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479B1 -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479B1
KR100774479B1 KR1020040052365A KR20040052365A KR100774479B1 KR 100774479 B1 KR100774479 B1 KR 100774479B1 KR 1020040052365 A KR1020040052365 A KR 1020040052365A KR 20040052365 A KR20040052365 A KR 20040052365A KR 100774479 B1 KR100774479 B1 KR 10077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ignal
tilt
cr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471A (ko
Inventor
최인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479B1/ko
Priority to US11/176,934 priority patent/US20060008172A1/en
Priority to CNB2005100922560A priority patent/CN100403767C/zh
Publication of KR2006000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7Image rotation
    • H04N1/3878Skew detection or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흔들림에 의하여 영향 받는 휴대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신호에 기울기가 발생한 경우, 기울기를 보정하고, 크롭핑과 보간법에 의한 확대로 원상 복구하는 것으로, 본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장치는 영상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영상에서 소정의 기준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저장하는 램부와,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가 허용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디에스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본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방법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여 램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에서 소정의 기준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기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의 기울기가 허용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을 회전시키고, 크롭핑하고, 디지털 줌 처리하여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울기가 발생한 상태로 촬영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로 자동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RRECTING IMAGE SIGNAL LEANING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촬영방법 순서도,
도2 는 휴대단말기로 촬영할 피사체의 영역 표시 상태도,
도3 은 흔들림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한 상태로 촬영된 상태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순서도,
도6 은 휴대단말기로 흔들린 상태에서 촬영 기록저장된 영상신호 상태도,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 기울기를 보정한 영상신호 상태도,
도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 크롭핑 신호처리한 영상신호 상태도,
도9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 확장 신호처리한 영상신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디에스피부 140 : 입출력부 150 : 램부
160 : 플래쉬부 170 : 카메라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손 흔들림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울기 현상을 자동 보정하는 것으로, 특히, 촬영된 영상신호의 각 픽셀을 분석하여 비슷한 색상정보의 픽셀이 형성하는 기준선이 수평선과 기울기를 갖는지 판단하고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 기울기 수정과 크롭핑과 보간법 처리로 보정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U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에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방식으로 운용되고, 점차 통신요구 및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량이 많아지므로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이용하는 메시지 데이터 통신 기능이 부가되었고, 현재의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음성급 신호와 문자급 신호에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3 세대 휴대단말기(UE)는 상대방에게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카메라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다양한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디지털 신호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영상신호를 촬영하고 무선송신하는 휴대단말기를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라고 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한 손으로 고정하고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엘시디(LCD) 표시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세로로 긴 형상이고, 일반적인 카메라는 가로로 긴 영상신호를 촬영 및 출력한다.
상기 일반 카메라로 촬영 출력되는 사진이 가로가 세로보다 긴 형상을 하는 것은, 지평선 또는 수평선과 사진의 가로선 또는 수평선이 일치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 안정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로 사진 또는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한 손을 이용하여 고정 촬영하므로 흔들림이 심하고 또한, 촬영 전에 프리뷰(PREVIEW)하는 표시부가 세로로 긴 형상이므로 영상신호의 가로선과 수평선의 기울기를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손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울기를 일정한 범위 안에서 자동 보정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촬영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촬영방법 순서도 이고, 도2 는 휴대단말기로 촬영할 피사체의 영역 표시 상태도 이며, 도3 은 휴대단말기의 흔들림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한 상 태로 촬영된 상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촬영방법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로 촬영할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프리뷰(PREVIEW)를 할 것인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프리뷰하는 경우는 엘시디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프리뷰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표시부를 통하여 프리뷰(PREVIEW)되는 영상신호를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고(S30), 상기 판단(S30)에서 프리뷰되는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해당 촬영제어신호를 입력하므로 상기 프리뷰된 영상신호가 해당 메모리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된다(S40).
상기 단계(S40)에서 촬영되어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재생 출력하므로 촬영된 상태를 확인한다(S50).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영상신호 촬영방법은,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고정시키고, 촬영을 제어하는 명령 또는 키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손의 흔들림이 휴대단말기에 전달되므로 촬영되는 영상신호에 기울기가 발생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가로보다 세로가 긴 표시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촬영할 피사체를 프리뷰(PREVIEW) 한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정상적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점선 부분은 휴대단말기로 프리뷰하고 촬영하고자 하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에 촬영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순간에 손 흔들림이 전달되어 기울기가 발생한 상태로 촬영된 피사체 상태가 점선으로 표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고정하고, 촬영하는 순간에 해당 제어명령을 입력하므로, 손 흔들림이 전달되어 기울기가 발생하는 동시에, 표시부가 세로로 길므로, 영상신호의 수평과 피사체 주변의 수평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기울기를 분석하고 허용된 범위 이내의 기울기이면 정상적인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하고 크롭핑하며 확대하므로 영상신호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영상에서 소정의 기준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저장하는 램부와,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가 허용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디에스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여 램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에서 소정의 기준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기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의 기울기가 허용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을 회전시키고, 크롭핑하고, 디지털 줌 처리하여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순서도 이고, 도6 은 휴대단말기로 흔들린 상태에서 촬영되어 기록저장된 영상신호 상태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 기울기를 보정한 영상신호 상태도 이고, 도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 크롭핑 신호처리한 영상신호 상태도 이며, 도9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 확장 신호처리한 영상신호 상태도 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를 설명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100)와 접속하여 통신신호의 무선송수신을 제어하고, 영상신호 의 입력 촬영을 제어하며 신호처리로 기울기를 분석하여 보정하는 것으로, 입출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카메라부(170)를 제어하고, 지정된 피사체의 프리뷰(PREVIEW) 영상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며 램부(150)에 복사 기록저장하고, 램부(150)의 영상신호를 디에스피부(130)에 인가하여 기울기 분석과 기울기 보정과 크롭핑과 확대의 디지털 신호 처리(DSP: DIGITAL SIGNAL PROCESSING)하며,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램부(150)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입출력부(140)의 표시부에 출력하며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최종 보정된 영상신호를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기울기를 보정하고 크롭핑(CROPPING) 하며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램부(150)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기울기를 분석하고 기울기 보정의 신호처리하며, 크롭핑 신호처리하고, 확대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에스피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MULTIMEDIA) 신호를 입출력하며 영상신호 촬영과 재생과 기울기 분석과 기울기 보정과 크롭핑과 확대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휘발성(VOLATILE)으로 기록저장하고 갱신하며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부 (170)가 촬영하고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한 영상신호를 복사하며, 디에스피부(130)가 기울기 보정하고 크롭핑(CROPPING)하며 확대의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영상신호를 갱신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램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비휘발성(NON VOLATILE)으로 기록저장 갱신하고 출력하는 플래쉬부(160)와,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프리뷰 상태로 입력하거나 촬영상태로 입력하는 카메라부(1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동작전원이 처음 공급되는 경우, 메모리부(120)로부터 각종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고 설정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와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대기상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촬영될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사전에 확인하는 프리뷰(PREVIEW) 과정을 거치며, 상기 입출력부(140)를 통하여 해당 제어명령이 제어부(110)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프리뷰 제어명령을 인식하여 카메라부(170)를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부(170)는 제어부(110)의 프리뷰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프리뷰 상태로 촬영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부(170)로부터 프리뷰 상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출력부(140)에 구비되는 표시부에 RGB(RED GREEN BLUE) 방식으로 출력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입출력부(14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고,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제어명령이 상기 입출력부(14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촬영 제어신호에 의하여 카메라부(170)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불휘발성 메모리의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복사하여 휘발성의 램부(150)에 기록저장한다.
즉, 상기 촬영된 영상신호를 불휘발성의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는 것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전원이 갑자기 오프(OFF)되는 경우에도, 상기 촬영되어 기록저장된 영상신호가 지워지지 않고 보관되도록 하며, 휘발성의 램부(150)에 복사하는 것은 영상신호의 디지털 신호 처리(DSP)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플래쉬부(160)와 램부(150)에 기록저장되는 영상신호는 자연색상에 가장 가까운 YCBCR(ILLUMINANCE CHROMA BLUE CHROMA RED) 방식으로 기록저장된다.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로 촬영되어 플래쉬부(160)와 램부(150)에 각각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도시하고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손의 흔들림 등에 의하여 흔들린 상태로 촬영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 제어부(110)는 램부(15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에스피부(130)에 인가하여, 영상신호에 구성되는 모든 픽셀(PIXEL)을 디지털 신호처리(DSP)로 분석하여 비슷한 색상정보의 픽셀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픽셀(PIXEL)이 설정 된 소정 범위 이내의 수평선을 형성하는지를 디지털 신호처리로 확인한다.
상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기울기는, 수평선 기준 5도 범위 이내의 기울기로 제한하므로, 원본 영상신호와 비슷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영상신호를 디에스피부(130)의 디지털 신호처리 분석에 의하여 기울기가 확인되면, 상기 영상신호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상기 램부(150)에 갱신 기록저장한다.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기울기가 보정되어 램부(150)에 갱신기록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였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에스피부(130)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기울기가 보정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오류가 없는 정상적인 영상신호 부분만을 분리하는 크롭핑(CROPPING) 처리하여 상기 램부(150)에 갱신 기록저장한다.
상기 첨부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영상신호를 크롭핑(CROPPING) 디지털 신호처리(DSP)하여 램부(150)에 갱신(UPDATE) 기록저장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디에스피부(130)에 의하여 정상적인 영상신호만을 분리하는 크롭핑 처리되고, 상기 램부(15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는, 촬영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정상적인 영상신호의 가로, 세로의 크기보다 작게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디에스피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램부(150)에 크롭핑(CROPPING) 상태로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보간법에 의한 디지털 줌(DIGITAL ZOOM) 처리하므로, 확대하는 디지털 신호처리하고, 상기와 같이 기울기가 보정되어 확대된 영상신호를 램부(150)에 인가하여 갱신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입출력부에 구비되는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UE)를 고정하는 손의 흔들림 등으로 기울기가 발생되어 촬영되고, 상기 기울기를 보정하며, 크롭핑(CROPPING) 및 확대(DIGITAL ZOOM) 처리한 것으로, 상기 램부(15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최종적으로 기록저장하여 보관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을 인식한 제어부(110)에 해당 제어에 의하여 램부(150)의 영상신호를 상기 플래쉬부(160)에 복사하여 불휘발성으로 기록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신호를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을 인식한 상기 제어부(110)가 무선부(100)에 인가하므로, 호접속된 상대방에 무선송신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특성상 한 손으로 고정하고 손의 흔들림 등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한 상태로 촬영한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기울기 조정, 크롭핑, 확대 신호처리하여 기록저장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고 램부(150)에 복사 기록저장하며 재생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UE)로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 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신호를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110); 상기 과정(S110)에서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복사하여 램부(150)에 기록저장하고 입출력부(140)를 통하여 재생하는 과정(S1200으로 이루어지는 촬영과정과,
상기 촬영과정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기울기를 확인하고 설정된 소정의 허용범위 이내이면 보정하여 램부(150)에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램부(15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기울기를 확인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에서 확인된 기울기가 허용된 범위 이내의 기울기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허용된 범위 이내의 기울기로 판단되면, 램부(150) 영상데이터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기록저장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기울기 과정과,
상기 기울기 과정의 영상신호를 크롭핑(CROPPING)과 확대 처리하고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기울기가 보정된 영상신호를 오류 없는 영상신호로 크롭핑 신호처리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의 영상신호를 원래 크기로 확대 신호처리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의 영상신호를 기록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80); 상기 과정(S180)에서 영상신호를 기록저장하는 경우에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190)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처리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지정된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촬영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신호를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한다(S110).
상기 촬영되어 플래쉬부(16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DSP) 하기 위하여, 상기 램부(150)에 복사하여 기록저장하고 입출력부(140)의 표시부를 통하여 재생 출력한다(S120).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램부(15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를 디에스피부(130)에 인가하므로, 각 화소가 인접한 화소와 비슷한 색상정보를 갖는지 분석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소가 수평선과 비교하여 기울기를 갖는지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분석한다(S130).
상기 과정(S130)의 분석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기울기가 수평선과의 일정한 허용 범위 이내의 기울기를 갖는지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S140)에서 허용된 범위 이내의 기울기를 갖으면, 램부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기울기 보정하여 갱신상태로 기록저장한다(S150).
상기와 같이 기울기가 보정되어 램부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는, 다시, 상기 디에스피부(130)에 의하여 오류(ERROR)가 없는 부분만을 분리하는 크롭핑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갱신 기록저장된다(S160).
상기 크롭핑(CROPPING)되어 램부(150)에 기록저장된 영상신호는, 원래 촬영된 영상신호의 크기보다 작아지므로, 상기 제어부(110)의 해당 제어에 의하여, 다시, 상기 디에스피부(130)에 인가되고, 보간법에 의하여 디지털 줌의 확대 처리되고(S170), 상기 램부(150)에 갱신 기록저장되는 동시에 입출력부(140)의 표시부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상기 과정(S170)과 같이 기울기가 보정되고 크롭핑과 디지털 확대의 디지털 신호처리(DSP)된 영상신호를 기록저장하여 관리하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180), 상기 판단(S180)에서 기울기가 보정된 영상신호를 기록저장 및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는, 플래쉬부(160)의 할당된 영역에 이전 기록저장한다(S19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한 손으로 고정지지하고 촬영하므로, 손의 흔들림에 의하여 영상신호의 촬영에서 발생하는 기울기를 보정하고, 크롭핑과 확대의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하여 기울기가 보정된 정상적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손으로 고정 지지하는 휴대단말기가 손의 흔들림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한 상태로 촬영한 영상신호를 해당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기울기를 자동 보정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로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 기울기가 발생하여 촬영된 영상신호의 기울기를 자동 보정하므로, 안정된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신뢰도와 선호도가 제고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로 허용된 범위 이내의 흔들림 상태에서 촬영하여도 수평선이 일치하는 안정된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영상에서 소정의 기준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저장하는 램부와;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가 허용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디에스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며 영상신호 촬영과 재생과 기울기 분석과 기울기 보정과 크롭핑과 확대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카메라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프리뷰 상태로 입력하거나 촬영상태로 입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고 플래쉬부에 기록저장한 영상신호를 복사하며, 상기 디에스피부가 기울기 보정하고 크롭핑하며 확대의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영상신호를 갱신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스피부는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가 허용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상기 기준선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으로 인해 소실되는 영역의 삭제를 위해, 크롭핑을 수행하고,
    상기 크롭핑으로 인해 줄어든 영상을 원래의 사이즈로 복원하기 위해 디지털 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지정된 피사체의 프리뷰 영상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플래쉬부에 기록저장하며 램부에 복사 기록저장하고, 상기 램부의 영상신호를 디에스피부에 인가하여 기울기 분석과 기울기 보정과 크롭핑과 확대의 신호처리하며,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램부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입출력부의 표시부에 출력하며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최종 보정된 영상신호를 플래쉬부에 기록저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7.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여 램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에서 소정의 기준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기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의 기울기가 허용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을 회전시키고, 크롭핑하고, 디지털 줌 처리하여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영상의 저장과정은,
    휴대단말기로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지정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램부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판정과정은,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에서, 인접한 화소와 비슷한 색상정보를 갖는 화소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화소들이 구성하는 선의 기울기가 수평을 이루는지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울기가 허용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은 수평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가 허용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5도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보정과정은
    상기 영상의 기울기가 허용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선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과;
    상기 회전으로 인해 소실되는 상기 영상의 영역을 삭제하기 위해, 크롭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크롭핑으로 인해 줄어든 영상을 원래의 사이즈로 복원하기 위해 디지털 줌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영상에서, 인접한 화소와 비슷한 색상정보를 갖는 화소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화소들이 구성하는 선의 기울기가 수평을 이루는지 판단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해, 상기 기준선을 검출하고, 그 기준선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스피부는
    상기 영상의 기울어짐 정도가 허용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상기 램부에 저장된 영상을 회전시키고, 크롭핑하고, 디지털 줌 처리하여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KR1020040052365A 2004-07-06 2004-07-06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KR10077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65A KR100774479B1 (ko) 2004-07-06 2004-07-06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US11/176,934 US20060008172A1 (en) 2004-07-06 2005-07-05 Image compensa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imaging device
CNB2005100922560A CN100403767C (zh) 2004-07-06 2005-07-06 移动终端摄像装置的图像补偿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65A KR100774479B1 (ko) 2004-07-06 2004-07-06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471A KR20060003471A (ko) 2006-01-11
KR100774479B1 true KR100774479B1 (ko) 2007-11-08

Family

ID=3609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365A KR100774479B1 (ko) 2004-07-06 2004-07-06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08172A1 (ko)
KR (1) KR100774479B1 (ko)
CN (1) CN1004037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909B1 (ko) 2006-05-30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US8174555B2 (en) 2007-05-30 2012-05-08 Eastman Kodak Company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system
CN101650627B (zh) * 2008-08-14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操作控制方法
KR102086510B1 (ko) * 2013-09-26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4143A (ja) * 1995-08-01 1997-02-14 Toshiba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装置
KR19990001469A (ko) * 1997-06-16 1999-01-15 윤종용 캠코더의 좌우 기울어짐 표시 및 기울기 보정 방법
KR200266509Y1 (ko) 2001-12-14 2002-02-28 가이아 텔레콤(주) 기울기에 따라 액정화면이 변하는 휴대기기
KR20040053997A (ko) * 2002-12-16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굴 움직임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40107890A (ko) * 2003-06-14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영상 기울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7358A (en) * 1991-10-11 1996-09-1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an electronic viewfinder for displaying an object image under different photographic conditions
JP3471578B2 (ja) * 1997-08-29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行方向判定装置、画像傾き検出装置及び画像傾き補正装置
JP2000083244A (ja) * 1998-09-04 2000-03-21 Canon Inc カメラ装置、映像送信装置、映像受信装置、カメラ姿勢制御方法、映像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
EP1071285A1 (en) * 1999-07-19 2001-01-24 Texas Instruments Inc. Vertical compensation in a moving camera
US6968094B1 (en) * 2000-03-27 2005-11-2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estimating and correcting camera rotation with vanishing point location
US6747690B2 (en) * 2000-07-11 2004-06-08 Phase One A/S Digital camera with integrated accelerometers
GB0116113D0 (en) * 2001-06-30 2001-08-22 Hewlett Packard Co Tilt correction of electronic images
US7079707B2 (en) * 2001-07-20 2006-07-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horizon correction within images
JP2003216135A (ja) * 2002-01-25 2003-07-30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表示装置
JP4306184B2 (ja) * 2002-05-27 2009-07-2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0486289C (zh) * 2002-10-18 2009-05-06 宇慕科技有限公司 摄像系统及在摄像系统中处理图像的方法
KR100548611B1 (ko) * 2003-08-07 2006-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영상 처리에 있어서의 에지 강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4143A (ja) * 1995-08-01 1997-02-14 Toshiba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装置
KR19990001469A (ko) * 1997-06-16 1999-01-15 윤종용 캠코더의 좌우 기울어짐 표시 및 기울기 보정 방법
KR200266509Y1 (ko) 2001-12-14 2002-02-28 가이아 텔레콤(주) 기울기에 따라 액정화면이 변하는 휴대기기
KR20040053997A (ko) * 2002-12-16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굴 움직임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40107890A (ko) * 2003-06-14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영상 기울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1565A (zh) 2006-03-01
US20060008172A1 (en) 2006-01-12
KR20060003471A (ko) 2006-01-11
CN100403767C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18B1 (ko)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화상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JP4160060B2 (ja) 画像取込能力を向上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22804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5128437A (ja) 撮影装置
KR100617702B1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JP4298042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80472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動画付き文書表示方法および動画付き文書表示プログラム
KR1006894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촬영 이미지 합성 장치 및방법
WO2019071548A1 (zh) 终端拍照控制方法、移动终端及可读储存介质
KR100774479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기울기 보정장치 및 방법
KR100686310B1 (ko) 이미지 기울임 보정 방법, 프로세서 및 이를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4147008A (ja) 電子カメラ
JP2010034885A (ja) 撮像装置
JP4453692B2 (ja) 撮像装置
JP2008060973A (ja) 撮像装置
KR100690741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JP3873963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5123930A (ja) 携帯端末装置
JPH1079882A (ja) 画像入力装置
KR10108045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JP4747746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画像信号処理方法
JP2021124546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708533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807253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プログラム
US201100071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to digital zoom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