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821B1 - Division re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vision re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821B1
KR100787821B1 KR1020060067138A KR20060067138A KR100787821B1 KR 100787821 B1 KR100787821 B1 KR 100787821B1 KR 1020060067138 A KR1020060067138 A KR 1020060067138A KR 20060067138 A KR20060067138 A KR 20060067138A KR 100787821 B1 KR100787821 B1 KR 10078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lope
resonator
sign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동
권동욱
김보훈
이관섭
임기만
Original Assignee
에스지씨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씨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지씨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8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04B3/38Repeater circuits for signals in two different frequency ranges transmitted in opposite directions over the sam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20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distributive relay device is provided to insert a line smoothness compensation circuit into a line for connecting a remote module with a donor module capable of transceiving signal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compensating signal distortion by the line. A line smoothness compensation circuit(20) consists of the first resonator(21) and the second resonator(22) individually connected between capacitors(C) through the first variable resistor(R1) and the second variable resistor(R2) in order to provide compensation values of reverse inclination according to inclination of transmission signals in accordance with length of a line, as being connected to the line by the separately located capacitors(C).

Description

분산 중계장치{DIVISION RELAY APPARATUS}Distributed Relay {DIVISION RELAY APPARATUS}

도 1은 빌딩 내에 설치된 선출원된 인 빌딩용 분산 중계기를 나타내는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re-distributed phosphorus building distributed repeater installed in a buildin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의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onor device and remote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선로의 길이가 0.5m, 200m, 400m일 경우의 일반적인 인 빌딩용 분산 중계장치의 전송신호 기울기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3 is a simulation diagram showing the slope of a transmission signal of a general distributed building relay for a building when the length of the track is 0.5m, 200m, 400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distributed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선로의 길이가 0.5m, 200m, 400m일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를 통한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Fig. 5A is a simulation diagram showing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throug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s of the lines are 0.5m, 200m, and 400m.

도 5b는 선로의 길이가 0.5m, 200m, 400m일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에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가 적용된 전송신호의 평탄도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5B is a simulation diagram showing the flatness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whic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is applied to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s of the lines are 0.5m, 200m, and 400m.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에 적용된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를 각각 나타내는 회로도.6A and 6B are circuit diagrams each showing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applied to a distributed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 ≡

10 : 리모트 모듈 20 :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10: remote module 20: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C : 캐패시터 L : 인덕터C: Capacitor L: Inductor

R1 : 제 1 가변저항 R2 : 제 2 가변저항R1: first variable resistor R2: second variable resistor

21 : 제 1 공진기 C1 : 제 1 공진용 캐패시터21: first resonator C1: first resonant capacitor

L1 : 제 1 공진용 인덕터 22 : 제 2 공진기L1: first resonator inductor 22: second resonator

C2 : 제 2 공진용 캐패시터 L2 : 제 2 공진용 인덕터C2: second resonance capacitor L2: second resonance inductor

30 : 도너 모듈 40 : 선로30: donor module 40: track

50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분산 중계장치5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tributed relay device

본 발명은 분산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도너 모듈과 리모트 모듈을 연결시키기 위한 선로에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를 삽입시켜 통화품질을 크게 개선시킨 분산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re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part is inserted into a line for connecting a donor module and a remote module to exchange signal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greatly improving call quality. A distributed relay device.

최근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언제 어디서든 자유로운 통신을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맞추어 통화품질의 개선을 위하여 신호 처리기술과 부품기술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건물 내 통신신호의 전파를 방해하는 요소와 통신 사각지역을 극복하기 위한 인 빌딩용 분산 중계기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free communication is possible anytime and anywhere as it enters the information society, and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and parts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improve the call quality. A distributed repeater for in-building is being developed to overcome the blind spots and communication areas.

인 빌딩용 분산 중계기를 설치할 경우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선로손실을 파악하고, 이 선로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통화품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When installing distributed repeater for build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ine loss for connecting donor device and remote device, and to minimize the line loss.

종래에는 시그널 제너레이터(Signal Generator)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Spectrum Analyzer)를 사용하여 선로손실을 측정한 다음 그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의 이득(Gain)을 조정함으로써 선로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In the past, a line generator was measured using a signal generator and a spectrum analyzer, and then the line loss was adjusted by minimizing the gain of the donor and remote devices based on the measured data. .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시그널 제너레이터와 스펙트럼 애널 라이저의 구입 비용이 높아서 초기 설치비 및 그 유지비용이 상당할 수밖에 없고, 아울러 인 빌딩용 분산 중계기를 설치할 때마다 시그널 제너레이터와 스펙트럼 애널라이저를 운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high cost of signal generators and spectrum analyzers requires a high initial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each time a distributed repeater for in-building is installed, the signal generator and spectrum analyzer must be carried. Disadvantages have been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도 1은 빌딩 내에 설치된 선출원된 인 빌딩용 분산 중계기(10-2003-0004240)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FIG.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distributed preliminary repeater 10-2003-0004240 installed in a building.

일반적으로 분산 중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101) 내에 설치되는 도너 장치(111)와 분배기(121∼123) 및 리모트 장치(113A∼113C)를 구비한다.Generally, the distributed repeater includes a donor device 111, a distributor 121 to 123, and a remote device 113A to 113C installed in the building 101 as shown in FIG. 1.

도너 장치(111)는 자유공간에 전파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출력하는 한편 기준신호를 발생시켜 공중에 출력하고, 분배기(121∼123)는 도너 장치(111)에 선로(LL1)를 통해 연결되어 도너 장치(111)의 출력신호를 분배하고, 이 분배기(121∼123)는 리모트 장치(113A∼113C)에 하나씩 대응되어 설치된다.The donor device 111 receives a signal propagated in a free space, amplifies and outputs it,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air, and the distributors 121 to 123 are connected to the donor device 111 through a line LL1. The output signal of the donor device 111 is distributed, and these distributors 121-123 are provided correspondingly to the remote devices 113A-113C one by one.

리모트 장치(113A∼113C)는 분배기(121∼123)에 선로(LL1)를 통해 연결되며, 분배기(121∼123)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을 증폭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1∼133)로 송신하며, 도너 장치(111)에서 기준신호가 발생될 경우 분배기(121∼123)의 출력신호에서 기준신호를 검출하고, 이 기준신호에 응답하여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선로(LL1)에서 발생된 손실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The remote devices 113A to 113C ar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s 121 to 123 via the line LL1, and amplify the signals output from the distributors 121 to 123 and transmit them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31 to 133.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generated in the device 111, the reference signal is detected in the output signals of the dividers 121 to 123 and the gain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reference signal to compensate for the loss generated in the line LL1. Is designed.

이때, 리모트 장치(113A∼113C)는 빌딩(101) 내의 각 층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remote devices 113A to 113C may be installed 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01.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너 장치와 리모트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onor device and remote device shown in FIG. 1.

도너 장치(2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221), 증폭부(231,233), 스위치(241), 기준신호 발생부(251), 검출부(253), 기준신호 조정부(255) 및 입출력부(22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donor device 211 includes a transceiver 221, an amplifier 231 and 233, a switch 241,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251, a detector 253, a reference signal adjuster 255, and An input / output unit 223 is provided.

송수신부(221)는 안테나(ANT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231)로 전송하는 한편 증폭부(233)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안테나(ANT1)로 송신하며,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transceiver 221 receiv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antenna ANT1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mplifier 231, receives a signal from the amplifier 233,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ntenna ANT1. A duplexer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is provided.

증폭부(231)는 송수신부(2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면서 그 전력을 증폭하며,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또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 The amplifier 231 amplifies the power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1 and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LNA) or a high power amplifier.

기준신호 발생부(251)는 기준신호(Ref1)를 발생하고, 이 기준신호(Ref1)의 주파수는 분산 중계기(201)의 링크용 주파수 중 밴드 내의 중앙 주파수를 사용하며, 기준신호(Ref1)의 크기는 1[mW] 즉, 0[dBm]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251 generates the reference signal Ref1, and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uses the center frequency in the band among the link frequencies of the distributed repeater 201, and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The size can be set to 1 [mW], that is, 0 [dBm].

스위치(241)는 증폭부(231)와 기준신호 발생부(25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빠르게 출력시키는 고주파 스위치를 구비한다. 도너 장치(211)는 스위치(241)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witch 241 selects one of the amplifier 231 and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251, and includes a high frequency switch for quickly outputting an input high frequency signal. The donor device 211 may have a microprocessor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switch 241.

검출부(253)는 스위치(24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기준신호(Ref1)를 검출한다. The detector 253 detects the reference signal Ref1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241.

기준신호 조정부(255)는 검출부(253)의 출력에 응답하여 기준신호(Ref1)의 크기가 일정하게 발생되도록 기준신호 발생부(251)를 조정한다.The reference signal adjusting unit 255 adjusts th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unit 251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is constantly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detecting unit 253.

입출력부(223)는 스위치(241)의 출력 신호를 선로를 통해서 분배기(121∼123)로 전송하는 한편 선로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부(233)로 전달한다. The input / output unit 223 transmits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 241 to the distributors 121 to 123 through the line, and transmits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line to the amplifier 233.

증폭부(233)는 입출력부(22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면서 그 전력을 증폭하며, 저잡음 증폭기 또는 고전력 증폭기를 구비한다. The amplifier 233 amplifies the power while reducing the noi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223 and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or a high power amplifier.

리모트 장치(2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부(261), 감쇠부(271,272), 증폭부(281,283), 검출부(291), 이득 조정부(293) 및 송수신부(263)를 구비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remote device 213 includes an input / output unit 261, an attenuator 271 and 272, an amplifier 281 and 283, a detector 291, a gain adjuster 293, and a transceiver 263. .

입출력부(261)는 분배기(도 1의 121∼12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감쇠부(271)로 전송하는 한편 감쇠부(27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분배기(121∼123)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분배기(121∼12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직접 도너 장치(211)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거나 전송한다. The input / output unit 261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the dividers 121 to 123 of FIG. 1,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ttenuator 271, and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272. 123). When the distributors 121 to 123 are not used, a signal is directly received or transmitted from the donor device 211.

감쇠부(271)는 입출력부(26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여 출력한다.The attenuation part 271 outputs the ampl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part 261 small.

증폭부(281)는 감쇠부(2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며,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크게 증폭하는 고전력 증폭기 또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amplifier 281 may include a high power amplifier or a low noise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power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271 and greatly amplifies the power of the input signal.

검출부(291)는 입출력부(2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기준신호(Ref2)를 검출한다. 검출부(291)는 기준신호 발생부(251)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Ref1)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된 기준신호(Ref1)와 입출력부(261)의 출력에서 검출된 기준신호(Ref2)를 비교하면서 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계산하여 출력한다.The detector 291 detects the reference signal Ref2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261. The detector 291 stores the reference signal Ref1 output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251 in advance, and stores the reference signal Ref1 and the reference signal Ref2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input / output unit 261. While comparing, calculate and output the losses incurred on the track.

이득 조정부(293)는 검출부(291)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감쇠기(271,272)의 감쇠율을 조정하여 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한다. 상기 감쇠율이 조정됨에 따라 리모트 장치(213)의 이득이 조정된다. The gain adjuster 293 adjusts the attenuation rates of the attenuators 271 and 272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or 291 to compensate for the loss occurring in the line. The gain of the remote device 213 is adjusted as the attenuation rate is adjusted.

송수신부(263)는 증폭부(28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ANT2)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31~133)로 송신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31~133)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283)로 전송하며,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구비한다.The transceiver 263 transmi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28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31 to 133 through the antenna ANT2, and receives and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31 to 133. It transmits to the unit 283, and comprises a duplexer for separat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증폭부(283)는 송수신부(26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며,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고전력 증폭기 또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amplifier 283 may include a high power amplifier or a low noise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power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63 and amplifies the power of the input signal.

감쇠부(272)는 증폭부(28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여 출력한다.The attenuator 272 reduces the ampl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283 and outputs it.

리모트 장치(213)는 입출력부(26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와 증폭부(28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mote device 213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261 and a band pass filter for filte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ying unit 283.

분산 중계기(201)가 설치되는 초기에 도너 장치(211)는 기준신호(Ref1)를 발생하여 입출력부(223)를 통해 송신하고, 리모트 장치(213)는 이를 수신하여 선로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알아낸다. 그런 다음 리모트 장치(213)의 이득을 조정하여 통화 품질을 최대한 높이도록 감쇠부(271)를 조정한다.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distributed repeater 201 is installed, the donor device 211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Ref1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223, and the remote device 213 receives the same and recognizes a loss generated in the line. Serve Then, the gain of the remote device 213 is adjusted to adjust the attenuator 271 to maximize the call quality.

도너 장치(211)는 통신 중이라도 필요할 경우에는 기준신호(Ref1)를 발생하 고, 그에 따라 리모트 장치(213)는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도너 장치(211)와 리모트 장치(213)는 언제든지 선로손실을 최대한 보상하도록 시스템을 유지하며, 그에 따라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The donor device 211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Ref1 if necessary even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remote device 213 adjusts the gain accordingly so that the donor device 211 and the remote device 213 compensate for the line loss at any time. To maintain the system, thereby improving call quality.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의 인 빌딩용 분산 중계기는 선로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이득을 조정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도너 장치(111)에서는 기준신호(Ref1)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부(251)와, 스위치(24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기준신호(Ref1)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53), 그리고 이 검출부(253)의 출력에 응답하여 기준신호(Ref1)의 크기가 일정하게 발생되도록 기준신호 발생부(251)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신호 조정부(255)를 필요로 하고; 상대적으로 리모트 장치(213)에서는 입출력부(2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기준신호(Ref2)를 검출하고 자체 저장된 기준신호(Ref1)를 비교하여 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계산 출력하는 검출부(291)와, 이 검출부(291)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감쇠기(271,272)의 감쇠율을 조정하여 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이득 조정부(293)를 필요로 하여, 도너 장치(211)의 구성부품은 물론이거니와 리모트 장치(213)의 구성부품까지 많아질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in-building distributed repeater is designed as a system for adjusting gain to compensate for line loss, and the donor device 111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251 for generating the reference signal Ref1. ), A detector 253 for detecting the reference signal Ref1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241, and a reference such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Ref1 is constant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detector 253. A reference signal adjusting unit 255 for adjusting the signal generating unit 251 is required; Relatively, the remote device 213 detects the reference signal Ref2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261 and compares the stored reference signal Ref1 with the detection unit 291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a loss occurring in the line.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donor device 211, a gain adjusting unit 293 is required to adjust the attenuation ratios of the attenuators 271 and 272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291 to compensate for the loss occurring in the line. As a result, even the components of the remote device 213 may be increased, and thus the productivity may be greatly reduc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도너 모듈과 리모트 모듈을 연결시키기 위한 선로에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를 삽입시켜 선로에 의한 신호 왜곡 현상을 보상토록 한 분산 중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portion into a line for connecting a donor module and a remote module to exchange signal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tributed relay apparatus that compensates for signal distortion caused by lin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리모트 모듈과 도너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은 상기 선로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는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를 포함하는 분산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는 서로 이격된 캐패시터들에 의하여 상기 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선로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캐패시터들 사이에 제 1 가변저항 및 제 2 가변저항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는 제 1 공진기 및 제 2 공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A remote module and a donor module connected through a line so as to exchange signal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remote module provides a line flatness that provides a correction value of an inverse gradient in accordance with a slope of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In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including a correction circuit unit,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line by capacit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include a first variable resistor and a first variable resistor between the capacitors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of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It is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the first resonator and the second reson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variable resis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리모트 모듈과 도너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은 상기 선로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는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를 포함하는 분산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는 서로 이격된 인덕터들에 의하여 상기 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선로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덕터들 사이에 제 1 가변저항 및 제 2 가변저항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는 제 1 공진기 및 제 2 공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mote module and a donor module connected through a line so as to exchange signal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remote module provides a line flatness that provides a correction value of an inverse gradient in accordance with a slope of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In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including a correction circuit unit,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line by induct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the first variable resistor between the inductors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in accordance with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It comprises the first resonator and the second resonator,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via two variable resistor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in their technical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rough these embodiment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도 3은 선로(40)의 길이가 0.5m, 200m, 400m일 경우의 일반적인 분산 중계장치(100)의 전송신호 기울기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이다.3 is a simulation diagram showing a slope of a transmission signal of a general distributed relay apparatus 100 when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0.5 m, 200 m, or 400 m.

먼저, 선로(40)의 길이가 0.5m 이내일 경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과 대역 평탄도 왜곡 현상이 그리 크지 않아 시작 주파수인 50㎒와 마지막 주파수인 70㎒에서 평탄도, 즉 전송신호 기울기가 약 0.004dB 정도로 작은 결과값을 나타내므로 신호 왜곡에 대한 부담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First, when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within 0.5m, as shown in FIG. 3, the passband flatness distortion phenomenon is not so great that the flatness, i.e.,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t the starting frequency 50MHz and the last frequency 70MHz The result is as small as about 0.004 dB, so the burden of signal distortion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그러나, 빌딩이 대형화(또는 장애물 지역)됨에 따라 도너 모듈(30)과 리모트 모듈(10)을 연결하기 위한 선로(40)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신호의 왜곡 현상 또한 더욱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However, as the building becomes larger (or obstructed area), the length of the line 40 for connecting the donor module 30 and the remote module 10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us,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is inevitably increased. .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작주파수인 50㎒와 마지막 주파수인 70㎒에서의 평탄도, 즉 전송신호의 기울기는 200m인 경우 약 1.3dB 정도의 신호 왜곡 현상이 나타나고, 400미터인 경우 약 2.7dB 정도의 신호 왜곡 현상이 나타나 통화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latness at the starting frequency of 50 MHz and the last frequency of 70 MHz, that is, the slope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about 1.3 dB at 200 m, and at about 2.7 dB at 400 meters. Signal distortion occur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call quality.

이러한 왜곡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로(40)를 짧게 하면서 리모트 모듈(10)을 여러 대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으나 이러할 경우 분산 중계장치(100) 자체의 비용이 고가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distortion phenomenon, it may be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emote modules 10 while shortening the line 40, but in this case, the cost of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itself becomes high.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 모듈(30)과 리모트 모듈(10)을 연결시키기 위한 선로(40)에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삽입시켜 선로(40)에 의한 신호 왜곡 현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모듈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왜곡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선로(40)의 길이를 더욱 길게 보장할 수 있게 되어 리모트 모듈(10)의 설치 수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e distributed re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inserted into a line 40 for connecting the donor module 30 and the remote module 10. By allowing the signal distortion phenomenon to be corrected by 40,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by a single module can be greatly expected, and the time required for correcting the signal distortion phenomenon can be reduced, and the length of the line 40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ensure a longer to be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remote module (10).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는 빌딩 내부(또는 장애물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50)와 신호를 주고받는 리모트 모듈(10)이 선로(40)를 통하여 도너 모듈(30)과 서로 연결되도록 설계되며, 도너 모듈(30)은 자 유공간으로 신호를 전파시키거나 수신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nor module 30 is connected to the remote module 10 through which the remote module 1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in a building (or an obstacle area). ) Is design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onor module 30 propagates or receives a signal to the free space.

이때, 리모트 모듈(10)은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는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remote module 10 includes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that provides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도 5a는 선로(40)의 길이가 0.5m, 200m, 400m일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통한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이고, 도 5b는 선로(40)의 길이가 0.5m, 200m, 400m일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에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가 적용된 전송신호의 평탄도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이다.5A is a simulation diagram showing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throug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0.5m, 200m, and 400m, and FIG. 5b is a line 40 ) Is a simulation diagram showing the flatness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whic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applied to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s are 0.5 m, 200 m, and 400 m.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에 적용된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에 의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43dB, 2.7dB 정도 선로(40) 기울기의 반대로 기울게 하여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로(40)의 길이가 200m일 경우 0.1dB의 평탄도로서, 400m일 경우 0.06dB의 평탄도로서 균일하게 출력하게 되어 양질의 통화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A,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applied to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ination of the line 40 and overlaps about 1.43 dB and 2.7 dB. As shown in FIG. 5B, the line 40 has a flatness of 0.1 dB when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200 m, and a flatness of 0.06 dB when 400 m, thereby ensuring high quality call quality. .

즉,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통과한 신호를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신호의 기울기와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기울기가 되도록 설계한 후 두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서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현상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designed such that the slope of the flatness distortion signal by the line 40 is equal in magnitude and opposite in direction, and then overlaps the two signals so that the line 40 is overlapped. It is to be able to cancel the flatness distortion caused by.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에 적용된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각각 나타내는 회로도이다.6A and 6B are circuit diagrams respectively illustrating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applied to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에 적용된 선로 평탄 도 보정회로부(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캐패시터(C)들에 의하여 선로(40)에 연결되며 이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캐패시터(C)들 사이에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는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applied to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ine 40 by capacitors C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6A. A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R2)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capacitors (C)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long the length of the line (40). The first resonator 2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may be included.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는 서로 이격된 인덕터(L)들에 의하여 선로(40)에 연결되며 이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인덕터(L)들 사이에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는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connected to the line 40 by inductors 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A first resonator 21 and a second resonator 22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s L through a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R2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respectively. You may.

여기서,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은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가 클 경우 저항값을 작게 하는 반면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가 작을 경우 저항값을 크게 하여 선로(40)에 의한 손실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R2) is a small resistance value when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whil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long the length of the line 40 When the slope is small, the resistance value is increased to compensate for the loss caused by the line 40.

그리고, 제 1 공진기(21)는 제 1 공진용 캐패시터(C1) 및 제 1 공진용 인덕터(L1)로 구성되고, 제 2 공진기(22)는 제 2 공진용 캐패시터(C2) 및 제 2 공진용 인덕터(L2)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는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제 1 공진용 캐패시터(C1), 제 1 공진용 인덕터(L1), 제 2 공진용 캐패시터(C2) 또는 제 2 공진용 인덕터(L2)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를 천이시킬 수도 있다.
The first resonator 21 includes a first resonant capacitor C1 and a first resonant inductor L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includes a second resonant capacitor C2 and a second resonator. It consists of an inductor L2.
At this time, the first resonator 2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provide the first resonance capacitor C1 and the first resonance so as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long the length of the line 40. The resonance frequency may be shifted by adjusting the inductor L1, the second resonance capacitor C2, or the second resonance inductor L2.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는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를 통하여 보정을 원하는 주파수보다 높은 위치에 대역통과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하고,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의 앞단 에 연결된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을 조절하여 공진회로의 품질계수(Quality Factor)를 조절하며, 또한 조절되어진 공진회로의 품질계수는 보정을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 기울기를 조절하고, 이러한 조절에 의하여 저항값이 작으면 품질계수의 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원하는 대역에서 신호의 기울기가 커지게 되며, 저항값이 커질수록 품질계수가 나빠지므로 신호의 기울기는 더욱 작아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bandpass filter at a position higher than a desired frequency for correction through the first resonator 2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The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resonator 2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are adjusted to adjust the quality factor of the resonant circuit, The quality coefficient of the resonant circui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ignal slope of the desired frequency. If the resistance value is small by this adjustment, the signal slope is increased in the desired band because the resistance value does not affect the value of the quality coefficient. The larger the quality factor is, the smaller the slope of the signal is.

그리고,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통과한 신호를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신호의 기울기와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기울기가 되도록 설계한 후 두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서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현상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designed such that the slope of the flatness distortion signal by the line 40 is equal in magnitude and opposite in direction, and then the two signals are superimposed to overlap the line 40. It is possible to cancel the flatness distortion caused by.

즉,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기울기가 클 경우 평탄도 보정회로의 저항값을 작게 하고, 기울기가 작을 경우 보정회로의 저항값을 크게 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lope of the flatness distortion signal by the line 40 is measured, and when the slope is lar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is decreased, and when the slope is small,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rrection circuit is increased so that the line overlaps each other. The flatness distortion problem by 40 can be solved.

한편, 본 발명에서 제 1 가변저항(R1) 또는 제 2 가변저항(R2)이라 명명하였지만 칩 저항 또는 코일 저항 등을 사용하여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he first variable resistor R1 or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R2 is na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value may be adjusted using a chip resistor or a coil resistor.

또한,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는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서 전송신호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 1 공진용 인덕터(L1), 제 2 공진용 인덕터(L2), 제 1 공진용 캐패시터(C1) 또는 제 2 공진용 캐패시터를 가변시켜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 1 공진기(21)나 제 2 공진기(22)의 주파수를 튜닝[제 1 공진용 인덕터(L1), 제 2 공진용 인덕터(L2), 제 1 공진용 캐패시터(C1), 제 2 공진용 캐패시터(C2)가 병렬공진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가변시켜]하여 올렸다 내렸다하면 공진 주파수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면서 기울기가 커지거나 작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may change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by changing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first resonator 2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the first resonant inductor for changing the resonant frequency. The problem of flatness distortion caused by the line 40 may be solved by varying the L1, the second resonant inductor L2,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C1, or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That is, the frequency of the first resonator 21 or the second resonator 22 is tuned (the first resonant inductor L1, the second resonant inductor L2,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C1, and the second resonator). Since the capacitor C2 forms a parallel resonance, it is variable up and down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esonant frequency, there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esonant frequency. It will be possible.

삭제delet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는 도너 모듈(30)과 리모트 모듈(10)을 연결시키기 위한 선로(40)에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삽입시켜 선로(40)에 의한 신호 왜곡 현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단일 모듈의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의 부품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왜곡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선로(40)의 길이를 더욱 길게 보장할 수 있게 되어 리모트 모듈(10)의 설치 수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nto the line 40 for connecting the donor module 30 and the remote module 10 to the line 40. [Provide parts of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of a single module] so that the signal distortion phenomenon can be correct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correcting the signal distortion phenomen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a longer length of the line 40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remote module 10.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중계장치(100)에 적용된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에 의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43dB, 2.7dB 정도 선로(40) 기울기의 반대로 기울게 하여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로(40)의 길이가 200m일 경우 0.1dB의 평탄도로서, 400m일 경우 0.06dB의 평탄도로서 균일하게 출력하게 되어 양질의 통화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applied to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opposite to the slope of the line 40 about 1.43 dB or 2.7 dB. As shown in FIG. 5B, the line 40 has a flatness of 0.1 dB when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200 m, and a flatness of 0.06 dB when 400 m, thereby ensuring high quality call quality. do.

즉,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통과한 신호를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신호의 기울기와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기울기가 되도록 설계한 후 두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서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현상을 상쇄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designed such that the slope of the flatness distortion signal by the line 40 is equal in magnitude and opposite in direction, and then overlaps the two signals so that the line 40 is overlapped.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cancel the flatness distortion caused by.

나아가,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가 클 경우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의 저항값을 작게 하는 반면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가 작을 경우 저항값을 크게 하여 선로(40)에 의한 손실을 보상토록 함으로써 그 조작 및 유지관리가 훨씬 수월한 이점이 있다.Furthermore, when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large,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R2 are reduced, whereas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reduced. When the slope is small, the resistance value is increased to compensate for the loss caused by the line 40, and thus,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are much easier.

더욱 구체적으로,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기울기가 클 경우 평탄도 보정회로의 저항값을 작게 하고, 기울기가 작을 경우 보정회로의 저항값을 크게 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선로(40)에 의한 평탄도 왜곡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lope of the flatness distortion signal by the line 40 is measured, and when the slope is lar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is decreased, and when the slope is small,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rrection circuit is increased so that it overlaps each other.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flatness distortion caused by the line 40.

이상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는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object,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that provides a correction value of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large feature, and the other variable configurations can be understood as the number of various cases.

Claims (5)

이동통신 단말기(5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선로(40)를 통하여 연결되는 리모트 모듈(10)과 도너 모듈(30)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10)은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는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포함하는 분산 중계장치(100)에 있어서,A remote module 10 and a donor module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line 40 so as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and the remote module 10 has a length of the line 40. In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including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for providing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상기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는 서로 이격된 캐패시터(C)들에 의하여 상기 선로(40)에 연결되며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캐패시터(C)들 사이에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는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중계장치(100).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connected to the line 40 by capacitors C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s a correction value of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And a first resonator 21 and a second resonator 22 connected between the capacitors C through a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R2, respectively. Distributed repeater 100. 이동통신 단말기(5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선로(40)를 통하여 연결되는 리모트 모듈(10)과 도너 모듈(30)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10)은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는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를 포함하는 분산 중계장치(100)에 있어서,A remote module 10 and a donor module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line 40 so as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and the remote module 10 has a length of the line 40. In the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including a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for providing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상기 선로 평탄도 보정회로부(20)는 서로 이격된 인덕터(L)들에 의하여 상기 선로(40)에 연결되며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덕터(L)들 사이에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는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중계장치(100).The line flatness correction circuit unit 20 is connected to the line 40 by inductors (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s a correction value of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And a first resonator 21 and a second resonator 22 connected between the inductors L through a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a second variable resistor R2, respectively. Distributed repeater 10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가변저항(R1) 및 제 2 가변저항(R2)은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가 클 경우 저항값을 작게 하는 반면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가 작을 경우 저항값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중계장치(100).The first variable resistor R1 and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R2 reduce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large, while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is reduced. Dispersion repeater 100,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slope of the sma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공진기(21)는 제 1 공진용 캐패시터(C1) 및 제 1 공진용 인덕터(L1)로 구성되고,The first resonator 21 is composed of a first resonant capacitor C1 and a first resonant inductor L1. 상기 제 2 공진기(22)는 제 2 공진용 캐패시터(C2) 및 제 2 공진용 인덕터(L2)로 구성되며,The second resonator 22 is composed of a second resonance capacitor C2 and a second resonance inductor L2. 상기 제 1 공진기(21) 및 제 2 공진기(22)는 상기 선로(40)의 길이에 따른 전송신호의 기울기에 맞추어 역기울기의 보정값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공진용 캐패시터(C1), 제 1 공진용 인덕터(L1), 제 2 공진용 캐패시터(C2) 또는 제 2 공진용 인덕터(L2)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를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중계장치(100).The first resonator 21 and the second resonator 22 provide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C1 and the first resonant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of the inverse slope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40. A distributed relay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onant frequency is shifted by adjusting the resonant inductor (L1),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C2), or the second resonant inductor (L2). 삭제delete
KR1020060067138A 2006-07-18 2006-07-18 Division relay apparatus KR100787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38A KR100787821B1 (en) 2006-07-18 2006-07-18 Division re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38A KR100787821B1 (en) 2006-07-18 2006-07-18 Division re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821B1 true KR100787821B1 (en) 2007-12-21

Family

ID=3914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138A KR100787821B1 (en) 2006-07-18 2006-07-18 Division re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82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988A (en) * 1999-05-27 2000-12-15 정용문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using in building
KR20010025591A (en) * 2001-01-09 2001-04-06 양광모 Active Integrated Antenna System
KR20020073459A (en) * 2002-08-22 2002-09-26 엔유 주식회사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repeater
KR20040067224A (en)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조양산업 Distribution relay system for in-building
KR20060058592A (en) * 2004-11-25 2006-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lti-sector repeater distributing cal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988A (en) * 1999-05-27 2000-12-15 정용문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using in building
KR20010025591A (en) * 2001-01-09 2001-04-06 양광모 Active Integrated Antenna System
KR20020073459A (en) * 2002-08-22 2002-09-26 엔유 주식회사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repeater
KR20040067224A (en)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조양산업 Distribution relay system for in-building
KR20060058592A (en) * 2004-11-25 2006-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lti-sector repeater distributing c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218A (en) Radio signal repeating apparatus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155257B2 (en) Communication station with automatic cable loss compensation
US7123939B1 (en) Communication station with automatic cable loss compensation
US8116254B2 (en) Wireless repeater with smart uplink
EP0115139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s
US95597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hannel transceiver communications
KR100412014B1 (en) An intermediate frequency repeater enable to control the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4893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eeder shar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3234628A (en) Radio base station
US6131014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upstream communication noise level determination method
JPH04372234A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EP0948131A1 (en)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amplifier linearization devices
KR100787821B1 (en) Division relay apparatus
KR20090012400A (en) Method for sharing up link and downlink of wibro repeater using for time division duplex
JP3201885B2 (en) Bidirectional relay amplifier
EP095758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ransmitter overload in a transmit scanning receiver
US6701157B2 (en) Transmitter circui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in-band noise in 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s
JP2001016145A (en) Frequency characteristics corrector for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5188365B2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KR100383390B1 (en) Adjacent Frequency Canceller with Nulling Loop
KR20040067224A (en) Distribution relay system for in-building
KR20040035316A (en) Interference signal cancellation system and relay system therefor
KR200346362Y1 (en) AM broadcasting repeater with band remove circuit
JPH0661884A (en) Gain control device of information signal receiver
KR200332434Y1 (en) Interference Signal Elimination Circuit of Radio Relay Apparatus for In-phase Elimination Form using Primary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