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487B1 -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487B1
KR100786487B1 KR1020010039119A KR20010039119A KR100786487B1 KR 100786487 B1 KR100786487 B1 KR 100786487B1 KR 1020010039119 A KR1020010039119 A KR 1020010039119A KR 20010039119 A KR20010039119 A KR 20010039119A KR 100786487 B1 KR100786487 B1 KR 10078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pagation time
serv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03382A (en
Inventor
우성식
고종석
유흥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3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487B1/en
Publication of KR2003000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using propagation tim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two different base station signals, the radio wave arrival time, the radio wave arrival time difference, and the like are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radio wave propagation time, radio wav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A method of determining a mobile terminal location using sector informa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서빙 기지국,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1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1 원을 구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2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2 원을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파도달시간과 상기 제2 전파도달시간간의 차이[이하 "전파도달시간차이(TDOA)"라 함]로 계산한 거리를 나타내는 쌍곡선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초점으로 하여 구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한 제1 원 및 제2 원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고, 상기 구한 직선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between a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signals from two different base stations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neighboring base station). A first circle hav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one propagation time (TOA) as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obtained, and the distance calculated from a second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Obtaining a second circle having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A hyperbolic curve represent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pagation time and the second propaga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OA") is focused on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btaining by; Obtaini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circles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straight line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determining an intersection belonging to a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측위 서비스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radio location services and the like.

이동체 측위,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TOA, TDOA, 쌍곡선Mobile positio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ing, TOA, TDOA, hyperbolic

Description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망의 구성 예시도.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Figure 2 is an embodiment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oving object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설명도.Figure 3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showing a moving object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 상세 설명도.Figures 4a to 4c i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ing a moving object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5A and 5B are flowcharts of one embodiment of a moving object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위치 결정 처리기 120 : 홈 가입자 위치 등록기110: positioning processor 120: home subscriber location register

130 : 방문 가입자 위치 등록기 140 : 이동통신 교환기130: visitor location register 140: mobile communication switch

150 : 기지국 제어기 160 : 기지국
150: base station controller 160: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wo different base station signals. Record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propagation time, th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the sector information, and the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using the propagation time, th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the sector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필수적이다. In order to implement a location syst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ssential.

상기 위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 있어서 정확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기지국의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함으로써 기지국이 송신하는 전파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현재 무선통신 시스템의 특성상 간섭이 최소화하도록 기지국이 배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치 결정에 유용한 2개 이상의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technology for implementing the location system, the time at which the radio wav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reach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the signals of at least three different base stations. Althoug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a, the base station is arranged to minimize interfer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eive two or more base station signals useful for positioning.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송수신 전파의 도래각(AOA : Angle of Arrival)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파의 전달 시간의 차이(TDOA : 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는데, 전파의 도래각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 어레이 안테나와 같은 수신 전파의 각을 측정할 수 있는 부가 장치를 추가해야 하며, 가시경로(LOS : Line of Sight)가 확보되어야만 정확히 동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using an angle of arrival (AOA)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and a method using 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of radio waves In order to use the method of using the angle of arrival of radio waves, an additional device for measuring the angle of received radio waves such as an array antenna must be added to the base station, and a line of sight (LO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an operate correctly only if it is secu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wo different base station signal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propagation time, th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propagation tim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서빙 기지국,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1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1 원을 구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2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2 원을 구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파도달시간과 상기 제2 전파도달시간간의 차이[이하 "전파도달시간차이(TDOA)"라 함]로 계산한 거리를 나타내는 쌍곡선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초점으로 하여 구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한 제1 원 및 제2 원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고, 상기 구한 직선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to receive signals from two different base stations (a serving base station and a neighboring base station). Obtain a first circle hav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a first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obtain a second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ing a second circle having a distance calculated as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A hyperbolic curve represent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pagation time and the second propaga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OA") is focused on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btaining by; Obtaini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circles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straight line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determining an intersection belonging to a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이 없음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termining of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re are no intersections within the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e position.

삭제delete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위치결정 처리기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서빙 기지국,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1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1 원을 구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2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2 원을 구하는 기능; 상기 제1 전파도달시간과 상기 제2 전파도달시간간의 차이[이하 "전파도달시간차이(TDOA)"라 함]로 계산한 거리를 나타내는 쌍곡선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초점으로 하여 구하는 기능;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구하는 기능; 상기 구한 제1 원 및 제2 원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고, 상기 구한 직선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는 기능; 및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signals from two different base stations (serving base station and neighbor base station) in a positioning processor having a processor. A first circle hav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a first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base stations as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a second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nding a second circle having a distance as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A hyperbolic curve represent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pagation time and the second propaga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OA") is focused on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Function to obtain; Obtaini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A function of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circles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straight line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an intersection belonging to a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이 없음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re is no intersection within the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삭제delete

본 발명은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시스템(Location system)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중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특히 TOA 및 TDOA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서로 다른 기지국의 신호를 2개만 수신하여도 단말기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a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ethod for implementing a location system (Location system)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OA And even if the terminal receives only two signals from different base stations using the TDO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소한 서로 다른 2개의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거나 서로 다른 2개의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며,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였다면, 현재 단말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 or Serving Cell)으로부터 전파도달시간(TOA)에 의한 거리 정보를 계산하고, 인접 기지국(Neighbor Base Station or Neighbor Cell)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시간차이(TDOA)에 의한 거리 정보를 계산하여 두 시간정보에 의한 거리를 계산하고,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알 수 있는 서빙 기지국의 섹터 정보를 부가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서로 다른 2개의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역시 같은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receive at least two different base station signals or two different base stations can receive the signa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wo different base station signals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time (TOA) is calculat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Serving Base Station or Serving Cell) currently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erminal,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Calculate distance by two time information by 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by TDOA between neighbor cell and serving base station, and additionally add sector information of serving base station which can be known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Also, when two different base stations receive a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셀룰러, PCS)이나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위치 시스템 구현시 필요한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the terminal location required when implementing a location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cellular, PCS) 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o us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Can provide.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망의 구성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망은 종래의 기본 망구조에 전파의 도달 시간/시간차, 섹터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위치 결정 처리기(110)가 추가된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responsible for calculat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time / time difference of a radio wave and sector information in a conventional basic network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ing processor 110 is added.

여기서, 위치 결정 처리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70)를 포함하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절한 요소에 추가로 기능 구현을 하거나 새로이 구현할 수 있다. Here, the location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or new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appropriate elements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70.

상기 종래의 망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170), 기지국(BS : Base Station)(160),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50), 이동통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40), 방문가입자위치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0), 홈가입자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20) 등으로 구성되나, 이는 당해 분야에서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ventional network structure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170, a base station (BS) 160,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50,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MSC) Mobile Switching Center (140),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130), Home Location Register (HLR) (120), etc., but this is only known in the ar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서로 다른 2개 기지국의 수신 신호와 서빙 기지국의 섹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receive signals of three or more different base stations, the received signals and the serving base stations of two different base stations are illustrated. It show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ector of.

다시 말해, 도 2 에 도시된 내용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원 "A"는 서빙 기지국(BS1)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전파도달시간(TOA)을 이용하여 거리로 계산된 원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 "A"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the contents shown in FIG. 2 indicate a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signals of two base stations, and the original "A" indicates a radio wave arrival time (TOA) between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d as distance using. That is, the mobile terminal assumes that it exists on the circle "A".

마찬가지로, 원 "B"는 인접 기지국(BS2)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전파도달시간(TOA)을 이용하여 거리로 계산된 원이다.Similarly, the circle "B" is a circle calculated as a distance using the radio wave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adjacent base station BS2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전파도달시간(TOA)이 가시경로가 확보된 환경에서 수신되고 측정에 오차가 없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 "A"와 원 "B"의 교점, 즉 점 "P2", 또는 점 "P3"에 위치할 것이다. 그러나, 가시경로가 확보되지 않는 전파 환경임을 고려할 때, 실제 전파의 도달 시간 보다는 많은 지연 시간이 더해 질 것이므로, 도 2가 실제 전파 측정에 의한 것이라면 원 "A", 원 "B" 모두 또는 한 원은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리에 의한 것보다 크게 그려질 것이다. If the TOA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visible path is secured and there is no error in the measure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circle “A” and the circle “B”, that is, the point “P2”. ", Or will be located at point" P3 ".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a propagation environment in which no visible path is secured, more delay time will be added than the arrival time of actual propagation, so if FIG. 2 is based on actual propagation measurement, circle "A", circle "B" or all circles Will be drawn larger than by the distance of the act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계산된 원 "A"의 내부와 원 "B"의 내부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aid to exist inside the circle "A" and inside the circle "B"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signal.

곡선 "AB"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서빙 기지국(BS1)과 인접 기지국(BS2)의 전파도달시간(TOA)에 대해, 수신된 두 전파도달시간의 차가 일정한 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이 곡선은 두 기지국을 초점으로 거리의 차가 일정하며 점"P1", "P2"를 통과하는 쌍곡선(hyperbola)이 된다. 도 2는 이 쌍곡선 중 한 곡선만을 도시한 것이며, 다른 한 곡선도 동일하게 도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곡선 중 한 곡선인 곡선 "AB"를 편의상 쌍곡선이라 부른다.Curve "AB" shows a curv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wo received radio wave propagation times is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radio wave propagation time TO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BS2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fference in distance is constant around the base station and becomes a hyperbola passing through the points "P1" and "P2". Figure 2 shows only one curve of these hyperbolas, and the other curve can also be shown equally. Hereinafter, 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curve “AB”, which is one of the hyperbolas, is called a hyperbola for convenience.

따라서, 이 쌍곡선 "AB"와 원 "A"의 교점은, 상기의 두 원, 즉 원 "A" 및 원 "B"의 교점인 점 "P2" 및 점 "P3"와 항상 일치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section of the hyperbola "AB" and the circle "A" always coincides with the point "P2" and the point "P3" which are the intersections of said two circles, ie, the circle "A" and the circle "B".

또한, 직선 "R"은 두 기지국의 중심을 서로 연결한 것으로서, 직선 "R"과 쌍곡선 "AB"는 항상 한 점에서 교차하게 되며, 이때의 교점인 점 "P1"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된다. In addition, the straight line "R" connects the centers of two base stations with each other, and the straight line "R" and the hyperbolic line "AB" always intersect at one point, and the point "P1" which is the intersection point at this time is the move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전파 측정에 의한 지연 시간에 따른 거리 계산은 두 원(원 "A" 및 원 "B")의 내부, 즉 원 "A" 및 원 "B"의 교집합에 해당되는 영역에 존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만약 교점 "P1"이 서빙 기지국(BS1)의 섹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라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P2", 또는 "P3" 보다는 직선 "R"과 쌍곡선 "AB"의 교점인 점 "P1"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delay time by the actual propagation measurement is carried out inside the two circles (circles "A" and "B"), that is,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of circles "A" and circles "B". Because of the high probability of existence, if the intersection point "P1" is included in the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2", or "P3" rather than the straight line "R" and hyperbolic "AB". This is because the point "P1" which is an intersection point is likely.

여기서, 직선 "S1", "S2" 및 "S3"는 서빙 기지국(BS1)의 섹터 영역을 나타낸 것으로서, 현재의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서빙 기지국(BS1)의 섹터 정보를 부가적으로 이용 가능하므로 원 "A"와 쌍곡선 "AB"의 교점인 점 "P2", "P3" 그리고 두 기지국의 중심을 서로 이은 연장선 "R"과 쌍곡선의 교점인 점 "P1" 중 서빙 섹터 영역에 존재하는 점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된다. Here, the straight lines "S1", "S2" and "S3" represent the sector areas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and the current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enerally adds sector inform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in this manner. Available in the serving sector area of points "P2" and "P3", the intersection of circle "A" and hyperbolic "AB", and extension point "R" and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hyperbolic point "P1" The point i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 경우, 세 점, 즉 "P1", "P2" 및 "P3"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되는 점을 결정하는 과정은 하기의 도 4a 내지 도 4c 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ree points, that is, "P1", "P2" and "P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상세 설명도이다.Figure 3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showing a moving object positio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프 지역에 있어 2개의 수신 신호가 서로 접하는 경우에는, 두 원, 즉 원 "A" 및 원 "B"와 쌍곡선 "AB" 그리고 두 기지국을 서로 이은 연장선 "R"이 하나의 교점 "P1"에서 만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tw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handoff area, two circles, that is, circles "A" and circles "B" and hyperbolic "AB" and two base sta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causes the extension line "R" to meet at one intersection point "P1".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서빙 기지국의 추가 섹터 정보가 없더라도 점 "P1"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determined as point "P1" even if there is no additional sector informat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상세 설명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는 세 점, 즉 "P1", "P2" 및 "P3" 중 서빙 기지국(BS1)의 서빙 섹터 영역에 존재하는 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4A to 4C are detailed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mobile object positio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three points that can be estimated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P1", "P2", and "P3", FIG. The process of determining a point existing in the serving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그리고, 이때 만일 세 점, 즉 "P1", "P2" 및 "P3"가 모두 서빙 섹터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인접 기지국(BS2)의 섹터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 로, 인접 기지국(BS2)의 섹터 영역과 서빙 기지국(BS1)의 섹터 영역의 교집합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면 된다. In this case, if all three points, that is, "P1", "P2", and "P3" exist in the serving sector area, sector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BS2 may be generally us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termine the point which exists in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sector area | region and the sector area | reg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as a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하지만, 만약 인접 기지국(BS2)의 섹터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라면, 쌍곡선 "AB"와 직선 "R"의 교점인 "P1"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한다.However, if the sector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BS2 is unknown, "P1",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hyperbolic "AB" and the straight line "R",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S1"과 "S2"이 서빙 기지국(BS1)의 서빙 섹터를 나타낼 때, 도 4a의 경우에는 점 "P1", 도 4b의 경우에는 점 "P2", 그리고 도 4c의 경우에는 점 "P3"가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되게 된다.That is, when " S1 " and "S2" represent serving sectors of the serving base station BS1, the point " P1 " in FIG. 4A, the point " P2 " in FIG. 4B, and the point " P3 "is determined a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5A and 5B are flowcharts of an embodiment of a moving object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처리기(도 1의 1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시간(TOA)/전파도달시간차이(TDOA)에 의한 거리 계산, 기지국 사이의 연장선 및 섹터 정보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수반되는 여러 과정을 처리하게 된다. Positioning processor (110 of FIG. 1)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the radio wave propagation time (TOA) / radio wave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 TDOA) processes the various processes involved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distance calculation, extension lines and sector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s.

상기 처리 과정을 도 5a 및 도 5b 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ing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먼저, 대기 상태(501)에 있던 위치 결정 처리기(도 1 의 110)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502), 위치 결정 처리기는 현재 수신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에 유용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503).First, when the position calcula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to the positioning processor (110 of FIG. 1) in the standby state 501 (502), the positioning processor is useful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being received. It is checked whether the signal is received (503).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에 유용한 신호의 수가 3개 이상일 경우에는(504), 이 신호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 기지국 사이의 전파도달시간(TOA)을 계산하고(505),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506), 각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원 혹은 쌍곡선에 의해 교점 계산을 수행하여(507), 그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고 통보함으로써(5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결정 과정은 종료되며, 이후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502) 대기 상태(501)를 유지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number of signals useful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ree or more (504), the radio wave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ach base station is calculated using these signals (505), After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ach base station (506), and performing the intersection calculation by a circle or hyperbolic curv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each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7), the resul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rminated by determining and notifying the location (508), and then maintains the waiting state (501) until the location calcula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502).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에 유용한 신호의 수신 여부 확인 결과(503), 그 수가 3개 미만일 경우에는(504),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에 유용한 신호의 수가 2개인지를 확인하게 되는데(509), 그 결과 확인된 신호의 수가 1개일 경우에는,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502)에 대해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단말기의 위치로 통보하고(510), 이후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502) 대기 상태(501)를 유지한다.However,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signal useful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503), if the number is less than three (504), it is again confirmed whether the number of signals useful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wo ( 509, if the number of confirmed signals is o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is notified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osition calculation request 502 of the input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10), and then aga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aiting state 501 is maintained until the position calculation request signal of 502 is input (502).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에 유용한 신호의 수가 2개일 경우에는(509),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However,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number of signals useful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wo (509), the process as shown in FIG. 5B is performed.

즉, 먼저 2개의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전파도달시간(TOA)을 계산한 후(511), 이를 이용하여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각각 계산한다(512,513). 그리고, 계산된 두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원으로 계산을 수행하고(514), 다시 두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차에 따라 쌍곡선 계산을 수행한다(515). That is, first, after calculating the radio wave arrival time (TOA) between the two base station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11), the distance between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using these (512, 513). In operation 514, a hyperbolic calcul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ase station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후, 계산에 의하여 얻어진 두 원과 쌍곡선의 교점(도 2의 P2, P3)을 구하고(516), 또한 쌍곡선과 두 기지국 사이의 연결선과의 교점(도 2의 P1)을 구한다(517). 그리고, 서빙 기지국의 서빙 섹터 영역을 확인하여(518), 확인된 서빙 섹터 영역내에 쌍곡선과 두 기지국 사이의 연결선과의 교점(도 2의 P1)이 존재하면(519) 그 교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여 통보하고(520), 이후에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502) 대기 상태(501)를 유지하며, 존재하지 않으면(519) 두 원과 쌍곡선의 교점(도 2의 P2, P3)중 서빙 섹터 영역내에 존재하는 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여 통보하고(522), 이후에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502) 대기 상태(501)를 유지한다.Subsequently, the intersection of the two circles and the hyperbola obtained by the calculation (P2 and P3 of FIG. 2) is obtained (516), and the intersection of the hyperbola and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two base stations (P1 of FIG. 2) is obtained (517). The serving sector region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checked (518), and if the intersection (P1 of FIG. 2) between the hyperbola and the two base stations exists in the identified serving sector region (519), the inters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Determine and determine the position (520), and then maintains the waiting state (501) until the position calcula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gain (502), if not (519) the intersection of the two circles and hyperbola The point existing in the serving sector area of P2 and P3 of FIG. 2 is determined and notified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22), and thereafter, until the position calcula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502). The standby state 501 is maintained.

이때, 확인된 서빙 섹터 영역내에 쌍곡선과 두 기지국 사이의 연결선과의 교점(도 2의 P1)의 존재 여부(519)를, 두 원과 쌍곡선의 교점(도 2의 P2, P3)의 존재 여부(521)보다 먼저 판단하는 이유는, 상기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며, 판단 결과(521) 서빙 섹터 영역내에 두 원과 쌍곡선의 교점도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502)에 대해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 및 통보하고(523), 이후에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계산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502) 대기 상태(501)를 유지한다.In this ca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tersection (P1 of FIG. 2) between the hyperbola and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two base stations in the identified serving sector area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tersection of the two circles and the hyperbola (P2, P3 of FIG. 2) ( The reason for the determination before the operation 521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if the intersection of the two circles and the hyperbola does not exist in the serving sector area, the input calculation request 502 of the input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is determined and notified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523), and the standby state (501) is maintained until the location calcula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502).

또한, 만일 쌍곡선과 두 기지국 사이의 연결선과의 교점(도 2의 P1) 및 두 원과 쌍곡선의 교점(도 2의 P2, P3)이 한 점에서 만날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지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이유 역시 상기 도 2 에서 전술한 바와 같 다. In addition, if the intersection of the hyperbola and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two base stations (P1 in Fig. 2) and the intersection of the two circles and the hyperbola (P2, P3 in Fig. 2) at one point, of course, the poi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as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s also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별도의 부가 장치가 없이도,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파악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signals from two or more different base stations, thereby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out an additional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location system, thereby implementing an economical and effici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laims (8)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서빙 기지국,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1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1 원을 구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2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2 원을 구하는 단계;As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signals from two different base stations (serving base station and neighboring base station),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first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A second circle having a first circle having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hav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a second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btaining a; 상기 제1 전파도달시간과 상기 제2 전파도달시간간의 차이[이하 "전파도달시간차이(TDOA)"라 함]로 계산한 거리를 나타내는 쌍곡선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초점으로 하여 구하는 단계;A hyperbolic curve represent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pagation time and the second propaga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OA") is focused on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btaining by;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구하는 단계;Obtaini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상기 구한 제1 원 및 제2 원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고, 상기 구한 직선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는 단계; 및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circles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straight line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intersection within the secto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를 포함하는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using a propagation tim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각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전파도달시간으로 계산한 각각의 거리를 이용해 해당 반경을 갖는 각각의 원을 구하고, 각각의 전파도달시간차로 해당 쌍곡선을 구하고서, 상기 각각의 원과 쌍곡선간의 교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signals from three or more different base stations, each circle having a corresponding radius is obtained by using each distance calculated as a propagation time between each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 a hyperbolic curve with each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determine the intersection of each circle and hyperbolic curve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propagation tim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W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1개의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기지국의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a signal of one base station, the radio wave arrival time, the radio wave arrival time difference, and the sector information are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of the base station a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us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이 없음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도달시간, 전파도달시간차 및 섹터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결정 방법.Propagation tim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and secto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re is no intersection within the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Mobile terminal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using a. 프로세서를 구비한 위치결정 처리기에,In the positioning processor with a processor, 이동통신 단말기가 2개의 서로 다른 기지국[서빙 기지국,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1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1 원을 구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제2 전파도달시간(TOA)으로 계산한 거리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으로서 갖는 제2 원을 구하는 기능;As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ing signals from two different base stations (serving base station and neighboring base station),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first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A second circle having a first circle having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hav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a second propagation time (TOA) between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Function to obtain; 상기 제1 전파도달시간과 상기 제2 전파도달시간간의 차이[이하 "전파도달시간차이(TDOA)"라 함]로 계산한 거리를 나타내는 쌍곡선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초점으로 하여 구하는 기능;A hyperbolic curve representing a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pagation time and the second propaga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OA") is focused on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Function to obtain;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각각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구하는 기능;Obtaini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상기 구한 제1 원 및 제2 원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고, 상기 구한 직선과 상기 구한 쌍곡선간의 교점을 구하는 기능; 및A function of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first and second circles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obtaining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obtained straight line and the obtained hyperbolic curve; And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기능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intersection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within the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i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구한 교점들 중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섹터 영역 내에 속하는 교점이 없음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의 서빙 섹터의 무게 중심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정하는 기능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rving sector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re are no intersections within the sector area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mong the obtained intersections.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ation. 삭제delete
KR1020010039119A 2001-06-30 2001-06-30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KR100786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119A KR100786487B1 (en) 2001-06-30 2001-06-30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119A KR100786487B1 (en) 2001-06-30 2001-06-30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82A KR20030003382A (en) 2003-01-10
KR100786487B1 true KR100786487B1 (en) 2007-12-18

Family

ID=2771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119A KR100786487B1 (en) 2001-06-30 2001-06-30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4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09A (en) * 2016-09-30 2018-04-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93B1 (en) * 2005-06-17 2007-04-09 길 용 노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for time difference of arrival
AU2009249382A1 (en) * 2008-05-23 2009-11-26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WiMAX or LTE subscriber stations
KR101191215B1 (en) 2010-07-16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36427B1 (en) 2011-04-29 2018-03-09 오소트론 주식회사 Ran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ositioning Method
US9313765B2 (en) 2012-05-14 2016-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437A (en) * 1998-03-11 1999-10-05 서정욱 A method for tracking a mobile station position using a round-trip de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38962A (en)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60020A (en) * 1999-03-11 2000-10-16 윤종용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loc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angle of arrival
KR20000062548A (en) * 1999-02-17 2000-10-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Method for combining multiple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 mobile transce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437A (en) * 1998-03-11 1999-10-05 서정욱 A method for tracking a mobile station position using a round-trip de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38962A (en)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62548A (en) * 1999-02-17 2000-10-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Method for combining multiple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 mobile transceiver
KR20000060020A (en) * 1999-03-11 2000-10-16 윤종용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loc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angle of arriv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09A (en) * 2016-09-30 2018-04-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5104B1 (en) * 2016-09-30 2021-05-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82A (en)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0630B (en) A measuring method, terminal, LMF entity and computer storage medium
Silventoinen et al. Mobile station emergency locating in GSM
EP1446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radio
US659791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iming differences between radio transmitters and a radio network incorporating the same
US61989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 of arrival positioning measurements based upon network characteristics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US20150133157A1 (en) Position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08144131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 an optimum site and/or sector to provide geo-location data
KR1014058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by Using Radio Environment Information
US99428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determination of a base station at a client device
US65161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 telecommunications utiliz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 network recording programs
Deligiannis et al. Hybrid TOA–AOA location positioning techniques in GSM networks
EP1340395B1 (en) Mobile positioning using integrated ad-hoc network
CN112584375B (en) Threat detectio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reat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0786487B1 (en)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station using TOA, TDOA, Sector informations
US61917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position determination along border areas
KR1018722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KR1006222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by single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113766A (en) Exchange method, the apparatus and system of positional parameter
KR100831556B1 (en) Method of correction NOLS error for wireless positioning system
KR1006254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0512534C (en) Cell identification positioning method
KR201901283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for measuring location
KR100246463B1 (en) Location estimation method using pseudo-range and pilot strength
Spirito Mobile station location with heterogeneous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