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973B1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973B1
KR100787973B1 KR1020050114136A KR20050114136A KR100787973B1 KR 100787973 B1 KR100787973 B1 KR 100787973B1 KR 1020050114136 A KR1020050114136 A KR 1020050114136A KR 20050114136 A KR20050114136 A KR 20050114136A KR 100787973 B1 KR100787973 B1 KR 100787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e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759A (ko
Inventor
최준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이어(ear) 및 스테레오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다양한 모드 변환에 따라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가 불 필요하게 온(on)되는 것을 없애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악 청취용 복수의 스테레오 스피커와 통화용 이어폰 겸용 이어(ear) 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변환모드체크과정에서 통화서비스모드이면 이어 스피커를 온(on)하고 스테레오 스피커를 오프(off) 시키며, 이 상태에서 진동 또는 에티켓 모드의 설정이 있으면 스피커 모두를 오프 시킨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변환모드체크과정에서 멀티미디어(영화 및 음악, 게임, DMB . . .)서비스 모드이면 스테레오 스피커를 온하고 이어 스피커를 오프 시키며, 이 상태에서 호출이 있을시 스테레오 스피커와 이어폰 겸용 이어 스피커를 모두 온(on)상태로 하여 모드변환에 따라 스피커의 불 필요한 동작을 막아 전력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듀얼 이어 스피커, 이어피스 스피커, 스테레오 스피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 of Speaker Operater On/Off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화서비스 모드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 변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 스피커 및 스테레오 스피커의 구동 제어 회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에 따라 스피커 온 /오프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피커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다양한 변환모드에 따라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가 불 필요하게 온(on)/오프(off)되는 것을 막아 전력소모를 줄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구동을 위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폰 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 쥴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하드웨어적으로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착. 탈이 가능하거나(attachable) 내장형(built-in)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예 : 동영상 및 MP3 파일)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는 단말기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이의 영향으로 인하여 단말기에서는 소리에 대한 수신수단으로 제공되는 스피커는 벨소리 및 통화음을 듣는 모노 스피커의 수준을 떠나 디지털 멀티미디어(MP3, DMB, 벨소리. . . .)음을 지원할 수 있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요구 있다. 이를 위한 해결 방법으로 음성통화와 스테레오 음향의 이중 지원을 겸용하는 스피커로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5-61201호와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5-6778호에 개시하고 있다. 이들의 중요한 요지는 한 쌍의 이어 피스 스피커(이어폰 겸용)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여 모드에 따라 음성통화 또는 스테레오 음향의 V O D시청, 영화 및 음악, 게임, D M B시청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음성통화에 있어서는 별 차이는 없지만 스테레오 음향을 청취 시 양 스피커 간에 거리 즉, 음원 사이의 거리가 짧아 스테레오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없었다. 이를 개선키 위한 방법은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5-21818호의 개시와 같이 개폐가 가능한 한 쌍의 폴더에서 양 폴더에 스테레오 음향 청취용으로 스테레오 스피커를 각각 설치하고, 일 측 폴더에는 음성 통화용으로 이어 스피커를 설치하고, 타 측 폴더에는 마이크를 설치한다. 그리고 스테레오 음향의 효과적 청취를 위해 양 폴더를 최대한 이격시켜 2개의 스테레오 스피커에 의한 음원의 거리가 멀어져 스테레오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해 좌.우측 단에 최소한 각각 2개의 증폭기가 연결되어 있는데, 신호 수신 시 전파 강도가 낮은 약 전계에서 수신감도를 높이려면 증폭기의 이득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비례하여 전력소모는 증가하게 되며, 특히 사용자 모드변환과 관계없이 항상 이어 스피커나 스테레오 스피커가 모두 온 되어 있다면 전력소모가 더욱 심하여 결국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단축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의 사용모드에 따라 이어 스피커나 스테레오 스피커의 구동을 위한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사용모드에 따라 스피커의 불 필요한 동작을 막아 전력소모를 줄 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위한 이어 스피커와 멀티미디어 음악 청취용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서비스모드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모드를 확인하는 모드변환확인과정과, 통화서비스모드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 중 상기 모드변환확인과정에서 확인된 모드에 따라 이어 스피커와 스테레오 스피커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통화서비스모드에서 진동 또는 에티켓 모드의 설정이 있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에서 호출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의 모두가 온 또는 오프가 되도록 제어하는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으로 구성된다.
음성 통화를 위한 이어 스피커와 멀티미디어를 위한 음악 청취용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모드변환확인과정 중 통화서비스모드에 있으면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을 통하여 이어 스피커를 온하고 스테레오 스피커를 오프 시키며, 게임, 음악, 영화, DMB시청을 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드에 있으면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을 통하여 이어 스피커는 오프 시키고 스테레오 스피커는 온 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모드변환 확인 과정 중 진동이나 에티켓 모드에서는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을 통하여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모두 오프 시키고, 음악청취 중 전화벨 수신음 청취모드에서는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의 모두를 온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의 동일 참조 부호는 유사 또는 동일 기능이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 변화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도 (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 서비스 모드의 표시 도면으로
본체(107)로부터 폴더(100)가 종방향(세로방향)으로 오픈 된 상태이고, 폴더(100)에 이어 스피커(101)를 설치하고, 본체(107)에 스테레오 스피커(102,103)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의 표시 도면으로
도 (가)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스윙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폴더(100)와 본체(107)에 설치된 이어 스피커(101)와 스테레오 스피커(102,103)는 동일 위치에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좌측으로의 스윙은 실시 예에 불과하며 스피커들의 위치나 사용자의 편의성 고려에 따라 우측 혹은 양측 모두일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겐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 스피커 및 스테레오 스피커의 온/오프 구동을 위한 제어 회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RF부(223)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2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2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처리부(225)는 음성 코덱(233)과 멜로디회로(231)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음성코덱(233)에 이어 스피커(101)가 연결되고, 멜로디 회로(231)에 좌. 우측(L, R)스테레오 스피커 (102,103)가 연결된다. 음성통화신호는 음성코덱(233)을 통해 출력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신호는 멜로디 회로(231)를 통해 재생된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모드변환에 따른 이어 스피커(101) 및 스테레오 스피커(102),(103)의 온/오프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MP3 파일도 저장되어 질 수 있다. 상태 감지 입력부(27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각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어 도 1의 (가)에서 (나)의 모드로 좌측으로 스윙시켜변환시 힌지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제어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도 1의 예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107)를 기준으로 폴더(100)를 좌측으로 스윙시켜 움직이면 통화 서비스 모드(가)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나)로 변화가 되며, 이때 상태감지입력부(270)에서 힌지변화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키입력부(227)에서 사용자의 진동 및 에티켓 모드의 설정키의 입력이 있거나 RF부(223)에서 호출이 있을시 감지를 하여 스피커 온/오프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260)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처리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 중 영화 및 게임이나 DMB출력과 일반 사용자 데이터가 표시된다. 키 입력부(2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정 및 선택을 위한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스피커 온/오프 제어 모드 변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통화서비스모드 또는 멀티미디어(영화 및 음악, 게임, DMB)서비스 모드를 확인하는 모드변환확인과정과,
상기 모드변환확인과정의 통화서비스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통화서비스모드에서 진동 또는 에티켓 모드의 설정이 있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에서 호출신호의 입력이 있을시 이어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의 모두 온 또는 오프가 되도록 제어하는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도 1의 (가)의 상태에 있으면 통화서비스모드로서 일반통화음이 이어 스피커(101)를 통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온(on)되어 있어야 하고, 스테레오 스피커(102,103)는 오프(off) 되어 있어야 하며, (나)의 상태에 있으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로서 영화 및 음악, 게임, DMB등 각종 멀티미디어 사운드를 스테레오 스피커(102,103)을 통해 들어야 현장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온(on) 되어야 하고, 이어스피커(101)는 오프(off)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온 되어 있으면(301), (303)과정과 (305)과정에서 도 1의 (가)에서 (나)의 상태로 변환 시 제어부(210)는 상태 감지 입력부(270)에서 힌지의 상태를 감지한 값을 받아 모드 변환에 따른 확인을 하게 된다. 도 3의 (303)과정에서 도 1의 (가)의 상태에 있으면 통화서비스모드로서 제어부(210)는 스피커 온/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80)에 제공하면 (307)과정에서 스위치(S1)를 온 시켜 이어 스피커(101)가 연결된다. 이때 이어 스피커(101)를 통해 통화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S2,S3)는 오프되어 스테레오 스피커(102,103)는 차단되므로 불 필요한 동작을 없앨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키입력부(227)을 통해 설정 키의 입력이 있음이 (309)과정에서 확인이 되면 (311)과정에서 진동 또는 에티켓 모드의 설정이 있는 가를 체크하여 있으면 제어부(210)는 (313)과정에서 스피커 오/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S1)도 오프 시킨다. 이때 스위치(S1~S3)의 모두가 차단되므로 불 필요한 잡음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피커 모두가 오프 되어 전력 손실을 막는다. 도 3의 (305)과정에서 도 1의 (나)의 상태에 있으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로 (315)과정에서 제어부(210)는 스피커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80)의 제어로 스위치(S1)를 오프 시키고, 스위치(S2,S3)를 온 시킨다. 이때 이어 스피커(101)는 오프 되고, 스테레오 스피커(102,103)를 온 시켜 영화 및 음악, 게임, DMB에 대한 음의 멀티 사운드를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210)에서 호출이 있음이 (317)과정에서 확인이 되면 (319)과정에서 스위칭부(280)의 제어로 스위치(S1)도 온 시켜 모든 스위치(S1~S3)를 온 시키므로 스테레오 스피커(S2,S3) 뿐만 아니라 이어 스피커(S1)도 온 되어 어떤 상황에서도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사용모드에 따라 이어 스피커나 스테레오 스피커의 구동을 위한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 기의 사용자 사용모드에 따라 스피커의 불 필요한 동작을 막아 전력소모를 줄 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이어 스피커와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온/오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서비스모드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모드를 확인하는 모드변환확인과정과,
    통화서비스모드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 중 상기 모드변환확인과정에서 확인된 모드에 따라 이어 스피커와 스테레오 스피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의 통화 서비스 모드 시 이어 스피커를 온하고 스테레오 스피커를 오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의 멀티 미디어 서비스 모드 시 이어 스피커를 오프하고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의 통화서비스모드에서 진동 모드와 에티켓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이 있을시 이어 스피커 및 스테레오 스피커 모두를 오프 시키는 과정을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온/오프 제어과정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에서 스테레오 음악 청취 중 호출신호의 수신이 있으면 이어 스피커 및 스테레오 스피커 모두를 온시키는 과정을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6. 폴더에 이어 스피커를 설치하고 본체에 한쌍의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온/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폴더가 통화서비스모드에 있을 시 이어 스피커를 온하고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오프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상태에서 진동 모드와 에티켓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이 있으면 모든 스피커를 오프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폴더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에 있을시 이어 스피커를 오프하고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온 시키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의 상태에서 호출 신호의 수신이 있으면 스피커 모두를 온시키는 제4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제 3과정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는 표시부의 화상과 온 되어 있는 스테레오 스피커들을 통한 멀티미디어 소스에 대해 시청이 용이하도록 폴더를 본체로부터 스윙하여 폴더와 본체가 상호 길이 방향으로 수평의 위치에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모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대한 폴더의 위치에 따라 상기 통화서비스모드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 중 하나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서비스모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의 종방향으로 폴더가 오픈 된 상태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드는 상기 통화서비스모드에서 폴더가 본체에 대해 일측으로 스윙되어 폴더와 본체의 각각의 일측 횡방향이 맞닿게 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을 위한 온/오프 제어방법.
KR1020050114136A 2005-11-28 2005-11-28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KR10078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36A KR100787973B1 (ko) 2005-11-28 2005-11-28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36A KR100787973B1 (ko) 2005-11-28 2005-11-28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759A KR20070055759A (ko) 2007-05-31
KR100787973B1 true KR100787973B1 (ko) 2007-12-24

Family

ID=3827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36A KR100787973B1 (ko) 2005-11-28 2005-11-28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7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171A (ja) * 2000-09-25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無線情報端末機
KR20040026909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58660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KR20040098089A (ko) * 2003-05-13 200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50063814A (ko) * 2003-12-19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레오 스피커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7778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지원장치
KR20050073967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방법
KR20050105895A (ko) * 2004-05-0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171A (ja) * 2000-09-25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無線情報端末機
KR20040026909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58660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KR20040098089A (ko) * 2003-05-13 200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50063814A (ko) * 2003-12-19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레오 스피커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7778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지원장치
KR20050073967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방법
KR20050105895A (ko) * 2004-05-0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759A (ko)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7932B1 (en) Multi-mode audio processor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040219957A1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s apparatus
JP2006217321A (ja) ヘッドセット、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2118642A (ja) 携帯電話機
KR101694424B1 (ko) 휴대 단말기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US8577421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JP2003023479A (ja) 携帯無線端末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7879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WO2009093890A1 (en) Mobile phone, method of switching a mobile phone and use of a mobile phone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JP2001223784A (ja) 携帯端末の出力切替回路
KR20120115941A (ko) 휴대 단말기에서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51833B1 (ko) 디지털 셀룰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오디오 이득 자동 조절방법
JP2009044530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43051A (ja) 携帯電話機
KR100624787B1 (ko)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0735A (ko) 에프엠 라디오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이어마이크 셋이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58660A (ko)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KR100631630B1 (ko) 이동단말기의 오디오 절환 회로
JP3053770U (ja) ラジオ受信機を内蔵した携帯電話機及びphs電話機
JP2000244631A (ja) 無線携帯端末装置
KR200199010Y1 (ko)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40026909A (ko)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