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009B1 -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009B1
KR100775009B1 KR1020050071002A KR20050071002A KR100775009B1 KR 100775009 B1 KR100775009 B1 KR 100775009B1 KR 1020050071002 A KR1020050071002 A KR 1020050071002A KR 20050071002 A KR20050071002 A KR 20050071002A KR 100775009 B1 KR100775009 B1 KR 10077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ing unit
electrode
transis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6382A (en
Inventor
한상욱
윤의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7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009B1/en
Publication of KR2007001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7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fixed-pattern noise, e.g. non-uniformity of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9Circuitry for control of the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6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comprising control or output lines used for a plurality of functions, e.g. for pixel output, driving, reset or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1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storage means other than floating diff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8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mplifier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pixels, i.e. at least one part of the amplifier must be on the sensor array itself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가 간단하고, 고집적화가 가능하면서 FPN(Fixed Pattern Noise)을 제거할 수 있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및 이를 구비한 시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부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 및 영상신호를 칼럼라인을 통해 제공받아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와, 제1 전극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1 전극을 통해 입력받고, 제2 전극과 연결된 노드의 전위에 따라 상기 리셋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는 제1 캐패시터와, 상기 노드와 전압공급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전위를 일정 전압으로 풀-업하거나, 플로팅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캐패시터에 샘플링된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소스 팔로워 버퍼 증폭부와, 상기 칼럼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 증폭부의 출력을 출력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DS) and a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which can simplify the circuit, and can be highly integrated while removing FPN (Fixed Pattern Noise). Is a first switching unit receiving a reset signal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 pixe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hrough a column line, and transmitting the reset signal in response to a first control signal; The reset signal and the image signal, which are connected to a second unit and ar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are inpu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reset signal and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otential of a n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capacitor for sampling and being connected between the node and th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pulling up the potential of the node to a constant voltage in response to a second control signal; A pull-up transistor for maintaining a lot state, a source follower buffer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difference signal sampled to the first capacitor, and an output of the buffer amplifier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column line. It provides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including a second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

CMOS 이미지 센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고정 패턴 잡음(FPN), 오프셋 전압 CMOS image sensor,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DS), fixed pattern noise (FPN), offset voltage

Description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시모스 이미지 센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동작 파형도.3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에서 생성되는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오프셋 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FIG.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ffset remover for removing an offset voltage generated in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오프셋 제거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offset remover for removing the offset voltage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shown in FIG. 2;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오프셋 제거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동작 파형도.FIG. 6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ffset removing unit illustrated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른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Fig. 7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10, 210 : 단위 화소10, 110, 210: unit pixel

20, 120, 220 :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20, 120, 220: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DS)

30, 130, 230 : 버퍼30, 130, 230: buffer

140, 150 : 오프셋 제거부140, 150: offset remover

M1 내지 M14 : 트랜지스터M1 to M14: transistor

PD : 포토 다이오드PD: Photodiode

FD : 플로팅 디퓨젼 영역FD: Floating Diffusion Area

C, Cs, CR, Ccds, Cvdd : 캐패시터Capacitors: C, Cs, C R , Ccds, Cvdd

CL : 칼럼라인CL: column line

본 발명은 반도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의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 및 이를 구비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n particular, to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for processing output signals of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to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최근들어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통신의 발 전과 더불어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더욱이, 카메라가 장착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소형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demand for digital cameras is exploding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Moreover, the demand for small camera modules increases as the popular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DAs equipped with camera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IMT-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rminals, etc. increases. Doing.

카메라 모듈은 기본적으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라 함은 광학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로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함)와 시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camera module basically includes an image sensor. In general, an image sensor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an optical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s such an image sensor, a charge coupled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CD) and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image sensor are widely used.

CCD는 구동 방식이 복잡하고, 전력 소모가 많으며, 제조공정시 마스크 공정 수가 많아 공정이 복잡하고, 시그날 프로세싱 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를 칩 내에 구현할 수 없어 원 칩(one chip)화가 어렵다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시모스 이미지 센서는 하나의 단일 칩 상에 제어, 구동 및 신호 처리 회로의 모놀리식 집적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보다 주목을 받고 있다. 게다가, 시모스 이미지 센서는 저전압 동작 및 저전력 소모, 주변기기와의 호환성 및 표준 CMOS 제조 공정의 유용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CCD에 비해 잠재적으로 적은 비용을 제공한다. CCD has a complicated driving method, high power consumption, complicated process due to the large number of mask process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signal processing circuit in a chip, making it difficult to make one chip. There are disadvantages. In contrast, CMOS image sensors are receiving more attention recently because of the monolithic integration of control, drive,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ry on a single chip. In addition, CMOS image sensors offer potentially lower cost than conventional CCDs due to low voltage opera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compatibility with peripherals, and the availability of standard CMOS fabrication processes.

그러나, 시모스 이미지 센서에서 수광 소자, 예컨대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는 기생 캐패시턴스, 저항, 암전류 누설 또는 반도체 소자 특성의 불일치 등에 의해 야기되는 다양한 기생 효과(parasitic effect)를 갖는다. 이러한 기생 효과는 반도체 소자에서는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서, 이미지 데이터의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의 저하를 가져온다. 따라서, 잡음은 시모스 이미지 센서의 성능을 제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However, analog signals generated by light receiving elements, such as photo diodes, in CMOS image sensors have various parasitic effects caused by parasitic capacitance, resistance, dark current leakage, or mismatch of semiconductor device characteristics. Such a parasitic effect is essentially generated in a semiconductor devic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signal to noise ratio of the image data. Therefore, noise is an important factor limiting the performance of the CMOS image sensor.

시모스 이미지 센서에서 잡음이 발생되는 원인은 이미지 데이터의 샘플링과 관련되는 kT/C 잡음, 이미지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와 관련되는 1/f 잡음 및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의 불일치와 관련되는 고정 패턴 잡음(Fixed Pattern Noise, 이하, FPN이라 함) 등이 있다. 이중 FPN은 이미지 안에 세로선 또는 스트립(strip)으로 나타나서 사람의 눈에 쉽게 발견되므로 시각적으로 매우 좋지 않다. Noise in the CMOS image sensor is caused by kT / C noise related to the sampling of the image data, 1 / f noise associated with the circuit used to amplify the image signal, and fixed by the mismatch of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the sensor. Patterned Pattern Noi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PN). Dual FPNs are not very good visually because they appear as vertical lines or strips in the image and are easily found in the human eye.

최근에는 이러한 FPN을 제거하기 위하여 독출(read out) 회로에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 Double Sampling circuit; 이하, CDS라 함)가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 Correlate Double Sampling circ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DS) has been used in a read out circuit to remove such FPN.

도 1은 일반적인 시모스 이미지 센서에서 단위 화소와 CDS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다양한 구조 중 일례로 4-T(4-Transistor) 구조를 갖는 단위 화소에 대해 설명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nit pixel and a CDS in a general CMOS image sensor. Here, unit pixels having a 4-T (4-Transisto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one example of various structures.

도 1을 참조하면, 단위 화소(10)는 1개의 포토 다이오드(PD)와, 3개의 NMOS 트랜지스터(M1 내지 M3)과 4개의 PMOS 트랜지스터(M9 내지 M12)로 이루어진다. 4개의 NMOS 트랜지스터(M1 내지 M4)는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집속된 광전하(photo- generated charge)를 플로팅 디퓨젼 영역(Floating Diffusion; FD)으로 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ransfer transistor, M1), 원하는 값으로 플로팅 디퓨젼 영역(FD)의 전위를 세팅하고 전하(Cpd)를 배출하여 플로팅 디퓨젼 영역(FD)을 리셋(reset)시키기 위한 리셋 트랜지스터(reset transistor, M2),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에 축적된 전하에 따라 동작하여 소스 팔로워(source follower) 구성으로 버퍼 증폭기(buffer amplifier) 역할을 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drive transistor; M4), 스위칭으로 어드레싱(addressing)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select transistor; M3)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위 화소(10)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로 배열되어 화소부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unit pixel 10 includes one photodiode PD, three NMOS transistors M1 to M3, and four PMOS transistors M9 to M12. The four NMOS transistors M1 to M4 are transfer transistors M1 for transporting photo-generated charges concentrated in the photodiode PD to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A reset transistor M2 and a floating diffusion region for setting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to a desired value and discharging the charge C pd to reset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A drive transistor (M4) acting according to the charge accumulated in the FD and acting as a buffer amplifier in a source follower configuration, and a select transistor for addressing switching. select transistor (M3). A plurality of such unit pixels 10 are arranged in a matrix to form pixel units.

CDS(20)는 화소부의 칼럼라인(Column Line, CL)당 하나씩 설치되어 하나의 칼럼라인(CL)과 연결된 복수의 단위 화소(10)로부터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독출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CDS(20)는 리셋 독출구간 동안 리셋신호(RST)에 의해 턴-온(turn-ON)되는 리셋 트랜지스터(M2)에 의해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을 전원전압(VDD)으로 리셋시키고, 리셋된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의 전위에 대응되는 레벨(level)을 갖고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되는 신호(이하, 리셋전압이라 함)와, 리셋 독출구간 후 신호 검출구간 동안 포토 다이오드(PD)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전자와 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자들의 축적에 대응되는 레벨을 갖고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되는 신호(이하, 영상 신호전압이라 함)를 각각 독출하여 샘플링하기 위하여 3개의 NMOS 트랜지스터(M6 내지 M8)와, 4개의 PMOS 트랜지스터(M9 내지 M12)와, 2개의 캐패시터(CS 및 CR)로 구성된다. The CDS 20 reads and processes analog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unit pixels 10 connected to one column line CL and installed in the column line CL, one for each column line CL. do. The CDS 20 resets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by the reset transistor M2 that is turned on by the reset signal RST during the reset readout period. A signal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otential of the reset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set voltage), and a photodiode during the signal detection section after the reset readout section Electrons and holes are formed by the light irradiated to the PD), and have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electrons, and to read and sample the sig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mage signal voltages)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respectively. It consists of three NMOS transistors M6 to M8, four PMOS transistors M9 to M12, and two capacitors C S and C R.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의 독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reading operation of the CMOS image sens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리셋 독출구간 동안 리셋신호(RST)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어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으로는 리셋 트랜지스터(M2)를 통해 전원전압(VDD)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의 전위는 전원전압(VDD)보다 낮은 전위 레벨로 리셋된다. 그리고, 리셋된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의 전위에 의해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는 턴-온된다. 이런 상태에서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의해 셀렉트 트랜지스터(M3)가 선택되어 턴-온되면 오프셋 전압이 포함된 리셋전압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다. 보통, 오프셋 전압은 소스 팔로워로 구성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에 의해 발생된다. 즉, 리셋전압은 "Vreset + Voffset"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리셋 샘플 및 홀드(reset sample and hold) 신호(이하, SHR라 함)에 의해 SHR 트랜지스터(M6)가 턴-온되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 리셋전압은 리셋전압 저장용 캐패시터(CR)에 저장된다. 물론, 신호 샘플 및 홀드(signal sample and hold) 신호(이하, SHS라 함)에 의해 SHS 트랜지스터(M7)가 턴-오프되고,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의해 Col 트랜지스터(M9, M11)는 턴-오프(turn-OFF)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First, the reset transistor M2 is turned on by the reset signal RST during the reset read period,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through the reset transistor M2. Accordingly,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is reset to a potential level low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he drive transistor M4 is turned on by the reset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In this state, when the select transistor M3 is selected and turned on by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the reset voltage including the offset voltage is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Usually, the offset voltage is generated by drive transistor M4 configured as a source follower. That is, the reset voltage can be expressed as "Vreset + Voffset". In this state, when the SHR transistor M6 is turned on by the reset sample and hol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R), the reset voltage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s used for storing the reset voltage. Stored in capacitor C R. Of course, the SHS transistor M7 is turned off by the signal sample and hol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S), and the Col transistors M9 and M11 are turned off by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t remains turned off.

이후, 신호 독출구간 동안 리셋신호(RST)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M2)가 턴-오프되고, 트랜스퍼신호(TR)에 의해 트랜스퍼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되면 포토 다 이오드(PD)로 조사된 빛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PD)에 생성된 전자들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M1)를 통해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으로 전달되어 축적된다. 이때, 전자와 함께 정공도 생성되는데, 이러한 정공들은 실리콘 기판으로 확산된다.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은 축적된 전하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위로 상승하여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를 턴-온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의해 셀렉트 트랜지스터(M3)가 선택되어 턴-온되면 오프셋 전압이 포함된 영상 신호전압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다. 여기서도 리셋전압과 마찬 가지로, 소스 팔로워로 구성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에 의해 오프셋 전압이 발생되어 영상 신호전압은 "Vsignal + Voffset"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SHS'에 의해 SHS 트랜지스터(M7)가 턴-온되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 영상 신호전압은 영상 신호전압 저장용 캐패시터(CS)에 저장된다. 물론, 'SHR'에 의해 SHR 트랜지스터(M6)가 턴-오프되고,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의해 Col 트랜지스터(M9, M11)는 모두 턴-오프(turn-OFF)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reset transistor M2 is turned off by the reset signal RST during the signal readout period, and the transfer transistor M1 is turned on by the transfer signal TR, the photodiode PD is irradiated. The electrons generated in the photodiode PD by the generated light are transferred to and accumulated in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through the transfer transistor M1. At this time, holes are generated together with the electrons, and these holes are diffused to the silicon substrate.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rises to a potential of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ed charge to turn on the drive transistor M4. In this state, when the select transistor M3 is selected and turned on by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the image signal voltage including the offset voltage is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Here, similarly to the reset voltage, the offset voltage is generated by the drive transistor M4 configured as the source follower, so that the image signal voltage can be expressed as "Vsignal + Voffset". In this state, when the SHS transistor M7 is turned on by 'SHS', the image signal voltage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s stored in the image signal voltage storage capacitor C S. Of course, the SHR transistor M6 is turned off by 'SHR', and the Col transistors M9 and M11 are both turned off by the column line select signal Col. .

이후,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의해 Col 트랜지스터(M7, M11)가 턴-온 상태에 따라 캐패시터(CR, CS)에 각각 저장된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은 버퍼 증폭기(M10, M12)를 통하여 감산기로 기능하는 연산 증폭기(30)의 입력단(+, -)으로 각각 입력된다. 연산 증폭기(30)는 비반전 입력단(+)과 반전 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되는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을 감산하여 출력신호인 출력전압(Vout)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전압(Vout)은 하기의 수학식1로 표현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s C R and C S according to the turn-on state of the Col transistors M7 and M11 by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are respectively converted into the buffer amplifiers M10 and M12. Are input to the input terminals (+,-)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30 functioning as a subtractor. The operational amplifier 30 outputs an output voltage Vout, which is an output signal, by subtracting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Vout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Vout = Vsignal-Vreset = (Vsignal+Voffset)-(Vreset+Voffset)Vout = Vsignal-Vreset = (Vsignal + Voffset)-(Vreset + Voffset)

전술한 바와 같이, CDS는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되는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이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에 의해 생성되는 오프셋 전압을 동일하게 포함한다는 사실을 기본으로 하여 구현된다. 즉,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에서 오프셋 전압은 공통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오프셋 전압은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을 감산함으로써 제거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DS i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nclude the same offset voltage generated by the drive transistor M4. That is, the offset voltage is common in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and the offset voltage is removed by subtracting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CDS는 7개의 트랜지스터(M6 내지 M12)와 2개의 캐패시터(CR 및 CS)로 비교적 많은 수의 소자가 요구되어 고집적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캐패시터의 경우에는 다른 소자, 예컨대 트랜지스터에 비해 구현시 상대적으로 많은 스페이스(space)가 요구되기 때문에 고집적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However, the C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arge number of elements required by the seven transistors M6 to M12 and two capacitors C R and C S , and thus has a high difficulty in high integr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pacitor, since the implementation requires a relatively large space compared to other devices, such as transistor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high integration.

한편, 도 1에서 도시되고 미설명된 트랜지스터(M5)는 화소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의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로서 일정 바이어스 전압(Vb1)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M5)는 동일 칼럼라인(CL)에 있는 화소들의 선택신호(SEL)가 로우레벨로 천이되어 SEL 트랜지스터(M3)가 턴-오프되면 칼럼라인(CL)을 접지단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M13, M14)는 트랜지스터(M5)와 마찬 가지로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로서, P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버퍼 증폭기(M10, M12)로 전원전압(VDD)을 제공한다. Meanwhile, the transistor M5 illustrated in FIG. 1 and not described is driven with a constant bias voltage Vb1 as a bias transistor of the pixel drive transistor M4. The transistor M5 connects the column line CL to the ground terminal when the selection signal SEL of the pixels in the same column line CL transitions to a low level and the SEL transistor M3 is turned off. Like the transistor M5, the transistors M13 and M14 are implemented as PMOS transistors and provide a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buffer amplifiers M10 and M12.

또한, 트랜지스터(M8)는 캐패시터(CR, CS)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노드(A, B)의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제어신호(DDS)는 연산 증폭기(30)가 캐패시터(CR, CS)로부터 각각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을 입력받아 감산한 후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M8)는 제어신호(DDS)에 의해 턴-온되어 노드(A, B)를 서로 연결한다. 결국, 노드(A, B)는 동일한 전위를 갖게 된다. 그러나, 버퍼 증폭기(M10, M12)가 서로 동일한 크기(W/L)로 설계되지 않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30)로는 동일한 전압이 입력되지 않고, 약간의 전위차를 갖는 전압이 입력되어 출력된다. In addition, the transistor M8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of the capacitors C R and C S to keep the potentials of the nodes A and B the same. The control signal DDS transitions to a high level after the operational amplifier 30 receives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from the capacitors C R and C S , respectively, and subtracts them. As a result, the transistor M8 is turned on by the control signal DDS to connect the nodes A and B to each other. As a result, nodes A and B have the same potential. However, since the buffer amplifiers M10 and M12 are not designed with the same size (W / L), the same voltage is not input to the operational amplifier 30, and a voltage having a slight potential difference is input and output.

이렇게 연산 증폭기(30)를 통해 출력된 신호와, 이전에 연산 증폭기(30)를 통해 감산된 결과값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속 소정 회로를 통해 감산된다. 이로써, CDS(20)의 버퍼 증폭기(M10, M12)에 의해 발생되는 오프셋 전압은 제거되게 된다.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operational amplifier 30 and the resultant value previously subtracted through the operational amplifier 30 are subtracted through the following predetermined circuit although not shown. As a result, the offset voltage generated by the buffer amplifiers M10 and M12 of the CDS 20 is elimin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로가 간단하고, 고집적화가 가능하면서 FPN((Fixed Pattern Noise)을 제거할 수 있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및 이를 구비한 시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circuit is simple, and highly integrated, while having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DS) capable of removing FPN (Fixed Pattern Noise) and hav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MOS image sens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부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 및 영상신호를 칼럼라인을 통해 제공받아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와, 제1 전극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1 전극을 통해 입력받고, 제2 전극과 연결된 노드의 전위에 따라 상기 리셋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는 제1 캐패시터와, 상기 노드와 전압공급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전위를 일정 전압으로 풀-업하거나, 플로팅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캐패시터에 샘플링된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소스 팔로워 버퍼 증폭부와, 상기 칼럼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 증폭부의 출력을 출력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et signal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 pixe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re received through a column line, and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first control signal. A first switching unit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receive the reset signal and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node of the n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capacitor sampling the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reset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potential, and connected between the node and th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pulling up the potential of the node to a constant voltage in response to a second control signal; Or a pull-up transistor for maintaining the floating state, a source follower buffer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difference signal sampled to the first capacitor, and the column.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nd providing a second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including a second switch for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buffer amplifi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갖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와, 상기 복수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버퍼 증폭부에 의해 생성된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오프셋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the buffer amplification unit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It provides a CMOS image sensor further comprises an offset remover for removing the offset voltage generated by th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요소들을 나타낸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par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present the same elem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실시예1Example 1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CDS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먼저 4-T(4-Transistor) 구조를 갖는 단위 화소에 대해 설명한다.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D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unit pixel having the 4-T (4-Transisto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CDS(120)는 리셋 독출구간과 신호 독출구간 동안 단위 화소(110)가 복수 개로 배열되어 어레이를 이루는 화소부로부터 해당 칼럼라인(CL)을 통해 각각 출력되는 리셋전압과 영상 신호전압을 동일한 경로를 통해 독출하도록 4개의 트랜지스터(M6 내지 M9)와, 1개의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CDS 12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it pixels 11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unit pixels 110 during a reset readout period and a signal readout period to form corresponding column lines CL. Four transistors M6 to M9 and one capacitor C are read to read the reset voltag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output through the same path.

스위칭 트랜지스터(M6)는 칼럼라인(CL)과 캐패시터(C) 사이에 접속되어 리셋 독출구간에는 신호 샘플 홀드신호(이하, 'SHS'라 함)에 응답하여 상기 리셋전압을 캐패시터(C)의 제1 전극으로 전달하고, 신호 독출구간에는 상기 영상 신호전압을 전달한다.The switching transistor M6 is connected between the column line CL and the capacitor C, and resets the reset voltage in response to the signal sample hol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S') during the reset readout perio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one electrode, and the image signal voltage is transmitted to a signal reading section.

캐패시터(C)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6)와 노드(A)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리셋 독출구간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6)를 통해 전달된 상기 리셋전압을 저장하고, 신호 독출구간에는 저장된 상기 리셋전압과 스위칭 트랜지스터(M6)를 통해 전달된 상 기 영상 신호전압의 차 값을 저장한다. 실제로, 상기 리셋 독출구간에는 캐패시터(C)에 'VDD-(Vreset+Voffset)'가 저장된다. 여기서, 리셋전압은 'Vreset+Voffset'이 된다. The capacitor C is connected between the switching transistor M6 and the node A to store the reset voltage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M6 in the reset readout section, and to store the reset voltage and the switching voltage stored in the signal readout sectio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image signal voltag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istor M6 is stored. In fact, 'VDD- (Vreset + Voffset)' is stored in the capacitor C in the reset read section. Here, the reset voltage is 'Vreset + Voffset'.

풀-업 트랜지스터(pull-up transistor, M7)는 리셋신호(RST)가 하이레벨(HIGH level, 논리 '1')로 인에이블되는 동시에 로우레벨(LOW level, 논리 '0')로 인에이블되는 제어신호(Cont)에 응답하여 상기 리셋 독출구간 동안 캐패시터(C)의 제2 전극과 연결된 노드(A)로 전원전압(VDD)을 전달하여 노드(A)의 전위를 상승시킨다. The pull-up transistor M7 has the reset signal RST enabled at a high level (logic '1') and at the same time enabled at a low level (logic '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Cont,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transferred to the node A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during the reset read period, thereby raising the potential of the node A.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8)는 입력단이 노드(A)와 접속된 소스 팔로워 버퍼 증폭기로 샘플링 구간 동안 캐패시터(C)에 저장된 'VDD-(Vreset-Vsignal)'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The drive transistor M8 amplifies and outputs VDD- (Vreset-Vsignal) stored in the capacitor C during a sampling period with a source follower buffer amplifier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node A.

스위칭 트랜지스터(M9)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8)의 연결되고,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응답하여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8)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스위칭 트랜지스터(M9)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8)에 의해 생성된 오프셋 전압(Vcds_offset)을 포함하여 'VDD-(Vreset-Vsignal)-Vcds_offset'을 출력한다. The switching transistor M9 is connected to the drive transistor M8 and outputs a voltage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drive transistor M8 in response to the column line select signal Col. At this time, the switching transistor M9 outputs '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including the offset voltage Vcds_offset generated by the drive transistor M8.

단위 화소(110)는 4-T 구조를 가지며, 1개의 포토 다이오드(PD)와, 4개의 NMOS 트랜지스터(M1 내지 M4)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위 화소(110)는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여기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의해 동작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M3)는 전원전압단과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와 칼럼라인(CL) 사이에 접속되어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의 증폭신호를 칼럼라인(CL)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소스 팔로워로 구성되어 버퍼 증폭기로 기능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이 전원전압단과 접속되고, 소스는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unit pixel 110 has a 4-T structure and includes one photodiode PD and four NMOS transistors M1 to M4. Since the unit pixel 110 has the same structure as a general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select transistor M3 operated by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the drive transistor M4. However, this is an example of the drive transistor M4 and the column. I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lines CL to transfer the amplified signal of the drive transistor M4 to the column line CL. That is, the drain of the drive transistor M4, which is composed of a source follower and functions as a buffer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the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select transisto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CDS의 독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신호의 동작 파형도이다. Hereinafter, a read operation of the CD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each signal shown in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셋 독출구간 동안,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어신호(Cont)에 의해 풀-업 트랜지스터(M7)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의 제2 전극과 연결된 노드(A)는 전원전압(VDD)으로 근접한다. 이런 상태에서,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RST)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어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으로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은 전원전압(VDD)에 대응하는 전위 레벨로 리셋된다. 그리고, 소정 전위 레벨로 리셋된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의 전위에 의해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는 턴-온되고, 이런 상태에서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의해 셀렉트 트랜지스터(M3)가 선택되어 턴-온되면 오프셋 전압이 포함된 리셋전압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다. 보통, 오프셋 전압은 소스 팔로워로 구성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에 의해 발생된다. 즉, 리셋전압은 "Vreset+Voffset"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SHS'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M6)가 턴-온되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 리셋전압은 캐패시터(C)에 저장된다. 결국, 캐패시터(C)에는 'VDD-(Vreset+Voffset)'가 저장되어 유지된다. 2 and 3, during the reset readout period, the pull-up transistor M7 is turned on by the control signal Cont enabled to the low level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Node A is close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n this state, the reset transistor M2 is turned on by the reset signal RST enabled to the high leve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Accordingly,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is reset to a potential level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hen, the drive transistor M4 is turned on by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reset to the predetermined potential level, and in this state, the select transistor M3 is selected by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and turned. When turned on, a reset voltage including an offset voltage is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Usually, the offset voltage is generated by drive transistor M4 configured as a source follower. That is, the reset voltage can be expressed as "Vreset + Voffset". In this state, when the switching transistor M6 is turned on by 'SHS', the reset voltage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s stored in the capacitor C. As a result, 'VDD- (Vreset + Voffset)' is stored and maintained in the capacitor C.

이후, 신호 독출구간에서, 제어신호(Cont)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여 풀-업 트랜지스터(M7)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의 제2 전극과 접속된 노드(A)는 플로팅된다. 이런 상태에서, 로우레벨을 갖는 리셋신호(RST)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M2)가 턴-오프되고, 트랜스퍼신호(TR)에 의해 트랜스퍼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되면 포토 다이오드(PD)로 조사된 빛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PD)에 생성된 전자들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M1)를 통해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으로 전달되어 축적된다. 이때, 전자와 함께 정공도 생성되는데, 이러한 정공들은 실리콘 기판으로 확산된다.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은 축적된 전하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위로 상승하여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를 턴-온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의해 셀렉트 트랜지스터(M3)가 선택되어 턴-온되면 오프셋 전압이 포함된 영상 신호전압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다. 여기서도 리셋전압과 마찬 가지로, 소스 팔로워로 구성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4)에 의해 오프셋 전압이 발생되어 영상 신호전압은 "Vsignal + Voffset"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SHS'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M8)가 턴-온되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 영상 신호전압은 캐패시터(C)의 제1 전극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의 제2 전극에는 커플링 효과(coupling effect)에 의해 'VDD-(Vreset-Vsignal)'로 바뀌게 된다. 즉, 노드(A)에는 오프셋 전압(Voffset)이 제거된 'VDD-(Vreset-Vsignal)'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임의의 동일한 칼럼라인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리셋전압에서 영상 신호전압의 차가 노드(A)에 나타나게 되어 화소에 대한 상관 이중 샘플링이 이루어진다.Thereafter, in the signal read section, the control signal Cont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so that the pull-up transistor M7 is turned off. As a result, the node A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is floated. In this state, when the reset transistor M2 is turned off by the reset signal RST having a low level, and the transfer transistor M1 is turned on by the transfer signal TR, the photodiode PD is irradiated. The electrons generated in the photodiode PD by the generated light are transferred to and accumulated in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through the transfer transistor M1. At this time, holes are generated together with the electrons, and these holes are diffused to the silicon substrate.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rises to a potential of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ed charge to turn on the drive transistor M4. In this state, when the select transistor M3 is selected and turned on by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the image signal voltage including the offset voltage is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Here, similarly to the reset voltage, the offset voltage is generated by the drive transistor M4 configured as the source follower, so that the image signal voltage can be expressed as "Vsignal + Voffset". In this state, when the switching transistor M8 is turned on by 'SHS', the image signal voltage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s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is changed to 'VDD- (Vreset-Vsignal)' by a coupling effect. That is, at the node A, 'VDD- (Vreset-Vsignal)' from which the offset voltage Voffset is removed appears. This opera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ny same column line, and the difference of the image signal voltage at the reset voltage is shown at the node A, so that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for the pixel is performed.

이후, 샘플링 구간에서,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M9)가 턴-온되어 노드(A)의 전위, 즉 오프셋 전압(Voffset)이 제거된 'VDD-(Vreset-Vsignal)'이 버퍼 증폭기(130)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버퍼 증폭기(130)는 1개의 CDS(12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칩 내에 구현된 모든 칼럼라인과 연결된다. 즉,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의해 선택된 CDS(120)의 아날로그 신호만 버퍼 증폭기(130)로 출력된다. 그러나, 설계에 따라서는 각 CDS(120)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Thereafter, in the sampling period,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enabled to a high level, and thus the switching transistor M9 is turned on to remove the potential of the node A, that is, the offset voltage Voffset. Vreset-Vsignal) 'is output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130. Here, the buffer amplifier 130 is shown as being connected to one CDS 120,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actually connected to all the column lines implemented in the chip. That is, only the analog signal of the CDS 120 selected by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output to the buffer amplifier 130.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one CDS 120 may be install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CDS(120)에는 소스 팔로워로 구성되어 버퍼 증폭기로 기능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8)를 사용함에 따라 CDS(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또한 오프셋 전압(Vcds-offset)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오프셋 전압(Vcds_offset)은 CDS(120)의 출력단에 CDS 오프셋 제거부를 설치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CDS 120 is also offset voltage (Vcds−) by using the drive transistor M8 configured as a source amplifier in the CDS 120 illustrated in FIG. 2. offset). The offset voltage Vcds_offset can be removed by providing a CDS offset remover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CDS 1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S 오프셋 제거부(140)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M11, M12), 2개의 캐패시터(Ccds 및 Cvdd) 및 1개의 비교기(141)로 구성된다. 이러한 CDS 오프셋 제거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버퍼 증폭기(130)와 마찬 가지로 칩 내에 구현된 모든 칼럼라인과 연결된다. 즉,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칼럼라인과 연결되는 모든 CDS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그 선택은 해당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의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CDS offset remover 140 includes two NMOS transistors M11 and M12, two capacitors Ccds and Cvdd, and one comparator 141. Like the buffer amplifier 130 illustrated in FIG. 2, the CDS offset remover 140 is connected to all column lines implemented in the chip. That is,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all CDSs connected to all column lines constituting the array, and the selection is made by the corresponding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스위칭 트랜지스터(M11)는 CDS(120)의 출력단과 비교기(141)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접속되고, CDS 신호 샘플 및 홀드신호(이하, 'SHS_cds'라 함)에 응답하여 CDS(120)의 출력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CDS(120)의 출력신호는 'VDD-(Vreset-Voffset)-Vcds_offset'이 된다. 그리고, 'SHS_cds'는 샘플링 구간에서 제어신호(Cont)가 하이레벨이고, 칼럼라인 선택신호(Col)가 하이레벨일 때 하이레벨을 갖는다. The switching transistor M11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DS 120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41, and responds to the CDS signal sample and the hol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S_cds'). Pass the output signal of. 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CDS 120 is 'VDD- (Vreset-Voffset) -Vcds_offset'. In addition, 'SHS_cds' has a high level when the control signal Cont is at a high level in the sampling period and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at a high level.

캐패시터(Ccds)는 제1 전극이 접지전압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스위칭 트랜지스터(M11)와 비교기(141)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M11)를 통해 전달되는 CDS(120)의 출력신호, 즉 'VDD-(Vreset-Vsignal)-Vcds_offset'를 저장한다. The capacitor Ccds of the CDS 120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between the switching transistor M11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41 is transferre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M11. Stores the output signal, ie '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스위칭 트랜지스터(M12)는 CDS(120)의 출력단과 비교기(141)의 비반전 입력단(+) 사이에 접속되고, 전원전압 리셋 샘플 및 홀드신호(이하, 'SHR_VDD'라 함)에 응답하여 CDS(120)의 출력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CDS(120)의 출력신호는 'VDD-Vcds_offset'이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되는 동작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SHS_vdd'는 샘플링 구간에서 제어신호(Cont)가 로우레벨이고, 칼럼라인 선택신호(Col)가 하이레벨일 때 하이레벨을 갖는다. 즉, 'SHS_cds'의 반전신호가 된다. The switching transistor M12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DS 120 and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comparator 141, and respond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reset sample and the hol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R_VDD'). 120 outputs an output signal. 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CDS 120 is 'VDD-Vcds_offset',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addition, 'SHS_vdd' has a high level when the control signal Cont is at a low level and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at a high level in the sampling period. That is, an inverted signal of 'SHS_cds' is obtained.

캐패시터(Cvdd)는 제1 전극이 접지전압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스위칭 트 랜지스터(M12)와 비교기(141)의 비반전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M12)를 통해 전달되는 CDS(120)의 출력신호, 즉 'VDD-Vcds_offset'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The capacitor Cvdd has a CDS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between the switching transistor M12 and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141 and transferre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M12). The output signal of '120', that is, 'VDD-Vcds_offset' is stored and maintained.

비교기(141)는 연산 증폭기로 이루어지며, 캐패시터(Ccds 및 Cvdd)에 각각 저장된 전압, 즉 'VDD-(Vreset-Vsignal)-Vcds_offset'과 'VDD-Vcds_offset'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비교기(141)의 출력신호에는 오프셋 전압(Vcds-offset')이 포함되지 않는다. 즉, 비교기(141)의 출력신호(Vout)는 오프셋 전압이 제거된 'Vreset-Vsignal'이 된다. The comparator 141 is composed of an operational amplifier and subtracts and outputs the voltages stored in the capacitors Ccds and Cvdd, that is, '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and 'VDD-Vcds_offset', respectively. Therefore, the offset signal Vcds-offset 'is not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141. That is, the output signal Vout of the comparator 141 becomes 'Vreset-Vsignal' from which the offset voltage is remov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CDS 오프셋 제거부(140)의 오프셋 제거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offset removing operation of the CDS offset removing unit 1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샘플링 구간 중 TRS 구간에서, 해당 칼럼라인 선택신호(Col)가 선택되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SHS_cds'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M11)가 턴-온되어 CDS(120)의 출력신호, 즉 'VDD-(Vreset-Vsignal)-Vcds_offset'가 캐패시터(Ccds)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어 저장된다. 3 and 4, when 'SHS_cds' is enabled at the high level while the corresponding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selected and enabled at the high level in the T RS period of the sampling period, the switching transistor ( M11) is turned o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DS 120, that is, '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cds and stored.

이후, Tss 구간에서, 'SHS_cds'가 로우레벨로 천이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M11)가 턴-오프되고, 'SHR_vdd'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M12)가 턴-온되며, 이런 상태에서 제어신호(cont)가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면, 풀-업 트랜지스터(M7)가 턴-온되어 CDS(120)로부터 'VDD-Vcds_offset'가 스위칭 트랜 지스터(M9)를 통해 캐패시터(Cvdd)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어 저장된다. 결국, 비교기(141)의 입력단에는 캐패시터(Ccds 및 Cvdd)에 각각 저장된 전압, 즉 'VDD-(Vreset-Vsignal)-Vcds_offset'과 'VDD-Vcds_offset'이 인가된다. 비교기(141)는 이 두 전압의 차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비교기(141)는 오프셋 전압이 제거된 'Vreset-Vsignal'을 출력한다. Thereafter, in the T ss period, 'SHS_cds' transitions to a low level so that the switching transistor M11 is turned off, 'SHR_vdd' is enabled to a high level, and thus the switching transistor M12 is turned on. When the control signal cont is enabled at the low level, the pull-up transistor M7 is turned on so that 'VDD-Vcds_offset' from the CDS 120 is connected to the capacitor Cvd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M9. It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and stored. As a result, the voltages stored in the capacitors Ccds and Cvdd, that is, '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and 'VDD-Vcds_offset' are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 141, respectively. The comparator 141 outputs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se two voltages. Accordingly, the comparator 141 outputs 'Vreset-Vsignal' from which the offset voltage is removed.

한편, 도 5는 CDS(120)의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오프셋 제거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위치된 캐패시터 증폭기(switched capacitor amplifier)를 사용하였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소 신호들, CDS 신호들 및 칩(chip) 신호의 동작 파형도이다. 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switched capacitor amplifi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offset remover for removing the offset voltage of the CDS 120. 6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pixel signals, CDS signals, and chip signals illustrated in FIG.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S 오프셋 제거부(150)는 1개의 NMOS 트랜지스터(M11), 2개의 캐패시터(Ccds 및 Cvdd) 및 1개의 연산 증폭기(151)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DS offset remover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one NMOS transistor M11, two capacitors Ccds and Cvdd, and one operational amplifier 151.

캐패시터(Ccds)는 제1 전극이 CDS(12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연산 증폭기(151)의 반전 입력단(-)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vdd)는 제1 전극이 반전 입력단(-)과 연산 증폭기(15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11)는 캐패시터(Cvdd)와 병렬접속되어 스위칭 신호(SW)에 따라 동작한다. 연산 증폭기(151)의 반전 입력단은 캐패시터(Ccds)의 제2 전극과 연결되고, 비반전 입력단(+)에는 기준전압(Vref)이 입력된다. In the capacitor Ccds, a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DS 120, and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151. The capacitor Cvdd ha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between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151. The switching transistor M1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Cvd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SW.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151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cds,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이러한 구성을 갖는 CDS 오프셋 제거부(150)의 오프셋 제거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offset removing operation of the CDS offset removing unit 1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구간 중 TRS 구간에서, 해당 칼럼라인 선택신호(Col)가 선택되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스위칭 신호(SW)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M11)가 턴-온되어 연산 증폭기(151)는 기준전압(Vref)에 대응하는 출력신호(Vout)를 출력한다. 이때, 캐패시터(Ccds)의 제1 전극으로는 기준전압(Vref)과 CDS(120)의 출력신호의 차 값, 'Vref-VDD-(Vreset-Vsignal)-Vcds_offset'이 전달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switching signal SW is enabled at a high level in a state where the corresponding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selected and enabled at a high level in the T RS section of the sampling period, the switching transistor. The M11 is turned on so that the operational amplifier 151 outputs an output signal Vou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DS 120, 'Vref-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cds.

이후, Tss 구간에서, 스위칭 신호(SW)가 로우레벨로 천이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M11)가 턴-오프되어 연산 증폭기(151)의 반전 입력단이 플로팅되고, 이런 상태에서 제어신호(cont)가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면, 풀-업 트랜지스터(M7)가 턴-온되어 CDS(120)로부터 'VDD-Vcds_offset'가 스위칭 트랜지스터(M9)를 통해 캐패시터(Ccds)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어, 결국 TRS 구간 동안 캐패시터(Ccds)에 저장된 전하가 캐패시터(Cvdd)로 전달되어 연산 증폭기(151)는 'Vref-(Vreset-Vsignal)'를 출력한다. 즉, 'Vref-VDD-(Vreset-Vsignal)-Vcds_offset'와 'VDD-Vcds_offset'의 차 값으로 CDS의 오프셋 전압(Vcds_offset)이 제거된 'Vref-(Vreset-Vsignal)'가 출력된다. Subsequently, when the switching signal SW transitions to the low level in the T ss period, the switching transistor M11 is turned off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151 is floated. In this state, the control signal cont When enabled to the low level, the pull-up transistor M7 is turned on so that 'VDD-Vcds_offset' is input from the CDS 120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M9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cds, and eventually The charge stored in the capacitor Ccds is transferred to the capacitor Cvdd during the T RS period, and the operational amplifier 151 outputs 'Vref- (Vreset-Vsignal)'. That is, 'Vref- (Vreset-Vsignal)' from which the offset voltage Vcds_offset of the CDS is removed is output as a difference between 'Vref-VDD- (Vreset-Vsignal) -Vcds_offset' and 'VDD-Vcds_offset'.

실시예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른 CDS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회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실시예1은 4-T 구조를 갖는 단위 화소에서 생성된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회로인 반면, 실시예2는 3-T(3-Transistor) 구조를 갖는 단위 화소에서 생성된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D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illustrative embodiment shown in FIG. However, Example 1 is a circuit for reading a signal generated in a unit pixel having a 4-T structure, whereas Example 2 is a circuit for reading a signal generated in a unit pixel having a 3-T (3-Transistor) structure. It is a circuit diagram fo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위 화소(210)는 3-T 구조를 가지며, 1개의 포토 다이오드(PD)와, 3개의 NMOS 트랜지스터(M1 내지 M3)로 구성된다. 포토 다이오드(PD)의 캐소드는 리셋 트랜지스터(M1)의 소스와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다. 리셋 트랜지스터(M1)는 전원전압단과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다. 셀렉트 트랜지스터(M2)는 전원전압단과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다.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는 셀렉트 트랜지스터(M2)의 소스와 칼럼라인(CL) 사이에 접속되어 소스 팔로워 버퍼 증폭기로 기능한다. As shown in FIG. 7, first, the unit pixel 210 has a 3-T structure, and includes one photodiode PD and three NMOS transistors M1 to M3. The cathode of the photodiode PD is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the reset transistor M1 and the gate of the drive transistor M3. The reset transistor M1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the gate of the drive transistor M3. The select transistor M2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the drain of the drive transistor M3. The drive transistor M3 is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the select transistor M2 and the column line CL to function as a source follower buffer amplifier.

이러한 단위 화소(2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T 구조를 갖는 단위 화소의 독출동작은 4-T 구조를 갖는 단위 화소의 독출동작과 달리 빛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를 먼저 독출한 후 리셋신호를 독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The operation of the unit pixel 210 will be described below. Unlike a read operation of a unit pixel having a 3-T structure, a read operation of a unit pixel having a 3-T structure is performed by first reading a signal generated by irradiation of light and then reading a reset signal.

먼저, 포토 다이오드(PD)에 빛을 조사하면, 포토 다이오드(PD)의 접합영역에 전자와 홀이 형성되고, 홀은 실리콘 기판으로 확산해가고, 전자들이 접합영역에 축되며, 이 축적된 전자에 의해 소스 팔로워 구성을 갖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고, 셀렉트 트랜지스터(M2)가 선택되면 플로팅 디퓨젼 영역(FD)의 전압 변화에 따른 단위 화소의 출력전압이 발생되어 화소의 정보를 아날로그적으로 출력하 게 된다. 즉, 포토 다이오드(PD)에 빛이 조사되면, 조사되는 빛에 대응되는 레벨을 갖는 신호가 생성된다.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는 포토 다이오드(PD)를 통해 생성된 신호(이하, 영상 신호전압이라 함)를 증폭하고, 이렇게 증폭된 영상 신호전압은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M2)를 통해 해당 칼럼라인(CL)으로 전송된다. First,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diode PD, electrons and holes are formed in the junction region of the photodiode PD, holes diffuse into the silicon substrate, electrons are axially accumulated in the junction region, and the accumulated electrons When the drive transistor M3 having the source follower configuration is turned on, and the select transistor M2 is selected, an output voltage of a unit pixe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voltage change of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ixel. Analog output. That is,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diode PD, a signal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irradiated light is generated. The drive transistor M3 amplifies a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photodiode P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mage signal voltage), and the amplified image signal voltage operates in response to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I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lumn line CL through M2.

이후, 리셋신호(RST)를 하이레벨로 인에이블시키면, 리셋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영역(FD)에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되어 소정 레벨로 리셋된다.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는 소정 레벨로 리셋된 전위(이하, 리셋전압이라 함)를 증폭하고, 이렇게 증폭된 리셋전압은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M2)를 통해 해당 칼럼라인(CL)으로 전송된다. Thereafter, when the reset signal RST is enabled to the high level, the reset transistor M1 is turned on.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and reset to the predetermined level. The drive transistor M3 amplifies the potent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set voltage) reset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amplified reset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select transistor M2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Transmitted to the column line CL.

한편, 상기 영상 신호전압은 'Vsignal-Voffset'으로, 리셋전압은 'Vreset-Voffset'으로 표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signal voltage is represented by 'Vsignal-Voffset', the reset voltage is represented by 'Vreset-Voffset'.

CDS(220)는 실시예1에서 도시된 CDS(120)와 동일하게 1개의 캐패시터(C)와 4개의 NMOS 트랜지스터(M5 내지 M8)로 구성된다. 다만, 실시예2에 따른 CDS(220)는 3-T 구성을 갖는 단위 화소(210)의 신호를 독출해야하기 때문에 그 특성상 스위칭 트랜지스터(M6)의 드레인으로는 1~2V 범위의 드레인 전압이 인가된다. 즉, 3-T 구성을 갖는 단위 화소(210)의 경우 리셋전압의 독출에 앞서 영상 신호전압을 먼저 독출하기 때문이다. The CDS 220 is composed of one capacitor C and four NMOS transistors M5 to M8 in the same manner as the CDS 120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since the CDS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needs to read the signal of the unit pixel 210 having the 3-T configuration, a drain voltage of 1 to 2 V is applied to the drain of the switching transistor M6 due to its characteristics. do. That is, in the case of the unit pixel 210 having the 3-T configuration, the image signal voltage is first read before the reset voltage is read.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른 CDS의 독출 동작 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read operation of the CD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를 참조하면, 신호 독출구간 동안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어신호(Cont)에 의해 풀-업 트랜지스터(M6)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의 제2 전극과 연결된 노드(A)는 드레인 전압(VM)으로 근접한다. 대략 드레인 전압(VM)은 1~2V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이런 상태에서, 'SHS'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M5)가 턴-온되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 영상 신호전압, 즉 'Vsignal-Voffset'이 캐패시터(C)의 제1 전극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에는 'VM-(Vsignal-Voffset)'이 샘플링되어 저장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pull-up transistor M6 is turned on by the control signal Cont enabled at the low level during the signal read period, and is connected to the node A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Referring to FIG. Approaches the drain voltage VM. The drain voltage VM is approximately 1 to 2V. In this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switching transistor M5 is turned on by 'SHS', the image signal voltage outputted to the column line CL, that is, 'Vsignal-Voffset' is the first of the capacitor C. Delivered to the electrode. Accordingly, 'VM- (Vsignal-Voffset)' is sampled and stored in the capacitor C.

이후, 리셋 독출구간에서,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리셋신호(RST)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되어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으로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은 전원전압(VDD)에 대응되는 전위 레벨로 리셋된다. 그리고, 소정 전위 레벨로 리셋된 플로팅 디퓨전 영역(FD)의 전위에 의해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는 턴-온되고, 이런 상태에서 로우라인 선택신호(SEL)에 의해 셀렉트 트랜지스터(M2)가 선택되어 턴-온되면 오프셋 전압이 포함된 리셋전압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다. 이런 상태에서, 'SHS'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M6)가 턴-온되면, 칼럼라인(CL)으로 출력된 리셋전압은 캐패시터(C)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된다. 이때, 캐패시터(C)의 제2 전극과 접속된 노드(A)는 제어신호(Cont)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M6)가 턴-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C)의 제2 전극에는 커플링 효과에 의해 'VM-(Vsignal-Vreset)'로 바뀌게 된다. 즉, 노드(A)에는 오프셋 전압(Voffset)이 제거 된 'VM-(Vsignal-Vreset)'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임의의 동일한 칼럼라인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리셋전압에서 영상 신호전압의 차가 노드(A)에 나타나게 되어 화소에 대한 상관 이중 샘플링이 이루어진다.Thereafter, in the reset read period, the reset transistor M1 is turned on by the reset signal RST enabled to the high level,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Accordingly,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is reset to a potential level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hen, the drive transistor M3 is turned on by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diffusion region FD reset to the predetermined potential level, and in this state, the select transistor M2 is selected by the low line select signal SEL and turned. When turned on, a reset voltage including an offset voltage is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n this state, when the switching transistor M6 is turned on by 'SHS', the reset voltage output to the column line C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At this time, the node A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maintains the floating state because the switching transistor M6 is turned off by the control signal Cont.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is changed to 'VM- (Vsignal-Vreset)' by the coupling effect. That is, at the node A, 'VM- (Vsignal-Vreset)' with the offset voltage Voffset removed appears. This opera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ny same column line, and the difference of the image signal voltage at the reset voltage is shown at the node A, so that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for the pixel is performed.

이후, 샘플링 구간에서,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이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M8)가 턴-온되어 노드(A)의 전위, 즉 오프셋 전압(Voffset)이 제거된 'VM-(Vreset-Vsignal)'이 버퍼 증폭기(230)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버퍼 증폭기(230)는 1개의 CDS(22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칩 내에 구현된 모든 칼럼라인과 연결된다. 즉, 칼럼라인 선택신호(Col)에 의해 선택된 CDS(220)의 아날로그 신호만 버퍼 증폭기(230)로 출력된다. 그러나, 설계에 따라서는 각 CDS(220)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Thereafter, in the sampling period,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enabled to a high level, and thus the switching transistor M8 is turned on to remove the potential of the node A, that is, the offset voltage Voffset. Vreset-Vsignal) 'is output through the buffer amplifier 230. Here, the buffer amplifier 230 is shown as being connected to one CDS 220,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actually connected to all column lines implemented in the chip. That is, only the analog signal of the CDS 220 selected by the column line selection signal Col is output to the buffer amplifier 230.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one CDS 220 may be installed.

물론, 실시예2에서도 실시예1에서와 마찬 가지로, CDS(220)에서 발생되는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하여 후단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오프셋 제거부가 설치될 수 있다. Of course, in the second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ffset removing unit shown in FIGS. 4 and 5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to remove the offset voltage generated in the CDS 220.

한편,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고 미설명된 트랜지스터(M5, M10)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로서, 바이어스 신호(Vb1, Vb2)에 의해 항상 턴-온상태로 유지되어 칼럼라인(CL)을 접지단과 연결한다. 특히 트랜지스터(M5)의 경우 독출동작시 턴-온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캐패시터(C)의 제1 전극과 접지전압 간의 전류 경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6)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트랜지스터(M4, M9)도 이와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istors M5 and M10 shown in FIGS. 2, 4 and 5 and not described are pull-down transistors, and are always turned on by the bias signals Vb1 and Vb2 so that the column line CL ) And ground terminal. In particular, since the transistor M5 is turned on during the read operation,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first electrode of the capacitor C and the ground voltag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switching transistor M6. The same is true of the transistors M4 and M9 shown in FIG.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모스 이미지 센서에서, 고정 패턴 잡을 제거하기 위한 CDS를 1개의 캐패시터와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현함으로써 회로가 간단하고, 고집적화가 가능하면서 고정 패턴 잡음을 안정적으로 ㅈ제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MOS image sensor, by implementing the CDS for removing the fixed pattern job with one capacitor and four transistors, the circuit is simple, high integration is possible, and stable pattern noise is stably prepared. Can be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칼럼 단위의 CDS 후단에 CDS에서 생성된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오프셋 제거부를 추가함으로써 CDS에서부터 생성되는 오프셋 전압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set voltage generated from the CDS can be stably removed by adding an offset remover for removing the offset voltage generated in the CDS at the rear end of the CDS in column units.

Claims (22)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부로부터 출력되는 리셋신호 및 영상신호를 칼럼라인을 통해 제공받아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A first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reset signal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 pixel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to transmit the reset signal and the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제1 전극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1 전극을 통해 입력받고, 제2 전극과 연결된 노드의 전위에 따라 상기 리셋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는 제1 캐패시터;A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to receive the reset signal and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reset signal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the n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capacitor sampling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상기 노드와 전압공급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의 전위를 일정 전압으로 풀-업하거나, 플로팅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풀-업 트랜지스터;A pull-up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node and a voltage supply terminal, the pull-up transistor configured to pull up the potential of the node to a predetermined voltage or to maintain a floating state in response to a second control signal; 상기 제1 캐패시터에 샘플링된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소스 팔로워 버퍼 증폭부; 및A source follower buffer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signal sampled to the first capacitor; And 상기 칼럼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 증폭부의 출력을 출력하는 제2 스위칭부A second switching unit outputting an output of the buffer amplifier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column line 를 포함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위 화소는 4-T 구조를 갖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And the unit pixel has a 4-T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리셋신호가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전압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으로 상기 노드를 풀-업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The pull-up transistor is a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supply terminal by being turned on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reset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for pulling up the nod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턴-오프되어 상기 노드를 플로팅시키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And the pull-up transistor is turned off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image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to float the no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캐패시터는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동안 상기 제2 전극으로 입력되는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상기 리셋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여 저장하고,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는 동안 샘플링된 상기 리셋신호와 상기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The first capacitor samples and stores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input to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set signal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while the pull-up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pull-up And a correlation double sampling circuit for sampling the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reset signal sampled while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and the image signal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위 화소는 3-T 구조를 갖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And the unit pixel has a 3-T structur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전압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으로 상기 노드를 풀-업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The pull-up transistor is turned on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image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is supplied with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supply terminal.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ry that pulls up node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상기 리셋신호가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턴-오프되어 상기 노드를 플로팅시키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And the pull-up transistor is turned off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reset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to float the nod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캐패시터는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동안 상기 제2 전극으로 입력되는 상기 전압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여 저장하고,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는 동안 샘플링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1 전극으로 입력되는 상기 리셋신호의 차신호를 샘플링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The first capacitor samples and stores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voltage input to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mage signal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while the pull-up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pull-up transistor And a sampling signal of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image signal sampled and the reset signal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while is turned off.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전압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은 1~2V를 갖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having a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 supply stage having 1 ~ 2V.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상기 버퍼 증폭부는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ing unit,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buffer amplifier unit comprise an NMOS transistor, and the pull-up transistor comprises a PMOS transisto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스위칭부의 N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리셋신호와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칼럼라인으로 독출되는 동안 턴-온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And the NMOS transistor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turned on while the reset signal and the image signal are read into the column line by the first control signal.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의 P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리셋신호가 상기 칼럼라인으로 독출되는 동안 턴-온되는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And a PMOS transistor of the pull-up transistor is turned on while the reset signal is read into the column line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및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버퍼 증폭부에 의해 생성된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오프셋 제거부를 포함하되,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includes an offset remover for removing the offset voltage generated by the buffer amplifier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는 복수의 상기 칼럼라인에서 칼럼라인당 하나씩 연결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And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is connected one per column line in the plurality of column lin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거부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ffset remover,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제3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제1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제3 스위칭부;A third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transferr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control signal; 상기 제3 스위칭부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출력신호를 제1 전극을 통해 입력받아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제2 캐패시터;A second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a ground voltage terminal to receive and sample the first out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switching unit through a first electrode;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제4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제2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제4 스위칭부;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ransferring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fourth control signal; 상기 제4 스위칭부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4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2 출력신호를 제1 전극을 통해 입력받아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제3 캐패시터; 및A third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switching unit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to receive and sample the second out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switching unit through a first electrode; And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제1 전극과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캐패시터의 제1 전극과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및 제3 캐패시터에 저장되어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출력신호와 상기 제2 출력신호의 차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the first electrode of the third capacitor and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an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re stored in the second and third capacitors and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A comparator for outputting a difference signal between an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를 포함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리셋신호의 차신호이고,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에 의해 상기 노드에 풀-업된 전압에 대응되는 신호인 시모스 이미지 센서.And the first output signal is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video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voltage pulled up to the node by the pull-up transistor.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3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을 갖는 동안 상기 제1 출력신호를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제1 전극으로 전달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And the third switching unit transfers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while the first control signal has a low leve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has a high level.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4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을 갖는 동안 상기 제2 출력신호를 상기 제3 캐패시터의 제2 전극으로 전달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And the fourth switching unit transfers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third capacitor while the first control signal has a low leve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has a low level.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칼럼라인과 제1 스위칭부와 접속된 지점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바이어스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And a pull-down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column line, the point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a ground voltage terminal to operate according to a bias sig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거부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ffset remover, 제1 전극이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의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으로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2 캐패시터;A second capacitor hav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of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receiving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the first electrode;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제2 전극과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신호와 비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기준신호의 차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An operational amplifier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 difference signal between a signal input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a reference signal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제2 전극과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제3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이 상기 기준신호와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제3 제어신호에 의해 비동작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이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제1 출력신호의 차신호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3 스위칭부; 및 Connected between a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operated by a third control signal while the first output signal is input so that the outpu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signal; A thir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and to be inoperative by the third control signal while the second output signal is input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to be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first output signal. ; And 제1 전극이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3 스위칭부와 병렬접속되며, 상기 제2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제2 캐패시터로부터 전달된 전하를 저장하는 제3 캐패시터A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while the second out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econd capacitor A third capacitor to store the transferred charge 를 포함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 comprising a. 제 2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리셋신호의 차신호이고,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에 의해 상기 노드에 풀-업된 전압에 대응되는 신호인 시모스 이미지 센서.And the first output signal is a difference signal between the video signal and the reset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voltage pulled up to the node by the pull-up transistor. 제 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3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을 갖는 동안 동작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을 갖는 동안 비동작하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The third switching unit operates while the first control signal has a low level, the second control signal has a high level, the first control signal has a low leve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has a low level. CMOS image sensor inactive while having.
KR1020050071002A 2005-08-03 2005-08-03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KR100775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002A KR100775009B1 (en) 2005-08-03 2005-08-03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002A KR100775009B1 (en) 2005-08-03 2005-08-03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382A KR20070016382A (en) 2007-02-08
KR100775009B1 true KR100775009B1 (en) 2007-11-09

Family

ID=4163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002A KR100775009B1 (en) 2005-08-03 2005-08-03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0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1664B1 (en) * 2006-07-20 2010-09-07 Advasense Technologies Ltd. Methods for reading a pixel and for writing to a pixel and a device having pixel reading capabilities and pixel writing capabilities
KR101156445B1 (en) * 2010-05-14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riving method for light sensing pixel and X-ray detector including thereof
CN112291492B (en) * 2019-07-25 2024-03-29 比亚迪半导体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noise of image sensor and storage medium
CN115278122B (en) * 2022-07-15 2024-02-13 杭州海康微影传感科技有限公司 Pixel unit circuit, signal acquisition device and signal acquisition method
CN115278100B (en) * 2022-07-19 2023-10-17 杭州海康微影传感科技有限公司 Pixel unit circuit, signal acquisition device and signal acquisition method
CN117833916A (en) * 2024-02-29 2024-04-05 深圳市恒运昌真空技术股份有限公司 Signal conditioning circuit, device and radio frequency power supp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201A (en) * 1990-10-17 1992-05-28 오가 노리오 Solid state imaging device
KR20010039849A (en) * 1999-08-31 2001-05-15 웨인 데이비드 Self compensating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JP2002064751A (en) 2000-08-22 2002-02-28 Victor Co Of Japan Ltd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JP2003234962A (en) 2002-02-07 2003-08-22 Fujitsu Ltd Correlation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provided therewith
KR20040010299A (en) * 2002-07-25 2004-01-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Image sensor providing improved image qu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201A (en) * 1990-10-17 1992-05-28 오가 노리오 Solid state imaging device
KR20010039849A (en) * 1999-08-31 2001-05-15 웨인 데이비드 Self compensating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JP2002064751A (en) 2000-08-22 2002-02-28 Victor Co Of Japan Ltd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JP2003234962A (en) 2002-02-07 2003-08-22 Fujitsu Ltd Correlation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provided therewith
KR20040010299A (en) * 2002-07-25 2004-01-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Image sensor providing improved image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382A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380B2 (en) CMOS image sensor
US7183531B2 (en) Amplification with feedback capacitance for photodetector signals
KR100834424B1 (en) Image sensor
KR100660193B1 (en) Self compensating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US7345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onfigurable current source device for image sensors with a selective current at an output node
US11184571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having a lower power consumption comparator
JP4362156B2 (en) Sequential correlation double sampling method for CMOS area array sensor
US7692702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with amplifiers corresponding to signal lines and alternating control voltage
EP0928101A2 (en) CMOS area array sensors
US20030146369A1 (en)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10791293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method for driv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43688B2 (en) Amplification type solid-state imaging device
JP4654046B2 (en) Clamp circuit for CMOS image sensor
KR100775009B1 (en)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cmos image sensor having the same
JP2000004399A (en) Solid-state image-pickup device and its drive method
US6809768B1 (en) Double slope pixel sensor and array
JP5112685B2 (en) CMOS image sensor
CN108600662B (en) Image sensor pixel circuit and imaging system
JP3536896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JP2000078472A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US8648950B2 (en) Image sensor for minimizing variation of control signal level
KR100707075B1 (en) Correlate double sampling circuit of image sensor
JP3011207B1 (en) Image sensor
KR20070060631A (en) Cmos image sensor
KR20070060632A (en) Circuit and method for removing fixed pattern noise in cmos imag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