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46B1 -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046B1
KR100796046B1 KR1020070060776A KR20070060776A KR100796046B1 KR 100796046 B1 KR100796046 B1 KR 100796046B1 KR 1020070060776 A KR1020070060776 A KR 1020070060776A KR 20070060776 A KR20070060776 A KR 20070060776A KR 100796046 B1 KR100796046 B1 KR 10079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ata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ybrid cont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중희
Original Assignee
(주)올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라웍스 filed Critical (주)올라웍스
Priority to KR102007006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0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method, a terminal, and a system for providing hybrid contents are provided to generate the hybrid contents combining data found in the network and the data stored in a user terminal, and control the generated hybrid contents, thereby enabling a user to generate various and new contents conveniently. A communicator(570) receives information for first source data obtained by search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network based on condition information. A source data searcher(522) obtains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second source data by searching th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dition information. An interface provider(510)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for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to a predetermined area in a screen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a canvas area, which enables the user to generate the hybrid contents by add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for the first and second sources, to a part neighboring to the predetermined area.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시스템{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도 1은 본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generating content on the present networ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module of a terminal device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module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서비스 서버가 구성하는 시스템 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layer configured by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필드들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various fields that may be included in a content databas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stored in a conten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구성하는 시스템 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layer configured by a user terminal device and another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복수의 원격 서버와 구성하는 시스템 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layer configured by a user terminal device with a plurality of remote ser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사용자 단말 장치200: user terminal device

210, 510: 단말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510: interface providing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20, 522: 단말 장치의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and 522: source data search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30, 523: 단말 장치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523: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40, 524: 단말 장치의 접속 관리부240 and 524: connection management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50, 525: 단말 장치의 동기화부250, 525: synchronization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60: 단말 장치의 제어부260: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70, 570: 단말 장치의 통신부270, 570: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device

280, 580: 단말 장치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0, 580: content database of the terminal device

290, 590: 단말 장치의 소스데이터 색인 데이터베이스290, 590: source data index database of the terminal device

300: 서비스 서버300: service server

310: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310: user data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320: 서비스 서버의 소스데이터 검색부320: source data search unit of the service server

330: 서비스 서버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33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340: 서비스 서버의 접속 관리부340: connection management unit of the service server

350: 서비스 서버의 동기화부350: synchronization unit of the service server

360: 서비스 서버의 제어부360: control unit of the service server

370: 서비스 서버의 통신부370: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ice server

380: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80: Content database of the service server

390: 서비스 서버의 소스데이터 색인 데이터베이스390: Source data index database on the service server

400: 외부 시스템400: external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와 사용자의 단말기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hybrid contents)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와 사용자의 단말에 각각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동화상,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결합하여 새로운 컨텐츠인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서버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terminal device, and a system for providing hybrid contents by combining content existing in a network and content existing in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 a network and a user terminal. A method, a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combining hybrid content, such as a plurality of images, moving images, texts, and the like, which are distributed and stored, to generate new content, and to store the same in a server existing on a user's terminal and / or a network. It's about the system.

근래에 들어, 인터넷 사용이 점점 더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 등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가 배포하는 컨텐츠의 양이 증가일로에 있다. 또한, 사용자들 간에는, 단지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로부터의 수동적인 정보 획득에만 초점을 둔 인터넷 사용보다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컨텐츠를 작 성, 제공하는 능동적인 양태의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의해서만 주로 제공되던 인터넷 상의 웹 문서, 뉴스 기사,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정보 등의 컨텐츠가 근래에는 사용자 개개인에 의해서도 적극적으로 생산, 배포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근래 들어 보편화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UCC: User Created Contents) 문화의 활성화와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그 또는 홈페이지 사이트의 활성화로 인하여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the Internet becomes more and more common, the amount of content distributed by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s such as Internet portal sites and Internet service companies is increasing. In addition, among users, the active use of the Internet, in which users write and provide their own contents, is rapidly increasing, rather than using the Internet, which focuses only on passive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a traditional content distributor. In other words, contents such as web documents, news articles, images, videos, media information, etc., which were mainly provided by Internet portal sites in the past, have been actively produced and distributed by individual users in recent years. This aspect is further deepen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popular User Created Contents (UCC) culture and the activation of blogs or homepage site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that allow users to create content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t is becoming.

이러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사용자가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과정과 더불어,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블로그 또는 홈페이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이하 서비스 서버라 칭한다)로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상에 이미 존재하는 파일에 대한 링크를 제시하는 과정을 수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종래의 기술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The user-produced content is a server of a company that provides services such as a blog or a homepage for files such as images and video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as well as a process of creating data in a text form by the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ice server). Or a link to a file that already exists on the network. The prior art through this process is illustrated in FIG.

도 1은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포스트를 생성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 창에 원하는 메세지를 작성할 수 있고, 각종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과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1 illustrates a screen for generating a post, which is user-generated content, in a site providing a blog service. The user can compose a desired message in a text window, and can use various buttons to add files such as images and videos stored in the user's computer and files existing on the network. However,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in the conventional content production method as follows.

첫째로, 사용자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단말에 저장된 파일이나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파일의 정확한 경로를 서버에 제시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는 경우 그 파일의 저장 위치와 이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인식하고 있어야 하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파일을 이용하는 경우 미리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링크의 대상이 되는 파일의 경로를 알아내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First, in generating content, the user should present the exact path of the file stored in the terminal or the file existing on the network to the server. To this end, the user should be awar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name of the file when using the file stored in the terminal. If the file exists on the network, the user should be able to search the file in advance. The hassle ha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 path of.

둘째로, 종래의 기술에서는 컨텐츠의 작성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와의 접속이 선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컨텐츠는 서비스 서버 측의 데이터베이스에만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를 조회하기 위해서도 서버와의 접속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지 않고서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Second, in the related art, not only the connection with the service server should be preceded in the creation of the content, but also the content created by the user is stored only in the database on the service server side. Connection is essential.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use a func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without the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server.

한편, 종래의 검색 기술 중 Google Inc. 에서 제공하는 Google Desktop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질의어(query)에 대하여 네트워크 상의 웹서버는 웹문서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고 사용자 컴퓨터의 로컬호스트는 사용자 컴퓨터 내의 파일을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웹문서 검색 결과와 로컬 파일 검색 결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웹서버와 로컬호스트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웹 서버에 존재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컴퓨터에 존재하는 컨텐츠에까지 그 검색 대상의 영역을 넓혔다는 데에는 그 공로를 인정해야 할 것이나, 이는 검색 질의어에 부합하는 기존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만을 단순히 제공할 뿐, 사용자가 검색 결과로 획득한 컨텐츠를 재활용하여 유의미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Meanwhile, Google Inc. of the conventional search technology. Google Desktop, which is provided by, allows web servers on the network to search web documents for search queries entered by users, and local hosts of users 'computers to search files on users' computers. Since the web document search result and the local file search result are simultaneously provided for the user's search query, by running the web server and the local host independently, the content not only in the web server but also in the user's computer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we have broadened the scope of the search to, but it only provides search results for existing content that matches the search query, and recycles the content acquired by the user as a meaningful new result. The ability to generate content It is not.

이에, 하나의 쿼리로 웹 상의 컨텐츠와 단말 내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스킴(scheme)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웹과 단말에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새로운 컨텐츠 창작물을 재창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게 되었으며,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종래의 컨텐츠 생성 과정의 번거로움을 타파하기 위하여 유저 친화적인 컨텐츠 생성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여 누구라도 아주 편리하게 새로운 컨텐츠를 재창조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by using a scheme to search the content on the web and the content in the terminal with a single query, help users to recreate new content creations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scattered on the web and the terminal. The necessity of providing is increased,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content creation process as mentioned abov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user-friendly content creation interface so that anyone can recreate new contents very conveniently. I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히 진일보한 기술적 구성을 채용하여 단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와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조작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멀티미디어 세대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 terminal device, and a system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a hybrid content by combining data stored in a terminal device with data stored on a network by employing a technology that is considerably more advanced tha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mentioned above. By doing so,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 variety of new content to focus the explosive attention of the multimedia gen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a)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원격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검색한 결과인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 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a remote server connected to a terminal device by a network provi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sourc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and (b) the first source Receiving, by the remote server, the hybrid content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data and information about second source data that is a result of searching for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A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 장치가 자신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the terminal device receives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first source data from a remote server connected by a network, (b) at least one terminal device stored therein 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 source data of (c), and (c) generating hybrid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공간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 hybrid content by combining the source data stored on the network and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btained by performing a search for the source data stored on the network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source data, a source data search unit for obtai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source data by search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first and the first 2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and allowing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generate the hybrid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Terminal including an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pace on the screen Valu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의 원격 컴퓨터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상기 원격 컴퓨터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 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획득된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인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 hybrid content by combin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remote computer on the network and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 search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remote computer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obtained by using the first source data an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ource data obtained by performing a search on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the terminal device. An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UI so that a user can generate the hybrid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and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ource data, Local server which is a server managing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The terminal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제1 소스데이터를 검색하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및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된 제2 소스데이터 및 상기 제1 소스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편집하여 생성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device of a user through a network, comprising: a source dat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first source data from source data stored on the network; Provided is a system including a hybrid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a hybrid content generated by editing at least one of second source data searched for source data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ource data.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 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시스템 개괄System overvie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포함된다. 가장 보편적인 단말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PMP 등 유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디지털 기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200 usable in the system of FIG. 2 includes various digital devices. Not only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phones, which are the most common terminal devices, but also digital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wired or wireless devices such as PDAs and PMPs may correspond.

본 발명의 단말 장치(200)와 서비스 서버(300)는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생성 및 유지를 위하여 상호 연동하게 되는데, 이는 크게 네 가지의 작업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nd maintain hybrid content,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tasks.

첫째,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플래쉬 및 이들의 복합체(이하 '소스데이터'라 칭함)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은 소스데이터의 이름, 경로, 생성 날짜 등과 같은 소스데이터의 기본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소스데이터에 부여된 태그 정보(이에 관한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0641791호 에 기재되어 있음)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간으로 소스데이터를 탐색하는 경우도 상정해 볼 수 있다.First, a search function for text, audio, image, video, flash, and a combination there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The search for the source data includes tag information assigned to the source data by a separate program as well as basic properties of the source data such as the name, path, and creation date of the source data. And the like, as described in 0641791). In order to perform such a search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index data with respect to the source data in advance, but it may be assumed that the source data is searched in real time.

둘째,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능과 더불어, 동일한 검색 조건을 서비스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소스데이터는 서비스 서버(300)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서비스 서버(300)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외부 시스템(400)으로부터 획득한 소스데이터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Second, the terminal device 200 may transmit the same search condition to the service server 300 along with a function of search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in response thereto, the service device 300 may transmit the source data.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vided source data may be received, wherein the source data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300 corresponds to a search server 300 that meets a search condi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by the service server 300. Not only the source data stored therein, but also source data obtained from the external system 400 may be included using a search condi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셋째, 단말 장치(200)는 상기의 과정을 통해 획득한 소스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단말 장치(20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할 수 있다.Third, the terminal device 200 may generate hybrid content by combining the source data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store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 or the service server 300. .

넷째,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서비스 서버(300)에 업로드 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0)와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 간에 동기화를 실행할 수 있다.Fourth, the terminal device 200 may downloa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uploa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to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terminal device 200. Synchronization may be performed between hybrid contents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이하에서는 단말 장치(200)와 서비스 서버(300)의 상세한 도면을 통하여 상기의 동작을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소스데이터Source dat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데이터는 자신에 대한 속성을 기재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거나, 별도의 저장 공간에 자신에 대한 속성이 기재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data includes metadata describing th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or th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are describ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소스데이터 자체로부터 소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획득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예로서는 사진이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미지 파일의 파일 이름, 생성 시각 등이 이미지 파일의 속성이 된다. 또 다른 예로서, 텍스트 데이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텍스트 데이터의 이름 및 생성 시각 등이 소스데이터의 속성이 됨은 물론이고, 텍스트 데이터를 구성하는 문자열 역시 소스데이터의 속성이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텍스트 데이터를 구성하는 문자열 중에 유의미하고 등장 빈도가 높은 문자열이 소스데이터의 속성으로서 보다 적합하다 할 수 있고,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문자열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자연어 처리 기법 및 형태소 분석 기법 등 기존의 언어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The most common example of acquiring the property of the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ata itself is an image file in which a picture is stored. In this case, the file name, creation time, etc. of the image file are attributes of the image file. As another example, text data may be exemplified. In this case, not only the name and creation time of the text data becom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but also the character string constituting the text data may also b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More preferably, a meaningful and frequently appearing character string may be more suitable as an attribute of the source data among the character strings constituting the text data. The method of extracting a meaningful character string from the text data may includ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stemming techniques. This can be achieved by using existing linguistic research methods.

이와 같이 데이터 자체로부터 속성을 획득할 수 있는 소스데이터 외에도, 소스데이터의 속성이 별도의 저장 공간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는 본 발명의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0701163호에 개시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태그를 추천 및 부여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얼굴 인식 기술, GPS 등의 위치 추적 기술 등을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태그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태그는 디지털 데이터와 대응하여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 소스데이터(상기의 디지털 데이터) 외부에 소스데이터의 속성(상기의 태그 정보)이 저장되어 있지만, 태그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소프트웨어와 이를 소스데이터로서 활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데이터 포맷 및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소스데이터 내에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us, in addition to the source data from which the attribute can be obtained from the data itself,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attribute of the source data is record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In this regard, it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and assigning tags to digital data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070116 of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a tag may be assigned to digital data through a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such as GPS, etc., and the assigned tag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In this case, the attributes of the source data (tag information above) are stored outside the source data (the digital data above), but the software for tagging and storing the data and the software using the same as the source data share the data format and the database. As a result, the same effect as when the attribute is included in the source data can be achieved.

하이브리드hybrid 컨텐츠contents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 컨텐츠란 직접적으로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소스데이터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통칭한다. 그러나 비록 서비스 서버(300) 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 중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소스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라 하더라도, 그러한 컨텐츠의 생성이 서비스 서버(300)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 간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 하에 소스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결합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라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brid content collectively refers to content generated by combining source data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existing on the network and source data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However, even if the content is generated using only source data provided from either the service server 300 or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the generation of such content is performed between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If it is made in an environmen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rce data in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will be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수 또는 복수의 소스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소스데이터 간의 상대적인 배치를 조작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 user may generate hybrid content by edit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source data or manipulating a relative arrangement among the source data through a user interface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generating hybrid content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User Terminal Device

도 3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동기화부(250), 제어부(260), 및 통신부(270)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0)가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is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source data search unit 22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230, connection manager 240, synchronization unit 250 , A control unit 260, and a communication unit 270,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may include a content database 280 that stores hybrid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동기화부(250), 제어부(260), 및 통신부(2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포함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다만, 도 3에서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소스데이터 검색부,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 접속 관리부, 동기화부, 제어부, 및 통신부가 모두 사용자 단말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여러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source data search unit 22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230, connection management unit 240, synchronization unit 250, control unit 260, and communication unit 270 may be program modules inclu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r in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however, in FIG. 3,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the source data retrieval unit, 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and the synchronization unit). ,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re all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also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Also, such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device. Such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execute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소스데이터 검색부(220)는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에 대하여 특정 검색 조건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검색 조건은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인터페이스 제공부(210)에 전달되고,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제어부(260)를 통해 검색 조건을 소스데이터 검색부(220)에 전달하게 된다. The source data retrieval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performing a search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under a specific search condition. The search condition is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by an action of a user who manipulates the terminal device, and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transmits the search condition to the source data retrieval unit 220 through the control unit 260. do.

검색 조건이 소스데이터 검색부(220)에 전달되면, 소스데이터 검색부(220)는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 때, 검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놓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는 색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색인 데이터베이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며, 단순한 로그(log)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다. 색인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정보 검색 분야에 있어서 이미 공지의 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search condition is transmitted to the source data search unit 220, the source data search unit 220 searches for source data that meets the search condition. In this case, the source data search unit 220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Index data for the source data can be generated in advanc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n index database 290 for storing index data. Here, the database includes not only a negotiated database, but also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file system-based data record, and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 simple set of logs can be retrieved to extract data. Included in The method of generating index data is well know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retriev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는 것이 용이치 않은 경우에는, 검색 조건을 수신한 후 저장 장치의 디렉토리 구조를 따라 실시간으로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검색의 효율성은 떨어질 것이다.If it is not easy to generate the index data in advance, a case may be considered in which the file is searched in real time along the directory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after receiving the search condition, but the search efficiency may be reduc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를 통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을 요청하거나,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조회, 수정, 삭제 및 검색을 요청하였을 경우, 이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 장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Next, 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user when requesting the storage of the hybrid content through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or when the user requests to query, modify, delete and search the stored hybrid content, In charge of the function. 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 content database 280 for storing hybrid content. Here, the database may mean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not only a negotiated database but also a data record based on a file system. .

또한, 본 발명의 접속 관리부(240)는 소스데이터의 검색 및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에 있어서, 그 대상이 되는 서비스 서버(300)의 목록을 유지 및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접속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속 관리부(240)의 기능은 추후 확장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는 추후에 기술할 '서비스 서버의 다양화' 부분에서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anager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nd manages the list of the service server 300 as a target for retrieving the source data and storing the hybrid content, an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s necessary. It checks the accessibility. The function of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240 may be extended later.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the 'diversification of service server'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동기화부(25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 사이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r a predetermined rule. do.

또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 조건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또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검색 조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에게 생성된 컨텐츠의 저장을 요청하거나, 서비스 서버(300)와 같은 원격 서버에게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각종 도구 모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hybrid content,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arch condition for source data through interaction with a user, or source data retrieval unit 220 or a service server of a user terminal device. Receives a search result matching the search conditions from the 300 to provide a function to the user. The hybrid content manager 230 of the terminal device may request to store the generated content or request to store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to a remote server such as the service server 300. In addition,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may provide various toolbars and the like for the user to easily generate the hybrid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접속 관리부(240), 동기화부(250), 및 통신부(2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통신부(270)를 통하여 각 구성 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접속 관리부(240), 및 동기화부(250)에서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urce data search unit 22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230,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connection management unit 240, synchronization unit 250, and communication unit 270 It controls the flow of data. That is, the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70, the source data search unit 22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230,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The connection manager 240 and the synchronizer 250 control their respective functions.

상기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단말에 설치되는 모듈의 구성은 당업자의 기술 수준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을 고려하여 더욱 진일보한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살핀 후에 기술하도록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installed in the terminal may be freely modified within the technical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be modified to a more advanced config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ntire system. In this regard,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Be sure to describe it after reviewing it.

서비스 서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Service Server

도 4는 서비스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300.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단말과 유사한 구성을 지니며, 각 구성 요소가 수행하는 기능도 사용자의 단말의 구성 요소의 기능과 유사하다. As shown in FIG. 4, the service server 300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user's terminal, and the function performed by each compon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component of the user's termin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300)는 소스데이터 검색 부(3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330), 접속 관리부(340), 동기화부(350),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310), 제어부(360), 및 통신부(370)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80)가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300 is a source data search unit 32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330, connection management unit 340, synchronization unit 350, user data management unit 310, control unit 360, and a communication unit 370,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a content database 380 for storing hybrid content.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의 소스데이터 검색부(32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의해 특정된 검색 기준에 따라 소스데이터를 검색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추가하여 시스템 외부에 존재하는 별개의 서버(400)와 통신함으로써 획득된 컨텐츠도 동시에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검색을 위한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색인 데이터베이스(39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data search unit 320 of the service server 300 searches for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search criteria specified by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The service server 300 may search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terminal device 200. In addition, the separate server 400 existing outside the system may be provided. The content acquired by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device 200 may also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As describ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index data for searching may be generated in advance, and in this case, the service server 300 may include an index database 39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00)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33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로부터의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 요청 및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조회, 수정, 삭제 및 검색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서버(300)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80)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hybrid content manager 330 of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quires, modifies, deletes, and requests for the storage of the hybrid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n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Responsible for handling search requests. To this end, the service server 300 may include a content database 380 for storing hybrid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00)의 접속 관리부(340)는 단말 장치(200) 및 외부 시스템(400)과의 통신에 있어서, 그 대상에 관한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한다. 상기의 정보에는 접속 상태에 관한 통계 자료, 로그인이 필요한 시스템의 경우 로 그인 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접속 관리부(34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특정 단말 장치(200) 및 외부 시스템(400)에 대한 접속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anager 340 of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object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external system 400. The above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statistical data on the connection status and login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system requiring login. In addition, the connection manager 340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perform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200 and the external system 400 are acce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310)는 서비스 서버(3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정보나, 사용자 특화된 설정 정보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data management uni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recording and managing demographic information, user-specific setting information, etc. for the user using the service server 300. This can include a separate user database.

또한, 본 발명의 동기화부(350)는 단말 장치(200)의 요청이나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 사이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unit 35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 request or a predetermined rule of the terminal device 200. It plays a r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60)는 소스데이터 검색부(3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330), 접속 관리부(340),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310), 동기화부(350), 및 통신부(3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60)는, 통신부(370)를 통하여 각 구성 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소스데이터 검색부(3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330), 접속 관리부(340), 사용자 데이터 관리부(310), 및 동기화부(350)에서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rce data search unit 320, a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330,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340, a user data management unit 310, a synchronization unit 350, and a communication unit 370. It controls the flow of data. That is, the control unit 3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70, so that the source data retrieval unit 320,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330, connection management unit 340, The user data manager 310 and the synchronizer 350 perform control of each unique function.

단말 장치(200)에 대한 모듈의 계층화Layering of Modules for Terminal Device 200

상기에서 살펴본 단말 장치(200)의 모듈은 크게 두 개의 기능적 단위로 구분 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를 포함하는 단위이고, 다른 하나는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소스데이터 검색부(220),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230), 접속 관리부(240), 및 동기화부(250)를 포함하는 단위이다. 이와 같은 두 개의 기능적 단위는 인터넷 통신망에서 가장 보편적인 통신 형태인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 대응하여 살펴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대응시킬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모듈의 집합은,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요청에 대하여 응답을 제공하는 서버에 대응시킬 수 있다.The module of the terminal device 200 described abov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unctional units, one of which is a unit including an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that accepts a user's request, and the other is a request for a request. The unit includes a source data retrieval unit 220, a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230,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240, and a synchronization unit 250 in charge of processing. These two functional units can be examined corresponding to the server-client model, which is the most common form of communication in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that accepts a user's request may correspond to a client program such as an internet brows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t of modules in charge of processing the user's request may be connected to an internet browser. Corresponds to a server providing a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ame client program.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를 하나의 독립적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분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 내의 로컬 서버로 분리 구현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5에 나타나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nd separates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into one independent client program, and handles the request of the user. A configuration for separating and implementing a set of program modules into a local server i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is proposed. This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도 5에 나타난 단말 장치(200)의 구성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제공부(510)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되,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는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가 담당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shown in FIG. 5,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510 receives a user's request and provides a response thereto, but processing of the user's request is performed by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이러한 구성을 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btained by choosing such a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우선, 인터페이스 제공부(510)는, 소스데이터의 검색, 컨텐츠의 조회/저장 등의 작업에 있어서,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200) 내의 모듈 및 서비스 서 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제공부(510)는 사용자의 요청을 전달함에 있어서, 그 전달 대상이 서비스 서버(300)인지 사용자 단말 장치 내의 로컬 서버(520)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각 서버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 제공부(510)의 구현이 용이하다. 둘째로, 단말 장치(200)의 로컬 서버(520)의 모듈은 서비스 서버(300)의 모듈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서비스 서버(300)의 구현에 큰 비용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서버(300)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의 로컬 서버(520)가 서비스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어서 P2P 방식의 연결을 지원하기 용이하며, 단말 장치(200)와 서비스 서버(300)의 일대일 연결을 확장하여 단말 장치(200)와 복수의 서비스 서버(300)의 일대다 연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510 may communicate with the module and the service server 300 in the terminal device 200 in the same manner in searching for source data and inquiring and storing content. That is, in delivering the user's request,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510 uses the unified interface for each server regardless of whether the delivery target is the service server 300 or the local server 520 in the user terminal device. Since it can communicate with, it is easy to implement the interface provider 510. Second, since the module of the local server 520 of the terminal device 2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module of the service server 300, not only does not cost a great cos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server 300, but also the service. The local server 520 of the terminal device 200 of another user as well as the server 300 may function as a service server, thereby facilitating P2P connection, and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By extending the one-to-one connec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e-to-many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plurality of service servers 300 is easy.

도 6은 이와 같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와 서비스 서버(300)가 구성하는 시스템 레이어를 도시하고 있다. 6 illustrates a system layer configured by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based on such a system.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제공부(510)를 통해 단말 장치의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는 구성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고 조회하는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process of generating and inquiring hybrid content based 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r 510 will be described.

하이브리드hybrid 컨텐츠의Of content 생성 produ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는 로컬 서버(520)가 구동되어 있다. 사용자는 로컬 서버(520)와 통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510)을 구동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로컬 서버(5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 내에서 동작하는 서버로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로컬 호스트의 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510)의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하 하이브리드 브라우저라 칭함)을 구동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기본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로컬 서버(520)가 반드시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의 구동 이전에 동작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의 구동과 함께 로컬 서버(520)가 구동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server 520 is driven i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The user may perform preparation work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 by running a client program 51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local server 520. The local server 520 is a server that provides a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and operates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The most common method is a server program using a specific port of the user's local host. Can be. The user configures a basic environment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 by driving a client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ybrid browser)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510. In this case, the local server 52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operated before the hybrid browser 510 is driven, and the local server 520 may be driven together with the hybrid browser 510.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는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 모음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도구 모음의 기능의 예로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의 추가, 삭제, 이동, 사이즈변환, 회전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스데이터를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이하 캔버스라 한다) 상에 배치할 수 있다.The hybrid browser 510 may provide various toolbars that are used to generate hybrid contents. Examples of the functions of the toolbars include adding, deleting, moving, resizing, and rotating source data constituting the hybrid contents. Can be mentioned. Using this function, the user may arrange various source data on a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nvas)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

소스데이터를 캔버스 상에서 편집하는 작업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Editing source data on the canvas can be done in a variety of ways.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추가할 소스데이터의 경로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해당 경로를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시하는 방법과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파일시스템을 탐색하여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방식이며, 이는 현재 블로그 및 홈페이지 서비스업체가 제공하는 파일 업로드 및 웹 페이지 링크 삽입 방법과 같다. As the most common method, a user may directly input a path of source data to be added. In this method, the user directly suggests the path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searches a file system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to specify a desired file, which is currently provided by blog and homepage service providers. This is the same as uploading files and inserting web page links.

또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는 검색을 통하여 추가하고자 하는 소스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 상에서 제공되는 검색창에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브라우저는 입력 받은 검색 조건을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할 수 없거나 사용자가 단말 장치 내에서 작업할 것을 지정한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는 입력 받은 검색어를 로컬 서버(520)에만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로컬 서버(520)와 서비스 서버(300)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와의 관계에서 각각이 개별 서버로서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하이브리드 브라우저가 입력 받은 검색 조건은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에 동시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한 시차를 두고 각각의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As another method, the user may select source data to be added by searching.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perform a search by inputting a keyword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in a search box provided on the hybrid browser 510. The hybrid browser may transmit the received search condition to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In this case, when the user cannot access the service server 300 or when the user designates to work in the terminal device, the hybrid browser 510 may selectively transmit the received search word only to the local server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lay an equal role as individual server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hybrid browser, the search condition input by the hybrid browser is the local server.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transmit to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in some cases, it may be considered to transmit to each server with a certain time difference.

검색어를 수신한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는 소스데이터 검색부(522, 320)를 통하여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를 획득하여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에 송신할 수 있다.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는 각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소스데이터에 대하여 색인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놓고, 검색 요청이 있을 시 색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반응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receiving the search word may obtain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ndition through the source data search unit 522 and 320 and transmit the source data to the hybrid browser 510. As a method for easily obtaining source data that meets a search condition,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generate index data with respect to source data held by each server in advance, and request a search. In this case, the response time may be shortened by performing a search using the index data.

검색의 대상은 상기와 같이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다양한 검색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을 구성하지 않는 외부 시스템(400)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조건을 수신받은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수행함과 동시에, RSS와 같이 XML 기반의 문서 표준을 따르는 데이터 교환 방식의 API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400)에 소스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API를 제공하지 않는 외부 시스템(400)의 경우, 검색 엔진 등에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웹문서 크롤링(crawling) 등을 통하여 소스데이터를 확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The search target is not limited to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btain more various search results, an external system 400 may not be provid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300 receives a search condition and performs a search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nd at the same time, a data exchange method that conforms to XML-based document standards such as RSS Source data may be requested from an external system 400 that provides an API. In the case of the external system 400 that does not provide an API,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source data through crawling a web document used to secure basic data in a search engine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외부 시스템(400)으로부터 소스데이터 또는 소스데이터의 주소를 획득하는 시점은, 서비스 서버(300)가 검색 조건을 수신 받은 직후일 수도 있으나, 검색 조건의 수신과 무관하게 미리 데이터를 확보하여 놓을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잦은 검색이 예상되는 소스데이터와 같이 특정 검색 조건에 대하여만 미리 데이터를 확보하여 놓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ime point for obtaining the source data or the address of the source data from the external system 400 may be immediately after the service server 300 receives the search condition, but secures the data in advance regardless of the reception of the search condition.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secure data only in advance for a specific search condition, such as source data for which a user frequently searches.

상기의 기재에서는 서비스 서버(300)가 외부 시스템(400)에 접근하는 예시만을 들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존재하는 로컬 서버(520)가 외부 시스템(400)에 접근하여 소스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example in which the service server 300 accesses the external system 400, but the local server 520 existing i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the external system 400 to obtain source data. It doesn't exclude you from doing that.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에 소스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소스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즉, 획득된 소스데이터에 관한 간략한 텍스트 데이터와 해당 소스데이터의 경로만을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추후 사용자가 해당 소스데이터를 선택하거나,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소스데이터 자체를 제공할 수 있다. 소스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는 이 외에도 소스데이터의 이름, 소스데이터에 대한 태그 정보, 소스데이터의 생성 시각 정보, 및 소스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소스데이터가 이미지나 동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일차적으로 제공되는 소스데이터에는 적은 용량의 썸네일(thumbnail)이 함께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may provide the source data itself to the hybrid browser 510, but more preferabl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data that meets the search condi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load of the network, That is, only brief text data about the obtained source data and the path of the source data are primarily provided, and the source data itself is provided when the user later selects the source data or wants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can do.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data may be a name of the source data, tag information on the source data, gen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a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tadata of the source data. In addition, if the obtained source data corresponds to an image or a video, the source data provided primarily may include a thumbnail of a small capacity.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방법은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가 제공하는 검색창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색 조건을 특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캔버스에 직접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 작성된 텍스트 문서로부터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형태소 분석 방법 및 자연어 처리 방법 등 종래의 언어학적인 연구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요 단어를 선정하여 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텍스트 데이터를 완성하는 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method of inputting a search condition by the user is not limited to performing by using a search window provided by the hybrid browser 510. As another embodiment of specifying a search condition, when a user inputs text data directly to the canvas to generate hybrid content, a method of extracting a search word from a created text document is also possible. Such a method may be performed based on conventional linguistic research such as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key words and search for them. This method may be done in real time while the user enters the text data, or may be done at the moment the user completes the text data.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마우스 포인터 등의 위치를 참고하는 방법이 있다.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에 텍스트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면 포인터와 가장 근접한 단어를,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에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은 소스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면 해당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연관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method of inputting a search condition by the user, there is a method of referring to a position of a mouse pointer or the like. If the text data is placed where the pointer is pointing, the word closest to the pointer is used. If the source data such as image or video is placed where the pointer is pointing, the search is performed using the keyword or tag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or video as a search condition. Can be done. Such a method may be performed using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screen and a touch pad.

이와 같이 검색 조건을 특정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방법뿐만 아니라 당업자의 기술 수준 하에서 상기의 방법을 변형 실시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As such, there may be various cases in which the search condition is spec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above-mentioned method but also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modified under the skill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가 각 서버(520, 300)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면, 그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의 일측에 제시할 수 있다. 로컬 서버(520)로부터 수신한 검색 결과 및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검색 결과는 통합되어 표시될 수도 있으나, 각각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When the hybrid browser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arch result from each server 520, 300, all or part of the result may be presented to one side of the hybrid browser 510. The search results received from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arch results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integrated and displayed. However, the search results received from the local server 520 may be displayed separately.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획득한 검색 결과 중에서 캔버스에 추가하고자 하는 소스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하고자 하는 소스데이터를 드래그앤드랍(Drag & Drop) 방식으로 캔버스로 끌어와 구미에 맞게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의 검색 결과에 나타난 소스데이터를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 또는 단말 장치(200) 표시부의 특정 영역(미도시)에 드래그앤드랍 또는 이와 유사한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소스데이터를 단말 장치(200)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user can select the source data to be added to the canvas from the search result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data to be added is dragged onto the canvas in a drag and drop manner. You can edit to suit your tastes. Meanwhile, the user may drag and drop the source data shown in the search result to a specific area (not shown) of the display unit of the hybrid browser 510 or the terminal device 200 or perform a similar action to the terminal device ( 200).

이러한 소스데이터의 추가는 일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새롭게 소스데이터를 추가하려 할 때마다 가능할 수 있으며, 소스데이터를 캔버스에 추가 할 때, 또는 캔버스 상에 추가된 소스데이터를 편집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그 배열 상태를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된 소스데이터를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고, 그 사이즈를 키우거나 줄일 수도 있으며, 소스데이터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복수의 소스데이터가 캔버스에 배치되는 경우, 소스데이터간에 서로 겹치게 배열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어느 소스데이터가 보다 전면에 노출되는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This addition of source data is not only one time, but may be possible whenever a user wants to add new source data, and when adding source data to a canvas or editing source data added on a canvas, The user can specifically specify the arrangement state. For example, the added source data may be moved and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 size thereof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source data may be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When a plurality of source data are arranged on the canvas, it may be assumed that the source data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is case, the user may set which source data is more exposed to the fron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 상에서 작성이 완료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80)에 저장된다. 이 때에,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 중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획득된 소스데이터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는 데이터에 관한 일부 정보만을 제공받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소스데이터의 잔여 부분에 대한 다운로드를 받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가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작성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면, 로컬 서버(520)에게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고, 로컬 서버(520)는 상기 요청을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523)에 전달한다.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523)는 수신한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80)에 기록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ser can generate hybrid content and store 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brid content that has been created on the hybrid browser 510 is basically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580 of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At this time, in the case of source data obtain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300 among the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may receive only some information about the data. Therefore, in this case, the process of downloading the remaining part of the source data may be preceded. When the hybrid browser 510 detects that the creation of the hybrid content is completed, the hybrid browser 510 requests the local server 520 to transmit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and the local server 520 stores the request as the hybrid content manager. Forward to 523. The hybrid content manager 523 completes the work by recor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content database 580.

또한,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요청에 의해 서비스 서버(30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8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장치(200)에서 생성된 모든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또 다른 경우로는 사용자가 생성한 모든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로컬 서버(520)에만 저장되고, 사용자가 별도로 특정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만을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경우를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기인한 소스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는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공개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게 컨텐츠를 공개하도록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게 컨텐츠를 비공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그룹은 상기 컨텐츠에 접근할 수 없도록 설정하고, 또 다른 그룹은 상기 컨텐츠를 단순 조회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또 다른 그룹은 상기 컨텐츠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380 of the service server 300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r request.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all hybrid contents generat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to be stored in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or in another case, all the hybrid contents generated by the user. Is basically only stored in the local server 520, and may be assumed in various cases, such as taking a method of storing only hybrid content that the user specifies separately in the service server 300. In this case,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ource data originating from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mong the source data constituting the hybrid content to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necessary. When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s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the user may set a disclosure level of the hybrid content. This may be done by setting the content to be disclosed to a specific user or group, or may be done by making the content private to a specific user or group. More preferably, access rights to the content may be divided and set in several stages. For example, a specific group may be set to make the content inaccessible, another group may be set to simply view the content, and another group may be set to modify and delete the content.

도 7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80, 380)에 기록될 수 있는 여러 필드들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7 exemplarily illustrates various fields that may be recorded in the content database 580, 380.

먼저, 도 7의 "컨텐츠 ID"는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First, the "content ID" of FIG. 7 includes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사용자 ID"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 관한 식별 정보이다.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만 저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ID" 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으나, 추후 설명할 로컬 서버(520)와 서비스 서버(300)간의 동기화 작업을 위해서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80)에도 "사용자 ID"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ID"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를 식별하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 개개인을 식별하는 정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의 단말 장치(200)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를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자 ID"는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는 과정 또는 서비스 서버(300)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중에 부여될 수 있다."User ID"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o created the hybrid content. When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s stored only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the "user ID"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but the user for the synchronization operation between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User ID" information is also preferably recorded in the content database 580 of the terminal device 200. The “user ID” may b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but more preferably,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user. This is because a case where multiple users use one terminal device 200 can be expected. This "user ID" may be given during the process of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300 or in the process of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0.

"소스데이터 ID"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들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는 소스데이터의 경로와 이름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스데이터 각각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번호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번호로 구성될 수도 있다. "Source data ID" i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source data constituting the hybrid content. It may be configured in a manner that includes the path and name of the source data, or may be composed of these numbers if there is a number uniquely assigned to each source data.

"소스데이터 배치정보"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의 배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치된 소스데이터의 중심 좌표, 크기, 방향, 대칭, 기울임, 특정한 기하학적 형태로의 매핑(mapping) 등의 다양한 변환 정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변환인 어파인 변환(affine transform)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소스데이터가 하나의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들 간의 전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BMP 포맷(format)의 이미지 파일을 JPG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경우와 같이 소스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Source data arran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ource data constituting the hybrid content. Preferably, the affine transform information, which is a transformation consisting of various trans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center coordinates, size, direction, symmetry, tilt, mapping to a specific geometric shape, and a combination thereof, is placed. It may also include.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source data constitute one hybrid content, it may include front and rear arrangement relationship information therebetween. In addition, it may be assumed that the format of the source data is converted and placed, such as when the image file of the BMP format is converted to the JPG format and stored.

"생성시각" 및 "수정시각"은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최초로 생성된 시간 정보 및 가장 최근에 갱신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Generation time" and "modification time" include time information on which hybrid content was originally created and time information most recently updated.

"공개정보"는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노출 대상과 접근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information” may be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hybrid content is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nd may include exposure target information and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of the hybrid conten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상기에 설명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80, 38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필드들은 각기 여러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복수의 소스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컨텐츠 자체에 관련있는 정보인 "컨텐츠 ID", "사용자 ID", "생성시각", "수정시각", "공개정보" 등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로 구성하고,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소스데이터 ID", "소스데이터 배치정보" 등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하나의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복수의 소스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는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figuration fields constituting the content databases 580 and 380 described above may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various tables or databas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since the hybri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urce data, information related to the hybrid content itself, such as "content ID", "user ID", "generation time", "modification time", "public information", etc. A single database table, and store information such as "source data ID" and "source data bat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data constituting the hybrid content in a separate database table. Even if the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source data can be easily coped. An example of a case of distributing and storing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can be confirmed through FIG. 8.

하이브리드hybrid 컨텐츠의Of content 조회, 수정 및 삭제 View, edit, and 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 내의 로컬 서버(52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조회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는 로컬 서버(52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여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목록을 조회하거나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조회를 요청한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단말 장치(200)에게 비공개로 설정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목록에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제공받은 목록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면,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의 캔버스 상에 선택된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query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local server 520 and / or the service server 300 i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through the hybrid browser 510. The hybrid browser 510 may communicate with the local server 520 and / or the service server 300 to query a list of stored hybrid contents or to search a search result for the stored hybrid content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ybrid content set to be private to the specific user or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200 requesting the inquiry is excluded from the list.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contents of the provided list, the selected hybrid contents are provided on the canvas of the hybrid browser 510.

참고로, 사용자는 캔버스 상에 표시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특정 소스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특정 소스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소스데이터를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 또는 단말 장치(200) 표시부의 특정 영역(미도시)에 드래그앤드랍 또는 이와 유사한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가 수행되는 방법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For reference, the user may store specific source data of the hybrid content displayed on the canvas i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As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the user selects specific source data, the user may store the specific source data in the hybrid browser. The method of downloading the corresponding source data may be assumed by performing drag and drop or a similar operation on a specific area (not shown) of the display unit 510 or the terminal device 200.

사용자에게, 조회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져 있다면, 상기 컨텐츠를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f the user is given the right to modify or delete the inquired hybrid content, the content can be modified and stored. Since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hybrid cont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로컬 서버와 원격 Local server and remote 서버간의Server-to-server 동기화 synchroniz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생성한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로컬 서버(520)에 저장이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이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양 서버(520, 300)간에 동기화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생성된 모든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에 모두 저장되도록 설정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생성되었다면, 추후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양 측의 데이터를 동기화 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화 작업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는 매 순간마다, 특정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의 관여 없이, 로컬 서버(520)와 서비스 서버(300) 간의 직접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brid content generated by the user is basically stored in the local server 520, and can be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ut if necessary, both servers Synchronization may be required between 520 and 300. For example, as mentioned above, when all the hybrid content generated by the user is set to be stored in both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300. If 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in a situation where it is not accessible, it may be necessary to access the service server 300 to synchronize data on both sides. This synchroniz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every time the user's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the service server 300, according to a specific period, or by a direct request of the user, and in some cases, the hybrid browser 510. Without the involvement,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made by direct communication.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컬 서버(520) 및 서비스 서버(300)의 동기화부(525, 350), 접속 관리부(524, 340), 및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523, 330)가 상호 협력하게 된다. 우선, 로컬 서버(520)의 동기화부(525)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의 신호에 의해, 또는 주기적인 예약 작업을 등록시킨 테이블(예를 들면 리눅스의 크론테이블 등)에 등록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활성화된다. 로컬 서버(520)의 동기화부(525)는 로컬 서버(520)의 접속 관리부(524)와 통신하여 현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이 가능한 경우, 서비스 서버(300)의 동기화부(350)와 협조하여 양 서버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 목록의 일치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양 서버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 목록은 각 서버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523, 330)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목록이 일치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데이터의 종류나 배치 정보 등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동기화의 한 방편으로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으로 양측의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에, 서비스 서버(300)의 경우, 현재 동기화를 요청한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하여만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erform the synchronization, the synchronization unit 525, 350,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524, 340, and 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523, 330 of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operate with each other. do. First, the synchronizing unit 525 of the local server 520 executes a program registered by a signal of the hybrid browser 510 or in a table (for example, a cron table of Linux, etc.) in which periodic scheduled tasks are registered. Is activated by The synchronizer 525 of the local server 520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manager 524 of the local server 520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service server 300 is accessible. When access to the service server 300 is possible, in cooperation with the synchronization unit 350 of the service server 300 may check whether the hybrid content list stored in both servers match, and the hybrid content list stored in both servers is It may be obtained by requesting the hybrid content managers 523 and 330 of the server. Even when the content list is matche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type or layout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constituting each content is matched. In this case, as a method of synchronization, the data of both sides is updated with the most recently updated version. Consider how to match.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rvice server 300,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200 us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that has requested the current synchronization, or the access authority is granted to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200 It is desirable to perform synchronization only for the hybrid content.

서비스 서버의 다양성Diversity of Service Servers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00)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컨텐츠 생성을 위한 툴 및 프로그램 모듈 등을 제공하고 배포하는 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버이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의 서버만이 서비스 서버(300)로 적격한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가 단말 장치(200) 내에서는 로컬 서버(520)와 통신하고, 단말 장치 외에서는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하는 방식(즉, 두 개의 서버(520, 300)와 통신하는 하이브리드 브라우저(510))으로 동작하는 특성에 기인한다. 즉, 로컬 서버(520)와 서비스 서버(300)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00)는 타 사용자의 로컬 서버(520)로 대체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서 비스 서버(300)를 타 사용자의 로컬 서버(520)로 대체하였을 경우 시스템 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erver provided by a provider that provides and distributes tools and program modules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nly server to the service server 300. It is not limited to being eligible. This is because the hybrid browser 510, the client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local server 520 i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300 outside the terminal device (that is, two servers 520). , A hybrid browser 510 in communication with 300). That is, considering that the local server 520 and the service server 300 are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similar,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laced with the local server 520 of another user.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layer when the servic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with a local server 520 of another user.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300)를 타 사용자의 로컬 서버(520)로 대체하였을 경우, 각 로컬 서버(5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대방에 대한 접근 허용 범위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던,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소스데이터에 대한 검색 허용 여부가 개인 간의 통신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이 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로컬 서버(520)는 접속 관리부(524)를 두어, 접속의 대상이 되는 서버의 목록을 유지 및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접속 가능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 간의 통신에 있어서의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 역시 접속 관리부(524)가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접속 관리부(524)는 개인 간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정보를 명시하고, 이들의 접속 권한 등급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ervice server 300 is replaced with the local server 520 of another user, the access permission range of the data stored in each local server 520 may be a problem. That is, whether or not the access rights to the hybrid content and the search permission for the source data, which have been made with the help of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a problem in how to imple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server 520 has a connection manager 524 to maintain and manage the list of servers to be connected, and periodically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is possi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524 maintain and manage the information on the access right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The connection manager 524 may solve the above problem by specifying network address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at allows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additionally including their access authority levels.

또한, 시스템을 보다 확장하여, 사용자의 로컬 서버(520)가 하나의 원격 서버(서비스 서버(300) 또는 다른 사용자의 로컬 서버(520)를 의미함)와 통신하는 시스템이 아닌, 사용자의 로컬 서버(520)가 복수의 원격 서버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스템 레이어는 도 10에 나타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user's local server 520 is not a system in which the user's local server 520 communicates with one remote server (meaning service server 300 or another user's local server 520). It is also possible for a system to allow 520 to simultaneously access multiple remote servers. A system lay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스데이터 및 네 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조작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아주 편리하게 생성 및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의 폭발적인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enerate the hybrid content by manipulat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device and the source data stored on the network, so that the user can create and utilize more various contents very conveniently. As a result, the us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ltimedia content and thereby can lead to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generation of multimedia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생성 및 관리에 적합한 단말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구성이 제공되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적합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system suitable for the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hybrid content is provided,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create and manage the hybrid content in a more suitable environment is achieved. .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고 있는, 단말 장치에 설치되는 로컬 서버, 원격 서버 및 이들 각 서버와 통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각 서버의 데이터를 혼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에 전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스템을 계층화하고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를 단순화 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ddition, the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cal server installed in a terminal device, a remote server,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se servers, and a system for mixing data of each server to generate new data is various. As can be dedicated to systems in the field,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system configuration is achieved by layering the system and simplifying the interface between modules.

Claims (80)

(a)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원격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a) providing to th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source data obtained by a remote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by a network us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b)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검색함과 동시에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검색하여 획득된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b) retrie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and at the same time searching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us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Receiving, by the remote server, the hybrid content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플래쉬 및 이들의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comprise at least one of text, audio, image, video, flash, and combinations there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The remote server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원격 서버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 자체로부터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ata itself stored in the remot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The remote server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원격 서버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Obtaining from a database recording information about source data stored in the remote serv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database recording the information on the source data is an index database on the source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The remote server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원격 서버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타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server and another server connected by a network.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원격 서버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상기 타서버 간의 통신은,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server and the other server connected by a network, 확장성 생성 언어(XML)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performed by a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Extensibility Generation Language (XM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condition information is specifi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조건 정보는,The condi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 장치의 키, 포인팅 디바이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haracterized by at least one method of a key, a pointing device, and a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제1 소스데이터 자체, The first source data itself, 상기 제1 소스데이터의 이름,The name of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 정보,Path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제1 소스데이터와 연관된 태그 정보,Ta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제1 소스데이터의 생성 시각 정보,Gen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제1 소스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Information included in metadata of the first source data, 상기 제1 소스데이터가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썸네일,If the first source data includes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thumbnails for the source data including the image or moving picture, 상기 제1 소스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일부로 구성된 요약 정보, 및When the first source data includes text data, summary information configured as part of the text data, and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 for storing the first source data in the terminal devic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는,In step (b),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Receiving and storing the hybrid content at the remote serv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원격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Storing the hybrid content in a database in the remote ser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는,In step (b), 상기 원격 서버가,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생성된 단말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생성에 이용된 소스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관한 시각 정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remote serv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brid content, terminal information from which 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generated the hybri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rce data used to generate the hybrid content, and the hybrid content.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spatial layout information of the included source data,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hybrid content, and information representing an access right to the hybrid content.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는,Spatial layout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내에서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in the hybrid content,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size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방향를 나타내는 정보, 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direc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어파인 변환 정보,Affine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포멧변환 정보, 및Format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and 상기 소스데이터의 표시에 있어서 상호간의 전후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dicative of a back and forth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n the display of the source data. (a)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a)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source data from a remote server connected by a network; (b) 상기 단말 장치가 자신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b) the terminal device acquiring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second source data stored therein; and (c)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c) generating hybrid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제공되는 공간인 캔버스에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by adding and edi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to a canvas,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a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플래쉬 및 이들의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comprise at least one of text, audio, image, video, flash, and combinations thereof.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b) 단계는,In step (b),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스데이터 자체 또는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ata itself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or from a database that records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삭제delete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는 상기 캔버스 내로 드래그앤드랍(Drag & Drop) 방식으로 추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may be added to the canvas by drag and drop (Drag & Drop) method.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a) 단계는,In step (a),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원격 서버에 조건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fter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remote server, receives the first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remote server.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조건 정보는,The condi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 장치의 키, 포인팅 디바이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haracterized by the user by at least one of a key of the terminal device, a pointing device, and a touch screen. (a)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a)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source data from a remote server connected by a network; (b) 상기 단말 장치가 자신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b) the terminal device acquiring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second source data stored therein; and (c)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c) generating hybrid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상기 (a) 단계는 상기 (b)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Wherein step (a)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step (b) .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는,Step (a) and step (b),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using condi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제2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키, 포인팅 디바이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conditi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is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key, a pointing device, and a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a) 단계는,In step (a), 상기 원격 서버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로부터 또는 상기 원격 서버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타서버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 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obtained from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remote server or from the source data stored in another server connected by the network with the remote server.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a) 단계에서,In the step (a),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타서버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를 직접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termina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directly receiving the first source data obtained from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other server.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a) 단계에서,In the step (a),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타서버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로부터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를 상기 원격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first source data obtained from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other server indirectly through the remote server. 제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자체, The source data itself, 상기 소스데이터의 이름,The name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와 연관된 태그 정보,Ta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생성 시각 정보,Gen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Information included in metadata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가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썸네일,If the source data includes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thumbnails for the source data including the image or moving picture, 상기 소스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일부로 구성된 요약 정보, 및When the source data includes text data, summary information configured as part of the text data, and 상기 소스데이터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기인한 제1 소스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 for storing the first source data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source data is first source data originating from the remote serv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t least one of.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toring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n a database of the terminal device.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는,The storing of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n the terminal device may include: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완전한 소스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When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nformation on the first source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server does not include complete source data, 상기 완전한 소스데이터를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Receiving the complete source data from the remote server.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생성된 단말,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관한 시각 정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terminal devic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brid content, a terminal in which 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generated the hybri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nd a source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nd at least one of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data,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hybrid content, and information representing an access right to the hybrid content.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는,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included in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is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내에서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어파인 변환 정보, 상기 소스데이터의 포맷 변환 정보, 및 상기 소스데이터의 표시에 있어서 상호간의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size of each of the source data, 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direc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affine convers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and the source in the hybrid content. And at least one of format conversion information of data, and information representing a front and rear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n the display of the source data.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원격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fter step (c), transmitting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to the remote server.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 by combining source data stored in a network and source data stored in a user terminal, 상기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irst source data obtained by performing a search using at least one 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on the source data stored on the network;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상기 특정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및A source data retrieval unit for obtai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econd source data by performing a search on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and 상기 특정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 상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인 캔버스 영역을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화면 상의 상기 특정 영역의 주변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obtained by using the 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in a specific area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face providing unit providing a canvas area,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hybrid content can be generated by adding and edi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source data, around the specific area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네트워크 상의 원격 컴퓨터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hybrid content by combining source data stored in a remote computer on a network and source data stored in a user terminal, 상기 원격 컴퓨터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획득된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obtained by search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remote computer an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ource data obtained by searching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An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displaying a UI on the terminal device and providing a UI to allow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generate the hybrid content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상기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인 로컬 서버를 포함하되,A local server which is a server that searches for information on the second source data and manages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상기 로컬 서버는,The local server,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및A source dat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second source data;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저장, 조회, 수정,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a hybrid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storage, inquiry,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The interface providing unit, 검색 조건을 상기 원격 컴퓨터 및 상기 로컬 서버에게 송신한 후, 상기 원격 컴퓨터 및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상기 제1 및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after transmitting the search condition to the remote computer and the local serve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irst and second source data meeting the search condition from the remote computer and the local server. Device.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검색 조건은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nd the search condition is specifi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제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자체, The source data itself, 상기 소스데이터의 이름,The name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와 연관된 태그 정보,Ta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생성 시각 정보,Gen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Information included in metadata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가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썸네일,If the source data includes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thumbnails for the source data including the image or moving picture, 상기 소스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일부로 구성된 요약 정보, 및When the source data includes text data, summary information configured as part of the text data, and 상기 소스데이터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기인한 제1 소스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 for storing the first source data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source data is first source data originating from the remote serv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하여 조회, 수정, 삭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inquires, modifies, and deletes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단말 장치는, The terminal device,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제2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And a source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second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 상기 소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the source data search unit searches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source database. 제4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소스데이터베이스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The source database is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x database for the source data.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The interface providing unit, 상기 생성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 조회, 수정 및 삭제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nd a request for any one of a request for storing, inquiry,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generated hybrid content from a user. 제4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5,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The interface providing unit,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 조회, 수정 및 삭제에 관한 요청인 경우, 상기 로컬 서버의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에 상기 요청을 전송하고,If the request for the storage, inquiry,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hybrid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of the local server,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요청이 상기 원격 컴퓨터에 대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저장, 조회, 수정 및 삭제에 관한 요청인 경우, 상기 원격 컴퓨터에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when the request from the user is a request for storing, inquiring, modifying and deleting the hybrid content of the remote computer, transmitting the request to the remote computer. 제4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5, 상기 단말 장치는,The terminal device,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the hybrid content,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로컬 서버의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the content database is interlocked with 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of the local server.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The content database,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생성된 단말,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관한 시각 정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brid content, a terminal in which 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generates the hybri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nd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nd at least one of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hybrid content and information representing an access right to the hybrid content. 제4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8,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는,Spatial layout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내에서 소스데이터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of each source data in the hybrid content,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size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direc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어파인 변환 정보,Affine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포맷 변환 정보, 및Format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and 상기 소스데이터의 표시에 있어서 상호간의 전후관계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indicative of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n the display of the source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로컬 서버는,The local server,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와 상기 원격 컴퓨터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 사이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a synchroniz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remote computer. 제50항에 있어서,51. The method of claim 50, 상기 동기화부는,The synchronization unit,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와 상기 원격 컴퓨터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내용이 다를 때,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으로 양측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when the contents of the hybrid contents stored in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ntents of the hybrid contents stored in the remote comput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erminal apparatus is configured to match both sides with a recently updated version.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로컬 서버는,The local server, 상기 로컬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상기 원격 컴퓨터에 대한 정보를 취합,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a connection manager to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on the remote computer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local server. 제5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상기 접속 관리부는,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상기 원격 컴퓨터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mana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mputer that is allowed to access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제5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3, 상기 접속 관리부는,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하여 접근이 허용되는 수준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상기 원격 컴퓨터의 식별 정보와 대응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And managing information about a level of access to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in correspondenc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mputer to which access to the hybrid content is permitted.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device of a user via a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제1 소스데이터를 검색하는 소스데이터 검색부, 및A source dat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first source data from source data stored on the network using at least one condition information; and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검색함과 동시에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소스데이터를 대상으로 검색된 제2 소스데이터 및 상기 제1 소스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편집하여 생성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A hybrid generated by searching for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and editing the at least one of the second source data and the first source data searched for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System comprising a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a function for managing content.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소스데이터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플래쉬 및 이들의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source data comprises at least one of text, audio, image, video, flash, and combinations thereof.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The source data search unit,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receiv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to perform a search function. 제5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수신한 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the received condition information is specifi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The source data search unit 상기 시스템에 저장된 소스데이터 자체로부터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ata itself stored in the system.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시스템은, The system, 상기 시스템에 저장된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ource database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data stored in the system,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 상기 소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스데이터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the source data search unit searches for source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rce databas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제6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0, 상기 소스데이터베이스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색인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source database is an index database for the source data.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The source data search unit, 상기 시스템 외부의 원격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Communicate with a remote computer external to the system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제6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The source data search unit, 확장성 생성 언어(XML)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의해 상기 시스템 외부의 상기 원격 컴퓨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said remote computer outside of said system by a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Extensibility Generation Language (XML); 제6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 웹문서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1 소스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the source data retrieval unit crawls a web document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rce data from the remote computer. 제5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상기 소스데이터 검색부는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the source data retrieval unit retrieves the first source data and transmits the retrieved first sourc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제65항에 있어서,66. The method of claim 65,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by the terminal device. 제6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6,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receiving the hybrid content from the terminal device. 제6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7, 상기 소스데이터는, The source data is, 소스데이터의 이름,The name of the source data, 소스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 정보,Path information to obtain source data, 소스데이터와 연관된 태그 정보,Ta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ource data, 소스데이터의 생성 시각 정보,Cre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소스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Information contained in the metadata of the source data, 소스데이터가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상 또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소스데이터에 대한 썸네일,If the source data includes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thumbnails for the source data including the image or moving picture, 소스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일부로 구성된 요약 정보, 및When the source data includes text data, summary information configured as part of the text data, and 상기 소스데이터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기인한 제1 소스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 소스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 for storing the first source data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source data is first source data originating from the remote ser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제6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8,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receiving the hybrid content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storing the hybrid content in the system. 제6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상기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hybrid content,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store the hybrid content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in the content database. 제7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0,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의 하이브리드 컨텐츠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providing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to the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hybrid content inquiry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제7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1, wherein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의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수정 또는 삭제 요청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a request to modify or delete hybrid content of the terminal device,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modify or delete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제7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2,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The content database,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가 생성된 단말,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관한 시각 정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brid content, a terminal in which the hybrid content is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generates the hybri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nd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source data included in the hybrid content. And at least one of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hybrid content and information representing an access right to the hybrid content. 제7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3, 상기 수신된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포함된 소스데이터의 공간적 배치 정보는,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hybrid content is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내에서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in the hybrid content,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size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표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 Information indicating a display direc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 각각의 어파인 변환 정보,Affine transform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ource data, 상기 소스데이터의 포맷 변환 정보, 및Format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source data, and 상기 소스데이터의 표시에 있어서 상호간의 전후관계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indicative of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n the display of the source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제7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3,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관리부는,The hybrid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조회, 수정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이 있을 경우,When there is at least one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for inquiry,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hybrid content,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respond to the request with reference to the access authority information of the content database. 제6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9, wherein 상기 시스템은,The system, 상기 시스템 내에 저장되는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와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 사이에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synchronization unit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system and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제7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0, 상기 시스템은,The system, 상기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connection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 제77항에 있어서,78. The method of claim 77 wherein 상기 접속 관리부는,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상기 시스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man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at is allowed to access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of the system. 제7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8, 상기 접속 관리부는,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상기 시스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하여 접근이 허용되는 수준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하이브리드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와 대응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managing information about a level of access to the hybrid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of the system in correspondenc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which access to the hybrid content is permitted.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9항, 및 제2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6. A computer readout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8, 10-19, and 21-35. Media available.
KR1020070060776A 2007-06-20 2007-06-20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KR100796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776A KR100796046B1 (en) 2007-06-20 2007-06-20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776A KR100796046B1 (en) 2007-06-20 2007-06-20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046B1 true KR100796046B1 (en) 2008-01-21

Family

ID=3921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776A KR100796046B1 (en) 2007-06-20 2007-06-20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04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289A (en)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s using plural distributed storage servers
KR101485602B1 (en) 2008-04-14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image display
KR101848838B1 (en) * 2015-12-28 2018-05-28 주식회사 슈즈야 Sever For Mobile-Ap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43A (en)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온세통신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KR20070059865A (en) * 2005-12-07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rgence services using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KR20070060997A (en)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contents of home network using web ser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43A (en)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온세통신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KR20070059865A (en) * 2005-12-07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rgence services using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KR20070060997A (en)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contents of home network using web ser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02B1 (en) 2008-04-14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image display
KR20140083289A (en)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s using plural distributed storage servers
KR101969722B1 (en) 2012-12-26 2019-07-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s using plural distributed storage servers
KR101848838B1 (en) * 2015-12-28 2018-05-28 주식회사 슈즈야 Sever For Mobile-Ap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701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using an image catalog
US7797295B2 (en) User content feeds from user storage devices to a public search engine
US9396275B2 (en) Geographically partitioned online search system
US11948473B2 (en) Assignments for classrooms
US112269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exploration of forensic data
US9235636B2 (en) Presenting data in response to an incomplete query
US20080201304A1 (en) Federated searches implemented across multiple search engines
US201401955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ntent items in a collections view
US8874521B2 (en) Management of multimedia content
CN105659234A (en) Pervasive search architecture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US10607498B2 (en) Releasing assignments to students
US20070174764A1 (en) Data Collection
US20140317128A1 (en) Natural language search
KR100796046B1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contents
US20060116992A1 (en) Internet search environment number system
EP3616094A1 (en) Managing metadata for external content within a computing environment
JP63761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827847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o create and control hybrid-contents
US9798578B2 (en) Enabling native application capabilities based on object capabilities
Cox et al. Accessing Australian geodynamic information: The AGCRC website
Zeng et al. The Construction and Information Service Mode Exploration of the Handheld Smart Library Platform based on Web Certification
JP2013238960A (en) Wiki page providing system
CN103970780A (en) Multimedia device and index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08226018A (en) Data disclosu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