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36B1 -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 Google Patents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36B1
KR100793736B1 KR1020060017793A KR20060017793A KR100793736B1 KR 100793736 B1 KR100793736 B1 KR 100793736B1 KR 1020060017793 A KR1020060017793 A KR 1020060017793A KR 20060017793 A KR20060017793 A KR 20060017793A KR 100793736 B1 KR100793736 B1 KR 10079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ubchannel
main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7415A (en
Inventor
윤상현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36B1/en
Priority to EP07001350A priority patent/EP1848212B1/en
Priority to CN2007100080415A priority patent/CN101026702B/en
Priority to US11/710,682 priority patent/US7870583B2/en
Publication of KR2007008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36B1/en
Priority to US12/958,964 priority patent/US201100724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6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rota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26D2011/005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kind of cutters, e.g. two serial slitters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al cutter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하나의 주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상기 하나의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정지영상을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출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정지영상을 소정 주기로 갱신하는 정지영상 갱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채널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채널의 영상 정보를 소정 주기로 갱신함으로써 다채널의 최근 영상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mpris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for one main channel and at least one subchannel; A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real time broadcast data of the one main channel and a still image of the at least one subchannel on a single screen; And a still image updating unit updating the still image for the at least one subchannel at a predetermined perio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latest image information of the multi-channel at the same time by upda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in channel at a predetermined cycle.

디지털 방송, 다채널, 동시화면, EPG, 채널 전환, I-프레임 Digital Broadcast, Multi-Channel, Sync, EPG, Channel Switching, I-Frame

Description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multiple channels of video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도 2는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예시도,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channel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curren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서 부채널의 I-프레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I-프레임 정보 관리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frame information management table for managing I-frame information of a sub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a multi-channel image us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a multi-channel image us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서 처리되는 엠펙(MPEG) 영상 데이터에 대한 구성 예들,10 illustrates configuration examples of MPEG image data processed by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서 다채널의 영상을 멀티 출력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11A and 11B illustrate examples of screens for multi-outputting images of multiple channels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multiple channels of vide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특히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is a broadcasting service that digitally modulates various multimedia signals such as voice and video, and is particularly a personal portable receiver or a vehicle receiver equipped with an omni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Through a broadcast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to receive a variety of multimedia broadcast on the go.

한편 대용량의 디지털 멀티미디어(예컨대, 동영상, 뮤직비디오 등)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탑재기술이 발달하고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디엠비(DMB) 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동 중에 상기 DMB 폰을 이용하여 DMB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Meanwhile, as a technology for mounting a memory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digital multimedia (eg, a video, a music video, etc.) has been develop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widely us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a DMB) capable of receiving the DMB data has recently been developed. (DMB) phone)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us, users can watch DMB using the DMB phone while on the move.

이러한 DMB는 통상적으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칭함)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DMB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 외의 다른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EPG 메뉴를 수동으로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EPG 정보는 채널명이나 방송 시간 등과 같은 텍스트 기반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EPG 정보만으로 해당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없었다.The DMB typically provid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us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PG'). Therefore, when a user who is watching a DMB wants to check information about channels other than the channel currently being viewed, the user must manually select an EPG menu. In addition, the EPG information provides text-based information such as a channel name or broadcast time, so that the user cannot intuitively recogniz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using only the EPG information.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EPG 정보 제공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이미지 기반 EPG 정보 제공 방법은 각 프로그램 별로 미리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프로그램이 방송중인 채널의 EPG 정보를 제공하거나, EPG 정보가 요청된 시점에 채널별로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의 EPG 정보를 제공한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providing EPG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has been proposed.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image-based EPG information provides an EPG information of a channel on which a program is broadcast by using image data preset for each program, or an image extracted from video data received for each channel at the time when EPG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EPG information of the channel is provided using the data.

즉 종래에는 프로그램 별로 고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EPG 정보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각 채널별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최근 영상 정보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채널 선택시 해당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최근 영상 정보를 참고할 수 없었다. That is, in the related art, EPG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fixed image data for each program.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program information that changes over time. As a result, the user could not know the latest image information of the program being broadcast for each channel. Therefore, when selecting a channel, it was not possible to refer to the latest video information of the program being broadcast on the channe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채널의 최근 영상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편리하게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convenient user's channel selection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latest image information of the multi-channel.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주 채널 화면과 최근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부 채널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부 채널 중 하나와 주 채널 화면을 선택함으로써 주/부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gital display for performing main / sub channel switching by displaying a main channel screen for outputting real-time image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ub channel screens for displaying recent image information, and selecting one of the sub channels and the main channel scree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하나의 주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상기 하나의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정지영상을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출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정지영상을 소정 주기로 갱신하는 정지영상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for one main channel and at least one subchannel; A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real time broadcast data of the one main channel and a still image of the at least one subchannel on a single screen; And a still image updater for updating the still image for the at least one subchannel at a predetermined period.

이 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수신채널정 보를 설정하는 채널 설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In this cas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reception channel inform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unit.

또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부채널의 수신채널정보를 변경 설정하되, 다수의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는 채널 목록을 저장하고 상기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부채널을 위한 수신채널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may change and set the reception channel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based on a preset channel change condition, store a channe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hannel information and include the channel list in the channel list based on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lect one or more channels sequentially and set as a reception channel for a subchannel.

이 때 상기 채널 목록은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부채널의 개수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정보들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채널 정보들 또는 이전 시청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생성된 다수의 선호 채널 정보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hannel list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channel information as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and the channel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or previous viewing information. It is preferably one of the preferred channel information of.

또한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은 사용자의 변경 요청 입력,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주기 및 현재 수신 채널의 I-프레임 데이터 검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nnel change condition may be any one of a user input of a change request, a preset channel change period, and I-frame data detection of a current reception channel.

또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 사용자의 채널 변경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 변경 요청시 함께 입력된 채널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may set a reception channe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input when the channel change request is in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a channel change request.

또한 상기 정지영상 갱신부는 상기 부채널 데이터의 I-프레임 전송 주기마다 상기 부채널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는 I-프레임 검출부; 및 상기 I-프레임 데이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응된 부채널에 대한 I-프레임 데이터를 갱신 저장하는 I-프레임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ill image upd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frame detector which detects I-frame data from the subchannel data at every I-fram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ubchannel data; And an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updating and storing I-frame data for a corresponding subchannel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I-frame data.

또한 상기 I-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부채널 데이터의 I-프레임 전송 주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주기마다 수신되는 데이터를 I-프레임 데이터로 검출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를 I-프레임 데이터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frame detector may pre-store I-frame transmission period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data and detect data received for each period as I-frame data, or compare the sizes of the received data streams so that their size is relatively small. It is desirable to detect large data as I-frame data.

또한 상기 I-프레임 저장부는 상기 부채널을 위한 수신채널로 설정된 채널별로 I-프레임 데이터를 저장 및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frame storage unit preferably stores and updates I-frame data for each channel set as a reception channel for the subchannel.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상기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채널 버퍼부; 및 상기 주채널 버퍼부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 데이터 및 상기 I-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I-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may include a main channel buffer unit configured to store real-time broadcast data for the main channel; And an image synthesizer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 output information by using real-tim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and I-frame data stored in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이 때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I-프레임 정보 저장부로부터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부채널의 개수로 미리 설정된 개수와 동일한 수의 I-프레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채널의 비디오 신호와 합성함으로써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mage synthesizing unit sequentially selects the same number of I-frame data as the preset number as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simultaneously output on the screen from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synthesizes the video signal of the main channel. It is desirable to generate screen output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는 상기 동시에 수신된 채널들 각각에 대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의 출력단에서 주채널 전송 경로와 부채널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demultiplexer for separat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for each of the simultaneously received channels; And a first switch for changing a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and a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demultiplexer.

또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 상기 주채널과 부채널이 각각 하나씩인 경우, 사용자의 주/부채널 전환 요청 또는 기 저장된 주/부 채널 전환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전송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controls to chang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switch based on a user's main / sub channel switching request or a pre-stored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when the main channel and the sub channel are each one. It is desirable to output a signal.

이 때 상기 주/부 채널 전환 조건은 주/부채널 전환 주기 또는 주/부채널 전환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preferably a main / sub channel switching period or a main / sub channel switching time.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상기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채널 버퍼부; 상기 부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채널 버퍼부; 상기 주채널 버퍼부 또는 부채널 버퍼부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데이터 및 상기 I-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I-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합성부; 및 상기 주채널 버퍼부 또는 부채널 버퍼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영상 갱신부는 상기 주채널 전송 경로 또는 부채널 전송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may include a main channel buffer unit configured to store real-time broadcast data for the main channel; A subchannel buffer for storing real-time broadcast data for the subchannels; An image synthesizer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 output information using real-tim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or sub-channel buffer unit and I-frame data stored in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switch unit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either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or the subchannel buffer uni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and wherein the still image update unit selects either the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or the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또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 사용자의 주/부채널 전환 요청 또는 기 저장된 주/부 채널 전환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의 전송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s of the switch unit and the second switch based on a user's main / sub channel switching request or a pre-stored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이 때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 버퍼부 또는 부채널 버퍼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 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주채널의 전송경로와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부채널 버퍼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부채널의 전송경로와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주채널 버퍼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witch unit connects an output terminal of either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or the subchannel buffer uni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zer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and the second switch transmits the main channel. When the path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is connecte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ub-channel buffer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ub-channe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Preferably,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channel buffer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또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의 전송경로 또는 부채널 전송경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주채널 버퍼부를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한 경우 상기 부채널 전송경로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부채널 버퍼부를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한 경우 상기 주채널 전송경로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witch may connect any one of the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and the sub channel transmission path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wherein the switch unit includes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When the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the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ion unit, and when the switch unit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the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is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상기 정지영상들을 각각 특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preferably outputs the real-time broadcast data and the still image by dividing each into a specific area.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특정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표시 영역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주/부채널 전환 또는 해당 영역의 확대 표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of user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the specific regions, and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is based on the display area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y one of subchannel switching or enlarged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region.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상기 주채널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 선택정보가 입력된 경우 미리 저장된 확대 표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area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main channel region is input, the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preferably enlarges the main channel region based on pre-stored enlarged display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상기 부채널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 선택정보가 입력된 경우 대응된 부채널과 주채널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area selection information for one of the subchannel areas is input,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may switch the corresponding subchannel and the main channe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통상적인 DMB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특히 도 1은 위성 DMB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DMB system. In particular,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a satellite DMB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위성 DMB 시스템은 방송국(100), 디지털 방송 위성(200), 중계기(Gap Filler)(300) 및 DMB 수신기(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atellite DMB system includes a broadcasting station 100, a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200, a gap filler 300, and a DMB receiver 400.

방송국(100)은 동영상, 뮤직비디오, 드라마 등 각종 방송 신호(14 GHz)를 생성하여 디지털 방송 위성(200)으로 송출하고, 디지털 방송 위성(200)은 방송국(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14 GHz)를 수신하여 지상으로 2.6 GHz 대역 또는 14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중계기(Gap Filler)(300)는 디지털 방송 위성(200)으로부터 14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2.6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DMB 수신기(400)는 디지털 방송 위성(200) 또는 중계기(300)로부터 2.6 GHz 대역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ing station 100 generates various broadcasting signals (14 GHz) such as moving images, music videos, dramas, and transmits them to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200, and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200 broadcasts the broadcasting signals 14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100. GHz)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of 2.6 GHz band or 14 GHz band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Gap Filler 30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of a 14 GHz band from the digital broadcast satellite 200 and outputs a broadcast signal of a 2.6 GHz band. Then, the DMB receiver 400 receives the broadcast signal of the 2.6 GHz band from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200 or the repeater 300.

이와 같은 위성 DMB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엠펙(Motion Picture Experts Group, 이하 'MPEG'이라 칭함)-4 규격으로 생성된 컨텐츠를 MPEG-2 TS(Transport Stream)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즉 방송국(100)에서는 MPEG-4 규격으로 생성된 컨텐츠를 MPEG-2 TS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MPEG-2 TS 형태로 디지털 방송 위성(200) 및 중계기(300)를 거친 DMB 데이터는 DMB 수신기(400)에서 수신된 후 다시 MPEG-4 형태로 변환된다.Such a satellite DMB system typically transmits content generated according to MPEG (Motion Picture Experts Gr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MPEG')-4 standard using MPEG-2 Transport Stream (TS). That is, the broadcasting station 100 converts the content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PEG-4 standard into the MPEG-2 TS and transmits them, and the DMB data passed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200 and the repeater 300 in the MPEG-2 TS format is a DMB receiver ( And then converted back to MPEG-4 format.

이러한 DMB 방송 규격에 따르면 DMB 시스템은 다수개의 CDM(Code Division Multiplex) 채널을 통해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CDM 채널의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DMB broadcasting standard, the DMB system provides a broadcasting service through a plurality of code division multiplex (CDM) channels, and an example of such a CDM channel is illustrated in FIG. 2.

도 2는 현재 DMB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즉, CMD 채널)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CDM 채널은 CDM 채널의 구성 정보, 즉 파일럿 정보를 전송하는 파일럿(pilot) 채널, DMB 방송의 수신에 대한 인증정보, 즉 수신자 제한 정보를 전송하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채널,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 즉 디지털 방송 채널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채널, 및 실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 데이터, 즉 방송 트래픽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AV 방송 채널(일명, 미디어 채널)을 포함한다.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channel (ie, a CMD channel) for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in a current DMB system. Referring to FIG. 2, the CDM channel is a pilot for transmit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DM channel, that is, pilot information. A channel, a 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channel transmi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receiving DMB broadcasting, that is, a receiver restriction information, an EPG channel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service channel, that is, a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guid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AV broadcast channel (also called a media channel) that transmits actual transport stream packet data, that is, broadcast traffic.

이 때 상기 AV 방송 채널은 비디오 방송의 경우에는 두 개의 CDM 채널로, 오디오 방송의 경우에는 한 개의 CDM 채널로 구성된다. 따라서 DMB 시스템은 상기 AV 방송 채널의 수를 늘림으로써, 동시에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의 수를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채널의 DMB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V broadcast channel is composed of two CDM channels in the case of video broadcasting and one CDM channel in the case of audio broadcasting. Accordingly, the DMB system can add the number of broadcast channels that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AV broadcast channels. That is, the multi-channel DMB data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현재는 통상적으로 4개의 CDM 채널을 AV 방송 채널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 서 비디오 방송 2개 또는 비디오 방송 1개와 오디오 방송 2개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Currently, four CDM channels can be used as AV broadcast channels. Therefore, two video broadcasts or one video broadcast and two audio broadcasts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본 발명은 이러한 CDM 채널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2개의 CDM 채널은 하나의 수신 채널을 유지하면서 그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CDM 채널은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다수의 수신 채널을 변경하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하나의 수신 채널을 '주 채널', 상기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변경되는 다수의 수신 채널을 '부 채널'이라 한다. 이 때 상기 변경 조건은 사용자의 변경 요청, 기 설저된 변경 주기 및 부채널의 I-프레임 데이터 검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채널의 '변경 조건'에 대하여는 이하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DM channel, and the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receives broadcast data of two CDM channels while maintaining one reception channel, and at least one CDM channel changes a preset channel. Based on the condition, broadcast data is received while changing a plurality of reception channels. Hereinafter, one reception channel continuously received is referred to as a 'main channel', and a plurality of reception channels changed based on the change condition are referred to as 'sub channels'. In this case, the change condition is preferably any one of a change request of a user, a preset change period, and I-frame data detection of a subchannel. The 'change condition' of the subchan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100)는 DMB 모듈(110), TS 디멀티플렉서(120), 주채널 버퍼(130), 부채널 처리부(140), A/V 코덱(150), 영상 합성부(160), DMB 출력부(170), 채널 설정 제어부(180) 및 입력부(190)를 포함한다.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MB module 110, a TS demultiplexer 120, a main channel buffer 130, a subchannel processor 140, and an A / V. A codec 150, an image synthesizer 160, a DMB output unit 170, a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and an input unit 190 are included.

DMB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응한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해당 방송 채널에 대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DMB 모듈(110)은 채널 설정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된 수신채널정보에 의거하여 주채널 및 부채널 각각에 대응한 왈쉬 코드(walsh code) 값을 설정한 후 그 왈쉬 코드를 이용하여 주채널 및 부채널로 설정된 채널의 TS 데이터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이 때 DMB 모듈(110)은 상기 필터링된 TS 데이터들을 출력하기 전에 대응된 채널 정보를 부가한 후 디인터리빙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왈쉬 코드(walsh code)는 MPEG-2 TS로 전달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특정 채널의 TS 패킷 데이터만을 필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 값이다. The DMB module 110 selects and receive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channel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a user, and outputs transport stream data for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In particular, the DMB module 110 sets a Walsh cod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based on the received channe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and then uses the Walsh code to use the main channel. And filter only the TS data of the channel set as the subchannel. At this time, the DMB module 110 adds the corresponding channel information before outputting the filtered TS data and then performs deinterleaving. Meanwhile, the Walsh code is a code value used to filter only TS packet data of a specific channel from broadcast data delivered to MPEG-2 TS.

TS 디멀티플렉서(120)는 DMB 모듈(110)로부터 전달된 TS 데이터로부터 주/부채널 데이터를 분리한 후 MPEG-4 형태의 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이 때 주채널의 데이터는 주채널 버퍼(130)로 전달하고, 부채널의 데이터는 부채널 처리부(240)로 전달한다.The TS demultiplexer 120 separates main / subchannel data from the TS data transferred from the DMB module 110 and detects and outputs MPEG-4 data. At this time, the data of the main channel is transferred to the main channel buffer 130, and the data of the subchannel is transferred to the subchannel processor 240.

주채널 버퍼(130)는 TS 디멀티플렉서(120)를 통해 전달된 주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주채널 버퍼(130)는 상기 방송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주채널 버퍼(13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 버퍼(131),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버퍼(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오디오 버퍼(131) 및 비디오 버퍼(133)는 해당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한다. The main channel buffer 130 stores broadcast data of the main channel transmitted through the TS demultiplexer 120. In particular, the main channel buffer 130 stores audio data and video data separately from the broadcast data. To this end, the main channel buffer 130 preferably includes an audio buffer 131 for storing audio data and a video buffer 133 for storing video data. At this time, the audio buffer 131 and the video buffer 133 store corresponding audio data and video data in digital form.

부채널 처리부(140)는 TS 디멀티플렉서(120)를 통해 전달된 부채널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한 후 그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의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부채널 처리부(140)는 I-프레임을 검출하는 I-프레임 검출부(141)와, 상기 검출된 I-프레임을 대응된 부채널 정보와 함께 저장하 는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channel processor 140 detects video data from the broadcast data of the subchannel transmitted through the TS demultiplexer 120 and then detects and stores data of the I-frame from the video data. To this end,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may include an I-frame detector 141 for detecting an I-frame, and an I-frame information storage 143 for storing the detected I-frame together with corresponding subchannel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이 때 상기 'I-프레임'은 인트라(Intra) 프레임으로, MPEG에 의해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Stream)에 'P-프레임' 및 'B-프레임'과 함께 또는 'P-프레임'과 함께 포함되며, MPEG에 의한 비디오 압축 및 복원시 필요한 기준 이미지 정보이다. 따라서 I-프레임은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에 일정 주기(위성 DMB의 경우 0.5초) 마다 포함된다. 또한 I-프레임 데이터는 P 프레임 데이터 및 B 프레임 데이터 보다 그 크기가 크다. 예를 들어 P-프레임 데이터의 경우 I-프레임 데이터의 1/10 정도이다.In this case, the 'I-frame' is an intra frame, and is included in the video data stream compressed by MPEG together with 'P-frame' and 'B-frame' or together with 'P-frame'. And reference image information required for video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by MPEG. Thus, an I-frame is included in the MPEG video data stream every certain period (0.5 seconds for satellite DMB). In addition, I-frame data is larger in size than P frame data and B frame data. For example, P-frame data is about 1/10 of I-frame data.

따라서 I-프레임 검출부(141)는 TS 디멀티플렉서(120)로부터 전달된 부채널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다. 즉 상기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I-프레임 전송 주기마다 상기 부채널 방송 데이터로브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다. 만약 DMB 모듈(210)에서 부채널 수신을 위해 하나의 CDM 채널만 설정한 경우 부채널 처리부(140)로 전달되는 부채널의 방송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만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므로 I-프레임 검출부(141)는 그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을 검출한다. 하지만 DMB 모듈(210)에서 부채널 수신을 위해 2개의 CDM 채널을 설정한 경우 부채널 처리부(140)로 전달되는 부채널의 방송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것이다. 그러므로 I-프레임 검출부(141)는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I-프레임 검출부(141)는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한 후 그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I-frame detector 141 detects I-frame data from broadcast data of subchannels transmitted from the TS demultiplexer 120. That is, the subchannel broadcast data rotator I-frame data is detected at every I-fram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ubchannel broadcast data. If only one CDM channel is set in the DMB module 210 for subchannel reception, the subchannel broadcast data transmitted to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will include only video data. Therefore, I-frame detector 141 detects I-frames from the video data. However, when two CDM channels are configured for subchannel reception by the DMB module 210, the broadcast data of the subchannels transmitted to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may include both video data and audio data.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frame detector 141 further performs a process of detecting video data from the broadcast data. That is, the I-frame detector 141 preferably detects the video data from the broadcast data and then detects the I-frame data from the video data.

또한 I-프레임 검출부(141)는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으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사전에 I-프레임 전송 주기 정보를 저장하고 그 주기마다 수신되는 데이터를 I-프레임 데이터로 검출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를 I-프레임 데이터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frame detector 141 stores I-frame transmission period information in advance in order to detect I-frame data from a stream of video data, and detects or receives received data as I-frame data for each period. It is desirable to compare the data size of the data stream and to detect data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as I-frame data.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는 I-프레임 검출부(141)에서 검출된 I-프레임 데이터와 상기 검출된 I-프레임을 대응된 부채널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즉 상기 I-프레임 전송 주기 마다 대응된 채널에 대한 I-프레임 데이터를 갱신 저장한다.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stores the I-frame data detected by the I-frame detector 141 and the sub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frame. That is, the I-frame data for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updated and stored for each I-frame transmission period.

이는 소정의 채널 변경 주기를 가지고 변경되는 다수의 부채널들에 대한 I-프레임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 영상 합성부(160)에서 각각의 부채널들(특히, 이전 부채널)에 대한 I-프레임 이미지를 참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는 미리 설정된 부채널 개수 이상의, 즉, 주채널 영상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부채널의 개수 이상의 부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I-프레임 정보의 저장 예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I-프레임 정보 관리 테이블(40)은 채널 식별기호(41)와 I-프레임 정보(43) 필드를 포함하고 각 채널에 대응된 I-프레임 정보를 저장한다.When the I-frame image of a plurality of subchannels changed with a predetermined channel change period is to be displayed on one screen, the image synthesizer 160 is assigned to each subchannel (especially, the previous subchannel). This is for reference to an I-frame image. To this end,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preferably stores subchannel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subchannels, that is, the number of subchannels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the main channel image. An example of storing such I-frame information is illustrated in FIG. 5. Referring to FIG. 5, the I-frame information management table 40 includes a channel identifier 41 and an I-frame information 43 field, and stores I-fr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hannel.

A/V 코덱(150)은 주채널 버퍼(230)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A/V 코덱(150)은 오디오 신호와 영상신호를 출력한다.The A / V codec 150 decodes and outputs digital audio data and video data from the main channel buffer 230. That is, the A / V codec 150 outputs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영상 합성부(160)는 다채널의 영상을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하기 위해 주채널 버퍼(130)를 거쳐 A/V 코덱(160)에서 디코딩된 주채널 영상과 부채널 처리부(140)에서 출력된 다수의 부채널 이미지를 합성한다. 특히 상기 주채널 영상과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에 저장된 채널별 I-프레임 데이터를 합성한다. 이 때 영상 합성부(160)는 주채널 영상과 함께 출력하기 위한 부채널의 개수로 미리 설정된 부채널 개수를 저장하고,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로부터 상기 부채널 개수에 해당하는 수의 I-프레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채널 영상과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synthesizer 160 outputs the main channel image decoded by the A / V codec 160 and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through the main channel buffer 130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multi-channel image on one screen. Compose multiple subchannel images. In particular, the channel-specific I-frame data stored in the main channel image and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are synthesized. At this time, the image synthesizing unit 160 stores the number of preset subchannels as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hannel image, and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ubchannels from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It is preferable to sequentially select I-frame data and to synthesize the main channel image.

DMB 출력부(170)는 A/V 코덱(15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71)와, 영상 합성부(16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73)를 포함한다. 특히 표시부(173)는 영상 합성부(16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주채널과 부채널 데이터의 비디오 신호를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MB output unit 170 includes a speaker 171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codec 150 and a display unit 173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ynthesizer 160. do.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73 preferably outputs the video signals o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data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image synthesizing unit 160.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수신할 채널 정보를 설정하여 DMB 모듈(110)에게 전달한다. 특히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주채널 정보와 부채널 정보를 설정하여 DMB 모듈(11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이용한다. 이 때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부채널 정보 또는 이전 시청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생성된 다수의 선호 채널 정보들에 대한 채널 목록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DMB 모듈(110)에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채널 목록은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부채 널의 개수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sets channel information to be received and transmits the received channel information to the DMB module 110. In particular,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sets the main channel information and the subchanne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m to the DMB module 110. To this end,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uses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90. At this time,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stores a channel list of a plurality of favorite channel information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sub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or previous viewing information, and stores the channel list based on a preset channel change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quentially select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list and deliver them to the DMB module 110. In particular, the channel list preferably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as the number of fan nulls to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또한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은 사용자의 변경 요청,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주기 및 현재 부채널의 I-프레임 데이터 검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이 사용자의 변경 요청인 경우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상기 채널 변경 요청시 함께 입력된 채널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nnel change condition may be any one of a user change request, a preset channel change period, and I-frame data detection of the current subchannel. If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is a user change request,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may set a reception channel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input together with the channel change request.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이 사용자의 변경 요청이거나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주기인 경우 DMB 모듈(110)은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이전에 설정된 부채널을 수신채널로 유지하고, 부채널 처리부(140)는 상기 부채널의 I-프레임 전송 주기마다 해당 부채널의 영상을 갱신한다. 즉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에 저장된 I-프레임 정보를 갱신한다. When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is a user change request or a preset channel change period, the DMB module 110 maintains a previously set subchannel as a reception channel until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subchannel is updated at every I-fram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ubchannel. That is, the I-frame information stored in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is updated.

따라서 DMB 출력부(170)는 주채널 버퍼(130)를 거쳐 전달된 주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동시에 I-프레임 정보 저장부(143)에 저장된 부채널별 I-프레임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부채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현재 부채널로 설정된 채널 정보가 변경될 때까지 현재 부채널의 I-프레임 전송 주기로 현재 부채널의 영상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ly, the DMB output unit 170 outputs the broadcast data of the main channel transferred through the main channel buffer 130 and is set in advance based on the I-frame information for each subchannel stored in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3. Displays a number of subchannel images, but updates and displays the current subchannel image at an I-frame transmission period of the current subchannel until the channel information set as the current subchannel is changed.

특히 I-프레임의 데이터 검출에 의한 부채널 변경을 위해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I-프레임 검출부(141)로부터 특정 부채널에 대한 I-프레임이 검출되었음을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I-프레임은 상기한 바와 같이 MPEG 압축 및 복원을 위한 기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므로 I-프레임의 정보만으로 해당 부채널의 영 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I-프레임의 데이터 검출에 의한 부채널 변경은 특정 부채널의 I-프레임이 검출된 경우 해당 부채널의 영상을 상기 I-프레임 이미지로 갱신한 후 다음 부채널의 영상을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change the subchannel by detecting the data of the I-frame,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preferably receives from the I-frame detector 141 that an I-frame for a specific subchannel has been detected. At this time, since the I-frame includes reference image information for MPEG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subchannel using only the information of the I-frame. Accordingly, when the subchannel is changed by data detection of the I-frame, when the I-frame of the specific subchannel is detected, the image of the subchannel is updated with the I-frame image and then the image of the next subchannel is received.

따라서 본 발명은 주채널의 방송을 출력하면서 다수의 부채널들에 대한 최근 영상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recent imag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subchannels while outputting the broadcast of the main channel.

한편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부채널의 변경을 위한 채널 목록을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그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부채널 정보를 선택 또는 변경하면서 그 채널 정보를 DMB 모듈(110)에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selects or changes the subchannel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whenever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without storing the channel list for changing the subchannel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deliver to the DMB module 110.

또한 입력부(190)를 통해 주채널 변경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그 정보에 의거하여 주채널 정보를 변경한다. 즉 채널 설정 제어부(180)는 DMB 모듈(110)에서 수신할 주채널 정보와 부채널 정보를 설정하되, 주채널 정보가 고정된 상태에서 다수의 부채널 정보를 변경하도록 DMB 모듈(110)을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channel chang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90,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changes the main channel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is,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sets the main channel information and the subchannel information to be received by the DMB module 110, but controls the DMB module 110 to change a plurality of subchannel information while the main channel information is fixed. do.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200)는 DMB 모듈(210), TS 디멀티플렉서(220), 주채널 버퍼(230), 부채널 처리부(240), A/V 코덱(250), 영상 합성부(260), DMB 출력부(270), 채널 설정 제어부(280) 및 입력부(290)를 포함한다. 특히 도 4는 도 3에 예시된 DMB 수신 장치에서 여유 CDM 채널이 더 있는 경우 한꺼번에 2개의 부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MB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DMB receiv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MB module 210, a TS demultiplexer 220, a main channel buffer 230, a subchannel processor 240, and an A / V. A codec 250, an image synthesizer 260, a DMB output unit 270, a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280, and an input unit 290 are included. In particular, FIG. 4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wo subchannel information are received at once when there is an additional CDM channel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따라서 상기 장치들 각각은 도 3에 예시된 장치들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 Thus, each of the devices is similar in function to the devices illustrated in FIG. 3.

즉 DMB 모듈(210)은 도 3의 DMB 모듈(110)과, TS 디멀티플렉서(220)는 도 3의 TS 디멀티플렉서(120)와, 주채널 버퍼(230)는 도 3의 주채널 버퍼(130)와, 부채널 처리부(240)는 도 3의 부채널 처리부(140)와, A/V 코덱(250)은 도 3의 A/V 코덱(150)과, 영상 합성부(260)는 도 3의 영상 합성부(160)와, DMB 출력부(270)는 도 3의 DMB 출력부(170)와, 채널 설정 제어부(280)는 도 3의 채널 설정 제어부(180)와, 입력부(290)는 도 3의 입력부(190)와 그 기능이 유사하다. That is, the DMB module 210 is the DMB module 110 of FIG. 3, the TS demultiplexer 220 is the TS demultiplexer 120 of FIG. 3, and the main channel buffer 230 is the main channel buffer 130 of FIG. 3. The subchannel processor 240 is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of FIG. 3, the A / V codec 250 is the A / V codec 150 of FIG. 3, and the image synthesizer 260 is the image of FIG. 3. The synthesis unit 160, the DMB output unit 270, the DMB output unit 170 of FIG. 3,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280,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of FIG. 3, and the input unit 290 of FIG. 3. The input unit 190 and its function is similar.

다만 부채널 처리와 관련된 장치들은 수신된 부채널의 증가함으로 인해 부채널 처리가 달라진다.However, the apparatuses related to the subchannel processing have different subchannel proces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ceived subchannel.

예를 들어 채널 설정 제어부(280)는 DMB 모듈(210)로 채널 설정정보를 전달할 때 하나의 주채널 정보와 두 개의 부채널 정보를 한꺼번에 설정하여 전달하고, DMB 모듈(210)은 상기 채널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3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한 왈쉬 코드(walsh code) 값을 설정한 후 그 왈쉬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주채널 및 2개의 부채널에 대응된 TS 데이터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TS 디멀티플렉서(220)는 DMB 모듈(210)로부터 전달된 TS 데이터로부터 주채널과 제1 및 제2 부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분리한 후 MPEG-4 형태의 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280 transmits the channel setting information to the DMB module 210, one channel information and two subchannel information are set and delivered at the same time, and the DMB module 210 transmits the channel setting information. After setting Walsh code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ee channels, the TS data corresponding to the main channel and the two subchannels are filtered and output using the Walsh code. Then, the TS demultiplexer 220 separates data for the primary channel and the first and second subchannels from the TS data transferred from the DMB module 210, and then detects and outputs the MPEG-4 data.

한편 부채널 처리부(240)는 다수의 부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한꺼번에 처리됨으로 인하여 각 채널별 I-프레임 검출부를 각각 포함한다. 즉 제1 부채널에 대한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I-프레임 검출부 1(241)와, 제2 부채널에 대한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I-프레임 검출부 2(242) 및 상기 I- 프레임 검출부 1(241) 및 I-프레임 검출부 2(242)로부터 전달된 채널별 I-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I-프레임 정보 저장부(243)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subchannel processor 240 includes an I-frame detector for each channel because the broadcast data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subchannels is processed at one time. That is, I-frame detector 1 241 for detecting I-frame data for the first subchannel, I-frame detector 2 242 for detecting I-frame data for the second subchannel, and I An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243 for storing channel-specific I-frame data transferred from the frame detector 1 241 and the I-frame detector 2 242.

상기한 바와 같이 도 4는 동시에 수신되는 부채널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DMB 모듈(210), TS 디멀티플렉서(220), 부채널 처리부(240) 및 채널 설정 제어부(280)의 기능이 달라진다. 한편 상기 장치들 이외의 장치들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들 이외의 장치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4, the functions of the DMB module 210, the TS demultiplexer 220, the subchannel processor 240, and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280 are changed as the subchannels simultaneously received increase. Meanwhile, devices other than the above devices operate similarly to those illustrated in FIG. 3.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evice other than the above devices will be omitted.

도 4는 도 3의 DMB 수신 장치에서 동시 수신 가능한 부 채널의 수를 하나 증가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동시 수신 가능한 부 채널의 수가 하나 또는 둘 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주채널과 다수의 부채널 영상 정보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예시된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부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최근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주채널과 동시 수신되는 부채널의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부채널의 수는 CDM 처리를 위한 DMB 모듈의 성능 개선에 따라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of subchannels that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is increased by one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of FIG.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e or two subchannels that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imultaneously displaying a main channel and a plurality of subchannel image information, and providing recent imag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ubchannels sequentially selec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hannel change condition. It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subchannels received. The number of subchannels may increase as the performance of the DMB module for CDM processing improves.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DMB 수신 장치로 약칭할 것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a multi-channel image using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multiple channels of images using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Hereinafter,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ill be abbreviated as DMB receiving apparatuses.

먼저 상기 DMB 수신 장치는 다수의 채널 수신을 위한 채널 정보를 설정한다 (S105). 예를 들어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 정보와 부채널 정보를 설정한다. 이 때 DMB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부채널 정보 또는 이전 시청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생성된 다수의 선호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채널 목록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부채널 정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은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Firs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sets channel information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channels (S105). For example, the DMB receiving apparatus sets main channel information and subchanne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MB receiving apparatus stores a channel list generated by using a plurality of sub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or a plurality of favorite channel information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previous viewing information, and based on a preset channel change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quentially select channels included in the list and to set subchannel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is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

그리고 DMB 시청을 개시하면(S110) DMB 수신 장치는 상기 과정(S105)에서 설정된 다수의 채널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후(S115),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 중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를 분리 검출한다(S120). 이는 상기 수신 과정(S115)에서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가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혼합된 상태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분리 검출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3을 참조한 TS 디멀티플렉서(120)의 기능 설명에 언급된 바와 유사하다.When the DMB viewing is started (S110), the DMB receiving apparatus receives broadcast data for a plurality of channels set in step S105 (S115), and then separates main channel data and subchannel data amo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It is detected (S120). This is because the main channel data and the subchannel data are interleaved in the receiving process S115 and delivered in a mixed state. In this case, a specific process for the separation detection is similar to that mentioned in the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TS demultiplexer 120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과정(S120)에서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를 분리 검출한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 데이터를 저장한다(S125). 그리고 부채널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 후(S130) 검출된 I-프레임 데이터를 부채널 별로 저장한다(S135). 이 때 부채널의 처리를 위한 상기 과정들(S130 및 S135)은 도 3을 참조한 부채널 처리부(140)의 기능 설명에 언급한 바와 유사하다.In operation S120, the DMB receiving apparatus that detects main channel data and subchannel data separately stores the main channel data (S125). After the I-frame data is detected from the subchannel data (S130), the detected I-frame data is stored for each subchannel (S135). In this case, the processes S130 and S135 for the processing of the subchannels are similar to those mentioned in the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subchannel processing unit 140 with reference to FIG. 3.

이와 같이 주/부채널 데이터를 분리한 후 부채널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 DMB 수신 장치는 기 설정된 부채널 개수에 해당하는 수의 I-프레임 데이터와 주채널 영상을 합성한 후(S140) 합성된 영상 및 주채널을 통한 오디오 데 이터를 출력한다(S145).After separating the main / subchannel data as described above, the DMB receiving apparatus which detects the I-frame data from the subchannel data synthesizes the number of I-frame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t number of subchannels and the main channel image (S140). ) The synthesized image and the audio data through the main channel are output (S145).

그리고 DMB 시청이 유지된 상태에서(S150), 즉 주채널 시청이 유지된 상태에서 부채널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S155) DMB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부채널 정보를 변경한 후(S160) 상기 과정(S115) 이후를 반복 수행한다. If the subchannel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MB viewing is maintained (S150), that is, the main channel viewing is maintained (S155), the DMB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hanges the subchannel information (S160) and then the process ( S115) and then repeat.

이 때 상기 변경 조건은 사용자의 변경 요청,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주기 및 부채널의 I-프레임 데이터 검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채널의 '변경 조건' 및 상기 부채널 정보 변경 과정(S160)은 도 3의 채널 설정 제어부(180)의 기능 설명에 언급한 바와 같다. In this case, the change condition is preferably any one of a user change request, a preset channel change period, and I-frame data detection of a subchannel. The 'change condition' of the subchannel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ubchannel information (S160) ar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unction description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of FIG. 3.

상기와 같은 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는 다채널의 최근 영상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하나의 주채널을 시청하면서 다수의 부채널에 대한 최근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B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display the latest image information of the multi-channel. In particular,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channel by displaying a recent image of a plurality of subchannels while watching one main channel.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여기서는 상기 동시에 수신되는 주채널과 부채널이 각각 한개씩인 경우 주/부채널 전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300)는 DMB 모듈(310), TS 디멀티플렉서(320), 주채널 버퍼(330), 부채널 처리부(340), A/V 코덱(350), 영상 합성부(360), DMB 출력부(370), 채널 설정 제어부(380), 입력부(390) 및 제1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특히 도 7은 도 3에 예시된 DMB 수신 장치에서 주채널과 부채널의 전환 요청에 의거하여 주채널 및 부채널을 전환하는 DMB 수신 장치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예시된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 데이터 전송 경로와 부채널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해주는 제1 스위치(SW1)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main / sub channel switching when the main channel and the sub channel received at the same time are each one.
Referring to FIG. 7, the DMB receiv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MB module 310, a TS demultiplexer 320, a main channel buffer 330, a subchannel processor 340, and an A / V. A codec 350, an image synthesizer 360, a DMB output unit 370, a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380, an input unit 390, and a first switch SW1 are included. In particular,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that switches between a main channel and a subchannel based on a request for switching between a main channel and a subchannel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To this en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7 further includes a first switch SW1 for changing a main channel data transmission path and a subchannel data transmission path.

따라서 상기 장치들 각각은 도 3에 예시된 장치들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 Thus, each of the devices is similar in function to the devices illustrated in FIG. 3.

즉 DMB 모듈(310)은 도 3의 DMB 모듈(110)과, TS 디멀티플렉서(320)는 도 3의 TS 디멀티플렉서(120)와, 주채널 버퍼(330)는 도 3의 주채널 버퍼(130)와, 부채널 처리부(340)는 도 3의 부채널 처리부(140)와, A/V 코덱(350)은 도 3의 A/V 코덱(150)과, 영상 합성부(360)는 도 3의 영상 합성부(160)와, DMB 출력부(370)는 도 3의 DMB 출력부(170)와, 채널 설정 제어부(380)는 도 3의 채널 설정 제어부(180)와, 입력부(390)는 도 3의 입력부(190)와 그 기능이 유사하다. That is, the DMB module 310 is the DMB module 110 of FIG. 3, the TS demultiplexer 320 is the TS demultiplexer 120 of FIG. 3, and the main channel buffer 330 is the main channel buffer 130 of FIG. 3. The subchannel processor 340 is the subchannel processor 140 of FIG. 3, the A / V codec 350 is the A / V codec 150 of FIG. 3, and the image synthesizer 360 is the image of FIG. 3. The synthesis unit 160, the DMB output unit 370, the DMB output unit 170 of FIG. 3,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380,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of FIG. 3, and the input unit 390 of FIG. 3. The input unit 190 and its function is similar.

다만 채널 설정 제어부(380)의 경우 주채널과 부채널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1 스위치(SW1)로 출력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따라서 채널 설정 제어부(380)를 제외한 다른 장치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380, a function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to the first switch SW1 is adde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evice except for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380 is omitted.

한편 채널 설정 제어부(380)는 입력부(3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정보 또는 기 저장된 주/부채널 전환 조건에 의거하여 제1 스위치(SW1)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1 스위치(SW1)로 출력한다. 이 때 기저장된 주/부채널 전환 조건은 주/부채널 전환 주기 또는 주/부채널 전환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주/부채널 전환 조건이 주/부채널 전환 주기인 경우 채널 설정 제어부(380)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주채널과 부채널을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반복 출력할 것이고, 주/부채널 전환 조건이 주/부채널 전환 시점인 경우 채널 설정 제어부(380)는 특정 시간에 주채널과 부채널을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것이다. Meanwhile,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380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switch SW1 based on the user selec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90 or pre-stored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s. Output to switch SW1. At this time, the prestored main / sub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preferably a main / subchannel switching period or a main / subchannel switching time. If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a main / sub channel switching period,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380 repeatedly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main channel and the sub channel at specific time intervals, and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When the condition is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time,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38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main channel and the sub channel at a specific time.

그러면 제1 스위치(SW1)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현재의 전송 경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초기상태의 제1 스위치(SW1)가 제1 포인트(SWp1)와 제3 포인트(SWp3)를 연결하고, 제2 포인트(SWp2)와 제4 포인트(SWp4)를 연결한 후 제1 포인트(SWp1)와 제3 포인트(SWp3)의 연결 경로를 이용하여 주채널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고, 제2 포인트(SWp2)와 제4 포인트(SWp4)의 연결 경로를 이용하여 부채널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였다면,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스위치(SW1)는 상기 경로를 변경한다. 즉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스위치(SW1)는 제1 포인트(SWp1)와 제4 포인트(SWp4)를 연결하고, 제2 포인트(SWp2)와 제3 포인트(SWp3)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 포인트(SWp1)와 제4 포인트(SWp4)의 연결 경로를 이용하여 주채널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고, 제2 포인트(SWp2)와 제3 포인트(SWp3)의 연결 경로를 이용하여 부채널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한다.The first switch SW1 then changes the current transmission path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first switch SW1 in an initial state connects the first point SWp1 and the third point SWp3, connects the second point SWp2 and the fourth point SWp4, and then the first point. The main channel data transmission path is formed using the connection path between SWp1 and the third point SWp3, and the subchannel data transmission path is formed using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second point SWp2 and the fourth point SWp4. If so, the first switch SW1 changes the path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at i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first switch SW1 connects the first point SWp1 and the fourth point SWp4 and connects the second point SWp2 and the third point SWp3. The main channel data transmission path is formed using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first point SWp1 and the fourth point SWp4, and the subchannel using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second point SWp2 and the third point SWp3. Form a data transfer path.

따라서 초기에 제1 포인트(SWp1)를 통해 제3 포인트(SWp3)로 전달되던 주채널 방송 데이터가 제4 포인트((SWp4)를 통해 부채널 처리부(340)로 전달되어 부채널 데이터로 처리되고, 제2 포인트(SWp2)를 통해 제4 포인트(SWp4)로 전달되던 주채널 방송 데이터가 제3 포인트((SWp3)를 통해 주채널 버퍼(330)로 전달되어 주채널 데이터로 처리된다.Therefore, the main channel broadcast data initially transmitted to the third point SWp3 through the first point SWp1 is transferred to the subchannel processor 340 through the fourth point SWp4 and processed as subchannel data. The main channel broadcast data transferred to the fourth point SWp4 through the second point SWp2 is transferred to the main channel buffer 330 through the third point SWp3 and processed as main channel data.

이와 같이 도 7에 예시된 DMB 방송 수신 장치는 채널 설정 제어부(38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변경 가능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MB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7, the transmission paths of the main channel data and the subchannel data may be chang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380.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특히, 여기서는 도 7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동시에 수신되는 주채널과 부채널이 각각 한개씩인 경우 주/부채널 전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장치(400)는 DMB 모듈(410), TS 디멀티플렉서(420), 주채널 버퍼(430), 부채널 처리부(440), A/V 코덱(450), 영상 합성부(460), DMB 출력부(470), 채널 설정 제어부(480), 입력부(490) 및 제2 내지 제4 스위치(SW2, SW3, SW4)를 포함한다. 특히 도 8은 도 3에 예시된 DMB 수신 장치에서 주채널과 부채널의 전환 요청에 의거하여 주채널 및 부채널을 전환하되, 주채널과 부채널 전환시 전환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DMB 수신 장치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예시된 DMB 수신장치(400)는 부채널 처리부(440) 내에 부채널 버퍼(445)를 더 포함하고, 전송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SW2, SW3, SW4)을 더 포함한다.
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here, as in the description of FIG. 7,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will be described when the main channel and the sub channel simultaneously received are each one.
Referring to FIG. 8, the DMB receiv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MB module 410, a TS demultiplexer 420, a main channel buffer 430, a subchannel processor 440, and an A / V. A codec 450, an image synthesizer 460, a DMB output unit 470, a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480, an input unit 490, and second to fourth switches SW2, SW3, and SW4 are included. In particular, in FIG. 8,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are switched based on the request for switching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Shows an example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DMB receiver 400 illustrated in FIG. 8 further includes a subchannel buffer 445 in the subchannel processor 440 and includes second to fourth switches SW2, SW3, and the like for changing a transmission path. SW4) is further included.

따라서 상기 경로 변경 및 부채널 데이터 저장과 관련된 장치들(부채널 처리부(440), 채널 설정 제어부(480) 및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SW2, SW3, SW4))을 제외한 나머지 장치들 각각은 도 3에 예시된 장치들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Therefore, each of the other devices except for the devices related to the path change and the subchannel data storage (the subchannel processor 440,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480, and the second to fourth switches SW2, SW3, and SW4) The functionality is similar to the devices illustrated in FIG. 3.

즉 DMB 모듈(410)은 도 3의 DMB 모듈(110)과, TS 디멀티플렉서(420)는 도 3의 TS 디멀티플렉서(120)와, 주채널 버퍼(430)는 도 3의 주채널 버퍼(130)와, A/V 코덱(450)은 도 3의 A/V 코덱(150)과, 영상 합성부(460)는 도 3의 영상 합성부(160)와, DMB 출력부(470)는 도 3의 DMB 출력부(170)와, 채널 설정 제어부(480)는 도 3의 채널 설정 제어부(180)와, 입력부(490)는 도 3의 입력부(190)와 그 기능이 유사하다. That is, the DMB module 410 is the DMB module 110 of FIG. 3, the TS demultiplexer 420 is the TS demultiplexer 120 of FIG. 3, and the main channel buffer 430 is the main channel buffer 130 of FIG. 3. , The A / V codec 450 is the A / V codec 150 of FIG. 3, the image synthesizing unit 460 is the image synthesizing unit 160 of FIG. 3, and the DMB output unit 470 is the DMB of FIG. 3. The output unit 170,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480 has a similar function to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of FIG. 3, and the input unit 49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input unit 190 of FIG.

한편 채널 설정 제어부(480)에는 주채널과 부채널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SW2, SW3, SW4)로 출력하는 기능이 추가된 다. 즉 채널 설정 제어부(480)는 도 3에 예시된 채널 설정 제어부(180)의 기능과 상기 제어신호 출력 기능을 포함한다. Meanwhile, a function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to the second to fourth switches SW2, SW3, and SW4 is added to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480. That is,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480 includes a function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180 illustrated in FIG. 3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ting function.

이로 인해 채널 설정 제어부(480)는 입력부(4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정보 또는 기 저장된 주/부채널 전환 조건에 의거하여 제2 스위치(SW2),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CH.sig)를 제2 스위치(SW2),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로 출력한다. Accordingly,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480 may switch the second switch SW2, the third switch SW3, and the fourth switch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490 or pre-stored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s. The control signal CH.si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 of SW4 is output to the second switch SW2, the third switch SW3, and the fourth switch SW4.

그러면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SW2, SW3, SW4)은 상기 제어신호(CH.sig)에 응답하여 전송 경로를 변경한다. 도 8의 예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전송 경로가 초기 전송 경로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전송 경로가 주/부채널 전환 요청에 의거하여 변경될 전송 경로이다.Then, the second to fourth switches SW2, SW3, and SW4 change the transmission path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CH.sig. In the example of FIG. 8, the transmission path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s the initial transmission path, and the transmission path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s the transmission path to be changed based on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request.

도 8의 예에서는 상기 주/부채널 전환 요청에 의거하여 I-프레임 검출부(441)의 입력단과, 주채널 버퍼(430)와 부채널 버퍼(445)의 출력단의 전송경로가 스위칭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ransmission paths of an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441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main channel buffer 430 and the subchannel buffer 445 are switched based on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request. have.

즉 I-프레임 검출부(441)의 입력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SW2)는 초기에 I-프레임 검출부(441)의 입력단과 부채널 버퍼(445)의 입력단을 연결한다. 그리고 채널 설정 제어부(480)를 통해 주/부채널 전환 요청에 응답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I-프레임 검출부(441)의 입력단과 부채널 버퍼(445)의 입력단 간의 연결을 해제하고 I-프레임 검출부(441)의 입력단과 주채널 버퍼(445)의 입력단을 연결한다. 즉 주/부채널 전환 요청 이전에 주채널 버퍼(430)로 전달되던 방송 데이터를 I-프레임 검출부(441)로 입력하여 상기 주채널 버퍼(430)로 입력되던 방송 데이터로부터 I-프 레임을 검출한다. That is, the second switch SW2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441 initially connects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441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subchannel buffer 445. When th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request is output through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480,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441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subchannel buffer 445 is released and the I-frame is disconnected. The input terminal of the detector 441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ain channel buffer 445. That is, the I-frame is detected from the broadcast data input to the main channel buffer 430 by inputting the broadcast data transferred to the main channel buffer 430 before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request to the I-frame detector 441. do.

한편 주채널 버퍼(430)의 오디오 및 비디오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3 및 제4 스위치(SW3 및 SW4)의 전송 경로를 부채널 버퍼(445)로부터의 전송경로로 변경한다. 즉 초기에 주채널 버퍼(430)의 오디오 버퍼(43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스피커(471)로 전달하던 제3 스위치(SW3)의 전송 경로를 부채널 버퍼(445)의 오디오 버퍼(44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스피커(471)로 전달하도록 변경한다. 또한 주채널 버퍼(430)의 비디오 버퍼(43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A/V 코덱(450)으로 전달하던 제4 스위치(SW4)의 전송 경로를 부채널 버퍼(445)의 비디오 버퍼(449)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A/V 코덱(450)으로 전달하도록 변경한다. Meanwhile, the transmission paths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W3 and SW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audio and video of the main channel buffer 430 are changed to the transmission path from the subchannel buffer 445. That i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third switch SW3, which initially transmits the data output from the audio buffer 431 of the main channel buffer 430 to the speaker 471, is transferred from the audio buffer 447 of the subchannel buffer 445. The output data is changed to be delivered to the speaker 471. In addition, the video buffer 449 of the subchannel buffer 445 transmit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ourth switch SW4 that has transferred data output from the video buffer 433 of the main channel buffer 430 to the A / V codec 450. Change the data output from the A / V codec 450 to be transferred.

이와 같이 도 8에 예시된 DMB 방송 수신 장치는 부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도 버퍼링을 수행하고, 주/부채널 전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출력단과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을 스위칭 함으로써 채널 전환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 하면서 주/부채널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MB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8 also buffers broadcast data received through a subchannel, and switches an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ed data and an input terminal of an I-frame detector based on a main / subchannel switching request. This allows switch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hannels with minimal time delay due to channel switch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두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두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특히 도 9는 두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면서 주채널과 부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제3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를 DMB 수신 장치로 약칭할 것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images of two channels using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a method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images of two channels using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n particular,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a main channel and a subchannel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images of two channels. Hereinafter,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will be abbreviated as DMB receiving apparatuses.

먼저 상기 DMB 수신 장치는 다수의 채널 수신을 위한 채널 정보를 설정한다(S205). 예를 들어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 정보와 부채널 정보를 하나씩 설정한다. 이 때 DMB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부채널 정보 또는 이전 시청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생성된 다수의 선호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채널 목록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부채널 정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변경 조건은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Firs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sets channel information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channels (S205). For example, the DMB receiving apparatus sets main channel information and subchannel information one by one. In this case, the DMB receiving apparatus stores a channel list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sub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or a plurality of favorite channel information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previous viewing information, and stores the channel list based on a preset change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sequentially set the channels included in the subchannel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hange condition is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

그리고 DMB 시청을 개시하면(S210) DMB 수신 장치는 상기 과정(S205)에서 설정된 두 개의 채널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후(S215),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 중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를 분리 검출한다(S220). 이는 상기 수신 과정(S215)에서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가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혼합된 상태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분리 검출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3을 참조한 TS 디멀티플렉서(120)의 기능 설명에 언급된 바와 유사하다.When the user starts watching DMB (S210), the DMB receiving apparatus receives broadcast data for two channels set in step S205 (S215), and then separates main channel data and subchannel data amo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It is detected (S220). This is because the main channel data and the subchannel data are interleaved in the receiving process S215 and are delivered in a mixed state. In this case, a specific process for the separation detection is similar to that mentioned in the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TS demultiplexer 120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과정(S220)에서 주채널 데이터와 부채널 데이터를 분리 검출한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 데이터 및 부채널 데이터를 저장한다(S225). 즉 주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주채널 버퍼와, 부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부채널 버퍼에 상기 주채널 데이터 및 부채널 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In operation S220, the DMB receiving apparatus that detects main channel data and subchannel data separately stores the main channel data and the subchannel data (S225). That is, the main channel data and the subchannel data a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main channel buffer for storing the main channel data and the subchannel buffer for storing the subchannel data.

그리고 부채널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 후(S230) 검출된 I-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한다(S235). 이 때 부채널의 처리를 위한 상기 과정들(S230 및 S235)은 도 3을 참조한 부채널 처리부(140)의 기능 설명에 언급한 바와 유사하다.After the I-frame data is detected from the subchannel data (S230), the detected I-frame data is stored (S235). In this case, the processes S230 and S235 for the processing of the subchannels are similar to those mentioned in the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subchannel processing unit 140 with reference to FIG. 3.

이와 같이 주/부채널 데이터를 분리한 후 부채널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 DMB 수신 장치는 검출된 I-프레임 데이터와 주채널 영상을 합성한 후(S240) 합성된 영상 및 주채널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245).As such, the DMB receiving apparatus that detects I-frame data from the subchannel data after separating the main / subchannel data is synthesized with the detected I-frame data and the main channel image (S240). The audio data through the output (S245).

그리고 DMB 시청이 유지된 상태에서(S250), 즉 주채널 시청이 유지된 상태에서 주채널과 부채널 전환 요청이 입력되면(S255) 또는 미리 설정된 주채널과 부채널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주/부채널의 경로를 변경한다(S260). 즉 도 7에 예시된 DMB 수신 장치의 경우 제1 스위치(SW1)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고, 도 8에 예시된 DMB 수신 장치의 경우 제2 내지 제4 스위치(SW2 내지 SW4)의 전송 경로를 변경한다. 이들 각각의 전송 경로 변경 과정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한 설명에 언급한 바와 같다. I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switching request are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DMB viewing is maintained (S250), that is, the main channel viewing is maintained (S255) or if the preset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switching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main / sub The path of the channel is changed (S260). That is, in the case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7,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switch SW1 is changed, and in the case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8, the transmission paths of the second to fourth switches SW2 to SW4 are changed. do. Each of these transmission path change procedures is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또한 DMB 시청이 유지된 상태에서(S250), 즉 주채널 시청이 유지된 상태에서 부채널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S265) DMB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부채널 정보를 변경한 후(S270) 상기 과정(S215) 이후를 반복 수행한다. In addition, if the subchannel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state where the DMB viewing is maintained (S250), that is, the main channel viewing is maintained (S265), the DMB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hanges the subchannel information (S270) and then the process ( S215) and then repeat.

이 때 상기 변경 조건은 사용자의 변경 요청,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주기 및 부채널의 I-프레임 데이터 검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채널의 '변경 조건' 및 상기 부채널 정보 변경 과정(S270)은 도 3의 채널 설정 제어부(180)의 기능 설명에 언급한 바와 같다. In this case, the change condition is preferably any one of a user change request, a preset channel change period, and I-frame data detection of a subchannel. The 'change condition' of the subchannel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ubchannel information (S270) are as described in the function description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180 of FIG. 3.

상기와 같은 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과 함께 부채널의 최근 영상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부채널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시점에 선택된 부채널과 주채널을 상호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는 상기 채널 전환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imultaneously display the latest image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together with the main channel but also respond to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request. By switching between the selected sub-channel and the main channel at the time of the request. In particular,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can minimize the time delay caused by the channel switch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에서 처리되는 MPEG 영상 데이터에 대한 구성 예들이다. 즉 도 10은 통상적인 MPEG 영상 데이터들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주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b)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1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c)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2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d)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3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e)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4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f)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5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g)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6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h)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7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고, (i)는 상기 DMB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제8 부채널 방송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림의 예이다.10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MPEG image data processed by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video streams for conventional MPEG image data, and (a) illustrates video of main 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by a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stream, (b)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first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c)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second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D) is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third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a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e) is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fourth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a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f) is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fifth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a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g) is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sixth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a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 (h) is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seventh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a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nd (i) is an example of a video stream of eighth subchannel broadcast data received at the DMB receiving apparatu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DMB 수신 장치에서는 다수의 채널들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한다. 특히 부채널의 경우 상기 (b) 내지 (i) 까지의 채널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수신하되, 기본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I-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에만 그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DMB 수신 장치의 부채널 변경 조건이 'I-프레임의 검출'인 경우 도 10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구조에서 상기 DMB 수신 장치는 주채널 비디오 스트림(a)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상태에서 '부채널 1'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1)에 부채널을 '부채널 2'로 변경하고, '부채널 2'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2)에 부채널을 '부채널 3'으로 변경하고, '부채널3'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3)에 부채널을 '부채널 4'로 변경하고, '부채널 4'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4)에 부채널을 '부채널 5'로 변경하고, '부채널 5'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5)에 부채널을 '부채널 5'로 변경하고, '부채널 6'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6)에 부채널을 '부채널 6'으로 변경하고, '부채널 7'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7)에 부채널을 '부채널 8'로 변경하고, '부채널 8'의 'I-프레임'이 검출된 시점(t8)에 부채널을 다시 '부채널 1'로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들을 반복 수행한다.As such, the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video stream from a plurality of channels. Particularly, in case of the subchannel, the channel data of (b) to (i)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received, and the I-frame data is detected only when 'I-frame data' storing the basic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Save it. When the subchannel change condition of the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frame detection', in the video stream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subchannel is changed to subchannel 2 at the time t1 at which the 'I-frame' of the channel 1 is detected, and the subchannel at the time t2 at which the 'I-frame' of the 'subchannel 2' is detected. Is changed to 'subchannel 3', the subchannel is changed to 'subchannel 4' at the time point t3 at which the 'I-frame' of 'subchannel 3' is detected, and the 'I-' of 'subchannel 4' is changed. The subchannel is changed to the subchannel 5 at the time t4 at which the frame is detected, and the subchannel is changed to the subchannel 5 at the time t5 at which the I-frame of the subchannel 5 is detected. Change the subchannel to subchannel 6 at the time point t6 at which the 'I-frame' of the 'subchannel 6' is detected, and at the time at which the 'I-frame' of the 'subchannel 7' is detected ( t7) change the subchannel to 'subchannel 8' and the 'I-frame of' subchannel 8 ' At a time t8 at which 'is detected, the subchannel is changed back to' subchannel 1 '. And repeat the above process.

그러면 주채널의 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면서 상기 부채널 1 내지 부채널 8의 선택될 때마다 각 채널들의 'I 프레임' 이 갱신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채널들의 최근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Then, as the broadcast data of the main channel is output, the 'I frame' of each channel will be updated whenever the subchannels 1 to 8 are select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recent image information of subchannels.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에서 다채널의 영상을 멀티 출력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는 하나의 주채널과 8개의 부채널을 표시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및 도 11b은 하나의 주채널과 4개의 부채널을 표시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screens for multi-outputting images of multiple channels in the DMB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shows an example of the case of displaying one main channel and eight subchannels, and FIG. 11B shows an example of the case of displaying one main channel and four subchannels.

본 발명의 DMB 수신 장치는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면 구성 을 가지고 다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부채널의 방송 데이터들을 각각의 I-프레임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함으로써 부채널의 최근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주채널과 그 요청 시점에 선택된 부채널을 자유롭게 상호 전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부채널 중 하나의 화면 영역을 선택하면 그 부채널과 주채널을 상호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주채널의 화면 영역을 선택하면 그 주채널 화면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DMB 수신 장치는 확대 표시를 위한 정보(예컨대, 확대 비율, 표시 위치 정보 등)를 미리 저장하고 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 화면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M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broadcast data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with the screen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S. 11A and 11B, but the broadcast data of the subchannel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The latest image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can be provided by updating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respective I-frame inform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user's request, it is possible to freely switch between the primary channel and the selected sub-channel at the time of the request.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e screen area of the subchannels,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subchannels and the main chann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screen area of the main channel, it is preferable to enlarge the main channel screen area. To this en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preferably stores information for enlarged display (for example, enlargement ratio,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etc.) in advance and enlarges the main channel screen region based on the inform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주채널과 하나 또는 두 개의 부채널을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부채널의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주채널과 적어도 두 개의 즉, 둘 이상의 부채널을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확대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에서 본 발명은 DMB 수신 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DMB 수신 장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모든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 DVB-H 및 미디어 플로 등) 수신 장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 For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case in which one main channel and one or two subchanne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subchannel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the case of receiving one main channel and at least two, that is, two or more subchannels simultaneously. In the above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MB receiving apparatus onl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digital broadcast (eg, DMB, DVB-H, media flow, etc.) receiving apparatu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주채널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채널의 영상 정보를 부채널 데이터의 I-프레임 전송 주기마다 갱신함으로써 다채널의 최근 영상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주 채널 화면과 최근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부 채널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부 채널 중 하나와 주 채널 화면을 선택함으로써 주/부채널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displays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multi-channel by updating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in channel for each I-fram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ub-channel data.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channel selection of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plays a main channel screen for outputting real-time image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ub-channel screens for displaying recent image information together, and easily switches between main and sub-channels by selecting one of the sub-channels and the main channel screen. It can work.

Claims (31)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하나의 주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for one main channel and at least one subchannel; 상기 하나의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정지영상을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출력부; 및A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real time broadcast data of the one main channel and a still image of the at least one subchannel on a single screen;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채널에 대한 정지영상을 소정 주기로 갱신하는 정지영상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still image updater for updating the still image for the at least one subchannel at a predetermined peri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수신채널정보를 설정하는 채널 설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channel setting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reception channel inform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부채널의 수신채널정보를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changing and setting reception channel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based on a preset channel change cond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다수의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는 채널 목록을 저장하고 상기 채널 변경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부채널을 위한 수신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storing a channe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hannel information and sequentially selecting one or more channels included in the channel list based on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and setting the received channel for a subchannel.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목록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hannel list is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부채널의 개수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nnel information as a number of subchannels to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목록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hannel list is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plurality of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목록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hannel list is 이전 시청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생성된 다수의 선호 채널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plurality of favorite channel information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previous viewing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 조건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nnel change condition is 사용자의 변경 요청 입력,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주기 및 현재 수신 채널의 I-프레임 데이터 검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user input of a change request, a preset channel change cycle, and I-frame data detection of a current reception chan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사용자의 채널 변경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 변경 요청시 함께 입력된 채널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reception channel is set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input when the channel change request is in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a channel change reques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갱신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ill image updating unit 상기 부채널 데이터의 I-프레임 전송 주기마다 상기 부채널 데이터로부터 I-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하는 I-프레임 검출부; 및An I-frame detector for detecting I-frame data from the subchannel data at every I-fram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ubchannel data; And 상기 I-프레임 데이터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응된 부채널에 대한 I-프레임 데이터를 갱신 저장하는 I-프레임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n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updating and storing I-frame data for a corresponding subchannel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I-frame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프레임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frame detector 상기 부채널 데이터의 I-프레임 전송 주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주기마다 수신되는 데이터를 I-프레임 데이터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storing I-frame transmission period information of the subchannel data in advance and detecting data received for each period as I-frame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프레임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frame detector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를 I-프레임 데이터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comparing the size of the received data stream and detecting data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as I-frame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프레임 저장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frame storage unit 상기 부채널을 위한 수신채널로 설정된 채널별로 I-프레임 데이터를 저장 및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storing and updating I-frame data for each channel set as a reception channel for the subchann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15.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of claim 14, wherein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상기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채널 버퍼부; 및A main channel buffer unit for storing real-time broadcast data for the main channel; And 상기 주채널 버퍼부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 데이터 및 상기 I-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I-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n image synthesizer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 output information using real-tim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and I-frame data stored in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부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mage synthesizing unit 상기 I-프레임 정보 저장부로부터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부채널의 개수로 미리 설정된 개수와 동일한 수의 I-프레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채널의 비디오 신호와 합성함으로써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 screen outpu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quentially selecting the same number of I-frame data as the number preset to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from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synthesizing them with the video signal of the main channel.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상기 동시에 수신된 채널들 각각에 대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 및A demultiplexer for separat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for each of the simultaneously received channels; And 상기 디멀티플렉서의 출력단에서 주채널 전송 경로와 부채널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change a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and a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demultiplex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상기 주채널과 부채널이 각각 하나씩인 경우, 사용자의 주/부채널 전환 요청 또는 기 저장된 주/부 채널 전환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전송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When each o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is one, th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switch based on the user's main / sub-channel switching request or pre-stored main / sub-channel switching condition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 채널 전환 조건은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주/부채널 전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perio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 채널 전환 조건은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주/부채널 전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ti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15.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of claim 14, wherein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상기 주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채널 버퍼부;A main channel buffer unit for storing real-time broadcast data for the main channel; 상기 부채널에 대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채널 버퍼부; A subchannel buffer for storing real-time broadcast data for the subchannels; 상기 주채널 버퍼부 또는 부채널 버퍼부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데이터 및 상기 I-프레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I-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합성부; 및An image synthesizer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 output information using real-tim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or sub-channel buffer unit and I-frame data stored in the I-fram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상기 주채널 버퍼부 또는 부채널 버퍼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switch unit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or the sub channel buffer uni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갱신부는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till image updating unit 상기 주채널 전송 경로 또는 부채널 전송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second switch connecting one of the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and the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상기 주채널과 부채널이 각각 하나씩인 경우, 사용자의 주/부채널 전환 요청 또는 기 저장된 주/부 채널 전환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의 전송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When each o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 channel is one,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paths of the switch unit and the second switch based on a user's main / sub channel switching request or a pre-stored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 채널 전환 조건은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주/부채널 전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period.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 채널 전환 조건은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main / sub channel switching condition is 주/부채널 전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 sub-channel switching tim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witch unit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 버퍼부 또는 부채널 버퍼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 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되,The output terminal of any one of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and the subchannel buffer unit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zer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ler.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주채널의 전송경로와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부채널 버퍼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고,When the second switch connect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ain channe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the output terminal of the sub-channel buffer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부채널의 전송경로와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주채널 버퍼의 출력단을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when the second switch connect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ubchanne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channel buffer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ze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econd switch 상기 채널 설정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의 전송경로 또는 부채널 전송경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되,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hannel setting control unit, any one of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main channel or the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주채널 버퍼부를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한 경우 상기 부채널 전송경로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고,When the switch unit connects the main channel buffer uni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the subchannel transmission path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부채널 버퍼부를 상기 영상합성부의 입력단에 연결한 경우 상기 주채널 전송경로를 상기 I-프레임 검출부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the main channel transmission path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frame detector when the switch unit connects the subchannel buffer uni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mage synthesis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상기 정지영상들을 각각 특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dividing the real time broadcast data and the still images into a specific area and outputting the divided data. 제2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특정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the specific area,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The digital broadcast output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표시 영역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주/부채널 전 환 또는 해당 영역의 확대 표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performing any one of main / sub channel switching or enlarged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the display area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 30.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of claim 29, wherein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상기 주채널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 선택정보가 입력된 경우 미리 저장된 확대 표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주채널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when the display area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main channel region is input, enlarge the main channel region based on prestored enlarged display information.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출력부는30.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of claim 29, wherein the digital broadcasting output unit 상기 부채널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 선택정보가 입력된 경우 대응된 부채널과 주채널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And a corresponding subchannel and a main channel are switched when display region selection information of one of the subchannel regions is input.
KR1020060017793A 2006-02-23 2006-02-23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KR100793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793A KR100793736B1 (en) 2006-02-23 2006-02-23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EP07001350A EP1848212B1 (en) 2006-02-23 2007-01-23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CN2007100080415A CN101026702B (en) 2006-02-23 2007-02-09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US11/710,682 US7870583B2 (en) 2006-02-23 2007-02-23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US12/958,964 US20110072468A1 (en) 2006-02-23 2010-12-02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793A KR100793736B1 (en) 2006-02-23 2006-02-23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15A KR20070087415A (en) 2007-08-28
KR100793736B1 true KR100793736B1 (en) 2008-01-10

Family

ID=3861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793A KR100793736B1 (en) 2006-02-23 2006-02-23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3736B1 (en)
CN (1) CN10102670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5883B (en) * 2008-08-27 2010-09-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fast displaying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mage
KR101467790B1 (en) * 2008-09-08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processing method for broadcasting of muti-mode service thereof
KR101236607B1 (en) * 2008-09-26 2013-02-22 쿄세라 코포레이션 Image display apparatus
EP2237517B1 (en) * 2009-03-30 2021-03-10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identifiers to media services
JP5531497B2 (en) * 2009-08-18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2013012805A (en) * 2011-06-28 2013-01-17 Sony Corp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5337920B1 (en) * 2012-04-17 2013-11-06 シャープ株式会社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elevision receiver,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6210599B (en) * 2015-04-30 2021-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ulti-pictur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multi-point control unit
US10820031B2 (en) * 2015-11-11 2020-10-2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a low-rate stream and a high-rate stream
EP3813380A4 (en) 2018-06-20 2022-03-16 Hisense Visual Technology Co., Ltd. Control method for focus movement on epg user interface, and display device
CN108810647B (en) * 2018-06-20 2021-04-1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focus movement on EPG user interface and display terminal
CN111277855A (en) * 2020-03-05 2020-06-12 江苏省广电有线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苏州分公司 Multi-screen simultaneous watching implementation method based on digital broadcast televis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2671A (en) * 1985-10-29 1987-05-13 Sony Corp Two-screen television receiver
JPH06303543A (en) * 1993-04-13 1994-10-28 Hitachi Lt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ing system
KR970004192A (en) * 1995-06-30 1997-01-29 Visible laser diode with photodi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970057307A (en)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Sub-channel channel selection method
KR19980043989A (en) * 1996-12-05 1998-09-05 배순훈 Channel Search TV Using Moving Image PIP Screen and Its Search Method
KR19990005711A (en)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Subchannel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00003540A (en) * 1998-06-29 2000-01-15 전주범 Display device for an user's preferred channel in pip(picture in picture) televis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2671A (en) * 1985-10-29 1987-05-13 Sony Corp Two-screen television receiver
JPH06303543A (en) * 1993-04-13 1994-10-28 Hitachi Lt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ing system
KR970004192A (en) * 1995-06-30 1997-01-29 Visible laser diode with photodi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970057307A (en)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Sub-channel channel selection method
KR19980043989A (en) * 1996-12-05 1998-09-05 배순훈 Channel Search TV Using Moving Image PIP Screen and Its Search Method
KR19990005711A (en)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Subchannel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00003540A (en) * 1998-06-29 2000-01-15 전주범 Display device for an user's preferred channel in pip(picture in picture) telev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6702A (en) 2007-08-29
KR20070087415A (en) 2007-08-28
CN101026702B (en)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736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channel video
US8949924B2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8848112B2 (en)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TWI338506B (en)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s
US8448212B2 (en) Combined receiver for DVB-H and DVB-T transmission
KR1008505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data in terminal having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EP1848212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US200702889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channel list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KR1007658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JP3752443B2 (en) Mobile receiver
US9479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information using reserved channels
KR1008162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multi-channel digital broadcasting data
EP1969741A1 (en) Transmission of media content stream
KR100735253B1 (en) Method for capturing digital broadcasting imag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KR101303258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scree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241893B1 (en) Channel z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80005815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scree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9990032224A (en) How to Display Channel Information on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s
KR1012298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scanning channel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 multi-frequency channel
KR100754697B1 (en) Screen displaying method of 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possible concurrently providing of broadcasting service and call service
KR100697423B1 (en) Television Receiver for Displaying a Moving POP Screen
KR101085392B1 (en) Branched broadcasting method and method of receiving the same broadcast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the branched broad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