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817B1 -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817B1
KR100774817B1 KR1020060031317A KR20060031317A KR100774817B1 KR 100774817 B1 KR100774817 B1 KR 100774817B1 KR 1020060031317 A KR1020060031317 A KR 1020060031317A KR 20060031317 A KR20060031317 A KR 20060031317A KR 100774817 B1 KR100774817 B1 KR 10077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ontent
menus
mobile termi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9924A (en
Inventor
주봉남
장원학
노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3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817B1/en
Publication of KR2007009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17B1/en

Links

Images

Abstract

메뉴와 콘텐츠를 동시에 제어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된다. 이를 위한 영상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메뉴 및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및/또는 콘텐츠의 이동을 상기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메뉴 및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한 후, 상기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을 상기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하는 영상 플랫폼 서버를 포함함으로써, 메뉴 및/또는 콘텐츠 변환이 일어나는 경우 새로운 호 설정을 생략할 수 있고, 같은 부모 노드를 갖는 동일한 카테고리의 콘텐츠 이동이 가능하여 미디어 접속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메뉴 및/또는 콘텐츠 사이에 스위칭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므로 화면의 끊김이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video service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menu and content at the same time. The video service method for this purpose comprises the steps of: allocating a plurality of menus an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to a plurality of channels; And performing the movement of the menu and / or the content through the switching between the channels, and the video service system allocates a plurality of menus an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respectively, And / or a video platform server that performs content movement via the inter-channel switching, so that when a menu and / or content conversion occurs, new call setup can be omitted, and content movement of the same category having the same parent node is performed. As a result, media access time can be shortened, and switching between menus and / or contents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thereby providing a seamless service.

미디어, 메뉴, 이동 Media, menu, move

Description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순서도.2 is a flow chart briefly illustrating a video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1의 영상 플랫폼 서버의 상세 구성도.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ideo platform server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방법의 상세 순서도.4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video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menu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를 나타내는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ubmenu of a mai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Codes on Major Parts of Drawings *

100: 이동 단말기 200: 이동 통신 망100: mobile terminal 2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10: 교환기 220: 게이트웨이 210: exchange 220: gateway

300: 영상 플랫폼 서버300: video platform server

본 발명은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뉴와 콘텐츠를 동시에 제어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nu and content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는 다양한 메뉴들과 해당 메뉴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들이 존재하며, 메뉴와 콘텐츠를 별개의 장치에서 따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메뉴는 왑의 형태로 특정 콘텐츠 탐색을 위한 복수 개의 노드를 갖는 트리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콘텐츠는 미디어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된다. In general, a video service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various menus and variou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and tends to process the menus and contents separately in separate devices. For example, a menu is mostly provided in a tre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nodes for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in the form of a swap, and the content is produced and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edia form.

이러한 메뉴 및 콘텐츠간 이동 방법의 종래기술의 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의 메뉴간 이동 방법」이라는 제목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44462호에 개시되었다. 상기 공개특허는 하위 메뉴에서 그 하위 메뉴의 상위 메뉴를 거치지 않고 다른 하위 메뉴로 이동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은 무선 인터넷을 그 기반으로 한다. 이에 따라, 메뉴 또는 콘텐츠는 왑(WAP) 형태로 제작되어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메뉴 또는 콘텐츠의 URL과 소정 이동 코드를 맵핑하는 서버를 두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편리하게 메뉴 사이, 콘텐츠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빠른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위해서 해당 URL에 따른 이동 코드를 가입자가 알아야 하고 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moving between menus and content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44462 entitled "Method for Moving Between Menus of Wireless Interne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closed patent discloses a method of moving from a lower menu to another lower menu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pper menu of the lower menu. In particular, the prior art is based on the wireless Internet. Accordingly, a menu or content is produced in a WAP form and provided to a subscriber, and a server for mapping a URL of a menu or content and a predetermined mobile code is provided to conveniently switch between menus and contents on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 can move it.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subscriber needs to know a mobile code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URL in order to quickly move a menu or contents, and to input it manually.

한편, 이러한 URL 및 왑을 이용하지 않고서 메뉴 및 콘텐츠간 이동 방법의 다른 종래기술의 예는 「이동 단말기용 라이브 티비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용 라이브 티비 서비스 제공시스템」이라는 제목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6693호에 개시되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왑 메뉴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에서 전용의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오프라인상의 티비와 유사하게 채널변경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플레이어 프로그램상에서 채널 설정을 하면, 그 채널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된 채널에 해당하는 티비 콘텐츠가 라이브 서버(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2 통신 프로토콜(단방향, 방송 콘텐츠 제공)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현재 재생중인 티비 콘텐츠를 종료하고 변경된 채널에 해당하는 티비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 과정에서는 왑 메뉴 기반의 티비 콘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이 한 채널을 감상하다가 다른 채널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채널에서 빠져 나와 다른 채널에 재접속하여 감상해야 하는데 비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내에서 구동되고 있는 전용 플레이어 프로그램상에서 채널 변경 버튼만 클릭하면 변경된 채널의 티비 콘텐츠를 즉시 감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이때, 상술한 종래기술은 티비 콘텐츠 이동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는 가입자가 직접 다운로드 받아서 티비를 시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Meanwhile, another example of the related art of the method of moving between menus and contents without using such a URL and a swap is a Korean Patent Publication entitled “Method of providing a live TV ser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live TV servic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10-2005-0046693.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channel change similar to an offline TV by downloading and executing a dedicated player program in a mobile terminal without using a swap menu. That is, when a user sets a channel on a dedicated player program running on his mobile terminal, the TV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hannel is changed from the live server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ent provision), the TV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s terminated and the TV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hannel is played. In this process, the TV-based content providing service method based on the swap menu is required to exit from the current channel and reconnect to another channel in order to watch one channel and to enjoy another channel. Disclosed is a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ly watching TV contents of a changed channel by simply clicking a channel change button on a dedicated player program.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provides a dedicated player program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 order to simplify the TV content movement. However, this was inconvenient for the subscriber to download and watch TV directly.

그리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 프로그램에서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메뉴와 그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예컨대, TV 프로그램) 제공은 서로 별개의 장치 또는 방법으로 처리되므로, 이동 단말기 화면에는 끊김 현상이 발생되고, 메뉴에서 콘텐츠로 넘어가는 화면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provision of the menu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ents (eg, TV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menu in the dedicated player program are handled by separate devices or methods, a disconnection phenomenon occurs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screen to be passed to the content falls.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소정시간의 버퍼링을 수행하여 티비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였으나, 그 구성 장치가 늘어나 비용이 증가하고 또한 그 처리가 실시간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related art, the TV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by performing buffe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device is increased, the cost increases, and the processing is not performed in real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 전용 플레이어 프로그램 제공이나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servic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without providing a dedicated player program or a wireless Internet to a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servic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natural screen by processing a menu or content movement in real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플랫폼 서버의 영상 서비스 방법은, a) 복수의 메뉴 및 이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하는 단계; 및 b) 메뉴 및/또는 콘텐츠의 이동을 이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ervice method of a video platform server that provides a video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cludes a) a plurality of menus and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Allocating to channels of each; And b) moving the menu and / or the content through the switching between the channels.

여기서, b) 단계는, b-1)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 요청을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b-2) DTMF 신호를 토대로 메뉴간 이동, 콘텐츠간 이동, 또는 메뉴에서 콘텐츠로 이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채널을 실시간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step b) may include: b-1) receiving a menu and / or content movement request through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signal; b-2) determining whether to move between menus, between contents, or from menu to contents based on the DTMF signal; And b-3) switching the channel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b-2).

또한,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는,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을 위한 키 버튼 번호를 메뉴 또는 콘텐츠에 자막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between step a) and step b) may include inserting a key button number for moving the menu and / or content into the menu or the content as a cap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메뉴 및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한 후,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을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하는 영상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in a video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llocating a plurality of menus an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to a plurality of channels, the menu and / or And a video platform server for performing content movement through channel switching.

여기서, 영상 플랫폼 서버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스위칭 제어기; 호에 대한 발신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서비스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을 요청하는 로직 제어기; 및 로직 제어기에서 요청된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을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미디어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video platform server, the switching controller for receiving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A logic controller which performs caller authentication for the call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service, and requests a corresponding menu and / or content mov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media switching device for providing a menu and / or content movement requested by the logic controller to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inter-channel switching.

또한, 영상 플랫폼 서버는, 미디어 스위칭 장치와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영상 시나리오에 따라 세부적인 메뉴들이 구성되어 미디어화하며, 미디어화된 메뉴들을 채널에 각각 할당한 후, 미디어 스위칭 장치가 요청하는 메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메뉴 제공 장치; 및 콘텐츠를 채널에 각각 할당한 후, 미디어 스위칭 장치가 요청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ideo platform server is connected to the media switching device in real time, detailed menus are configured and mediated according to the video scenario, and the mediated menus are assigned to the channels, and then the menus requested by the media switching device are displayed. Menu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in real time;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for allocating the content to the channel, and provid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media switching device in real time.

또한, 영상 플랫폼 서버는, 메뉴 제공 장치 및/또는 콘텐츠 제공 장치와 연결되며, 메뉴 및/또는 콘텐츠 이동을 위한 키 버튼 번호를 메뉴 또는 콘텐츠에 자막으로 삽입하는 자막 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ideo platform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ap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menu providing device and / o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inserting a key button number for moving the menu and / or content into the menu or the content as a caption. do.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망(200) 및 영상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0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1, the video service system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n image platform server 300. Her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망(200)에 무선 연결하며, 이동 통신 망(200)을 통해 영상 플랫폼 서버(300)에 연결하여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수단(미도시)들 이외에, 영상 서비스를 위해서 메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는 키 버튼(미도시)과, 선택된 영상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미도시, 이하 화면으로 약칭)를 포함한다. The mobile terminal 100 wirelessly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receives a video service by connecting to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a key button (not shown) for performing menu navigation for a video service and a selected video service, in addition to means (not shown) for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Device (not shown, hereinafter abbreviated to screen).

이동 통신 망(200)은 영상 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영상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동 통신 망(200)은 WCDMA 망 기반이며, H.324M회선 교환 방식(CS채널)을 그 기초로 한다. 또한, 이동 통신 망(200)은 이동 단말기(100)와 호 처리를 위한 교환기(210) 및 이동 통신 망(200)과 외부 망과의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게이트웨이(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망(200)에는 교환기(210) 및 게이트웨이(220) 이외에 다른 다양한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은 이 분야의 숙련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구성과 설명은 생략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provides a video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based on the WCDMA network and is based on the H.324M circuit switched system (CS channel).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cludes a switch 210 for call process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gateway 220 for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n external network.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cludes various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witch 210 and the gateway 220,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요청하는 메뉴 및 콘텐츠에 대한 해석을 수행한 후, 해당 메뉴 및 콘텐츠를 이동 통신 망(200)을 통해 이동 단 말기(100)로 전송한다. 특히,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본 발명에서 실시간으로 메뉴 및/또는 콘텐츠를 스위칭하기 위해서 미리 메뉴 제공 장치(350) 및 콘텐츠 제공 장치(340)와 연결(점유)되어야 한다. 이러한 영상 플랫폼 서버(3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After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analyzes the menu and content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menu and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particular,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should be connected (occupied) with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40 in advance in order to switch menus and / or contents in real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메뉴 및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한다(S201). 메뉴는 영상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성되고, 이렇게 구성된 메뉴를 미디어 형태로 변환한 후, 특정 채널에 각각 할당한다. 이러한 채널 할당은 메뉴 제공 장치(350)에서 이루어지며, 메뉴 제공 장치(350)는 영상 플랫폼 서버(300)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한다. 이러한 콘텐츠 할당은 콘텐츠 제공 장치(340)에서 이루어지는데,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영상 플랫폼 서버(300)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영상 플랫폼 서버(300)와 메뉴 제공 장치(350) 및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예컨대 RTP(Real Time Protocol)를 통해 그 채널이 연결된다.First,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allocates a menu and content to a plurality of channels, respectively (S201). The menu is configured in detail according to a video service scenario. The menu is converted into a media form and assigned to a specific channel. The channel assignment is performed by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and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may be configured outside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The content is then assigned to a plurality of channels, respectively. The content allocation i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may be configured outside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At this time,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40 are connected to the channel through, for example, a Real Time Protocol (RTP).

이어,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메뉴 또는 콘텐츠의 선택을 수신한다(S202). 예컨대,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통해 메뉴/콘텐츠 선택을 수신한다. Subsequently,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receives a selection of a menu or conten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S202). For example, a menu / content selection is received through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signal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수신된 DTMF 신호와 현재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메뉴를 토대로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서비스를 판단한다(S203).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서비스는 1) 메뉴간 이동 2) 메뉴와 콘텐츠 사이의 이동 또는 3) 콘텐츠간 이동일 수 있다.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determines a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DTMF signal and a menu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S203).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may be 1) moving between menus 2) moving between menus and contents or 3) moving between contents.

예컨대, 1) 메뉴간 이동일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메뉴가 메인 메뉴이고 수신된 DTMF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키 버튼(즉, 0-9 , * 또는 #) 가운데 '1'에 해당하면, 그 하위 메뉴로 이동을 요청하는 서비스로 판단한다. 키 버튼 중 '0-9'는 화면에서 제공된 메뉴의 하위 메뉴로 이동 또는 최하위 메뉴의 해당 콘텐츠 선택을 의미하고, '*'는 현재 화면의 상위 메뉴로 이동을 의미하며, '#'는 메인 메뉴로 이동을 의미하도록 메뉴간 이동을 구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1) in the case of moving between menus,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displays a menu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main menu, and the received DTMF signal is a key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e, 0-9, *). Or #) If it corresponds to '1', it is determined as a service requesting to move to the lower menu. '0-9' of the key button moves to the sub menu of the provided menu on the screen or selects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lowest menu, '*' means moving to the upper menu of the current screen, and '#' means the main menu. You can also configure navigation between menus to mean moving to.

2) 메뉴와 콘텐츠 사이의 이동일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메뉴가 최하위 메뉴이고 수신된 DTMF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키 버튼(즉, 0-9 , * 또는 #) 가운데 '1'에 해당하면, 그 최하위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이에 따라 메뉴(즉, 최하위 메뉴)와 콘텐츠간 이동을 요청하는 서비스로 판단한다. 2) In the case of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 and the content,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indicates that the menu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lowest menu, and the received DTMF signal is a key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0-9,). * Or #) in the case of '1',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est menu is selected, and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as a service for requesting movement between the menu (ie, the lowest menu) and the content.

3) 콘텐츠간 이동일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메뉴가 콘텐츠에 해당하고 수신된 DTMF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키 버튼(즉, 0-9 , * 또는 #) 가운데 최하위 메뉴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선택번호 이외의 키 버튼(예컨대, '2')에 해당하면, 그 콘텐츠에서 다른 콘텐츠로 즉각적인 이동을 요청하는 서비스로 판단한다. 3) In the case of moving between contents,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is a menu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s to the content and the received DTMF signal is a key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e, 0-9, * or If it corresponds to a key button (for example, '2') other than the selection number of the content selected in the lowest menu among the #), the service is determined to request immediate movement from the content to the other content.

이어,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단계 S203의 판단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이에 해당하는 미디어(메뉴 또는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 다(S204). Subsequently,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of step S203 and then provides the corresponding media (menu or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100 (S204).

즉, 1) 메뉴간 이동인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예컨대 메인 메뉴가 할당된 채널에서 상기 판단된 하위 메뉴가 할당된 채널로 스위칭하고, 이에 따라 메인 메뉴에서 선택된 하위 메뉴가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That is, 1) in the case of moving between menus,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switches, for example, from a channel to which a main menu is allocated to a channel to which the determined submenu is allocated, and thus the submenu selected from the main menu is a mobile terminal. Provided at 100.

2) 메뉴와 콘텐츠 사이에서 이동인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예컨대, 최하위 메뉴가 할당된 채널에서 상기 판단된 콘텐츠가 할당된 채널로 스위칭하고, 이에 따라 상기 메뉴(즉, 최하위 메뉴)에서 선택된 콘텐츠가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2) In the case of moving between the menu and the content,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switches from the channel to which the lowest menu is assigned, for example, to the channel to which the determined content is assigned, and thus, in the menu (ie, the lowest menu). The select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3) 콘텐츠간 이동인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예컨대, 콘텐츠가 할당된 채널에서 상기 판단된 다른 콘텐츠가 할당된 채널로 직접(즉, 상위메뉴로 이동하지 않고서)/실시간으로 스위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서 선택된 다른 콘텐츠가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3) In the case of the inter-content movement,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switches, for example, from the channel to which the content is assigned to the channel to which the determined other content is assigned (ie, without moving to a higher menu) / real time, Accordingly, other content selected from the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이러한 콘텐츠간 이동의 경우에, 종래기술에서는 왑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거나,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 되는 전용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메뉴를 미디어화하고, 이처럼 미디어화된 메뉴와 콘텐츠를 특정 채널에 할당한 후, 직접/실시간으로 스위칭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로 제공한다(즉, 메뉴와 콘텐츠를 동시에 제어한다). 또한,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 시에 안내수단(예컨대, 캡션 등)을 통해 다른 콘텐츠로의 이동을 위한 키 버튼 번호를 이동 단말기 화면에 제공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such content-to-content movement, in the related art, it is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such as a swap or a dedicated program driven in a mobile terminal. However,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diates a menu. Then, the mediated menus and contents are allocated to specific channels and then switched to direct / real time to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menus and contents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In addition,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may provide a key button number on the mobile terminal screen for moving to another content through a guide means (eg, a caption, etc.) at the time of providing the content.

도 3은 도 1의 영상 플랫폼 서버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3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mage platform server of FIG.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서비스 스위칭 제어기(310), 서비스 로직 제어기(320), 실시간 미디어 스위칭(RTMS) 장치(330), 콘텐츠 제공 장치(340) 및 메뉴 제공 장치(350)를 포함하며, 콘텐츠간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키 버튼 안내를 위한 자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자막장치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장치(340) 및/또는 메뉴 제공 장치(350)에 포함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includes a service switching controller 310, a service logic controller 320, a real-time media switching (RTMS) device 330, a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and a menu providing device. And a subtitle device (not shown) for guiding key buttons to provide movement between contents.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caption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and / or the menu providing device 350.

서비스 스위칭 제어기(이하 SSC, 3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호 접속요청을 수신하고, 이 호에 대한 서비스 분석을 서비스 로직 제어기로 요청한다. 또한, SSC(310)는 호 접속 요청이 인가되면 이동 단말기(100)와의 호 접속을 위한 메시지들을 이동 통신 망(200)에 포함된 게이트웨이(220)로 전송한 후, 게이트웨이(220)와 실시간 미디어 스위칭 장치(330)를 연결한다. The service switching controller (hereinafter, SSC 310) receive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requests a service analysis controller for the service for the call. In addition,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authorized, the SSC 310 transmits messages for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gateway 220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n the real time media with the gateway 220. The switching device 330 is connected.

서비스 로직 제어기(이하 SLC, 320)는 SSC(310)에서 요청된 호에 대한 발신가입자 인증과 서비스를 판단한다. 이때, 서비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방송 서비스인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를 위한 메인 메뉴를 전송하도록 실시간 미디어 스위칭 장치(330)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요청된 미디어 자원(예컨대, 메뉴 또는 콘텐츠)이 포함된다. 이후, SSC(310)는 호 설정 후에 이동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DTMF를 통해 판단하고, 그에 해당하는 메뉴 스위칭이나 콘텐츠 스위칭을 실시간 미디어 스위칭 장치(330)에 요청한다. The service logic controller (hereinafter, SLC) 320 determines caller authentication and service for the call requested by the SSC 310. In this case, when the service is a broadcast servic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media switching device 330 is requested to transmit a main menu for broadcast content, and a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the requested media resource (eg, menu or content). Thereafter, the SSC 310 determines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DTMF after call setup, and requests the real-time media switching device 330 for menu switching or content switching corresponding thereto.

실시간 미디어 스위칭 장치(이하 RTMS장치, 430)는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서 메뉴 제공 장치(350)와 콘텐츠 제공 장치(340)에 실시간으로 접속된다. 즉, 메뉴 제공 장치(350)의 메뉴들과 콘텐츠 제공 장치(340)의 콘텐츠들을 각각 채널에 할당하여 저장한 후, SLC(320)의 요청에 따른 해당 메뉴 또는 콘텐츠들을 스위칭하여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 망(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The real-time media switching device (hereinafter, RTMS device 430) is connected to the menu providing device 35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rvice scenario. That is, after allocating and storing the menus of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and the contents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40 to channels, the corresponding menus or contents are switched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SLC 3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executed in real tim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200.

메뉴 제공 장치(350)는 RTMS 장치(330)에 실시간으로 연결되며, 해당 영상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세부적인 메뉴들이 구성된 후, 미디어화되어 콘텐츠 형태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화된 메뉴들을 채널별로 할당한다. 이에 따라, RTMS 장치(330)가 특정 메뉴를 요청하면 해당 미디어화된 메뉴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메뉴 제공 장치(350)는 영상 플랫폼 서버(300)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is connected to the RTMS device 330 in real time. After detailed menu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video service scenario,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is mediated and stored in the form of content. The mediated menus are allocated for each channel. Accordingly, when the RTMS device 330 requests a specific menu, corresponding mediated menus are provided.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as a separate component.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영상 서비스의 대상 콘텐츠를 이동 통신 망(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국들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음성 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들을 채널별로 할당하여 RTMS 장치(330)와 연결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RTMS 장치(330)와 실시간으로 연결(즉, 점유)되어 특정 콘텐츠 요청 시 그 즉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콘텐츠 제공 장치(340)는 영상 플랫폼 서버(300)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provides the target content of the video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may be broadcasting stations providing various broadcast contents, and in some case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may provide voice content or multimedia content. In addition, the content is allocated to each channel and connected to the RTMS device 330. 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is connected (ie, occupied) with the RTMS device 330 in real time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content immediately upon request of a specific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as a separate component.

이와 같이 구성된 영상 플랫폼 서버(300)의 동작은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 포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 서, 이동 통신 망(200)은 회선 교환 기반의 WCDMA 망을 이용한다. The operation of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clud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nd the video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uses a circuit switched based WCDMA network.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방법의 상세 순서도를 나타낸다.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video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영상 플랫폼 서버(300)(보다 구체적으로는 RTMS 장치(330))는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 장치(350)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340)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메뉴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S401). 이때, 메뉴와 콘텐츠는 미디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RTMS 장치(330)가 메뉴 제공 장치(350)와 콘텐츠 제공 장치(340)를 실시간으로 연결(점유)함으로써, 메뉴 사이의 스위칭, 콘텐츠 사이의 스위칭 및 메뉴와 콘텐츠 상호간 스위칭이 실시간으로 가능해진다. First,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more specifically, the RTMS device 330) is connected to a menu providing device 350 providing a menu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providing content to display menus and contents in real time. Set to receive (S401). In this case, the menu and the conten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media. As such, the RTMS device 330 connects (occupies) the menu providing device 35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in real time, so that switching between menus, switching between contents, and switching between menus and contents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Become.

그런 다음,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402). 단계 S40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이동 단말기(100) 가입자가 영상 서비스를 위한 대표번호를 입력/선택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화면에서 영상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교환기(210)로 호 접속 요청을 수행한다. 교환기(210)는 해당 서비스를 판단하고 게이트웨이(220)로 영상 서비스를 위한 호 접속을 요청한다. 즉, 교환기(210)는 ISUP 메시지(IAM)를 게이트웨이(220)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220)는 영상 플랫폼 서버(300)의 SSC(310)로 SIP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SSC(310)는 SLC(320)로 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SLC(320)는 해당 호에 대한 발신가입자 인증과 서비스 메뉴를 판단한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 제공형 서비스라면 방송 콘텐츠 제공을 위한 메인 메뉴를 송출하도록 RTMS장치(330)에 요청한다. Then,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performs an initialization process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S402). Referring to step S402 in more detail, first, when the subscrib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puts / selects the representative number for the video service or selects the video servic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switches the switch 210. Perform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he exchange 21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service and requests a call connection for the video service to the gateway 220. That is, the exchange 210 transmits an ISUP message (IAM) to the gateway 220, and the gateway 220 transmits a SIP INVITE message to the SSC 310 of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Then, the SSC 310 requests the SLC 320 to analyze the call, and the SLC 320 determines the calling party authentication and the service menu for the call. For example, if the broadcast content providing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RTMS device 330 is requested to transmit the main menu for providing broadcast content.

그러면, RTMS 장치(330)는 실시간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응답 메시지에 해당 미디어 자원을 포함하여 응답한다. 이에 따라, SLC(320)는 RTMS 장치(330)로부터의 응답메시지를 분석하고, SSC(310)로 서비스 요청 응답메시지를 통해 미디어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SSC(310)는 게이트웨이(220)로 SIP 호 접속을 위한 180 RING 메시지를 전송하고, RTMS 장치(330)와 게이트웨이(220) 사이에 해당 미디어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행한다. 이어, 게이트웨이(220)는 ACM/ANM처리를 수행하고 이동 단말기(100)와의 코덱 협상을 수행한 후, 이동 단말기(100)와 RTMS장치(330) 간에 메인 메뉴를 연결시킨다. Then, the RTMS device 330 responds with the corresponding media resource in the response message so that the broadcast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SLC 320 analyzes the response message from the RTMS device 330 and enables the media to be connected to the SSC 310 through the service request response message. The SSC 310 transmits a 180 RING message for accessing the SIP call to the gateway 220, and performs a connection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media between the RTMS device 330 and the gateway 220. Subsequently, the gateway 220 performs ACM / ANM processing and performs codec negoti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n connects a main menu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TMS device 330.

이에 따라,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로 해당 영상서비스를 위한 메인 메뉴를 제공한다(S403). 도 5는 이러한 메인 메뉴의 예를 도시하며, 이는 다양한 영상 서비스의 메인 메뉴들 가운데 하나로서, 본 발명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ccordingly,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provides a main menu for the corresponding video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100 (S403). 5 shows an example of such a main menu, which is one of the main menus of various video servic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영상 플랫폼 서버(30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메뉴 이동 또는 콘텐츠 이동을 위한 DTMF 신호를 수신하면, 이 DTMF 신호와 관련된 서비스를 판단한다(S404-S405). 예컨대, SLC(320)에서 DTMF 신호와 관련된 서비스를 판단한다. 이때, 서비스는 메인 메뉴에서 하위 메뉴로 이동일 수도 있고, 영상서비스에 대한 종료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서비스 종료에 대한 경우는 생략한다. 따라서, 메인 메뉴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요청한 서비스는 그 메인 메뉴들 가운데 하위메뉴를 요청하는 경우만 존재한다. 도 6은 이러한 메인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Thereafter, when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receives a DTMF signal for menu movement or content movemen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rvice is determined in operation S404-S405. For example, the SLC 320 determines a service related to the DTMF signal. In this case, the service may move from the main menu to a lower menu or may be an end to the video servic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of service termination is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main menu exists only when a lower menu is requested among the main menus. 6 shows an embodiment of a submenu for such a main menu.

이어,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단계 S405의 판단이 메인 메뉴의 특정 하위 메뉴(예컨대, 도 6에 도시한 시청 가능한 방송 서비스들)인 경우,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를 스위칭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406-S407). 예컨대, RTMS장치(330)에서 해당 하위 메뉴로 스위칭한다. Subsequently, when the determination of step S405 is a specific submenu of the main menu (for example, the viewable broadcast services shown in FIG. 6),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switches the selected submenu to switch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vide (S406-S407). For example, the RTMS device 330 switches to the corresponding submenu.

이후,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하위 메뉴들 가운데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를 판단한다(S408-S409). 즉,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DTMF 신호로서 상기 선택을 수신하며, DTMF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를 판단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가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는 현재 메뉴의 상위메뉴(도 5) 또는 콘텐츠(예컨대, KBS 방송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Thereafter, when one of the lower menus is se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service (S408-S409). That is, the image platform server 300 receives the selection as the DTMF signal,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service based on the DTMF signal. In this case, the service that may b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one of a higher menu (FIG. 5) or a content (eg, KBS broadcast program) of the current menu.

따라서,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해당 서비스가 메뉴 이동과 관련된 서비스이면 메뉴 제공 장치(350)에서 스위칭한 후, 스위칭된 메뉴(즉, 도 5 또는 도 6)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메뉴에서 콘텐츠 이동과 관련된 서비스이면 메뉴 제공 장치(35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340)로 스위칭한 후, 스위칭된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410-S411). 예컨대, 영상 플랫폼 서버(300)의 RTMS장치(330)가 이러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Therefore, if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a service related to menu movement,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switches the menu providing apparatus 350 and then provides the switched menu (ie, FIG. 5 or FIG. 6) to the mobile terminal 100. If the service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content in the menu, the menu providing device 350 switches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40 to provide the switched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100 (S410-S411). For example, the RTMS device 330 of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performs this switching.

이후, 콘텐츠를 제공하던 중에,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자원요청이 수신되면(DTMF 신호를 통해),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DTMF 신호를 기초로 자원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판단한다(S412-S413). 이 경우,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현재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자원요청에 해당하는 서비 스는 상위 메뉴(도 6), 최상위 메뉴(도 5) 또는 콘텐츠의 이동(즉, 현재 송출되는 콘텐츠 이동) 중 하나에 해당한다. Then, while providing the content, if a new resour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via DTMF signal),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determines the service for the resource request based on the DTMF signal (S412-). S413). In this case, since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is currently providing the content,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upper menu (FIG. 6), the top menu (FIG. 5), or the movement of the content (ie, , Moving content currently being sent).

이에 따라, 영상 플랫폼 서버(300)는, 예컨대 단계 S413에서 콘텐츠 이동이라고 판단되면, 다른 콘텐츠(예컨대, MBC 방송 프로그램)로 스위칭을 수행한 후, 상기 스위칭된 콘텐츠(즉, MBC 방송 프로그램)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414-S415).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상위 메뉴(예컨대, 도 6)를 거치지 않고서도, 콘텐츠(즉, KBS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른 콘텐츠(즉, MBC 방송 프로그램)로 실시간 이동된다. Accordingly, when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content is moved in step S413, for example, the video platform server 300 switches to another content (eg, MBC broadcast program), and then moves the switched content (ie, MBC broadcast program).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S414-S415).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ved in real time from the content (ie, KBS broadcast program) to other content (ie, MBC broadcast program) without going through the upper menu (eg, FIG. 6).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회선 교환 방식의 WCDMA 망에서도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service can be provided even in a circuit switched WCDMA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가 영상 서비스 제공 시에 메뉴 미디어와 콘텐츠 미디어를 동일 시스템에서 스위칭함으로써, 메뉴 및/또는 콘텐츠 변환이 일어나는 경우 새로운 호 설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switches the menu media and the content media in the same system when providing the video servic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omit new call setup when the menu and / or content conversion occu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같은 부모 노드를 갖는 동일한 카테고리(예컨대, 트리 구조의 같은 깊이(depth))의 콘텐츠 이동이 가능하여 미디어 접속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contents of the same category (eg, the same depth of the tree structure) having the same parent node, thereby reducing the media access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및/또는 콘텐츠 사이에 스위칭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므로, 화면의 끊김이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witching between menus and / or content is performed in real tim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screen.

Claims (12)

무선 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으로서,A video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복수의 메뉴 또는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하는 단계와,a) assigning a plurality of menus o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to a plurality of channels, respectively; b)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의 이동을 상기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 b) performing the movement of the menu or content through the channel-to-channel switching. 제1항에서, 상기 메뉴 및 콘텐츠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nu and content are: 미디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Video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a form. 제1항에서, 상기 a) 단계 이전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efore step a) 상기 영상 서비스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메뉴를 구성한 후, 상기 메뉴를 미디어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 And configuring the menu according to the scenario of the video service, and converting the menu into a media form. 제1항에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 b-1)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 요청을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b-1) receiving the menu or content movement request through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signal; b-2) 상기 DTMF 신호를 토대로 메뉴간 이동, 콘텐츠간 이동, 또는 메뉴에서 콘텐츠로의 이동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b-2) determining whether to move between menus, between contents, or from menu to content based on the DTMF signal; And b-3) 상기 b-2)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채널을 실시간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 b-3) switching the channel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b-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between step a) and step b),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위한 키 버튼 번호를 대응하는 메뉴 또는 콘텐츠에 자막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 And inserting a key button number for moving the menu or content into a corresponding menu or content as a subtit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is performed. RTP(Real Time Protocol)를 통해 상기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Allocating the channel through the Real Time Protocol (RTP).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무선 망은5. The wireless network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comprises: WCDMA 망의 H.324M 회선 교환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방법.The video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based on the H.324M circuit-switching scheme of the WCDMA network. 무선 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으로서,A video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복수의 메뉴 또는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에 각각 할당한 후,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상기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하는 영상 플랫폼 서버;An image platform server for allocating a plurality of menus o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nus to a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n performing the menu or content movement through the switching between the channels;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와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상기 영상 서비스 시나리오 따라 세부적인 메뉴들을 구성하여 미디어화하며,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가 요청하는 메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메뉴 제공 장치; 및A menu providing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platform server in real time, configuring and mediating detailed menus according to the video service scenario, and providing a menu requested by the video platform server in real time; And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와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가 요청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platform server in real time and provid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video platform server in real time. 제8항에서,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의 이동 지시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ving instruction of the menu or content is 상기 이동 단말기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Image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rough the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제8항에서, 상기 무선 망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is WCDMA 망의 H.324M 회선 교환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Video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based on the H.324M circuit-switching scheme of the WCDMA network. 제8항에서,In claim 8, 상기 메뉴 제공 장치 또는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위한 키 버튼 번호를 대응하는 메뉴 또는 콘텐츠에 자막으로 삽입하는 자막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And a cap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menu providing device o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inserting a key button number for moving the menu or content into a corresponding menu or content as a caption.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는The video platform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스위칭 제어기;A switching controller for receiving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호에 대한 발신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요청하는 로직 제어기; 및A logic controller which performs caller authentication for the call, determines a service reques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requests a corresponding menu or content move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상기 로직 제어기에서 요청된 상기 메뉴 또는 콘텐츠 이동을 상기 채널간 스위칭을 통해 수행한 후, 실시간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미디어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And a media switching device which provides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after performing the menu or content movement requested by the logic controller through the inter-channel switching.
KR1020060031317A 2006-04-06 2006-04-06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74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317A KR100774817B1 (en) 2006-04-06 2006-04-06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317A KR100774817B1 (en) 2006-04-06 2006-04-06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924A KR20070099924A (en) 2007-10-10
KR100774817B1 true KR100774817B1 (en) 2007-11-07

Family

ID=3880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317A KR100774817B1 (en) 2006-04-06 2006-04-06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81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787A (en) * 1997-11-28 1999-06-15 전주범 How to Display Program Guide Screen of Composite Broadcast Receiver
KR20010007743A (en) * 2000-07-27 2001-02-05 이승열 WAP connecting method using guidecode inserted an advertisement
KR20010064814A (en)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Method for composing multi-disp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upply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040089156A (en) * 2003-04-10 2004-10-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65626A (en) * 2002-10-22 2005-06-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shared and individual channels to provide broadcast content services in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787A (en) * 1997-11-28 1999-06-15 전주범 How to Display Program Guide Screen of Composite Broadcast Receiver
KR20010064814A (en)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Method for composing multi-disp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upply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010007743A (en) * 2000-07-27 2001-02-05 이승열 WAP connecting method using guidecode inserted an advertisement
KR20050065626A (en) * 2002-10-22 2005-06-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shared and individual channels to provide broadcast content services in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KR20040089156A (en) * 2003-04-10 2004-10-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924A (en)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837B2 (e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udio and video calling
US10084989B2 (en) Audio and video calling through multiple terminal devices
US10750123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integrated femtocell and residential gateway device
US875533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 of a set top box
KR1010367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zooming feature for mobile video service
CN102696224B (en)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to other devic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91727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webpages in a media communication system
EP2398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video call thereof
CN103841453A (en) Method for achieving OTT playing through IPTV non-intelligent set top box
US2008001036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treaming service
CN101064841B (en) Network TV set up box, network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am media
KR100584396B1 (en) Method for multi-tasking in the mobile terminal
US950972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rigination of voice and messaging communication in a network
KR100774817B1 (en) Video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20018377A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multimedia service
KR201200131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for video telephony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6048340A1 (en) System & method for service re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