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288B1 - PBUS stabilization circuit - Google Patents

PBUS stabilization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288B1
KR100785288B1 KR1020010055591A KR20010055591A KR100785288B1 KR 100785288 B1 KR100785288 B1 KR 100785288B1 KR 1020010055591 A KR1020010055591 A KR 1020010055591A KR 20010055591 A KR20010055591 A KR 20010055591A KR 100785288 B1 KR100785288 B1 KR 10078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ssert
bus
as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2483A (en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288B1/en
Publication of KR2003002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4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99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서간의 데이터 통신시 여러 가지 이유로 칩이 파손되어 장시간 버스를 점유하는 롱 어써트를 방지하기 위한 피버스(PBUS)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마스터에서 출력된 프레임 동기 신호 및 기준 클럭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어써트 신호 및 비트율 클럭신호 그리고 데이터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피버스 제어부로 구현된 피버스구조의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피버스 제어부의 어써트(AST)핀의 출력단자에 풀업저항(pull-up)을 연결하고, 상기 피버스 제어부의 어써트(AST)핀 출력단자에 어써트 신호의 허용 점유시간을 초과하는 타임 아웃을 발생시키는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로 이루어져, 예기치 못한 장치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버스 점유 신호(AST)가 로우(low)로 액티브되어도 버스를 점유하지 않은 상태로 처리해 주므로 타 프로세서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되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용되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BUS stabilization circuit for preventing long asserts in which a chip is broken and occupies a bus for a long time dur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process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signal output from a bus master. In a switch of a fibus structure which is input through a driving unit, and is implemented as a buses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assert signal, a bit rate clock signal, and a data signal through the driving unit, a pull-up resistor is provided at an output terminal of an assert (AST) pin of the buses control unit. Unexpected device itself is composed of a long assert timeout generator that connects a pull-up and generates a timeout exceeding an allowable occupancy time of an assert signal at an assert pin output terminal of the Bus occupancy signal AST is not occupied by the bus even if active low Not because it is handled not have any effect on the other processor has the effect that the system is operating stably.

PBUS, 버스, 피버스, 점유, 어써트 PBUS, Bus, Fibus, Occupation, Assert

Description

피버스 안정화 회로 {PBUS stabilization circuit}PBUS stabilization circuit

도 1은 일반적인 SDX-100S교환기 피버스(PBUS)의 프로세서간의 신호처리에 관한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signal processing between processors of a general SDX-100S exchanger PBUS;

도 2는 종래의 피버스 제어부의 PCB 패턴에 관한 회로도이고,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CB pattern of a conventional bus controller.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BUS 안정화를 위한 피버스 제어부의 PCB 패턴에 관한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a PCB pattern of the bus controller for PBUS stab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PBUS 제어부 R1 : 풀업저항20: PBUS control unit R1: pullup resistor

21 : FRS, ASTCLK 구동부 R : 레지스터21: FRS, ASTCLK driver R: register

22 : AST, BRCLK, DATA 구동부 C : 카운터22: AST, BRCLK, DATA drive part C: counter

30 :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 INV1, INV2 : 인버터30: Long assert timeout generator INV1, INV2: Inverter

본 발명은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통신 방식 교환기의 PBUS(Peripheral bus) 안정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로세서간의 데이터 통신시 여러 가지 이유로 칩이 파손되어 장시간 버스를 점유하는 롱 어써트를 방지하기 위 한 PBUS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abilization of a peripheral bus (PBUS) in an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PC) communication type exchange, and in particular, a PBUS for preventing a long assertion in which a chip is broken for a long time due to various reasons dur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processors. It relates to a stabilization circuit.

IPC 통신 방식의 시스템은 마스터 프로세서(master processor)와 슬레이브 프로세서(slave processor)간에 멀티 드롭(multi-drop)의 형태로 접속하여 상호 중재에 의한 라운드 로빈 방식(round robin)의 PBUS를 점유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e IPC communication system uses a multi-drop connection between a master processor and a slave processor to communicate by occupying a round robin PBUS by mutual arbitration. Is done in a way,

이러한 PBUS의 신호 구성은 버스 마스터(1)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FRame Synchronous : FRS) 및 프로세서 동작에 필요한 기준 클럭을 발생시키는 어써트 클럭(ASserT CLocK : ASTCLK)과, 프레임 동기 신호에 맞춰 자신의 순서가 왔을 때 데이터 버스를 점유하기 위한 신호인 어써트(ASserT), 전송될 데이터의 비트율을 알리는 비트율 클럭(Bit Rate CLocK : BRCLK) 그리고 데이터(DATA)로 이루어진다.The signal configuration of PBUS is based on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ame Synchronous: FRS) output from the bus master (1) and the assert clock (ASserT CLocK: ASTCLK) that generates the reference clock required for the processor operation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When it comes to the order (ASserT) which is a signal to occupy the data bus, the bit rate clock (Bit rate CLocK: BRCLK) indicating the bit rate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data (DATA).

도 1을 참고로 하여 일반적인 PBUS 구조의 데이터 처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ata processing of a general PBU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프로세서 1(3)에서 프로세서 2(4)로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버스 마스터(1) 보드에서 프레임 동기신호(FRS)와 어써트 클럭(ASTCLK)을 출력해주고 소스가되는 프로세서 1(3)에서 라운드 로빈 방식에 의해 자신의 순서가 되었을 때 PBUS(2)를 사용가능하면 점유 신호를 엑티브 로우(low)로 어써트 시키고 메시지의 헤더(header)가 자신의 ID 와 일치하는 프로세서만 계속해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When the message is sent from the processor 1 (3) to the processor 2 (4), the bus master (1) board outputs the frame sync signal (FRS) and the assert clock (ASTCLK), and the processor 1 (3) becomes the source. If PBUS (2) is available when it is ordered by the robin method, it asserts the occupancy signal to active low and only the processor whose header of the message matches its ID continues to receive the message. It is made to structure.

일반적으로 PBUS 제어부를 구현할 때 트래픽이 많은 경우 불필요한 점유시간 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때 AST 신호의 PBUS 점유 시간은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AST 신호의 버스 점유와 릴리즈(release) 제어가 더 중요하다 할 것이다.In general, when implementing a PBUS controller, when there is a lot of traffic, it is necessary to minimize unnecessary occupancy time to improve data transmission speed. In this case, the PBUS occupancy time of the AST signal may be an important factor. However, bus occupancy and release control of the AST signal will be more important.

이러한 바와 같이 보통 AST 신호는 여러 프로세서와 통신을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플레인(back plane) 상에 직접 PCB(Printed Circuit Board) 패턴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ST signal is gener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attern directly on a back plane as shown in FIG. 2 for communication with various processors.

이때 PBUS 제어부가 구현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손상을 입으면 AST 신호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즉 낙뢰, 전원전압의 불안정 등의 이유로 칩이 파손되어 AST 신호가 계속 PBUS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롱 어써트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면 PBUS 상의 데이터 충돌이나 P-BUS에 물려 있는 타 프로세서의 다운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f the device in which the PBUS controller is implemented is damag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ST signal may malfunction. In other words, if the chip is damaged due to lightning or unstable power supply voltage, the AST signal will remain in the long assert state that continues to occupy the PBUS, causing data collisions on the PBUS or other processors stuck in the P-BUS.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PBUS 제어부가 구현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파손되더라도 AST 신호가 PBUS를 롱 어써트하는 것을 방지하여 타 프로세서에 영향이 가지 않는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PBUS 안정화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BUS stabilization circuit for implementing a stable system that does not affect other processors by preventing the AST signal from long asserting the PBUS even if the device in which the PBUS controller is implemented is damag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버스 마스터에서 출력된 프레임 동기 신호 및 기준 클럭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어써트 신호 및 비트율 클럭신호 그리고 데이터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피버스 제어부로 구현된 피버스구조의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피버스 제어부의 어써트(AST)핀의 출력단자에 풀업저항을 연결하고, 상기 피버스 제어부의 어써트(AST)핀 출력단자에 어써트 신호의 허용 점유시간을 초과하는 타임 아웃을 발생시키는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rame synchronizing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bus master through the driver, and a bus that outputs the assert signal, the bit rate clock signal and the data signal through the driver In an exchanger having a fibus structure implemented as a control unit, a pull-up resisto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n assert (AST) pin of the fibus control unit, and an allowable occupation of an assert signal is applied to an output (asser) pin output terminal of the fibus control unit. A long assert time ou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ime out exceeding time is featured.

이때 상기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는 기준 클럭이 되는 시스템 클럭 또는 별도의 기준 클럭 발생부와, 어써트 핀이 로우로 활성화되는 시점부터 동작하는 카운터와, 어써트핀의 로우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와 카운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분주수가 조절되어 출력되는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의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long assert timeout generating unit includes a system clock or a separate reference clock generating unit serving as a reference clock, a counter operating from the time when the assert pin is activated low, an inverter for inverting the low signal of the assert pin; And a register for adjusting the frequency division b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inverter and the counter, and an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of the regis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버스 안정화를 구현하기 위한 피버스 제어부 PCB 패턴에 관한 회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A circuit related to the PBV controller PCB pattern for implementing PBV stabiliz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3.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회로는 버스 마스터(1)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 및 기준 클럭 신호(ASTCLK)를 입력으로 하는 FRS, ASTCLK 구동부(21); 상기 FRS, ASTCLK 구동부(2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자신의 버스 점유 순서 인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신호 즉 어써트 신호(AST) 및 비트율 클럭신호(BRCLK) 그리고 데이터 신호(DATA)를 출력하는 PBUS 제어부(20); 상기 PBUS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AST, BRCLK, DATA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AST, BRCLK, DATA 구동부(22); AST 핀의 개방에 의한 AST 로우인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PBUS 제어부(20)의 어써트(AST)핀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풀업저항(pull- up)(R1); AST 핀의 단락에 의한 AST 로우인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PBUS 제어부(20)의 어써트(AST)핀 출력단자에 어써트 신호의 허용 점유시간을 초과하는 타임 아웃(time-out)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3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FRS and ASTCLK driver 21 for input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nd a reference clock signal ASTCLK output from the bus master 1; Receives the signals input from the FRS and ASTCLK driver 21, determines whether the bus occupies their own order,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at is, an assert signal AST, a bit rate clock signal BRCLK, and a PBUS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DATA. Control unit 20; An AST, BRCLK, and DATA driver 22 for processing signals for AST, BRCLK, and DATA output from the PBUS controller 20; A pull-up resistor R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n assert pin of the PBUS control unit 20 in case of an AST low by opening an AST pin; In order to generate a time-out exceeding the allowable occupancy time of the assert signal at the assert pin output terminal of the PBUS controller 20 in case of an AST low due to a short circuit of the AST pin. It consists of a long assert time out generator 30 provided.

상기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30)는 기준 클럭이 되는 기준 클럭 발생부(REF_CLK)와, 어써트(AST) 핀이 로우로 활성화되는 시점부터 동작하며 풀업저항(R1)의 타측단자에 클리어(CLR)단이 연결된 카운터(C)와, 어써트(AST)핀의 로우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V1)와, 상기 인버터(INV1)의 출력신호를 클리어(CLR)단으로 입력받고 카운터(C)의 출력신호를 클럭(CLK)단으로 입력받아 분주수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레지스터(R)와, 상기 레지스터(R)의 신호를 반전시켜 AST, BRCLK, DATA구동부(22)로 출력하는 인버터(INV2)로 이루어진다.The long assert timeout generator 30 operates from the time when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REF_CLK serving as the reference clock and the assert pin are low, and is cleared on the other terminal of the pull-up resistor R1. The counter C connected to the (CLR) stage, the inverter INV1 for inverting the low signal of the assert pi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NV1 are inputted to the clear (CLR) stage, and the counter C Register R is inputted to the clock CLK stage to adjust and divide the output signal, and an inverter for inverting the signal of the register R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AST, BRCLK, and DATA driver 22. INV2).

상기 기준 클럭 발생부(REF_CLK)는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시스템 자체내의 클럭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REF_CLK may be used instead of a clock in the system itself.

이때 타임 아웃 허용시간은 수학식 1과 같다.At this time, the timeout allowance time is shown in Equation 1.

Figure 112001023135818-pat00001
Figure 112001023135818-pat00001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먼저 AST 핀의 개방에 의해 AST 가 로우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ase where the AST is low due to the opening of the AST pin will be described.

이 경우는 AST핀이 개방되어도 풀업저항(R1)에 의해 AST, BRCLK, DATA 구동 부(22)로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므로 로우가 방지된다.In this case, even if the AST pin is opened, since a predetermined current is applied to the AST, BRCLK, and DATA driver 22 by the pull-up resistor R1, the low is prevented.

한편 AST핀이 단락되어 AST가 로우 상태가 되면 먼저 카운터(C)의 클리어(CLR)단에 하이 신호가 인가되어 카운터가 동작되고, 인버터(INV1)도 하이 신호를 로우신호로 반전시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ST pin is shorted and the AST becomes low, the high signal is first applied to the clear (CLR) terminal of the counter C to operate the counter. The inverter INV1 also inverts the high signal to a low signal and outputs the low signal.

로우신호는 레지스터(R)의 클리어(CLR)단 앞에서 하이로 반전되어 레지스터(R)가 동작되고 이때 카운터(C)의 출력신호를 받아 해당 분주수에 따라 조정된 후 인버터(INV2)를 통해 AST, BRCLK, DATA 구동부(22)로 로우신호가 출력됨으로써 PBUS 점유에 대해 즉 AST 신호에 대해 강제로 반전(네가티브:negative)시키게 된다.The low signal is inverted high in front of the clear (CLR) end of the register (R) so that the register (R)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counter (C) is receiv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division, and then the AST through the inverter (INV2). The low signal is output to the BRCLK and the DATA driver 22, thereby forcibly inverting the PBUS occupancy, that is, the AST signal.

따라서 AST핀의 개방 및 단락에 의한 로우 상태 모두 AST, BRCLK, DATA 구동부(22)에서 버스 점유(AST)가 하이 상태가 되어 버스를 계속적으로 점유하지 않게 되어 타 프로세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bus occupancy (AST) becomes high in the AST, BRCLK, and DATA driver 22 in both low states due to the opening and shorting of the AST pin, so that the bus is not continuously occupied and thus does not affect other processors.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a change is of cours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기치 못한 장치 자체의 결함(낙뢰, 전원전압 불안정 등)으로 인해 버스 점유 신호(AST)가 로우로 액티브되어도 버스 점유 신호를 하이가 되도록 해주어 버스를 점유하지 않은 상태로 처리해 주므로 타 프로세서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되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용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bus occupancy signal AST is activated low due to an unexpected fault of the device itself (lightning, power voltage instability, etc.), the bus occupancy signal is made high so as not to occupy the bus. Because it does not have any effect on other processors, the system operates stably.

Claims (4)

버스 마스터에서 출력된 프레임 동기 신호 및 기준 클럭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어써트 신호 및 비트율 클럭신호 그리고 데이터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피버스 제어부로 구현된 피버스구조의 교환기에 있어서,In a switch of a busverse structure implemented by a bus controller which receives a frame synchronizing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signal output from a bus master and outputs an assert signal, a bit rate clock signal and a data signal through the driver, 상기 피버스 제어부의 어써트(AST)핀의 출력단자에 풀업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버스 안정화 회로.And a pull-up resis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n assert (AST) pin of the Pverse controller. 버스 마스터에서 출력된 프레임 동기 신호 및 기준 클럭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어써트 신호 및 비트율 클럭신호 그리고 데이터 신호를 구동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피버스 제어부로 구현된 피버스구조의 교환기에 있어서,In a switch of a busverse structure implemented by a bus controller which receives a frame synchronizing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signal output from a bus master and outputs an assert signal, a bit rate clock signal and a data signal through the driver, 상기 피버스 제어부의 어써트(AST)핀 출력단자에 어써트 신호의 허용 점유시간을 초과하는 타임 아웃을 발생시키는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버스 안정화 회로.And a long assert timeout generator for generating a timeout exceeding an allowable occupancy time of an assert signal to an assert (AST) pin output terminal of the busvers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롱 어써트 타임 아웃 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ng assert timeout generating unit 기준 클럭이 되는 기준 클럭 발생부와,A reference clock generator serving as a reference clock, 어써트 핀이 로우로 활성화되는 시점부터 동작하는 카운터와,A counter that operates from the time the assert pin is activated low, 어써트핀의 로우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An inverter that inverts the low signal of the assert pin, 상기 인버터와 카운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하여 분주수가 조절되어 출력되 는 레지스터와,A register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division b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inverter and the counter; 상기 레지스터의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버스 안정화 회로.And an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of the regis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럭 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시스템 자체내의 클럭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버스 안정화 회로.A fibus stabilization circuit, which is used in place of a clock in the system itself.
KR1020010055591A 2001-09-10 2001-09-10 PBUS stabilization circuit KR100785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91A KR100785288B1 (en) 2001-09-10 2001-09-10 PBUS stabiliza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91A KR100785288B1 (en) 2001-09-10 2001-09-10 PBUS stabiliza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83A KR20030022483A (en) 2003-03-17
KR100785288B1 true KR100785288B1 (en) 2007-12-12

Family

ID=2772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591A KR100785288B1 (en) 2001-09-10 2001-09-10 PBUS stabilization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797A (en) * 1995-12-26 1997-07-31 김광호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system bus
KR970056728A (en) * 1995-12-30 1997-07-31 김광호 Dual bus arbitration circui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797A (en) * 1995-12-26 1997-07-31 김광호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system bus
KR970056728A (en) * 1995-12-30 1997-07-31 김광호 Dual bus arbitration circuit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0-1997-56728
공개특허공보 10-1997-567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83A (en)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0531C2 (en) Device and method for serial data transmission with high speed
CN107341124B (en) PCIe device for supporting SRIS
KR100255664B1 (en) Clock forwarding circuit and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3884322B2 (en) Network interface
JPS6239580B2 (en)
US9880895B2 (en) Serial interface with bit-level acknowledgement and error correction
US5767701A (en) Synchronous contention prevention logic for bi-directional signals
KR100785288B1 (en) PBUS stabilization circuit
US7912989B2 (en) Network interface for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KR100208292B1 (en) Dual-bus clock monitoring circuit of ipc
JP411901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288415B1 (en) Reset device and reset method for microcomputers
US6823413B2 (en) Interrupt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802317A (en) Electronic circuit having phased logic busse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N111338460A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JP4527097B2 (en) Network interface
KR100259855B1 (en) Arbiter of the common micro-processor bus
CN211427330U (en) Server BMC and backplate I2C switch transmission circuit
JP3282396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KR200319358Y1 (en) Clock Signal Generator
KR950023128A (en) Link Processing System of Electronic Switching System with Memory and Line Matching (BPIB-E)
KR920005008B1 (en) Signal terminal control system
JP2509632B2 (en) Data input / output device
KR0126579B1 (en) State control method for interrupting requester on hipit bus
JP3189952B2 (en) Tri-state logic enable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