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432B1 -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 Google Patents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432B1
KR100774432B1 KR1020070058762A KR20070058762A KR100774432B1 KR 100774432 B1 KR100774432 B1 KR 100774432B1 KR 1020070058762 A KR1020070058762 A KR 1020070058762A KR 20070058762 A KR20070058762 A KR 20070058762A KR 100774432 B1 KR100774432 B1 KR 10077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ple
hexagonal
dimples
golf bal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이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훈 filed Critical 이재훈
Priority to PCT/KR2007/00292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4697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Specified dimp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2Special coverings, i.e. outer laye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is provided to decrease drag and to increase lift by making the arrangement and size of dimples symmetrical in six parts formed by dividing dimple groups of six hexagonal zones. In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where dimples(10) are formed is split into six hexagonal zones by virtual parting lines and eight triangular zones formed between the hexagonal zones, respectively. Dimple groups are arranged in each zone. First to sixth dimple groups(P3,P4,P5) are arranged in the hexagonal zones. The first to fourth dimple groups are continuously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 center lin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one dimple group. The fifth and sixth dimple groups are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dimple group.

Description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도 1은 종래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olf ball.

도 2는 종래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golf bal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구상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구상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각각의 구역을 나타내는 구상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each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전개도.Figure 6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확대도.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 배치를 나타내는 확대도.Figure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 배치를 나타내는 다른 확대도.Figure 10 is another enlarged view showing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 dimple group of hexagonal zones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Figure 13 is another plan view show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가 형성된 골프공을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14 is a plan view showing a golf ball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가 형성된 골프공을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olf ball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Figure 16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in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17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in a hexagonal region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이 대략 삼각형 구역에 인접한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mple group of hexagonal sections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acent to a substantially triangular sec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 19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in a hexagonal region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각종 딤플군을 나타내는 예시도.2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dimple groups of hexagonal regions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 FIG. 21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in a hexagonal region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2는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각종 딤플군을 나타내는 예시도.Figure 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ety of dimple groups of hexagonal zones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접촉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배치도.Fig. 23 is a layou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접촉부의 또 다른예를 나타내는 배치도.24 is a layout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골프공의 접합선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line of a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접합선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전개도.It is a development view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bonding line of the golf ball of this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접합선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bonding line of the golf ball of this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딤플 11: 작은 딤플10: dimple 11: small dimple

P1: 제 1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1st hexagon area dimple group

P2: 제 2 육각형 구역 딤플군P2: 2nd hexagonal area dimple group

P3: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3: 3rd hexagonal area dimple group

P4: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4: 4th hexagonal area dimple group

P5: 제 5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fif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6: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6: 6th hexagon zone dimple group

본 발명은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을 대칭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격되어 비행하는 골프공의 좌우와 상하의 공기흐름이 일정하게 되고, 딤플을 대칭으로 배열하여 항력을 감소시키고 양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the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to be symmetrical, airflows of the right and left and top and bottom of the golf ball being hit and flying become constant, and the dimple is symmetr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that can be arranged to reduce drag and increase lift.

일반적으로 빠르게 날아가는 골프공에서 발생하는 저항에는 앞쪽 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과 뒤쪽에서 발생하는 형상저항이 있다. 상기 마찰저항은 공기와 골프공과의 마찰로 인해 골프공에서 발생하는 저항이고, 형상저항은 골프공이 공기중을 비행해 갈 때 골프공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이다.In general, the resistance generated from a fast flying golf ball has a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in the front surface and a shape resistance generated in the rear.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a resistance generated in the golf ball due to friction between the air and the golf ball, the shape resistance is a resistance generated by the vortex of air generated in the rear of the golf ball when the golf ball is flying in the air.

상기 저항들 중에서 형상저항은 골프공의 탄도 및 비거리 특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상기 형상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골프공의 외표면에는 딤플(dimple)이라 불리는 오목홈을 다수개 형성하고 있다.Among the resistors, the shape resistance acted a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ballistic and flying d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golf ball. In order to reduce the shape resistance,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called dimples we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olf ball. have.

상기 딤플이 형성된 골프공은 딤플이 없는 골프공에 비하여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기 때문에 골프공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 즉 후류의 발생영역이 축소되고, 이로인해 후류가 골프공을 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 당기므로 생기는 형상 저항을 저하시키게 된다.The dimple-formed golf ball has a slower air flow compared to a golf ball without dimples, so that a vortex generated in the rear of the golf ball, i.e., a wake generation area is reduced, so that the wake reverses the golf ball in the direction of flight. Pulling in the direction lowers the shape resistance generated.

골프공의 표면에 딤플을 배열할 경우에는 구체의 표면을 여러 개의 원들로 나누어 생기는 여러가지의 다면체로 만들어 딤플을 설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구상 삼각형 4개로 이루어진 구상 4면체, 구상 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구상 6면체, 구상 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구상 8면체, 구상 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구상 12면체, 구상 삼각형 20개로 이루어진 구상 20면체 등등의 많은 구체의 분할 구도가 있다. When dimple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a golf ball, dimples are designed by making the surface of a sphere into various polyhedrons formed by dividing into circles. For example, a globular tetrahedron consisting of four globular triangles, a spherical hexahedron consisting of six globular squares, a spherical octahedron consisting of eight globular triangles, a spherical dodecahedron consisting of twelve spherical pentagons, a spherical icosahedron consisting of twenty spherical triangles, etc. There is a split composition of spheres.

또한 앞서의 구상 다면체를 더욱 세분하여, 구상 20-12면체, 구상 6-8면체 등등으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딤플을 배열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모든 분할 구도들은 서로 다른 구상 다면체로 나누어 딤플을 배열하였더라도 결국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체에서는 서로 포개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pherical polyhedron may be further subdivided to form dimples by dividing the surface of the sphere into spherical 20-12 polyhedrons, spherical 6-8 polyhedrons, and the like. However, even if all these divided compositions are arranged in different spherical polyhedrons and arranged dimples, they can be superimposed on one another with spheres of the same diameter.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새로운 분할 구도에 의한 딤플 배열을 갖는 골프공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분할 구도의 종류에 따라서 각 면체의 표면적의 크기가 서로 달라지기 때문에, 구체 전반에 걸쳐 딤플을 배열할 때에 그 딤플의 크기나 깊이, 형상 등을 달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Nevertheless, the reality is that golf balls having a dimple arrangement by a new divided composition are made again. This is because the size of the surface area of each facet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divisional structure, and thus the size, depth, shape, etc. of the dimples can be changed when arranging the dimples over the sphere.

결과적으로 각 딤플 배열에 따라 비행 특성도 차이가 나게 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새로운 분할 구도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상 다면체의 분할 방법으로 구체의 표면에 딤플을 배열할 때에는, 동일한 면체일지라도, 하나의 면체 내에서 딤플들 간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는 것이 비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보다는 비행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As a result, flight characteristics are also different for each dimple arrangement, resulting in a new segmentation structure. In addition, when dimple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a sphere by the method of dividing the spherical polyhedron, the dimple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within one facet, even though the same facet is better than the asymmetrically arranged. Appears.

이는 골프공이 비행할 때 탄도 정점에서 지면에 낙하 될 때까지의 저속 영역에서 공기의 저항이 좀더 균일하기 때문에 골프공의 흔들림이 적어 안정된 탄도를 그리며 착지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golf ball is flying, the resistance of the air is more uniform in the low speed range from the peak of the ballistic to the ground.

골프공이 발사되어 탄도 정점까지의 비행영역, 이른바 고속 영역에서는, 큰 딤플은 작은 딤플보다 압력 항력이 크게 되고, 반대로 저속 영역에서는 작은 딤플보다 압력 항력이 적게 된다. In the flying area to the ballistic peak, the so-called high speed area, the golf ball is launched, and the large dimple has a larger pressure drag than the small dimple, and conversely, in the low speed area, the pressure drag is smaller than the small dimple.

따라서, 골프공이 더욱 균일한 착지점을 갖고 좋은 비거리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골프공 구체의 표면의 새로운 분할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분할된 구체의 표면에 딤플들을 어떻게 배치하여야 효과적인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 new division method of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sphere is required so that the golf ball can have a more uniform landing point and a good flying distance characteristic, and a study on how to arrange dimples on the surface of the divided sphere is effective. It is required.

기존의 골프공에 있어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는 완벽한 대칭을 추구하기 위한 딤플 배열구조에 관해 많은 제조회사들이 많은 연구를 해왔다. 딤플은 종래의 딤플 수가 430∼560개 정도에서 수많은 종류의 배열 형태를 가지고 발달해 왔다. 하지만, 제한된 골프공의 직경에서 완벽한 대칭 추구는 현실적으로 너무나 힘든 문제를 갖고 있었다.In the existing golf balls, many manufacturers have conducted a lot of research on the dimple arrangement of golf balls to pursue perfect symmetry. Dimples have been developed with numerous types of arrangements in the number of conventional dimples of about 430 to 560. However, the pursuit of perfect symmetry in the limited diameter of the golf ball has been too difficult in reality.

골프공은 제조상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맞물려 공의 외부인 딤플이 있는 골프공을 사출해 내는 것으로 인해 상부와 하부가 동일하게 만들도록 노력해 왔으나 일정한 규칙이나 법칙없이 배열하여 왔으며, 그 규칙이 500개 전후의 딤플을 직 경 42.67㎜에서 배열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어 보였다.Golf balls have been trying to make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same by engag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to eject golf balls with dimples outside the ball, but they have been arranged without certain rules or laws. It was practically difficult to arrange the dimples at 42.67 mm in diameter.

하지만 딤플의 숫자를 낮추고, 딤플과 딤플 사이의 원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에 본 발명을 연구하게 되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in that the number of dimples can be reduced, and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making the interval of the circle between the dimples and the dimples constant.

도 1은 종래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mple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golf ball,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golf ball.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종래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는, 등록특허공보 제0138895호(1998년 02월 23일자)에 개시되어 있으며, 골프공의 구형표면을 6개의 사각면형 구역과 8개의 육각형 구역을 가진 딤플 배열로 골프공 표면을 감싸도록 되어 있다.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golf ball shown in FIGS. 1 and 2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138895 (February 23, 1998), and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golf ball has six rectangular sections and eight sections. A dimple arrangement with a hexagonal section is designed to surround the golf ball surface.

이와 같이 하여 골프공의 표면에 딤플을 식재할 경우 골프공의 딤플이 항력을 감소시키고 양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딤플의 역할이다. 그런데 6개의 사면체의 구역에서의 딤플의 배열은, 가로방향의 딤플이 가로 3줄, 세로 3줄의 사이에 삽입되어 식재되어야 한다. 그러면 상기의 항력 감소와 양력향상에 도움을 더 줄 수 있는데 이러기 위해서는 골프공의 표면적 대비 딤플 면적의 향상이 크게 작용한다.When the dimple is planted on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in this way, the dimple of the golf ball reduces drag and generates lift.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dimples in the area of the six tetrahedrons, the dimp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hould be inserted and inserted between the three rows and three rows. Then, the drag reduction and lift lift can be further helped. To this end, the improvement of the dimple area relative to the surface area of the golf ball is large.

따라서 골프공이 상하좌우 대칭구조를 갖는다고 하여도, 상기의 가로줄과 세로줄이 옆에서 맞닿아 있어 표면적 대비 딤플의 비율이 낮아져서 항력의 감소와 양력의 발생에 저하를 가져오도록 된다.Therefore, even if the golf ball has a symmetrical structure up, down, left, and right,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atio of the dimple to the surface area is lowered, thereby reducing drag and generating lift.

또한, 종래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에서 육각형의 8개 구역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육각형 내의 딤플이 중앙의 딤플군 보다 외곽의 딤플군이 적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the hexagonal eight regions are formed so that the dimple group in the hexagon is smaller in the outer dimple group than the dimple group in the center.

각각의 육각형 구역 사이의 교차부위를 보면, 사각형 구역과 같이 서로 딤플의 교차부위가 존재하여야 하나, 가로 세로가 일직선상에 맞닿아 있으므로, 이 역시 사각형에서와 같이 항력의 감소와 양력의 발생에는 많은 교차부위의 문제점을 가지도록 하는 배열구조이다. Looking at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hexagonal zones, the intersections of the dimples should be present in each other, like the rectangular ones, but sinc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buts in a straight line, this also has many effects on drag reduction and lift generation as in the square. It is an array structure to have the problem of inters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골프공의 딤플 배열을 대칭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격되어 비행하는 골프공의 좌우와 상하의 공기 흐름이 일정하게 되고, 딤플을 대칭으로 배열하여 항력을 감소시키고 양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configuring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to be symmetrical, the air flow of the left and right and top and bottom of the golf ball to be hit by flying becomes constant, the dimple symmetricall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imple arrangement of golf balls that can be arranged to reduce drag and increase lif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에 있어서, 딤플이 형성된 골프공의 표면이 가상의 분할선에 의해 6개의 육각형 구역과, 상기 각각의 육각형 구역 사이에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으로 분할되되, 각각의 구역에 딤플군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dimple is formed of six hexagonal zones by the virtual dividing line and eight between each hexagonal zone It is divided into approximately triangular z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 group is disposed in each zon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에 배치된 딤플군은,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외경인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이 연속해 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육각형 구역 딤플군(P2)의 양측에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disposed in the hexagonal zone is composed of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of one outer diameter. The first to four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are arranged in succession, and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2. P6) is arrang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to four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nd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are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form.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2, P4, 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nd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2, P4, P5, P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are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form.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은, 딤플이 딤플군의 중심선 방향으로 최대 8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have a maximum of eight dimples arranged in the centerline direction of the dimple group.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이 딤플군의 중심선 방향으로 최대 7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in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up to seven dimple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line of the dimple group.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 중 동일 직경의 3개 원형 딤플이 삼각형 형태로 맞닿는 경우에, 각 딤플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삼각형이 형성되며, 이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와 삼각형의 높이와의 차의 합이, 상기 각 육각형 구 역의 딤플군의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when three circular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in the group of dimples of the hexagonal section abut in a triangular form, a triangl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each dimple, and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triangle and the height of the triangle The dimpl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s is equal to the cross width length r1 of the shared dimples of the dimple groups in the hexagonal zones.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 중 중심선방향 일측 열의 동일 직경의 딤플에 삽입되는 타측 열의 동일 직경 딤플의 삽입부의 폭의 합(d1+d2+d3)이, 상기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sum (d1 + d2 + d3) of the widths of the insertion portions of the same diameter dimples of the other row inserted into the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in one row of the center lines in the dimple groups of the hexagonal zones is equal to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s. A dimple is disposed so as to be equal to the cross width r1 of the shared dimpl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동일한 직경의 복수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group of dimples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are arrang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이 딤플군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최대 9개 배치되고, 양측 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up to nine dimpl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of the dimple group, and the outer dimples of both sides are arranged to be shared with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zone. .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과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과의 각각의 접촉부에는, 일측 딤플군의 딤플 직경이 타측 딤플군의 딤플 직경의 절반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in each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and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the dimple diameter of one side dimple group is the other dimpl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smaller than half of the dimple diameter of a group.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서로 동일한 딤플의 배치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group of dimples of the triangular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same dimple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의 접촉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딤플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s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impl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dimple group of each hexagonal zone is shar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의 접촉선 양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딤플이 배치되어 딤플의 중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dimp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line with the dimple group of each hexagonal zone to prevent overlapping of the dimples.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군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딤플이 최대 6개로 배치되고, 양측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maximum of six dimp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of the dimple group, and the dimples of both outer sides are covalently or adjacent to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zone. It is don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각 육각형 구역이 골프공의 원둘레를 4등분한 길이의 사각형 내에서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group of dimples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hexagonal zone is formed in a quadrangle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circumference of the golf ball.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군의 중심선 방향으로 양측 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on both sides of the dimple group are arranged to be shared with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zo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line of the dimple group.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골프공의 접합선이 딤플군의 중심선 방향으로 작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ing line of the golf balls is formed in a line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dimple group.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골프공의 접합선이 딤플군의 중심선에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ing line of the golf balls is formed in a zigzag form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of the dimple group.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구상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 을 나타내는 구상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각각의 구역을 나타내는 구상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 배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 배치를 나타내는 다른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가 형성된 골프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가 형성된 골프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each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hexagonal spher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other enlarged view showing the dimple arrangement of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of the hexagonal zone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go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ball, Figure 13 is another plan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golf ball formed with a dimple arrangement of golf b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olf ball formed with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in a hexagonal region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는, 딤플이 형성된 골프공의 표면이 가상의 분할선(S)에 의해 분할되어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in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on which the dimples are formed is divided by the imaginary dividing line S, so that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 P2, P3, P4, P5, and P6).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은 하나의 외경인 중심 선(C)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된다.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은 제 2 육각형 구역 딤플군(P2)의 양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to four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 which is one outer diameter.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2.

본 실시예의 골프공은 이렇게 배치된 6개의 육각형 구역과, 상기 각각의 육각형 구역 사이에 형성된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구역에는 소정형상의 딤플이 배열된 딤플군이 배치되어 있다.The golf ball of this embodiment is divided into six hexagonal zones thus arranged and eight approximately triangular sections formed between each hexagonal zone. In each zone, dimple groups in which dimples of a predetermined shape are arranged are arrange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의 외주원(C1)은 직경이 42.67㎜이다. 이것은 134.0518㎜의 외주원(C1)을 갖는 것으로 이 원둘레를 4등분하면, 한변의 길이가 33.5130㎜인 사각형(L)을 얻는다. 이 사각형(L)에는 내접하는 직경을 갖는 원(C2)이 형성된다. 따라서 6개의 부분으로 골프공의 표면이 분할되어 구면 육면체 배치구성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outer circumferential circle C1 of the golf ball has a diameter of 42.67 mm. It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circle C1 of 134.0518 mm. When this circumference is divided into four, a square L having one side length of 33.5130 mm is obtained. In this square L, a circle C2 having a diameter inscribed is formed.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is divided into six parts to form a spherical hexahedral arrangement.

도 4는 도 3의 내접원(C2)을 나타낸 것이고, 이 내접원(C2)에서 육각형을 가상의 분할선(S)에 의해 분할하여 도출하므로, 구면 육면체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육면체의 딤플군이 골프공의 표면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포된다면, 도 5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FIG. 4 shows the inscribed circle C2 of FIG. 3, and since the hexagon is divided and derived from the inscribed circle C2 by the imaginary dividing line S, the arrangement of the spherical hexahedron is shown. If the dimple group of the cube is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as shown in Fig. 3, it will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5.

이렇게 직경 42.67㎜의 골프공의 표면길이 134.0518㎜에서 4등분된 33.5130㎜길이의 6개의 육면체 구역의 골프공 표면에서 딤플을 식재하게 된다. 그러면 도 6의 육면체의 전개도에서 각각의 육면체가 맞닿아 있는 경계면 1∼6(B1∼B6)까지에 정확하게 교차하여야만 육면체에 대한 대칭을 갖는 딤플 배열구조가 가능하게 된다.Thus, dimples are planted on the golf ball surface of six hexahedral zones having a length of 33.5130 mm divided into four quarters at a surface length of 134.0518 mm of a golf ball having a diameter of 42.67 mm. Then,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having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ube is possible only when the cubes intersect each of the cubes 1 to 6 (B1 to B6)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developed view of the cub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딤플의 배열은 육각형 구역 딤플군의 중심선(C) 방향으로 즉, 상하 길이를 분포하고 싶은 딤플수로 나누어 배치하더라도, 좌우의 딤플수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arrangement of the dimples is difficult to arrange the left and right dimples effectively even in the center line C direction of the hexagonal zone dimple group, that is, divided by the number of dimples to be distributed.

왜냐하면 딤플은 골프공의 표면적 대비 딤플 면적이 높을 수록 골프공의 딤플효과인 양력발생 효과와 공의 스핀량 증가에 효과적이므로,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렬형으로 배치되면 딤플 면적이 감소하여 딤플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Because the dimples a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mount of spin and the amount of spin generated by the dimple effect of the golf ball as the dimple area is high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golf ball, the dimple area is reduced when arranged in a line as shown in FIG. The dimple effect is reduced.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딤플이 배치되면, 도 7의 딤플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D)는, 딤플의 직경을 모두 더하면 되지만 도 8의 (b)형의 가로줄의 딤플은 삽입부(d) 만큼 교차부가 있으므로, 이들의 길이를 빼야만 한다.As shown in FIG. 8B, when the dimples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the length 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imple group of FIG. 7 may be the sum of the diameters of the dimples. Since the dimples of the horizontal lines of the intersecting portions are inserted as much as the insertion portion (d), their lengths should be subtracted.

또한, 육각형 구역의 세로줄과 가로줄의 딤플 배열이 도 7의 육각형 구역에 정확히 삽입되고, 또한 접촉되는 좌우 또는 상하 육각형 구역과 딤플이 교차되지 않는 딤플군의 딤플 배열은 도 8의 (b)형태로 취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of the hexagonal section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hexagonal section of FIG. 7, and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dimple group in which the dimples do not intersect the dimple and the upper and lower hexagonal sections that are in contact is in the form of FIG. 8 (b).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taken.

도 9에 나타난 딤플구조에서, 인접된 딤플(10)의 중심점(A, B, C, D)을 선으로 연결하면, 각각의 선분(L1, L2, L3, L4)을 얻을 수 있고, 인접한 4개의 딤플 원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은 모두 같은 길이를 갖는 정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dimple structure shown in FIG. 9, when the center points A, B, C, and D of the adjacent dimples 10 are connected by lines, respective line segments L1, L2, L3, and L4 can be obtained, and the adjacent 4 The line segments connecting the centers of two dimple circles are all form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shape having the same length.

이 정삼각형에서 높이(L6)를 알 수 있고, 이 정삼각형의 높이(L6)인 선분길이에 의거해서 도 8의 (b)형태의 딤플의 배열에 존재하는 삽입부(d)의 길이를 알 수 있게 된다.In this equilateral triangle, the height L6 can be known,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d present in the arrangement of the dimples of FIG. 8 (b) based on the line length, which is the height L6 of the equilateral triangle, can be known. do.

즉, 도 10의 정삼각형의 높이(L6)와 정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L1, L2, L5)와의 차이가 곧 삽입부(d)의 길이가 된다. 그러므로 이것에 의해 도 7의 가로길이(D) 와 세로길이(D), 즉 폭 33.5130㎜에서 세로쪽 딤플수를 삽입하고, 가로길이의 삽입부(d)를 생각하여 각각의 딤플수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L6 of the equilateral triangle and the lengths L1, L2, and L5 of each side of the equilateral triangle becomes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d. Therefore, by inserting the number of vertical dimples in the horizontal length (D) and the vertical length (D), that is, the width of 33.5130 mm in FIG. 7, the number of dimples can be found by considering the insertion part (d) of the horizontal length. It becomes possible.

가장 이상적인 세로방향의 딤플수는 7개의 딤플이다. 이렇게 7개의 딤플로 가로방향 딤플을 도 8의 (b)형태의 딤플군을 구성해 가면, 도 11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he most ideal longitudinal dimples are seven dimples. Thus, if seven dimples constitute the dimple group in the transverse dimple of FIG. 8 (b), the result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에 있어서, 동일 직경의 3개 원형 딤플이 삼각형 형태로 맞닿는 경우에, 각 딤플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삼각형이 형성되며, 이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L1, L2, L5)와 삼각형의 높이(L6)와의 차의 합((L1-L6)+(L2-L6)+(L5-L6))이,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 사이의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이 배치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e group of dimples in the hexagonal zone, when three circular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contact each other in a triangular form, a triangl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respective dimples, and the lengths (L1, L2, L5) of the sides of the triangle ), The su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L6 of the triangle ((L1-L6) + (L2-L6) + (L5-L6)) is the width of the intersection of the shared dimples (r1) between the groups of dimples in each hexagonal section. The dimples are arranged to be equal to.

따라서, 육각형 구역 딤플군에서 딤플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 딤플 사이의 거리에 의거해서 인접 육각형 구역 딤플군과의 공유 딤플에 대한 교차길이가 산정될 수 있다.Thus, when the dimples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the hexagonal zone dimple group, the intersection length for the shared dimples with the adjacent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imples.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곽 딤플의 딤플 부위는 구면 육각형 구역의 경계선 중심부에서 3개의 딤플 중 상측 및 하측 딤플은 각 줄의 원 둘레가 같으므로, 육각형 구역 내부에 있는 딤플과 같이 할 수 있고, 3개 중 중앙의 딤플은 원둘레의 차이만큼 커져 있다고 하지만 딤플은 미세한 딤플 배열의 이동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11, the dimple portion of the outer dimple may be the same as the dimple inside the hexagonal reg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dimples among the three dimples at the center of the boundary line of the spherical hexagonal region have the same circumference of each row. The center dimple of the three is said to be as large as the difference in the circumference, but the dimple can be solved by shifting the dimple arrangement.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에서는 딤플군의 중심선(C) 방향 일측 열의 동일 직경의 딤플에 삽입되는 타측 열의 동일 직경 딤플의 삽입부(d)의 폭의 합(d1+d2+d3) 이,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 사이의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이 배치되어 있다.In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the sum of the widths (d1 + d2 + d3) of the insertion portions (d) of the same diameter dimples of the other row inserted into the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of one row in the center line (C) direction of the dimple group is the The dimples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equal to the cross width r1 of the shared dimples between dimple groups.

즉, 딤플군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복수의 딤플 열을 배치하는 경우에, 딤플 열 사이의 삽입부의 합(d1+d2+d3)이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 열이 배치되면 딤플군 내의 딤플의 대칭성이나 골프공의 딤플 비율이 우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That is, when a plurality of dimple rows are arranged on one side based on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the sum d1 + d2 + d3 of the insertion portions between the dimple rows is equal to the cross width r1 of the shared dimples. When the dimple rows are arranged to be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symmetry of the dimples in the dimple group and the dimple ratio of the golf balls are excellent.

이로써 본 발명이 추구하려 했던 골프공의 6개면으로 분할한 구면 육면체의 딤플 배열에서 이웃하는 육각형 구역과 완벽하게 연결될 수 있는 가로방향 딤플수와 세로방향 딤플수를 찾을 수 있고 이것은 골프공의 딤플 대칭구조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Thus, i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spherical hexahedron divided into six sides of the golf ball, the present invention can find the number of horizontal and vertical dimples that can be connected perfectly with the neighboring hexagonal areas, which is the dimple symmetry of the golf ball. It also has the effect of finding the structure.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공은 육각형 구역 딤플군 내에 37개의 딤플과 경계선에 표시된 6개의 딤플을 얻을 수 있었다. 골프공의 표면을 6개로 분할하여 한 개의 육면체를 골프공의 표면에 분포시키게 될 때, 도 6의 육면체 전개도에서 각각의 육각형 구역 중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과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과의 각각의 접촉부에는, 일측 육각형 딤플군의 딤플이 상부 및 하부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타측 육각형 구역 딤플군의 딤플과 충돌하여 중첩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embodiment was able to obtain 37 dimples and six dimples indicated on the boundary line in the hexagonal zone dimple group. When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is divided into six and one cube is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golf ball,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of the hexagonal zones of FIG. In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with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dimples of one hexagonal dimple group ar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thereby colliding with the dimples of the other hexagonal zone dimple group to overlap. Have.

도 12는 충돌부위의 딤플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 1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3)과, 제 5 육각형 구역 딤플군(P5)과의 딤플의 중첩에 대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가지 해결방안이 있게 된다.12 shows an example of the dimples at the collision site, and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first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1 and the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3 and the fif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5. This is a problem of overlapping dimples. There are two solutions to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도 13에서의 각 딤플군의 딤플의 충돌은 제 1 및 제 3 육각형 딤플군(P1, P5)의 딤플(10)을 그대로 두고 제 5 육각형 딤플군(P5)의 딤플(10) 대신에 직경 2㎜ 전후의 작은 딤플(11)들의 배치하여 이 충돌을 방지하는 경우가 있다.The collision of the dimples of each of the dimple groups in FIG. 13 has a diameter of 2 instead of the dimples 10 of the fifth hexagonal dimple group P5, leaving the dimples 10 of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dimple groups P1 and P5 intact. The small dimples 11 before and after mm may be arranged to prevent this collision.

또, 도 12의 다른 하나의 충돌해결방법은 제 5 육각형 딤플군(P5)의 딤플(10)을 그대로 두고, 제 1 및 제 3 육각형 딤플군(P1, P3)의 딤플(10a) 대신에 소규모 직경 2㎜ 내외의 딤플(11a)을 식재하여, 충돌을 피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다.In another collision solving method of FIG. 12, the dimple 10 of the fifth hexagonal dimple group P5 is left as it is, and instead of the dimples 10a of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dimple groups P1 and P3, There is another method of planting dimples 11a around 2 mm in diameter to avoid collisions.

또한, 이렇게 완성된 골프공의 6개 분할된 각 부위의 규칙적인 배열은 어떤 방향에서도 대칭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골프공의 직진성과 비거리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gular arrangement of the six divided parts of the golf ball thus completed can be symmetrical in any direction, which can lead to an improvement in the straightness and flying distance of the golf ball.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면 육면체의 분할면 외에 존재하는 딤플이 식재되지 않은 부위는, 모두 8개 대략 삼각형 구역으로 이 8개 부분 역시 복수의 딤플 배열방식이 나올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portions where the dimples other than the spherical hexahedron are not planted are all approximately eight triangular sections, and these eight portions may also have a plurality of dimple arrangement methods.

이 8개 대략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전체의 25% 미만으로 8개소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부위는 전체 딤플의 규칙적인 6개로 분할된 육각형 구역 딤플군 사이에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각 육각형 구역 딤플군에 미치는 영향이 4% 내외를 차지하게 된다.The groups of dimples of these eight approximately triangular sections are divided into eight locations, less than 25% of the total, and each part is regularly distributed between the six regular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of the total dimples, each hexagonal The impact on the zone dimple group will be around 4%.

본 실시예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예외로서, 하나 골프공의 딤플 대칭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규칙성 있게, 제조회사가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에 다양 한 크기의 딤플(21∼25)을 임의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s an exception to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is embodiment, the manufacturer arbitrarily selects dimples 21 to 25 of various sizes in the dimple group of the triangular zone without affecting the dimple symmetry of the golf bal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rrange.

도 14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는 일정한 규칙을 가질 수 있다. 이것으로 골프공의 완벽한 대칭구조의 딤플 배열이 된다. 따라서 골프공을 6개 부분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부분이 일정한 딤플로 배열하여 전체의 75%를 지배하고, 도 14의 8개의 삼각형 구역 딤플군에 복수의 딤플을 규칙적으로 식재하면 완전한 대칭체의 골프공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 14,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certain rule. This results in a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with perfect symmetry. Therefore, the golf ball is divided into six parts and each part is arranged in a constant dimple to control 75% of the whole, and when a plurality of dimples are regularly planted in the eight triangular zone dimple groups of FIG. A ball is formed.

이러한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서로 동일한 딤플의 배치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up of dimples in this triangular zone is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having the same arrangement of dimples.

특히 도 15의 구성도중 (a)정면도, (b)측면도, (c)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를 가진 골프공은, 딤플군의 중심선(C)을 따라서 7개의 딤플이 일렬로 배치된 6개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그 사이의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으로 가상 분할선(S)에 의해 각각 분할 되어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a) front view, (b) side view, and (c) plan view in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5, a golf ball having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s of this embodiment is along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Seven dimples are divided by a virtual dividing line S into groups of dimples of six hexagonal sections arranged in a line and groups of eight approximately triangular sections therebetween.

이중에서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P1∼P6)의 전개도가 도 16에 나타나 있다. 특히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P5. P6)은, 딤플군의 중심선(C)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단의 딤플중 일부가 8개의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하도록 배치된다.Among them, a developed view of the dimple groups P1 to P6 of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s is shown in FIG. 16. In particular, the dimple groups P5 and P6 of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s are arranged such that some of the dimples of both ends are shared with the dimple groups of the eight triangular zon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 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가 형성된 골프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각종 딤플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각종 딤플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의 육각형 구역의 접촉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17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dimple group of hexagonal zones of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golf ball having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group of dimples of a hexagonal zone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view of a hexagonal zone of a dimple arrangement of a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various dimple groups, and FIG. 21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 dimple group of hexagonal sections of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layout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xagonal region of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는, 상기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2, P4, 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다. 17 and 18, i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of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with each other.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2, P4, P5, and P6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특히,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은, 딤플군의 중심선(C) 방향으로 양단부에 작은 딤플이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제 2, 제 4,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2, P4, P5, P6)은 딤플군의 중심선(C)을 따라서 7개의 딤플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small dimples are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and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s are arranged. In the dimple groups P2, P4, P5, and P6, seven dimples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이들 딤플군(P1, P2, P3, P4, P5, P6) 사이에는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이 배치되며, 이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에는 다양한 크기의 딤플(31∼33)을 임의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Eight approximately triangular dimple groups are arranged between thes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and dimples 31 to 33 of various sizes are arbitrarily arranged in the dimple groups of the triangular zone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이러한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서로 동일한 딤플의 배치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up of dimples in this triangular zone is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having the same arrangement of dimples.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는,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이,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9,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in the same arrangement. It is arranged.

이러한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은 딤플군의 중심선(C)을 따라서 8개의 딤플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딤플군의 중심선(C)의 수직방향으로 최대 9개의 딤플이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have eight dimple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and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Up to nine dimpl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이들 딤플군(P1, P2, P3, P4, P5, P6) 사이에는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이 배치되며, 이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에는 다양한 크기의 딤플을 임의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Eight approximately triangular dimple groups are arranged between thes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Of course, dimples of various sizes may be arbitrarily arranged in the dimple groups of the triangular regions. .

이러한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서로 동일한 딤플의 배치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up of dimples in this triangular zone is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having the same arrangement of dimples.

본 실시예의 육각형의 형태는 지름 134.0518㎜의 중심원 둘레 길이에서 4등분한 33.5130㎜의 길이의 외곽선 내에 형성된 육각형 딤플군의 종류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종류의 형태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딤플군을 조합연결하면 골프공의 외곽표면을 감쌀 수 있는 구형 육면체 구조가 된다.The hexagonal shape of this embodiment is a group of hexagonal dimples formed in an outline of a length of 33.5130 mm divided into four quarters at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a center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34.0518 mm, as shown in FIG. 20. This can be arranged. Combining these dimple groups gives a spherical cube structure that can wrap the outer surface of the golf ball.

또한 도 20의 A형, B형, C형의 딤플군에서 외곽선 밖으로 돌출된 반원으로 접하는 딤플은 딤플군과의 상호교환하여 공유되는 영역이므로 접선표시 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dimple group of type A, B, and C of FIG. 20, the dimples contacting the semicircles protruding out of the outline are not tangentially displayed because they are shared areas interchanged with the dimple group.

또한, 6개의 육각형 구역 딤플군에는 메인 딤플수가 대략 234∼242개의 메인 딤플이 식재된다. 대략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 8개소에는 각각 7∼9개의 딤플이 식재되어 대략 56∼72개의 메인 딤플이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main hexagonal dimple group includes approximately 234 to 242 main dimples. Seven dimples are planted in eight dimple groups of approximately triangular sections, and approximately 56-72 main dimples are arranged.

따라서 각각의 딤플군의 딤플수의 총합이 모두 290∼314개로 구성된 동일 크기의 메인 딤플로 골프공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Therefore, the sum of the number of dimples of each dimple group is a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olf ball of the main size of the same size which consists of 290-314 pieces.

여기에 소규모 딤플이 16∼32개 구성되어 모든 딤플수는 약간 차이는 있지만, 골프공의 전체 딤플수는 대략 320∼350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6 to 32 small dimples are included here, and the total number of dimples is slightly different. However, the total dimples of the golf ball are preferably formed to be approximately 320 to 350.

도 20의 C형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 크기의 딤플이 육각형의 딤플군에 삽입될 때 가로방향으로 딤플을 공유하는 교차영역이 존재하게 된다.As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C of FIG. 20, when the same size dimples are inserted into the hexagonal dimple group, there is an intersection area sharing the dimp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 각각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에 36개의 딤플이 배치되고, 6개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전체 딤플수가 216개로 되도록 하고, 세로방향에 인접하는 딤플군의 부위의 항력 감소를 위해 각각의 인접부위에 3개의 소형 딤플을 식재토록 하면, 딤플이 7개씩 배치된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이 형성된다.  In addition, 36 dimples are arranged in the dimple group of each hexagonal zone, and the total number of dimples of the dimple group of the six hexagonal zones is 216, and each adjoining for reducing the drag of the portion of the dimple group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ree small dimples are planted in the site, a group of eight roughly triangular dimples in which seven dimples are arranged is formed.

이들 골프공의 전체 딤플수를 합하여 대략 272∼280개의 메인 딤플이 가능하도록 하면, 골프공의 중저탄도 샷에 유리하도록 딤플을 배열하여 골프공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otal number of dimples of these golf balls is added to allow approximately 272 to 280 main dimples, the dimples can be arranged to be advantageous to the low to medium ballistic shots of the golf balls, thereby producing the golf balls.

또한 딤플이 공유되는 교환영역은, 딤플의 직경이 4.7875㎜로 나눈 경우에만, 인접한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똑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본 발명의 대칭배치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change area in which the dimples are shared can be sh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imple group of adjacent hexagonal zones only when the diameter of the dimples is divided by 4.7875 mm,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the symmetrical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이,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으나, 제 1, 제 3,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 P5, P6)과 제 2 및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2, P4)과는 딤플의 배치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1,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but the first, third, and fifth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dimples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3, P5 and P6 and the second and four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2 and P4.

이러한 경우의 육각형 딤플군은 복잡한 경우의 육각 딤플군의 조합이며, 가장 복잡한 딤플패턴을 만들어 갈 때의 딤플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The hexagonal dimple group in this case is a combination of hexagonal dimple groups in a complicated case, and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imples when creating the most complicated dimple pattern.

도 22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상하측 및 좌우측에는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접합시, 딤플의 중첩을 회피하기 위해 작은 딤플을 배치하게 된다. 또한, 각 딤플군이 서로 공유하도록 딤플을 배치하는 다양한 형태의 딤플 배열구조의 변형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hown in (a), (b), and (C) of FIG. 22,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s has a small dimple to avoid overlapping the dimples when joining with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zones on the upper, lower, and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deployed. In addition, a variety of forms of dimple arrangements in which dimples are arranged so that each dimple group is shared with each other may be modified.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의 외주를 4등분하여 한변이 33.5130㎜인 사각형에 내설된 다양한 형태의 육각형 구역 딤플군에서 직경 4.7875㎜의 원형 딤플(10)이 연결적으로 계속된다. As shown in Fig. 23, a circular dimple 10 having a diameter of 4.7875 mm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a group of hexagonal zone dimples of various shapes in a quadrangular shape of the golf ball, which is divided into four quarters with one side of 33.5130 mm.

그러나, 이들 딤플군의 경계면 또는 인접 육각형 구역 딤플군과의 접합부위에서 4.7875㎜ 직경의 1/2 미만의 다양한 크기의 작은 딤플(11)이 배치되어 각각의 딤플군에 공유되므로,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가 서로 대칭이 된다.However, at the interface of these dimple groups or at junctions with adjacent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small dimples 11 of various sizes less than 1/2 of a diameter of 4.7875 mm are arranged and shared in each dimple group, so that dimple arrangement of golf balls The structur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이들 딤플군의 예시로서 도 22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딤플군의 배치가 가능하며, 이들 딤플군은 통상적인 여러 형태에 적합하도록 채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As an example of these dimple groups, various dimple groups can be arranged as shown in FIGS. 22A, 22B, and C. These dimple groups can be adopted to be suitable for various conventional shapes. do.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프공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군 의 중심선(C) 방향으로 양측 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하게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in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area of a golf ball, the dimple of both outer sides is arrange | positioned in common with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dimple group.

본 실시예의 골프공에 배치된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골프공의 외주를 4등분하여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내측에 접하여 형성되고, 사각형의 가로선과 세로선이 형성된다.The dimple group of hexagonal sections arranged in the golf ball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divi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olf ball into four quarter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quare having the same horizontal length and vertical length, and form a horizontal horizontal line and a vertical line.

이러한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교차하여 가로선 상에 교차영역을 가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세로선 상에 교차영역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The dimple group of such a hexagonal area may cross | intersect with the dimple group of an adjacent hexagonal area, and may have an intersection area on a horizontal line, and may have an intersection area on a vertical line.

세로선 상에 교차영역이 있는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에서 딤플군의 중심선(C)을 따라서, 즉 사각형 중앙의 세로선을 따라서 7개의 딤플(10)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중 양단에 배치된 각각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 딤플군과 공유하게 된다.Seven dimples 10 are arranged along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that is, along the vertical line in the center of the rectangle, in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having an intersection area on the vertical line, and each of the dimples disposed at both ends thereof. It will share with this adjacent hexagonal zone dimple group.

이러한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군의 중심선(C) 방향 양단부가 절단된 형태로 분할선(S)이 형성된다.In the dimple group of this hexagonal region, the dividing line S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the both ends of the dimple group center line C direction were cut | disconnected.

따라서, 이러한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교차영역의 위치는,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딤플수를 결정함에 따라서 세로선 또는 가로선 상에 형성할 것인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region is to be formed on the vertical line or the horizontal li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mples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reg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접합선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connection line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골프공의 접합선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접합선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골프공의 접합선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joining line of a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joining line of a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shows another example of a joining line of a golf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의 접합선(BL)은 골프공의 사출성형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경계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에서 골프공의 접합선(BL)이 딤플군의 중심선(C)에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만곡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5, the connection line BL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a boundary lin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golf ball, and the golf ball in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joining line BL is curved in a zigzag form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C of the dimple group.

이러한 경우의 접합선(BL)은,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딤플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골프공의 외면에 접합선의 이음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매끈한 외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joint line BL in this case is formed in a zigzag form between the dimples of the group of dimples in the hexagonal zone, so as to form a smooth outer surfa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olf ball so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seam of the joint line.

다만, 골프공의 사출성형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경계면에 대한 가공이 어려워, 금형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However,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golf ball is difficult to process the interfa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mold and excessive production cost is required.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에서 골프공의 접합선(BL)이 딤플군의 중심선(C)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26 and 27, in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of this embodiment, the joining line BL of the golf balls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dimple group.

이러한 접합선(BL)은, 골프공을 사출제작할 때 이음새 부분을 육각형 구역 딤플군의 중심선(C)을 따라서 골프공의 중앙부에 직선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The joint line BL is a straight lin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olf ball along the center line C of the hexagonal zone dimple group when the golf ball is produced by injection.

구체적으로는,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중심선(C), 즉 접합선(BL)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딤플을 배치하여, 골프공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중앙부에 접합선이 직선 형태로 형성된 딤플 배열구조이다.Specifically,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dimple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line C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that is, the joint line BL, and the joint lin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t the center of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of the golf ball. to be.

또한,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가상 분할선(S)은, 각 딤플군의 교차영역의 중간부가 좌우 원둘레를 4등분한 경계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imaginary dividing line S of the dimple group of a hexagonal area becomes a boundary line which the middle part of the intersection area | region of each dimple group divided into 4 left and right circumferences.

특히,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선(BL)이 직선으로 형성된 본 실시예의 골프공은,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고,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딤플군 사이에는 다양한 크기의 딤플(41∼47)이 배치된 대략 삼각형 구역 딤플군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6, in the golf bal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bonding line BL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to four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are dimpled in the same arrangement. Are arranged, and the dimples are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form as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area dimple groups P5 and P6. Further, between these dimple groups, a substantially triangular zone dimple group is formed in which dimples 41 to 47 of various sizes are arranged.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은, 접합선(BL)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4개 행씩 총 8개 행의 딤플이 배열되고, 최상측의 딤플 열에는 3개의 딤플이 배치되고, 최하측의 딤플 열에는 4개의 딤플이 배열된다. In the first to fourth hexagonal area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a total of eight rows of dimples are arranged in four row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bonding line BL, and three in the uppermost dimple column. Four dimples are arranged, and four dimples are arranged in the lowermost dimple row.

즉, 최상측의 딤플 열과 최하측의 딤플 열의 딤플수는 1개의 차이가 나도록 딤플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dimples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number of dimples of the dimple row of the uppermost side and the dimple row of the lowest side may differ by one.

따라서, 골프공의 사출성형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경계면에 대한 가공이 용이하고, 금형 제작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easy to process the interfa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golf bal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ld manufacturing cost.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공의 딤플 배열을 대칭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딤플의 좌우 상하 대칭이 규칙적이고, 좌우 균형이 정확하여 타격되 어 비행하는 골프공의 좌우와 상하의 공기흐름이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s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so that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dimples are regular, and the left and right and top and bottom air flows of the golf balls that are hit by the right and left balance are constant. It is effective.

골프공의 딤플이 일정한 모양의 군집군의 형태로 골프공의 표면 딤플을 배열하기 위해 골프공의 표면을 구면 6면체의 가상 분할선으로 나누고, 이 6분할된 부분이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딤플로 이루어져 골프공이 상하 및 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정확한 대칭구조체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arrange the dimples of the golf balls in the form of a cluster of uniform shapes, the dimples of the golf balls are divided into virtual spherical dividing lines of the spherical hexahedron, and the six divided parts are dimples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Consists of the golf ball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an accurate symmetrical structure in any direction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또한, 6개의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을 분할하여 6개로 분할된 부위의 딤플 배열과 크기가 대칭이 되도록 하여 항력을 감소시키고 양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group of dimples of six hexagonal zones, the dimple arrangement and size of the six divided areas are symmetrical,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drag and increasing lift.

또한 딤플 배열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골프공의 접합선을 형성할 수 있고, 금형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joint line of various golf balls, and to reduce the mold cost.

Claims (20)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에 있어서, I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딤플이 형성된 골프공의 표면이 가상의 분할선에 의해 6개의 육각형 구역과, 상기 각각의 육각형 구역 사이에 8개의 대략 삼각형 구역으로 분할되되, 각각의 구역에 딤플군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surface of the dimpled golf ball is divided into six hexagonal zones and eight approximately triangular zones between the hexagonal zones by virtual dividing lines, and a dimple group is disposed in each zone. Dimple arrangement of golf ball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육각형 구역에 배치된 딤플군은,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외경인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이 연속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육각형 구역 딤플군(P2)의 양측에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dimple group disposed in the hexagonal zone is composed of 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and includes the first to the firs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of one outer diameter. Four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exagonal zone dimple group P2.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내지 제 4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first to four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and P4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nd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are arranged in an arrangement form.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2, P4, 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nd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2, P4, P5, P6)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are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form.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은, 서로 동일한 배치형태로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first to sixth hexagonal area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have dimple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s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1 내지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2, P3, P4, P5, P6)은, 딤플이 중심선 방향으로 최대 8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first to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P2, P3, P4, P5, and P6) have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golf balls, characterized in that up to eight dimple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이 중심선 방향으로 최대 7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is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 is arranged up to seve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 중 동일 직경의 3개 원형 딤플이 삼각형 형태로 맞닿는 경우에, 각 딤플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삼각형이 형성되며, 이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와 삼각형의 높이와의 차의 합이, 상기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When three circular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among the dimple groups of the hexagonal section abut each other in a triangular form, a triangl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each dimple, and the su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triangle and the height of the triangle is And dimpl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mples are equal to the cross width of the shared dimples (r1) of the dimple groups of the hexagonal zone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 중 중심선방향 일측 열의 동일 직경의 딤플에 삽입되는 타측 열의 동일 직경 딤플의 삽입부의 폭의 합(d1+d2+d3)이, 상기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의 공유 딤플의 교차 폭길이(r1)와 동일하도록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sum (d1 + d2 + d3) of the widths of the insertion portions of the same diameter dimples of the other row inserted into the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in one row of the center line direction among the dimple groups of the hexagonal zones is the intersection of the shared dimples of the dimple groups of the hexagonal zones.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are arranged to be equal to the width (r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동일한 직경의 복수 딤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is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mples of the same diameter are arrang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이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최대 9개 배치되고, 양측 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 is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up to nine dimpl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so that the dimples on both sides are shared with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zon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및 제 3 육각형 구역 딤플군(P1, P3)과 제 5 및 제 6 육각형 구역 딤플군(P5, P6)과의 각각의 접촉부에는, 일측 딤플군의 딤플 직경이 타측 딤플군의 딤플 직경의 절반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At each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and third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1 and P3 and the fifth and sixth hexagonal zone dimple groups P5 and P6, the dimple diameter of one side dimple group is the dimple diameter of the other dimple group.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hal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삼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서로 동일한 딤플의 배치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The dimple group of the triangular zone,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form of the same dimple and mutually arranged symmetrical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의 접촉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딤플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zones,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imple disposed i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dimple group of each hexagonal zone is shar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각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의 접촉선 양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딤플이 배치되어 딤플의 중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the dimple arrangement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dimples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line with the dimple group of each hexagonal section to prevent the overlap of the dimpl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군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딤플이 최대 6개로 배치되고, 양측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hexagonal dimple group has a maximum of six dimple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of the dimple group, and the dimples on both sides are shared or adjacent to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zone. Dimple array structu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각 육각형 구역이 골프공의 원둘레를 4등분한 길이의 사각형 내에서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dimple group of hexagonal sections is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each hexagonal section is formed in a quadrangle of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olf ball in quar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딤플군의 중심선 방향으로 양측 외곽의 딤플이 인접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과 공유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is a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a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ples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dimple group are arranged to be shared with the dimple group of the adjacent hexagonal s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골프공의 접합선이 딤플군의 중심선 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line of the golf ball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dimple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육각형 구역의 딤플군은, 골프공의 접합선이 딤플군의 중심선에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The dimple group of the hexagonal section, the dimp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ing line of the golf ball is formed in a zigzag form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of the dimple group.
KR1020070058762A 2007-05-31 2007-06-15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KR100774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2926 WO2008146970A1 (en) 2007-05-31 2007-06-15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s for golf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3603 2007-05-31
KR1020070053603 200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432B1 true KR100774432B1 (en) 2007-11-12

Family

ID=3906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762A KR100774432B1 (en) 2007-05-31 2007-06-15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4432B1 (en)
WO (1) WO2008146970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8394A2 (en) * 2009-04-09 2010-10-14 Aero-X Golf Inc. A low lift golf ball
KR101238734B1 (en) 2012-07-02 2013-03-07 김무형 Cuboctahedron dimple construction for golf ba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2140B2 (en) * 2013-03-18 2016-04-13 美津濃株式会社 Golf ba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626A (en) * 1987-06-04 1988-08-23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4946167A (en) * 1988-03-03 1990-08-0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Golf ball
KR900701354A (en) * 1988-07-28 1990-12-01 Golf ball
JPH09290034A (en) * 1996-02-26 1997-11-11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and its manufacture
KR0138895B1 (en) * 1992-12-28 1998-07-01 존 에이. 솔헤임 Golf ba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626A (en) * 1987-06-04 1988-08-23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4946167A (en) * 1988-03-03 1990-08-0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Golf ball
KR900701354A (en) * 1988-07-28 1990-12-01 Golf ball
KR0138895B1 (en) * 1992-12-28 1998-07-01 존 에이. 솔헤임 Golf ball
JPH09290034A (en) * 1996-02-26 1997-11-11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and its manufacture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2613B2 (en) 2009-04-09 2013-02-26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192307B2 (en) 2009-04-09 2012-06-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038548B2 (en) 2009-04-09 2011-10-18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388468B2 (en) 2009-04-09 2013-03-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192306B2 (en) 2009-04-09 2012-06-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388467B2 (en) 2009-04-09 2013-03-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02179B2 (en) 2009-04-09 2012-06-19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02178B2 (en) 2009-04-09 2012-06-19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26502B2 (en) 2009-04-09 2012-07-24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46490B2 (en) 2009-04-09 2012-08-21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51840B2 (en) 2009-04-09 2012-08-28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62513B2 (en) 2009-04-09 2012-09-11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267810B2 (en) 2009-04-09 2012-09-18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323124B2 (en) 2009-04-09 2012-12-04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366569B2 (en) 2009-04-09 2013-02-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371961B2 (en) 2009-04-09 2013-02-12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708839B2 (en) 2009-04-09 2014-04-29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WO2010118394A3 (en) * 2009-04-09 2011-02-03 Aero-X Golf Inc. A low lift golf ball
US8197361B2 (en) 2009-04-09 2012-06-12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795103B2 (en) 2009-04-09 2014-08-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454456B2 (en) 2009-04-09 2013-06-04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475299B2 (en) 2009-04-09 2013-07-02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491419B2 (en) 2009-04-09 2013-07-23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491420B2 (en) 2009-04-09 2013-07-23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512167B2 (en) 2009-04-09 2013-08-20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550937B2 (en) 2009-04-09 2013-10-08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550938B2 (en) 2009-04-09 2013-10-08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574098B2 (en) 2009-04-09 2013-11-0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579730B2 (en) 2009-04-09 2013-11-12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602916B2 (en) 2009-04-09 2013-12-10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622852B2 (en) 2009-04-09 2014-01-07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657706B2 (en) 2009-04-09 2014-02-25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US8708840B2 (en) 2009-04-09 2014-04-29 Aero-X Golf, Inc. Low lift golf ball
WO2010118394A2 (en) * 2009-04-09 2010-10-14 Aero-X Golf Inc. A low lift golf ball
KR101238734B1 (en) 2012-07-02 2013-03-07 김무형 Cuboctahedron dimple construction for golf b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6970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178B2 (en) Golf ball dimple pattern
US6849007B2 (en) Dimple pattern for golf balls
US6358161B1 (en) Golf ball dimple pattern
US4560168A (en) Golf ball
US7722484B2 (en) Golf ball with spherical polygonal dimples
US7121960B2 (en) Golf ball dimple arrangement method
US7309298B2 (en) Golf ball with spherical polygonal dimples
KR100187788B1 (en) Golf ball
US7927234B2 (en) Golf ball dimple patterns with multiple phyllotactic elements
JPH04212385A (en) Golf ball
US5586951A (en) Golf ball
JP2000042138A (en) Golf ball
US5441276A (en) Dimple pattern and the placement structure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golf ball
JPH0357467A (en) Golf ball
KR100774432B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KR102023971B1 (en) Golf Ball with Symmetric Dimple arrangement of Spherical Qusai-octahedron structure
JP4355923B2 (en) Golf ball
KR101238734B1 (en) Cuboctahedron dimple construction for golf ball
US9873019B2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triangular concave sectors
CA2140157C (en) Golf ball
JPH0884787A (en) Golf ball
JP3897065B2 (en) Golf ball
KR100945031B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for golf ball
KR100852269B1 (en) Golf ball having arrangement structure of dimple
JP2558586B2 (en)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