 is not transmitted.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limited resources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 of this area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 중에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무선 통신의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er data to more efficiently use the limited resources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transmitting data during a video ca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통화를 위한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기 설정된 데이터 크기의 잉여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잉여 공간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는 과정과, 상기 첨부한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갖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컨트롤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video call mobile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selecting user data, acquiring a video stream for the video call, Generating a surplus space having a preset data size, attaching the user data to the surplus space, generating control data including an indicator having the attached user data information, the video stream and control And multiplexing the data.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기 설정된 잉여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프레임의 기 설정된 테두리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enerating of the predetermined surplus space in the video stream may include deleting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edge region of each frame of the video stream.

상기 인디케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의 상기 잉여 영역의 크기, 사용자 데이터 의 종류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첨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dicator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redundant area of the video stream, the type of user data, and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화상 통화를 위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컨트롤 데이터의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잉여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었으면,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eiving data in a video call mobile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bit stream for the video call, demultiplexing the bit stream, and controlling a video stream and controlling the video stream. Extracting data, determining whether user data is attached to the redundant area of the video stream with reference to the indicator of the control data, and if the user data is attach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ecoding the video and audio stream And extracting the user data.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되,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테두리의 임의 영역을 미리 저장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video stream on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an arbitrary region of an edge of the video stream using a pre-stored image.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 맞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And outputting audio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data to perform a video call.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지 않았으면,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 맞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user data is not attached, decoding the video and audio data, displaying the video data on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ting audio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data, perform a video call. The process further includes.

상기 인디케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의 기 설정된 잉여 공간의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첨부 위치에 대한 정보 를 포함한다. The indicator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ze of a predetermined surplus space of the video stream, the type of user data,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 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appropriate to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 water and vari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 IMT. Applicable to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WTDMA) terminal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s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s, and applications thereof. will be.

먼저, 상기와 같은 종류의 휴대 단말기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기능 블록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First, a portable terminal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 unit for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functional block to b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210), 오디오처리부(220), 입력부(230), 표시부(240), 카메라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 processor 220, an input unit 230, a display unit 240, a camera unit 250, a storage unit 260, And a controller 270.

무선통신부(210)는 화상 통화를 위한 무선 송수신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무선통신부(210)는 송신되는 화상 통화용 비트 스트림(bit stream)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화상 통화용 비트 스트림을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in charge of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for a video call. For this func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performs a low frequency amplification of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video call bit stream, and a low noise amplification of the received video call bit stream. And it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eceiver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down.

오디오처리부(220)는 제어부(27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컨버터(converter)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오디오처리부(220)는 오디오 스트림을 제어부(27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MIC) 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음향 등을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한다. The audio processor 220 plays a function of playing an audio stream output from the controller 270 or transmitting an analog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270. This is done using a converter. In detail, the audio processor 220 converts the audio stream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and outputs the audio stream. That is, the digital audio stream is converted into an analog audio stream and output. In addition, the voice /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is converted into a digital audio stream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70.

입력부(2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3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The input uni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 shortcut key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230 transmits a key signal input in relation to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ontroller 270.

표시부(240)는 영상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제어부(270)로 부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동영상 파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액정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240)는 입력부(2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a video stream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n a screen, or displays a video stream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270 on a screen. The display unit 240 visually provides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data input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4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memory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a moving image fil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f the LC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24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230.

표시부(240)는 영상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제어부(270)로 부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동영상 파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액정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240)는 입력부(2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a video stream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n a screen, or displays a video stream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270 on a screen. The display unit 240 visually provides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data input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4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memory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a moving image fil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f the LC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24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230.

카메라부(250)는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인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부(150)는 카메라(미도시), 신호처리장치(미도시) 및 영상처리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카메라는 비디오 스트림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스트림을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신호처리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24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신호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코덱(CODEC)을 구비하여 변환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코덱은 H.261 또는 H.263 방식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함이 바람직하다. The camera unit 250 is for providing a camera function which i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amera unit 150 includes a camera (not shown), a signal processing device (not shown),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not shown). The camera captures a video stream and ha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is case, the camera sensor is preferably a CCD sensor.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nverts the analog video stream output from the camera into a digital video stream. 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 video stream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the received video data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2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and also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video data. In particular,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the video codec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code the digital video data converted therein and transmit the encoded digital video data to the controller 270. Here, the video codec preferably encodes video data according to the H.261 or H.263 method.

저장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6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콘텐츠, 예컨대, 정지영상, 동영상, 음악 및 음원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 이미지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260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and data according to the fun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that temporarily store data generated while an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The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stor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portable terminal, other option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a camera function, a sound playback function, an image or video playback function, and the like. When activating each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each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and can store various contents such as audio data such as still images, moving images, music, and sound sources. In particular, it stores a substitut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7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70)는 오디오처리부(220), 입력부(230), 저장부(260), 카메라부(250) 및 표시부(24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signal flow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audio processor 220, the input unit 230, the storage unit 260, the camera unit 250, and the display unit 240.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 비디오 코덱(CODEC)(272), 오디오 코덱(273), 컨트롤 신호 처리부(274), 먹스/디먹스(MUX/DEMUX, multiplexer/demultiplexer)(275) 및 모뎀(MODEM)(276)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270 includes a user data processor 271, a video codec 272, an audio codec 273, a control signal processor 274, a mux / demux, and a multiplexer. / demultiplexer) 275 and a modem (MODEM) 276.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는 발신 시 비디오 스트림에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고, 수신 시 비디오 스트림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는 비디오 스트림 및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디오 스트림의 일부에 잉여 영역을 마련한다. 그리고 잉여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여 비디오 코덱(272)으로 출력한다. 잉여 영역은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테두리 영역의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잉여 영역은 각 프레임을 리사이징(resizing),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는 컨트롤 신호 처리부(274)가 설정한 비디오 스트림의 잉여 영역의 데이터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첨부 위치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에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는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에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어 있을 경우 컨트롤 신호 처리부(274)로부터 인디케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각 따로 출력한다. The user data processor 271 attaches the user data to the video stream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extracts the user data from the video stream at the time of reception. In detail, the user data processor 271 receives the video stream and the user data to provide a surplus area in a portion of the video stream. The user data is attached to the surplus area and output to the video codec 272. The excess area can be obtained by deleting data of the border area of each frame constituting the video stream. In addition, the surplus region may be obtained by resizing and down-scaling each frame. At this time, the user data processor 271 attaches the user data to the video stream according to the data size of the surplus region of the video stream set by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274, the type of the user data,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do. In addition, when user data is attached to the received video stream, the user data processor 271 receives an indicator from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274, and accordingly extracts user data from the video stream and outputs the user data separately.

비디오 코덱(CODEC)(272)은 비디오 스트림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디오 코덱(272)은 입력받은 비디오 스트림을 인코딩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에 의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된 비디오 스트림도 같은 방법으로 인코딩한다. 그리고 수신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은 H.261, H.263 및 MPEG-4를 사용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Video codec 272 performs encoding and decoding of the video stream. Specifically, the video codec 272 encodes the received video stream. The user data processor 271 also encodes the video stream to which the user data is attached in the same manner. The received encoded video data is decoded and output. The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video data is preferably made using H.261, H.263 and MPEG-4.

여기에서, H.261은 영상전화 및 영상 회의용 동화상 인코딩/디코딩 방식의 규격이며, H.263 및 MPEG-4는 H.261에서 보다 개선된 영상 인코딩/디코딩 규격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비디오 코덱은 제어부(270)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270)이외에도 카메라부(250)가 비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부(250)를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비디오 코덱(272)을 통해 인코딩하기 위함이다. Here, H.261 is a standard for video encoding / decoding for video telephony and video conferencing, and H.263 and MPEG-4 are improved video encoding / decoding standards in H.26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codec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ocated only in the controller 270, but the camera unit 250 may include a video codec in addition to the controller 270, which may transmit video data through the camera unit 250. To receive and encode via video codec 272.

오디오 코덱(273)은 입력받은 오디오 스트림을 인코딩하거나,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코덱은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의 동기화를 위해 오디오 스트림의 수신 경로에 임의의 지연을 주어 비디오 스트림의 지연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한 동기화를 위한 지연을 위해 따로 기능 모듈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273)은 인코딩/디코딩 방식으로 AMR(Adaptive Multi-Rate), G.723.1을 사용한다. The audio codec 273 encodes the input audio stream or decodes the encoded audio data and outputs the encoded audio data. The audio codec may correct the delay of the video stream by giving an arbitrary delay to the receiving path of the audio stream for synchronization of the audio and the video stream. The func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or the delay for the synchronization. The audio codec 273 uses adaptive multi-rate (AMR), G.723.1, as an encoding / decoding method.

컨트롤 데이터 처리부(274)는 화상 통신용 컨트롤 신호를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컨트롤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수신한 컨트롤 데이터를 해석하여 이에 따라 타 기능 블럭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신호 처리부(274)는 비디오 스트림의 잉여 영역의 데이터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첨부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담은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로 하여금 비디오 스트림에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게 한다. 그런 다음,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생성하여 먹스/디먹스(275)로 전송한다. 또한, 먹스/디먹스(275)로부터 수신한 컨트롤 데이터의 인디케이터를 해석하여 이를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로 전송한다. 컨트롤 신호 처리부(274)는 컨트롤을 위한 프로토콜로 H.245를 사용한다. The control data processor 274 generates and outputs control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for control signals for video communicatio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interpreting the received control data to control other functional blocks accordingly. Specifically,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274 generates an indicator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data size of the redundant area of the video stream, the type of user data,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and accordingly the user data processor 271. To attach user data to the video stream. Then, the control data including the indicator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ux / demux 275. In addition, the indicator of the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mux / demux 275 is interpre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data processor 271. The control signal processor 274 uses H.245 as a protocol for control.

먹스/디먹스(MUX/DEMUX, multiplexer/demultiplexer)(275)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여 전송하고, 전송받은 비트 스트림을 각각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으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한다. 또한, 각 미디어 형식에 적합하게 논리 프레임 생성, 일련 번호 넘버링, 에러 감지, 재전송을 통한 에러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한 다중화 프로토콜로 H.223을 사용한다. The multiplexer / demultiplexer (MUX / DEMUX) 275 multiplexes the video stream, the audio stream, and the control data into one bit stream, and transmits the received bit stream to each multimedia stream. Demultiplexing It also provides error recovery through logical frame generation, serial numbering, error detection, and retransmission for each media type. H.223 is used as the multiplexing protocol for this function.

모뎀(MODEM)(276)은 상기한 먹스/디먹스(275)가 다중화한 비트 스트림을 GSTN으로 전송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변조(modulation)하여 무선통신부(210)로 전송하고, 무선통신부(210)로 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복조(demodulation)하여 먹스/디먹스(27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을 위한 프로토콜은 V.34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모뎀(276)은 제어부(270)에 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무선 통신부(210)에 속할 수도 있으며, 무선통신부(210)와 제어부(270) 사이에 독립적인 모듈로 위치할 수 있다. The modem 276 modulates the bit stream multiplexed by the mux / demux 275 into an analog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GSTN,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210 is demodulated into a bit stream and transmitted to the mux / demux 275. The protocol for this function uses V.34. In addition, the modem 276 is described as belonging to the control unit 27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lo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may be an independent modul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270. Can be located.

이하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진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수행 중에 비디오 스트림에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attaching and transmitting user data to a video stream whil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erformed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며,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d is a user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are screen examples for explain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S401 단계에서 화상 통화 모드 중에 있다. 화상 통화는 발신 휴대 단말기가 착신 휴대 단말기로 호 설정을 시도하며, 착신 휴대 단말기가 발신 휴대 단말기의 호 설정 시도에 응답하여 호를 연결한다. 즉, 발신 휴대 단말기와 착신 휴대 단말기 사이에 화상 통화를 위한 통화로가 설정된다. 그러면, 카메라부(250)를 통하여 수집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처리부(220)를 통하여 수집한 오디오 스트림을 착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은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을 인코딩하고, 다중화하여 하나의 비트 스트림을 형성한 후에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방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in step S401. In a video call,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ttempts to set up a call to the called mobile terminal, and the called mobile terminal connects the call in response to the call setting attempt of the calling mobile terminal. That is, a call path for a video call is set up between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nd the called mobile terminal. Then, the video stream collected through the camera unit 250 and the audio stream collect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20 are transmitted to the called mobile terminal. The transmission is accomplished by encoding and multiplexing the video and audio streams to form one bit stream, converting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n radia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at high frequencies through an antenna.

상기와 같은 화상 통화 모드 중에 사용자는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보관함', '텍스트 데이터', '이모티콘01'을 차례로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차례로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5c와 같은 화면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에서 메뉴를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메뉴 중 '2. 비디오 스트림에 첨부'를 선택하면, '이모티콘01'파일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법에 따라 착신 휴대 단말기로 전 송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텍스트 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 외에도 휴대 단말기가 지원하는 인코딩/디코딩 규격에 따라 코딩할 수 있는 모든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화면 예를 통한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하나일 뿐이며, 자동으로 첨부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한 예 이외의 메뉴를 활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한 사실이다. In the video call mode as described above, a user may attach user data to be transmitted. 5A through 5D, when a user selects 'content library', 'text data', and 'emoticon 01' in order, the controller 270 sequentially displays the screens as shown in FIGS. 5A through 5C. 240).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C, the controller 270 displays 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D and selects the menu. As shown in FIG. 5D, the user selects' 2. If the 'attach to video stream' is selected, the 'Emoticon 01' file can be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ext dat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text, image, and video files, all files that can be coded according to encoding / decoding standards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may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user data through the above screen example is only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ttach or to attach the user data using a menu other than the above example. It is a matter of course.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S40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405 단계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일부에 잉여 영역(620)을 생성한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프레임 테두리 부분(610)의 영상 데이터를 잉여 영역(620)으로 마련할 수 있다. 테두리 부분(610)의 영상 데이터는 화상 통화 시 전달하지 않아도 화상통화 수행에 큰 무리가 없는 영역이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data in the above manner, the control unit 270 detects this in step S403 and generates a surplus area 620 in a part of the video data received in step S405.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the image data of each frame edge portion 610 of the video stream may be provided as the redundant area 620. The video data of the edge portion 610 is an area where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performing a video call even if the video data is not transmitted during the video call.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S407 단계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의 잉여 영역(620)에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70)는 S409 단계에서 인디케이터를 컨트롤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이며, 잉여 영역의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S411 단계에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규격에 맞춰 인코딩한다. 이어서, 제어부(270)는 S413 단계에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다중화시켜 화상 통화용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S415 단계에서 생성한 비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이를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착신 측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Next, in step S407, the controller 270 attaches the user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urplus area 620 of the video stream. Then, the controller 270 includes the indicator in the control data in step S409. The indicator is information for extracting user data, and has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redundant area, the type of user data, and the location of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Next, the control unit 270 encode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protocol supporting the video stream, audio stream and control data in step S411. Subsequently, the controller 270 multiplexes the video stream, the audio stream, and the control data in step S413 to generate a video call bit stream, converts the bit stream generated in step S415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n converts the bit stream into an analo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ed party's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를 착신 측 휴대 단말기가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in which the called-party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user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above method.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ta rece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data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통화 모드에서 제어부(270)는 S701 단계에서 화상 통화를 위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S703 단계에서 수신한 비트 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로 역다중화한다. 이어서, 제어부(270)는 S705 단계에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S707 단계에서 컨트롤 데이터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한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video call mode, the controller 270 receives a bit stream for a video call in step S701, and demultiplexes the bit stream received in step S703 into a video stream, an audio stream, and control data. Subsequently, the controller 270 decodes the video stream, the audio stream, and the control data in operation S705, and interprets the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supporting the control data in operation S707.

상기 컨트롤 데이터를 해석함에 따라 제어부(270)는 S709 단계에서 비디오 스트림에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는 인디케이터 포함 유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s the control data is interpreted, the controller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data is included in the video stream in step S709.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an indicator.

상기 S7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컨트롤 데이터 내에 인티케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270)는 S711 단계로 진행하여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컨트롤 데이터 처리부(274)가 컨트롤 데이터를 해석하여 인디케이터를 확인하면, 컨트롤 데이터 처리부(274)는 인디케이터의 기 설정된 잉여 영역의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로 전송한다. 사용자 데이터 처리부(271)는 이를 참조하여 비디오 스트림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비디오 스트림 및 사용자 데이터를 각각 따로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부(270)는 S713 단계에서 저장부(260)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불러온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은 첨부된 사용자 데이터의 크기의 잉여 영역(520)을 가지며, 잉여 영역만큼 화면의 테두리 부분(510)의 화면이 깨져서 재생될 것임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이미지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S715 단계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함과 동시에 대체 이미지를 표시부(240)에 표시하고, 비디오 스트림과 동기를 맞춰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처리부(220)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함으로써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 및 대체 이미지(800)를 동시에 표시하되, 재생하는 비디오 스트림 화면의 테두리 영역을 대체 이미지로 가리도록 대체 이미지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비디오 스트림 및 대체 이미지의 사이즈는 인디케이터의 잉여 영역의 크기를 참조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대체 이미지를 송신 측 휴대 단말기에서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9, if an indicator is included in the control data, the control unit 270 proceeds to step S711 to extract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In detail, when the control data processor 274 interprets the control data and checks the indicator, the control data processor 274 determines the size of the preset redundant area of the indicator, the type of the user data,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Information abou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data processing unit 271. The user data processor 271 extracts user data from the video stream with reference to the same, and outputs the video stream and the user data separately.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270 loads an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in operation S713. As shown in FIG. 6B, the video stream has a surplus region 520 of the size of the attached user data, and the image of the edge portion 510 of the screen is reproduced by being broken as much as the surplus region. need. Next, the controller 270 plays the video stream at step S715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replacement image on the display unit 240, and synchronizes the audio stream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2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stream. Perform a video call by outputting.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video stream and the replacement image 800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nd the size of the replacement image is displayed so as to cover the edge area of the video stream screen to be reproduced as the replacement image. Here, the size of the video stream and the replacement image may be adjusted by referring to the size of the surplus region of the indicator, and the replacement image may be received and us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한편, 상기 S7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컨트롤 데이터 내에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270)는 S717 단계로 진행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하고,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처리부(220)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indicator is not included in the control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9, the control unit 270 proceeds to step S717 to display the video stream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display the audio stream as audio. The processor 220 outputs the speaker to the speaker SPK.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 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통화 수행시 비디오 스트림의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함으로써, 한정된 무선 통신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nd transmitting user data of a video stream when performing a video call,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limited radio communication resourc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laims (8)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video call,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Selecting user data, 상기 화상 통화를 위한 비디오 스트림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하는 과정과, Obtaining a video stream for the video call through a camera unit of a mobile terminal;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기 설정된 데이터 크기의 잉여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과, Generating a surplus space having a preset data size in the video stream; 상기 잉여 공간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첨부하는 과정과, Attaching the user data to the surplus space; 상기 첨부한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갖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컨트롤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Generating control data including an indicator having the attached user data information; 상기 비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And multiplexing the video stream and the control data and transmitting the multiplexed data stream.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기 설정된 잉여 공간을 생성하는 과정은, The process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excess space in the video stream, 상기 잉여 공간에 대응하는 크기의 테두리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프레임 영역의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And deleting data of each frame region of the video stream corresponding to an edge region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urplus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디케이터는 The indicator is 비디오 스트림의 상기 잉여 영역의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첨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And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redundant area of the video stream, the type of user data,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In the data receiv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making a video call, 상기 화상 통화를 위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과, Receiving a bit stream for the video call;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스트림 및 컨트롤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Demultiplexing the bit stream to extract a video stream and control data; 상기 컨트롤 데이터의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잉여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user data is attached to a surplus region of the video stream by referring to an indicator of the control data;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었으면,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And if the user data is attach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extracting the user data by decoding the video and audio streams.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되,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테두리의 임의 영역을 미리 저장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And displaying the video stream on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an arbitrary region of an edge of the video stream using a pre-stored image.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 맞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And performing a video call by outputting audio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data.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첨부되지 않았으면,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user data is not attached,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 맞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And decoding the video and audio data, displaying the video data on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ting audio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data to perform a video call. How to receive data.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인디케이터는 The indicator is 비디오 스트림의 기 설정된 잉여 공간의 크기,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첨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The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of the video call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urplus space of the video stream, the type of user data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user data in the video stream.
KR1020060118615A 2006-11-28 2006-11-28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KR100797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615A KR100797120B1 (en) 2006-11-28 2006-11-28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615A KR100797120B1 (en) 2006-11-28 2006-11-28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120B1 true KR100797120B1 (en) 2008-01-22

Family

ID=3921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615A KR100797120B1 (en) 2006-11-28 2006-11-28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12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932A (en) * 2003-08-05 2005-02-2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932A (en) * 2003-08-05 2005-02-2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1593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802B1 (en) Video telephony apparatus of potable device and transmit-receiving method thereof
KR100713511B1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84203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100826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llpaper setting of audio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CN101583009A (en) Video terminal and method thereof for realizing interface content sharing
US76848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
US20030123621A1 (en) Simple structured portable phone with video answerphone message function and portable phon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60116902A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display mode
CN100563334C (en) In the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send the method for view data
KR10079712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deo telephony
KR10099140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y
KR101232537B1 (en)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and video method communicating in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343565A (en) Operation guide method,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program
KR100830534B1 (en) Oper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list for video telephony device
JP2004357092A (en) Information device,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data display
KR1010770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ideo Data
KR20060112412A (en) Mobile terminal for selective storing of video call data and storing method thereof
KR20090097319A (en) Method for performing a video telephony using substitution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apparatus thereof
KR20040036466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vision in mobile telephone
KR100617564B1 (en) A method of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using video telephony in mobile station
KR20090067556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ps unit and method for calling thereof
KR100651512B1 (en) Method for dispatching and receiving the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8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number while taking over ?he telephone in wireless terminal
JP2006203643A (en)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JP2006217187A (en) Telephone system and its telephone call method,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system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ith same program record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