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665B1 -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 Google Patents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665B1
KR100781665B1 KR1020060020905A KR20060020905A KR100781665B1 KR 100781665 B1 KR100781665 B1 KR 100781665B1 KR 1020060020905 A KR1020060020905 A KR 1020060020905A KR 20060020905 A KR20060020905 A KR 20060020905A KR 100781665 B1 KR100781665 B1 KR 10078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phthalmoscope
light
mirror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1432A (en
Inventor
양연식
Original Assignee
양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연식 filed Critical 양연식
Priority to KR102006002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665B1/en
Publication of KR2007009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도상 간접검안경을 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접검안경으로, 직립상과 도립상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간접검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irect ophthalmoscope which allows the indirect ophthalmoscope to be viewed directly in the form of an indirect ophthalmoscope, which can simultaneously observe the upright and inverted images.

피검자의 눈에 빛을 보내는 광원과, 상기 피검자의 눈앞에 설치되는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에 인가되는 영상을 중앙거울 및 좌우측 거울을 통하여 보내는 도상 검안경에 있어서, In the light source for transmitting light to the eye of the subject, the condenser lens installed in front of the eye of the subject, and the image ophthalmoscope for transmitting the image applied to the condenser lens through the central mirror and the left and right mirrors,

상기 도상 검안경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광렌즈를 통하여 인가되는 영상을 후단에 인가시키는 평면거울과, 상기 평면거울의 상을 받아 전반사 시키는 쉬미트 프리즘과, 상기 쉬미트 프리즘의 상을 검사자의 눈에 인가시키는 우측 평면거울 및 빔 스프리터로 구성하여 기존의 간접 검안경을 직상으로 보이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기존의 도립상을 추가하여 검사자가 두 가지를 모두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image ophthalmoscope, a flat mirror for applying the image applied through the condensing lens to the rear end, a Schmitt prism to totally reflect the image of the flat mirror, and the image of the Schmitt prism eyes It consists of a right planar mirror and beam splitter applied to make the existing indirect ophthalmoscope look straight, and the existing inverted image is added on top of it so that the examiner can use both.

직상, 도상, 검안경, 카메라, 쉬미트 프리즘, 집광렌즈 Directly, Icon, Ophthalmoscope, Camera, Schmitt Prism, Condenser

Description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도 1는 일반적인 도상 검안경의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a general image ophthalmoscope,

도 2는 본 발명의 직상 검안경에서 사용되는 쉬미트 프리즘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chmitt prism used in the direct ophthalmo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에서 쉬미트 프리즘이 사용된 직상 간접검안경의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of a direct indirect ophthalmoscope in which the Schmitt prism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eyeglass and ophthalmo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near and image combined opto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에서 돌출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n the direct vision and combined vision ophthalmo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으로 피사체를 본 영상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image of the subject with a direct vision and a combined ey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는 본 발명의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에서 돌출부내에 형성된 색깔선택바의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or selection bar formed in the protrusion in the direct and image combined speculu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에서 돌출부내에 형성된 광원조절바의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control bar formed in the protrusion in the direct and image combined speculu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피검자의 눈 2 : 집광렌즈1: eye of the subject 2: condensing lens

3 : 광원 4 : 렌즈3: light source 4: lens

5, 5' : 중앙거울 6, 6' : 좌우측 거울5, 5 ': Center mirror 6, 6': Left and right mirror

7, 7' : 평면거울 8 : 우측 평면 거울7, 7 ': flat mirror 8: right flat mirror

8-1 : 빔 스프리터 (또는 좌측 평면거울)8-1: beam splitter (or left flat mirror)

9, 9' : 손잡이 10, 10' :쉬미트 프리즘 9, 9 ': Handle 10, 10': Schmitt prism

12 : 반사거울 15 : 도상 검안경 12: reflection mirror 15: the image ophthalmoscope

16 : 카메라 수광부 21. 21' : 슬라이딩 바16: camera receiver 21. 21 ': sliding bar

20 : 몸체 22 : 장공20: body 22: long hole

26 : 위치 조절바 28 : 광원 조절바26: position control bar 28: light source control bar

27 : 색깔 선택바 33 : 돌출부 27: color selection bar 33: protrusion

30 : 직상 검안경 32 : LED 고정구30: direct vision eyeglasses 32: LED fixture

37 : 연결구37: connector

본 발명은 피사체의 상을 그대로 볼 수 있는 직상(직립상) 및 피사체의 상이 상하좌우가 바뀐 도상(도립상)을 검사자가 같이 볼 수 있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vision (upright image) in which an image of a subject can be seen as it is, and a direct vision and combined vision ophthalmoscope in which an examiner can simultaneously view a figure (inverted image) in which images of the subject are changed up, down, left, and right.

눈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제작된 검안경은 암실 속에서 눈동자에 빛을 쬐어 망막에서 반사된 빛으로 망막의 영상을 살펴보는데 사용하고 있다.Ophthalmoscopes designed to look inside the eye are used to look at the image of the retina with light reflected from the retina by illuminating the pupil in the dark room.

현재 안과질환에서 실명의 가장 많은 원인이 되는 망막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안저검사가 필수적인데 안저검사를 하는 방법은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서 쓰이는 용도가 서로 다르다.Fundamental examination is essential for the diagnosis of retinal disease, which is the most common cause of blindness in current eye diseases. There are three methods of fundus examination, which have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1) 직상검안경은 스크린용으로 주로 쓰이며 유두부종 등 비교적 간단한 안저검사시 이용되는 것으로 안과진료시 일반적인 검사에 사용된다.(1) Ophthalmic ophthalmoscopes are mainly used for screens and are used for relatively simple fundus examinations such as papillary edema.

(2) 특수렌즈를 이용한 세극 등 안저검사가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세극등 검사와 같이 안저검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Fundus examination, such as slit lamp using special lens, has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undus test can be performed like general slit lamp test.

(3) 도상간접 검안경은 앞에서 말한 두가지 방법과는 다소 상이한 것으로 첫째, 망막 전체를 관찰할 수 있어서 망막의 주변부를 관찰해야 하는 경우 유용한 방법이며, 둘째로 안저관찰의 시야가 넓어서 망막박리, 안구종양 등의 진단에 이용된다. 또한 공막을 압박하면서 관찰하기 때문에 망막의 역동적인 관찰이 가능하며 마지막으로 직상검안경에 비하여 검사자가 두 눈으로 관찰하기 때문에 입체시가 가능하다.(3) The indirect ophthalmoscope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above two methods. First, it is useful when the entire retina can be observed. It is used for the diagnosis of the back. In addition, since the sclera is pressed while observing the sclera, dynamic observation of the retina is possible.

따라서 도상 간접검안경은 모든 안과 진료실에 필요한 기구이며 종합병원에서도 각 진료실별로 갖추는 안과 기구이다. 망막박리 수술 시도 망막열공의 위치표시등에 간접검안경이 필요하여 안과 망막수술실에도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Therefore, the indirect ophthalmoscope is necessary for all ophthalmology offices, and it is an ophthalmological device for each office in general hospital. Attempt of retinal detachment surgery Indirect ophthalmoscope is required for the indication of retinal tear and should be kept in ophthalmic retinal surgery room.

그러나 현재는 안저영상이 거꾸로 보이는 도상 간접검안경이어서 직상으로 보이는 간접검안경의 요구가 증가되고 , 상기의 간접검안경이 가지는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 가장 큰 단점인 도상으로 보이는 영상을 직상으로 바꿀 수 있는 직상의 간접 검안경이 필요한 실정이었다.However, at present, the indirect ophthalmoscope in which the fundus image is shown upside down increases the demand of the indirect ophthalmoscope in the upright view. Indirect ophthalmoscope was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도상 간접검안경을 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접검안경으로, 직립상과 도립상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irect ophthalmoscope for making an existing indirect ophthalmoscope look straight, and to provide a combination of both an upright and an inverted ophthalmoscope capable of simultaneously observing an upright and inverted image.

다른 목적은 도립상의 간접검안경을 직상으로 보이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기존의 도립상을 추가하여 검사자가 두 가지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ndirect ophthalmoscope that is inverted, and to add an existing inverted ophthalmoscope on top of it to provide a combination of both the visual and visual ophthalmoscope that the examiner can use both.

다른 목적은 직상과 도상 겸용 검안경에 의하여 외래에서 유리체강내 수술이 용이한 구조의 검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ophthalmoscope with an easy structure for intravitreal surgery in the outpatient by the combination of both upper and upper image.

상기와 같은 목적은 피검자의 눈에 빛을 보내는 광원과, 상기 피검자의 눈앞에 설치되는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에 인가되는 영상을 중앙거울 및 좌우측 거 울을 통하여 보내는 도상 검안경에 있어서,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light source for transmitting light to the eye of the subject, a condenser lens installed in front of the eye of the subject, and an image ophthalmoscope for sending an image applied to the condenser lens through a central mirror and left and right mirrors,

상기 도상 검안경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광렌즈를 통하여 인가되는 영상을 후단에 인가시키는 평면거울과, 상기 평면거울의 상을 받아 전반사 시키는 쉬미트 프리즘과, 상기 쉬미트 프리즘의 상을 검사자의 눈에 인가시키는 우측 평면거울 및 빔 스프리터에 의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image ophthalmoscope, a flat mirror for applying the image applied through the condensing lens to the rear end, a Schmitt prism to totally reflect the image of the flat mirror, and the image of the Schmitt prism eyes This can be achieved by the right planar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to be applied.

상기한 좌우측 평면 거울은 하단에 삼각몸체를 통하여 슬라이딩 바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쉬미트 프리즘 은 직각을 끼는 면 또는 빗면에 들어온 빛을 다른 면에 45°로 입사하여 유리의 임계각(약 42°)을 넘게 형성하여 전반사를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ft and right flat mirror is connected to the sliding bar through the triangular body at the bottom, a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on the other side, wherein the Schmitt prism 45 ° light on the other side or inclined surface on the oth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reflection is formed by exceeding the critical angle of the glass (about 42 °) to enter.

또한 카메라의 수광부를 더 포함되게 구성시켜 내부의 반사거울을 통하여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원은 각각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형성하고, 그 빛의 세기 및 색깔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camera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mage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reflection mirror therein, the light sourc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the intensity of the light and It includes a means of selecting a colo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는 일반적인 도상(도립상) 검안경의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a general inverted (vertical) ophthalmoscope.

피검자의 눈 (1)앞에는 집광렌즈(2)가 위치되고, 상기 집광렌즈(2)에는 광원 (3)에서 나온 빛이 렌즈(4)를 통하여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다.The condenser lens 2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eye 1 of the examinee, and the condenser lens 2 is configured such tha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 is applied through the lens 4.

상기 렌즈(4)는 볼록렌즈로서 광원의 촛점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The lens 4 is a convex lens for focusing the light source.

그리고 상기 집광렌즈(2)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신호는 중앙거울(5),(5')을 거쳐 좌우 거울(6),(6)를 통하여 검사자의 눈에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다.The image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2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the examiner's eyes through the left and right mirrors 6 and 6 via the central mirrors 5 and 5 '.

즉, 상기 도면과 같이 피검자의 눈(1)에 맺친 도립상은 집광렌즈(2)를 통하여 반전되어 직립상이 되고, 다시 중앙거울(5),(5') 및 좌우측 거울(6),(6')을 통하여 좌우가 바뀌므로 검사자의 눈에 도상으로 좌우가 바뀐 상을 얻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verted image formed on the subject's eye 1 is inverted through the condensing lens 2 to become an upright image, and the center mirrors 5, 5 'and the left and right mirrors 6, 6' are also inverted. ), The left and right are changed so that the image of the examiner's eyes is changed to the image.

상기와 같은 도상 검안경(15)은 다음과 장점 및 단점이 있다.The image ophthalmoscope 15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도상 간접 검안경의 장점Advantages of Indirect Ophthalmoscope

(1) 망막의 전체를 관찰할 수가 있다.(1) The entire retina can be observed.

(2) 안저 관찰의 시야가 넓어서 망막분리, 안구종양 등의 진단에 널리 사용된다.(2) Wide field of view of fundus observation is widely used for diagnosis of retinal detachment and eye tumor.

(3) 공막을 압박하면서 관찰하기 때문에 망막의 역동적인 관찰이 가능하다.(3) Since the sclera is pressed while observing, dynamic observation of the retina is possible.

(4) 직상 검안경에 비하여 입체시가 가능(4) Stereoscopic vision is possible compared to the direct eye glasses

(5) 검사자의 머리에 간접검안경을 고정하고 한손으로는 집광렌즈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안구 내외에서 여러가지 시술이 가능하다,(5) It is possible to fix the indirect eyeglasses on the examiner's head, hold the condenser lens with one hand, and perform various procedures inside and outside the eye with the other hand.

도상 간접 검안경의 단점 Disadvantages of Indirect Ophthalmoscopes

(1) 안저 망막의 상이 상하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1) The image of the fundus retina changes upside down and left and right.

(2) 외래 진료실 차원의 시술에도 적절하게 이용할 수가 없고 더욱이 유리체 강내에 기구를 삽입한 채로 관찰하면서 시술하는 경우에는 더욱 어려움이 따른다.(2) It can not be properly used for the outpatient procedure and more difficult when the procedure is performed with the instrument inserted into the vitreous cavity.

도 2는 본 발명의 직상(직립상) 검안경에서 사용되는 쉬미트 프리즘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빛의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쓰이는 프리즘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mitt prism used in a straight (upright) ophthalmo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이 쉬미트(Schmidt) 프리즘(10)은 직각을 끼는 면 또는 빗면에 들어온 빛이 다른 면에 45°로 입사하여 유리의 임계각(약 42°)을 넘는 경우 전반사를 하여 전진 방향을 180°도 상을 바꾼다. The Schmidt prism 10 has a total reflection when the light entering the perpendicular or inclined plane enters the other side at 45 ° and exceeds the critical angle of the glass (about 42 °), thereby increasing the forward direction by 180 °. Change.

도 3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직상 간접검안경의 개략도로서 상기 도 2에 쉬미트 프리즘이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near indirect ophthalmoscop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chmitt prism is used in FIG. 2.

이 직상 검안경(30)은 피검자의 눈(1)앞에는 집광렌즈(2)가 위치되고, 상기 집광렌즈(2)를 통과한 빛이 평면거울(7),(7')과 쉬미트 프리즘(10),(10')을 통과한 후 평면거울(8)에서 반사되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near ophthalmoscope 30 has a condenser lens 2 positioned in front of an eye 1 of a subject,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lens 2 is a flat mirror 7, 7 ′ and a Schmitt prism 10. After passing through 10 ', it is configured to be reflected by the flat mirror 8 and applied.

따라서 상기 집광렌즈(2)를 통하여 반전된 상이 다시 쉬미트 프리즘 (10),(10')에서 반전되어 좌우측 평면거울(8)(우측만 도시하고 있음)을 통하여 직립상이 검사자의 눈에 인가되게 된다.Therefore, the image invert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2 is again inverted in the Schmitt prism 10, 10 'so that the upright image is applied to the examiner's eye through the left and right flat mirrors 8 (only the right is shown). do.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도상 검안경과 직상 검안경의 장점을 모두 갖게 하기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ll the 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ophthalmoscope and direct vision ophthalmoscope as described above

먼저 직상 검안경을 형성하고, 그 직상 검안경의 상부에 도상 검안경이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linear ophthalmoscope is formed, and the in-phase ophthalmoscope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near ophthalmoscope.

도 4는 본 발명의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피검자측에 설치되는 집광렌즈(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 and image combined spec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llustration of the condenser lens 2 provided on the examinee side is omitted.

먼저 도상 검안경을 구성하는 요소인 중앙거울(5),(5')은 상기 쉬미트 프리즈(10),(10')의 상부에 세워 설치되어 고정되고, 이 중앙거울(5),(5')을 거친 빛은 우측 평면거울(8) 및 빔 스프리터(8-1)을 통하여 검사자의 눈에 인가 되게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central mirrors 5 and 5 ', which constitute the image ophthalmoscope, are install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hmitt freezes 10 and 10', and the central mirrors 5 and 5 'are installed. The light passing through)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the eyes of the examiner through the right flat mirror 8 and the beam splitter 8-1.

이 우측 평면거울(8) 및 빔 스프리터(8-1)는 직상 검안경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사용된다.The right planar mirror 8 and the beam splitter 8-1 are commonly used even when constructing a direct ophthalmoscope.

직상 검안경은 피검자의 눈에 대한 상을 후단에 인가시키는 평면거울 (7),(7')과, 상기 평면거울(7),(7')의 상을 받아 전반사 시키는 쉬미트 프리즘 (10),(10')과, 상기 쉬미트 프리즘(10),(10')의 상을 검사자의 눈에 인가사키는 우측 평면거울(8)과 좌측 빔 스프리트(8-1)로 구성된다.The linear ophthalmoscope is a flat mirror (7), (7 ') for applying the image of the subject's eyes to the rear end, and the Schmitt prism (10) for receiving the images of the flat mirror (7), (7') and total reflection (10 ') and the image of the Schmitt prism (10), (10') is applied to the eyes of the examiner is composed of a right flat mirror (8) and a left beam split (8-1).

빔 스프리트(8-1)는 일부 광선을 반사하여 검사자의 눈에 상을 맺게 하고, 일부는 투과되어 나오는 상신호는 후술하는 카메라의 수광부(16)에 인가된다. The beam split 8-1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rays to form an image in the eyes of the inspector, and a part of the transmitted image signal is appli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6 of the camer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후술하는 카메라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빔 스프리트(8-1)를 좌측 평면거울로 사용할 수가 있다.When the camera mentioned later is not used, the beam split 8-1 can be used as a left flat mirror.

또한 좌측의 빔 스프리터(8-1)뒤에는 집광렌즈(24)를 구성하고 카메라 수광부(16)를 장착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쉬미트 프리즘(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 신호가 초점 조절이 가능한 집광렌즈(24)를 통과하고, 별도의 반사거울(도 5의 12)을 통하여 카메라의 수광부(16)에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condenser lens 24 is formed behind the beam splitter 8-1 on the left side, and a camera light receiver 16 is mounted to capture an image signal. The image signal applied through the Schmitt prism 10 is focused.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is possible condensing lens 24 and to be applied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6 of the camera through a separate reflection mirror (12 in FIG. 5).

이는 카메라의 영상각도(degree)를 10도 이내로, 안저영상이 카메라 수광부(16)를 채우기 위하여 집광렌즈(24)를 20 디옵터로 하고, 수광부(16)와 집광렌즈(24)의 거리를 약 50mm로 하였으며, 초점조절이 가능하게 집광렌즈(24)로 거리조절을 하고, 반사거울(12)은 기울기(tilt)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안저영상의 중심이 수광부(16)의 중심으로 인가되도록 콘트롤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means that the image angle of the camera is within 10 degrees, the focal image is 20 diopters for the condenser lens 24 to fill the camera light receiver 1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receiver 16 and the condenser lens 24 is about 50 mm. The focusing distance is controlled by the condenser lens 24 to adjust the distance, and the reflection mirror 1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ilt, and the center of the fundus image is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er 16. It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o be authorized.

도 5는 상기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bove-mentioned direct vision and combined vision ophthalmoscope.

여기에서 반사거울(12)은 상기 카메라의 수광부(16)에 직상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하여 삼각 고정대(틸트 콘트롤이 가능)에 부착되어 있다.Here, the reflecting mirror 12 is attached to a tripod holder (possible tilt control) to apply a direct signal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6 of the camera.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거울(5),(5') 및 평면거울(7),(7')은 몸체(20) 내에 세워 설치되며, 좌우측 평면거울(8),(8-1)은 양측의 삼각몸체에 부착되어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mirror (5), (5 ') and the flat mirror (7), (7') is installed in the body 20, the left and right flat mirrors (8), (8-1) are both sides Is attached to the triangular body.

이 삼각몸체는 체결수단을 통하여 아래측의 슬라이딩 바(2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바(21),(21')는 몸체(20)에 형성된 장공(22)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The triangular body is connected to the sliding bars 21, 21 'at the lower side through the fastening means, and the sliding bars 21, 21' are slid in the long hole 22 formed in the body 20. It is inserted for exercise.

상기 각각의 삼각몸체의 타측에는 손잡이(9),(9')가 연결되어 있고, 이 손잡이(9),(9')의 치차가 몸체(20)에 형성된 치차와 맞물려 슬라이딩 바(21),(21')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Handles 9 and 9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iangular body, and the teeth of the handles 9 and 9' are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in the body 20 and the sliding bar 21, 21 'is configured to move.

또한 몸체(20)에서 상기 평면거울(7),(7')을 내장하고 있는 돌출부(33)에는 하단에 위치 조절바(26)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광원 조절바(28)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body 20, the projection 33 having the flat mirrors 7 and 7 'therein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bar 26 at the lower end, and a light source adjusting bar 28 is formed at the top. have.

여기서 위치 조절바(26)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90도 꺽어 피검자의 동공을 향하도록 조정하는 미세 조정바이며, 광원 조절바(28)는 빛의 크기를 조절하는 바이다.Here, the position adjustment bar 26 is a fine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by 90 degrees to face the pupil of the subject, and the light source adjustment bar 28 adjusts the size of the light.

이 관계는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This relationship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도 6은 본 발명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에서 돌출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in the direct and image combined speculum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view.

돌출부(33) 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각각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발광다이오드(LED)는 LED 고정구(3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빛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색깔 선택바, 광원 조절바) 등이 내장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protrusions 33,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re built in,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LED fixture 32. . And a means for controlling the light (color selection bar, light source control bar) and the like is built.

여기서 초점 조절바(34)는 집광렌즈의 상하 이동을 통하여 상기 관원의 원하는 촛점을 맞추게 되고. 미설명 부호 37은 카메라의 수광부(16)와 PC 카메라의 영상처리부가 연결되는 연결구이다.Here, the focus adjustment bar 34 is to focus the desired focus of the tube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denser lens. Reference numeral 37 is a connector connecting the light receiving unit 16 of the camera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of the PC camera.

즉,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에서 돌출부(33) 내에 형성된 색깔 선택바 (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걱 형상의 색깔 선택바(27)의 내부에는 발광다이오드 (LED)를 선택할 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판스프링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That is, the color selection bar 27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33 is formed in both the direct vision and the combined vision ophthalmoscope,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selecting the light emitting diodes (LED) are formed in the spatula-shaped color selection bar 27. The lower part shows the structure fixed by the leaf spring.

도 9는 돌출부(33) 내에 형성된 광원 조절바(28)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역시 주먹모향의 형상에 크기가 서로 상이한 구멍이 다수개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판스프링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9 shows a light source control bar 28 formed in the projection 33. In this case, a plurality of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drilled in the shape of the fist-shaped direction, and are fixed by a leaf spring at the bottom thereof.

광원 조절바(28)를 회전시켜 원하는 크기의 구멍으로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인가하게 된다.The light source control bar 28 is rotated to apply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to a hole having a desired size.

즉, 광원조절바(28)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크기를 조절하며, 색깔 선택바 (27)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선택하여 출력되는 빛을 색깔을 설정하는 바이다.That is, the light source control bar 28 adjusts the siz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color selection bar 27 sets the color of the light output by selec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돌출부(33)의 하부에 고정된 위치 조절바(26)는 반사경(29)의 각도를 조절하여 피검사의 동공에 상기 광원의 빛이 향하도록 조절한다.The position adjusting bar 26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3 adjusts the angle of the reflector 29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directed to the pupil of the test subjec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피검사의 눈을 검사시 도 6과 같이 돌출부 (33)의 광원 조절바(28)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크기를 조절하고, 색깔 조절바 (28)로 원하는 색의 광원을 선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inspecting the eye to be examined, the light source adjusting bar 28 of the protrusion 33 adjusts the siz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s shown in FIG. Select.

다음에 위치 조절바(26)를 돌려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꺾어 피검자의 동공을 향하도록 조절한다.Next, the position adjustment bar 26 is turned to adjus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face the pupil of the subject.

그리고 좌우 손잡이(9),(9')를 돌리면, 치차에 맞물려 돌면서 슬라이딩 바 (21),(21')가 장공(22)에서 이동하여 검사자의 눈에 맞추어지게 된다.When the left and right handles 9 and 9 'are rotated, the sliding bars 21 and 21' move in the long hole 22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gears so as to fit the eyes of the examiner.

이와 같이 조절을 한후 검사를 하면, 도 1과 같이 집광렌즈를 통하여 들어온 상은 도립되고, 도 5의 좌우측 평면거울(8),(8-1)를 통하여 검사자에게 전달된다.When the inspection is performed after such adjustment, the image introduc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is inverted as shown in FIG. 1 and is transmitted to the examiner through the left and right flat mirrors 8 and 8-1 of FIG.

또한 집광렌즈를 통하여 들어온 상은 도 5에서 평면거울(7),(7')를 통하여 쉬미트 프리즘(10),(10')에서 전반사 되어 좌우측 평면거울(8),(8-1)을 통하여 검사자에 전달되는 것으로 이때에 생기는 직립 상은 원리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결국 검사자는 하나의 파사체에 대하여 도 7과 같이 도상 및 직상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introduced through the condenser lens is totally reflected by the Schmitt prism 10, 10 'through the planar mirrors 7 and 7' in FIG. 5 and through the left and right planar mirrors 8 and 8-1. The principle of the upright phase generated at this time is delivered to the inspecto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a result, the inspector can obtain the image and the direct image as shown in FIG.

특히 카메라의 수광부(16)에 저가의 퍼스널 카메라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하고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카메라의 수광부(16) 부위만을 검안경에 설치함으로써 검안경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 low-cost personal camera is attach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6 of the camera, the image can be displayed and stored on the monitor, and only the light receiving unit 16 portion of the camera can be installed in the ophthalmoscop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ophthalmoscop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도상 검안경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아래쪽에 직상 검안경을 제공하고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level ophthalmoscope at the bottom while us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in-situ ophthalmoscope as it is,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두 눈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입체시가 되며, 위쪽에는 기존의 도상 검안경과 같은 영상이 보이고 아래쪽에는 같은 영상이 직상으로 보여 검사자가 동시에 직상과 도상의 동일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it can be observed with both eyes, it becomes stereoscopic vision, and the upper part shows the same image as the conventional image ophthalmoscope, and the lower part shows the same image as the upper part, so that the examiner can observe the same image directly and the upper part of the image at the same time.

Claims (5)

피검자의 눈(1)에 빛을 보내는 광원(3)과, 상기 피검자의 눈(1)앞에 설치되는 집광렌즈(2)와, 상기 집광렌즈(2)에 인가되는 영상을 중앙거울(5),(5') 및 좌우측 거울(6),(6')을 통하여 보내는 도상 검안경에 있어서, A light source 3 for transmitting light to the eye 1 of the subject, a condenser lens 2 installed in front of the eye 1 of the subject, and an image applied to the condenser lens 2 in the center mirror 5; In the image ophthalmoscope which is sent through 5 'and left and right mirrors 6 and 6', 상기 도상 검안경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광렌즈(2)를 통하여 인가되는 영상을 후단에 인가시키는 평면거울(7),(7')과, 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image ophthalmoscope, the flat mirror (7), (7 ') for applying the image applied through the condensing lens (2) to the rear end, 상기 평면거울(7),(7')의 상을 받아 전반사 시키는 쉬미트 프리즘 (10),(10')과, Schmitt prism (10), (10 ') for receiving the image of the plane mirror (7), (7') and total reflection 상기 쉬미트 프리즘(10),(10')의 상을 검사자의 눈에 인가시키는 우측 평면거울(8) 및 빔 스프리터(8-1)로 구성되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A direct and in-vehicle combined eye glasses composed of the right flat mirror (8) and the beam splitter (8-1) for applying the image of the Schmitt prism (10), (10 ') to the eyes of the exam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평면 거울(8)및 빔 스프리터(8-1)은 하단이 삼각몸체를 통하여 슬라이딩 바(21),(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손잡이(9),(9')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The right flat mirror (8) and the beam splitter (8-1) are connected to the sliding bars (21), (21 ') at the lower end through a triangular body, and the handle (9), ( 9 '), both visual and visual ophthalmoscop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미트 프리즘(10),(10')은 직각을 끼는 면 또는 빗면에 들어온 빛을 다른 면에 45°로 입사하여 유리의 임계각(약 42°)을 넘어 전반사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hmitt prism 10, 10 'is configured to be totally reflected beyond the critical angle (about 42 °) of the glass by injecting light entering the right angle or the oblique surface at 45 ° to the other surface Direct vision and combined vision ophthalmoscop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카메라의 수광부(16)를 더 포함되게 구성시켜 상기 수광부(16)에 좌측의 빔 스프리터(8-1)를 통하여 영상신호가 인가되게 구성하고, 카메라의 집광렌즈(24)와 상기 수광부(16)를 일정 거리를 두고 중간의 반사거울(12)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The camera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receiving unit 16 of the camera such that an image signal is appli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6 through a beam splitter 8-1 on the left side. And the light-receiving unit 16 is configured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12 in the middle at a certain d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eye and vision ophthalmosco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이 각각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고, 그 빛의 세기 및 색깔을 선택할 수 있는 광원 조절바 (28), 색깔선택 바(27) 및 위치 조절바(26)를 몸체(20)의 돌출부(33) 내에 삽입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 및 도상 겸용 검안경.The light source control bar (28) and color selection bar (27)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3)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each of which emits light of a different color. And the position adjusting bar 26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3 of the body 20, both linear and visual ophthalmoscope.
KR1020060020905A 2006-03-06 2006-03-06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KR100781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05A KR100781665B1 (en) 2006-03-06 2006-03-06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05A KR100781665B1 (en) 2006-03-06 2006-03-06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32A KR20070091432A (en) 2007-09-11
KR100781665B1 true KR100781665B1 (en) 2007-12-03

Family

ID=3868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905A KR100781665B1 (en) 2006-03-06 2006-03-06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6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18B1 (en) * 2013-02-19 2013-1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Ophthalmoscope
KR102130310B1 (en) * 2019-01-21 2020-07-08 박귀종 Optometer
CN111627085B (en) * 2020-06-01 2023-05-05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Wavefront split-field curvature sensing method and device and self-adaptive OC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72A (en) * 1994-01-31 1995-01-10 Topcon Corp Stereo-microscope
KR20040050008A (en) * 2002-12-09 2004-06-14 양연식 upright indirect ophthalmosco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72A (en) * 1994-01-31 1995-01-10 Topcon Corp Stereo-microscope
KR20040050008A (en) * 2002-12-09 2004-06-14 양연식 upright indirect ophthalm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32A (en)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61552T3 (en) Digital eye camera
EP1441640B1 (en) Imaging device for imaging a focal plane of a target within the eye through the pupil of the eye
US6685317B2 (en) Digital eye camera
ES2459019T3 (en) Digital laser scanning camera with simplified optics
CN102438505B (en) Ophthalmology OCT system and ophthalmology OCT imaging method
US8488895B2 (en) Laser scanning digital camera with pupil periphery illumination and potential for multiply scattered light imaging
KR100706109B1 (en) Vision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AU2002363421A1 (en) Device for digital retinal imaging
ES2673475T3 (en) Corneal confocal microscope (MCC)
KR100781665B1 (en) Combined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and inverted image
US5838421A (en) Binocular direct opthalmoscope
US20140320626A1 (en) Microscope for monitor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KR200450417Y1 (en) Funduscopic apparatus
KR101712337B1 (en) Ophthalmoscope
KR100796355B1 (en) Near infrared slit lamp
WO2008153235A1 (en) Indirect ophthalmoscope with upright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